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7339B1 - 스마트 기기를 포함하는 하네스 및 이를 이용하는 반려 동물 케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마트 기기를 포함하는 하네스 및 이를 이용하는 반려 동물 케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7339B1
KR102457339B1 KR1020220008479A KR20220008479A KR102457339B1 KR 102457339 B1 KR102457339 B1 KR 102457339B1 KR 1020220008479 A KR1020220008479 A KR 1020220008479A KR 20220008479 A KR20220008479 A KR 20220008479A KR 102457339 B1 KR102457339 B1 KR 1024573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rness
companion animal
user
user terminal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84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영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랩
Priority to KR10202200084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73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73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73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7/00Leads or collars, e.g. for dogs
    • A01K27/002Harness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1/00Marking of animals
    • A01K11/006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s for animals, e.g. electronic devices, transponders for 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9/00Other apparatus for animal husbandry
    • A01K29/005Monitoring or measuring activity, e.g. detecting heat or m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1Measuring pressure in heart or blood vess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 G06V40/13Sensors therefor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8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associated with devices performing functions other than acoustics, e.g. electric candl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ard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arket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atholog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Physiology (AREA)
  • Birds (AREA)
  • Zo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기기를 포함하는 반려 동물용 하네스 및 이를 이용하는 반려 동물 케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스마트 기기로서, 마이크, 스피커, 상기 반려 동물 및 상기 반려 동물 주변을 촬영하도록 구성된 카메라, 인터넷에 접속함으로써 관리 서버 및 사용자 단말과 통신하도록 구성된 통신 모듈, 상기 반려 동물의 생체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된 생체 센서, 상기 하네스의 손잡이의 적어도 일부분에 배치되는 지문 센서, 및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마이크를 통해 획득한 주변의 소리 정보를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서버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서버를 통해 입력된 음성 데이터를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고, 상기 카메라를 통해 획득한 이미지를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서버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바, 반려 동물을 위한 고품질 양육 서비스 및 헬스 케어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마트 기기를 포함하는 하네스 및 이를 이용하는 반려 동물 케어 시스템{HARNESS INCLUDING SMART DEVICE AND COMPANION ANIMAL CARE SYSTEM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스마트 기기를 포함하는 반려 동물용 하네스 및 이를 이용하는 반려 동물 케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반려 동물에 대한 사회적 인식의 발달과 가구형태의 변화로 인해 반려동물 수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반려동물을 위한 고품질 양육방법과 헬스케어에 대한 관심이 많아지면서 반려동물의 사료와 의약품, 생활용품, 의료서비스 등을 포함한 연관산업도 급속도로 성장하고 있다.
