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0680A - 잉크젯 프린트 강판용 잉크 조성물, 이를 이용한 잉크젯 프린트 강판 및 잉크젯 프린트 강판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잉크젯 프린트 강판용 잉크 조성물, 이를 이용한 잉크젯 프린트 강판 및 잉크젯 프린트 강판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0680A
KR20170020680A KR1020150115002A KR20150115002A KR20170020680A KR 20170020680 A KR20170020680 A KR 20170020680A KR 1020150115002 A KR1020150115002 A KR 1020150115002A KR 20150115002 A KR20150115002 A KR 20150115002A KR 20170020680 A KR20170020680 A KR 201700206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sheet
ink composition
steel plate
group
inkj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50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98715B1 (ko
Inventor
김진태
이정환
최하나
송연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501150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8715B1/ko
Priority to PCT/KR2016/008944 priority patent/WO2017030334A1/ko
Priority to US15/751,634 priority patent/US11591491B2/en
Priority to CN201680048314.6A priority patent/CN107922770A/zh
Priority to JP2018506922A priority patent/JP2018532001A/ja
Priority to EP16837276.1A priority patent/EP3336152B1/en
Publication of KR201700206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06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87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8715B1/ko
Priority to JP2020020293A priority patent/JP7436228B2/ja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30Inkjet printing ink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02Printing inks
    • C09D11/10Printing inks based on artificial resins
    • C09D11/101Inks specially adapted for printing processes involving curing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e.g. with UV-curing following the pri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1/00Inking and printing with a printer's forme
    • B41M1/26Printing on other surfaces than ordinary paper
    • B41M1/28Printing on other surfaces than ordinary paper on met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0011Pre-treatment or treatment during printing of the recording material, e.g. heating, irradi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0023Digital printing methods characterised by the inks us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0041Digital printing on surfaces other than ordinary paper
    • B41M5/0047Digital printing on surfaces other than ordinary paper by ink-jet pri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0041Digital printing on surfaces other than ordinary paper
    • B41M5/0058Digital printing on surfaces other than ordinary paper on metals and oxidised metal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0082Digital printing on bodies of particular shapes
    • B41M5/0088Digital printing on bodies of particular shapes by ink-jet pri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7/00After-treatment of prints, e.g. heating, irradiating, setting of the ink, protection of the printed stock
    • B41M7/0036After-treatment of prints, e.g. heating, irradiating, setting of the ink, protection of the printed stock using protective coatings or layers dried without cu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02Printing inks
    • C09D11/10Printing inks based on artificial resins
    • C09D11/102Printing inks based on artificial resins containing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 than those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02Printing inks
    • C09D11/10Printing inks based on artificial resins
    • C09D11/106Printing inks based on artificial resins containing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D11/107Printing inks based on artificial resins containing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from unsaturated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30Inkjet printing inks
    • C09D11/32Inkjet printing inks characterised by colouring agents
    • C09D11/322Pigment ink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30Inkjet printing inks
    • C09D11/38Inkjet printing inks characterised by non-macromolecular additives other than solvents, pigments or dy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2205/00Printing methods or features related to printing methods; Location or type of the layers
    • B41M2205/40Cover layers; Layers separated from substrate by imaging layer; Protective layers; Layers applied before imag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7/00After-treatment of prints, e.g. heating, irradiating, setting of the ink, protection of the printed stock
    • B41M7/0081After-treatment of prints, e.g. heating, irradiating, setting of the ink, protection of the printed stock us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or waves, e.g. ultraviolet radiation, electron beam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Inks, Pencil-Leads, Or Crayons (AREA)
  • Ink Jet Recording Methods And Recording Media Thereof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Ink Je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잉크젯 프린트 강판용 잉크 조성물, 이를 이용한 잉크젯 프린트 강판 및 잉크젯 프린트 강판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선형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 반응성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 자외선 경화형 개시제; 염료 및 안료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 및 산화방지제, 소포제 및 분산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잉크젯 프린트 강판용 잉크 조성물, 이를 이용한 잉크젯 프린트 강판 및 잉크젯 프린트 강판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잉크젯 프린트 강판용 잉크 조성물, 이를 이용한 잉크젯 프린트 강판 및 잉크젯 프린트 강판의 제조 방법{INK COMPOSITION FOR INKJET PRINT STEEL SHEET, INKJET PRINT STEEL SHEET USING THE SAM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INKJET PRINT STEEL SHEET}
본 발명은 잉크젯 프린트 강판용 잉크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인쇄된 잉크젯 프린트 강판 및 잉크젯 프린트 강판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무늬가 들어있는 프린트 강판은 실크 스크린 프린트 강판 및 롤 프린트 강판으로 나눌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프린트 강판들은 고급 해상도의 제품 생산이 어렵고, 반복적인 무늬만을 생산할 수 있다는 단점과 함께, 다양한 색상의 제품을 생산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특히 색상의 다양화를 이루기 위해서는 색상 별로 각각의 실크 스크린 틀 또는 각각의 식각된 롤이 필요하다. 그리고 각각의 색상들을 정확한 위치에 인쇄하기 어려워 높은 불량율을 감수해야 한다.
한편, 잉크젯 프린트를 철강용 프린트 강판의 인쇄 수단으로 사용하는 경우, 기존의 잉크젯 잉크로는 흡수성이 없는 철판 위에서 인쇄성과 밀착성을 확보하기 어려워 제품 생산이 불가능하다.
