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7684A - 단말기 테스트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저장매체 - Google Patents

단말기 테스트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저장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7684A
KR20170017684A KR1020157032939A KR20157032939A KR20170017684A KR 20170017684 A KR20170017684 A KR 20170017684A KR 1020157032939 A KR1020157032939 A KR 1020157032939A KR 20157032939 A KR20157032939 A KR 20157032939A KR 20170017684 A KR20170017684 A KR 201700176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work
test
preset
predetermined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329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27249B1 (ko
Inventor
옌루 장
은싱 허우
지광 가오
Original Assignee
시아오미 아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아오미 아이엔씨. filed Critical 시아오미 아이엔씨.
Publication of KR201700176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76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72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72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32Specific tests of electronic circuit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34Automated test systems [ATE]; using microprocessors or compu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50Testing arrang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32Specific tests of electronic circuit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36Fault-finding or characterising
    • G01R31/2837Characterising or performance testing, e.g. of frequency respons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32Specific tests of electronic circuit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36Fault-finding or characterising
    • G01R31/2844Fault-finding or characterising using test interfaces, e.g. adapters, test boxes, switches, PIN driv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9/00Electric signal transmission systems
    • G08C19/02Electric signal transmission systems in which the signal transmitted is magnitude of current or volt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3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using passwo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1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controlling access to devices or network re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26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using a predetermined code, e.g. password, passphrase or PI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8Access secur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6Testing, supervising or monitoring using simulated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3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he radio access network or backbone network of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206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he radio access network or backbone network of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in access points, e.g. base 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05Discovery of network devices, e.g.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 H04W8/24Transfer of terminal data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est And Diagnosis Of Digital Computers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oftware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말기 테스트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피검사 기기에 이용되는 당해 방법은, 미리 설정된 트리거 조건이 검출되면, 미리 설정된 기기와의 접속을 구축하는 단계; 자동 검사 프로그램을 기동하여, 자동 검사 결과를 취득하는 단계; 및 상기 미리 설정된 기기로 자동 검사 결과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미리 설정된 트리거 조건을 만족시키면 바로 피검사 기기의 자동 검사 프로그램을 기동시킴으로써, 동시에 피검사 기기의 자동 검사 프로그램을 기동시켜, 공장 출하할 때의 피검사 기기를 테스트하는 효율을 향상시켰으며, 또한, 동시에 피검사 기기로 하여금 자동 검사 결과를 미리 설정된 기기로 송신하게 함으로써, 피검사 기기에 대한 테스트 결과의 기록이 편리하게 되었다.

Description

단말기 테스트 방법 및 장치{METHOD AND DEVICE FOR TESTING TERMINAL}
본 발명은, 컴퓨터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말기 테스트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원 발명은, 출원 번호가 CN201510406133.3이고, 출원일자가 2015 년 7 월 10 일인 중국 특허 출원을 기초로 하여 우선권을 주장하는 바, 당해 중국 특허 출원의 전부 내용은 본원 발명에 원용된다.
컴퓨터 기술 및 무선 통신 기술의 발전에 더불어, 전자기기에 무선 통신 모듈을 많이 이용하고 있다. 예를 들면, 스마트 폰 및 타블렛 PC 등은, 모두 무선 통신 기능을 구비한다. 무선 통신 기술은, 스마트 단말기 및 스마트 홈 등의 분야에 많이 응용되고 있다. 전자기기를 공장 출하할 때, 테스트 기술자가 공장 출하하려고 하는 전자기기에 대하여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방면의 테스트를 실시함으로써 전자기기의 정상적인 사용을 보증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전자기기에 대한 테스트 결과의 기록을 편리하게 하며, 공장 출하할 때의 전자기기를 테스트하는 효율을 향상시키는 단말기 테스트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그 기술적 해결 방안은 아래와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제 1 양태에 따르면, 피검사 기기에 이용되는 단말기 테스트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미리 설정된 트리거 조건이 검출되면, 미리 설정된 기기와의 접속을 구축하는 단계; 자동 검사 프로그램을 기동하여, 자동 검사 결과를 취득하는 단계; 상기 미리 설정된 기기로 상기 자동 검사 결과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미리 설정된 트리거 조건이 검출되면, 미리 설정된 기기와의 접속을 구축하는 단계는, 미리 설정된 입력 조작 정보가 검출되면, 미리 설정된 식별자 및 패스워드에 기반하여 상기 미리 설정된 기기와의 접속을 구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미리 설정된 트리거 조건이 검출되는 것은, 미리 설정된 식별자를 가지는 네트워크 기기가 검출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미리 설정된 기기는, 상기 미리 설정된 식별자를 가지는 네트워크 기기를 포함하며, 상기 미리 설정된 트리거 조건이 검출되면, 미리 설정된 기기와의 접속을 구축하는 단계는, 현재 네트워크 내의 상기 네트워크 기기를 검출하는 단계; 및 미리 설정된 식별자를 가지는 네트워크 기기가 검출되면, 상기 미리 설정된 식별자에 대응되는 미리 설정된 패스워드에 기반하여, 상기 미리 설정된 식별자를 가지는 네트워크 기기에 접속하여, 상기 미리 설정된 식별자를 가지는 네트워크 기기와의 접속을 구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미리 설정된 기기로 상기 자동 검사 결과를 송신하는 단계는, 자동 검사 결과에 기반하여, 검사 일지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미리 설정된 기기로 상기 검사 일지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미리 설정된 기기는 네트워크 접속용 기기를 포함하며, 상기 미리 설정된 기기가 상기 네트워크 접속용 기기일 경우, 상기 미리 설정된 기기로 상기 검사 일지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 접속용 기기로 상기 검사 일지를 송신하고, 상기 네트워크 접속용 기기가 상기 검사 일지를 테스트 호스트 컴퓨터로 전송하도록 지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미리 설정된 기기가 네트워크 접속용 기기일 경우, 상기 미리 설정된 기기와의 접속을 구축한 후, 상기 방법은, 상기 네트워크 접속용 기기로 웨이크 메시지를 송신하고, 상기 네트워크 접속용 기기가 상기 웨이크 메시지를 상기 테스트 호스트 컴퓨터로 전송하도록 지시하여, 상기 테스트 호스트 컴퓨터가 상기 웨이크 메시지에 기반하여 가동 상태로 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네트워크 접속용 기기로 상기 검사 일지를 송신하고, 상기 네트워크 접속용 기기가 상기 검사 일지를 테스트 호스트 컴퓨터로 전송하도록 지시하는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 접속용 기기로 웨이크 메시지를 송신한 후, 상기 네트워크 접속용 기기로 상기 검사 일지를 송신하고, 상기 네트워크 접속용 기기가 상기 검사 일지를 테스트 호스트 컴퓨터로 전송하도록 지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제 2 양태에 따르면, 피검사 기기에 이용되는 단말기 테스트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장치는, 미리 설정된 트리거 조건이 검출되면, 미리 설정된 기기와의 접속을 구축하기 위한 구축 모듈; 자동 검사 프로그램을 기동하여, 자동 검사 결과를 취득하기 위한 처리 모듈; 상기 미리 설정된 기기로 상기 자동 검사 결과를 송신하기 위한 제 1 송신 모듈을 구비한다.
상기 구축 모듈은, 미리 설정된 입력 조작 정보가 검출되면, 미리 설정된 식별자 및 패스워드에 기반하여 상기 미리 설정된 기기와의 접속을 구축하기 위한 제 1 구축 서브 모듈을 구비한다.
상기 미리 설정된 트리거 조건이 검출되는 것은, 미리 설정된 식별자를 가지는 네트워크 기기가 검출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미리 설정된 기기는, 상기 미리 설정된 식별자를 가지는 네트워크 기기를 포함하며, 상기 구축 모듈은, 현재 네트워크 내의 네트워크 기기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 서브 모듈; 미리 설정된 식별자를 가지는 네트워크 기기가 검출되면, 상기 미리 설정된 식별자에 대응되는 미리 설정된 패스워드에 기반하여, 상기 미리 설정된 식별자를 가지는 네트워크 기기에 접속하여, 상기 미리 설정된 식별자를 가지는 네트워크 기기와의 접속을 구축하기 위한 제 2 구축 서브 모듈을 구비한다.
상기 제 1 송신 모듈은, 자동 검사 결과에 기반하여, 검사 일지를 생성하기 위한 생성 서브 모듈; 상기 미리 설정된 기기로 상기 검사 일지를 송신하기 위한 제 1 송신 서브 모듈을 구비한다.
상기 미리 설정된 기기는, 네트워크 접속용 기기를 포함하고, 상기 미리 설정된 기기가 상기 네트워크 접속용 기기일 경우, 상기 제 1 송신 모듈은, 상기 네트워크 접속용 기기로 상기 검사 일지를 송신하고, 상기 네트워크 접속용 기기가 상기 검사 일지를 테스트 호스트 컴퓨터로 전송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제 2 송신 서브 모듈을 구비한다.
