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4452A - 팽이 홀더 - Google Patents

팽이 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4452A
KR20170014452A KR1020150107848A KR20150107848A KR20170014452A KR 20170014452 A KR20170014452 A KR 20170014452A KR 1020150107848 A KR1020150107848 A KR 1020150107848A KR 20150107848 A KR20150107848 A KR 20150107848A KR 20170014452 A KR20170014452 A KR 201700144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er
seating
holder
seating part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78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15350B1 (ko
Inventor
최종일
Original Assignee
최종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종일 filed Critical 최종일
Priority to KR10201501078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5350B1/ko
Publication of KR201700144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44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53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53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00Tops
    • A63H1/02Tops with detachable winding devices
    • A63H1/04Tops with detachable winding devices with string or band wind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00Tops
    • A63H1/02Tops with detachable wind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29/00Drive mechanisms for toys in general
    • A63H29/24Details or accessories for drive mechanisms, e.g. means for winding-up or starting toy engin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1/00Gearing for toys
    • A63H31/06Belt or string gea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1/00Gearing for toys
    • A63H31/08Gear-control mechanisms; Gears for imparting a reciprocating motion

Landscapes

  • Manipulator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가 팽이 홀더를 파지하면 상기 팽이 홀더에 의해 고정되는 팽이의 위치를 자동으로 조정하고, 안착된 팽이를 견고하게 지지하는 팽이 홀더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팽이의 공회전 영역을 파지(把持)하는 위치에 설치되고, 팽이의 공회전 영역과 접촉하여 상기 공회전 영역의 위치가 변위되도록 조정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자가 팽이 홀더를 파지하면 상기 팽이 홀더에 의해 고정되는 팽이의 안착 위치를 자동으로 조정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팽이 홀더에 안착된 팽이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팽이 홀더{HOLDER OF TOP}
본 발명은 팽이 홀더에 관한 발명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팽이 홀더를 파지하면 상기 팽이 홀더에 의해 고정되는 팽이의 위치를 자동으로 조정하고, 안착된 팽이를 견고하게 지지하는 팽이 홀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팽이는 외부로부터 회전력을 공급받아 회전하고, 공급된 회전력이 소멸되기까지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놀이기구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팽이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팽이(10)는 금속 휠(11)과, 상기 금속 휠(11)의 하부에 설치되어 회전력을 공급하는 회전력 발생부(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금속 휠(11)은 상부에 팽이(10)의 외관이 미려해지도록 임의의 형상을 갖는 디자인 휠(12)이 배치되고, 상기 금속 휠(11)과 디자인 휠(12)은 고정부(13)를 통해 밀착 고정된다.
상기 회전력 발생부(20)는 공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하우징(21)을 횡방향으로 관통하여 팽이(10)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대칭으로 배치한 와인더 삽입부(22)가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21)을 종방향으로 관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회전축(미도시)이 설치되며, 상기 회전축의 중간에는 피니언 기어(미도시)가 결합된다.
또한, 상기 회전력 발생부(20)는 하우징(21)의 하부에 회전팁(26)과 공회전 영역인 손잡이(27)가 설치되고, 상기 손잡이(27)는 회전축이 회전가능하도록 지지한다.
이러한 구성의 팽이(10)는 사용자가 공회전 영역인 손잡이(27)를 잡은 상태에서 와인더 삽입공(22)으로 랙 기어가 형성된 와인더를 끼워놓어 상기 피니언 기어와 치합되도록 배치한 다음 사용자가 상기 와인더를 잡아당기면 상기 랙 기어와 치합된 피니언 기어가 회전하며 회전축과 고정부(13)를 통해 연결된 금속 휠(11)을 회전시키게 된다.
