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0005A - 애완 동물용 놀이 기구 및 그 원격 조작을 위한 애플리케이션 - Google Patents

애완 동물용 놀이 기구 및 그 원격 조작을 위한 애플리케이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0005A
KR20160120005A KR1020150048924A KR20150048924A KR20160120005A KR 20160120005 A KR20160120005 A KR 20160120005A KR 1020150048924 A KR1020150048924 A KR 1020150048924A KR 20150048924 A KR20150048924 A KR 20150048924A KR 20160120005 A KR20160120005 A KR 201601200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t
camera module
laser pointer
user terminal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89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명아
Original Assignee
고명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명아 filed Critical 고명아
Priority to KR10201500489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20005A/ko
Publication of KR201601200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000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5/00Devices for taming animals, e.g. nose-rings or hobbles; Devices for overturning animals in general; Training or exercising equipment; Covering boxes
    • A01K15/02Training or exercising equipment, e.g. mazes or labyrinths for animals ; Electric shock devices ; Toys specially adapted for animals
    • A01K15/025Toys specially adapted for 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5/00Devices for taming animals, e.g. nose-rings or hobbles; Devices for overturning animals in general; Training or exercising equipment; Covering box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Abstract

애완 동물용 놀이 기구 및 그 원격 조작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이 제공된다. 상기 애완 동물용 놀이 기구는 애완 동물에 관한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카메라 모듈, 상기 애완 동물에 관한 음성 데이터를 획득하는 마이크,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조작 명령에 따라 레이저 포인터를 구동하는 레이저 포인터 모듈,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음성 메시지를 출력하는 스피커, 및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과 통신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조작 명령 및 상기 음성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기 애완 동물에 관한 상기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음성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펫 메시지를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애완 동물용 놀이 기구 및 그 원격 조작을 위한 애플리케이션{PLAYING APPARATUS FOR PET AND APPLICATION FOR REMOTELY CONTROLLING OF THE SAME}
본 발명은 애완 동물용 놀이 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상호 대화형(interactive) 놀이 기구 및 그 원격 조작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것이다.
애완 동물 또는 반려 동물은 인간이 즐거움을 위해 또는 정서적으로 의지하기 위해 가까이 두고 키우는 동물을 말한다. 주로 포유류(개, 고양이, 햄스터 등)와 조류(앵무새, 잉꼬, 카나리아 등)가 애완용으로 키워지고 있다.
애완 동물을 키우는 인구는 매년 증가하고 있으며, 1인 가구가 확산되고 노령 인구의 증가 추세에 따라 더욱 증가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그러나, 현대인들은 바쁜 생활에 쫓겨 자신의 애완 동물을 돌볼 시간이 부족하며, 이러한 결과로 애완 동물에게 분리 불안 장애, 우울증, 스트레스 등의 증세가 나타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다양한 애완 동물용 놀이 기구가 제공되고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105691호, 2011.09.27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카메라 모듈을 이용하여 애완 동물을 관찰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원격으로 관리 및 조작할 수 있으며, 레이저 포인터, 음성 메시지 전송 및 무선 이동체를 이용한 상호 대화형 놀이 기능을 가지며, 펫 메시지를 통해서 원격지에서도 애완 동물과 교감할 수 있는 애완 동물용 놀이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완 동물용 놀이 기구는 애완 동물에 관한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카메라 모듈, 상기 애완 동물에 관한 음성 데이터를 획득하는 마이크,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조작 명령에 따라 레이저 포인터를 구동하는 레이저 포인터 모듈,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음성 메시지를 출력하는 스피커, 및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과 통신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조작 명령 및 상기 음성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기 애완 동물에 관한 상기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음성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펫 메시지를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카메라 