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9757A - 자동변속기 제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자동변속기 제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9757A
KR20170019757A KR1020150113993A KR20150113993A KR20170019757A KR 20170019757 A KR20170019757 A KR 20170019757A KR 1020150113993 A KR1020150113993 A KR 1020150113993A KR 20150113993 A KR20150113993 A KR 20150113993A KR 20170019757 A KR20170019757 A KR 201700197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elerator pedal
hydraulic pressure
position signal
vehicle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39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34262B1 (ko
Inventor
정동훈
양종태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139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4262B1/ko
Priority to US14/946,333 priority patent/US9791041B2/en
Priority to DE102015120499.1A priority patent/DE102015120499B4/de
Priority to CN201510884597.5A priority patent/CN106438979B/zh
Publication of KR201700197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97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42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42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04Smoothing ratio shift
    • F16H61/06Smoothing ratio shift by controlling rate of change of fluid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0003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ments of the control apparatus, e.g. valve assemblies or snapfittings of valves; Arrangements of the control unit on or in the transmission gearbox
    • F16H61/0009Hydraulic control units for transmission control, e.g. assembly of valve plates or valve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14Inputs being a function of torque or torque deman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14Inputs being a function of torque or torque demand
    • F16H59/18Inputs being a function of torque or torque demand dependent on the position of the accelerator ped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02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characterised by the signals used
    • F16H61/0262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characterised by the signals used the signals being hydrauli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04Smoothing ratio shift
    • F16H61/06Smoothing ratio shift by controlling rate of change of fluid pressure
    • F16H61/061Smoothing ratio shift by controlling rate of change of fluid pressure using electric control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14Inputs being a function of torque or torque demand
    • F16H59/18Inputs being a function of torque or torque demand dependent on the position of the accelerator pedal
    • F16H2059/183Rate of change of accelerator position, i.e. pedal or throttle change gradi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2061/0075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control metho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04Smoothing ratio shift
    • F16H2061/0492Smoothing ratio shift for high engine torque, e.g. during acceleration or uphill driv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14Inputs being a function of torque or torque demand
    • F16H59/18Inputs being a function of torque or torque demand dependent on the position of the accelerator pedal
    • F16H59/20Kickdow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Control Of Transmission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변속기 제어 장치는 연료의 연소에 의해 동력을 발생시키는 엔진; 클러치 및 브레이크를 포함하는 마찰 요소를 구비하고, 상기 마찰 요소의 결합 및 해제에 의해 상기 엔진에서 발생된 동력을 속도에 따른 필요한 회전력으로 바꾸어 출력하는 자동변속기; 가속 페달의 위치 신호를 검출하는 가속 페달 위치 센서; 및 상기 가속 페달 위치 센서로부터 검출된 상기 가속 페달의 위치 신호로부터 차량이 급가속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차량이 급가속 상태이면, 상기 클러치의 제어 유압을 보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변속기 제어 장치에 의하면, 가속 페달의 조작 속도에 따라 마찰 요소 제어 유압을 조절하기 때문에 변속 응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변속기 제어 장치 및 방법 {APPARATUS FOR CONTROLLING AUTOTRANSMISSION AND METHOF THEREOF}
본 발명은 자동변속기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속 페달 조작 신호를 이용하여 자동변속기의 마찰 요소 제어 유압을 조절하는 자동변속기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엔진에서 발생된 동력을 공급받아 차량의 주행속도를 조절하는 변속기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변속기는 운전자에 의해서 조절되는 수동 변속기, 차량의 주행 속도에 따라서 자동으로 조절되는 자동 변속기로 구분된다.
자동 변속기는 차량의 주행 속도와 스로틀 밸브의 개도율 등 차량의 주행 상태에 따라 변속기 제어 유닛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솔레노이드 밸브를 구동시켜 유압을 제어함으로써 목표 변속단으로의 변속이 자동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다.
