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1936B1 - 반려동물 맞춤형 음원 출력 장치 - Google Patents

반려동물 맞춤형 음원 출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1936B1
KR102091936B1 KR1020180109980A KR20180109980A KR102091936B1 KR 102091936 B1 KR102091936 B1 KR 102091936B1 KR 1020180109980 A KR1020180109980 A KR 1020180109980A KR 20180109980 A KR20180109980 A KR 20180109980A KR 102091936 B1 KR102091936 B1 KR 1020919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anion animal
sound source
predetermined
output
dist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99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민성
Original Assignee
이민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민성 filed Critical 이민성
Priority to KR10201801099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19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19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19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7/00Leads or collars, e.g. for dogs
    • A01K27/009Leads or collars, e.g. for dogs with electric-shock, sound, magnetic- or radio-waves emitt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7/00Leads or collars, e.g. for dogs
    • A01K27/001Colla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8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associated with devices performing functions other than acoustics, e.g. electric cand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7Applications of wireless loudspeakers or wireless microphon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려동물 맞춤형 음원 출력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반려동물의 목줄에 장착된 무선 통신 모듈로부터 발신된 소정의 주파수 대역을 갖는 무선신호를 이용하는 반려동물 맞춤형 음원 출력 장치에 있어서, 기설정된 반경 내에서 상기 무선 신호를 감지하여 상기 반려동물로부터의 거리를 감지하는 감지 모듈과, 기저장된 복수 개의 음원을 소정의 우선순위에 따라 출력하는 스피커부와, 상기 복수 개의 음원 각각이 출력되는 동안의 상기 반려동물의 거리 변화에 기초하여 해당 음원의 출력 시 상기 반려동물의 반응 여부 및 효과 유무를 판단하는 판단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복수 개의 음원 각각에 대한 반려동물의 반응 여부 및 효과 유무에 기초한 우선순위에 따라 해당 반려동물에게 가장 효과있는 맞춤형 음원만을 선별하여 출력 가능함으로써, 자연스러운 훈련 환경하에서 더욱 효과적으로 반려동물을 훈련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반려동물 맞춤형 음원 출력 장치{APPARATUS FOR OUTPUTTING CUSTOMIZED SOUND SOURCE FOR COMPANION ANIMAL}
본 발명은 복수 개의 음원 중에서 반려동물의 행동 제어에 효과적인 음원을 반려동물마다 개별적으로 판단하여 선별한 후 이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반려동물 맞춤형 음원 출력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사회적으로 핵가족화나 여가활동 등의 영향으로 애완동물에 대한 수요는 폭발적으로 증가하면서 가정에서 애완동물을 사육하는 사람들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1인 가구 수의 증가로 인해 외로움을 느끼는 사람들이 많아지면서 함께 사는 애완동물을 사람과 함께 더불어 살아가며 심리적으로 안정감과 친밀감을 주는 가족과 동등한 존재로 보는 인식이 확산됨에 따라, 기존의 '애완동물'이라는 표현 대신 '반려동물'이라는 새로운 용어가 등장하여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반려동물 중에서도 개와 같이 일정 수준 이상의 지능을 갖추어 학습 능력을 갖는 동물들의 경우, 일정한 조건 하에서의 반복되는 학습을 통하여 인간이 원하는 행동 패턴을 익히는 등의 훈련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반려동물의 훈련을 수행하는 다양한 방법과 장치가 이용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종래에는 동물의 목이나 신체 일부에 장착된 훈련장치를 이용하여 동물이 바람직하지 않은 어떤 행동, 예컨대, 사람을 공격하는 행동, 지나치게 짖는 행동, 땅을 파헤치거나 가구, 신발 등을 물어뜯는 행동을 할 때 강한 전기적 충격을 줌으로써 동물이 해당 행동을 할 때마다 가해지는 충격에 의한 고통으로 인하여 그 행동을 하지 않게 하는 방식의 훈련이 수행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훈련 방식은 동물에게 고통을 줘서 동물을 학대하는 것이므로 윤리적이지 않을 뿐 아니라, 훈련 대상 동물이 잠재적인 폭력성을 띠게 하거나 인위적인 자극에 의해 동물의 건강에 나쁜 영향을 준다는 문제점이 있다.
