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5544B1 - 반려동물의 음수량 증량 훈련 식기 - Google Patents

반려동물의 음수량 증량 훈련 식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5544B1
KR101965544B1 KR1020180167204A KR20180167204A KR101965544B1 KR 101965544 B1 KR101965544 B1 KR 101965544B1 KR 1020180167204 A KR1020180167204 A KR 1020180167204A KR 20180167204 A KR20180167204 A KR 20180167204A KR 101965544 B1 KR101965544 B1 KR 1019655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unit
water
pet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72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치훤
Original Assignee
조치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치훤 filed Critical 조치훤
Priority to KR10201801672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55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55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5544B1/ko
Priority to PCT/KR2019/018342 priority patent/WO2020130759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5/00Devices for taming animals, e.g. nose-rings or hobbles; Devices for overturning animals in general; Training or exercising equipment; Covering boxes
    • A01K15/02Training or exercising equipment, e.g. mazes or labyrinths for animals ; Electric shock devices ; Toys specially adapted for 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2Automatic devices
    • A01K5/0275Automatic devices with mechanisms for delivery of measured doses
    • A01K5/0283Automatic devices with mechanisms for delivery of measured doses by weigh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00Watering equipment for stock or game
    • A01K7/02Automatic devices ; Medication dispens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Zoology (AREA)
  • Birds (AREA)
  • Feeding And Watering For Cattle Raising And Animal Husband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려동물의 음수량 증량 훈련 식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반려동물에게 물을 공급하는 물용기와 사료를 공급하는 사료용기가 착탈되게 나란히 배치되는 바디부, 바디부의 일측에 위치하여 사료용기를 개폐하도록 직선왕복 이동하는 커버부 및 바디부의 내부에 배치되어 커버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고, 제어모듈은 반려동물이 물용기에 저장된 물을 미리정해진 무게만큼 섭취 하는 것을 감지하여 사료용기가 개방되게 커버부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의 음수량 증량 훈련 식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반려동물의 음수량 증량 훈련 식기{DRINKING WATER VOLUME TRAINING TRAINING DISH OF COMPANION ANIMALS}
본 발명은 반려동물의 음수량 증량 훈련 식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사료를 주식으로 하는 반려동물의 음수량을 늘리기 위해, 물용기에 물이 저장된 물용기 배치부의 무게를 감지하여 미리정해진 무게정도로 줄어들면 커버부가 사료용기 배치부를 개방하여 반려동물이 음수한 후에 사료를 먹도록 하는 반려동물의 음수량 증량 훈련 식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사회적으로 개인소득이 증가하고, 핵가족화와 고령화에 따라 혼자 사는 사람이 많아지면서 애완동물에 관한 관심과 함께 실제로 길러지는 애완동물의 수도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애완동물은 개, 고양이, 이구아나, 새 등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소득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애완동물의 종류 및 숫자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전술한 애완동물은 사람이 주기적으로 먹이와 물을 공급해주므로 영양을 섭취하여 생존할 수 있게 한다.
그러나, 애완동물을 기르는 사람은 물과 먹이를 주기 위하여 시간을 맞추는 것이 매우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애완동물을 기르는 사람이 출장이나 장기간 여행 등으로 먹이를 줄 수 없을 때 동물병원이나 보호시설에 위탁하여야 하므로 비용이 과다하게 지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출장이나 장기간 여행 등으로 주인이 집을 비우는 경우, 애완동물만 따로 집에 두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고, 때문에, 애완동물에게 자동적으로 물이나 먹이를 공급할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한 실정이다.
