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05691A - 애완동물용 공놀이 기구 - Google Patents

애완동물용 공놀이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05691A
KR20110105691A KR1020100054233A KR20100054233A KR20110105691A KR 20110105691 A KR20110105691 A KR 20110105691A KR 1020100054233 A KR1020100054233 A KR 1020100054233A KR 20100054233 A KR20100054233 A KR 20100054233A KR 20110105691 A KR20110105691 A KR 201101056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
discharge device
unit
snack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42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태욱
문혜정
Original Assignee
안태욱
문혜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태욱, 문혜정 filed Critical 안태욱
Priority to PCT/KR2011/001873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1115442A2/ko
Publication of KR201101056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56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5/00Devices for taming animals, e.g. nose-rings or hobbles; Devices for overturning animals in general; Training or exercising equipment; Covering boxes
    • A01K15/02Training or exercising equipment, e.g. mazes or labyrinths for animals ; Electric shock devices ; Toys specially adapted for animals
    • A01K15/025Toys specially adapted for animals

Abstract

본 발명은 애완동물용 공놀이 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공의 투입 및 투척을 위한 공입출구를 갖는 하우징; 하우징 내에 장착되며, 공입출구를 통해 투입된 공을 수용하는 실린더 형태의 공수용부; 공수용부의 내부 일측에 장착되어 공의 수용여부를 감지하는 감지센서; 공수용부에 수용된 공에 힘을 가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공배출장치; 공배출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및 감지센서에 의해 공의 수용이 감지되면 공배출장치를 작동시켜 공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컨트롤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애완동물이 혼자 놀 수 있도록 자동으로 공을 투척해 줌으로써, 놀이, 운동을 할 수 있고 우울증, 정서불안을 치료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시간을 절약하고 체력적인 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애완동물용 공놀이 기구{Automatic Ball Ejecting Machine for Pet}
본 발명은, 애완동물용 공놀이 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애완동물이 공을 투입하면 자동으로 공이 외부로 투척되도록 함으로써, 애완동물이 스스로 놀이와 운동으로 즐길 수 있도록 하는 애완동물용 공놀이 기구에 관한 것이다.
최근 핵가족화에 따른 가족 구성원 수의 감소로 인해, 형제자매가 없는 한 자녀 가정이나 노인 혼자인 가정이 늘고 있으며, 이혼, 결혼 연령이 높아짐에 따라 홀로 사는 젊은이들이 늘어나고 있다. 이에 따라, 외로움을 달래기 위해 애완동물을 키우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
애완동물을 키울 경우, 애완동물을 아기처럼 밥 주고 씻기고 놀아주어야 한다. 하지만, 애완동물의 주인도 자신의 공부, 집안일, 회사일 등 할 일이 있기 때문에 많은 시간을 애완동물에게만 할애할 수는 없는 노릇이다. 특히 애완동물에게도 오랜 시간 혼자 있음으로 해서 인간과 똑같이 우울증, 정서불안, 운동부족, 비만, 당료 등 각종 심신적 질병을 유발시키고 결국 버려지는 사회적 문제를 야기 시키는 원인이 되며 또한 애완동물과 놀아주기 위해서는 많은 시간이 소모되고 체력적인 소모도 만만치 않다. 이에 따라, 애완동물이 혼자 놀 수 있고 운동, 스트레스 해소 할 수 있는 기구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애완동물이 혼자 놀 수 있도록 자동으로 공을 투척해 줌으로써, 놀이, 운동을 할 수 있고 우울증, 정서불안을 치료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시간을 절약하고 체력적인 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는 애완동물용 공놀이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공의 투입 및 투척을 위한 공입출구를 갖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장착되며, 상기 공입출구를 통해 투입된 공을 수용하는 실린더 형태의 공수용부; 상기 공수용부의 내부 일측에 장착되어 공의 수용여부를 감지하는 감지센서; 상기 공수용부에 수용된 공에 힘을 가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공배출장치; 상기 공배출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및 상기 감지센서에 의해 공의 수용이 감지되면 상기 공배출장치를 작동시켜 상기 공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컨트롤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공놀이 기구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공배출장치는, 상기 공수용부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공이 안착되는 안착판; 상기 안착판의 일면에 상기 공수용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장착되어 상기 안착판을 지지하는 지지간; 및 상기 지지간에 동력을 제공하여 상기 안착판이 상기 공수용부 내부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하는 동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력부는, 상기 지지간에 연결된 기어와, 상기 기어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력부는, 상기 지지간에 연결된 압축실린더일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공배출장치에서 공을 투척하는 세기를 조절할 수 있으며,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는, 상기 전원부의 온/오프(on/off) 및 상기 공의 투척 세기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공의 투척 세기를 조절하는 투척세기버튼과 상기 전원부를 온/오프하는 전원버튼을 갖는 조작패널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동력부를 역방향 구동하여 상기 안착판을 상기 공수용부의 하부로 이동시킨 다음, 상기 동력부를 순방향 구동하여 상기 안착판을 상기 공수용부의 공입출구를 향해 이동시켜 공을 외부로 투척시킬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동력부를 순방향 구동하여 상기 안착판을 상기 공수용부의 상기 공입출구를 향해 이동시켜 공을 외부로 투척시킨 다음, 상기 동력부를 