모듈, 상기 마이크, 상기 레이저 포인터 모듈, 상기 스피커, 상기 통신부 중 적어도 하나가 탑재되는 둘 이상의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둘 이상의 하우징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카메라 모듈은 상기 애완 동물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상기 애완 동물에 관한 영상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레이저 포인터의 제1 움직임은 상기 카메라 모듈의 움직임에 상응하고, 상기 레이저 포인터의 제2 움직임은 상기 카메라 모듈의 움직임에 상응하지 않고, 상기 제1 움직임의 범위는 상기 제2 움직임의 범위보다 클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카메라 모듈, 상기 마이크, 상기 레이저 포인터 모듈, 상기 스피커, 상기 통신부 중 적어도 하나가 탑재되는 하우징과,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조작 명령에 따라 주행하거나 비행하고, 상기 하우징과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무선 이동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카메라 모듈이 탑재되는 제1 하우징과 상기 레이저 포인터 모듈이 탑재되는 제2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하우징은 상기 제2 하우징과 탈착 가능하게 결합 가능하고, 상기 무선 이동체는 상기 제2 하우징과 탈착 가능하게 결합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와 상기 무선 이동체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통신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펫 메시지는 미리 정해진 주기에 따라 또는 상기 애완 동물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전송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펫 메시지는 SNS(Social Network Service)와 연동 가능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완 동물용 놀이 기구의 원격 조작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 단말과 결합되어, 상기 애완 동물용 놀이 기구로부터 상기 애완 동물에 관한 영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펫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 상에 상기 펫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상기 애완 동물용 놀이 기구의 카메라 모듈의 조작 명령, 레이저 포인터의 조작 명령 및 음성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카메라 모듈의 조작 명령, 상기 레이저 포인터의 조작 명령 및 상기 음성 메시지를 상기 애완 동물용 놀이 기구에 전송하는 단계를 실행시킨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애완 동물용 놀이 기구에 따르면,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카메라 모듈을 이용하여 애완 동물을 관찰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원격으로 관리 및 조작할 수 있으며, 레이저 포인터, 음성 메시지 전송 및 무선 이동체를 이용하여 애완 동물과 상호 대화형 놀이를 할 수 있고, 펫 메시지를 통해서 원격지에서도 애완 동물과 교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완 동물용 놀이 기구의 외관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완 동물용 놀이 기구의 각각의 하우징의 탈착 가능 결합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완 동물용 놀이 기구의 내부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완 동물용 놀이 기구의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완 동물용 놀이 기구와 사용자 단말의 네트워크 연결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완 동물용 놀이 기구와 사용자 단말이 통신하는 데이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애완 동물용 놀이 기구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애완 동물용 놀이 기구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전기 자극 장치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완 동물용 놀이 기구의 외관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완 동물용 놀이 기구의 하우징의 탈착 가능 결합을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완 동물용 놀이 기구의 내부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완 동물용 놀이 기구의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완 동물용 놀이 기구는 하우징(110, 120, 130), 상기 하우징에 탑재된 카메라 모듈(121), 마이크(122), 레이저 포인터 모듈(131), 스피커(132)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복수 개의 하우징(상단 하우징(130), 중단 하우징(120), 하단 하우징(110))이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하우징(110, 120, 13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2에서는 모든 하우징(110, 120, 130)이 탈착 가능하게 도시하였으나, 실시예에 따라 중단 하우징(120) 및 하단 하우징(110)이 탈착 가능하지 않게 하나의 하우징으로 제공되도록 변형될 수 있다.
하단 하우징(110)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완 동물용 놀이 기구(100)의 구동 및 원격 제어를 위한 구성요소(통신부(161), 제어부(162), 저장부(163) 등)가 탑재될 수 있다. 명확하게 도시하지 않았으나, 하단 하우징(110)의 후면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완 동물용 놀이 기구(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커넥터, 외부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네트워크 커넥터, 무선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안테나를 연결하기 위한 안테나 커넥터, 기본적인 또는 추가적인 메모리 카드를 삽입하기 위한 카드 슬롯 등이 제공될 수 있다.
