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1725A - 해충 포집 장치 - Google Patents
해충 포집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021725A KR20170021725A KR1020160075578A KR20160075578A KR20170021725A KR 20170021725 A KR20170021725 A KR 20170021725A KR 1020160075578 A KR1020160075578 A KR 1020160075578A KR 20160075578 A KR20160075578 A KR 20160075578A KR 20170021725 A KR20170021725 A KR 2017002172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ower portion
- supply pipe
- attracting
- plate
- wing plat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02—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with devices or substances, e.g. food, pheronones attracting the insect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10—Catching insects by using Trap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충 포집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충 포집 장치는, 네 개의 날개가 구비되어 평단면이 십자(+) 형상을 가지고, 설치 홀이 형성된 날개판; 상기 날개판의 설치 홀에 설치되며, 하부에 하나 이상의 공급관이 구비되고, 내부에 해충을 유인할 수 있는 유인제가 수용되는 유인제 용기; 상기 날개판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부의 개방된 너비가 하부의 개방된 너비보다 상대적으로 큰 포획관; 및 상기 포획관의 하부에 설치되며, 내부에 수용공간이 구비된 포집통을 포함하고, 상기 날개판의 네 개의 날개 중 어느 하나 이상은 하단에 상기 하나 이상의 공급관이 끼워지기 위한 끼움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페로몬 등의 유인제를 이용하여 솔수염 하늘소를 유인하여 포획하기 위한 해충 포집 장치로, 나무 등에 매달아 간편히 설치할 수 있고,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여 이동과 보관이 유리한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해충 포집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소나무나 잣나무에 기생하여 나무를 갉아먹는 재선충이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재선충을 옮기는 솔수염 하늘소를 유인하여 포집하기 위한 해충 포집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재선충은 소나무나 잣나무에 기생하여 나무를 갉아먹어 소나무나 잣나무를 말라 죽이는 해충이다. 재선충은 솔수염 하늘소에 기생하여 솔수염 하늘소가 이동함에 따라 재선충에 의한 피해 면적을 확산시키고 있다. 그에 따라 재선충에 의한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 재선충에 감염된 소나무를 베고, 방제와 비닐 덮기 등을 통해 재선충의 확산을 최소화하고 있다.
재선충은 스스로 이동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솔수염 하늘소를 포획하여 없애는 것만이 재선충의 확산을 방지하는 방법이다. 이를 위해 솔수염 하늘소를 제거하기 위한 방제 작업을 하는데, 방제 작업에 이용되는 약제는 인체에도 유해한 문제가 있다. 그에 따라 최근에는 솔수염 하늘소의 천적을 이용하여 솔수염 하늘소를 제거하고자 하는 방안도 추진되고 있다.
또 다른 방안으로, 솔수염 하늘소를 포획하는 방법으로 끈끈이 트랩이나 말레이즈 트랩을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페로몬 유인제를 이용하는 경우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솔수염 하늘소를 포획할 수 있는 해충 포집 장치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솔수염 하늘소를 유인하여 포집할 수 있는 해충 포집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충 포집 장치는, 네 개의 날개가 구비되어 평단면이 십자(+) 형상을 가지고, 설치 홀이 형성된 날개판; 상기 날개판의 설치 홀에 설치되며, 하부에 하나 이상의 공급관이 구비되고, 내부에 해충을 유인할 수 있는 유인제가 수용되는 유인제 용기; 상기 날개판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부의 개방된 너비가 하부의 개방된 너비보다 상대적으로 큰 포획관; 및 상기 포획관의 하부에 설치되며, 내부에 수용공간이 구비된 포집통을 포함하고, 상기 날개판의 네 개의 날개 중 어느 하나 이상은 하단에 상기 하나 이상의 공급관이 끼워지기 위한 끼움부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날개판의 네 개의 날개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상기 하나 이상의 공급관을 통해 공급된 유인제를 확산하기 위해 상기 날개의 표면에 확산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인제 용기는, 하부에 하나 이상의 공급관이 형성되며, 상부가 개방되고, 상기 유인제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가지는 몸체; 및 상기 몸체의 개방된 상부를 덮는 뚜껑을 포함하고, 상기 몸체의 상부에는 상기 몸체와 뚜껑의 결합정도에 따라 노출되는 에어홀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포집통의 측면에는 내부에 수용된 액체가 넘치는 방지하기 위한 넘침 방지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날개판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날개판의 네 개의 날개 외측 모서리가 상부로 노출되도록 홀이 형성된 덮개; 및 상기 덮개의 상부로 노출된 상기 날개판과 결합되며, 외부 구조물에 걸기 위한 고정 고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페로몬 등의 유인제를 이용하여 솔수염 하늘소를 유인하여 포획하기 위한 해충 포집 장치로, 나무 등에 매달아 간편히 설치할 수 있고,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여 이동과 보관이 유리한 장점이 있다.
