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9569B1 - 무전기 겸용 동물 훈련기 - Google Patents

무전기 겸용 동물 훈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9569B1
KR101459569B1 KR1020130031092A KR20130031092A KR101459569B1 KR 101459569 B1 KR101459569 B1 KR 101459569B1 KR 1020130031092 A KR1020130031092 A KR 1020130031092A KR 20130031092 A KR20130031092 A KR 20130031092A KR 101459569 B1 KR101459569 B1 KR 1014595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animal
radio signal
radio
stimu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10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15856A (ko
Inventor
조용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미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미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미스
Priority to KR10201300310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9569B1/ko
Priority to US13/924,062 priority patent/US9339010B2/en
Publication of KR201401158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58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95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95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5/00Devices for taming animals, e.g. nose-rings or hobbles; Devices for overturning animals in general; Training or exercising equipment; Covering boxes
    • A01K15/02Training or exercising equipment, e.g. mazes or labyrinths for animals ; Electric shock devices ; Toys specially adapted for animals
    • A01K15/021Electronic trai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dogs or ca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5/00Devices for taming animals, e.g. nose-rings or hobbles; Devices for overturning animals in general; Training or exercising equipment; Covering boxes
    • A01K15/02Training or exercising equipment, e.g. mazes or labyrinths for animals ; Electric shock devices ; Toys specially adapted for anima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Zo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 Transmit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전기 채널과 훈련기의 동물 자극 레벨 설정을 위한 엔코더/택트(encoder/tact) 스위치, 상기 엔코더/택트 스위치의 무전기 채널 설정과 훈련기의 동물 자극 레벨 설정 간의 전환을 위한 모드 지정 입력부, 사용자 키 조작에 따라 동물 자극 명령을 입력받는 자극 명령 입력부, 훈련기의 ID 코드가 셋팅된 ID코드 셋팅부, 신호 송신 또는 신호 수신시 필요한 RF 무선 신호를 발생하는 RF 무선 신호 발생부, 상기 신호 송신 또는 신호 수신 전환을 위한 안테나 스위치, 상기 신호 송신시 상기 RF 무선 신호 발생부에서 발생된 RF 무선 신호를 증폭하여 상기 안테나 스위치로 입력하는 신호 증폭부, 상기 신호 수신시 상기 안테나 스위치로부터 입력받은 수신 신호를 복조하여 상기 RF 무선 신호 발생부로 입력하는 수신 신호 복조부, 상기 안테나 스위치로부터 입력된 송신 RF 신호에 있어 기본파 외 고조파를 제거하는 로우 패스 필터(LPF), 사용자 입력 음성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시켜 상기 RF 무선 신호 발생부로 입력하는 마이크로폰, 상기 RF 무선 신호 발생부로부터 출력된 수신 RF 신호를 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 및 사용자 명령이 입력된 경우 무전기 모드로 동작하고,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지 않고 상기 자극 명령 입력부로부터 자극 명령이 입력된 경우, 상기 엔코더 택트(encoder/tact) 스위치에 의해 설정된 자극 레벨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발생시키고, 상기 발생시킨 데이터와 상기 ID코드 셋팅부에 셋팅된 훈련기의 ID 코드가 실릴 수 있도록 RF 무선 신호 발생부의 RF 무선 신호 발생 동작을 제어하는 제1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무전기 겸용 동물 훈련기에 관한 것으로, 훈련시키고자 하는 동물에 대한 자극 레벨도 세분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속적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멀티 독(Multi dog) 사용 시 각각의 동물에 맞는 레벨을 설정할 수 있으며, 더불어 동물 훈련시 무전기와 별도로 훈련기를 가지고 다니는 것을 하나의 제품에 집약시킴으로써 무전기로 활용하면서 훈련기로도 활용하므로 휴대하기에 매우 편리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무전기 겸용 동물 훈련기{Animal traing apparatus with radio receiver}
본 발명은 무전기 겸용 동물 훈련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훈련시키고자 하는 동물에 대한 자극 레벨도 세분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속적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멀티 독(Multi dog) 사용 시 각각의 동물에 맞는 레벨을 설정할 수 있으며, 더불어 동물 훈련시 무전기와 별도로 훈련기를 가지고 다니는 것을 하나의 제품에 집약시킴으로써 무전기로 활용하면서 훈련기로도 활용하므로 휴대하기에 매우 편리할 수 있도록 하는, 무전기 겸용 동물 훈련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동물훈련장치는 동물의 목이나 신체일부에 장착되어 동물에게 전기적충격을 인가하여 동물을 훈련시키고 있었다.
이와 같은 종래의 동물훈련장치는 본 출원인이 1995년 7월 5일자로 미국에 특허출원하여 1997년 9월 16일자로 특허등록된 미합중국 특허 제5,666,908호에 개시되어 있다.
