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2926A - 돌발해충 포획용 비전원형 발광 포획트랩 - Google Patents

돌발해충 포획용 비전원형 발광 포획트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2926A
KR20200082926A KR1020180173999A KR20180173999A KR20200082926A KR 20200082926 A KR20200082926 A KR 20200082926A KR 1020180173999 A KR1020180173999 A KR 1020180173999A KR 20180173999 A KR20180173999 A KR 20180173999A KR 20200082926 A KR20200082926 A KR 202000829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p
attractant
trapping
pests
cap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739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89153B1 (ko
Inventor
심영근
심홍선
오재준
정현웅
Original Assignee
(주)마이크로자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마이크로자임 filed Critical (주)마이크로자임
Priority to KR10201801739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9153B1/ko
Publication of KR202000829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29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91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91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02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with devices or substances, e.g. food, pheronones attracting the insec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10Catching insects by using Trap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1/00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 C09K11/08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in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 C09K11/64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in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aluminium
    • C09K11/641Chalcogenides
    • C09K11/643Chalcogenides with alkaline earth meta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갈색날개매미충 및 기타 돌발해충의 유인제를 거치하여 포획할 수 있는 포획통을 별도로 구성하여 포획통의 교체 주기를 연장시킬 수 있고, 포획 대상이 되는 갈색날개매미충과 기타 돌발해충이 호기하는 최적 축광 물질을 선발하고, 이를 트랩 내 함유시키는 고정을 포함하여 포획트랩을 제작하여, 포획 대상이 되는 해충의 야간 포획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돌발해충 포획용 비전원형 발광 포획트랩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돌발해충 포획용 비전원형 발광 포획트랩{Light emitting non power type trap for sporadic insect}
본 발명은 돌발해충 포획용 비전원형 발광 포획트랩에 관한 것이다.
전 지구적 기후변화와 국제 교역 증대로 외래해충의 유입 및 확산이 과속화되어 '15년까지 유입된 해충은 46종으로 추정되며, 그 중 17종이 방제대상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중 특히 갈색날개매미충(Pochazia shantungensis)은 2011년 국내에 유입된 이래로 '17년 81개 시ㅇ군ㅇ구에 발생할 만큼 전국적으로 확산되어 가고 있는 주요 해충으로, 발생범위 연평균 37.5% 증가하고 있다.
갈색날개매미충은 성충/약충이 흡즙, 줄기고사, 산란 유래의 그을음증 및 줄기 부러짐과 같은 피해형태를 보이며, 소득작물인 과수 및 특용작물을 비롯하여, 산림 및 관목에 피해를 입히는 등 기주식물 대상이 80종 이상으로 농업을 비롯한 생활권역에 밀접하게 피해를 유발하고 있어 방제가 시급한 해충이다.
이러한 갈색날개매미충은 방제작업에 있어 약제처리시 인근 야산으로 대피한 후, 약효가 저하되면 재 유입되며, 넓은 기주식물 호기성으로 인해 일부지역에 국한된 방제작업은 일시적인 기피효과에 지나지 않아, 권역별 공동방제의 협력 없이 효과적인 방제는 불가한 상황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대안이 필요한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의 방제장치로는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20485호(이하 선행기술 1)에 개시되어 있으며, 비행해충 포획용 유인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인평판트랩의 제조방법이 있다.
선행기술 1에 개시된 유인평판트랩은 갈색날개매미충이 포획면에 포화될 경우, 포획면을 교체해야 하는 소모성 방제기술로, 포획면의 잦은 교체와 더불어 높은 방제단가의 문제점이 있다. 게다가 갈색날개매미충은 주ㅇ야 활동성이 강해 야간의 포획효율이 매우 저하되는 애로사항을 동반한다. 일부 야행성 해충을 포획하기 위해 전력공급에 따른 LED 및 광원의 조사를 통해 해충을 유인 포획하는 선행기술들이 여럿 있으나, 전기 선로 매설, 제품의 가격 상승과 더불어, 갈색날개매미충의 노지 및 산림 등 비생산지역이 포함되어, 전기 공급이 원활치 못함에 따라 피해지역에 적용하기에는 단가 및 전원공급의 용의성 측면에서 애로사항이 있다.