중단 하우징(120)에는 카메라 모듈(121), 마이크(122)가 탑재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21)은 애완 동물에 관한 영상 데이터를 획득한다. 카메라 모듈(121)은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하여 CMOS 센서, CCD 센서 등과 같은 이미지 센서를 포함한다. 카메라 모듈(121)이 출력하는 영상 데이터의 해상도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다양하게 조절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21)은 광학 줌(zoom) 또는 디지털 줌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카메라 모듈(121) 상에는 (적외선을 발광하는) 소정의 개수의 발광 소자가 배치되어, 영상 획득 시 필요한 소정의 조도의 조명을 제공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카메라 모듈(121)은 획득한 영상 내의 피사체를 인식할 수 있는 지능형 카메라 모듈(121)로 제공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카메라 모듈(121)은 영상 처리 프로세서, 적외선 감지 센서 등과 같은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지능형 카메라 모듈(121)은 애완 동물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애완 동물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애완 동물에 관한 영상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적외선 감지 센서는 카메라 모듈(121)과 연동하는 별개의 구성요소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모듈(121)은 상하(즉, 틸팅(tilting)) 및 좌우(즉, 패닝(panning))로 움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121)은 80도로 틸팅 가능하고, 355도로 패닝 가능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카메라 모듈(121)은 사용자의 직접적인 조작에 의해 수동으로 움직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원격 조작에 의해 자동으로 움직일 수도 있다. 명확하게 도시하지 않았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완 동물용 놀이 기구(100)는 카메라 모듈(121)을 움직이는 하나 이상의 기어 및 모터와, 카메라 모듈(121)의 움직임을 가이드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가이드부와 같은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122)는 애완 동물에 관한 음성 데이터를 획득한다. 마이크(122)는 중단 하우징(120) 내에 내장 또는 외장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마이크(122)가 카메라 모듈(121)에 인접하여 배치되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마이크(122)는 설계에 따라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단 하우징(130)에는 레이저 포인터 모듈(131), 스피커(132)가 탑재될 수 있다.
레이저 포인터 모듈(131)은 레이저 포인터를 구동한다. 레이저의 파장 및 출력 등은 (인체에 무해하도록) 소정의 등급 또는 크기로 제한될 수 있다. 레이저 포인터 모듈(131)은 레이저 포인터를 턴온(turn-on)하고 턴오프(turn-off)할 수 있다.
또한, 레이저 포인터는 상하 및 좌우로 움직일 수 있다. 이러한 레이저 포인터의 움직임의 범위는 크기에 따라 복수 개로 나뉘어질 수 있다. 즉, 레이저 포인터의 움직임은 (상대적으로 범위가 큰) 광역(wide) 움직임과 (상대적으로 범위가 작은) 협역(narrow) 움직임으로 나뉘어질 수 있다. 레이저 포인터의 광역 움직임은 카메라 모듈(121)의 움직임에 상응하고, 레이저 포인터의 협역 움직임은 카메라 모듈(121)의 움직임에 상응하지 않고 독립적일 수 있다. 이로써, 애완 동물 확인 및 레이저 포인터의 원격 조작을 위한 사용자의 시야가 확보될 수 있고, 동시에 레이저 포인터의 세밀한 움직임이 가능할 수 있다.
레이저 포인터의 협역 움직임은 사용자의 원격 조작에 의해 자동으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완 동물용 놀이 기구(100)는 카메라 모듈(121)과 레이저 포인터 모듈(131)을 함께 이용함으로써, 사용자가 애완 동물과 상호 대화형 놀이를 즐길 수 있다. 또한, 레이저 포인터의 협역 움직임은 저장부(163)에 미리 저장된 하나 이상의 유형으로 제공될 수 있다. 레이저 포인터의 협역 움직임은 랜덤하게 제공될 수도 있다. 명확하게 도시하지 않았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완 동물용 놀이 기구(100)는 레이저 포인터를 움직이는 하나 이상의 기어 및 모터와, 또는 프리즘과 같은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132)는 음성 메시지를 출력한다. 음성 메시지는 사용자의 음성을 녹음한 음성 데이터를 포함하거나, 저장부(163)에 저장된, 또는 외부 디바이스 또는 서버로부터 수신된 그 밖의 음성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완 동물용 놀이 기구(100)는 마이크(122) 외에 스피커(132)를 더 이용함으로써, 사용자가 애완 동물과 상호 대화형 놀이를 즐길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다르게, (애완 동물의 거부감을 해소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완 동물용 놀이 기구(100)의 적어도 일부(예를 들어, 상단 하우징(130))는 동물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이 경우 스피커(132)는 동물의 머리의 입에 상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명확하게 도시하지 않았으나, 애완 동물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한 적외선 감지 센서가, 카메라 모듈(121) 내에 포함되지 않고, 상단 하우징(130)에 탑재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완 동물용 놀이 기구(100)는 통신부(161), 제어부(162), 저장부(163)를 더 포함한다.
