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22303A - 스마트 애완동물 원격 먹이공급 장치 및 이의 실감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스마트 애완동물 원격 먹이공급 장치 및 이의 실감 제어 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22303A
KR20150122303A KR1020140047989A KR20140047989A KR20150122303A KR 20150122303 A KR20150122303 A KR 20150122303A KR 1020140047989 A KR1020140047989 A KR 1020140047989A KR 20140047989 A KR20140047989 A KR 20140047989A KR 20150122303 A KR20150122303 A KR 201501223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pet
user
user terminal
feed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79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도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앤비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앤비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앤비젼
Priority to KR10201400479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22303A/ko
Publication of KR201501223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230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2Automatic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Forestry; Mi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2Arrangements for remote connection or disconnection of substations or of equipment thereof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ird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eeding And Watering For Cattle Raising And Animal Husband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애완동물 먹이공급 장치 및 이의 실감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가 원격지에서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를 포함한 유무선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인터넷으로 가정이나 애완동물 보호소를 포함한 원격지에 있는 애완동물에게 자동으로 먹이를 주고, 또한 애완동물의 상태와 먹이 공급장치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자신의 단말기를 통해서 인터넷에 접속할 수만 있다면 언제 어디서나 인터넷을 통해서 애완동물을 실감나게 보호하거나 관찰할 수 있는 스마트하게 애완동물에게 먹이를 공급하고, 이를 실감나게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스마트 애완동물 원격 먹이공급 장치 및 이의 실감 제어 방법{A SMART REMOTE PET FEEDING APPARATUS AND THE REALISTIC CONTROL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스마트 애완동물 원격 먹이공급 장치 및 이의 실감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원격지에서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를 포함한 유무선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인터넷으로 가정이나 애완동물 보호소를 포함한 원격지에 있는 애완동물에게 자동으로 먹이를 주고, 또한 애완동물의 상태와 먹이공급 장치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함으로써, 사용자는 자신의 단말기를 통해서 인터넷에 접속할 수만 있다면 언제 어디서나 인터넷을 통해서 애완동물을 실감나게 보호하거나 관찰할 수 있는 스마트하게 애완동물에게 먹이를 공급하고, 이를 실감나게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애완동물을 기르는 인구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는 가운데 애완동물을 키우는 연령대도 다양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골드미스 또는 골드미스터 등 1인 가구의 증가, 저출산과 고령화 추세로 인해 애완동물을 키우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파악되며, 실제 애완동물 관련 산업도 가파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과거와는 달리 애완동물을 더 이상 가축이 아닌 가족으로 대하는 이들이 늘어나다보니 애완동물을 겨냥한 정보통신기술(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을 이용한 서비스도 계속해서 쏟아져 나오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스마트폰을 이용한 애완동물 관리 시스템이 큰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다.
일례로, 사용자가 집안 현관문을 나서 계단 한 층을 이동하자 사용자의 스마트폰에서 사이렌이 두 번 울리고 연결이 끊어졌다는 메시지가 나타나는 경우가 있다. 이 사이렌 소리는 한 통신사의 반려동물 위치추적 프로그램으로 애완동물과 사용자의 스마트폰의 거리가 멀어지자 보내온 경고음과 메시지로, 사용자는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또는 앱)을 통해 애완동물의 실종 위험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으며, 이는 정보통신기술을 이용한 서비스의 한 예이다. 또한 애완동물의 목걸이에 모션 센서를 부착해 애완동물의 행동을 추적하고, 그 결과를 사용자의 스마트폰 앱에 전송하는 경우도 있다. 이 서비스는 애완동물의 낮잠시간이나 산책 등 하루 행동 패턴을 자동으로 기록할 수 있는 점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렇듯 본 발명은 주인이 애완동물만 집에 두고 외출하거나 직장에 출근하는 경우에도 애완동물을 마치 곁에 두고 돌보는 것과 같은 효과를 얻기 위한 것으로, 애완동물이 집에 혼자 있어도 먹이를 먹고, 뛰어 놀며, 또한 주인과 계속해서 상호 교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현재까지 애완동물 먹이공급 장치에 대한 선행기술이나 제품이 나와 있기는 하지만, 그다지 스마트하지 못하여 그 효용성이 높지 않은 실정이다.
이러한 효용성을 높이기 위해서 발명된 선행기술문헌으로서 한국등록특허 제1256054호(2013.04.12)에는 양방향 통신을 이용한 애완동물 보호 시스템 및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문헌의 애완동물 보호 시스템은 애완 동물에게 물, 사료 및 간식을 제공하는 자동 급식기를 포함하여, 사용자의 급식 명령이 입력될 때나 애완동물이 배가 고픈 상황이라고 판단될 때 중 하나 이상의 경우에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자동 급식기를 제어하여 애완 동물에게 물, 사료, 간식 중 하나 이상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선행기술문헌으로서 한국등록특허 제1348964호(2014.01.02)에는 사료 자동 급여 장치 및 시스템이 제안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문헌의 사료 자동 급여 장치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주기마다 실질적으로 필요한 양의 사료만이 정확히 자동 공급될 수 있도록 하고, 원격에서도 사료를 실시간 공급할 수 있는 사료 자동 급여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또 다른 선행기술문헌으로서 한국공개특허 제2014-0026921호(2014.03.06)에는 애완동물용 급식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문헌의 애완동물용 급식장치는, 원거리에서 급식 동작을 제어할 수 있어서 장기 외출 및 휴가 등으로 인해 주인이 부재중이더라도 원거리에서 급식 동작을 제어할 수 있고, 또한, 관찰 카메라를 통해 외부에서도 애완동물의 활동 상황을 실시간으로 관찰할 수 있으며, 애완동물이 시각적으로 유희할 수 있는 영상을 출력할 수 있어 주인이 장기간동안 부재중이더라도 우울증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고, 또한 유희기구가 설치되어 애완동물이 뛰어놀 수 있으면서 운동도 병행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문헌들은 원격지에 스마트폰으로 집에 있는 애완동물에게 먹이를 제공하는 방법은 제시되어 있으나, 이른바 스마트하게 사용자의 스마트폰 화면과 터치스크린을 통해 애완동물 먹이 공급장치를 자유자재로 제어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해서는 제안되어 있지 않다. 