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7311A - 사용자 주문형 쿠폰 활성화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사용자 주문형 쿠폰 활성화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7311A
KR20170017311A KR1020150111042A KR20150111042A KR20170017311A KR 20170017311 A KR20170017311 A KR 20170017311A KR 1020150111042 A KR1020150111042 A KR 1020150111042A KR 20150111042 A KR20150111042 A KR 20150111042A KR 20170017311 A KR20170017311 A KR 201700173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on
information
user terminal
management server
barc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10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19472B1 (ko
Inventor
김성수
김현규
Original Assignee
(주)온굿플레이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온굿플레이스 filed Critical (주)온굿플레이스
Priority to KR10201501110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9472B1/ko
Publication of KR201700173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73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94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94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11Determining the effectiveness of discounts or incentiv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1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 G06K19/0602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using bar c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35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constrained by time limit or expiration dat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39Online discounts or incentiv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7Wireless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9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profile or attribut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21Item configuration or customiz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Cash Registers Or Receiv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자신이 원하는 쿠폰을 찜할 수 있으며, 찜한 쿠폰에 한해 선별적으로 바코드를 부여하며, 쿠폰관리서버(10), 쿠폰공급자 서버(30) 및 사용자 단말기(20)로 구성된 사용자 주문형 쿠폰 활성화시스템을 이용한 사용자 주문형 쿠폰 활성화방법에 있어서, 쿠폰관리서버(10)에서 쿠폰 발행자가 제공하는 쿠폰의 이미지, 판매개수, 할인율, 유효기간과 같은 쿠폰의 정보를 등록하는 단계(S101)와, 사용자 단말기(20)에서 쿠폰관리서버(10)로부터 전송받는 쿠폰 리스트를 보여주며, 쿠폰의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S103)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20)에서 쿠폰 리스트에 "찜하기" 버튼을 제공 및 하나 이상의 쿠폰을 "찜하기" 설정하는 단계(S104)와, 쿠폰관리서버(10)에서는 "찜하기 설정된 쿠폰의 바코드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20)로 전송하는 단계(S105);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20)에서는 수신된 바코드 정보를 통해 해당 쿠폰을 활성화하는 단계(S106)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서, 본 발명의 쿠폰의 사용자 주문형 활성화방법을 이용하면 쿠폰 공급에 있어 소비자, 특히 관광객의 관심도가 어느 정도였는지, 관심을 보인 고객중 몇 퍼센트의 고객이 실제 구매를 수행했는지 등의 상관관계를 알아낼 수 있으며, 쿠폰의 할인율에 따른 고객의 관심도와 구매의 상관관계 정보를 알 수 있으며, 상관관계 정보를 이용하여 고객 유치에 있어 쿠폰의 할인율을 얼마나 해야 할지, 몇 장의 쿠폰을 발급해야 할지 결정할 수 있으며, 쿠폰의 발급이 영업이익에 미치는 영향을 미리 산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사용자 주문형 쿠폰 활성화시스템 및 그 방법{ACTIVE USERS ON-DEMAND COUPON SYSTEM AND METHOD}
본 발명은 사용자 주문형 쿠폰 활성화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자신이 원하는 쿠폰을 찜할 수 있으며, 찜한 쿠폰에 한해 선별적으로 바코드를 부여하는 사용자 주문형 쿠폰 활성화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경우, 쿠폰 발행자가 판매하고자 하는 상품의 할인율 또는 할인가격을 결정하고, 결정된 할인율 또는 할인가격에 따라 해당 상품을 구매할 수 있는 쿠폰을 발행하였다. 이 경우, 발행된 쿠폰에는 해당 쿠폰을 사용하기 위한 방문자의 수, 최소 사용 금액 등을 포함하는 쿠폰의 사용 조건이 부과되기도 하였다.
하지만, 이와 같은 사용 조건이 부과된 쿠폰의 경우, 쿠폰을 이용하려는 이용자가 쿠폰에 부과된 사용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만, 해당 쿠폰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쿠폰을 이용하는데 있어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쿠폰 발행자의 경우, 사용되지 않는 쿠폰을 발행함으로써 비용이 낭비되는 측면이 있었다.
