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4208A - 반려 동물용 통신 장치 - Google Patents

반려 동물용 통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4208A
KR20170014208A KR1020150107164A KR20150107164A KR20170014208A KR 20170014208 A KR20170014208 A KR 20170014208A KR 1020150107164 A KR1020150107164 A KR 1020150107164A KR 20150107164 A KR20150107164 A KR 20150107164A KR 20170014208 A KR20170014208 A KR 201700142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anion animal
companion
communication device
unit
us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71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62780B1 (ko
Inventor
김성훈
이호건
김현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퍼플마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퍼플마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퍼플마린
Priority to KR10201501071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2780B1/ko
Publication of KR201700142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42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27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27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9/00Other apparatus for animal husbandry
    • A01K29/005Monitoring or measuring activity, e.g. detecting heat or mat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5/00Devices for taming animals, e.g. nose-rings or hobbles; Devices for overturning animals in general; Training or exercising equipment; Covering box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9/00Other apparatus for animal husband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iophys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Zoology (AREA)
  • Toys (AREA)

Abstract

반려 동물용 통신 장치가 개시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반려 동물용 통신 장치는,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반려 동물용 통신 장치로서, 반려 동물을 촬영하는 촬영부, 반려 동물용 통신 장치 주위의 소리를 획득하는 마이크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영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고, 사용자 단말기로 반려 동물의 촬영 영상 및 상기 획득한 소리를 전송하여 영상 통화를 수행하는 영상 통화부, 영상 통화부가 수신한 영상 데이터를 화면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영상 통화부가 수신한 음성 데이터를 출력하는 스피커부를 포함하고, 영상 통화부는, 반려 동물의 상태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로 영상 통화 콜 신호를 전송한다.

Description

반려 동물용 통신 장치{COMMUNICATION DEVICE FOR COMPANION ANIMAL}
본 발명의 실시예는 통신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반려 동물용 통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1인 가구가 늘어나면서 애완 동물을 가정에서 기르는 사람이 증가하고 있다. 이들에게 애완 동물은 가족의 일원으로 생각 되어 반려 동물이라는 명칭으로 불리고 있다. 주인이 특별한 사정으로 집을 장시간 비우게 되는 경우, 반려 동물은 주인의 부재로 인해 불안감을 느끼거나 스트레스를 받게 되는 바, 주인이 맘 편히 집을 비우지 못하는 어려움이 있게 된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321953호(2013.10.28)
본 발명의 실시예는 사용자가 원격에서도 실내에 거주하는 반려 동물과 상호 소통할 수 있는 반려 동물용 통신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사용자의 부재 시에 반려 동물이 정서적 안정을 취할 수 있도록 하는 반려 동물용 통신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반려 동물용 통신 장치는,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반려 동물용 통신 장치로서, 반려 동물을 촬영하는 촬영부; 상기 반려 동물용 통신 장치 주위의 소리를 획득하는 마이크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영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상기 반려 동물의 촬영 영상 및 상기 획득한 소리를 전송하여 영상 통화를 수행하는 영상 통화부; 상기 영상 통화부가 수신한 영상 데이터를 화면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영상 통화부가 수신한 음성 데이터를 출력하는 스피커부를 포함하고, 상기 영상 통화부는, 상기 반려 동물의 상태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영상 통화 콜 신호를 전송한다.
상기 영상 통화부는, 상기 반려 동물의 울음 소리가 기 설정된 데시벨을 초과하거나 상기 반려 동물의 행동이 기 설정된 이상 행동 범주에 속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영상 통화 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반려 동물용 통신 장치는, 상기 영상 통화부의 영상 통화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저장된 영상 통화 데이터를 재생시키는 녹화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녹화부는, 상기 영상 통화 데이터를 해당 영상 통화의 영상 통화 사유와 매칭하여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반려 동물용 통신 장치는, 상기 반려 동물이 선호하는 향을 발산시키는 향 발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려 동물용 통신 장치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에 따라 상기 향 발산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반려 동물용 통신 장치는, 상기 반려 동물에게 먹이를 제공하는 급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급식부는, 상기 반려 동물의 섭취 여부, 섭취량, 및 섭취 일시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반려 동물용 통신 장치는, 상기 반려 동물의 섭취 여부, 섭취량, 및 섭취 일시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려 동물용 통신 장치는, 상기 반려 동물이 선호하는 음악을 재생시키는 음악 재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려 동물용 통신 장치는, 상기 반려 동물의 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음악 재생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제어에 따라 상기 반려 동물의 상태에 대응되는 음악을 재생시킬 수 있다.
상기 반려 동물용 통신 장치는, 상기 반려 동물이 놀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놀이 수단을 구비하는 놀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놀이부는, 상기 반려 동물용 통신 장치가 설치되는 실내 공간으로 물건을 투척하는 투척부; 및 상기 투척된 물건이 상기 반려 동물에 의해 회수되어 상기 반려 동물용 통신 장치 내부로 투입되는 투입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놀이부는, 상기 반려 동물용 통신 장치가 설치되는 실내 공간으로 광을 조사하는 광 포인터를 포함하고, 상기 광 포인터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제어에 따라 상기 광의 조사 방향 또는 상기 광의 조사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다.