또한 종래기술은 주로 애완동물에게 먹이를 공급하는 것에 관한 것이나, 주인이 촉각, 후각, 청각, 시각, 미각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오감에 관한 실감데이터를 전송하여 애완동물의 상태를 안정화시키고 상호 교감하는 기술에 대해서는 제시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즉 종래 기술로는 애완동물 먹이공급 장치를 실감나게 제어하고 애완동물과 교감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서, 사용자가 원격지에서 스마트폰 또는 태플릿 PC를 포함한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하여 가정에 있는 애완동물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이를 통해 애완동물에게 먹이를 실감나게 제공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단말기 상에 먹이공급 장치의 먹이 조절 영상이 실감나게 표출되어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통해 먹이공급 장치의 먹이 제공량을 인터렉티브하게 제어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한 앱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다수의 먹이공급 장치를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관리할 수 있도록 인터넷상의 독립적인 서버, 클라우드 서버, SNS 서버, 또는 복수의 상기 먹이공급 장치들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된 서버와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다수의 먹이공급 장치를 서로 연결하여 상호 그룹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특정 사용자가 옆집이나 친구집의 애완동물을 대신 돌봐줄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애완동물 먹이공급 장치와 상기 먹이공급 장치의 주변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를 통해 미리 설정된 애완동물의 행위가 감지되면, 사용자의 단말기에 자동으로 연결되어 애완동물과 사용자가 서로 연결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애완동물 먹이공급 장치에 촉각, 미각, 후각, 청각, 시각 정보를 포함한 실감정보를 제공하여 애완동물에게 주인이 실제 곁에 있는 정도의 안정감을 제공함으로써, 애완동물이 정서적으로 안정감 있게 생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애완동물 먹이 공급장치와 스마트 단말 사이에 실감정보를 나타내는 메타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도록 HTTP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애완동물 먹이공급 장치와 먹이공급 장치의 주변에 장착된 복수의 카메라를 통해서 멀티뷰로 촬영된 영상 정보를 제공하여, 애완동물이 특정 물체에 가려서 모니터링되지 않는 점을 해결한 보다 실감나는 영상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애완동물 먹이공급 장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먹이공급 장치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서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부; 상기 먹이공급 장치와 애완동물의 상태를 측정하거나 감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 디스플레이, 마이크, 스피커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정보입출력장치; 애완동물의 사료, 물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먹이를 저장하고 있으면서, 원격제어에 의해 소정 량의 먹이를 제공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자제어용기; 및 상기 전자제어용기, 정보입출력장치, 또는 인터페이스부의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HTTP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실감 메타데이터 또는 실감 데이터를 포함하여 먹이제공정보를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애완동물 먹이공급 장치에서, 상기 전자제어용기는, 전자저울로 먹이의 양을 측정하되, 먹이를 제공하기 전의 먹이의 무게와 제공할 먹이의 무게에 대한 상대적인 차이를 통해서 제공할 먹이의 양을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양에 따라 먹이를 제공하거나; 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으로 구성되어, 각 단마다 이전에 먹고 남은 먹이가 새로운 먹이와 섞이지 않고 신선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애완동물 먹이공급 장치에서, 상기 전자제어용기는, 먹이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먹이를 제공하는 제공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저장부와 제공부 사이에는 관으로 연결되어, 상기 저장부의 말단에 설치된 전자노즐을 개방하면, 상기 먹이가 제공부로 낙하하여 제공되거나; 또는 상기 관이 꼬이도록 구성하여 상기 먹이가 바로 제공부로 떨어지는 것이 아니라 상기 꼬인 관을 통과하면서 완충됨으로써, 상기 먹이가 천천히 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애완동물 먹이공급 장치에서, 상기 실감 인터페이스는, 애완동물과 영상, 음향, 후각, 촉각, 미각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실감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애완동물 먹이공급 장치의 실감제어 방법은, 스마트 애완동물 원격 먹이공급 장치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기에 송신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 애완동물 먹이공급 장치가 실감 데이터, 상태정보 또는 이들의 조합에 대한 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기에 송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정보와 실감 데이터, 상태정보 또는 이들의 조합에 대한 정보를 결합하여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서 실감 데이터와 먹이제공정보가 상기 스마트 애완동물 먹이공급 장치로 전송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애완동물 먹이공급 장치의 실감제어 방법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스마트 애완동물 먹이공급 장치는 HTTP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실감 메타데이터 또는 실감 데이터를 포함하여 먹이제공정보를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애완동물 먹이공급 장치의 실감제어 방법에서, 상기 실감 메타데이터 또는 심감 데이터는, 영상, 음향, 후각, 촉각, 미각 또는 이들의 조합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스마트 애완동물 원격 먹이공급 장치 및 그의 실감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가 원격지에서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를 포함한 유무선 단말을 이용하여 인터넷으로 가정이나 애완동물 보호소를 포함한 원격지에 있는 애완동물에게 자동으로 먹이를 주고, 또한 애완동물의 상태와 먹이공급 장치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애완동물을 실감나게 보호하거나 관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원격지에서 단말기를 이용하여 애완동물의 상태와 먹이공급 장치의 환경 상태를 IP-카메라로 실시간 촬영한 데이터를 수집 및 송수신하여 애완동물의 상태에 따라 보다 효과적으로 먹이를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먹이공급 장치의 화면을 통해 애완동물은 사용자의 영상을 볼 수 있으며, 이때 애완동물에게 사용자가 주로 사용하는 향수와 같은 화장품의 향기를 제공하여 애완동물의 심신을 더욱 안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먹이공급 장치의 주위에 설치된 감지센서를 통해 애완동물의 소리가 미리 설정한 일정 횟수 이상 감지되거나, 일정한 주파수 이상의 소리가 감지될 경우 사용자의 단말기에 자동으로 연결되도록 하여 애완동물과 사용자가 즉시 서로 교감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애완동물 먹이공급 장치의 전체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애완동물 먹이공급 장치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애완동물 먹이공급 장치의 제어부에 대한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애완동물 원격 먹이공급 장치에서 실감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의 구조를 보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애완동물 원격 먹이공급 장치의 동작을 위한 방법을 보인 순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애완동물 원격 먹이공급 장치와 그 제어 방법에 대한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애완동물 원격 먹이 공급장치의 전체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다.
상기 스마트 애완동물 원격 먹이공급 장치(10)는 전자제어용기(11, 12, 14), 정보입출력장치(13), IP-카메라(17) 또는 사용자 단말기(16)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전자제어용기(11, 12, 14)는 먹이저장부, 먹이제공부 및 먹이저장부에서 먹이제공부로 먹이를 공급하는 전자제어 노즐(14)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정보입출력장치(13)는 카메라, 향수노즐, 마이크, 스피커, 디스플레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애완동물 먹이공급 장치와 사용자 단말기 사이에서 실감정보를 주고받으며, 이를 상기 먹이공급 장치와 사용자 단말기에 표출하는 장치들을 말한다.