동 미국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동물훈련장치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송신기와 수신기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송신기는 동물을 훈련시키는 훈련자의 조작에 따라 동물에게 전기적인 자극을 가하도록 무선신호를 송신하는 것으로써, 상기 송신기는 상기 수신기에서 출력할 충격파의 레벨을 셋팅하는 자극조절제어부와, 상기 자극조절제어부에서 셋팅된 무선신호의 송신을 제어하는 파워스위치와, 상기 자극조절제어부에 의해 설정된 조건에 따라 충격파 레벨의 지시정보와 해당하는 수신기를 결정하는 ID 코드(INDICATION CODE : 이하, ID 코드라 한다)정보를 포함한 무선신호를 송신하는 송신안테나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수신기는 상기 송신기의 송신안테나에서 송신된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송신기의 자극조절제어부에 의해 셋팅된 신호파형을 일정 시간 동안 발생하는 것으로써, 이 수신기는 상기 송신기의 송신안테나에서 송신되는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수신안테나와, 상기 수신안테나에서 수신된 무선신호를 증폭 및 검파하는 리시버유닛과, 상기 리시버유닛에서 출력되는 충격파를 동물에게 인가하도록 목걸이(collar)의 안쪽을 향해서 고정설치되는 전극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리시버유닛 내에는 상기 수신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송신기의 자극조절제어부에 의해 셋팅된 일정레벨의 충격파로 복조하는 검파수단과, 상기 검파수단에서 복조된 신호가 훈련자가 송신한 신호인지 여부를 조회하여 훈련자가 송신한 신호일 경우 송신기의 자극조절제어부에 의해 셋팅된 레벨의 충격파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수신용 마이크로프로세서와, 상기 수신용 마이크로프로세서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스위칭되어 일정레벨로 증폭하는 증폭수단과, 상기 증폭수단의 스위칭 및 증폭에 따라 고전압의 충격파를 발생하는 충격파발생수단과, 상기 충격파발생수단에서 발생된 충격파를 출력하는 한쌍의 전극을 구비하고 있다.
그런데, 상술한 종래의 동물훈련장치는 송신기의 자극조절제어부가 기계식 스위치인 셀렉터스위치로 되어 있어 상기 수신기에서 출력할 충격파의 레벨을 미세하게 단계별로 셋팅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동물훈련장치는 동물의 훈련시에 셀렉터 스위치인 자극조절제어부에 의해 셋팅된 일정레벨의 충격파를 항상 동물에게 인가해서 동물을 훈련시키므로, 충격파에 약한 동물을 훈련시키기가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동물훈련시 무전기와 훈련기를 별도로 가지고 다니는 것으로 인해, 불편함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삭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자극 레벨도 세분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속적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멀티 독(Multi dog) 사용 시 각각의 동물에 맞는 레벨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며, 더불어 동물 훈련시 무전기와 별도로 훈련기를 가지고 다니는 것을 하나의 제품에 집약시킴으로써 무전기로 활용하면서 훈련기로도 활용하므로 휴대하기에 매우 편리할 수 있도록 하는, 무전기 겸용 동물 훈련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무전기 겸용 동물 훈련기는,
무전기 채널과 훈련기의 동물 자극 레벨 설정을 위한 엔코더/택트(encoder/tact) 스위치, 상기 엔코더/택트 스위치의 무전기 채널 설정과 훈련기의 동물 자극 레벨 설정 간의 전환을 위한 모드 지정 입력부, 사용자 키 조작에 따라 동물 자극 명령을 입력받는 자극 명령 입력부, 훈련기의 ID 코드가 셋팅된 ID코드 셋팅부, 신호 송신 또는 신호 수신시 필요한 RF 무선 신호를 발생하는 RF 무선 신호 발생부, 상기 신호 송신 또는 신호 수신 전환을 위한 안테나 스위치, 상기 신호 송신시 상기 RF 무선 신호 발생부에서 발생된 RF 무선 신호를 증폭하여 상기 안테나 스위치로 입력하는 신호 증폭부, 상기 신호 수신시 상기 안테나 스위치로부터 입력받은 수신 신호를 복조하여 상기 RF 무선 신호 발생부로 입력하는 수신 신호 복조부, 상기 안테나 스위치로부터 입력된 송신 RF 신호에 있어 기본파 외 고조파를 제거하는 로우 패스 필터(LPF), 사용자 입력 음성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시켜 상기 RF 무선 신호 발생부로 입력하는 마이크로폰, 상기 RF 무선 신호 발생부로부터 출력된 수신 RF 신호를 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 및 사용자 명령이 입력된 경우 무전기 모드로 동작하고,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지 않고 상기 자극 명령 입력부로부터 자극 명령이 입력된 경우, 상기 엔코더 택트(encoder/tact) 스위치에 의해 설정된 자극 레벨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발생시키고, 상기 발생시킨 데이터와 상기 ID코드 셋팅부에 셋팅된 훈련기의 ID 코드가 실릴 수 있도록 RF 무선 신호 발생부의 RF 무선 신호 발생 동작을 제어하는 제1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자극 레벨에 해당하는 자극 신호를 발생하는 고전압 자극 발생부, 상기 고전압 자극 발생부에 의해 발생된 자극을 전극을 통해 동물에게 인가하는 자극 