상기 반려 동물용 통신 장치는, 상기 반려 동물의 상기 놀이 수단과의 놀이 결과에 따라 상기 반려 동물에게 먹이를 제공하는 급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려 동물용 통신 장치는, 상기 반려 동물과 관련된 반려 동물 관련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한 반려 동물 관련 데이터를 외부의 서버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려 동물 관련 데이터는, 상기 반려 동물과 사용자 간의 영상 통화 데이터, 상기 반려 동물의 상태 데이터, 상기 반려 동물을 촬영한 촬영 데이터, 상기 반려 동물의 소리 데이터, 상기 반려 동물의 급식 관련 데이터, 상기 반려 동물의 향 발산 관련 데이터, 상기 반려 동물의 음악 재생 관련 데이터, 및 상기 반려 동물의 놀이 관련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는 원격에서도 반려 동물용 통신 장치를 통해 반려 동물과 영상 통화를 하거나 반려 동물에게 급식을 제공하는 등 반려 동물을 보살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반려 동물이 좋아하는 향을 발산시키거나 반려 동물이 좋아하는 음악 또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재생시킴으로써, 사용자와 떨어져 있는 상태에서도 반려 동물을 정서적으로 안정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용자가 원격에서 제어할 수 있고 반려 동물이 놀 수 있는 놀이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사용자가 원격에서도 반려 동물과 상호 소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반려 동물용 통화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반려 동물 통신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
도 3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사용되기에 적합한 예시적인 컴퓨팅 장치를 포함하는 컴퓨팅 환경을 나타낸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방법, 장치 및/또는 시스템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기술하기 위한 것이며, 결코 제한적이어서는 안 된다. 명확하게 달리 사용되지 않는 한, 단수 형태의 표현은 복수 형태의 의미를 포함한다. 본 설명에서, "포함" 또는 "구비"와 같은 표현은 어떤 특성들, 숫자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을 가리키기 위한 것이며, 기술된 것 이외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성, 숫자, 단계, 동작, 요소,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의 존재 또는 가능성을 배제하도록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신호 또는 정보의 "전송", "통신", "송신", "수신" 기타 이와 유사한 의미의 용어는 일 구성요소에서 다른 구성요소로 신호 또는 정보가 직접 전달되는 것뿐만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거쳐 전달되는 것도 포함한다. 특히 신호 또는 정보를 일 구성요소로 "전송" 또는 "송신"한다는 것은 그 신호 또는 정보의 최종 목적지를 지시하는 것이고 직접적인 목적지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이는 신호 또는 정보의 "수신"에 있어서도 동일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2 이상의 데이터 또는 정보가 "관련"된다는 것은 하나의 데이터(또는 정보)를 획득하면, 그에 기초하여 다른 데이터(또는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획득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반려 동물용 통화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반려 동물용 통화 시스템(100)은 사용자 단말기(102), 반려 동물용 통신 장치(104), 및 서버(106)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2) 및 반려 동물용 통신 장치(104)는 네트워크(108)를 통해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102) 및 서버(106)는 네트워크(108)를 통해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반려 동물용 통신 장치(104) 및 서버(106)는 네트워크(108)를 통해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네트워크(108)는 로컬 영역 네트워크(Local Area Network: LAN), 광역 네트워크(Wide Area Network: WAN), 셀룰라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 등과 같은 다양한 네트워크가 사용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2)는 반려 동물의 관리자가 사용하는 단말기이다. 사용자 단말기(102)는 예를 들어, 스마트 폰, 휴대폰, 태블릿,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노트북, 데스크 탑, 스마트 워치와 같은 웨어러블 기기 등의 통신 장치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2)는 프로세서 및 그 프로세서에 의해 액세스 가능한 메모리와 같은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의 내부 또는 외부에 배치될 수 있고, 잘 알려진 다양한 수단으로 프로세서와 연결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는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된 명령어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프로세서로 하여금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상에는 애플리케이션이 상주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의 소정의 집합을 포함한다. 애플리케이션은 애플리케이션이 업로드되어 있는 서버 컴퓨팅 장치로부터 사용자 단말기(102)의 사용자에 의해 다운로드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는 사용자 단말기(102) 상에서 애플리케이션과 같은 명령어 집합을 실행하기 위한 운영체제의 컴포넌트들(미도시)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이러한 운영체제는 애플(Apple) 사의 iOS 또는 구글(Google) 사의 Android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2)는 반려 동물용 통신 장치(104)와 통신을 수행한다. 사용자 단말기(102)는 반려 동물용 통신 장치(104)를 원격에서 제어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장시간 집을 비우고 반려 동물을 홀로 남겨두어야 하는 경우,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102)를 통해 반려 동물용 통신 장치(104)를 원격에서 제어함으로써, 반려 동물을 원격에서 케어(Care) 할 수 있으며, 반려 동물이 사용자와 떨어져 있는 상태에서도 정서적으로 안정을 취하도록 도울 수 있게 된다.
반려 동물용 통신 장치(104)는 반려 동물이 거주하는 실내에 설치될 수 있다. 반려 동물은 강아지, 고양이 등이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이외의 다양한 동물이 포함될 수 있다. 반려 동물용 통신 장치(104)는 사용자가 외부에 거하더라도 반려 동물과 사용자를 정서적으로 연결시켜주는 매개 역할을 하게 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반려 동물용 통신 장치(104)는 사용자 단말기(102)와 영상 통화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반려 동물용 통신 장치(104)는 영상 통화 내용을 저장할 수 있다. 반려 동물용 통신 장치(104)는 반려 동물에게 급식(예를 들어, 사료 또는 물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반려 동물용 통신 장치(104)는 반려 동물이 좋아하는 향을 발산시킬 수 있다. 반려 동물용 통신 장치(104)는 반려 동물이 좋아하는 음악을 재생시킬 수 있다. 반려 동물용 통신 장치(104)는 반려 동물의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반려 동물용 통신 장치(104)는 반려 동물의 감지된 상태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102)로 영상 통화를 걸 수 있다. 반려 동물용 통신 장치(104)는 반려 동물이 놀 수 있는 놀이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반려 동물용 통신 장치(104)는 반려 동물이 거주하는 실내의 멀티미디어 장치(미도시)(예를 들어, 디지털 TV, 오디오, 월 패드, 태블릿 등)와 연동될 수 있다. 반려 동물용 통신 장치(104)는 멀티미디어 장치(미도시)를 동작시켜 반려 동물이 선호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재생시킬 수 있다. 반려 동물용 통신 장치(104)는 반려 동물과 관련하여 수집된 데이터(이하, 반려 동물 관련 데이터라 지칭될 수 있음)를 서버(106)로 전송할 수 있다.
