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0783U - 작은벌집딱정벌레 유인트랩 - Google Patents

작은벌집딱정벌레 유인트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0783U
KR20200000783U KR2020180004621U KR20180004621U KR20200000783U KR 20200000783 U KR20200000783 U KR 20200000783U KR 2020180004621 U KR2020180004621 U KR 2020180004621U KR 20180004621 U KR20180004621 U KR 20180004621U KR 20200000783 U KR20200000783 U KR 2020000078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p
beetle
small
bottom plate
plat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46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1892Y1 (ko
Inventor
조윤상
유미선
곽규원
서현지
현방훈
남상민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농림축산식품부 농림축산검역본부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농림축산식품부 농림축산검역본부장) filed Critical 대한민국(농림축산식품부 농림축산검역본부장)
Priority to KR20201800046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1892Y1/ko
Publication of KR2020000078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078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189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189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02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with devices or substances, e.g. food, pheronones attracting the insec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47/00Beehives
    • A01K47/06Other details of beehives, e.g. ventilating devices, entrances to hives, guards, partitions or bee escap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14Catching by adhesive surfa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00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containing a foodstuff as carrier or diluent, i.e. bai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200/00Kind of animal
    • A01M2200/01Insects
    • A01M2200/012Flying insec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Plant Pathology (AREA)
  • Toxicology (AREA)
  • Dentistr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꿀벌 기생충인 작은벌집딱정벌레를 유인하여 포획할 수 있는 유인트랩에 관한 것으로, 정방형의 바닥판(110)과, 상기 바닥판(110)의 서로 마주하는 변(side)에서 각각 절곡 연장된 한 쌍의 제1 및 제2측판(120)(130)과, 상기 바닥판(110)의 서로 마주하는 나머지 변(side)에서 각각 절곡 연장된 한 쌍의 제3 및 제4측판(140)(150)과, 상기 제3 및 제4측판(140)(150)에서 각각 절곡 연장되어 상기 바닥판(110)의 상부를 덮도록 마련된 제1 및 제2상부판(160)(170)으로 구성된 판지에 의해 육면체로 조립되며, 각 측판 또는 상부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복수의 관통된 게이트가 형성되고 각 게이트에 개폐 가능한 도어가 마련되는 트랩박스(100)와; 상기 바닥판(110)의 상부에 도포된 끈끈이와 함께 구비되는 유인제(21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작은벌집딱정벌레 유인트랩{Attraction trap for Aethina tumida}
본 고안은 꿀벌 기생충인 작은벌집딱정벌레를 유인하여 포획할 수 있는 유인트랩에 관한 것이다.
본래 사하라사막 이남의 아프리카 지역에만 서식하던 꿀벌 기생충인 작은벌집딱정벌레 (Small hive beetle, SHB)가 2016년 9월 경남 밀양지역의 한 서양벌 (Apis mellifera) 양봉장에서 국내 최초로 공식 진단되었다. 작은벌집딱정벌레 감염증 (Small hive beetle infestation)은 2018년 현재 미국, 호주, 이탈리아, 브라질 등 주로 아열대성 및 열대성 기후지역에서 피해를 주고 있으며, 아시아국가중에서는 필리핀에서 최초로 2014년에 유입이 확인되었다.
2016년 9월 국내 최초 공식발생확인 이후, 2016년 전국 모니터링 검사 결과, 추가로 42호 (부산 1, 경남 41)가 확인되었으며, 2018년 현재까지 경남 밀양지역을 중심으로 발생이 지속되고 있어 전국적으로 확산되는 것을 막기 위한 대책이 필요한 실정이다.
작은벌집딱정벌레는 고온다습한 환경에서 번식이 잘되고 성충은 10마일 (약 16km)까지 비행하므로 전체 서양벌 양봉농가중 50%정도가 이동양봉을 하고 있는 우리나라 실정에서는 추가 확산위험성이 잠재하고 있는 실정이다.