통신부(161)는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외부 디바이스와 데이터를 통신한다. 네트워크는 유선 또는 무선일 수 있다. 네트워크는 WAN(Wide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LAN(Local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중 하나 이상 또는 이들의 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네트워크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DMA), WiFi, Wibro(Wireless Broadband) 등과 같은 이동 통신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제어부(16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완 동물용 놀이 기구(100)의 기능 및 동작을 총체적으로 제어한다. 제어부(162)는 카메라 모듈(121)로부터 수신된 영상 데이터 및 마이크(122)로부터 수신된 음성 데이터를 이용하여 펫 메시지를 생성하고, 펫 메시지를 통신부(161)에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162)는 통신부(161)로부터 수신된 조작 명령에 따라 카메라 모듈(121) 및 레이저 포인터 모듈(131)을 제어하고, 통신부(161)로부터 수신된 음성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스피커(132)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62)는 상술한 제어 동작을 수행하기 위하여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부(163)에 기입하거나 저장부(163)로부터 독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62)는 프로세서,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 Processor),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 Controller),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MPU(Micro Processing Unit), MCU(Micro Controller Unit)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162)는 상술한 제어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펌웨어(firmware)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63)는 각종 데이터의 저장 공간을 제공한다. 저장부(163)는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또는 비일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부(163)는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저장부(163)는 애완 동물에 관한 영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63)는 제어부(162)에 의해 생성된 펫 메시지를 저장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저장부(163)는 상술한 펌웨어를 저장할 수도 있다.
한편,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완 동물용 놀이 기구(100)의 구성요소들은 기능 또는 동작에 따라 구별된 것에 불과하므로, 애완 동물용 놀이 기구(100)의 구성요소들은 다른 기준에 따라 구별될 수도 있다. 애완 동물용 놀이 기구(10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되지 않은 추가적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완 동물용 놀이 기구와 사용자 단말의 네트워크 연결을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완 동물용 놀이 기구와 사용자 단말이 통신하는 데이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완 동물용 놀이 기구(100)는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200)과 통신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네트워크를 통해서 정보 및/또는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임의의 컴퓨팅 디바이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200)은 데스크톱(desk top), 랩톱(lap top) 등과 같은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PC)일 수 있다. 또는, 사용자 단말(200)은 스마트폰(Smartphone),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태블릿 PC(Tablet PC), 웨어러블(wearable) 디바이스 등과 같은 휴대용 디바이스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 내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완 동물용 놀이 기구(100)의 원격 조작을 위한 애플리케이션(210)이 설치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공급자 서버 또는 애플리케이션 마켓(또는, 앱 스토어)으로부터 상기 애플리케이션(210)을 다운로드할 수 있다. 상기 애플리케이션(210)은 사용자로부터 원격 조작 명령을 수신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5에는 하나의 사용자 단말(200)만을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복수의 사용자 단말(200)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완 동물용 놀이 기구(100)에 접속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200)이 사용자로부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완 동물용 놀이 기구(100)의 카메라 모듈(121)의 조작 명령, 레이저 포인터 모듈(131)의 조작 명령 등을 포함하는 원격 조작 명령과 음성 메시지를 수신하고, 이를 상기 애완 동물용 놀이 기구(100)에 전송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완 동물용 놀이 기구(100)는 애완 동물에 관한 스냅샷, 동영상 등과 같은 영상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를 포함하는 펫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200)에 전송한다. 펫 메시지는 영상 및 음성 이외에 미리 정해진 임의의 유형의 텍스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펫 메시지는 애완 동물과 관련된 광고 컨텐츠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펫 메시지는 미리 정해진 주기(예를 들어, 하루 1회)에 따라 또는 애완 동물의 움직임(지능형 카메라 모듈(121) 또는 적외선 감지 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움직임)에 대응하여 전송될 수 있다. 펫 메시지는 사용자 단말(200) 상에 출력될 수 있고, 사용자는 이를 확인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펫 메시지는 소정의 SNS(Social Network Service)와 연동되어, 소정의 SNS에서 제공하는 웹 공간에 포스팅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애완 동물용 놀이 기구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애완 동물용 놀이 기구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애완 동물용 놀이 기구(100)와 중복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애완 동물용 놀이 기구(20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된 조작 명령에 따라 주행하는 무선 이동체(140)를 더 포함하고,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애완 동물용 놀이 기구(30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된 조작 명령에 따라 비행하는 무선 이동체(150)를 더 포함한다.