따라서, 별도의 교체 없이 갈색날개매미충 유인제를 적용하여 지속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포획통의 적용과 전기시설의 적용에서 자유로운 발광요소를 함유한 야간의 포획효율이 개선된 방제기술이 적용된 포획트랩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20485호("비행회충 포획용 유인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인 평판트랩의 제조방법", 공고일 2018.01.15.)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에 의한 돌발해충 포획용 비전원형 발광 포획트랩의 목적은 갈색날개매미충 및 기타 돌발해충의 유인제를 거치하여 포획할 수 있는 포획통을 별도로 구성하여 포획통의 교체 주기를 연장시킬 수 있고, 포획 대상이 되는 갈색날개매미충과 기타 돌발해충이 호기하는 최적 축광 물질을 선발하고, 이를 트랩 내 함유시키는 고정을 포함하여 포획트랩을 제작하여, 포획 대상이 되는 해충의 야간 포획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돌발해충 포획용 비전원형 발광 포획트랩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돌발해충 포획용 비전원형 발광 포획트랩은, 내부에 포획대상해충을 유인할 수 있는 유인제가 수용되고, 상하부가 개방된 포획통(100), 상기 포획통(100)의 개방된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포획통(100)의 내부 공간과 연결되고, 포획대상해충이 호기하는 안료와 주간에 빛을 흡수하고 야간에 발광하는 축광물질을 포함하여 제조되는 날개부(200), 유인제를 수용하는 유인제 수용부(310) 및 상기 유인제 수용부(310)에 수용된 유인제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노즐(320)을 포함하고, 상기 날개부(200)에 결합되어 특정 시간 또는 조건에서 상기 유인제 수용부(310)에 수용된 유인제를 배출하는 유인제 방출부(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포획통(100)의 내부 또는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포획통(100) 내부의 유인제를 확산시키는 확산용 팬(40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확산용 팬(400)은 태양광 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인제 방출부(300)는 상기 확산용 팬(400)이 동작하지 않을 때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포획통(100)의 개방된 하부의 단면은 상측이 좁되, 상부가 개방된 사다리꼴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포획통(100)의 개방된 하부의 넓이는 20~25mm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날개부(200)는 세워져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상부가 상기 포획통(100)의 하부에 결합되는 복수개의 날개(2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날개(210)는 결합용 홀 및 상기 결합용 홀보다 작은 크기로 다수개가 형성되는 홀(211)을 포함하며, 상기 유인제 방출부(300)는 상기 결합용 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안료는 황색 계통의 아세트초산 아닐리드계 아조 염료 또는 이소인드리논계 안료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안료는 상기 날개부(200)의 0.2~2.0% 중량비만큼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축광물질은 SrAl2O4를 기반으로 한 황록색 계통의 축광안료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축광물질은 상기 날개부(200)의 3.0~10.0% 중량비만큼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포획통(100)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측 일부 및 하부가 개방되어 있으며, 상기 포획통(100)과 탈착 가능한 덮개부(5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돌발해충 포획용 비전원형 발광 포획트랩에 의하면, 본 발명을 통하여 국내 농작물 및 생활권역에 전국적으로 피해를 유발하는 해충인 갈색날개매미충(Pochazia shantungensis)을 설치 및 수거의 번거로움이 최소화된 거치형 포획트랩의 활용이 기대되며, 전기 공급 없이 주ㅇ야 상시적인 방제를 통해 국내 넓은 범위의 산림 및 노지에 대해 유지관리가 용이한 포획트랩의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돌발해충 포획용 비전원형 발광 포획트랩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돌발해충 포획용 비전원형 발광 포획트랩의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돌발해충 포획용 비전원형 발광 포획트랩의 결합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돌발해충 포획용 비전원형 발광 포획트랩의 분해 단면도.
도 5는 본 실시예에서 유인제 방출부(300)의 사용유무에 따른 실험한 결과.
도 6은 본 실시예의 날개(210)에 축광물질의 포함여부에 따른 실험한 결과.
도 7은 본 실시예의 유인제와 종래기술의 비교실험한 결과.
도 8은 본 실시예에 의한 돌발해충 포획용 비전원형 발광 포획트랩의 발광에 대한 지속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진.