외국에서 연구중이거나 개발된 작은벌집딱정벌레 방제기술은 다음과 같다. 우선, 프로폴리스 및 일벌 페로몬을 작은벌집딱정벌레 기피제로 이용하는 회피적 방제법이 있다. 둘째, 콘크리트 바닥면에 벌통을 배치하여 토양에서 번데기가 우화하는 것을 차단하는 방법이다. 작은벌집딱정벌레는 벌통 안에 산란하여 애벌레가 된 후, 벌통주변 토양속에서 우화 (번데기)하는 특이한 생활사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 시기의 생활사를 차단하는 방법이다. 셋째, 곰팡이류 및 선충류 등의 생물학적 방제제를 이용하는 방법이다. 곰팡이류로는 Beaveria spp., Paecilomyces spp., Metarhizium spp., Fusarium spp. 등이 연구개발되고 있으며, 선충류로는 Steinernema riobrave, Steinernema carpocapsae, Heterorhabditis megidis 등이 연구개발되고 있다. 넷째, 살충제를 이용한 화학적 방제법이다. 미국의 경우, 쿠마포스 스트립제제 (상품명: CheckMite®) 및 싸이퍼메쓰린 토양살충제 (상품명: GardStar®)가 양봉용으로 허가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용법과 용량, 사용상 주의사항 등을 엄격히 준수해야 꿀벌과 인체위해성을 방지할 수 있다. 호주의 경우, 안전성이 개선된 피프로닐 트랩 (상품명: Aphithor®)이 화학적 트랩으로 사용되고 있다. 다섯째, 성충방제를 위한 다양한 형태 (오일트랩, 규조토트랩 등)의 트랩이 개발되어 시판되고 있다.
그러나, 국내 허가된 작은벌집딱정벌레용 화학적 구제제는 없는 실정이다. 다만, 자가 제작된 스페시멘컵, 샌드위치박스 등의 트랩과 유인제로 화분떡을 사용하고 오일, 석회 등을 이용한 물리적 구제법을 사용하고 있으나 살충 및 유인효과가 우수하고 저비용의 경제성 있는 트랩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국내에서 작은벌집딱정벌레감염증 발생시 우선 방역조치는 SHB 발생봉군은 이동이 금지되고, SHB 발생지역에서 봉군을 SHB 청정지역으로 이동시 가축방역기관으로부터 SHB 음성증명을 받고 이동해야 한다. 양봉농가에서 SHB 감염증을 예방하려면, SHB 성충이 봉군으로 침입하지 못하도록 햇볕이 잘 들고 습하지 않은 양호한 봉장환경과 적정량의 화분떡 공급 등 적절한 사양관리가 권장되고 있다. 애벌레가 대량 기생하는 심감염의 경우, 벌통 소각 및 감염물의 냉동처리 등를 통한 살충방법이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62051호(2015.06.05. 공개)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서, 신종 꿀벌 기생충인 작은벌집딱정벌레를 방제할 수 있는 작은벌집딱정벌레용 유인트랩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작은벌집딱정벌레용 유인트랩은, 정방형의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서로 마주하는 변(side)에서 각각 절곡 연장된 한 쌍의 제1 및 제2측판과, 상기 바닥판의 서로 마주하는 나머지 변(side)에서 각각 절곡 연장된 한 쌍의 제3 및 제4측판과, 상기 제3 및 제4측판에서 각각 절곡 연장되어 상기 바닥판의 상부를 덮도록 마련된 제1 및 제2상부판으로 구성된 판지에 의해 육면체로 조립되며, 각 측판 또는 상부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복수의 관통된 게이트가 형성되고 각 게이트에 개폐 가능한 도어가 마련되는 트랩박스와; 상기 바닥판의 상부에 도포된 끈끈이와 함께 구비되는 유인제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도어는 가로 및 세로가 3∼10㎜의 사각형이며, 상기 유인제는 콜라가 첨가된 화분떡을 포함한다.
본 고안에 따른 작은벌집딱정벌레용 유인트랩은, 판지를 소재로 한 육면체 구조를 갖는 유인트랩과, 이 유인트랩의 바닥판에 도포된 끈끈이와 함께 유인제가 구비되어 신종 꿀벌 기생충인 작은벌집딱정벌레를 안전하고 효과적이며, 경제적으로 구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작은벌집딱정벌레의 성충 모습을 보여주는 사진,
도 2는 작은벌집딱정벌레의 생활사를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트랩박스의 사시 구성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트랩박스의 평면 전개도,
도 5의 (a)(b)는 본 고안에 따른 트랩박스의 평면 전개도에 대한 사진,
도 6의 (a)(b)는 본 고안의 트랩박스에 의한 작은벌집딱정벌레의 유인 실험 결과를 보여주는 사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트랩박스가 설치된 양봉 벌통을 보여주는 도면.