또한, 고경도를 가지면서 가공성을 확보하기 어렵고, 특히 빠른 생산 속도 및 철판에 고해상도의 패턴을 얻기 위해서 자외선 경화형의 잉크가 사용되는데 종래의 강판 코팅용 자외선 경화 용액의 경우 점도가 높아 잉크젯 분사가 어려워 적용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나아가, 용액의 잉크 분산성을 위해 유기 용제를 사용하는 경우 점도 조절이 가능하더라도 친환경적 생산을 기대하기 어려우며, 생산 공정 측면에서의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잉크 분사성 및 인쇄 작업성이 우수하며, 고해상도, 고경도 및 도막 밀착성을 갖는 잉크젯 프린트 강판을 제조할 수 있고, 유기 용제를 첨가하지 않고 저점도를 유지하는 잉크젯 프린트 강판용 잉크 조성물, 이를 이용한 프린트 강판 및 잉크젯 프린트 강판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냉연강판, 열연강판, 아연도금강판, 알루미늄 도금강판, 칼라도장강판, 스테인레스 강판, 마그네슘 강판, 알루미늄 강판, 아연 강판, 티타늄 강판 등의 강판에 도막 밀착성과 고경도의 단점을 최소화 하기 위한 도막 형성용 자외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로, 잉크 분사성 및 인쇄 작업성이 우수하고 경도가 높고 금속 소재와의 밀착성과 용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인쇄성을 제공하는 잉크젯 프린트 강판용 잉크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선형(linear type)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 11 내지 50중량%; 반응성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 19 내지 75중량%; 자외선 경화형 개시제 0.1 내지 15중량%; 염료 및 안료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 0.5 내지 10중량%; 및 산화방지제, 소포제 및 분산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 0.1 내지 10중량%를 포함하는, 잉크젯 프린트 강판용 잉크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잉크젯 프린트 강판용 잉크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무기입자가 부착된 선형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 0.1 내지 15중량%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선형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선형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및 선형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선형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고리형 지방족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지방족 폴리글리시딜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및 글리시딜 아민 타입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선형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지방족 우레탄 아크릴레이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반응성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는 벤젠고리를 포함하는 가지형(branch type) 모노머 또는 벤젠고리를 포함하지 않는 하이퍼브랜치형(Hyperbranch type) 모노머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반응성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는 페녹시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phenoxyethyl methacrylate), 비스페놀 A 디글리시딜 에테르 디(메타)아크릴레이트 및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trimethylolpropane triacrylat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무기입자는 실리카, 이산화티탄 및 알루미늄옥사이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무기입자는 직경 2 내지 500nm인 구형의 무기입자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선형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는 이소보닐 아크릴레이트(isobonyl acrylate), 이소보닐 메타크릴레이트(isobonyl methacrylate), 테트라히드로퓨릴 아크릴레이트(tetrahydrofuryl acrylate), 트리프로필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tripropyleneglycol diacrylate), 1, 6-헥산디올 디아크릴레이트(1, 6-hexane diol diacrylate) 및 펜타에리트리톨 트리아크릴레이트(pentaerythritol triacrylat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자외선 경화형 개시제는 2,2-디메톡시-2-페닐아세톤페논(2,2-dimethoxy-2-phenylacetophenone), 1-하이드록시사이클로헥실 페닐 케톤(1-hydroxycyclohexyl Phenyl Ketone), 1-(4-이소프로필페닐)-2-하이드록시-2-메틸프로판-1-온(1-(4-Isopropylphenyl)-2-hydroxy-2-methylpropane-1-one), 1,1-디메톡시 데옥시벤조인(1,1-dimethoxy deoxybenzoin), 3,3'-디메틸-4-메톡시벤조페논(3,3'-dimethyl-4-methoxybenzophenone), 1-(4-도데실 페닐)-2-하이드록시-2-메틸프로판-1-온(1-(4-dodecyl phenyl)-2-hydroxy-2-methyl propan-1-one), 2-메틸-1-[4-(메틸티오)페닐]-2-모르포리노프로판-1-온(2-methyl-1-[4-(methylthio) phenyl]-2-morpholino propan-1-one), (2,4,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포스핀옥사이드((2,4,6-Trimethylbenzoyl)diphenylphosphine Oxide), 에틸(2,4,6-트리메틸벤조일)페닐포스피네이트(ethyl(2,4,6-trimethylbenzoyl)phenylphosphinate), 비스(아실)포스핀옥사이드(bis(acyl)phosphine oxide), 메틸 벤조일포르메이트(methyl benzoylformate), 4-벤조일-4'-메틸디페닐설파이드(4-benzoyl-4'-methyldiphenylsulfide), 벤질 디메틸 케탈(benzyl dimethyl ketal), 플루오레논(fluorenone), 플루오렌(fluorene), 벤즈알데히드(benzaldehyde), 벤조페논(benzophenone), 안트라퀴논(anthraquinone) 및 크산톤(xanton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잉크젯 프린트 강판용 잉크 조성물의 점도는 25℃에서 1 내지 50cps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는, 강판의 어느 일면 또는 양면에 상기 잉크젯 프린트 강판용 잉크 조성물이 인쇄된 잉크젯 인쇄층을 포함하는, 잉크젯 프린트 강판을 제공한다.
상기 강판은, 냉연강판, 열연강판, 아연도금강판, 알루미늄도금강판, 칼라도장강판, 스테인레스강판, 마그네슘강판, 알루미늄강판, 아연강판 및 티타늄강판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잉크젯 인쇄층 상에 투명 도장층 또는 투명 필름층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투명 도장층은, 자외선 경화방식의 클리어 도장층, 분자량 3,000 내지 25,000의 폴리에스터계 수지층, 불소계를 포함하는 수지 도막층 및 자기 세정성을 가지는 불포화 폴리에스터계 수지층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투명 필름층은 폴리에스테르프탈레이트,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및 에틸비닐아세테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투명 필름층의 두께는 10 내지 15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잉크젯 프린트 강판은, 상기 강판 및 잉크젯 인쇄층 사이에, 도금층, 전처리층, 프라이머층, 컬러 도장층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층이 더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는, 상기 잉크젯 프린트 강판용 잉크 조성물을 잉크젯 헤드에 공급하는 단계; 및 잉크젯 프린팅을 이용하여 상기 잉크젯 프린트 강판용 잉크 조성물을 강판의 어느 일면 또는 양면에 분사하여 인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잉크젯 프린트 강판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강판에 인쇄된 잉크 조성물을 UV 경화시키는 경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강판은 냉연강판, 열연강판, 아연도금강판, 알루미늄도금강판, 칼라도장강판, 스테인레스강판, 마그네슘강판, 알루미늄강판, 아연강판 및 티타늄강판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잉크젯 프린트 강판용 잉크 조성물은 접착성, 고경도성 등을 향상시켜 다양한 종류의 강판 등 금속 소재에 적용될 수 있고, 상기 잉크젯 프린트 강판용 잉크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종래의 실크 스크린 프린트 강판이나 롤 프린트 강판 대비 공정을 단축시킬 수 있고, 고해상도의 제품 구현이 가능하며, 종래의 잉크젯 잉크 조성물로 적용하기 어려운 철강 표면에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가열 건조하는 수성/유성 타입의 수지 조성물 대신, 자외선에 의하여 경화되는 조성물을 이용함으로써, 용제를 사용하지 않고 친환경적으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잉크젯 프린트 강판의 일 구현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잉크젯 프린트 강판의 다른 일 구현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잉크젯 프린트 강판의 다른 일 구현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잉크젯 프린트 강판의 다른 일 구현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잉크젯 프린트 강판의 다른 일 구현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6은, 선형의 모노머를 포함하는 종래 기술(좌) 및 하이퍼브랜치형(hyperbranch type)의 모노머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7은, 일반 무기입자의 분산 형태를 나타낸 모식도(좌) 및 무기입자가 부착된 모노머의 분산 형태를 나타낸 모식도(우)이다.
도 8은, 종래 기술의 올리고머, 모노머 및 무기입자의 구성을 나타낸 모식도(좌) 및 본 발명의 올리고머, 모노머 및 무기입자가 부착된 모노머의 구성을 나타낸 모식도(우)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선형(linear type)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 11 내지 50중량%; 반응성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 19 내지 75중량%; 자외선 경화형 개시제 0.1 내지 15중량%; 염료 및 안료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 0.5 내지 10중량%; 및 산화방지제, 소포제 및 분산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 0.1 내지 10중량%를 포함하는, 잉크젯 프린트 강판용 잉크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선형(linear type)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는, 선형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및 선형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상기 선형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는 2관능성 이상의 작용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에폭시 아클릴레이트계 올리고머는 통상적으로 비스페놀 A계 및 비스페놀 F계처럼 수지 구조에 벤젠 고리를 가진 화합물을 주로 사용하나, 상기 선형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는, 주사슬에 벤젠고리를 포함하지 않는 고리형 지방족 에폭시 아크릴레이트(Cyclo aliphatic epoxy acrylate), 지방족 폴리글리시딜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aliphatic polyglycidyl type epoxy acrylate) 및 글리시딜 아민 타입 에폭시 아크릴레이트(glycidyl amine type epoxy acrylat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올리고머는 철판과의 도막 밀착성과 경도 향상에 유리하다.
