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2051A - 유인제를 이용한 친환경 해충 방제용 트랩 장치 - Google Patents

유인제를 이용한 친환경 해충 방제용 트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62051A
KR20150062051A KR1020130146591A KR20130146591A KR20150062051A KR 20150062051 A KR20150062051 A KR 20150062051A KR 1020130146591 A KR1020130146591 A KR 1020130146591A KR 20130146591 A KR20130146591 A KR 20130146591A KR 20150062051 A KR20150062051 A KR 201500620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dispenser
trap device
space
attract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65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재
정용목
박미진
문병두
박미애
이영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자연인
이용재
(주)건일기술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자연인, 이용재, (주)건일기술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자연인
Priority to KR10201301465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62051A/ko
Publication of KR201500620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20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02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with devices or substances, e.g. food, pheronones attracting the insec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10Device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animals, birds or other pes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10Catching insects by using Tra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00Fishing, trapping, and vermin destroy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rd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유인제를 이용한 친환경 해충 방제용 트랩 장치는, 내부에 스페이스를 구비하여 적어도 2개의 몸체로 분리 가능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적어도 일 측에서 상기 스페이스 방향으로 경사면을 따라 오목하게 함입 형성된 것으로, 상기 경사면에 복수의 통공이 관통 형성되고 내측 단에 출입구가 관통 형성된 출입 홀; 상기 하우징 내에 형성된 유인제 장착구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확산 가능하게 유인제를 함유한 유인제 수납통; 상기 하우징 내에 형성된 디스펜서 장착구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분사액을 챔버에 수용하여 분사기의 작동으로 분사 노즐에서 상기 분사액을 상기 스페이스 내에 분사하는 디스펜서;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인제를 이용한 친환경 해충 방제용 트랩 장치에 의하면, 디스펜서의 분사액을 포획된 해충에게 분사하여 편리하게 살충을 수행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유인제를 이용한 친환경 해충 방제용 트랩 장치{ECO-FRIENDLY TRAP DEVICE FOR PEST CONTROL USING ATTRACTANT}
본 발명은 유인제를 이용한 친환경 해충 방제용 트랩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페로몬 또는 한방 성분 등으로 이루어진 유인제를 통해 해충을 출입구로 유인하여 살충하되, 출입구의 구조를 개량하여 해충의 유출을 방지함과 동시에 추가적으로 센서부를 구비하여 트랩 내 해충의 개체 수를 파악함으로 예찰 및 살충 기능을 제공하는 트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지구의 온난화로 인해 이전에는 문제가 되지 않던 해충이 급격히 증가하는 현상이 빈번해짐에 따라 보다 많은 농작물에 피해를 주고 있고, 농업의 생산량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해충 방제가 더욱 절실히 필요한 시기가 도래하였다.
해충의 방제를 위하여 다양한 화학적 합성 농약이 개발되어 최근까지 사용되고는 있으나, 화학적 합성 농약(화학적 방제)은 해충에게 약제 저항성을 키워 해마다 사용되는 농약의 양적 증가를 요구하고 있는 실정이고, 더 나아가 농약 사용량의 증가는 환경파괴 및 인류 및 생태계에 치명적인 영향을 남기고 있어 전 세계적으로 문제가 되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에는 선진국을 중심으로 농약사용을 규제하고 있는 추세임을 반영하여 한방 및 천연물 소재를 이용한 친환경 유해 해충 방제 시스템 개발이 요구되고 있고, 특히 노린재와 같은 해충은 한 곳에 모이지 않고 산발적으로 이동하는 특성에 따라 페로몬 성분을 가진 유인제를 이용한 방제 방법이 연구되고 있는 상황이고, 주로 유인제를 내장하여 해충을 유인하는 다양한 구조의 트랩이 개발되어 있는 상태이다.
