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3731A - 반려동물 관리 장치 및 반려동물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반려동물 관리 장치 및 반려동물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3731A
KR20150113731A KR1020140038140A KR20140038140A KR20150113731A KR 20150113731 A KR20150113731 A KR 20150113731A KR 1020140038140 A KR1020140038140 A KR 1020140038140A KR 20140038140 A KR20140038140 A KR 20140038140A KR 20150113731 A KR20150113731 A KR 201501137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anion animal
user
server system
information
vo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81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빈
Original Assignee
김성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빈 filed Critical 김성빈
Priority to KR10201400381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13731A/ko
Publication of KR201501137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37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9/00Other apparatus for animal husbandry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Marketing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반려동물에 탈부착될 수 있는 반려동물 관리 장치, 사용자 컴퓨터에서 실행되는 반려동물 관리 툴, 및 서버 시스템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반려동물 관리 시스템이 개시된다. 반려동물 관리 툴은 반려동물 관리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감시정보를 서버 시스템으로 전송하고, 서버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되는 음성출력명령을 반려동물 관리 장치로 전달하여, 반려동물 관리 장치에서 유저의 음성이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서버 시스템은 유저가 원격지에서 자신의 반려동물에 관한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하고, 반려동물 관리 툴로 음성출력명령을 전송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족의 구성원과 같이 취급되는 소중한 반려동물을 더욱 충실하게 보호하고 관리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반려동물 관리 장치 및 반려동물 관리 시스템{ Apparatus and System for Pet Management }
본 발명은 반려동물 관리를 위한 장치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반려동물의 생체정보나 주변환경정보 등을 사용자 컴퓨터에서 받아 서버로 전송하도록 하고, 원격지의 유저는 서버를 통해 자신의 반려동물에 관한 상태를 모니터링 하거나 자신의 음성 들려 주어 반려동물을 안정시킬 수 있도록 한다.
소득 수준이 향상되면서 반려동물을 키우는 가정이 늘고 있으며, 반려동물은 마치 가족의 구성원처럼 받아 들여지고 있다.
그런데 주인이 직장이나 외출 등으로 인해 반려동물과 함께 있기 어려운 상황이 종종 발생한다.
주인이 반려동물과 함께 있지 못할 때는 반려동물을 보살피는 것이 현실적으로 불가능하여 방치될 수 밖에 없고, 반려동물의 위급 상황 등을 인지할 수 없어 그에 대처하기 어렵다.
그러므로, 주인이 원격지에서도 반려동물에 관한 상태를 모니터링 하고, 특이한 상황이 발생했을 때는 그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해 줄 필요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부응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주인이 원격지에서도 반려동물에 관한 상태를 모니터링 하고, 상황에 따라 적절히 대응할 수 있도록 해 주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 관리 장치는 반려동물에 탈부착될 수 있는 장치로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모듈; 상기 반려동물의 생체정보와 주변환경정보를 측정하는 센서; 무선 통신방식에 의해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모듈; 음성을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 모듈; 및 상기 각 센서에서 측정된 감시정보(생체정보와 주변환경정보)를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전송하고,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수신되는 유저의 음성을 상기 스피커 모듈을 통해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반려동물의 주변환경정보를 측정하는 센서는 주변 온도를 측정하는 센서, 소리를 측정하는 센서, 및 습도를 측정하는 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모듈은 근거리 무선 통신방식을 통해 주위의 사용자 컴퓨터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모듈과, 무선으로 인터넷망에 접속하기 위한 통신모듈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 관리 시스템은 상기 반려동물 관리 장치, 사용자 컴퓨터에서 실행되어 상기 반려동물 관리 장치와 근거리 무선 통신방식에 따라 통신하는 반려동물 관리 툴, 및 통신망을 통해 상기 반려동물 관리 툴과 통신하는 서버 시스템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반려동물 관리 툴은 상기 반려동물 관리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감시정보를 상기 서버 시스템으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되는 음성출력명령에 따라 유저의 음성을 상기 반려동물 관리 장치로 전송한다.
상기 서버 시스템은 상기 반려동물 관리 툴로부터 수신된 반려동물의 감시정보를 저장하여 관리하고, 유저가 자신의 반려동물에 관한 감시정보를 조회할 수 있도록 처리하며, 상기 반려동물 관리 툴로 음성출력명령을 전송한다.
상기 유저의 음성은 상기 사용자 컴퓨터, 및 상기 서버 시스템 중 하나 이상에 저장될 수 있으며, 상기 서버 시스템이 통신망을 통해 유저로부터 실시간으로 수신할 수도 있다.