한편, 최근에는 소셜 커머스 서비스(Social Commerce Service)가 등장하였다. 소셜 커머스 서비스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활용하여 이루어지는 전자상거래의 일종으로, 제휴 가맹점은 상호 계약에 의해 소정 상품에 대한 할인율 또는 상품의 판매 기간을 사전에 결정하고, 상품의 구매를 원하는 이용자들은 결정된 할인율에 따라 상품을 구매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소셜 커머스 서비스도 쿠폰의 사용 조건이 결정되어 있어, 쿠폰을 사용하는데 어려움이 따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5-0030302호(개인 주문형 쿠폰 발행 방법, 이하 '선행기술'이라 함)이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쿠폰 발행자 단말로부터 쿠폰 생성 요청과 제 1 쿠폰 이용 조건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쿠폰 생성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쿠폰 이용 조건에 해당하는 쿠폰을 생성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쿠폰 이용자 단말로부터 쿠폰 검색 조건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쿠폰 검색 조건과 상기 제 1 쿠폰 이용 조건을 비교하여 상기 쿠폰 검색 조건에 해당하는 쿠폰을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하는 단계, 검색된 쿠폰이 없는 경우, 상기 쿠폰 검색 조건을 상기 쿠폰 발행자 단말로 요청하는 단계, 상기 쿠폰 발행자 단말로부터 제 2 쿠폰 이용 조건을 수신하여 상기 쿠폰 이용자 단말에게 전달하는 단계 및 상기 쿠폰 이용자 단말이 상기 제 2 쿠폰 이용 조건을 승인하는 경우, 상기 쿠폰 이용자 단말에게 상기 제 2 쿠폰 이용 조건에 해당하는 개인 주문형 쿠폰을 발행하는 단계로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로는 쿠폰 공급에 있어 해당 쿠폰이 어느 정도 소비자의 관심을 끌 수 있는지, 또한 관심을 보인 고객 중 몇 퍼센트의 고객이 구매를 결정하는지 알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5-0030302호(개인 주문형 쿠폰 발행 방법, 공개일자 2015년03월20일)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사용자들이 특정 쿠폰에 관심을 보일 경우에만 활성화될 수 있도록 모바일 앱 및 쿠폰관리서버(10)로 구성된 시스템을 바탕으로 쿠폰에 대한 사용자들의 관심도를 알아내는 동시에, 필요시 사용자들의 피드백을 받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쿠폰 발행자에게 가치있는 통계정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쿠폰관리서버(10), 쿠폰공급자 서버(30) 및 사용자 단말기(20)로 구성된 사용자 주문형 쿠폰 활성화시스템을 이용한 사용자 주문형 쿠폰 활성화방법에 있어서, 쿠폰관리서버(10)에서 쿠폰 발행자가 제공하는 쿠폰의 이미지, 판매개수, 할인율, 유효기간과 같은 쿠폰의 정보를 등록하는 단계(S101)와, 사용자 단말기(20)에서 쿠폰관리서버(10)로부터 전송받는 쿠폰 리스트를 보여주며, 쿠폰의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S103)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20)에서 쿠폰 리스트에 "찜하기" 버튼을 제공 및 하나 이상의 쿠폰을 "찜하기" 설정하는 단계(S104)와, 쿠폰관리서버(10)에서는 "찜하기 설정된 쿠폰의 바코드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20)로 전송하는 단계(S105);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20)에서는 수신된 바코드 정보를 통해 해당 쿠폰을 활성화하는 단계(S106)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S103단계 이전에, 상기 쿠폰공급자 서버(30)로부터 신규 쿠폰 정보가 입력될 경우, 상기 쿠폰관리서버(10)는 신규 쿠폰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며, 사용자 단말기(20)로 신규 쿠폰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S102)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기(20)는 사전에 모바일 앱 마켓에서 액티브 쿠폰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여 쿠폰관리서버(10)와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동된다.
또한, 상기 S105단계 이전에, 상기 사용자 단말기(20)에 디스플레이 된 쿠폰은 쿠폰의 정보만 표시되어 있으며, 실질적으로 사용이 불가능한 '가 쿠폰' 상태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쿠폰관리서버(10)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쿠폰의 정보는 쿠폰 발행일, 유효기간, 쿠폰의 사용개수, 사용자 제한 조건, 할인율, 쿠폰의 바코드 정보등 쿠폰 사용자가 쿠폰을 사용할 경우 필요한 정보를 입력한다.
