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7843A - 접이식문의 착탈식 연결힌지 조립체 - Google Patents

접이식문의 착탈식 연결힌지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7843A
KR20170017843A KR1020160100411A KR20160100411A KR20170017843A KR 20170017843 A KR20170017843 A KR 20170017843A KR 1020160100411 A KR1020160100411 A KR 1020160100411A KR 20160100411 A KR20160100411 A KR 20160100411A KR 20170017843 A KR20170017843 A KR 201700178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shims
pair
hinge assembly
fram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04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03775B1 (ko
Inventor
정영호
Original Assignee
정영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영호 filed Critical 정영호
Priority to KR10201601004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3775B1/ko
Publication of KR201700178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78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37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37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08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for use in suspensions comprising two spigots placed at opposite edges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the bottom, e.g. trunn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2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fol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48Wings connected at their edges, e.g. foldable wings
    • E06B3/481Wings foldable in a zig-zag manner or bi-fold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48Wings connected at their edges, e.g. foldable wings
    • E06B3/485Sectional doors
    • E06B3/486Sectional doors with hinges being at least partially integral part of the section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xtensible Doors And Revolving Do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이식문의 착탈식 연결힌지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이웃한 제1 및 제2 문짝(20,30) 사이를 연결하는 접속틀체(2); 접속틀체(2) 내부 공간(S)의 상하로 각각 삽입되되, 제1 및 제2 체결공(27,28)을 각각 형성하는 상하측 한 쌍의 보스블럭(3,3`); 상기 보스블럭(3,3`) 외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호 맞물림되는 상하측 한 쌍의 제1 및 제2 연동기어(4,5)(4`,5`); 일단부(33)가 각각의 상기 연동기어(4,5)(4`,5`) 위에 결합되는 상하측 한 쌍의 제1 및 제2 끼움쇠(6,7)(6`,7`); 및 상기 제1 및 제2 끼움쇠(6,7)(6`,7`)와 각각 연동하도록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는 한 쌍의 제1 및 제2 받이대(8,9)(8`,9`);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따라서 제1 및 제2 문짝이 끼움쇠와 받이대를 통해 접속틀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므로, 문틀에 문짝을 조립하거나 해체하는 작업을 매우 편리하고, 신속하며,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접이식문의 착탈식 연결힌지 조립체{Detachable Connecting Hinge Assembly For A Folding Type Door}
본 발명은 접이식문의 착탈식 연결힌지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접을 수 있게 연결된 문짝과 문짝으로 이루어진 접이식문에 있어서, 문짝을 연결하는 접속틀체에 대해 각각의 문짝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문짝의 조립 또는 해체 등 취급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접이식문의 착탈식 연결힌지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접이식 문이란 복수의 문짝을 힌지 등을 이용해 접을 수 있도록 나란히 연결한 문을 이르는 것으로, 그 대표적인 예로서 도 1에 도면부호 101로 도시된 개폐각도 조절이 가능한 갤러리 창을 갖는 폴딩도어(등록특허 제10-1219095호)를 들 수 있다.
이 폴딩도어(101)는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기본적으로 출입구를 이루는 문틀(103)과, 출입구를 개폐하도록 문틀(103) 내에 설치되는 복수의 문짝(105)으로 이루어지는 바, 각각의 문짝(105)들 끼리는 연결힌지(107)에 의해서 접을 수 있게 연결되며, 최외측에 위치하는 두 개의 문짝(105)은 도시된 것처럼 고정힌지(109)에 의해 문틀(103) 측방에 피벗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다. 이때, 문짝(105)은 문짝틀(111)에 유리를 끼운 형태로 제작되며, 유리의 상측 또는 하측에 갤러리 창(113)이 설치된다.
그런데, 위와 같은 종래의 폴딩도어(101)는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연결힌지(107)에 의해 각각의 문짝(105)들이 접을 수 있게 연결되는 바, 폴딩도어(101)를 설치하기 위해 상호 연결된 문짝(105) 전체를 문틀(103)에 조립할 때, 중첩된 문짝(105)의 수만큼 전체 중량이 배증되고, 각각의 문짝(105)이 서로 간에 상대 회전을 할 수 있어 취급에 주의를 요하는 등 조립 작업을 매우 불편하고, 번거롭게 만드는 문제점이 있었다.
