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5985A - 굴곡 장치 및 이에 대응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굴곡 장치 및 이에 대응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5985A
KR20170015985A KR1020177000479A KR20177000479A KR20170015985A KR 20170015985 A KR20170015985 A KR 20170015985A KR 1020177000479 A KR1020177000479 A KR 1020177000479A KR 20177000479 A KR20177000479 A KR 20177000479A KR 20170015985 A KR20170015985 A KR 201700159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bending
support bench
rolls
clamp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04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07443B1 (ko
Inventor
파브로 조지오 델
Original Assignee
엠.이.피. 머신 일레트로니쉐 피에가트리치 에스피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엠.이.피. 머신 일레트로니쉐 피에가트리치 에스피에이 filed Critical 엠.이.피. 머신 일레트로니쉐 피에가트리치 에스피에이
Publication of KR201700159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59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74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74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11/00Bending not restricted to forms of material mentioned in only one of groups B21D5/00, B21D7/00, B21D9/00; Bending not provided for in groups B21D5/00 - B21D9/00; Twisting
    • B21D11/10Bending specially adapted to produce specific articles, e.g. leaf springs
    • B21D11/12Bending specially adapted to produce specific articles, e.g. leaf springs the articles being reinforcements for concre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7/00Bending rods, profiles, or tubes
    • B21D7/02Bending rods, profiles, or tubes over a stationary forming member; by use of a swinging forming member or abutment
    • B21D7/022Bending rods, profiles, or tubes over a stationary forming member; by use of a swinging forming member or abutment over a stationary forming member only

Abstract

완성형 만곡 장치는 하나 이상의 바(12)를 동시에 지지하도록 구성된 지지 벤치(14)를 포함하고, 지지 벤치(14)는 바(12)의 길이에 대해 긴 전개를 갖는다. 또한 바(12)를 구부리기 위해 지지 벤치(14)를 따라 제어 가능하게 이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굽힘 유닛(15a, 15b)과, 지지 벤치(14) 상에 바의 위치를 구속하도록 구성된 클램핑 수단(15a, 15b; 16)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굴곡 장치 및 이에 대응하는 방법{BENDING MACHINE AND CORRESPONDING METHOD}
본 발명은 철근을 만곡시키기 위한 완성형 만곡 장치 및 이에 대응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완성형 만곡장치와 이에 대응하는 방법은 원하는 곡률 반경을 갖는 곡선 철근을 제조할 수 있도록 한다.
철근은 철근 콘크리트를 강화하는데에 사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원형 또는 반원형의 플랫폼의 경우, 제조된 플랫폼의 윤곽을 따라 철근이 성형되어야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철근은 원형 단면, 콘크리트와의 고정을 보강할 수 있는 리지(ridge)과 리브(rib)를 갖는 원형 단면, 사각형 또는 이와 유사한 단면 또는 직사각형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철근은 일반적으로 원하는 강화 구조물을 만들기 위해 스터럽(stirrup)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큰 직경을 갖는 곡선형 보강 구조물의 경우, 철근의 세그먼트는, 예를 들어 스터럽에 의해 적당한 장소나 형상 대신에, 보강재를 형성하도록 성형되어 콘크리트 주조물에 고정되거나 일체화된다.
만곡 장치는 실질적으로 수평한 평면 패널로 알려져 있지만, 만곡될 철근의 세그먼트와 원호를 형성하도록 조작하는 데에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는 작업자의 안전과, 변형의 가능성이 있는 바(bar)의 물리적 상태에 영향을 미친다. 또한, 만곡 장치의 출입구에 복수의 벤치를 배치함으로써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시도되어 왔다.
이러한 전략은 한편으로는 원호 모양으로 형성된 스터럽을 지지하는 것과 관련된 문제를 해결하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둘 이상의 바에 동시에 적용할 때에는 쉽게 실행되지 않는다. 이 경우, 바는 굽힘 유닛과 협력하여야만 상호 왕복 위치를 유지하지만, 하류 및 상류는 붕괴되는 경향이 있다.
하나 이상의 바가 굽힘 유닛의 상류에서 붕괴되면, 굽힘 유닛에서 바가 쉽게 비틀어질 수 있다. 이 경우 굽힘 유닛, 작업자, 바 모두와 관련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원호 또는 다른 커브에서 하나 이상의 바를 성형하는 작업을 단순화하기 위해 고안되고, 시험되고, 구현되었다.
실제로, 본 발명은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 바, 직선형 세그먼트 및 곡선형 세그먼트, 또는 나선형 또는 타원형 또는 적어도 2개의 직경을 갖는 원호 형상을 갖는 바를 얻을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작업자의 위험, 조직 및 작동상의 복잡함, 제품의 품질 및 안정성, 그리고 곡률의 변동성을 방지할 수 있는 원호 또는 원으로 정해진 성형 바의 제조를 단순화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독립항에서 설명되고 특정되며, 종속항은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또는 본 발명의 사상에 대한 변형예를 기술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완성형 만곡 장치는 주로 가공될 바가 배치되는 종 방향으로 전개되는 지지 벤치를 제공한다.
클램핑 수단은 굽힘 벤치 상의 원하는 위치에 제공되고, 가공될 바의 위치를 선택적으로 클램핑하도록 구성된다.
