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2348A - 수두 대상포진 바이러스에 의해 유발되는 질병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 - Google Patents

수두 대상포진 바이러스에 의해 유발되는 질병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2348A
KR20170022348A KR1020150117185A KR20150117185A KR20170022348A KR 20170022348 A KR20170022348 A KR 20170022348A KR 1020150117185 A KR1020150117185 A KR 1020150117185A KR 20150117185 A KR20150117185 A KR 20150117185A KR 20170022348 A KR20170022348 A KR 201700223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zoster virus
varicella zoster
varicella
virus
pharmaceutical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71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16781B1 (ko
Inventor
신옥
김지애
박슬기
Original Assignee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1171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6781B1/ko
Publication of KR201700223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23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67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67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2Ket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2Ketones
    • A61K31/122Ketones having the oxygen directly attached to a ring, e.g. quinones, vitamin K1, anthral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352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e.g. methanthel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42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 A61K31/7048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having oxygen as a ring hetero atom, e.g. leucoglucosan, hesperidin, erythromycin, nystatin, digitoxin or digoxi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두 대상포진 바이러스에 의해 유발되는 질병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수두 대상포진 바이러스에 대한 항바이러스 효과가 우수하다. 또한 상기 항바이러스 효과는 수두 대상포진 바이러스에 대한 감염 초기(수두 발진시)뿐 만 아니라, 잠복기 및 상기 잠복기 이후 대상포진 확진시에도 항바이러스 효과가 우수하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수두 대상포진 바이러스에 감염된 후 24 시간이 경과하여 투여하여도 여전히 우수한 항바이러스 효과가 있는 약학 조성물이다.

Description

수두 대상포진 바이러스에 의해 유발되는 질병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Pharmacy composition for treating or preventing disease induced from varicella-zoster virus}
본 발명은 수두 대상포진 바이러스에 의해 유발되는 질병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수두 또는 대상포진은 수두 대상포진 바이러스에 의해 유발되는 질병으로서, 상기 수두 대상포진 바이러스는 헤르페스 바이러스(herpes virus) 군에 속하는 varicella-zoster virus(VZV)를 말하는 것이다. 이러한 수두 또는 대상포진 질환은 단일 척수 혹은 뇌신경의 감각신경에 따라 분포하는 피부에 발생하는 질환으로서, 바이러스 질환의 흔한 예이다. 이러한 수두 대상포진 바이러스의 초기 감염시, 상기 VZV가 피부의 표피와 진피 부위에서 증식한 후 주변 신경 세포 속으로 침투하여 잠복 상태로 존재하게 된다. 이러한 잠복기 이전에 증식하는 과정에서 수두가 발생 및 발진하게 되며, 이후 신경절 안에 잠복해 있다가 신체 저항력이 떨어지게 되면, 상기 VZV 바이러스가 재활성화되면서 대상포진 형태로 나타나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수두는 VZV 바이러스에 직접 접촉하여 발생하는 것으로서 전염성이 강한 반면, 대상포진은 몸 속에 잠복해 있던 바이러스가 재활성화되는 것이기 때문에 대상포진 자체는 다른 사람에 의해 전염되는 질병은 아니다. 결국, 엄밀하게 말하면 수두와 대상포진은 같은 바이러스에 의해 유발되는 질병이기는 하지만 같은 질병이라고 말하기는 어려운 것이다. 한편, 이러한 VZV의 재활성화에 따른 대상포진은 나이가 들어 면역 체계가 약화되거나, 다른 질환으로 면역 억제 치료를 받는 환자들에게 나타나기 쉽다. 또한 VZV의 재활성화에 따른 대상포진은 급성 통증뿐만 아니라 대상포진 후 신경통으로 인한 고통으로 인해 삶의 질을 상당히 떨어뜨릴 우려가 있다.