또한, 네 개의 날개판을 통해 유인제가 확산될 수 있어, 먼 거리에 있는 솔수염 하늘소도 유인하여 포획할 수 있기 때문에 하나의 해충 포집 장치가 보다 넓은 영역을 커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충 포집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충 포집 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충 포집 장치의 날개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충 포집 장치의 유인제 용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충 포집 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충 포집 장치의 날개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충 포집 장치의 유인제 용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충 포집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충 포집 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충 포집 장치의 날개판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충 포집 장치의 용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해충 포집 장치(100)는, 날개판(10), 유인제 용기(20), 포획관(30), 포획통(40), 덮개(50) 및 고정 고리(60)를 포함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해충 포집 장치(100)에 대해 설명하면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날개판(10)은 단면이 (+)자 형상을 가진다. 이러한 형상으로 날개판(10)을 형성하기 위해 두 개의 판재가 이용되며, 두 개의 판재를 서로 교차시켜 직교하는 방향으로 고정하여 제작될 수 있다. 도면에는 자세히 도시하지 않았으나, 두 개의 판재는 분리될 수 있다.
날개판(10)의 각 상단 모서리에 고정 홀(11)이 형성될 수 있고, 고정 홀(11)은 고정 고리(60)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날개판(10)의 중앙에 설치 홀(13)이 형성되는데, 설치 홀(13)은 유인제 용기(20)가 삽입되기 위한 공간이다. 두 개의 판재가 교차됨에 따라 설치 홀(13)에 유인제 용기(20)가 끼워진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설치 홀(13)의 너비와 높이는 유인제 용기(20)에 대응되는 크기를 가질 수 있고, 날개판(10)의 중앙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날개판(10)의 하단에 끼움부(15)가 형성될 수 있다. 끼움부(15)는 날개판(10)의 판재 하단 일부가 하부 방향으로 돌출된 상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끼움부(15) 양측에 홈이 형성됨에 따라 홈의 내측에서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끼움부(15)는 유인제 용기(20)의 공급관(23)이 끼워지기 위해 구비된다. 그에 따라 공급관(23)을 통해 공급된 유인제가 끼움부(15)에 닿을 수 있다.
끼움부(15)의 상부에서부터 날개판(10)의 일면에 확산부(17)가 형성될 수 있다. 확산부(17)는 끼움부(15)로 공급된 유인제가 날개판(10)의 표면을 따라 이동할 수 있게 형성되는데, 상부로 갈수록 그 폭이 넓어질 수 있다. 확산부(17)는 날개판(10)의 표면에 형성된 작은 홈일 수 있다.
그에 따라 끼움부(15)에 끼워진 공급관(23)에서 공급된 유인제가 끼움부(15) 상부의 확산부(17)에 닿으면, 확산부(17)를 통해 유인제가 상부로 전달 수 있다. 이때, 확산부(17)는 폭이 작은 홈의 형상을 가지므로, 모세관현상에 의해 상부로 유인제가 전달될 수 있다. 상부로 전달된 유인제는 날개판(10)의 표면 전체로 퍼질 수 있고, 이렇게 날개판(10) 표면으로 퍼진 유인제는 증발되어 유인제가 사방으로 확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날개판(10)은 플라스틱과 같은 합성수지나 종이, 나무 등의 재질로 제작될 수 있고, 그 외에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날개판(10)이 종이나 나무 재질인 경우, 필요에 따라 확산부(17)가 날개판(10)의 표면에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이는 공급관(23)을 통해 공급된 유인제가 나무재질의 끼움부(15)에 끼워짐에 따라 나무가 유인제를 흡수하여 상부 방향으로 전달할 수 있기 때문이며, 그에 따라 자연스럽게 날개판(10) 전체에 유인제를 확산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날개판(10)에 형성된 확산부(17)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날개판(10)의 네 개의 날개의 일면에만 형성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양면에 모두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끼움부(15)가 날개판(10)의 하단에 형성되고, 끼움부(15)를 통해 유인제가 날개판(10)에 공급됨에 따라 날개판(10)에 공급된 유인제는 날개판(10)의 상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날개판(10)의 하부의 농도가 높을 수 있다. 그에 따라 날개판(10)에서 사방으로 확산된 유인제에 의해 유인된 솔수염 하늘소 등은 날개판(10)으로 유인되고, 날개판(10)에서 유인제의 농도가 높은 하부로 이동하도록 유인할 수 있다.