역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안착판을 본래 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은, 하우징; 애완동물이 픽업하여 전달한 공이 로딩되는 공로딩부를 구비하며, 상기 하우징에 마련되어 상기 공로딩부 상의 공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공배출장치; 상기 공로딩부 상에 상기 공이 로딩되었는 지의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센서; 및 상기 감지센서의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공배출장치의 동작을 컨트롤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공놀이 기구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감지센서는 상기 공로딩부에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공배출장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공로딩부와 연결되는 회전레버; 및 상기 공로딩부의 반대편에서 상기 회전레버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며, 상기 컨트롤러의 작용에 기초하여 상기 회전레버를 회전구동시키는 회전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구동부는, 상기 컨트롤러의 작용에 의해 구동 가능한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의 모터축에 연결되는 구동풀리; 상기 회전레버의 단부에 연결되는 피동풀리; 및 상기 구동 및 피동풀리를 연결하는 벨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배출장치는, 상기 회전구동부 영역에 마련되어 상기 회전레버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는 스토퍼;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결합되어 상기 공로딩부가 초기 위치로 배치되도록 상기 공로딩부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댐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각도 조정 가능하게 마련되어 주변 환경을 촬영하는 카메라; 상기 하우징에 마련되는 음성 전달용 스피커; 및 상기 컨트롤러에 의해 컨트롤되며, 상기 공배출장치와 연동하여 간식을 배출시키는 간식배출장치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간식배출장치는, 상기 간식이 수용되는 간식통; 상기 간식통의 일측 개구를 개폐하는 뚜껑; 및 상기 간식통으로부터의 간식을 상기 간식통의 배출구를 통해 배출시키는 간식배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배출장치는, 일측에 상기 공이 유입되는 공유입부가 형성되고, 타측에 상기 공이 배출되는 공배출부가 형성되는 관상의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 내에 마련되고 상기 컨트롤러의 작용에 기초하여 상기 본체부 내에 수용된 상기 공을 상기 공배출부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동력발생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배출장치는, 상기 본체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지지부; 및 상기 회전지지부와 연결되어 상기 회전지지부 상에서 상기 본체부의 각도를 가변시키는 각도가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애완동물용 공놀이 기구는, 애완동물이 공을 공입출구에 넣기만 하면 자동으로 공이 외부로 투척된다. 따라서 애완동물 혼자서도 놀이를 즐길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일일이 애완동물과 놀아주지 아니하여도 되므로 시간을 절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체력적 소모도 막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애완동물의 심리적, 육체적 건강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공의 크기 및 투척세기의 조절이 가능하므로 애완동물의 크기에 따라 또는 성질에 따라 공의 크기 및 투척세기를 조절하여 보다 효과적인 놀이가 가능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공놀이 기구의 부분 절취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애완동물용 공놀이 기구의 제어 블록도,
도 3의 (a) 내지 (c)는 공배출장치에서 공을 배출하는 과정을 도시한 공수용부 영역의 단면도,
도 4의 (a) 내지 (c)는 도 3에 대한 변형예,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공놀이 기구의 작동과정을 보인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공놀이 기구의 개략적인 구조도,
도 7은 도 6에 적용된 공배출장치의 동작 구조도,
도 8은 도 6의 애완동물용 공놀이 기구의 제어 블록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공놀이 기구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막 및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직각으로 도시된 식각 영역은 라운드지거나 소정 곡률을 가지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소자의 영역의 특정 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예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래의 특정 실시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 별 이유 없이 혼돈이 오는 것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제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공놀이 기구의 부분 절취 사시도이다.
본 애완동물용 공놀이 기구(1)는, 애완동물이 공을 공입출구(15)에 투입하면 자동으로 공이 외부로 투척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본 애완동물용 공놀이 기구(1)는, 하우징(10), 공수용부(20), 감지센서(25), 공배출장치(30), 전원부(60), 컨트롤러(70), 표시부(80), 조작패널(90)을 포함한다.
하우징(10)은,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하우징(10)의 일면에는 공의 투입 및 투척을 위한 공입출구(15)가 형성되어 있다. 공입출구(15)는 하나로 형성될 수도 있고, 공이 투입되는 투입구와 공이 외부로 투척되는 투척구를 별도로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하우징(10)의 일면을 경사면으로 구성함으로써, 본 애완동물용 공놀이 기구(1)가 안착된 장소의 바닥면과 하우징(10)의 경사면이 턱이 없이 연결되도록 한다. 따라서 애완동물이 방이나 거실 등의 바닥면으로부터 하우징(10)의 경사면을 따라 공을 이동시킨 다음, 용이하게 공입출구(15)에 공을 넣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공입출구(15)를 하나로 형성한다.
하우징(10)내에는 공입출구(15)와 연통하는 실린더 형상의 공수용부(20)가 설치되어 있다. 공수용부(20)의 직경은 공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며, 다양한 사이즈의 공을 사용할 수 있도록 비교적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한다. 공수용부(20)는 공의 투척시 공이 충분한 힘을 받아 날아갈 수 있을만한 깊이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공수용부(20)의 깊이는 공배출장치(30)의 동력세기에 따라 변경가능하다.
