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5828Y1 - 샤워부스 - Google Patents

샤워부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5828Y1
KR200345828Y1 KR20030040863U KR20030040863U KR200345828Y1 KR 200345828 Y1 KR200345828 Y1 KR 200345828Y1 KR 20030040863 U KR20030040863 U KR 20030040863U KR 20030040863 U KR20030040863 U KR 20030040863U KR 200345828 Y1 KR200345828 Y1 KR 20034582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ition
plate
hinge
fixed
hing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300408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흥현
Original Assignee
한흥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흥현 filed Critical 한흥현
Priority to KR200300408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582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582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5828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28Showers or bathing douches
    • A47K3/30Screens or collapsible cabinets for showers or baths
    • A47K3/36Articulated scree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28Showers or bathing douches
    • A47K3/30Screens or collapsible cabinets for showers or baths
    • A47K2003/307Adjustable connections to the wal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28Showers or bathing douches
    • A47K3/283Fixed show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athtubs, Showers, And Their Attach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욕실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샤워부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 및 보관이 편리하고,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된 샤워부스에 관한 것으로, 축끼움구멍을 갖추고 욕실의 일벽면에 고정되는 부착판과, 상기 축끼움구멍에 상응하는 축끼움구멍을 갖추면서 이들을 관통하는 힌지핀에 의해 부착판과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결속부로 구성된 한쌍의 제1힌지부재가, 일단에 배치되어 벽면과의 전후회동이 가능하도록 고정되는 사각평판형상의 제1칸막이; 힌지핀이 관통되는 축끼움구멍을 각각 갖추고 상호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ㆍ2연결구로 구성된 한쌍의 제2힌지부재에 의해 제1칸막이의 자유단과 연결되어 제1칸막이와의 전후회동이 가능하도록 고정되는 사각평판형상의 제2칸막이; 제1칸막이와 제2칸막이가 일자로 펼쳐지면 그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고정부재;로 구성되되, 제1칸막이 및 제2칸막이가 제1힌지부재 및 제2힌지부재 상호간의 역방향 회동을 통해 욕실을 종단하듯이 상기 일벽면과 수직하게 일자로 펼쳐지면서 사각단면의 공간이 형성되도록 된 샤워부스에 있어서, 상기 제1칸막이는, 사각평판형상을 갖는 판부재와, 판부재의 상단부를 고정 지지하되 일단으로 상기 제1힌지부재가 결속되고 자유단으로 상기 제2힌지부재가 결속되는 제1상단지지프레임과, 판부재의 하단부를 고정 지지하되 일단으로 상기 제1힌지부재가 결속되고 자유단으로 상기 제2힌지부재가 결속되는 제1하단지지프레임으로 되며; 상기 제2칸막이는, 사각평판형상을 갖는 판부재와, 판부재의 상단부를 고정 지지하되 일단으로 상기 제2힌지부재가 결속되는 제2상단지지프레임과, 판부재의 하단부를 고정 지지하되 일단으로 상기 제2힌지부재가 결속되는 제2하단지지프레임으로 된 것;이다.

Description

샤워부스{Shower booth}
본 고안은 욕실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샤워부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 및 보관이 편리하고,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된 샤워부스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샤워부스는, 이용자에게 밀폐된 공간을 제공하여, 외부로부터의 간섭과 물튀김에 대한 우려없이 편안하게 샤워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종래 샤워부스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욕실 벽면(B)에서 그 일단이 제1힌지부재(100)를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제1칸막이(200)와, 제1칸막이(200)의 자유단과 제2힌지부재(300)를 매개로 상호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칸막이(400)와, 제1칸막이(200) 및 제2칸막이(400)가 일자로 펼쳐질 경우 그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고정부재(500)로 이루어진다.
즉, 상술된 구조를 갖는 종래 샤워부스는, 상기 제1칸막이(200)의 일단이 욕실의 일벽면(B)에 고정되고, 일단이 제1칸막이(200)의 자유단과 연결되어진 제2칸막이(400)의 자유단이 제1칸막이(200)와 더불어 상기 벽면(B)의 대향 벽면에 닿을 수 있도록 일자로 펴지면서 'ㄷ'형 욕실벽면 및 제1ㆍ2칸막이로 둘러싸인 사각단면의 소정공간을 형성시킬 수 있고, 상기 제1ㆍ2힌지부재(100, 300)의 연결구조로 인해 접철되면서 벽면(B)과 포개어지도록 접을 수 있어, 이용자는 협소한 기존 욕실에서도 샤워부스를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술된 구조로 사워부스가 작동되기 위해서는, 벽면(B)과 제1칸막이(200), 제1칸막이(200)와 제2칸막이(400)를 각각 회동가능하게 고정/연결시키는 제1ㆍ2힌지부재(100, 300)가 상호 역방향으로 회동되어야 한다. 이때, 도 1의 (a) 및 (b) 도면은 이에 대한 예시도면으로서, 제1칸막이(200)와 제2칸막이(400)의 접철방향을 달리한 두가지 실시예를 보이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구조를 보이는 종래 샤워부스는, 한쌍으로 구성된 제1ㆍ2힌지부재(100, 200)가 제1칸막이(200) 및 제2칸막이(400)와 별도의 볼팅 또는 핀방식등의 체결수단에 의해 체결됨으로서, 칸막이의 하중을 상기 체결수단이 모두 부담해야하는 문제가 있다. 물론, 일반적인 샤워부스는 중량이 크지 않은 재질로 되며, 간단한 구조를 이루므로 상기 체결수단이 큰 강성을 가질 필요는 없지만, 볼트 또는 핀등을 끼우기 위해 칸막이 자체에 구멍을 뚫어 체결하는 종래 방식에 있어서는 샤워부스의 자중에 대한 응력이 상기 구멍과 체결수단에 집중되어 체결수단은 물론 칸막이의 파손위험 및 샤워부스의 수명단축에 대한 결점이 있었다.