최근, 댁내에 구비된 CCTV를 이용하여 반려 동물의 상태를 원격지에서 모니터링할 수 있는 기능을 탑재한 서비스들이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서비스들은 CCTV가 설치된 구역 내에서만 반려 동물의 행동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한계점이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인터넷과 연결 가능한 스마트 기기를 포함한 하네스로서, 상기 하네스는 반려 동물 및/또는 반려 동물 주변을 촬영 가능한 카메라, 주변의 소리를 녹음할 수 있는 마이크, 및 사용자의 음성을 출력할 수 있는 스피커를 포함함으로써 반려 동물을 위한 고품질 양육 서비스 및 헬스 케어를 제공 가능한 하네스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하네스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은, 스마트 기기로서, 마이크, 스피커, 및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마이크를 통해 획득한 주변의 소리 정보를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서버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서버를 통해 입력된 음성 데이터를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하네스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으로는, 반려 동물을 위한 고품질 양육 서비스 및 헬스 케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반려 동물을 잃어버렸을 때, 쉽고 빠르게 반려 동물을 되찾을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를 포함하는 하네스 및 이를 이용하는 반려 동물 케어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하네스의 구성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네스의 동작을 설명한 흐름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를 포함하는 하네스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네스의 보안 기능을 설명한 흐름도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를 포함하는 하네스(110) 및 이를 이용하는 반려 동물 케어 시스템(10)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를 포함하는 하네스(110)를 이용하는 시스템(10)은, 스마트 기기를 포함하는 하네스(110), 하네스(110)와 통신하는 서버(130), 및 사용자 단말(120)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20)은,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PC와 같은 모바일 장치, 또는 PC 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120)은, 반려 동물(100) 케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지정된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는 것에 의해 하네스(110)를 이용한 반려 동물(100) 케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20)은 인터넷을 통해 서버(130)에 접속하고, 서버(130)를 통해 간접적으로 하네스(110)를 관리 및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120)은 근거리 통신(예: 블루투스, 와이파이)을 통해 하네스(110)와 직접적으로 연결됨으로써, 하네스(110)를 관리 및 제어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하네스(110)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네스(110)는 스마트 기기로서, 마이크(220), 스피커(230), 반려 동물(100) 및 반려 동물(100) 주변을 촬영하도록 구성된 카메라(240), 인터넷에 접속함으로써 관리 서버(130) 및 사용자 단말(120)과 통신하도록 구성된 통신 모듈(250), 반려 동물(100)의 생체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된 생체 센서(260), 하네스(110)의 손잡이(예: 도 3b의 111)의 적어도 일부분에 배치되는 지문 센서(270), 및 제어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마이크(220)를 통해 획득한 주변의 소리 정보를 통신 모듈(250)을 통해 서버(130) 및 사용자 단말(120)로 전송한다. 사용자 단말(120)을 획득된 소리 정보를 사용자에게 출력하도록 구성되고,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20)을 통해 반려 동물(100) 또는 반려 동물(100) 주변의 소리를 확인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사용자 단말(120)로부터 서버(130)를 통해 입력된 음성 데이터를 스피커(230)를 통해 출력한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20)을 통해 음성 데이터를 입력하고, 사용자 단말(120)에 입력된 음성 데이터는 서버(130)틀 통해 하네스(110)로 전달되거나, 또는 직접적으로 하네스(110)로 전달될 수 있다. 음성 데이터를 입력받은 하네스(110)는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120)을 통해 입력한 음성 데이터를 출력함으로써, 반려 동물(100) 또는 반려 동물(100) 주변에 위치한 다른 사용자에게 음성을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는, 반려 동물(100)을 잃어버린 경우에, 반려 동물(100)을 찾아달라는 취지를 포함한 음성 데이터를 하네스(110)가 출력하도록 할 수 있고, 이는 분실된 반려 동물(100) 주변의 다른 사용자에게 전달될 수 있다.
제어부(210)는 카메라(240)를 통해 획득한 반려 동물(100)의 이미지 및 반려 동물(100) 주변의 이미지를 통신 모듈(250)을 통해 서버(130) 및 사용자 단말(120)로 전송한다. 사용자 단말(120)은 획득된 이미지를 사용자에게 표시하도록 구성되고,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20)을 통해 반려 동물(100)의 이미지 및 반려 동물(100) 주변의 이미지를 확인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는, 반려 동물(100)을 잃어버린 경우에, 반려 동물(100)의 이미지 및 반려 동물(100) 주변의 이미지를 확인함으로써, 용이하게 반려 동물(100)의 현재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210)는 생체 센서(260)를 통해 반려 동물(100)의 생체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생체 정보를 서버(130) 및/또는 사용자 단말(120)로 전송할 수 있다. 생체 정보는, 예를 들면, 반려 동물(100)의, 심박수, 또는 혈압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네스(110)는 디스플레이(예: 도 3b의 디스플레이(11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112)는 반려 동물(100)의 생체 정보와 연관된 제 1 암호화 정보(예: 도 3b의 제 1 암호화 정보(QR)) 및/또는 반려 동물(100)의 주인의 개인 정보와 연관된 제 2 암호화 정보를 표시한다.