국내 실용신안 공개번호 제 20-2008-0000588호 해충박멸용 트랩 기구는 일명 투웨이(two-way) 출입 구조로 이루어진 트랩으로서, 트랩 내에 페로몬과 같은 유인제를 구비하여 해충의 유입을 유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다만 상기 기술은 이미 공지되어 있는 구조로서 보관 및 설치가 용이하고 운영이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기는 하나 노린재와 같은 해충이 쉽사리 외부로 유출이 될 뿐 아니라 일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구조로 바람에 취약하며 관리자가 트랩 내의 해충을 개체수를 알지 못해 수시로 트랩 내를 확인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따른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친환경 유인제를 이용하여 노린재와 같은 해충을 적절히 유인하되, 해충이 쉽사리 빠져 나오지 못하도록 할 뿐 아니라 트랩 내 해충의 활동성을 자연스럽게 저해하면서 특정 개체수가 찼을 때 살충할 수 있는 센서 및 컨트롤러를 구비한 신규하고 진보한 친환경 방제용 트랩 장치를 개발할 필요성이 대두된다.
본 발명은 상기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유인제를 구비한 하우징에 점성액 등을 분사하는 디스펜서를 구비하여 포획된 해충의 운동성을 감소시켜 하우징 내의 해충의 유출을 방지하는 트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출입부의 구조를 개량하여 해충의 유인을 도모하되 유출을 어렵게 처리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센서부를 통해 하우징 내의 해충 수를 파악하여 디스펜서의 분사 기능을 자동 제어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포획된 해충을 익사시킬 수 있는 별도의 구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유인제를 이용한 친환경 해충 방제용 트랩 장치는, 내부에 스페이스를 구비하여 적어도 2개의 몸체로 분리 가능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적어도 일 측에서 상기 스페이스 방향으로 경사면을 따라 오목하게 함입 형성된 것으로, 상기 경사면에 복수의 통공이 관통 형성되고 내측 단에 출입구가 관통 형성된 출입 홀; 상기 하우징 내에 형성된 유인제 장착구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확산 가능하게 유인제를 함유한 유인제 수납통; 상기 하우징 내에 형성된 디스펜서 장착구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분사액을 챔버에 수용하여 분사기의 작동으로 분사 노즐에서 상기 분사액을 상기 스페이스 내에 분사하는 디스펜서;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출입구는, 상기 스페이스 방향으로 방향으로 연장된 연장부를 구비하되, 상기 연장부는, 둘레를 따라 복수 개의 갈래로 이루어지되 끝단이 모아지도록 라운딩지게 휘어진 탄성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상기 트랩 장치는, 포토센서 및 초음파센서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져, 상기 스페이스에 포획된 해충의 개체수를 감지하는 감지 정보를 생성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의 감지 신호를 통해 해충 개체수를 파악하는 개체수 파악모듈과, 상기 개체수 파악모듈에서의 개체수 파악 여부에 따라 상기 디스펜서의 분사기를 작동 제어하는 디스펜서 구동모듈을 포함한 컨트롤러;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하우징은, 하부가 개방되게 구성되고, 상기 트랩 장치는, 물을 저장하는 물탱크; 상기 물탱크에 배관을 매개로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하우징의 상부 일 측에서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체크밸브;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탈착 가능하게 형성된 것으로, 해충 수납 스페이스를 내부에 구비하고, 일 측에 캡이 개폐 가능하게 장착된 해충 수납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인제를 이용한 친환경 해충 방제용 트랩 장치에 의하면,
1) 디스펜서의 분사액을 포획된 해충에게 분사하여 편리하게 살충을 수행할 수 있고,
2) 유인제로 해충을 유인할 때 하우징 내에 유입은 쉽되 유출이 어렵도록 하여 해충 포획의 효율성을 담보하며,
3) 하우징 내에 포획된 해충수를 개략적으로 센싱하여 자동으로 디스펜서를 구동할 수 있을 뿐 아니라,
4) 포획된 해충을 익사시킬 수 있어 해충의 유출 방지를 극대화할 수 있다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친환경 해충 방제용 트랩 장치의 개략적인 외관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트랩 장치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출입부의 변형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컨트롤러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트랩 장치에 해충 박멸부를 구비한 변형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트랩 장치(10)는 해충을 유인제로 유인하여 포획을 기본으로 하면서 필요에 따라 살충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것으로, 유인제로 유인될 수 있는 해충은 다양한 종류가 있지만 그 중 노린재(예를 들어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 나방류(예를 들어, 회양목명나방) 등이 대표적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해충을 유인하는 방식은 조명과 같은 유인 장치로서도 존재하나 본 발명에서는 페로몬을 대표로 하는 유인제를 이용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즉, 곤충을 포함해 동물이 몸체에서 방출하는 휘발성 물질은 동종에게 특이한 행동적ㅇ생리적 반응을 일으키는데 이 물질을 페로몬이라고 한다. 방출된 휘발성 물질에 수컷만 반응(유인)하면 성페로몬이라고 하며, 암컷과 수컷, 어린벌레(약충)까지도 반응하면 집합페로몬이라고 한다. 일반적으로 성페로몬은 대상해충의 발생예찰에 사용되고, 집합페로몬은 대상해충의 밀도를 줄이는 데 이용된다.