이 중, 먹이의 경우, 며칠동안 먹지 않아도 어느 정도 견딜수 있을 것이나, 물의 경우, 거의 매일 마시지 않으면, 애완동물에게도 치명적인 해가 될 수 있으므로, 출장이나 장기간 여행 등으로 주인이 집을 비우는 경우, 애완동물에게 물을 자동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한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73230호(2014.03.05. 등록)인 "애완동물 물 공급장치"를 살펴보면 애완동물에게 공급되는 물을 생성하기 위한 물 생성부 및 생성된 물을 애완동물에게 제공하기 위한 물 제공부를 포함하고, 물 생성부는 공기를 강제로 흡입하고 토출하여 공기의 흐름을 형성하는 공기순환수단, 공기순환수단의 전방에 설치되고 흡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불순물을 제거하는 공기여과수단 및 공기여과수단과 공기순환수단의 사이에 설치되고 통과하는 공기에 포함된 습기를 응축시켜 물을 생성하는 응결수단을 포함하는 구성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애완동물이 일시적으로 물을 섭취하여 음수량에 일시적으로 도움을 주시만 추후 호기심이 사라지면 물 섭취라는 본래의 목적을 잃고 물을 섭취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373230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건사료를 주식으로 하는 반려동물의 음수량을 늘리기 위해, 물용기에 물이 저장된 물용기 배치부의 무게를 감지하여 미리정해진 무게정도로 줄어들면 커버부가 사료용기 배치부를 개방하여 반려동물이 음수한 후에 사료를 먹을 수 있는 구조로 제공함으로써, 반려동물이 물을 마시는 것을 좋아하게 훈련시키는 새로운 구조의 반려동물의 음수량 증량 훈련 식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반려동물에게 물을 공급하는 물용기와 사료를 공급하는 사료용기가 착탈되게 나란히 배치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일측에 위치하여 상기 사료용기를 개폐하도록 직선왕복 이동하는 커버부 및
상기 바디부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커버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모듈은 반려동물이 상기 물용기에 저장된 물을 미리정해진 무게만큼 섭취 하는 것을 감지하여 상기 사료용기가 개방되게 상기 커버부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의 음수량 증량 훈련 식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의 음수량 증량 훈련 식기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함체 형상으로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면에 상기 물용기에 대응하여 홈이 형성되는 물용기 배치부, 상기 물용기 배치부의 일측에 상기 사료용기에 대응하여 홈이 형성되는 사료용기 배치부, 상기 사료용기 배치부의 일측에 연통하는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공간의 내측벽이 상기 사료용기 배치부의 내측벽까지 연장된 레일이 형성되어 상기 레일을 따라 상기 커버부가 직선왕복 이동하도록 수용되는 수납부 및 상기 하우징의 외즉면을 따라 복수개로 구비되어 반려동물이 미리정해진 거리만큼 접근하는지 측정하는 위치센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의 음수량 증량 훈련 식기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의 하면에 형성된 기어홈 및 상기 바디부의 내측에 구비되고, 상기 플레이트를 직선왕복 이동시키도록 기어에 연결되는 모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의 음수량 증량 훈련 식기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물용기 배치부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물용기에 담긴 물의 무게를 측정하되, 반려동물이 물을 섭취하는 음수량에 따라 변화되는 상기 물용기 배치부의 무게를 측정하여 데이터로 저장시키는 중량센서부, 상기 위치센서부의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중량센서부에서 측정한 물의 최종 무게 데이터를 기준 무게로 재설정 시키는 중량설정부, 상기 중량센서부의 데이터와 상기 중량설정부의 데이터를 저장하고, 저장된 데이터를 발신하는 데이터발신부 및 상기 데이터발신부의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물용기 배치부의 무게가 상기 중량설정부에서 설정된 기준 무게로부터 미리정해진 무게만큼 줄어든 경우, 상기 모터부를 작동시키는 작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의 음수량 증량 훈련 식기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상기 하우징의 하단에 상기 하우징의 형상에 대응하여 결합되는 받침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받침대는 반려동물의 크기에 따라 높이를 조절하는 조절부를 포함하여 상기 하우징이 바닥으로부터 높이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의 음수량 증량 훈련 식기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반려동물의 목에 착용하되 해당동물의 신체정보를 입력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저장부 및 상기 반려동물이 상기 하우징에 접근하면 상기 위치센서부가 감지하여 전송한 신호를 전달받아 해당 반려동물이 음용할 수 있는 무게로 재설정 시키는 중량변환설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의 음수량 증량 훈련 식기는 물용기 배치부의 무게가 줄어들면 커버부가 사료용기 배치부를 개방하여 반려동물이 물을 섭취한 후에만 사료를 먹을 수 있게 훈련시킴으로써, 반려동물이 물을 섭취하는 행위를 조건을 완료하면 동물이 좋아하는 보상이 주어지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여 물에 대한 호기심이 아닌 물을 마시는 것을 좋아하게 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반려동물이 물을 섭취함으로써 음수량 부족으로 인한 신장 및 비뇨기게의 질환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건강을 