작은벌집딱정벌레 감염증을 일으키는 원인체의 학명은 벌집꼬마납작밑빠진벌레(Aethina tumida Murray)이며, 남아프리카가 원산지인 꿀벌 기생충이다. 해충의 애벌레가 봉개나 소비를 뚫어버리고 꿀벌 알, 애벌레, 꿀, 화분 등을 섭취하면서 훼손하여 봉군을 궤멸시킨다. 현재는 미국, 이집트, 호주, 이탈리아, 브라질 등 온난하고 습도가 높은 지역에서 피해를 일으키고 있다. 국내에서는 2016년 9월23일 경남 밀양 서양벌 농가에서 최초로 확인되었으며, 세계동물보건기구 (OIE)에서 꿀벌 질병중 국가교역상 중요한 관리대상 질병으로 되어있다.
작은벌집딱정벌레는 기회감염성의 포식곤충 (scavanger)이며, 수액딱정벌레 및 화분딱정벌레와 밀접한 연관이 있다. 봉군 내에서 작은벌집딱정벌레는 화분, 꿀, 유충을 섭식한다. 작은벌집딱정벌레 감염증과 연관된 피해는 딱정벌레의 유충기때 많이 발생한다. 성충은 봉군에 약간의 피해를 주며, 일벌이 정상적으로 일을 하지 못하도록 주의를 분산시키는 정도의 피해를 주지만 일반적으로 양봉가가 유충의 피해를 알아챘을 때는 대개 벌통을 복구하기 어렵다. 유충은 순식간에 개체수가 증가하며 (주로 수백에서 수천마리), 그 즉시 소비를 뚫기 시작한다. 유충은 먹이를 섭식하고 나면, 유충의 분변 내에 화분과 꿀을 발효시키는 Kodamaea ohmeri 라는 효모를 퍼뜨리며, 소비의 표면에 끈적끈적한 분변을 배설한다. 이러한 이유로 꿀벌은 끈적끈적해진 소비에 접근하지 못하게 되어 유충의 육아가 중단되고, 꿀벌 개체수가 급격히 감소하게 된다. 이러한 현상을 "슬라임아웃(Slimeout)"이라 부른다. 심한 경우, 꿀벌들은 벌통의 밖에서 무리지어 있거나, 벌통을 버리고 도망가기도 한다. 작은벌집딱정벌레 유충에 피해가 발생할 경우, 피해를 입은 벌통을 열어보기 전에 이를 알아챌 수 있는 두 가지의 명확한 증상이 있다: (1) 썩은 감귤류 (Citrus)의 강한 향과 (2) 벌통 앞으로 도망친 벌들의 출현이다.
작은벌집딱정벌레는 ColeopteraNitidulidae과에 속하는 곤충이다. 과일의 즙을 먹기 때문에 수액딱정벌레에 속하며, 영문학명은 Aethina tumida Murray이며, 국문학명은 벌집꼬마납작밑빠진벌레이다. 작은벌집딱정벌레는 알, 유충, 번데기 및 성충으로 구성된 4 단계의 생활사를 가진다. 알에서 성충으로의 변태는 4-6주 정도 소요되며, 이상적인 기후에서는 연중 6세대까지 연속적으로 발생할 수 있다.
작은벌집딱정벌레의 알은 길이가 약 1.4mm이고 너비가 0.26mm이며, 꿀벌 알과 모양과 색깔은 비슷하지만 크기는 더 작다. 작은벌집딱정벌레는 벌통에서 어둡고 일벌들이 자주 접근하지 않는 곳에 무더기로 산란하며, 때때로 암컷 작은벌집딱정벌레는 봉개된 곳에 구멍을 뚫고 꿀벌 애벌레 안으로 알을 산란하기도 한다. 그러나, 알은 벌통 검사중에 발견하기 어렵기 때문에 작은벌집딱정벌레를 현장에서 진단하는 데는 도움이 되지 못한다.