유인제 용기(20)는 내부에 유인제가 보관될 수 있게 수용공간이 있으며, 날개판(10)의 네 개의 날개에 유인제를 공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유인제 용기(20)는 몸체(21), 공급관(23) 및 뚜껑(25)을 포함한다.
몸체(21)는 상부에 개방되며, 내부에 유인제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다. 그리고 몸체(21)의 상부는 뚜껑(25)과 결합할 수 있는 나사산(21a)이 형성된다. 그리고 나사산(21a)의 사이에 하나 이상의 에어홀(21b)이 형성될 수 있다.
에어홀(21b)은 뚜껑(25)이 몸체(21)에 결합됨에 따라 공급관(23)을 통해 공급되는 유인제의 양을 조절하기 위해 구비된다. 즉, 몸체(21)에 수용된 유인제는 공급관(23)을 통해 날개판(10)으로 공급되어야 하는데, 뚜껑(25)에 의해 몸체(21)의 개방된 상부가 완전히 밀폐되면, 내부의 유인제가 공급관(23)을 통해 외부로 공급되지 않을 수 있다. 그에 따라 뚜껑(25)을 일부 열어 에어홀(21b)을 외부로 노출시켜 몸체(21) 내부로 공기를 공급함에 따라 유인제가 공급관(23)을 통해 날개판(10)으로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뚜껑(25)에 의해 노출되는 에어홀(21b)의 면적에 따라 공급관(23)을 통해 공급되는 유인제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몸체(21)의 하부에 하나 이상의 공급관(23)이 형성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네 개의 공급관(23)이 형성된 것에 대해 설명한다. 네 개의 공급관(23)은 각각 몸체(21)의 내부에 수용된 유인제를 날개판(10)으로 공급하기 위해 구비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인제 용기(20)가 날개판(10)의 설치 홀(13)에 설치되면, 네 개의 공급관(23)은 각각 날개판(10)의 네 개의 날개 사이에 하나씩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네 개의 공급관(23)은 각각 끝단이 날개판(10)의 네 개의 날개 하단에 형성된 끼움부(15)에 끼워질 수 있다. 이를 위해 공급관(23)은 가요성(flexible) 재질을 가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유인제 용기(20)는 날개판(10)에 형성된 끼움부(15)보다 상부에 배치됨에 따라 내부에 수용된 유인제가 중력에 의해 공급관(23)을 따라 끼움부(15)로 공급될 수 있다.
다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포획관(30)은 날개판(10)의 하부에 결합되며, 날개판(10)에서 하부로 이동된 솔수염 하늘소 등의 해충을 포획통(40)에 포획될 수 있게 가이드한다. 이를 위해 포획관(30)은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중공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부는 하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폭이 넓을 수 있다. 예컨대, 포획관(30)은 깔때기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포획관(30)과 날개판(10)의 결합은 타이밴드 등과 같은 고정기구를 이용하여 고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설명의 편의상 타이밴드 등의 고정기구를 이용하는 것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필요에 따라 포획관(30)과 날개판(10)의 결합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일례로, 포획관(30)의 상부에 걸림턱 등이 형성되어, 날개판(10)이 걸림턱에 걸려 설치되는 구조일 수 있다.
그리고 포획관(30)의 하부에 포획통(40)이 설치되며, 포획관(30)과 포획통(40)의 결합은 나사 결합 등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포획통(40)은 포획관(30)의 하부에 결합되며, 내부에 솔수염 하늘소 등의 해충이 포획되는 공간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포획통(40)의 내부에는 일정량의 물이 채워지거나 솔수염 하늘소 등의 해충을 죽일 수 있는 액상의 약제가 채워질 수 있다. 그리고 포획통(40)의 외주면에 내부에 해충이 포획되면서 수용된 물이 외부로 넘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넘침 방지홀(41)이 형성될 수 있다.