한편, 종래 제1ㆍ2힌지부재(100, 300)의 경우에는 칸막이들(200, 400)의 전후회동에 대한 범위제약없이 360도 회전이 가능하도록 되어 접철방향을 이용자가 임의로 결정할 수 있다는 편리함은 있었지만, 샤워부스의 장기간 이용으로 인해 힌지부재(100, 300)의 윤활성이 저하되면서 칸막이들(200, 400)을 일자로 완전히 펼치더라도 평평한 모습을 이루지 못하게 되어 외관미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고, 이용자 또한 칸막이를 일자로 펼치는데 있어 기준이 될 만한 것이 없으므로 칸막이를 완전히 펼치는 것은 그리 용이하지 못하였다.
또한, 칸막이들(200, 400)이 일단 펼쳐지면 그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별도의 고정부재(500)를 매개로 단단히 고정시켜야 하는데, 이러한 고정부재(5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힌지부재(100)가 부착된 욕실의 일벽면과 대향하는 벽면에 별도 설치되어 제2칸막이(400)의 자유단의 움직임을 저지하여 했다. 그러므로, 이러한 고정부재(500)를 설치하려면 제1힌지부재(100) 이외에도 상기 고정부재(500)를 설치하기 위한 설치작업이 이루어져야 하며, 이렇게 설치되면 벽면의 훼손이 있을 수 있어, 종래 샤워부스를 설치하려는 이용자의 의지를 저하시키는 요인 이 되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칸막이와 이 칸막이를 회동가능하게 상호 연결/고정시키는 힌지부재 간의 연결구조를 개선하여 자중에 의한 응력집중을 피하고, 이로인해 보다 견고하고 수명이 긴 샤워부스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또한, 힌지부재의 회동범위를 제한하여 이용자가 칸막이를 완전히 펼칠 수 있도록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고정부재 설치를 위한 벽면 훼손없이도 칸막이가 평평하게 펼쳐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및 본 고안에 따른 샤워부스의 작동 상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샤워부스가 욕실에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본 고안에 따른 제1힌지부재의 작동 상태도,
도 4는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제1힌지부재의 분해 사시도,
도 5a 및 도 5b는 본 고안에 따른 제2힌지부재의 작동 상태도,
도 6은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제2힌지부재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마감부재가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마감부재의 분해 사시도,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지지프레임의 단면도,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고정부재가 제1힌지부재에 적용되는 모습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고정부재가 제2힌지부재에 적용되는 모습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 첨부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용어설명 -
100, 100' ; 제1힌지부재 110 ; 부착판 111 ; 스토퍼
112, 112a, 112b ; 축끼움구멍 113 ; 부착구멍
120 ; 결속부 121 ; 걸림부 122 ;축끼움구멍
123 ; 끼움바아 124 ; 지지돌기 125 ; 고정핀
130 ; 회동핀 130' ; 고정부재
131, 331 ; 고정바아 131a, 331a ; 고정돌기
131b, 331b ; 요철면 132, 332 ; 유동바아
132a, 332a ; 유동구멍 132b, 332b ; 요철면
132c, 332c ; 탄발부재지지체 133, 333 ; 탄발부재 134, 334 ; 덮개
200 ; 제1칸막이 210 ; 제1상단지지프레임
211 ; 인입구멍 212 ; 지지구멍
213 ; 판부재끼움홈 214, 215 ; 체결편
220 ; 제2하단지지프레임 230 ; 판부재
240, 250, 440, 450 ; 장식부재 300 ; 제2힌지부재
310 ; 제1연결구 311 ; 스토퍼 312 ; 축끼움구멍
313 ; 끼움바아 314 ; 지지돌기 320 ; 제2연결구