또한, 상기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지방족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aliphatic urethane acrylate oligomer)로서 구조 내에 이소시아네이트계와 우레탄 결합을 포함함으로써 도막의 내후성과 유연성을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선형(linear type)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는 잉크젯 프린트 강판용 잉크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1 내지 50중량%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5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함량이 11중량% 미만인 경우 도막의 유연성이 떨어지고, 브리틀(brittle)이 발생되어 도막으로 사용이 어렵고, 상기 함량이 5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점도가 너무 높아서 잉크 분사의 어려움이 있어, 잉크젯 프린트 강판용 잉크로 사용하는 것이 어렵다.
상기 반응성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는 주사슬에 벤젠고리를 포함하는 가지형(branch type) 모노머 또는 벤젠고리를 포함하지 않는 별 모양, 즉 하이퍼브랜치형(hyperbranch type)모노머인 것이 바람직하다. 종래의 선형 모노머는 점도 제어가 쉽지 않고 저점도의 안정적인 물성 확보가 어려운 것에 반하여, 본 발명의 상기 가지형 모노머 또는 하이퍼브랜치형(hyperbranch type) 모노머의 경우, 잉크 용액의 흐름성을 좋게 하고 점도 제어가 용이하여 용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안정적인 잉크 분사가 가능하게 해준다.
또한, 가지형 모노머의 경우 주사슬에 벤젠고리를 포함함으로써 같은 분자량을 가진 선형의 모노머와 비교시 열적으로 안정하고 내약품성과 접착강인성을 양호하게 도와준다.
상기 반응성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는 페녹시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비스페놀 A 디글리시딜 에테르 디(메타)아크릴레이트 및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반응성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는 잉크젯 프린트 강판용 잉크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9 내지 75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9 내지 71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19 내지 66중량%일 수 있다. 상기 함량이 19중량% 미만인 경우 조성물 전체의 점도가 높아 잉크의 분사성이 어렵고, 상기 함량이 75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도막 굴곡가공성이 취약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잉크젯 프린트 강판용 잉크 조성물은, 무기입자가 부착된 선형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무기입자는, 실리카, 이산화티탄 및 알루미늄옥사이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카르복실기 및 하이드록실기를 포함하는 모노머에 화학적으로 부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선형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는 예를 들어, 이소보닐 아크릴레이트(isobonyl acrylate, IBOA), 이소보닐 메타크릴레이트(isobonyl methacrylate), 테트라히드로퓨릴 아크릴레이트(tetrahydrofuryl acrylate, THFA) 트리프로필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tripropyleneglycol diacrylate, TPGDA), 1, 6-헥산디올 디아크릴레이트(1, 6-hexane diol diacrylate, HDDA) 및 펜타에리트리톨 트리아크릴레이트(pentaerythritol triacrylat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통상적으로 무기입자를 모노머에 반응시켜 부착시키는 방법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5-0006714호에 기재된 고분자 수지에 실리카 분말을 부착하는 방법이 공지 되어 있으며, 예를 들어, 무기입자 100중량부에 대하여, 카르복실기 및 하이드록실기를 포함하는 모노머 100중량부 및 용매 500중량부를 50℃의 질소분위기에서 6시간 이상 유기 반응을 통해 사용하거나, 상용화 되어 있는 실리카 부착 자외선 반응성 아크릴레이트 모노머를 이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기 선형 아크릴레이트게 모노머에 부착된 무기입자의 형태는, 구상 또는 편상 등 그 형태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잉크젯 용액으로 분사되기 위해서는 구형의 무기입자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편상의 무기입자는 잉크젯 헤드에서 분사하면서 헤드노즐을 손상시키거나 노즐이 막힐 우려가 있으므로, 구형의 무기입자를 이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무기입자의 직경은 2 내지 500nm인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300nm인 것이 좋다. 이때, 상기 무기입자의 직경이 2nm 미만인 경우 입자의 크기가 작아서 무기입지의 효과가 떨어지며, 상기 무기입자의 직경이 500nm를 초과하는 경우 잉크 분사시 노즐의 막힘이 발생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무기입자가 부착된 선형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는, 잉크젯 프린트 강판용 잉크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15중량%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 내지 10중량%인 것이 좋다. 이때, 상기 함량이 0.1중량% 미만인 경우 도막의 경도 및 내식성 향상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고, 상기 함량이 15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용액의 점도가 상승될 수 있으며, 도막에 브리틀(brittle)이 발생될 수 있다.
상기 자외선 경화형 개시제는, 2,2-디메톡시-2-페닐아세톤페논(2,2-dimethoxy-2-phenylacetophenone), 1-하이드록시사이클로헥실 페닐 케톤(1-hydroxycyclohexyl Phenyl Ketone), 1-(4-이소프로필페닐)-2-하이드록시-2-메틸프로판-1-온(1-(4-Isopropylphenyl)-2-hydroxy-2-methylpropane-1-one), 1,1-디메톡시 데옥시벤조인(1,1-dimethoxy deoxybenzoin), 3,3'-디메틸-4-메톡시벤조페논(3,3'-dimethyl-4-methoxybenzophenone), 1-(4-도데실 페닐)-2-하이드록시-2-메틸프로판-1-온(1-(4-dodecyl phenyl)-2-hydroxy-2-methyl propan-1-one), 2-메틸-1-[4-(메틸티오)페닐]-2-모르포리노프로판-1-온(2-methyl-1-[4-(methylthio) phenyl]-2-morpholino propan-1-one), (2,4,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포스핀옥사이드((2,4,6-Trimethylbenzoyl)diphenylphosphine Oxide), 에틸(2,4,6-트리메틸벤조일)페닐포스피네이트(ethyl(2,4,6-trimethylbenzoyl)phenylphosphinate), 비스(아실)포스핀옥사이드(bis(acyl)phosphine oxide), 메틸 벤조일포르메이트(methyl benzoylformate), 4-벤조일-4'-메틸디페닐설파이드(4-benzoyl-4'-methyldiphenylsulfide), 벤질 디메틸 케탈(benzyl dimethyl ketal), 플루오레논(fluorenone), 플루오렌(fluorene), 벤즈알데히드(benzaldehyde), 벤조페논(benzophenone), 안트라퀴논(anthraquinone) 및 크산톤(xanton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자외선 경화형 개시제는 예를 들어, 시중에서 대표적으로 사용되는 Irgacure184, Irgacure500, Irgacure651, Irgacure907, Irgacure369, Irgacure784, Darocure1173, Darocure1116, Darocure2959, Lucirin TPO, Escacure KIP150, Escacure KIP100F, Escacure EDB, Escacure KT37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외선 경화형 개시제는 잉크젯 프린트 강판용 잉크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15중량%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함량이 0.1중량% 미만인 경우 광경화가 미미하게 진행될 수 있고, 상기 함량이 15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광 경화에 의한 도막 밀착력 감소를 초래하거나, 미경화 잔여분에 의한 도막 물성의 저해를 일으킬 우려가 있다.