이렇게 수두 대상포진 바이러스에 전염되고 초기 대응에 소홀하여 상기 수두 대상포진 바이러스의 잠복기를 방치하게 되면, 결국에는 수두 대상포진 바이러스의 재활성화로 인한 대상포진 발생시 심한 고통을 수반하게 되어 문제가 된다. 이러한 경우에는 어떠한 예방 백신을 쓰더라도 이미 증식 및 재활성화된 수두 대상포진 바이러스의 활성을 저해하기 어려우며, 기존에 존재하는 항바이러스제로는 잠복기 동안 이미 몸 안에서 내성이 생겼을 가능성이 큰 수두 대상포진 바이러스의 사멸이나 활성 저해를 이끌어내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기존에 수두 대상포진 바이러스에 대한 항바이러스제로 알려진 제제로는 아시클로버, 발아시클로버, 팜시클로서 등이 있으며, 이중 아시클로버가 가장 상용화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 아시클로버는 임상 연구에 있어서 수두 발진 후 24 시간 이내에 투여하는 경우에만 항바이러스 효과를 볼 수 있을 뿐이었다. 즉, 상기 아시클로버는 바이러스 감염 또는 수두 발진 후 24 시간 이후에 처리하거나, 또는 수두 대상포진 바이러스의 재활성화에 따른 대상포진 발생 후에 처리하는 경우에는 항바이러스제로서 충분한 효과를 보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그러므로 수두 대상포진 바이러스에 대한 항바이러스제를 계속적으로 개발하려는 노력이 절실하며, 여기에 더하여 수두 대상포진 바이러스에 감염된 후, 잠복기 또는 재활성화하여 대상포진이 진행되는 단계에서도 충분히 항바이러스 효과를 달성할 수 있는 항바이러스제의 발견을 위한 연구가 계속되어야만 한다. 하지만, 이러한 연구 필요성에도 불구하고, 현재의 연구는 수두 대상포진 바이러스에 대한 예방 백신을 개발하는 방향으로 편향되어 있고, 항바이러스제로는 계속해서 감염 후 24 시간 이내에 투여하여야만 항바이러스 효과가 있는 아시클로버에 의존하려는 문제점이 해결되지 못하고 있다.
한편, 본 발명과 관련한 선행기술문헌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4-0022799호(특허문헌 1)가 개시되어 있는데, 한국인 환자로부터 분리된 VZV MVA06의 게놈 DNA 및 이의 오픈 리딩 프레임과 이에 의해 코딩되는 단백질 및 상기 단백질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발명으로서, 수두 대상포진 바이러스 주 및 수두 대상포진 바이러스 백신만이 개시되어 있을 뿐, 수두 대상포진 바이러스에 대한 항바이러스제에 관하여는 어떠한 개시 또는 암시조차 되어 있지 않다.
특허문헌 1.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4-0022799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수두 대상포진 바이러스에 의해 유발되는 피부질환으로서 수두 발진 직후뿐 만이 아니라, 수두 대상포진 바이러스의 잠복기 및 재활성화에 따른 대상포진 발생시에도 수두 대상포진 바이러스에 대한 항바이러스 효과를 나타내어 수두 대상포진 바이러스에 의해 유발되는 질병을 치료 또는 예방할 수 있는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커큐민, 이모딘, 루틴, 루테올린 및 나린긴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페놀계열 화합물,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그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수두 대상포진 바이러스에 의해 유발되는 질병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수두 대상포진 바이러스에 대한 항바이러스 효과가 우수하다. 또한 상기 항바이러스 효과는 수두 대상포진 바이러스에 대한 감염 초기(수두 발진시)뿐 만 아니라, 잠복기 및 상기 잠복기 이후 대상포진 확진시에도 항바이러스 효과가 우수하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수두 대상포진 바이러스에 감염된 후 24 시간이 경과하여 투여하여도 여전히 우수한 항바이러스 효과가 있는 약학 조성물이다.
도 1은 실시예의 경우 세포 독성을 측정한 결과이다.
도 2는 실시예의 경우 수두 대상포진 바이러스에 대한 항바이러스 효과를 측정한 결과이다.
도 3은 실시예의 경우 수두 대상포진 바이러스 감염 후 25 시간이 경과한 시점에 항바이러스 효과를 측정한 결과이다.