관리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의 음수량 증량 훈련 식기는 물용기 배치부의 하부에 물의 변화를 감지하여 물용기 배치부의 무게를 측정하여 미리정해진 정도의 무게로 줄어들면, 커버부가 사료용기 배치부를 개방시키도록 직선왕복 시켜 반려동물이 물을 섭취해야만 사료를 섭취할 수 있게 훈련시키는 성과를 증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의 음수량 증량 훈련 식기는 반려동물이 접근하여 있는 동안 물용기 배치부의 무게를 기준 무게로 설정할 수 있게 하여, 반려동물이 접근하여 물의 섭취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반려동물이 물을 섭취했을 때만 커버부가 사료용기 배치부를 개방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의 음수량 증량 훈련 식기는 반려동물의 목에 신체정보를 입력한 데이터저장부가 구비된 목걸이를 착용시켜, 반려동물이 바디부에 접근하면, 해당 반려동물에 대응하여 물용기 배치부의 무게가 줄어들 수 있는 무게를 재설정하여 해당 무게만큼 줄어들면, 커버부가 개방되게 하여 서로 다른 종류의 반려동물이 물을 섭취한 후 사료를 섭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의 음수량 증량 훈련 식기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을 분해하되, 물용기 및 사료용기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을 단면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반려동물이 물을 섭취함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의 음수량 증량 훈련 식기의 커버부가 사료용기 배치부를 개방시키는 상태를 나타낸 확대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의 음수량 증량 훈련 식기의 제어모듈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6은 도 5의 제어모듈에 데이터장부 및 중량변환설정부가 더 포함된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의 음수량 증량 훈련 식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의 음수량 증량 훈련 식기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을 분해하되, 물용기 및 사료용기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을 단면으로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반려동물이 물을 섭취함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의 음수량 증량 훈련 식기의 커버부가 사료용기 배치부를 개방시키는 상태를 나타낸 확대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의 음수량 증량 훈련 식기의 제어모듈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6은 도 5의 제어모듈에 데이터장부 및 중량변환설정부가 더 포함된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의 음수량 증량 훈련 식기(10)는 바디부(1000, 커버부(200) 및 제어모듈(300)을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의 음수량 증량 훈련 식기(10)는 반려동물에게 물을 공급하는 물용기(1)와 사료를 공급하는 사료용기(2)가 착탈되게 나란히 배치되는 바디부(100), 바디부의 일측에 위치하여 사료용기를 개폐하도록 직선왕복 이동하는 커버부(200) 및 바디부의 내부에 배치되어 커버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모듈(300)을 포함하고, 제어모듈(300)은 반려동물이 물용기(1)에 저장된 물을 미리정해진 무게만큼 섭취 하는 것을 감지하여 사료용기 배치부(130)가 개방되게 커버부(200)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바디부(100)는 내부가 빈 공간으로 형성되어 후술하는 제어모듈(300)이 배치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바디부(100)는 일면에 물용기(1) 및 사료용기(2)가 배치되며, 일측에 커버부(200)가 설치된다.
이를 위해, 바디부(100)는 하우징(110), 물용기 배치부(120), 사료용기 배치부(130), 수납부(140) 및 위치센서부(150)를 포함한다.
하우징(110)은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함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하우징(110)은 반려동물이 물을 섭취하고, 사료를 섭취하도록 각각의 용기가 배치될 수 있는 용기를 제공하는 것으로, 자동으로 후술하는 커버부(200)가 작동되도록 내부에 제어모듈이 배치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된다.
한편, 바디부(100)는 비록 여기 명세서의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받침대를 더 포함한다.
받침대는 하우징(110)의 하단에 하우징(110)의 형상에 대응하여 결합되어 바디부(10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받침대는 반려동물의 크기에 따라 하우징(100)이 바닥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상하 높이가 조절되는 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물용기 배치부(120)는 하우징(110)의 일면에 물용기(1)에 대응하여 홈이 형성된다. 여기서, 물용기 배치부(120)는 반려동물이 물을 섭취해야만 사료를 섭취할 수 있도록 훈련을 시키기 위해, 커버부(200)로부터 원거리에 위치하게 배치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료용기 배치부(130)는 물용기 배치부(120)의 일측에 사료용기(2)에 대응하여 홈이 형성된다
여기서, 사료용기 배치부(130)는 커버부(200)와 이웃하게 배치하여 커버부(200)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물용기 배치부(120)에 결합된 물용기(1)에 저장된 물의 양이 변화되는 것을 감지하여 제어모듈(300)이 커버부(200)를 작동하여 사료용기 배치부(130)를 개방시키도록 한다.