제어부(210)는 하네스(110)의 손잡이(111)를 통한 사용자의 그립이 감지되면, 디스플레이(1112)가 제 1 암호화 정보(QR)를 표시하도록 함으로써, 외부 장치가 제 1 암호화 정보(QR)를 인식하였을 때 반려 동물(100)의 신체 상태에 대응하는 추천 의료 서비스, 또는 추천 사료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사용자 단말(120)을 통해 제공받도록 한다. 예를 들어, 제 1 암호화 정보(QR)는 반려 동물(100)의 신체 상태, 예컨대 생체 정보에 대응하는 바코드 정보일 수 있다. 사용자는 반려 동물(100) 용품 매장에서 하네스(110)의 디스플레이(1112)를 통해 표시되는 제 1 암호화 정보(QR)를 외부 장치(예: 바코드 인식 장치)에 태그함으로써, 추천 사료를 확인하는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유사하게, 사용자는 동물 병원에서 하네스(110)의 디스플레이(1112)를 통해 표시되는 제 1 암호화 정보(QR)를 외부 장치(예: 바코드 인식 장치)에 태그함으로써, 반려 동물(100)의 의료 기록을 의사에게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하네스(110)의 손잡이(111)를 통한 사용자의 그립이 감지되지 않으면, 디스플레이(1112)가 제 2 암호화 정보를 표시하도록 함으로써, 반려 동물(100)의 분실을 방지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하네스(110)를 파지하지 않는 상태인 경우, 하네스(110)는 디스플레이(1112)를 통해 제 2 암호화 정보를 표시한다. 제 2 암호화 정보는, 예를 들어, 사용자의 주소, 전화 번호와 같은 연락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하네스(110)의 손잡이(111)를 놓쳐서 반려 동물(100)이 멀리 사라져버린 경우, 자동적으로 사용자의 주소, 전화 번호와 같은 연락처 정보를 포함한 제 2 암호화 정보를 표시하도록 함으로써 반려 동물(100)의 분실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다. 예컨대, 주인을 잃어버린 반려 동물(100)을 발견한 다른 사용자는, 디스플레이(1112)를 통해 표시되는 제 2 암호화 정보를 태그함으로써 주인을 찾아줄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인을 잃어버린 반려 동물(100)을 발견한 다른 사용자가 제 2 암호화 정보를 태그한 경우, 하네스(110)는 하네스(110)의 디스플레이(1112)가 표시 중인 제 2 암호화 정보를 인식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와 함께 자신의 위치 정보를 서버(130)로 전송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현재 반려 동물의 위치 및 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어떤 실시예에 따르면, 하네스(110)는 하네스(110)의 디스플레이(1112)가 표시 중인 제 2 암호화 정보를 인식된 것에 응답하여, 제 2 암호화 정보를 인식한 다른 사용자의 단말기(예: 스마트폰)가 반려 동물(100)의 주인에게 전화를 걸 수 있도록 자동 통화 연결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 2 암호화 정보는, 다른 사용자가 반려 동물(100)의 주인에게 전화를 걸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통화 링크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네스(110)는 하네스(110)의 손잡이(111)에 대한 사용자의 그립을 감지하기 위한 그립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네스(110)는 하네스(110)의 손잡이(111)의 적어도 일부분에 배치되는 지문 센서(2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하네스(110)의 손잡이(111)를 통한 사용자의 그립이 감지되면, 사용자의 지문을 감지한다. 제어부(210)는 감지된 사용자의 지문이 미리 등록된 지문이 아닌 경우, 서버(130) 및 사용자 단말(120)에게 반려 동물(100)의 도난 위험을 알리는 알림을 전송함으로써 반려 동물(100)의 도난을 방지할 수 있다. 예컨대, 다른 사용자가 악의적인 이유로 반려 동물(100)을 데려가기 위하여 하네스(110)의 손잡이(111)를 파지한 경우, 하네스(110)는 다른 사용자가 사전에 등록되지 않은 지문을 갖고 있는 것을 확인함에 따라 도난 위험을 알리는 알림을 전송할 수 있다.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네스(110)의 동작을 설명한 흐름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를 포함하는 하네스(11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이하, 도 3a 및 도 3b를 결부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네스(110)의 동작을 설명한다.
단계 310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하네스(110)는 손잡이(111)에 대한 사용자의 그립이 감지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네스(110)는 손잡이(111)의 그립부(1111)의 적어도 일부분에 배치된 그립 센서(미도시)를 이용해 사용자의 그립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단계 320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하네스(110)는 손잡이(111)에 대한 사용자의 그립이 감지되면, 디스플레이(1112)를 통해 제 1 암호화 정보(QR)를 표시하도록 함으로써, 외부 장치가 제 1 암호화 정보(QR)를 인식하였을 때 반려 동물(100)의 신체 상태에 대응하는 추천 의료 서비스, 또는 추천 사료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사용자 단말(120)을 통해 제공받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암호화 정보(QR)는 QR 코드, 또는 바코드와 같은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단계 330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하네스(110)는 손잡이(111)에 대한 사용자의 그립이 감지되지 않으면, 디스플레이(1112)가 제 2 암호화 정보를 표시하도록 함으로써, 반려 동물(100)의 분실을 방지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하네스(110)를 파지하지 않는 상태인 경우, 하네스(110)는 디스플레이(1112)를 통해 제 2 암호화 정보를 표시한다. 제 2 암호화 정보는, 예를 들어, 사용자의 주소, 전화 번호와 같은 연락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암호화 정보는 QR 코드, 또는 바코드와 같은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해당 정보가 특정 단말기에 의해 인식될 경우, 제 2 암호화 정보가 인식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와 함께 하네스(110)의 위치 정보를 서버(130)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반려 동물(100)을 분실하였을 때, 분실된 반려 동물(100)을 발견한 특정 사용자가 하네스(110)의 디스플레이(1112)가 표시 중인 제 2 암호화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이 경우, 하네스(110)는 하네스(110)의 디스플레이(1112)가 표시 중인 제 2 암호화 정보를 인식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와 함께 자신의 위치 정보를 서버(130)로 전송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현재 반려 동물의 위치 및 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네스(110)의 보안 기능을 설명한 흐름도이다.