KR 10-1219095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의 접이식문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접이식문의 문짝과 문짝을 상호 착탈 가능한 형태로 결합함으로써, 문틀에 문짝을 조립할 때 또는 조립된 문짝을 문틀에서 해체할 때 작업 편리성 및 안전성을 크게 높일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이웃한 제1 및 제2 문짝의 서로 마주보는 측단 모서리면 사이에서 각각의 상기 측단 모서리면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접촉되어, 상기 문짝 사이를 연결하는 접속틀체; 상기 접속틀체 내부 공간의 상하로 각각 삽입되되, 상기 접속틀체의 축방향으로 연장되어 제1 및 제2 체결공을 각각 형성하는 상하측 한 쌍의 보스블럭; 상기 제1 및 제 2 체결공에 각각 체결되는 제1 및 제2 힌지핀에 의해 상기 보스블럭 외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호 맞물림되는 상하측 한 쌍의 제1 및 제2 연동기어; 상기 제1 및 제2 힌지핀 외측단에 각각 끼워지는 일단부가 각각의 상기 연동기어 위에 결합되는 상하측 한 쌍의 제1 및 제2 끼움쇠; 및 상기 측단 모서리면과 인접한 상기 문짝의 상하단 모서리의 말단 부분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제1 및 제2 끼움쇠와 각각 연동하도록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는 상하측 한 쌍의 제1 및 제2 받이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접이식문의 착탈식 연결힌지 조립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상측 제1 및 제2 끼움쇠와 상기 하측 제1 및 제2 끼움쇠는 각각의 상기 상측 제1 및 제2 받이대와 상기 하측 제1 및 제2 받이대에 동시에 착탈되되, 장착 시 각각의 상기 상측 제1 및 제2 받이대와 상기 하측 제1 및 제2 받이대에 상대 회전을 일으키지 않도록 정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상하측 제1 및 제2 끼움쇠는, 상기 접속틀체 위 또는 아래에 놓이는 원판 형태로 된 일단부; 상기 제1 및 제2 문짝의 상하단 모서리를 위 또는 아래에서 덮도록 사각판 형태로 연장된 타단부; 및 상기 타단부의 자유단에 형성되는 끼움홈;을 포함하며, 상기 상하측 제1 및 제2 끼움쇠의 타단부는, 상기 상하측 제1 및 제2 받이대에 구비한 받이면과 상기 끼움홈에 끼워지는 체결나사에 의하여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접이식문의 착탈식 연결힌지 조립체에 따르면, 이웃한 두 문짝 사이의 틈새를 접속틀체에 의해 문짝의 개폐 상태와 무관하게 상시로 메워 마감하므로, 별도의 방음 또는 방풍 부재로 틈새를 메우지 않고도, 접이식문의 차단 기능 및 외관을 일층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접속틀체를 통해 연결되는 이웃한 두 문짝이 끼움쇠와 받이대를 통해 접속틀체에 착탈 가능한 방식으로 결합되므로, 문틀에 문짝을 조립하거나 해체할 때 끼움쇠와 받이대의 결합 또는 분해를 통해 이웃한 문짝을 순차적으로 결합 또는 분해할 수 있게 되고, 따라서 문짝의 조립 또는 해체 작업을 매우 편리하고, 신속하며,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접이식문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문이 착탈식 연결힌지 조립체가 적용된 접이식문을 부분 개방 상태로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접이식문을 완전 폐쇄 상태로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제2 문짝이 접속틀체에서 해체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연결힌지 조립체를 분해하여 도시한 부분 확대 사시도.
도 6은 도 2의 연결힌지 조립체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2에 도시된 접이식문을 완전 개방 상태로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도 2의 접이식문을 문틀이 제거된 상태로 도시한 평면도.