321 ; 스토퍼 322 ; 축끼움구멍 323 ; 끼움바아
324 ; 지지바아 330 ; 회동핀 330' ; 고정부재
400 ; 제2칸막이 410 ; 제2상단지지프레임
420 ; 제2하단지지프레임 430 ; 판부재 500 ; 고정부재
600 ; 마감부재 610 ; 덮개판
611, 612 ; 체결구멍 620 ; 끼움바아
621, 622 ; 가이드홈 630 ; 지지돌기 B ; 욕실벽면
H ; 관통구멍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축끼움구멍을 갖추고 욕실의 일벽면에 고정되는 부착판과, 상기 축끼움구멍에 상응하는 축끼움구멍을 갖추면서 이들을 관통하는 힌지핀에 의해 부착판과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결속부로 구성된 한쌍의 제1힌지부재가, 일단에 배치되어 벽면과의 전후회동이 가능하도록 고정되는 사각평판형상의 제1칸막이; 힌지핀이 관통되는 축끼움구멍을 각각 갖추고 상호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ㆍ2연결구로 구성된 한쌍의 제2힌지부재에 의해 제1칸막이의 자유단과 연결되어 제1칸막이와의 전후회동이 가능하도록 고정되는 사각평판형상의 제2칸막이; 제1칸막이와 제2칸막이가 일자로 펼쳐지면 그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고정부재;로 구성되되, 제1칸막이 및 제2칸막이가 제1힌지부재 및 제2힌지부재 상호간의 역방향 회동을 통해 욕실을 종단하듯이 상기 일벽면과 수직하게 일자로 펼쳐지면서 사각단면의 공간이 형성되도록 된 샤워부스에 있어서,
상기 제1칸막이는, 사각평판형상을 갖는 판부재와, 판부재의 상단부를 고정 지지하되 일단으로 상기 제1힌지부재가 결속되고 자유단으로 상기 제2힌지부재가 결속되는 제1상단지지프레임과, 판부재의 하단부를 고정 지지하되 일단으로 상기 제1힌지부재가 결속되고 자유단으로 상기 제2힌지부재가 결속되는 제1하단지지프레임으로 되며;
상기 제2칸막이는, 사각평판형상을 갖는 판부재와, 판부재의 상단부를 고정 지지하되 일단으로 상기 제2힌지부재가 결속되는 제2상단지지프레임과, 판부재의 하단부를 고정 지지하되 일단으로 상기 제2힌지부재가 결속되는 제2하단지지프레임으로 된 것;
으로, 상기 제1힌지부재는 상기 결속부에는 축끼움구멍을 중심으로 편향된 걸림구가 형성되고, 상기 부착판의 일면에는 걸림구와 맞대어져 그 이동을 저지하는 스토퍼가 형성되어서, 상기 제1칸막이의 회동범위가 상기 벽면을 기준으로 90도로 제한되는 것이며, 상기 제2힌지부재는 상기 제1ㆍ2연결구는 축끼움구멍을 중심으로 동방향으로 편향되게 형성된 스토퍼가 상호 맞대어져 그 이동을 저지함으로서, 상기 제1칸막이 및 제2칸막이의 회동범위가 상호 180도로 제한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결속부의 일단과, 제1연결구 및 제2연결구의 일면에는 소정길이로 돌출된 끼움바아 및 지지돌기가 더 형성되고;
상기 제1ㆍ2상단지지프레임 및 제1ㆍ2하단지지프레임에는 각각, 상기 판부재의 상단부 또는 하단부가 삽입고정되도록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판부재끼움홈과, 양단면으로 상기 끼움바아들이 각각 삽입고정되는 인입구멍과, 상기 지지돌기가 맞물려 끼워지는 지지구멍이 포함된 것이며,
특히, 상기 인입구멍의 상부와 하부에는 각각 체결편이 형성되고;
상기 제2지지프레임 자유단의 삽입구멍으로 끼워지는 끼움바아와, 지지구멍으로 끼워지는 지지돌기가 일면에 각각 형성된 덮개판을 포함하되, 덮개판의 상하부에는 각각 상기 체결편과 연통되는 체결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끼움바아의 삽입 시 체결편과의 간섭이 일어나지 않도록 끼움바아의 상면과 저면으로 가이드홈이 되며, 상기 체결구멍 및 체결편을 순차적으로 관통삽입되는 체결부재를 매개로 제2지지프레임에 부착되는 마감부재가 더 포함된 것이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고정핀이, 상기 부착판(또는 제1연결구)의 축끼움구멍과 상기 결속부(또는 제2연결구)의 축끼움구멍에 각각 별도 고정되어서 축끼움구멍들의 회전방향에 따라 회전되도록 분리된 유동바아 및 고정바아로 이루어지되, 이 유동바아 및 고정바아가 상호 맞물리는 일면에는 소정각도로 경사지게 이루어진 요철면이 형성되고, 요철면의 맞물림 상태가 유지되도록 유동바아 및 고정바아에 압력을 가하는 탄발부재가 포함되면서, 상기 유동바아 및 고정바아 간의 역방향 회전시 상기 요철면의 굴곡을 따라 유동바아가 상하로 이동되도록 되되, 상기 탄발부재가 가하는 압력으로 요철면이 상호 강하게 맞물리면서 제1칸막이 및 제2칸막이의 회동이 용이하지 않도록 된 것이다.