상기 반려동물 관리 장치의 전원은 상기 반려동물 관리 툴의 전원 오프 명령에 의해서만 차단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서버 시스템은 수집된 감시정보를 분석한 결과에 따라 기 설정된 연락처로 알람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반려동물을 키우는 유저가 원격지에서도 반려동물의 상태를 손쉽게 모니터링 할 수 있으며, 자신의 음성을 반려동물에게 전달하여 반려동물을 안정시키고 편안하게 해 줄 수도 있다.
또한, 반려동물이 비정상적인 상황에 있는 것으로 감지되면, 유저나 주위의 동물병원 등에 알람 신호를 보내어 즉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므로, 가족의 구성원과 같이 취급되는 소중한 반려동물을 더욱 충실하게 보호하고 관리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반려동물의 관리가 이루어지는 시스템의 구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 관리 장치의 일 실시예,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 관리 시스템의 일 실시예,
도 4는 서버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 관한 기능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반려동물'이란 그 명칭에 관계없이 유저가 키우는 동물을 의미한다.
또한, 반려동물을 키우는 장소를 유저의 '댁내'로 설명하지만, 반려동물을 키우는 장소에는 제한이 없다.
도 1을 참조하자면, 각 유저는 댁내(19)에 반려동물(11)을 키우고 있으며, 반려동물 관리 장치(110)는 반려동물(11)에 탈부착되는 형태로 구성되고, 반려동물 관리 툴(120)은 반려동물 관리 장치(110)로부터 생체정보나 주변환경정보 등을 받아 통신망(41)을 통해 서버 시스템(130)으로 전송한다.
각 유저는 유저 단말(43)을 이용하여 서버 시스템(130)에 접속하고, 댁내(19)에 있는 반려동물(11)의 상태를 모니터링 하거나, 자신의 음성을 반려동물(11)에게 들려 줄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자면,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 관리 장치(110)는 각종 센서(111), 음성을 출력하는 스피커 모듈(112), 통신모듈(113), 전원모듈(114), 제어부(11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반려동물 관리 장치(110)는 반려동물에 탈부착되는 형태로 구성된다. 예컨대 반려동물 관리 장치(110)는 센서의 종류나 디자인 등을 고려하여 옷의 형태, 목걸이의 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센서(111)에는 반려동물의 생체정보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111-1,111-2), 반려동물의 주변환경정보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111-3~111-5), 반려동물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한 센서(111-6)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반려동물의 생체정보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의 예로는 반려동물의 심박을 측정하는 센서(111-1)와 반려동물의 뇌파를 측정하는 센서(111-2)를 들 수 있고, 반려동물의 주변환경을 측정하는 센서의 예로는 반려동물 주변의 대기 온도를 측정하는 센서(111-3), 소리를 측정하는 센서(111-4), 습도를 측정하는 센서(111-5) 등을 들 수 있다.
반려동물의 생체정보는 반려동물의 신체 상태를 파악하기 위한 기초 자료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고, 반려동물의 주변환경정보는 주변 상황을 파악하기 위한 기초 자료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전원모듈(114)은 반려동물 관리 장치(110)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며, 배터리를 이용할 수 있다.
전원모듈(114)은 전원을 온/오프(On/Off) 시킬 수 있도록 전원 스위치(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고, 반려동물 관리 툴(120)에 의해서만 전원의 차단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즉, 반려동물 관리 툴(120)로부터 전원제어신호가 수신되었을 때만 제어부(115)가 전원을 차단하도록 구성하면, 예기치 못한 이유로 전원모듈(114)의 전원이 차단되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다.
통신모듈(113)은 무선 통신방식에 의해 통신을 수행한다.
구체적인 예로서, 통신모듈(113)은 블루투스(BlueTooth)와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방식에 따라 댁내의 반려동물 관리 툴(120)과 통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모듈(113)은 근거리 무선 통신방식에 따른 모듈과, 무선으로 인터넷망에 접속할 수 있는 모듈을 모두 포함할 수도 있다.
스피커 모듈(112)은 반려동물을 키우는 유저의 음성을 출력하는데, 주인의 음성은 반려동물을 안정시키거나 특정 행동을 하도록 유도하는 등 다양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유저의 음성 이외에도 음악 등 얼마든지 다양한 소리를 출력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어부(115)는 각 센서(111)를 통해 측정된 감시정보(생체정보, 주변환경정보, 위치정보)를 통신모듈(113)을 통해 전송한다. 또한 통신모듈(113)을 통해 수신되는 음성출력명령에 따라 스피커 모듈(112)을 통해 유저의 음성을 출력한다.