즉, 본 발명의 트랩 장치(10)는 유인제에 반응하는 해충을 포획하는 친환경 방제 기능을 제공하는 기본적 특성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친환경 해충 방제용 트랩 장치의 개략적인 외관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트랩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을 보아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트랩 장치(10)는 일 측에 출입 홀(30)을 적어도 하나 구비함과 동시에 내부가 중공 구조로 이루어진 스페이스(21)를 포함한 하우징(20) 내에 유인제를 함유한 유인제 수납통(40)과 디스펜서(50)를 구비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하우징(20)은 빗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하면서 관리자가 내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이루어지고 적어도 일 측, 바람직하게는 좌우 양 측에 출입 홀(30)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20)은 후술할 유인제 및 디스펜서(50)의 분사액을 교체하기 용이하게 함과 동시에 관리의 편의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2개의 몸체로 분리 가능하게 이루어지되 이를 나사산 또는 걸쇠, 끼움부와 같은 결합 수단에 의해 탈착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하우징(20)의 외측에는 나무 등의 구조물에 본 발명의 트랩 장치(10)를 용이하게 걸 수 있도록 줄, 끈과 같이 길게 연장 형성된 연결 스트랩(25)을 결합할 수 있는 스트랩 고정부(24)를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하우징(20)은 도 1에서는 가로 방향으로 연장된 원통형 구조로 도시되어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세로 방향으로 연장된 원통형 구조, 삼각뿔 구조, 원뿔 구조 내지 공(구), 장방형과 같은 구형 구조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출입 홀(30)은 하우징(20)의 일 측에서 깔때기 형상으로 오목하게 함입 형성되되, 경사면(31)에 복수의 통공(32)이 형성되어 유인제가 외부로 확산됨으로 해충을 유인할 수 있고, 출입 홀(30)의 내측 끝단에는 출입부(33)가 관통 형성되어 이를 통해 해충을 하우징(20) 내 스페이스(21)로 포획한다.
이와 같이 출입 홀(30)이 스페이스(21)의 내측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것은 해충의 유입을 촉진하되 유출이 어렵게 하기 위함이다.
하우징(20)의 내측 면 일 측에는 유인제를 장착할 수 있는 유인제 장착구(22)를 구비한다. 유인제 장착구(22)는 유인제 수납통(40)을 장착할 수 있도록 하우징(20)의 내측 벽 일 측에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유인제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페로몬 성분으로 이루어진 물질로서 주로 유인제의 외부 확산을 위하여 확산공(41)을 구비한 상태에서 약제통과 같은 형상으로 이루어진 유인제 수납통(40) 내에 수용되고, 만일 유인제가 모두 확산되었을 때에는 다시 유인제 수납통(40) 내에 새로운 유인제를 충진할 수 있다.
