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7116Y1 - 무선 오디오 동물 훈련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오디오 동물 훈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7116Y1
KR200387116Y1 KR20-2005-0008846U KR20050008846U KR200387116Y1 KR 200387116 Y1 KR200387116 Y1 KR 200387116Y1 KR 20050008846 U KR20050008846 U KR 20050008846U KR 200387116 Y1 KR200387116 Y1 KR 20038711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ice
shock wave
animal
output
tr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88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기 현 이
Original Assignee
기 현 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 현 이 filed Critical 기 현 이
Priority to KR20-2005-00088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711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711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7116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5/00Devices for taming animals, e.g. nose-rings or hobbles; Devices for overturning animals in general; Training or exercising equipment; Covering boxes
    • A01K15/02Training or exercising equipment, e.g. mazes or labyrinths for animals ; Electric shock devices ; Toys specially adapted for animals
    • A01K15/021Electronic trai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dogs or ca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5/00Devices for taming animals, e.g. nose-rings or hobbles; Devices for overturning animals in general; Training or exercising equipment; Covering boxes
    • A01K15/02Training or exercising equipment, e.g. mazes or labyrinths for animals ; Electric shock devices ; Toys specially adapted for animals
    • A01K15/029Electric or similar shock devices, e.g. pro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7/00Leads or collars, e.g. for dogs
    • A01K27/009Leads or collars, e.g. for dogs with electric-shock, sound, magnetic- or radio-waves emitting devi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Zoology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동물의 목에 장착하여 동물의 행동을 훈련자의 의도대로 제어하는 무선오디오(Audio) 동물훈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동물에게 전기적 충격이나 동물 훈련자의 음성 또는 동물의 소리 전달을 위한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송신기와 상기 송신기로부터 전송받은 제어신호를 분석하여 전기충격을 발생하는 신호인 경우에는 전기충격을 동물에게 가하고, 오디오(훈련자의 음성이나 동물의 소리)를 전달하는 신호인 경우에는 오디오를 동물에게 전달하는 수신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무선 오디오 동물 훈련장치 {Animal training apparatus using wireless audio transmission}
본 고안은 동물훈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무선 송신기 및 수신기를 이용하여 원거리에서 충격파 또는 훈련자의 음성을 전달하여 동물의 행동을 제어할 수 있는 동물훈련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동물훈련장치의 개략적인 외관도이다. 여기서, 참조부호7은 충격파나 동물훈련자의 음성을 송신하기 위한 송신기를 나타내고, 참조부호12는 상기 송신기(7)에서 송신된 충격파나 음성을 수신하는 수신기를 나타낸다.
상기 송신기(7)는 동물에게 전달할 충격파의 레벨을 설정하는 충격파 레벨조절레버(1), 충격파를 순간적으로 발생하도록 하는 기능을 입력하기 위한 제1스위치(2), 충격파를 연속적으로 발생하도록 하는 기능을 입력하기 위한 제2스위치(3), 진동을 발생하도록 하는 기능을 입력하기 위한 제3스위치(4), 송신기의 작동상태를 표시하는 확인램프(5)와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송신용 안테나(6)를 구비하고 있다.
한편, 상기 수신기(12)는 상기 송신기(7)로부터 송달받은 레벨에 상응하는 충격파를 출력하기 위한 전기충격 단자(8), 수신기(12)를 동물의 목에 용이하게 장착하기 위한 벨트(9), 수신기(12)의 동작을 표시하는 동작램프(10)와 수신기(12)의 전원공급스위치인 전원스위치(11)로 구성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종래 동물훈련장치의 구체적인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송신기(7)에 구비된 상기 제1스위치(2), 제2스위치(3), 제3스위치(4) 중 하나를 누르면 그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내부의 마이크로프로세서(미도시)가 변조회로(미도시)로 전달하고, 그 전달된 제어신호는 고주파 증폭기(미도시)를 거쳐 상기 안테나(6)를 통해 공중에 방사된다. 공중에 방사된 전파는 상기 수신기(12)의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후 증폭회로(미도시)를 거치고 검파회로(미도시)를 통과하여 원래의 신호로 복조된다. 이후 복조된 신호를 분석하여 충격파 발생인 경우에는 전송된 레벨에 대응하는 크기의 충격파가 발생토록 제어함으로써 전기충격단자(8)를 통해 충격파가 발생된다. 여기서, 발생되는 충격파는 상기 송신기(7)의 제1스위치(2)가 조작된 경우에는 순간적으로, 제2스위치(3)가 조작된 경우에는 연속적으로 발생되며, 제3스위치(4)가 조작되었을 때에는 진동으로 출력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작동되는 종래의 동물훈련장치는 단순한 전기적 충격이나 진동만을 사용하기 때문에 동물에게 무리한 자극을 가함으로 인하여 나쁜 영향을 미칠 수 밖에 없다.
