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1814B1 - 완구용 팽이 핀셋 - Google Patents

완구용 팽이 핀셋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1814B1
KR101051814B1 KR1020090055463A KR20090055463A KR101051814B1 KR 101051814 B1 KR101051814 B1 KR 101051814B1 KR 1020090055463 A KR1020090055463 A KR 1020090055463A KR 20090055463 A KR20090055463 A KR 20090055463A KR 101051814 B1 KR101051814 B1 KR 1010518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weezers
pair
toy
housing
spin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54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37172A (ko
Inventor
최신규
Original Assignee
최신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신규 filed Critical 최신규
Priority to KR10200900554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1814B1/ko
Publication of KR201001371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71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18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18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29/00Drive mechanisms for toys in general
    • A63H29/24Details or accessories for drive mechanisms, e.g. means for winding-up or starting toy engin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00Tops
    • A63H1/02Tops with detachable winding devices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완구용 팽이 핀셋에 관한 것으로서, 팽이의 공회전 영역을 파지하는 한 쌍의 파지부와, 상기 공회전 영역을 잡아 튕겨 상대 팽이를 향해 어태킹(attacking)시키는 한 쌍의 어태킹부를 구비하며, 상호간 접근 또는 이격 가능하도록 집게 형상을 갖는 핀셋 본체; 및 상기 핀셋 본체의 외부에 부분적으로 결합되는 핀셋 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정지 상태의 초기에 팽이를 잡아 회전시키거나 회전 중인 팽이를 잡아 원하는 장소로 위치 이동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회전 중인 팽이를 잡아 튕겨내면서 상대 팽이에 대해 어태킹시킬 수 있는 등 더욱 흥미롭고 다채로운 팽이치기 놀이를 수행할 수 있다.
팽이, 완구, 장난감, 집게, 핀셋

Description

완구용 팽이 핀셋{A toy top tweezers}
본 발명은, 완구용 팽이 핀셋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정지 상태의 초기에 팽이를 잡아 회전시키거나 회전 중인 팽이를 잡아 원하는 장소로 위치 이동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회전 중인 팽이를 잡아 튕겨내면서 상대 팽이에 대해 어태킹시킬 수 있는 등 더욱 흥미롭고 다채로운 팽이치기 놀이를 수행할 수 있는 완구용 팽이 핀셋에 관한 것이다.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대칭구조의 원추형 형태를 갖는 팽이는, 외부로부터 회전력을 공급받아 회전력이 소멸되기까지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놀이기구를 말한다.
팽이가 쓰러지지 않고 회전하는 이유는 회전의 관성을 이용하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각운동량 보존의 법칙에 의해 팽이는 쓰러지지 않고 회전된다.
각운동이란 물체가 한 직선의 둘레로 언제나 같은 거리를 지속하면서 회전하는 운동이며, 어떤 점에 대한 운동량의 모멘트 곧 힘의 능률이라고 풀이된다. 즉, 회전하고 있는 물체는 밖에서 힘을 가하지 않으면 관성으로 공간 안에서 언제까지나 같은 회전운동을 계속하려 하기 때문에 외부로부터 힘이 가해지지 않는 한 팽이 의 회전속도는 변하지 않고 회전축의 방향도 언제나 같은 방향을 향하고 있다는 것이다.
팽이의 회전이 차츰 느려지다가 멈추는 것은 공기의 저항이나 바닥과 회전축의 마찰이 외부 힘으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종래의 팽이에 회전력을 가하는 방식은 실을 원추형의 몸체에 감아 던지는 방식이거나 랙과 피니언구조를 응용해서 동력을 제공하는 방식이 위주였다. 하지만, 근자에 들어서는 팽이에 와인더를 끼우고, 와인더를 당김에 따라 팽이를 회전시키는 방식이 등장하기도 하였다.