운전자가 가속 페달을 조작할 때, 가속 페달의 조작량이 증가하면(예를 들면, 차량이 급가속하는 상황), 킥 다운 변속(kick down shift)을 통해 휠로 전달되는 토크를 증가시키고, 이에 따라 차량의 가속도가 증가된다.
종래 기술에 의하면, 엔진 토크를 기준으로 클러치의 제어 유압을 결정한다. 운전자가 가속 페달 조작량이 증가하면, 엔진 토크 또한 증가하기 때문에, 가속 페달 조작량에 따라 차량의 가속도 및 변속 응답성을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최근 들어, 터보 차저가 구비된 엔진이 많이 보급되고 있다. 터보 차저가 구비된 엔진의 경우, 저속 영역에서 차량을 가속할 때, 터보 랙에 의해 토크 상승이 지연된다. 따라서 가속 페달의 조작량과 조작 속도에 관계없이 엔진 토크가 작기 때문에, 차량의 가속도 및 변속 응답 속도가 지연된다.
또한, 가속 페달 조작 신호의 변화율을 이용하여 클러치의 제어 유압을 조절하면, 운전자가 순간적으로 가속 페달을 조작하는 경우와 같은 노이즈에 취약한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가속 페달 조작 속도에 따른 클러치 제어 유압을 정확히 조절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운전자의 가속 페달 조작 속도를 이용하여 자동변속기의 마찰요소 제어 유압을 조절할 수 있는 자동변속기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변속기 제어 장치는 연료의 연소에 의해 동력을 발생시키는 엔진; 클러치 및 브레이크를 포함하는 마찰 요소를 구비하고, 상기 마찰 요소의 결합 및 해제에 의해 상기 엔진에서 발생된 동력을 속도에 따른 필요한 회전력으로 바꾸어 출력하는 자동변속기; 가속 페달의 위치 신호를 검출하는 가속 페달 위치 센서; 및 상기 가속 페달 위치 센서로부터 검출된 상기 가속 페달의 위치 신호로부터 차량이 급가속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차량이 급가속 상태이면, 상기 마찰 요소의 제어 유압을 보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속 페달 위치 센서에서 검출된 가속 페달의 위치 신호와 상기 가속 페달의 위치 신호를 보간한 보간 신호를 이용하여 차량의 급가속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변속 시점의 상기 가속 페달의 위치 신호와 상기 보간 신호의 차이가 설정값 이상이면, 상기 제어 유압에서 보정량을 뺀 보정 유압을 산출하고, 상기 보정 유압에 따라 상기 마찰 요소를 해제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속 페달의 위치 신호와 상기 보간 신호의 차이가 증가할수록, 상기 보정량을 단계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속 페달 위치 신호를 저역 통과 필터를 통해 필터링하여 상기 보간 신호를 산출할 수 있다.
상기 보정 유압은 상기 가속 페달 변화량과 상기 보간 신호의 차이에 따라 맵 데이터로 상기 제어부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변속기 제어 방법은 가속 페달 위치 센서에서 검출되는 가속 페달의 위치 신호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가속 페달 위치 신호에 따른 엔진 토크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엔진 토크에 따라 자동 변속기의 마찰요소 해제를 위한 제어 유압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가속 페달의 위치 신호로부터 차량이 급가속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차량이 급가속 상태이면, 상기 제어 유압을 보정한 보정 유압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보정 유압에 따라 상기 마찰 요소를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이 급가속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가속 페달의 위치 신호와 상기 가속 페달의 위치 신호를 보간한 보간 신호를 이용하여 차량의 급가속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변속 시점의 상기 가속 페달의 위치 신호와 상기 보간 신호의 차이가 설정값 이상이면, 차량이 급가속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보정 유압은 상기 제어 유압에서 보정량을 빼서 산출될 수 있다.
상기 보정량은 상기 가속 페달의 위치 신호와 상기 보간 신호의 차이가 증가할수록 증가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변속기 제어 장치에 의하면, 가속 페달의 조작 속도에 따라 마찰 요소 제어 유압을 조절하기 때문에 변속 응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가속 페달의 조작 신호와 가속 페달의 조작 신호를 보간한 보간 신호의 차이를 통해 마찰 요소 제어 유압을 조절하기 때문에, 마찰 요소 제어 유압을 조절할 때 노이즈의 영향이 최소화된다.