이외에도, 상기 지지프레임의 외면에 장식부재가 고정되는 끼움홈이 형성된 것인데, 상기 장식부재는 상기 제1칸막이 및 제2칸막이가 접혀져서 상호 포개어진 경우, 그 위치상태가 유지되도록 자성에 의한 인력을 제공하는 자성재질인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샤워부스가 욕실에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인바,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샤워부스는 종래 샤워부스와 같이, 한쌍의 제1힌지부재(100, 100')를 매개로 그 일단이 욕실의 일벽면(B)에 부착되는 제1칸막이(200)와, 한쌍의 제2힌지부재(300, 300')를 매개로 제1칸막이(200)의 자유단에 연결되는 제2칸막이(400)가 포함된다.
이때, 상기 제1칸막이(200)는 소정면적을 갖는 사각평판형상의 판부재(230)와, 이 판부재(230)의 상단을 고정지지하는 제1상단지지프레임(210)과, 판부재(230)의 하단을 고정지지하는 제1하단지지프레임(220)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지지프레임(210, 220)의 양단에는 각각 제1힌지부재(100, 100')와 제2힌지부재(300, 300')가 결속되어 판부재(230)와 제1상ㆍ하단지지프레임(210, 220)으로 구성된 제1칸막이(200)의 하중을 분산지지한다.
한편, 상기 제2칸막이(400)는 소정면적을 갖는 사각평판형상의 판부재(430)와, 이 판부재(430)의 상단을 고정지지하는 제2상단지지프레임(410)과, 판부재(430)의 하단을 고정지지하는 제2하단지지프레임(420)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지지프레임(410, 420)의 일단에는 제2힌지부재(300, 300')가 각각 결속되어 판부재(230)와 제2상ㆍ하단지지프레임(410, 420)으로 구성된 제2칸막이(200)의 하중을 분산지지한다.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지지프레임의 단면도인바, 이를 참조하여 판부재(230, 430)와 지지프레임(210, 220, 410, 420) 간의 결합구조를 살펴본다.
지지프레임(210 ; 여기서는 제1상단지지프레임을 대표로하여 설명함)의 저면에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판부재끼움홈(213)으로 상기 판부재(230)가 내입되며, 지지프레임(210)과 판부재(230)의 결합부분에 실링작업 및 접착작업을 수행하여 상호간의 고정성을 부여한다.
따라서, 상기 판부재(230, 430)는 각각 제1상ㆍ하단지지프레임(210, 220)과 제2상ㆍ하단지지프레임(410, 420)에 의해 고정지지되며, 제1ㆍ2힌지부재(100,100', 300, 300')가 받는 직접적인 응력을 지지프레임(210, 220, 410, 420)이 공유하게 된다.
이때, 지지프레임들 중에서도 제1하단지지프레임(220) 및 제1힌지부재(100')는 제1칸막이(200)는 물론 제2칸막이(400)의 자중을 지탱해야만 하므로, 다른 곳에 비해 충분히 큰 강성 및 지지력을 갖추고 있어야 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기 판부재(230, 430)는 가벼운 재질의 고분자합성수지재로 될 것이며, 샤워부스로 이용되는 만큼 반투명한 것이 주로 활용될 것이다. 물론,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유리재질이 이용될 수도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샤워부스는 큰 비중의 재질도 훼손없이 지지할 수 있는 충분한 지지력을 가지므로, 상대적으로 큰 하중을 갖는 유리재질의 판부재를 무리없이 적용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는 본 고안에 따른 제1힌지부재의 작동 상태도이고, 도 4는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제1힌지부재의 분해 사시도인바 이를 참조하여 제1힌지부재(100, 100')를 설명한다.
상기 제1힌지부재(100)는 제1칸막이(200)를 회동가능하도록 벽면에 부착시키는 수단으로서, 본 고안에서는 축끼움구멍(112)을 갖추고 벽면으로 부착고정되는 부착판(110)과, 상기 축끼움구멍(112)에 상응하는 축끼움구멍(122)을 갖추고 제1지지프레임(210 ; 이하에서는 상ㆍ하단지지프레임을 대표하여 지지프레임으로 칭함)에 결속되는 결속부(120)와, 축끼움구멍(112, 122)으로 관통삽입되어 이를 중심으로 상기 부착판(110)과 결속부(120)가 상호 회동되도록 하는 힌지핀(130)으로 구성된다.
이때, 부착판(110)에는 부착구멍(113)이 형성되어 이곳으로 관통되는 볼트 또는 못과 같은 핀을 통해 벽면과 단단히 고정되도록 되며, 이외에도 접착제를 발라 붙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부착판(110)에는 스토퍼(111)가 형성된다. 이 스토퍼(111)에 대한 설명은 결속부(120)의 걸림부(121)와 함께 아래에서 설명한다.