도 9는 도 2에 도시된 끼움쇠와 받이대의 조립 또는 해체 과정을 설명하는 부분 확대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문의 착탈식 연결힌지 조립체를 첨부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착탈식 연결힌지 조립체는 도 2에 도면부호 1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접이식문(10)의 문짝 즉, 제1 문짝(20)과 제2 문짝(30)을 연결하는 구조체로서, 도 2 및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크게 접속틀체(2), 상하측 한 쌍의 보스블럭(3,3`), 상하측 한 쌍의 제1 및 제2 연동기어(4,5)(4`,5`), 상하측 한 쌍의 제1 및 제2 끼움쇠(6,7)(6`,7`), 및 상하측 한 쌍의 제1 및 제2 받이대(8,9)(8`,9`)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먼저 상기 접속틀체(2)는 연결힌지 조립체(1)의 외부 몸체를 형성하는 부분으로,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웃한 제1 및 제2 문짝(20,30)의 서로 마주보는 측단 모서리면(21,31) 사이에 개재되어 연결힌지 조립체(1)의 외부 몸체의 역할을 할 뿐 아니라, 접이식으로 되어 있는 제1 문짝(20)과 제2 문짝(30) 사이에 당연히 발생할 수밖에 없는 틈새를 메우면서, 제1 문짝(20)과 제2 문짝(30)을 연결하는 역할도 겸한다.
이를 위해, 접속틀체(2)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속이 빈 중공의 통체로서 다시 제1 및 제2 미끄럼 지지면(11,12)과 압박홈(13)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상기 제1 및 제2 미끄럼 지지면(11,12)은 제1 문짝(20) 및 제2 문짝(30)의 측단 모서리면(21,31)과 각각 미끄럼 접촉하는 부분으로,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제1 미끄럼 지지면(11)은 제1 문짝(20)의 측단 모서리면(21)과, 제2 미끄럼 지지면(12)은 제2 문짝(30)의 측단 모서리면(31)과 각각 맞닿음되는 바, 각각이 원호 모양으로 볼록하게 만곡된 횡단면 형상을 가진다. 이때, 각각의 미끄럼 지지면(11,12)과 맞닿음되는 각각의 측단 모서리면(21,31)도 마찬가지로 원호 모양을 그리면서 정합되는 형태로 오목하게 만곡되므로, 제1 미끄럼 지지면(11)은 제1 문짝(20)에 대해, 제2 미끄럼 지지면(12)은 제2 문짝(30)에 대해 각각 상대 회전이 가능하도록 접촉한다.
한편, 접속틀체(2)는 위와 같이 외부적으로는 제1 문짝(20)과 제2 문짝(30)을 절첩 가능하게 매개하는 동시에, 내부적으로는 보스블럭(3)을 수용하는 역할을 하는데, 이를 위해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미끄럼 지지면(11,12)을 잇는 경계 부분에 한 쌍의 압박홈(13)이 형성된다. 이 압박홈(13)은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제1 및 제2 미끄럼 지지면(11,12)을 연결하도록 연속적으로 형성되는데, 내부 공간(S)의 상하로 삽입되는 상하측 한 쌍의 보스블럭(3,3`) 각각을 압박할 수 있을 정도의 깊이를 갖도록 내측으로 오목하게 함입되며, 접속틀체(2)에 대한 제1 및 제2 문짝(20,30)의 회전 반경을 확보하는 데 방해가 되지 않을 정도의 폭을 갖는다. 따라서, 접속틀체(2)는 전체적으로 보아 8자와 유사한 외형을 갖는다.
상기 상하측 한 쌍의 보스블럭(3,3`)은 상하측 한 쌍의 제1 및 제2 연동기어(4,5)(4`,5`)나 제1 및 제2 끼움쇠(6,7)(6`,7`)를 접속틀체(2)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는 자리를 만들기 위한 일종의 시트 부재로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속틀체(2) 내부 공간(S)으로 삽입되도록, 예컨대 6각으로 각진 환형 단면을 갖는 몸통(15)과, 이 몸통(15)의 양측면으로 돌출된 한 쌍의 지지리브(17)로 이루어진다. 이때, 몸통(15)의 전면과 후면에는 평탄면(19)이 형성되어, 보스블럭(3)이 내부 공간(S)에 삽입될 때 압박홈(13)과 맞닿음됨으로써 내부 공간(S)에 억지끼움되도록 한다.