이 도면들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참조하기 위함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한 도면에 한정해서 해석하여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변속기 제어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변속기의 입력축 회전 속도, 가속 페달 조작 신호, 및 마찰 요소 제어 유압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변속기 제어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부분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변속기 제어 장치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변속기 제어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변속기 제어 장치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엔진(20)과, 클러치(41)와 브레이크(43)를 포함하는 마찰 요소를 구비하고, 상기 마찰 요소의 결합 및 해제에 의해 상기 엔진에서 발생된 동력을 속도에 따라 필요한 회전력으로 바꾸어 출력하는 자동변속기(40), 가속 페달의 위치 신호를 검출하는 가속 페달 위치 센서(10)(APS: accelerator position sensor), 및 상기 엔진(20), 변속기(40), 마찰요소(41, 43)를 제어하는 제어부(60)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60)는 설정된 프로그램에 의하여 작동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설정된 프로그램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변속기 제어 방법의 각 단계를 수행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엔진(20)을 제어하는 ECU(engine control unit), 상기 자동변속기(40)를 제어하는 TCU(transmission control unit)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속 페달 위치 센서(10)는 가속 페달의 팁 인/팁 아웃에 따른 가속 페달의 위치를 검출하고, 상기 가속 페달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제어부(60)로 제공한다.
상기 변속기(40)는 자동변속기(40)로써, 상기 엔진(20)으로부터 전달받은 동력을 속도에 따른 필요한 회전력으로 바꾸어 출력한다. 상기 자동변속기(40)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성기어세트(45)가 구비되어, 자동변속기(40)의 입력 속도를 목표 회전속도로 바꾸어 출력한다.
또한, 상기 자동변속기(40)에는 상기 유성기어세트(45)의 작동 멤버들을 입력축, 변속기 케이스(도시는 생략), 또는 다른 작동 멤버들과 선택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마찰 요소(예를 들면, 클러치 또는 브레이크)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마찰 요소(41, 43)의 결합 및 해제를 위한 제어 유압을 조절함으로써, 목표 변속단으로의 변속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즉,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마찰 요소(41, 43)의 결합 및 해제를 위한 제어 유압을 액츄에이터(47)로 출력한다.
상기 액츄에이터(47)는 상기 마찰 요소(41, 43)에 가해지는 유압을 제어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어 밸브와 솔레노이드 밸브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가속 페달 위치 센서(10)에서 출력되는 출력값(가속 페달의 위치 신호)을 통해 운전자의 가속 의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가속 페달의 위치 신호의 크기가 급격하게 증가하면, 운전자가 차량을 급가속(킥다운 변속이 필요한 상황)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가속 페달의 위치 신호의 크기가 완만하게 증가하면, 운전자가 차량을 완가속(킥다운 변속이 필요 없는 상황)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가속 페달 위치 센서(10)로부터 검출된 상기 가속 페달의 위치 신호로부터 상기 엔진 토크를 산출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60)는 현재 차속과 상기 엔진 토크에 따른 상기 마찰요소(41, 43)의 해제를 위한 제어 유압을 설정한다.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가속 페달의 위치 신호로부터 차량이 급가속 상태(킥다운 변속)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만약, 차량이 급가속 상태이면,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마찰요소(41, 43) 해제를 위한 제어 유압을 보정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가속 페달 위치 센서(10)에서 검출된 상기 가속 페달의 위치 신호를 보간한 보간 신호를 산출한다. 그리고 상기 가속 페달의 위치 신호와 상기 보간 신호를 이용하여 차량의 급가속 상태인지(킥다운 변속이 필요한 상태)를 판단한다.
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변속기(40)의 변속 시점에서 상기 가속 페달의 위치 신호와 상기 보간 신호의 차이가 설정값 이상이면, 차량이 급가속 상태인 것으로 판단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마찰요소(41, 43) 해제을 위한 제어 유압에서 보정량을 빼서 상기 보정 유압을 산출한다.
