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64217A - 장치 대 장치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제어모듈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장치 대 장치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제어모듈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64217A
KR20130064217A KR1020110130722A KR20110130722A KR20130064217A KR 20130064217 A KR20130064217 A KR 20130064217A KR 1020110130722 A KR1020110130722 A KR 1020110130722A KR 20110130722 A KR20110130722 A KR 20110130722A KR 20130064217 A KR20130064217 A KR 201300642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service
application
providing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07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국세
이병석
이정기
Original Assignee
(주)바소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바소콤 filed Critical (주)바소콤
Priority to KR10201101307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64217A/ko
Publication of KR201300642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42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2Arrangements for remote connection or disconnection of substations or of equipment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04W12/069Authentication using certificates or pre-shared ke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12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0/00Affiliation to network, e.g. registration; Terminating affiliation with the network, e.g. de-regist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70Services for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M2M] or 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치 대 장치(MACHINE TO MACHINE : M2M)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제어모듈시스템 및 방법으로 M2M 서비스에 적합한 어플리케이션에 대하여 적용 가능한 장치 대 장치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제어모듈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사용자에게 상기 M2M 서비스를 제공하고, 유/무선망과의 연결 설정이 완료된 이후에, 디바이스 등록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디바이스와, 상기 디바이스 등록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디바이스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고, 상기 디바이스 등록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디바이스 등록 정보와 상기 M2M 서비스 제공 정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프로파일 정보를 사용자/디바이스 리포지터리(Repository)에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디바이스 리포지터리로부터 상기 디바이스 프로파일 정보를 참조하기 위한 참조 정보(reference information)를 획득하는 서비스 서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장치 대 장치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제어모듈시스템 및 방법{CONTROL MODULE SYSTEM AND METHOD FOR M2M SERVICES}
본 발명은 장치 대 장치(MACHINE TO MACHINE : M2M)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제어모듈시스템 및 방법으로 M2M 서비스에 적합한 어플리케이션에 대하여 적용 가능한 장치 대 장치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제어모듈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엠투엠(M2M, Machine-to-Machine)은 유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디바이스와 서버 사이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통신을 지원하는 원격 관리 및 제어 솔루션이다. 이러한 엠투엠은 통신 기능이 포함되어 있지 않은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위한 모듈 형태로 구현된다.
엠투엠 모듈에는 다양한 종류의 디바이스가 연결될 수 있고, 연결되는 디바이스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이 구동될 수 있다. 예컨대, 엠투엠 모듈은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 Tri-Band 및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등의 기능을 가지며 저속/고속의 데이터 통신, 원격 검침, 위치 추적, 원격제어 등의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에 활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엠투엠 모듈은 다양한 종류의 디바이스를 수용할 수 있다. 그리고 연결되는 디바이스가 선택적이므로, 연결된 디바이스의 종류 및 범주를 판별하는 기능이 요구된다.
엠투엠은 특정 단일 시장에만 적용되는 것은 아니며, 우리가 일상적으로 접하는 수많은 산업에 적용되며 가장 대표적인 것이 자동차, 텔레매틱스, 전력, 헬스케어, 물류관리, 보안 등이다. 특히, 차량을 대상으로 제공되는 M2M 서비스의 경우 무선망 접속을 통한 지능형 내비게이션과 도난 차량 탐지, 그리고 차량 내 정보 및 인포테인먼트(infotainment)등이 대표적인 사례이다.
그러나, 현재 택시에서 사용되는 M2M 모델은 외장형 USIM 사용 M2M 모델을 주로 사용하고 있으나, 외장형 USIM 사용 M2M 모델의 심각한 문제점 발견되고 있다. 즉, 차량 내 고온 및 영하의 저온에 의한 USIM 인식 불량 등으로 M2M의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제품의 신뢰성이 크게 저하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은 장치 대 장치(MACHINE TO MACHINE : M2M)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디바이스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과 그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M2M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디바이스에 적합한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과 그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 대 장치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제어모듈시스템은, 사용자에게 상기 M2M 서비스를 제공하고, 유/무선망과의 연결 설정이 완료된 이후에, 디바이스 등록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디바이스와, 상기 디바이스 등록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디바이스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고, 상기 디바이스 등록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디바이스 등록 정보와 상기 M2M 서비스 제공 정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프로파일 정보를 사용자/디바이스 리포지터리(Repository)에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디바이스 리포지터리로부터 상기 디바이스 프로파일 정보를 참조하기 위한 참조 정보(reference information)를 획득하는 서비스 서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텔레매틱스 기술과 스마트그리드 기술이 접목된 신사업을 창출할 수 있다. 또한, 전기자동차와 스마트그리드 결합의 V2G(Vehicle to Grid)라는 새로운 사업영역을 창출할 수 있다.