작은벌집딱정벌레의 애벌레는 종종 벌집 나방, 즉 큰벌집나방 (Galleria mellonella), 작은벌집나방 (Achroia grisella) 유충과 혼동된다. 작은벌집딱정벌레의 애벌레는 둥글납작한 머리를 가진 벌집 나방의 애벌레와 비교했을 때, 상대적으로 작고 납작한 머리를 가지고 있으며 몸에 수많은 돌기가 있고 등쪽에 작은 돌기가 두 줄로 있는 반면, 벌집 나방의 애벌레는 드문드문 긴 털로 덮여있다. 작은벌집딱정벌레의 애벌레는 머리근처에 6개(3쌍)의 다리가 있는 반면, 벌집 나방의 애벌레는 몸을 따라 8개의 복각이 있으며 추가적으로 머리근처에 6개의 다리가 있다. 복부 분할은 작은벌집딱정벌레의 애벌레에서 훨씬 더 분명하게 관찰되며, 가장 큰 차이점은 벌집나방의 애벌레는 거미줄과 같은 섬유를 분비하여 고치를 만들지만, 작은벌집딱정벌레의 애벌레는 벌집 나방의 애벌레처럼 벌방에 섬유를 분비하거나 고치를 만들지 않는다. 또한, 작은벌집딱정벌레와 벌집 나방의 성숙한 애벌레는 엄청난 크기 차이가 있다. 작은벌집딱정벌레의 애벌레는 길이가 9.5mm이고 직경 1.6mm 정도이나, 벌집 나방의 애벌레는 길이 20mm, 직경 6.5mm 이상이다. 그러나 두 종의 성숙한 애벌레의 크기는 영양 및 온도와 같은 환경 요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작은벌집딱정벌레의 번데기는 전체 생활사중 벌통에서 일어나지 않는 유일한 단계이다. 말령기의 작은벌집딱정벌레 유충은 벌통 밖으로 나가게 되며, 벌통외부에서 번데기 시기를 보내게 된다. 주로 작은벌집딱정벌레 번데기는 벌통 주변 토양에서 발견될 가능성이 가장 높으며, 말령기의 유충이 번데기를 보내기 위하여 토양을 파고 들어가는 깊이는 토양의 종류와 수분함량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보통 토양표면에서 약 15cm 깊이 내의 토양에 존재한다. 번데기의 길이는 4.5-6mm이며, 토양이 건조할수록 더 깊은 곳에서 번데기를 발견할 수도 있다. 번데기는 함께 모여 있지는 않으며, 토양 전체에 무작위로 분산되어 있고, 애벌레와는 명확하게 구별되는 눈, 구강 및 부속기를 가지고 있으며 색상은 그을린 흰색이다.
갓 우화한 성충은 연한 적갈색이지만, 24-48시간후에 외골격이 단단해 지면서 거의 검은색으로 변한다. 암컷 성충은 길이가 약 5.7mm이며, 수컷은 평균 5.5mm 정도로 약간 짧다. 성충은 암수 모두 위에서 보았을 때 타원형 모양이다. 일반적으로 육안으로 암컷과 수컷을 거의 구별하기는 어려우나 성숙한 크기는 자연 환경에서 크게 달라질 수 있는데, 이는 애벌레 단계에서 영양 섭취와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다. 또한 성충은 곤봉 모양의 더듬이를 가지고 있으며, 몸체는 미세한 황금빛 털로 덮여 있어서 손으로 만지면 미끄럽다.
도 1은 작은벌집딱정벌레의 성충 모습을 보여주는 사진으로서, 크기는 애벌레 단계의 영양수준에 따라서 다를 수 있으나, 평균 3×5.5㎜ 정도이다.
도 2는 작은벌집딱정벌레의 생활사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작은벌집딱정벌레는 알, 애벌레, 번데기, 성충의 발달단계를 완성하기 위해서 벌통 안과 밖을 이동한다.
