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4203B1 - 메타버스 플랫폼 네트워킹 기반 실시간 반려동물 모니터링 및 케어를 위한 온라인 펫시터 시스템 - Google Patents

메타버스 플랫폼 네트워킹 기반 실시간 반려동물 모니터링 및 케어를 위한 온라인 펫시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4203B1
KR102434203B1 KR1020210151284A KR20210151284A KR102434203B1 KR 102434203 B1 KR102434203 B1 KR 102434203B1 KR 1020210151284 A KR1020210151284 A KR 1020210151284A KR 20210151284 A KR20210151284 A KR 20210151284A KR 102434203 B1 KR102434203 B1 KR 1024342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anion animal
metaverse
information
pet
re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12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펫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펫픽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펫픽
Priority to KR10202101512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4203B1/ko
Priority to PCT/KR2022/008857 priority patent/WO2023080378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42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42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1/00Marking of 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1/00Marking of animals
    • A01K11/006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s for animals, e.g. electronic devices, transponders for 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9/00Other apparatus for animal husbandry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9/00Other apparatus for animal husbandry
    • A01K29/005Monitoring or measuring activity, e.g. detecting heat or mat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15/00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7Audio in a user interface, e.g. using voice commands for navigating, audio feedbac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3/00Animation
    • G06T13/203D [Three Dimensional] animation
    • G06T13/403D [Three Dimensional] animation of characters, e.g. humans, animals or virtual being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3Navigation within 3D models or ima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20Editing of 3D images, e.g. changing shapes or colours, aligning objects or positioning part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40/00IoT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f the information processing
    • G16Y40/10Detection; Monito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7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livestock or poult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Architectur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Zoology (AREA)
  • Bird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ultimedia (AREA)
  • Biophysics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Toy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메타버스 플랫폼 네트워킹 기반 실시간 반려동물 모니터링 및 케어를 위한 온라인 펫시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반려동물에 장착되어 반려동물의 행동, 위치, 음성을 포함하는 정보를 실시간으로 측정하도록 반려동물 종류별로 구분되는 펫웨어러블디바이스와; 상기 펫웨어러블디바이스로부터 정보를 전달받아 반려동물의 캐릭터 형태의 아바타를 생성하고, 반려동물의 상태, 행동, 위치, 움직임, 감정을 포함하는 정보 및 그에 따른 해당 아바타 모습을 포함하는 현실 연동 3차원 가상환경 콘텐츠를 생성하는 메타버스 플랫폼 서버와; 상기 메타버스 플랫폼 서버로부터 전달 받은 현실 연동 3차원 가상환경 콘텐츠를 전용 웹(WEP) 또는 모바일 앱(APP)을 통해 다운로딩하고, 다운로딩된 상기 현실 연동 3차원 가상환경 콘텐츠를 디스플레이 출력하는 네트워크 클라이언트 단말기;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전용 웹(WEP) 또는 모바일 앱(APP)에서 여러 반려동물을 주인을 대신하거나 함께 모니터링 및 케어해 줄 수 있는 메타버스 플랫폼 네트워킹 기반 실시간 반려동물 모니터링 및 케어를 위한 온라인 펫시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메타버스 플랫폼 네트워킹 기반 실시간 반려동물 모니터링 및 케어를 위한 온라인 펫시터 시스템{Metaverse platform networking based online pet sitter system for real-time monitoring and care of companion animal}
본 발명은, 메타버스 플랫폼 네트워킹 기반 실시간 반려동물 모니터링 및 케어를 위한 온라인 펫시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반려동물에 장착되어 반려동물의 행동, 위치, 음성을 포함하는 정보를 실시간으로 측정하도록 반려동물 종류별로 구분되는 펫웨어러블디바이스와; 상기 펫웨어러블디바이스로부터 정보를 전달받아 반려동물의 캐릭터 형태의 아바타를 생성하고, 반려동물의 상태, 행동, 위치, 움직임, 감정을 포함하는 정보 및 그에 따른 해당 아바타 모습을 포함하는 현실 연동 3차원 가상환경 콘텐츠를 생성하는 메타버스 플랫폼 서버와; 상기 메타버스 플랫폼 서버로부터 전달 받은 현실 연동 3차원 가상환경 콘텐츠를 전용 웹(WEP) 또는 모바일 앱(APP)을 통해 다운로딩하고, 다운로딩된 상기 현실 연동 3차원 가상환경 콘텐츠를 디스플레이 출력하는 네트워크 클라이언트 단말기;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전용 웹(WEP) 또는 모바일 앱(APP)에서 여러 반려동물을 주인을 대신하거나 함께 모니터링 및 케어해 줄 수 있는 메타버스 플랫폼 네트워킹 기반 실시간 반려동물 모니터링 및 케어를 위한 온라인 펫시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소득 수준의 향상 및 인구 고령화에 따른 독신 가구수의 증가 등의 이유로 애완동물을 기르는 인구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고 있는 가운데 애완동물을 키우는 연령대도 다양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1인 가구의 증가, 저출산과 고령화 추세로 인해 애완동물을 키우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파악되며, 실제 애완동물 관련 산업도 가파른 성장세로를 보이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의 다섯 가구 중 한 가구는 반려동물과 함께 살아가는 '펫펨족'이라고 하는데, 이러한 펫펨족은 반려동물을 뜻하는 'pet'과 가족을 뜻하는 'family'가 합쳐진 신조어로, 반려동물을 단순한 동물로 생각하는 것이 아니라 마치 가족의 한 사람인 것처럼 보살피고 필요한 것을 공급해 주는 사람들을 뜻하는 것이다.