도 4는 실시예의 경우 잠복기를 거쳐 대상포진으로 확진한 경우에도 수두 대상포진 바이러스에 대한 항바이러스 효과가 존재하는지를 측정한 결과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수두 대상포진 바이러스에 대한 항바이러스 효과가 우수한 약학 조성물을 개발하기 위하여 예의 연구 노력한 결과, 본 발명에 따른 수두 대상포진 바이러스에 의해 유발되는 질병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커큐민, 이모딘, 루틴, 루테올린 및 나린긴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페놀계열 화합물,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그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수두 대상포진 바이러스(varicella-zoster virus, VZV)에 의해 유발되는 질병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커큐민, 이모딘, 루틴, 루테올린 및 나린긴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페놀계열 화합물,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그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학 조성물로서, 수두 대상포진 바이러스에 대한 항바이러스 기전을 통해 수두 대상포진 바이러스에 의해 유발되는 질병인 수두 또는 대상포진을 치료 또는 예방하는 약리효과를 가진 약학 조성물이다. 결국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약학 조성물은 수두 대상포진 바이러스를 사멸하거나 또는 수두 대상포진 바이러스의 활성을 저해함으로써 상기 수두 대상포진 바이러스에 의해 유발되는 질병인 수두 또는 대상포진을 치료 또는 예방하게 되는 것인바, 상기 수두 대상포진 바이러스는 헤르페스 바이러스(herpes virus) 군에 속하는 varicella-zoster virus(VZV)이다.
커큐민(Curcumin)은 페놀계열에 속하는 화합물로서,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구조를 가지며, 동인도산의 생강과에 속하는 식물인 Curcuma longa Linn(Zingiberaceae)의 뿌리에서 추출된 폴리페놀 성분의 노란색 향신료로 심황(turmeric)의 커큐미노이드(curcuminoid)이다. 항종양, 항산화, 항아밀로이드와 항염증 작용을 가지고 있으며 산화에 의한 DNA 손상과 지질과산화를 억제하고 자유래디컬의 청소부 역할을 한다. 화학식은 C21H20O6이고 분자량은 368.38이다.
Figure pat00001
이모딘(Emodin)은 페놀계열에 속하는 화합물로서,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구조를 가지며, 알로에의 주요 추출물로서 잘 알려져 있고, 항암 효과에 우수한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Figure pat00002
루틴(Rutin)은 페놀계열에 속하는 화합물로서,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구조를 가지며, 플라보놀 배당체(글리코시드)의 하나로 연한 노란색의 바늘 모양 결정이다. 뇌출혈·방사선 장애·출혈성 질병 예방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또한 상기 루틴은 화학식 C27H30O16의 화합물이며, 케르세틴의 3번 탄소에 루티노스(글루코스와 람노스로 되는 2당류)가 결합한 배당체이다. 운향과의 루타속 식물에서 발견된 것으로, 후에 콩과의 회화나무(Sophora japonica)의 꽃봉오리, 마디풀과의 메밀(Fagopyrum esculentum) 등 많은 종류의 식물에서도 분리되었다.
Figure pat00003
루테올린(Luteolin)은 페놀계열에 속하는 화합물로서, 하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구조를 가지며, 화학식 C15H10O6의 화합물이고, 분자량은 286으로서 플라보노이드의 한가지이다. 또한 목서초 Reseda luteola L.의 모든 풀, 인동덩쿨의 꽃, 디기탈리스의 잎, 고삼의 잎에 루테올린-7-글루코시드로서, 또는 쇠뜨기의 모든 풀에 갈루테올린으로서 포함된다.
Figure pat00004
나린긴(Naringin)은 페놀계열에 속하는 화합물로서, 하기 화학식 5로 표시되는 구조를 가지며, Flavanone 배당체로 플라본과 rhamnose, 포도당의 결합물로 무색의 침상결정을 띤다. 또한 열수, 알코올, 아세톤에 녹고 냉수에 난용, 에테르에 불용, 알칼리에 녹고 산으로 다시 결정이 석출한다. 또한 상기 나린긴은 감귤류의 쓴맛 주성분으로 여름귤이나 자몽에 함유되어 있는데, 이것을 가수분해하면 우선 rhanmose가 제거되고 다음에 포도당이 제거되어 naringenin이 되며, 이들은 쓴맛을 내지 않는다.