뿐만 아니라, 각각의 보스블럭(3,3`)은 접속틀체(2)의 축방향으로 짧게 연장되는 바, 상하측 제1 및 제2 연동기어(4,5)(4`,5`)의 제1 및 제2 힌지핀(25,26)을 결합하기 위한 제1 및 제2 체결공(27,28)이 양측변에 축방향으로 나란히 형성된다. 또한, 각각의 보스블럭(3,3`)은 접속틀체(2) 내에서의 지지력을 높이기 위해 평탄면(19) 외에도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통(15)의 양측면에 한 쌍의 지지리브(17)가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각각의 지지리브(17)는 도 5에 부분적으로 도시된 것처럼, 한 쌍의 미끄럼 지지면(11,12)의 내측에 맞닿음되는데, 이 미끄럼 지지면(11,12)에 대한 지지력을 높이기 위해, 말단에 T자 모양의 밀판(23)이 형성된다.
상기 상하측 한 쌍의 제1 및 제2 연동기어(4,5)(4`,5`)는 제1 문짝(20)과 제2 문짝(30)을 연동시키는 전동수단으로서,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맞물림되는 동시에 상하측 제1 및 제2 끼움쇠(6,7)(6`,7`)와 제1 및 제2 받이대(8,9)(8`,9`) 각각을 통해 제1 및 제2 문짝(20,30)과 각각 결합됨으로써, 어느 한 쪽 문짝(20,30)의 회전에 따라 다른 쪽 문짝(20,30)이 반대방향으로 동기하여 회전하도록 한다. 이때, 각각의 연동기어(4,5)(4`,5`)는 각각의 상하측 보스블럭(3,3`)에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는 바, 이를 위해 제1 및 제2 힌지핀(25,26)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각각의 힌지핀(25,26)은 보스블럭(3,3`)의 제1 및 제 2 체결공(27,28)에 결합된다. 따라서 상하측 제1 및 제2 연동기어(4,5)(4`,5`) 각각은 상호 맞물림된 상태에서 상하측 보스블럭(3,3`) 위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따라서, 상하측 제1 및 제2 연동기어(4,5)(4`,5`) 쌍은 각각 문짝(20,30)의 회동에 따라 회전하는 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동일한 치수 및 형상을 갖는 동일한 규격으로 되어 있으므로, 상호 연동하여 회전할 때 방향은 반대방향이지만 동일한 각속도로 회전한다. 이에 따라, 제1 및 제2 연동기어(4,5)(4`,5`)의 중심을 잇는 직선 즉, 접속틀체(2)의 횡축선이 제1 및 제2 연동기어(4,5)(4`,5`)의 회전 각도와 무관하게 상단 문틀(40)의 종축선과 항상 나란하게 유지된다. 다시 말해, 제1 및 제2 연동기어(4,5)(4`,5`)의 중심을 잇는 직선 즉, 접속틀체(2)의 횡축선은 문(10)이 도 3과 같이 폐쇄된 상태이든, 도 7과 같이 개방된 상태이든, 또는 도 2와 같이 부분 개방된 상태이든 상관없이 항상 상단 문틀(40)의 종축선과 나란한 방향을 유지한다.
특히, 보스블럭(3,3`)은 접속틀체(2)의 내부 공간(S)에 삽입됨에 있어, 그 위 또는 아래 쪽에 장착되는 제1 및 제2 연동기어(4,5)(4`,5`)가 접속틀체(2)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을 정도의 깊이를 남긴 상태로 내부 공간(S)에 삽입된다. 따라서, 제1 및 제2 연동기어(4,5)(4`,5`)는 상하측 한 쌍의 끼움쇠(6,7)(6`,7`)와 받이대(8,9)(8`,9`)에 의해 상방 또는 하방이 마감 처리되므로, 외부 노출이 방지되어 연결힌지 조립체(1)의 외관을 해치지 않게 된다.