반려 동물용 통신 장치(104)는 프로세서 및 그 프로세서에 의해 액세스 가능한 메모리와 같은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는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된 명령어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프로세서로 하여금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상에는 애플리케이션이 상주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의 소정의 집합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는 반려 동물용 통신 장치(104) 상에서 애플리케이션과 같은 명령어 집합을 실행하기 위한 운영체제의 컴포넌트들(미도시)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이러한 운영체제는 애플(Apple) 사의 iOS 또는 구글(Google) 사의 Android일 수 있다.
서버(106)는 반려 동물용 통신 장치(104)로부터 수신한 반려 동물 관련 데이터를 저장한다. 서버(106)는 각 반려 동물 별로 반려 동물 관련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서버(106)는 사용자 단말기(102)의 요청에 따라 반려 동물 관련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기(102)로 전송할 수 있다. 서버(106)는 클라우드(Cloud) 기반의 서버 또는 하둡(HADOOP) 기반의 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는 원격에서도 반려 동물용 통신 장치(104)를 통해 반려 동물과 영상 통화를 하거나 반려 동물에게 급식을 제공하는 등 반려 동물을 보살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반려 동물이 좋아하는 향을 발산시키거나 반려 동물이 좋아하는 음악 또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재생시킴으로써, 사용자와 떨어져 있는 상태에서도 반려 동물을 정서적으로 안정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용자가 원격에서 제어할 수 있고 반려 동물이 놀 수 있는 놀이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사용자가 원격에서도 반려 동물과 상호 소통할 수 있게 된다.
도 2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반려 동물 통신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반려 동물용 통신 장치(104)는 영상 통화부(111), 디스플레이부(113), 촬영부(115), 마이크부(117), 스피커부(119), 센서부(121), 녹화부(123), 급식부(125), 향 발산부(127), 음악 재생부(129), 멀티미디어 연동부(131), 놀이부(133), 및 통신부(135)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 통화부(111)는 사용자 단말기(102)와 영상 통화를 수행한다. 영상 통화부(111)는 사용자 단말기(102)로부터 착신 신호를 수신하여 영상 통화를 수행할 수 있다. 영상 통화부(111)는 사용자 단말기(102)로부터 수신되는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113)로 전달하여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영상 통화부(111)는 사용자 단말기(102)로부터 수신되는 음성 데이터를 스피커부(119)로 전달하여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반려 동물은 디스플레이부(113) 및 스피커부(119)를 통해 사용자의 영상을 보고 음성을 들을 수 있게 된다. 영상 통화부(111)는 촬영부(115)가 촬영하는 영상 데이터 및 마이크부(117)가 획득한 음성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기(102)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영상 통화를 통해 실내에 거주하는 반려 동물의 영상을 보고 음성을 들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영상 통화부(111)는 반려 동물의 상태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102)로 영상 통화 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즉, 영상 통화부(111)는 반려 동물의 상태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102)로 영상 통화를 걸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영상 통화부(111)는 반려 동물의 울음 소리가 기 설정된 데시벨을 초과하거나 반려 동물의 행동이 기 설정된 이상 행동 범주에 속하는 경우, 자동으로 영상 통화 콜 신호를 사용자 단말기(102)로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반려 동물용 통신 장치(104)를 통해 반려 동물의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반려 동물의 상태에 따라 자동으로 영상 통화 콜 신호를 사용자 단말기(102)로 전송함으로써, 사용자는 장시간 집을 떠나 있더라도 반려 동물의 이상 상태를 영상 통화를 통해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디스플레이부(113)는 영상 통화부(111)가 수신하는 사용자의 영상을 화면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3)는 멀티미디어 연동부(131)로부터 영상 콘텐츠를 수신하여 화면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디스플레이부(113)는 반려 동물용 통신 장치(104)의 메모리에 저장된 영상 콘텐츠를 화면에 디스플레이 할 수도 있다.
촬영부(115)는 사용자 단말기(102)로부터 영상 통화 착신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반려 동물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영상 통화부(111)로 전달할 수 있다. 촬영부(115)는 카메라 및 팬/틸트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는 반려 동물을 촬영하는 역할을 한다. 팬/틸트는 카메라를 좌우 상하로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촬영부(115)는 카메라를 좌우 상하로 회전시키면서 반려 동물을 촬영할 수 있다. 이때, 촬영부(115)는 반려 동물의 움직임을 추적하면서 반려 동물을 촬영할 수 있다. 여기서는, 촬영부(115)가 영상 통화 중 반려 동물을 촬영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촬영부(115)는 기 설정된 이벤트의 발생 또는 사용자 단말기(102)의 제어에 따라 반려 동물을 촬영할 수 있다.
