KR20230139690A - 조절성 안내 렌즈 - Google Patents

조절성 안내 렌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9690A
KR20230139690A KR1020220038347A KR20220038347A KR20230139690A KR 20230139690 A KR20230139690 A KR 20230139690A KR 1020220038347 A KR1020220038347 A KR 1020220038347A KR 20220038347 A KR20220038347 A KR 20220038347A KR 20230139690 A KR20230139690 A KR 202301396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lector
lens body
lens
central axis
intraocular le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83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의곤
Original Assignee
(주)딥포커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딥포커스 filed Critical (주)딥포커스
Priority to KR10202200383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39690A/ko
Publication of KR202301396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96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14Eye parts, e.g. lenses, corneal implants; Implant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tificial eyes
    • A61F2/16Intraocular lenses
    • A61F2/1613Intraocular lenses having special lens configurations, e.g. multipart lenses;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e.g. pseudo-accommodative lenses, lenses having aberration corrections, diffractive lenses, lenses for variably absorb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lenses having variable foc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14Eye parts, e.g. lenses, corneal implants; Implant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tificial eyes
    • A61F2/16Intraocular lenses
    • A61F2002/1681Intraocular lenses having supporting structure for lens, e.g. haptic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Card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람의 눈에 이식되는 조절성 안내 렌즈에 관련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전면과 후면을 가지고, 상기 전면과 상기 후면 사이를 연결하는 중심축을 가지는 렌즈 본체, 상기 렌즈 본체에 배치되되, 상기 중심축에서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1 반사부 및 상기 렌즈 본체에 배치되되, 상기 중심축에서 상기 제1 반사부보다 더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2 반사부를 포함하는 조절성 안내 렌즈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조절성 안내 렌즈{Adjustable intraocular lens}
본 발명은 안내 렌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람의 눈에 이식되는 조절성 안내 렌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안내 렌즈(Intraocular Lens; IOL)는 백내장 환자의 혼탁해진 수정체를 대신하여 눈 안에 이식되는 인공수정체를 말한다.
백내장은 눈의 수정체가 혼탁해져 외부의 빛이 망막에 명확하게 맺히지 못하게 되어 시력이 떨어지는 질환으로, 이를 치료하기 위해서는 수정체낭 내부에 있는 혼탁해진 수정체를 제거하고 그 곳에 사람에게 삽입하여도 염증 등의 합병증을 일으키지 않는 여러 가지 물질로 만들어진 안내 렌즈(인공수정체)를 삽입하는 수술을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안내 렌즈(인공수정체) 삽입술은, 백내장 환자에서 백내장을 제거한 후 그 대용으로 인공 물질로 만든 안내 렌즈를 눈 안에 삽입하게 되는데, 이때 굴절형 또는 회절형 등 시력 교정 기능을 가진 안내 렌즈를 사용하게 되면 수술 후 안내 렌즈가 안경이나 콘텍트 렌즈의 역할을 대신하도록 하여 시력 및 시기능을 개선시킬 수 있다.
안내 렌즈를 이식하여 환자가 가깝거나 멀리 있는 물체를 더 선명하게 보게 하기 위하여, 환자에게 삽입되는 안내 렌즈의 형상이나 재질에 대한 연구가 지속되고 있다. 예를 들어, 안내 렌즈 내부에 물과 같은 액체를 주입하여 다 초점의 기능을 수행하게 하거나, 안내 렌즈의 형상이 변화하여 초점을 조절하게 하는 방안이 있다. 초점 조절 기능을 가지는 안내 삽입 렌즈는 백내장의 치료와 동시에 근거리, 중간거리, 원거리, 난시 등 모든 거리의 시야를 교정할 수 있어 수요가 높다.
한편, 렌즈의 초점 조절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로 핀홀 효과를 이용하여 초점의 심도를 높이는 방법이 있다. 핀홀 효과는 빛이 통과하는 통로를 좁혀 상이 또렷하게 맺히도록 하는 것으로써, 이러한 핀홀 효과를 안내 렌즈에 적용하면, 근시, 원시 및 난시에 상관없이 망막에 상을 맺히게 할 수 있으며 연속 초점을 구현할 수 있고 더 선명한 시야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하지만, 핀홀 효과를 구현할 때 입사되는 빛을 일정 부분 차단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며, 이에 따라 눈에 이식되는 안내 렌즈에 핀홀 효과를 적용하는 경우, 눈으로 입사되는 광량이 부족해지거나, 야간 시야 장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 및/또는 한계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색수차 및 구면수차를 감소시키면서도 광량 부족을 해소하여 시인성이 향상된 조절성 안내 렌즈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전면과 후면을 가지고, 상기 전면과 상기 후면 사이를 연결하는 중심축을 가지는 렌즈 본체, 상기 렌즈 본체에 배치되되, 상기 중심축에서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1 반사부 및 상기 렌즈 본체에 배치되되, 상기 중심축에서 상기 제1 반사부보다 더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2 반사부를 포함하는 조절성 안내 렌즈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반사부는 상기 렌즈 본체의 상기 전면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2 반사부는 상기 렌즈 본체의 상기 후면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반사부 및 상기 제2 반사부 중 적어도 하나는 곡률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반사부는 외부에서 입사되는 광을 상기 제1 반사부로 안내하고, 상기 제1 반사부는 상기 제1 반사부에서 안내된 광을 상기 렌즈 본체의 후면으로 안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반사부와 상기 제2 반사부는 상기 렌즈 본체에서 서로 다른 