IP-카메라(17)는 상기 먹이공급 장치에 설치되어 있는 카메라와 별도로 상기 먹이공급 장치, 애완동물 또는 그 밖의 실내 상황을 모니터링하기 위해서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이다. 멀티뷰를 실현하고자 할 경우에는 적어도 두 대 이상의 카메라를 설치하여 운용할 필요가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 단말기(16)는 원격에서 애완동물의 주인이 상기 먹이공급 장치를 모니터링하고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인터넷을 통해서 상기 먹이공급 장치를 실감나게 제어하기 위한 유섬 또는 무선 통신 기능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갖춘 단말기를 말한다.
이하에서는 좀 더 상세하게 개별 구성들에 대한 상세한 동작을 설명하고자 한다.
위에서 설명하였듯이 전자제어용기(11, 12, 14)는 먹이저장부(11), 먹이제공부(12) 및 먹이저장부에서 먹이제공부로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먹이를 일정량만큼 제공하는 전자제어 노즐(14)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먹이저장부(11)는 애완동물이 즐겨 먹는 사료, 간식 또는 음료가 미리 구비되어 있는 곳이며, 예컨대 애완동물 먹이공급 장치의 상부에 도 1과 같이 설치할 수 있다. 이때 먹이저장부 하측은 사용자 단말의 제어에 의해 먹이가 하부방향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측이 개폐될 수 있다. 즉, 사료통과 물통의 아래 부분에 전자노즐이 설치되어, 스마트폰에서 제어 명령을 받아 노즐의 개폐를 통해 사료나 물을 배출하고, 관을 통해서 각각 사료그릇과 물그릇에 먹이가 떨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관은 꼬이도록 만들어 배출되는 사료와 물이 직접적으로 바로 그릇에 떨어지지 않고, 한 바퀴 또는 두 바퀴 돌아서 천천히 떨어지게 할 수도 있다.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명령을 수신하고 해당 량의 사료나 물을 배출하기 위해서, 사료통과 물통의 하부에 설치된 전자저울로 먹이의 양을 측정하며, 먹이를 제공하기 전의 먹이의 무게와 앞으로 제공할 먹이의 무게에 대한 상대적인 차이를 측정하는 것을 통해서 제공할 먹이의 양을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양에 따라 전자노즐을 개폐하여 먹이를 제공하게 된다. 상기 전자저울은 먹이제공부의 아래에 설치되어 측정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전자노즐은 미리 수치를 지정하여 설정한 후에 간단하게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동작 수행에 대한 명령만으로 미리 설정된 량의 먹이를 배출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먹이제공부(12)는 제공된 사료나 물을 담는 그릇으로 애완동물이 먹이를 먹는 그릇을 말한다. 상기 먹이제공부는 평소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속에 들어가 있으며, 애완동물에게 먹이를 주어야 할 때는 상기 그릇을 통 밖으로 끄집어내어 애완동물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상기 그릇을 넣어두는 통속에서 상기 그릇을 밖으로 내미는 실린더와 피스톤이 설치되어, 유압이나 공기압 또는 수압을 통해서 그릇을 통에서 끄집어내거나 안으로 들여놓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실린더와 피스톤을 이용하여 먹이제공부를 이동시키는 방법은 상기 먹이제공부의 하부에 레일을 설치하여 보다 용이하게 상기 먹이제공부가 이동할 수 있으며, 지정된 궤도를 벗어나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먹이저장부와 먹이제공부는 하나의 용기에 통합하여 일체형으로 구성함으로써, 하나의 전자제어용기로 구성할 수도 있다. 즉,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으로 구성된 용기로 구성하고, 각 단마다 필요한 용량의 먹이를 저장해두었다가, 먹이를 줘야 할 때마다 한 단씩 뚜껑을 개폐하여 이전에 먹고 남은 먹이가 새로운 먹이와 섞이지 않고 신선하게 유지된 채로 애완동물에게 제공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전자제어는 사용자 단말기에서 전달되어 온 명령에 따라 회전식 뚜껑을 돌려서 상기 전자제어용기의 각 칸막이에 대한 칸을 개폐함으로써, 필요할 때마다 애완동물이 먹이를 먹을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뚜껑의 한 측면을 먹이제공장치에 고정시켜두고 상기 용기의 몸체를 통속에서 밖으로 밀어내어 용기가 통 밖으로 나오면서 뚜껑도 자동적으로 열리게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은 본 발명에서 독창적으로 창안한 것이며, 해당 구성은 상기 설명을 통해서 충분히 재형 가능한 것이다.
이때 사료의 종류(액체, 환, 가루 등)에 따라 상기 노즐의 제어도 달라져야 하므로, 상기 노즐의 제어는 사료공급 전후의 무게차이를 계량하여 해당 무게만큼만 제공하도록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물과 같은 액체의 경우, 그 점도에 따라 차이가 나나, 도징(dozing)모듈을 장착하여 비교적 장시간 동안 물을 그릇에 투입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러한 방식으로 애완동물이 물을 남기지 않고 모두 섭취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애완동물 먹이공급 장치 내부에 먹이저장부의 사료 또는 물의 배출을 제어하는 이송 스크류 혹은 압축을 통한 먹이나 물의 이송도 가능할 것이다.
상기 전자제어용기는 사용자 단말기의 애완동물 먹이공급 앱을 이용하여 원격에서 애완동물의 먹이공급량을 사용자가 직접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기에서 먹이량을 지정한 데이터가 상기 전자제어용기로 전송되면 전자제어용기는 먹이저장부에 저장된 사료 또는 물을 사용자가 원하는 양만큼 제어하여 애완동물에게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먹이제공부는 먹이 배출통에 위치하여 먹이저장부에서 배출되는 애완동물의 사료 또는 물을 각각의 용기에 저장할 수 있다. 이때 먹이제공부의 용기 하부에는 무게 센서가 부착되어 있어 애완동물이 먹이를 얼마나 섭취했는지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의 단말기로 전송하여 애완동물의 먹이 섭취량을 사용자가 한 눈에 쉽게 알아보고, 추후 애완동물에게 먹이공급이 얼마나 이루어졌는지 판단할 수 있도록 해 준다.