이때 금속 휠(11)에 회전이 발생한 상태에서 공회전 영역인 손잡이(27)를 놓아 팽이(10)가 바닥에 닿으면, 금속 휠(11)의 회전 원심력에 의해 팽이(10)가 회전하게 된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팽이의 회전력 발생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따른 회전력 발생부의 동작 과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력 발생을 위해 와인더(30)의 결합을 측면에서 수행할 수 있는 회전력 발생부(20')는 하우징(21')과, 공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21')을 횡방향으로 관통하는 와인더 삽입부(22')가 설치되고, 상기 와인더 삽입부(22')는 측면이 개방된 절개부(22a)가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21')을 종방향으로 관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회전축(23')이 설치되고, 상기 회전축(23')의 중간에는 피니언 기어(미도시)가 결합되며, 상기 하우징(21')의 하부에는 회전팁(26')과, 공회전 영역인 손잡이부(27')가 설치되어 상기 회전축(23')이 회전되도록 지지한다.
상기 와인더(30)는 손잡이를 형성한 몸체부(31)와, 상기 몸체부(31)의 일측으로 랙 기어부(33)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31)와 랙 기어부(33) 사이에는 상기 랙 기어부(33)가 절개부(22a)를 통해 와인더 삽입부(22')에 삽입되도록 유도하는 랙 기어 유도부(32)와, 상기 랙 기어 유도부(32)의 일측에 상기 랙 기어 유도부(32)가 절개부(22a)를 통해 와인더 삽입부(22')의 내측에 안착되도록 안내하는 단턱부(32a)가 설치된다.
사용자는 공회전 영역인 손잡이(27')를 잡은 상태에서 와인더 삽입부(22')의 위치를 조절한 다음 상기 와인더 삽입부(22')의 측면 절개부(22a)를 통해 와인더(30)의 랙 기어 유도부(32)를 삽입한 다음 와인더(30)를 잡아당기면 랙 기어 유도부(32)와 연결된 랙 기어(33)가 회전력 발생부(20')의 피니언 기어를 회전시켜 회전축(23')과 고정부(13')를 통해 연결된 금속 휠이 회전되어 팽이가 회전되도록 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팽이는 사용자가 팽이를 회전시키기 위해 하단의 손잡이(27, 도 1 참조, 27')를 잡아야 하지만 상기 손잡이(27, 27')의 크기가 작아 손가락만으로 팽이를 파지하는 것이 불편하고, 와인더(30)를 결합하기 위해 와인더 삽입부(22')의 위치를 사용자가 설정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한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051814호(발명의 명칭: 완구용 팽이 핀셋)에서는 정지 상태의 최기에 팽이를 잡아 회전시키거나 회전중인 팽이를 잡아 원하는 장소로 위치 이동시킬 수 있는 완구용 팽이 핀셋이 제안되었다.
도 4는 종래 기술에 따른 완구용 팽이 핀셋을 나타낸 사시도로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팽이(10)의 손잡이(27) 부분을 핀셋(40)으로 파지하여 상기 핀셋(40)에 팽이(10)가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팽이(10)의 파지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에 따른 핀셋(40)은 상기 핀셋(40)에 팽이(10)를 파지하여 고정시키고, 상기 고정된 팽이(10)의 와인더 삽입부(22)가 와인더(30)의 삽입이 용이한 방향 즉 핀셋(40)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회전시킨 다음, 상기 와인더(30)를 와인더 삽입부(22)에 삽입해야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한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463679호(발명의 명칭: 팽이 홀더)에는 거치된 팽이가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팽이 홀더가 제안되었는데, 미리 설치된 안착홈에 팽이를 안착시킴으로써 팽이의 와인더 삽입부를 회전시킬 필요없이 동작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팽이 홀더는 상부가 개방된 컵 형상으로 구성되어 팽이 홀더에 안착된 팽이가 고정되지 못하여 팽이의 이동중에 팽이가 팽이 홀더로부터 쉽게 분리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팽이가 팽이 홀더로부터 분리되는 과정에서 팽이의 회전축이 팽이 홀더의 안착홈과 충돌이 발생하여 팽이의 회전력이 감쇄되는 문제점이 있다.