한편, 상기 잉크젯 프린트 강판용 잉크 조성물은, 다양한 색상의 착색을 위하여 염료 및 안료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무기 타입의 안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색상은 블랙, 화이트, 레드, 블루, 옐로우 등 다양한 색상의 염료 또는 안료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염료 및 안료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함량은, 잉크젯 프린트 강판용 잉크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5 내지 10중량%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3 내지 5중량%인 것이 좋다. 이때, 상기 함량이 0.5중량% 미만인 경우 색상의 은폐 효과가 떨어져서 제품의 품질을 저하시킬 수 있고, 상기 함량이 1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과량 첨가된 염료 또는 안료가 잉크 용액의 뭉침 현상을 유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잉크젯 프린트 강판용 잉크 조성물은, 기타 첨가제로 산화방지제, 소포제 및 분산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기타 첨가제의 함량은 상기 잉크젯 프린트 강판용 잉크 조성물이 요구하는 물성이 변화되지 않는 범위에서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타 첨가제의 함량은 잉크젯 프린트 강판용 잉크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10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 내지 6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산화방지제는 예를 들어, Irganox 1010, Irganox 1035, Irganox 1076, Irganox 1222(CIBA SPECIALTY CHEMICALS INC, 일본)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소포제는 예를 들어, TEGO Airex 920, TEGO Airex 932, BYK 088, BYK 1790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분산제는 BYK CHEMIE GMBH사의 DISPERBYKTM 제품, EVNIK사의 TEGOTM와 DISPERSTM 제품, CIBA SPECIALTY CHEMICALS INC사의 DISPEXTM 및 EFKETM 제품 등의 통상적인 첨가제 업체의 상품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기 잉크젯 프린트 강판용 잉크 조성물의 점도는, 25℃ 조건에서, 1 내지 50cps(centi-poises)인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3 내지 30cps인 것이 좋다. 상기 점도가 1cps 미만인 경우 점도가 묽어 인쇄 분사성이 개선될 수 있으나, 인쇄 도막의 물성이 열위하고, 50cps를 초과하는 경우 잉크젯 헤드에서 분사될 때 분사가 잘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어, 잉크 조성물의 적절한 점도 확보가 요구된다.
나아가,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는, 강판의 어느 일면 또는 양면에, 상기 잉크젯 프린트 강판용 잉크 조성물이 인쇄된 잉크젯 인쇄층을 포함하는, 잉크젯 프린트 강판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강판은, 냉연강판, 열연강판, 아연도금강판, 알루미늄도금강판, 칼라도장강판, 스테인레스강판, 마그네슘강판, 알루미늄강판, 아연강판 및 티타늄강판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잉크젯 프린트 강판은, 잉크젯 인쇄층만으로 마감할 수도 있으며, 또는 상기 잉크젯 인쇄층 상에 투명 도장층 또는 투명 필름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투명 도장층은, 자외선 경화방식의 클리어(clear) 도장층, 분자량 3,000 내지 25,000의 폴리에스터계 수지층, 불소계를 포함하는 수지 도막층 및 자기 세정성을 가지는 불포화 폴리에스터계 수지층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투명 필름층은, 폴리에스테르프탈레이트,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및 에틸비닐아세테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이때 두께는 10 내지 150㎛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잉크젯 프린트 강판은, 상기 강판 및 잉크젯 인쇄층 사이에, 도금층, 전처리층, 프라이머층, 컬러 도장층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층이 더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도 1 내지 5는 본 발명의 잉크젯 프린트 강판용 잉크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잉크젯 프린트 강판의 예를 도시한 것으로, 도 1은 칼라 도장 강판 층에 인쇄층을 도입한 것으로, 통상적인 공정 조건을 이용한 잉크젯 프린트 강판의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 금속소재; 도금층; 전처리; 프라이머층; 컬러 도장층 및 본 발명의 잉크젯 프린트 강판용 잉크 조성물을 포함하는 잉크젯 칼라 인쇄층을 포함하는 구조와, 추가적으로 투명 도장층 또는 투명 필름층을 포함하는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2 및 3은 상기 도 1에 도시한 잉크젯 프린트 강판에서 프라이머층과 칼라도막층을 생략한 형태로, 경제적 측면에서 유리한 구조로, 도 2는 금속소재; 도금층; 전처리 및 잉크젯 칼라 인쇄층과 추가적으로 투명 도장층 또는 투명 필름층을, 도 3은 금속 소재; 도금층; 및 잉크젯 칼라 인쇄층과 추가적으로 투명 도장층 또는 투명 필름층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4 및 5는 도금층을 생략한 잉크젯 프린트 강판으로 스테인레스 소재나 마그네슘 소재와 같이, 소재의 질감을 표현할 필요가 있는 제품에 적합한 형태로, 도 4는 금속 소재; 전처리; 및 잉크젯 칼라 인쇄층과 추가적으로 투명 도장층 또는 투명 필름층을, 도 5는 금속소재; 및 잉크젯 칼라 인쇄층과 추가적으로 투명 도장층 또는 투명 필름층을 각각 도시하고 있다.
즉, 본 발명의 잉크젯 프린트 강판은, 도 1 내지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양한 형태의 구조로 제공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는, 상기 잉크젯 프린트 강판용 잉크 조성물을 잉크젯 헤드에 공급하는 단계; 및 잉크젯 프린팅을 이용하여 상기 잉크젯 프린트 강판용 잉크 조성물을 강판의 어느 일면 또는 양면에 분사하여 인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잉크젯 프린트 강판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강판에 인쇄된 잉크 조성물을 UV 경화시키는 경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UV 경화 조건은, 광원으로 메탈 할라이드 전구, 수은 전구, 전극이 없는 경우 H 전구(H bulb), D 전구(D bulb), V 전구(V bulb)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자외선 광량은 100 내지 3000mJ/cm2 의 범위로 조성물의 조성 등에 따라 선택적으로 조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강판은 냉연강판, 열연강판, 아연도금강판, 알루미늄도금강판, 칼라도장강판, 스테인레스강판, 마그네슘강판, 알루미늄강판, 아연강판 및 티타늄강판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내지 8 및 비교예 1 내지 5>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교예 1은 선형 올리고머인 2관능 에폭시아크릴레이트(살토머, 대한민국) 76중량%, 하이퍼브랜치형(hyperbranch type)의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모노머(SK-CYTEC, 대한민국) 10중량%, 착색제인 안료 3중량%, 광개시제 IRGACURE 184(CIBA, 스위스) 7중량%, 산화방지제(Irganox 1035, CIBA, 스위스) 3중량%, 기타 첨가제인 소포제 TEGO Airex 920, 분산제 BYKJET 9150를 각각 0.5중량%를 혼합하여 잉크젯 프린트 강판용 잉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선형의 올리고머는 우레탄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로 대체 가능하다.
그 다음, 가로 20㎝, 세로 20㎝ 크기의 냉연강판에 상기 잉크젯 프린트 강판용 잉크 조성물을 잉크젯 프린트를 이용하여 인쇄 두께 0.5 내지 20㎛로 도포하였다.
그 다음 자외선 조사기를 이용하여 상기 잉크젯 프린트 강판용 잉크 조성물이 도포된 금속판을 100~3000mJ/㎝2의 광량으로 자외선 조사하여 인쇄층을 건조시켰다.