한편, 외장형 USIM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Gemalto사의 Embedded USIM을 국내 최초 개발 활용 시장 활성화 및 확대할 수 있다. 특히, 텔레매틱스 전반적 기술 활용, 스마트 그리드 산업육성, 의료, 제조, 유통, 공익사업, 컨슈머용 제품 및 헬스케어 사업에 응용, 일반적인 M2M 어플리케이션 사업 적용(자판기, 보안, 차량관리 시스템), 학교, 공공기간 사물간 통신, 로봇 통신, 기기간 통신 사업 활용, 어린이 돌봄이, 노인 케어, 각종 관리 감독 시스템 활용 등 다양한 사업에 적용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M2M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시스템의 아키텍쳐([0014] architecture)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쉐어링 엔진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라 디바이스를 서비스 서버에 등록하는 과정을 도시한 신호 흐름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장치 대 장치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제어모듈시스템 및 방법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M2M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시스템의 아키텍쳐(architecture)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쉐어링 엔진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라 디바이스를 서비스 서버에 등록하는 과정을 도시한 신호 흐름도이다.
상기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인용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으며,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부', '하부', '앞', '뒤', '선단', '전방', '후단' 등과 같은 방향성 용어는 개시된 도면(들)의 배향과 관련하여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요소는 다양한 배향으로 위치설정될 수 있기 때문에 방향성 용어는 예시를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지 이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M2M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시스템의 아키텍쳐(architecture)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는 첨부된 도 1에서와 같이 서비스 쉐어링 엔진(Service Sharing Engine)부(100)이라는 기능적 엔터티(Functional Entity)를 제안한다. 이는 서로 다른 2개 이상의 어플리케이션들(102)이 서비스 서버(110)에 연동되어 동작하고 있을 때, 어플리케이션들(102) 간의 서비스 연동을 지원하여, 서비스 쉐어링 엔진(Service Sharing Engine)부(100)를 통한 새로운 서비스의 구성을 지원하고, 디바이스들에게 제3의 서비스 사업자들에 의해서 제공되는 서비스가 아닌 자체적으로 구성하여, 차별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를 자동으로 구성하고, deploy할 수 있도록 지원해주는 기능을 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서비스 쉐어링 엔진(Service Sharing Engine)부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첨부된 도 2를 참조하여 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쉐어링 엔진부(20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에서 서비스 쉐어링 엔진(Service sharing Engine)부(200)는 서로 다른 2개 이상의 어플리케이션들(202)이 서버에 연동되어 동작하고 있을 때, 어플리케이션들(202)간의 서비스 연동을 지원하여, 서비스 쉐어링 엔진부(200)를 통한 새로운 서비스의 구성을 지원하고, 디바이스들에게 제3의 서비스 사업자들에 의해서 제공되는 서비스가 아닌 자체적으로 구성하여, 차별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를 자동으로 구성하고, 디플로이(deploy)할 수 있도록 지원해주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서비스 쉐어링 엔진부(200)는 이러한 서비스들 간의 연동을 통한 새로운 서비스의 구성 및 이 정보들의 구성을 위해 필요한 정보들을 내부 혹은 외부의 리포지터리(Repository)들(204, 206, 208, 210)로부터 획득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서비스 서버(Service Server)(212)는 서비스 쉐어링 엔진(Service sharing engine)부(200)와 동일한 물리적 엔티티(Physical Entity)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별도의 물리적 엔티티(Physical entity)로 구현될 수도 있는 기능적 엔티티(Functional entity)의 집합이다. 서비스 서버(212)는 디바이스(Device)(120)가 이동통신망 혹은 유선통신망(130)에 등록한 후, 서비스(Service)를 사용하기 위해서 필요한 어플리케이션 레벨의 등록 및 인증, 장치 정보 등록, 위치 정보 등록 등, 실제 어플리케이션 서버에 접속하여 서비스를 제공받기 전에 필요한 기능들을 가진 기능(Function) 집합체이다.