KR 10-1376638 B1 KR 20-0387116 Y1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복수 개의 음원 중에서 반려동물의 행동 제어에 효과적인 음원을 반려동물마다 개별적으로 판단하여 선별한 후 이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반려동물 맞춤형 음원 출력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반려동물 맞춤형 음원 출력 장치는, 반려동물의 목줄에 장착된 무선 통신 모듈로부터 발신된 소정의 주파수 대역을 갖는 무선신호를 이용하는 반려동물 맞춤형 음원 출력 장치에 있어서, 기설정된 반경 내에서 상기 무선 신호를 감지하여 상기 반려동물로부터의 거리를 감지하는 감지 모듈과, 기저장된 복수 개의 음원을 소정의 우선순위에 따라 출력하는 스피커부와, 상기 복수 개의 음원 각각이 출력되는 동안의 상기 반려동물의 거리 변화에 기초하여 해당 음원의 출력 시 상기 반려동물의 반응 여부 및 효과 유무를 판단하는 판단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감지 모듈은, 기설정된 반경 내에서 상기 주파수 대역을 갖는 무선 신호를 감지하여 상기 무선신호의 수신신호 세기를 측정하는 신호 감지부와, 상기 복수 개의 음원 각각이 출력되는 시점부터 상기 수신신호 세기에 기초한 상기 반려동물로부터의 거리를 산출하는 거리 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판단 모듈은, 상기 복수 개의 음원 각각이 출력되는 동안의 소정 시점에서의 상기 반려동물로부터의 거리에 대한 순간적 변화율에 기초하여 상기 반려동물의 상기 음원에 대한 반응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와, 상기 반려동물이 소정 음원에 반응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음원이 출력되는 동안의 상기 반려동물의 거리 변화에 기초하여 해당 음원의 출력 시 상기 반려동물이 기설정된 시간 동안 머물렀는지를 판단하는 스테이 판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판단 모듈은, 상기 복수 개의 음원 각각의 출력 시 상기 반려동물의 머무름 여부에 대한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우선순위를 설정하는 우선순위 설정부와, 상기 복수 개의 음원을 상기 우선순위에 따라 정렬하여 소정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 및 갱신하는 음원 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 개의 음원 각각에 대한 반려동물의 반응 여부 및 효과 유무에 기초한 우선순위에 따라 해당 반려동물에게 가장 효과있는 맞춤형 음원만을 선별하여 출력 가능함으로써, 자연스러운 훈련 환경하에서 더욱 효과적으로 반려동물을 훈련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맞춤형 음원 출력 장치의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맞춤형 음원 출력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3은 도 2의 신호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무선 신호를 미가공한 상태의 제1 신호 데이터와 이를 필터 처리한 가공 상태의 제2 신호 데이터를 함께 시간별로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4 및 도 5는 도 2의 제어부에 의해 소정 음원이 출력되는 동안 반려동물로부터의 거리에 대한 순간적 변화율에 기초하여 반려동물의 해당 음원에 대한 반응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2의 스테이 판단부에 의해 소정 음원이 출력되는 동안 반려동물이 반응을 나타낸 음원에 대한 머무름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은 도 2의 우선순위 설정부에 의해 복수 개의 음원 각각에 대한 반려동물의 머무름 여부에 기초하여 음원별 선호도 점수를 산출한 일례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8은 도 7에서 산출된 음원별 선호도 점수에 기초한 우선순위에 따라 복수 개의 음원을 재정렬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대한 해결하려는 과제, 과제의 해결수단, 발명의 효과를 포함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다음에 기재할 실시예 및 도면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맞춤형 음원 출력 장치의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맞춤형 음원 출력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맞춤형 음원 출력 장치(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려동물의 목줄(2)에 장착된 무선 통신 모듈(10)로부터 발신된 소정의 주파수 대역을 갖는 무선신호를 이용하여 동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무선 통신 모듈(10)은 주기적으로 소량의 데이터(Non-connectable Advertising Packet)를 주변에 브로드캐스트(Broadcast)하는 역할을 하며, 저전력 블루투스 4.0(BLE; Bluetooth Low Energy)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비콘(Beacon)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전술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맞춤형 음원 출력 장치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맞춤형 음원 출력 장치(20)는 크게 스피커부(100), 감지 모듈(200) 및 판단 모듈(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스피커부(100)는 기저장된 복수 개의 음원을 소정의 우선순위에 따라 출력한다.