Figure pat00005
이렇게 상기 커큐민, 이모딘, 루틴, 루테올린 또는 나린긴은 페놀계열에 속하는 화합물로서, 이들 물질은 기존에는 수두 대상포진 바이러스인 varicella-zoster virus(VZV)에 대한 항바이러스 효과가 공지된 바 없으며, 본 발명을 통하여 이들이 수두 대상포진 바이러스에 대하여 항바이러스 효과가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수두 대상포진 바이러스가 초기 감염된 경우에만 항바이러스 효과를 가지는 것은 아니며, 수두 대상포진 바이러스 감염 후 25-30 시간이 경과하여 처리한 경우에 수두 대상포진 바이러스의 사멸률이 40-99 %인 것으로서, 감염 후 일정 시간이 경과하여도 우수한 항바이러스성이 계속 유지된다. 그러므로 기존 수두 대상포진 항바이러스용 약학 조성물이 감염 후 25 시간 경과한 경우 항바이러스 효과가 현저히 떨어지는 것에 비해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감염 후 25 시간이 경과한 경우에도 수두 대상포진 바이러스에 대한 항바이러스 효과가 우수하게 유지되는 것이다. 또한 기존 수두 대상포진 항바이러스용 약학 조성물은 잠복기를 지난 후 대상포진으로 확진되는 경우에도 항바이러스성이 현저히 떨어지지만,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수두 대상포진 바이러스가 잠복기를 지난 후 대상포진으로 확진되어도 우수한 항바이러스성을 계속적으로 유지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약학 조성물은 수두 대상포진 바이러스가 잠복기를 지난 후 대상포진으로 재활성화한 경우에 수두 대상포진 바이러스의 사멸률이 40-99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약학 조성물은 커큐민, 이모딘, 루틴, 루테올린 및 나린긴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페놀계열 화합물에 대하여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일실시예로서 상기 커큐민, 이모딘, 루틴, 루테올린 및 나린긴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페놀계열 화합물의 용해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것이라면 모두 이에 해당할 수 있고,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산부가염이 해당 될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인체에 독성이 낮고 모화합물의 생물학적 활성과 물리화학적 성질에 악영향을 주지 않아야 한다. 또한 상기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제조에 사용될 수 있는 유리산은 무기산과 유기산으로 나눌 수 있다. 무기산은 염산, 황산, 질산, 인산, 과염소산, 브롬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유기산은 초산, 메탄설폰산, 에탄설폰산, p-톨루엔설폰산, 푸마린산, 말레산, 말론산, 프탈산, 숙신산, 젖산, 구연산, 시트르산, 글루콘산, 타타르산, 살리실산, 말산, 옥살산, 벤조산, 엠본산, 아스파르트산, 글루탐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유기염기부가염 제조에 사용될 수 있는 유기염기는 트리스(히드록시메틸)메틸아민, 디시클로헥실아민 등이다. 아미노산부가염기 제조에 사용될 수 있는 아미노산은 알라닌, 글라이신 등의 천연아미노산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커큐민, 이모딘, 루틴, 루테올린 및 나린긴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페놀계열 화합물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뿐 만 아니라 모든 수화물 그리고 용매화물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화물 또는 용매화물은 상기 커큐민, 이모딘, 루틴, 루테올린 및 나린긴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페놀계열 화합물을 메탄올, 에탄올, 아세톤, 1,4-디옥산과 같은 물과 섞일 수 있는 용매에 녹인 다음에 유리산 또는 유리염기를 가한 후에 결정화되거나 또는 재결정화될 수 있다. 그러한 경우, 용매화물(특히 수화물)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커큐민, 이모딘, 루틴, 루테올린 및 나린긴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페놀계열 화합물으로서 동결건조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 가능한 다양한 양의 물 함유 화합물 이외에 수화물을 비롯한 화학 양론적 용매화물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큐민, 이모딘, 루틴, 루테올린 및 나린긴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페놀계열 화합물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그의 염은, 특별한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지만 바람직하게는 전체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1-8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20-6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큐민, 