상기 비교예 1과 같이, 하기 표 1의 조성으로 실시예 1 내지 10 및 비교예 2 내지 3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비교예 2 비교예 3 실시예 6 실시예 7 실시예 8 실시예 9 실시예 10
2관능 에폭시아크릴레이트 76 50 35 20 15 11 5 2 50 50 50 50 50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10 36 51 66 71 75 81 84 42.5 41 31 24 19
안료 3 3 3 3 3 3 3 3 0.5 3 5 10 10
광개시제 7 7 7 7 7 7 7 7 3 3 10 10 15
산화안정제 3 3 3 3 3 3 3 3 3 2 3 5 5
소포제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분산제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 비교예 4 내지 7>
하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형 올리고머인 2관능 에폭시아크릴레이트(살토머, 대한민국) 76중량%, 벤젠 고리를 포함하지 않는 선형 모노머 10중량%, 이때 상기 선형 모노머는 단관능 아크릴산 에스테르 모노머인 이소보닐아크릴레이트(SK-CYTEC, 대한민국) 5중량% 및 다관능 아크릴산 에스테르 모노머인 트리프로필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미원상사, 대한민국) 5중량%를 포함하고, 착색제인 안료 3중량%, 광개시제 IRGACURE 184(CIBA, 스위스) 7중량%, 산화방지제(Irganox 1035, CIBA, 스위스) 3중량%, 기타 첨가제인 소포제 TEGO Airex 920, 분산제 BYKJET 9150를 각각 0.5중량%를 혼합하여 잉크젯 프린트 강판용 잉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그 다음은 상기 비교예 1과 동일한 방법과 조건으로 인쇄 도막 시험편을 제조하였다.
나머지 비교예 5 내지 7은 비교예 4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각각의 잉크젯 프린트 강판용 잉크 조성물의 성분 및 함량은 표 2와 같다. 특히 선형의 모노머의 함량은 단관능성 모노머와 다관능성 모노머의 비를 50대50의 비율로 포함한다.
구분 비교예 4 비교예 5 비교예 6 비교예 7
2관능 에폭시아크릴레이트 76 50 35 20
이소보닐아크릴레이트 및 트리프로필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10 36 51 66
안료 3 3 3 3
광개시제 7 7 7 7
산화안정제 3 3 3 3
소포제 0.5 0.5 0.5 0.5
분산제 0.5 0.5 0.5 0.5
< 실시예 11 내지 18 및 비교예 8>
하기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교예 8은 선형 올리고머인 에폭시아크릴레이트(살토머, 대한민국) 35중량%, 하이퍼브랜치형(hyperbranch type)의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모노머 (SK-CYTEC, 대한민국) 31중량%, 실리카가 부착된 선형 모노머 20중량%, 착색제인 안료 3중량%, 광개시제 IRGACURE 184(CIBA, 스위스) 7중량%, 산화방지제 Irganox 1035(CIBA, 스위스) 3중량%, 기타 첨가제인 소포제 TEGO Airex 920, 분산제 BYKJET 9150를 각각 0.5중량%를 혼합하여 잉크젯 프린트 강판용 잉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그 다음, 가로 20㎝, 세로 20㎝ 크기의 냉연강판에 상기 잉크젯 프린트 강판용 잉크 조성물을 잉크젯 프린트를 이용하여 인쇄 두께 0.5 내지 20㎛로 도포하였다.
그 다음은 상기 비교예 1과 동일한 방법과 조건으로 인쇄 도막 시험편을 제조하였다.
나머지 실시예 11 내지 실시예 18은 비교예 8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각각의 잉크젯 프린트 강판용 잉크 조성물의 성분 및 함량은 하기 표 3과 같다.
구분 비교예 8 실시예 11 실시예 12 실시예 13 실시예 14 실시예 15 실시예 16 실시예 17 실시예 18
에폭시아크릴레이트 35 35 35 35 35 35 35 35 35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모노머 31 36 41 43 46 48 49.5 50.5 50.9
실리카 부착 모노머 20 15 10 8 5 3 1.5 0.5 0.1
안료 3 3 3 3 3 3 3 3 3
광개시제 7 7 7 7 7 7 7 7 7
산화안정제 3 3 3 3 3 3 3 3 3
소포제 0.5 0.5 0.5 0.5 0.5 0.5 0.5 0.5 0.5
분산제 0.5 0.5 0.5 0.5 0.5 0.5 0.5 0.5 0.5
< 비교예 9 내지 11>
하기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교예 11은 선형 올리고머인 2관능 에폭시아크릴레이트(살토머, 대한민국) 35중량%, 하이퍼브랜치형(hyperbranch type)의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모노머 (SK-CYTEC, 대한민국) 35중량%, 실리카 20중량%, 착색제인 안료 3중량%, 광개시제 IRGACURE 184(CIBA, 스위스) 7중량%, 산화방지제(Irganox 1035, CIBA, 스위스) 3중량%, 기타 첨가제인 소포제 TEGO Airex 920, 분산제 BYKJET 9150를 각각 0.5중량%를 혼합하여 잉크젯 프린트 강판용 잉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그 다음은 상기 비교예 1과 동일한 방법과 조건으로 인쇄 도막 시험편을 제조하였다.
나머지 비교예 10 및 11은 비교예 9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각각의 잉크젯 프린트 강판용 잉크 조성물의 성분 및 함량은 하기 표 4와 같다.
구분 비교예 9 비교예 10 비교예 11
선형 올리고머 35 35 35
벤젠 고리형 모노머 31 41 46
실리카 20 10 5
안료 3 3 3
광개시제 7 7 7
산화안정제 3 3 3
소포제 0.5 0.5 0.5
분산제 0.5 0.5 0.5
< 실험예 >
상기 실시예 1 내지 18 및 비교예 1 내지 11의 잉크젯 프린트 강판용 잉크 조성물을 이용하여 강판의 표면에 잉크젯 프린트를 이용하여 분사한 후, 형성된 도막의 내식성, 연필경도, 가공성, 도막 밀착성 및 잉크 분사성을 하기의 방법으로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5 내지 8에 나타내었다.
(1) 내식성 평가
내식성은 도장된 시편을 35℃, 95%의 습도에서 5%의 식염수를 240시간 연속 분무하여 초기 발청 유무를 기준으로 양호, 보통 및 불량으로 판정하였다.
양호 : 240시간 이상 블리스터(blister) 5% 미만
보통 : 240시간 이상 블리스터(blister) 5% 이상 50% 미만
불량 : 240시간 이상 블리스터(blister) 50% 이상
측정불가 : 잉크분사성 불량으로 시험편 제작 불가.
(2) 연필경도 평가
연필경도는 JIS K-5400의 연필경도 법에 따라 연필 경도 시험기를 사용하여 경화된 도막에 연필의 종류별(2B, B, HB, F, H, 2H, 3H)로 45도의 각도로 하여 그어 보았을 때 긁힘이 나는 정도를 육안으로 평가하였다.
(3) 가공성 평가
티-벤드 테스터(T-Bend tester)를 이용하여 3t로 벤딩(bending)후 육안으로 관찰하여 도막의 박리 여부 및 크랙의 발생 유무를 판정하였다.
양호 : 3t 굴곡 가공후 도막 크랙(Crack) 및 박리 없음
보통 : 3t 굴곡 가공후 도막 크랙(Crack) 있으나, 박리 없음
불량 : 3t 굴곡 가공후 도막 크랙(Crack) 및 박리 발생
측정불가 : 잉크분사성 불량으로 시험편 제작 불가.
(4) 도막밀착성 평가
도막 밀착력은 ISO 2409의 도료의 접착력 시험법에 따라 시편의 위를 간격이 1mm가 되도록 가로, 세로로 1줄을 긋고, 그 위에 셀로판 접착테이프를 붙인 다음 떼어 보아서 도막 위에 100조각의 분리된 코팅면 중 남아 있는 조각의 숫자로 접착력을 평가 하였다.
(5) 잉크 분사성 평가
잉크 분사성은 잉크젯 프린트 강판용 잉크 조성물을 잉크젯 헤드에 장입하고 피착체의 표면에 분사하여 분사 정도를 판단하는 특성으로 노즐의 막힘 없이 인쇄하고자 하는 정확한 위치에 정확한 사이즈로 분사되는 정도를 육안으로 판단하였다.