상기 상하측 한 쌍의 제1 및 제2 끼움쇠(6,7)(6`,7`)는 상하측 한 쌍의 제1 및 제2 받이대(8,9)(8`,9`)와 함께 상하측 제1 및 제2 연동기어(4,5)(4`,5`)와 제1 및 제2 문짝(20,30)을 각각 연결하는 연결, 고정수단으로서, 도 2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속틀체(2) 위 또는 아래에 놓이는 원판 형태로 된 일단부(33)와, 제1 및 제2 문짝(20,30)의 상하단 모서리(22,32)를 위 또는 아래에서 덮도록 사각판 형태로 연장된 타단부(34)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상하측 한 쌍의 제1 및 제2 끼움쇠(6,7)(6`,7`)는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상하측 보스블럭(3,3`)에 내측단이 각각 끼워진 각각의 제1 및 제2 힌지핀(25,26) 외측단이 일단부(33) 중심에 각각 끼워지며, 제1 및 제2 힌지핀(25,26)의 외측단을 중심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체결나사가 일단부(33)를 관통하여 상하측 한 쌍의 제1 및 제2 연동기어(4,5)(4`,5`)에 각각 나사 체결됨으로써 각각의 연동기어(4,5)(4`,5`) 위 또는 아래에 각각 결합된다.
상기 상하측 한 쌍의 제1 및 제2 받이대(8,9)(8`,9`)는 상하측 한 쌍의 제1 및 제2 끼움쇠(6,7)(6`,7`)와 함께 상하측 제1 및 제2 연동기어(4,5)(4`,5`)와 제1 및 제2 문짝(20,30)을 각각 연결하는 연결, 고정수단으로서, 도 2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문짝(20,30)의 측단 모서리면(21,31)과 인접한 문짝(20,30)의 상하측 모서리(22,32)의 말단 부분에 예컨대, 사각판 형태로 각각 결합되는 바, 대응하는 상하측 한 쌍의 제1 및 제2 끼움쇠(6,7)(6`,7`)와 각각 연동하도록 착탈 가능하게 체결됨으로써, 각각의 문짝(20,30)과 각각의 제1 및 제2 연동기어(4,5)(4`,5`)가 연동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각각의 제1 및 제2 끼움쇠(6,7)(6`,7`)는 각각의 연동기어(4,5)(4`,5`)와는 일체로 되어 동기 회전하지만, 각각의 힌지핀(25,26)에 대해서는 상대 회전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이,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상측 제1 및 제2 끼움쇠(6,7)는 상측 제1 및 제2 받이대(8,9)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도 6에 도시된 하측 제1 및 제2 끼움쇠(6`,7`)는 하측 제1 및 제2 받이대(8`,9`)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바, 제1 및 제2 문짝(20,30)을 조립 또는 해체할 때,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상하측 제1 및 제2 끼움쇠(6,7)(6`,7`)가 동시에 상하측 제1 및 제2 받이대(8,9)(8`,9`)에 착탈된다. 이때, 각각의 상하측 제1 및 제2 끼움쇠(6,7)(6`,7`)는 상하측 제1 및 제2 받이대(8,9)(8`,9`)에 대해 착탈 가능하면서도 상대 회전을 일으키지 않도록 평면 상으로 정합을 이룬다. 이를 위해, 상하측 제1 및 제2 끼움쇠(6,7)(6`,7`)의 타단부(34)는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사각판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하측 제1 및 제2 받이대(8,9)(8`,9`)는 상하측 제1 및 제2 끼움쇠(6,7)(6`,7`)의 타단부(34)를 정합 상태로 착탈 가능하게 끼워 넣을 수 있도록, 사각 횡단면을 형성하는 안내레일(37)을 구비한다.