상기 장치는, 상기 네트워크 접속용 기기로 웨이크 메시지를 송신하고, 상기 네트워크 접속용 기기가 상기 웨이크 메시지를 상기 테스트 호스트 컴퓨터로 전송하도록 지시하여, 상기 테스트 호스트 컴퓨터가 상기 웨이크 메시지에 기반하여 가동 상태로 되도록하기 위한 제 2 송신 모듈을 더 구비하며, 상기 제 2 송신 서브 모듈은, 또한, 상기 네트워크 접속용 기기로 웨이크 메시지를 송신한 후, 상기 네트워크 접속용 기기로 상기 검사 일지를 송신하고, 상기 네트워크 접속용 기기가 상기 검사 일지를 테스트 호스트 컴퓨터로 전송하도록 지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제 3 양태에 따르면, 피검사 기기에 이용되는 단말기 테스트 장치를 제공한다.
당해 장치는,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명령을 기억하는 메모리를 구비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미리 설정된 트리거 조건이 검출되면, 미리 설정된 기기와의 접속을 구축하고, 자동 검사 프로그램을 기동하여, 자동 검사 결과를 취득하고, 상기 미리 설정된 기기로 상기 자동 검사 결과를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이상의 일반적인 설명과 후술되는 세부사항은 단지 예시적인 것일뿐,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는 것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구성의 유익한 효과는 아래와 같다.
미리 설정된 트리거 조건에 기반하여, 미리 설정된 기기와의 접속을 구축하고, 미리 설정된 기기에 접속된 후, 자동 검사 프로그램을 기동하여, 자동 검사 결과를 미리 설정된 기기로 송신한다. 피검사 기기를 공장 출하할 때 피검사 기기의 자동 검사 프로그램을 기동시킬 필요가 있다. 종래에, 자동 검사 프로그램을 기동시키는 과정에 있어서, 테스트 기술자가 각 피검사 기기를 각각 수동적으로 기동시킬 필요가 있기로, 테스트 기술자가 대량의 조작을 실시할 필요가 있다. 미리 설정된 트리거 조건을 만족시키면 바로 피검사 기기의 자동 검사 프로그램을 기동시킴으로써, 동시에 피검사 기기의 자동 검사 프로그램을 기동시켜, 공장 출하할 때의 피검사 기기를 테스트하는 효율을 향상시켰으며, 또한, 동시에 피검사 기기로 하여금 자동 검사 결과를 미리 설정된 기기로 송신하게 함으로써, 피검사 기기에 대한 테스트 결과의 기록이 편리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구성의 유익한 효과는 아래와 같다.
미리 설정된 입력 조작 정보가 검출되면, 미리 설정된 식별자 및 패스워드에 기반하여 미리 설정된 기기와 접속한다. 미리 설정된 입력 조작 정보를 미리 설정된 트리거 조건으로 설정하여, 테스트 기술자의 조작이 편리하게 되었고, 공장 출하할 때의 피검사 기기를 테스트하는 효율을 높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구성의 유익한 효과는 아래와 같다.
미리 설정된 트리거 조건이 미리 설정된 식별자를 가지는 네트워크 기기가 검출되는 것일 경우, 피검사 기기가 현재 네트워크 내의 네트워크 기기를 자동적으로 검출할수 있기 때문에, 테스트 기술자에 의한 수동적인 검색이 필요없게 되었다. 피검사 기기를 테스트할 때, 테스트 기술자가 피검사 기기를 미리 설정된 식별자를 가지는 네트워크 기기의 네트워크 환경 내에 위치시키는 것만으로 피검사 기기의 자동 검사 프로그램을 기동시킬수 있기때문에, 공장 출하할 때의 피검사 기기를 테스트하는 효율을 더 한층 높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구성의 유익한 효과는 아래와 같다.
자동 검사 결과를 검사 일지의 형식으로 미리 설정된 기기로 송신함으로써, 자동 검사 결과의 데이터 전송이 편리해진 동시에, 미리 설정된 기기 상에서의 테스트 기술자의 자동 검사 결과에 대한 조회가 편리하게 되어, 공장 출하할 때의 피검사 기기를 테스트하는 효율을 더 한층 높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구성의 유익한 효과는 아래와 같다.
미리 설정된 기기가 네트워크 접속용 기기일 경우, 피검사 기기가 검사 일지를 네트워크 접속용 기기를 통하여 테스트 호스트 컴퓨터로 전송함으로써, 미리 설정된 기기를 통해 하나 또는 복수의 테스트 호스트 컴퓨터로 검사 일지를 전송시킬수 있기에, 테스트 호스트 컴퓨터에 의한 피검사 기기의 검사 일지의 데이터 수집이 편리하게 되었고, 피검사 기기에 대한 테스트 결과의 기록이 더 한층 편리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구성의 유익한 효과는 아래와 같다.
미리 설정된 기기에 접속된 후, 네트워크 접속용 기기로 웨이크 메시지를 송신하여, 테스트 호스트 컴퓨터가 가동 상태로 되도록 하며, 네트워크 접속용 기기로 웨이크 메시지를 송신한 후, 네트워크 접속용 기기로 검사 일지를 송신하고, 네트워크 접속용 기기를 통해 검사 일지를 테스트 호스트 컴퓨터로 전송한다. 이렇게 하여, 테스트 호스트 컴퓨터의 미가동 상태에서의 휴면을 실현하여, 테스트 호스트 컴퓨터의 자원 소비를 줄였다. 또한, 테스트 호스트 컴퓨터는 휴면 상태에 있을 때도 네트워크 접속용 기기가 전송한 검사 일지를 인차 수신할수 있게 되어, 공장 출하할 때의 피검사 기기를 테스트하는 효율을 높였다.
여기서의 도면은, 명세서에 합병되어 본 명세서의 일부를 구성하는 바,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것이다. 당해 도면들은 명세서와 함께 본 발명의 원리를 분석하는데 이용된다.
도 1은,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테스트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2는,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테스트 방법을 나타내는 상세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3은,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테스트 방법을 나타내는 상세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4는,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테스트 방법을 나타내는 상세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5는,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테스트 장치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6은,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테스트 장치의 구축 모듈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7은,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테스트 장치의 구축 모듈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8은,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테스트 장치의 제1 송신 모듈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9는,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테스트 장치의 제1 송신 모듈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0은,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테스트 장치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1은,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테스트 장치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여기서, 예시적인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는 바, 도면에 설명중의 예를 나타낸다. 다음의 설명중에서, 도면을 설명 할 때 특별한 설명이 없는 경우, 서로 다른 도면 중의 동일한 부호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요소를 의미한다. 아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실시 방법은 본 발명에 따른 모든 실시 방법을 대표하지 않는다. 반대로, 이들은 첨부된 특허 청구 범위에서 상세하게 기술된 본 발명의 여러 양태와 매칭한 장치 및 방법의 예에 불과하다.
컴퓨터 기술 및 무선 통신 기술의 발전에 더불어, 전자기기에 무선 통신 모듈을 많이 이용하고 있다. 예를 들면, 스마트 폰 및 타블렛 PC 등은, 모두 무선 통신 기능을 구비한다. 무선 통신 기술은, 스마트 단말기 및 스마트 홈 등 분야에 많이 응용되고 있다. 전자기기를 공장 출하할 때, 테스트 기술자가 공장 출하하려고 하는 전자기기에 대하여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방면의 테스트를 실시함으로써 전자기기의 정상적인 사용을 보증한다. 전자기기를 본 발명의 실시예 내의 피검사 기기로 한다.