디바이스 캐퍼빌러티 리포지터리(Device Capability Repository)(204)는 디바이스(Device)의 하드웨어적인2특성, 펌웨어/소프트웨어(firmware/software) 특성 및 디바이스(Device)의 제조사 정보들을 유지 및 관리한다.
사용자 프로파일 리포지터리(User Profile Repository)(206)는 사용자([0024] User)의 어플리케이션 서비스(application service) 가입 정보, 가입 시의 과금 정책, 과금 정책을 제외한 그 외의 일반적인 정책 및 사용자에게 선별적으로 제공될 수 있는 특정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에 대한 적용 조건 정보 등을 유지 및 관리한다.
서비스 프로파일 리포지터리(Service Profile Repository)(208)는 현재 서비스 서버(212)에 등록된 어플리케이션 서비스(Application Service)에 대한 정보 및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적용을 위해 필요한 디바이스(Device) 및 사용자(User) 가입 조건에 대한 정보를 유지하며, 현재 가용한 어플리케이션 서비스(Application Service)에 대한 요약 정보 등을 관리한다.
컨텐츠 프로파일 리포지터리(Contents Profile Repository)(210)는 사용자(User)로부터 단기/중기/장기(shortterm/mid-term/long-term)으로 등록 요청된 데이터에 대한 요약정보를 관리하며, 도시되지 않은 컨텐츠 저장부(Content Storage)에 저장된 사용자 컨텐츠(user contents) 및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으로부터의 컨텐츠(contents)의 쉬운 검색을 지원한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Device)는 서비스 서버(212)에 등록(Registration)하는 과정 중에 자신의 특성 정보(Central Processing Unit(CPU)의 처리 속도, 입/출력 수단 구비 여부, 디스플레이 유무 등의 정보) 및 자신의 디바이스 타입(Device Type) 정보와 같은 디바이스 등록 정보를 상기 서비스 서버(Service Server)(212)를 통해서 디바이스 캐퍼빌러티 리포지터리(204)에 저장한다. 또한 등록(Registration) 과정 중에 디바이스(Device) 에 대한 정보 외에도 디바이스(Device)에서 사용 가능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에 대한 정보 및 해당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사용하는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서비스 서버(Service Server)(212)에 등록하고, 관련된 정보를 사용자 프로파일 리포지터리(User Profile Repository)(206)에 등록한다. 이때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의 종류에 따라서, 사용자는 한 명 혹은 두 명 이상의 그룹으로 정의되기도 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서는 디바이스(Device)(300)를 서비스 서버(Service Server)(304)에 등록하는 과정으로, 디바이스(Device)(300)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고, 디바이스(Device)의 식별자(Device Id). 디바이스타입(Device type) 정보, 제품 시리얼(Serial) 정보 및 하드웨어(Hardware) 사양 정보 및 디바이스(Device) 내에 모듈(Module) 관련 정보 등을 서비스 서버(304) 및 서비스 서버(304)와 연결된 사용자/디바이스 리포지터리(Repository)(306)에 저장하는 과정을 정의한다. 도 3에서 사용자/디바이스 리포지터리(306)는 M2M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사용자 및 디바이스에 관련된 정보들을 저장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라 디바이스(300)를 서비스 서버(304)에 등록하는 과정을 도시한 신호 흐름도이다.