특히, 유인제는 공지된 페로몬 이외에 한방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한바, 예를 들어 유인제는 고유의 향을 구비한 초피나무 열매를 이용한 성분 또는 참나무 침출액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디스펜서(50)는 분무기와 같은 분사 방식으로 내부에 수용된 분사액을 하우징(20)의 스페이스(21) 내에 분사시키는 것으로, 하우징(20) 내측 벽 일 측에 형성된 디스펜서 장착구(23)를 통해 하우징(20) 내에 고정 장착된다. 이러한 디스펜서(50)는 공지의 디스펜서와 마찬가지로 챔버(51)와 분사 노즐(52), 상기 분사 노즐(52)에 압력을 가하여 분사액을 분사시키는 분사기(53)를 구비한다.
여기서, 디스펜서(50) 내에 수용되는 분사액은 끈끈한 점성을 가진 점성액 또는 살충액을 함유할 수 있는데, 특히 점성액을 수용하는 것이 친환경 방제를 제공한다는 측면에서 더욱 바람직하다.
이 때 점성액은 예를 들어 물과 같은 베이스 성분이 증발된 다음, 또는 베이스 성분을 함유한 상태에서도 끈끈한 성질을 보유할 수 있는 액체로서, 디스펜서(50)의 챔버(51)에서 고형화되지 않는 성질을 가진 것을 이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행여 점성액이 고형화가 되는 문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디스펜서(50)는 챔버(51)에서 분사 노즐(52)의 대향 측으로 관통되어 연장 형성된 바(bar)을 추가로 구비함으로써 관리자가 수작업으로 바를 회전시켜 점성액의 고형화를 방지할 수도 있다.
더불어, 바의 회전성을 보장하면서 바와 챔버(51) 사이를 실링 또는 패킹 처리하여 점성액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거나, 더 나아가 역시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으나 모터를 이용하여 바를 자동으로 회전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의 트랩 장치(10)를 설치한 뒤에 스페이스(21)에 포획된 해충에 점성액을 분사하여 날개의 정상적인 기능을 방해하거나 해충 자체의 무게를 가중시켜 비행성 또는 운동성을 현저히 떨어트릴 수 있도록 한다.
이로 인하여, 해충이 다시금 출입부(33)를 통과하여 외부로 유출되는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상황에 따라 살충액을 분사하여 즉각적으로 살충 처리할 수도 있다.
상기 디스펜서(50)는 스위치의 작동을 통해 수동 분사할 수도 있으나, 배터리 내지 후술할 태양광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전원 공급부 및 타이머와 분사 제어부를 구비하여 타이머에 의해 측정된 일정 인터벌을 기준으로 분사 제어부에서 자동 분사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 수동 분사를 위한 인력 소모를 막는 차원에서 보다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하여, 본 발명의 트랩 장치(10)는 유인제의 확산에 의하여 하우징(20) 내 스페이스(21)로 유인된 해충을 디스펜서(50)의 분사액의 분사로 운동성을 저해하거나 살충하는 기능을 제공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해충을 처리할 수 있는 특성을 제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출입부의 변형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a)에 따른 실시예에 의하면, 출입부(33)는 마치 대롱과 같이 일정 길이를 가지면서 스페이스(21)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연장부(34)를 구비하되 상기 연장부(34)는 둘레를 따라 다 갈래로 분기되어 있으면서 내측으로 모아지도록 연장된 탄성체(35)로 이루어져 있다.
즉, 이러한 연장부(34)의 구조에 의하여 해충이 유인제의 자극을 받아 스페이스(21) 내부로 유입될 경우에는 탄성체(35)를 쉽게 밀어낼 수 있도록 하되 외부로 나가려고 할 경우에는 오히려 탄성체(35)의 방해를 받아 쉽사리 유출되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다시 말해 연장부(34)의 탄성체(35)로 인하여, 해충의 유입을 촉진하면서 유출을 방지하도록 하는 기능을 강화할 수 있도록 한다.
도 3(b)에 의한 실시예는 출입 홀(30)의 경사면(31)의 내외 측의 마찰계수를 다르게 처리하는 구조를 제시하는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경사면(31)의 내측보다 외측의 마찰계수를 크게 처리하는 것을 핵심으로 한다.