먹이저장부와 먹이제공부가 하나의 전자제어용기에 통합되어 있는 경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칸막이로 뚜껑이 설치된 용기에 대해서 용기의 아랫부분이나 옆 부분에 가이드를 설치하여두고, 열고자하는 복수의 뚜껑 중 하나를 먹이공급 장치에 고정한 다음 용기를 통 안에서 밀어내기만 하면 자동으로 해당 뚜껑이 열릴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보입출력장치(13)는 카메라, 향수노즐, 마이크, 스피커, 디스플레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애완동물 먹이공급 장치와 사용자 단말기 사이에서 실감정보를 주고받으며, 이를 상기 먹이공급 장치에 표출하는 장치들을 말한다. 더욱 자세하게는 인간과 동물의 오감을 활용하기 위한 것으로, 애완동물을 안정시키기 위해서 주인의 목소리, 향기(냄새), 모습(영상), 먹이공급 장치의 주위환경(온도, 습도, 조명 등) 또는 이들의 조합을 이용하여 주인과 애완동물이 서로 교감할 수 있도록 사용자 단말기에서 먹이공급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예시적으로 상기 카메라, 향수노즐, 마이크, 스피커, 디스플레이 등을 제시하고 있지만, 그 밖의 오감을 자극할 수 있는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또한 환경 정보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오감을 자극하는 디바이스는 사용자 단말기에서 감각 데이터를 메타데이터와 명령어 형식으로 전달될 수 있으며, 또한 음향 및 영상과 같이 데이터 크기가 큰 것은 별도의 압축을 통해서 음향 및 영상 파일로 전달될 수 있으며, 이는 먹이공급 장치에서 해석되거나 디코딩되어, 실감 데이터로 변환되고 해당하는 디바이스로 출력되게 된다.
또한 상기 실감 데이터의 제어에 대한 명령이나 정보는 사용자 단말에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터치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실감나게 제어될 수 있으며, 실제 먹이공급 장치가 제어되는 것은 햅틱 피드백을 통해서 사용자 단말기로 전달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환경 정보는 사용자 단말의 제어에 의해서 먹이제공장치와 연동되는 조명장치, 에어컨, 히터 등을 통해서 조정될 수 있다. 예컨대 집안의 밝기 즉, 오전/오후, 날씨 또는 집 안에 들어오는 햇빛의 일사량에 따라 촬영되는 영상의 밝기를 조절하여 사용자가 단말기를 통해 애완동물의 상태를 정상적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조명을 제어할 수 있으며, 또한 집안이 춥거나 더울 때 에어컨과 히터와 같은 가전기기의 시설들과 연동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단말기에서 원하는 온도를 설정하여 가정의 가전기기에게 온도를 맞출 수 있도록 조절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는 먹이공급 장치에 설치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애완동물이나 집안의 환경에 대한 모니터링이 가능하나, 먹이공급 장치에 IP-카메라를 설치하는 것으로는 위치상 먹이공급 장치 자체를 모니터링하는데 한계가 있을 수 있으므로, 상기 카메라 대신에 집안의 일정 위치에 IP-카메라(17)를 설치하여 운용할 수 있으며, 아울러 상기 카메라에 부가적으로 복수의 IP-카메라(17)를 설치하여 운영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복수의 IP-카메라를 이용하여 멀티뷰 영상을 획득하여 입체적이거나 파노라마 영상을 만들어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입출력장치 중 하나인 카메라나 별도로 설치된 카메라는 IP-카메라 또는 적외선 카메라를 포함한 다양한 카메라를 포함하는 것이며, 그 설치 위치도 먹이공급 장치 혹은 먹이공급 장치의 주위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카메라는 먹이공급 장치에서 제공된 먹이를 애완동물이 섭취하는지 여부를 실시간으로 촬영하여 사용자의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카메라의 촬영범위는 임의의 각도를 유지한 채 상하좌우 방향으로 촬영될 수 있도록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는 자체적으로 마이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애완동물이 소리를 내는 횟수 또는 소리의 크기에 따라 카메라를 줌인 또는 줌아웃하거나 포커싱이 조절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컨대, IP-카메라는 집안의 천정이나 높은 곳에 설치되어 먹이공급 장치의 환경, 애완동물의 이동경로 및 상태, 집안의 환경, 집안에 침입한 외부인 또는 화재와 같은 위험 발생 현상을 포함한 영상을 실시간으로 촬영하여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즉 상기 원격먹이공급 장치에 제공된 먹이를 애완동물이 얼마나 먹었는지 혹은 얼마나 남겼는지에 대한 먹이양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촬영하여 사용자의 단말로 전송하고, 사용자는 이를 통해 다음 먹이 제공 시간을 조절하거나 먹이의 제공 량을 조절하여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집안에서 발생하는 위험 현상을 감지하여 사용자에게 전송하고 사용자는 이를 인지하여 후속조치를 취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디스플레이는 사용자 단말기의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사용자의 영상 또는 이미지를 실시간으로 애완동물에게 제공하는 것으로, 사용자가 단말기를 통해 애완동물이 좋아하는 영상 또는 이미지를 재생하거나 사용자 또는 애완동물이 좋아하는 다른 동물들과 화상 연결하여 애완동물의 심신을 안정시키거나 유희를 제공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에 표출되는 영상 또는 이미지는 사용자의 영상 또는 이미지이거나 애완동물의 영상 또는 이미지일 수 있으며, 제한적으로 애완동물이 소리를 일정 횟수 이상 짖으면 이에 따른 리액션이 제공될 수도 있다.
마이크는 애완동물의 울음소리, 반응소리 또는 집 안에 외부인이 침입 시 발생하는 특별한 소리를 감지하여 사용자의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마이크에는 감지센서가 있어 애완동물이 일정 횟수 이상 짖어 이를 감지할 경우 사용자의 단말기에 자동으로 연결되어 애완동물과 사용자가 서로 교감하거나 배고픈 애완동물에게 먹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스피커는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사용자가 애완동물의 이름을 부르거나, 애완동물이 좋아하는 음성 또는 음악을 제공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상기 IP-카메라는 일반적으로 JPEG(Joint Photographic Expert Group)으로 압축된 압축 프레임을 IP 패킷으로 출력하는 것으로, 필요에 따라 상기 JPEG 압축 이미지를 H.264와 같은 더 고압축률을 가진 영상으로 트랜스코딩하여 IP 망을 통해 파일 혹은 스트림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영상 압축 스트림의 압축 표준은 특정 표준으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일정 크기의 압축 파일을 잘게 잘라서(segmentation) 청크를 형성하고,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앱은 먹이제공장치(서버로 인식함)로 청크를 요청하게 되고, 이전 청크가 재생되는 것이 종료되기 전에 다음번 청크를 요청하여 연속적으로 동영상을 사용자 단말기에서 재생할 수 있도록 지원하게 된다.