310단계에서 디바이스(Device)(300)가 서비스 서버(Service Server)(304)와 연동하기 위해서는 일차적으로 DSL(Digital Subscriber Line) 및 IP(Internet Protocol)망 연결을 제공하는 유선사업자 망 혹은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GSM)/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WCDMA)/Long Term Evolution(LTE)와 같은 비동기 이동통신망 및 Code Divisional Multiple Access(CDMA), WiMAX 등의 무선사업자망(302)에 접속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디바이스(300)는 310단계에서 액세스 망(Access Network)과의 연결 및 코어 망(Core Network)과의 연결을 설정한다. 도 3에서 디바이스(300)는 디지털 스틸 카메라(Digital Still Camera : DSC)가 될 수 있으며, 그 외에도 디지털 포토 프레임(Digital Photo Frame : DPF)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310단계에서 유/무선망과의 연결 설정이 완료되면, 디바이스(300)는 자신을 서비스 서버(304)에 등록하기 위해 디바이스 등록 정보가 포함된 디바이스 등록 요청(Device Registration Request) 메시지를 서비스 서버(304)로 전달한다. 상기 디바이스 등록 정보에는 디바이스의 식별자 정보(예컨대 virtually assigned) deviceid. and/or serial number 등), 디바이스 타입(Device type)(예컨대 Smart meter용 device 인지, home appliance용 device인지, entertainment용 CE device인지, health 및 well-being용 device인지 등등) 정보(즉, 디바이스의 서비스 목적에 맞는 클래스(class) 정보 혹은 타입(type) 정보), 디바이스의 하드웨어(hardware) 상세 기술 정보(예컨대 화면 크기(screen size), 지원되는 코덱(supported codec), 지원되는 접속 기술(supported access technology), 지원되는 미디어 타입(supported media type) 등) 및 사용자(user) 혹은 그룹(group)에 대한 정보(예컨대, user id, and/or group id)가 포함된다. 여기서 그룹 식별자(ID)란 여러 명의 사용자들을 각각의 그룹들로 분류하여 구분할 필요가 있을 때 사용된다.
상기 312단계에서 디바이스(300)로부터 상기 디바이스 등록 정보가 포함된 디바이스 등록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서비스 서버(304)는 314단계에서 디바이스(Device)(300)를 인증하기 위한 절차를 수행한다. 이때, 서비스 서버(304)는 자체적으로 AAA(Authentication, Authorization & Accounting) 서버와 같은 인증 서버를 포함하고 있을 수도 있으며, 단순히 디바이스(300)와 AAA 서버 간의 인증 절차를 중계하는 인증(Authenticator) 서버 역할을 담당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디바이스(Device) 인증 과정을 통해서 디바이스(Device)(300)는 향후 서비스 및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의 수행을 위해서 필요한 보안 키(Security Key) 정보를 생성한다. 이 과정에서 사용되는 메커니즘은 현재 GSM/WCDMA/LTE 등과 같은 비동기 시스템에서 사용 중인 AKA(Authentication and Key Agreement) 기반의 방식, 혹은 CDMA/1X DO 등의 동기 시스템에서 사용 중인 AAA 기반의 방식, 혹은 IP 기반 네트워크에서 사용 중인 인증서 방식 혹은 IPSec/IKE(IPSecurity/Internet Key Exchage) 등이 방식들이 그 해당시스템에 맞게 사용될 수 있다.
디바이스(300)에 대한 인증 및 보안 키(Security Key) 할당이 완료되면, 서비스 서버(304)는 316단계에서 상기 디바이스(300)로부터 수신된 디바이스 등록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디바이스 등록 정보를 서비스 쉐어링 엔진부(304a)에 전달한다. 상기 316단계에서 디바이스 등록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서비스 쉐어링 엔진부(304a)는 318단계에서 상기 디바이스 등록 정보에 포함된 디바이스 식별자(Device id)를 기반으로 해당 디바이스(300)에 대한 정보를 분석한다. 이때, 서비스 쉐어링 엔진부(304a)는 해당 디바이스(300)가 서비스 쉐어링 엔진부(304a)에 처음으로 액세스(access)한 디바이스(device)인지, 해당 디바이스에 대한 서비스 정책(Service policy) 및 과금 정책(charging Policy)이 할당되었는지, 해당 디바이스(300)에 대해 추가할 펌웨어(firmware) 및 소프트웨어(software) 정보가 있는지에 대한 정보를 파악한다. 상기 318단계의 디바이스(300)에 대한 정보 분석 작업은 서비스 쉐어링 엔진부(304a)가 자체적으로 처리할 수도 있으며, 외부 기능적 엔티티(functional entity) 혹은 리포지터리(repository)(306)와의 연동을 통해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디바이스(300)가 서비스 쉐어링 엔진부(304a)에 처음으로 접속한 경우, 320단계에서 서비스 쉐어링 엔진부(304a)은 디바이스(300)를 등록하는데 관련된 등록 정보, 디바이스(300)에 적용할 과금 정책(charging policy) 및 디바이스(300)의 타입(type) 및 디바이스의 하드웨어(hardware) 특성에 따라 결정되는 디바이스에 해당하는 서비스 정책(service policy), 디바이스(300)에 대한 접근성(Reachability) 정보를 포함하는 M2M 서비스 제공정보를 설정한다. 이와 같은 320단계에서의 M2M 서비스 제공 정보 설정은 서비스 쉐어링 엔진부(304a) 내에서 자체적 수행될 수도 있으며, 서비스 서버(304) 내의 다른 기능적 엔티티(functional entity)들(도시되지 않음)과의 연동을 통해서 수행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접근성(Reachability) 정보는 상기 디바이스(300)가 서비스를 제공받을 시점이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결정되는지 또는 상기 디바이스가 미리 정해진 주기 마다 웨이크 업(Wake-up) 하여 수신되는 데이터가 있는지를 검사하는 것을 지시하는 정보이다.