관련 기술에 있어서, 테스트 기술자는 매개의 피검사 기기의 자동 검사 프로그램을 각각 수동적으로 기동시키며, 피검사 기기의 자동 검사가 완료된 후 또한 매개의 자동 검사 결과를 각각 테스트 호스트 컴퓨터로 수동적으로 송신할 필요가 있다. 만약, 10개의 피검사 기기를 자동 검사하려고 하면, 테스트 기술자는 10회에 상당하는 조작을 실시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많은 시간이 걸린다. 또한, 피검사 기기를 공장 출하할 때의 실제의 개수는 10보다 훨씬 크기 때문에, 테스트 기술자는 대량이 시간을 들여 자동 검사 프로그램을 기동시키고 자동 검사 결과를 송신한 후, 또한, 테스트 호스트 컴퓨터가 수신한 각 자동 검사 결과에 대하여 처리를 실시할 필요가 있다. 때문에, 피검사 기기의 공장 출하할 때의 검사 효율이 낮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단말기 테스트 방법을 제공한다. 당해 방법에 따르면, 미리 설정된 트리거 조건에 기반하여, 미리 설정된 기기와의 접속을 구축하고, 미리 설정된 기기에 접속된 후, 자동 검사 프로그램을 기동하여, 자동 검사 결과를 미리 설정된 기기로 송신한다. 피검사 기기를 공장 출하할 때 피검사 기기의 자동 검사 프로그램을 기동시킬 필요가 있다. 종래에, 자동 검사 프로그램을 기동시키는 과정에 있어서, 테스트 기술자가 각 피검사 기기를 각각 수동적으로 기동시킬 필요가 있기로, 테스트 기술자가 대량의 조작을 실시할 필요가 있다. 미리 설정된 트리거 조건을 만족시키면 바로 피검사 기기의 자동 검사 프로그램을 기동시킴으로써, 동시에 피검사 기기의 자동 검사 프로그램을 기동시켜, 공장 출하할 때의 피검사 기기를 테스트하는 효율을 향상시켰으며, 또한, 동시에 피검사 기기로 하여금 자동 검사 결과를 미리 설정된 기기로 송신하게 함으로써, 피검사 기기에 대한 테스트 결과의 기록이 편리하게 되었다.
도 1은,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테스트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인,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말기 테스트 방법은, 피검사 기기에 이용된다. 당해 방법은, 이하의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S101에 있어서, 미리 설정된 트리거 조건이 검출되면, 미리 설정된 기기와의 접속을 구축한다. 여기서, 미리 설정된 기기와 접속하는 방법에는, wifi(Wireless Fidelity) 접속 방법, 블루투스(bluetooth) 접속 방법, 및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접속 방법이 포함된다. 상기의 세 종류의 접속 방법으로 미리 설정된 기기와 접속하는 경우, 상기 세 종류의 접속 방법으로 미리 설정된 기기로 자동 검사 결과를 전송할 수 있을뿐만 아니라, 상기의 세 종류의 접속 방법에 관한 기능 모듈이 정상적으로 동작할 수 있는지 여부도 검사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의 검사도 자동 검사의 일부이다. 자동 검사 프로그램 내의 상기 세 종류의 접속 방법에 관한 기능 모듈의 검사를 줄일 수 있기 때문에 공장 출하할 때의 피검사 기기를 테스트하는 효율을 더 한층 높일 수 있다.
단계 S102에 있어서, 자동 검사 프로그램을 기동하여 자동 검사 결과를 취득한다.
단계 S103에 있어서, 미리 설정된 기기로 자동 검사 결과를 송신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단말기 테스트 방법을 제공한다. 당해 방법에 따르면, 미리 설정된 트리거 조건에 기반하여, 미리 설정된 기기와의 접속을 구축하고, 미리 설정된 기기에 접속된 후, 자동 검사 프로그램을 기동하여, 자동 검사 결과를 미리 설정된 기기로 송신한다. 피검사 기기를 공장 출하할 때 피검사 기기의 자동 검사 프로그램을 기동시킬 필요가 있다. 종래에, 자동 검사 프로그램을 기동시키는 과정에 있어서, 테스트 기술자가 각 피검사 기기를 각각 수동적으로 기동시키므로, 테스트 기술자가 대량의 조작을 실시할 필요가 있다. 미리 설정된 트리거 조건을 만족시키면 바로 피검사 기기의 자동 검사 프로그램을 기동시킴으로써, 동시에 피검사 기기의 자동 검사 프로그램을 기동시켜, 공장 출하할 때의 피검사 기기를 테스트하는 효율을 향상시켰으며, 또한, 동시에 피검사 기기로 하여금 자동 검사 결과를 미리 설정된 기기로 송신하게 함으로써, 피검사 기기에 대한 테스트 결과의 기록이 편리하게 되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미리 설정된 입력 조작 정보가 검출되면, 미리 설정된 식별자 및 패스워드에 기반하여 미리 설정된 기기와의 접속을 구축하는 것으로써, 단계 S101를 실시할 수 있다.
일례로 미리 설정된 식별자가, SSID(Service Set Identifier), 혹은, MAC 주소(Media Access Control 주소) 등 미리 설정된 기기의 하드웨어 식별자라고 가정한다. 각 미리 설정된 기기는, 서로 다른 하드웨어 식별자를 가지기 때문에, 미리 설정된 기기의 하드웨어 식별자를 미리 설정된 식별자로 설정하면, 미리 설정된 기기를 정밀히 확정할 수 있다.
상기의 방법을 채용하면, 미리 설정된 입력 조작 정보가 검출되면, 미리 설정된 식별자 및 패스워드에 기반하여 미리 설정된 기기와 접속한다. 미리 설정된 입력 조작 정보를 미리 설정된 트리거 조건으로 설정함으로써, 테스트 기술자의 조작이 편리하게 되었고, 공장 출하할 때의 피검사 기기를 테스트하는 효율을 높였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미리 설정된 트리거 조건이 검출되는 것은, 미리 설정된 식별자를 가지는 네트워크 기기가 검출되는 것을 포함하고, 미리 설정된 기기는, 미리 설정된 식별자를 가지는 네트워크 기기를 포함한다. 단계 S101는, 또한 단계 A1 및 단계 A2에 의해 실시될수 있다.
단계 A1에 있어서, 현재 네트워크 내의 네트워크 기기를 검출한다.
단계 A2에 있어서, 미리 설정된 식별자를 가지는 네트워크 기기가 검출되면, 미리 설정된 식별자에 대응되는 미리 설정된 패스워드에 기반하여, 미리 설정된 식별자를 가지는 네트워크 기기에 접속하여 미리 설정된 식별자를 가지는 네트워크 기기와의 접속을 구축한다.
일례로 피검사 기기는 휴대 전화, 타블렛 PC 및 스마트 홈 기기 등과 같은 wifi(Wireless Fidelity) 기능을 가지는 전자기기이며, 현재 환경 내의 네트워크 기기를 자동적으로 검출하는 것은 당해 피검사 기기의 기본적인 기능이다. 피검사 기기는, 환경 내의 네트워크 기기를 실시간으로 검출하며, 환경 내에 미리 설정된 식별자를 가지는 네트워크 기기가 존재하면, 당해 네트워크 기기와의 접속을 구축하고 자동 검사 프로그램을 기동한다.
상기의 방법을 채용하면, 미리 설정된 트리거 조건이 미리 설정된 식별자를 가지는 네트워크 기기가 검출되는 것일 경우, 피검사 기기가 현재 네트워크 내의 네트워크 기기를 자동적으로 검출할 수 있기 때문에, 테스트 기술자에 의한 수동적인 검색이 필요없게 되었다. 피검사 기기를 테스트할 때, 테스트 기술자가 피검사 기기를 미리 설정된 식별자를 가지는 네트워크 기기의 네트워크 환경 내에 위치시키는 것만으로 피검사 기기의 자동 검사 프로그램을 기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공장 출하할 때의 피검사 기기를 테스트하는 효율을 더 한층 높였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단계 S103는, 단계 B1 및 단계 B2에 의해 실시될수 있다.
단계 B1에 있어서, 자동 검사 결과에 기반하여, 검사 일지를 생성한다.
단계 B2에 있어서, 미리 설정된 기기로 검사 일지를 송신한다.
상기의 방법을 채용하면, 자동 검사 결과를 검사 일지의 형식으로 미리 설정된 기기로 송신함으로써, 자동 검사 결과의 데이터 전송이 편리해진 동시에, 미리 설정된 기기 상에서의 테스트 기술자의 자동 검사 결과에 대한 조회가 편리하게 되어, 공장 출하할 때의 피검사 기기를 테스트하는 효율을 더 한층 높였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미리 설정된 기기는 네트워크 접속용 기기를 포함한다. 당 미리 설정된 기기가 네트워크 접속용 기기일 경우, 단계 B2는, 단계 C1에 의해 실시될수 있다. 단계 C1에 있어서, 네트워크 접속용 기기로 검사 일지를 송신하고, 네트워크 접속용 기기가 당해 검사 일지를 테스트 호스트 컴퓨터로 전송하도록 지시한다. 여기서, 네트워크 접속용 기기는, 예를 들면, 전자기기를 네트워크에 접속시키기 위한 기기이다.