높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반사부 및 상기 제2 반사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렌즈 본체의 상기 중심축을 중심으로 일주하도록 연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반사부 및 상기 제2 반사부 중 적어도 하나는, 복수 개의 반사 블록이 상기 렌즈 본체의 상기 중심축을 중심으로 일주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절성 안내 렌즈가 안구에 장착시에, 상기 제1 반사부는 축소된 동공에 중첩되게 배치되고, 상기 제2 반사부는 축소된 상기 동공의 외곽에 배치되고, 확대된 상기 동공과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반사부의 폭 방향의 제1 연장선은 상기 중심축에 대해서 경사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반사부의 폭 방향의 제2 연장선은 상기 중심축에 대해서 경사를 가질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렌즈 본체에 반사부를 배치하여 반사부에서 반사된 빛이 다시 눈으로 입사되도록 함으로써, 눈으로 제공되는 빛의 광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조절성 안내 렌즈는 눈으로 입사되는 빛의 색수차와 구면수차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초점의 심도를 향상시켜 망막에 맺히는 이미지가 선명하고 밝게 형성되도록 할 수 있고, 시력 및 시기능을 교정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효과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절성 안내 렌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Ⅱ-Ⅱ'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절성 안내 렌즈로 외부 광이 입사하는 것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4 내지 도 8은 도 1의 조절성 안내 렌즈의 변형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절성 안내 렌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3은 조절성 안내 렌즈가 삽입된 사람의 눈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실시예들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내용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실시예들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유닛, 영역, 구성 요소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할 때, 다른 부분의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유닛, 영역, 구성 요소 등이 개재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연결하다 또는 결합하다 등의 용어는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반드시 두 부재의 직접적 및/또는 고정적 연결 또는 결합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두 부재 사이에 다른 부재가 개재된 것을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이하의 실시예는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절성 안내 렌즈(100)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Ⅱ-Ⅱ'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2을 참조하면, 조절성 안내 렌즈(100)는 렌즈 본체(110), 제1 반사부(120), 제2 반사부(130) 및 지지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조절성 안내 렌즈(100)는 사람의 눈의 자연 수정체의 일부 또는 전부를 제거하고, 제거된 부분에 이식될 수 있다.
렌즈 본체(110)는 사람의 눈의 동공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원형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렌즈 본체(110)는 조절성 안내 렌즈(100)가 사람의 눈에 이식될 때 중심이 황반부에 정렬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렌즈 본체(110)는 중앙부에서 가장자리로 갈수록 두께가 감소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렌즈 본체(110)는 외부의 광이 투과될 수 있으며, 통상적으로 렌즈 역할을 하는 옵틱(optic)으로 사용된다.
렌즈 본체(110)는 전면(S1)과 후면(S2)을 가질 수 있다. 전면(S1)은 외부 광이 입사되는 영역에 해당한다. 후면(S2)은 전면(S1)에 대응하며 사람의 수정체 낭과 접촉하거나 망막 쪽 방향을 향하는 영역에 해당한다. 외부의 광은 전면(S1)으로 입사하고 렌즈 본체(110)를 이동하여 후면(S2)을 통과할 수 있다. 렌즈 본체(110)는 조절성 안내 렌즈(100)로 입사하는 외부 광의 대부분을 수용할 수 있으며, 이를 망막 측으로 전달할 수 있다.
렌즈 본체(110)는 전면(S1)과 후면(S2) 사이를 연결하는 중심축(AX)을 구비할 수 있다. 중심축(AX)은 렌즈 본체의 중심을 지나는 축이며, 렌즈 본체(110)의 두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렌즈 본체(110)는 중심축(AX)이 지나는 중앙부가 두께 방향인 제1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렌즈 본체(110)는 전면(S1)이 제1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되거나, 후면(S2)이 제1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2에서와 같이 전면(S1) 및 후면(S2)이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전면(S1) 및 후면(S2)이 볼록하게 형성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렌즈 본체(110)는 투명성을 갖는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렌즈 본체(110)는 비교적 경질 재료, 비교적 연질 굴곡성의 반강성 재료 또는 이들 경질 재료와 연질 재료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렌즈 본체(110)는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 methacrylate, PMMA), 폴리술폰(polysulfone, PSF), 기타 비경질의 생물학적 불활성 광학 재료일 수 있다. 또한 렌즈 본체(110)는 실리콘 수지(silicone), 하이드로겔(hydrohel), 열분안정성 재료(thermolabile meterials) 및 기타 굴곡성을 가지면서 반강성인 생물학적 불활성 광학 재료일 수 있다.
한편, 도 2를 참조하면, 렌즈 본체(110)는 중심축(AX)으로부터 이격된 거리에 따라 중앙부인 A 구역, A 구역에서 반경방향으로 외측에 위치하며 제1 반사부(120)가 배치되는 B 구역, B 구역에서 반경방향으로 외측에 위치하는 C 구역, C 구역에서 반경방향으로 외측에 위치하며 제2 반사부(130)가 배치되는 D 구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제1 반사부(120) 및 제2 반사부(130)에 대해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제1 반사부(120) 및 제2 반사부는 렌즈 본체(110)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반사부(120) 및 제2 반사부(130)는 렌즈 본체(110)에 내부에 포함되도록 배치되어 렌즈 본체(110)로 입사되는 광의 경로를 변경할 수 있다.