1. 한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051814호(발명의 명칭: 완구용 팽이 핀셋) 2. 한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463679호(발명의 명칭: 팽이 홀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사용자가 팽이 홀더를 파지하면 상기 팽이 홀더에 의해 고정되는 팽이의 위치를 자동으로 조정하고, 안착된 팽이를 견고하게 지지하는 팽이 홀더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팽이 홀더로서, 팽이의 공회전 영역을 파지(把持)하는 위치에 설치되고, 팽이의 공회전 영역과 접촉하여 상기 공회전 영역의 위치가 변위되도록 조정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팽이 홀더는 팽이가 파지되도록 말단이 두 가닥으로 갈라진 팽이 파지부; 상기 팽이 파지부에 설치되고, 상기 팽이가 안착되도록 수용홈을 형성하여 팽이의 공회전 영역을 파지(把持)하는 안착부; 및 상기 팽이 파지부 또는 안착부에 설치되어 팽이를 파지하는 과정에서 상기 팽이의 공회전 영역과 접촉하여 상기 공회전 영역의 위치가 변위되도록 조정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위치가 변위하는 팽이의 공회전 영역은 와인더와 결합하는 와인더 삽입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팽이 홀더는 와인더와 결합하여 상기 파지된 팽이에 회전력을 공급하는 와인더 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와인더 결합부는 상기 와인더가 삽입되도록 상기 안착부를 관통하여 형성하거나 또는 상기 와인더가 측면에서 삽입되도록 상기 안착부의 측면을 횡방향으로 절개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와인더 결합부는 상기 안착부의 측면으로 삽입된 와인더가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단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팽이 파지부는 집게 형상 또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양측 말단이 갈아지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회전축은 팽이 파지부가 일정 위치를 유지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안착부는 팽이의 와인더 삽입부가 안착되는 제 1 안착부; 및 상기 팽이의 손잡이가 안착되는 제 2 안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가이드부는 링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이드부는 팽이 파지부가 파지되어 오므려지면, 양측면의 일부가 상기 안착부의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팽이 파지부의 말단이 일정 범위 이상 벌어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팽이 홀더를 파지하면 상기 팽이 홀더에 의해 고정되는 팽이의 안착 위치를 자동으로 조정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팽이 홀더에 안착된 팽이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 은 종래 기술에 따른 팽이를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종래 기술에 따른 팽이의 회전력 발생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3 은 도 2에 따른 회전력 발생부의 동작 과정을 나타낸 사시도.
도 4 는 종래 기술에 따른 완구용 팽이 핀셋을 나타낸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팽이 홀더를 나타낸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팽이 홀더의 파지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팽이 홀더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팽이 홀더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팽이 홀더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팽이 홀더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팽이 홀더의 파지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팽이 홀더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팽이 홀더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팽이 홀더(100)는 사용자가 팽이 홀더를 파지하면 상기 팽이 홀더에 의해 고정되는 팽이의 안착 위치가 자동으로 조정되도록 팽이 파지부(110)와, 안착부(130)와, 가이드부(140)와, 와인더 결합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팽이 파지부(110)는 팽이(10)가 파지되도록 말단이 두 가닥으로 갈라진 제 1 파지부(110a)와 제 2 파지부(110b)로 이루어진 막대 형상의 부재로서, 상기 제 1 및 제 2 파지부(110a, 110b)가 회전축(120)과 결합할 수 있도록 힌지(111)를 구비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파지부(110a, 110b)가 회전축(120)을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팽이 파지부(110)가 회전축(120)을 중심으로 말단이 벌어지는 구성을 실시예로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단면 형상이 'U' 자인 집게 형상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회전축(120)은 팽이 파지부(110)의 말단이 일정 범위에서 회동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구성으로서, 팽이 파지부(110)의 힌지(111)를 관통하여 결합부(120a)와 체결하여 고정되며, 제 1 및 제 2 파지부(110a, 110b)가 상기 회전축(120)을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회전축(120)은 상기 제 1 및 제 2 파지부(110a, 110b)의 말단 양측이 벌어져서 일정 위치를 유지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121)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안착부(130)는 팽이 파지부(110)의 말단에 설치되고, 팽이(10)가 안착되도록 수용홈(130a)을 형성하여 상기 팽이(10)의 공회전 영역을 파지(把持)할 수 있게 하며, 제 1 안착부(131)와, 제 2 안착부(132)와, 가이드 설치부(13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팽이(10)의 공회전 영역은 피니언 기어를 형성한 회전축의 둘레에 배치된 와인더 삽입부(22, 22', 도 1 및 도 2 참조)와 손잡이(27, 27', 도 1 및 도 2 참조)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 1 안착부(131)는 안착부(130)의 상측에 설치되어 팽이(10)의 와인더 삽입부(22, 22')를 안착시켜 파지되도록 하는 구성으로서, 내부면에는 상기 와인더 삽입부(22, 22')의 외부 형상과 대응하여 수용홈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1 안착부(131)의 상면에는 평탄면을 형성하여 사용자가 별도의 조작없이 팽이(10)의 금속 휠(11, 도 1 참조)을 상기 제 1 안착부(131)의 상면에 거치시키는 동작만으로 팽이가 안착부(130)의 수용홈(130a)에 배치될 수 있게 한다.
