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7896A - 양면 자동차 완구 - Google Patents

양면 자동차 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7896A
KR20170017896A KR1020167033360A KR20167033360A KR20170017896A KR 20170017896 A KR20170017896 A KR 20170017896A KR 1020167033360 A KR1020167033360 A KR 1020167033360A KR 20167033360 A KR20167033360 A KR 20167033360A KR 20170017896 A KR20170017896 A KR 201700178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double
wheel
vehicle body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333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79970B1 (ko
Inventor
동칭 차이
Original Assignee
알파 그룹 컴퍼니 리미티드
광저우 알파 컬처 커뮤니케이션스 컴퍼니 리미티드
광동 아울디 애니매이션 앤드 토이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파 그룹 컴퍼니 리미티드, 광저우 알파 컬처 커뮤니케이션스 컴퍼니 리미티드, 광동 아울디 애니매이션 앤드 토이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알파 그룹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700178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78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99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99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7/00Toy vehicles, e.g. with self-drive; ; Cranes, winches or the like; Accessories therefor
    • A63H17/26Details;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7/00Toy vehicles, e.g. with self-drive; ; Cranes, winches or the like; Accessories therefor
    • A63H17/26Details; Accessories
    • A63H17/262Chassis; Wheel mountings; Wheels; Axles; Suspensions; Fitting body portions to chassi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1/00Gearing for toy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7/00Toy vehicles, e.g. with self-drive; ; Cranes, winches or the like; Accessories therefor
    • A63H17/004Stunt-cars, e.g. lifting front wheels, roll-over or invertible ca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8/00Highways or trackways for toys; Propulsion by special interaction between vehicle and track
    • A63H18/02Construction or arrangement of the trackway
    • A63H18/028Looping; Jumping; Tilt-track sec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8/00Highways or trackways for toys; Propulsion by special interaction between vehicle and track
    • A63H18/02Construction or arrangement of the trackway
    • A63H18/04Up-and-down-hill trackway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29/00Drive mechanisms for toys in general
    • A63H29/22Electric driv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1/00Gearing for toys
    • A63H31/08Gear-control mechanisms; Gears for imparting a reciprocating motion

Abstract

차체(1), 구동장치, 동력전달장치, 종동륜 그룹(2) 및 제1 구동륜 그룹과 제2 구동륜 그룹을 포함하는 양면 자동차 완구에 있어서, 동력전달장치는 방향전환 기어(5), 더블 기어(6), 과도 기어(7) 및 제1 출력 기어(8)와 제2 출력 기어(9)를 포함하고, 방향전환 기어(5)와 구동장치 중의 모터(10)의 회전축 기어(11)는 서로 치합되며, 방향전환 기어(5) 상에는 축방향으로 돌출된 축방향 기어(51)가 설치되되, 상기 축방향 기어(51)는 더블 기어(6)의 제1 기어(61)와 서로 치합되고, 더블 기어(6)는 제1 출력 기어(8)와 제2 출력 기어(9) 사이의 위치에 설치되되, 더블 기어(6)를 통해 모터(10)의 동력 전달을 구현하며, 제1 출력 기어(8)와 더블 기어(6)의 제2 기어(62) 사이는 과도 기어(7)의 치합을 통해 동력 전달이 이루어지고, 제2 출력 기어(9)는 더블 기어(6)의 제2 기어(62)와 직접적으로 상호 치합하여 동력 전달을 실현하는 양면 자동차 완구가 개시된다. 양면 자동차 완구는 설계가 교묘하고, 적용성이 강하며, 양면 자동차 완구의 성능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킴으로써 양면 자동차 완구에 대해 보다 풍부한 게임 방식 및 흥미를 부여하였다.

Description

양면 자동차 완구{DOUBLE-SIDED TOY CAR}
본 발명은 자동차 완구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양면 자동차 완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자동차 완구는 종류가 많은 바, 보편적인 것으로 차체의 저면부에 전방 휠 및 후방 휠이 설치된 일반 자동차 완구가 있을 뿐만 아니라, 이에 더해 차체 상방에 보조 휠을 추가 설치하는 곤두박질 자동차 완구도 있으며, 저면부의 전방 휠과 후방 휠을 직경이 차체의 두께보다 크게 마련한 특수 기능형 자동차 완구 등도 개발되었다. 이들 자동차 완구는 후방 휠을 구동륜으로 설계하고 전방 휠을 종동륜으로 설계한 형태; 전방 휠과 후방 휠을 모두 구동륜으로 설계한 형태, 즉 종래의 4바퀴 구동형 완구차 형태; 또는 곤두박질 자동차 완구의 보조 휠이 종동륜인 형태로 마련되었다. 그중, 일반 자동차 완구는 전복이 발생된 후에는 주행할 수 없는 반면, 곤두박질 자동차 완구는 전복된 후에 그 위에 설치된 보조 휠 및 전방 휠/후방 휠의 배합 동작에 의해 자동적으로 원위치 복귀를 위한 전복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특수 기능형 완구의 경우 전복이 발생한 후에도 계속 주행할 수 있으나 주행 방향이 후진으로 변환되는 문제가 있다. 상술한 자동차 완구들은 모두 차체가 전복된 후 안정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계속 전진 주행하는 목적을 달성할 수 없으며, 아울러 상기 자동차 완구들은 단일 상방 레일, 단일 측 방향 레일 등 특수 레일 바디 상에서의 주행을 실현할 수 없다.