이모딘, 루틴, 루테올린 및 나린긴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페놀계열 화합물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그의 염이 1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에는 본 발명에서 달성하려는 수두 대상포진 바이러스에 대한 항바이러스성을 충분히 발현시키기 어려워 바람직하지 않으며, 상기 커큐민, 이모딘, 루틴, 루테올린 및 나린긴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페놀계열 화합물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그의 염이 8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약학적인 응용 제품으로 제조하기 위한 나머지 물질들의 함량을 제한 할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한편, 상기 수두 대상포진 바이러스로부터 유발되는 질병에 대한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의 투여 방법은 특별한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지만, 바람직하게는 동맥 또는 정맥 내로 투입하거나, 피하로, 직장으로, 비강으로, 임의의 다른 비경구로도 투입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동맥 또는 정맥 내로 투입하거나 경구 투여하거나 또는 근육 세포에 직접 투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조성물로부터 선택되는 투여 수준은 화합물의 활성, 투여 경로, 치료되는 병태의 중증도 및 치료되는 환자의 병태 및 이전 병력에 따를 것이다. 그러나 원하는 치료 효과의 달성을 위해 요구되는 것보다 낮은 수준의 화합물의 용량에서 시작하여, 원하는 효과가 달성될 때까지 투여량을 서서히 증가시키는 것은 당업계의 지식 내에 있으며, 바람직한 투여량은 나이, 성별, 체형, 체중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약제학상 허용 가능한 제약 제제로 제제화 되기 전에 추가로 가공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더 작은 입자들로 분쇄 또는 연마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병태 및 치료되는 환자에 따라 달라질 것이지만, 이는 비-독창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커큐민, 이모딘, 루틴, 루테올린 및 나린긴 추출물을 수집하였다. 이렇게 수집한 각각의 추출물을 가지고 아래 세포독성 등을 평가하기 위해 각각 10 ㎍/㎖의 농도로 약물을 제조하였다. 한편, 이러한 약물의 제조시 상기 혼합의 양을 농도별로 달리 설정하여 아래와 같은 세포독성 등을 평가하는데 이용하였다.
비교예
시중에 유통되는 아시클로버를 수득하여 본 비교예로 하고 아래의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예
< 실험예 1: 세포 생존율 측정을 통한 물질 독성 평가( MTT assay )>
약물들의 세포 독성을 평가하기 위해 세포 생존율을 측정하였다. 하룻밤 동안 배양한 HFF 세포에 상기 실시예에 따른 커큐민(Curcumin), 이모딘(Emodin), 루틴(Rutin), 루테올린(Luteolin), 나린긴(Naringin)을 각각 10 ㎍/㎖의 농도로 처리한 후 24 시간 배양하였다. 비교예에 따른 아시클로버도 상기 실시예와 동일하게 처리하였다. 이렇게 배양 후, MTT를 첨가하여 4 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배양액을 제거하고 formazan crystal을 dimethylsulfoxide에 용해시킨 후 5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 약물들은 10 ㎍/㎖의 농도로 24 시간 처리하였을 때 HFF 세포에 독성을 나타내지 않았음을 보여주었다. 특히 대조군 및 비교예에 비하여 세포 독성을 나타내는 정도가 낮거나 유사한 정도를 보였다(도 1 참조). 이러한 결과를 통해 수두 또는 대상포진이 발진한 환자에 본 실시예의 약물을 투여하여도 특별한 부작용이 발생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 실험예 2: 플라크( Plaque ) 형성의 저해 측정을 통한 항바이러스 효과 평가>
단층으로 키워진 HFF 세포에 수두 대상포진 바이러스를 MOI 0.01로 감염시킨다. 한 시간 후 바이러스를 제거하고 커큐민(Curcumin), 이모딘(Emodin), 루틴(Rutin), 루테올린(Luteolin), 나린긴(Naringin)을 각각 10 ㎍/㎖의 농도로 처리한 후 24 시간 배양한다. trypsin 처리 후 세포를 떼어내어 1:1로 normal HFF 에 넣어주고 4-5 일간 배양한다. 4 % formaldehyde 고정액으로 세포를 고정하고 0.05 % crystal violet으로 세포를 염색하여 플라크의 수를 측정한다.
측정 결과, 약물을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처리하였을 때 플라크의 수가 2배 이상 감소한 것으로 보아 수두 대상포진 바이러스의 증식이 억제되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루테올린의 경우에는 비교예인 아시클로버에 비해서도 2배 이상 현저히 우수한 항바이러스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2 참조).