감지센서(25)는, 공수용부(20)의 내부 일측에 장착되며, 공의 투입 및 투척시 공에 직접 닿지 않도록 공수용부(20)의 일측에 창을 마련하고, 감지센서(25)를 창에 장착하여 공을 감지하도록 한다. 감지센서(25)에서 감지된 공의 수용여부에 대한 정보는 컨트롤러(70)로 제공된다.
공배출장치(30)는 공수용부(20)의 외부에 장착되어 공수용부(20)에 수용된 공을 외부로 투척한다. 공배출장치(30)는, 공수용부(20)의 공입출구(15)에 대향되도록 공수용부(20)의 내측 하단에 배치되어 공수용부(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안착판(35)과, 안착판(35)의 외부에 공수용부(2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결된 지지간(40)과, 지지간(40)에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부(50)를 포함한다.
여기서, 안착판(35)에는 공수용부(20)에 수용되는 공이 안착되며, 안착판(35)은 공수용부(20)의 내경과 동일한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경보다 약간 작게 형성되어 공수용부(20)내에서 원활하게 이동 가능하도록 한다.
지지간(40)은 안착판(35)의 하부에서 안착판(35)의 중앙영역에 연결되며, 타단은 동력부(50)에 연결되어 안착판(35)과 일체로 이동하게 된다.
동력부(50)는, 지지간(40)이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동력을 전달하며, 지지간(40)을 이동시킬 수 있는 동력을 전달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동력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그 중 두 가지 종류의 동력장치를 실시예로 든다.
1) 모터와 기어로 구성되는 동력부
제1실시예에서는 동력부(50)로 모터와 기어를 포함한다. 모터에 의해 의한 회전력을 기어에서 조절하여 지지간(40)에 전달함으로써, 지지간(40)을 이동시키도록 한다.
이러한 구성의 동력부(50)는 모터 또는 기어를 이용하여 공의 투척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전력을 조절할 수 있는 스텝모터를 채용할 경우, 안착판(35)의 이동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기어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기어를 조절하여 안착판(35)의 이동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렇게 안착판(35)의 이동속도를 조절하여, 공이 외부로 투척되는 투척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
2) 압축실린더로 구성되는 동력부
제2실시예에서는 동력부(50)를 압축실린더로 구성한다. 압축실린더의 일종인 공압 실린더나 유압 실린더를 이용하여 지지간(40)을 이동시키도록 한다. 이때, 공압 실린더나 유압 실린더의 공압 또는 유압을 유입하는 속도를 조절함으로써, 안착판(35)의 이동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전원부(60)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공배출장치(30)의 동력부(50), 컨트롤러(70), 표시부(80), 조작패널(90)에 전원을 공급한다.
조작패널(90)은 하우징(10)의 외부 일측에 장착되며, 공의 투척 세기를 조절하는 투척세기버튼과, 전원부(60)를 온/오프(on/off)하는 전원버튼이 각각 마련되어 있다.
표시부(80)에는 전원부(60)의 온/오프를 표시하는 전원램프와, 공의 투척세기를 표시하는 투척세기 램프가 각각 마련되어 있다.
도 2는 도 1의 애완동물용 공놀이 기구의 제어 블록도이다.
컨트롤러(70)는 조작패널(90)의 조작에 의해 전원이 턴온되거나 투척세기가 조절되면 표시부(80)에 마련된 전원램프와 투척세기 램프를 턴온시킨다. 그리고 조작패널(90)에 의해 전원이 턴온되면 전원부(60)에 전원이 공급된다.
컨트롤러(70)는 감지센서(25)에 의해 공의 수용이 감지되면, 공배출장치(30)의 동력부(50)를 작동시켜 공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컨트롤한다. 이때, 컨트롤러(7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투척세기에 따라 동력부(50)의 모터 회전력, 기어, 또는 압축 실린더의 동작을 컨트롤함으로써, 사용자가 선택한 투척세기로 공이 투척되도록 한다.
도 3의 (a) 내지 (c)는 공배출장치에서 공을 배출하는 과정을 도시한 공수용부 영역의 단면도이다.
공이 공수용부(20)내로 투입되기 전, 안착판(35)은 공수용부(20)내의 기준위치에 위치하고, 이때, 안착판(35)에서 공입출구(15)까지의 거리를 X1 이라 한다. 이 상태에서 공이 공수용부(20)내로 투입되면, 동력부(50)는 역방향 구동하여 안착판(35)을 Δd만큼 공수용부(20)의 하부를 향해 이동시킨다. 그런 다음, 동력부(50)는 순방향 구동하여 안착판(35)을 다시 공입출구(15)를 향해 Δd만큼 이동시킨 다음 정지한다. 그러면, 안착판(35)의 정지에 대한 반작용으로 공이 공입출구(15)를 통해 외부로 투척된다. 이때, X1과 X2의 거리 Δd는 안착판(35)의 정지 시 공이 공입출구(15)를 통해 투척되기에 충분한 속도를 내기 위한 길이로 정해진다.