덮개(50)는 날개판(10)의 상부에 결합되며, 날개판(10)의 상부 외측의 모서리가 끼워지는 끼움홀(51)이 형성될 수 있다. 덮개(50)에 형성된 끼움홀(51)을 관통하여 날개판(10)의 외측 모서리가 덮개(50) 상부로 노출될 수 있다. 이때, 노출된 날개판(10)의 외측 모서리에 고정 홀(11)이 같이 노출될 수 있다.
고정 고리(60)는 해충 포집 장치(100)를 외부에 설치하기 위해 구비되며,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고리(60)가 덮개(50)의 끼움홀(51)을 통해 상부로 노출된 날개판(10)의 고정 홀(11)에 끼워질 수 있다. 이렇게 고정 고리(60)를 날개판(10)의 고정 홀(11)에 끼움에 따라 덮개(50)가 날개판(10)에 고정될 수 있으며, 해충 포집 장치(100)를 다양한 위치에 설치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해충 포집 장치(100)는 소나무나 잣나무 등의 나뭇가지 등에 걸어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유인제에 의해 주변의 솔수염 하늘소 등의 해충을 유인하여, 포집통으로 포획할 수 있다. 예컨대, 소나무나 잣나무에 있는 솔수염 하늘소 등의 해충은 설치된 해충 포집 장치(100)의 날개판(10)에서 확산된 유인제에 의해 해충 포집 장치(100)의 날개판(10)으로 이동하고, 날개판(10)에서 유인제의 농도가 높은 하부로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하부로 이동된 해충은 날개판(10)의 하부 끝단에서 떨어져 포획관(30)을 통해 포획통(40)으로 포집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므로,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돼서는 안 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등가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100: 해충 포집 장치
10: 날개판 11: 고정 홀
13: 설치 홀 15: 끼움부
17: 확산부
20: 유인제 용기 21: 몸체
21a: 나사산 21b: 에어홀
23: 공급관 25: 뚜껑
30: 포획관
40: 포획통 41: 넘침 방지홀
50: 덮개 51: 끼움홀
60: 고정 고리
10: 날개판 11: 고정 홀
13: 설치 홀 15: 끼움부
17: 확산부
20: 유인제 용기 21: 몸체
21a: 나사산 21b: 에어홀
23: 공급관 25: 뚜껑
30: 포획관
40: 포획통 41: 넘침 방지홀
50: 덮개 51: 끼움홀
60: 고정 고리
Claims (5)
- 네 개의 날개가 구비되어 평단면이 십자(+) 형상을 가지고, 설치 홀이 형성된 날개판;
상기 날개판의 설치 홀에 설치되며, 하부에 하나 이상의 공급관이 구비되고, 내부에 해충을 유인할 수 있는 유인제가 수용되는 유인제 용기;
상기 날개판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부의 개방된 너비가 하부의 개방된 너비보다 상대적으로 큰 포획관; 및
상기 포획관의 하부에 설치되며, 내부에 수용공간이 구비된 포집통을 포함하고,
상기 날개판의 네 개의 날개 중 어느 하나 이상은 하단에 상기 하나 이상의 공급관이 끼워지기 위한 끼움부가 형성된 해충 포집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날개판의 네 개의 날개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상기 하나 이상의 공급관을 통해 공급된 유인제를 확산하기 위해 상기 날개의 표면에 확산부가 형성된 해충 포집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인제 용기는,
하부에 하나 이상의 공급관이 형성되며, 상부가 개방되고, 상기 유인제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가지는 몸체; 및
상기 몸체의 개방된 상부를 덮는 뚜껑을 포함하고,
상기 몸체의 상부에는 상기 몸체와 뚜껑의 결합정도에 따라 노출되는 에어홀이 형성된 해충 포집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포집통의 측면에는 내부에 수용된 액체가 넘치는 방지하기 위한 넘침 방지홀이 형성된 해충 포집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날개판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날개판의 네 개의 날개 외측 모서리가 상부로 노출되도록 홀이 형성된 덮개; 및
상기 덮개의 상부로 노출된 상기 날개판과 결합되며, 외부 구조물에 걸기 위한 고정 고리를 더 포함하는 해충 포집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50116228 | 2015-08-18 | ||
KR1020150116228 | 2015-08-18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21725A true KR20170021725A (ko) | 2017-02-28 |
KR101754649B1 KR101754649B1 (ko) | 2017-07-07 |
Family