지지 벤치는 각 경우에 가공되는 바의 길이와 실질적으로 대응되는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완성형 만곡 장치는 지지 벤치와 결합되고 바를 굽히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굽힘 유닛을 포함한다.
지지 벤치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굽힘 유닛과 협조하는 가이드가 장착될 수 있으며, 원하는 제어 방식으로 지지 벤치를 따라 이동하도록 구비된다.
클램핑 수단이 지지 벤치의 길이에 대해 중심에 위치할 때, 지지 벤치는 실질적으로 안정적이고 바를 클램핑하기에 적합할 수 있다.
변형예에 따르면, 클램핑 수단은 지지 벤치에 대해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후퇴되어 있을 수 있다.
또 다른 변형예에 따르면, 적어도 일시적으로 클램핑 수단의 기능을 수행하는 굽힘 유닛인 것이 제공 될수 있다. 이 경우, 굽힘 유닛은 지지 벤치의 중앙 또는 원하는 위치, 또는 끝단에 위치할 수 있다.
굽힘 유닛은 두 개의 콘트라스트 롤을 포함하며, 그 사이에 바가 파지된다.
굽힘 유닛은 또한 처리될 바 또는 바 상에 만곡 롤을 연속적으로 또는 하나하나씩 선택적으로 위치시키기 위해 가이드 수단 및 위치 설정 장치와 협력하는 만곡 롤을 포함한다.
특히, 만곡 롤은 바에 작용하여 콘트라스트 롤 중 하나의 주변에서 바를 휘도록 한다.
프로그램 가능한 컴퓨터 시스템은 전체를 제어, 명령 및 관리한다.
본 발명의 이러한 특징 및 다른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비제한적 실시예로서 주어진 실시 예의 일부 형태에 대해 다음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완성형 만곡 장치를 나타낸다.
도 2는 첫 번째 작동 위치에서의 도 1의 만곡 장치를 나타낸다.
도 3는 두 번째 작동 위치에서의 도 1의 만곡 장치를 나타낸다.
도 4는 세 번째 작동 위치에서의 도 1의 만곡 장치를 나타낸다.
도 5는 마지막 작동 위치에서의 도 1의 만곡 장치를 나타낸다.
도 6는 첫 번째 작동 위치에서의 도 1의 만곡 장치의 변형예를 나타낸다.
도 7는 두 번째 작동 위치에서의 도 5의 만곡 장치를 나타낸다.
도 8은 세 번째 작동 위치에서의 도 5의 만곡 장치를 나타낸다.
도 9은 네 번째 작동 위치에서의 도 5의 만곡 장치를 나타낸다.
도 10은 도 1의 만곡 장치에서 가능한 작동 위치를 나타낸다.
이해를 돕기 위해, 가능한 경우 도면에서 동일한 공통 요소를 식별하기 위해 동일한 참조 번호가 사용된다. 일 실시예의 일 형태의 요소 및 특성이 추가 설명 없이 다른 형태의 실시예에 편의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첨부된 도면에 하나 이상의 예가 도시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를 상세히 언급하고자 한다. 각각의 예는 본 발명의 예시로서 제공되며, 본 발명의 제한으로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예를 들어, 하나의 실시 형태의 일부인 것처럼 도시되거나 기술된 특성은 다른 형태의 실시 형태를 생성하기 위해 다른 형태의 실시 형태에 또는 그와 관련하여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모든 변경 및 변형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완성형 만곡 장치(10)는 도 1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완성형 만곡 장치(10)는 다른 특징 및 공칭 직경을 갖는 바(bar, 12)를 만곡시키거나 성형하거나 굽힐 수 있도록 구성된다.
만곡 장치(10)는 요구되는 특정 작업에 따라 하나 이상의 바(12)에 작동하도록 구성된다.
만곡 장치가 동시에 더 많은 바(12)를 가공할 수 있는 것이 당연하지만, 1개의 바(12)의 가공에 대해 이하에서 설명될 것이다.
만곡 장치(10)는 작업 중에 바(12)를 지지하도록 제공된 지지 벤치(14)를 포함한다.
지지 벤치(14)는 대체적으로 길쭉하게 발달되어 있으며, 지지해야 하는 바(12)의 길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길이를 갖는다.
지지 벤치(14)는 실질적으로 수평 방향 또는 대략적으로 수평 방향으로 위치 될 수 있으나,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만곡 장치(10)는 또한 적어도 하나의 굽힘 유닛을 포함하는데, 여기에서는 바(12)를 원하는 형상으로 구부리도록 구성된 2개의 굽힘 유닛(15a, 15b)을 포함한다.
굽힘 유닛(15a, 15b)은 이동 축(X)을 따라 굽힘 유닛(15a, 15b)을 이동시키는 각각의 이동 카트(18)에 설치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굽힘 유닛(15a, 15b)은 이동 축(X)을 따라 일직선 상에 배치되고, 서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도록 이동될 수 있다.
이동 축(X)은 지지 벤치(14)의 종 방향 전개를 따라 실질적으로 전개된다.
카트(18)는 지지 벤치(14) 상에서 원하는 제어 방식으로 움직일 수 있으며, 각각의 카트(18)는 독자적으로 또는 다른 카트(18)와 연계되어 작동된다.
가능한 해결 수단에 따르면, 만곡 장치(10)는 카트(18)가 지지 벤치(14) 상에서 움직이도록 카트(18)와 연계된 이동 부재를 포함한다.