단계 410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하네스(110)는 손잡이(111)에 대한 사용자의 그립이 감지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네스(110)는 그립 센서를 이용해 사용자의 그립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단계 410은 도 3의 단계 31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또는 유사할 수 있다.
단계 420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하네스(110)는 하네스(110)의 손잡이(111)를 통한 사용자의 그립이 감지되면, 지문 센서(270)를 통해 사용자의 지문을 감지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지문 센서(270)는 하네스(110)의 손잡이(111)의 그립부(1111)의 적어도 일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단계 430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하네스(110)는 감지된 사용자의 지문이 미리 등록된 지문이 아닌 경우, 서버(130) 및 사용자 단말(120)에게 반려 동물(100)의 도난 위험을 알리는 알림을 전송함으로써 반려 동물(100)의 도난을 방지할 수 있다. 예컨대, 다른 사용자가 악의적인 이유로 반려 동물(100)을 데려가기 위하여 하네스(110)의 손잡이(111)를 파지한 경우, 하네스(110)는 다른 사용자가 사전에 등록되지 않은 지문을 갖고 있는 것을 확인함에 따라 도난 위험을 알리는 알림을 전송할 수 있다.
이상,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하네스(110)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10)으로는, 반려 동물(100)을 위한 고품질 양육 서비스 및 헬스 케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반려 동물(100)을 잃어버렸을 때, 쉽고 빠르게 반려 동물(100)을 되찾을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나 분야를 이탈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한 것이다.
100: 반려 동물
110: 하네스
120: 사용자 단말
130: 서버

Claims (8)

  1. 반려 동물이 착용하기 위한 하네스에 있어서, 상기 하네스는 스마트 기기로서,
    마이크;
    스피커;
    상기 반려 동물 및 상기 반려 동물 주변을 촬영하도록 구성된 카메라;
    인터넷에 접속함으로써 관리 서버 및 사용자 단말과 통신하도록 구성된 통신 모듈;
    상기 반려 동물의 생체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된 생체 센서;
    상기 하네스의 손잡이를 통한 사용자의 그립 여부에 기반하여, 상기 반려 동물의 생체 정보와 연관된 제 1 암호화 정보 또는 상기 반려 동물의 주인의 개인 정보와 연관된 제 2 암호화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상기 하네스의 손잡이의 적어도 일부분에 배치되는 지문 센서; 및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마이크를 통해 획득한 주변의 소리 정보를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서버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서버를 통해 입력된 음성 데이터를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고,
    상기 하네스의 손잡이를 통한 사용자의 그립이 감지되면, 상기 디스플레이가 상기 반려 동물의 생체 정보와 연관된 상기 제 1 암호화 정보를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및
    상기 하네스의 손잡이를 통한 사용자의 그립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디스플레이가 상기 반려 동물의 주인의 개인 정보와 연관된 제 2 암호화 정보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하네스.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를 통해 획득한 상기 반려 동물의 이미지 및 상기 반려 동물 주변의 이미지를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서버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하네스.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반려 동물의 상기 생체 정보를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서버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생체 정보는 상기 반려 동물의 혈압 및 심박수를 포함하는,
    하네스.
  5. 삭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네스의 상기 손잡이의 적어도 일부분에 배치되는 지문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하네스의 상기 손잡이를 통한 사용자의 그립이 감지되면, 상기 사용자의 지문을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사용자의 지문이 미리 등록된 지문이 아닌 경우, 상기 서버 및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상기 반려 동물의 도난 위험을 알리는 알림을 전송하는,
    하네스.
  8. 상기 청구항 1, 상기 청구항 3, 상기 청구항 4, 및 상기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상기 하네스를 포함하는, 반려 동물 케어 시스템.