또한, 제1 및 제2 끼움쇠(6,7)(6`,7`)와 제1 및 제2 받이대(8,9)(8`,9`)는 다양한 체결수단에 의해 착탈식으로 결합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측 제1 및 제2 끼움쇠(6,7)(6`,7`) 타단부(34) 자유단에 각각 형성된 끼움홈(35)과, 상하측 제1 및 제2 끼움쇠(6,7)(6`,7`) 타단부(34) 자유단을 끼움홈(35)을 통해 상하측 제1 및 제2 받이대(8,9)(8`,9`)의 받이면(39)에 착탈식으로 결합하는 체결나사(41)에 의해 제1 및 제2 끼움쇠(6,7)(6`,7`)와 제1 및 제2 받이대(8,9)(8`,9`)를 착탈 가능하게 결합한다. 이를 위해, 체결나사(41)는 끼움홈(35)에 끼워진 상태로 받이면(39)에 나사 결합되어, 상하측 제1 및 제2 끼움쇠(6,7)(6`,7`) 타단부(34) 자유단을 상하측 제1 및 제2 받이대(8,9)(8`,9`)의 받이면(39)과의 사이에 파지한다.
이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문의 착탈식 연결힌지 조립체(1)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접이식문의 착탈식 연결힌지 조립체(1)가 적용된 접이식문(10)은 폐쇄 상태에서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문틀(40) 내에서 제1 및 제2 문짝(20,30)이 일자로 곧게 펴져 출입구를 막는다. 이때, 연결힌지 조립체(1)도 도 3에 상세 도시된 것처럼, 제1 및 제2 문짝(20,30)을 따라 일자로 나란하게 배열되며, 따라서 당연히 접속틀체(2)에 의해 틈새를 메운다.
위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2 문짝(30)을 밀거나 당기게 되면, 접이식문(10)은 예컨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하여 출입구를 개방하기 시작하며, 최종적으로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완전히 접히면서 접이식문(10)을 개방한다. 이때, 연결힌지 조립체(1)도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이등변 삼각형의 등변과 같이 절곡되었다가 도 7과 같이 완전히 접히는데, 이는 도 3에 도시된 제2 문짝(30)의 회동으로 인해 제2 연동기어(5)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이에 따라 제1 연동기어(4)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제1 연동기어(4)의 회전에 연동하여 제1 문짝(20)이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기 때문이다. 또한, 접속틀체(2)는 제1 및 제2 문짝(20,30)들이 회동하는 동안 항상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문틀(40)과 나란한 배치를 유지하므로, 제1 및 제2 문짝(20,30) 사이의 틈새를 안정적으로 메우면서 문(10)의 외관을 미려하게 유지한다.
반대로, 도 7의 문(10) 개방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2 문짝(30)을 밀어 펼치게 되면, 문(10)은 도 2의 상태를 거쳐 도 3의 상태로 폐쇄되는데, 이때 제2 문짝(30)은 제2 연동기어(5)와 함께 시계방향으로 회동하면서 제2 연동기어(5)에 의해 제1 연동기어(4)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며, 제1 연동기어(4)는 제1 문짝(20)과 함께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제1 문짝(20)을 펼침으로써 문(10)을 폐쇄한다.
또한, 제1 및 제2 문짝(20,30)은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상하측 한 쌍의 제1 및 제2 끼움쇠(6,7)(6`,7`)와 상하측 한 쌍의 제1 및 제2 받이대(8,9)(8`,9`)를 통해 접속틀체(2)와 결합되는 바, 상하측 제1 및 제2 끼움쇠(6,7)(6`,7`) 각각이 대응하는 각각의 상하측 제1 및 제2 받이대(8,9)(8`,9`)에 체결나사(41)를 통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므로, 제1 및 제2 문짝(20,30)을 문틀(40)에 조립할 때 예컨대, 도 9의 화살표 방향으로 제2 받이대(9)에 제2 끼움쇠(7)를 끼운 뒤 체결나사(41)를 끼움홈(35)에 걸어 받이면(39)에 나사 결합함으로써, 제2 문짝(30)을 접속틀체(2)에 대해 상대 회전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게 되며, 이를 통해 제2 문짝(30)을 제1 문짝(20)과 연결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문틀(40)에 제1 문짝(20)을 먼저 조립한 뒤, 제1 문짝(20)에 제2 문짝(30)을 순차적으로 조립할 수 있으며, 이는 도 9의 화살표 반대방향으로 이루어지는 분해 시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1 : 연결힌지 조립체 2 : 접속틀체