마이크부(117)는 반려 동물용 통신 장치(104) 주위의 소리를 획득할 수 있다. 마이크부(117)는 사용자 단말기(102)로부터 영상 통화 착신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반려 동물의 소리를 획득하고 획득한 소리를 영상 통화부(111)로 전달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마이크부(117)는 기 설정된 이벤트의 발생 또는 사용자 단말기(102)의 제어에 따라 반려 동물의 소리를 획득할 수 있다.
스피커부(119)는 영상 통화부(111)가 수신하는 사용자의 음성을 스피커로 출력할 수 있다. 스피커부(119)는 멀티미디어 연동부(131)로부터 영상 콘텐츠 또는 음성 콘텐츠를 수신하여 음성을 스피커로 출력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스피커부(119)는 반려 동물용 통신 장치(104)의 메모리에 저장된 음성 콘테츠를 스피커로 출력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스피커부(119)는 음악 재생부(129)가 재생하는 음성 콘텐츠를 스피커로 출력할 수 있다.
센서부(121)는 반려 동물의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센서부(121)는 소리 센서(미도시) 및 움직임 센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소리 센서(미도시)는 반려 동물의 소리(또는 울음)을 감지할 수 있다. 소리 센서(미도시)는 반려 동물의 소리가 기 설정된 데시벨을 초과하는 경우, 이를 영상 통화부(111)로 알릴 수 있다. 움직임 센서(미도시)는 반려 동물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움직임 센서(미도시)는 반려 동물의 행동 패턴을 분석하여 반려 동물이 기 설정된 이상 행동 범주에 속하는 행동을 보이는 경우, 이를 영상 통화부(111)로 알릴 수 있다. 여기서, 소리 센서(미도시) 및 움직임 센서(미도시)는 별도로 구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마이크부(117)가 소리 센서로 사용되고, 촬영부(115)가 움직임 센서로 사용될 수도 있다.
녹화부(123)는 영상 통화부(111)가 사용자 단말기(102)와 영상 통화를 수행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기(102)와의 영상 통화 데이터를 저장(즉, 녹화)할 수 있다. 녹화부(123)는 영상 통화부(111)가 사용자 단말기(102)로부터 수신하는 영상 및 음성(즉, 사용자의 영상 및 음성)을 저장할 수 있다. 녹화부(123)는 저장된 영상 통화 데이터를 재생시킬 수 있다. 녹화부(123)는 사용자 단말기(102)의 제어에 따라 저장된 영상 통화 데이터를 재생시킬 수 있다. 녹화부(123)는 사용자 단말기(102)로부터 녹화 재생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해당 영상 통화 데이터를 즉시 재생시킬 수도 있고,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기 설정된 시간 경과 후 재생시킬 수도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반려 동물과 영상 통화를 하기 어려운 상황에서도, 반려 동물용 통신 장치(104)를 통해 기존의 영상 통화 데이터를 재생시킴으로써, 반려 동물이 사용자의 영상을 보고 음성을 들을 수 있게 되며, 그로 인해 반려 동물을 심적으로 안정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반려 동물은 사용자와의 영상 통화 내용을 보면서 안정을 취하여 혼자서도 용이하게 잠이 들 수 있게 된다.
녹화부(123)는 영상 통화 데이터를 저장하는 경우, 영상 통화 사유를 해당 영상 통화 데이터와 매칭하여 저장할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기(102)가 반려 동물용 통신 장치(104)로 영상 통화를 건 것인지 아니면 그 반대의 경우인지 등을 해당 영상 통화 데이터와 매칭하여 저장할 수 있다. 반려 동물용 통신 장치(104)가 사용자 단말기(102)로 영상 통화를 건 경우, 반려 동물의 어떤 상태로 영상 통화를 건 것인지 등의 영상 통화 사유가 해당 영상 통화 데이터와 매칭하여 저장될 수 있다.
급식부(125)는 반려 동물에게 먹이(예를 들어, 사료 또는 물 등)를 제공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급식부(125)는 사용자 단말기(102)의 급식 제어 신호에 따라 반려 동물에게 먹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기(102)는 반려 동물용 통신 장치(104)와 영상 통화 중 급식 제어 신호를 반려 동물용 통신 장치(104)로 전송할 수 있다. 급식 제어 신호에는 급식 종류(예를 들어, 사료 또는 물 등) 및 급식량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급식부(125)는 반려 동물의 섭취 여부를 기록할 수 있다. 급식부(125)는 반려 동물이 먹이를 섭취한 경우, 반려 동물의 섭취량 및 섭취 일시 중 적어도 하나를 기록할 수 있다.