상기 결속부(120)에는 축끼움구멍(122)을 중심으로 편향된 걸림부(121)가 형성되어 상기 부착판(110)과 결속부(120) 간의 회동시 일정 회동각에서 상기 스토퍼(111)와 걸림부(121)가 맞닿아 그 이동이 저지되면서 제1칸막이(200)의 회동범위가 제한되도록 된다. 즉, 제1칸막이(200)와 제1힌지부재(100)를 매개로 부착된 벽면과의 회동각을 90도 내로 유지시켜 이용자가 제1칸막이(200)를 펼쳤을 때, 벽면(B)과 제1칸막이의 최대 사이각이 90도가 되도록 한다. 따라서, 이용자는 제1칸막이(200)를 90도 이상으로는 회동시킬 수 없어 종래와는 달리 제1칸막이(200)이가 움직일 수 없을 때까지 회동시키면 그 점이 바로 샤워부스의 칸막이들이 일자로 펼쳐지는 위치가 되는 것이다.(도 3a 및 도 3b 참조)
한편, 상기 결속부(120)에는 제1지지프레임(210)으로 삽입고정되는 끼움바아(123)가 형성되어 제1힌지부재(100)와 제1지지프레임(210) 간의 견고한 연결을 이루게 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프레임(210)의 내측에는 길이방향으로 따라 타단과 연통되는 인입구멍(211)이 형성된다. 이러한 통형구조는 사출성형 또는 직접 평판을 절곡하는 방식을 통해 쉽게 이룰 수 있으므로, 생산효율을높일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도 이를 통해 제조될 것이며, 이렇게 형성된 인입구멍(211)으로 끼워지는 끼움바아(123)를 매개로 제1힌지부재(100)와 지지프레임 간의 견고한 연결이 가능해진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지지프레임에는 인입구멍(211) 이외에도 지지구멍(212)이 더 형성되며, 상기 결속부(120)에는 끼움바아(123)와 평행하게 형성된 지지돌기(124)가 보강되어, 상기 지지구멍(212)과 맞물리게 된다. 따라서, 제1힌지부재(100)와 제1지지프레임(210) 간의 결속력은 더욱 강화되며, 샤워부스의 자중에 의한 응력이 상기 끼움바아(123) 및 지지돌기(124)로 넓게 분산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이는 곧 샤워부스의 수명 연장을 의미함은 자명하다.
도 5a 및 도 5b는 본 고안에 따른 제2힌지부재의 작동 상태도이고, 도 6은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제2힌지부재의 분해 사시도인바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제2힌지부재(300 ; 이하에서는 300'은 생략)는 제1칸막이(200)와 제2칸막이(400)가 상호 회동되도록 하는 동시에 단단히 연결지지하는 부재로써, 서로 상응되면서 별도의 힌지핀(330)을 매개로 상호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축끼움구멍(312, 322)이 각각 형성된 제1연결구(310) 및 제2연결구(320)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축끼움구멍(312, 322)을 중심으로 각 연결구(310, 320)에는 상호 맞물리는 스토퍼(311, 321)가 동방향으로 편향되게 형성되어 제1힌지부재(100)의 스토퍼(111) 및 걸림부(121)와 같이 상호간의 회동범위를 제한하게 된다.(도 5a 및 도 5b 참조) 따라서, 제1연결구(310) 또는 제2연결구(320)는 각각 최대 회동각도가 180도 제한되고, 그 이상으로는 자신의 스토퍼와 다른 한쪽의 스토퍼가 상호맞대어져 그 이동이 저지되므로 회동이 불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이용자는 벽면(B)과 제1칸막이(200)를 90도로 펼친 후, 제2칸막이(400)를 제1칸막이(200)와의 최대각도인 180도까지 펼침으로서 샤워부스의 전체형상이 벽면(B)과 90도 각도를 이루는 일자형태가 될 수 있으며, 이용자도 각 칸막이들(200, 400)을 최대로 펼치기만 하면 되므로, 그 이용이 용이하게 된다. 물론, 외관으로 보았을 때 샤워부스가 완전히 펼쳐지게 되므로 미관이 저하된다는 종래 문제는 해소된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마감부재가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마감부재의 분해 사시도인바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한편, 상기 각 연결구(310, 320)에는 제1지지프레임(210)과 제2지지프레임(410)의 인입구멍(211; 도 9 참조)으로 각각 삽입고정되는 끼움바아(313, 323)와, 지지구멍(212)과 각각 맞물리는 지지돌기(314, 324)가 구비되어 앞서 상술된 바와 같이 지지프레임과 제2힌지부재(300)간의 결속력을 향상시키게 된다. 보다 상세한 설명은 앞서 언급되었으므로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지지프레임의 내측으로 양단이 상호 연통되도록 형성된 인입구멍(211) 및 지지구멍(212)이 형성되어 있음은 상술한 바 있다. 그런데, 상기 제1지지프레임(210)의 일단은 제1힌지부재(100)를 매개로 벽면(B)에 부착되고, 제1지지프레임(210)의 자유단 및 제2지지프레임(410)의 일단은 제2힌지부재(300)를 매개로 연결되고 있으므로, 상기 인입구멍(211) 및 지지구멍(212)이 외부로 드러나지 않게 되지만, 제2지지프레임(410)의 타단은 그렇지 못하므로 외관이 흉물스러울 수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별도의 마감부재(600)로 상기 제2지지프레임(410)의 자유단을 덮어 이곳으로 드러나는 인입구멍(211) 및 지지구멍(212)을 가리게 한다.