즉, IP-카메라에서 출력되는 JPEG 영상 파일을 먹이공급 장치의 제어부에서 H.264 혹은 MPEG-4 포맷으로 변환한 후 이를 다시 여러 개의 파일로 쪼개서 MPEG-2 TS(Transport Stream)로 변환하여 IP 망을 통해서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면,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앱을 통해서 해당 영상 스트림을 재생하게 된다.
반대로, 사용자 단말에서 촬영된 애완동물의 주인이 보내고자 하는 영상도 H.264 혹은 MPEG-4 압축 표준으로 압축된 후 MPEG-2 TS를 생성한 후 IP 망을 통해서 먹이공급 장치로 전송할 수 있으며, 전송된 파일은 먹이공급 장치에 설치된 앱을 통해서 디스플레이 화면에 주인이 보낸 동영상이 재생되도록 한다.
이러한 먹이공급 장치와 사용자 단말기 사이의 정보 송수신은 IP 망을 통해서 HTTP 프로토콜로 송수신할 수 있으며, HTTP 프로토콜을 통해서 송수신되는 정보는 영상이나 음향과 같은 특정 압축 표준으로 압축된 스트림과 인간과 동물의 오감에 대한 정보를 메타데이터로 나타낸 정보를 포함한다. 여기서 HTTP(hypertext transmission protocol)는 웹서버와 클라이언트가 상호 통신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프로토콜을 말하며, 웹서버와 클라이언트는 하이퍼미디어 도큐먼트를 주고받기 위해서 HTTP를 이용해야 하므로, 웹서버는 종종 HTTP서버라고도 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먹이제공장치에는 웹서버가 설치되어 있어 클라이언트인 사용자 단말이 상기 웹서버에 접속하여 먹이제공장치의 운용에 필요한 제어명령을 하달하게 된다.
사용자 단말기(16)는 원격에서 애완동물의 주인이 상기 먹이공급 장치를 모니터링하고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인터넷을 통해서 상기 먹이공급 장치를 실감나게 제어하기 위한 유무선 통신 기능을 갖춘 단말기를 말한다.
우선 먹이공급 장치는 해당 먹이제공장치의 구성에 대한 이미지와 해당 이미지의 각 부분에 위치해 있는 제어장치를 객체로 하고, 각 객체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템플릿을 구성하여, 해당 템플릿을 데이터 구조로 만들어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한다. 사용자 단말기는 이러한 템플릿 정보를 제공받아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고, 이렇게 화면에 표시된 상태에서 해당하는 제어장치에 손가락으로 터치하거나 사용자 단말기를 흔들거나 기울이는 동작 혹은 미리 약속된 행위를 입력하면 사용자 단말기는 이를 제어 명령으로 인식하여 해당 제어 명령을 IP 망을 통해서 먹이제공장치로 전송하게 된다. 이때 먹이제공장치는 사용자 단말기에서 전송되어온 명령을 해석하여 실감정보를 먹이제공장치에 구비된 입출력장치를 통해서 시연을 하게 된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는 안드로이드 OS 기반의 스마트폰, PDA 또는 태블릿 PC를 포함한 클라이언트 단말의 일체를 모두 포함하며, 단말의 종류에 대한 제한은 없다.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단말기는 개념적으로, 안드로이드 이외의 타 운영체제 기반에서도 작동될 수 있으므로, 운영체제의 종류에 따라 동작 여부가 제한을 받는 것도 또한 아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애완동물 원격 먹이공급 장치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애완동물 먹이공급 장치(10)는 제어부(100), 저장 인터페이스부(200), 통신 인터페이스부(300), 먹이제공 인터페이스부(400), 실감 인터페이스부(500)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어부(100)는 먹이공급 장치를 전체적으로 제어하는 수단으로써, 특히 상기 인터페이스부들(200, 300, 400, 500)을 통해서 입출력되는 데이터를 총괄적으로 제어하며, 특히 플랫폼 기능을 수행하는 서버를 추가로 구비하여, 다른 먹이공급 장치들로부터 각 애완동물의 상태를 포함한 정보를 수집하여 저장 및 관리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저장은 저장 인터페이스부를 통해서 데이터베이스(600)에 관련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을 말한다.
상기 저장 인터페이스부(200)는 제어부(100)를 통해서 입력되는 각종 실감 데이터를 데이터 구조 형태로 구성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으며, 각종 실감정보, 사용자 명령, 사용자 인터페이스, 먹이정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각종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데이터베이스(600)는 본 발명에 따른 먹이공급 장치의 내부 혹은 외부에 구비될 수도 있으며, 특히 네트워크에 연결된 클라우드 컴퓨팅 네트워크상에서 구비될 수도 있다. 아울러 데이터베이스(600)에는 상기 먹이제공장치를 동작시키는데 필요한 각종 파라미터의 기준값이 저장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먹이공급 장치의 제어와 애완동물에 대한 정보가 서로 매칭되어 저장됨으로써, 향후 애완동물의 신체 상태, 식습관 등에 대한 히스토리 정보를 관리하여 애완동물의 건강과 성장을 돌보는데 활용되도록 한다.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300)는 먹이공급 장치와 사용자 단말이 서로 유무선 인터넷 혹은 근거리통신(NFC) 수단을 통하여 서로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기본적으로는 WiFi를 포함하고, 이외에 Zigbee, 3G, 4G, LTE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 단말이 어떠한 환경에 있더라도 먹이공급 장치와 원활하게 접속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먹이공급 장치는 유무선 통신 수단을 구비하고 있어, IP 망에 접속될 수 있으며, IP-카메라도 IP 망에 연결될 수 있으나, 상기 IP-카메라는 바로 사용자 단말기와 접속하기보다 일단 본 발명의 먹이공급 장치를 통해서 사용자 단말기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먹이제공 인터페이스부(400)는 네트워크를 통해서 사용자 단말에서 전달되어 온 먹이저장부와 먹이제공부의 동작에 대한 인터페이스, 즉, 스테핑 모터, 전자저울, 피스톤과 실린더에 대한 움직임 제어 정보를 입력받아 먹이저장부와 먹이제공부를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먹이제공 인터페이스부는 전자제어용기(11, 12)를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먹이저장부와 먹이제공부가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있으면, 먹이제공 인터페이스부는 해당 전자제어용기의 그래픽 이미지를 사용자 단말에 디스플레이하고, 먹이를 공급하기 위한 전자제어장치가 위치한 곳을 사용자가 단말기를 통해서 터치, 드래그, 움직임 패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활용하여 실감나게 조작함으로써, 해당 조작 행위에 대한 명령이 생성되고, 이는 제어부를 경유하여 먹이제공 인터페이스부에 의해 구체적인 제어기기로 명령어가 전달된다.