급식부(125)는 사료 제공부(미도시) 및 물 제공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사료 제공부(미도시)는 사료를 저장하는 사료 저장 공간을 구비한다. 사료 제공부(미도시)는 사용자 단말기(102)의 급식 제어 신호에 따라 반려 동물이 섭취할 수 있도록 기 설정된 양의 사료를 외부로 인출할 수 있다. 사료 제공부(미도시)는 사용자 단말기(102)의 급식 제어 신호에 따라 일회 제공하는 사료의 양을 다르게 조절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물 제공부(미도시)는 물을 저장하는 물 저장 공간을 구비한다. 물 제공부(미도시)는 사용자 단말기(102)의 급식 제어 신호에 따라 반려 동물이 섭취할 수 있도록 기 설정된 양의 물을 외부로 인출할 수 있다. 물 제공부(미도시)는 사용자 단말기(102)의 급식 제어 신호에 따라 일회 제공하는 물의 양을 다르게 조절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급식부(125)에는 사료 제공부(미도시) 및 물 제공부(미도시)에 의해 인출된 사료 및 물을 각각 수납할 수 있는 수납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수납부(미도시)는 인출된 사료 및 물의 중량을 측정할 수 있는 수단(예를 들어, 무게 센서 등)을 구비할 수 있다. 급식부(125)는 인출된 사료 및 물의 양과 반려 동물이 섭취한 후의 사료 및 물의 양을 비교하여 반려 동물이 먹이를 섭취하였는지 여부 및 섭취하였다면 언제 어느 정도의 양을 섭취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는, 급식부(125)가 사용자 단말기(102)의 급식 제어 신호에 따라 반려 동물에게 먹이를 제공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가 먹이 주는 시간을 예약할 수도 있다. 여기서, 반려 동물의 섭취량 및 섭취 일시 등의 정보는 통신부(135)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102)로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외출하면서 먹이 주는 시간을 예약한 경우, 급식부(125)는 예약된 시간에 반려 동물에게 먹이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급식부(125)는 반려 동물의 섭취 여부, 섭취량, 및 섭취 시간 등을 확인한 후, 통신부(135)를 통해 이러한 반려 동물의 먹이 섭취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102)로 전송할 수 있다.
향 발산부(127)는 반려 동물이 좋아하는 향을 발산할 수 있다. 향 발산부(127)에 의해 발산되는 향의 종류는 반려 동물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향 발산부(127)는 사용자 단말기(102)의 향 발산 제어 신호에 따라 소정 향을 발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기(102)는 반려 동물용 통신 장치(104)와 영상 통화 중 향 발산 제어 신호를 반려 동물용 통신 장치(104)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는, 향 발산부(127)가 사용자 단말기(102)의 향 발산 제어 신호에 따라 반려 동물이 좋아하는 향을 발산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가 향이 발산되는 시간을 예약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반려 동물이 좋아하는 향을 발산시킴으로써, 반려 동물의 스트레스를 완화시켜주고 정서 안정을 찾을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으며, 반려 동물의 면역력도 강화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반려 동물에 따라 반려 동물이 좋아하는 향은 사람에게는 불쾌감 또는 거부감을 느끼게 하는 향일 수 있다. 이에, 반려 동물용 통신 장치(104)는 사용자 단말기(102)로부터 사용자 단말기(102)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사용자 단말기(102)의 위치 정보에 따라 향 발산부(127)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기(102)의 위치가 기 설정된 영역 이내인 경우, 반려 동물용 통신 장치(104)는 향 발산부(127)의 향 발산을 중단시키거나 향 발산이 안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음악 재생부(129)는 반려 동물이 좋아하는 음악을 재생시킬 수 있다. 음악 재생부(129)는 반려 동물용 통신 장치(104)의 메모리에 저장된 음악을 재생시킬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멀티미디어 연동부(131)로부터 음악 콘텐츠를 수신하여 재생시킬 수도 있다. 음악 재생부(129)에 의해 재생되는 음악은 스피커부(119)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음악 재생부(129)는 사용자 단말기(102)의 음악 재생 제어 신호에 따라 소정 음악을 재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기(102)는 반려 동물용 통신 장치(104)와 영상 통화 중 음악 재생 제어 신호를 반려 동물용 통신 장치(104)로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2)는 반려 동물의 상태에 따라 다른 음악을 재생시키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통화 중 반려 동물이 졸리운 행동을 취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기(102)는 반려 동물이 용이하게 잠을 취할 수 있도록 조용하고 안정적인음악을 재생시키도록 음악 재생부(129)를 제어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연동부(131)는 반려 동물이 거주하는 실내의 멀티미디어 장치(미도시)들과 연동될 수 있다. 멀티미디어 연동부(131)는 사용자 단말기(102)의 제어에 따라 멀티미디어 장치(미도시)로부터 영상 콘텐츠 또는 음성 콘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102)를 통해 원격에서 실내의 디지털 TV를 제어하여 반려 동물이 좋아하는 영상 콘텐츠가 방송되는 채널을 선택하고, 해당 채널에서 방송되는 영상 콘텐츠를 멀티미디어 연동부(131)를 통해 수신하도록 하며, 디스플레이부(113)를 통해 해당 영상 콘텐츠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놀이부(133)는 사용자가 원격지에 있더라도 반려 동물이 스스로 놀이를 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놀이부(133)는 사용자 단말기(102)의 제어에 따라 동작될 수 있다. 놀이부(133)는 반려 동물의 종류에 따라 다른 놀이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반려 동물이 강아지인 경우, 놀이부(133)는 공을 투입하는 투입부(미도시) 및 공을 투척하는 투척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투척부(미도시)는 사용자 단말기(102)의 투척 제어 신호에 따라 공을 투척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그러면, 반려 동물은 투척된 공을 가져와서 투입부(미도시)에 투입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2)는 반려 동물이 이러한 동작(공 투척 → 공 가져오기 → 공 투입)을 반복하도록 놀이부(133)를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2)는 영상 통화 중 투척 제어 신호를 반려 동물용 통신 장치(104)로 전송하여 반려 동물이 놀이를 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촬영부(115)는 반려 동물을 추적하면서 반려 동물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영상 통화부(111)로 전달할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는 원격에서도 반려 동물이 놀이를 하는 모습을 지켜볼 수 있게 된다. 반려 동물이 이와 같은 놀이를 하도록 하려면, 사전에 미리 사용자가 반려 동물용 통신 장치(104)를 이용하여 반려 동물과 놀면서 해당 놀이를 반려 동물이 습득할 수 있도록 훈련시켜 줄 수 있다.