이때, 상기 복수 개의 음원은 후술할 판단 모듈(300)의 음원 정보 DB(312)에 기저장된 상태일 수 있으며, 스피커부(100)에 의한 상기 음원의 최초 출력 시 상기 우선순위는 음원 정보 DB(312)에 기저장된 순서대로 결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감지 모듈(200)은 기설정된 반경(R) 내에서 반려동물(1)의 목줄(2)에 장착된 무선 통신 모듈(10)로부터 발신된 무선 신호를 감지하여 반려동물(1)로부터의 거리(d)를 감지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감지 모듈(2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 감지부(210)와 거리 산출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신호 감지부(210)는 기설정된 반경(R) 내에서 소정의 주파수 대역을 갖는 무선 신호를 감지하여 상기 무선신호의 수신신호 세기(RSSI;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를 측정한다.
여기서, 신호 감지부(210)는 주기적으로 무선 통신 모듈(10)을 스캔하여 무선 통신 모듈(10)에서 브로드캐스팅하는 소량의 데이터(Non-connectable Advertising Packet)를 수신하는 역할을 하며, 저전력 블루투스 4.0(BLE; Bluetooth Low Energy)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비콘 스캐너(Beacon Scanner)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무선신호는 2.4GHz 내지 2.5GHz의 주파수 대역을 가지는 무선신호일 수 있다.
거리 산출부(220)는 스피커부(100)에 의해 복수 개의 음원 각각이 출력되는 시점부터 상기 수신신호 세기에 기초한 반려동물(1)로부터의 거리(d)를 산출한다.
여기서, 거리 산출부(220)는 복수 개의 음원 각각이 출력되는 동안의 반려동물의 목줄(2)에 장착된 무선 통신 모듈(10)이 송신한 신호의 손실, 즉, 반려동물의 무선 통신 모듈(10)의 전송신호 세기(TSSI; Transmitted Signal Strength Indication)와 신호 감지부(210)에서의 수신신호 세기(RSSI)의 차이에 대응되는 값에 기초하여 해당 음원의 출력 시 반려동물(1)로부터의 거리(d)를 산출할 수 있다.
이때, 반려동물(1)로부터의 거리(d)에 대한 공식을 정리하면 아래의 수학식 1과 같다.
Figure 112018091495203-pat00001
여기서, L은 무선 통신 모듈(10)이 송신한 신호의 손실을 나타내고, λ는 전파의 파장을 나타내고, C는 광속을 나타낸다.
한편, 신호 감지부(210)에 의해 측정된 수신신호 세기(RSSI) 값과, 거리 산출부(220)에 의해 산출된 거리값은 각각 칼만 필터(Kalman filter)에 의해 보정될 수 있다.
이는 일반적으로 비콘 스캐너가 비콘으로부터 수신한 미가공 상태의 데이터에 기초한 수신신호 세기(RSSI) 값은 주위 환경의 영향으로 인해 상당한 잡음이 포함되어 있음을 고려한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칼만 필터는 수학적으로 선형 시스템(Linear system)의 상태를 예측해서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최소화하면서 예측하는 방식으로서, 이전 상태의 결과값과 현재의 측정값을 이용하는 재귀적 연산을 통해 최적의 값을 추적하는 알고리즘을 이용하며, 이와 같은 칼만 필터 알고리즘은 당업자에게는 자명한 사항이므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아래의 표 1은 총 20회에 걸쳐 신호 감지부(210)에 의해 측정되고 거리 산출부(220)에 의해 산출된 미가공한 상태의 제1 신호 데이터(측정된 RSSI, 거리값)와, 이를 칼만 필터(Kalman filter)에 의해 보정한 가공 상태의 제2 신호 데이터(보정된 RSSI, 보정된 거리값)를 측정회차별로 정리하여 나타낸 것이다.
Figure 112018091495203-pat00002
또한, 도 3은 상기 표 1에 기재된 바에 기초하여, 제1 신호 데이터(측정된 RSSI) 및 제2 신호 데이터(보정된 RSSI)를 각각 시간별 그래프 형태로 함께 나타낸 도면이다.