본 고안은 상기 종래 동물 훈련장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서, 단순한 전기쇼크를 지양하고 훈련자의 음성을 이용하여 동물의 행동을 제어함으로써 동물에게 무리한 자극을 가하지 않고 쉽고 빠르게 동물을 훈련시킬 수 있는 무선 오디오 동물 훈련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고안은 동물이 훈련자의 가시거리를 벗어나더라도 무선 송신기의 신호전달 범위 내에 있는한 훈련자가 음성을 통해 동물을 제어할 수 있는 무선 오디오 동물 훈련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2는 본 고안에 의한 무선오디오 동물훈련장치 중 송신기의 개략적인 외관도이고, 도4는 상기 송신기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여기서, 참조부호 38은 송신기를 나타내고, 참조부호 20은 충격파의 강도를 설정하거나 특정 동물소리를 선택하기 위한 충격파 레벨조절/동물소리선택 레버를 나타내고, 참조부호 21은 충격파를 순간적으로 출력케 하거나 특정 동물소리를 출력케 하는 기능을 입력하기 위한 충격파 순간출력/동물소리출력 스위치를 나타내고, 참조부호 22는 충격파를 지속적으로 출력케 하는 기능을 입력하기 위한 충격파 연속출력 스위치를 나타내고, 참조부호 23은 충격파를 순간적으로 출력함과 동시에 녹음된 훈련자의 음성을 출력토록 하는 기능을 입력하기 위한 음성 및 충격파 순간출력 스위치를 나타내고, 참조부호 24는 충격파를 연속적으로 출력함과 동시에 녹음된 훈련자의 음성을 출력토록 하는 기능을 입력하기 위한 음성 및 충격파 연속출력 스위치를 나타내며, 참조부호 25는 동물의 특정 행동에 대해 훈련자가 녹음된 칭찬하는 음성을 출력토록 하는 기능을 입력하기 위한 칭찬 음성출력 스위치를 나타내고, 참조부호 26은 동물의 특정 행동에 대해 훈련자가 녹음된 야단치는 음성을 출력토록 하는 기능을 입력하기 위한 야단 음성출력 스위치를 나타내고, 참조부호 27은 송신기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송신기 동작표시 램프를 나타내며, 참조부호 28은 훈련자의 직접적인 음성 입력기능 선택을 위한 음성 직접전달 스위치를 나타내고, 참조부호 29는 훈련자의 음성을 직접 입력하기 위한 마이크를 나타내며, 참조부호 31은 충격파 출력기능, 음성출력 기능, 충격파/음성 동시출력 기능, 동물소리 출력기능 간의 전환을 위한 기능전환스위치를 나타내고, 참조부호 49는 출력신호를 송출하기 위한 송신용 안테나를 나타낸다.
또한, 참조부호 41은 밧데리의 방전 전압을 정전압으로 만들어 송신기의 각 부분에 공급해 주기 위한 정전압 제어기를 나타내고, 참조부호 44는 상기 마이크(29)로부터 입력된 음성을 소정 레벨로 증폭하기 위한 마이크 증폭기(44)를 나타내며, 참조부호 40은 상기 충격파 레벨조절/동물소리선택 레버(20)에 의해 설정된 충격파의 레벨과 상기 마이크 증폭기(44)에 의해 증폭된 훈련자의 음성이나 동물소리 및 상기 모드선택스위치(21~26)의 작동신호를 받아 분석 처리하고, 그 분석 처리 결과에 대응하여 충격파 발생 제어신호의 데이터 파형, 녹음된 음성 발생 제어신호의 데이터 파형, 충격파/녹음 음성 발생 제어신호의 데이터 파형, 동물소리 발생 제어신호의 데이터 파형과 음성 직접전달 데이터 파형 중 선택된 하나의 제어신호의 데이터 파형을 출력하는 송신용 마이크로프로세서를 나타내고, 참조부호 45는 상기 송신용 마이크로프로세서(40)에서 출력된 제어신호를 반송파로 변조하기 위한 변조기를 나타내고, 참조부호 46은 상기 변조기(40)에서 변조된 반송파를 고주파수로 변환하기 위한 반송파 발진기를 나타내고, 참조부호 47은 상기 반송파 발진기(46)에서 출력되는 고주파수를 증폭하기 위한 고주파 증폭기를 나타내며, 참조부호 48은 상기 고주파 증폭기(47)에서 증폭된 고주파를 저역 필터링하여 고역 성분의 노이즈를 제거하는 저역필터를 나타낸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무선오디오 동물훈련장치 중 송신기의 동작을 설명한다.