이렇듯, 사람에게 즐거움과 행복을 가져다주는 반려동물을 가족처럼 여기며 생활한다 하더라도 반려동물과 온전히 하루를 함께 보내는 것은 사실상 쉽지 않은 일이며, 사람이 집을 비우게 되면 집에 홀로 남은 반려동물은 실제로 많은 외로움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러한 부분이 염려되어 많은 사람들이 실제로 집에 반려동물 전용 cctv를 설치하여 반려동물의 상태를 모니터링 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는 단순히 시각적으로 관찰하는 것이고, 카메라 영상을 계속 지켜 보기 어렵기 때문에 놓치는 부분들이 존재할 수 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영상을 전달 받는 경우에는 데이터 전송량이 증가하는 문제도 발생한다.
따라서, 집에 홀로 남은 반려동물을 관리해주고, 필요에 따라 반려동물의 상태를 측정하여 원격에 위치한 주인에게 알려주며, 특이한 상황이 발생했을 때는 그에 대응할 수 있게 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종래 개발된 기술들을 살펴 보면, 한국공개특허 10-2015-0101760(공개일자 2015년09월04일)에는 반려동물의 울음 소리를 감지하여 반려동물 소리 신호를 생성하는 소리 센서; 상기 소리 신호를 통해 생성된 반려동물 소리 신호로부터 상기 반려동물이 비정상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상기 판단부의 판단에 의해 상기 반려동물이 비정상 상태로 판정되면 상기 반려동물을 촬영하여 반려동물 영상신호를 생성하는 카메라;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반려동물 소리 신호 및 상기 반려동물 영상 신호를 상기 반려동물의 주인의 휴대용 통신 기기로 송신하고, 상기 휴대용 통신 기기로부터 송신된 소리 신호를 수신하는 무선 통신부; 및, 상기 무선 통신부에서 수신된 소리 신호를 소리로 전환하여 내보내는 스피커(speaker);를 구비하여 구성됨에 따라 주인은 혼자 남겨진 반려동물의 상황을 정확히 파악하고, 반려동물에게 닥친 불안 또는 스트레스를 해소하기 위한 보다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는 반려동물 비정상 상태 알림 장치가 공지되어 있다.
또한, 한국공개특허 10-2015-0113731(공개일자 2015년10월08일)에는 반려동물에 탈부착될 수 있는 반려동물 관리 장치로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모듈; 상기 반려동물의 생체정보와 주변환경정보를 측정하는 센서; 무선 통신방식에 의해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모듈; 음성을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 모듈; 및 상기 각 센서에서 측정된 감시정보(생체정보와 주변환경정보)를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전송하고,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수신되는 유저의 음성을 상기 스피커 모듈을 통해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에 따라 원격지에서도 반려동물의 상태를 손쉽게 모니터링하며 음성으로 반려동물을 안정시킬 수 있는 반려동물 관리 장치가 공지되어 있다.
또한, 한국공개특허 10-2019-0079178(공개일자 2019년07월05일)에는 반려동물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된 시스템으로서, 상기 반려동물이 착용하고, 상기 반려동물의 체온 또는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반려동물 센서부와, 상기 반려동물의 울음 소리를 음성 데이터로 수신하는 중계 스테이션 장치와, 상기 중계 스테이션 장치로부터 전달되는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음성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반려동물의 상태 정보를 확인 및 분석하는 관리 서버와,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반려동물의 상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스마트 기기를 포함하는 반려동물 모니터링 시스템이 공지되어 있다.
또한, 한국공개특허 10-2020-0035695(공개일자 2020년04월06일)에는 생체 정보를 모니터링 하기 위한 생체 정보 모니터링 시스템에 있어서, 모니터링 대상 객체가 움직이면서 발생되는 동적(Dynamic) 활동 생체 정보 및 상기 모니터링 대상이 머물러 있는 상태에서의 정적(Static) 활동 생체 정보를 수집하는 모니터링 디바이스; 및 상기 모니터링 디바이스에서 수집된 상기 동적 활동 생체 정보 및 상기 정적 활동 생체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모니터링 대상 객체의 생체 상태를 판단하는 생체 상태 판단 디바이스가 공지되어 있다.
또한, 한국공개특허 10-2020-0063637(공개일자 2020년06월05일)에는 반려동물을 대상으로 심박수를 측정, 기록하는 사용자 단말; 의료 데이터가 저장되는 동물병원 장치; 및 상기 동물병원 장치의 의료 데이터를 획득하여 동기화하고 동기화된 의료 데이터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식별정보와 매칭되는 반려동물 정보를 추출하여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되, 의료 데이터와 수신된 심박수 데이터를 이용하여 반려동물의 건강상태를 분석하고 분석결과를 포함한 심박수 관련 건강정보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반려동물 관리 서비스 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심박수 모니터링 데이터베이스 기반 건강케어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이 공지되어 있다.