통신부(161)는 무선 이동체(140, 150)와 Bluetooth, ZigBee, PicoCast, WLAN 등과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통신할 수 있다. 통신부(161)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무선 이동체(140, 150)의 조작 명령을 수신하고, 이를 무선 이동체(140, 15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완 동물용 놀이 기구(200, 300)는 제3의 디바이스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스마트 허브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이동체(140, 150)는 레이저 포인터 모듈(131)이 탑재된 상단 하우징(130)의 상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레이저 포인터의 움직임 범위를 확장하기 위하여) 레이저 포인터 모듈(131)이 탑재된 상단 하우징(130)이 무선 이동체(140, 150)의 상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은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Random Access Memory), ROM, EPROM, EEPROM, 플래시 메모리,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상주할 수도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애완 동물용 놀이 기구
110: 하단 하우징
120: 중단 하우징
121: 카메라 모듈
122: 마이크
130: 상단 하우징
131: 레이저 포인터 모듈
132: 스피커
161: 통신부
162: 제어부
163: 저장부

Claims (10)

  1. 애완 동물에 관한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카메라 모듈;
    상기 애완 동물에 관한 음성 데이터를 획득하는 마이크;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조작 명령에 따라 레이저 포인터를 구동하는 레이저 포인터 모듈;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음성 메시지를 출력하는 스피커; 및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과 통신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조작 명령 및 상기 음성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기 애완 동물에 관한 상기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음성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펫 메시지를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애완 동물용 놀이 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모듈, 상기 마이크, 상기 레이저 포인터 모듈, 상기 스피커, 상기 통신부 중 적어도 하나가 탑재되는 둘 이상의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둘 이상의 하우징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애완 동물용 놀이 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모듈은 상기 애완 동물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상기 애완 동물에 관한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애완 동물용 놀이 기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포인터의 제1 움직임은 상기 카메라 모듈의 움직임에 상응하고, 상기 레이저 포인터의 제2 움직임은 상기 카메라 모듈의 움직임에 상응하지 않고, 상기 제1 움직임의 범위는 상기 제2 움직임의 범위보다 큰, 애완 동물용 놀이 기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모듈, 상기 마이크, 상기 레이저 포인터 모듈, 상기 스피커, 상기 통신부 중 적어도 하나가 탑재되는 하우징과,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조작 명령에 따라 주행하거나 비행하고, 상기 하우징과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무선 이동체를 더 포함하는, 애완 동물용 놀이 기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카메라 모듈이 탑재되는 제1 하우징과 상기 레이저 포인터 모듈이 탑재되는 제2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하우징은 상기 제2 하우징과 탈착 가능하게 결합 가능하고,
    상기 무선 이동체는 상기 제2 하우징과 탈착 가능하게 결합 가능한, 애완 동물용 놀이 기구.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와 상기 무선 이동체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통신하는, 애완 동물용 놀이 기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펫 메시지는 미리 정해진 주기에 따라 또는 상기 애완 동물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전송되는, 애완 동물용 놀이 기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펫 메시지는 SNS(Social Network Service)와 연동 가능한, 애완 동물용 놀이 기구.