예컨대, 상기 표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측정회차가 4번째일 땐, 신호 감지부(210)에 의해 측정된 수신신호 세기(RSSI) 값은 "-67[dBm]"이고, 이를 칼만 필터에 의해 보정한 RSSI값은 "-64.92[dBm]"이므로, 해당 회차에 대응하는 제1 신호 데이터에 대한 그래프(31)의 경우, 제2 신호 데이터에 대한 그래프(32)보다 "2.08[dBm]"의 크기만큼 아래에 위치함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측정회차가 9번째일 땐, 신호 감지부(210)에 의해 측정된 수신신호 세기(RSSI) 값은 "-57[dBm]"이고, 이를 칼만 필터에 의해 보정한 RSSI값은 "-62.73[dBm]"이므로, 해당 회차에 대응하는 제1 신호 데이터에 대한 그래프(31)의 경우, 제2 신호 데이터에 대한 그래프(32)보다 "5.73[dBm]"만큼 위에 위치함을 확인할 수 있다.
즉, 미가공 상태의 측정된 RSSI값에 대한 그래프(31)는 측정회차별로 증가 또는 감소폭이 급격한 변화를 가지는 불규칙한 파형을 나타내는 반면, 칼만 필터를 통해 보정된 RSSI값에 대한 그래프(32)는 잡음을 제거하여 오류가 감소함에 따라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형태의 파형을 나타내게 된다.
다음으로, 판단 모듈(300)은 복수 개의 음원 각각이 출력되는 동안의 반려동물(1)의 거리(d) 변화에 기초하여 해당 음원의 출력 시 반려동물(1)의 반응 여부 및 효과 유무를 판단한다.
여기서, 판단 모듈(3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원 관리부(310), 제어부(320), 스테이 판단부(330) 및 우선순위 설정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320)는 복수 개의 음원 각각이 출력되는 동안의 소정 시점에서의 반려동물(1)로부터의 거리(d)에 대한 순간적 변화율에 기초하여 반려동물(1)의 상기 음원에 대한 반응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제어부(320)는 소정 음원이 출력되는 동안의 적어도 두 시점에서의 반려동물(1)의 순간 속도 차, 즉, 거리(d)에 대한 순간적 변화율의 차이가 기설정된 임계값 이상인 경우 반려동물(1)이 상기 음원의 출력에 반응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때, 반려동물(1)로부터의 거리(d)에 대한 순간적 변화율에 대한 공식을 정리하면 아래의 수학식 2와 같다.
Figure 112018091495203-pat00003
여기서, t1은 제1 시점, t2는 제2 시점, f'(t1)은 제1 시점일 때의 순간 변화율, f'(t2)는 제2 시점일 때의 순간 변화율을 각각 나타낸다.
도 4 및 도 5는 제어부(320)에 의해 소정 음원이 출력되는 동안 반려동물(1)로부터의 거리(d)에 대한 순간적 변화율에 기초하여 반려동물(1)의 해당 음원에 대한 반응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예컨대, 도 4를 참조하면, 소정 음원이 ta 시간부터 tb 시간까지 출력된다고 할 때, t1 시점일 때의 거리에 대한 순간적 변화율은 't=t1'일 때의 시간별 거리 그래프(40)에 대한 접선(41)의 기울기에 해당하고, t2 시점일 때의 거리에 대한 순간적 변화율은 't=t2'일 때의 시간별 거리 그래프(40)에 대한 접선(42)의 기울기에 해당하는데, 만약 두 개의 접선(41,42)의 기울기 차이가 기설정된 임계값보다 크다면, 해당 음원에 대한 반응이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도 5를 참조하면, 소정 음원이 tc 시간부터 td 시간까지 출력된다고 할 때, t1 시점일 때의 거리에 대한 순간적 변화율은 't=t1'일 때의 시간별 거리 그래프(50)에 대한 접선(51)의 기울기에 해당하고, t2 시점일 때의 거리에 대한 순간적 변화율은 't=t2'일 때의 시간별 거리 그래프(50)에 대한 접선(52)의 기울기에 해당하는데, 만약 두 개의 접선(51,52)의 기울기 차이가 기설정된 임계값보다 작다면, 해당 음원에 대한 반응이 없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스테이 판단부(330)는 제어부(320)에 의해 반려동물(1)이 소정 음원에 반응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음원이 출력되는 동안의 반려동물(1)의 거리(d) 변화에 기초하여 해당 음원의 출력 시 반려동물(1)이 기설정된 시간 동안 머물렀는지를 판단한다.