일례로 미리 설정된 기기는 네트워크 접속용 기기 및 테스트 호스트 컴퓨터를 포함한다. 즉, 피검사 기기는, 테스트 호스트 컴퓨터와 직접 접속될 수도 있고, 네트워크 접속용 기기를 통해 테스트 호스트 컴퓨터와 접속될 수도 있다. 미리 설정된 기기가 테스트 호스트 컴퓨터인 경우, 단계 B2는, 또한, 테스트 호스트 컴퓨터로 검사 일지를 송신하는 것으로 실시될 수 있다. 그러나, 테스트 호스트 컴퓨터가 유일한 하나의 테스트 기기가 아닐 가능성도 있다. 즉, 복수의 테스트 호스트 컴퓨터가 존재하는 경우도 있다. 적어도 두개의 테스트 호스트 컴퓨터가 존재하는 경우, 피검사 기기가 테스트 호스트 컴퓨터로 검사 일지를 송신할 때, 검사 일지의 데이터를 적어도 두회 송신하거나, 혹은, 그 중의 하나의 테스트 호스트 컴퓨터로만 검사 일지를 한회 송신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상기의 두가지 방법 중 어느 한 방법을 채용할지라도, 검사 일지를 송신하는 송신 효율을 보증하는 동시에 테스트 호스트 컴퓨터의 기록 효율을 보증할 수 없다.
상기의 방법을 채용하면, 미리 설정된 기기가 네트워크 접속용 기기일 경우, 피검사 기기가 검사 일지를 네트워크 접속용 기기를 통하여 테스트 호스트 컴퓨터로 전송함으로써, 미리 설정된 기기를 통해 하나 또는 복수의 테스트 호스트 컴퓨터로 검사 일지를 전송시킬 수 있기 때문에, 테스트 호스트 컴퓨터에 의한 피검사 기기의 검사 일지의 데이터 수집이 편리하게 되었고, 피검사 기기에 대한 테스트 결과의 기록이 더 한층 편리하게 되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미리 설정된 기기가 네트워크 접속용 기기일 경우, 단계 S101을 수행한 후, 당해 방법은, 단계 D1를 더 포함할수 있다. 단계 D1에 있어서, 네트워크 접속용 기기로 웨이크 메시지를 송신하고, 네트워크 접속용 기기가 웨이크 메시지를 테스트 호스트 컴퓨터로 전송하도록 지시하고, 테스트 호스트 컴퓨터가 웨이크 메시지에 기반하여 가동 상태로 되도록 한다.
단계 C1는, 또한, 네트워크 접속용 기기로 웨이크 메시지를 송신한 후, 네트워크 접속용 기기로 검사 일지를 송신하고, 네트워크 접속용 기기가 당해 검사 일지를 테스트 호스트 컴퓨터로 전송하도록 지시하는 것으로써, 실시될 수 있다.
상기의 방법을 채용하면, 미리 설정된 기기에 접속된 후, 네트워크 접속용 기기로 웨이크 메시지를 송신하여, 테스트 호스트 컴퓨터가 가동 상태로 되도록 하며, 네트워크 접속용 기기로 웨이크 메시지를 송신한 후, 네트워크 접속용 기기로 검사 일지를 송신하고, 네트워크 접속용 기기를 통해 검사 일지를 테스트 호스트 컴퓨터로 전송한다. 이렇게 하여, 테스트 호스트 컴퓨터의 미가동 상태에서의 휴면을 실현하여, 테스트 호스트 컴퓨터의 자원 소비를 줄였다. 또한, 테스트 호스트 컴퓨터는 휴면 상태에 있을 때도 네트워크 접속용 기기가 전송한 검사 일지를 인차 수신할 수 있게 되어, 공장 출하할 때의 피검사 기기를 테스트하는 효율을 높였다.
이하, 상세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단말기 테스트 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미리 설정된 기기는, 테스트 호스트 컴퓨터이다. 당해 방법은, 구체적으로 이하의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S201에 있어서, 현재 네트워크 내의 네트워크 기기를 검출한다.
현재 네트워크 내의 사용자 이름이 “테스트 기기”인 네트워크 기기를 검출한다.
단계 S202에 있어서, 미리 설정된 식별자를 가지는 네트워크 기기가 검출되면, 미리 설정된 식별자에 대응되는 미리 설정된 패스워드에 기반하여, 미리 설정된 식별자를 가지는 네트워크 기기에 접속하여 미리 설정된 식별자를 가지는 네트워크 기기와의 접속을 구축한다.
미리 설정된 식별자가 “테스트 기기”일 경우, 네트워크 내의 네트워크 기기의 사용자 이름과 미리 설정된 사용자 이름이 동일하기 때문에, 미리 설정된 식별자에 대응되는 미리 설정된 패스워드에 기반하여, 사용자 이름이 “테스트 기기”인 네트워크 기기와의 접속을 구축한다.
단계 S203에 있어서, 자동 검사 프로그램을 기동하여, 자동 검사 결과를 취득한다.
피검사 기기는, 사용자 이름이 “테스트 기기”인 네트워크 기기와의 접속을 구축한 후, 로컬의 자동 검사 프로그램을 기동시켜 자동 검사 결과를 얻는다.
단계 S204에 있어서, 자동 검사 결과에 기반하여 검사 일지를 생성한다.
단계 S205에 있어서, 미리 설정된 기기로 검사 일지를 송신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단말기 테스트 방법을 제공했다. 당해 방법에 따르면, 미리 설정된 트리거 조건이 미리 설정된 식별자를 가지는 네트워크 기기가 검출되는 것일 경우, 피검사 기기가 현재 네트워크 내의 네트워크 기기를 자동적으로 검출할 수 있기 때문에, 테스트 기술자에 의한 수동적인 검색이 필요없게 되었다. 피검사 기기를 테스트할 때, 테스트 기술자가 피검사 기기를 미리 설정된 식별자를 가지는 네트워크 기기의 네트워크 환경 내에 위치시키는 것만으로 피검사 기기의 자동 검사 프로그램을 기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공장 출하할 때의 피검사 기기를 테스트하는 효율을 더 한층 높였다. 또한, 네트워크중에 하나의 네트워크 기기만 존재하는 것은, 이 때의 피검사 기기가 테스트 장소에 위치되었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테스트 장소 이외의 장소에 미리 설정된 식별자와 동일한 사용자 이름을 가지는 네트워크 기기가 존재하여 피검사 기기가 자동 검사 프로그램을 기동시키는 문제를 피면했다. 또한, 자동 검사 결과를 검사 일지의 형식으로 미리 설정된 기기로 송신함으로써, 자동 검사 결과의 데이터 전송이 편리해진 동시에, 미리 설정된 기기 상에서의 테스트 기술자의 자동 검사 결과에 대한 조회가 편리하게 되어, 공장 출하할 때의 피검사 기기를 테스트하는 효율을 더 한층 높였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단말기 테스트 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미리 설정된 기기는, 네트워크 접속용 기기이다. 즉, 미리 설정된 기기가 라우터인 경우 구체적으로 이하의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S301에 있어서, 현재 네트워크 내의 네트워크 기기를 검출한다.
현재 네트워크 내의 사용자 이름이 “테스트 기기”인 라우터를 검출한다.
단계 S302에 있어서, 미리 설정된 식별자를 가지는 네트워크 기기가 검출되면, 미리 설정된 식별자에 대응되는 미리 설정된 패스워드에 기반하여, 미리 설정된 식별자를 가지는 네트워크 기기에 접속하여 미리 설정된 식별자를 가지는 네트워크 기기와의 접속을 구축한다.
미리 설정된 식별자가 “테스트 기기”일 경우, 네트워크 내의 라우터의 사용자 이름과 미리 설정된 사용자 이름이 동일하기 때문에, 미리 설정된 식별자에 대응되는 미리 설정된 패스워드에 기반하여, 사용자 이름이 “테스트 기기”인 라우터 기기와의 접속을 구축한다.
단계 S303에 있어서, 네트워크 접속용 기기로 웨이크 메시지를 송신하고, 네트워크 접속용 기기가 웨이크 메시지를 테스트 호스트 컴퓨터로 전송하도록 지시하고, 테스트 호스트 컴퓨터가 웨이크 메시지에 기반하여 가동 상태로 되도록 한다.
사용자 이름이 “테스트 기기”인 라우터에 웨이크 메시지를 송신한다. 테스트 호스트 컴퓨터는 미가동 상태에 있을때 휴면 상태에 처해 있다. 이렇게 하면, 테스트 호스트 컴퓨터의 소비 전력을 줄일 수 있음과 동시에, 테스트 호스트 컴퓨터의 긴 기간에 걸친 가동에 의한 사용 수명의 영향을 줄일 수 있다. 때문에, 라우터와의 접속을 구축한 후, 라우터를 통해 테스트 호스트 컴퓨터로 웨이크 메시지를 송신하여, 웨이크 메시지에 기반하여 테스트 호스트 컴퓨터가 휴면 상태로부터 가동 상태로 되도록 한다.
단계 S304에 있어서, 자동 검사 프로그램을 기동하여, 자동 검사 결과를 취득한다.
단계 S305에 있어서, 자동 검사 결과에 기반하여, 검사 일지를 생성한다.