이렇게 안착판(35)을 공수용부(20)의 하부로 이동시킨 다음, 다시 공입출구(15)를 향해 이동시키는 경우, 공이 외부로 투척된 후, 안착판(35)이 공수용부(20)의 기준위치로 복귀하므로, 안착판(35)을 기준위치에 되돌리는 동작이 불필요하다.
도 4의 (a) 내지 (c)는 도 3에 대한 변형예이다.
공이 공수용부(20)내로 투입되기 전, 안착판(35)은 공수용부(20)의 가장 하단에 위치하고, 이때, 공수용부(20)의 길이를 X1 이라 한다. 이 상태에서 공이 공수용부(20)내로 투입되면, 동력부(50)는 순방향 구동하여 안착판(35)을 공수용부(20)내에서 공입출구(15)를 향해 이동시킨다. 이때, 안착판(35)은 공입출구(15)에서 안착판(35)까지의 거리가 X3가 되는 위치까지 이동하면, 동력부(50)는 정지한다. 그러면, 안착판(35)의 정지에 대한 반작용으로 공이 공입출구(15)를 통해 외부로 투척된다. 이때, X1과 X3의 거리 Δd는 안착판(35)의 정지 시 공이 공입출구(15)를 통해 투척되기에 충분한 속도를 내기 위한 길이로 정해진다.
이렇게 안착판(35)을 기준위치로부터 공입출구(15)를 향해 이동시켜 공을 투척하는 경우, 공이 투척된 다음, 안착판(35)을 다시 기준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동력부(50)가 역방향 구동되어야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공놀이 기구의 작동과정을 보인 흐름도이다.
먼저, 사용자는 전원버튼을 턴온시키고(S510), 원하는 투척세기를 투척세기버튼을 이용하여 세팅한다(S520). 그런 다음, 애완동물이 공을 공입출구(15)를 통해 공수용부(20)내에 투입한다.
공이 공수용부(20)내에 수용되면, 감지센서(25)는 감지센서(25)에서 공의 투입을 감지하고(S530-Y), 공수용부(20)내에 공이 투입되었음을 컨트롤러(70)로 전달한다. 컨트롤러(70)에서는 동력부(50)를 동작시키며, 이때, 사용자가 미리 선택한 투척세기에 따라 동력부(50)의 모터의 회전력 또는 기어의 동작, 또는 압축실린더의 동작속도를 컨트롤한다.
먼저, 컨트롤러(70)는 동력부(50)를 역방향으로 구동시켜 안착판(35)이 Δd만큼 하부로 이동되도록 한다(S540, S550). 그런 다음, 동력부(50)를 정지 시킨 다음(S560), 동력부(50)를 순방향으로 구동시켜 안착판(35)이 다시 기준위치로 이동되도록 한다(S570). 이에 따라, 안착판(35)이 Δd만큼 이동하여 기준위치에 도달하면(S580), 공수용부(20)내의 공은 외부로 투척되고, 컨트롤러(70)는 동력부(50)를 정지 시킨다(S590).
이와 같이, 본 애완동물용 공놀이 기구(1)는, 애완동물이 공을 공입출구(15)에 넣기만 하면, 자동으로 공이 외부로 투척된다. 따라서 애완동물 혼자서도 놀이를 즐길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일일이 애완동물과 놀아주지 아니하여도 되므로 시간을 절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체력적 소모도 막을 수 있다.
제2 실시예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공놀이 기구의 개략적인 구조도, 도 7은 도 6에 적용된 공배출장치의 동작 구조도, 그리고 도 8은 도 6의 애완동물용 공놀이 기구의 제어 블록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애완동물용 공놀이 기구(1a)는, 하우징(110), 공배출장치(130), 감지센서(125) 및 컨트롤러(170)를 구비한다.
하우징(110)은 본 실시예의 본 실시예의 애완동물용 공놀이 기구(1a)의 외관을 형성한다. 도 6에는 하우징(110)이 과장되게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하우징(110)의 구조와 형태는 도 6을 벗어나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특히, 하우징(110)에는 공배출장치(130)가 결합되기 때문에 공배출장치(130)의 크기와 구조 등을 고려하여 하우징(110)의 크기와 구조가 결정될 수 있다. 예컨대, 하우징(110)의 크기가 큰 경우에는 애완동물이 하우징(110)의 상면으로 직접 올라가서 공을 가져다 놓을 수도 있을 것이고, 하우징(110)의 크기가 작은 경우에는 하우징(110)의 옆에서 공을 하우징(110)의 상부로 올려놓을 수 있을 것이다. 다만, 하우징(110)의 높이와 상면 구조는 애완동물이 올라가거나 혹은 공을 올려다 놓는데 있어 불편하지 않을 정도면 그것으로 충분하다. 하우징(110)의 외표면에는 애완동물에 호기심을 유발시킬 수 있는 다양한 패턴들이 인쇄되거나 테이프 형태로 부착될 수 있다.