또한, 한국등록특허 10-2238322(등록일자 2021년04월05일)에는 반려 동물의 촬영 영상을 이용하여 모니터링하는 반려 동물 모니터링 장치가 수행하는 제어방법에 있어서, (a) 촬영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영역 중 일부를 관찰 영역으로 지정하는 단계와; (b) 상기 (a) 단계에서 지정된 관찰 영역에 대해 각각의 감도율을 설정하는 단계와; (c) 상기 (a) 단계에서 지정된 관찰 영역에 대한 정보 및 상기 (b) 단계에서 설정된 감도율을 상기 촬영 카메라에 전송하여 해당 감도율에 근거하여 각 관찰 영역 별 움직임 감지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단계와; (d) 상기 촬영 카메라로부터 소정 관찰 영역에서의 움직임 감지에 따라 촬영 영상과 해당 감지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움직임 발생 이벤트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촬영 영상 중 적어도 일부에 상기 감지 위치에 해당하는 영역을 표시한 후 관리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d) 단계에서는 상기 촬영 카메라로부터 수신된 촬영 영상을 기초로 정지 영상에 해당하는 썸네일 이미지를 생성한 후, 해당 썸네일 이미지에 상기 감지 위치에 해당하는 영역을 표시한 후 상기 관리자 단말기에 전송하되, 상기 감지 위치에 해당하는 영역이 표시된 썸네일 이미지를 저장한 후 그 저장된 네트워크 주소를 확인하고, 상기 썸네일 이미지에 대응되는 네트워크 주소를 포함하는 푸시 메시지를 상기 관리자 단말기에 전송하고, 상기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썸네일 이미지에 대응되는 네트워크 주소를 이용한 요청이 있는 경우 해당 썸네일 이미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 동물 모니터링 장치의 제어방법이 공지되어 있다.
또한, 한국공개특허 10-2021-0080226(공개일자 2021년06월30일)에는 반려동물의 영상을 획득하는 영상 획득부; 영상 획득부를 통해 획득되는 영상을 학습하는 영상 학습부; 학습 처리부의 학습결과를 기초로 하여 반려동물의 심리 상태를 파악하고 이상심리 상태와 관련된 영상정보를 추출하는 영상 추출부; 반려동물의 실시간 영상을 획득하면, 학습을 통해 추출된 이상심리 상태의 영상과 비교하여 반려동물의 실시간 영상으로부터 이상심리 상태를 판단하는 영상 판단부; 및 판단된 이상심리 상태와 대응되는 액션을 결정하여 처리하는 액션 처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모니터링 장치가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기술들은 반려동물들의 음성 또는 카메라를 통해 촬영되는 반려동물의 영상을 통해 생활 모습을 확인하기 때문에 주인이 일하면서 또는 이동하면서 계속 음성 또는 영상만을 확인할 수 없으므로 실시간 모니터링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들이 개발하여 특허받은 것으로, 한국등록특허 10-2139922(등록일자 2020년07월27일)에는 반려동물에 착용하여 움직임에 따른 가속도 및 각속도, 위치 정보를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펫디바이스와; 상기 펫디바이스에 대응하여 정보 데이터를 송/수신하되, 반려동물의 기본 정보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펫디바이스의 측정 데이터를 비교 분석하면서 반려동물의 행동을 분석하는 케어메인서버와; 휴대단말기의 저장매체에 다운로드 가능하게 구비하고, 반려동물의 기본 입력정보로부터 캐릭터 형태의 아바타 이모티콘을 생성하며, 상기 케어 메인서버와 신호를 송수신하면서 휴대단말기의 디스플레이에 반려동물의 실제 행동을 아바타 이모티콘으로 표현하는 펫아바타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펫디바이스 및 상기 케어메인서버 간에 무선통신신호를 증폭하여 중계하는 통신중계기를 포함하며, 상기 펫아바타앱 상에 상기 펫디바이스와 함께 연동하여 추가 등록 가능하되 상기 펫아바타앱 상에 아바타 이모티콘과 함께 표현 가능하게 구성하는 복수의 IoT디바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IoT디바이스는 급식기, 정수기, 하우스/베드, 헬스기기, 의료기기, 장난감기기, 드라이룸, 목욕기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며, 상기 펫아바타앱에서는 상기 펫디바이스의 측정신호를 기초로 아바타 이모티콘의 기본적인 감정표현을 실시간으로 표현 가능하고, 상기 펫아바타앱에서는 상기 펫디바이스 및 상기 IoT디바이스와의 연동 구조에서 아바타 이모티콘의 감정표현을 확장하여 실시간으로 표현 가능하게 구성하고, 상기 케어메인서버에는 반려동물의 용품을 구입할 수 있게 쇼핑몰 및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쇼핑서비스모듈을 구성하고, 상기 펫아바타앱에는 상기 케어메인서버의 쇼핑서비스모듈에 접속하여 쇼핑 및 결제 가능한 정보데이터를 획득하는 쇼핑인터페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펫아바타앱에서는 상기 쇼핑인터페이스로부터 구매한 사용자의 구매정보와 아바타 이모티콘을 연계하여 표현하게 구성하고, 상기 펫아바타앱에는 상기 펫디바이스의 가속도 또는 각속도의 측정정보로부터 반려동물의 운동 데이터를 수집하는 운동DB모듈과, 상기 운동DB모듈에서 수집한 반려동물의 활동량에 따라 포인트를 적립하는 포인트관리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반려동물 행동 감시 케어시스템을 개발하여 특허받은 바 있다.