상기 320단계에서 M2M 서비스 제공 정보를 설정한 후에, 322단계에서 서비스 쉐어링 엔진부(304a)는 상기 디바이스 등록 정보와 상기 M2M 서비스 제공 정보를 사용하여 해당 디바이스(300)에게 적합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들(308)에 대한 정보를 검색하여, 해당 디바이스(device)에 적합한 어플리케이션으로 설정한다.
그리고, 324단계에서 서비스 쉐어링 엔진부(304a)는 상기 디바이스 등록 정보와 상기 M2M 서비스 제공 정보를 디바이스 프로파일 정보로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디바이스 프로파일 정보를 사용자/디바이스 리포지터리(user/device repository)(306)에 저장하도록 요청한다. 즉, 서비스 쉐어링 엔진부(304a)는 상기 디바이스(300)가 서비스 서버(304)에 처음 접속한 경우, 상기 디바이스(300)가 추후 처음의 등록 과정 중에 획득된 디바이스 등록 정보와 M2M 서비스 제공 정보를 디바이스 프로파일 정보로서 생성하여 사용자/디바이스 리포지터리(306)에 저장하므로써, 디바이스(300)가 추후 재접속하더라도 상기 사용자/디바이스 리포지터리(306)에 저장된 상기 디바이스 프로파일 정보를 참조하면 되므로, 불필요한 등록 절차를 생략할 수 있게 된다.
상기 324단계에서 상기 디바이스 프로파일 정보를 수신한 사용자/디바이스 리포지터리(306)는 326단계에서 상기 디바이스 프로파일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디바이스 프로파일 정보에 대한 인덱스(index)와 같은 참조 정보(Reference Information)를 생성한다. 상기 참조 정보란 상기 서비스 쉐어링 엔진부(304a)가 상기 사용자/디바이스 리포지터리(306)에 저장한 디바이스 프로파일 정보들 중 상기 디바이스(300)에 해당하는 디바이스 프로파일 정보를 참조하기 위한 정보로서, 포인터(Pointer)나 인덱스 정보 등이 될 수 있다.328단계에서 사용자/디바이스 리포지터리(306)는 상기 생성한 참조 정보를 서비스 쉐어링 엔진부(304a)에게 전달한다.
330단계에서 서비스 쉐어링 엔진부(304a)은 상기 디바이스/사용자 리포지터리(306)로부터 수신한 참조 정보를 저장한다.
서비스 쉐어링 엔진부(304a)는 상기 330단계에서 참조 정보를 저장한 후, 상기 322단계를 통해서 검색된 디바이스(300)에서 서비스 가능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에 대한 정보, 등록이 필요한 필수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에 대한 정보들인 어플리케이션 리스트 및 이후 디바이스(300)로부터의 시그널링(signaling)을 위한 용도로 사용할 신용 증명서(security credential) 정보를 포함한 등록 응답(registration response) 메시지를 332단계 내지 334단계에서 서비스 서버(304)를 통해서 디바이스(300)로 전달한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경우에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Claims (10)

  1. 사용자에게 상기 M2M 서비스를 제공하고, 유/무선망과의 연결 설정이 완료된 이후에, 디바이스 등록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디바이스와, 상기 디바이스 등록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디바이스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고, 상기 디바이스 등록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디바이스 등록 정보와 상기 M2M 서비스 제공 정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프로파일 정보를 사용자/디바이스 리포지터리(Repository)에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디바이스 리포지터리로부터 상기 디바이스 프로파일 정보를 참조하기 위한 참조 정보(reference information)를 획득하는 서비스 서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대 장치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제어모듈시스템.