상기 실감 인터페이스부(500)는 사용자 단말에서 전달되어 온 명령어를 먼저 제어부에서 해석하여, 각 실감 데이터에 해당하는 디바이스를 통해서 출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말한다. 상기 실감 인터페이스부는 향수, 음향, 영상, 미각 또는 촉각에 대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도록 하는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며, 상기 실감 데이터는 메타데이터 형태로 입력되어 온 정보를 제어부에서 미리 정해진 약속에 따라 해석하여 제공되며, 상기 실감 데이터는 다시 실감정보를 출력할 디바이스를 구동하는 파라미터로 변환되어 결국 상기 파라미터에 의해 각각의 실감정보 제공 디바이스가 제어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애완동물 원격 먹이공급 장치의 제어부에 대한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먹이공급 장치를 스마트하게 만드는 것이 바로 제어부이며, 상기 제어부의 구성은 플랫폼 서버(150), 사용자 인터페이스 구성부(110), 실감환경 분석부(120), 사용자 명령해석부(130), 실감정보제공부와 먹이제공부(140)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플랫폼 서버(150)는 제어부중에서도 가장 핵심에 해당하는 제어를 담당하고 있으며, 실감환경 분석부를 통해서 실감 데이터를 분석한 후, 이를 사용자 인터페이스 구성에 매칭하여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 명령을 해석하여, 해당 사용자 명령에 따라 실감정보를 제공하거나 전자제어용기를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아울러 상기 플랫폼 서버는 HTTP 프로토콜을 수행하기 위한 웹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상기 플랫폼 서버(150)는 먹이공급 장치와 사용자 단말기 간의 물리적인 통신에 더하여, 상기 통신을 통해 입출력되는 정보를 추출하거나 상기 정보가 표출되도록 지원하는 수단이다. 또한 상기 플랫폼 서버는 인접하거나 원격에 떨어져 있는 애완동물도 원활하게 돌볼 수 있도록 인접하는 먹이공급 장치끼리 서로 네트워킹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또한 제3의 플랫폼 서버를 구비한 상태에서 각 먹이공급 장치는 개별 정보를 상기 제3의 플랫폼 서버에 전달하여, 전체 애완동물과 각 애완동물의 먹이공급 장치에 대한 상태를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실감 인터페이스부(500)를 통해서, 취득한 데이터는 실감환경 분석부에 의해서 분석되며, 상기 취득한 데이터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 구성을 수행하며, 이는 다시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된다. 즉, 네트워크를 통해 애완동물 먹이공급 장치의 상태 데이터를 사용자의 단말로 전송하여 사용자가 집에 홀로 있는 애완동물의 상태 및 환경을 보다 쉽게 획득 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는 단말기를 통해 플랫폼 서버에 접속하여 본 발명에 의한 애완동물 먹이공급 서비스를 제공하는 앱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상기 다운로드 받은 앱을 통해서 사용자 단말기는 플랫폼 서버와 접속되어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한편, 카메라는 먹이공급 장치에 설치된 IP-카메라를 통해 애완동물의 상태 및 먹이 섭취 여부를 촬영한다. 또한 음성 인터페이스부는 애완동물 먹이공급 장치에 설치된 마이크부를 통해 애완동물의 울음소리, 반응소리 또는 집 안에 외부인이 침입 시 발생하는 특별한 소리를 감지한 데이터와 스피커부를 통해 사용자가 단말기에서 애완동물의 이름을 부르거나 음악을 제공한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는 천장에 설치되어 IP-카메라를 통해 먹이공급 장치 또는 집 안의 환경을 촬영한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거나 사용자 단말기에서 제어된 먹이의 량에 대한 데이터를 애완동물 먹이공급 장치로 전송할 수 있도록 WiFi, Zigbee, 3G, 4G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유무선 통신 방식을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전달되어 온 사용자 단말기에서 제어된 데이터를 통해 먹이공급 장치의 실감 데이터를 제어할 수 있으며, 또한 전자제어용기의 뚜껑이나 먹이저장부에서 먹이제공부 사이의 먹이를 전달하는 관으로 먹이를 공급하기 위한 노즐을 제어할 수 있다. 아울러 IP-카메라의 줌, 포커스, 팬, 틸트와 같은 카메라 제어 기능을 보유할 수 있다. 먹이를 제공하는 량에 대한 조절은 사용자 단말기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만큼 조절하여 공급할 수 있도록 하고, 디스플레이부는 사용자 단말기에서 사용자의 영상, 이미지 또는 사용자가 원하는 영상을 화면에 표출시키고, 나아가 천장에 있는 IP-카메라는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 및 위치에 초점을 맞추어 영상을 촬영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사용자의 영상, 이미지 또는 사용자가 원하는 모든 영상을 화면에 표출하여 애완동물이 영상을 시청할 수 있도록 한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먹이공급 장치의 먹이량을 제어하는 방법은, 먼저 사용자의 단말기에 먹이공급 장치의 앱을 설치하고 앱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먹이의 공급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에 먹이공급 장치의 화면이 나타나도록 하고, 이후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받아 인터렉티브하게 먹이량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앱 화면에서는 사용자가 물통의 노즐을 손가락으로 터치하여 상향 또는 하향으로 움직이면 먹이 저장부에 저장된 물이 흘러내리는 장면이 단말기 화면에 나타나고, 이때 흘러내리는 물의 용량도 함께 표시되어 나타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에 1,2,3 또는 n단계와 같이 복수의 단계가 표시되어 각 단계를 누를 경우 미리 정해진 용량만큼 배출할 수 있도록 한다.
이렇게 표시된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을 보고 사용자가 화면에 손가락을 상향 또는 하향으로 움직이거나 멈추게 되면 물통의 노즐이 잠겨 더 이상 먹이저장부에서 물이 배출되지 않도록 한다.
이러한 먹이량 제어 모듈의 구성은 도징(dozing) 모듈을 활용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즉, 도징 모듈은 노즐에 스테핑 모터를 설치하여 노즐을 열었다가 닫았다가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사용자 단말기에서 이를 명령하면 먹이공급 장치에 구비된 스테핑 모터가 신호를 수신 받아 상기 스테핑 모터를 정방향 혹은 역방향으로 회전하고 이를 통해 먹이제공부의 물그릇에 담길 물의 양을 먹이공급 장치의 카메라부 또는 IP-카메라부로 촬영하여 확인할 수 있다. 이때 물그릇에 담길 물의 양은 상기 카메라부를 통하지 않고 물의 양 즉,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수치 계기로 측정하여 그 수치를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여 알려줄 수 있다.