그러나, 상기 한국등록특허 10-2139922의 경우에도, 펫디바이스와 펫아바타앱을 통하여 모니터링한다 하더라도 주인이 일하면서 또는 이동하면서 계속 실시간 모니터링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었으므로 이에 따라 집에 홀로 남은 반려동물의 실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하고, 필요 정보를 놓치지 않고 얻을 수 있도록 제3자인 펫시터를 통한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 개발이 필요하였다.
[특허문헌 001] 한국공개특허 10-2015-0101760(공개일자 2015년09월04일) [특허문헌 002] 한국공개특허 10-2015-0113731(공개일자 2015년10월08일) [특허문헌 003] 한국공개특허 10-2019-0079178(공개일자 2019년07월05일) [특허문헌 004] 한국공개특허 10-2020-0035695(공개일자 2020년04월06일) [특허문헌 005] 한국공개특허 10-2020-0063637(공개일자 2020년06월05일) [특허문헌 006] 한국등록특허 10-2238322(등록일자 2021년04월05일) [특허문헌 007] 한국공개특허 10-2021-0080226(공개일자 2021년06월30일) [특허문헌 008] 한국등록특허 10-2139922(등록일자 2020년07월27일)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반려동물에 장착되어 반려동물의 행동, 위치, 음성을 포함하는 정보를 실시간으로 측정하도록 반려동물 종류별로 구분되는 펫웨어러블디바이스와; 상기 펫웨어러블디바이스로부터 정보를 전달받아 반려동물의 캐릭터 형태의 아바타를 생성하고, 반려동물의 상태, 행동, 위치, 음성을 포함하는 정보 및 그에 따른 해당 아바타 모습을 포함하는 현실 연동 3차원 가상환경 콘텐츠를 생성하는 메타버스 플랫폼 서버와; 상기 메타버스 플랫폼 서버로부터 전달 받은 현실 연동 3차원 가상환경 콘텐츠를 다운로딩하고, 다운로딩된 상기 현실 연동 3차원 가상환경 콘텐츠를 디스플레이 출력하도록 상기 메타버스 플랫폼 서버에 로그인 되는 전용 웹(WEP) 또는 모바일 앱(APP) 네트워크 클라이언트;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전용 웹(WEP) 또는 모바일 앱(APP)에서 여러 반려동물을 주인을 대신하거나 함께 모니터링 및 케어해 줄 수 있는 메타버스 플랫폼 네트워킹 기반 실시간 반려동물 모니터링 및 케어를 위한 온라인 펫시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반려동물에 장착되어 반려동물의 행동, 위치, 음성을 포함하는 정보를 실시간으로 측정하도록 반려동물 종류별로 구분되는 펫웨어러블디바이스와; 상기 펫웨어러블디바이스로부터 정보를 전달받아 반려동물의 캐릭터 형태의 아바타를 생성하고, 반려동물의 상태, 행동, 위치, 음성을 포함하는 정보 및 그에 따른 해당 아바타 모습을 포함하는 현실 연동 3차원 가상환경 콘텐츠를 생성하는 메타버스 플랫폼 서버와; 상기 메타버스 플랫폼 서버로부터 전달 받은 현실 연동 3차원 가상환경 콘텐츠를 다운로딩하고, 다운로딩된 상기 현실 연동 3차원 가상환경 콘텐츠를 디스플레이 출력하도록 상기 메타버스 플랫폼 서버에 로그인 되는 전용 웹(WEP) 또는 모바일 앱(APP) 네트워크 클라이언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메타버스 플랫폼 네트워킹 기반 실시간 반려동물 모니터링 및 케어를 위한 온라인 펫시터 시스템을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
상기 펫웨어러블디바이스는 전체적인 외형을 나타내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형성되어, 가속도 및 각속도에 의한 행동정보, 위치정보, 음성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를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에서 감지한 정보를 상기 메타버스 플랫폼 서버로 송신하거나 상기 메타버스 플랫폼 서버로부터 음성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되, 상기 몸체부는, 반려동물의 몸에 착용 가능하도록 목걸이 또는 밴드형태로 형성되거나, 반려동물 옷, 목줄, 하네스를 포함하는 액세서리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
상기 반려동물의 상태 정보는 반려동물의 건강상태, 병력, 이름, 나이, 생일, 품종, 거주지 주소, 중성화 여부, 예방주사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
상기 반려동물의 행동 정보는 걸음수, 이동거리, 이동시간, 칼로리 소모량을 포함하는 것을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
상기 반려동물의 위치 정보는 실내 가전제품 및 가구, 반려동물의 급식기, 급수기, 침대를 포함하는 인테리어에 부착된 IoT 디바이스와 상기 펫웨어러블디바이스간의 최근접통신기반으로 측정되는 것을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
상기 메타버스 플랫폼 서버는 상기 네트워크 클라이언트의 로그인 정보가 저장된 클라이언트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클라이언트 데이터베이스를 조회하여, 상기 클라이언트의 로그인 정보의 유효성을 확인하는 클라이언트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
상기 전용 웹(WEP) 또는 모바일 앱(APP) 네트워크 클라이언트는 상기 메타버스 플랫폼 서버에 복수개 로그인되어 복수개의 현실 연동 3차원 가상환경 콘텐츠가 격자형 갤러리 화면방식 또는 계단형 개별화면방식으로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
상기 반려동물의 캐릭터 형태의 아바타는 반려동물을 촬영하고 촬영된 사진을 캐릭터로 변환시키는 기능을 사용하여 생성하는 것을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
상기 반려동물의 캐릭터 형태의 아바타는 캐릭터 디자이너가 창작한 아바타 및 액세서리를 전용 웹(WEP) 또는 모바일 앱(APP) 상의 온라인 쇼핑몰에 광고 또는 전시하여 판매 또는 구매하여 생성하는 것을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