공배출장치(130)는 애완동물이 픽업하여 전달한 공이 로딩되는 공로딩부(131)를 구비하며, 하우징(110)에 마련되어 공로딩부(131) 상의 공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전술한 제1 실시예의 공배출장치(30)와는 다른 형태와 구조를 갖는다. 실제,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공을 배출한다는 개념보다는 공을 투척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위의 실시예와의 관계를 고려하여 공배출장치(130)라 명명한다.
이러한 공배출장치(130)는, 베이스 플레이트(132)와, 공로딩부(131)와 연결되는 회전레버(133)와, 공로딩부(131)의 반대편에서 회전레버(133)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며 컨트롤러(170)의 작용에 기초하여 회전레버(133)를 회전구동시키는 회전구동부(134)를 구비한다.
베이스 플레이트(132)는 공배출장치(130)의 저면을 이룬다. 하우징(110)과의 결합을 위해 베이스 플레이트(132)에는 결합 요소들, 예컨대 볼트공이나 후크 등이 마련될 수 있다. 만약, 공배출장치(130)가 하우징(110)과 한 몸체를 이룰 경우라면 베이스 플레이트(132)는 별도로 마련되는 구성이 아닌 하우징(110)의 저면 그 자체일 수 있다.
공로딩부(131)는 공이 올려지는 부분이다. 동그란 공이 쉽게 올려지고 또한 공이 굴러 내려가지 않도록 공로딩부(131)는 도시된 것처럼 상면이 약간 오목한 형태로 제작되는 편이 바람직하다. 또한 사람과 달리 애완동물이 공로딩부(131) 상에 공을 정확하게 올려놓기가 어렵다는 것을 감안할 때, 공로딩부(131)는 하우징(110)의 상면과 연계되어 쉽게 공이 올려질 수 있는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6처럼 하우징(110)의 상면이 공로딩부(131)를 향해 완만한 경사면(110a)을 갖도록 하고, 공로딩부(131)의 일측에 수직벽(110b)을 형성하도록 하면, 애완동물이 공로딩부(131)의 상면으로 직접 공을 가져다 놓지 않더라도 즉 하우징(110)의 상면에 공을 올려놓기만 하면 공이 굴러 내려가서 공로딩부(131) 상에 안착되어 로딩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물론,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반드시 그러할 필요는 없다.
회전레버(133)는 공로딩부(131)와 회전구동부(134)를 잇는 막대 구조이며, 회전구동부(134)의 동작에 의해 도 7의 점선처럼 회전하면서 공로딩부(131) 상에 올려져 로딩된 공을 회전시켜 투척시키는 역할을 한다.
회전구동부(134)는, 컨트롤러(170)의 작용에 의해 구동 가능한 구동모터(134a)와, 구동모터(134a)의 모터축에 연결되는 구동풀리(134b)와, 회전레버(133)의 단부에 연결되는 피동풀리(134c)와, 구동 및 피동풀리(134b,134c)를 연결하는 벨트(134d)를 구비한다. 이에, 컨트롤러(170)의 작용에 기초하여 구동모터(134a)가 동작되면, 구동모터(134a)로부터의 동력이 구동풀리(134b), 벨트(134d) 및 피동풀리(134c)로 전달되면서 결과적으로 회전레버(133)를 도 7의 실선에서 점선 방향으로 빠르게 회전시킴으로써 공로딩부(131) 상에 안착되어 로딩된 공은 멀리 날아갈 수 있다.
이때, 구동모터(134a)의 회전각도는 제어가 가능하지만 정밀한 제어를 위해서는 값비싼 서보모터나 스태핑모터를 사용해야 한다는 점을 고려할 때, 본 실시예처럼 공배출장치(130)에 스토퍼(135)와 댐퍼(136)를 마련하는 것을 고려해볼 수도 있다.
스토퍼(135)는 회전구동부(134) 영역에 마련되어 회전레버(133)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는 역할을 하고, 댐퍼(136)는 베이스 플레이트(132)에 결합되어 공로딩부(131)가 초기 위치로 배치되도록 공로딩부(131)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처럼 스토퍼(135)와 댐퍼(136)가 마련되면, 비교적 정밀하거나 값비싼 모터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회전레버(133)의 최대 회전 각도는 스토퍼(135)에 의해, 그리고 회전레버(133)의 최기 위치로의 복귀는 댐퍼(136)에 의해 기계적으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감지센서(125)는 공로딩부(131) 상에 공이 로딩되었는 지의 여부를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하우징(110) 측에 마련되어도 무방하지만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공로딩부(131)에 감지센서(125)를 마련하고 있다. 감지센서(125)는 중량을 감지하는 로드셀일 수 있다.
한편, 이러한 구성들 외에 본 실시예의 애완동물용 공놀이 기구(1a)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140), 음성 전달용 스피커(150) 및 간식배출장치(160)가 더 마련될 수 있다. 물론, 카메라(140), 음성 전달용 스피커(150) 및 간식배출장치(160)가 전부 마련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이들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두 개 이상이 마련될 수 있다.