< 실험예 3: 수두 대상포진 바이러스 감염 후 25 시간이 경과한 후, 플라크( Plaque ) 형성의 저해 측정을 통한 항바이러스 효과 평가>
상기 실험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험을 수행하되, 단층으로 키워진 HFF 세포에 수두 대상포진 바이러스를 MOI 0.01로 감염시켰으며, 이후 25 시간 경과한 후 바이러스를 제거하고 나머지 실험을 진행하여 플라크의 수를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 커큐민(Curcumin), 이모딘(Emodin), 루틴(Rutin), 루테올린(Luteolin), 나린긴(Naringin)의 경우에는 감염 후 25 시간이 경과하여 나머지 실험을 진행한 경우에도 항바이러스성이 감염 초기와 마찬가지로 우수하게 나타났다. 특히 비교예인 아시클로버의 경우에는 25 시간이 경과한 후에는 감염 초기와 비교하여 항바이러스 효과가 현저히 떨어짐에 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커큐민(Curcumin), 이모딘(Emodin), 루틴(Rutin), 루테올린(Luteolin), 나린긴(Naringin)의 경우에는 25 시간이 경과한 이후에도 수두 대상포진 바이러스에 대한 항바이러스 효과가 여전히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한편, 상기 실시예는 감염 후 25-30 시간이 경과하고 나서 수두 대상포진 바이러스의 사멸율은 40-99 %에 해당할 수 있다.
< 실험예 4: 잠복기를 지나 대상포진으로 재활성화한 수두 대상포진 바이러스에 대한 항바이러스 효과 평가>
잠복기를 지나 수두 대상포진 바이러스가 대상포진으로 재활성화한 경우에도 실시예의 경우가 여전히 항바이러스 효과를 가지는 것인지 확인하는 실험을 진행하였다. 본 실험은 대상포진 확정 환자로부터 얻은 바이러스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이의 결과를 확인한 결과 비교예의 경우에는 잠복기를 지나서 대상포진으로 확진한 경우 항바이러스 효과가 거의 존재하지 않음에 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경우에는 잠복기를 지나 대상포진으로 확진한 경우에도 여전히 항바이러스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할 있었다.
즉,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비교예의 경우에는 잠복기를 지나기 전으로서 수두 발생 초기에만 항바이러스 효과가 있음에 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경우에는 감염 후 25 시간 경과 후에도 여전히 항바이러스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잠복기를 지나서 대상포진으로 확진한 경우에까지도 항바이러스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그러므로 실시예의 경우에는 기존 수두 대상포진 항바이러스제에 비해 잠복기가 지난 이후에도 항바이러스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한편, 상기 실시예는 잠복기가 경과하고 나서 대상포진으로 확진된 경우 수두 대상포진 바이러스의 사멸율은 40-99 %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첨부된 특허 청구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Claims (8)

  1. 커큐민, 이모딘, 루틴, 루테올린 및 나린긴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페놀계열 화합물,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그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수두 대상포진 바이러스에 의해 유발되는 질병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염은 수화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두 대상포진 바이러스에 의해 유발되는 질병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염은 결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두 대상포진 바이러스에 의해 유발되는 질병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두 대상포진 바이러스는 헤르페스 바이러스(herpes virus) 군에 속하는 varicella-zoster virus(VZV)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두 대상포진 바이러스에 의해 유발되는 질병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두 대상포진 바이러스에 의해 유발되는 질병은 수두 또는 대상포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두 대상포진 바이러스에 의해 유발되는 질병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학 조성물은 수두 대상포진 바이러스 발생 후 25-30 시간이 경과하여 처리한 경우에 수두 대상포진 바이러스의 사멸률이 40-99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두 대상포진 바이러스에 의해 유발되는 질병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학 조성물은 수두 대상포진 바이러스가 잠복기를 지난 후 대상포진으로 재활성화한 경우에 수두 대상포진 바이러스의 사멸률이 40-99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두 대상포진 바이러스에 의해 유발되는 질병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학 조성물은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커큐민, 이모딘, 루틴, 루테올린 및 나린긴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페놀계열 화합물,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그의 염을 1-80 중량부로 포함하는 수두 대상포진 바이러스에 의해 유발되는 질병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