터미널,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RF 무선 신호를 복조하는 신호 복조부, 상기 신호 복조부에 의해 복조된 데이터에 따라 상기 고전압 자극 발생부의 자극 신호 발생 동작을 제어하는 제2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플래쉬 키 및, LED에 연결되어 상기 연결된 LED의 점멸 동작을 제어하는 제1 플래쉬 드라이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2 마이크로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마이크로 프로세서로부터 설정 시간 내로 상기 플래쉬 키가 눌러진 경우 발생되는 제어 신호가 입력된 경우, 상기 LED가 플래쉬로 동작되도록 상기 제1 플래쉬 드라이버의 LED 점멸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LED에 연결되어 상기 플래쉬 키 누름시 상기 연결된 LED의 점멸 동작을 제어하는 제2 플래쉬 드라이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마이크로 프로세서는 상기 설정 시간 이상으로 상기 플래쉬 키가 눌러진 경우, 상기 LED가 플래쉬로 동작되도록 상기 제2 플래쉬 드라이버의 LED 점멸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순간 및 위급 상황 발생 처리를 위한 긴급 처리 키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마이크로 프로세서는 사용자 키 조작에 따라 상기 긴급 처리 키가 눌러진 경우, 현재 설정된 자극 레벨보다 설정 레벨만큼 높은 고강도 자극 레벨에 해당하는 자극 신호가 발생되도록 상기 RF 무선 신호 발생부의 RF 무선 신호 발생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자극이 아닌 진동으로 훈련시키거나 경고를 주기 위한 진동 명령 입력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마이크로 프로세서는 상기 진동 명령 입력부로부터 진동 명령이 입력된 경우, 상기 엔코더 택트(encoder/tact) 스위치에 의해 설정된 진동 레벨에 해당하는 진동 신호가 발생되도록 상기 RF 무선 신호 발생부의 RF 무선 신호 발생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훈련시키고자 하는 동물에 대한 자극 레벨도 세분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속적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멀티 독(Multi dog) 사용 시 각각의 동물에 맞는 레벨을 설정할 수 있으며, 더불어 동물 훈련시 무전기와 별도로 훈련기를 가지고 다니는 것을 하나의 제품에 집약시킴으로써 무전기로 활용하면서 훈련기로도 활용하므로 휴대하기에 매우 편리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전기 겸용 동물 훈련기의 송신기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전기 겸용 동물 훈련기의 수신기 구성을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다만,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및 청구범위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전기 겸용 동물 훈련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전기 겸용 동물 훈련기의 송신기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전기 겸용 동물 훈련기의 수신기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전기 겸용 동물 훈련기는 크게, 송신기와 수신기로 구성된다.
상기 송신기는 무전기 채널과 훈련기의 동물 자극 레벨 설정을 위한 엔코더/택트(encoder/tact) 스위치(101), 상기 엔코더/택트 스위치(101)의 무전기 채널 설정과 훈련기의 동물 자극 레벨 설정 간의 전환을 위한 모드 지정 입력부(102), 사용자 키 조작에 따라 동물 자극 명령을 입력받는 자극 명령 입력부(103), 훈련기의 ID 코드가 셋팅된 ID코드 셋팅부(104), 신호 송신 또는 신호 수신시 필요한 RF 무선 신호를 발생하는 RF 무선 신호 발생부(105), 상기 신호 송신 또는 신호 수신 전환을 위한 안테나 스위치(106), 상기 신호 송신시 상기 RF 무선 신호 발생부(105)에서 발생된 RF 무선 신호를 증폭하여 상기 안테나 스위치(106)로 입력하는 신호 증폭부(107), 상기 신호 수신시 상기 안테나 스위치(106)로부터 입력받은 수신 신호를 복조하여 상기 RF 무선 신호 발생부(105)로 입력하는 수신 신호 복조부(108), 상기 안테나 스위치(106)로부터 입력된 송신 RF 신호에 있어 기본파 외 고조파를 제거하는 로우 패스 필터(LPF)(109), 사용자 입력 음성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시켜 상기 RF 무선 신호 발생부(105)로 입력하는 마이크로폰(110), 상기 RF 무선 신호 발생부(105)로부터 출력된 수신 RF 신호를 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111) 및, 사용자 명령이 입력된 경우(예: PTT 버튼이 눌러진 경우) 무전기 모드로 동작하고,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지 않고 상기 자극 명령 입력부(103)로부터 자극 명령이 입력된 경우, 상기 엔코더 택트(encoder/tact) 스위치(101)에 의해 설정된 자극 레벨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발생시키고, 상기 발생시킨 데이터와 상기 ID코드 셋팅부(104)에 셋팅된 훈련기의 ID 코드가 실릴 수 있도록 상기 RF 무선 신호 발생부(105)의 RF 무선 신호 발생 동작을 제어하는 제1 마이크로 프로세서(1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구조이다.