이러한 먹이량 제어는 디지털 명령을 통해서 인터넷으로 기기를 제어하는 사물인터넷(IoT : Internet of Things) 즉, 생활 속 사물들을 유무선 네트워크로 연결해 정보를 공유하는 기술을 활용한 것으로, 먹이저장부의 사료는 물을 제공하는 방식과 유사한 방식으로 공급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애완동물 원격 먹이공급 장치에서 실감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의 구조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실감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 구조는 헤더와 실감데이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물론, 상기 헤더는 실감데이터의 형식을 구분하기 위한 것이고, 실제 실감데이터는 헤더에 후속하여 전달된다.
예컨대, 헤더는 실감 데이터 타입으로, 예를 들어, 영상(0x01), 음향(0x02), 후각(0x03), 촉각(0x04), 미각(0x05), 환경(0x06)과 같이 정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영상 데이터는 압축영상 파일 리스트 파일과 세그멘테이션된 영상 압축 스트림 파일로 구성되며, 음향 데이터는 스테레오, 5.1채널을 포함한 멀티채널 음향 압축 파일로 구성된다.
후각 데이터는 주인이 자주 쓰는 향수, 애완동물이 좋아하는 향기에 대한 정보를 애완동물 먹이공급 장치에 저장해 두었다가, 사용자 단말기에서 해당 향기 정보와 수량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여 먹이공급 장치에서 노즐을 열어 분사하도록 할 수 있다.
환경 데이터는 실내 온도, 밝기 및 습도를 포함한 실내 환경과 관련된 정보이며, 먹이공급 장치는 이를 측정하여 집안에 있는 다른 가전기기와 연동하여 집안의 환경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해당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고, 반대로 사용자 단말기는 다시 상기 정보에 기반한 제어정보를 인터넷을 통해서 먹이공급 장치로 전달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애완동물 원격 먹이공급 장치의 제어 동작을 위한 방법을 보인 순서도이다.
먼저 사용자가 단말기의 앱을 통해 먹이공급 장치의 조작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정보를 먹이공급 장치로부터 수신한다(S110). 다음으로 집안의 천정에 설치된 IP-카메라 혹은 먹이공급 장치에 설치된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애완동물 먹이공급 장치, 먹이공급 장치의 주변환경 또는 애완동물을 촬영한 영상을 통해서 실감정보 또는 상태정보를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한다(S120). 사용자 단말기는 이렇게 수신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정보와 상태정보를 결합하여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게 된다(S130). 이리하여 사용자는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정보를 바탕으로 실감데이터를 제어하고, 해당 정보를 인터넷을 통해서 먹이공급 장치로 전송하게 된다(S140).
애완동물의 먹이가 부족한 것으로 판단될 경우, 사용자는 단말기의 앱을 통해 애완동물 먹이공급 장치의 전자제어용기를 제어하여 애완동물에게 제공할 사료 또는 물의 양을 제어하여 공급한다. 만약 애완동물의 먹이가 충분한 것으로 판단될 경우, 사용자는 일정한 시간이 지난 후 다시 단말기의 앱을 통해 IP-카메라부에서 촬영된 영상을 보고 애완동물의 먹이공급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임의의 시간이 지난 후 애완동물 먹이공급 장치의 먹이제공부나 먹이저장부의 용기 하부에 부착된 무게 센서를 통해 용기 내부에 수납된 먹이량을 측정함으로써, 사용자는 먹이의 공급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 단말기의 카메라와 애완동물 먹이공급 장치의 카메라부를 통해 애완동물 먹이공급 장치의 디스플레이부에 사용자의 영상 또는 이미지가 표출되고,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에는 애완동물의 영상 또는 이미지가 표출되어 서로 상호간의 화상을 통한 교감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위주로 상술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각 구성요소는 동일한 목적 및 효과의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 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될 수 있을 것이다.
10: 스마트 애완동물 먹이공급 장치 11: 먹이저장부
12: 먹이제공부 13: 정보입출력부
14: 전자제어 노즐 15: 유무선 인터넷
16: 사용자 단말기 17: IP-카메라
100: 제어부 200: 저장 인터페이스부
300: 통신 인터페이스부 400: 먹이제공 인터페이스부
500: 실감 인터페이스부 600: 데이터베이스
110: 사용자 인터페이스 구성부 120: 실감 환경 분석부
130: 사용자 명령 해석부 140: 실감정보/먹이정보 제공부
150: 플랫폼(웹) 서버

Claims (7)

  1.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기와 먹이공급 장치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서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부;
    상기 먹이공급 장치와 애완동물의 상태를 측정하거나 감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 디스플레이, 마이크, 스피커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정보입출력장치;
    애완동물의 사료, 물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먹이를 저장하고 있으면서, 원격제어에 의해 소정 량의 먹이를 제공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자제어용기; 및
    상기 전자제어용기, 정보입출력장치, 또는 인터페이스부의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HTTP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실감 메타데이터 또는 실감 데이터를 포함하여 먹이제공정보를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애완동물 먹이공급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자제어용기는,
    전자저울로 먹이의 양을 측정하되, 먹이를 제공하기 전의 먹이의 무게와 제공할 먹이의 무게에 대한 상대적인 차이를 통해서 제공할 먹이의 양을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양에 따라 먹이를 제공하거나; 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으로 구성되어, 각 단마다 이전에 먹고 남은 먹이가 새로운 먹이와 섞이지 않고 신선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애완동물 먹이공급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자제어용기는,
    먹이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먹이를 제공하는 제공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저장부와 제공부 사이에는 관으로 연결되어, 상기 저장부의 말단에 설치된 전자노즐을 개방하면, 상기 먹이가 제공부로 낙하하여 제공되거나; 또는
    상기 관이 꼬이도록 구성하여 상기 먹이가 바로 제공부로 떨어지는 것이 아니라 상기 꼬인 관을 통과하면서 완충됨으로써, 상기 먹이가 천천히 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애완동물 원격 먹이공급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실감 인터페이스는,
    애완동물과 영상, 음향, 후각, 촉각, 미각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실감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애완동물 먹이공급 장치.