한편, 널리 주지된 바와 같이, 전통적인 팽이나 최근의 합성수지로 된 사출 팽이는, 회전 후 사용자가 물리적인 힘을 주어 원하는 곳으로 이동시키거나 회전 중인 팽이를 잡아 튕겨내면서 상대 팽이에 대해 어태킹(attacking)시키는 등 다양한 놀이 방법의 수행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팽이치기 놀이에 있어 다소 흥미가 감소되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정지 상태의 초기에 팽이를 잡아 회전시키거나 회전 중인 팽이를 잡아 원하는 장소로 위치 이동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회전 중인 팽이를 잡아 튕겨내면서 상대 팽이에 대해 어태킹시킬 수 있는 등 더욱 흥미롭고 다채로운 팽이치기 놀이를 수행할 수 있는 완구용 팽이 핀셋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팽이의 공회전 영역을 파지하는 한 쌍의 파지부와, 상기 공회전 영역을 잡아 튕겨 상대 팽이를 향해 어태킹(attacking)시키는 한 쌍의 어태킹부를 구비하며, 상호간 접근 또는 이격 가능하도록 집게 형상을 갖는 핀셋 본체; 및 상기 핀셋 본체의 외부에 부분적으로 결합되는 핀셋 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구용 팽이 핀셋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파지부는 상기 핀셋 본체의 단부 영역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의 내면에서 상호 대칭되는 아크(arc) 형태의 홈일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파지부의 내면에는 다수의 파지용 돌기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파지부가 위치된 상기 핀셋 본체의 외면에 형성되는 보강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어태킹부는, 상기 핀셋 본체의 단부에서 상호간 벌어지는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한 쌍의 수직구간; 및 상기 한 쌍의 수직구간의 입구가 벌어지도록 상기 수직구간의 단부에서 상호간 반대 방향으로 절곡되는 한 쌍의 절곡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핀셋 본체의 내면 또는 외면에 형성되어 상기 핀셋 하우징의 조립 위치를 형성하는 다수의 조립 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핀셋 하우징은 상기 핀셋 본체의 양팔 영역에서 각각 상하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다수의 단위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파지부에 인접된 상기 핀셋 하우징의 내면에 형성되어 상기 팽이의 공회전 영역이 상기 한 쌍의 파지부를 지나 인입되는 것을 저지하고, 상기 핀 셋 본체의 수평 동작을 가이드하는 인입 저지 스토퍼용 가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핀셋 하우징의 외면에 형성되어 상기 보강대를 보호하는 보강대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핀셋 하우징의 외면에 형성되어 회전 중인 팽이가 사용자의 손에 부딪히는 것을 저지시키는 손 보호용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핀셋 하우징의 외면에서 내측으로 만곡되어 그립감을 배가시키는 그립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핀셋 하우징의 후단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손 위치를 가이드하는 손 위치 가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핀셋 본체와 상기 핀셋 하우징은 플라스틱 사출에 의해 제작될 수 있다.
상기 팽이의 공회전 영역은 회전 가능한 상기 팽이에 대해 공회전 가능한 핸들 링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정지 상태의 초기에 팽이를 잡아 회전시키거나 회전 중인 팽이를 잡아 원하는 장소로 위치 이동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회전 중인 팽이를 잡아 튕겨내면서 상대 팽이에 대해 어태킹시킬 수 있는 등 더욱 흥미롭고 다채로운 팽이치기 놀이를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완구용 팽이 핀셋이 적용되는 완구용 팽이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완구용 팽이의 단면도이며, 도 3 및 도 4는 각각 도 1에 도시된 완구용 팽이의 정면 및 배면 분해 사시도들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완구용 팽이 핀셋(200)이 적용되는 완구용 팽이(100)의 구조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팽이(100)는, 회전 가능한 블레이드(110)와, 블레이드(110)에 결합되며 블레이드(110)의 회전을 위한 동력을 발생시키는 동력발생부(120)와, 인접된 팽이(미도시) 또는 다른 물체와의 충돌을 위해 블레이드(1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되 블레이드(110)에 대해 공회전 가능한 어택 링(140, attack ring)을 구비한다.
블레이드(110)는 팽이(100)의 부분적인 외관을 형성하는 부분이다. 이러한 블레이드(110)는 상부를 형성하는 블레이드 탑(111)과, 블레이드 탑(111)의 하부 영역에서 블레이드 탑(111)과 상호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블레이드 버텀(112)으로 이루어진다.
블레이드 탑(111)과 블레이드 버텀(112)의 결합 방식은 압입식이 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따라서 블레이드 탑(111)과 블레이드 버텀(112)의 결합 방식은 스크루 방식이나 후크 방식으로 변경될 수도 있다.
블레이드 탑(111)의 상면에는 하방으로 함몰된 함몰부(111a)가 형성되는데, 이 함몰부(111a)에는 디자인 커버(115)가 약간 수용되는 형태로 결합된다.