상기 충격파 레벨조절/동물소리선택 레버(20)에 의해 설정된 충격파의 레벨 데이터가 상기 송신용 마이크로프로세서(40)에 입력되며, 이때 상기 모드선택 스위치(21~26) 중 하나를 누르면, 그에 상응하는 작동신호가 상기 송신용 마이크로프로세서(40)에 입력된다.
또한, 상기 기능전환스위치(31)에 의해 동물소리출력 기능이 선택된 경우에는 상기 충격파 레벨조절/동물소리선택 레버(20)가 특정 동물의 소리를 선택하는 기능을 하게 되고, 상기 충격파 순간출력/동물소리출력 스위치(21)는 상기 충격파 레벨조절/동물소리선택 레버(20)에 의해 설정된 동물소리 번호의 데이터를 내보낸다.
즉, 상기 기능전환스위치(31)에 의해 동물소리출력 기능이 선택된 상태에서 상기 충격파 순간출력/동물소리출력 스위치(21)를 누르면, 상기 충격파 레벨조절/동물소리선택 레버(20)에 의해 선택된 특정 동물의 소리 데이터가 상기 송신용 마이크로프로세서(40)에 전달된다.
또한, 훈련자가 상기 음성 직접전달 스위치(28)를 누른 상태에서 상기 마이크(29)를 통해 직접 음성을 입력하면, 입력된 음성은 상기 마이크 증폭기(44)를 통해 소정 레벨로 증폭된 후 상기 송신용 마이크로프로세서(40)에 전달된다.
상기 송신용 마이크로프로세서(40)는 상기 작동신호들을 분석 처리하고, 그 분석 처리결과에 대응하여 충격파 발생 제어신호의 데이터 파형, 녹음된 음성 발생 제어신호의 데이터 파형, 충격파/녹음 음성 발생 제어신호의 데이터 파형, 동물소리 발생 제어신호의 데이터 파형과 음성 직접전달 데이터 파형 중 선택된 하나의 제어신호의 데이터 파형을 상기 변조기(45)에 출력하게 된다. 상기 변조기(45)에서는 상기 송신용 마이크로프로세서(40)에서 출력된 제어 신호를 반송파로 변조하게 되며, 상기 반송파 발진기(46)에서 변조된 반송파를 소정의 주파수로 발진하여 상기 고주파증폭기(47)로 전달하면 고주파로 크고 강하게 만들어진다. 이후, 증폭된 고주파는 상기 저역필터(48)를 거쳐 상기 안테나(49)를 통하여 공중에 방사된다.