예를 들어, 경사면(31)의 내측 표면에는 미끄러움을 제공하는 제 1 코팅층(36)이 적층 형성되고, 경사면(31)의 외측 표면에는 통공(32) 사이의 면에 거칠기가 부여되거나 복수 개의 돌기(38)(볼록하게 돌출된 엠보싱 돌기할 수도 있음)가 형성된 제 2 코팅층(37)이 적층 형성되어 결과적으로 제 2 코팅층(37) 표면의 마찰계수가 제 1 코팅층(36) 표면의 마찰계수보다 크도록 처리되어 있다.
이로 인해, 스페이스(21) 내로 유입된 해충이 제 1 코팅층(36)의 미끄러운 성질로 인해 경사면(31)의 내벽에 쉽사리 달라붙지 못하여 행여 외부로 유출될 가능성을 미연에 차단할 수 있고, 더불어 제 2 코팅층(37)이 복수 개의 돌기(38)로 이루어진 경우 볼록렌즈와 같은 역할도 하여 해충에 착시 효과를 제공하는 부가적인 기능을 창출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컨트롤러 및 부속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컨트롤러(100)는 하우징(20)에 센서부(60)를 추가로 구비시킴으로 센서부(60)의 센싱 정보에 따라 스페이스(21) 내의 해충 개체수를 파악하여 예찰을 하거나 더 나아가 상술한 디스펜서(50)에 구비된 분사기(53)의 기능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우선 본 발명의 트랩 장치(10)는 하우징(20)의 외측 벽 일 측에 솔라셀(70)을 추가로 구비할 수 있는바, 이로 인해 디스펜서(50) 내지 컨트롤러(100) 등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센서부(60)는 하우징(20) 내에 구비된 것으로 포토 센서(61) 및 초음파 센서(62)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져 센싱 동작에 의해 하우징(20) 내의 스페이스(21)에 포획된 해충 개체수를 감지할 수 있는 감지 정보를 생성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4를 보아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컨트롤러(100)는 태양광 발전모듈(110) 및 개체수 파악모듈(120), 디스펜서 구동모듈(130)을 구비할 수 있다.
태양광 발전모듈(110)은 상기 솔라셀(70)을 통해 태양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전기 에너지, 즉 전원은 디스펜서(50)의 분사(53)기 또는 센서부(60), 컨트롤러(100)를 구동할 수 있는 에너지원으로 사용할 수 있다.
개체수 파악모듈(120)은 상기 센서부(60)의 감지 신호를 통하여 하우징(20) 내 해충 개체수를 파악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포토 센서(61)의 감지 신호의 경우 하우징(60) 내 운집해 있는 해충의 밀도 분포 여부에 따라 해충 개체수의 개략적인 수치를 파악할 수 있고 초음파 센서(62)의 감지 신호의 경우에는 초음파의 도착 속도의 차이에 따라 개체수의 개략적인 수치를 파악할 수 있다.
즉 개체수 파악모듈(120)은 정확한 해충 수를 파악하기보다는 개략적인 대소를 파악하거나 후술할 기준 개체 데이터와 비교 판단할 수 있는 비교 정보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이를 통해 예찰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디스펜서(50)의 분사기(53)의 분사 여부 내지 후술할 체크 밸브(85)의 개폐 여부를 제어하도록 하는 전제 정보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디스펜서 구동모듈(130)은 상기 개체수 파악모듈(120)에 의하여 파악된 개체수의 대소에 따라 상기 디스펜서(50)의 분사기(53)의 구동 여부를 제어하는 것으로, 다시 말해 스페이스(21) 내에 일정 수의 해충이 포획되었을 때 디스펜서(50)의 분사기(53)를 구동하여 분사액(점성액 또는 살충액)을 분사할 수 있는 자동 분사 제어 기능을 수행하도록 한다.