상기 제 2 안착부(132)는 제 1 안착부(131)의 하부에 설치되어 팽이(10)의 손잡이(27, 27')를 안착시켜 파지되도록 하는 구성으로서 상기 손잡이(27, 27')의 외부 형상과 대응하여 수용홈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 설치부(133)는 제 1 안착부(131)의 내측면에 설치되어 팽이(10)의 공회전 영역과 접촉하는 가이드부(140)가 설치 및 지지되도록 가이드 삽입공(133a)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부(140)는 안착부(130)에 설치되어 팽이(10)를 파지하는 과정에서 상기 안착부(130)로 삽입되는 팽이(10)의 공회전 영역과 접촉하여 상기 공회전 영역의 위치가 상기 팽이(10)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변위되도록 조정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140)는 원호를 형성한 링 형상의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이드부(140)의 양측 말단은 안착부(130)의 가이드 설치부(133)에 삽입되도록 배치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부(140)는 팽이 파지부(110)의 말단 방향으로 원호가 형성되도록 배치되어 안착부(130)에 삽입되는 팽이(10)의 와인더 삽입부(22, 22' 도 1 및 도 2 참조)측의 외부면과 접촉함으로써, 상기 와인더 삽입부(22)가 팽이(10)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변위되도록 한다.
즉 상기 팽이(10)를 파지하기 위해 팽이 파지부(110)를 오므리면, 팽이(10)가 상기 오므림 동작에 따라 안착부(130) 내에 설치된 가이드부(140)와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때 원호가 형성된 가이드부(140)는 상기 팽이(10)의 와인더 삽입부(22, 22')측의 외부면과 접촉함으로써, 공회전이 가능하게 구성된 와인더 삽입부(22, 22')를 팽이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변위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140)는 팽이 파지부(110)가 팽이(10)를 파지하기 위해 오므려지면, 상기 가이드부(140)의 양측 말단 일부가 상기 안착부(130)에서 팽이 파지부(110)의 내측방향으로 삽입되어 상기 팽이 파지부(110)의 파지동작에 상관없이 일정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140)는 양측 말단에 플랜지(미도시)를 형성하여 안착부(130)의 가이드 설치부(133)와 결합되도록 구성함으로써, 팽이 파지부(110)의 말단이 상기 가이드부(140)의 원호 크기의 범위 이상 벌어지지 않도록 지지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가이드부(140)를 안착부(130)에 설치한 구성을 실시예로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팽이 파지부(110)에 팽이(10)의 공회전 영역과 접촉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와인더 결합부(150)는 안착부(130)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안착부(130)에 파지된 팽이(10)에 회전력을 공급하는 와인더(300)가 삽입되도록 하는 구성으로서, 상기 안착부(130)를 관통하여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안착부(130)의 일부를 횡방향으로 절개하여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과 같은 와인더 삽입부(22)를 구비한 팽이의 경우, 안착부(130)로 와인더(30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와인더 결합부(150)가 상기 안착부(130)를 관통하여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도 2와 같은 와인더 삽입부(22')를 구비한 팽이의 경우, 안착부(130)의 측면으로 와인더(30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와인더 결합부(150)가 상기 안착부(130)의 일측면에 횡방향을 따라 절개한 개구부를 형성하여 설치될 수 있다.