여기서, 스테이 판단부(330)는 상기 음원이 출력되는 동안에 산출된 반려동물(1)로부터의 거리(d)를 소정 주기의 클록 신호를 기준으로 샘플링하되, 샘플링된 결과값이 기설정된 시간 동안 기설정된 임계 범위 이내의 거리를 유지하는 경우, 반려동물(1)이 해당 시간 동안 소정 음원의 출력에 반응하여 머무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6은 스테이 판단부(330)에 의해 소정 음원이 출력되는 동안 반려동물(1)이 반응을 나타낸 음원에 대한 머무름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예컨대, 도 6을 참조하면, 소정 음원이 te 시간부터 tf 시간까지 출력된다고 할 때, 상기 음원의 출력 시 반려동물(1)의 거리에 대한 그래프(60)를 소정 주기의 클록 신호를 기준으로 샘플링한 결과, "(tf - tg)"를 계산한 값이 기설정된 시간 이상이고, tg 시간부터 tf 시간까지 샘플링된 결과값이 "d1" 내지 "d2"의 범위에 속하되 "(d2-d1)"을 계산한 값이 기설정된 임계 범위 이내인 경우, 반려동물(1)이 해당 시간(tg~tf)동안 소정 음원의 출력에 반응하여 머무른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
음원 관리부(310)는 복수 개의 음원을 소정의 우선순위에 따라 정렬하여 음원 정보 DB(312)에 저장 및 갱신한다.
이때, 음원 정보 DB(312)는 소정의 데이터베이스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해당 음원에 대한 반려동물의 효과 유무를 각각의 반려동물마다 음원 정보별로 리스트화하여 기저장된 상태일 수 있다.
또한, 음원 관리부(310)는 음원 정보 DB(312)에 기저장된 복수 개의 음원 정보 각각에 대응하는 음원 파일을 소정의 우선순위에 따라 정렬한 음악 재생 리스트를 생성하여 스피커부(10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이를 수신한 스피커부(100)에서는 상기 음악 재생 리스트에 따라 출력하게 된다.
아래의 표 2는 음원 정보 DB(312)에 기저장된 음원 정보 리스트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반응여부'는 제어부(320)의 판단 결과에 대한 값을 나타내고, '머무름여부'는 스테이 판단부(330)의 판단 결과에 대한 값을 나타낸다.
Figure 112018091495203-pat00004
예컨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 맞춤형 음원 출력 장치(20)로부터 기설정된 반경(R) 내에 위치하는 반려동물 'A'에 대한 음원정보별 반응 여부 및 머무름 여부가 상기 표 2에 기재된 내용과 같다고 할 때, 각각의 음원정보별 반려동물 'A'의 반응 및 동작은 다음과 같다.
먼저, 음원정보 '001'과 '006'의 출력 시 반려동물 'A'는 순간적으로 이동 속도가 급격히 변화하는 등의 반응을 보이되, 머무르지 않고 도망가는 동작을 나타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음원정보 '002','005','007','008' 및 '009'의 출력 시 반려동물 'A'는 순간적으로 이동 속도가 급격히 변화하는 등의 반응을 보이되, 소정 시간 이상 머무르는 동작을 나타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음원정보 '003','004' 및 '010'의 출력 시 반려동물 'A'는 순간 이동 속도의 변화가 미미하여 반응이 없는 상태임을 확인할 수 있다.
우선순위 설정부(340)는 스피커부(100)에 의한 복수 개의 음원 각각의 출력 시 반려동물(1)의 머무름 여부에 대한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우선순위를 설정한다.
여기서, 우선순위 설정부(340)는 스테이 판단부(330)에 의해 소정 음원의 출력 시 반려동물(1)이 머무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머무른 것으로 판단될 때마다 해당 음원에 기설정된 배점을 적용하여 음원별로 누적 합산한 선호도 점수를 산출 및 저장한 후, 상기 선호도 점수가 가장 높은 순서대로 우선순위를 높게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스피커부(100)에 의한 상기 음원의 최초 출력 시 상기 우선순위는 음원 정보 DB(312)에 기저장된 순서대로 결정될 수 있다.