이 때, 일정 수의 해충이 포획되었는지 여부 판단은 미리 구비된 기준 개체 데이터(개체수의 특정 밀도 데이터 내지 초음파의 특정 도착 속도 데이터)와 감지 정보를 비교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로써, 단순히 타이머에 의해 분사기(53)의 구동을 제어할 경우보다 효율적이자 맞춤 방식으로 디스펜서(50)의 분사액을 분사할 수 있는 특성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컨트롤러(100) 및 부속 구성에 의하여, 예찰 기능은 물론 디스펜서(50)의 구동 제어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본 발명의 트랩 장치(100)에 대한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특성을 수행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트랩 장치에 해충 박멸부를 구비한 변형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에 따른 실시예는 스페이스(21) 내에 포획된 해충을 익사시키는 기능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물탱크(80)와 체크밸브(85), 해충 박멸부(90)를 구비한다.
물탱크(80)는 하우징(20)의 상부에 결합이 되거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유닛으로 독립되어 배관(81)을 매개로 하우징(20)의 상부에 연결된 것으로, 나무 등에 걸 수 있는 고리를 구비하고 물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된 상태에서 물을 저장하는 입체 구조로 이루어져 그 내부의 하단에 배출공(80a)을 구비한다. 이러한 물탱크(80)는 빗물 또는 관리자에 의해 공급되는 수원(水原)을 통해 물을 저장할 수 있다.
물탱크(80)는 하우징(20)의 체적보다 크거나 최소한 비슷한 수준으로 이루어져 후술할 체크밸브(85)가 개방되었을 때 하우징(20) 내에 순간적인 수압을 제공하여 해충을 하우징(20) 하부의 해충 박멸부(90)로 이동시킨다.
체크밸브(85)는 물탱크(80)에서 연결된 배관(81)의 단부와 하우징(20)의 상부 일 측에 개폐 가능하게 장착된 것으로, 다시 말해 배관(81)을 개폐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체크밸브(85)는 관리자의 조작에 의해 수동으로 개폐될 수도 있으나, 후술할 체크밸브 구동모듈(140)에 의하여 자동으로 개폐되는 전자밸브일 수도 있고, 일정 간격을 두고 2~3개로서 하우징(20)의 상부를 개폐하도록 복수 개로 형성할 수도 있다.
도 5에 따른 실시예에서 하우징(20)은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가로 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되기보다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거나 장방형을 띠는 것이 보다 바람직한데, 체크밸브(85)에서 낙하되는 물이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 하우징(20) 전체를 지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물론 도 1과 같은 형상의 하우징(20)의 상부에서 체크밸브(85)가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로 형성되어 물탱크(80)에서 낙하되는 물이 하우징(20) 전체를 고르게 지날 수 있도록 설계되는 것도 가능하다.
더불어, 하우징(20)의 하면은 후술할 해충 박멸부(90)와 내통 결합되기 위하여 개방되어 있다.
해충 박멸부(90)는 하우징(20) 하단에 별도로 형성된 공간인 해충 수납 스페이스를 구비한 것으로서 하단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상, 즉 상광하협(上廣下狹)한 형상으로 이루어지거나 아니면 기타 형성으로 이루어지고 하단 부위에는 해충 및 물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배출부(92)가 형성되고 이에 나사산 결합 방식 등의 탈착 방식으로 개폐되는 캡(91)이 이를 개폐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해충 박멸부(90)는 하우징(20)과 별도로 이루어져 하우징(20)의 하단에 추가로 마련된 결합부와 나사산 결합 방식 등에 의하여 탈착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체크밸브(85)를 개방시켜 물탱크(80)의 물을 하우징(20) 내로 낙하시키면 하우징(20) 내에서 이동하거나 비행 중이던 해충을 물로 쓸어내려 순간적으로 하우징(20) 하부의 해충 박멸부(90)로 이동시킨다. 이 과정에서 해충을 익사시킬 수도 있고 물에 젖게 하여 비행성을 현저하게 떨어트림으로써 해충을 해충 박멸부(90) 쪽에 모으는 것이 가능하다. 이 때, 관리자는 해충 배출부(90)를 개방시켜 물을 빼면서 익사하거나 이동성이 줄어든 해충을 외부로 빼내어 사후 처리를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는 특성을 제공한다.