그리고, 수신기는 트랜스포머가 적용되어 상기 자극 레벨에 해당하는 자극 신호를 발생하는 고전압 자극 발생부(201)와, 상기 고전압 자극 발생부(201)에 의해 발생된 자극을 전극을 통해 동물에게 인가하는 자극 터미널(202),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RF 무선 신호를 복조하는 신호 복조부(203) 및, 상기 신호 복조부(203)에 의해 복조된 RF 무선 신호에 따라 상기 고전압 자극 발생부(201)의 자극 신호 발생 동작을 제어하는 제2 마이크로 프로세서(20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구조이다. 상기 신호 복조부(203)는 내부에 믹서(Mixer) 부와 OSC부와 DET부가 구성된다. 상기 믹서(Mixer) 부는 RF Amp로부터 공급되는 RF 신호와 OSC로부터 발진 신호가 공급되어 제2의 주파수인 중간 주파수를 만들어낸다. 그리고, OSC부는 제2 중간주파수를 얻어내기 위해 자체적으로 만들어 내는 발진 수단이다. DET 부는 검파 수단으로서 송신기에서 보내오는 기능 및 ID 신호를 검파한다. 크리스탈은 제2 중간주파수를 얻어내기 위해 자체적으로 만들어 내는 발진을 위한 진동 소자이며, 필터수단은 믹서(Mixer) 부에서 만들어진 중간 주파수에 포함되어 있는 노이즈를 필터링한다. 상기 수신기는 동물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한 가속도센서(209) 또는 모션 센서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송신기에서 상기 플래쉬 키(113)가 눌러진 경우 연결된 LED의 점멸 동작을 제어하는 제1 플래쉬 드라이버(205)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2 마이크로 프로세서(204)는 상기 플래쉬 키(113)가 설정 시간(예: 2초) 내로 눌러진 경우, 즉, 상기 제1 마이크로 프로세서(204)로부터 설정 시간 내로 상기 플래쉬 키(113)가 눌러진 경우 발생되는 제어 신호가 입력된 경우, 상기 LED가 플래쉬로 동작되도록 상기 제1 플래쉬 드라이버(205)의 LED 점멸 동작을 제어하여 야간에 동물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LED의 과열 및 밝기를 일정하게 하기 위해 정전류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엔코더/택트(encoder/tact) 스위치(101)는 훈련기의 자극의 크기를 조정하기 위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무전기 채널 설정과 훈련기의 동물 자극 레벨 설정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수단이다. 예를 들어, 상기 모드 지정 입력부(102)를 통해 사용자가 제1 모드를 지정한 경우, 사용자는 엔코더/택트 스위치(101)를 돌려서 원하는 무전 채널(예: CH-01)로 설정할 수 있고, 상기 모드 지정 입력부(102)를 통해 사용자가 제2 모드를 지정한 경우, 사용자는 엔코더/택트 스위치(101)를 돌려서 원하는 자극 레벨을 설정할 수 있다. 이때, 무전 채널 또는 자극 레벨이 설정되면 택트(tact) 키를 눌러 기억 또는 해제할 수 있다. 자극 조절 수단인 엔코더/택트(encoder/tact) 스위치(101)는 종래 방식에 있어서, 기계식 스위치인 셀렉터(Selector)를 적용한 경우 자극을 세분화할 수 없고 또한 멀티 독(Multi dog) 사용 시 각각의 동물에 맞는 레벨을 설정할 수 없으며, 또한 볼륨을 적용한 경우도 자극을 세분화할 수는 있어도 멀티 독(Multi dog) 사용 시 각각의 동물에 맞는 레벨을 설정할 수 없는 반면에, 본 발명에서는 360°돌아가는 엔코더(Encoder) 스위치를 적용하여 자극 레벨도 세분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속적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멀티 독(Multi dog) 사용 시 각각의 동물에 맞는 레벨을 설정할 수 있는 차별성을 갖는다.
모드 지정 입력부(102)는 상기 엔코더/택트 스위치(101)의 무전기 채널 설정과 훈련기의 동물 자극 레벨 설정 간의 전환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수단이다. 예를 들어, 상기 모드 지정 입력부(102)를 통해 사용자가 제1 모드를 지정한 경우, 엔코더/택트 스위치(101)를 돌려서 설정되는 정보는 무전 채널(예: CH-01) 정보가 되고, 상기 모드 지정 입력부(102)를 통해 사용자가 제2 모드를 지정한 경우, 엔코더/택트 스위치(101)를 돌려서 설정되는 정보는 훈련시키고자 하는 동물에 대한 자극 레벨 정보가 되어 각기 설정된다.
자극 명령 입력부(103)는 사용자 키 조작에 따라 동물 자극 명령을 발생시켜 제1 마이크로 프로세서(112)로 입력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1 Dog 동물에게 명령을 주기 위한 제1 버튼과 2 Dog 동물에게 명령을 주기 위한 제2 버튼으로 구성될 수 있다.
ID코드 셋팅부(104)는 무전기의 기능 및 훈련기의 ID 코드 번호가 부여되어 셋팅된 것이다.
RF 무선 신호 발생부(105)는 송신에 필요한 주파수와 수신에 필요한 많은 RF 무선 신호를 만들어내는 PLL 회로로, 신씨사이저(Synthesizer)와 VCO 및, DSP 코어(Core)로 구성된다.