카메라(140)는 하우징(110)의 일측에 각도 조정 가능하게 마련되어 주변 환경을 촬영하는 역할을 한다. 내장형 메모리만을 가지고 있는 경우라면 녹화된 것을 컴퓨터 등을 통해 볼 수 있지만, 만약 핸드폰, PDA 등의 이동단말기와의 영상 송수신이 가능한 기능을 가지고 있다면 외부에서 이동단말기의 화면을 통해 애완동물이 노는 과정을 지켜볼 수 있어 보다 효과적일 수 있다. 카메라(140)의 영상을 이동단말기나 혹은 컴퓨터의 모니터 등으로 전송하는 기술은 예컨대, CCTV 등에 적용된 기술이므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음성 전달용 스피커(150)는 하우징(110)에 마련되는 것으로서 예컨대, 애완동물의 이름을 불러주거나 공놀이를 지시하는 내용이 주기적으로 나오도록 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음성 전달용 스피커(150)를 적용함에 있어 기계적인 음성보다는 주인의 음성을 직접 녹음시켜 전달할 수 있는 스피커(150)가 적용된다면 애완동물에게 보다 친근하게 다가설 수 있을 것이다.
간식배출장치(160)는 컨트롤러(170)에 의해 컨트롤되며, 공배출장치(130)와 연동하여 간식을 배출시키는 구성이다. 즉 공놀이를 성공했을 경우, 포상의 의미로서 간식이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훈련과 놀이를 겸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간식배출장치(160)는 간식이 수용되는 간식통(161)과, 간식통(161)의 일측 개구를 개폐하는 뚜껑(162)과, 간식통(161)으로부터의 간식을 간식통(161)의 배출구를 통해 배출시키는 간식배출부(163)를 구비할 수 있다. 도면에는 간식배출부(163)가 극히 개념적으로만 도시되어 있으나 간식배출부(163)는 실린더 등의 장치를 이용하여 컨트롤러(170)의 신호에 기초하여 간식을 배출시킬 수 있는 구조일 수 있고, 아니면 사료자동배출장치 등의 구조를 일부 도용할 수도 있다.
한편, 컨트롤러(170)는, 전술한 감지센서(125)의 신호에 기초하여 공배출장치(130) 및 간식배출장치(160)의 동작을 컨트롤한다.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는 컨트롤러(170)에 대해 간략하게 부연 설명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트롤러(170)는 중앙처리장치(171, CPU), 메모리(172, MEMORY), 서포트 회로(173, SUPPORT CIRCUIT)를 포함한다. CPU(171)는 본 실시예의 애완동물용 공놀이 기구(1a)를 제어하기 위해서 산업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컴퓨터 프로세서들 중 하나일 수 있다. 메모리(172, MEMORY)는 CPU(171)와 동작으로 연결된다. 메모리(172)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서 로컬 또는 원격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램덤 엑세스 메모리(RAM), ROM,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또는 임의의 디지털 저장 형태와 같이 쉽게 이용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모리이다. 서포트 회로(173, SUPPORT CIRCUIT)는 CPU(171)와 작용적으로 결합되어 프로세서의 전형적인 동작을 지원한다. 이러한 서포트 회로(173)는 캐쉬, 파워 서플라이, 클록 회로, 입/출력 회로, 서브시스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애완동물용 공놀이 기구(1a)의 전반적인 프로세스 즉 애완동물이 공을 가져다 놓으면 그 상태를 감지하여 공을 멀리 투척시키고, 더하여 포상의 의미로서 간식을 배출시키는 프로세스 등이 메모리(172)에 저장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는 소프트웨어 루틴이 메모리(172)에 저장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루틴은 또한 다른 CPU(미도시)에 의해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 있으며, 그러한 다른 CPU(미도시)는 테스트 핸들러와는 거리적으로 이격된 곳에 위치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스는 소프트웨어 루틴에 의해 실행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프로세스들 중 적어도 일부는 하드웨어에 의해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처럼, 본 발명의 프로세스들은 컴퓨터 시스템 상에서 수행되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또는 집적 회로와 같은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또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조합에 의해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애완동물용 공놀이 기구(1a)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애완동물이 공을 물어 하우징(110)의 상면에 올려놓으면 하우징(110)의 상면 구조로 인해 공은 굴러내려 공로딩부(131) 상에 로딩될 수 있다. 물론, 교육이 잘된 애완동물인 경우에는 공을 공로딩부(131) 상에 바로 올릴 수 있다.
공이 공로딩부(131) 상에 올려지면 감지센서(125)가 이를 감지하게 되고, 이의 신호는 컨트롤러(170)로 전해져 컨트롤러(170)가 공배출장치(130)를 동작시킨다. 즉 컨트롤러(170)의 작용에 기초하여 구동모터(134a)가 동작되면, 구동모터(134a)로부터의 동력이 구동풀리(134b), 벨트(134d) 및 피동풀리(134c)로 전달되면서 결과적으로 회전레버(133)를 도 7의 실선에서 점선 방향으로 빠르게 회전시킴으로써 공로딩부(131) 상에 안착되어 로딩된 공은 멀리 날아갈 수 있다.