상기 S106단계 이후에, 상기 쿠폰관리서버(10)는 바코드가 부여되어 활성화된 쿠폰이 미리 설정된 기간내에 사용되지 않았다면 상기 쿠폰의 사용유무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며, 쿠폰을 사용하지 않은 이유에 대한 설문을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20)로 전송하는 단계(S107)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본 발명의 사용자 주문형 쿠폰 활성화방법이 완성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서, 본 발명의 사용자 주문형 쿠폰 활성화방법을 이용하면 쿠폰 공급에 있어 소비자, 특히 관광객의 관심도가 어느 정도였는지, 관심을 보인 고객중 몇 퍼센트의 고객이 실제 구매를 수행했는지 등의 상관관계를 알아낼 수 있으며, 쿠폰의 할인율에 따른 고객의 관심도와 구매의 상관관계 정보를 알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관관계 정보를 이용하여 고객 유치에 있어 쿠폰의 할인율을 얼마나 해야 할지, 몇 장의 쿠폰을 발급해야 할지 결정할 수 있으며, 쿠폰의 발급이 영업이익에 미치는 영향을 미리 산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관심도가 높음에도 불구하고 구매로 이어지지 않는 경우에는 설문 조사 페이지를 이용하여 자사의 서비스에 어떤 문제가 있는지 확인할 수 있으며, 쿠폰 발급업체 및 여행사를 통한 공급 비용을 없앨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주문형 쿠폰 활성화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쿠폰관리서버(10)에서 수행되는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쿠폰공급자 서버(30)에서 수행되는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5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20)에서 수행되는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앱화면의 구성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사용자 주문형 쿠폰 활성화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논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사용자 주문형 쿠폰 활성화시스템은 쿠폰관리서버(10), 쿠폰공급자 서버(30), 사용자 단말기(20)를 포함한다. 다만, 도 1에서 도시된 사용자 주문형 쿠폰 활성화시스템의 구성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이 도 1에 도시된 예로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의 각 구성요소는 일반적으로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네트워크는 단말들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에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쿠폰관리서버(10)는 쿠폰공급자 서버(30)로부터 쿠폰의 이미지, 갯수, 할인율, 유효기간 등과 같은 쿠폰의 정보를 수신하여, 수신된 쿠폰의 정보에 해당하는 쿠폰을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쿠폰관리서버(10)는 생성된 쿠폰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쿠폰관리서버(10)는 제휴된 점포 또는 가맹점의 단말기로부터 쿠폰의 대상이 되는 상품, 해당 상품에 대한 할인율, 상품에 대한 할인 가격, 상품을 구매하기 위한 최소 인원수, 상품의 구매 기한 등의 쿠폰 정보에 대응하는 쿠폰을 생성해 줄 것을 요청하는 쿠폰 생성 요청을 수신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쿠폰 정보에 대응하는 쿠폰을 생성할 수 있다.
쿠폰관리서버(10)는 사용자 단말기(20)로부터 해당 쿠폰의 바코드 정보를 요청하게 되는 경우 쿠폰관리서버(10)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쿠폰의 정보를 통해 바코드 정보를 생성하며, 사용자 단말기(20)로 해당 쿠폰의 바코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른 사용자 주문형 쿠폰활성화시스템의 쿠폰관리서버(10)는 통신부(11), 바코드 생성부(12), 회원/공급자 정보 데이터베이스(13), 쿠폰정보 데이터베이스(14), 쿠폰 앱 관리부(16), 쿠폰 관심도/구매도 데이터베이스(15), 설문 데이터 생성 및 관리부(17), 인터페이스부(18) 및 제어부(19)로 구성된다.
여기서 통신부(11)는 쿠폰을 이용하고자 하는 복수의 제 1 내지 제 N 사용자 단말기(20A, 20B, 20C : 20) 및 쿠폰을 공급하고자 하는 복수의 제 1 내지 제 N 쿠폰 공급자 서버(30A, 30B, 30C : 30)와 통신한다.