이동 부재(미도시)는 그러브 나사(grub screw), 선반 또는 체인을 포함할 수 있다.
가능한 실시예의 형태에 따르면, 만곡 장치(10)는 이동 축(X)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치되고 카트(18)가 슬라이딩 설치되는 가이드(17)를 포함한다.
각 굽힘 유닛(15a, 15b)은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된 2개의 콘트라스트 롤(20a, 20b)을 포함하고, 사용시에 바(12)가 그들 사이를 통과하게 된다.
콘트라스트 롤들 중 적어도 하나, 여기서는 콘트라스트 롤 20a이 콘트라스트 롤 20b로부터 가까워지거나 멀어지게 이동하도록 하는 위치 설정 수단(22)을 구비하여 바(12)의 갭과 콘트라스트 롤(20a, 20b)이 바(12)에 가하는 압력을 조정한다. 바(12)에 작용하는 압력은 바(12)를 끌어들이거나 바(12)에 고정 작용 또는 클램핑 작용을 가할 수 있다.
가능한 해결수단에서, 적어도 하나의 굽힘 유닛(15a, 15b)은 바(12)에 클램핑 수단의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형태의 실시예에서, 바(12)에 지지 작용을 가할 수 있도록 콘트라스트 롤(20a, 20b)의 회전을 제한하고 이들을 서로 가압하는 것이 제공된다.
가능한 해결 수단에 따르면, 콘트라스트 롤 중 적어도 하나, 이 경우 콘트라스트 롤 20b이 동력화된다.
이 해결 수단은 후술될 바와 같이 굽힘이 이루어지도록 각 굽힘 유닛(15a 또는 15b)을 바(12)의 연장부를 따라 움직이게 한다.
이 해결 수단에서, 적어도 바(12)를 가공하는 단계 중에는 카트(18)가 동력화될 필요가 없는데, 바(12)에 동력화된 콘트라스트 롤(20b)의 작동은 카트(18)의 제어되고 요구되는 전진을 결정하기 때문이다.
실제로, 바(12)에 작용하는 콘트라스트 롤(20b)은 바(12) 위의 콘트라스트 롤(20a)에 마찰 작용을 가하고, 대응하는 굽힘 유닛(15a, 15b) 및 카트(18)를 끌어 당긴다.
굽힘 유닛(15)은 또한 콘트라스트 롤(20a, 20b)과 협력하여, 콘트라스트 롤(20a, 20b) 사이에 포함된 바(12)에 소정의 변형을 가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만곡 롤(24)을 포함한다. 만곡 롤(24)은 콘트라스트 롤(20a, 20b)에 대하여 외측에 위치한다.
특히, 만곡 롤(24)은 콘트라스트 롤(20a, 20b) 중 적어도 하나의 주변에 바(12)의 소정 곡률을 결정한다.
만곡 롤(24)은 가이드 수단(25) 및 위치 설정 장치(27)에 연결될 수 있는데, 위치 설정 장치(27)는 콘트라스트 롤(20a, 20b)에 대해 만곡 롤(24)을 가이드 수단(25) 상에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가이드 수단(25)은 이동 축(X) 방향, 즉 만곡 롤(24)이 원하는 만곡 동작을 할 수 있도록 바(12)가 입사되는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만곡 롤(24)의 위치는 연속적 및/또는 분산되어 있을 수 있다.
콘트라스트 롤(20a, 20b)에 대한 만곡 롤(24)의 위치는 바(12)의 곡률을 결정한다.
실제로, 만곡 롤(24)은 바(12)가 가공될 때마다 콘트라스트 롤(20a, 20b)에 대해 고정된 채로 유지될 수 있다. 또는 변형에 따라 그리고 상이한 반경을 갖는 곡률의 경우에는, 만곡 롤(24)의 위치 설정 장치(27)가 전달하는 명령에 의해, 만곡 롤(24)의 위치가 콘트라스트 롤(20a, 20b)에 대해서 각각의 경우에 갱신된다.
만곡 롤(24)의 위치는, 예를 들어 바(12)에 대해 직각으로 고정될 수 있거나, 바(12)의 원하는 곡률 반경에 대해 다른 가변 각도로 기울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변형예에서, 만곡 롤(24)의 위치는 두 굽힘 유닛(15a 및 15b)에 대해 동일하다. 또는 예를 들어 상이한 곡률 값을 갖는 원호를 얻기 위한 만곡 롤(24)의 위치는 두 굽힘 유닛(15a 및 15b)에 대해 서로 상이하다.
다른 변형 예에서, 만곡 롤(24)의 위치는 성형 동작 중에 불연속적인 방식으로 가변적이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의 형태에서, 만곡 롤(24)의 위치는 바(12)의 가공 동안에는 연속적인 방식으로 가변적이다.
하나의 가능한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굽힘 유닛(15a, 15b)은 만곡 롤(24)과 동일한 측에 놓이는 바(12)에 대해 배치된 접촉 롤(34)을 포함할 수 있다.
접촉 롤(34)은 굽힘 유닛(15a, 15b)을 이동시키기 위해 카트(18)에 대해 고정 된 위치에 위치된다.