그러면 애완동물이 공이 날아간 지점으로 달려가 공을 물어 다시 원위치시키게 되고, 이와 동시에 포상의 효과로서 컨트롤러(170)가 간식배출장치(160)를 동작시켜 간식이 배출되도록 한다. 이러한 과정은 모두 카메라(140)에 의해 촬영되어 필요 시 주인의 이동단말기로 전송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와 동작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애완동물이 혼자 놀 수 있도록 자동으로 공을 투척해 줌으로써, 놀이, 운동을 할 수 있고 우울증, 정서불안을 치료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시간을 절약하고 체력적인 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기에 충분하다.
제3 실시예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공놀이 기구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애완동물용 공놀이 기구(1b)는, 하우징(210)과 공배출장치(230)의 구조가 전술한 제2 실시예와 다르게 마련될 뿐 나머지 구성과 그의 작용들은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다.
즉 본 실시예에서 공배출장치(230)는 하우징(210)의 상부로 노출된 노출형으로 마련된다. 이러한 공배출장치(230)는 일측에 공이 유입되는 공유입부(231a)가 형성되고 타측에 공이 배출되는 공배출부(231b)가 형성되는 관상의 본체부(231)와, 본체부(231) 내에 마련되고 제2 실시예에서 설명한 컨트롤러(170, 도 8 참조)의 작용에 기초하여 본체부(231) 내에 수용된 공을 공배출부(231b)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동력발생부(232)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 본체부(231)는 예컨대 대포와 같이 대략 관상체로 마련될 수 있다. 공배출부(231b)는 본체부(231)의 직경과 동일하게 형성되나 공유입부(231a)는 가급적 공배출부(231b)보다는 큰 사이즈로 마련되는 편이 바람직하다. 그래야만 애완동물이 공을 본체부(231) 내로 유입시키는 데에 스트레스를 받지 않을 것이다.
동력발생부(232)에 대해서는 극히 개략적으로 또한 개념적으로 도시하였으나 제1 실시예에서 설명된 것을 도용하거나 아니면 실린더 장치 등으로 적용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 외에 본 실시예의 공배출장치(230)는 본체부(231)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지지부(233)와, 회전지지부(233)와 연결되어 회전지지부(233) 상에서 본체부(231)의 각도를 가변시키는 각도가변부(234)를 더 구비하고 있다. 이처럼 각도가변부(234)에 의해 회전지지부(233) 상에서 본체부(231)의 각도가 가면될 경우, 공의 투척 위치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훈련과 운동의 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을 것이다.
본 실시예의 구조가 적용되더라도 애완동물이 혼자 놀 수 있도록 자동으로 공을 투척해 줌으로써, 놀이, 운동을 할 수 있고 우울증, 정서불안을 치료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시간을 절약하고 체력적인 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기에 충분하다.
이상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위의 설명에 제한될 수는 없다.
예컨대, 제1 및 제3 실시예의 경우에도 제2 실시예에서 설명한 카메라, 스피커, 간식배출장치 등이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 : 애완동물용 공놀이 기구 10 : 하우징
15 : 공입출구 20 : 공수용부
25 : 감지센서 30 : 공배출장치
35 : 안착판 40 : 지지간
50 : 동력부 60 : 전원부
70 : 컨트롤러 80 : 표시부
90 : 조작패널

Claims (15)

  1. 공의 투입 및 투척을 위한 공입출구를 갖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장착되며, 상기 공입출구를 통해 투입된 공을 수용하는 실린더 형태의 공수용부;
    상기 공수용부의 내부 일측에 장착되어 공의 수용여부를 감지하는 감지센서;
    상기 공수용부에 수용된 공에 힘을 가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공배출장치;
    상기 공배출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및
    상기 감지센서에 의해 공의 수용이 감지되면 상기 공배출장치를 작동시켜 상기 공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컨트롤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공놀이 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배출장치는,
    상기 공수용부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공이 안착되는 안착판;
    상기 안착판의 일면에 상기 공수용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장착되어 상기 안착판을 지지하는 지지간; 및
    상기 지지간에 동력을 제공하여 상기 안착판이 상기 공수용부 내부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하는 동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공놀이 기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부는, 상기 지지간에 연결된 기어와, 상기 기어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공놀이 기구.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부는, 상기 지지간에 연결된 압축실린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공놀이 기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공배출장치에서 공을 투척하는 세기를 조절하며;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는, 상기 전원부의 온/오프(on/off) 및 상기 공의 투척 세기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공의 투척 세기를 조절하는 투척세기버튼과 상기 전원부를 온/오프하는 전원버튼을 갖는 조작패널이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공놀이 기구.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동력부를 역방향 구동하여 상기 안착판을 상기 공수용부의 하부로 이동시킨 다음, 상기 동력부를 순방향 구동하여 상기 안착판을 상기 공수용부의 공입출구를 향해 이동시켜 공을 외부로 투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공놀이 기구.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동력부를 순방향 구동하여 상기 안착판을 상기 공수용부의 상기 공입출구를 향해 이동시켜 공을 외부로 투척시킨 다음, 상기 동력부를 역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안착판을 본래 위치로 복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공놀이 기구.