바코드 생성부(12)는 사용자 단말기(20)에 공급된 쿠폰 중 사용자 단말기(20)로부터 사용의사를 밝힌 쿠폰에 대하여 실제로 사용할 수 있도록 쿠폰에 부여하기 위한 바코드를 생성한다.
회원/공급자 정보 데이터베이스(13)는 성함, 연락처 등의 회원정보와 상호명, 연락처 등의 쿠폰 공급자의 정보를 저장한다.
쿠폰정보 데이터베이스(14)는 쿠폰 공급자 서버(30)로부터 공급된 쿠폰의 이미지, 사용처, 할인율, 유효기간 등과 쿠폰 정보와, 쿠폰을 전송한 사용자 단말기(20) 정보 및 쿠폰을 활성화하기 위한 바코드를 생성한 정보를 저장한다.
쿠폰 관심도/구매도 데이터베이스(15)는 사용자 단말기(20)로 공급된 쿠폰 중 액티브 어플리케이션에서 찜하기를 실행하여 활성화된 쿠폰 정보를 관심도 정보로 저장하고, 실제로 사용한 경우를 구매도 정보로 저장한다.
쿠폰 앱 관리부(16)는 사용자 단말기(20)의 액티브 어플리케이션을 관리한다.
설문데이터 생성 및 관리부(17)는 사용자 단말기(20)로 전송하고자 하는 설문 데이터를 생성하거나, 전송된 설문에 대한 응답을 관리한다.
인터페이스부(18)는 쿠폰 앱 관리부(16)나 설문 데이터 생성 및 관리부(17)의 내용을 입력, 삭제 및 수정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키보드, 마우스, 스캐너 및 프린터 등이 이용된다.
제어부(19)는 통신부(11), 바코드 생성부(12), 회원/공급자 정보 데이터베이스(13), 쿠폰정보 데이터베이스(14), 쿠폰 앱 관리부(16), 쿠폰 관심도/구매도 데이터베이스(15), 설문 데이터 생성 및 관리부(17) 및 인터페이스(18)를 제어하여, 쿠폰공급자 서버(30)로부터의 쿠폰정보를 저장하고, 이를 사용자 단말기(20)로 전송하며, 사용자 단말기(20)의 액티브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활성화 요청, 즉 활성화 주문이 오면 해당 쿠폰에 대한 바코드를 바코드 생성부(12)에서 생성하여 통신부(11)를 통해 쿠폰관리서버(10)를 제어한다.
이와 같은 쿠폰관리서버(10)의 동작에 대해서는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주문형 쿠폰 활성화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사용자 주문형 쿠폰 활성화방법은 쿠폰관리서버(10)에서 쿠폰 발행자가 제공하는 쿠폰의 이미지, 판매개수, 할인율, 유효기간 등과 쿠폰의 정보를 등록하는 단계(S101)와. 상기 쿠폰 발행자로부터 새로운 쿠폰 정보가 등록될 때마다, 주기적으로 사용자 앱에 신규 쿠폰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S102)와, 사용자 단말기(20)에서 쿠폰관리서버(10)로부터 전송받은 쿠폰 리스트를 보여주며, 쿠폰의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S103)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20)에서 쿠폰 리스트에 "찜하기" 버튼을 제공하며, 쿠폰 사용자가 원하는 쿠폰에 "찜하기"를 설정하는 단계(S104)와, 상기 쿠폰관리서버(10)에서 "찜하기" 설정된 쿠폰의 바코드 정보를 쿠폰 사용자에게 전송하는 단계(S105)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20)에서는 쿠폰관리서버(10)로부터 수신된 바코드 정보를 통해 해당 쿠폰을 활성화하는 단계(S106)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신규 쿠폰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S102)는 쿠폰공급자 서버(30)에 신규 쿠폰의 정보(쿠폰의 이미지, 판매개수, 할인율, 유효기간, 쿠폰 사용인원 제한)가 입력될 때마다 주기적으로 쿠폰관리서버(10)로 전송되는 것으로, 주기적인 시간에 대한 것은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신규 쿠폰의 발생여부에 따라 쿠폰관리서버(10)로 신규 쿠폰 정보가 전송되는 것이다.