각 굽힘 유닛(15a, 15b)에서, 접촉 롤(34)은 접촉 롤(34)과 만곡 롤(24) 사이에 콘트라스트 롤(20a, 20b)이 개재되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바(12)가 만곡 롤(24)에 의해 굽혀질 때, 만곡된 부분의 상류에 위치하는 바의 부분은 움직이지 않고 만곡 롤(24)의 작용을 의미없게 만든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가능한 변형예에 따르면, 굽힘 유닛(15a, 15b) 중 적어도 하나는 각각의 카트(18) 상에 설치된 클램핑 수단을 구비하고, 각각의 굽힘 유닛(15a, 15b)의 위치에 바(12)의 위치를 구속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변형예(도 6)에 따르면, 만곡 장치(10)는 굽힘 유닛(15a, 15b) 사이에 개재되고 적어도 성형 중에 바(12)를 클램핑하도록 구성된 클램핑 수단(16)을 포함한다.
클램핑 수단(16)은 예를 들어 바이스(vise)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클램핑 수단(16)의 작용은 원하는 클램핑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가능한 해결 수단에 따르면, 클램핑 수단(16)은 성형된 바(12)의 로딩 또는 배출 중에 바(12)의 가능한 움직임을 간섭하지 않는 위치로 이동하도록 지지 벤치(14)에 대해 수직으로 고정되거나 후퇴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실시 예의 형태에 따르면, 만곡 장치(10)는 클램핑 수단의 기능을 번갈아 수행하는 굽힘 유닛 15a 및 15b을 각각 포함한다.
이 해결 수단에서는, 다음과 같은 작동 모드가 달성된다.
굽힘 유닛 15a는 가이드(17)의 일단 부에 고정되어 바이스로서 작용하지만, 굽힘 유닛 15b는 적어도 바(12)의 절반만큼 전진하여(도 2), 바(12)를 하나 이상의 미리 정해진 굽힘부로 굽히고, 그 다음 클램핑 수단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멈춘다(그림 3). 굽힘 유닛 15b가 정지 상태에 있을 때, 굽힘 유닛 15a는 전진하여(도 4), 실질적으로 굽힘 유닛 15b와 접촉할 때까지 바(12)를 굽힐 수 있다(도 5). 이와 같은 방법으로, 양 굽힘 유닛(15a, 15b)은 바(12)의 대응하는 굴곡 부분을 얻는다.
굽힘 유닛 15a은 바(12)의 연장 방향을 따라 중간 위치로 이동하여 바이스로서 작용하고, 굽힘 유닛 15b는 바(12)를 따라 전진하여, 굽힘 유닛 15a와 거의 접촉할 때까지 원하는 방식으로 바(12)를 굽힌다. 이후에 필요할 경우 또 다른 굽힘을 수행하기 위해 원하는 위치로 굽힘 유닛 15a을 이동시킬 수 있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해결 수단에서, 클램핑 수단(16)은 지지 벤치(14)의 종 방향 연장부를 따라 중간 위치에 배치된다.
이 해결 수단에서, 굽힘 유닛(15a, 15b)은 지지 벤치(14)의 단부로부터 클램핑 수단(16)을 향해 동시에 전진하다가, 클램핑 수단(16)에서 멈춘다(도 7).
바(12)가 클램프 수단(16)에 의해 클램핑되기 때문에, 굽힘 유닛(15a, 15b)은 이동 중에 대응하는 만곡 동작을 수행한다.
굽힘 유닛(15a, 15b)의 작용을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원으로 형상화된 바(12)를 얻거나(도 8), 만곡 롤(24)과 콘트라스트 롤(20a, 20b) 사이의 왕복 위치가 연속적으로 변경되면 예를 들어 나선 모양이 얻을 수 있다(그림 9).
도 1의 실시예의 형태에서, 만곡 장치(10)는 바 공급 유닛(29)을 포함하며, 바(12)는 미리 절단되거나 절단되지 않고 묶음의 형태로 배치된다.
바 공급 유닛(29)은 또한 바 공급 유닛(29)으로부터 하나 이상의 바(12)를 취하기 위한 추출기(30)를 포함할 수 있는데, 바 공급 유닛(29)은 바(12)를 지지 벤치(14)에서 굽힘 유닛(15a 및 15b)에 이용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추출기(30)의 하류에는 하나 이상의 바(12)를 원하는 길이로 선택적으로 절단하기 위해 전단과 같은 절단 유닛(31)이 있다.
절단 유닛(31)에 이어서, 공급 벤치(32)가 배치되는데, 공급 벤치(32)는 지지 벤치(14)에 종 방향으로 인접하게 전개되어 바(12)를 공급 벤치(32)에 공급한다.
당김 유닛(33)은 공급 벤치(32)와 결합하여 추출기(30)와 협력하여 작동하고, 바 공급 유닛(29)으로부터 낱개로 바(12)를 추출하여 제공한다.
당김 유닛(33)은 공급 벤치(32)에 대해 선택적으로 이동 가능하여 추출기(30)에 의해 추출된 바(12)를 취하여 공급 벤치(32)로 가져 간다.