상술한 종래 기술에 존재하는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동력전달장치의 설계가 교묘하고 구조가 콤팩트화되어 전복 주행 및 특수 레일 바디 상의 적용을 도모할 수 있는 양면 자동차 완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기술방안에 따른 양면 자동차 완구는, 차체와; 차체 내에 설치된 구동장치 및 동력전달장치; 차체 일단에 설치된 종동륜 그룹; 차체 타단에 설치되며, 각각 차체 상부 및 하부로 돌출되는 한 쌍의 제1 구동륜 및 한 쌍의 제2 구동륜을 포함하는 양면 자동차 완구로서, 상기 동력전달장치는 방향전환 기어, 적어도 하나의 더블 기어, 과도 기어, 두 쌍의 구동륜의 륜축 상에 설치된 제1 출력 기어 및 제2 출력 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방향전환 기어와 상기 구동장치 중의 모터의 회전축 기어는 서로 치합되며, 상기 방향전환 기어 상에는 축 방향으로 돌출된 축 방향 기어가 설치되되, 상기 축 방향 기어는 더블 기어의 제1 기어와 서로 치합되고, 상기 더블 기어는 제1 출력 기어와 제2 출력 기어 사이에 위치하되, 상기 더블 기어를 통해 모터의 동력을 제1 출력 기어 및 제2 출력 기어로 전달하며, 상기 제1 출력 기어와 더블 기어의 제2 기어 사이에는 상기 과도 기어의 치합을 통해 동력 전달이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출력 기어는 더블 기어의 제2 기어와 직접적으로 상호 치합되어 동력 전달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상기 동력전달장치가 일반 양면 자동차 완구에 적용될 뿐만 아니라, 두 쌍의 구동륜의 자동적인 탄성 조절이 가능한 양면 자동차 완구에도 적용되도록, 상기 더블 기어의 중간에는 회전축이 설치되고, 상기 차체의 내부 양측에는 대응되게 축 홀 또는 홈 홀이 설치되며, 상기 회전축은 더블 기어가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거나, 더블 기어가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한편 홈 홀 범위 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축 홀 또는 홈 홀에 장착된다.
본 발명의 방향전환 기어는 하기와 같이 다양하며 상이하게 설계될 수 있다. 상기 방향전환 기어는 크라운 기어이고, 상기 회전축 기어는 크라운 기어의 크라운 투스와 서로 치합되는 평 기어가 구성되도록 대응되게 설계되며, 상기 축방향 기어는 상기 크라운 기어의 후면에 설치되되 크라운 기어와 동축을 이룰 수 있다. 또한, 상기 방향전환 기어는 웜(worm)이고, 상기 회전축 기어는 웜과 서로 치합되는 웜 기어(worm gear)가 구성되도록 대응되게 설계하며, 상기 축방향 기어는 상기 웜 일단에 설치되되 웜과 동축을 이루도록 마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방향전환 기어는 제1헬리컬 기어(helical gear)이고, 상기 회전축 기어는 상기 제1헬리컬 기어와 축 교차를 이루는 제2 헬리컬 기어가 구성되도록 대응되게 설계하며, 상기 축방향 기어는 상기 제1 헬리컬 기어 중의 일 면에 설치되되 제1헬리컬 기어와 동축을 이루게 마련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1 구동륜 그룹과 제2 구동륜 그룹의 회전속도가 동일해져 상기 양면 자동차 완구가 양면 레일 주행에 적용되게 하기 위하여, 상기 과도 기어는 모듈러스(modulus)가 상기 더블 기어의 제2 기어의 모듈러스와 동일한 기어인 것으로 마련한다.