상기 쿠폰관리서버(10)에서 "찜하기" 설정된 쿠폰의 바코드 정보를 쿠폰 사용자에게 전송하는 단계(S105) 이전에는, 사용자 단말기(20)에 디스플레이 된 쿠폰은 정보 표시만 되어있으며, 실질적으로 사용이 불가능한 '가 쿠폰'에 해당한다.
상기 S106단계 이후에, 상기 쿠폰관리서버(10)는 바코드가 부여되어 활성화된 쿠폰이 미리 설정된 기간내에 사용되지 않았다면 상기 쿠폰의 사용유무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며, 쿠폰을 사용하지 않은 이유에 대한 설문을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20)로 전송하는 단계(S107)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찜하기" 버튼을 제공하는 것은 쿠폰 사용자가 "찜하기" 버튼을 사용함으로서, 쿠폰 발행자가 쿠폰 사용자의 관심도를 확인할 수 있는 요소로 활용되며, 미리 설정된 기간내에 쿠폰이 사용되지 않았다면 사용자 단말기(20)로 설문을 생성하여 전송함으로써, 쿠폰 미사용 이유에 대한 조사결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쿠폰 발행자측에서는 쿠폰 사용자의 관심도와 구매 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할 수 있게 되며, 쿠폰 발행자는 고객 유치에 있어 쿠폰의 할인율을 얼마나 해야 할지, 몇 장의 쿠폰을 발급해야 할지 등에 대한 정보를 알 수 있다.
이를 통해 쿠폰의 발급이 영업이익에 미치는 영향을 미리 산정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한다.
이하 전술된 사용자 주문형 쿠폰 활성화방법에 대해 각각의 구성에서 이루어지는 동작별로 설명한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쿠폰관리서버(10)에서 수행되는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쿠폰관리서버(10)에서 수행되는 동작은 먼저, 쿠폰을 발행 및 공급하는 쿠폰공급자 서버(30)로부터 해당 쿠폰 생성 요청과 쿠폰의 정보를 수신하게 된다(S201). 이후 쿠폰 생성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쿠폰관리서버(10)는 쿠폰의 정보에 따른 쿠폰을 생성하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S202).
이때,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쿠폰의 정보는 쿠폰 발행일, 유효기간, 쿠폰의 개수, 사용자 제한, 할인율, 쿠폰의 바코드 정보 등 쿠폰을 사용할 경우 필요한 정보이다.
또한, 상기 쿠폰관리서버(10)에서는 쿠폰공급자 서버(30)로부터 신규 쿠폰 정보가 전송될 때마다 신규 쿠폰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며, 저장된 신규 쿠폰의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20)로 전송하게 된다(S203).
그 후, 사용자 단말기(20)에서 "찜하기" 설정된 쿠폰의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찜하기" 설정된 쿠폰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며(S204), 쿠폰공급자 서버(30)로 "찜하기" 설정된 쿠폰의 정보를 송신하게 된다(S205).
상기 쿠폰공급자 서버(30)로부터 해당 쿠폰의 바코드를 발행 명령이 수신되는 경우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한 해당 쿠폰의 바코드 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기(20)로 전송하게 된다(S206).
도 4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쿠폰공급자 서버(30)에서 수행되는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고, 도 5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20)에서 수행되는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4 또는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사용자 단말기(20)와 쿠폰공급자 서버(30)는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관리 서버에 접속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휴대용 단말장치는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이동 통신 장치로서, 예를 들면,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패드(SmartPad), 태블릿 PC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20)와 쿠폰공급자 서버(30)는 TV, 스마트TV, IPTV, 모니터 또는 TV와 연결된 셋탑박스와 같은 방송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러한 셋탑박스와 같은 장치는 TV장치의 내부에 포함될 수 있으며, 외부 장치로서 TV장치에 연결될 수도 있다. 다만, 단말의 종류는 앞서 예시된 것들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먼저, 상기 쿠폰공급자 서버(30)에서는 쿠폰관리서버(10)로 쿠폰 생성 요청 및 쿠폰의 정보(쿠폰의 이미지, 판매개수, 할인율, 유효기간, 쿠폰 사용인원 제한)를 전송한다(S301). 이때, 상기 쿠폰공급자 서버(30)에서는 쿠폰 공급업체 및 쿠폰을 발행하는 기관에서 신규 쿠폰 정보가 발생하여 쿠폰공급자 서버(30)를 통해 신규 쿠폰 정보를 입력할 경우, 상기 쿠폰공급자 서버(30)는 신규 쿠폰의 정보를 쿠폰관리서버(10)로 전송한다(S302).