측정 장치는 예를 들어 당김 유닛(33) 또는 절단 유닛(31)과 통합된 당김 유닛(33)과 협력할 수 있다. 측정 장치는 추출기(30), 절단 유닛(31) 또는 당김 유닛(33)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선택적으로 기능을 명령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분야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완성형 만곡 장치(10) 및 이에 상응하는 방법에 대해 부품의 수정 및/또는 추가가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예를 들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2 개의 굽힘 유닛(15a, 15b) 중 적어도 하나에서는 만곡 롤(24)과 그에 인접한 콘트라스트 롤 20a가 바(12)에 대해 같은 편에 배치되고, 선택적으로 다른 콘트라스트 롤 20b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굽힘 유닛(15a)과 제2 굽힘 유닛(15b)이 서로 접촉한 상태에서, 어느 한쪽의 굽힘 유닛(여기에서는 제1 굽힘 유닛(15a))에 있는 만곡 롤(24)과 콘트라스트 롤(20a)이 콘트라스트 롤(20b)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한다. 이 상태에서, 다른 굽힘 유닛(15b)의 롤들이 활성화되고, 특히 전동화된 콘트라스트 롤(20a)은 바(12)의 전진을 결정하여, 제1 및 제2 굽힘 유닛 사이에 구비된 바(12) 세그먼트의 굽힘을 완성한다.
본 발명의 가능한 실시예에 따르면, 굽힘이 완료된 때에 굽힘이 정확하게 수행되지 않은 경우, 만곡 롤(24)은 바(12)와 간섭되지 않는 위치로 이동하고, 콘트라스트 롤(20a, 20b)을 바(12)에 접촉시키면서, 굽힘 유닛(15a, 15b)을 서로 멀어지게 이동시킨다. 이러한 방법으로 이미 구부러진 바(12)를 평평하게 하고, 굽힘 가공을 다시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이 특정 예를 참조하여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분명히 완성형 만곡 장치의 많은 다른 동등한 형태 및 이에 대응하는 방법을 달성할 수 있으며,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바와 같이 모든 보호 분야에 해당된다.

Claims (13)

  1. 하나 이상의 바(12)를 동시에 지지하도록 구성된 지지 벤치(14)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벤치(14)는 상기 바(12)의 길이에 대해 긴 전개를 가지며,
    상기 바(12)를 구부리기 위해 상기 지지 벤치(14)를 따라 제어 가능하게 이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굽힘 유닛(15a, 15b)과,
    상기 지지 벤치(14) 상에 상기 바의 위치를 구속하도록 구성된 클램핑 수단(15a, 15b; 1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성형 만곡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수단(16)은 굽힘 유닛(15a, 15b)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곡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수단(16)은
    상기 바(12)를 클램핑하고 상기 지지 벤치(14)와 결합되는 조절 가능한 바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곡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수단(16)은 상기 지지 벤치(14)에 대해 수직으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곡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수단(16)은 상기 지지 벤치(14)에 대해 후퇴 가능하게 이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곡 장치.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굽힘 유닛(15a, 15b)은 상기 클램핑 기능을 교대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곡 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굽힘 유닛(15a, 15b)은 상기 지지 벤치(14)를 따라 독립적인 방식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곡 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굽힘 유닛(15a, 15b)은 조정 가능한 축사이 공간(interaxes)을 가지며 이 사이에 상기 바(12)가 통과하는 2 개의 콘트라스트 롤(20a, 20b)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곡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굽힘 유닛(15)은 콘트라스트 롤(20a, 20b)과 협력하는 만곡 롤(24)을 포함하며, 상기 만곡 롤(24)의 위치는 상기 바(12) 및 상기 콘트라스트 롤(20a, 20b)에 대해 조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곡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각 굽힘 유닛(15a, 15b)은 상기 바(12)에 대해 상기 만곡 롤(24)이 위치하는 동일한 측면 상에 배치되는 접촉 롤(34)을 포함하고,
    상기 접촉 롤(34)은 콘트라스트 롤(20a, 20b)이 상기 접촉 롤(34)과 만곡 롤(24) 사이에 개재되는 형태로 각 굽힘 유닛(15a, 15b)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곡 장치.
  11. 제 8 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두 콘트라스트 롤(20a, 20b) 중 적어도 하나는 동력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곡 장치.
  12. 제 1 항 내지 제 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굽힘 유닛(15a, 15b)은 가이드(17) 상에서 활주 가능한 카트(18) 상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곡 장치.
  13. 지지 벤치(14) 상에 적어도 하나의 바(12)를 위치시키는 만곡 방법으로서,
    클램프 수단이 상기 지지 벤치(14) 상에서 이동 중에 상기 바를 클램핑된 상태로 유지하는 동안, 상기 지지 벤치(14)를 따라 이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굽힘 유닛(15a, 15b)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바(12)를 구부리는 동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곡 방법.