두 쌍의 구동륜이 구동장치에서 이격된 거리의 원근 정도에 따라 과도 기어의 설치를 통한 조절이 가능하다. 여기서, 만약 거리가 멀다면, 상기 제1 출력 기어 및 상기 제2 출력 기어와 더블 기어의 제2 기어 사이에 모두 적어도 하나의 과도 기어를 설치할 수 있을 것이지만, 제1 구동륜과 제2 구동륜의 이방성 회전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상기 제1 출력 기어가 위치한 곳의 과도 기어 수량과 제2 출력 기어가 위치한 곳의 과도 기어 수량 사이의 차는 홀수가 되도록 마련한다.
다른 한 기술방안에 따르면, 복수의 더블 기어를 설치함으로써 두 쌍의 구동륜의 거리를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더블 기어는 제1 더블 기어 및 제2 더블 기어 등 도합 2개의 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더블 기어의 제1 기어 및 제2 더블 기어의 제1 기어는 모두 상기 축방향 기어와 서로 치합되며, 상기 제1 더블 기어의 제2 기어와 상기 제1 출력 기어는 서로 치합되고, 상기 제2 더블 기어의 제2 기어와 상기 과도 기어는 서로 치합되며, 상기 과도 기어와 상기 제2 출력 기어는 서로 치합된다.
상기 양면 자동차 완구가 단일 상방 레일, 단일 측 방향 레일 등 특수 레일 바디 상에서 주행 가능하도록, 상기 제1 구동륜은 차체의 후방 하단에 설치되되, 차체 하부로 돌출되고, 상기 제2 구동륜은 차체의 후방 상단에 설치되되, 차체 상부로 돌출되며, 상기 제1 구동륜의 2개의 구동륜의 휠 간격 및 제2 구동륜의 2개의 구동륜의 휠 간격은 모두 상기 종동륜 그룹의 2개의 종동륜의 휠 간격과 동일하게 마련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종동륜 그룹은 한 쌍의 제1 종동륜 및 한 쌍의 제2 종동륜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종동륜은 차체 하부로 돌출되고, 상기 제2 종동륜은 차체 상부로 돌출되며, 상기 제1 종동륜의 2개의 종동륜의 휠 간격과 제2 종동륜의 2개의 종동륜의 휠 간격은 동일하다. 물론, 본 발명의 종동륜 그룹은 단지 한 쌍의 종동륜이거나, 복수 쌍의 종동륜일 수 있다.
상기 동력전달장치는 방향전환 기어, 적어도 하나의 더블 기어, 과도 기어, 두 쌍의 구동륜의 륜축 상에 설치된 제1 출력 기어 및 제2 출력 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방향전환 기어와 상기 구동장치 중의 모터의 회전축 기어는 서로 치합되며, 상기 방향전환 기어 상에는 축 방향으로 돌출된 축 방향 기어가 설치되되, 상기 축방향 기어는 더블 기어의 제1 기어와 서로 치합되고, 상기 더블 기어는 제1 출력 기어와 제2 출력 기어 사이에 위치하되, 상기 더블 기어를 통해 모터의 동력을 제1 출력 기어 및 제2 출력 기어로 전달하며, 상기 제1 출력 기어와 더블 기어의 제2 기어 사이에는 상기 과도 기어의 치합을 통해 동력 전달이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출력 기어는 더블 기어의 제2 기어와 직접적으로 상호 치합되어 동력 전달이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적이다.