그 후, 상기 쿠폰공급자 서버(30)는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20)로부터 "찜하기" 설정된 쿠폰의 바코드 생성 요청을 수신한 뒤(S303), 상기 쿠폰관리서버(10)로 해당 "찜하기" 설정된 쿠폰의 바코드 생성을 명령한다(S304).
이와 대응하여 사용자 단말기(20)에서의 사용자 주문형 쿠폰 활성화방법에 대한 동작을 설명한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20)는 전술된 바와 같이 스마트기기로 사용될 수 있으며, 스마트기기를 예시로 설명한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20)는 액티브 쿠폰 어플리케이션이 단말장치에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 모바일 앱 마켓에서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및 설치한다(S401).
그 후, 액티브 쿠폰 어플리케이션에 해당 사용자의 개인정보 및 휴대전화번호를 입력하며, 이는 사용자의 정보를 통해 해당 쿠폰의 사용자 제한 및 개수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S402).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기(20)는 액티브 쿠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쿠폰관리서버(10)로부터 쿠폰 정보를 수신하여 단말장치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쿠폰의 리스트를 화면에 나타내며, 주기적으로 신규 쿠폰 정보를 전송받는다(S403, S404).
이때, 상기 단말장치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쿠폰의 리스트를 화면에 나타내는 것은 액티브 쿠폰 어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된 쿠폰 리스트를 화면상에 나타내는 것이다.
그 이후, "찜하기 설정된 쿠폰의 정보를 쿠폰 관리서버로 전송하며(S405), 상기 쿠폰 관리서버로부터 상기 "찜하기" 설정된 쿠폰의 바코드 정보를 수신하게 된다(S406).
상기 사용자 단말기(20)는 수신된 쿠폰의 바코드 정보를 통해 해당 쿠폰을 활성화하여 실질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쿠폰의 상태로 되는 것이다(S407).
도 6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앱화면의 구성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사용자 단말기(20)에 설치된 액티브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디스플레이 되는 화면이다.
상기 디스플레이된 화면의 상단에는 메인페이지, 마이쿠폰, 핫쿠폰, 쿠폰검색과 같은 카테고리 선탱창이 형성될 수 있으며, 메인페이지를 대표적인 실시예로 설명하도록 한다.
메인페이지 탭은 액티브 쿠폰 공급자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정보 및 뉴스를 웹 페이지의 형태로 보여준다.
마이쿠폰 탭은 사용자가 찜한 쿠폰의 리스트를 보여준다. 지역별, 유효기간 또는 할인율 등을 기준으로 정렬이 가능하다.
핫쿠폰 탭은 다른 사용자들이 많이 찜하거나 이용한 쿠폰을 보여준다. 역시 지역별, 유효기간 또는 할인율 등을 기준으로 정렬이 가능하다.
쿠폰검색 탭은 시스템에 등록된 쿠폰에 대해, 카테고리별 혹은 키워드 검색이 가능하다.