이러한 마감부재(600)는 제2지지프레임(410)의 자유단면을 덮는 덮개판(610)과, 제2지지프레임(410)의 인입구멍(211)으로 삽입고정되는 끼움바아(620) 및 지지구멍(212)과 맞물리는 지지돌기(630)로 구성되어진다.
한편,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프레임(210)의 인입구멍(211)에는 상부 및/또는 하부에 각각 체결편(214, 215)가 더 형성된다. 이 체결편(214, 215)은 볼트 또는 핀과 같은 체결수단이 관통되는 곳으로, 이와 상응하는 덮개판(610)의 위치에 체결구멍(611, 612)이 형성되어서, 상기 체결구멍(611, 612)과 체결편(214, 215)를 순차적으로 관통되는 볼트 또는 핀을 매개로 그 결속을 더욱 굳건히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끼움바아(620)의 상하면은 인입구멍(211)으로의 삽입시 체결편(214, 215)에 간섭되지 않도록 가이드홈(621, 622)이 형성되며, 이러한 구조적 형상으로 인해 수직압력에 대한 강성을 높일 수도 있다.
물론, 앞서 설명한 각 힌지부재(100, 300)의 끼움바아(123, 313, 323)에도 이와 동일한 기술적 구조가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지만, 중복설명을 피하기 위해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7에서는 볼트 또는 핀이 결합되지 않은 모습을 도시한 것으로, 상기 체결구멍(611, 612)으로 볼트 또는 핀이 삽입될 것이다.
계속해서, 상기 고정부재(500)는 완전히 펼쳐진 제1칸막이(200)와 제2칸막이(400)의 현상태를 유지시키는 것으로서, 본 고안에서는 상기 힌지부재들(100, 300)의 힌지핀(130, 330) 및 축끼움구멍들을 각각 변형시켰다.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고정부재가 제1힌지부재에 적용되는 모습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고정부재가 제2힌지부재에 적용되는 모습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인바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때, 도 11에서 제2힌지부재(300)에 적용되는 고정부재(330')는 이하의 설명을 생략하기로 하며, 이에 대한 설명은 제1힌지부재(100)에 적용되는 고정부재(130')가 도시된 도 10만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고정부재(500)의 일실시예인 고정부재(130' ; 힌지핀)는 부착판(110)에 형성된 하단축끼움구멍(112b)으로 끼워지는 고정바아(131)와, 이 고정바아(131)와 분리되어서 결속부(120)에 형성된 축끼움구멍(122)으로 끼워지는 유동바아(132) 및, 유동바아(132)를 탄발지지하는 탄발부재(133)를 포함하는 구조를 갖는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일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고정바아(131)는 하단축끼움구멍(112b)의 관통구멍(H)으로 끼워지되, 하단에 형성된 고정돌기(131a)를 매개로 부착판(110)의 회동과 더불어 동방향으로 회동되도록 된다. 따라서, 하단축끼움구멍(112b)의 내측에는 상기 고정돌기(131a)와 맞물리는 홈(미도시됨)이 형성되어야 한다. 한편, 고정바아(131)의 상면에는 중심점을 기준으로 사방으로 일정하게 형성된 요철면(131b)이 형성된다.
상기 유동바아(132)는 고정바아(131)의 상면에 안착되며, 결속부(120)에 형성된 축끼움구멍(122)의 회동과 더불어 동방향으로 회동되도록 된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축끼움구멍(122)의 외면에 체결구멍(122a)을 형성시키고, 이에 상응되도록 유동바아(132)의 외주면에 유동구멍(132a)을 형성시켜 이곳을 순차적으로 관통고정되는 별도의 고정핀(125)으로 축끼움구멍(122)과 유동바아(132)를 고정시킨다. 한편, 유동바아(132)의 저면에는 상기 요철면(131b)에 상응되는 요철면(132b)이 형성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하단축끼움구멍(112b)과 축끼움구멍(122) 간에는 상호 역방향 회동이 일어나므로, 유동바아(132) 및 고정바아(131) 또한 역방향으로 회전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요철면(131b, 132b)들 간의 맞물림으로 인해 유동바아(132) 및 고정바아(131)의 회전과 더불어 위쪽에 위치된 유동바아(132)는 요철면(131b, 132b)의 굴곡을 따라 상하방으로 이동된다. 이때, 상기 유동구멍(132a)은 유동바아(132)의 상하방 이동을 고려하여 종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유동바아(132)의 상면에는 탄발부재(133)가 배치되는데, 이는 유동바아(132)의 이동을 가능한한 억제시킴으로서, 결과적으로 유동바아(132)와 고정바아(131) 간의 역방향 회동이 억제되도록 되고, 이로인해 제1칸막이(200)와 제2칸막이(400)가 상호 접히거나 펼쳐진 상태로 유지된다.