구체적으로는, ①성충이 외부로부터 군세가 약한 벌통으로 침입한다. ②암컷의 작은벌집딱정벌레는 다수의 알 집락을 벌통주변의 틈새 혹은 화분 및 산란방에 구멍을 뚫고 그 내부에 산란한다. ③알은 2-4일내에 부화하며, 애벌레는 즉시 먹이를 찾기 시작한다. 애벌레는 화분, 꿀, 꿀벌 애벌레, 꿀벌 알 등을 먹을 수 있다. ④작은벌집딱정벌레는 전형적으로 애벌레 발달을 7-10일 이내에 완성한다. 성숙한 "배회(wandering)"애벌레는 벌통을 빠져나오고 토양 속으로 파고 들어간다. ⑤애벌레는 토양 상층부 평균 약 15 cm 깊이에서 번데기화한다. 번데기가 완성되려면 3-6주정도 소요되며, 온도와 토양 습도에 따라 차이가 난다. ⑥새롭게 출현한 작은벌집딱정벌레 성충은 냄새로 숙주 봉군을 찾아내며, 비행능력이 탁월하여 쉽게 다른 봉군으로 확산될 수 있다.
작은벌집딱정벌레의 성충은 빛을 피하고 꿀벌이 접근할 수 없는 공간에 모여 있는 경향을 보이며, 내검 시에 뚜껑의 안쪽, 벽체 또는 소비를 넘나드는 작은벌집딱정벌레를 관찰할 수 있다.
벌통 내에서 작은벌집딱정벌레의 성충수를 줄이는 방법은 가장 큰 피해를 주는 애벌레 부화를 막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에 본 고안은 신종 꿀벌 기생충인 작은벌집딱정벌레를 방제하기 위하여 벌통 내에서 구비되어 작은벌집딱정벌레의 성충을 포획할 수 있는 유인트랩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며,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트랩박스의 사시 구성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트랩박스의 평면 전개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본 고안에 따른 트랩박스(100)는 판지를 조립하여 구성된 육면체 구조를 가지며, 측판에는 복수의 게이트가 형성되고 각 게이트에 개폐 가능한 도어(D)가 마련된다. 도어(D)는 판지로 이루어진 측판의 일부를 절취하여 개폐 가능하며, 바람직하게는, 작은벌집딱정벌레의 성충의 크기를 고려하여 가로 및 세로가 3∼10㎜에서 결정된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트랩박스의 평면 전개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본 고안에 따른 트랩박스(100)는, 정방형의 바닥판(110)과, 바닥판(110)의 서로 마주하는 변(side)에서 각각 절곡 연장된 한 쌍의 제1 및 제2측판(120)(130)과, 바닥판(110)의 서로 마주하는 나머지 변(side)에서 각각 절곡 연장된 한 쌍의 제3 및 제4측판(140)(150)과, 제3 및 제4측판(140)(150)에서 각각 절곡 연장되어 바닥판(110)의 상부를 덮도록 마련된 제1 및 제2상부판(160)(170)을 포함하여 판지로 이루어진 육면체 구조를 갖는다.
바닥판(110)의 상부에는 끈끈이(접착제)와 함께 작은벌집딱정벌레의 유인을 위한 유인제(210)가 구비된다.
각 측판(120)(130)(140)(150)은 바닥판(110)의 네 개의 테두리에서 각각 절곡 연장되며, 이때 제3 및 제4측판(140)(150)은 다시 절곡 연장되어 바닥판(110)의 상부를 덮도록 제1 및 제2상부판(160)(170)을 포함한다.
제1 및 제2상부판(160)(170)은 각각 조립돌기(161)와 조립홈(171)이 형성되며, 조립돌기(161)와 조립홈(171)가 서로 끼움 조립이 이루어져 제1 및 제2상부판(160)(170)이 조립이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상부판(160)(170)은 조립돌기(161)와 조립홈(171)에 의해 끼움 조립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예시하여 보여주고 있으나, 조립돌기와 조립홈의 숫자 또는 위치는 다양하게 변형이 가능하고 또한 돌기에 의해 조립이 아닌 테이프에 의해 두 상부판의 조립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한편, 제1 및 제2측판(120)(130)은 절곡 연장되어 제1 및 제2상부판(160)(170)에 끼움 조립되는 제1 및 제2연장판(121)(131)을 더 포함하며, 이 연장판(121)(131)은 제1 및 제2상부판(160)(170)의 아래로 접혀 조립된다.
본 실시예에서 각 측판(120)(130)(140)(150)은 관통된 게이트가 형성되고 각 게이트에 개폐 가능한 도어(D)가 마련되는 것을 보여주고 있으나, 이러한 도어(D)의 배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부판(160)(170)에도 도어가 배치될 수 있다.