KR1020150117185A 2015-08-20 2015-08-20 수두 대상포진 바이러스에 의해 유발되는 질병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 KR1024167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7185A KR102416781B1 (ko) 2015-08-20 2015-08-20 수두 대상포진 바이러스에 의해 유발되는 질병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7185A KR102416781B1 (ko) 2015-08-20 2015-08-20 수두 대상포진 바이러스에 의해 유발되는 질병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2348A true KR20170022348A (ko) 2017-03-02
KR102416781B1 KR102416781B1 (ko) 2022-07-05

Family

ID=584265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7185A KR102416781B1 (ko) 2015-08-20 2015-08-20 수두 대상포진 바이러스에 의해 유발되는 질병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678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4770A (ko) 2017-10-23 2019-05-02 (주)예스킨 대상포진 개선 식품조성물
EP3735257A4 (en) * 2018-01-02 2021-11-03 Kamedis Ltd. PLANT EXTRACTS FOR THE TREATMENT OF HERPES VIRUS INFECTION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22799A (ko) 2011-02-24 2014-02-25 재단법인 목암생명공학연구소 신규한 수두 대상포진 바이러스주 및 이를 이용한 수두 및 대상포진 바이러스 백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22799A (ko) 2011-02-24 2014-02-25 재단법인 목암생명공학연구소 신규한 수두 대상포진 바이러스주 및 이를 이용한 수두 및 대상포진 바이러스 백신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Antimicrobial Agents and Chemotherapy, 2463-2466, 1991. *
Fitoterapia, 83, 362-367, 2012.* *
Virology, 373(2), 239-247, 2008. *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4770A (ko) 2017-10-23 2019-05-02 (주)예스킨 대상포진 개선 식품조성물
EP3735257A4 (en) * 2018-01-02 2021-11-03 Kamedis Ltd. PLANT EXTRACTS FOR THE TREATMENT OF HERPES VIRUS INFECTIONS
US11938190B2 (en) 2018-01-02 2024-03-26 Kamedis Ltd Herbal extracts for treatment of herpesvirus infec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6781B1 (ko) 2022-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34745B1 (ko) 메르스 코로나바이러스 헬리케이즈 nsP13의 활성을 억제하는 화합물 및 이의 용도
KR101400063B1 (ko) 티오레독신 산생 촉진제
US20110098261A1 (en) Triterpenoid-based compounds useful as virus inhibitors
KR102187951B1 (ko) 녹각 영지버섯 추출물 및 퀘르세틴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엡스타인 바 바이러스-양성 위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416781B1 (ko) 수두 대상포진 바이러스에 의해 유발되는 질병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
CN113855654B (zh) 一种预防和治疗冠状病毒感染的组合物
KR100950428B1 (ko) 바이러스 억제제로서 유용한 디아릴헵타노이드계 화합물
KR20160137807A (ko) 알츠하이머성 치매 치료를 위한 뇌 조직 재생용 약제학적 조성물
KR101653884B1 (ko) 항 콕사키바이러스 활성을 갖는 오리방풀 유래 화합물
US20160193265A1 (en) Medical composition containing stauntonia hexaphylla extract
CN102731597A (zh) 黄蜀葵花提取物及其化学成分的新用途
KR101559301B1 (ko) 여우구슬 추출물 및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엔테로 바이러스 또는 콕사키 바이러스 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CN116634883A (zh) 用于制备药物制剂的方法
US20100124578A1 (en) Appetite-suppressing weight management composition
CN106822152B (zh) 一种药物组合物及其应用
KR100956576B1 (ko) 에피카테킨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청각보호제 조성물
CN113507927A (zh) 神经系统疾病的预防或治疗用药物组合物
KR100792626B1 (ko) 카테킨 유도체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독감 바이러스감염성 질환 예방 및 치료제
CN114917285B (zh) 一种多糖化合物在预防和治疗呼吸道病毒感染药物中的应用
JP2004002361A (ja) 抗インフルエンザウイルス剤
KR102210919B1 (ko) 보리잎 유래 다당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 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Rezaei et al. Minocycline as a prospective therapeutic agent for cancer and non-cancer diseases: a scoping review
KR102594706B1 (ko) 한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US20210379132A1 (en) COMPOSITIONS INCLUDING GINSENOSIDE 20(S)-Rg3 AND METHODS OF USING GINSENOSIDE 20(S)-Rg3 TO INHIBIT ALPHA HERPESVIRUS
KR101674541B1 (ko) 췌장염 유발 콕사키바이러스 b4 증식 억제제를 함유하는 췌장염 치료 및 예방용 약학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