또한, 반려 동물이 고양이인 경우, 놀이부(133)는 광 포인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광 포인터(미도시)는 사용자 단말기(102)의 광 포인터 제어 신호에 따라 광(예를 들어, 레이저 등)을 조사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광 포인터(미도시)는 사용자 단말기(102)의 광 포인터 제어 신호에 따라 광을 실내 바닥에 조사하고 반려 동물의 행동에 따라 조사 방향 및 조사 위치 등을 변경시킬 수 있다. 반려 동물이 고양이인 경우, 레이저 등을 실내 바닥에 조사하면 조사된 광을 잡으로 쫓아다니며 놀이를 하게 된다.
반려 동물용 통신 장치(104)는 반려 동물의 놀이 결과(또는 반려 동물의 놀이에 대한 반응(피드백) 등)에 따라 급식부(125)를 통해 먹이를 반려 동물에게 제공해줄 수 있다. 예를 들어, 공 투척 놀이와 같은 경우, 반려 동물이 기 설정된 시간 내에 공을 몇 번 회수해 오는지에 따라 먹이 제공 여부 및 급식량 등을 조절하여 제공할 수 있다.
통신부(135)는 사용자 단말기(102)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부(135)는 사용자 단말기(102)로부터 반려 동물용 통신 장치(104)를 제어하기 위한 각종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135)는 서버(106)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부(135)는 반려 동물 관련 데이터를 서버(106)로 전송할 수 있다. 즉, 반려 동물용 통신 장치(104)는 반려 동물 관련 데이터를 획득하고, 획득된 반려 동물 관련 데이터를 통신부(135)를 통해 서버(106)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기 설정된 기간 동안 획득된 반려 동물 관련 데이터가 서버(106)로 전송될 수 있다.
반려 동물 관련 데이터는 반려 동물용 통신 장치(104)에 의해 생성되거나 재생되거나 수집된 데이터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반려 동물 관련 데이터는 영상 통화 데이터, 반려 동물의 상태 데이터, 반려 동물의 촬영 데이터, 반려 동물의 소리 데이터, 반려 동물의 움직임 데이터, 반려 동물의 급식 관련 데이터(예를 들어, 섭취 여부 정보, 섭취량, 섭취 일시 등), 향 발산 관련 데이터(예를 들어, 언제 어떤 종류의 향을 발산하였는지 등), 음악 재생 관련 데이터(예를 들어, 언제 어떤 음악을 재생하였는지 등), 및 반려 동물의 놀이 관련 데이터(예를 들어, 언제 어떤 놀이를 몇 회 수행하였는지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사용되기에 적합한 예시적인 컴퓨팅 장치를 포함하는 컴퓨팅 환경을 도시한다.
도 3에 도시된 예시적인 컴퓨팅 환경(200)은 컴퓨팅 장치(210)를 포함한다. 통상적으로, 각 구성은 상이한 기능 및 능력을 가질 수 있고, 이하에 기술되지 않았더라도 그 구성에 적합한 컴포넌트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210)는 반려 동물용 통신 장치(예를 들어, 반려 동물용 통신 장치(104))일 수 있다. 또한, 컴퓨팅 장치(210)는 반려 동물용 통신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기(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기(102))일 수 있다.
컴퓨팅 장치(21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212),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214) 및 버스(260)를 포함한다. 프로세서(212)는 버스(260)와 연결되고, 버스(260)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214)를 포함하여 컴퓨팅 장치(210)의 다른 다양한 컴포넌트들을 프로세서(212)에 연결한다.
프로세서(212)는 컴퓨팅 장치(210)로 하여금 앞서 언급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212)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214)에 저장된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를 실행할 수 있고,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214)에 저장된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는 프로세서(212)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컴퓨팅 장치(210)로 하여금 소정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214)는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 내지 프로그램 코드(예컨대, 애플리케이션(230)에 포함되는 명령어), 프로그램 데이터(예컨대, 애플리케이션(230)에 의해 사용되는 데이터) 및/또는 다른 적합한 형태의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214)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230)은 프로세서(212)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의 소정의 집합을 포함한다.
도 3에 도시된 메모리(216) 및 저장 장치(218)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214)의 예이다. 메모리(216)에는 프로세서(212)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가 로딩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216)에는 프로그램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예컨대, 이러한 메모리(216)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와 같은 휘발성 메모리,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이들의 적합한 조합일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저장 장치(218)는 정보의 저장을 위한 하나 이상의 착탈 가능하거나 착탈 불가능한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저장 장치(218)는 하드 디스크, 플래시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 디스크, 컴퓨팅 장치(210)에 의해 액세스되고 원하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다른 형태의 저장 매체, 또는 이들의 적합한 조합일 수 있다.