KR1020177000479A 2014-06-06 2015-06-05 만곡 장치 및 이에 대응하는 방법 KR1023074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UD20140097 2014-06-06
ITUD2014A000097 2014-06-06
PCT/IB2015/054277 WO2015186112A1 (en) 2014-06-06 2015-06-05 Bending machine and corresponding meth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5985A true KR20170015985A (ko) 2017-02-10
KR102307443B1 KR102307443B1 (ko) 2021-10-01

Family

ID=514549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0479A KR102307443B1 (ko) 2014-06-06 2015-06-05 만곡 장치 및 이에 대응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10532389B2 (ko)
EP (1) EP3151985B1 (ko)
JP (1) JP6630681B2 (ko)
KR (1) KR102307443B1 (ko)
CN (1) CN106794502B (ko)
BR (1) BR112016028571B1 (ko)
DK (1) DK3151985T3 (ko)
ES (1) ES2907555T3 (ko)
HU (1) HUE057790T2 (ko)
PL (1) PL3151985T3 (ko)
PT (1) PT3151985T (ko)
WO (1) WO2015186112A1 (ko)

Cited B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6361A (ko) 2020-05-04 2020-05-22 김용원 발판보드에 설치하는 발전기
KR20200060307A (ko) 2020-05-06 2020-05-29 김용원 자전거와 리어 캐리어에 설치하는 발전장치들
KR20200060308A (ko) 2020-05-07 2020-05-29 김용원 수상보드에 설치하는 발전기
KR20200060309A (ko) 2020-05-08 2020-05-29 김용원 헬스차량에 설치하는 발전기
KR20200061324A (ko) 2020-05-11 2020-06-02 김용원 보트에 설치하는 발전기
KR20200062092A (ko) 2020-05-11 2020-06-03 김용원 수차와 공기 컴프레서를 이용한 공기 터빈구조 발전기와 바퀴구조 발전기를 합한 발전기
KR20200068614A (ko) 2020-05-26 2020-06-15 김용원 펠티어소자를 이용한 공기, 물 컨디션너 조절장치 내에 설치한 발전기
KR20200083393A (ko) 2020-06-16 2020-07-08 김용원 "공기 터빈구조 발전기"와 "바퀴구조를 합한 발전기"를 "발열소자를 이용한 발전기"와 적용 양방향 모터(양방향 프로펠러)를 양방향공기추진기(Propullor)와 결합 장착한 드론
KR20200088241A (ko) 2020-06-30 2020-07-22 김용원 역방향 모터(양방향 프로펠러)의 추진에 맞는 관성을 이기는 팬이 없는 양방향공기추진기(Propullor)를 장착한 드론
KR20200108392A (ko) 2020-08-31 2020-09-18 김용원 전동 오토바이 모터의 정격에 맞는 오토바이바퀴에 회전자와 물받이 고정자 발전기를 설치한 오토바이에 모터가 장착된 항공기 공기추진기(Propulsor)와 장착한 드론의 프로퓰러(Propullor)를 장착하는 제조기술)
KR20210018367A (ko) 2021-01-26 2021-02-17 김용원 전동 오토바이에 설치한 모터가 장착된 항공기 공기추진기와 장착한 프로퓰러(Propullor)로 구성한 오토에어크라프트(Autoaircraft)
KR20210029730A (ko) 2021-02-22 2021-03-16 김용원 산사태에 대비, 대응하는 에어 레이어들 블록들이 형성된 거대장비들(에어 레이어들 블록들)
KR20210040852A (ko) 2021-03-24 2021-04-14 김용원 전동에어버스
KR20210043513A (ko) 2021-03-26 2021-04-21 김용원 전동에어버스에 설치하는 연기(분연), 재 포집장치
KR20210045369A (ko) 2021-03-31 2021-04-26 김용원 전기 에어 카
KR20210049046A (ko) 2021-04-13 2021-05-04 김용원 전기에어버스를 강풍, 태풍에 구조하는 보조날개와 보조출입문 장치
KR20210055643A (ko) 2021-04-27 2021-05-17 김용원 모터가 장착된 회전축에 다량의 회전자바퀴와 다량의 고정자바퀴발전기를 설치한 전동보드
KR20210072739A (ko) 2021-05-27 2021-06-17 김용원 의료용 전동보드
KR20210080293A (ko) 2021-06-11 2021-06-30 김용원 바퀴 사이 발전기 케이스
KR20220016234A (ko) 2022-01-14 2022-02-08 김용원 공기추진기(공기펌프와 공기터빈)를 장착한 3륜 자전거
KR20220038026A (ko) 2022-02-24 2022-03-25 김용원 4합 공기터빈 : 공기터빈 축에 1. 인너 팬들의 인너 실린더와 2. 아웃터 팬들의 아웃터 실린더와 3. 양쪽 1. 인너 실린더들과 2. 아웃터 실린더들의 사이에 아웃터 팬들에 덕트팬들과 덕트흡입구와 4 1. 인너 실린더들과 2. 아웃터 실린더들의 사이에 아웃터 팬들의 3. 덕트팬들에 블레이드와 블레이드 외부 형틀
KR20220056159A (ko) 2022-04-04 2022-05-04 김용원 물탱크 내의 스팀집 슈퍼히터에 전력공급한 스팀공급으로 스팀터빈을 구동하는 것과 슈퍼히터로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청소기에 발전기들을 설치하는 것과 공기터빈의 흡입구들의 공기필터들 설치와 펠티에소자를 이용한 냉온 공기배출과 얼음제조기 시스템
KR20220056835A (ko) 2022-04-18 2022-05-06 김용원 공기추진기(공기펌프와 여러 공기터빈들)들을 장착한 수상 자전거
KR20220076421A (ko) 2022-05-11 2022-06-08 김용원 공기추진기(공기펌프와 공기터빈들)들을 장착한 페달자전차