도 9는 포획대상해충에 대한 유효 포획거리를 도출하기 위한 실험결과의 사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의한 돌발해충 포획용 비전원형 발광 포획트랩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돌발해충 포획용 비전원형 발광 포획트랩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돌발해충 포획용 비전원형 발광 포획트랩이 분해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돌발해충 포획용 비전원형 발광 포획트랩이 결합된 상태의 단면을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돌발 해충 포획용 비전원형 발광 포획트랩의 일부 구성이 분해된 상태의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돌발해충 포획용 비전원형 발광 포획트랩은 포획통(100), 날개부(200), 유인제 방출부(300), 확산용 팬(400) 및 덮개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획통(100)은 일종의 통 형상으로, 최종적으로 포획대상해충이 포획되는 부분이며, 포획대상해충을 유인할 수 있도록 유인제가 수용될 수 있다.
포획통(100)의 내부에 수용된 유인제는 포획대상해충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사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특히 갈색날개매미충을 대상으로한 유인제인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20485호에 개시된 유인제가 사용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상기 유인제는 수지에 유인제가 포함된 고흡수성수지(High absorbent resin)일 수 있다.
도면에서는 포획통(100) 내부에 유인제를 놓을 수 있는 별다른 거치대가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유인제의 교환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포획통(100) 내부에는 거치대가 형성될 수 있다.
포획통(100) 자체는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지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돌발해충 포획용 비전원형 발광 포획트랩에서는 제작의 용이성/경제성을 고려함과 동시에, 포획통(100) 내부에 포획된 돌발해충의 개체수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포획통(100)은 반투명 또는 투명한 재질의 합성수지로 제작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획통(100)의 개방된 하부의 단면은 상측이 좁되, 상부가 개방된 사다리꼴 형상이다. 즉, 도 4에 도시된 개방부(110)가 사다리꼴 형상의 아래쪽 부분보다 좁다.
도 4에 도시된 개방부(110)는 원형일 수 있는데, 개방부(110)가 원형일 경우 개방부(110)의 직경은 20~25mm일 수 있다. 이는 본 실시예의 주된 포획대상인 갈색날개매미충의 몸길이가 8.2~8.7mm에 날개는 약 8.5mm이고, 비행시 수평방향의 폭이 20mm에 육박하기 때문으로, 갈색날개매미충이 개방부(110)를 통해 포획통(100) 내부로 원활히 유입될 수 있되, 빠져나가는 것을 어렵게 하기 위함이다. 단, 본 발명은 개방부(110)의 단면 형상을 원형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타원 또는 다각형 형상의 개방부(110) 또한 있을 수 있다.
개방부(110)의 단면이 원형이 아닐 경우, 개방부(110)의 가장 짧은 직경은 20~25mm가 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획통(100)의 상부는 후술할 덮개부(500)에 의해 덮인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날개부(200)는 포획통(100)의 개방된 하부에 결합된다. 단, 날개부(200)는 포획통(100)의 개방된 하부를 막는 것이 아닌, 날개부(200)의 표면을 통해 포획통(100)의 내부와 외부가 연결되도록 하여, 포획대상해충이 날개부(200)의 표면을 통해 포획통(10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포획통(100)의 하부에 결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날개부(200)는 다수개의 날개(210)를 포함할 수 있으며, 다수개의 날개(210)는 판 형상으로 특정한 선(높이 방향으로 연장된 선)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날개부(200)의 하부에는 하측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는 지지대가 결합될 수 있으며, 상술한 지지대로 인해, 날개부(200)는 지면에서 소정간격 이격된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날개부(200)의 날개(210)는 포획대상해충이 호기하는 안료와 주간에 빛을 흡수하고 야간에 발광하는 축광물질을 포함하여 합성수지로 제조될 수 있으며, 날개(210)의 표면에는 홀(211)과 결합용 홀(212)이 형성될 수 있다.
날개(210)는 구체적으로는 열가소성 수지인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을 열에 가하여 가소화시킨 후, 가소화된 폴리프로필렌이 냉각되기 전에, 안료와 축광물질을 혼합 및 사출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각각의 날개(210)는 별도로 제조되어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사상으로 조립될 수도 있고, 방사상으로 배치된 형상 그대로 사출될 수 있다.