수납부(140)는 사료용기 배치부(130)의 일측에 연통하는 공간이 형성되고, 공간의 내측벽이 사료용기 배치부(130)의 내측벽까지 연장된 레일(141)이 형성되어 레일(141)을 따라 커버부(200)가 직선왕복 이동하도록 수용된다.
위치센서부(150)는 하우징(110)의 외즉면을 따라 복수개로 구비되어 반려동물이 미리정해진 거리만큼 접근하는지 측정한다.
즉, 위치센서부(150)는 반려동물이 하우징(110)에 접근하되 미리정해진 거리만큼 접근을 하면 후술하는 제어모듈(300)에 의해 물용기 배치부(120)의 중량을 측정하도록 신호를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이로 인해, 물용기 배치부(120)에 결합되어 물용기(1)에 저장된 물을 반려동물이 섭취하였는지 알 수 있다.
또한, 위치센서부(150)는 반려동물이 물을 섭취 하지 않고 자연 증발에 의한 무게의 변화에 따라 커버부(200)가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반려동물이 하우징(110)에 미리정해진 거리로 접근했는지를 감지하는 것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커버부(200)는 바디부(100)의 일측에 위치하여 사료용기(2)를 개폐하도록 직선왕복 이동한다.
이를 위해, 커버부(200)는 플레이트(210), 기어홈(220) 및 모터부(230)를 포함한다.
플레이트(210)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사료용기 배치부(130)의 크기에 대응하여 수납부(140)에 수용된다.
또한, 플레이트(210)는 레일(141)을 따라 슬라이딩 직선 왕복 이동하도록 레일홈이 형성된다. 그리고 플레이트(210)는 일면이 관통하고 관통된 부분을 격자형상의 망으로 형성시켜, 반려동물이 사료를 눈으로 확인할 수 있게 한다. 이로 인해, 반려동물이 사료를 먹기 위해서 물을 섭취해야만 하는 반복적인 행위를 통해 사료를 먹을 수 있는 훈련을 극대화 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기어홈(220)은 플레이트(210)의 하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후술하는 모터부(230)에 연결된 기어에 결합되도록 형성된다.
모터부(230)는 바디부(100)의 내측에 구비되고, 플레이트(210)를 직선왕복 이동시키도록 기어홈(220)에 결합되는 기어에 연결된다. 그리고 모터부(230)는 제어모듈(300)의 신호에 의해 작동되는 것으로 플레이트(210)가 사료용기 배치부(130)를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한다.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어모듈(300)은 바디부(100)의 내부에 배치되어 커버부(200)의 작동을 제어한다.
즉, 제어모듈(300)은 반려동물이 물용기(1)에 저장된 물을 미리정해진 무게만큼 섭취 하는 것을 감지하여 사료용기 배치부(130)가 개방되게 커버부(200)를 작동시킨다.
이를 위해, 제어모듈(300)은 중량센서부(310), 중량설정부(320), 데이터발신부(330) 및 작동부(340)를 포함한다.
중량센서부(310)는 물용기 배치부(120)의 하부에 구비되어 물용기(1)에 담긴 물의 무게를 측정하되, 반려동물이 물을 섭취하는 음수량에 따라 변화되는 물용기 배치부(120)의 무게를 측정하여 데이터로 저장시키는 역할을 한다.
중량설정부(320)는 위치센서부(150)의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중량센서부(310)에서 측정한 물의 최종 무게 데이터를 기준 무게로 재설정 시킨다.
즉, 중량설정부(320)는 반려동물이 물용기 배치부(120)에 결합된 물용기(1)에 저장된 물을 섭취함으로써, 물용기(1)의 무게변화를 물용기 배치부(120)를 통해 중량센서부(310)가 감지한 해당 무게의 데이터를 전송받아 기준 무게로 인식한다.