도 5에 따른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컨트롤러(100)는 체크밸브 구동모듈(140)을 추가로 구비한다.
체크밸브 구동모듈(140)은 상기 개체수 파악모듈(120)에 의하여 파악된 개체수의 대소에 따라 상기 체크밸브(85)(전자밸브)의 개폐 여부를 제어하는 것으로, 다시 말해 스페이스(21) 내에 일정 수의 해충이 포획되었을 때 체크밸브(85)를 개방 구동하여 물탱크(80)의 물을 낙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체크밸브(85)의 개폐 역시 하우징(20) 내의 해충이 일정 수 포획되었을 때에 컨트롤러(100)의 기능에 의하여 자동 제어되는 편의성을 제공한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인제를 이용한 친환경 해충 방제용 트랩 장치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트랩 장치 20: 하우징
21: 스페이스 22: 유인제 장착구
23: 디스펜서 장착구 24: 스트랩 고정부
25: 연결 스트랩 30: 출입 홀
31: 경사면 32: 통공
33: 출입부 34: 연장부
35: 탄성체 36: 제 1 코팅층
37: 제 2 코팅층 38: 돌기
40: 유인제 수납통 41: 확산공
50: 디스펜서 51: 챔버
52: 분사 노즐 53: 분사기
60: 센서부 61: 포토 센서
62: 초음파 센서 70: 솔라셀
80: 물탱크 80a: 배출공
81: 배관 85: 체크밸브
90: 해충 박멸부 91: 캡
92: 배출부 100: 컨트롤러
110: 태양광 발전모듈 120: 개체수 파악모듈
130: 디스펜서 구동모듈 140: 체크밸브 구동모듈

Claims (6)

  1. 유인제를 이용한 친환경 해충 방제용 트랩 장치로서,
    내부에 스페이스를 구비하여 적어도 2개의 몸체로 분리 가능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적어도 일 측에서 상기 스페이스 방향으로 경사면을 따라 오목하게 함입 형성된 것으로, 상기 경사면에 복수의 통공이 관통 형성되고 내측 단에 출입구가 관통 형성된 출입 홀;
    상기 하우징 내에 형성된 유인제 장착구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확산 가능하게 유인제를 함유한 유인제 수납통;
    상기 하우징 내에 형성된 디스펜서 장착구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분사액을 챔버에 수용하여 분사기의 작동으로 분사 노즐에서 상기 분사액을 상기 스페이스 내에 분사하는 디스펜서;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인제를 이용한 친환경 해충 방제용 트랩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구는,
    상기 스페이스 방향으로 방향으로 연장된 연장부를 구비하되,
    상기 연장부는, 둘레를 따라 복수 개의 갈래로 이루어지되 끝단이 모아지도록 라운딩지게 휘어진 탄성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인제를 이용한 친환경 해충 방제용 트랩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은,
    내측 면에 적층된 제 1 코팅층과, 외측 면에 적층된 제 2 코팅층을 포함하되,
    상기 제 2 코팅층의 마찰계수가 상기 제 1 코팅층의 마찰계수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인제를 이용한 친환경 해충 방제용 트랩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트랩 장치는,
    포토센서 및 초음파센서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져, 상기 스페이스에 포획된 해충의 개체수를 감지하는 감지 정보를 생성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의 감지 신호를 통해 해충 개체수를 파악하는 개체수 파악모듈과, 상기 개체수 파악모듈에서의 개체수 파악 여부에 따라 상기 디스펜서의 분사기를 작동 제어하는 디스펜서 구동모듈을 포함한 컨트롤러;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인제를 이용한 친환경 해충 방제용 트랩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하부가 개방되게 구성되고,
    상기 트랩 장치는,
    물을 저장하는 물탱크;
    상기 물탱크에 배관을 매개로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하우징의 상부 일 측에서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체크밸브;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탈착 가능하게 형성된 것으로, 해충 수납 스페이스를 내부에 구비하고, 일 측에 캡이 개폐 가능하게 장착된 해충 수납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인제를 이용한 친환경 해충 방제용 트랩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트랩 장치는,
    포토센서 및 초음파센서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져, 상기 스페이스에 포획된 해충의 개체수를 감지하는 감지 정보를 생성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의 감지 신호를 통해 해충 개체수를 파악하는 개체수 파악모듈과, 상기 개체수 파악모듈에서의 개체수 파악 여부에 따라 상기 체크밸브를 개폐 제어하는 체크밸브 구동모듈을 포함한 컨트롤러;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인제를 이용한 친환경 해충 방제용 트랩 장치.