제1 반사부(120) 및 제2 반사부(130)는 빛을 반사시키는 물질로 이루어지거나 코팅될 수 있다. 제1 반사부(120) 및 제2 반사부(130)는 서로 같은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서로 다른 물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제1 반사부(120) 및 제2 반사부(130) 각각은 렌즈 본체(110)와 다른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반사부(120) 및 제2 반사부(130)는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 methacrylate, PMMA), 폴리술폰(polysulfone, PSF), 실리콘 수지(silicone), 하이드로겔(hydrohel), 기타 생체 적합성 광학 재료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반사부(120)는 렌즈 본체(110)의 중심축(AX)에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반사부(1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 본체(110)의 중앙부인 A 구역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B 구역에 해당하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반사부(120)는 렌즈 본체(110)의 중심축(AX)을 중심으로 일주하도록 연장되어, 일정 폭을 가지며 렌즈 본체(110)의 중앙부를 둘러싸는 원형의 고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반사부(120)는 단면이 렌즈 본체(110)의 중심축(AX)에 대해 기울어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반사부(120)가 형성하는 고리 형상은 제1 반사부(120)의 반경방향에 대해 기울어진 일면을 가지는 원뿔대의 형상일 수 있다. 이때, 제1 반사부(120)에서 제1 반사부(120)의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의 연장선은 렌즈 본체(110)의 중심축(AX)과 α의 각도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반사부(120)는 일면이 렌즈 본체(110)의 중심축에 대하여 경사를 이루도록 배치됨으로써, 후술할 제2 반사부(130)로부터 반사되어 렌즈 본체(110)의 전면(S1)으로 되돌아오는 광을 효과적으로 렌즈 본체(110)의 후면(S2)으로 안내할 수 있다. 렌즈 본체(110)의 중심축(AX)과 제1 반사부(120)의 폭방향 연장선이 이루는 각도 α는 조절성 안내 렌즈(100)의 전체 광 경로에 따라 최적화될 수 있다.
제1 반사부(120)는 렌즈 본체(110)의 전면(S1)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반사부(120)는 렌즈 본체(110)에서 외부 광이 입사되는 전면(S1)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광의 일정량을 차단할 수 있으며, 또한 제2 반사부(130)에서 반사되어 후면(S2)측으로부터 되돌아오는 반사광을 반사하여 다시 후면(S2)으로 안내할 수 있다. 제1 반사부(120)는 렌즈 본체(110)의 전면(S1) 상에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렌즈 본체(110)의 전면(S1)에서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2 반사부(130)는 제1 반사부(120)에서 렌즈 본체(110)의 반경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즉, 제2 반사부(130)는 렌즈 본체(110)의 중심축(AX)에서 제1 반사부(120)보다 더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 반사부(120)는 렌즈 본체(110)의 중심축(AX)을 중심으로 일주하도록 연장되어, 일정 폭을 가지는 원형의 고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반사부(130)는 도 2에 도시된 D 구역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반사부(130)가 배치되는 D 구역은 제1 반사부(120)가 배치되는 B 구역과 이격되어, 사이에 반사부가 배치되지 않는 C 구역이 형성될 수 있다. C 구역은 제1 반사부(120) 및 제2 반사부(130)의 비중첩 영역으로, 외부 광은 C 구역을 통하여 반사되지 않고 직접 입사될 수 있다.
제2 반사부(130)는 단면이 렌즈 본체(110)의 중심축(AX)에 대해 기울어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2 반사부(130)가 형성하는 고리 형상은 제2 반사부(130)의 반경방향에 대해 기울어진 일면을 가지는 원뿔대의 형상일 수 있다. 이때, 제2 반사부(130)에서 제2 반사부(130)의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의 연장선은 렌즈 본체(110)의 중심축(AX)과 β의 각도를 형성할 수 있다.
제2 반사부(130)는 일면이 렌즈 본체(110)의 중심축에 대하여 경사를 이루도록 배치됨으로써,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제1 반사부(120)측으로 안내할 수 있다. 렌즈 본체(110)의 중심축(AX)과 제2 반사부(130)의 폭방향 연장선이 이루는 각도 β는 조절성 안내 렌즈(100)의 전체 광 경로에 따라 최적화될 수 있다.
제2 반사부(130)는 렌즈 본체(110)의 후면(S2)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2 반사부(130)는 렌즈 본체(110)의 후면(S2) 상에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렌즈 본체(110)의 후면(S2)에서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2 반사부(130)는 렌즈 본체(110)에서 제1 반사부(120)보다 후면(S2)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제1 반사부(120)측으로 반사시킬 수 있다.