도 5의 (a)(b)는 본 고안에 따른 트랩박스의 평면 전개도에 대한 사진으로서, (a)는 바닥판에 끈끈이가 부착된 것을 보여 주고 있으며, (b)는 끈끈이와 함께 화분떡이 구비된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물리적 살충트랩으로 끈끈이와 유인제로 화분떡을 기본으로 하는 종이 유인트랩(유인트랩A)과, 끈끈이와 콜라가 첨가된 화분떡이 구비된 종이 유인트랩(유인트랩B)을 각각 제작하고 아크릴 박스 내에 작은벌집딱정벌레와 함께 넣고 시간경과에 따른 유인효과를 시험하였다. 각 유인트랩의 끈끈이 위에 구비된 화분떡은 25g이 사용되었으며, 유인트랩B는 2.5㎖의 콜라가 화분떡에 첨가되었다.
24시간 72시간
유인트랩A 3 29
유인트랩B 26 47
[표 1]은 각 유인트랩의 24시간과, 72시간 후에 포획된 작은벌집딱정벌레의 성충수를 조사한 결과를 보여주고 있으며, 각 유인트랩 모두에서 작은벌집딱정벌레가 포획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특히 회분떡에 콜라가 첨가된 유인트랩B는 유인트랩A와 비교하여 24시간 후에 8.7배 더 유인살충효과가 상승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72 시간 후의 조사결과에서는 약 1.6배 상승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참고로, 도 6의 (a)(b)는 본 고안의 트랩박스에 의한 작은벌집딱정벌레의 유인 실험 결과를 보여주는 사진으로서, (a)는 72시간 후의 유인트랩A에 대한 실험 결과를 보여주고 있으며, (b)는 72시간 후의 유인트랩B에 대한 실험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다음으로 유인효과의 상승이 확인된 유인트랩B의 실시예에 대하여 일정 수(25 마리)의 성충에 대하여 72시간 후의 유인살충 효과를 조사하여 다음의 [표 2]의 결과를 얻었다.
포획 성충수
유인트랩B 18/25(72%)
[표 2]에서 알 수 있듯이, 콜라가 첨가된 회분떡이 구비된 유인트랩에서 72시간 후에 작은벌집딱정벌레 25 마리 중에서 18마리가 포획되어 72%의 유인살충 효과를 확인하였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트랩박스가 설치된 양봉 벌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을 참고하면, 양봉 벌통(10)은 직육면체의 몸체(11)에 다수의 소비판(12)이 수직으로 연속하여 꼽히게 되고 몸체(11)의 상측 개구부에는 뚜껑(13)이 조립되며, 각 소비판(12)에 벌집이 형성되어 벌꿀이 채워지면 소비판(40)을 분리하여 원심분리하여 벌꿀의 채취가 이루어진다.
이러한 양봉 벌통(10)은 본체(110)의 하부에 마련된 출입구(11a)와 인접하여 본체(11)의 바닥면에 본 고안의 유인트랩(100)이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유인트랩(100)이 양봉 벌통(10)의 내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예시하여 보여주고 있으나, 양봉 벌통(10)의 외부에 설치될 수 있으며, 또는 양봉 벌통의 내부와 외부 모두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00 : 유인트랩 110 : 바닥판
120 : 제1측판 130 : 제2측판
140 : 제3측판 150 : 제4측판
160 : 제1상부판 170 : 제2상부판
210 : 유인제 D : 도어

Claims (4)

  1. 정방형의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서로 마주하는 변(side)에서 각각 절곡 연장된 한 쌍의 제1 및 제2측판과, 상기 바닥판의 서로 마주하는 나머지 변(side)에서 각각 절곡 연장된 한 쌍의 제3 및 제4측판과, 상기 제3 및 제4측판에서 각각 절곡 연장되어 상기 바닥판의 상부를 덮도록 마련된 제1 및 제2상부판으로 구성된 판지에 의해 육면체로 조립되며, 각 측판 또는 상부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복수의 관통된 게이트가 형성되고 각 게이트에 개폐 가능한 도어가 마련되는 트랩박스와;
    상기 바닥판의 상부에 도포된 끈끈이와 함께 구비되는 유인제를 포함하는 작은벌집딱정벌레용 유인트랩.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가로 및 세로가 3∼10㎜의 사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은벌집딱정벌레용 유인트랩.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인제는 콜라가 첨가된 화분떡을 포함하는 작은벌집딱정벌레용 유인트랩.