단계 S306에 있어서, 네트워크 접속용 기기로 검사 일지를 송신하고, 네트워크 접속용 기기가 당해 검사 일지를 테스트 호스트 컴퓨터로 전송하도록 지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단말기 테스트 방법을 제공했다. 당해 방법에 따르면, 미리 설정된 기기가 네트워크 접속용 기기일 경우, 피검사 기기가 검사 일지를 네트워크 접속용 기기를 통하여 테스트 호스트 컴퓨터로 전송함으로써, 미리 설정된 기기를 통해 하나 또는 복수의 테스트 호스트 컴퓨터로 검사 일지를 전송시킬수 있기 때문에, 테스트 호스트 컴퓨터에 의한 피검사 기기의 검사 일지의 데이터 수집이 편리하게 되었고, 피검사 기기에 대한 테스트 결과의 기록이 더 한층 편리하게 되었다. 네트워크 접속용 기기와 접속한 후, 네트워크 접속용 기기로 웨이크 메시지를 송신하고, 미리 설정된 네트워크 접속용 기기를 통해 웨이크 메시지를 테스트 호스트 컴퓨터를 전송하여, 테스트 호스트 컴퓨터가 가동 상태로 되도록 하며, 네트워크 접속용 기기로 웨이크 메시지를 송신한 후, 네트워크 접속용 기기로 검사 일지를 송신하고, 네트워크 접속용 기기를 통해 검사 일지를 테스트 호스트 컴퓨터로 전송한다. 이렇게 하여, 테스트 호스트 컴퓨터의 미가동 상태에서의 휴면을 실현하여, 테스트 호스트 컴퓨터의 자원 소비를 줄였다. 또한, 테스트 호스트 컴퓨터는 휴면 상태에 있을 때도 네트워크 접속용 기기가 전송한 검사 일지를 인차 수신할 수 있게 되어, 공장 출하할 때의 피검사 기기를 테스트하는 효율을 높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단말기 테스트 방법은, 상기의 두가지 구성에 의해 실현되는것 외에, 이하의 구성에 의해 피검사 기기와 미리 설정된 기기와의 접속을 실현할 수 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단말기 테스트 방법을 제공한다. 당해 방법은, 구체적으로 이하의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S401에 있어서, 미리 설정된 입력 조작 정보를 검출한다.
미리 설정된 입력 조작은, 테스트 기술자가 기기 상의 특정 버튼의 조합을 누르는 조작일 수도 있고, 기기의 키보드를 통한 특정 입력 조작일 수도 있다. 당해 미리 설정된 입력 조작은, 사용자 혹은 가타 사람이 자주 사용하지 않는 조작이기만 하면 된다.
단계 S402에 있어서, 미리 설정된 입력 조작 정보가 검출되면, 미리 설정된 식별자 및 패스워드에 기반하여, 미리 설정된 기기와의 접속을 구축한다.
피검사 기기를 생산할 때, 피검사 기기에 식별자 및 패스워드를 미리 설정한다. 당해 미리 설정된 식별자는, 미리 설정된 기기의 하드웨어 식별자일 수 있다. 피검사 기기는, 미리 설정된 입력 조작 정보가 검출되면, 당해 미리 설정된 식별자에 대응되는 미리 설정된 기기와 접속하며, 접속되 후 자동 검사을 실시하고 자동 검사 결과를 미리 설정된 기기로 송신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단말기 테스트 방법 내의 미리 설정된 기기와 접속하는 방법을 제공했다. 미리 설정된 입력 조작 정보가 검출되면, 미리 설정된 식별자 및 패스워드에 기반하여 미리 설정된 기기와 접속한다. 미리 설정된 입력 조작 정보를 미리 설정된 트리거 조건으로 설정하여, 테스트 기술자의 조작이 편리하게 되었고, 공장 출하할 때의 피검사 기기를 테스트하는 효율을 높였다.
이하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 실시 예인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실시 예를 실행할 수 있다.
도 5는,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테스트 장치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당해 장치는,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혹은 양자의 조합에 의해, 전자기기의 일부, 혹은, 전부를 실현할 수 있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검사 기기에 이용되는 당해 단말기 테스트 장치는, 구축 모듈 (51), 처리 모듈 (52) 및 제1 송신 모듈 (53)을 구비한다.
구축 모듈 (51)은, 미리 설정된 트리거 조건이 검출되면, 미리 설정된 기기와의 접속을 구축한다.
처리 모듈 (52)는, 자동 검사 프로그램을 기동하여, 자동 검사 결과를 취득한다.
제1 송신 모듈 (53)은, 미리 설정된 기기로 자동 검사 결과를 송신한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축 모듈 (51)은, 제1 구축 서브 모듈 (61)을 구비한다.
제1 구축 서브 모듈 (61)은, 미리 설정된 입력 조작 정보가 검출되면, 미리 설정된 식별자 및 패스워드에 기반하여 미리 설정된 기기와의 접속을 구축한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미리 설정된 트리거 조건이 검출되는 것은, 미리 설정된 식별자를 가지는 네트워크 기기가 검출되는 것을 포함한다.
미리 설정된 기기는, 미리 설정된 식별자를 가지는 네트워크 기기를 포함한다.
구축 모듈 (51)은, 검출 서브 모듈 (71)및 제2 구축 서브 모듈 (72)을 구비한다.
검출 서브 모듈 (71)은, 현재 네트워크 내의 네트워크 기기를 검출한다.
제2 구축 서브 모듈 (72)는, 미리 설정된 식별자를 가지는 네트워크 기기가 검출되면, 미리 설정된 식별자에 대응되는 미리 설정된 패스워드에 기반하여, 미리 설정된 식별자 가지는 네트워크 기기와 접속하고, 미리 설정된 기기와의 접속을 구축한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송신 모듈 (53)은, 생성 서브 모듈 (81) 및 제1 송신 서브 모듈 (82)을 구비한다.
생성 서브 모듈 (81)은, 자동 검사 결과에 기반하여, 검사 일지를 생성한다.
제1 송신 서브 모듈 (82)은, 미리 설정된 기기로 검사 일지를 송신한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미리 설정된 기기는, 네트워크 접속용 기기를 포함한다.
미리 설정된 기기가 네트워크 접속용 기기일 경우, 제1 송신 모듈 (53)은, 제2 송신 서브 모듈 (91)을 구비한다.
제2 송신 서브 모듈 (91)은, 네트워크 접속용 기기로 검사 일지를 송신하고, 네트워크 접속용 기기가 당해 검사 일지를 테스트 호스트 컴퓨터로 전송하도록 지시한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당해 장치는, 제2 송신 모듈 (101)을 더 구비한다.
제2 송신 모듈 (101)은, 네트워크 접속용 기기로 웨이크 메시지를 송신하고, 네트워크 접속용 기기가 웨이크 메시지를 테스트 호스트 컴퓨터로 전송하도록 지시하고, 테스트 호스트 컴퓨터가 웨이크 메시지에 기반하여 가동 상태로 되도록 한다.
제2 송신 서브 모듈 (91)은, 또한, 네트워크 접속용 기기로 웨이크 메시지를 송신한 후, 네트워크 접속용 기기로 검사 일지를 송신하고, 네트워크 접속용 기기가 당해 검사 일지를 테스트 호스트 컴퓨터로 전송하도록 지시한다.
일 실시예의 단말기 테스트 장치는,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명령을 기억하는 메모리를 구비한다. 여기서, 프로세서는, 미리 설정된 트리거 조건이 검출되면, 미리 설정된 기기와의 접속을 구축하고,
자동 검사 프로그램을 기동하여, 자동 검사 결과를 취득하며, 미리 설정된 기기로 자동 검사 결과를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상기의 프로세서는, 또한, 미리 설정된 트리거 조건이 검출되면, 미리 설정된 기기와의 접속을 구축하고, 미리 설정된 입력 조작 정보가 검출되면, 미리 설정된 식별자 및 패스워드에 기반하여 미리 설정된 기기와의 접속을 구축하도록 구성된다.
상기의 프로세서는, 또한, 미리 설정된 트리거 조건이 검출되는 것이, 미리 설정된 식별자를 가지는 네트워크 기기가 검출되는 것을 포함하고, 미리 설정된 기기가, 미리 설정된 식별자를 가지는 네트워크 기기를 포함할 경우, 미리 설정된 트리거 조건이 검출되면 미리 설정된 기기와의 접속을 구축할 때,
현재 네트워크 내의 네트워크 기기를 검출하고, 미리 설정된 식별자를 가지는 네트워크 기기가 검출되면, 미리 설정된 식별자에 대응되는 미리 설정된 패스워드에 기반하여, 미리 설정된 식별자를 가지는 네트워크 기기에 접속하여 미리 설정된 식별자를 가지는 네트워크 기기와의 접속을 구축하도록 구성된다.