아래의 표 3은 음원 정보 DB(312)에 음원 정보별 머무름 횟수 및 선호도점수와 이에 기초한 우선순위를 매칭시켜 저장한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머무름횟수'는 해당 음원 정보의 출력 시 스테이 판단부(330)에 의해 반려동물(1)이 머무른 것으로 판단된 횟수를 나타내고, '우선순위'는 우선순위 설정부(340)에 의해 설정된 값을 나타내며, '선호도 점수'는 머무름 횟수 1회당 5점의 배점이 산정된 상태일 수 있다.
Figure 112018091495203-pat00005
또한, 도 7은 상기 표 3에 기초한 음원 정보별 선호도 점수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8은 상기 표 3에 기초한 우선순위에 따라 복수 개의 음원을 재정렬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예컨대, 상기 표 3과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 맞춤형 음원 출력 장치(20)로부터 기설정된 반경(R) 내에 위치하는 반려동물 'A'에 대한 음원정보별 머무름 횟수가 상기 표 3에 기재된 내용과 같다고 할 때, 각각의 음원정보별 반려동물 'A'의 선호도 점수 및 우선순위은 다음과 같다.
먼저, 음원정보 '004'의 경우, 해당 음원의 출력 시 반려동물 'A'가 머무른 횟수가 총 4번이므로, 이에 기초한 선호도 점수를 계산하면 '5(점)×4(번) = 20(점)'이 되어 기저장된 총 10개의 음원정보 중 선호도 점수가 가장 낮음에 따라, 우선순위 또한 가장 낮은 값("7")을 가지게 된다.
또한, 음원정보 '009'의 경우, 해당 음원의 출력 시 반려동물 'A'가 머무른 횟수가 총 11번이므로, 이에 기초한 선호도 점수를 계산하면 '5(점)×11(번) = 55(점)'이 되어 기저장된 총 10개의 음원정보 중 선호도 점수가 가장 높음에 따라, 우선순위 또한 가장 높은 값("1")을 가지게 된다.
이로 인해, 전술한 총 10개의 음원정보 각각의 선호도 점수는, 스피커부(100)에 의한 최초 출력 시의 우선순위인 음원 정보 DB(312)에 기등록된 순서에 따라 정렬된 도 7과 같은 그래프 형태로 나타내거나, 스피커부(100)에 의해 여러 번 출력된 상태에서 우선순위 설정부(340)에 의해 설정된 우선순위에 따라 재정렬한 도 8과 같은 그래프 형태로 나타낼 수 있다.
한편, 음원 관리부(310)는 우선순위 설정부(340)에 의해 소정의 반려동물(1)에 대응하는 음원 정보의 우선순위가 재설정되는 시점마다 상기 우선순위가 높은 순서대로 기설정된 갯수의 음원 정보만을 선별한 후, 선별된 음원 정보만을 음원 정보 DB(312)에 갱신하여 저장하고, 선별되지 못한 나머지 음원 정보는 음원 정보 DB(312)에서 삭제할 수 있다.
이 경우, 음원 관리부(310)는 선별된 음원 정보에 대응하는 음원 파일을 상기 우선순위에 따라 정렬한 음악 재생 리스트를 다시 생성하여 스피커부(100)로 전송하고, 이를 수신한 스피커부(100)에서는 신호 감지부(210)에 의해 해당 반려동물(1)의 접근이 감지될 때 상기 음악 재생 리스트에 따라 출력하게 된다.