반려동물 관리 장치(110)에는 고유한 식별정보(아이디)가 부여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어부(115)는 감시정보와 함께 식별정보를 전송한다.
도 3을 참조하자면,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 관리 시스템(100)은 반려동물 관리 장치(110), 반려동물 관리 툴(120), 및 서버 시스템(1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반려동물 관리 툴(120)은 사용자 컴퓨터(30)에 설치되어 실행되며, 반려동물 관리 장치(110)로부터 수신되는 감시정보를 서버 시스템(130)으로 전송하고, 음성출력명령과 유저의 음성을 반려동물 관리 장치(110)로 전송하여 유저의 음성이 반려동물 관리 장치(110)에서 출력되도록 처리한다.
반려동물 관리 툴(120)이 실행되는 사용자 컴퓨터(30)는 반려동물 관리 장치(110)와 근거리 무선 통신방식에 의해 통신할 수 있는 제1통신부(31)와, 인터넷망 등의 통신망(41)에 접속할 수 있는 제2통신부(32)를 구비한다.
이러한 사용자 컴퓨터(30)로는 반려동물과 같은 댁내에 위치한 임의의 컴퓨터가 사용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예로서 개인용 컴퓨터(PC: Personal Computer)나 노트북 컴퓨터를 들 수 있다.
반려동물 관리 툴(120)은 다양한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하여 유저와 인터페이스 할 수 있다.
서버 시스템(130)은 각 유저의 반려동물 관리 툴(120)과 통신망(41)을 통해 통신하며, 반려동물 관리 툴(120)로부터 수신된 각 반려동물의 감시정보를 저장하여 관리하고, 각 유저가 유저 단말(43)을 통해 접속하여 자신의 반려동물에 관한 상태를 조회할 수 있도록 처리한다.
서버 시스템(130)은 통신망(41)을 통해 반려동물 관리 툴(120)과 통신하고, 유저와 인터페이스 하는 서버(130-1), 반려동물 관리 서비스에 필요한 각종 정보를 유지하는 데이터베이스(130-3), 데이터베이스(130-3)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DBMS(130-2: Database Management System)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유저 단말(43)은 서버 시스템(130)이 제공하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임의의 컴퓨터 장치일 수 있으며, 구체적인 예로서 개인용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스마트 폰이나 태블릿 컴퓨터 등의 모바일 단말을 들 수 있다.
서버 시스템(130)은 웹 상에서 유저와 인터페이스 할 수도 있고, 스마트 폰이나 태블릿 컴퓨터와 같은 모바일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유저와 인터페이스 할 수도 있으며, 다양한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하여 유저와 인터페이스 할 수 있다.
서버 시스템(130)은 회원으로 가입한 유저를 대상으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때 유저는 로그인 한 후 반려동물 관리 서비스를 이용한다.
도 4는 서버 시스템(130)의 일 실시예에 관한 기능 블록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서버 시스템(130)은 감시정보 수신 수단(131), 조회 수단(132), 알람 처리 수단(133), 음성 처리 수단(134)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감시정보 수신 수단(131)은 각 반려동물 관리 툴(120)로부터 반려동물의 생체정보, 주변환경정보, 위치 정보 등의 감시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130-3)에 저장하여 관리한다.
감시정보 수신 수단(131)은 반려동물 관리 장치(110)로부터 직접 감시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조회 수단(132)은 통신망(41)을 통해 접속한 유저가 자신의 반려동물 상태를 조회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조회 수단(132)은 유저가 자신의 반려동물 상태를 조회할 수 있도록 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조회 수단(132)은 웹 페이지 형태의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조회 수단(132)은 유저에게 반려동물의 감시정보를 다양한 형식으로 가공하여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반려동물의 이력이나 히스토리 정보를 다양한 형식의 그래프로 도식화 하여 제공할 수 있다.
알람 처리 수단(133)은 반려동물의 감시정보를 분석하여 이상 상태라고 판단되면 이를 유저에게 알려 준다.