3 : 보스블럭
4, 5, 4`, 5` : 상하측 한 쌍의 제1 및 제2 연동기어
6, 7, 6`, 7` : 상하측 한 쌍의 제1 및 제2 끼움쇠
8, 9, 8`, 9` : 상하측 한 쌍의 제1 및 제2 받이대
10 : 접이식문 11, 12 : 제1 및 제2 미끄럼 지지면
13 : 압박홈 15 : 몸통
17 : 지지리브 20, 30 : 제1 및 제2 문짝
21, 31 : 측단 모서리면 23 : 밀판
25, 26 : 제1 및 제2 힌지핀 27, 28 : 제1 및 제2 체결공
35 : 끼움홈 37 : 안내레일
39 : 받이면 40 : 문틀
41 : 체결나사 S : 내부 공간

Claims (3)

  1. 이웃한 제1 및 제2 문짝(20,30)의 서로 마주보는 측단 모서리면(21,31) 사이에서 각각의 상기 측단 모서리면(21,31)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접촉되어, 상기 문짝(20,30) 사이를 연결하는 접속틀체(2);
    상기 접속틀체(2) 내부 공간(S)의 상하로 각각 삽입되며, 상기 접속틀체(2)의 축방향으로 연장되어 제1 및 제2 체결공(27,28)을 각각 형성하는 상하측 한 쌍의 보스블럭(3,3`);
    상기 제1 및 제2 체결공(27,28)에 각각 체결되는 제1 및 제2 힌지핀(25, 26)에 의해 상기 보스블럭(3,3`)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호 맞물림되는 상하측 한 쌍의 제1 및 제2 연동기어(4,5)(4`,5`);
    상기 제1 및 제2 힌지핀(25, 26) 외측단에 각각 끼워지는 일단부(34)가 각각의 상기 연동기어(4,5)(4`,5`) 위에 결합되는 상하측 한 쌍의 제1 및 제2 끼움쇠(6,7)(6`,7`); 및
    상기 측단 모서리면(21,31)과 인접한 상기 제1 및 제2 문짝(20,30)의 상하단 모서리(22,32)의 말단 부분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제1 및 제2 끼움쇠(6,7)(6`,7`)와 각각 연동하도록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는 상하측 한 쌍의 제1 및 제2 받이대(8,9)(8`,9`);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문의 착탈식 연결힌지 조립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측 제1 및 제2 끼움쇠(6,7)와 상기 하측 제1 및 제2 끼움쇠(6`,7`)는 각각의 상기 상측 제1 및 제2 받이대(8,9)와 상기 하측 제1 및 제2 받이대(8`,9`)에 동시에 착탈되되,
    장착 시 각각의 상기 상측 제1 및 제2 받이대(8,9)와 상기 하측 제1 및 제2 받이대(8`,9`)에 상대 회전을 일으키지 않도록 정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문의 착탈식 연결힌지 조립체.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하측 제1 및 제2 끼움쇠(6,7)(6`,7`)는,
    상기 접속틀체(2) 위 또는 아래에 놓이는 원판 형태로 된 일단부(33);
    상기 제1 및 제2 문짝(20,30)의 상하단 모서리(22,32)를 위 또는 아래에서 덮도록 사각판 형태로 연장된 타단부(34); 및
    상기 타단부의 자유단에 형성되는 끼움홈(35);을 포함하며,
    상기 상하측 제1 및 제2 끼움쇠(6,7)(6`,7`)의 타단부(34)는, 상기 상하측 제1 및 제2 받이대(8,9)(8`,9`)에 구비한 받이면(39)과 상기 끼움홈(35)에 끼워지는 체결나사(41)에 의하여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문의 착탈식 연결힌지 조립체
KR1020160100411A 2016-08-06 2016-08-06 접이식문의 착탈식 연결힌지 조립체 KR1019037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0411A KR101903775B1 (ko) 2016-08-06 2016-08-06 접이식문의 착탈식 연결힌지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0411A KR101903775B1 (ko) 2016-08-06 2016-08-06 접이식문의 착탈식 연결힌지 조립체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1870 Division 2015-08-07 2015-08-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7843A true KR20170017843A (ko) 2017-02-15
KR101903775B1 KR101903775B1 (ko) 2018-11-21

Family