비록, 전술한 내용에서는 소정 음원 출력 시 반려동물이 반응을 보이면서 머무르는 경우일 때만 해당 음원이 반려동물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반려동물의 머무름 횟수에 기초하여 복수 개의 음원에 대한 우선순위를 설정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반려동물의 반응은 있으나 머무르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는 반려동물이 도망치는 것으로 판단하고, 반려동물의 도망 횟수에 기초하여 복수 개의 음원의 우선순위를 설정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전술한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 개의 음원 각각에 대한 반려동물의 반응 여부 및 효과 유무에 기초한 우선순위에 따라 해당 반려동물에게 가장 효과있는 맞춤형 음원만을 선별하여 출력 가능함으로써, 자연스러운 훈련 환경하에서 더욱 효과적으로 반려동물을 훈련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특히, 전술한 내용은 후술할 발명의 청구범위를 더욱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특징과 기술적 강점을 다소 폭넓게 상술하였으므로, 상술한 본 발명의 개념과 특정 실시예는 본 발명과 유사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다른 형상의 설계나 수정의 기본으로써 즉시 사용될 수 있음이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인식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에서 기술된 실시예는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일 뿐이며,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개시된 실시예는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하고, 이러한 다양한 수정 및 변경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전술한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반려동물
2: 목줄
10: 무선 통신 모듈
20: 반려동물 맞춤형 음원 출력 장치
100: 스피커부
200: 감지 모듈
210: 신호 감지부
220: 거리 산출부
300: 판단 모듈
310: 음원 관리부
312: 음원 정보 DB
320: 제어부
330: 스테이 판단부
340: 우선순위 설정부

Claims (4)

  1. 반려동물의 목줄에 장착된 무선 통신 모듈로부터 발신된 소정의 주파수 대역을 갖는 무선신호를 이용하는 반려동물 맞춤형 음원 출력 장치에 있어서,
    기설정된 반경 내에서 상기 무선 신호를 감지하여 상기 반려동물로부터의 거리를 감지하는 감지 모듈;
    기저장된 복수 개의 음원을 소정의 우선순위에 따라 출력하는 스피커부; 및
    상기 복수 개의 음원 각각이 출력되는 동안의 상기 반려동물의 거리 변화에 기초하여 해당 음원의 출력 시 상기 반려동물의 반응 여부 및 효과 유무를 판단하는 판단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판단 모듈은
    상기 복수 개의 음원 각각이 출력되는 동안의 소정 시점에서의 상기 반려동물로부터의 거리에 대한 순간적 변화율에 기초하여 상기 반려동물의 상기 음원에 대한 반응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 및
    상기 반려동물이 소정 음원에 반응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음원이 출력되는 동안의 상기 반려동물의 거리 변화에 기초하여 해당 음원의 출력 시 상기 반려동물이 기설정된 시간 동안 머물렀는지를 판단하는 스테이 판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적어도 두 시점에서의 상기 반려동물의 거리에 대한 상기 순간적 변화율 차이가 기설정된 임계값 이상인 경우 상기 반려동물이 소정 음원에 반응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이고,
    상기 스테이 판단부는
    상기 음원이 출력되는 동안에 산출된 상기 반려동물로부터의 거리를 소정 주기의 무선 신호를 기준으로 샘플링하고 샘플링된 결과값이 기설정된 시간 동안 기설정된 임계 범위 이내의 거리를 유지하는 경우 상기 반려동물이 해당 시간 동안 상기 음원의 출력에 반응하여 머무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맞춤형 음원 출력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모듈은,
    기설정된 반경 내에서 상기 주파수 대역을 갖는 무선 신호를 감지하여 상기 무선신호의 수신신호세기를 측정하는 신호 감지부; 및
    상기 복수 개의 음원 각각이 출력되는 시점부터 상기 수신신호세기에 기초한 상기 반려동물로부터의 거리를 산출하는 거리 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맞춤형 음원 출력 장치.
  3. 삭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모듈은,
    상기 복수 개의 음원 각각의 출력 시 상기 반려동물의 머무름 여부에 대한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우선순위를 설정하는 우선순위 설정부; 및
    상기 복수 개의 음원을 상기 우선순위에 따라 정렬하여 소정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 및 갱신하는 음원 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맞춤형 음원 출력 장치.