이때, 상기 가속 페달의 위치 신호와 상기 보간 신호의 차이가 증가할수록, 상기 보정량은 증가하도록 설정된다. 즉, 상기 보정 유압의 크기는 차속과 엔진 토크에 의해 결정되는 제어 유압의 크기보다 단계적으로 감소된다.
상기 보간 신호를 산출할 때,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가속 페달의 위치 신호를 저역 통과 필터(LPF: low pass filter)를 통해 필터링하여 상기 보간 신호를 산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변속기 제어 장치의 동작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변속기(40)의 입력축 회전 속도, 가속 페달 조작 신호, 및 클러치 제어 유압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2는 차량이 급가속할 때의 변속기(40)의 입력축 회전 속도, 가속 페달 조작 신호, 및 클러치 제어 유압을 도시한 그래프이고, 도 3는 차량이 완가속할 때의 변속기(40)의 입력축 회전 속도, 가속 페달 조작 신호, 및 클러치 제어 유압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이하에서는, 차량이 완가속 상태일 때의 자동변속기 제어 방법과 급가속 상태일 때의 자동변속기 제어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가속 페달의 위치 신호를 저역 통과 필터를 통해 필터링하여, 상기 보간 신호를 산출한다.
운전자가 차량을 급가속하기 위해 가속 페달을 급격하게 밟으면, 상기 가속 페달 센서에서 출력되는 가속 페달 위치 신호는 스텝 입력과 같은 모양을 형성한다. 저역 통과 필터를 통해 상기 가속 페달 위치 신호를 필터링하면, 상기 가속 페달 위치 신호의 보간 신호는 원래의 가속 페달 위치 신호보다 일정 시간 지연되어 추종하는 모양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가속 페달 위치 신호와 상기 보간 신호의 차이(delta H)는 설정값보다 크다. 이 경우, 상기 마찰요소(41, 43)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유압을 보정하고, 보정 유압에 의해 상기 마찰요소(41, 43)를 해방시킨다. 이때, 상기 보정 유압은 미리 설정된 제어 유압에서 보정량을 뺀 값이 된다.
상기 보정 유압이 상기 마찰요소(41, 43)에 인가되면, 상기 보정 유압은 상기 제어 유압보다 작기 때문에, 상기 마찰요소(41, 43)의 해제 속도가 빨라진다. 이러한 현상은 상기 변속기(40) 입력축의 회전 속도로부터 파악할 수 있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정 유압이 마찰요소(41, 43)에 인가되면, 상기 마찰요소(41, 43)가 해제되면서, 변속기(40) 입력축의 회전 속도가 급격하게 증가한다. 이때, 상기 보정 유압의 크기가 상기 제어 유압의 크기보다 작기 때문에, 상기 마찰요소(41, 43)가 해제되는데 소요되는 시간(TH)은 짧아지고, 상기 변속기 입력축의 회전 속도는 급격하게 증가한다.
이와 같이, 차량이 급가속 하는 경우, 상기 마찰요소(41, 43)를 해방시키기 위한 제어 유압을 일정 압력 감소시킨 보정 유압으로 상기 마찰요소(41, 43)를 해제함으로써, 상기 마찰요소(41, 43)가 해방되는데 소요되는 시간(TH)을 단축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운전자의 가속 페달 조작에 의한 응답성이 향상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가속 페달의 위치 신호를 저역 통과 필터를 통해 필터링하여, 상기 보간 신호를 산출한다.
운전자가 차량을 완가속하기 위해 가속 페달을 완만하게 밟으면, 상기 가속 페달 센서에서 출력되는 가속 페달 위치 신호는 완만하게 상승하는 모양을 형성한다. 저역 통과 필터를 통해 상기 가속 페달 위치 신호를 필터링하면, 상기 가속 페달 위치 신호의 보간 신호는 원래의 가속 페달 위치 신호와 거의 유사한 모양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상기 가속 페달 위치 신호와 상기 보간 신호의 차이(delta L)는 설정값보다 작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 상기 마찰요소(41, 43)를 해방하기 위한 제어 유압을 보정하지 않고, 상기 마찰요소(41, 43)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유압은 미리 설정된 제어 유압에 따라 상기 마찰요소(41, 43)를 해방시킨다.