양호 : 노즐 막힘 및 잉크 분사성 문제 없음
불량 : 노즐이 막히거나 또는 잉크 분사가 안됨
비교예 1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비교예 2 비교예 3 실시예 6 실시예 7 실시예 8 실시예 9 실시예 10
내식성
(240시간)
측정 불가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연필경도 측정 불가 HB F H H H H H F F F F HB
가공성
(3t 벤딩성)
측정 불가 양호 양호 양호 양호 보통 불량 불량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도막 밀착성 측정 불가 박리 없음 박리 없음 박리 없음 10% 박리 10% 박리 50% 이상 박리 50% 이상 박리 박리 없음 박리 없음 박리 없음 박리 없음 박리 없음
잉크 분사성 불량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상기 표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비교예 1의 경우 선형 올리고머의 함량이 많아 점도가 너무 크게 되며 따라서 잉크 분사가 어려워 시험편 제작이 불가하여 물성 측정이 불가하였다.
반응성 모노머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잉크 분사성이 양호해지면 연필경도 또한 증가한다. 그러나, 비교예 2 내지 3과 같이 벤젠 고리형 모노머 또는 하이퍼브랜치형 모노머의 함량이 75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잉크 분사성은 양호하나 가공성이 취약해 지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도막 밀착력이 취약해짐을 확인 할 수 있다.
전체적으로 내식성은 올리고머와 모노머의 가교도가 높아 양호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특히 올리고머의 함량이 5중량% 이하인 경우 가공성이 취약해지고 도막 밀착력 평가에서 50%이상 박리 되는 현상을 확인하였다.
구분 비교예 4 비교예 5 비교예 6 비교예 7
내식성
(240시간)
측정불가 측정불가 측정불가 보통
연필경도 측정불가 측정불가 측정불가 F
가공성
(3t 벤딩성)
측정불가 측정불가 측정불가 양호
도막 밀착성 측정불가 측정불가 측정불가 10% 박리
잉크 분사성 불량 불량 불량 양호
상기 표 6에 나타난 결과를 통해 본 발명의 하이퍼브랜치형(hyperbranch type) 구조의 모노머 또는 벤젠 고리를 가지는 가지형 모노머가 아닌, 선형(linear type)의 모노머를 사용한 비교예 4 내지 7에 관한 평가 결과로, 선형 모노머를 사용하는 경우 점도의 상승으로 잉크젯 잉크 분사성이 불량하여 사용이 어려움을 확인 할 수 있고, 과량의 모노머를 포함하는 경우 잉크 분사성은 양호하지만 전체 물성이 좋지 않음을 확인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통상의 자외선 경화 잉크젯 잉크 용액의 경우, 용제를 희석하여 점도제어가 요구됨을 알 수 있다.
구분 비교예 8 실시예 11 실시예 12 실시예 13 실시예 14 실시예 15 실시예 16 실시예 17 실시예 18
내식성
(240시간)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연필경도 5H 4H 3H 2H 2H 2H H H F
가공성
(3t 벤딩성)
불량 보통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도막 밀착성 박리 없음 박리 없음 박리 없음 박리 없음 박리 없음 박리 없음 박리 없음 박리 없음 박리 없음
잉크 분사성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상기 표 7에서는 무기입자가 부착된 모노머를 포함하는 경우로, 비교예 8과 실시예 11 내지 18의 인쇄 도막의 물성을 나타낸 것이다.
무기입자가 부착된 모노머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인쇄도막의 연필경도는 F에서 5H까지 상승한다. 그러나, 비교예 8과 같이 상기 무기입자가 부착된 모노머의 함량이 15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도막이 브리틀(Brittle)해져서 가공성 확보가 어려운 점이 있다. 그러나, 가공을 필요치 않는 제품 군에 적용시 유용한 인쇄용액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무기입자가 부착된 모노머의 함량은 0.1 내지 15중량%인 것이 바람직함을 알 수 있다.
그 외의 기타 물성인 내식성, 도막밀착성, 잉크분사성 등은 모두 양호한 결과를 얻었다
구분 비교예 9 비교예 10 비교예 11
내식성
(240시간)
측정불가 측정불가 양호
연필경도 측정불가 측정불가 H
가공성
(3t 벤딩성)
측정불가 측정불가 보통
도막 밀착성 측정불가 측정불가 박리없음
잉크 분사성 불량 불량 양호
상기 표 8은 무기입자가 부착된 모노머 대신 무기입자(구형 실리카)를 단독으로 첨가하여 비교한 결과이다. 그 결과 상기 무기입자를 5중량%를 초과하여 첨가하는 경우 잉크분사성이 확보가 어려워 시험편 제작이 불가하였으며, 평가 결과는 측정불가로 나타났다. 또한, 비교예 11의 경우 가공성 평가에서 미세 크랙(Crack)이 발생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도 7 및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리카 입자가 불균일하게 분포되어 알 수 있다.

Claims (22)

  1.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선형(linear type)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 11 내지 50중량%;
    반응성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 19 내지 75중량%;
    자외선 경화형 개시제 0.1 내지 15중량%;
    염료 및 안료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 0.5 내지 10중량%; 및
    산화방지제, 소포제 및 분산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 0.1 내지 10중량%를 포함하는, 잉크젯 프린트 강판용 잉크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잉크젯 프린트 강판용 잉크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무기입자가 부착된 선형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 0.1 내지 15중량%를 더 포함하는, 잉크젯 프린트 강판용 잉크 조성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선형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선형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및 선형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중 어느 하나 이상인, 잉크젯 프린트 강판용 잉크 조성물.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선형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고리형 지방족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지방족 폴리글리시딜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및 글리시딜 아민 타입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잉크젯 프린트 강판용 잉크 조성물.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선형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지방족 우레탄 아크릴레이트인, 잉크젯 프린트 강판용 잉크 조성물.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반응성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는 벤젠고리를 포함하는 가지형(branch type) 모노머 또는 벤젠고리를 포함하지 않는 하이퍼브랜치형(hyperbranch type) 모노머인, 잉크젯 프린트 강판용 잉크 조성물.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반응성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는 페녹시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phenoxyethyl methacrylate), 비스페놀 A 디글리시딜 에테르 디(메타)아크릴레이트 및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trimethylolpropane triacrylat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잉크젯 프린트 강판용 잉크 조성물.
  8.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무기입자는 실리카, 이산화티탄 및 알루미늄옥사이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잉크젯 프린트 강판용 잉크 조성물.
  9.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무기입자는 직경 2 내지 500nm인 구형의 무기입자인, 잉크젯 프린트 강판용 잉크 조성물.