  2. 사용자에게 상기 M2M 서비스를 제공하는 디바이스가 유/무선망과의 연결 설정이 완료된 이후에, 상기 디바이스를 등록 시킬 것을 요청하는 디바이스 등록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디바이스 등록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서비스 서버가 상기 디바이스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고,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디바이스 등록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디바이스 등록 정보와 상기 M2M 서비스 제공 정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프로파일 정보를 사용자/디바이스 리포지터리(Repository)에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사용자/디바이스 리포지터리가 상기 디바이스 프로파일 정보를 참조하기 위한 참조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사용자/디바이스 리포지터리로부터 상기 참조 정보(reference information)를 획득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대 장치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제어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디바이스 등록 정보와 상기 M2M 서비스 제공 정보에 따라 상기 디바이스에서 서비스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를 확인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대 장치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제어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 등록 정보는, 디바이스 식별자(Device Id), 디바이스 타입(Device type), 디바이스 캐퍼빌러티(Device capability), 사용자식별자(User Id), 그룹 식별자(Group I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대 장치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제어방법.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M2M 서비스 제공 정보는, 상기 디바이스의 등록 정보(Registration Information), 상기 디바이스에 해당하는 서비스 정책(Service Policy) 정보, 상기 디바이스의 접근성 정보(Reachability Information) 중 적어도 하나임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대 장치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제어방법.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참조 정보는, 상기 디바이스 리포지터리에 저장된 상기 디바이스 프로파일 정보를 참조하는 인덱스 정보임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대 장치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제어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접근성 정보는, 상기 디바이스가 서비스를 제공받을 시점이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결정되는지 또는 상기 디바이스가 미리 정해진 주기 마다 웨이크 업(Wake-up) 하여 수신되는 데이터가 있는지를 검사하는 것을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대 장치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제어방법.
  8. 사용자에게 상기 장치 대 장치 서비스를 제공하는 디바이스가 유/무선망과의 연결 설정이 완료된 이후에, 상기 디바이스에서 제공할 어플리케이션을 등록할 것을 요청하는 어플리케이션 등록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캐퍼빌러티 정보가 필요하다면,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디바이스의 캐퍼빌러티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과,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획득된 캐퍼빌러티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디바이스의 특성 또는 상기 M2M 서비스의 특성에 따라 상기 등록 요청된 어플리케이션이 세분화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등록 요청된 어플리케이션이 세분화되어 있다면,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해당하는 서브어플리케이션들 중 상기 디바이스의 특성 또는 상기 서비스의 특성에 해당하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 어플리케이션에 해당하는 서브 어플리케이션 식별자를 획득하는 과정과, 상기 획득된 서브 어플리케이션 식별자를 상기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대 장치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제어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등록 요청 메시지는, 상기 디바이스가 상기 등록 요청한 어플리케이션을 위해서 사용할 접속기술 정보,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위해 필요한 어플리케이션 프로토콜 정보, 보안 증명서(Security Crudential)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대 장치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제어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의 특성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획득하는 과정은, 상기 어플리케이션 및 서비스 리포지토리(Repository)로부터 상기 어플리케이션 정보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를 사용하여 검색된 상기 디바이스의 특성에 따라 세분화되어 구성된 서브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대 장치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제어방법.