이와 같이, 차량이 급가속하지 않는 경우(킥다운 변속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는 차속과 가속 페달 위치 신호로부터 결정되는 제어 유압에 의해 상기 마찰요소(41, 43)를 해제한다. 따라서, 상기 마찰요소(41, 43)를 해제하는데 소요되는 시간(TL)은 차량이 급가속 할때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길어지고, 상기 변속기 입력축의 회전수는 완만하게 증가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변속기 제어 방법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변속기 제어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4을 참조하면, 상기 가속 페달 위치 센서(10)는 상기 가속 페달의 위치 신호를 검출하고, 검출된 상기 가속 페달의 위치 신호는 상기 제어부(60)로 제공된다(S10).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가속 페달의 위치 신호에 따라 변동하는 엔진 토크에 따라 상기 마찰 요소 해제를 위한 제어 유압을 설정한다(S20). 상기 마찰 요소 해제를 위한 제어 유압은 상기 엔진 토크에 따라 맵 데이터 형식으로 상기 제어부(60)에 저장된다.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가속 페달 위치 신호를 저역 통과 필터를 통해 필터링하여 보간 신호를 산출한다(S30).
상기 제어부(60)는 차량의 차속 및 상기 가속 페달의 위치 신호로부터 목표 변속단을 설정한다(S40). 이때, 상기 목표 변속단은 차량의 차속 및 가속 페달의 위치 신호에 따라 맵 데이터 형식으로 상기 제어부(60)에 저장된다.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가속 페달 위치 신호와 상기 보간 신호를 비교하고, 상기 가속 페달 위치 신호와 상기 보간 신호의 차이가 설정값 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한다(S50). 상기 가속 페달 위치 신호와 상기 보간 신호의 차이가 설정값보다 크면, 차량이 급가속 상태(킥다운 변속이 필요한 상태)인 것으로 판단한다.
상기 가속 페달 위치 신호와 상기 보간 신호의 차이가 설정값보다 크면,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마찰 요소 해제를 위한 제어 유압을 보정한 보정 유압을 산출한다(S60).
이때,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제어 유압에서 보정량을 빼서 상기 보정 유압을 산출한다. 상기 보정량은 상기 가속 페달 위치 신호와 상기 보간 신호의 차이가 증가할수록 증가한다. 즉, 상기 가속 페달 위치 신호와 상기 보간 신호의 차이가 증가하면, 상기 보정 유압의 크기는 감소한다.
상기 보정 유압을 산출하기 위한 보정량은 상기 가속 페달의 위치 신호와 상기 보간 신호의 차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60)에 맵 데이터 형식으로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보정 유압을 상기 마찰요소(41, 43)에 인가하여 상기 마찰요소(41, 43)를 해제한다(S65).
만약, 상기 S50 단계에서 상기 가속 페달 위치 신호와 상기 보간 신호의 차이가 설정값 이하이면,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마찰 요소 해제를 위한 제어 유압을 보정하지 않고, 상기 S20 단계에서 산출한 제어 유압을 상기 마찰요소(41, 43)에 인가하여 상기 마찰요소(41, 43)를 해제한다(S70).