안테나 스위치(106)는 안테나 하나로 송신과 수신을 같이 사용함으로 요구되는 것으로 송/수신에 따라 신호 송신과 신호 수신 상호 간을 전환시키게 된다,
신호 증폭부(107)는 상기 신호 송신시 상기 RF 무선 신호 발생부(105)에서 발생된 RF 무선 신호를 증폭하여 상기 안테나 스위치(106)로 입력하는 것으로, 상기 RF 무선 신호 발생부(105)에서 발생된 미약한 신호를 증폭하는 프리 드라이버(Pre Driver), 프리 드라이버에서 증폭한 RF 출력이 작아 다음 단을 동작할 수 있게 증폭하는 드라이버, 송 수신에 있어서 필요한 통달 거리가 되게 RF 신호를 증폭하여 안테나 스위치(106)로 입력하는 파이널 앰프(Final AMP)로 구성될 수 있다.
수신 신호 복조부(108)는 상기 신호 수신시 상기 안테나 스위치(106)로부터 입력받은 수신 신호를 복조하여 상기 RF 무선 신호 발생부(105)로 입력하는 것으로, 상기 안테나 스위치(106)로부터 입력받는 수신 신호에서 필요한 주파수 대역만 통과시키는 밴드 패스 필터(BPF)와 수신시 안테나에 유기된 미약한 RF 신호를 증폭하여 상기 RF 무선 신호 발생부(105)로 입력하는 RF 앰프(AMP)로 구성될 수 있다.
로우 패스 필터(LPF)(109)는 상기 안테나 스위치(106)로부터 입력된 송신 RF 신호에 있어 기본파 외에 발생되는 고조파를 제거하는 수단이다.
마이크로폰(110)은 사용자 입력 음성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시켜 상기 RF 무선 신호 발생부(105)로 입력하는 것이다.
음성 출력부(111)는 상기 RF 무선 신호 발생부(105)로부터 출력된 수신 RF 신호를 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것으로, 오디오 앰프와 스피커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마이크로 프로세서(112)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된 경우 무전기 모드로 동작하고,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지 않고 상기 자극 명령 입력부(103)로부터 자극 명령이 입력된 경우, 상기 엔코더 택트(encoder/tact) 스위치(101)에 의해 설정된 자극 레벨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발생시키고, 상기 발생시킨 데이터와 상기 ID코드 셋팅부(104)에 셋팅된 훈련기의 ID 코드가 실릴 수 있도록 상기 RF 무선 신호 발생부(105)의 RF 무선 신호 발생 동작을 제어한다.
추가로, 본 발명에 따른 무전기 겸용 동물 훈련기는 순간 및 위급 상황 발생 처리를 위한 긴급 처리 키(예: 위급 상황 시(예; 신발을 물어 뜯거나 서로 싸울 때)(116) 또는 평소 설정된 레벨(Level)로 제어가 안 될 때를 대비하여 구비된 기능)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마이크로 프로세서(112)는 사용자 키 조작에 따라 상기 긴급 처리 키가 눌러진 경우, 현재 설정된 자극 레벨보다 설정 레벨(예: 20단)만큼 높은 고강도 자극 레벨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현재 설정된 레벨보다 20단이 업(Up) 되도록 구성할 수 있는데, 이 경우 현재 1 Dog은 35단으로, 2Dog은 60단으로 설정되었다면 55단과 80단으로 각기 송신된다.
그리고, 자극이 아닌 진동으로 훈련시키거나 경고를 주기 위한 진동 명령 입력부(117)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마이크로 프로세서(112)는 상기 진동 명령 입력부(117)로부터 진동 명령이 입력된 경우, 상기 엔코더 택트(encoder/tact) 스위치(101)에 의해 설정된 진동 레벨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발생시키고, 발생시킨 데이터와 훈련기의 ID 코드가 실릴 수 있도록 RF 무선 신호 발생부(105)의 RF 무선 신호 발생 동작을 제어하게 된다.
또한, LED에 연결되어 상기 플래쉬 키(113) 누름시 상기 연결된 LED의 점멸 동작을 제어하는 제2 플래쉬 드라이버(114)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마이크로 프로세서(112)는 상기 플래쉬 키(113)가 설정 시간(예: 2초) 이상 눌러진 경우, 상기 LED가 플래쉬로 동작되도록 상기 제2 플래쉬 드라이버(114)의 LED 점등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2초 이내로 눌렀다 놓으면 수신기의 플래쉬(Flash)를 온/오프(ON/OFF) 하고, 2초 이상 눌렀다 놓으면 휴대기기에 장착되어 있는 플래쉬(Flash)를 온/오프(ON/OFF) 하여 야간에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하, 도 1, 2의 본 발명에 따른 무전기 겸용 동물 훈련기의 동작을 설명한다.
① 동물 훈련 동작(자극)
먼저, 본 발명은 모드 지정 입력부(102)를 통해 사용자가 동물 자극 레벨 설정을 위한 제2 모드를 선택하고, 동물에게 인가하고자 하는 자극 레벨의 크기를 엔코더/택트(encoder/tact) 스위치(101)를 돌려서 원하는 크기로 설정한다.
그런 다음, 자극 명령 입력부(103)를 통해 동물에게 자극을 주라는 자극 명령을 입력한다.
그러면, 제1 마이크로 프로세서(112)는 상기 엔코더 택트(encoder/tact) 스위치(101)에 의해 설정된 자극 레벨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발생시키고, 발생시킨 데이터와 훈련기 ID 코드가 실릴 수 있도록 상기 RF 무선 신호 발생부(105)의 RF 무선 신호 발생 동작을 제어한다.