  10. 애완 동물용 놀이 기구의 원격 조작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으로서, 사용자 단말과 결합되어,
    상기 애완 동물용 놀이 기구로부터 상기 애완 동물에 관한 영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펫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 상에 상기 펫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상기 애완 동물용 놀이 기구의 카메라 모듈의 조작 명령, 레이저 포인터의 조작 명령 및 음성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카메라 모듈의 조작 명령, 상기 레이저 포인터의 조작 명령 및 상기 음성 메시지를 상기 애완 동물용 놀이 기구에 전송하는 단계를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
KR1020150048924A 2015-04-07 2015-04-07 애완 동물용 놀이 기구 및 그 원격 조작을 위한 애플리케이션 KR2016012000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8924A KR20160120005A (ko) 2015-04-07 2015-04-07 애완 동물용 놀이 기구 및 그 원격 조작을 위한 애플리케이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8924A KR20160120005A (ko) 2015-04-07 2015-04-07 애완 동물용 놀이 기구 및 그 원격 조작을 위한 애플리케이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0005A true KR20160120005A (ko) 2016-10-17

Family

ID=572501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8924A KR20160120005A (ko) 2015-04-07 2015-04-07 애완 동물용 놀이 기구 및 그 원격 조작을 위한 애플리케이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20005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55282A (zh) * 2017-09-18 2017-12-12 尹美川 逗猫的方法和装置、家用电器
KR20200106778A (ko) * 2019-03-05 2020-09-15 김수경 애완동물용 놀이 장치
KR20210065566A (ko) * 2019-11-27 2021-06-04 주식회사 자이선 오토 레이저 일루미네이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05691A (ko) 2010-03-19 2011-09-27 안태욱 애완동물용 공놀이 기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05691A (ko) 2010-03-19 2011-09-27 안태욱 애완동물용 공놀이 기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55282A (zh) * 2017-09-18 2017-12-12 尹美川 逗猫的方法和装置、家用电器
KR20200106778A (ko) * 2019-03-05 2020-09-15 김수경 애완동물용 놀이 장치
KR20210065566A (ko) * 2019-11-27 2021-06-04 주식회사 자이선 오토 레이저 일루미네이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156319A1 (en) Autonomous media capturing
US20220337693A1 (en) Audio/Video Wearable Computer System with Integrated Projector
US9807983B2 (en) Device control method for estimating a state of an animal and for determining a control detail for an electronic device
ES2608565T3 (es) Método y un dispositivo para controlar una muñeca con una aplicación y operar la muñeca interactiva
WO2018043732A1 (ja) オブジェクト表示システム、ユーザ端末装置、オブジェクト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413043B1 (ko) 실시간 양방향 통신을 이용한 애완 동물 보호 시스템 및 방법
KR101762780B1 (ko) 반려 동물용 통신 장치
US10085423B2 (en) Remote interaction device with tracking of remote movement input
KR102009844B1 (ko) 표정 인식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치매환자 관리서비스 서버
KR101857245B1 (ko) 드론 레이싱 게임 시스템
JP2013220065A (ja) ペット誘導システ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ペット監視システム
KR20160120005A (ko) 애완 동물용 놀이 기구 및 그 원격 조작을 위한 애플리케이션
KR20150122303A (ko) 스마트 애완동물 원격 먹이공급 장치 및 이의 실감 제어 방법
KR102475999B1 (ko) 화상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06664785A (zh) 确定用于活动的适当照明的方法
CN105580750A (zh) 互动式宠物照护系统
CN112188296A (zh) 交互方法、装置、终端和电视机
US20150304540A1 (en) System allowing users to interact with animals, both real and simulated
CN106564059B (zh) 一种家庭机器人系统
JP2018047536A (ja) ロボット、故障診断システム、故障診断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90217216A1 (en) Toy building system and peripheral assemblage thereof
KR102501439B1 (ko) 반려동물 주인의 귀가 시간을 예측하기 위한 장치
KR20140112596A (ko)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대상객체 제어시스템
KR101553885B1 (ko) 반려동물의 자동먹이 공급장치
US2022004795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nteractive Communication Between an Object and a Smart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