날개(210)에 포함되는 안료 및 축광물질은 각각 주간과 야간에 포획대상해충의 시각을 자극할 수 있는 색상 및 광원을 통해, 본 실시예에 의한 포획트랩의 인지범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날개(210)에 포함되는 안료는 날개(210)의 색상을 결정하는 재료로, 황색 계통의 아세트초산 아닐리드계 아조 염료 또는 이소인드리논계 안료일 수 있으며, 단일의 날개(210)에 0.2~2.0% 중량비만큼 포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0%의 중량비만큼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안료가 포함된 날개(210)는 주간에 해당 안료에 해당하는 색상을 띄게 되어, 포획대상해충을 원거리에서 유인할 수 있다.
날개(210)에 포함되는 축광물질은 날개(210)가 주간에 빛을 흡수하여 야간에 발광할 수 있도록 하는 물질로, SrAl2O4를 기반으로 한 황록색(Yellow-green) 계통의 축광안료일 수 있으며, 단일의 날개(210)에 3.0~10.0%의 중량비만큼 포함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축광물질을 포함하는 수지의 사출물에서 축광물질의 혼입량은 전체 사출물의 10~20% 중량비가 표준으로 제사되나, 본 실시예에서 날개(210)는 그 두께가 10.0mm이하로 매우 얇게 형성되고, 날개(210)의 표면에는 다수개의 홀(211)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축광물질의 혼입량이 일정치 이상을 초과할 경우 날개(210)의 내구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날개(210)에 포함되는 축광물질의 혼입량 상한선을 날개(210)의 10.0%로, 하한선을 3.0% 제한하며, 바람직하게는 5.0% 중량비의 축광물질이 날개(210)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단일의 날개(210)에 포함되는 안료와 축광물질은 중량기준 1:5 비율로 혼합될 수 있다.
날개(210)를 구성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25~50%가량 첨가될 수 있으며, 날개(210)의 제조시 폴리프로필렌 수지, 안료 및 축광물질은 충분히 혼합된 후 사출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인제 방출부(300)는 상기 날개부(200)에 결합되어 특정 시간 또는 조건에서 상기 유인제 수용부(310)에 수용된 유인제를 배출하며, 유인제 수용부(310) 및 노즐(320)을 포함한다.
유인제 수용부(310)는 유인제가 수용되는 일종의 용기로, 유인제 수용부(310)에 수용된 유인제와 포획통(100)의 내부에 수용된 유인제는 서로 동일한 종류일 수 있다.
노즐(320)은 상기 유인제 수용부(310)에 수용된 유인제를 외부로 배출시킨다.
유인제 방출부(300)는 결합용 홀(212)과 탈착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유인제 수용부(310)의 내부에 수용된 유인제의 양을 확인한 후, 유인제 방출부(300)를 탈거하여, 유인제 수용부(310) 내부의 유인제를 보충할 수 있다.
유인제 방출부(300)는 주간이 아닌 야간에 동작할 수 있으며, 이에 관해서는 확산용 팬(400)을 설명할 때 후술한다.
확산용 팬(400)은 태양광 패널을 포함할 수 있으며, 포획통(100)의 내부 또는 포획통(100)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포획통(100) 내부에 수용된 유인제를 외부로 확산시켜, 포획대상해충을 유인하는 역할을 하며, 태양광 패널을 통한 태양광 발전을 통해 전원을 얻을 수 있다.
날씨 또는 시간요인에 의해, 태양광 패널을 통한 태양광 발전이 불가능해 확산용 팬(400)이 동작하지 않는 경우에는 유인제 방출부(300)가 동작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확산용 팬(400)과 유인제 방출부(300)는 서로 동작을 감지할 수 있는 전자적 또는 기계적인 수단이 부가될 수 있다.
확산용 팬(400)과 유인제 방출부(300)가 위와 같이 서로 교번적으로 동작하는 이유는, 24시간동안 포획대상해충을 유인하여, 포획효율을 높이기 위함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부(500)는 포획통(100)의 상부에 형성되되, 상측 일부 및 하부가 개방된 돔 형상으로, 포획통(100)과 탈착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덮개부(500) 또한 사용자가 포획통(100) 내부의 상황을 용이하게 관찰할 수 있도록 반투명 또는 투명한 재질의 합성수지로 형성될 수 있으며, 확산용 팬(400)은 덮개부(500)의 개방된 상부에 설치되어, 포획통(100) 내부에 수용된 유인제를 외부로 확산시켜, 포획대상해충을 유인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의 동작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주간에는 확산용 팬(400)이 동작하여 포획통(100) 내부에 수용된 유인제를 외부로 확산됨과 동시에 날개(210)의 색상을 통해 포획대상해충, 구체적으로는 갈색날개매미충이 본 실시예의 근처로 유인된다.