KR1020130146591A 2013-11-28 2013-11-28 유인제를 이용한 친환경 해충 방제용 트랩 장치 KR2015006205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6591A KR20150062051A (ko) 2013-11-28 2013-11-28 유인제를 이용한 친환경 해충 방제용 트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6591A KR20150062051A (ko) 2013-11-28 2013-11-28 유인제를 이용한 친환경 해충 방제용 트랩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2051A true KR20150062051A (ko) 2015-06-05

Family

ID=534999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6591A KR20150062051A (ko) 2013-11-28 2013-11-28 유인제를 이용한 친환경 해충 방제용 트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6205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0783U (ko) 2018-10-10 2020-04-20 대한민국(농림축산식품부 농림축산검역본부장) 작은벌집딱정벌레 유인트랩
KR20200082926A (ko) * 2018-12-31 2020-07-08 (주)마이크로자임 돌발해충 포획용 비전원형 발광 포획트랩
KR102362518B1 (ko) * 2021-10-29 2022-02-14 안병욱 과실 수집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0783U (ko) 2018-10-10 2020-04-20 대한민국(농림축산식품부 농림축산검역본부장) 작은벌집딱정벌레 유인트랩
KR20200082926A (ko) * 2018-12-31 2020-07-08 (주)마이크로자임 돌발해충 포획용 비전원형 발광 포획트랩
KR102362518B1 (ko) * 2021-10-29 2022-02-14 안병욱 과실 수집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1451113U (zh) 多功能诱捕器
CN108902079B (zh) 一种农田双重诱捕灭害虫装置及其工作方法
US20080163541A1 (en) Flying Insect Trap
BR102013017279B1 (pt) Armadilha de observação mata insetos para a captura massiva e controle do bicudo do algodoeiro
KR20150062051A (ko) 유인제를 이용한 친환경 해충 방제용 트랩 장치
US7320439B2 (en) Self-contained insect repelling and killing apparatus
CN102013036A (zh) 昆虫诱捕量光敏计数装置
KR20200093132A (ko) 다층구조의 태양광 led조명등과 해충유인 솔라백이 구비된 끈끈이 해충 포획 및 야생동물 퇴치 트랩
KR20190004428A (ko) 토양 바닥 설치형 일회용 토양 서식 해충 포집기
CN204498882U (zh) 一种园林树木注药器
CN211153451U (zh) 一种水循环利用防逃逸害虫诱捕器
CN105994222A (zh) 一种农田捕虫装置
CN103999837A (zh) 一种多层式农业诱捕杀虫装置
CN202456164U (zh) 白蚁监测装置
KR101523059B1 (ko) 곤충트랩
KR20100009079U (ko) 바퀴벌레 포획 및 살충 상자
KR101423262B1 (ko) 해충 포집 장치
KR101857372B1 (ko) 해충 트랩 장치
CN201898802U (zh) 一种十字挡板诱捕器
CN202104147U (zh) 白蚁诱杀筒
US20190075775A1 (en) ONE WAY Mosquito trap
CN210580660U (zh) 一种环境治理用老鼠捕捉器
CN209594583U (zh) 一种诱杀白蚁的复合装置
CN202958535U (zh) 捕蝇诱卵器
BR202013009546U2 (pt) Dispositivo tipo armadilha para captura e extermínio de insetos em ger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