도3은 본 고안에 의한 무선오디오 동물훈련장치 중 수신기의 개략적인 외관도이고, 도5는 상기 수신기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여기서, 참조부호 37은 수신기를 나타내고, 참조부호 33은 수신기의 동작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수신기 동작표시 램프를 나타내고, 참조부호 35는 수신기 전원스위치를 나타내며, 참조부호 36은 상기 수신기를 동물의 목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하는 벨트를 나타내고, 참조부호 73은 밧데리의 방전 전압을 정전압으로 만들어 수신기의 각 부분에 공급해 주기 위한 정전압 제어기를 나타내고, 참조부호 60은 송신기에서 송출된 고주파 제어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용 안테나를 나타내고, 참조부호 61은 상기 수신용 안테나(60)에서 수신된 고주파 제어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고주파 증폭기를 나타내며, 참조부호 63은 발진 신호(Local Signal)를 발생하기 위한 국부 발진기를 나타내고, 참조부호 62는 상기 국부발진기의 발진 신호와 상기 고주파 증폭기의 고주파 신호를 혼합하여 중간주파수로 변환하기 위한 혼합기를 나타내며, 참조부호 64는 상기 혼합기(62)에서 변환된 중간주파수를 증폭하기 위한 중간주파 증폭기를 나타내고, 참조부호 65는 상기 중간주파 증폭기(64)에서 증폭된 신호를 받아 원래의 디지털 데이터로 검파(복조)하기 위한 검파기를 나타내며, 참조부호 66은 상기 검파기(65)에서 얻어진 디지털 데이터의 잡음을 제거하고 파형을 정형화하기 위한 버퍼를 나타내고, 참조부호 72는 상기 버퍼(66)로부터 전달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수신기(37)의 고유코드와 일치하는가를 분석하여 고유코드가 일치하는 경우에 충격파의 레벨을 읽고 충격파와 음성의 출력관계를 분석한 후 해당되는 부분의 출력을 위한 수신용 마이크로프로세서를 나타내며, 참조부호 67은 훈련자의 음성 및 각종 동물들의 소리가 녹음되어 있는 음성메모리 칩을 나타내고, 참조부호 68은 상기 음성메모리 칩(67)으로부터 전달받은 사용자의 음성 또는 동물의 소리를 크게 증폭하기 위한 저주파 증폭기를 나타내며, 참조부호 34는 상기 저주파 증폭기(68)로부터 전달받은 증폭신호를 동물에게 전달하는 스피커를 나타내고, 참조부호 70은 상기 수신용 마이크로프로세서(72)로부터 전달받은 충격파를 증폭하기 위한 충격파 증폭기를 나타내며, 참조부호 71은 상기 충격파 증폭기(70)에서 출력된 충격파를 고압으로 승압하기 위한 승압 트랜스를 나타내며, 참조부호 32는 상기 승압트랜스(71)로부터 발생된 고압의 충격파를 동물에게 가하도록 하는 고압 출력단자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무선오디오 동물훈련장치의 수신기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송신용 안테나(49)를 통하여 공중에 방사된 전파는 수신기의 안테나(60)에 의해 수신되며, 그 수신된 제어신호는 상기 고주파증폭기(61)에서 소정 레벨로 증폭된 후, 상기 혼합기(62)에 전달된다. 상기 혼합기(62)는 상기 국부발진기(63)의 발진신호와 고주파 신호를 혼합하여 중간주파수로 변환한 후, 상기 중간주파증폭기(64)로 전달하게 되고, 상기 중간주파증폭기(64)는 변환된 주파수를 증폭하여 상기 검파기(65)로 전달한다. 상기 검파기(65)는 입력된 중간중파수를 원래의 신호로 복조하여 버퍼(66)에 전달하게 되며,상기 버퍼(66)는 입력된 복조신호에서 잡음을 제거하고 파형을 정형화하여 상기 수신용 마이크로 프로세서(72)에 전달한다. 상기 수신용 마이크로프로세서(72)에서는 데이터를 분석하여 수신기의 고유코드와 일치하는가를 분석한 후 고유코드가 일치하면 충격파의 레벨을 읽고 충격파와 음성의 출력관계를 분석하여 해당되는 부분의 출력을 한다.
각 기능별 동작내용을 보면 상기 수신용 마이크로프로세서(72)가 분석한 데이터가 충격파출력일 경우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는(72)는 충격파 펄스를 상기 충격파 증폭기(70)에 순간적 또는 연속적으로 전달하며, 전달된 펄스는 상기 충격파증폭기(70)에서 증폭된 후 상기 승압트랜스(71)의 1차 측에 전달된다. 상기 승압트랜스(71)는 1차 측으로 인가된 펄스를 2차 측으로 유기시켜 고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하게 되고, 이렇게 출력되는 고압은 상기 고압출력단자(32)를 통하여 동물에게 인가되어진다.
또한, 상기 수신용 마이크로프로세서(72)가 분석한 데이터가 녹음된 음성 출력신호인 경우 상기 수신용 마이크로프로세서(72)는 상기 음성메모리 칩(67)으로 해당되는 음성을 출력할 수 있는 신호를 보내면 상기 음성메모리 칩(67)은 저장된 음성을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저주파 증폭기(68)로 전달한다. 상기 저주파 증폭기(68)는 미약한 음성신호를 크게 증폭하여 소리를 내주는 상기 스피커(34)로 전달하여 소리를 발생한다.