디자인 커버(115)에는 후크(115a)가 형성되어 블레이드 탑(111)의 상면에 형 성된 후크공(111b) 영역에 결합된다. 디자인 커버(115)의 상면은 팽이(100)에 미적 아름다움을 부여하는 패턴(115b)이 형성된다. 패턴(115b)의 형태는 도시된 것을 떠나 다양할 수 있다.
이러한 디자인 커버(115)의 배면에는 다수의 자석수용부(116)가 형성되며, 자석수용부(116)에는 제1 자석(117)이 수용 결합된다.
이처럼 디자인 커버(115)에 제1 자석(117)을 결합시키면, 제1 자석(117)의 자력 극성을 이용한 놀이가 가능해진다. 즉 제1 자석(117)을 디자인 커버(115)에 수용시킨 후에 본 실시예에 따른 팽이(100)를 조립하고 이어 팽이(100)를 회전시킨 다음, 사용자가 지니고 있는 다른 자석을 디자인 커버(115)에 배치하면 같은 극성일 경우 밀어내는 힘을 이용 팽이(100)를 원하는 위치로 밀어낼 수 있고, 다른 극성일 경우 사용자가 지니고 있는 자석 쪽으로 당길 수 있다.
이러한 제1 자석(117)을 이용한 놀이 방식은 직접적인 마찰에 의해 방향이 바뀌는 방식보다 팽이(100)의 회전력을 감소시키지 않고 지속적인 게임을 할 수 있다는 점에서 효과적일 수 있다.
동력발생부(120)는 블레이드(110)의 회전을 위한 동력을 발생시키는 부분이며, 구동 시 블레이드(110)와 함께 회전된다.
이러한 동력발생부(120)는, 블레이드(110)에 결합되는 샤프트 부시(121)와, 샤프트 부시(121)에 결합되는 피니언(122)과, 피니언(122)에 결합되는 샤프트(123)와, 피니언(122) 및 샤프트(123)를 외측에서 감싸도록 결합되며 일측에 피니언(122)을 회전시키기 위해 피니언(122)과 기어 맞물림되는 랙형 와인더(W, 도 7 참조)가 출입되는 와이어 출입구(124a)가 형성되는 한 쌍의 기어하우징(124)과, 하단부에 에어팩스(125)가 결합되는 에어팩스 홀더(126)와, 한 쌍의 기어하우징(124)과 에어팩스 홀더(126)를 연결하는 핸들(127)을 구비한다.
샤프트 부시(121)가 블레이드(110)에 결합될 때 블레이드(110)에 대해 샤프트 부시(121)가 헛도는 것이 방지되도록 샤프트 부시(121)의 상부는 비원형 단면 구조를 가지며, 이에 대응하는 비원형 홀(112a)이 블레이드 버텀(112)에 형성된다.
피니언(122)은 랙형 와인더(W)에 의해 회전되면서 샤프트(123)를 회전시키는 매개체로서, 샤프트(123)의 원활한 회전을 위해 샤프트(123)의 양측에는 각각 베어링(128a,128b)이 결합된다.
랙형 와인더(W)가 출입되는 와이어 출입구(124a)는 동력발생부(120)에 의한 팽이(100)의 회전 방향을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서로 다른 위치에 다수개 마련된다. 즉 피니언(122) 및 샤프트(123)를 외측에서 감싸는 기어하우징(124)은 한 쌍으로 마련되고, 각 기어하우징(124)에는 2개씩의 와이어 출입구(124a)가 마련된다.
따라서 한 쌍의 기어하우징(124)이 조립되면, 총 4개의 와이어 출입구(124a)가 형성된다. 와이어 출입구(124a)들은 사용자가 피니언(122)을 돌릴 수 있는 기구물인 랙형 와인더(W)를 원하는 회전 방향의 와이어 출입구(124a)에 삽입 후 당겨 팽이(100)의 회전 방향을 선택하는 장소로 이용된다.
에어팩스(125)는 그 단부가 지면에 접촉되어 회전 중심을 담당하는 부분이다. 본 실시예의 경우, 에어팩스(125)는 절두원추형의 공격형 에어팩스로 적용되고 있으며, 에어팩스(125)의 축(125a)이 에어팩스 홀더(126)의 축공(126a)에 압입된다. 하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므로 에어팩스(125)는 반구형의 수비형 에어팩스일 수도 있다.