상기 메타버스 플랫폼 서버 운영자는 상기 캐릭터 디자이너가 창작한 아바타 및 액세서리의 온라인 쇼핑몰 광고 또는 판매에 대하여 광고수수료, 판매수수료를 포함하는 수수료를 얻는 것을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
상기 반려동물의 캐릭터 형태의 아바타를 터치센싱 또는 메뉴선정하고 채팅기능을 실행하여 주인과 대화하거나 해당 반려동물의 펫웨어러블디바이스로 음성신호를 송신하여 반려동물에게 음성을 출력하는 것을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
상기 현실 연동 3차원 가상환경 콘텐츠는 배경공간을 구성하되, 소파, 탁자를 포함하는 가구와; TV, 세탁기 및 냉장고를 포함하는 가전제품과; 액자, 화분을 포함하는 일상생활소품들과; 반려동물 용품;을 포함하는 아이템을 적용하여 구성하는 것을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
본 발명의 메타버스 플랫폼 네트워킹 기반 실시간 반려동물 모니터링 및 케어를 위한 온라인 펫시터 시스템은, 반려동물에 장착되어 반려동물의 행동, 위치, 음성을 포함하는 정보를 실시간으로 측정하도록 반려동물 종류별로 구분되는 펫웨어러블디바이스와; 상기 펫웨어러블디바이스로부터 정보를 전달받아 반려동물의 캐릭터 형태의 아바타를 생성하고, 반려동물의 상태, 행동, 위치, 음성을 포함하는 정보 및 그에 따른 해당 아바타 모습을 포함하는 현실 연동 3차원 가상환경 콘텐츠를 생성하는 메타버스 플랫폼 서버와; 상기 메타버스 플랫폼 서버로부터 전달 받은 현실 연동 3차원 가상환경 콘텐츠를 다운로딩하고, 다운로딩된 상기 현실 연동 3차원 가상환경 콘텐츠를 디스플레이 출력하도록 상기 메타버스 플랫폼 서버에 로그인 되는 전용 웹(WEP) 또는 모바일 앱(APP) 네트워크 클라이언트;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전용 웹(WEP) 또는 모바일 앱(APP)에서 여러 반려동물을 주인을 대신하거나 함께 모니터링 및 케어해 줄 수 있어 집에 홀로 남은 반려동물의 실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하고, 필요 정보를 놓치지 않고 얻을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메타버스 플랫폼 네트워킹 기반 실시간 반려동물 모니터링 및 케어를 위한 온라인 펫시터 시스템의 실시예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펫웨어러블디바이스의 구성 모식도
도 3은 본 발명의 IoT 디바이스와 펫웨어러블디바이스간 통신에 의한 위치 측정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메타버스 플랫폼 서버 구성 모식도
도 5는 본 발명의 복수개 로그인 된 네트워크 클라이언트 디스플레이 실시예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반려동물의 캐릭터 형태의 아바타 온라인 쇼핑몰 실시예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배경공간 온라인 쇼핑몰 실시예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반려동물을 촬영 사진에 대한 캐릭터 변환 생성 개념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 및/또는 도면을 통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한정되지 않는다.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메타버스 플랫폼 네트워킹 기반 실시간 반려동물 모니터링 및 케어를 위한 온라인 펫시터 시스템은, 반려동물에 장착되어 반려동물의 행동, 위치, 음성을 포함하는 정보를 실시간으로 측정하도록 반려동물 종류별로 구분되는 펫웨어러블디바이스(10)와; 상기 펫웨어러블디바이스(10)로부터 정보를 전달받아 반려동물의 캐릭터 형태의 아바타를 생성하고, 반려동물의 상태, 행동, 위치, 음성을 포함하는 정보 및 그에 따른 해당 아바타 모습을 포함하는 현실 연동 3차원 가상환경 콘텐츠를 생성하는 메타버스 플랫폼 서버(20)와; 상기 메타버스 플랫폼 서버(20)로부터 전달 받은 현실 연동 3차원 가상환경 콘텐츠를 다운로딩하고, 다운로딩된 상기 현실 연동 3차원 가상환경 콘텐츠를 디스플레이 출력하도록 상기 메타버스 플랫폼 서버(20)에 로그인 되는 전용 웹(WEP) 또는 모바일 앱(APP) 네트워크 클라이언트(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펫웨어러블디바이스(1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체적인 외형을 나타내는 몸체부(11);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형성되어, 가속도 및 각속도에 의한 행동정보, 위치정보, 음성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를 감지하는 센서부(12); 및 상기 센서부에서 감지한 정보를 상기 메타버스 플랫폼 서버로 송신하거나 상기 메타버스 플랫폼 서버로부터 음성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13);를 포함하되, 상기 몸체부(11)는, 반려동물의 몸에 착용 가능하도록 목걸이 또는 밴드형태로 형성되거나, 반려동물 옷, 목줄, 하네스를 포함하는 액세서리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메타버스 플랫폼 서버(20)에서 생성되는 현실 연동 3차원 가상환경 콘텐츠에 생성되는 상기 반려동물의 상태 정보는 반려동물의 건강상태, 병력, 이름, 나이, 생일, 품종, 거주지 주소, 중성화 여부, 예방주사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상기 반려동물의 상태 정보는 상기 메타버스 플랫폼 서버(20)에 로그인 되는 전용 웹(WEP) 또는 모바일 앱(APP) 네트워크 클라이언트(30)에 의하여 입력 또는 수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반려동물의 행동 정보는 걸음수, 이동거리, 이동시간, 칼로리 소모량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상기 반려동물의 행동 정보는 펫웨어러블디바이스(10)에 의하여 상기 메타버스 플랫폼 서버(20)에 입력된다.