또한, 상기 수신용 마이크로프로세서(72)가 분석한 데이터가 동물소리인 경우,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72)는 상기 음성메모리 칩(67)에 녹음되어 있는 해당 동물소리를 선택하여 상기 저주파증폭기(68)로 보내면, 상기 저주파 증폭기(68)는 미약한 동물소리 신호를 크게 증폭하여 소리를 내주는 상기 스피커(34)에 전달함으로써 동물소리를 발생한다.
상기 수신용 마이크로프로세서(72)가 분석한 데이터가 충격파와 녹음된 음성을 동시에 출력하는 경우에는 상기의 충격파 출력방법과 음성출력방법을 동시에 실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수신용 마이크로프로세서(72)는 분석한 데이터가 음성 직접전달 데이터인 경우에 훈련자의 변조된 음성이 상기 저주파증폭기(68)에 전달되도록 상기 음성메모리 칩을 제어함으로써, 훈련자가 직접 말하는 소리가 상기 스피커(34)를 통해 동물에게 전달되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무선 오디오(Audio) 동물훈련장치"에 따르면, 원거리의 동물을 훈련자의 음성에 의해 제어함으로써 무리한 전기충격으로 인해 동물에게 가해지는 고통 등의 악영향을 줄여 훈련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사냥을 할 때 특정 동물 소리를 발생시킬 수 있어 동물들을 유인하는 데에도 유용하게 쓰일 수 있다.
도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동물훈련장치의 개략적인 외관도.
도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오디오 동물훈련장치 중 송신기의 개략적인 외관도.
도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오디오 동물훈련장치 중 수신기의 개략적인 외관도.
도4는 도2에 도시된 송신기의 기능적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5는 도3에 도시된 수신기의 기능적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충격파 레벨조절/동물소리선택 레버
21: 충격파 순간출력/동물소리출력 스위치
22: 충격파 연속출력 스위치 23: 음성 및 충격파 순간출력 스위치
24: 음성 및 충격파 연속출력 스위치 25: 칭찬 음성출력 스위치
26: 야단 음성출력 스위치 28: 음성 직접전달 스위치
29: 마이크 31: 기능전환 스위치
34: 스피커 37: 수신기
38: 송신기 40: 송신용 마이크로프로세서
67: 음성 메모리 칩 68: 저주파 증폭기
72: 수신용 마이크로프로세서

Claims (9)

  1. 동물에게 전기적 충격을 가하거나 동물 훈련자의 음성을 전달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무선으로 송신하는 송신기와;
    상기 동물에게 장착되며, 상기 송신기로부터 전송받은 제어신호를 분석하여 선택적으로 동물에게 전기충격을 가하거나 오디오를 발생해 주는 수신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오디오(Audio) 동물 훈련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는,
    동물에게 가하는 충격파의 강도를 설정하거나 특정 동물소리를 선택하기 위한 충격파 레벨조절/동물소리선택 레버와;
    충격파 출력기능, 녹음 음성 출력기능, 충격파/녹음 음성 동시출력기능, 동물소리 출력기능 간의 전환을 위한 기능전환 스위치와;
    충격파 출력과 녹음된 음성 출력을 선택하기 위한 모드선택 스위치와;
    훈련자의 음성 입력 기능 선택을 위한 음성 직접전달 스위치와;
    훈련자의 음성을 직접 입력하기 위한 마이크와;
    상기 마이크로부터 입력된 음성을 증폭하기 위한 마이크 증폭기와;
    밧데리의 방전 전압을 정전압으로 만들어 송신기의 각 부분에 공급해 주기 위한 정전압 제어기와;
    상기 충격파 레벨조절/동물소리선택 레버에 의해 설정된 충격파의 레벨과 상기 마이크 증폭기에 의해 증폭된 훈련자의 음성이나 동물의 소리 및 상기 모드선택스위치의 작동신호를 받아 분석처리하고, 그 분석 처리 결과에 대응하여 충격파 발생 제어신호의 데이터 파형, 녹음 음성 발생 제어신호의 데이터 파형 및 충격파/녹음 음성 발생 제어신호의 데이터 파형, 동물소리 발생 제어신호의 데이터 파형, 음성 직접전달 데이터 파형 중 선택된 하나의 제어신호의 데이터 파형을 출력하는 송신용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상기 송신용 마이크로프로세서에서 출력된 제어신호를 반송파로 변조하기 위한 변조기와;
    상기 변조기에서 변조된 반송파를 고주파수로 변환하기 위한 반송파 발진기와;
    상기 반송파 발진기에서 출력되는 고주파수를 증폭하기 위한 고주파 증폭기와;
    상기 고주파 증폭기에서 증폭된 고주파를 저역 필터링하여 고역 성분의 노이즈를 제거하는 저역필터와;
    상기 저역필터를 통과한 출력신호를 송신하는 송신용 안테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오디오(Audio) 동물 훈련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선택스위치는,