예컨대 알람 처리 수단(133)은 반려동물의 감시정보를 기 설정된 기준값(예: 정상적인 심박수, 정상적인 뇌파, 정상적인 댁내 온도, 정상적인 댁내 습도, 정상적인 주변 소음 레벨 등)과 비교하여, 그 범위를 벗어난 경우 이상 상태에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반려동물이 이상 상태에 있다고 판단된 경우, 알람 처리 수단(133)은 다양한 방법으로 이를 알려줄 수 있다. 예컨대 알람 처리 수단(133)은 유저의 모바일 기기 번호, 유저가 등록해 놓은 댁내 근처의 반려동물병원 등의 연락처로 알람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알람 처리 수단(133)은 반려동물의 생체정보를 기초로 현재 건강상태에 관한 진단 정보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음성 처리 수단(134)은 유저가 자신의 반려동물에게 자신의 음성을 들려 줄 수 있도록 처리한다. 이를 위하여 음성 처리 수단(134)은 유저가 음성출력을 요청할 수 있도록 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유저의 음성은 사용자 컴퓨터(30)나 서버 시스템(130)에 미리 입력해 놓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유저가 서버 시스템(130)에 접속하여 실시간으로 입력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유저의 음성이 사용자 컴퓨터(30)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 음성 처리 수단(134)은 반려동물 관리 툴(120)로 음성출력명령을 전송하고, 반려동물 관리 툴(120)은 사용자 컴퓨터(30)에 저장되어 있는 유저의 음성과 음성출력명령을 반려동물 관리 장치(110)로 전송한다.
유저의 음성이 서버 시스템(130)에 저장되어 있거나 실시간으로 입력 되는 경우, 음성 처리 수단(134)은 반려동물 관리 툴(120)로 유저의 음성과 음성출력명령을 전송하고, 반려동물 관리 툴(120)은 서버 시스템(130)으로부터 수신되는 유저의 음성과 음성출력명령을 반려동물 관리 장치(110)로 전송한다.
음성 처리 수단(134)은 유저의 요청에 따라 반려동물 관리 툴(120)로 음성출력명령을 전송할 수 있지만,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자동적으로 음성출력명령을 전송할 수도 있다. 예를 들자면, 주기적으로 또는 알람 처리 수단(133)에 의해 반려동물이 이상 상태에 있다고 판단된 경우, 반려동물 관리 툴(120)로 음성출력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임은 물론이다.
11: 반려동물 19: 댁내
30: 사용자 컴퓨터 31: 제1통신부
32: 제2통신부 41: 통신망
43: 유저 단말 110: 반려동물 관리 장치
111: 센서 112: 스피커 모듈
113: 통신모듈 114: 전원모듈
115: 제어부 120: 반려동물 관리 툴
130: 서버 시스템 130-1: 서버
130-2: DBMS 130-3: 데이터베이스
131: 감시정보 수신 수단 132: 조회 수단
133: 알람 처리 수단 134: 음성 처리 수단

Claims (6)

  1. 반려동물에 탈부착될 수 있는 반려동물 관리 장치로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모듈;
    상기 반려동물의 생체정보와 주변환경정보를 측정하는 센서;
    무선 통신방식에 의해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모듈;
    음성을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 모듈; 및
    상기 각 센서에서 측정된 감시정보(생체정보와 주변환경정보)를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전송하고,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수신되는 유저의 음성을 상기 스피커 모듈을 통해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반려동물 관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려동물의 주변환경정보를 측정하는 센서는 주변 온도를 측정하는 센서, 소리를 측정하는 센서, 및 습도를 측정하는 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반려동물 관리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모듈은 근거리 무선 통신방식을 통해 주위의 사용자 컴퓨터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모듈과, 무선으로 인터넷망에 접속하기 위한 통신모듈을 모두 포함하는 반려동물 관리 장치.
  4. 상기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반려동물 관리 장치;
    사용자 컴퓨터에서 실행되어 상기 반려동물 관리 장치와 근거리 무선 통신방식에 따라 통신하는 반려동물 관리 툴; 및
    통신망을 통해 상기 반려동물 관리 툴과 통신하는 서버 시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반려동물 관리 툴은 상기 반려동물 관리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감시정보를 상기 서버 시스템으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되는 음성출력명령에 따라 유저의 음성을 상기 반려동물 관리 장치로 전송하며,
    상기 서버 시스템은 상기 반려동물 관리 툴로부터 수신된 반려동물의 감시정보를 저장하여 관리하고, 유저가 자신의 반려동물에 관한 감시정보를 조회할 수 있도록 처리하며, 상기 반려동물 관리 툴로 음성출력명령을 전송하는 반려동물 관리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반려동물 관리 장치의 전원은 상기 반려동물 관리 툴의 전원 오프 명령에 의해서만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관리 시스템.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 시스템은 수집된 감시정보를 분석한 결과에 따라 기 설정된 연락처로 알람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관리 시스템.