즉 도 2와 같은 와인더 삽입부(22')가 형성된 경우 와인더(300)는 랙 기어(310a)를 형성한 랙 기어부(310)와 와인더 손잡이부(320) 사이에 와인더 삽입홈(311)이 형성되고, 상기 와인더 삽입홈(311)이 와인더 결합부(150)를 통해 안착부(130)의 일측으로 삽입되어 와인더 삽입부(22')와 결합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와인더 결합부(150)는 상기 안착부(130)의 측면을 절개하여 개구를 형성한 와인더 결합부(150)인 경우, 상기 안착부(130)의 측면으로 삽입된 와인더(300)의 랙 기어부(310)가 사용자의 당김 동작에 따라 이동하는 동안 수평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단턱부(160)가 추가 구성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에 따른 팽이 홀더의 동작과정을 설명한다.
사용자가 팽이 홀더(100)를 파지한 상태에서 팽이(10)를 안착부(130)에 거치시킨다.
상기 안착부(130)의 상면과 팽이(10)가 거치되면, 팽이 파지부(110)를 오므려 팽이(10)가 안착부(130)에 파지되도록 한다.
이때, 안착부(130)가 오므려지는 과정에 팽이(10)의 와인더 삽입부(22, 22', 도 1 및 도 2 참조)측의 돌출된 부분이 가이드부(140)의 원호 형상과 접촉되고, 상기 팽이 파지부(110)에 의한 오므림 동작을 통해 상기 와인더 삽입부(22, 22')의 돌출된 부분이 상기 가이드부(140)의 원호를 따라 팽이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변위한다.
상기 가이드부(140)에 의한 와인더 삽입부(22, 22')의 회전 변위를 통해 팽이 홀더(100)에 파지되는 팽이(10)가 별도의 조정 동작없이, 와인더 삽입부(22, 22')의 배치방향을 자동으로 조정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팽이 홀더를 파지하면 팽이 홀더에 의해 고정되는 팽이의 안착 위치를 자동으로 조정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으며, 상술된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해석은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100 : 팽이 홀더 110 : 팽이 파지부
110a : 제 1 파지부 110b : 제 2 파지부
111 : 힌지 120 : 회전축
121 : 스프링 130 : 안착부
130a : 수용홈 131 : 제 1 안착부
132 : 제 2 안착부 133 : 가이드 설치부
133a : 가이드 삽입공 140 : 가이드부
150 : 와인더 삽입부 160 : 단턱부
300 : 와인더 310 : 랙 기어부
310a : 랙 기어 320 : 와인더 손잡이부

Claims (12)

  1. 팽이(10)의 공회전 영역을 파지(把持)하는 위치에 설치되고, 팽이(10)의 공회전 영역과 접촉하여 상기 공회전 영역의 위치가 변위되도록 조정하는 가이드부(140)를 포함하는 팽이 홀더.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팽이 홀더는 팽이(10)가 파지되도록 말단이 두 가닥으로 갈라진 팽이 파지부(110);
    상기 팽이 파지부(110)에 설치되고, 상기 팽이(10)가 안착되도록 수용홈(130a)을 형성하여 팽이(10)의 공회전 영역을 파지(把持)하는 안착부(130); 및
    상기 팽이 파지부(110) 또는 안착부(130)에 설치되어 팽이(10)를 파지하는 과정에서 상기 팽이(10)의 공회전 영역과 접촉하여 상기 공회전 영역의 위치가 변위되도록 조정하는 가이드부(140)를 포함하는 팽이 홀더.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가 변위하는 팽이(10)의 공회전 영역은 와인더(300)와 결합하는 와인더 삽입부(2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이 홀더.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팽이 홀더는 와인더(300)와 결합하여 상기 파지된 팽이(10)에 회전력을 공급하는 와인더 결합부(1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이 홀더.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인더 결합부(150)는 상기 와인더(300)가 삽입되도록 상기 안착부(130)를 관통하여 형성하거나 또는 상기 와인더(300)가 측면에서 삽입되도록 상기 안착부(130)의 측면을 횡방향으로 절개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이 홀더.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인더 결합부(150)는 상기 안착부(130)의 측면으로 삽입된 와인더(300)가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단턱부(1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이 홀더.