또한, 상기 반려동물의 위치 정보는 실내 가전제품 및 가구, 반려동물의 급식기, 급수기, 침대를 포함하는 인테리어에 부착된 IoT 디바이스(50)와 상기 펫웨어러블디바이스(10)간의 최근접통신기반으로 측정될 수 있다.
즉,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테리어에 부착된 IoT 디바이스(50)와 상기 펫웨어러블디바이스(10)간 통신에 의하여 위치 정보가 상기 메타버스 플랫폼 서버(20)에 입력될 수 있으며, 이러한 최근접통신기반에 의한 위치측정은 널리 알려진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메타버스 플랫폼 서버(20)는 상기 네트워크 클라이언트(30)의 로그인 정보가 저장된 클라이언트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클라이언트 데이터베이스를 조회하여, 상기 클라이언트의 로그인 정보의 유효성을 확인하는 클라이언트 관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각각의 상기 네트워크 클라이언트(30)가 상기 메타버스 플랫폼 서버(20)에 접속하여 콘텐츠를 디스플레이 하도록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전용 웹(WEP) 또는 모바일 앱(APP) 네트워크 클라이언트(30)는 상기 메타버스 플랫폼 서버(20)에 복수개 로그인되어 복수개의 현실 연동 3차원 가상환경 콘텐츠가 격자형 갤러리 화면방식 또는 계단형 개별화면방식으로 디스플레이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즉,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전용 웹(WEP) 또는 모바일 앱(APP) 네트워크 클라이언트(30)는 상기 메타버스 플랫폼 서버(20)에 복수개 로그인되어 복수개의 현실 연동 3차원 가상환경 콘텐츠가 격자형 갤러리 화면방식 또는 계단형 개별화면방식으로 디스플레이되도록 동시 다중 접속할 수 있으며, 특히, 상기 반려동물의 캐릭터 형태의 아바타를 터치센싱 또는 메뉴선정하고 채팅기능을 실행하여 주인과 대화하거나 해당 반려동물의 펫웨어러블디바이스로 음성신호를 송신하여 반려동물에게 음성을 출력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아울러,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반려동물의 캐릭터 형태의 아바타는 캐릭터 디자이너가 창작한 아바타 및 액세서리를 전용 웹(WEP) 또는 모바일 앱(APP) 상의 온라인 쇼핑몰에 광고 또는 전시하여 판매 또는 구매하여 생성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현실 연동 3차원 가상환경 콘텐츠는 배경공간을 구성하되, 소파, 탁자를 포함하는 가구와; TV, 세탁기 및 냉장고를 포함하는 가전제품과; 액자, 화분을 포함하는 일상생활소품들과; 반려동물 용품;을 포함하는 아이템을 적용하여 구성할 수 있으며, 이러한 아이템들은 전용 웹(WEP) 또는 모바일 앱(APP) 상의 온라인 쇼핑몰에 광고 또는 전시하여 판매 또는 구매하여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메타버스 플랫폼 서버 운영자는 상기 캐릭터 디자이너가 창작한 아바타 및 액세서리 또는 배경공간의 아이템을 온라인 쇼핑몰 광고 또는 판매에 대하여 광고수수료, 판매수수료를 포함하는 수수료를 얻을 수 있는 상업적 이용이 가능하다.