핸들(127)은 한 쌍의 기어하우징(124)과 에어팩스 홀더(126)를 연결하는 매개체인데, 이러한 핸들(127)의 외측에는 핸들(127)에 대해 공회전 가능한 다수의 핸들 링(129)이 더 결합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핸들 링(129)은 핸들(127)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부 및 하부에 각각 하나씩 결합되고 있다.
물론, 핸들 링(129)이 핸들(127)에 꽉 끼어 결합되면, 핸들 링(129)과 핸들(127)이 동회전할 수 있지만, 만약 핸들 링(129)과 핸들(127) 사이에 일정한 조립 공차를 부여하면 핸들 링(129)은 핸들(127)에 대해 공회전될 수 있다. 따라서 팽이(100)가 회전되는 경우에 핸들 링(129)을 잡더라도 팽이(100)는 계속 회전될 수 있다. 이처럼 핸들 링(129)을 더 마련할 경우, 회전되는 팽이(100)를 잡고 그 위치를 이동시키는 데 보다 유리할 수 있다.
한편, 종래의 팽이(미도시)에서 본 실시예의 어택 링(140) 역할을 하는 기구물은 팽이에 일체로 결합되어 있었으나 본 실시예의 어택 링(140)은 블레이드 탑(111)과 블레이드 버텀(112) 사이에 일정한 조립 공차를 두고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블레이드(110)가 회전되더라도 어택 링(140)은 동회전되지 않게 된다.
이러한 어택 링(140)은 상대 팽이를 공격하면서 팽이치기를 하는 경우에 블레이드 탑(111)과 블레이드 버텀(112) 사이에 일정한 조립 공차를 두고 결합된다.
이처럼 어택 링(140)을 일체형이 아닌 분리형으로 제작하고, 필요에 따라 블 레이드 탑(111)과 블레이드 버텀(112) 사이의 조립 공간 사이에 일정한 조립 공차를 두고 조립하게 되면, 어택 링(140)은 블레이드(110)와는 별개로 자유 회전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팽이(100)가 회전 중에 인접된 팽이 또는 다른 물체와의 충돌 시 어택 링(140)은 팽이(100)의 회전 방향과는 반대로 회전될 수 있기 때문에 충돌 시 야기될 수 있는 파편 발생이나 위험성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어택 링(140)이 인접된 팽이와 충돌되더라도 팽이끼리 그 충격을 흡수할 수 있기 때문에 회전이 소멸되지 않아 놀이의 지속 시간을 늘릴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어택 링(140)의 외면에는 다수의 돌출부(141)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다수의 돌출부(141)는 어택 링(140)의 원주 방향을 따라 상호간 등간격을 가지고 배열된다. 하지만, 반드시 도면과 같을 필요는 없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팽이(100)는 블레이드 탑(111)과 블레이드 버텀(112) 사이에 개재되는 웨이트 디스크(150)를 더 구비한다. 웨이트 디스크(150)는 다수의 홈(150a)이 반경 방향 내측을 향해 형성되는 공격형 웨이트 디스크일 수도 있지만, 다수의 홈(150a)이 반경 방향 외측을 향해 형성되는 수비형 웨이트 디스크일 수도 있다. 어떠한 형태일지라도 필요 시 블레이드 탑(111)과 블레이드 버텀(112)을 분리하고 그 사이의 적당한 위치에 웨이트 디스크(150)를 넣어 사용하면 된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완구용 팽이 핀셋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완구용 팽이 핀셋을 이용하여 완구용 팽이를 잡아 회전시키는 초기 상태 사용 예시도이고, 도 8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완구용 팽이 핀셋을 이용하여 회전 중인 완구용 팽이를 잡은 상태의 예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완구용 팽이 핀셋을 이용하여 회전 중인 완구용 팽이를 튕겨 내기 위한 예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완구용 팽이 핀셋(200)은, 전술한 도 1 내지 도 4의 팽이(100)를 정지 상태의 초기에서 잡아 회전시키거나(도 7 참조), 회전 중인 팽이(100)를 잡아 원하는 장소로 위치 이동시키거나(도 8 참조), 회전 중인 팽이(100)를 잡아 튕겨내면서 상대 팽이(미도시)에 대해 어태킹시키기(도 9 참조) 위해 보조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완구용 팽이 핀셋(200)은, 크게 핀셋 본체(210)와, 핀셋 본체(210)의 외부에 부분적으로 결합되는 핀셋 하우징(250)을 구비한다.