    충격파를 순간적으로 출력케 하거나 특정 동물소리를 출력케 하는 기능을 입력하기 위한 충격파 순간출력/동물소리 출력 스위치, 충격파를 지속적으로 출력케 하는 기능을 입력하기 위한 충격파 연속출력스위치, 순간적인 충격파 출력과 동시에 훈련자의 녹음된 음성을 출력토록 하는 기능을 입력하기 위한 음성 및 충격파 순간출력 스위치, 연속적인 충격파 출력과 동시에 훈련자의 녹음된 음성을 출력토록 하는 기능을 입력하기 위한 음성 및 충격파 연속출력 스위치, 동물의 특정 행동에 대해 훈련자가 칭찬하는 녹음된 음성을 출력토록 하는 기능을 입력하기 위한 칭찬 음성출력스위치, 동물의 특정행동에 대해 훈련자가 야단치는 녹음된 음성을 출력토록 하는 기능을 입력하기 위한 야단 음성출력 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오디오(Audio) 동물 훈련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는,
    상기 송신기에서 송출된 고주파 제어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용 안테나와;
    상기 수신용 안테나에서 수신된 고주파 제어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고주파 증폭기와;
    발진 신호(Local Signal)를 발생하기 위한 국부 발진기와;
    상기 국부발진기의 발진신호와 상기 고주파 증폭기의 고주파 신호를 혼합하여 중간주파수로 변환하기 위한 혼합기와;
    상기 혼합기에서 변환된 중간주파수를 증폭하기 위한 중간주파 증폭기와;
    상기 중간주파 증폭기에서 증폭된 신호를 받아 원래의 디지털 데이터로 검파(복조)하기 위한 검파기와;
    상기 검파기에서 얻어진 디지털 데이터의 잡음을 제거하고 파형을 정형화하기 위한 버퍼와;
    상기 버퍼로부터 전달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수신기의 고유코드와 일치하는가를 분석하여 고유코드가 일치하는 경우에 충격파의 레벨을 읽고 충격파와 음성의 출력관계를 분석한 후 해당되는 부분의 출력을 위한 수신용 마이크로프로세서와;
    훈련자의 음성 및 각종 동물들의 소리가 녹음되어 있는 음성메모리 칩과;
    상기 음성메모리 칩으로부터 전달받은 훈련자의 녹음된 음성 또는 동물의 소리를 크게 증폭하기 위한 저주파 증폭기와;
    상기 저주파 증폭기로부터 전달받은 증폭신호를 동물에게 전달하는 스피커와;
    상기 수신용 마이크로프로세서로부터 전달받은 충격파를 증폭하기 위한 충격파 증폭기와;
    상기 충격파 증폭기에서 출력된 충격파를 고압으로 승압하기 위한 승압 트랜스와;
    상기 승압트랜스로부터 발생된 고압의 충격파를 동물에게 가하도록 하는 고압 출력단자와;
    밧데리의 방전 전압을 정전압으로 만들어 수신기의 각 부분에 공급해 주기 위한 정전압 제어기와;
    수신기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동작표시 램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오디오(Audio) 동물 훈련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용 마이크로프로세서는, 분석한 데이터가 충격파 출력일 경우에 충격파 펄스를 상기 충격파 증폭기에 순간적 또는 연속적으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오디오(Audio) 동물 훈련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용 마이크로프로세서는 분석한 데이터가 녹음 음성 출력 신호인 경우에 상기 수신용 마이크로프로세서는 해당되는 녹음된 음성을 선택할 수 있는 신호를 상기 음성메모리 칩으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오디오(Audio) 동물 훈련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용 마이크로프로세서는 분석한 데이터가 충격파와 녹음된 음성을 동시에 출력하는 경우에 충격파 출력과 녹음된 음성출력을 동시에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오디오(Audio) 동물 훈련 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용 마이크로프로세서는 분석한 데이터가 동물소리인 경우에 해당 동물소리가 선택되어 상기 저주파 증폭기로 전달되도록 상기 음성 메모리 칩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오디오(Audio) 동물 훈련 장치.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용 마이크로프로세서는 분석한 데이터가 음성직접 전달 데이터인 경우에 훈련자의 변조된 음성이 상기 저주파 증폭기로 전달되도록 상기 음성 메모리 칩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오디오(Audio) 동물 훈련 장치.