즉, 렌즈 본체(110)에서 제1 반사부(120)와 제2 반사부(130)는 서로 다른 높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1 반사부(120) 및 제2 반사부(130)의 단면의 중심에서 중심축(AX)에 수직하게 연장되는 가상의 선을 도입하여 제1 반사부(120) 및 제2 반사부(130)의 높이를 정의할 수 있으며, 제1 반사부(120) 및 제2 반사부(130)는 T1의 높이 차이를 가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조절성 안내 렌즈(100)는 제1 반사부(120) 및 제2 반사부(130)가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지도록 배치함으로써, 제1 반사부(120)에서 반사되는 외부 광 중 일부가 다시 제2 반사부(130)를 거쳐 망막측으로 입사될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해 조절성 안내 렌즈(100)는 핀홀 효과를 구현하기 위해 차단하였던 광량을 일정 부분 다시 회복할 수 있으며, 더 밝고 선명한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렌즈 본체(110)의 가장자리에는 하나 이상의 지지부(140)가 연결될 수 있다. 지지부(140)는 지지대 역할을 하는 것으로써 통상 햅틱(haptic)으로 사용된다. 지지부(140)는 안구 내에서 렌즈 본체(110)가 이동하거나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지지부(140)는 수정체 낭내(intracapsular) 또는 설커스(sulcus) 등 눈의 내측 면에 지지되어, 눈의 광학경로에 렌즈 본체(110)가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지지부(140)는 안구 내에서 조절성 안내 렌즈(100)가 이식되는 위치에 따라서 다양한 형태와 크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부(140)는 C-형상, J-형상, U-형상, 평면 디자인 또는 다른 디자인일 수 있다. 일례로, 지지부(14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 본체(110)의 양측 가장자리에서 연장되어 대칭 형상을 가지는 2개의 지지부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양한 수와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2개의 지지부(140)가 렌즈 본체(110)의 가장자리에서 연장되도록 형성된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절성 안내 렌즈(100)로 외부 광이 입사하는 것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조절성 안내 렌즈(100)가 눈에 이식되었을 때 망막에 맺히는 이미지가 밝고 선명하게 생성되는 것을 설명할 수 있다.
종래의 안내 렌즈는 렌즈의 일정 면적을 가려 외부 광이 선별적으로 입사되도록 함으로써 핀홀 현상을 유도하여 선명한 이미지를 획득하고자 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 안내 렌즈는 외부 광의 일정 양을 차단하게 되어 망막으로 입사되는 광량이 충분하지 못하게 됨으로써 어두운 이미지를 생성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광량의 부족으로 인해 동공이 확대됨으로써 눈부심의 발생과 야간 시야 장애를 유발하게 된다.
조절성 안내 렌즈(100)는 외부 광을 선택적으로 통과시켜 선명한 이미지를 획득하면서도 광량을 충분히 확보하여 망막에 보다 밝고 선명한 상이 생성될 수 있도록 한다.
렌즈 본체(110)의 중심축(AX)과 나란하게 입사되는 외부 광을 고려할 때, 상기 외부 광은 제1 반사부(120) 또는 제2 반사부(130)에서 반사되어 외부로 방출되거나 렌즈 본체(110)를 통과하여 망막측으로 입사될 수 있으며, 또는 제1 반사부(120) 및 제2 반사부(130)를 거쳐 망막측으로 입사될 수 있다.
D1은 외부 광이 렌즈 본체(110)의 중심부로 입사되는 것을 나타내며, D2는 외부 광이 제1 반사부(120)에서 반사되는 것을 나타내고, D3는 제1 반사부(120)와 제2 반사부(130)의 사이로 외부 광이 입사되는 것을 나타내며, D4는 외부 광이 제2 반사부(130)에서 반사된 후 다시 제1 반사부(120)에서 반사되어 망막측으로 입사되는 것을 나타낸다.
D1 및 D3와 같이, 외부 광은 렌즈 본체(110)의 전면(S1)으로 입사하여 렌즈 본체(110)를 통과한 후 그대로 후면(S2)으로 출사될 수 있다. 렌즈 본체(110)의 중앙부 및 제1 반사부(120)와 제2 반사부(120)의 사이에는 반사부가 배치되지 않으므로, 외부 광이 반사되지 않고 통과할 수 있다.
반면, D2와 같이 제1 반사부(120)가 배치되는 영역으로 외부 광이 입사되면, 외부 광은 제1 반사부(120)로 인해 반사되어 망막 측으로 입사되지 않게 된다.
한편, D4와 같이 제2 반사부(130)가 배치되는 영역으로 외부 광이 입사되면, 외부 광은 제2 반사부(130)에서 반사되어 광경로가 변경될 수 있다. 제2 반사부(130)로 입사되는 외부 광은 제2 반사부(130)에서 반사되어 렌즈 본체(110)의 전면(S1)측으로 경로가 변경될 수 있다. 제2 반사부(130)에서 반사된 광 중 일부는 렌즈 본체(110)의 전면(S1)을 통과하여 외부로 다시 방출될 수 있으나, 제2 반사부(130)에서 반사된 광 중 또 다른 일부는 제1 반사부(120)에서 다시 반사되어 렌즈 본체(120)의 후면(S2)측으로 전달될 수 있다. 즉, 외부 광 중 일부는 제2 반사부(130)에 의해 1차로 경로가 변경(L1->L2)될 수 있으며, 제1 반사부(120)에 의해 2차로 경로가 변경(L2->L3)되어 망막측으로 입사될 수 있다.