ID=585434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75578A KR101754649B1 (ko) | 2015-08-18 | 2016-06-17 | 해충 포집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54649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964894A (zh) * | 2019-04-04 | 2019-07-05 | 安阳工学院 | 一种水稻害虫诱捕装置 |
KR20200082926A (ko) * | 2018-12-31 | 2020-07-08 | (주)마이크로자임 | 돌발해충 포획용 비전원형 발광 포획트랩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01064032A1 (fr) | 2000-03-01 | 2001-09-07 | Centre De Cooperation Internationale En Recherche Agronomique Pour Le Developpement - C.I.R.A.D. | Piege a insectes destine plus particulierement au scolyte du cafeier |
JP2009254325A (ja) | 2008-03-18 | 2009-11-05 | Saori Kimura | 飛翔害虫捕獲器具 |
KR101360234B1 (ko) | 2012-04-25 | 2014-02-12 | 대한민국 | 산림해충 포집장치 |
KR101478671B1 (ko) | 2013-12-16 | 2015-01-02 | (주)원케미칼 | 수목이나 거치대에 부착되어 사용되는 해충 포집용 잠복소 및 이를 이용한 해충의 제거방법 |
KR101535535B1 (ko) | 2013-08-12 | 2015-07-09 | 대한민국 | 해충 유인 포집 장치 |
-
2016
- 2016-06-17 KR KR1020160075578A patent/KR10175464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01064032A1 (fr) | 2000-03-01 | 2001-09-07 | Centre De Cooperation Internationale En Recherche Agronomique Pour Le Developpement - C.I.R.A.D. | Piege a insectes destine plus particulierement au scolyte du cafeier |
JP2009254325A (ja) | 2008-03-18 | 2009-11-05 | Saori Kimura | 飛翔害虫捕獲器具 |
KR101360234B1 (ko) | 2012-04-25 | 2014-02-12 | 대한민국 | 산림해충 포집장치 |
KR101535535B1 (ko) | 2013-08-12 | 2015-07-09 | 대한민국 | 해충 유인 포집 장치 |
KR101478671B1 (ko) | 2013-12-16 | 2015-01-02 | (주)원케미칼 | 수목이나 거치대에 부착되어 사용되는 해충 포집용 잠복소 및 이를 이용한 해충의 제거방법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82926A (ko) * | 2018-12-31 | 2020-07-08 | (주)마이크로자임 | 돌발해충 포획용 비전원형 발광 포획트랩 |
CN109964894A (zh) * | 2019-04-04 | 2019-07-05 | 安阳工学院 | 一种水稻害虫诱捕装置 |
CN109964894B (zh) * | 2019-04-04 | 2021-06-22 | 安阳工学院 | 一种水稻害虫诱捕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754649B1 (ko) | 2017-07-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65576B1 (ko) | 해충 포획기 | |
KR101621958B1 (ko) | 농업용 해충 포획장치 | |
KR102073151B1 (ko) | 해충 포획장치 | |
KR101754649B1 (ko) | 해충 포집 장치 | |
KR101140671B1 (ko) | 해충 유인 퇴치기 | |
KR20080100664A (ko) | 유해동물 포획 장치 | |
KR20150134602A (ko) | 해충 유인 포획 장치 | |
KR200478938Y1 (ko) | 해충 포획기 | |
KR101755008B1 (ko) | 해충 트랩 장치 | |
KR200387267Y1 (ko) | 파리잡이 통 | |
JP6879735B2 (ja) | 飛翔害虫捕獲器 | |
WO2000059300A1 (en) | Insect trap | |
JP4129673B2 (ja) | 害虫誘引捕獲器 | |
KR101835679B1 (ko) | 땅바닥 설치형 잡해충 포집기 | |
CN209882875U (zh) | 一种蟑螂诱捕器 | |
WO2017069220A1 (ja) | 害虫捕獲方法および害虫捕獲器 | |
CN209995179U (zh) | 一种果树害虫诱捕装置 | |
KR101968279B1 (ko) | 해충 제거용 포획장치 | |
KR200488825Y1 (ko) | 해충 제거 모듈 | |
US20150068104A1 (en) | Insect trap system | |
KR20180014139A (ko) | 곤충 포집장치 | |
KR101718699B1 (ko) | 저장용기 | |
CN216775875U (zh) | 封闭式多饵料白蚁诱杀装置 | |
KR20180007466A (ko) | 해충 제거 모듈 | |
WO2013056410A1 (zh) | 昆虫捕捉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