유동바아(132)의 상면에는 탄발부재지지체(132c)가 형성되어 탄발부재(133)가 이탈되지 않도록 잡아주며, 유동바아(132)의 상면으로는 상단축끼움구멍(112a)을 덮으면서 탄발부재(133)의 반발을 지지하는 덮개(134)가 더 포함된다.
한편, 상기 지지프레임(210)의 외관미를 높이기 위해 장식부재(24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장식부재(240)는 지지프레임(210)의 색상을 보조하는 색깔 띠일 수도 있지만, 기능적으로 제1칸막이(200)와 제2칸막이(400)를 완전히 접었을 때 다시 펼쳐지지 못하도록 제1지지프레임과 제2지지프레임을 상호 밀착시킬 수 있는 인력을 제공하는 자성재질로 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샤워부스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욕실 벽면(B) 한쪽에 샤워부스를 접어두어도 다시 펼쳐지는 일 없이 깔끔하게 정리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지지프레임(210)의 외주면에는 상기 장식부재(240)를 끼울 수 있는 끼움홈(215)이 형성된다.
이상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르면, 판부재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이 상단 및 하단에 배치되고, 힌지부재의 결합이 이 지지프레임을 통해 분산적으로 이루어지므로, 자중에 의한 힌지부재 부분의 파손을 최소화시킬 수 있고, 이로인한 샤워부스의 수명단축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칸막이들이 완전히 접히는 각도부터 벽면과 수직이 되도록 일자로 펼쳐지는 각도까지 힌지부재의 회동범위가 제한되므로, 이용자는 용이하게 칸막이를 평평하게 펼쳐 사용할 수 있으며, 힌지부재의 내부에 고정부재가 포함되어, 고정부재를 설치하기 위해 욕실벽면을 부가적으로 훼손하는 문제는 해소할 수 있다.

Claims (8)

  1. 축끼움구멍을 갖추고 욕실의 일벽면에 고정되는 부착판과, 상기 축끼움구멍에 상응하는 축끼움구멍을 갖추면서 이들을 관통하는 힌지핀에 의해 부착판과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결속부로 구성된 한쌍의 제1힌지부재가 일단에 배치되어서 벽면과의 전후회동이 가능하도록 고정되는 사각평판형상의 제1칸막이; 힌지핀이 관통되는 축끼움구멍을 각각 갖추고 상호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ㆍ2연결구로 구성된 한쌍의 제2힌지부재에 의해 제1칸막이의 자유단과 연결되어 제1칸막이와의 전후회동이 가능하도록 고정되는 사각평판형상의 제2칸막이; 제1칸막이와 제2칸막이가 일자로 펼쳐지면 그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고정부재;로 구성되되, 제1칸막이 및 제2칸막이가 제1힌지부재 및 제2힌지부재 상호간의 역방향 회동을 통해 욕실을 종단하듯이 상기 일벽면과 수직하게 일자로 펼쳐지면서 사각단면의 공간이 형성되도록 된 샤워부스에 있어서,
    상기 제1칸막이는, 사각평판형상을 갖는 판부재와, 판부재의 상단부를 고정 지지하되 일단으로 상기 제1힌지부재가 결속되고 자유단으로 상기 제2힌지부재가 결속되는 제1상단지지프레임과, 판부재의 하단부를 고정 지지하되 일단으로 상기 제1힌지부재가 결속되고 자유단으로 상기 제2힌지부재가 결속되는 제1하단지지프레임으로 되며;
    상기 제2칸막이는, 사각평판형상을 갖는 판부재와, 판부재의 상단부를 고정 지지하되 일단으로 상기 제2힌지부재가 결속되는 제2상단지지프레임과, 판부재의하단부를 고정 지지하되 일단으로 상기 제2힌지부재가 결속되는 제2하단지지프레임으로 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부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힌지부재는
    상기 결속부에는 축끼움구멍을 중심으로 편향된 걸림구가 형성되고, 상기 부착판의 일면에는 걸림구와 맞대어져 결속부의 이동을 저지하는 스토퍼가 형성되어서, 상기 제1칸막이의 회동범위가 상기 벽면을 기준으로 90도로 제한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부스.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힌지부재는
    상기 축끼움구멍을 중심으로 편향되도록 형성된 스토퍼가 상호 맞대어지면서 상기 제1ㆍ2연결구의 이동을 저지시켜, 상기 제1칸막이 및 제2칸막이의 회동범위가 상호 180도로 제한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부스.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부의 일단과, 제1연결구 및 제2연결구의 일면에는 각각, 소정길이로 돌출된 끼움바아 및 지지돌기가 더 형성되고;
    상기 제1ㆍ2상단지지프레임 및 제1ㆍ2하단지지프레임에는, 상기 판부재의상단부 또는 하단부가 삽입고정되도록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판부재끼움홈과, 상기 끼움바아들이 삽입고정되도록 양단면에 형성된 인입구멍과, 상기 지지돌기가 맞물려 끼워지도록 양단면에 형성된 지지구멍이 구비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부스.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인입구멍의 상부와 하부에는 각각 체결편이 형성되고;