또한, 중량설정부(320)는 반려동물이 하우징(110)에 미리정해진 거리만큼 접근하되, 물을 섭취하지 않고 다른 장소로 이동하는 경우, 위치센서부(150)의 신호를 전달받아 중량센서부(310)는 현재의 물용기 배치부(120)의 무게 데이터를 전송하고, 이를 전달받아 기준 무게로 설정한다.
데이터발신부(330)는 중량센서부(310)의 데이터와 중량설정부(320)의 데이터를 저장하고, 저장된 데이터를 발신하는 역할을 한다.
작동부(340)는 데이터발신부(330)의 신호를 전달받아 물용기 배치부(120)의 무게가 중량설정부(320)에서 설정된 기준 무게로부터 미리정해진 무게만큼 줄어든 경우, 모터부(230)를 작동시킨다.
도 6을 참조하면, 제어모듈(300)은 데이터저장부(350) 및 중량변환설정부(360)를 더 포함한다.
데이터저장부(350)는 반려동물의 목에 착용하되 해당동물의 신체정보를 입력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으로, 목걸이 형태 또는 웨어러블 형태로 형성되어 해당동물의 신체정보를 후술하는 중량변환설정부(360)로 전송한다.
중량변환설정부(360)는 반려동물이 하우징(110)에 접근하면 위치센서부(150)가 감지하여 상기 데이터저장부(350)에서 전송한 신호를 전달받아 해당 반려동물이 음용할 수 있는 무게로 재설정 시킨다.
여기서, 중량변환설정부(360)는 하우징(110)에 반려동물이 미리정해진 거리로 접근하는 경우에 위치센서부(150)가 작동해야만 데이터저장부(350)의 신호를 전달받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0 : 반려동물의 음수량 증량 훈련 식기
100 : 바디부
110 : 하우징
120 : 물용기 배치부
130 : 사료용기 배치부
140 : 수납부
141 : 레일
150 : 위치센서부
160 : 받침대
161 : 조절부
200 : 커버부
210 : 플레이트
220 : 기어홈
230 : 모터부
300 : 제어모듈
310 : 중량센서부
320 : 중량설정부
330 : 데이터발신부
340 : 작동부
350 : 데이터저장부
360 : 중량변환설정부

Claims (5)

  1. 반려동물에게 물을 공급하는 물용기와 사료를 공급하는 사료용기가 착탈되게 나란히 배치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일측에 위치하여 상기 사료용기를 개폐하도록 직선왕복 이동하도록 판형상으로 형성되는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의 하면에 형성된 기어홈 및 상기 바디부의 내측에 구비되고, 상기 플레이트를 직선왕복 이동시키도록 기어에 연결되는 모터부를 포함하여 형성된 커버부; 및
    상기 바디부의 내부에 배치되어 려동물이 상기 물용기에 저장된 물을 미리정해진 무게만큼 섭취 하는 것을 감지하여 상기 사료용기가 개방되게 상기 커버부를 작동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물용기 배치부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물용기에 담긴 물의 무게를 측정하되, 반려동물이 물을 섭취하는 음수량에 따라 변화되는 상기 물용기 배치부의 무게를 측정하여 데이터로 저장시키는 중량센서부;
    위치센서부의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중량센서부에서 측정한 물의 최종 무게 데이터를 기준 무게로 재설정 시키는 중량설정부;
    상기 중량센서부의 데이터와 상기 중량설정부의 데이터를 저장하고, 저장된 데이터를 발신하는 데이터발신부; 및
    상기 데이터발신부의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물용기 배치부의 무게가 상기 중량설정부에서 설정된 기준 무게로부터 미리정해진 무게만큼 줄어든 경우, 상기 모터부를 작동시키는 작동부를 포함하는
    반려동물의 음수량 증량 훈련 식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함체 형상으로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면에 상기 물용기에 대응하여 홈이 형성되는 물용기 배치부;
    상기 물용기 배치부의 일측에 상기 사료용기에 대응하여 홈이 형성되는 사료용기 배치부;
    상기 사료용기 배치부의 일측에 연통하는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공간의 내측벽이 상기 사료용기 배치부의 내측벽까지 연장된 레일이 형성되어 상기 레일을 따라 상기 커버부가 직선왕복 이동하도록 수용되는 수납부; 및
    상기 하우징의 외즉면을 따라 복수개로 구비되어 반려동물이 미리정해진 거리만큼 접근하는지 측정하는 위치센서부를 포함하는
    반려동물의 음수량 증량 훈련 식기.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반려동물의 목에 착용하되 해당동물의 신체정보를 입력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저장부; 및
    상기 반려동물이 하우징에 접근하면 상기 위치센서부가 감지하여 전송한 신호를 전달받아 해당 반려동물이 음용할 수 있는 무게로 재설정 시키는 중량변환설정부를 더 포함하는
    반려동물의 음수량 증량 훈련 식기.