갈색날개매미충의 경우 섭식원 근처에서 육상이동하기 때문에, 날개부(200)에 안착하여 날개(210)의 표면을 통해 보다 고농도의 유인제가 비치된 포획통(100) 내부로 육상이동하게 되며, 개방부(110)를 거쳐 포획통(100) 내부로 유입되어 포획된다. 이때, 날개(210)에 형성된 홀(211)은 포획대상해충(갈색날개매미충)의 육상이동을 보조할 수 있다.
개방부(110)의 경우 20~25mm의 직경을 가지고 있지만, 십자 형태로 교차되는 날개(210)로 인해 개방부(110)의 면적이 좁아지므로, 포획통(100) 내부로 유입된 갈색날개매미충은 외부로 쉽게 나갈 수 없다.
확산용 팩(400)이 동작하지 않는 구름이 끼거나, 비 또는 눈이 오거나, 야간에는 확산용 팬(400) 대신 유인제 방출부(300)가 동작하여 포획대상해충을 유인하게 된다.
사용자는 본 실시예의 외부에서 포획통(100) 내부의 상황(포획된 해충의 개체수, 유인제의 잔량)을 확인한 후, 덮개부(500)를 열어 포획된 해충을 처리하거나, 유인제를 용이하게 보충할 수 있다.
사용자는 유인제 방출부(300)의 유인제 수용부(310)에 수용된 유인제의 잔량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으며, 유인제 수용부(310)의 유인제를 용이하게 보충할 수 있다.
단, 본 실시예는 유인제의 작용에 따라 포획대상해충이 갈색날개매미충에 제한되지 않으나, 포획대상해충의 변경시 해충이 유입되는 부분인 개방부(110) 및 날개부(200)의 안료, 축광물질의 변동이 발생할 수 있어, 본 실시예는 갈색날개매미충에 적용할 때 포획효율의 증가를 기대할 수 있다.
도 5는 본 실시예에서 유인제 방출부(300)의 사용유무에 따른 실험한 결과를 그래프 형태로 도시한 것이다.
야간의 태양 확산팬 기동 정지에 따른 야간 포획효율 개선실험을 하기 위해, 전북 전주시 권역의 대상해충 출몰지에 유인제를 100g씩 각 거치하여, 하루간 포획효율을 모니터링하였다. 도 1 내지 도 4의 날개부(200)에 결합된 유인제 방출부(300)를 거치한 시험구와, 별도의 유인제 발출부(300)가 없는 대조구의 포획효율 대조를 통해 개선효율을 평가하였으며, 각 시험군간의 간섭효과를 배제하기 위해, 30m 이상 이격하여 시험군들을 설치하였으며, 3번의 반복 시험을 기본으로 하였다.
도 5에 도시된 시험결과와 같이 유인제 방출부(300)가 없는 대조군(도 5에서 outside emitter)은 최소 18미, 최대 24미, 평균 23.0미의 포획결과를 보였고, 유인제 방출부(300)까 있는 시험군은 최소 28미, 최대 35미 평균 29.8미의 포획결과를 나타내었다. 유인제 방출부(300)의 거치를 통해 포획개선결과는 최소 16.7 - 최대 36.4, 평균 30.9%의 결과를 보여, 최종적으로 유인제 방출부(300)를 날개부(200)에 구성하여 유인제 방출부(300) 활용을 통해 야간의 포획개선효과가 증명되었다.
도 6은 본 실시예의 날개(210)에 축광물질의 포함여부에 따른 실험결과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실험을 위해, 갈색날개매미충의 출현이 보고되어 지는 전북 남원의 감 포장에 18.09.16일 시험을 착수하였으며, 3회 반복 실험을 실시하였다. 대조구는 축광물질 혼입이 없는 날개부가 결합된 트랩이며, 실험구는 상기 최적 축광물질이 혼합된 날개부를 구성한 트랩으로 실험을 실시하였다. 각 시험구들은 태양광의 간섭이 없는 20:00에 설치하여 1시간 경과 후 전량 수거하여, 포획된 개체수 대조를 거쳐 개선효과를 분석하였으며, 설치 인근 생활권역 빛의 간섭을 최대한 배제할 수 있는 장소에 설치하여 시험을 수행하였다.