KR20220080053A (ko) 2022-05-27 2022-06-14 김용원 다중 에어 레이어 튜브보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1700092356A1 (it) * 2017-08-09 2019-02-09 M E P Macch Elettroniche Piegatrici Spa Macchina e procedimento per piegare elementi oblunghi, preferibilmente metallici, quali barre, vergelle, profilati, o simili
AR113669A1 (es) * 2017-12-22 2020-05-27 A C M S R L Automatismi Costruzioni Mecc Aparato y método de elaboración de barras
RU207052U1 (ru) * 2021-01-16 2021-10-08 ООО "Авиапрофиль"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гибки длинномерных профильных деталей
CN114700438B (zh) * 2022-05-07 2024-02-06 中国核工业电机运行技术开发有限公司 一种钢筋笼弯折组件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66417A (en) * 1978-05-09 1981-05-12 Daido Kogyo Co., Ltd. Steel flanged wheel rims for motorized bicycles or two-wheeled vehicles and a process for producing the rims
JPH10192991A (ja) * 1997-01-16 1998-07-28 Sanyo Kikai:Kk 鉄筋自動曲機および鉄筋自動曲機に於ける曲機と逆曲機の位置決め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209424A (ja) 1982-05-31 1983-12-06 Mitsui Eng & Shipbuild Co Ltd 棒鋼自動曲げ加工装置
DE3301061A1 (de) 1983-01-14 1984-04-05 Daimler-Benz Ag, 7000 Stuttgart Biegemaschine
JPS6163324U (ko) * 1984-09-28 1986-04-30
AT401360B (de) 1993-05-07 1996-08-26 Progress Ag Biegeanlage für stäbe
DE4443518A1 (de) 1994-12-07 1996-06-13 Peddinghaus Carl Ullrich Dr Verfahren zum Biegen von Stahlstäben, insbesondere zum Biegen von Betonstahlstäben zu Bewehrungsbügeln
ITUD970100A0 (ko) * 1997-05-29 1997-05-29
US5927132A (en) * 1998-04-30 1999-07-27 Schnell Spa Method of bending bars
JP3815998B2 (ja) * 2001-10-16 2006-08-30 東陽建設工機株式会社 鉄筋曲げ装置
GR1004238B (el) 2002-04-02 2003-05-14 Αντωνης Παναγιωτη Αναγνωστοπουλος Μεθοδος και μηχανη καμψεως μπετοβεργων, συρματων, σωληνων ή αλλου υλικου πρισματικης διατομης
ITVI20030076A1 (it) * 2003-04-15 2004-10-16 Pedrazzoli Ibp Spa Metodo e macchina per realizzare la curvatura a raggio
WO2006093006A1 (ja) * 2005-03-03 2006-09-08 Sumitomo Metal Industries, Ltd. 金属材の曲げ加工方法、曲げ加工装置および曲げ加工設備列、並びにそれらを用いた曲げ加工製品
JP4960781B2 (ja) * 2007-07-03 2012-06-27 東陽建設工機株式会社 鉄筋曲げ装置
JP5692714B2 (ja) * 2010-05-12 2015-04-01 株式会社キャダック 鉄筋の曲げ加工装置
DE102011015570B4 (de) * 2011-03-30 2015-01-22 Wafios Ag Biegekopf zum Biegen stab- und rohrförmiger Werkstücke
CN203817121U (zh) * 2014-02-26 2014-09-10 北京首钢国际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盘圆卷取机前用预弯机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66417A (en) * 1978-05-09 1981-05-12 Daido Kogyo Co., Ltd. Steel flanged wheel rims for motorized bicycles or two-wheeled vehicles and a process for producing the rims
JPH10192991A (ja) * 1997-01-16 1998-07-28 Sanyo Kikai:Kk 鉄筋自動曲機および鉄筋自動曲機に於ける曲機と逆曲機の位置決め方法

Cited B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6361A (ko) 2020-05-04 2020-05-22 김용원 발판보드에 설치하는 발전기
KR20200060307A (ko) 2020-05-06 2020-05-29 김용원 자전거와 리어 캐리어에 설치하는 발전장치들
KR20200060308A (ko) 2020-05-07 2020-05-29 김용원 수상보드에 설치하는 발전기
KR20200060309A (ko) 2020-05-08 2020-05-29 김용원 헬스차량에 설치하는 발전기
KR20200061324A (ko) 2020-05-11 2020-06-02 김용원 보트에 설치하는 발전기
KR20200062092A (ko) 2020-05-11 2020-06-03 김용원 수차와 공기 컴프레서를 이용한 공기 터빈구조 발전기와 바퀴구조 발전기를 합한 발전기
KR20200068614A (ko) 2020-05-26 2020-06-15 김용원 펠티어소자를 이용한 공기, 물 컨디션너 조절장치 내에 설치한 발전기
KR20200083393A (ko) 2020-06-16 2020-07-08 김용원 "공기 터빈구조 발전기"와 "바퀴구조를 합한 발전기"를 "발열소자를 이용한 발전기"와 적용 양방향 모터(양방향 프로펠러)를 양방향공기추진기(Propullor)와 결합 장착한 드론
KR20200088241A (ko) 2020-06-30 2020-07-22 김용원 역방향 모터(양방향 프로펠러)의 추진에 맞는 관성을 이기는 팬이 없는 양방향공기추진기(Propullor)를 장착한 드론