KR1020180167204A 2018-12-21 2018-12-21 반려동물의 음수량 증량 훈련 식기 KR1019655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7204A KR101965544B1 (ko) 2018-12-21 2018-12-21 반려동물의 음수량 증량 훈련 식기
PCT/KR2019/018342 WO2020130759A1 (ko) 2018-12-21 2019-12-23 반려동물의 음수량 증량 훈련 식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7204A KR101965544B1 (ko) 2018-12-21 2018-12-21 반려동물의 음수량 증량 훈련 식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5544B1 true KR101965544B1 (ko) 2019-08-13

Family

ID=676243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7204A KR101965544B1 (ko) 2018-12-21 2018-12-21 반려동물의 음수량 증량 훈련 식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554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30759A1 (ko) * 2018-12-21 2020-06-25 조치훤 반려동물의 음수량 증량 훈련 식기
KR20210046927A (ko) 2019-10-21 2021-04-29 (주)몬도미오 광 산란 기능을 갖는 애완동물용 물그릇
KR20220048139A (ko) 2020-10-12 2022-04-19 강승우 높이 조절이 가능한 반려동물용 식기 거치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3230B1 (ko) 2012-10-31 2014-03-12 이주홍 애완동물 물 공급장치
KR20150122303A (ko) * 2014-04-22 2015-11-02 주식회사 씨앤비젼 스마트 애완동물 원격 먹이공급 장치 및 이의 실감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3230B1 (ko) 2012-10-31 2014-03-12 이주홍 애완동물 물 공급장치
KR20150122303A (ko) * 2014-04-22 2015-11-02 주식회사 씨앤비젼 스마트 애완동물 원격 먹이공급 장치 및 이의 실감 제어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30759A1 (ko) * 2018-12-21 2020-06-25 조치훤 반려동물의 음수량 증량 훈련 식기
KR20210046927A (ko) 2019-10-21 2021-04-29 (주)몬도미오 광 산란 기능을 갖는 애완동물용 물그릇
KR20220048139A (ko) 2020-10-12 2022-04-19 강승우 높이 조절이 가능한 반려동물용 식기 거치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5544B1 (ko) 반려동물의 음수량 증량 훈련 식기
US8893658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preidentified pets selective access to a predetermined location or object
EP3402323B1 (en) Highly automated system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to measure, monitor manage and control grazing environment and animals
US7762211B1 (en) Pet feeding and watering apparatus
BR112021007269A2 (pt) monitoração de bens semoventes
US20020134313A1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nimal feeding
KR102039934B1 (ko) 운동용 스마트 실내 애완견 장난감
KR20200091627A (ko) 반려동물 자동 먹이 지급기
US7827935B1 (en) Restricted access animal feeder utilizing vibratory means to deter access to food
KR102232983B1 (ko) 반려동물용 급수기
Nannoni et al. Soiling of pig pens: a review of eliminative behaviour
US20100024736A1 (en) Food house for small animals
Tillmanns et al. Implementation of a pig toilet in a nursery pen with a straw-littered lying area
KR102261887B1 (ko) 반려동물 건강을 위한 사료 공급기 및 사료 공급 시스템
KR102238892B1 (ko) 반려동물을 위한 자동 사료 급식기
KR20210000770U (ko) 애완동물용 급수기
JP4663598B2 (ja) 給餌装置、給餌方法
CN204056777U (zh) 异色瓢虫成虫的包装容器
US20140345533A1 (en) Sensor controlled food and water bowls for pets
CN109156370B (zh) 一种流浪动物智能收容中心
US7469660B1 (en) Combined dwelling and play area for cats and like feline animals
WO2020130759A1 (ko) 반려동물의 음수량 증량 훈련 식기
KR200348661Y1 (ko) 먹이 수납부를 갖는 애완동물 침대
US20100083907A1 (en) Mammal nurser and method of use
US20080264348A1 (en) Puppy Training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