본 발명은 방향전환 기어, 더블 기어, 과도 기어, 두 쌍의 구동륜 상에 설치된 제1 출력 기어 및 제2 출력 기어로 구성된 동력전달장치를 사용함으로써 전체 동력전달장치의 설계가 보다 간단하고 교묘하며 구조가 콤팩트하게 될 수 있어 차체의 공간을 대폭적으로 절감하였다. 상기 더블 기어를 브리지로 이용하여 모터의 동력을 두 쌍의 구동륜에 전달함으로써 방향전환 기어의 수량을 감소하였으며, 복수의 방향전환 기어와 모터 회전축의 치합으로 인해 모터의 에너지 및 수명의 가속화 소모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하였다. 그뿐만 아니라, 더블 기어는 제1 출력 기어와 제2 출력 기어 사이의 위치에 설치되어, 양면 자동차 완구의 높이 방향 공간은 충분히 이용되고, 차체의 폭이 추가적으로 증가하지 않으며, 종래의 복수개 방향전환 기어가 설치된 양면 자동차 완구와 비교하면 본 발명의 양면 자동차 완구는 보다 정교하고 미려하다. 또한, 차체의 상이한 크기에 대해 당해 동력전달장치는 모두 통용될 수 있고, 더블 기어의 수량을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것을 통해 방향전환 기어와 출력 기어 사이의 거리를 원활하게 변경할 수 있으며, 양면 자동차 완구의 2개의 구동륜의 거리를 조절 또는 변경할 수 있어 상이한 사이즈의 양면 자동차 완구에 적용하는 목적을 달성할 수 있으므로, 적용성이 강하다. 또한, 더블 기어의 회전축은 차체에 고정되어 움직이지 않게 할 수도 있고, 차체 상의 소정 거리 내에서 원활하게 슬라이딩 운동하게 할 수도 있는데, 이로 인해 더블 기어는 위치 이동이 가능하므로 2개의 구동륜이 상대적으로 인장-축소 가능하며 기복이 심한 노면 또는 이방성 레일 주행에 적합한 양면 자동차 완구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제1 구동륜의 2개의 구동륜의 휠 간격 및 제2 구동륜의 2개의 구동륜의 휠 간격은 모두 종동륜 그룹의 2개의 종동륜의 휠 간격과 동일하므로, 상기 양면 자동차 완구의 양측면 또는 상하면의 자동차 바퀴와 레일 면의 접촉점은 연결되어 장방형을 이룰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양면 자동차 완구는 상방 레일면만 존재하거나 측방향 레일면만 존재하는 레일 바디 상에서 주행할 수 있어 특수 기능 효과가 구비되며, 상기 양면 자동차 완구의 흥미가 더욱 향상되고, 상기 양면 자동차 완구와 배합 사용하는 레일 바디 완구의 조립 자유성 및 창조성 또한 제고되었다. 상기 양면 자동차 완구는 설계가 교묘하고 적용성이 강하며 성능-가격비율이 높고, 양면 자동차 완구의 성능은 효과적으로 향상되었으며, 양면 자동차 완구에 대해 보다 풍부한 게임방식 및 흥미를 부여하였다.
이하, 첨부도면 및 실시예를 결부하여 본 발명을 진일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입체 구조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분해 구조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유형 동력전달장치의 입체 구조 모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유형 동력전달장치의 분해 구조 모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유형 동력전달장치의 입체 구조 모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유형 동력전달장치의 입체 구조 모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특수 레일 바디를 나타낸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양면 자동차 완구는, 차체(1)와; 차체(1) 내에 설치된 구동장치 및 동력전달장치; 차체(1)의 일단에 설치된 종동륜 그룹(2); 차체(1)의 타단에 설치되며, 각각 차체(1)의 상부 및 하부로 돌출되는 한 쌍의 제1 구동륜(3) 및 한 쌍의 제2 구동륜(4)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동력전달장치는 방향전환 기어(5), 더블 기어(6), 과도 기어(7), 두 쌍의 구동륜의 륜축 상에 설치된 제1 출력 기어(8) 및 제2 출력 기어(9)를 포함하고, 상기 방향전환 기어(5)와 구동장치 중의 모터(10)의 회전축 기어(11)는 서로 치합되며, 방향전환 기어(5) 상에는 축방향으로 돌출된 축방향 기어(51)가 설치되되, 상기 축방향 기어(51)는 더블 기어(6)의 제1 기어(61)와 서로 치합되고, 더블 기어(6)는 제1 출력 기어(8)와 제2 출력 기어(9) 사이에 위치하되, 더블 기어(6)를 통해 모터(10)의 동력을 제1 출력 기어(8) 및 제2 출력 기어(9)로 전달하며, 제1 출력 기어(8)와 더블 기어(6)의 제2 기어(62) 사이는 과도 기어(7)의 치합을 통해 동력 전달이 이루어지고, 제2 출력 기어(9)는 더블 기어(6)의 제2 기어(62)와 직접적으로 상호 치합되어 동력 전달이 이루어진다. 전체 동력전달장치의 설계가 보다 간단하고 교묘하며 구조가 콤팩트하게 될 수 있어 차체의 공간을 대폭적으로 절감하였으며, 상기 자동차 완구의 차체(1)의 보다 정교한 설계를 구현하였다. 상기 더블 기어(6)를 브리지로 이용하여 모터(10)의 동력을 두 쌍의 구동륜에 전달함으로써 방향전환 기어(5)의 수량을 감소하였으며, 복수의 방향전환 기어(5)와 모터(10) 회전축 기어(11)의 치합으로 인해 모터(10)의 에너지 및 수명의 가속화 소모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하였다. 그뿐만 아니라, 양면 자동차 완구의 높이 방향 공간은 충분히 이용되고, 차체의 폭이 추가적으로 증가하지 않으며, 종래의 복수개 방향전환 기어가 설치된 양면 자동차 완구와 비교하면 본 발명의 양면 자동차 완구는 보다 정교하고 미려하다.