시험결과 대조구는 최소 3, 최대 5, 평균 3.3미의 포획량을 보인 반면 축광안료가 혼입된 시험구는 최소 8, 최대 14, 평균 11미로 대조구 대비 평균 230.3%의 괄목할만한 포획개선결과를 보여, 야간의 포획개선효율이 증가하였음을 증명하고 있다.
본 발명에 활용되어지는 유인제는 고흡수성수지(High absorbent resin)로 수지 내 침지된 유인제가 최대 1달 이상 지속됨을 특징으로 대상해충의 시각에 자극을 주는 호기성 안료 및 축광물질은 반영구적으로 활용 가능함이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1달 이상의 포획 지속성을 보일 것으로 예상되고 있으나, 이것이 현장 적용 시 적합한지를 재평가하기 위해 전남 남원 권역의 감포장에 대해 적용하여 유인 지속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시험구로는 본 기술의 포획트랩이며 30g의 유인제를 충진 하였으며, 대조구로는 200ㅧ450mm의 대상해충 유인제가 5% 도포된 유인평판트랩을 적용하였다. 각 설치 후 7일 간격으로 포획된 해충을 계수하였으며, 시간의 경과에 따라 증가되는 포획개체수를 평가하여, 유인 지속성을 평가하였다.
도 7은 상기한 실험의 결과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의 시험결과를 보면, 대조구인 유인평판트랩의 경우 최초 15미에서 7일에 38미로, 153.3%의 포획누적 상승을 거두었으나, 이후 측정 전회와 대비하여 최소 6.25, 최대 18.4%의 포획누적 상승을 보여 2주 경과 후 포획력이 급격히 감소함을 알 수 있다. 이와 반면에 본 발명인 포획트랩은 1주 경과후 93.9%, 2주 경과 후 40.6%로 대조구 대비 22.2% 향상된 포획누적 상승을 보이며, 3주 경과후에는 17.8%, 최종 4주 경과 역시 8.0% 향상된 포획누적 상승을 나타내었다. 또한 대조구인 유인평판트랩이 실험구의 시간의 경과에 따른 포획개선효율의 추세선의 기울기에 비해 완만한 결과를 보이고 있어 이를 뒷받침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포획트랩이 포획의 지속성이 개선되었음을 나타내는 결과이다.
도 8은 본 실시예에 의한 포획트랩의 발광에 대한 지속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진이다.
본 포획트랩의 발광에 대한 지속성은 야간의 포획효율의 개선에 대한 큰 지표로써 작용한다. 따라서 본 포획트랩을 현장에 거치한 후 날개부의 발광현황을 현장에서 모니터링 하였으며, 도 8과 같이 4시간 경과 시에도 원활한 발광을 유지하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다
도 9는 포획대상해충에 대한 유효 포획거리를 도출하기 위한 실험결과의 사진이다.
본 발명에 의한 돌발해충 포획용 비전원형 발광 포획트랩의 현장 적용시 대상해충에 대한 유효 포획거리의 산출은 효과적인 사용매뉴얼과 더불어 현장 방제비용을 산출할 수 있는 중요한 지표로써 작용한다. 따라서 이를 검증하고, 기존 방제방법인 유인평판트랩과의 시험적용을 통해 개선된 유효 포획거리를 산출하고자 하였다. 시험방법으로는 거리별 기 포획된 대상해충을 cage를 통해 이동하여 거리별 방생을 통해 회수되는 개체수의 빈도를 통해 분석하고자 하였으며, 외부에서 유입되는 대상해충의 영향을 배제하기 위해, 대상해충의 보고가 없는 담양권역의 공원에서 실험을 실시하였다. 각 거리별 대상해충의 개체는 10개체이며, 도 9와 같이 30분 이후 회수 되는 량을 통해 거리별 포획 효율을 측정하였다.