상기 액티브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쿠폰 사용자는 여러 쿠폰 중 자신이 마음에 드는 쿠폰을 "찜하기" 버튼을 이용하여 활성화할 수 있다. 활성화된 쿠폰은 마이쿠폰 탭에서 확인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 쿠폰을 클릭하면 해당 쿠폰에 대한 더욱 상세한 정보를 볼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2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으로 쿠폰 공급에 있어서 관광객의 관심도가 어느 정도였는지, 관심을 보인 고객중 몇 퍼센트의 고객이 실제 구매를 수행했는지 등의 상관관계를 알아낼 수 있으며, 쿠폰의 할인율에 따른 고객의 관심도와 구매의 상관관계 정보를 알 수 있으며, 상관관계 정보를 이용하여 고객 유치에 있어 쿠폰의 할인율을 얼마나 해야 할지, 몇 장의 쿠폰을 발급해야 할지 결정할 수 있으며, 쿠폰의 발급이 영업이익에 미치는 영향을 미리 산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2 내지 도 5을 통해 설명되는 사용자 주문형 쿠폰 활성화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쿠폰관리서버 11 : 통신부
12 : 바코드 생성부
13 : 회원/공급자 정보 데이터베이스 14 : 쿠폰정보 데이터베이스
15 : 쿠폰 관심도/구매도 데이터베이스
16 : 쿠폰 앱 관리부 17 : 설문 데이터 생성 및 관리부
18 : 인터페이스부 19 : 제어부
20 : 사용자 단말기
30 : 쿠폰 공급자 서버

Claims (8)

  1. 쿠폰관리서버(10), 사용자 단말기(20) 및 쿠폰공급자 서버(30)로 구성된 쿠폰 발행시스템을 이용한 사용자 주문형 쿠폰 활성화방법에 있어서,
    쿠폰관리서버(10)에서 쿠폰 발행자가 제공하는 쿠폰의 이미지, 판매개수, 할인율, 유효기간과 같은 쿠폰의 정보를 등록하는 단계(S101)와;
    사용자 단말기(20)에서 쿠폰관리서버(10)로부터 전송받는 쿠폰 리스트를 보여주며, 쿠폰의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S103)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20)에서 쿠폰 리스트에 "찜하기" 버튼을 제공 및 하나 이상의 쿠폰을 "찜하기" 설정하는 단계(S104)와;
    쿠폰관리서버(10)에서는 "찜하기 설정된 쿠폰의 바코드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20)로 전송하는 단계(S105);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20)에서는 수신된 바코드 정보를 통해 해당 쿠폰을 활성화하는 단계(S106);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주문형 쿠폰 활성화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S103단계 이전에,
    상기 쿠폰공급자 서버(30)로부터 신규 쿠폰 정보가 입력될 경우, 상기 쿠폰관리서버(10)는 신규 쿠폰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며, 사용자 단말기(20)로 신규 쿠폰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S102);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주문형 쿠폰 활성화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20)는 사전에 모바일 앱 마켓에서 액티브 쿠폰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여 쿠폰관리서버(10)와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주문형 쿠폰 활성화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S105단계 이전에,
    상기 사용자 단말기(20)에 디스플레이 된 쿠폰은 쿠폰의 정보만 표시되어 있으며, 실질적으로 사용이 불가능한 '가 쿠폰' 상태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주문형 쿠폰 활성화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쿠폰관리서버(10)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쿠폰의 정보는 쿠폰 발행일, 유효기간, 쿠폰의 사용개수, 사용자 제한 조건, 할인율, 쿠폰의 바코드 정보와 같은 쿠폰 사용자가 쿠폰 사용에 필요한 정보를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주문형 쿠폰 활성화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S106단계 이후에, 상기 쿠폰관리서버(10)는 바코드가 부여되어 활성화된 쿠폰이 미리 설정된 기간내에 상기 쿠폰의 사용유무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며, 쿠폰을 사용하지 않은 이유에 대한 설문을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20)로 전송하는 단계(S107);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주문형 쿠폰 활성화방법.
  7. 쿠폰을 이용하고자 하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20) 및 쿠폰을 공급하고자 하는 복수의 쿠폰 공급자 서버(30)와 통신하는 통신부(11)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20)에 공급된 쿠폰 중 사용자 단말기(20)로부터 사용의사를 밝힌 쿠폰을 활성화하기 위한 바코드를 생성하는 바코드 생성부(12)와;
    상기 쿠폰 공급자 서버(30)로부터 공급된 쿠폰의 쿠폰 정보를 저장하는 쿠폰정보 데이터베이스(14)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20)로 공급된 쿠폰 중 쿠폰 정보를 관심도 정보로 저장하고, 실제로 사용한 경우를 구매도 정보로 저장하는 쿠폰 관심도/구매도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통신부(11), 바코드 생성부(12), 쿠폰정보 데이터베이스(14) 및 쿠폰 관심도/구매도 데이터베이스를 제어하여, 상기 쿠폰 공급자 서버(30)로부터의 쿠폰정보를 저장하고, 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20)로 전송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20)로부터 쿠폰에 바코드 부여를 요청하는 활성화 주문이 수신되면 해당 쿠폰에 대한 바코드를 상기 바코드 생성부(12)에서 생성하여 상기 통신부(11)를 통해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19);를 포함하는 쿠폰관리서버(1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주문형 쿠폰 활성화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쿠폰관리서버(10)는 쿠폰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20)에서 관리하기 위한 쿠폰 앱을 관리하는 쿠폰 앱 관리부(16)와, 상기 바코드가 부여된 쿠폰 중 일정기간 쿠폰을 사용하지 않은 설문 데이터를 생성하거나, 설문 데이터에 대한 응답 데이터를 관리하는 데이터 생성 및 관리부(17)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주문형 쿠폰 활성화시스템.