KR20-2005-0008846U 2005-03-31 2005-03-31 무선 오디오 동물 훈련장치 KR20038711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8846U KR200387116Y1 (ko) 2005-03-31 2005-03-31 무선 오디오 동물 훈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8846U KR200387116Y1 (ko) 2005-03-31 2005-03-31 무선 오디오 동물 훈련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7021A Division KR100641657B1 (ko) 2005-03-31 2005-03-31 무선 오디오 동물 훈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7116Y1 true KR200387116Y1 (ko) 2005-06-17

Family

ID=436884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8846U KR200387116Y1 (ko) 2005-03-31 2005-03-31 무선 오디오 동물 훈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7116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2133B1 (ko) 2009-10-23 2012-08-09 김용원 저주파 자극주기 자동가변 동물훈련장치 및 제어방법
KR101309757B1 (ko) 2010-12-22 2013-09-17 주식회사 씨앤디마이크로 전압-주파수 컨버터를 이용한 원격 동물 훈련 시스템
KR102091936B1 (ko) 2018-09-14 2020-03-20 이민성 반려동물 맞춤형 음원 출력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2133B1 (ko) 2009-10-23 2012-08-09 김용원 저주파 자극주기 자동가변 동물훈련장치 및 제어방법
KR101309757B1 (ko) 2010-12-22 2013-09-17 주식회사 씨앤디마이크로 전압-주파수 컨버터를 이용한 원격 동물 훈련 시스템
KR102091936B1 (ko) 2018-09-14 2020-03-20 이민성 반려동물 맞춤형 음원 출력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98563B2 (en) Pet training device
KR100257879B1 (ko) 동물훈련장치 및 그 제어방법
DK2103176T3 (da) Hørehjælpesystem og fremgangsmåde til betjening deraf
KR19990070415A (ko) 동물훈련장치
JPH0642760B2 (ja) 補聴器
WO2002082633A3 (en) System and method for current-mode amplitude modulation
KR100641657B1 (ko) 무선 오디오 동물 훈련장치
KR200387116Y1 (ko) 무선 오디오 동물 훈련장치
KR100333409B1 (ko) 마이컴 콘트롤에 의한 무선 마이크 송수신기 뮤트 제어장치
KR101459569B1 (ko) 무전기 겸용 동물 훈련기
US6426919B1 (en) Portable and hand-held device for making humanly audible sounds responsive to the detecting of ultrasonic sounds
KR200424413Y1 (ko) 블루투스를 이용한 강의용 무선 앰프장치
JP2000295119A5 (ko)
KR101172133B1 (ko) 저주파 자극주기 자동가변 동물훈련장치 및 제어방법
JP4011412B2 (ja) 通信システム、送信装置、および受信装置
KR101166520B1 (ko) 보청기 사용자를 위한 휴대용 단말기의 전자기파 발생 장치
JPH0918377A (ja) データ通信装置
DE60231933D1 (de) Vorrichtung mit einem Mikrophon und einem HF-Sender zur Verbindung mit dem Mikrophon
KR100550393B1 (ko) 무선 생활무전기 기능을 갖는 카 오디오
KR101192948B1 (ko) 마이크
KR100595673B1 (ko) 시각 장애자용 휴대 단말기
CN113810804A (zh) 一种多功能k歌设备、控制系统及方法
JPH04354300A (ja) 補聴器
JP2004173297A (ja) ワイヤレス・マイクロフォン通信システム、ワイヤレス・マイクロフォン送信機およびワイヤレス受信機
KR960001257Y1 (ko) 외부변조기능을 구비한 마이크로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