측정결과 대조구인 유인평판트랩은 5m에서 70%, 10m에서 50%의 포획효율을 보였으나, 15m에서 급격히 감소하여 10%의 포획효율을 보였다. 반면에 본 발명의 포획트랩은 5m에서 80%, 15m에서 50%의 유인효율을 보여, 대조구 대비 15m에서 400%의 유인효율 향상을 보였고, 또한 20m에서 30%의 유인효율을 유지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포획트랩은 대조구인 유인평판트랩 대비 15 - 20m로 설치 범위를 확대하여도 포획효율이 있음을 확인하여, 유요 포획거리의 증가에 따른 현장 방제비용의 저감 및 설치 밀도의 저하에 따른 노동력 감소효과가 기대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0 : 포획통
110 : 하부 개방부
200 : 날개부
210 : 날개
211 : 홀
212 : 결합용 홀
300 : 유인제 방출부
310 : 유인제 수용부
320 : 노즐
400 : 확산용 팬
500 : 덮개부

Claims (13)

  1. 내부에 포획대상해충을 유인할 수 있는 유인제가 수용되고, 상하부가 개방된 포획통(100);
    상기 포획통(100)의 개방된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포획통(100)의 내부 공간과 연결되고, 포획대상해충이 호기하는 안료와 주간에 빛을 흡수하고 야간에 발광하는 축광물질을 포함하여 제조되는 날개부(200);
    유인제를 수용하는 유인제 수용부(310) 및 상기 유인제 수용부(310)에 수용된 유인제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노즐(320)을 포함하고, 상기 날개부(200)에 결합되어 특정 시간 또는 조건에서 상기 유인제 수용부(310)에 수용된 유인제를 배출하는 유인제 방출부(3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발해충 포획용 비전원형 발광 포획트랩.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획통(100)의 내부 또는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포획통(100) 내부의 유인제를 확산시키는 확산용 팬(400)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발해충 포획용 비전원형 발광 포획트랩.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용 팬(400)은 태양광 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발해충 포획용 비전원형 발광 포획트랩.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인제 방출부(300)는 상기 확산용 팬(400)이 동작하지 않을 때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발해충 포획용 비전원형 발광 포획트랩.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획통(100)의 개방된 하부의 단면은 상측이 좁되, 상부가 개방된 사다리꼴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발해충 포획용 비전원형 발광 포획트랩.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포획통(100)의 개방된 하부의 직경은 20~25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발해충 포획용 비전원형 발광 포획트랩.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200)는 세워져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상부가 상기 포획통(100)의 하부에 결합되는 복수개의 날개(2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발해충 포획용 비전원형 발광 포획트랩.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210)는 결합용 홀 및 상기 결합용 홀보다 작은 크기로 다수개가 형성되는 홀(211)을 포함하며, 상기 유인제 방출부(300)는 상기 결합용 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발해충 포획용 비전원형 발광 포획트랩.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료는 황색 계통의 아세트초산 아닐리드계 아조 염료 또는 이소인드리논계 안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발해충 포획용 비전원형 발광 포획트랩.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료는 상기 날개부(200)의 0.2~2.0% 중량비만큼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발해충 포획용 비전원형 발광 포획트랩.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축광물질은 SrAl2O4를 기반으로 한 황록색 계통의 축광안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발해충 포획용 비전원형 발광 포획트랩.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축광물질은 상기 날개부(200)의 3.0~10.0% 중량비만큼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발해충 포획용 비전원형 발광 포획트랩.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획통(100)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측 일부 및 하부가 개방되어 있으며, 상기 포획통(100)과 탈착 가능한 덮개부(5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발해충 포획용 비전원형 발광 포획트랩.