핀셋 본체(210)와 핀셋 하우징(250)은 플라스틱 사출에 의해 제작된다. 이처럼 핀셋 본체(210)와 핀셋 하우징(250)이 플라스틱 사출에 의해 제작되면, 스틸로 제작된 일반적인 핀셋(미도시)에서는 표현할 수 없는 성능과 기능을 각 위치별로 부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생산 과정에서 후가공 부분이 없어지기 때문에 원가절감에도 유리하게 된다.
핀셋 본체(210)는 상호간 접근 또는 이격 가능하도록 집게 형상을 갖는 것으로서, 팽이(100)의 공회전 영역을 파지하는 한 쌍의 파지부(220)와, 공회전 영역을 잡아 튕겨 상대 팽이를 향해 어태킹(attacking)시키는 한 쌍의 어태킹부(230)를 구비한다.
여기서, 팽이(100)의 공회전 영역이란 도 1 내지 도 4에서 설명된 핸들 링(129)을 가리킬 수 있다. 하지만,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므로 공회전 영역은 핸들 링(129) 외의 다른 부분일 수도 있을 것이다.
핀셋 본체(210)의 후단부(210a) 영역은 완구용 팽이 핀셋(200)의 유동성을 가장 편하게 활용할 수 있는 살두께(2.5mm)와 φ값(φ3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핀셋 본체(210)의 양팔(210b) 영역은 큰 R값(평균 R 300)과 살두께(2.5mm)를 가질 수 있어 팽이(100)를 잡거나 튕겨 낼 때 사용자가 텐션을 조종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의 수치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한 쌍의 파지부(220)는 도 7 및 도 8과 같이, 팽이(100)를 정지 상태의 초기에서 잡아 회전시키거나(도 7 참조), 회전 중인 팽이(100)를 잡아 원하는 장소로 위치 이동시키기(도 8 참조) 위해 팽이(100)의 핸들 링(129)을 파지하는 부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파지부(220)는 핀셋 본체(210)의 단부 영역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의 내면에서 상호 대칭되는, R값(R6.25)을 갖는 아크(arc) 형태의 홈으로 마련된다. 따라서 한 쌍의 파지부(220)가 상호 접근될 때는 마치 원 형상을 이루면서 팽이(100)의 핸들 링(129)을 파지할 수 있다.
앞서도 기술한 바와 같이, 팽이(100)의 핸들 링(129)을 파지하더라도 팽이(100)의 회전에는 아무런 지장이 없다.
한 쌍의 파지부(220)의 내면에는 다수의 파지용 돌기(221)가 더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파지용 돌기(221)는 한 쌍의 파지부(220) 각각에 5개씩 형성된다. 파지용 돌기(221)들은 잡을 수 있는 팽이(100)의 핸들 링(129)의 φ값이 틀려지더라도 단단하게 움켜잡을 수 있고, 회전 중인 팽이(100)의 핸들 링(129)을 잡더라도 팽이(100)의 RPM에 큰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기본 R값의 끝 지점 앞 부위의 R값과 어태킹부(230)의 각도(10°)는 회전 중인 팽이(100)를 잘 잡을 수 있는 구조로 설계된다. 하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의 수치에 제한될 수는 없다.
한 쌍의 파지부(220)가 위치된 핀셋 본체(210)의 외면에는 한 쌍의 보강대(211)가 형성된다. 보강대(211)는 핀셋 본체(210)의 양팔(210b)을 꽉 움켜잡을 때 한 쌍의 파지부(220)에 전달되는 힘이 바깥쪽으로 빠져 나가는 것을 보완해주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핀셋 본체(210)의 내면 또는 외면에는 다수의 조립 보스(212)가 형성된다. 조립 보스(212)들은 핀셋 하우징(250)을 조립할 때 정확한 위치로 조립되면서 조립이 간편해지도록 하는 보조 수단으로 활용된다.
한 쌍의 어태킹부(230)는 핀셋 본체(210)의 단부에서 상호간 벌어지는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한 쌍의 수직구간(231)과, 한 쌍의 수직구간(231)의 입구가 벌어지도록 수직구간(231)의 단부에서 상호간 반대 방향으로 절곡되는 한 쌍의 절곡구간(232)을 구비한다.