상기의 프로세서는, 또한, 미리 설정된 기기로 자동 검사 결과를 송신할 때, 자동 검사 결과에 기반하여 검사 일지를 생성하고, 미리 설정된 기기로 검사 일지를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상기의 프로세서는, 또한, 미리 설정된 기기가, 네트워크 접속용 기기를 포함하고, 당 미리 설정된 기기가 네트워크 접속용 기기일 경우, 미리 설정된 기기로 검사 일지를 송신할 때, 네트워크 접속용 기기로 검사 일지를 송신하고, 네트워크 접속용 기기가 당해 검사 일지를 테스트 호스트 컴퓨터로 전송하도록 지시하도록 구성된다.
상기의 프로세서는, 또한, 당 미리 설정된 기기가 네트워크 접속용 기기일 경우, 미리 설정된 기기와의 접속을 구축한 후, 네트워크 접속용 기기로 웨이크 메시지를 송신하고, 네트워크 접속용 기기가 웨이크 메시지를 테스트 호스트 컴퓨터로 전송하도록 지시하고, 테스트 호스트 컴퓨터가 웨이크 메시지에 기반하여 가동 상태가 되도록 하며, 네트워크 접속용 기기로 검사 일지를 송신하고, 네트워크 접속용 기기가 당해 검사 일지를 테스트 호스트 컴퓨터로 전송하도록 지시할 때, 네트워크 접속용 기기로 웨이크 메시지를 송신한 후, 네트워크 접속용 기기로 검사 일지를 송신하고, 네트워크 접속용 기기가 당해 검사 일지를 테스트 호스트 컴퓨터로 전송하도록 지시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실시 예 중의 장치에 관하여, 각 모듈이 조작을 수행하는 구체적인 방법은 이미 관련된 방법의 실시 예에서 상세히 설명하였기 때문에, 여기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1은,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테스트 장치 (1100)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예를 들면, 장치(1100)는, 휴대 전화, 컴퓨터, 디지털 방송 단말기, 메시지 송수신 디바이스, 게임 콘솔, 태블릿 디바이스, 의료 디바이스, 피트니스 디바이스 및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일 수 있다.
도 1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1100)는 프로세스 어셈블리(1102), 메모리(1104), 전원 어셈블리(1106), 멀티미디어 어셈블리(1108), 오디오 어셈블리(1110), 입출력(I/O) 인터페이스(1112), 센서 어셈블리(1114) 및 통신 어셈블리(1116) 중 하나 또는 복수의 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스 어셈블리(1102)는 통상적으로 장치(1100)의 전체 조작을 제어하며, 예를 들면, 표시,전화 호출,데이터 통신,카메라 조작 및 기록 조작에 관련된 조작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스 소자(1102)는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1120)를 구비하여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방법의 전부 혹은 일부 단계를 완성한다. 또한, 프로세스 어셈블리(1102)는 하나 또는 복수의 모듈을 포함하고 있어 프로세스 어셈블리(1102)와 기타 어셈블리 사이의 인트렉션에 편리하다. 예를 들면, 프로세스 어셈블리(1102)는 멀티미디어 모듈을 포함고 있어 멀티미디어 어셈블리(1108)와 프로세스 어셈블리(1102) 사이의 인트렉션이 편리하게 된다.
메모리(1104)에는 각종 유형의 데이터를 저장되어 장치(1100)의 동작을 서포트한다. 이러한 데이터의 예로서 장치(1100)에서 동작하는 임의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혹은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인스트럭션,연락인 데이터,전화번호부 데이터,메시지,이미지 및 비디오 등을 포함한다. 메모리(1104)는 임의의 유형의 휘발성 혹은 비휘발성 메모리 혹은 양자의 조합으로 실현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E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ROM(Read-Only Memory),자기 메모리,플래시 메모리,자기 디스크 혹은 콤팩트 디스크 등으로 실현될 수 있다.
전력 어셈블리(1106)는 장치(1100)의 각 어셈블리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전력 어셈블리(1106)는 전원 관리 시스템,하나 또는 복수의 전원 및 장치(1100)를 위하여 전력을 생성, 관리 및 분배하기 위한 기타 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어셈블리(1108)는 상기 장치(1100)와 사용자 사이에 하나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스크린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스크린은 액정 표시 장치(LCD)와 터치 패널(TP)을 포함할 수 있다. 스크린이 터치 패널을 포함할 경우, 스크린은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터치 패널은 하나 또는 복수의 터치 센서를 포함하고 있어 터치, 슬라이딩 및 터치 패널위에서의 손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터치 센서는 터치 혹은 슬라이딩 동작의 경계위치를 감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터치 혹은 슬라이딩 조작에 관련된 지속시간 및 압력을 검출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멀티미디어 어셈블리(1108)는 하나의 프론트 카메라 및/또는 리어 카메라를 포함한다. 장치(1100)가 예를 들면 촬영 모드 혹은 비디오 모드 등 조작 모드 상태에 있을 경우, 프론트 카메라 및/또는 리어 카메라는 외부로부터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론트 카메라와 리어 카메라는 하나의 고정된 광학 렌즈 시스템일 수 있거나 또는 가변 초점 거리와 광학 줌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오디오 어셈블리(1110)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 및/또는 입력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면, 오디오 어셈블리(1110)는 마이크로폰(MIC)을 포함하며, 장치(1100)가 예를 들면 호출 모드, 기록 모드 및 음성 인식 모드 등 조작 모드에 있을 경우, 마이크로폰은 외부의 오디오 신호를 수신한다. 수신된 오디오 신호는 더 나아가 메모리(1104)에 저장되거나 혹은 통신 어셈블리(1116)를 통하여 송신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오디오 어셈블리(1110)는 스피커를 더 포함할 수 있어 오디오 신호를 출력한다.
I/O 인터페이스(1112)는 프로세스 어셈블리(1102)와 주변 인터페이스 모듈 사이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주변 인터페이스 모듈은 키보드,클릭 휠,버튼 등일 수 있다. 이러한 버튼은 홈 버튼, 음량 버튼, 작동 버튼 및 잠금 버튼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센서 어셈블리(1114)는 장치(1100)에 각 방면의 상태평가를 제공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센서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센서 어셈블리(1114)는 장치(1100)의 온/오프 상태,어셈블리의 상대 위치 결정을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어셈블리가 장치(1100)의 디스플레이 및 키패드일 시,센서 어셈블리(1114)는 장치(1100) 혹은 장치(1100)의 일 어셈블리의 위치변경,사용자와 장치(1100)사이의 접촉 여부, 장치(1100)의 방위 혹은 가속/감속 및 장치(1100)의 온도 변화를 검출할 수 있다. 센서 어셈블리(1114)는 근접 센서를 포함할 수 있어, 임의의 물리적 접촉이 없는 상황하에서 근처 물체의 존재를 검출할 수 있다. 센서 어셈블리(1114)는 예를 들면 CMOS 혹은 CCD 이미지 센서 등 광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미징 애플리케이션에 사용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센서 어셈블리(1114)는 가속 센서,자이로 센서,자기 센서,압력 센서 혹은 온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어셈블리(1116)는 장치(1100)와 기타 설비 사이의 유선 혹은 무선 통신에 사용된다. 장치(1100)는 예를 들면 WiFi,2G 혹은 3G,혹은 이들의 조합 등의 통신규격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다. 일 예시적 실시예에 있어서,통신 어셈블리(1116)는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 방송 관리 시스템으로부터의 방송 신호 혹은 방송 관련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예시적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통신 어셈블리(1116)는 근거리 무선 통신(NFC)모듈을 더 포함하고 있어,근 거리 통신을 촉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NFC 모듈은 RFID 기술, IrDA 기술, UWB 기술,블루투스(BT)기술 및 기타 기술에 기초하여 실현될 수 있다.
예시적 실시예에 있어서, 장치(1100)는 하나 또는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전용 집적 회로(ASIC),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디지털 신호 처리설비(DSPD), 프로그램 가능 논리 소자(PLD),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PGA), 컨트롤러, 마이크로 컨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혹은 기타 전자소자에 의하여 실현되어, 상기의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예시적 실시예에 있어서, 인스트럭션을 포함하는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데, 예를 들면 인스트럭션을 포함하는 메모리(1104) 등을 포함하며, 상기 인스트럭션은 장치(1100)의 프로세서(1120)에 의하여 실행되어 상기 방법을 실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ROM, RAM, CD-ROM, 자기테이프, 플로피디스크 및 광데이터 저장 장치 등일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비 일시적인 기록 매체는, 장치(1100)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기록 매체 중의 인스트럭션이 수행될 시, 장치(1100)에 상기의 단말기 테스트 방법을 수행시킬 수 있다.