이와 같이, 차량이 급가속(킥다운 변속)할 때, 상기 마찰요소(41, 43)의 제어 유압이 미리 설정된 제어 유압보다 작은 보정 유압이 상기 마찰요소(41, 43)에 인가되기 때문에, 상기 마찰요소(41, 43)의 해제에 소요되는 시간이 단축된다. 따라서, 상기 변속기(40)의 응답성이 향상된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 가속 페달 위치 센서
20: 엔진
40: 변속기
41: 클러치
43: 브레이크
45: 유성기어
47: 액츄에이터
60: 제어부

Claims (11)

  1. 연료의 연소에 의해 동력을 발생시키는 엔진;
    클러치 및 브레이크를 포함하는 마찰 요소를 구비하고, 상기 마찰 요소의 결합 및 해제에 의해 상기 엔진에서 발생된 동력을 속도에 따른 필요한 회전력으로 바꾸어 출력하는 자동변속기;
    가속 페달의 위치 신호를 검출하는 가속 페달 위치 센서; 및
    상기 가속 페달 위치 센서로부터 검출된 상기 가속 페달의 위치 신호로부터 차량이 급가속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차량이 급가속 상태이면, 상기 마찰 요소의 제어 유압을 보정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자동변속기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속 페달 위치 센서에서 검출된 가속 페달의 위치 신호와 상기 가속 페달의 위치 신호를 보간한 보간 신호를 이용하여 차량의 급가속 상태를 판단하는 자동변속기 제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변속 시점의 상기 가속 페달의 위치 신호와 상기 보간 신호의 차이가 설정값 이상이면, 상기 제어 유압에서 보정량을 뺀 보정 유압을 산출하고, 상기 보정 유압에 따라 상기 마찰 요소를 해제시키는 자동변속기 제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속 페달의 위치 신호와 상기 보간 신호의 차이가 증가할수록, 상기 보정량을 단계적으로 증가시키는 자동변속기 제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속 페달 위치 신호를 저역 통과 필터를 통해 필터링하여 상기 보간 신호를 산출하는 자동변속기 제어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 유압은
    상기 가속 페달 변화량과 상기 보간 신호의 차이에 따라 맵 데이터로 상기 제어부에 저장되는 자동변속기 제어 장치.
  7. 가속 페달 위치 센서에서 검출되는 가속 페달의 위치 신호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가속 페달 위치 신호에 따른 엔진 토크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엔진 토크에 따라 자동 변속기의 마찰요소 해제를 위한 제어 유압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가속 페달의 위치 신호로부터 차량이 급가속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차량이 급가속 상태이면, 상기 제어 유압을 보정한 보정 유압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보정 유압에 따라 상기 마찰요소를 해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자동변속기 제어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차량이 급가속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가속 페달의 위치 신호와 상기 가속 페달의 위치 신호를 보간한 보간 신호를 이용하여 차량의 급가속 상태를 판단하는 자동변속기 제어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변속 시점의 상기 가속 페달의 위치 신호와 상기 보간 신호의 차이가 설정값 이상이면, 차량이 급가속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는 자동변속기 제어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 유압은 상기 제어 유압에서 보정량을 빼서 산출되는 자동변속기 제어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량은
    상기 가속 페달의 위치 신호와 상기 보간 신호의 차이가 증가할수록 증가하는 자동변속기 제어 방법.