  4. 제1항에 따른 작은벌집딱정벌레용 유인트랩이 내부 바닥면에 구비되는 양봉 벌통.
KR2020180004621U 2018-10-10 2018-10-10 작은벌집딱정벌레 유인트랩 KR20049189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4621U KR200491892Y1 (ko) 2018-10-10 2018-10-10 작은벌집딱정벌레 유인트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4621U KR200491892Y1 (ko) 2018-10-10 2018-10-10 작은벌집딱정벌레 유인트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0783U true KR20200000783U (ko) 2020-04-20
KR200491892Y1 KR200491892Y1 (ko) 2020-06-25

Family

ID=704551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4621U KR200491892Y1 (ko) 2018-10-10 2018-10-10 작은벌집딱정벌레 유인트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189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82789A1 (ko) * 2022-03-22 2023-09-28 김호겸 작은벌집딱정벌레 포획 트랩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3868A (ko) 2021-07-20 2023-01-27 김호겸 작은벌집딱정벌레 포획 트랩
KR20230137563A (ko) 2022-03-22 2023-10-05 김호겸 작은벌집딱정벌레 포획 트랩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50546A (ja) * 1999-06-11 2000-12-19 Fumakilla Ltd ゴキブリ捕獲器
KR20150062051A (ko) 2013-11-28 2015-06-05 주식회사 자연인 유인제를 이용한 친환경 해충 방제용 트랩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50546A (ja) * 1999-06-11 2000-12-19 Fumakilla Ltd ゴキブリ捕獲器
KR20150062051A (ko) 2013-11-28 2015-06-05 주식회사 자연인 유인제를 이용한 친환경 해충 방제용 트랩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82789A1 (ko) * 2022-03-22 2023-09-28 김호겸 작은벌집딱정벌레 포획 트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1892Y1 (ko) 2020-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ood The small hive beetle, Aethina tumida: a review
Cuthbertson et al. The small hive beetle Aethina tumida: A review of its biology and control measures
Fitch A simplified type of funnel trap for reptiles
Wakgari et al. Honeybee keeping constraints and future prospects
KR200491892Y1 (ko) 작은벌집딱정벌레 유인트랩
Gulati et al. Enemies of honeybees and their management–a review
Minas et al. Potential of entomopathogenic nematodes (Rhabditida: Heterorhabditidae) to control Mediterranean fruit fly (Diptera: Tephritidae) soil stages.
Kumara et al. Status and management of three major insect pests of coconut in the tropics and subtropics
Dib et al. The feasibility and efficacy of early-season releases of a generalist predator (Forficula auricularia L.) to control populations of the RAA (Dysaphis plantaginea Passerini) in Southeastern France
Sarwar Insect pests of honey bees and choosing of the right management strategic plan
Rinker Insect, mite, and nematode pests of commercial mushroom production
Bacandritsos et al. Three non-toxic insect traps useful in trapping wasps enemies of honey bees
US20240008458A1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active pest denial, apiary monitoring and management
Akratanakul Honeybee diseases and enemies in Asia: a practical guide
Ellis The ecology and control of small hive beetles (Aethina tumida Murray)
Dippenaar-Schoeman, AS, De Jager, M. & Van den Berg Ammoxenus species (Araneae: Ammoxenidae)-specialist predators of harvester termites in South Africa
Parajulee et al. Laboratory rearing and field observations of Lyctocoris campestris (Heteroptera: Anthocoridae), a predator of stored-product insects
KR102298809B1 (ko) 벌통 해충 포집 트랩
Hamida Enemies of bees
Berndt Entomopathogenic nematodes and soil-dwelling predatory mites: Suitable antagonists for enhanced biological control of Frankliniella occidentalis (Pergande)(Thysanoptera: Thripidae)?
Annand Investigations on small hive beetle biology to develop better control options
Sanchez-Arroyo et al. House fly, Musca domestica Linnaeus
Akre et al. Bees and vespine wasps
Pierce Efficacy of entomopathogenic nematodes utilized for control of stable flies (Stomoxys calcitrans) at round bale feeding sites
Mishra et al. Chapter-4 Pests of Honey Bees and Their Manag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