KR1020150111042A 2015-08-06 2015-08-06 사용자 주문형 쿠폰 활성화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7194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1042A KR101719472B1 (ko) 2015-08-06 2015-08-06 사용자 주문형 쿠폰 활성화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1042A KR101719472B1 (ko) 2015-08-06 2015-08-06 사용자 주문형 쿠폰 활성화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7311A true KR20170017311A (ko) 2017-02-15
KR101719472B1 KR101719472B1 (ko) 2017-03-24

Family

ID=581118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1042A KR101719472B1 (ko) 2015-08-06 2015-08-06 사용자 주문형 쿠폰 활성화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947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7063A (ko) * 2008-07-11 2010-01-22 씨제이시스템즈 주식회사 모바일쿠폰 거래 시스템 및 그 거래 방법
KR20120105593A (ko) * 2011-03-08 2012-09-26 비씨카드(주) 모바일 쿠폰 관리 방법 및 모바일 쿠폰 관리 서버
KR20120115595A (ko) * 2007-06-20 2012-10-18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동적 전자 쿠폰의 관리
KR20150030302A (ko) 2013-09-11 2015-03-20 주식회사 케이티 개인 주문형 쿠폰 발행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15595A (ko) * 2007-06-20 2012-10-18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동적 전자 쿠폰의 관리
KR20100007063A (ko) * 2008-07-11 2010-01-22 씨제이시스템즈 주식회사 모바일쿠폰 거래 시스템 및 그 거래 방법
KR20120105593A (ko) * 2011-03-08 2012-09-26 비씨카드(주) 모바일 쿠폰 관리 방법 및 모바일 쿠폰 관리 서버
KR20150030302A (ko) 2013-09-11 2015-03-20 주식회사 케이티 개인 주문형 쿠폰 발행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9472B1 (ko) 2017-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38062B2 (en) Tracking offers across multiple channels
US11238500B2 (en) Providing offers and associated location information
US1170469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essage alerts and referrals
KR101374624B1 (ko) 화장품 소비자 맞춤형 광고 서비스 시스템
US2011003528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media commerce platform
US2013033912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n integrated shopping experience
US20130185148A1 (en) Systems, methods, apparatuse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providing services on an automated teller machine
KR102198932B1 (ko) 전자 영수증 기반의 멤버십 혜택 서비스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KR101782880B1 (ko) 마케팅 서비스용 마케터별 광고주 스페셜 오퍼 설정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646068B1 (ko) 추천코드를 통한 사용자 보상 제공 방법 및 장치
JP2013142918A (ja) 販売支援装置、販売支援方法および販売支援プログラム
JP6074350B2 (ja) 商品販売管理サーバ及びインターネット販売促進システム
US20150019310A1 (en) Electronic system and method for group purchasing promotions
KR20170067697A (ko) 전자 쿠폰 발행/구독 모델을 이용한 전자 쿠폰 사용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60234A (ko) 사용자의 행동에 따른 보상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200020564A (ko) 후원 적립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사용자 단말 및 방법
JP5521949B2 (ja) ソーシャルネットワークサービスを利用して配布したクーポンの利用を管理するためのクーポン管理装置及び方法。
KR101719472B1 (ko) 사용자 주문형 쿠폰 활성화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40022298A (ko) 광고 중개 시스템과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와 단말기
KR20100069029A (ko) 모바일 쿠폰 제공 방법
KR20130122079A (ko) 콘텐츠 유통 방법 및 서버
KR20100066863A (ko) 사용자의 독서 기록을 관리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339930B1 (ko)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마일리지 관리 시스템 및 방법
JP2019219939A (ja) 配信装置、配信方法および配信プログラム
KR20150079359A (ko) 통합쿠폰 제공 방법, 서버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