KR1020150113993A 2015-08-12 2015-08-12 자동변속기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7342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3993A KR101734262B1 (ko) 2015-08-12 2015-08-12 자동변속기 제어 장치 및 방법
US14/946,333 US9791041B2 (en) 2015-08-12 2015-11-19 Apparatus for controlling automatic transmission and method thereof
DE102015120499.1A DE102015120499B4 (de) 2015-08-12 2015-11-26 Vorrichtung zum Automatikgetriebesteuern und Verfahren davon
CN201510884597.5A CN106438979B (zh) 2015-08-12 2015-12-04 用于控制自动变速器的装置及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3993A KR101734262B1 (ko) 2015-08-12 2015-08-12 자동변속기 제어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9757A true KR20170019757A (ko) 2017-02-22
KR101734262B1 KR101734262B1 (ko) 2017-05-11

Family

ID=579081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3993A KR101734262B1 (ko) 2015-08-12 2015-08-12 자동변속기 제어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791041B2 (ko)
KR (1) KR101734262B1 (ko)
CN (1) CN106438979B (ko)
DE (1) DE102015120499B4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4774B1 (ko) 2017-08-18 2021-11-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차량의 제어방법
DE102018117623B3 (de) * 2018-07-20 2019-11-14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und System zum Durchführen einer On-Board-Diagnosefunktion eines Fahrzeugs
US11161524B2 (en) * 2019-06-10 2021-11-02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Acceleration compensation during engine torque changes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1313778C (en) 1988-03-03 1993-02-23 Takashi Aoki Method of determining engine racing and method of preventing engine racing during shift in vehicular automatic transmission
JP3536533B2 (ja) 1996-06-11 2004-06-1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自動変速機の変速制御装置
JP3339405B2 (ja) * 1997-09-04 2002-10-28 アイシン・エィ・ダブリュ株式会社 自動変速機の油圧制御装置
JP4560985B2 (ja) * 2001-04-13 2010-10-13 アイシン・エィ・ダブリュ株式会社 自動変速機の変速制御装置
JP4619335B2 (ja) 2006-08-28 2011-01-2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自動変速機の制御装置、制御方法、その制御方法を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ためのプログラムおよび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KR100836915B1 (ko) * 2006-09-14 2008-06-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변속기의 댐퍼 클러치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US7941399B2 (en) 2007-11-09 2011-05-10 Microsoft Corporation Collaborative authoring
KR100976947B1 (ko) 2008-08-08 2010-08-18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시스템 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변속 제어 장치 및 방법
RU2563307C2 (ru) * 2011-06-15 2015-09-20 Ниссан Мотор Ко., Лтд.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для приведения в движение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KR101326814B1 (ko) * 2011-10-14 2013-11-07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자동변속기의 제어장치 및 방법
JP5803736B2 (ja) * 2012-02-24 2015-11-04 アイシン・エィ・ダブリュ株式会社 制御装置
JP2014214865A (ja) 2013-04-30 2014-11-17 スズキ株式会社 車両の変速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15120499B4 (de) 2022-11-03
US9791041B2 (en) 2017-10-17
US20170045138A1 (en) 2017-02-16
CN106438979B (zh) 2019-06-28
KR101734262B1 (ko) 2017-05-11
DE102015120499A1 (de) 2017-02-16
CN106438979A (zh) 2017-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624829B2 (ja) 車両の走行制御装置
US10100884B2 (en) Clutch control method and clutch control filter for vehicle
KR101734262B1 (ko) 자동변속기 제어 장치 및 방법
CN111927947B (zh) 车辆的变速控制装置和车辆的变速控制方法
WO2017033900A1 (ja) 自動変速機の制御装置
WO2007046543A1 (ja) 車両の駆動力制御装置
JP2012062998A (ja) 自動変速機のロックアップクラッチ制御装置
US9523428B2 (en) System and method for shift restraint control
WO2020026717A1 (ja) トルクコンバータのスリップ制御装置
KR101924367B1 (ko) 자동 변속기의 킥다운 변속 제어 장치 및 방법
JP2009127549A (ja) エンジンの制御装置
KR100551303B1 (ko) 자동 변속기의 유압 제어장치 및 방법
JP6318950B2 (ja) 車両の制御装置
JP2011190893A (ja) 自動変速機の制御装置
KR20180073805A (ko) 자동 변속기 제어 방법
KR20180073145A (ko) 이원화 방식 킥 다운 변속 제어 방법 및 차량
JP6802285B2 (ja) 自動車用駆動システムにおけるギヤ段切換の実行方法および装置
JP6325593B2 (ja) 不整地走行車両
JP5525430B2 (ja) 内燃機関の制御装置
KR101880546B1 (ko) 자동 변속기 차량의 변속 제어 방법 및 시스템
JP4650140B2 (ja) 車両の駆動力制御装置
JP5507398B2 (ja) 自動変速機のロックアップクラッチ制御装置
KR101198722B1 (ko) 자동변속기의 정지전 변속 제어방법
KR101602590B1 (ko) 자동 변속기의 제어 장치
JP2006170069A (ja) エンジンの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