  10.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선형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는 이소보닐 아크릴레이트(isobonyl acrylate), 이소보닐 메타크릴레이트(isobonyl methacrylate), 테트라히드로퓨릴 아크릴레이트(tetrahydrofuryl acrylate), 트리프로필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tripropyleneglycol diacrylate), 1, 6-헥산디올 디아크릴레이트(1, 6-hexane diol diacrylate) 및 펜타에리트리톨 트리아크릴레이트(pentaerythritol triacrylat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잉크젯 프린트 강판용 잉크 조성물.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경화형 개시제는 2,2-디메톡시-2-페닐아세톤페논(2,2-dimethoxy-2-phenylacetophenone), 1-하이드록시사이클로헥실 페닐 케톤(1-hydroxycyclohexyl Phenyl Ketone), 1-(4-이소프로필페닐)-2-하이드록시-2-메틸프로판-1-온(1-(4-Isopropylphenyl)-2-hydroxy-2-methylpropane-1-one), 1,1-디메톡시 데옥시벤조인(1,1-dimethoxy deoxybenzoin), 3,3'-디메틸-4-메톡시벤조페논(3,3'-dimethyl-4-methoxybenzophenone), 1-(4-도데실 페닐)-2-하이드록시-2-메틸프로판-1-온(1-(4-dodecyl phenyl)-2-hydroxy-2-methyl propan-1-one), 2-메틸-1-[4-(메틸티오)페닐]-2-모르포리노프로판-1-온(2-methyl-1-[4-(methylthio) phenyl]-2-morpholino propan-1-one), (2,4,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포스핀옥사이드((2,4,6-Trimethylbenzoyl)diphenylphosphine Oxide), 에틸(2,4,6-트리메틸벤조일)페닐포스피네이트(ethyl(2,4,6-trimethylbenzoyl)phenylphosphinate), 비스(아실)포스핀옥사이드(bis(acyl)phosphine oxide), 메틸 벤조일포르메이트(methyl benzoylformate), 4-벤조일-4'-메틸디페닐설파이드(4-benzoyl-4'-methyldiphenylsulfide), 벤질 디메틸 케탈(benzyl dimethyl ketal), 플루오레논(fluorenone), 플루오렌(fluorene), 벤즈알데히드(benzaldehyde), 벤조페논(benzophenone), 안트라퀴논(anthraquinone) 및 크산톤(xanton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잉크젯 프린트 강판용 잉크 조성물.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잉크젯 프린트 강판용 잉크 조성물의 점도는 25℃에서 1 내지 50cps인, 잉크젯 프린트 강판용 잉크 조성물.
  13. 강판의 어느 일면 또는 양면에 청구항 1 내지 12중 어느 하나의 잉크젯 프린트 강판용 잉크 조성물이 인쇄된 잉크젯 인쇄층을 포함하는, 잉크젯 프린트 강판.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강판은, 냉연강판, 열연강판, 아연도금강판, 알루미늄도금강판, 칼라도장강판, 스테인레스강판, 마그네슘강판, 알루미늄강판, 아연강판 및 티타늄강판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잉크젯 프린트 강판.
  15.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잉크젯 인쇄층 상에 투명 도장층 또는 투명 필름층을 포함하는, 잉크젯 프린트 강판.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투명 도장층은, 자외선 경화방식의 클리어 도장층, 분자량 3,000 내지 25,000의 폴리에스터계 수지층, 불소계를 포함하는 수지 도막층 및 자기 세정성을 가지는 불포화 폴리에스터계 수지층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잉크젯 프린트 강판.
  17.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투명 필름층은 폴리에스테르프탈레이트,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및 에틸비닐아세테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잉크젯 프린트 강판.
  18.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투명 필름층의 두께는 10 내지 150㎛인, 잉크젯 프린트 강판.
  19.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잉크젯 프린트 강판은, 상기 강판 및 잉크젯 인쇄층 사이에, 도금층, 전처리층, 프라이머층, 컬러 도장층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층이 더 포함되는, 잉크젯 프린트 강판.
  20. 청구항 1 내지 12중 어느 하나의 잉크젯 프린트 강판용 잉크 조성물을 잉크젯 헤드에 공급하는 단계; 및
    잉크젯 프린팅을 이용하여 상기 잉크젯 프린트 강판용 잉크 조성물을 강판의 어느 일면 또는 양면에 분사하여 인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잉크젯 프린트 강판의 제조 방법.
  21.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강판에 인쇄된 잉크 조성물을 UV 경화시키는 경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잉크젯 프린트 강판의 제조 방법.
  22.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강판은 냉연강판, 열연강판, 아연도금강판, 알루미늄도금강판, 칼라도장강판, 스테인레스강판, 마그네슘강판, 알루미늄강판, 아연강판 및 티타늄강판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잉크젯 프린트 강판의 제조 방법.
KR1020150115002A 2015-08-14 2015-08-14 잉크젯 프린트 강판용 잉크 조성물, 이를 이용한 잉크젯 프린트 강판 및 잉크젯 프린트 강판의 제조 방법 KR1017987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5002A KR101798715B1 (ko) 2015-08-14 2015-08-14 잉크젯 프린트 강판용 잉크 조성물, 이를 이용한 잉크젯 프린트 강판 및 잉크젯 프린트 강판의 제조 방법
PCT/KR2016/008944 WO2017030334A1 (ko) 2015-08-14 2016-08-12 잉크젯 프린트 강판용 잉크 조성물, 이를 이용한 잉크젯 프린트 강판 및 잉크젯 프린트 강판의 제조 방법
US15/751,634 US11591491B2 (en) 2015-08-14 2016-08-12 Ink composition for inkjet printed steel plate, inkjet printed steel plate using the same, and method for producing inkjet printed steel plate
CN201680048314.6A CN107922770A (zh) 2015-08-14 2016-08-12 用于喷墨印刷钢板的油墨组合物、利用其的喷墨印刷钢板及制造喷墨印刷钢板的方法
JP2018506922A JP2018532001A (ja) 2015-08-14 2016-08-12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ト鋼板用インク組成物、それを用いた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ト鋼板、及び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ト鋼板の製造方法
EP16837276.1A EP3336152B1 (en) 2015-08-14 2016-08-12 Ink composition for inkjet print steel plate, inkjet print steel plate using same, and method for producing inkjet print steel plate
JP2020020293A JP7436228B2 (ja) 2015-08-14 2020-02-10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ト鋼板用インク組成物、それを用いた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ト鋼板、及び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ト鋼板の製造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5002A KR101798715B1 (ko) 2015-08-14 2015-08-14 잉크젯 프린트 강판용 잉크 조성물, 이를 이용한 잉크젯 프린트 강판 및 잉크젯 프린트 강판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0680A true KR20170020680A (ko) 2017-02-23
KR101798715B1 KR101798715B1 (ko) 2017-11-17

Family

ID=580509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5002A KR101798715B1 (ko) 2015-08-14 2015-08-14 잉크젯 프린트 강판용 잉크 조성물, 이를 이용한 잉크젯 프린트 강판 및 잉크젯 프린트 강판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591491B2 (ko)
EP (1) EP3336152B1 (ko)
JP (2) JP2018532001A (ko)
KR (1) KR101798715B1 (ko)
CN (1) CN107922770A (ko)
WO (1) WO2017030334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25937A1 (ko) * 2017-06-08 2018-12-13 마이크로크래프트코리아 주식회사 잉크젯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인쇄 배선판
KR20210115357A (ko) * 2020-03-12 2021-09-27 주식회사 한솔케미칼 패드 프린팅 공정 적용이 가능한 무용제형 자외선 경화형 블랙잉크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9306B1 (ko) 2015-12-23 2018-01-17 주식회사 포스코 밀착성이 우수한 철강 소재용 잉크조성물, 이를 이용한 프린트 강판 제조 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프린트 강판
CH714224A1 (fr) * 2017-10-05 2019-04-15 Cadranor Sa Procédé pour le dépôt de couleurs sur des composants horlogers.