<실시예 1>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동력전달장치는 하나의 방향전환 기어(5), 하나의 더블 기어(6), 하나의 과도 기어(7), 제1 출력 기어(8) 및 제2 출력 기어(9)를 포함한다. 상기 방향전환 기어(5)는 크라운 기어이고, 상기 회전축 기어(11)는 크라운 기어의 크라운 투스(52)와 서로 치합되는 평 기어가 구성되도록 대응되게 설계되며, 축방향 기어(51)는 상기 크라운 기어의 후면에 설치되되 크라운 기어와 동축을 이룬다. 더블 기어(6)의 불 기어[즉, 제1 기어(61)]와 상기 축방향 기어(51)는 서로 치합되고, 더블 기어(6)의 피니언 기어[즉, 제2 기어(62)]의 상단과 제2 출력 기어(9)는 서로 치합되며, 상기 제2 출력 기어(9)는 제2 구동륜(4)의 륜축 상에 설치되고, 제2 구동륜(4)은 차체(1)의 후방 상부에 설치되되 차체(1)의 상부로 돌출된 2개의 구동륜이며, 더블 기어(6)의 피니언 기어[즉, 제2 기어(62)]의 하단과 과도 기어(7)는 서로 치합되고, 과도 기어(7)는 다시 제1 출력 기어(8)와 서로 치합되며, 상기 제1 출력 기어(8)는 제1 구동륜(3)의 륜축 상에 설치되고, 제1 구동륜(3)은 차체(1)의 후방 하부에 설치되되 차체(1)의 하부로 돌출되는 2개의 구동륜이다. 상기 차체(1)의 제1 구동륜(3)의 2개의 구동륜의 휠 간격과 제2 구동륜(4)의 2개의 구동륜의 휠 간격은 동일하고, 상기 차체(1)의 종동륜 그룹(2)은 한 쌍의 제1 종동륜(21) 및 한 쌍의 제2 종동륜(22)을 포함하되, 제1 종동륜(21)은 차체(1)의 하부로 돌출되고, 제2 종동륜(22)은 차체(1)의 상부로 돌출되며, 마찬가지로, 제1 종동륜(21)의 2개의 종동륜의 휠 간격과 제2 종동륜(22)의 2개의 종동륜의 휠 간격은 동일하다. 또한, 상기 종동륜의 휠 간격도 구동륜의 휠 간격과 동일하다. 따라서, 상기 양면 자동차 완구는 단지 상방 레일면만 구비된 레일 바디에서 주행하는 것이 가능한 바, 도 7 중 표시자(A)가 위치한 곳에 도시된 것과 같고; 단지 측방향 레일면만 구비된 레일 바디에서 주행하는 것도 가능한 바, 도 7 중 표시자(B)가 위치한 곳에 도시된 것과 같다. 특수 기능 효과가 구비됨으로 인해 흥미성이 다분하다.
<실시예 2>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동력전달장치는 하나의 방향전환 기어(5), 하나의 더블 기어(6), 3개의 과도 기어(7), 제1 출력 기어(8) 및 제2 출력 기어(9)를 포함한다. 상기 방향전환 기어(5)는 크라운 기어이고, 회전축 기어(11)는 크라운 기어의 크라운 투스(52)와 서로 치합되는 평 기어가 구성되도록 대응되게 설계되며, 축방향 기어(51)는 크라운 기어의 후면에 설치되되 크라운 기어와 동축을 이룬다. 더블 기어(6)의 불 기어[즉, 제1 기어(61)]와 상기 축방향 기어(51)는 서로 치합되고, 더블 기어(6)의 피니언 기어[즉, 제2 기어(62)]의 상단과 제2 출력 기어(9)는 서로 치합되며, 상기 제2 출력 기어(9)는 제2 구동륜(4)의 륜축 상에 설치되고, 제2 구동륜(4)은 차체(1)의 후방 상부에 설치되되 차체(1)의 상부로 돌출된 2개의 구동륜이며, 더블 기어(6)의 피니언 기어[즉, 제2 기어(62)]의 하단은 그중 하나의 과도 기어(7)와 서로 치합되고, 상기 과도 기어(7)는 또 두 번째 과도 기어(7)와 서로 치합되며, 두 번째 과도 기어(7)는 다시 세 번째 과도 기어(7)와 서로 치합되며, 나중에 세 번째 과도 기어(7)와 제1 출력 기어(8)가 서로 치합된다. 상기 제1 출력 기어(8)는 제1 구동륜(3)의 륜축 상에 설치되고, 제1 구동륜(3)은 차체(1)의 후방 하부에 설치되되 차체(1)의 하부로 돌출되는 2개의 구동륜이다. 제1 구동륜 그룹(3)과 제2 구동륜 그룹(4)의 이방성 회전을 확보하려면 과도 기어(7)의 수량은 반드시 홀수개가 되어야 한다.