KR1020220008479A 2022-01-20 2022-01-20 스마트 기기를 포함하는 하네스 및 이를 이용하는 반려 동물 케어 시스템 KR1024573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8479A KR102457339B1 (ko) 2022-01-20 2022-01-20 스마트 기기를 포함하는 하네스 및 이를 이용하는 반려 동물 케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8479A KR102457339B1 (ko) 2022-01-20 2022-01-20 스마트 기기를 포함하는 하네스 및 이를 이용하는 반려 동물 케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7339B1 true KR102457339B1 (ko) 2022-10-21

Family

ID=838053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8479A KR102457339B1 (ko) 2022-01-20 2022-01-20 스마트 기기를 포함하는 하네스 및 이를 이용하는 반려 동물 케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7339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89834A (ko) * 2014-01-28 2015-08-05 삼성전자주식회사 생체 신호를 측정하는 원격 제어 장치
KR20170014208A (ko) * 2015-07-29 2017-02-08 주식회사 퍼플마린 반려 동물용 통신 장치
KR20190047581A (ko) * 2017-10-27 2019-05-08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반려동물의 행동 제어 시스템
KR20190079178A (ko) * 2017-12-27 2019-07-05 주식회사 빅오이 반려동물 모니터링 시스템
KR20200005952A (ko) * 2018-07-09 2020-01-17 정성원 반려동물 상태 알림 시스템
KR20210046386A (ko) * 2019-10-18 2021-04-28 (주)똑독 반려견 스마트 자동 리드줄
KR20210099468A (ko) * 2020-02-04 2021-08-12 엘지전자 주식회사 펫 태그를 포함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89834A (ko) * 2014-01-28 2015-08-05 삼성전자주식회사 생체 신호를 측정하는 원격 제어 장치
KR20170014208A (ko) * 2015-07-29 2017-02-08 주식회사 퍼플마린 반려 동물용 통신 장치
KR20190047581A (ko) * 2017-10-27 2019-05-08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반려동물의 행동 제어 시스템
KR20190079178A (ko) * 2017-12-27 2019-07-05 주식회사 빅오이 반려동물 모니터링 시스템
KR20200005952A (ko) * 2018-07-09 2020-01-17 정성원 반려동물 상태 알림 시스템
KR20210046386A (ko) * 2019-10-18 2021-04-28 (주)똑독 반려견 스마트 자동 리드줄
KR20210099468A (ko) * 2020-02-04 2021-08-12 엘지전자 주식회사 펫 태그를 포함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18461B2 (en) Matched communicating devices
KR102276900B1 (ko) 모바일 장치 및 위급 상황 알림 시스템
US10667313B2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the pairing status between two devices
KR101654609B1 (ko) 거동이 불편한 자, 장애인 및 독거노인을 위한 원격 스마트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US9959425B2 (en) Method and system of privacy protection in antagonistic social milieu/dark privacy spots
KR20150093044A (ko) Nfc를 이용한 근태관리시스템
US20230053110A1 (en) Data control system for a data server and a plurality of cellular phones, a data server for the system, and a cellular phone for the system
KR20150113731A (ko) 반려동물 관리 장치 및 반려동물 관리 시스템
KR20200117142A (ko) 애완동물 인터랙션 장치
KR20150041939A (ko) 실시간 이벤트 감지를 통한 도어 감시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362763B1 (ko) 장치간 컨텐츠 전송 방법 및 컨텐츠 전송 장치
JP2019091233A (ja) 通知制御システム、通知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2457339B1 (ko) 스마트 기기를 포함하는 하네스 및 이를 이용하는 반려 동물 케어 시스템
KR101281832B1 (ko) 애완견 위치알림 시스템
JP7060977B2 (ja) ドアベル
KR101680746B1 (ko) 씨씨티브이 시스템
KR20100005967U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환자관리 시스템
US20140176329A1 (en) System for emergency rescue
KR101622610B1 (ko) Uwb 센서를 이용한 홈 무선 네트워크 카메라 스마트 인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인증 방법
JP2003000085A (ja) ペット監視システム
KR101170339B1 (ko) 표정 인식을 이용한 이상상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그 단말 및 원격감시장치
KR102527208B1 (ko) 반려동물 관리 서비스 융합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융합 시스템
KR102139026B1 (ko) 비녹화 휴대용 블랙박스를 이용한 영상 녹화 시스템 및 방법
US10887552B1 (en) Door-knocking for teleconferencing
KR20080064345A (ko) 휴대형단말기를 이용한 원격 모니터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