ID=581118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0411A KR101903775B1 (ko) 2016-08-06 2016-08-06 접이식문의 착탈식 연결힌지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377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8555B1 (ko) * 2018-08-22 2019-09-05 이순우 폴딩 도어용 커넥터 및 폴딩 도어
KR20200022653A (ko) 2018-08-23 2020-03-04 정영호 여닫이문
KR20200096894A (ko) 2020-08-06 2020-08-14 정영호 여닫이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2602B1 (ko) 2020-08-04 2020-11-24 조석근 접이식 도어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50853A (ja) * 1993-11-25 1995-06-13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折り戸
JP2719200B2 (ja) * 1989-09-09 1998-02-25 松下電工株式会社 折り畳み扉
KR101219095B1 (ko) 2012-09-03 2013-01-11 알에스시스템(주) 개폐각도 조절이 가능한 갤러리 창을 갖는 폴딩도어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1972B1 (ko) * 1998-09-24 2002-12-26 조병준 버티칼용가이드레일의차단커버
JP2006241767A (ja) * 2005-03-02 2006-09-14 Sunrise Kinzoku Kogyo Kk 折れ戸
JP4412677B2 (ja) * 2007-03-09 2010-02-10 株式会社スギモト創建 回転折れ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19200B2 (ja) * 1989-09-09 1998-02-25 松下電工株式会社 折り畳み扉
JPH07150853A (ja) * 1993-11-25 1995-06-13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折り戸
KR101219095B1 (ko) 2012-09-03 2013-01-11 알에스시스템(주) 개폐각도 조절이 가능한 갤러리 창을 갖는 폴딩도어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8555B1 (ko) * 2018-08-22 2019-09-05 이순우 폴딩 도어용 커넥터 및 폴딩 도어
WO2020040344A1 (ko) * 2018-08-22 2020-02-27 동국이엔지 폴딩 도어용 커넥터 및 폴딩 도어
CN111083929A (zh) * 2018-08-22 2020-04-28 东国工程有限公司 折叠门用连接器以及折叠门
KR20200022653A (ko) 2018-08-23 2020-03-04 정영호 여닫이문
KR20200096894A (ko) 2020-08-06 2020-08-14 정영호 여닫이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3775B1 (ko) 2018-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3775B1 (ko) 접이식문의 착탈식 연결힌지 조립체
US6272801B1 (en) Decorative window assembly
US2021702A (en) Concealed hinge
KR101630298B1 (ko) 접이문용 힌지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접이문
EP0872930B1 (en) Frame with supporting and connection device for profiled elements and panels of cabinets
KR20120125998A (ko) 노출 차단형 경첩
KR20170017848A (ko) 접이식문의 착탈식 연결힌지 조립체 및 그를 구비한 접이식문의 조립방법
CA2989736C (en) A support system for a wheel assembly to be used with a closure member
KR200487621Y1 (ko) 폴딩도어의 연결 조립체
KR20120084853A (ko) 방충망의 힌지장치
KR20100055798A (ko) 다기능 경첩
PT1178165E (pt) Cofragem para pilares
KR101754763B1 (ko) 접이식 문 연결구조
JPS6332305Y2 (ko)
US2484609A (en) Hinge for overhead doors
KR20170083001A (ko) 접이식 문 연결구조
KR20170106850A (ko) 폴딩도어 구조
US20230056840A1 (en) Shutter assembly
KR20200134195A (ko) 접이식 문 연결구조
JP7255380B2 (ja) ドア構造
KR20030060205A (ko) 외부 노출 차단형 경첩
AU2005101077A4 (en) Panel systems and a connection device therefor
KR200296929Y1 (ko) 조립식 문짝
KR200318159Y1 (ko) 개인사물함의 여닫이문 결합구조
CN112112882A (zh) 隐藏式对开铰链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