<실시예 3>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동력전달장치는 하나의 방향전환 기어(5), 제1 더블 기어(6A)와 제2 더블 기어(6B), 하나의 과도 기어(7), 제1 출력 기어(8) 및 제2 출력 기어(9)를 포함한다. 상기 방향전환 기어(5)는 크라운 기어이고, 회전축 기어(11)는 크라운 기어의 크라운 투스(52)와 서로 치합되는 평 기어가 구성되도록 대응되게 설계되며, 축방향 기어(51)는 크라운 기어의 후면에 설치되되 크라운 기어와 동축을 이룬다. 제1 더블 기어(6A)의 불 기어[즉, 제1 기어(6A1)]와 상기 축방향 기어(51)의 하단은 서로 치합되고, 제1 더블 기어(6A)의 피니언 기어[즉, 제2 기어(6A2)]와 제1 출력 기어(8)는 서로 치합되며, 상기 제1 출력 기어(8)는 제1 구동륜(3)의 륜축 상에 설치되고, 제1 구동륜(3)은 차체(1)의 후방 하부에 설치되되 차체(1)의 하부로 돌출되는 2개의 구동륜이며; 제2 더블 기어(6B)의 불 기어[즉, 제1 기어(6B1)]와 상기 축방향 기어(51)의 상단은 서로 치합되고, 제2 더블 기어(6B)의 피니언 기어[즉, 제2 기어(6B2)]와 과도 기어(7)는 서로 치합되며, 과도 기어(7)는 또 제2 출력 기어(9)와 서로 치합되고, 상기 제2 출력 기어(9)는 제2 구동륜(4)의 회전축 상에 설치되며, 제2 구동륜(4)은 차체(1)의 후방 상부에 설치되되 차체(1)의 상부로 돌출되는 2개의 구동륜이다.
비록 구체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상술한 설명은 본 발명에 대한 한정을 의미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기재를 참조하여 개시된 실시예의 기타 변경은 해당 분야의 당업자 수준에서는 예상 가능한 것이며, 그러한 변경은 당연히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한정 범주에 포함된다.

Claims (10)

  1. 차체(1); 차체(1) 내에 설치된 구동장치 및 동력전달장치; 및 차체(1)의 일단에 설치된 종동륜 그룹(2); 차체(1)의 타단에 설치되며, 각각 차체(1)의 상부 및 하부로 돌출되는 한 쌍의 제1 구동륜(3) 및 한 쌍의 제2 구동륜(4); 을 포함하는 양면 자동차 완구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장치는 방향전환 기어(5), 적어도 하나의 더블 기어(6), 과도 기어(7), 두 쌍의 구동륜의 륜축 상에 설치된 제1 출력 기어(8) 및 제2 출력 기어(9)를 포함하고,
    상기 방향전환 기어(5)와 상기 구동장치중의 모터(10)의 회전축 기어(11)는 서로 치합되며,
    상기 방향전환 기어(5)에는 축방향으로 돌출된 축방향 기어(51)가 설치되되, 상기 축방향 기어(51)는 더블 기어의 제1 기어와 서로 치합되고,
    상기 더블 기어는 제1 출력 기어와 제2 출력 기어 사이에 위치하되, 상기 더블 기어를 통해 모터의 동력을 제1 출력 기어 및 제2 출력 기어로 전달하며,
    상기 제1 출력 기어와 더블 기어의 제2 기어 사이에는 상기 과도 기어의 치합을 통해 동력 전달이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출력 기어는 더블 기어의 제2 기어와 직접적으로 상호 치합되어 동력 전달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자동차 완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더블 기어의 중간에는 회전축이 설치되고,
    상기 차체의 내부 양측에는 대응되게 축 홀 또는 홈 홀이 설치되며,
    상기 회전축은 더블 기어가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거나, 더블 기어가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한편 홈 홀 범위 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축 홀 또는 홈 홀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자동차 완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전환 기어(5)는 크라운 기어이고,
    상기 회전축 기어(11)는 크라운 기어의 크라운 투스(52)와 서로 치합되는 평 기어로 구성되도록 대응되게 설계되며,
    상기 축방향 기어(51)는 상기 크라운 기어의 후면에 설치되되 크라운 기어와 동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자동차 완구.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전환 기어(5)는 웜이고,
    상기 회전축 기어(11)는 웜과 서로 치합되는 웜 기어로 구성되도록 대응되게 설계하며,
    상기 축방향 기어(51)는 상기 웜 일단에 설치되되 웜과 동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자동차 완구.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전환 기어(5)는 제1헬리컬 기어이고,
    상기 회전축 기어(11)는 상기 제1헬리컬 기어와 축 교차를 이루는 제2헬리컬 기어로 구성되도록 대응되게 설계하며,
    상기 축방향 기어(51)는 상기 제1헬리컬 기어 중의 일 면에 설치되되 제1헬리컬 기어와 동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자동차 완구.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과도 기어(7)는,