  7. 제 2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팽이 파지부(110)는 집게 형상 또는 회전축(120)을 중심으로 양측 말단이 갈아지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이 홀더.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120)은 팽이 파지부(110)가 일정 위치를 유지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121)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이 홀더.
  9. 제 2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130)는 팽이(10)의 와인더 삽입부(22)가 안착되는 제 1 안착부(131); 및
    상기 팽이(10)의 손잡이(27)가 안착되는 제 2 안착부(13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이 홀더.
  10. 제 2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140)는 링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이 홀더.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140)는 팽이 파지부(110)가 파지되어 오므려지면, 양측면의 일부가 상기 안착부(130)의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이 홀더.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140)는 상기 팽이 파지부(110)의 말단이 일정 범위 이상 벌어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이 홀더.
KR1020150107848A 2015-07-30 2015-07-30 팽이 홀더 KR1018153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7848A KR101815350B1 (ko) 2015-07-30 2015-07-30 팽이 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7848A KR101815350B1 (ko) 2015-07-30 2015-07-30 팽이 홀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4452A true KR20170014452A (ko) 2017-02-08
KR101815350B1 KR101815350B1 (ko) 2018-01-08

Family

ID=581558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7848A KR101815350B1 (ko) 2015-07-30 2015-07-30 팽이 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535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1814B1 (ko) 2009-06-22 2011-07-25 최신규 완구용 팽이 핀셋
KR101463679B1 (ko) 2013-01-18 2014-11-19 최신규 팽이 홀더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1852B1 (ko) * 2009-06-22 2011-07-25 최신규 완구용 팽이를 이용한 포터블 어태커
KR101400979B1 (ko) * 2013-03-22 2014-05-29 최신규 팽이 타격 수단을 갖는 팽이 집게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1814B1 (ko) 2009-06-22 2011-07-25 최신규 완구용 팽이 핀셋
KR101463679B1 (ko) 2013-01-18 2014-11-19 최신규 팽이 홀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5350B1 (ko) 2018-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91203A (en) Anastomosis cuff manipulator tool
WO2010061867A1 (ja) 医療用把持装置
KR101424939B1 (ko) 암레스트용 힌지장치
JP5722514B1 (ja) 内視鏡処置具
JP5326067B2 (ja) 処置具
KR20020020481A (ko) 창문 개폐장치용 핸들구조
CN110180139B (zh) 握力器
FR2956603A1 (fr) Pince de verrouillage
KR19980064339A (ko) 풀러 장치
US20160345995A1 (en) Treatment device
EP3450070A1 (en) Handheld pipe cutter comprising a securer and a method of cutting a pipe
KR20170008011A (ko) 차량용 콘솔 암레스트
US20050264019A1 (en) Electric tweezers
TW200822996A (en) Sawing machine
JP2016220528A (ja) 剥離プライヤ
WO2007142601A1 (en) Surgical tool
KR101815350B1 (ko) 팽이 홀더
US7913394B2 (en) Cable sheath splitter
JP2006341361A (ja) 把持装置
JP6831591B2 (ja) 切断工具
JP3212844U (ja) 折り畳み鎌
KR101463679B1 (ko) 팽이 홀더
JP5405645B1 (ja) 補助グリップ及びそれを備えた共用操作棒
JP3213208U (ja) 折り畳み鎌
JP5461675B1 (ja) 間接活線工事用クリッ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