이러한 한 쌍의 어태킹부(230)는 도 9와 같이 회전 중인 팽이(100)를 잡아 튕겨내면서 상대 팽이(미도시)에 대해 어태킹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되는데, 팽이(100) 놀이를 할 시에 가장 적당한 힘을 낼 수 있는 구조로 설계된다. 즉 한 쌍의 수직구간(231)이 서로 마주보는 각도는 10°일 수 있고, 한 쌍의 수직구간(231)들의 살두께는 2mm일 수 있다. 그리고 한 쌍의 절곡구간(232)은 팽이(100)가 입구 쪽으로 들어올 때 충돌 및 걸림을 없게 하기 위한 절곡(꺾임) 각도(150°)를 갖는다. 물론, 이들의 수치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될 수는 없다.
핀셋 하우징(250)은, 핀셋 본체(210)의 양팔(210b) 영역에서 각각 상하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다수의 단위하우징(250a~250d)으로 이루어진다. 다시 말해, 총 4개의 단위하우징(250a~250d)이 핀셋 본체(210)의 양팔(210b) 영역에 각각 상하로 조립됨에 따라 하나의 핀셋 하우징(250)을 이루고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조립 방법은 누구나 쉽게 조립할 수 있는 압입 방식의 구조로 적용되고 있다. 따라서 볼트 등이 사용되지 않으므로 조립에 관한 원가를 절감할 수도 있을 뿐만 아니라 파손의 우려를 최소화시킬 수 있어 사후 관리적 원가 절감도 가능해지는 이점이 있다.
핀셋 하우징(250)의 내면에는 한 쌍의 파지부(220)에 인접된 위치에 인입 저지 스토퍼용 가이드(251)가 형성된다. 인입 저지 스토퍼용 가이드(251)는 한 쌍의 파지부(220)로 인입되는 팽이(100)가 과도하게 안쪽으로 오버해서 인입되는 것을 저지하면서 핀셋 본체(210)의 양팔(210b)을 잡아 움켜쥘 때 본 실시예에 따른 완구용 팽이 핀셋(200)이 뒤틀리지 않고 수평으로 이동하게 하는 가이드라인 역할을 한다.
핀셋 하우징(250)의 외면에는 보강대(211)를 보호하는 보강대 커버(252)가 마련된다. 보강대 커버(252)는 보강대(211)의 기능을 보강해주는 동시에 팽이(100)를 잡지 못해 팽이(100)가 옆으로 이탈됐을 때 사용자의 손에 부딪치지 않도록 바깥쪽으로 튕겨내는 역할을 겸한다.
핀셋 하우징(250)의 외면에는 손 보호용 커버(253)가 마련된다. 손 보호용 커버(253)는 회전 중인 팽이(100)가 사용자의 손에 부딪치지 않도록 해주는 커버의 역할을 한다.
그리고 손 보호용 커버(253)에 인접된 핀셋 하우징(250)의 외면에는 그립부(254)가 더 형성된다. 그립부(254)는 사용자가 본 실시예에 따른 완구용 팽이 핀셋(200)을 잡을 때 핀셋(200)이 최고의 성능을 발휘할 수 있는 위치로 정확한 위치를 잡을 수 있게 유도함과 동시에 편안한 그립감을 주는 역할을 한다.
마지막으로 핀셋 하우징(250)의 후단에는 사용자의 손이 핀셋(200)의 뒤로 이탈되지 못하도록 손 걸림 역할을 하면서 손 위치를 가이드하는 손 위치 가이드(255)가 마련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른 완구용 팽이 핀셋(200)에 의하면, 우선 도 7과 같이 팽이(100)를 정지 상태의 초기에서 한 쌍의 파지부(220)를 이용하여 팽이(100)의 핸들 링(129)을 파지한 상태에서 랙형 와인더(W)를 와이어 출입구(124a)에 넣고 당겨 피니언(122)을 회전시킴으로써 팽이(100)를 회전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회전 중인 팽이(100)를 잡아 원하는 장소로 위치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도 8과 같이 한 쌍의 파지부(220)를 이용하여 팽이(100)의 핸들 링(129)을 파지한 상태에서 수행하면 된다. 이 경우, 한 쌍의 파지부(220)가 핸들 링(129)을 파지하였다 하더라도 팽이(100)의 회전이 정지되지는 않는다.