조절성 안내 렌즈(100)는 제2 반사부(130)에서 반사되는 광 중 일부를 다시 반사하여 망막측으로 전달함으로써, 렌즈 본체(110)를 통과하여 망막측으로 전달되는 광량을 증가시킬 수 있고, 망막에 형성되는 이미지의 명도를 개선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8은 도 1의 조절성 안내 렌즈(100)의 변형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조절성 안내 렌즈(100)의 변형예들은 제1 반사부(120) 또는 제2 반사부(130)의 구조에 있어 특징적으로 차이가 있는바, 이하에서는 이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조절성 안내 렌즈(100a)의 제1 반사부(120a)는 단면이 소정의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렌즈 본체(110a)의 전면(S1)이 볼록하게 형성된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반사부(120)는 외부 광이 입사되는 일면이 외부 광의 입사 방향에 대해 오목한 면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반사부(120a)는 외부 광이 입사되는 일면이 오목한 형상을 가짐으로써 외부 광을 효과적으로 반사할 수 있고, 상기 일면에 대응되는 타면이 볼록한 형상을 가짐으로써 제2 반사부(130)로부터 반사된 광을 다시 반사하여 효과적으로 망막측으로 전달할 수 있다. 제1 반사부(120a)의 곡률은 조절성 안내 렌즈(100a)의 전체 광 경로에 따라 최적화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조절성 안내 렌즈(100b)의 제2 반사부(130b)는 단면이 소정의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렌즈 본체(110b)의 후면(S2)이 볼록하게 형성된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2 반사부(130b)는 외부 광이 입사되는 일면이 오목한 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반사부(130b)는 외부 광이 입사되는 일면이 오목한 형상을 가짐으로써 외부 광을 효과적으로 반사함과 동시에 반사된 광이 제1 반사부(120)측으로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제2 반사부(130b)의 곡률은 조절성 안내 렌즈(100b)의 전체 광 경로에 따라 최적화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조절성 안내 렌즈(100c)의 제1 반사부(120c) 및 제2 반사부(130c)는 단면이 소정의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반사부(120c)는 렌즈 본체(110c)의 전면(S1)이 볼록하게 형성된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반사부(130c)는 렌즈 본체(110c)의 후면(S2)이 볼록하게 형성된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반사부(120c)는 외부 광이 입사되는 일면이 외부 광의 입사 방향에 대해 볼록한 면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반사부(130c)는 외부 광이 입사되는 일면이 오목한 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반사부(120c)는 외부 광이 입사되는 일면이 볼록한 형상을 가짐으로써 외부 광을 효과적으로 반사할 수 있고, 상기 일면에 대응되는 타면은 오목한 형상을 가짐으로써 제2 반사부(130c)로부터 반사된 광을 다시 반사하여 효과적으로 망막측으로 전달할 수 있다. 제2 반사부(130c)는 외부 광이 입사되는 일면이 오목한 형상을 가짐으로써 외부 광을 효과적으로 반사함과 동시에 반사된 광이 제1 반사부(120c)측으로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제1 반사부(120c) 및 제2 반사부(130c)의 곡률은 조절성 안내 렌즈(100c)의 전체 광 경로에 따라 최적화될 수 있다. 제1 반사부(120c) 및 제2 반사부(130c)의 곡률은 서로 같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서로 다를 수도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조절성 안내 렌즈(100d)의 제1 반사부(120d) 및 제2 반사부(130d)는 단면이 소정의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반사부(120d)는 렌즈 본체(110d)의 전면(S1)이 볼록하게 형성된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반사부(130d)는 렌즈 본체(110d)의 후면(S2)이 볼록하게 형성된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반사부(120d)는 외부 광이 입사되는 일면이 외부 광의 입사 방향에 대해 오목한 면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반사부(130d) 역시 외부 광이 입사되는 일면이 오목한 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반사부(120d)는 외부 광이 입사되는 일면이 오목한 형상을 가짐으로써 외부 광을 효과적으로 반사할 수 있고, 상기 일면에 대응되는 타면은 볼록한 형상을 가짐으로써 제2 반사부(130d)로부터 반사된 광을 다시 반사하여 효과적으로 망막측으로 전달할 수 있다. 제2 반사부(130d)는 외부 광이 입사되는 일면이 오목한 형상을 가짐으로써 외부 광을 효과적으로 반사함과 동시에 반사된 광이 제1 반사부(120d)측으로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제1 반사부(120d) 및 제2 반사부(130d)의 곡률은 조절성 안내 렌즈(100d)의 전체 광 경로에 따라 최적화될 수 있다. 제1 반사부(120d) 및 제2 반사부(130d)의 곡률은 서로 같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서로 다를 수도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조절성 안내 렌즈(100e)의 제1 반사부(120e) 및 제2 반사부(130e)는 단면이 소정의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반사부(120e)는 렌즈 본체(110e)의 전면(S1)이 볼록하게 형성된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반사부(130e)는 렌즈 본체(110e)의 후면(S2)이 볼록하게 형성된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반사부(120e)는 외부 광이 입사되는 일면이 외부 광의 입사 방향에 대해 볼록한 면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반사부(130e) 역시 외부 광이 입사되는 일면이 볼록한 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반사부(120e)는 외부 광이 입사되는 일면이 볼록한 형상을 가짐으로써 외부 광을 효과적으로 반사할 수 있고, 상기 일면에 대응되는 타면은 오목한 형상을 가짐으로써 제2 반사부(130e)로부터 반사된 광을 다시 반사하여 효과적으로 망막측으로 전달할 수 있다. 제2 반사부(130e)는 외부 광이 입사되는 일면이 볼록한 형상을 가짐으로써 외부 광을 효과적으로 반사함과 동시에 반사된 광이 제1 반사부(120e)측으로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제1 반사부(120e) 및 제2 반사부(130e)의 곡률은 조절성 안내 렌즈(100e)의 전체 광 경로에 따라 최적화될 수 있다. 제1 반사부(120e) 및 제2 반사부(130e)의 곡률은 서로 같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서로 다를 수도 있다.