KR1020140038140A 2014-03-31 2014-03-31 반려동물 관리 장치 및 반려동물 관리 시스템 KR2015011373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8140A KR20150113731A (ko) 2014-03-31 2014-03-31 반려동물 관리 장치 및 반려동물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8140A KR20150113731A (ko) 2014-03-31 2014-03-31 반려동물 관리 장치 및 반려동물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3731A true KR20150113731A (ko) 2015-10-08

Family

ID=543466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8140A KR20150113731A (ko) 2014-03-31 2014-03-31 반려동물 관리 장치 및 반려동물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13731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55287A1 (ko) * 2016-03-09 2017-09-14 최충광 반려동물 관리 장치 및 방법
KR20190050427A (ko) 2017-11-03 2019-05-13 김민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기반의 공유 관리 플랫폼을 이용한 반려동물 케어 방법
KR102139922B1 (ko) 2019-08-26 2020-07-31 이경연 반려동물 행동 감시 케어시스템
KR20210072441A (ko) * 2019-12-09 2021-06-17 서정현 반려동물 분리 불안 개선 장치
KR102359222B1 (ko) * 2020-11-30 2022-02-07 농업회사법인 유한회사 영인바이오 반려동물의 생체정보를 이용한 반려동물 관리 시스템
KR102430418B1 (ko) 2021-06-02 2022-08-09 주식회사 더블렌드 반려동물을 위한 빅데이터 기반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434203B1 (ko) 2021-11-05 2022-08-22 주식회사 펫픽 메타버스 플랫폼 네트워킹 기반 실시간 반려동물 모니터링 및 케어를 위한 온라인 펫시터 시스템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55287A1 (ko) * 2016-03-09 2017-09-14 최충광 반려동물 관리 장치 및 방법
KR20190050427A (ko) 2017-11-03 2019-05-13 김민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기반의 공유 관리 플랫폼을 이용한 반려동물 케어 방법
KR102139922B1 (ko) 2019-08-26 2020-07-31 이경연 반려동물 행동 감시 케어시스템
KR20210072441A (ko) * 2019-12-09 2021-06-17 서정현 반려동물 분리 불안 개선 장치
KR102359222B1 (ko) * 2020-11-30 2022-02-07 농업회사법인 유한회사 영인바이오 반려동물의 생체정보를 이용한 반려동물 관리 시스템
KR102430418B1 (ko) 2021-06-02 2022-08-09 주식회사 더블렌드 반려동물을 위한 빅데이터 기반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434203B1 (ko) 2021-11-05 2022-08-22 주식회사 펫픽 메타버스 플랫폼 네트워킹 기반 실시간 반려동물 모니터링 및 케어를 위한 온라인 펫시터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113731A (ko) 반려동물 관리 장치 및 반려동물 관리 시스템
US10433788B2 (en) Earpiece life monitor with capability of automatic notification system and method
US20220157145A1 (en) Daily Activity Sensor and System
AU2014321303B2 (en) Assist device and system
KR101654609B1 (ko) 거동이 불편한 자, 장애인 및 독거노인을 위한 원격 스마트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US10543137B2 (en) Patient support apparatus with remote communications
US20090149718A1 (en) System for measuring bio-signals and method of providing health care service using the same
US20070004971A1 (en) Caregiver communication system for a home environment
US9171445B2 (en) Activity level monitoring participant station network
US20200193804A1 (en) Alert communication network, associated program product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US20190320945A1 (en) Fall detection using sensors in a smart monitoring safety system
WO2015001537A2 (en) Smart activity monitoring system
US8395512B2 (en) Signature analysis systems and methods
KR101846845B1 (ko) 사물인터넷 기반 독거노인 관리 시스템
KR20100005967U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환자관리 시스템
KR20220020169A (ko) IoT 스마트 안전 조명 및 자가 방범 시스템
US20190325729A1 (en) System and Method of User Mobility Monitoring
CN115327968A (zh) 基于物联网的监护智能系统
TW201616435A (zh) 隨身安全照護方法、裝置及系統
US20170235907A1 (en) Remote healthcare system for family care
Pushpa et al. Animal Health Monitoring System
US20230195866A1 (en) Wearable communication device for use in care settings
US11164443B2 (en) Active care control method, electronic control device, central gateway device and server
KR20090002805A (ko) 상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BE1023027B1 (nl) Verbeterde methode en systeem van thuisverzorg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