다음으로, 회전 중인 팽이(100)를 잡아 튕겨내면서 상대 팽이(미도시)에 대 해 어태킹시키기 위해서는 도 9와 같이, 한 쌍의 어태킹부(230)를 이용하여 팽이(100)의 핸들 링(129)을 파지한 상태에서 텐션을 이용하여 상대 팽이로 밀어 가압하면 된다. 그러면 한 쌍의 어태킹부(230)의 수직 구간(231)에 파지된 팽이(100)가 절곡 구간(232)을 통해 빠져 나가면서 상대 팽이를 어태킹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팽이(100)를 정지 상태의 초기에서 잡아 회전시키거나(도 7 참조), 회전 중인 팽이(100)를 잡아 원하는 장소로 위치 이동시키거나(도 8 참조), 회전 중인 팽이(100)를 잡아 튕겨내면서 상대 팽이(미도시)에 대해 어태킹시킬 수 있는(도 9 참조) 등 더욱 흥미롭고 다채로운 팽이치기 놀이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완구용 팽이 핀셋이 적용되는 완구용 팽이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완구용 팽이의 단면도,
도 3 및 도 4는 각각 도 1에 도시된 완구용 팽이의 정면 및 배면 분해 사시도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완구용 팽이 핀셋의 사시도,
도 6은 도 5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완구용 팽이 핀셋을 이용하여 완구용 팽이를 잡아 회전시키는 초기 상태 사용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완구용 팽이 핀셋을 이용하여 회전 중인 완구용 팽이를 잡은 상태의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완구용 팽이 핀셋을 이용하여 회전 중인 완구용 팽이를 튕겨 내기 위한 예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완구용 팽이 110 : 블레이드
111 : 블레이드 탑 112 : 블레이드 버텀
115 : 디자인 커버 117 : 제1 자석
120 : 동력발생부 121 : 샤프트 부시
122 : 피니언 123 : 샤프트
124 : 기어하우징 125 : 에어팩스
126 : 에어팩스 홀더 127 : 핸들
128a,128b : 베어링 129 : 핸들 링
140 : 어택 링 150 : 웨이트 디스크
200 : 완구용 팽이 핀셋 210 : 핀셋 본체
211 : 보강대 212 : 조립 보스
220 : 파지부 230 : 어태킹부
250 : 핀셋 하우징 251 : 인입 저지 스토퍼용 가이드
252 : 보강대 커버 253 : 손 보호용 커버
254 : 그립부 255 : 손 위치 가이드

Claims (14)

  1. 팽이의 공회전 영역을 파지하는 한 쌍의 파지부와, 상기 공회전 영역을 잡아 튕겨 상대 팽이를 향해 어태킹(attacking)시키는 한 쌍의 어태킹부를 구비하며, 상호간 접근 또는 이격 가능하도록 집게 형상을 갖는 핀셋 본체; 및
    상기 핀셋 본체의 외부에 부분적으로 결합되는 핀셋 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구용 팽이 핀셋.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파지부는 상기 핀셋 본체의 단부 영역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의 내면에서 상호 대칭되는 아크(arc) 형태의 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구용 팽이 핀셋.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파지부의 내면에는 다수의 파지용 돌기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구용 팽이 핀셋.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파지부가 위치된 상기 핀셋 본체의 외면에 형성되는 보강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구용 팽이 핀셋.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어태킹부는,
    상기 핀셋 본체의 단부에서 상호간 벌어지는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한 쌍의 수직구간; 및
    상기 한 쌍의 수직구간의 입구가 벌어지도록 상기 수직구간의 단부에서 상호간 반대 방향으로 절곡되는 한 쌍의 절곡구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구용 팽이 핀셋.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핀셋 본체의 내면 또는 외면에 형성되어 상기 핀셋 하우징의 조립 위치를 형성하는 다수의 조립 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구용 팽이 핀셋.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핀셋 하우징은 상기 핀셋 본체의 양팔 영역에서 각각 상하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다수의 단위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구용 팽이 핀셋.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파지부에 인접된 상기 핀셋 하우징의 내면에 형성되어 상기 팽이의 공회전 영역이 상기 한 쌍의 파지부를 지나 인입되는 것을 저지하고, 상기 핀셋 본체의 수평 동작을 가이드하는 인입 저지 스토퍼용 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구용 팽이 핀셋.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핀셋 하우징의 외면에 형성되어 상기 보강대를 보호하는 보강대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구용 팽이 핀셋.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핀셋 하우징의 외면에 형성되어 회전 중인 팽이가 사용자의 손에 부딪히는 것을 저지시키는 손 보호용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구용 팽이 핀셋.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핀셋 하우징의 외면에서 내측으로 만곡되어 그립감을 배가시키는 그립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구용 팽이 핀셋.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핀셋 하우징의 후단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손 위치를 가이드하는 손 위 치 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구용 팽이 핀셋.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핀셋 본체와 상기 핀셋 하우징은 플라스틱 사출에 의해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구용 팽이 핀셋.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팽이의 공회전 영역은 회전 가능한 상기 팽이에 대해 공회전 가능한 핸들 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구용 팽이 핀셋.