더나아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반려동물의 캐릭터 형태의 아바타는 반려동물을 촬영하고 촬영된 사진을 캐릭터로 변환시키는 기능을 사용하여 상기 반려동물의 캐릭터 형태의 아바타를 자가 생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또는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펫웨어러블디바이스 20 : 메타버스 플랫폼 서버
30 : 네트워크 클라이언트

Claims (12)

  1. 반려동물에 장착되어 반려동물의 행동, 위치, 음성을 포함하는 정보를 실시간으로 측정하도록 반려동물 종류별로 구분되는 펫웨어러블디바이스와; 상기 펫웨어러블디바이스로부터 정보를 전달받아 반려동물의 캐릭터 형태의 아바타를 생성하고, 반려동물의 상태, 행동, 위치, 음성을 포함하는 정보 및 그에 따른 해당 아바타 모습을 포함하는 현실 연동 3차원 가상환경 콘텐츠를 생성하는 메타버스 플랫폼 서버와; 상기 메타버스 플랫폼 서버로부터 전달 받은 현실 연동 3차원 가상환경 콘텐츠를 다운로딩하고, 다운로딩된 상기 현실 연동 3차원 가상환경 콘텐츠를 디스플레이 출력하도록 상기 메타버스 플랫폼 서버에 로그인 되는 전용 웹(WEP) 또는 모바일 앱(APP) 네트워크 클라이언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전용 웹(WEP) 또는 모바일 앱(APP) 네트워크 클라이언트는 상기 메타버스 플랫폼 서버에 복수개 로그인되어 복수개의 현실 연동 3차원 가상환경 콘텐츠가 격자형 갤러리 화면방식 또는 계단형 개별화면방식으로 디스플레이되어 상기 전용 웹(WEP) 또는 모바일 앱(APP)에서 여러 반려동물을 주인을 대신하거나 함께 모니터링 및 케어해 줄 수 있으며,
    상기 반려동물의 캐릭터 형태의 아바타는 캐릭터 디자이너가 창작한 아바타 및 액세서리를 전용 웹(WEP) 또는 모바일 앱(APP) 상의 온라인 쇼핑몰에 광고 또는 전시하여 판매 또는 구매하여 생성하고, 상기 메타버스 플랫폼 서버 운영자는 상기 캐릭터 디자이너가 창작한 아바타 및 액세서리의 온라인 쇼핑몰 광고 또는 판매에 대하여 광고수수료, 판매수수료를 포함하는 수수료를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타버스 플랫폼 네트워킹 기반 실시간 반려동물 모니터링 및 케어를 위한 온라인 펫시터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펫웨어러블디바이스는 전체적인 외형을 나타내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형성되어, 가속도 및 각속도에 의한 행동정보, 위치정보, 음성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를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에서 감지한 정보를 상기 메타버스 플랫폼 서버로 송신하거나 상기 메타버스 플랫폼 서버로부터 음성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되, 상기 몸체부는, 반려동물의 몸에 착용 가능하도록 목걸이 또는 밴드형태로 형성되거나, 반려동물 옷, 목줄, 하네스를 포함하는 액세서리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타버스 플랫폼 네트워킹 기반 실시간 반려동물 모니터링 및 케어를 위한 온라인 펫시터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려동물의 상태 정보는 반려동물의 건강상태, 병력, 이름, 나이, 생일, 품종, 거주지 주소, 중성화 여부, 예방주사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타버스 플랫폼 네트워킹 기반 실시간 반려동물 모니터링 및 케어를 위한 온라인 펫시터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려동물의 행동 정보는 걸음수, 이동거리, 이동시간, 칼로리 소모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타버스 플랫폼 네트워킹 기반 실시간 반려동물 모니터링 및 케어를 위한 온라인 펫시터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려동물의 위치 정보는 실내 가전제품 및 가구, 반려동물의 급식기, 급수기, 침대를 포함하는 인테리어에 부착된 IoT 디바이스와 상기 펫웨어러블디바이스간의 최근접통신기반으로 측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타버스 플랫폼 네트워킹 기반 실시간 반려동물 모니터링 및 케어를 위한 온라인 펫시터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버스 플랫폼 서버는 상기 네트워크 클라이언트의 로그인 정보가 저장된 클라이언트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클라이언트 데이터베이스를 조회하여, 상기 클라이언트의 로그인 정보의 유효성을 확인하는 클라이언트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타버스 플랫폼 네트워킹 기반 실시간 반려동물 모니터링 및 케어를 위한 온라인 펫시터 시스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려동물의 캐릭터 형태의 아바타는 반려동물을 촬영하고 촬영된 사진을 캐릭터로 변환시키는 기능을 사용하여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타버스 플랫폼 네트워킹 기반 실시간 반려동물 모니터링 및 케어를 위한 온라인 펫시터 시스템
  9. 삭제
  10. 삭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려동물의 캐릭터 형태의 아바타를 터치센싱 또는 메뉴선정하고 채팅기능을 실행하여 주인과 대화하거나 해당 반려동물의 펫웨어러블디바이스로 음성신호를 송신하여 반려동물에게 음성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타버스 플랫폼 네트워킹 기반 실시간 반려동물 모니터링 및 케어를 위한 온라인 펫시터 시스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실 연동 3차원 가상환경 콘텐츠는 배경공간을 구성하되, 소파, 탁자를 포함하는 가구와; TV, 세탁기 및 냉장고를 포함하는 가전제품과; 액자, 화분을 포함하는 일상생활소품들과; 반려동물 용품;을 포함하는 아이템을 적용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타버스 플랫폼 네트워킹 기반 실시간 반려동물 모니터링 및 케어를 위한 온라인 펫시터 시스템
KR1020210151284A 2021-11-05 2021-11-05 메타버스 플랫폼 네트워킹 기반 실시간 반려동물 모니터링 및 케어를 위한 온라인 펫시터 시스템 KR1024342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1284A KR102434203B1 (ko) 2021-11-05 2021-11-05 메타버스 플랫폼 네트워킹 기반 실시간 반려동물 모니터링 및 케어를 위한 온라인 펫시터 시스템
PCT/KR2022/008857 WO2023080378A1 (ko) 2021-11-05 2022-06-22 메타버스 플랫폼 네트워킹 기반 실시간 반려동물 모니터링 및 케어를 위한 온라인 펫시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1284A KR102434203B1 (ko) 2021-11-05 2021-11-05 메타버스 플랫폼 네트워킹 기반 실시간 반려동물 모니터링 및 케어를 위한 온라인 펫시터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4203B1 true KR102434203B1 (ko) 2022-08-22

Family