당해 방법은, 미리 설정된 트리거 조건이 검출되면, 미리 설정된 기기와의 접속을 구축하는 단계; 자동 검사 프로그램을 기동하여, 자동 검사 결과를 취득하는 단계; 및 미리 설정된 기기로 자동 검사 결과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기록 매체는, 또한, 미리 설정된 트리거 조건이 검출되면 미리 설정된 기기와의 접속을 구축할 때, 미리 설정된 입력 조작 정보가 검출되면, 미리 설정된 식별자 및 패스워드에 기반하여 미리 설정된 기기와의 접속을 구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기록 매체는, 또한, 미리 설정된 트리거 조건이 검출되는 것이, 미리 설정된 식별자를 가지는 네트워크 기기가 검출되는 것을 포함하고, 미리 설정된 기기가, 미리 설정된 식별자를 가지는 네트워크 기기를 포함할 경우, 미리 설정된 트리거 조건이 검출되면 미리 설정된 기기와의 접속을 구축할 때, 현재 네트워크 내의 네트워크 기기를 검출하고, 미리 설정된 식별자를 가지는 네트워크 기기가 검출되면, 미리 설정된 식별자에 대응되는 미리 설정된 패스워드에 기반하여, 미리 설정된 식별자를 가지는 네트워크 기기에 접속하여 미리 설정된 식별자를 가지는 네트워크 기기와의 접속을 구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기록 매체는, 또한, 미리 설정된 기기로 자동 검사 결과를 송신할 때, 자동 검사 결과에 기반하여 검사 일지를 생성하고, 미리 설정된 기기로 검사 일지를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기록 매체는, 또한, 미리 설정된 기기가, 네트워크 접속용 기기를 포함하고, 당 미리 설정된 기기가 네트워크 접속용 기기일 경우, 미리 설정된 기기로 검사 일지를 송신할 때, 네트워크 접속용 기기로 검사 일지를 송신하고, 네트워크 접속용 기기가 당해 검사 일지를 테스트 호스트 컴퓨터로 전송하도록 지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기록 매체는, 또한, 당 미리 설정된 기기가 네트워크 접속용 기기일 경우, 미리 설정된 기기와의 접속을 구축한 후, 네트워크 접속용 기기로 웨이크 메시지를 송신하고, 네트워크 접속용 기기가 웨이크 메시지를 테스트 호스트 컴퓨터로 전송하도록 지시하고, 테스트 호스트 컴퓨터가 웨이크 메시지에 기반하여 가동 상태가 되도록 하며, 네트워크 접속용 기기로 검사 일지를 송신하고, 네트워크 접속용 기기가 당해 검사 일지를 테스트 호스트 컴퓨터로 전송하도록 지시할 때, 네트워크 접속용 기기로 웨이크 메시지를 송신한 후, 네트워크 접속용 기기로 검사 일지를 송신하고, 네트워크 접속용 기기가 당해 검사 일지를 테스트 호스트 컴퓨터로 전송하도록 지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당업자는, 명세서를 검토하여 본 발명을 실현한 후, 본 발명의 기타 실시안을 용이하게 생각해낼 수 있다. 본원 발명은, 본 발명의 모든 변형, 용도, 또는 적응적 변경을 포함하며, 이러한 변형, 용도, 또는 적응적 변경은, 본 발명의 일반적 원리에 따르며, 본 발명은 개시되지 않은 당업계의 공지의 지식 또는 통상적 기술수단을 포함한다. 명세서와 실시 예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의 진정한 범위와 정신은 이하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다.
본 발명은 상기에 기술되고 또 도면에 나타낸 정확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으며, 그 범위를 초과하지 않는한 다양한 수정과 변경을 실현할수 있다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범위는 단지 첨부되는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Claims (13)

  1. 피 검사 기기에 이용되는 단말기 테스트 방법에 있어서,
    미리 설정된 트리거 조건이 검출되면, 미리 설정된 기기와의 접속을 구축하는 단계;
    자동 검사 프로그램을 기동하여 자동 검사 결과를 취득하는 단계; 및
    상기 미리 설정된 기기로 상기 자동 검사 결과를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테스트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트리거 조건이 검출되면, 미리 설정된 기기와의 접속을 구축하는 단계는,
    미리 설정된 입력 조작 정보가 검출되면, 미리 설정된 식별자 및 패스워드에 기반하여 상기 미리 설정된 기기와의 접속을 구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테스트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트리거 조건이 검출되는 것은, 미리 설정된 식별자를 가지는 네트워크 기기가 검출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미리 설정된 기기는, 상기 미리 설정된 식별자를 가지는 네트워크 기기를 포함하며,
    상기 미리 설정된 트리거 조건이 검출되면, 미리 설정된 기기와의 접속을 구축하는 단계는,
    현재 네트워크 내의 상기 네트워크 기기를 검출하는 단계; 및
    미리 설정된 식별자를 가지는 네트워크 기기가 검출되면, 상기 미리 설정된 식별자에 대응되는 미리 설정된 패스워드에 기반하여, 상기 미리 설정된 식별자를 가지는 네트워크 기기에 접속하여, 상기 미리 설정된 식별자를 가지는 네트워크 기기와의 접속을 구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테스트 방법.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기기로 상기 자동 검사 결과를 송신하는 단계는,
    자동 검사 결과에 기반하여, 검사 일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미리 설정된 기기로 상기 검사 일지를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테스트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기기는, 네트워크 접속용 기기를 포함하고,
    상기 미리 설정된 기기가 상기 네트워크 접속용 기기일 경우, 상기 미리 설정된 기기로 상기 검사 일지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 접속용 기기로 상기 검사 일지를 송신하고, 상기 네트워크 접속용 기기가 상기 검사 일지를 테스트 호스트 컴퓨터로 전송하도록 지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테스트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기기가 네트워크 접속용 기기일 경우, 상기 미리 설정된 기기와의 접속을 구축한 후,
    상기 방법은,
    상기 네트워크 접속용 기기로 웨이크 메시지를 송신하고, 상기 네트워크 접속용 기기가 상기 웨이크 메시지를 상기 테스트 호스트 컴퓨터로 전송하도록 지시하여, 상기 테스트 호스트 컴퓨터가 상기 웨이크 메시지에 기반하여 가동 상태로 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네트워크 접속용 기기로 상기 검사 일지를 송신하고, 상기 네트워크 접속용 기기가 상기 검사 일지를 테스트 호스트 컴퓨터로 전송하도록 지시하는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 접속용 기기로 웨이크 메시지를 송신한 후, 상기 네트워크 접속용 기기로 상기 검사 일지를 송신하고, 상기 네트워크 접속용 기기가 상기 검사 일지를 테스트 호스트 컴퓨터로 전송하도록 지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테스트 방법.
  7. 피검사 기기에 이용되는 단말기 테스트 장치에 있어서,
    미리 설정된 트리거 조건이 검출되면, 미리 설정된 기기와의 접속을 구축하기 위한 구축 모듈;
    자동 검사 프로그램을 기동하여, 자동 검사 결과를 취득하기 위한 처리 모듈; 및
    상기 미리 설정된 기기로 상기 자동 검사 결과를 송신하기 위한 제 1 송신 모듈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테스트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구축 모듈은,
    미리 설정된 입력 조작 정보가 검출되면, 미리 설정된 식별자 및 패스워드에 기반하여 상기 미리 설정된 기기와의 접속을 구축하기 위한 제 1 구축 서브 모듈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테스트 장치.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트리거 조건이 검출되는 것은, 미리 설정된 식별자를 가지는 네트워크 기기가 검출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미리 설정된 기기는, 상기 미리 설정된 식별자를 가지는 네트워크 기기를 포함하며,
    상기 구축 모듈은,
    현재 네트워크 내의 네트워크 기기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 서브 모듈; 및
    미리 설정된 식별자를 가지는 네트워크 기기가 검출되면, 상기 미리 설정된 식별자에 대응되는 미리 설정된 패스워드에 기반하여, 상기 미리 설정된 식별자를 가지는 네트워크 기기에 접속하여, 상기 미리 설정된 식별자를 가지는 네트워크 기기와의 접속을 구축하기 위한 제 2 구축 서브 모듈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테스트 장치.
  10. 제 7항 내지 제 9항 중 어는 한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송신 모듈은,
    자동 검사 결과에 기반하여, 검사 일지를 생성하기 위한 생성 서브 모듈; 및
    상기 미리 설정된 기기로 상기 검사 일지를 송신하기 위한 제 1 송신 서브 모듈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테스트 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기기는, 네트워크 접속용 기기를 포함하고,
    상기 미리 설정된 기기가 상기 네트워크 접속용 기기일 경우, 상기 제 1 송신 모듈은,
    상기 네트워크 접속용 기기로 상기 검사 일지를 송신하고, 상기 네트워크 접속용 기기가 상기 검사 일지를 테스트 호스트 컴퓨터로 전송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제 2 송신 서브 모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테스트 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접속용 기기로 웨이크 메시지를 송신하고, 상기 네트워크 접속용 기기가 상기 웨이크 메시지를 상기 테스트 호스트 컴퓨터로 전송하도록 지시하여, 상기 테스트 호스트 컴퓨터가 상기 웨이크 메시지에 기반하여 가동 상태로 되도록하기 위한 제 2 송신 모듈을 더 갖추어
    상기 제 2 송신 서브 모듈은, 또한, 상기 네트워크 접속용 기기로 웨이크 메시지를 송신한 후, 상기 네트워크 접속용 기기로 상기 검사 일지를 송신하고, 상기 네트워크 접속용 기기가 상기 검사 일지를 테스트 호스트 컴퓨터로 전송하도록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테스트 장치.