    상기 제1 출력 기어와 상기 제2 출력 기어의 회전속도가 동일하도록, 모듈러스가 상기 더블 기어(6)의 제2 기어(62)의 모듈러스와 동일한 기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자동차 완구.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출력 기어(9) 및 상기 제2 출력 기어(9)와 더블 기어(6)의 제2 기어(62) 사이에는 모두 적어도 하나의 과도 기어가 설치되되,
    상기 제1 출력 기어가 위치한 곳의 과도 기어 수량과 제2 출력 기어가 위치한 곳의 과도 기어 수량 사이의 차는 홀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자동차 완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더블 기어는 제1 더블 기어(6A) 및 제2 더블 기어(6B)로 정의되는 도합 2개의 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더블 기어(6A)의 제1 기어(6A1) 및 제2 더블 기어(6B)의 제1 기어(6B1)는 모두 상기 축방향 기어(51)와 서로 치합되며,
    상기 제1 더블 기어(6A)의 제2 기어(6A2)와 상기 제1 출력 기어(8)는 서로 치합되고,
    상기 제2 더블 기어(6B)의 제2 기어(6B2)와 상기 과도 기어(7)는 서로 치합되며,
    상기 과도 기어(7)와 상기 제2 출력 기어(9)는 서로 치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자동차 완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동륜(3)은 차체(1)의 후방 하단에 설치되되, 차체(1)의 하부로 돌출되고,
    상기 제2 구동륜(4)은 차체(1)의 후방 상단에 설치되되, 차체(1)의 상부로 돌출되며,
    상기 제1 구동륜(3)의 2개의 구동륜의 휠 간격 및 제2 구동륜(4)의 2개의 구동륜의 휠 간격은 모두 상기 종동륜 그룹(2)의 2개의 종동륜의 휠 간격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자동차 완구.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종동륜 그룹(2)은 한 쌍의 제1 종동륜(21) 및 한 쌍의 제2 종동륜(22)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종동륜(21)은 차체(1)의 하부로 돌출되고, 상기 제2 종동륜(22)은 차체(1)의 상부로 돌출되며,
    상기 제1 종동륜(21)의 2개의 종동륜의 휠 간격과 제2 종동륜(22)의 2개의 종동륜의 휠 간격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자동차 완구.
KR1020167033360A 2014-09-30 2015-06-30 양면 자동차 완구 KR1018799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410517511.0A CN104225927B (zh) 2014-09-30 2014-09-30 一种双面玩具车
CN201410517511.0 2014-09-30
PCT/CN2015/082915 WO2016050105A1 (zh) 2014-09-30 2015-06-30 一种双面玩具车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7896A true KR20170017896A (ko) 2017-02-15
KR101879970B1 KR101879970B1 (ko) 2018-07-18

Family

ID=522153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33360A KR101879970B1 (ko) 2014-09-30 2015-06-30 양면 자동차 완구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9717998B2 (ko)
EP (1) EP3202474A4 (ko)
JP (1) JP6356833B2 (ko)
KR (1) KR101879970B1 (ko)
CN (1) CN104225927B (ko)
AU (1) AU2015327591B2 (ko)
BR (1) BR112016029716A2 (ko)
CA (1) CA2950013C (ko)
MX (1) MX2016015718A (ko)
RU (1) RU2657216C1 (ko)
WO (1) WO201605010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7061A (ko) 2021-05-20 2022-11-29 (주)아카데미과학 주행 완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59206B2 (ja) 2006-02-20 2012-01-25 株式会社セガ トイズ 玩具
CN104225927B (zh) * 2014-09-30 2017-04-05 广东奥飞动漫文化股份有限公司 一种双面玩具车
CN104248846B (zh) * 2014-09-30 2017-04-05 广东奥飞动漫文化股份有限公司 一种可在封闭轨道中竖向拐弯的双面玩具车
CN106310668A (zh) * 2016-08-26 2017-01-11 广东信宇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水陆车及其车轮