KR1020110130722A 2011-12-08 2011-12-08 장치 대 장치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제어모듈시스템 및 방법 KR2013006421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0722A KR20130064217A (ko) 2011-12-08 2011-12-08 장치 대 장치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제어모듈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0722A KR20130064217A (ko) 2011-12-08 2011-12-08 장치 대 장치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제어모듈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4217A true KR20130064217A (ko) 2013-06-18

Family

ID=488612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0722A KR20130064217A (ko) 2011-12-08 2011-12-08 장치 대 장치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제어모듈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64217A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210250A1 (en) * 2013-06-28 2014-12-31 Intel Corporation Network assisted device-to-device discovery for peer-to-peer applications
WO2015034337A1 (ko) * 2013-09-09 2015-03-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특정 요청 메시지의 처리를 위한 방법 및 장치
WO2015080461A1 (ko) * 2013-11-29 2015-06-04 주식회사 케이티 M2m 환경에서 사용 가능한 장치를 검색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70017684A (ko) * 2015-07-10 2017-02-15 시아오미 아이엔씨. 단말기 테스트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저장매체
WO2017138746A1 (ko) * 2016-02-13 2017-08-17 주식회사 비디 리모트 컨트롤 가능한 애플리케이션 시스템, 리모트 컨트롤러, 및 그 제공방법
US10206090B2 (en) 2013-11-29 2019-02-12 Kt Corporation Method and device for searching for available device in M2M environment
US10531269B2 (en) 2012-11-01 2020-01-07 Intel Corporation Network assisted device-to-device discovery for peer-to-peer applications
KR20210097797A (ko) * 2019-09-19 2021-08-09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디바이스 인증 방법 및 장치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31269B2 (en) 2012-11-01 2020-01-07 Intel Corporation Network assisted device-to-device discovery for peer-to-peer applications
US11736927B2 (en) 2012-11-01 2023-08-22 Apple Inc. Network assisted device-to-device discovery for peer-to-peer applications
WO2014210250A1 (en) * 2013-06-28 2014-12-31 Intel Corporation Network assisted device-to-device discovery for peer-to-peer applications
TWI583155B (zh) * 2013-06-28 2017-05-11 英特爾股份有限公司 用於點對點應用之網路輔助裝置對裝置搜尋
US10904326B2 (en) 2013-06-28 2021-01-26 Apple Inc. Network assisted device-to-device discovery for peer-to-peer applications
WO2015034337A1 (ko) * 2013-09-09 2015-03-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특정 요청 메시지의 처리를 위한 방법 및 장치
US9867164B2 (en) 2013-09-09 2018-01-09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device for processing a specific request messag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15080461A1 (ko) * 2013-11-29 2015-06-04 주식회사 케이티 M2m 환경에서 사용 가능한 장치를 검색하는 방법 및 장치
US10206090B2 (en) 2013-11-29 2019-02-12 Kt Corporation Method and device for searching for available device in M2M environment
KR20170017684A (ko) * 2015-07-10 2017-02-15 시아오미 아이엔씨. 단말기 테스트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저장매체
RU2636695C2 (ru) * 2015-07-10 2017-11-27 Сяоми Инк.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тестирования терминала
WO2017138746A1 (ko) * 2016-02-13 2017-08-17 주식회사 비디 리모트 컨트롤 가능한 애플리케이션 시스템, 리모트 컨트롤러, 및 그 제공방법
KR20210097797A (ko) * 2019-09-19 2021-08-09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디바이스 인증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9715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transfer of profile between device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5805873B2 (ja) M2mデバイスサブスクリプションのための方法及び装置
KR20130064217A (ko) 장치 대 장치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제어모듈시스템 및 방법
USRE45363E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network access
CN109314703B (zh) 用于管理连接设备的状态的方法
CN109196841B (zh) 用于在移动电信网络的分布式数据库中发布断言以及用于个性化物联网设备的方法和装置
US830650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ferring identity information to a wireless device for temporary use
KR20110117030A (ko) 장치 대 장치 서비스를 제공하는 디바이스 관리 방법 및 시스템과 그 장치
US9491594B2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terminal group
KR20170089970A (ko) Epc로의 imsi-리스 디바이스들의 연결
WO2017201756A1 (zh) 一种下载签约信息的方法、相关设备及系统
EP2822307A1 (en) Charging method and device
US9615240B2 (en) Accessibility management method and device for M2M terminal/terminal peripheral
WO2022062889A1 (zh) 一种切片管理方法、装置及通信设备
US872511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ferring identity information to a wireless device
CN107111524A (zh) 基于面向服务的架构(soa)的可扩展计费系统
JP2014507882A (ja) 接続識別子に対するアプリケーション識別子のリゾリューションのためのレコード生成
WO2013139073A1 (zh) 一种发送终端监控报告的方法及系统
US11018966B2 (en) Providing connectivity information
EP4315907A1 (en) Subscription management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JP2021101501A (ja) デバイス管理装置、デバイス管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