KR1020180109980A 2018-09-14 2018-09-14 반려동물 맞춤형 음원 출력 장치 KR1020919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9980A KR102091936B1 (ko) 2018-09-14 2018-09-14 반려동물 맞춤형 음원 출력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9980A KR102091936B1 (ko) 2018-09-14 2018-09-14 반려동물 맞춤형 음원 출력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1936B1 true KR102091936B1 (ko) 2020-03-20

Family

ID=699582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9980A KR102091936B1 (ko) 2018-09-14 2018-09-14 반려동물 맞춤형 음원 출력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193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1308A (ko) * 2020-07-21 2022-01-28 송경준 향을 이용한 반려동물의 행동 제어 장치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7116Y1 (ko) 2005-03-31 2005-06-17 기 현 이 무선 오디오 동물 훈련장치
KR101376638B1 (ko) 2012-04-10 2014-03-20 주식회사 독트라 동물 훈련이 가능한 위치추적 장치
KR20150110161A (ko) * 2014-03-24 2015-10-02 주식회사 호서텔넷 애완동물 가상울타리용 수신 단말기
KR20160097492A (ko) * 2015-02-09 2016-08-18 주식회사 디바이스넷 반려 동물 관리 장치 및 반려 동물 관리 방법
KR20160131207A (ko) * 2015-05-06 2016-11-16 김용현 스마트 목줄을 이용한 동물의 건강 관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건강 관리 시스템
KR20170014208A (ko) * 2015-07-29 2017-02-08 주식회사 퍼플마린 반려 동물용 통신 장치
KR101816070B1 (ko) * 2016-07-21 2018-01-08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애완동물 관리장치 및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7116Y1 (ko) 2005-03-31 2005-06-17 기 현 이 무선 오디오 동물 훈련장치
KR101376638B1 (ko) 2012-04-10 2014-03-20 주식회사 독트라 동물 훈련이 가능한 위치추적 장치
KR20150110161A (ko) * 2014-03-24 2015-10-02 주식회사 호서텔넷 애완동물 가상울타리용 수신 단말기
KR20160097492A (ko) * 2015-02-09 2016-08-18 주식회사 디바이스넷 반려 동물 관리 장치 및 반려 동물 관리 방법
KR20160131207A (ko) * 2015-05-06 2016-11-16 김용현 스마트 목줄을 이용한 동물의 건강 관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건강 관리 시스템
KR20170014208A (ko) * 2015-07-29 2017-02-08 주식회사 퍼플마린 반려 동물용 통신 장치
KR101816070B1 (ko) * 2016-07-21 2018-01-08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애완동물 관리장치 및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1308A (ko) * 2020-07-21 2022-01-28 송경준 향을 이용한 반려동물의 행동 제어 장치
KR102425084B1 (ko) 2020-07-21 2022-07-26 송경준 향을 이용한 반려동물의 행동 제어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80974B2 (en) Selective intrusion detection systems
US6825768B2 (en) Adaptive pet containment system and method
Konstantopoulos et al. Converting a plant to a battery and wireless sensor with scatter radio and ultra-low cost
US20200267942A1 (en) Livestock health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of use
Nelson Avian dependence on sound pressure level as an auditory distance cue
US10349630B2 (en) System and a method for real time detection of the position and behavior of a plurality of animals
US10806126B1 (en) Methods and systems for detecting barks
NL2003276C2 (en) Device for determining movements of an animal.
DE60308193D1 (de) Gruppenempfänger mit subarraysauswahl, verfahren unter verwendung derselben, und empfänger derselben enthaltend
Grabarczyk et al. Anthropogenic noise masking diminishes house wren (Troglodytes aedon) song transmission in urban natural areas
US11937573B2 (en) Music providing system for non-human animal
US8223980B2 (en) Method for modeling effects of anthropogenic noise on an animal's perception of other sounds
US11406301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emotional state of pet
US2020026794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livering an auditory stimulus
KR102091936B1 (ko) 반려동물 맞춤형 음원 출력 장치
KR102065577B1 (ko) 지능정보기술을 활용한 생활밀착형 운동수행분석 및 운동추천 시스템
CN110974195A (zh) 调整睡眠环境的方法、装置及存储介质
KR20170118605A (ko) 기저귀 착용자의 배설을 예측하는 방법
CN109709546B (zh) 宠物状态监测方法和装置
CN106922058A (zh) 灯具的控制方法、装置和系统
Taff et al. Fluctuations in neighbourhood fertility generate variable signalling effort
KR101975932B1 (ko) 반려동물의 상태 분석 방법
CN113631030A (zh) 用于提供声音掩蔽环境的系统和方法
Opaev et al. Song amplitude and population density in two sympatric warblers, Phylloscopus schwarzi and P. fuscatus
KR20190020428A (ko) 가축 상태 정보 관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