  5. 스마트 애완동물 원격 먹이공급 장치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기에 송신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 애완동물 먹이공급 장치가 실감 데이터, 상태정보 또는 이들의 조합에 대한 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기에 송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정보와 실감 데이터, 상태정보 또는 이들의 조합에 대한 정보를 결합하여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서 실감 데이터와 먹이제공정보가 상기 스마트 애완동물 먹이공급 장치로 전송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애완동물 먹이공급 장치의 실감제어 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스마트 애완동물 먹이공급 장치는 HTTP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실감 메타데이터 또는 실감 데이터를 포함하여 먹이제공정보를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애완동물 먹이공급 장치의 실감제어 방법.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실감 메타데이터 또는 심감 데이터는,
    영상, 음향, 후각, 촉각, 미각 또는 이들의 조합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 먹이공급 장치의 실감제어 방법.
KR1020140047989A 2014-04-22 2014-04-22 스마트 애완동물 원격 먹이공급 장치 및 이의 실감 제어 방법 KR2015012230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7989A KR20150122303A (ko) 2014-04-22 2014-04-22 스마트 애완동물 원격 먹이공급 장치 및 이의 실감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7989A KR20150122303A (ko) 2014-04-22 2014-04-22 스마트 애완동물 원격 먹이공급 장치 및 이의 실감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2303A true KR20150122303A (ko) 2015-11-02

Family

ID=545994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7989A KR20150122303A (ko) 2014-04-22 2014-04-22 스마트 애완동물 원격 먹이공급 장치 및 이의 실감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22303A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614051A (zh) * 2016-11-16 2017-05-10 刘运华 一种基于物联网的宠物喂食装置
EP3251501A1 (en) * 2016-05-30 2017-12-06 Andre Santos Franciosi Feeding system for remotely controllable dispensing of nutrients, feed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KR20180067107A (ko) * 2016-12-12 2018-06-20 백순화 반려동물의 건강 관리 장치
CN109566438A (zh) * 2017-09-28 2019-04-05 德清县雷甸镇米乐宠物用品厂 宠物漏食器
KR101965544B1 (ko) * 2018-12-21 2019-08-13 조치훤 반려동물의 음수량 증량 훈련 식기
KR102086659B1 (ko) 2019-06-28 2020-03-09 조석현 온라인 반려동물 코디네이션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36783A (ko) 2018-09-28 2020-04-07 주식회사 재원씨앤씨 반려동물 관찰 및 놀이 시스템
WO2020130759A1 (ko) * 2018-12-21 2020-06-25 조치훤 반려동물의 음수량 증량 훈련 식기
CN111887175A (zh) * 2020-07-30 2020-11-06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喂食监测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KR102237687B1 (ko) * 2020-12-07 2021-04-08 주식회사 반달소프트 곤충 사육 로봇
CN113905074A (zh) * 2020-07-06 2022-01-07 上海庆科信息技术有限公司 投食设备监控方法、装置、存储介质、处理器及系统
KR20230016752A (ko) 2021-07-26 2023-02-03 공해원 체중관리 인공 지능형 반려동물 사료 급여기 및 사료 급여 시스템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251501A1 (en) * 2016-05-30 2017-12-06 Andre Santos Franciosi Feeding system for remotely controllable dispensing of nutrients, feed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CN106614051A (zh) * 2016-11-16 2017-05-10 刘运华 一种基于物联网的宠物喂食装置
KR20180067107A (ko) * 2016-12-12 2018-06-20 백순화 반려동물의 건강 관리 장치
CN109566438A (zh) * 2017-09-28 2019-04-05 德清县雷甸镇米乐宠物用品厂 宠物漏食器
KR20200036783A (ko) 2018-09-28 2020-04-07 주식회사 재원씨앤씨 반려동물 관찰 및 놀이 시스템
KR101965544B1 (ko) * 2018-12-21 2019-08-13 조치훤 반려동물의 음수량 증량 훈련 식기
WO2020130759A1 (ko) * 2018-12-21 2020-06-25 조치훤 반려동물의 음수량 증량 훈련 식기
KR102086659B1 (ko) 2019-06-28 2020-03-09 조석현 온라인 반려동물 코디네이션 시스템 및 방법
CN113905074A (zh) * 2020-07-06 2022-01-07 上海庆科信息技术有限公司 投食设备监控方法、装置、存储介质、处理器及系统
CN113905074B (zh) * 2020-07-06 2023-10-24 上海庆科信息技术有限公司 投食设备监控方法、装置、存储介质、处理器及系统
CN111887175A (zh) * 2020-07-30 2020-11-06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喂食监测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KR102237687B1 (ko) * 2020-12-07 2021-04-08 주식회사 반달소프트 곤충 사육 로봇
KR20230016752A (ko) 2021-07-26 2023-02-03 공해원 체중관리 인공 지능형 반려동물 사료 급여기 및 사료 급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122303A (ko) 스마트 애완동물 원격 먹이공급 장치 및 이의 실감 제어 방법
JP6923695B2 (ja) 電子機器、電子機器システム、及び機器制御方法
US11854304B2 (en) Computer vision system
US947380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personalized content
CN106155002B (zh) 智能家居系统
KR101762780B1 (ko) 반려 동물용 통신 장치
US9642340B2 (en) Remote pet monitoring systems and methods
CN1557083B (zh) 基于用户注意力的实时多媒体内容分发的方法及系统
WO2018020275A1 (en) Computer vision systems
CN112166350B (zh) 智能设备中的超声感测的系统和方法
US20180271065A1 (en) Pet monitoring and recommendation system
KR20190006975A (ko) 미디어 출력 디바이스들 사이의 미디어 전달
CN108370431B (zh) 信息处理装置、信息处理方法和程序
KR20160091191A (ko)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실시간 양방향 통신으로 애완 동물과 소통할 수 있는 사물인터넷장치
US20150304540A1 (en) System allowing users to interact with animals, both real and simulated
CN112188296A (zh) 交互方法、装置、终端和电视机
KR102009716B1 (ko) 반려 동·식물 케어를 위한 방법, 시스템
EP3123355B1 (en) System comprising an audio device and a mobile device for displaying information concerning the audio device
WO2004004332A3 (en) System for providing a personalized tv channel
KR20160120005A (ko) 애완 동물용 놀이 기구 및 그 원격 조작을 위한 애플리케이션
KR102501439B1 (ko) 반려동물 주인의 귀가 시간을 예측하기 위한 장치
WO2021131326A1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N105474652B (zh) 用于用户监控和意图判断的系统和方法
CN110111777A (zh) 远程设备、用户设备、状态信息发送及接收方法和装置
KR20180017882A (ko) 애완동물에 의한 주인 호출 기능을 갖는 양방향 교감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