  13. 피검사 기기에 이용되는 단말기 테스트 장치에 있어서,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명령을 기억하는 메모리
    를 구비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미리 설정된 트리거 조건이 검출되면, 미리 설정된 기기와의 접속을 구축하고,
    자동 검사 프로그램을 기동하여, 자동 검사 결과를 취득하고,
    상기 미리 설정된 기기로 상기 자동 검사 결과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테스트 장치.
KR1020157032939A 2015-07-10 2015-09-23 단말기 테스트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저장매체 KR1017272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510406133.3 2015-07-10
CN201510406133.3A CN105045690B (zh) 2015-07-10 2015-07-10 测试终端的方法及装置
PCT/CN2015/090424 WO2017008397A1 (zh) 2015-07-10 2015-09-23 测试终端的方法及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7684A true KR20170017684A (ko) 2017-02-15
KR101727249B1 KR101727249B1 (ko) 2017-04-14

Family

ID=544522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2939A KR101727249B1 (ko) 2015-07-10 2015-09-23 단말기 테스트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저장매체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170013456A1 (ko)
EP (1) EP3116165B1 (ko)
JP (1) JP6311078B2 (ko)
KR (1) KR101727249B1 (ko)
CN (1) CN105045690B (ko)
MX (1) MX357953B (ko)
RU (1) RU2636695C2 (ko)
WO (1) WO201700839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93643A (zh) * 2016-06-14 2016-11-09 深圳百为通达科技有限公司 电子产品稳定性的测试方法
CN106657515A (zh) * 2016-11-30 2017-05-10 上海与德信息技术有限公司 智能测试系统、方法及测试站
CN106776219B (zh) * 2016-12-14 2020-02-21 郑州云海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服务器整机烧机的检测方法
CN108021816B (zh) * 2017-12-05 2021-01-26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的测试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CN108063855B (zh) * 2017-12-27 2020-10-30 上海传英信息技术有限公司 关机闹钟的测试方法和测试端
CN111106975B (zh) * 2018-10-26 2022-08-12 中移物联网有限公司 一种测试方法、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3381901A (zh) * 2020-03-10 2021-09-10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设备测试系统、方法、装置、设备
CN112383906B (zh) * 2020-10-29 2022-09-06 四川虹美智能科技有限公司 智能模块WiFi和蓝牙性能的检测系统及方法
CN112486749B (zh) * 2020-12-02 2023-10-13 成都长虹网络科技有限责任公司 基于5g通信终端的测试方法、装置和可读存储介质
US20230216862A1 (en) * 2022-01-04 2023-07-06 Dell Products L.P. Detection of on-premises system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22196A (ja) * 2001-07-06 2003-01-24 Nec Corp 携帯端末におけるテストプログラムの自動実行方法
JP2009284183A (ja) * 2008-05-22 2009-12-03 Yokogawa Electric Corp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および、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におけるデバイス設定方法
KR20120085760A (ko) * 2009-09-30 2012-08-01 아마존 테크놀로지스, 인크. 모듈식 장치 인증 프레임워크
KR20130064217A (ko) * 2011-12-08 2013-06-18 (주)바소콤 장치 대 장치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제어모듈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22478B2 (ja) * 1999-11-25 2003-06-30 横河電機株式会社 プログラム作成装置、及び、プログラム作成方法
JP3960278B2 (ja) * 2003-08-13 2007-08-15 ヤマハ株式会社 接続設定プログラム
US7392438B2 (en) * 2004-11-24 2008-06-24 Fsp Technology Inc. Automatic safety test system
US7853425B1 (en) * 2008-07-11 2010-12-14 Keithley Instruments, Inc. Parallel testing in a per-pin hardware architecture platform
US8130590B2 (en) * 2008-10-22 2012-03-06 Westerngeco L.L.C. Wirelessly activating a unit of a subterranean survey system for testing
CN101895902A (zh) * 2009-05-18 2010-11-24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电子产品WiFi功能的自动测试方法
CN101909310A (zh) * 2009-06-02 2010-12-08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电子装置测试方法
WO2011098657A1 (en) * 2010-02-12 2011-08-18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reporting of measurement data
US20120088217A1 (en) * 2010-10-12 2012-04-12 Pierce Freeman Client-server based system and method for test and homework management
JP5995431B2 (ja) * 2011-12-02 2016-09-21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そ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888983B1 (ko) * 2012-06-08 2018-08-16 삼성전자주식회사 피시험 단말기에 대한 자동화 테스트 장치 및 방법
CN102790994A (zh) * 2012-07-18 2012-11-21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终端网络测试系统和一种多终端网络测试系统
CN104253892B (zh) * 2013-06-28 2017-03-01 刘伟 智能移动设备中应用程序的性能的测试方法及系统
CN104579733B (zh) * 2013-10-25 2018-05-11 华为终端有限公司 故障诊断的方法、设备及系统
US9704472B2 (en) * 2013-12-10 2017-07-11 Cirrus Logic, Inc. Systems and methods for sharing secondary path information between audio channels in an adaptive noise cancellation system
CN104159218B (zh) * 2014-07-17 2016-04-06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网络连接建立方法和装置
CN104320520A (zh) * 2014-10-14 2015-01-28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终端调试方法和装置
CN104618511A (zh) * 2015-02-26 2015-05-13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智能设备检测方法和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22196A (ja) * 2001-07-06 2003-01-24 Nec Corp 携帯端末におけるテストプログラムの自動実行方法
JP2009284183A (ja) * 2008-05-22 2009-12-03 Yokogawa Electric Corp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および、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におけるデバイス設定方法
KR20120085760A (ko) * 2009-09-30 2012-08-01 아마존 테크놀로지스, 인크. 모듈식 장치 인증 프레임워크
KR20130064217A (ko) * 2011-12-08 2013-06-18 (주)바소콤 장치 대 장치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제어모듈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636695C2 (ru) 2017-11-27
WO2017008397A1 (zh) 2017-01-19
CN105045690A (zh) 2015-11-11
KR101727249B1 (ko) 2017-04-14
EP3116165B1 (en) 2018-09-12
EP3116165A1 (en) 2017-01-11
US20170013456A1 (en) 2017-01-12
JP6311078B2 (ja) 2018-04-11
MX357953B (es) 2018-07-30
RU2016112986A (ru) 2017-10-11
MX2016004712A (es) 2017-02-23
CN105045690B (zh) 2018-05-08
JP2017530489A (ja) 2017-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7249B1 (ko) 단말기 테스트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저장매체
CN110622123B (zh) 一种显示方法及装置
KR101856692B1 (ko) 무선 액세스 포인트의 액세스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저장매체
RU2626659C1 (ru) Способ и оборудование для управления устройством
EP307671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network access
EP3136698B1 (en) Connection status prompting method and device
EP3177077A1 (en) Method and device for network access
KR101759419B1 (ko) 스마트 디바이스 검출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KR101715800B1 (ko) 단말기가 무선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KR101684814B1 (ko) Wi-fi 네트워크 접속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RU2644511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тображения интерфейса настройки маршрутизатора
KR101735235B1 (ko) 네트워크 접속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CN104853336A (zh) 发现智能设备的方法、请求接入互联网的方法及装置
KR20170036653A (ko) 원격 협조 방법, 클라이언트, 프로그램 및 저장매체
CN105163366A (zh) 无线网络连接方法和装置
KR20170036651A (ko) 외부 설비 연결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CN104320520A (zh) 终端调试方法和装置
EP305177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ccessing network
KR20170023700A (ko) 스마트 기기의 라우터 액세스 방법, 장치, 시스템,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CN107562500B (zh) 调试装置、方法及设备
CN107393528B (zh) 语音控制方法及装置
KR20170120707A (ko) 터치 스크린의 포인트 보고를 처리하는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KR20170108060A (ko) 스마트 가전 제품의 복수의 서버에 액세스하기 위한 방법, 장치, 시스템, 프로그램 및 저장매체
JP6839281B2 (ja) システム情報の送信のための方法及び装置
CN104486390A (zh) 数据共享的方法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