도 9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조절성 안내 렌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조절성 안내 렌즈(200)는 렌즈 본체(210), 제1 반사부(220), 제2 반사부(230) 및 지지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서 설명한 실시예에 따른 조절성 안내 렌즈(100)와 대비하여 살펴보면,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조절성 안내 렌즈(200)는 제1 반사부(220)의 구조 및 배치에 차이점이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상술한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제1 반사부(220)는 렌즈 본체(210)의 내부에 배치되어 제1 반사부(220)에 입사되는 광의 경로를 변경할 수 있다. 제1 반사부(220)는 렌즈 본체(210)의 중심축에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복수 개의 반사 블록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반사 블록은 중심축을 중심으로 일주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도 9에서는 제1 반사부(220)가 4개의 반사 블록을 포함하는 실시예를 도시하였으나, 반사 블록의 수 및 형태는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반사부(220)를 이루는 반사 블록들은 입사되는 광을 반사할 수 있는 일면을 포함할 수 있다. 외부 광은 제1 반사부(220)의 반사 블록의 일면을 통해 반사되어 다시 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 각 반사 블록은 인접한 반사 블록과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으며, 반사 블록들이 이격된 공간으로는 광이 통과될 수 있다.
제1 반사부(220)의 반사 블록들은 상기 일면과 대응되는 타면을 포함하여, 제2 반사부(230)로부터 반사된 광을 다시 렌즈 본체(210)의 후면으로 안내할 수 있다.
조절성 안내 렌즈(200)는 복수 개로 반사 블록으로 이루어진 제1 반사부(220)를 포함함으로써 외부 광이 선택적으로 입사되도록 할 수 있으며, 제2 반사부(230)에서 반사된 광을 다시 망막측으로 안내하여 망막에 상이 보다 밝고 선명하게 생성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조절성 안내 렌즈(300)는 렌즈 본체(310), 제1 반사부(320), 제2 반사부(330) 및 지지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서 설명한 실시예에 따른 조절성 안내 렌즈(100)와 대비하여 살펴보면,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조절성 안내 렌즈(300)는 제2 반사부(330)의 구조 및 배치에 차이점이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상술한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제2 반사부(330)는 렌즈 본체(310)의 내부에 배치되어 제2 반사부(330)에 입사되는 광의 경로를 변경할 수 있다. 제2 반사부(330)는 제1 반사부(320)와 이격되어 배치되며, 렌즈 본체(310)의 중심축에서 제1 반사부(320)보다 더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복수 개의 반사 블록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반사 블록은 중심축을 중심으로 일주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도 10에서는 제2 반사부(330)가 8개의 반사 블록을 포함하는 실시예를 도시하였으나, 반사 블록의 수 및 형태는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2 반사부(330)를 이루는 반사 블록들은 입사되는 광을 반사할 수 있는 일면을 포함할 수 있다. 외부 광은 제2 반사부(330)의 반사 블록의 일면을 통해 반사될 수 있으며, 제2 반사부(330)에서 반사된 광 중 일부는 렌즈 본체(310)의 전면을 통과하여 다시 외부로 방출되고, 또 다른 일부는 제1 반사부(320)에서 반사되어 렌즈 본체(310)의 후면으로 안내될 수 있다. 각 반사 블록은 인접한 반사 블록과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으며, 반사 블록들이 이격된 공간으로는 광이 통과될 수 있다.
조절성 안내 렌즈(300)는 복수 개로 반사 블록으로 이루어진 제2 반사부(330)를 포함함으로써, 외부 광을 선택적으로 통과시킬 수 있으며, 제2 반사부(330)에서 반사된 반사광의 일부가 제1 반사부(320)에서 반사될 수 있게 안내하여, 망막에 상이 보다 밝고 선명하게 생성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조절성 안내 렌즈(400)는 렌즈 본체(410), 제1 반사부(420), 제2 반사부(430) 및 지지부(44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서 설명한 실시예에 따른 조절성 안내 렌즈(100)와 대비하여 살펴보면, 도 11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조절성 안내 렌즈(400)는 제1 반사부(420) 및 제2 반사부(430)의 구조 및 배치에 차이점이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상술한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제1 반사부(420)는 렌즈 본체(410)의 내부에 배치되어 제1 반사부(420)에 입사되는 광의 경로를 변경할 수 있다. 제1 반사부(420)는 렌즈 본체(410)의 중심축에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복수 개의 반사 블록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반사 블록은 중심축을 중심으로 일주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제2 반사부(430)는 렌즈 본체(410)의 내부에 배치되어 제2 반사부(430)에 입사되는 광의 경로를 변경할 수 있다. 제2 반사부(430)는 제1 반사부(420)와 이격되어 배치되며, 렌즈 본체(410)의 중심축에서 제1 반사부(420)보다 더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복수 개의 반사 블록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반사 블록은 중심축을 중심으로 일주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제1 반사부(420) 및 제2 반사부(430)에 포함되는 반사 블록의 수 및 형태는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제1 반사부(420)를 이루는 반사 블록들은 입사되는 광을 반사할 수 있는 일면을 포함할 수 있다. 외부 광은 제1 반사부(420)의 반사 블록의 일면을 통해 반사되어 다시 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 제1 반사부(420)의 각 반사 블록은 인접한 반사 블록과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으며, 반사 블록들이 이격된 공간으로는 광이 통과될 수 있다.