즉, 자극 레벨에 해당하는 데이터와 상기 ID 코드 셋팅부(104)에 셋팅된 훈련기의 ID 코드가 제1 마이크로 프로세서(112)에 의해서 RF 무선 신호 발생부(105)에 공급된다.
그리고, 그에 따라 RF 무선 신호 발생부(105)에서 만들어진 RF 무선 신호가 신호 증폭부(예: Pre Driver, Driver, Final Amp)(107)에 의해 증폭되어 TX Mode로 전환된 안테나 스위치(ANT SW)(106)를 거쳐 로우 패스 필터(109)에서 하모닉 성분이 필터링된 후 안테나를 통해 전파로 방사된다.
그러면, 수신기(예: 동물의 목에 장착가능) 측의 신호 복조부(203)에서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RF 무선 신호를 복조한다.
그리고, 제2 마이크로 프로세서(204)는 상기 신호 복조부(203)에 의해 복조된 데이터에 따라 상기 고전압 자극 발생부(201)의 자극 신호 발생 동작을 제어하고, 그에 따라 상기 고전압 자극 발생부(201)에 의해 자극이 발생되면, 자극 터미널(202)은 그 고전압 자극 발생부(201)에 의해 발생된 자극을 전극을 통해 동물에게 인가한다.
그렇게 하여, 훈련시키고자 하는 동물에게 사용자가 원하는 자극 레벨만큼 자극을 줄 수 있게 된다.
② 동물 훈련 동작(진동)
먼저, 본 발명은 모드 지정 입력부(102)를 통해 사용자가 동물 자극 레벨 설정을 위한 제2 모드를 선택하고, 동물에게 인가하고자 하는 자극 레벨의 크기를 엔코더/택트(encoder/tact) 스위치(101)를 돌려서 원하는 크기로 설정한다.
그런 다음, 진동 명령 입력부(117)를 통해 동물에게 진동을 주라는 진동 명령을 입력한다.
그러면, 제1 마이크로 프로세서(112)는 상기 엔코더 택트(encoder/tact) 스위치(101)에 의해 설정된 진동 레벨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발생시키고, 상기 발생시킨 데이터와 상기 ID코드 셋팅부(104)에 셋팅된 훈련기의 ID 코드가 실릴 수 있도록 상기 RF 무선 신호 발생부(105)의 RF 무선 신호 발생 동작을 제어한다.
즉, 진동 레벨에 해당하는 데이터와 상기 ID 코드 셋팅부(104)에 셋팅된 훈련기의 ID 코드가 제1 마이크로 프로세서(112)에 의해서 RF 무선 신호 발생부(105)에 공급된다.
그리고, 그에 따라 RF 무선 신호 발생부(105)에서 만들어진 RF 무선 신호가 신호 증폭부(예: Pre Driver, Driver, Final Amp)(107)에 의해 증폭되어 TX Mode로 전환된 안테나 스위치(ANT SW)(106)를 거쳐 로우 패스 필터(109)에서 하모닉 성분이 필터링된 후 안테나를 통해 전파로 방사된다.
그러면, 수신기(예: 동물의 목에 장착가능) 측의 신호 복조부(203)에서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RF 무선 신호를 복조한다.
그리고, 제2 마이크로 프로세서(204)는 상기 신호 복조부(203)에 의해 복조된 데이터에 따라 진동 드라이버(207)의 진동 발생 동작을 제어하고, 진동 모터(208)는 그 진동 드라이버(207)의 구동 동작을 통해 동물에게 진동을 인가하게 된다.
그렇게 하여, 훈련시키고자 하는 동물에게 사용자가 원하는 진동 레벨만큼 진동을 줄 수 있게 된다.
③ 긴급 상황 처리 동작
동물이 교관의 신발을 물어뜯거나 동물들이 서로 싸울 때 또는 평소 설정된 레벨(Level)로 제어가 안 되는 것과 같은 위급 상황이 발생되어, 사용자가 긴급 처리 키(116)를 누른 경우, 제1 마이크로 프로세서(112)는 현재 설정된 자극 레벨보다 설정 레벨(예: 20단)만큼 높은 고강도 자극 레벨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발생시키고, 상기 발생시킨 데이터와 상기 ID코드 셋팅부(104)에 셋팅된 훈련기의 ID 코드가 실릴 수 있도록 상기 RF 무선 신호 발생부(105)의 RF 무선 신호 발생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현재 설정된 레벨보다 20단이 업(Up) 되도록 구성할 수 있는데, 이 경우 현재 1 Dog은 35단으로, 2Dog은 60단으로 설정되었다면 55단과 80단으로 각기 송신된다.
구체적인 송신 동작은 전술한 바와 같다.