CN107158721B (zh) * 2017-07-07 2023-08-08 星辉互动娱乐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玩具的驱动装置
USD963067S1 (en) * 2020-03-31 2022-09-06 Rongbin Chen Remote-controlled toy
US11712636B1 (en) 2022-08-12 2023-08-01 Spin Master Ltd. Transformable toy
US11850531B2 (en) 2023-02-18 2023-12-26 Cheng Chen Rollable toy car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U867387A1 (ru) * 1979-11-01 1981-09-30 Kurchakov Nikolaj M Движитель транспортной игрушки
JPS5770387U (ko) * 1980-10-15 1982-04-28
JPS6060875A (ja) * 1983-09-14 1985-04-08 株式会社タカラ 走行玩具
GB2214099A (en) 1988-01-14 1989-08-31 Synergistics Research Limited A toy vehicle
US5667420A (en) * 1994-01-25 1997-09-16 Tyco Industries, Inc. Rotating vehicle toy
US5727985A (en) * 1994-05-24 1998-03-17 Tonka Corporation Stunt performing toy vehicle
US6551169B2 (en) * 1999-08-06 2003-04-22 Mattel, Inc. Toy vehicle with rotating front end
US6589098B2 (en) * 1999-08-06 2003-07-08 Mattel, Inc. Toy vehicle with pivotally mounted side wheels
US6688938B1 (en) * 1999-08-19 2004-02-10 Kyoung Chul Lee Toy vehicle
WO2007147284A1 (en) * 2006-06-14 2007-12-27 Smartrtoys Ltd. A controllable toy vehicle and track
CN103816665A (zh) * 2012-11-16 2014-05-28 蔡俊权 一种双面玩具车
CN203264270U (zh) * 2013-02-05 2013-11-06 明玉平 双面车
CN104225927B (zh) * 2014-09-30 2017-04-05 广东奥飞动漫文化股份有限公司 一种双面玩具车
CN204121750U (zh) * 2014-09-30 2015-01-28 广东奥飞动漫文化股份有限公司 一种双面玩具车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7061A (ko) 2021-05-20 2022-11-29 (주)아카데미과학 주행 완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202474A4 (en) 2018-05-30
AU2015327591B2 (en) 2017-07-06
BR112016029716A2 (pt) 2020-11-10
MX2016015718A (es) 2017-08-18
JP2017519561A (ja) 2017-07-20
CN104225927B (zh) 2017-04-05
CA2950013A1 (en) 2016-04-07
JP6356833B2 (ja) 2018-07-11
RU2657216C1 (ru) 2018-06-08
KR101879970B1 (ko) 2018-07-18
WO2016050105A1 (zh) 2016-04-07
EP3202474A1 (en) 2017-08-09
US9717998B2 (en) 2017-08-01
CN104225927A (zh) 2014-12-24
CA2950013C (en) 2019-02-05
AU2015327591A1 (en) 2016-12-22
US20170189821A1 (en) 2017-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9970B1 (ko) 양면 자동차 완구
CN205220365U (zh) 可原地转向可横向行驶的汽车
CN105270169A (zh) 可原地转向可横向行驶的汽车
US20160069426A1 (en) Power transmission system and vehicle comprising the same
US20140246263A1 (en) Gearbox
JP2018146073A (ja) 駆動力調整装置
CN102848908A (zh) 一种电动车动力驱动装置及电动汽车
CN103654640A (zh) 清洁机器人驱动轮机构
CN204121750U (zh) 一种双面玩具车
CN209885242U (zh) 一种移动玩具的驱动机构
CN205009993U (zh) 一种驱动轴可选分动器、驱动系统及汽车
CN202237259U (zh) 双后驱模型车底盘
CN103072479A (zh) 四驱车差速机构及应用其的汽车
CN210290636U (zh) 玩具车差速传动组件
TWI437172B (zh) 四輪轉向核心裝置
CN203876578U (zh) 分动器、车辆传动系统及车辆
CN210302395U (zh) 一种四驱高速遥控车的底盘
CN219743885U (zh) 新型的玩具特技车波箱
CN202799599U (zh) 差速式手扶后置旋耕机
CN213100826U (zh) 一种火车玩具
CN201337820Y (zh) 电动玩具车
CN207856317U (zh) 一种新型玩具车
CN202289451U (zh) 一种打鼓玩具车
CN105387180B (zh) 拖拉机用多功能变速箱
CN202637970U (zh) 履带式遥控玩具车转向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