KR1020090055463A 2009-06-22 2009-06-22 완구용 팽이 핀셋 KR1010518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5463A KR101051814B1 (ko) 2009-06-22 2009-06-22 완구용 팽이 핀셋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5463A KR101051814B1 (ko) 2009-06-22 2009-06-22 완구용 팽이 핀셋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7172A KR20100137172A (ko) 2010-12-30
KR101051814B1 true KR101051814B1 (ko) 2011-07-25

Family

ID=435109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5463A KR101051814B1 (ko) 2009-06-22 2009-06-22 완구용 팽이 핀셋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181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56534A (zh) * 2015-07-31 2015-11-18 广州灵动创想文化科技有限公司 一种陀螺加速器
CN105169709A (zh) * 2015-07-31 2015-12-23 广州灵动创想文化科技有限公司 一种陀螺玩具组件
KR20170014452A (ko) 2015-07-30 2017-02-08 최종일 팽이 홀더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0979B1 (ko) * 2013-03-22 2014-05-29 최신규 팽이 타격 수단을 갖는 팽이 집게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91466U (ko) 1986-12-04 1988-06-13
JPH0392120U (ko) * 1990-01-11 1991-09-19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91466U (ko) 1986-12-04 1988-06-13
JPH0392120U (ko) * 1990-01-11 1991-09-19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4452A (ko) 2015-07-30 2017-02-08 최종일 팽이 홀더
CN105056534A (zh) * 2015-07-31 2015-11-18 广州灵动创想文化科技有限公司 一种陀螺加速器
CN105169709A (zh) * 2015-07-31 2015-12-23 广州灵动创想文化科技有限公司 一种陀螺玩具组件
CN105169709B (zh) * 2015-07-31 2017-07-25 广州灵动创想文化科技有限公司 一种陀螺玩具组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7172A (ko) 2010-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1814B1 (ko) 완구용 팽이 핀셋
KR101051847B1 (ko) 완구용 팽이
SE531074C2 (sv) Blad till en klubba, klubba samt kit
US10569149B2 (en) Stick handling training device and method
US20110098143A1 (en) Shakehand type pingpong racket with supporting projection part
WO2009137913A1 (en) Shuttlecock launching apparatus
US20060046866A1 (en) Sports shaft
KR101051852B1 (ko) 완구용 팽이를 이용한 포터블 어태커
WO2012077990A2 (ko) 그립 아래의 고정된 샤프트 위치에 골프스윙의 동적 무게중심부를 형성한 골프클럽
JP2004255179A (ja) 改良されたゴルフクラブシャフト及びグリップ及びゴルフクラブをグリップするための方法
US4032145A (en) Action batter up game apparatus
US20080026882A1 (en) Lacrosse stick shaft
US4506885A (en) Exercising device and method
US20230021178A1 (en) Paddle airflow and stabilization system, paddle apparatus, and method of use
US20100317455A1 (en) Golf club head
EP3691760B1 (en) Ball toy
KR101370610B1 (ko) 팽이용 와인더
WO2016057463A1 (en) Ball launching, hitting, and catching toy
EP3370835B1 (en) Ice hockey stick and hockey stick shaft with first and second bends
JP2010094478A (ja) トレーニング器具
US20070123365A1 (en) Golf club grip
KR101185544B1 (ko) 골프퍼터용 보조 그립
US20090048043A1 (en) Smooth And Rounded Cap For Lacrosse Stick Handle
KR101400979B1 (ko) 팽이 타격 수단을 갖는 팽이 집게
KR19990002293U (ko) 조립식 골프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