    상기 제2지지프레임 자유단의 삽입구멍으로 끼워지는 끼움바아와 지지구멍으로 끼워지는 지지돌기가 각각 일면에 형성된 덮개판을 포함하되, 덮개판의 상하부에는 상기 체결편과 연통되는 체결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끼움바아의 삽입 시 체결편과의 간섭이 일어나지 않도록 끼움바아의 상면과 저면으로 가이드홈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구멍 및 체결편을 순차적으로 관통삽입되는 체결부재에 의해 제2지지프레임과 부착되는 마감부재가 더 포함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부스.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고정핀이, 상기 부착판(또는 제1연결구)의 축끼움구멍과 상기 결속부(또는 제2연결구)의 축끼움구멍에 각각 별도 고정되어서 축끼움구멍들의 회전방향에 따라 회전되도록 된 유동바아 및 고정바아로 이루어지되, 이 유동바아 및 고정바아가 상호 맞물리는 일면에는 소정각도로 경사지게 이루어진 요철면이 형성되고, 요철면의 맞물림 상태가 유지되도록 유동바아 및 고정바아에 압력을 가하는 탄발부재가 포함되면서, 상기 유동바아 및 고정바아 간의 역방향 회전시 상기 요철면의 굴곡을 따라 유동바아가 상하로 이동되도록 되어, 상기 탄발부재가 가하는 압력으로 요철면이 상호 강하게 맞물리면서 제1칸막이 및 제2칸막이의 유동이 용이하지 않도록 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부스.
  7. 제 1 항, 제 4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의 외면에 장식부재를 고정시킬 수 있는 끼움홈이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부스.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부재는
    상기 제1칸막이 및 제2칸막이가 접혀져서 상호 포개어진 경우, 그 위치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프레임들간에 인력을 발생시키는 자성재질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부스.
KR20030040863U 2003-12-31 2003-12-31 샤워부스 KR20034582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30040863U KR200345828Y1 (ko) 2003-12-31 2003-12-31 샤워부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30040863U KR200345828Y1 (ko) 2003-12-31 2003-12-31 샤워부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5828Y1 true KR200345828Y1 (ko) 2004-03-25

Family

ID=399442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30040863U KR200345828Y1 (ko) 2003-12-31 2003-12-31 샤워부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5828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0390B1 (ko) 2007-01-31 2007-08-20 (주)테마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칸막이 패널 설치구조
WO2008111853A1 (en) * 2007-03-14 2008-09-18 James Samuel Brown A shower enclosure system
KR100919639B1 (ko) * 2007-08-22 2009-09-30 주식회사 그라스텍 접이식 도어를 가지는 샤워부스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0390B1 (ko) 2007-01-31 2007-08-20 (주)테마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칸막이 패널 설치구조
WO2008111853A1 (en) * 2007-03-14 2008-09-18 James Samuel Brown A shower enclosure system
KR100919639B1 (ko) * 2007-08-22 2009-09-30 주식회사 그라스텍 접이식 도어를 가지는 샤워부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10360B2 (en) Door assembly
PT1671562E (pt) Peças para mobiliário com meios de fixação
US8484771B2 (en) Tub enclosure
US8549711B2 (en) Hinge mounted check strap and method of limiting opening movement of a hinged door
KR101834971B1 (ko) 외관이 깨끗하며, 안정되고 원활한 폴딩기능을 갖는 폴딩도어 시스템
CA2650702A1 (en) Collapsible shelving unit
KR200345828Y1 (ko) 샤워부스
KR20120084853A (ko) 방충망의 힌지장치
US20120036784A1 (en) Safety edge door apparatus
JP5461375B2 (ja) 建具
KR200414029Y1 (ko) 여닫이식 유리도어용 힌지장치
KR200365898Y1 (ko) 절첩식 부스 조립체
KR101836111B1 (ko) 폴딩 도어
KR200462175Y1 (ko) 폴딩 도어용 경첩
JP4570491B2 (ja) 門柱
WO2023065440A1 (zh) 一种可折转的板材组合结构
KR102321455B1 (ko) 셔터식 미닫이 도어를 구비한 수납장
KR102181664B1 (ko) 잠금 기능이 구비된 경첩
KR100346663B1 (ko) 홀딩도어
JP2006207351A (ja) 折り戸のヒンジユニット
CN215858736U (zh) 垭口套
KR101180586B1 (ko) 안경 구조
RU2285099C2 (ru) Конструкция петли
JP2024007135A (ja) 扉用遮光構造
KR200262050Y1 (ko) 천막용 프레임의 결합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311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