컴퓨팅 장치(210)는 또한 하나 이상의 입출력 장치(270)를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입출력 인터페이스(220)를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220)는 버스(260)에 연결된다. 입출력 장치(270)는 입출력 인터페이스(220)를 통해 컴퓨팅 장치(210)(의 다른 컴포넌트들)에 연결될 수 있다. 입출력 장치(270)는 포인팅 장치, 키보드, 터치 입력 장치, 음성 입력 장치, 센서 장치 및/또는 촬영 장치와 같은 입력 장치 및/또는 디스플레이 장치, 프린터, 스피커 및/또는 네트워크 카드와 같은 출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소정의 실시예는 본 명세서에서 기술한 과정을 컴퓨터상에서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로컬 데이터 파일, 로컬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그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일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 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와 같은 자기-광 매체, 및 롬, 램,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반려 동물용 통화 시스템
102 : 사용자 단말기
104 : 반려 동물용 통신 장치
106 : 서버
111 : 영상 통화부
113 : 디스플레이부
115 : 촬영부
117 : 마이크부
119 : 스피커부
121 : 센서부
123 : 녹화부
125 : 급식부
127 : 향 발산부
129 : 음악 재생부
131 : 멀티미디어 연동부
133 : 놀이부
135 : 통신부

Claims (16)

  1.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반려 동물용 통신 장치로서,
    반려 동물을 촬영하는 촬영부;
    상기 반려 동물용 통신 장치 주위의 소리를 획득하는 마이크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영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상기 반려 동물의 촬영 영상 및 상기 획득한 소리를 전송하여 영상 통화를 수행하는 영상 통화부;
    상기 영상 통화부가 수신한 영상 데이터를 화면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영상 통화부가 수신한 음성 데이터를 출력하는 스피커부를 포함하고,
    상기 영상 통화부는, 상기 반려 동물의 상태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영상 통화 콜 신호를 전송하는, 반려 동물용 통신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영상 통화부는,
    상기 반려 동물의 울음 소리가 기 설정된 데시벨을 초과하거나 상기 반려 동물의 행동이 기 설정된 이상 행동 범주에 속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영상 통화 콜 신호를 전송하는, 반려 동물용 통신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반려 동물용 통신 장치는,
    상기 영상 통화부의 영상 통화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저장된 영상 통화 데이터를 재생시키는 녹화부를 더 포함하는, 반려 동물용 통신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녹화부는,
    상기 영상 통화 데이터를 해당 영상 통화의 영상 통화 사유와 매칭하여 저장하는, 반려 동물용 통신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반려 동물용 통신 장치는,
    상기 반려 동물이 선호하는 향을 발산시키는 향 발산부를 더 포함하는, 반려 동물용 통신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반려 동물용 통신 장치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에 따라 상기 향 발산 동작을 제어하는, 반려 동물용 통신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반려 동물용 통신 장치는,
    상기 반려 동물에게 먹이를 제공하는 급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급식부는, 상기 반려 동물의 섭취 여부, 섭취량, 및 섭취 일시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하는, 반려 동물용 통신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반려 동물용 통신 장치는,
    상기 반려 동물의 섭취 여부, 섭취량, 및 섭취 일시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반려 동물용 통신 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반려 동물용 통신 장치는,
    상기 반려 동물이 선호하는 음악을 재생시키는 음악 재생부를 더 포함하는, 반려 동물용 통신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반려 동물용 통신 장치는, 상기 반려 동물의 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음악 재생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제어에 따라 상기 반려 동물의 상태에 대응되는 음악을 재생시키는, 반려 동물용 통신 장치.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반려 동물용 통신 장치는,
    상기 반려 동물이 놀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놀이 수단을 구비하는 놀이부를 더 포함하는, 반려 동물용 통신 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놀이부는,
    상기 반려 동물용 통신 장치가 설치되는 실내 공간으로 물건을 투척하는 투척부; 및
    상기 투척된 물건이 상기 반려 동물에 의해 회수되어 상기 반려 동물용 통신 장치 내부로 투입되는 투입부를 포함하는, 반려 동물용 통신 장치.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놀이부는,
    상기 반려 동물용 통신 장치가 설치되는 실내 공간으로 광을 조사하는 광 포인터를 포함하고,
    상기 광 포인터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제어에 따라 상기 광의 조사 방향 또는 상기 광의 조사 위치를 변경시키는, 반려 동물용 통신 장치.
  14.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반려 동물용 통신 장치는,
    상기 반려 동물의 상기 놀이 수단과의 놀이 결과에 따라 상기 반려 동물에게 먹이를 제공하는 급식부를 더 포함하는, 반려 동물용 통신 장치.
  1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반려 동물용 통신 장치는,
    상기 반려 동물과 관련된 반려 동물 관련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한 반려 동물 관련 데이터를 외부의 서버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반려 동물용 통신 장치.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반려 동물 관련 데이터는,
    상기 반려 동물과 사용자 간의 영상 통화 데이터, 상기 반려 동물의 상태 데이터, 상기 반려 동물을 촬영한 촬영 데이터, 상기 반려 동물의 소리 데이터, 상기 반려 동물의 급식 관련 데이터, 상기 반려 동물의 향 발산 관련 데이터, 상기 반려 동물의 음악 재생 관련 데이터, 및 상기 반려 동물의 놀이 관련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반려 동물용 통신 장치.