제1 반사부(420)의 반사 블록들은 상기 일면과 대응되는 타면을 포함하여, 제2 반사부(430)로부터 반사된 광을 다시 렌즈 본체(410)의 후면으로 안내할 수 있다.
제2 반사부(430)를 이루는 반사 블록들은 입사되는 광을 반사할 수 있는 일면을 포함할 수 있다. 외부 광은 제2 반사부(430)의 반사 블록의 일면을 통해 반사될 수 있으며, 제2 반사부(430)에서 반사된 광 중 일부는 렌즈 본체(410)의 전면을 통과하여 다시 외부로 방출되고, 또 다른 일부는 제1 반사부(420)에서 반사되어 렌즈 본체(410)의 후면으로 안내될 수 있다. 제2 반사부(430)의 각 반사 블록은 인접한 반사 블록과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으며, 반사 블록들이 이격된 공간으로는 광이 통과될 수 있다.
조절성 안내 렌즈(400)는 복수 개로 반사 블록으로 이루어진 제1 반사부(420) 및 제2 반사부(430)를 포함함으로써 외부 광을 선택적으로 통과시킬 수 있으며, 제2 반사부(430)에서 반사된 광을 다시 망막측으로 안내하여 망막에 상이 보다 밝고 선명하게 생성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2을 참조하면, 조절성 안내 렌즈(500)는 렌즈 본체(510), 제1 반사부(520), 제2 반사부(530) 및 지지부(54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서 설명한 실시예에 따른 조절성 안내 렌즈(100)와 대비하여 살펴보면, 도 12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조절성 안내 렌즈(500)는 제1 반사부(520) 및 제2 반사부(530)의 구조 및 배치에 차이점이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상술한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제1 반사부(520) 및 제2 반사부(530)는 렌즈 본체(510)의 내부에 배치되어 입사되는 광의 경로를 변경할 수 있다. 제1 반사부(520) 및 제2 반사부(530)는 렌즈 본체(510)의 중심축에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복수 개의 반사 블록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1 반사부(520) 및 제2 반사부(530)의 각 반사 블록은 중심축을 중심으로 일주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제2 반사부(530)는 렌즈 본체(510)의 중심축에서 제1 반사부(520)보다 더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반사부(520) 및 제2 반사부(530)를 구성하는 각 반사 블록의 단면은 다각형이거나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반사부(520) 및 제2 반사부(530)의 각 반사 블록은 대략 다각기둥 또는 원형기둥의 형상일 수 있다. 제1 반사부(520)의 반사 블록의 형상은 제2 반사부(530)의 반사 블록의 형상과 같을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양한 형상이 모두 적용 가능하다.
제1 반사부(520) 및 제2 반사부(530)는 외부 광을 선택으로 통과시킬 수 있다. 제1 반사부(520) 및 제2 반사부(530)의 각 반사 블록은 입사되는 광을 반사할 수 있는 일면을 포함할 수 있다. 외부 광은 제1 반사부(520) 또는 제2 반사부(530)의 반사 블록의 일면을 통해 반사되어 다시 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
제2 반사부(530)에서 반사된 광 중 일부는 제1 반사부(520)로 안내되며, 제1 반사부(520)로 안내된 광 중 일부는 렌즈 본체(510)의 후면으로 안내될 수 있다.
조절성 안내 렌즈(500)는 복수 개로 반사 블록으로 이루어진 제1 반사부(520) 및 제2 반사부(530)를 포함함으로써 외부 광을 선택적으로 통과시킬 수 있으며, 제2 반사부(530)에서 반사된 광을 다시 망막측으로 안내하여 망막에 상이 보다 밝고 선명하게 생성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3은 조절성 안내 렌즈(100)가 삽입된 사람의 눈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조절성 안내 렌즈(100)는 사람의 자연 수정체의 일부 또는 전부를 절제한 뒤 이식될 수 있으며, 지지부(140)를 통해 렌즈 본체(110)가 이동하지 않도록 수정체낭 내의 적절한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조절성 안내 렌즈(100)는 사람 눈의 동공의 위치와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망막에 정확히 상이 맺히도록 렌즈 본체(110)의 중심이 황반부에 정렬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PL1은 주변 광량이 부족할 때 확대된 동공의 크기를 나타낸 것이며, PL2는 주변 광량이 충분한 경우 축소된 동공의 크기를 나타낸 것이다.
렌즈 본체(110)의 직경은 주변 광량이 부족할 때 확장된 동공의 크기(PL1)보다 크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동공을 통하여 입사되는 빛은 대부분 렌즈 본체(110)에 수용될 수 있다.