④ 플래쉬 동작
먼저, 야간 등에 동물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사용자가 상기 플래쉬 키(113)를 누른 경우 즉, 제2 마이크로 프로세서(204)는 상기 플래쉬 키(113)가 설정 시간(예: 2초) 내로 눌러진 경우, 상기 제1 플래쉬 드라이버(205)의 LED 점멸 동작을 제어하여 야간에 동물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반면, 사용자가 설정 시간 이상으로 플래쉬 키를 누른 경우, 제1 마이크로 프로세서(112)는 이를 감지하여 제2 플래쉬 드라이버(114)의 LED 점등 동작을 제어하여, 훈련기를 손전등 용도로 사용하게 된다.
예를 들어, 2초 이내로 눌렀다 놓으면 수신기의 플래쉬(Flash)를 온/오프(ON/OFF) 하고, 2초 이상 눌렀다 놓으면 송신기에 장착되어 있는 플래쉬(Flash)를 온/오프(ON/OFF) 하여 야간에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1 : 엔코더/택트(encoder/tact) 스위치 102 : 모드 지정 입력부
103 : 자극 명령 입력부 104 : ID코드 셋팅부
105 : RF 무선 신호 발생부 106 : 안테나 스위치
107 : 신호 증폭부 108 : 수신 신호 복조부
109 : 로우 패스 필터(LPF) 110 : 마이크로폰
111 : 음성 출력부 112 : 제1 마이크로 프로세서

Claims (6)

  1. 무전기 채널과 훈련기의 동물 자극 레벨 설정을 위한 엔코더/택트(encoder/tact) 스위치;
    상기 엔코더/택트 스위치의 무전기 채널 설정과 훈련기의 동물 자극 레벨 설정 간의 전환을 위한 모드 지정 입력부;
    사용자 키 조작에 따라 동물 자극 명령을 입력받는 자극 명령 입력부;
    훈련기의 ID 코드가 셋팅된 ID코드 셋팅부;
    신호 송신 또는 신호 수신시 필요한 RF 무선 신호를 발생하는 RF 무선 신호 발생부;
    상기 신호 송신 또는 신호 수신 전환을 위한 안테나 스위치;
    상기 신호 송신시 상기 RF 무선 신호 발생부에서 발생된 RF 무선 신호를 증폭하여 상기 안테나 스위치로 입력하는 신호 증폭부;
    상기 신호 수신시 상기 안테나 스위치로부터 입력받은 수신 신호를 복조하여 상기 RF 무선 신호 발생부로 입력하는 수신 신호 복조부;
    상기 안테나 스위치로부터 입력된 송신 RF 신호에 있어 기본파 외 고조파를 제거하는 로우 패스 필터(LPF);
    사용자 입력 음성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시켜 상기 RF 무선 신호 발생부로 입력하는 마이크로폰;
    상기 RF 무선 신호 발생부로부터 출력된 수신 RF 신호를 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 및
    사용자 명령이 입력된 경우 무전기 모드로 동작하고,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지 않고 상기 자극 명령 입력부로부터 자극 명령이 입력된 경우, 상기 엔코더 택트(encoder/tact) 스위치에 의해 설정된 자극 레벨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발생시키고, 상기 발생시킨 데이터와 상기 ID코드 셋팅부에 셋팅된 훈련기의 ID 코드가 실릴 수 있도록 RF 무선 신호 발생부의 RF 무선 신호 발생 동작을 제어하는 제1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자극이 아닌 진동으로 훈련시키거나 경고를 주기 위한 진동 명령 입력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마이크로 프로세서는
    상기 진동 명령 입력부로부터 진동 명령이 입력된 경우, 상기 엔코더 택트(encoder/tact) 스위치에 의해 설정된 진동 레벨에 해당하는 진동 신호가 발생되도록 상기 RF 무선 신호 발생부의 RF 무선 신호 발생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전기 겸용 동물 훈련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극 레벨에 해당하는 자극 신호를 발생하는 고전압 자극 발생부;
    상기 고전압 자극 발생부에 의해 발생된 자극을 전극을 통해 동물에게 인가하는 자극 터미널;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RF 무선 신호를 복조하는 신호 복조부;
    상기 신호 복조부에 의해 복조된 데이터에 따라 상기 고전압 자극 발생부의 자극 신호 발생 동작을 제어하는 제2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전기 겸용 동물 훈련기.
  3. 제 2 항에 있어서,
    플래쉬 키; 및
    LED에 연결되어 상기 연결된 LED의 점멸 동작을 제어하는 제1 플래쉬 드라이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2 마이크로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마이크로 프로세서로부터 설정 시간 내로 상기 플래쉬 키가 눌러진 경우 발생되는 제어 신호가 입력된 경우, 상기 LED가 플래쉬로 동작되도록 상기 제1 플래쉬 드라이버의 LED 점멸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전기 겸용 동물 훈련기.
  4. 제 3 항에 있어서,
    LED에 연결되어 상기 플래쉬 키 누름시 상기 연결된 LED의 점멸 동작을 제어하는 제2 플래쉬 드라이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마이크로 프로세서는
    상기 설정 시간 이상으로 상기 플래쉬 키가 눌러진 경우, 상기 LED가 플래쉬로 동작되도록 상기 제2 플래쉬 드라이버의 LED 점멸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전기 겸용 동물 훈련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순간 및 위급 상황 발생 처리를 위한 긴급 처리 키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마이크로 프로세서는
    사용자 키 조작에 따라 상기 긴급 처리 키가 눌러진 경우, 현재 설정된 자극 레벨보다 설정 레벨만큼 높은 고강도 자극 레벨에 해당하는 자극 신호가 발생되도록 상기 RF 무선 신호 발생부의 RF 무선 신호 발생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전기 겸용 동물 훈련기.