ID=831031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1284A KR102434203B1 (ko) 2021-11-05 2021-11-05 메타버스 플랫폼 네트워킹 기반 실시간 반려동물 모니터링 및 케어를 위한 온라인 펫시터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34203B1 (ko)
WO (1) WO202308037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63426A1 (ko) * 2022-02-25 2023-08-31 주식회사 펌킨컴퍼니 메타버스를 활용한 실시간 애완동물 상태확인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디바이스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1760A (ko) 2014-02-27 2015-09-04 주식회사 팔콘 반려동물의 비정상 상태 알림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반려동물 돌봄 시스템
KR20150113731A (ko) 2014-03-31 2015-10-08 김성빈 반려동물 관리 장치 및 반려동물 관리 시스템
KR20190079441A (ko) * 2017-12-27 2019-07-05 주식회사 포더비전 쇼핑몰에 대한 가상 공간 시뮬레이션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가상 현실 제공 서버
KR20190079178A (ko) 2017-12-27 2019-07-05 주식회사 빅오이 반려동물 모니터링 시스템
KR20200035695A (ko) 2018-09-27 2020-04-06 주식회사 펫피트 반려동물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모니터링 방법
KR20200063637A (ko) 2018-11-28 2020-06-05 주식회사 피엔브이 반려동물 심박수 모니터링 데이터베이스 기반 건강케어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
KR102139922B1 (ko) 2019-08-26 2020-07-31 이경연 반려동물 행동 감시 케어시스템
KR102230403B1 (ko) * 2020-01-03 2021-03-23 최진우 반려동물용 건강 체크 시스템
KR102238322B1 (ko) 2019-11-22 2021-04-08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반려 동물 모니터링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210073428A (ko) * 2019-12-10 2021-06-18 한국전자기술연구원 현실기반 sns를 위한 나만의 캐릭터 생성 및 사물 및 배경 복원 방법 및 시스템
KR20210080226A (ko) 2019-12-20 2021-06-30 주식회사 코이노 반려동물 모니터링 방법 및 그 장치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1760A (ko) 2014-02-27 2015-09-04 주식회사 팔콘 반려동물의 비정상 상태 알림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반려동물 돌봄 시스템
KR20150113731A (ko) 2014-03-31 2015-10-08 김성빈 반려동물 관리 장치 및 반려동물 관리 시스템
KR20190079441A (ko) * 2017-12-27 2019-07-05 주식회사 포더비전 쇼핑몰에 대한 가상 공간 시뮬레이션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가상 현실 제공 서버
KR20190079178A (ko) 2017-12-27 2019-07-05 주식회사 빅오이 반려동물 모니터링 시스템
KR20200035695A (ko) 2018-09-27 2020-04-06 주식회사 펫피트 반려동물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모니터링 방법
KR20200063637A (ko) 2018-11-28 2020-06-05 주식회사 피엔브이 반려동물 심박수 모니터링 데이터베이스 기반 건강케어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
KR102139922B1 (ko) 2019-08-26 2020-07-31 이경연 반려동물 행동 감시 케어시스템
KR102238322B1 (ko) 2019-11-22 2021-04-08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반려 동물 모니터링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210073428A (ko) * 2019-12-10 2021-06-18 한국전자기술연구원 현실기반 sns를 위한 나만의 캐릭터 생성 및 사물 및 배경 복원 방법 및 시스템
KR20210080226A (ko) 2019-12-20 2021-06-30 주식회사 코이노 반려동물 모니터링 방법 및 그 장치
KR102230403B1 (ko) * 2020-01-03 2021-03-23 최진우 반려동물용 건강 체크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63426A1 (ko) * 2022-02-25 2023-08-31 주식회사 펌킨컴퍼니 메타버스를 활용한 실시간 애완동물 상태확인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디바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80378A1 (ko) 2023-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2893B1 (ko) 반려동물 케어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시스템
KR101775932B1 (ko) 반려동물 케어를 위한 멀티모달 시스템
KR102139922B1 (ko) 반려동물 행동 감시 케어시스템
JP5156030B2 (ja) 活動の監視および表示
US20160044355A1 (en) Passive demographic measurement apparatus
CN107004053A (zh) 基于家族历史的动态可穿戴设备行为
CN110139598A (zh) 监控和跟踪系统、方法、物品和设备
KR102022883B1 (ko) 애완동물의 행태와 감정을 보여주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장치
CN104932459A (zh) 一种基于物联网的多功能宠物管理监测系统
CN107257651A (zh) 医学监测的场景检测
CN103209642A (zh) 在社交网络上分享情感
KR20190061423A (ko) 반려동물 관리 시스템
CN109069350A (zh) 婴儿喂养系统
KR102466438B1 (ko) 인지 기능 평가 시스템 및 인지 기능 평가 방법
KR102434203B1 (ko) 메타버스 플랫폼 네트워킹 기반 실시간 반려동물 모니터링 및 케어를 위한 온라인 펫시터 시스템
KR101988334B1 (ko) 이동 전화기 및 이동전화기에서 재생되는 미디어 컨텐츠의 효율성 분석 방법
JP2016146070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システム
KR102026183B1 (ko) 센서 기술을 활용한 애완동물 상태 분석 방법 및 시스템
CN108135538A (zh) 监测人的身体或心理能力
JP2022516357A (ja) エリアにロケーションベースのサービスを提供するためのコントローラ、システム及び方法
US11848096B2 (en) Home visit assessment and decision support system
KR20180137125A (ko) 펫 사이니지 시스템
JP7266984B2 (ja) サーバ装置
CN109348443A (zh) 一种宠物信息管理系统
JP2019109631A (ja) 情報提供装置及び情報提供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