KR20200108392A (ko) 2020-08-31 2020-09-18 김용원 전동 오토바이 모터의 정격에 맞는 오토바이바퀴에 회전자와 물받이 고정자 발전기를 설치한 오토바이에 모터가 장착된 항공기 공기추진기(Propulsor)와 장착한 드론의 프로퓰러(Propullor)를 장착하는 제조기술)
KR20210018367A (ko) 2021-01-26 2021-02-17 김용원 전동 오토바이에 설치한 모터가 장착된 항공기 공기추진기와 장착한 프로퓰러(Propullor)로 구성한 오토에어크라프트(Autoaircraft)
KR20210029730A (ko) 2021-02-22 2021-03-16 김용원 산사태에 대비, 대응하는 에어 레이어들 블록들이 형성된 거대장비들(에어 레이어들 블록들)
KR20210040852A (ko) 2021-03-24 2021-04-14 김용원 전동에어버스
KR20210043513A (ko) 2021-03-26 2021-04-21 김용원 전동에어버스에 설치하는 연기(분연), 재 포집장치
KR20210045369A (ko) 2021-03-31 2021-04-26 김용원 전기 에어 카
KR20210049046A (ko) 2021-04-13 2021-05-04 김용원 전기에어버스를 강풍, 태풍에 구조하는 보조날개와 보조출입문 장치
KR20210055643A (ko) 2021-04-27 2021-05-17 김용원 모터가 장착된 회전축에 다량의 회전자바퀴와 다량의 고정자바퀴발전기를 설치한 전동보드
KR20210072739A (ko) 2021-05-27 2021-06-17 김용원 의료용 전동보드
KR20210080293A (ko) 2021-06-11 2021-06-30 김용원 바퀴 사이 발전기 케이스
KR20220016234A (ko) 2022-01-14 2022-02-08 김용원 공기추진기(공기펌프와 공기터빈)를 장착한 3륜 자전거
KR20220038026A (ko) 2022-02-24 2022-03-25 김용원 4합 공기터빈 : 공기터빈 축에 1. 인너 팬들의 인너 실린더와 2. 아웃터 팬들의 아웃터 실린더와 3. 양쪽 1. 인너 실린더들과 2. 아웃터 실린더들의 사이에 아웃터 팬들에 덕트팬들과 덕트흡입구와 4 1. 인너 실린더들과 2. 아웃터 실린더들의 사이에 아웃터 팬들의 3. 덕트팬들에 블레이드와 블레이드 외부 형틀
KR20220056159A (ko) 2022-04-04 2022-05-04 김용원 물탱크 내의 스팀집 슈퍼히터에 전력공급한 스팀공급으로 스팀터빈을 구동하는 것과 슈퍼히터로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청소기에 발전기들을 설치하는 것과 공기터빈의 흡입구들의 공기필터들 설치와 펠티에소자를 이용한 냉온 공기배출과 얼음제조기 시스템
KR20220056835A (ko) 2022-04-18 2022-05-06 김용원 공기추진기(공기펌프와 여러 공기터빈들)들을 장착한 수상 자전거
KR20220076421A (ko) 2022-05-11 2022-06-08 김용원 공기추진기(공기펌프와 공기터빈들)들을 장착한 페달자전차
KR20220080053A (ko) 2022-05-27 2022-06-14 김용원 다중 에어 레이어 튜브보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186112A1 (en) 2015-12-10
PL3151985T3 (pl) 2022-03-21
US20170113258A1 (en) 2017-04-27
ES2907555T3 (es) 2022-04-25
DK3151985T3 (da) 2022-03-07
BR112016028571B1 (pt) 2021-03-09
JP2017516663A (ja) 2017-06-22
HUE057790T2 (hu) 2022-06-28
US10532389B2 (en) 2020-01-14
CN106794502B (zh) 2020-12-08
EP3151985A1 (en) 2017-04-12
BR112016028571A2 (pt) 2017-08-22
JP6630681B2 (ja) 2020-01-15
KR102307443B1 (ko) 2021-10-01
EP3151985B1 (en) 2021-12-01
CN106794502A (zh) 2017-05-31
PT3151985T (pt) 2022-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15985A (ko) 굴곡 장치 및 이에 대응하는 방법
US9895739B2 (en) Apparatus for making border wire
EP2949407B2 (en) Drawing unit for elongated product and corresponding drawing method
JP2006167808A (ja) 管用伸長−歪み取り及び曲げ装置
EP2699366B1 (en) Bending machine for bending metal bars, such as round pieces for reinforcement or suchlike
KR20180048772A (ko) 선재 작업용 복합 기계 및 이에 대응하는 작업 방법
KR102189749B1 (ko) 금속 와이어를 드로잉 및 교정하는 장치, 및 해당 드로잉 및 교정 방법
KR20190107004A (ko) 다기능 작업 장치
CN111225753B (zh) 折弯筋、杆、型材等优选为金属的长形元件的机器和方法
KR20200134308A (ko) 금속제품 작업을 위한 머신 및 방법
JP6571994B2 (ja) コイルばね製造装置と、コイルばねの製造方法
DK3057722T3 (en) Apparatus for bending elongated metal products, such as rods, round pieces or metal wires, and corresponding bending method
US20230134903A1 (en) Bending machine
EP1407839B1 (en) Installation for cutting metal bars
JP2022519842A (ja) バー加工用機械および対応する加工方法
ITUD20120211A1 (it) Apparato di traino e/o raddrizzatura per prodotti metallici oblunghi, quali barre, tondini o fili metallici, macchina di piegatura/sagomatura comprendente detto apparato e relativo procedimento di traino e/o raddrizzatur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