  6. 삭제
KR1020130031092A 2013-03-22 2013-03-22 무전기 겸용 동물 훈련기 KR1014595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1092A KR101459569B1 (ko) 2013-03-22 2013-03-22 무전기 겸용 동물 훈련기
US13/924,062 US9339010B2 (en) 2013-03-22 2013-06-21 Animal training apparatus with radio transceiv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1092A KR101459569B1 (ko) 2013-03-22 2013-03-22 무전기 겸용 동물 훈련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5856A KR20140115856A (ko) 2014-10-01
KR101459569B1 true KR101459569B1 (ko) 2014-11-10

Family

ID=515681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1092A KR101459569B1 (ko) 2013-03-22 2013-03-22 무전기 겸용 동물 훈련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339010B2 (ko)
KR (1) KR10145956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86166B (zh) * 2018-12-18 2024-01-23 中国农业科学院农业信息研究所 一种基于LoRa的畜禽聚集装置、电子围栏和禽畜圈养方法
US11166435B2 (en) * 2019-05-28 2021-11-09 WAGZ, Inc. Methods and systems for deterring animals to approach or enter identified zone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57879B1 (ko) 1998-02-19 2000-06-01 소호연 동물훈련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60104676A (ko) * 2005-03-31 2006-10-09 기 현 이 무선 오디오 동물 훈련장치
KR20110044444A (ko) * 2009-10-23 2011-04-29 김용원 동물훈련장치 및 제어방법
KR20120071352A (ko) * 2010-12-22 2012-07-02 주식회사 씨앤디마이크로 전압-주파수 컨버터를 이용한 원격 동물 훈련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66908A (en) 1995-07-05 1997-09-16 So; Ho Yun Animal training device
KR100400096B1 (ko) 2000-09-19 2003-10-01 소호연 수신 안테나가 내장된 동물훈련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417198B1 (ko) * 2001-12-21 2004-02-05 김준수 동물 짖음방지/훈련 장치
US20070056526A1 (en) * 2005-06-28 2007-03-15 Cabela's, Inc. Locator for Dog Collar Transmitter
KR101094854B1 (ko) 2009-08-06 2011-12-15 소호연 동물의 훈련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8181607B2 (en) * 2009-10-23 2012-05-22 Yong Won Kim Animal training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57879B1 (ko) 1998-02-19 2000-06-01 소호연 동물훈련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60104676A (ko) * 2005-03-31 2006-10-09 기 현 이 무선 오디오 동물 훈련장치
KR20110044444A (ko) * 2009-10-23 2011-04-29 김용원 동물훈련장치 및 제어방법
KR20120071352A (ko) * 2010-12-22 2012-07-02 주식회사 씨앤디마이크로 전압-주파수 컨버터를 이용한 원격 동물 훈련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5856A (ko) 2014-10-01
US9339010B2 (en) 2016-05-17
US20140283758A1 (en) 2014-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8841B1 (ko) 동물 귀환 유도 장치
US8181607B2 (en) Animal training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0257879B1 (ko) 동물훈련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6091329A (en) Monitor/hands-free intercom
KR100400096B1 (ko) 수신 안테나가 내장된 동물훈련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01107795B (zh) 电子设备控制系统和控制信号发送装置
KR19990070415A (ko) 동물훈련장치
TW200707967A (en) Communications system and method capable of generating RF signals according to the status of an electric appliance
KR101611237B1 (ko) 시각장애인용 지팡이
KR101459569B1 (ko) 무전기 겸용 동물 훈련기
MY135152A (en) Apparatus for broadcasting a warning signal
RU2503436C1 (ru) Способ ориентации, навигации и информации в пространстве людей с нарушением зрительных функций и система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KR20150093000A (ko) 능동형 rfid를 이용한 시각장애인용 음향신호안내장치
KR100641657B1 (ko) 무선 오디오 동물 훈련장치
KR200387116Y1 (ko) 무선 오디오 동물 훈련장치
KR100333409B1 (ko) 마이컴 콘트롤에 의한 무선 마이크 송수신기 뮤트 제어장치
CN207074505U (zh) 一种断路器远程智能遥控系统
KR101109859B1 (ko) 동물훈련장치 및 제어방법
CN203874057U (zh) 一种盲人专用无线导行装置
KR101340685B1 (ko) 무선통신을 이용한 기기 검색 시스템 및 방법
KR200410492Y1 (ko) 시각장애인용 보행자 신호등 안내장치
KR100550393B1 (ko) 무선 생활무전기 기능을 갖는 카 오디오
CN204641612U (zh) 一种电子设备及汽车
KR200186098Y1 (ko) 휴대폰을 중계로 하는 통신시스템
KR101262041B1 (ko) 근접 센싱부와 무선 송수신기를 갖춘 블록 구분형 조명 제어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