제1 반사부(120)의 외경은 주변 광량이 충분한 경우 축소된 동공의 크기(PL2)보다 작을 수 있다. 주변 광량이 충분한 경우 동공을 통하여 입사되는 빛은 제1 반사부(120)를 통하여 선택적으로 입사될 수 있다.
제2 반사부(130)의 외경은 확대된 동공의 크기(PL1)보다 클 수 있으며, 내경을 축소된 동공의 크기(PL1)보다 크고, 확대된 동공의 크기(PL2)보다 작을 수 있다. 제2 반사부(130)가 동공이 확장되는 영역 사이에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주변 광량이 부족한 경우에도 망막에 밝고 선명한 상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으며, 눈부심 및 야간 시야 장애 발생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조절성 안내 렌즈(100)는 입사하는 광 중 일부만 선택적으로 통과시키는 바, 초점의 심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구면수차 및 색수차를 감소시킬 수 있다. 즉, 조절성 안내 렌즈(100)는 핀홀 효과를 유도하여 망막에 상이 선명하게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조절성 안내 렌즈(100)는 반사되는 광 중 일부를 다시 망막측으로 안내하여 망막측에 입사되는 광량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망막에 보다 밝고 선명한 상이 생성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력 및 시야 기능을 개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조절성 안내 렌즈
110 : 렌즈 본체
120 : 제1 반사부
130 : 제2 반사부
140 : 지지부

Claims (10)

  1. 전면과 후면을 가지고, 상기 전면과 상기 후면 사이를 연결하는 중심축을 가지는 렌즈 본체;
    상기 렌즈 본체에 배치되되, 상기 중심축에서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1 반사부; 및
    상기 렌즈 본체에 배치되되, 상기 중심축에서 상기 제1 반사부보다 더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2 반사부;를 포함하는 조절성 안내 렌즈.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반사부는 상기 렌즈 본체의 상기 전면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2 반사부는 상기 렌즈 본체의 상기 후면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조절성 안내 렌즈.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반사부 및 상기 제2 반사부 중 적어도 하나는 곡률을 가지는, 조절성 안내 렌즈.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반사부는 외부에서 입사되는 광을 상기 제1 반사부로 안내하고,
    상기 제1 반사부는 상기 제1 반사부에서 안내된 광을 상기 렌즈 본체의 후면으로 안내하는, 조절성 안내 렌즈.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반사부와 상기 제2 반사부는 상기 렌즈 본체에서 서로 다른 높이에 배치되는, 조절성 안내 렌즈.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반사부 및 상기 제2 반사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렌즈 본체의 상기 중심축을 중심으로 일주하도록 연장되는, 조절성 안내 렌즈.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반사부 및 상기 제2 반사부 중 적어도 하나는, 복수 개의 반사 블록이 상기 렌즈 본체의 상기 중심축을 중심으로 일주하도록 배열되는, 조절성 안내 렌즈.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성 안내 렌즈가 안구에 장착시에,
    상기 제1 반사부는 축소된 동공에 중첩되게 배치되고,
    상기 제2 반사부는 축소된 상기 동공의 외곽에 배치되고, 확대된 상기 동공과 중첩되게 배치되는, 조절성 안내 렌즈.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반사부의 폭 방향의 제1 연장선은 상기 중심축에 대해서 경사를 가지는, 조절성 안내 렌즈.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반사부의 폭 방향의 제2 연장선은 상기 중심축에 대해서 경사를 가지는, 조절성 안내 렌즈.
KR1020220038347A 2022-03-28 2022-03-28 조절성 안내 렌즈 KR2023013969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8347A KR20230139690A (ko) 2022-03-28 2022-03-28 조절성 안내 렌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8347A KR20230139690A (ko) 2022-03-28 2022-03-28 조절성 안내 렌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9690A true KR20230139690A (ko) 2023-10-05

Family

ID=882948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8347A KR20230139690A (ko) 2022-03-28 2022-03-28 조절성 안내 렌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3969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01762A (en) Intraocular archromatic lens
US6596025B2 (en) Narrow profile intraocular lens
US8216307B2 (en) Radially segmented apodized diffractive multifocal design for ocular implant
US5628794A (en) Multifocal corneal implant lens having a hydrogelo coating
US10561491B2 (en) Reduced glare intraocular lens
KR20100021423A (ko) 네가티브 이상 광시증을 감소시키기 위한 iol 주변 표면 디자인
KR20100017520A (ko) 네가티브 이상 광시증을 감소시키기 위한 iol 주변 표면 디자인
US10368978B2 (en) Adjustable intraocular lens
KR20100021422A (ko) 네가티브 이상 광시증을 감소시키기 위해 설계된 주변부를 갖는 안구내 렌즈
AU2018200095B2 (en) Edge design for reducing photic effects in intraocular lenses
US20030199976A1 (en) Narrow profile intraocular lens
NL2007285C2 (en) Intraocular lens.
WO1994013225A1 (en) Intraocular achromatic lens
CA2602507A1 (en) Intraocular lens
KR20230139690A (ko) 조절성 안내 렌즈
EP3373857B1 (en) Optical devices having partial or incomplete optic
JP2022512408A (ja) 眼用レンズ用の多重曲率エッジ
RU2057493C1 (ru) Бифокальный искусственный хрусталик глаз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