EP3900927A4 (en) * 2018-12-19 2022-02-16 Posco STEEL SHEET LAMINATED WITH THIN GLASS WITH EXCELLENT SURFACE QUALITY AND PROCESS FOR PRODUCTION THEREOF
CN110053409A (zh) * 2019-04-26 2019-07-26 苏州镓祥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高硬度、抗污染的彩涂印刷金属板
KR102262152B1 (ko) * 2019-09-06 2021-06-07 임종섭 발열액자
KR102407907B1 (ko) * 2019-12-16 2022-06-10 임종섭 발열액자 및 이의 제조방법
CN111607098B (zh) * 2020-05-22 2022-02-22 东莞德芳油墨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玻璃基材的多组分uv-led光固化丝网油墨及其制备方法
CN116042001A (zh) * 2023-03-31 2023-05-02 宁波长阳科技股份有限公司 紫外光固化涂料、反射膜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40747B2 (en) * 1999-07-30 2006-05-09 Seiko Epson Corporation Recording method for printing using two liquids on recording medium
US7037952B2 (en) 2002-08-02 2006-05-02 Seiren Co., Ltd. Ultraviolet ray curable ink, ink composition for ink jet and process for preparing ink jet printed matter using the same
ATE412714T1 (de) * 2003-05-30 2008-11-15 Fujifilm Imaging Colorants Ltd Verfahren zum ätzen einer metall- oder metalllegierung oberfläche
US6998425B2 (en) 2003-12-23 2006-02-14 General Electric Company UV curable coating compositions and uses thereof
US7683107B2 (en) 2004-02-09 2010-03-23 E.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Ink jet printable thick film compositions and processes
WO2006051634A1 (ja) * 2004-11-15 2006-05-18 Jsr Corporation 液状硬化性樹脂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積層体の製造方法
KR100722805B1 (ko) * 2004-12-23 2007-05-30 (주)디피아이 홀딩스 금속용 자외선 경화 도료 조성물
KR20060072476A (ko) * 2004-12-23 2006-06-28 (주)디피아이 홀딩스 필름코팅용 자외선 경화 도료 조성물
JP2006306008A (ja) 2005-03-31 2006-11-09 Jsr Corp 帯電防止用積層体
EP1892271B1 (en) 2005-06-14 2013-10-30 Toyo Ink Mfg. Co., Ltd. Inkjet ink for polyvinyl chloride resin sheets
KR20070032538A (ko) 2005-09-16 2007-03-22 동부제강주식회사 고선영 특성을 부여하는 전자선경화도료 조성물 및 이를피복한 전자선경화 도장강판의 제조방법
JP2009083184A (ja) * 2007-09-28 2009-04-23 Dainippon Printing Co Ltd 化粧シート
KR100925632B1 (ko) 2007-12-27 2009-11-06 주식회사 포스코 강판 코팅용 자외선 경화성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장강판 및 그 제조 방법
JP5251247B2 (ja) 2008-05-15 2013-07-31 Jfeスチール株式会社 表面処理鋼板の製造設備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036829B1 (ko) * 2008-12-23 2011-05-24 주식회사 노루홀딩스 투명 착색 도장강판용 자외선 경화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강판
JP5538964B2 (ja) * 2010-03-16 2014-07-02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インク組成物、インクセット、及びこれを用いた画像形成方法
JP5685824B2 (ja) * 2010-03-23 2015-03-1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用光硬化型インク組成物、ならびに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および記録物
US9683113B2 (en) * 2010-08-25 2017-06-20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igment particles containing a vinyl group and encapsulated by a cross-linked polymer
JP2012144582A (ja) * 2011-01-06 2012-08-02 Fujifilm Corp インク組成物、画像形成方法及び印画物
JP5685965B2 (ja) * 2011-02-09 2015-03-1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光硬化インクジェットインク組成物
CN103442813B (zh) * 2011-03-31 2016-10-12 大日本涂料株式会社 多层涂膜及该多层涂膜的制造方法
US20140015894A1 (en) * 2012-07-13 2014-01-16 Xerox Corporation In-line aqueous coating solution for solid ink jet web printing
KR101403986B1 (ko) * 2012-12-24 2014-06-05 주식회사 노루홀딩스 자외선 경화형 코팅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강판
KR101542908B1 (ko) 2013-07-09 2015-08-07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고분자 부착 실리카 분말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고분자 부착 실리카 분말을 포함하는 크로마토그래피용 정지상
KR101510556B1 (ko) 2013-11-27 2015-04-08 주식회사 포스코 헤어라인이 형성된 강판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강판
KR101518619B1 (ko) 2013-11-27 2015-05-07 주식회사 포스코 축광 안료를 이용한 잉크젯 프린트 강판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518639B1 (ko) 2013-12-26 2015-05-07 주식회사 포스코 친환경 잉크젯 코팅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코팅 강판의 제조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25937A1 (ko) * 2017-06-08 2018-12-13 마이크로크래프트코리아 주식회사 잉크젯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인쇄 배선판
US11390766B2 (en) 2017-06-08 2022-07-19 Microcraft Korea Co., Ltd. Resin composition for inkjet printing and printed wiring board prepared by using same
KR20210115357A (ko) * 2020-03-12 2021-09-27 주식회사 한솔케미칼 패드 프린팅 공정 적용이 가능한 무용제형 자외선 경화형 블랙잉크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230323A1 (en) 2018-08-16
WO2017030334A1 (ko) 2017-02-23
EP3336152A1 (en) 2018-06-20
EP3336152B1 (en) 2020-10-07
KR101798715B1 (ko) 2017-11-17
US11591491B2 (en) 2023-02-28
JP2020090682A (ja) 2020-06-11
JP2018532001A (ja) 2018-11-01
CN107922770A (zh) 2018-04-17
JP7436228B2 (ja) 2024-02-21
EP3336152A4 (en) 2018-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8715B1 (ko) 잉크젯 프린트 강판용 잉크 조성물, 이를 이용한 잉크젯 프린트 강판 및 잉크젯 프린트 강판의 제조 방법
JP6405397B2 (ja) エネルギー線硬化型インクジェットインク組成物
US8105679B2 (en) Actinic radiation curable jet-printing ink
EP1967556B1 (en) Active energy ray-curable ink-jet ink
CN105524526B (zh) Uv可固化墨水、使用其制造边框的方法、制造的边框图案和显示器面板
JP2024038177A (ja) エネルギー線硬化型インクジェットインク組成物
KR101817385B1 (ko) 부착력이 개선된 잉크젯용 자외선 경화형 잉크 조성물
KR20110043234A (ko) Uv 경화형 코팅 조성물
EP3770223A1 (en) Ink set and ink jet method
US11786931B2 (en) Method for producing coated material by using electron beam-curable composition
WO2008093071A1 (en) A printing ink
CN111630118A (zh) 活性能量射线固化型喷墨油墨组合物
CN113881282A (zh) 一种动力电池铝合金表面保护用uv喷墨墨水
KR101568533B1 (ko) 코일-코팅용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 및 상기 수지 조성물로 코팅된 코일-코팅 강판
JP6353888B2 (ja) 印刷層付き基材の製造方法
KR101997878B1 (ko) 고온 내열성이 강화된 잉크젯용 자외선 경화 적외선 투과 잉크 조성물
KR20090072199A (ko) 금속용 광경화형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막 형성방법
JP7288357B2 (ja) インクセット、積層体、積層体の製造方法及び記録方法
KR102284746B1 (ko) 자외선 경화형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료층을 포함하는 컬러금속판
JP2018172638A (ja) 硬化性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たフィルム、およびフィルムを用いた成形品
KR20210141923A (ko) 코팅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