KR1020180173999A 2018-12-31 2018-12-31 돌발해충 포획용 비전원형 발광 포획트랩 KR1021891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3999A KR102189153B1 (ko) 2018-12-31 2018-12-31 돌발해충 포획용 비전원형 발광 포획트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3999A KR102189153B1 (ko) 2018-12-31 2018-12-31 돌발해충 포획용 비전원형 발광 포획트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2926A true KR20200082926A (ko) 2020-07-08
KR102189153B1 KR102189153B1 (ko) 2020-12-09

Family

ID=71601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73999A KR102189153B1 (ko) 2018-12-31 2018-12-31 돌발해충 포획용 비전원형 발광 포획트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915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6129Y1 (ko) * 2022-07-04 2022-11-07 홍준표 유인성이 향상된 해충 포획용 끈끈이 트랩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01942A (ja) * 2005-08-31 2006-01-05 Sumitomo Chemical Co Ltd 害虫防除材
KR20140000834A (ko) * 2012-06-26 2014-01-06 고세희 수목 병해충 살충을 위한 축광(야광) 또는 형광 기능을 가진 끈끈이 롤트랩
KR20150062051A (ko) * 2013-11-28 2015-06-05 주식회사 자연인 유인제를 이용한 친환경 해충 방제용 트랩 장치
KR20170009403A (ko) * 2015-07-17 2017-01-25 박지웅 태양광 에너지를 이용한 페로몬 확산팬이 구비된 포획트랩
KR20170021725A (ko) * 2015-08-18 2017-02-28 오영미 해충 포집 장치
KR101820485B1 (ko) 2017-05-29 2018-01-19 (주)마이크로자임 비행해충 포획용 유인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인 평판트랩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01942A (ja) * 2005-08-31 2006-01-05 Sumitomo Chemical Co Ltd 害虫防除材
KR20140000834A (ko) * 2012-06-26 2014-01-06 고세희 수목 병해충 살충을 위한 축광(야광) 또는 형광 기능을 가진 끈끈이 롤트랩
KR20150062051A (ko) * 2013-11-28 2015-06-05 주식회사 자연인 유인제를 이용한 친환경 해충 방제용 트랩 장치
KR20170009403A (ko) * 2015-07-17 2017-01-25 박지웅 태양광 에너지를 이용한 페로몬 확산팬이 구비된 포획트랩
KR20170021725A (ko) * 2015-08-18 2017-02-28 오영미 해충 포집 장치
KR101820485B1 (ko) 2017-05-29 2018-01-19 (주)마이크로자임 비행해충 포획용 유인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인 평판트랩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6129Y1 (ko) * 2022-07-04 2022-11-07 홍준표 유인성이 향상된 해충 포획용 끈끈이 트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9153B1 (ko) 2020-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08443B2 (en) Mosquito breeding convenience with bio-cycle interrupt and with mid-cycle flush
WO2009089828A1 (de) Bekämpfungsvorrichtung für fluginsekten
CN203969003U (zh) 喷水及静电击落式蝗虫趋光捕集装置
KR102217379B1 (ko) 다층구조의 태양광 led 조명등과 끈끈이 해충유인 솔라백이 구비된 해충 포획 및 야생동물 퇴치 트랩
JP6004196B2 (ja) 害虫捕獲器
KR100856377B1 (ko) 해충유인 포획장치
KR20100022203A (ko) 해충 유인수단이 구비된 가로등 장치
CN111480632A (zh) 一种蝗虫监测诱捕仪及其使用方法
US20070017150A1 (en) Insect trapping device
KR20210112965A (ko) 우수가림막과 다층구조의 태양광 엘이디조명등이 구비된 끈끈이 해충 포획 및 야생동물 퇴치 트랩
KR20200082926A (ko) 돌발해충 포획용 비전원형 발광 포획트랩
US20110005124A1 (en) Insect trap with a flowing trapping fluid
CN104082262B (zh) 喷水及静电击落式蝗虫趋光捕集装置
EP2375891B1 (en) Trapping device for frugivorous insects
CN101243786B (zh) 诱杀栗山天牛成虫的专用光源与方法及其应用
KR20160027835A (ko) 해충 포획 장치
CN104026103A (zh) 辐照风吹落虫式灾害昆虫趋光捕集装置
KR200431848Y1 (ko) 친환경 해충 포획기
CN202014528U (zh) 诱虫灭虫装置
JP7109073B2 (ja) 捕虫装置及び当該捕虫装置を用いた捕虫方法
JP3184729U (ja) 害虫捕獲装置
KR101152776B1 (ko) 흡입식 포충기가 설치된 식물 생육 램프 장치
JP6222677B2 (ja) カメムシ捕虫装置及びカメムシ捕虫方法
PT2696675T (pt) Método e aparelho para controlo de pragas
KR101041708B1 (ko) 해충포획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