KR1020150107164A 2015-07-29 2015-07-29 반려 동물용 통신 장치 KR1017627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7164A KR101762780B1 (ko) 2015-07-29 2015-07-29 반려 동물용 통신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7164A KR101762780B1 (ko) 2015-07-29 2015-07-29 반려 동물용 통신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4208A true KR20170014208A (ko) 2017-02-08
KR101762780B1 KR101762780B1 (ko) 2017-07-28

Family

ID=581547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7164A KR101762780B1 (ko) 2015-07-29 2015-07-29 반려 동물용 통신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2780B1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5427B1 (ko) * 2017-08-22 2018-07-09 이윤형 실내 공간 원격 관리 시스템
KR20190022171A (ko) * 2017-08-25 2019-03-06 울산과학기술원 반려동물용 디스플레이 장치
KR20190142617A (ko) * 2018-06-18 2019-12-27 김대용 반려동물용 운동 시스템
WO2020045789A1 (ko) * 2018-08-30 2020-03-05 (주) 너울정보 반려동물의 감정 상태 감지 시스템 및 방법
KR102091936B1 (ko) * 2018-09-14 2020-03-20 이민성 반려동물 맞춤형 음원 출력 장치
KR102213520B1 (ko) * 2020-09-14 2021-02-08 이성식 반려견 원격 케어 시스템
KR20210090469A (ko) * 2020-01-10 2021-07-20 장제원 반려동물용 탈취 및 훈련 장치
KR20220045093A (ko) * 2020-10-04 2022-04-12 오종연 원격 감시 및 제어가 가능한 반려동물 도우미 장치
KR20220126461A (ko) * 2021-03-09 2022-09-16 우주라컴퍼니 주식회사 반려동물의 사냥 본능 유발형 놀이식 디지털 헬스케어 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KR102457339B1 (ko) * 2022-01-20 2022-10-21 주식회사 서랩 스마트 기기를 포함하는 하네스 및 이를 이용하는 반려 동물 케어 시스템
KR102457338B1 (ko) * 2022-01-24 2022-10-21 서영욱 스마트 목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반려동물 응용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504462B1 (ko) 2022-04-28 2023-02-28 안경애 양방향 반려동물 소통 및 놀이 장치 및 이의 동작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1953B1 (ko) 2012-09-26 2013-10-28 박두환 애완동물용 사료 및 간식 자동급식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05600A (ja) * 2001-04-04 2002-10-18 Kyocera Corp ペット監視システム及びペット監視装置
KR100703990B1 (ko) * 2006-04-13 2007-04-09 한국과학기술원 인간과 애완동물간의 인터랙션을 위한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1953B1 (ko) 2012-09-26 2013-10-28 박두환 애완동물용 사료 및 간식 자동급식장치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5427B1 (ko) * 2017-08-22 2018-07-09 이윤형 실내 공간 원격 관리 시스템
KR20190022171A (ko) * 2017-08-25 2019-03-06 울산과학기술원 반려동물용 디스플레이 장치
KR20190142617A (ko) * 2018-06-18 2019-12-27 김대용 반려동물용 운동 시스템
WO2020045789A1 (ko) * 2018-08-30 2020-03-05 (주) 너울정보 반려동물의 감정 상태 감지 시스템 및 방법
US11406301B2 (en) 2018-08-30 2022-08-09 Petpuls Lab Inc.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emotional state of pet
KR102091936B1 (ko) * 2018-09-14 2020-03-20 이민성 반려동물 맞춤형 음원 출력 장치
KR20210090469A (ko) * 2020-01-10 2021-07-20 장제원 반려동물용 탈취 및 훈련 장치
KR102213520B1 (ko) * 2020-09-14 2021-02-08 이성식 반려견 원격 케어 시스템
KR20220045093A (ko) * 2020-10-04 2022-04-12 오종연 원격 감시 및 제어가 가능한 반려동물 도우미 장치
KR20220126461A (ko) * 2021-03-09 2022-09-16 우주라컴퍼니 주식회사 반려동물의 사냥 본능 유발형 놀이식 디지털 헬스케어 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KR102457339B1 (ko) * 2022-01-20 2022-10-21 주식회사 서랩 스마트 기기를 포함하는 하네스 및 이를 이용하는 반려 동물 케어 시스템
KR102457338B1 (ko) * 2022-01-24 2022-10-21 서영욱 스마트 목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반려동물 응용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504462B1 (ko) 2022-04-28 2023-02-28 안경애 양방향 반려동물 소통 및 놀이 장치 및 이의 동작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62780B1 (ko) 2017-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2780B1 (ko) 반려 동물용 통신 장치
JP6923695B2 (ja) 電子機器、電子機器システム、及び機器制御方法
US20170231200A1 (en) Remote pet monitoring systems and methods
US10251370B2 (en) Remote interaction device
US9848578B2 (en) Toy and app for remotely viewing and playing with a pet
US20170180959A1 (en) Animal mobile phone service system and method
JP2016220671A (ja) 無線通信ネットワークに基づくペット用インタラクティブシステム
CN106577345B (zh) 一种智能宠物互动系统
US20150290548A1 (en) Toy messaging system
US20150304601A1 (en) Image Data System
JP2016522465A (ja) 永続性コンパニオンデバイスを提供す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CN106172059A (zh) 宠物喂养机器人
US20130300863A1 (en) Pet sitter
KR20150122303A (ko) 스마트 애완동물 원격 먹이공급 장치 및 이의 실감 제어 방법
US20150022329A1 (en) Assisted Animal Communication
JP2010068268A (ja) 愛玩動物再現システムおよび愛玩動物再現プログラム
US20150304540A1 (en) System allowing users to interact with animals, both real and simulated
EP3376855A1 (en) Remote interaction device with tracking of remote movement input
KR20210147691A (ko) 반려동물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모니터링 장치 및 서버
US11768978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textual occupancy simulation
JP6765083B2 (ja) 行動目標達成支援システム、行動目標達成支援方法及び行動目標達成支援処理プログラム
CN105307007B (zh) 节目分享方法、装置及系统
KR102501439B1 (ko) 반려동물 주인의 귀가 시간을 예측하기 위한 장치
US11523588B2 (en) Device for directing a pet's gaze during video calling
KR20180017882A (ko) 애완동물에 의한 주인 호출 기능을 갖는 양방향 교감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