  8. 하우징;
    애완동물이 픽업하여 전달한 공이 로딩되는 공로딩부를 구비하며, 상기 하우징에 마련되어 상기 공로딩부 상의 공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공배출장치;
    상기 공로딩부 상에 상기 공이 로딩되었는 지의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센서; 및
    상기 감지센서의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공배출장치의 동작을 컨트롤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공놀이 기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센서는 상기 공로딩부에 마련되며,
    상기 공배출장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공로딩부와 연결되는 회전레버; 및
    상기 공로딩부의 반대편에서 상기 회전레버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며, 상기 컨트롤러의 작용에 기초하여 상기 회전레버를 회전구동시키는 회전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공놀이 기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구동부는,
    상기 컨트롤러의 작용에 의해 구동 가능한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의 모터축에 연결되는 구동풀리;
    상기 회전레버의 단부에 연결되는 피동풀리; 및
    상기 구동 및 피동풀리를 연결하는 벨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공놀이 기구.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공배출장치는,
    상기 회전구동부 영역에 마련되어 상기 회전레버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는 스토퍼;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결합되어 상기 공로딩부가 초기 위치로 배치되도록 상기 공로딩부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댐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공놀이 기구.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각도 조정 가능하게 마련되어 주변 환경을 촬영하는 카메라;
    상기 하우징에 마련되는 음성 전달용 스피커; 및
    상기 컨트롤러에 의해 컨트롤되며, 상기 공배출장치와 연동하여 간식을 배출시키는 간식배출장치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공놀이 기구.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간식배출장치는,
    상기 간식이 수용되는 간식통;
    상기 간식통의 일측 개구를 개폐하는 뚜껑; 및
    상기 간식통으로부터의 간식을 상기 간식통의 배출구를 통해 배출시키는 간식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공놀이 기구.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공배출장치는,
    일측에 상기 공이 유입되는 공유입부가 형성되고, 타측에 상기 공이 배출되는 공배출부가 형성되는 관상의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 내에 마련되고 상기 컨트롤러의 작용에 기초하여 상기 본체부 내에 수용된 상기 공을 상기 공배출부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동력발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공놀이 기구.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공배출장치는,
    상기 본체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지지부; 및
    상기 회전지지부와 연결되어 상기 회전지지부 상에서 상기 본체부의 각도를 가변시키는 각도가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공놀이 기구.
KR1020100054233A 2010-03-19 2010-06-09 애완동물용 공놀이 기구 KR2011010569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1/001873 WO2011115442A2 (ko) 2010-03-19 2011-03-18 애완동물용 공놀이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24788 2010-03-19
KR1020100024788 2010-03-1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5691A true KR20110105691A (ko) 2011-09-27

Family

ID=449559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4233A KR20110105691A (ko) 2010-03-19 2010-06-09 애완동물용 공놀이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05691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34262A1 (en) * 2012-03-05 2013-09-12 Hamill Partners Llc Pet exercise and entertainment device
WO2015069037A1 (ko) * 2013-11-08 2015-05-14 주식회사 볼레디 반려동물용 스마트 팻 케어 시스템
KR20160120005A (ko) 2015-04-07 2016-10-17 고명아 애완 동물용 놀이 기구 및 그 원격 조작을 위한 애플리케이션
US10117419B2 (en) 2012-03-05 2018-11-06 Ifetch, Llc Pet exercise and entertainment device
KR20200126150A (ko) * 2019-04-29 2020-11-06 숙명여자대학교산학협력단 카메라가 결합된 애완동물용 간식 공급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애완동물의 사진 촬영방법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34262A1 (en) * 2012-03-05 2013-09-12 Hamill Partners Llc Pet exercise and entertainment device
CN104270941A (zh) * 2012-03-05 2015-01-07 爱拋接有限责任公司 宠物锻炼和娱乐设备
JP2015512625A (ja) * 2012-03-05 2015-04-30 アイフェッチ,エルエルシー ペット・エクササイズ・エンターテイメント・デバイス
US9345946B2 (en) 2012-03-05 2016-05-24 Ifetch, Llc Pet exercise and entertainment device
US10117419B2 (en) 2012-03-05 2018-11-06 Ifetch, Llc Pet exercise and entertainment device
US11490595B2 (en) 2012-03-05 2022-11-08 Ifetch, Llc Pet exercise and entertainment device
WO2015069037A1 (ko) * 2013-11-08 2015-05-14 주식회사 볼레디 반려동물용 스마트 팻 케어 시스템
KR20160120005A (ko) 2015-04-07 2016-10-17 고명아 애완 동물용 놀이 기구 및 그 원격 조작을 위한 애플리케이션
KR20200126150A (ko) * 2019-04-29 2020-11-06 숙명여자대학교산학협력단 카메라가 결합된 애완동물용 간식 공급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애완동물의 사진 촬영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27393A (ko) 애완동물용 공놀이 기구
USRE49696E1 (en) Internet canine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KR20110105691A (ko) 애완동물용 공놀이 기구
US10542730B2 (en) Animal training system
CN104270941B (zh) 宠物锻炼和娱乐设备及方法
US20230240264A1 (en) Pet exercise and entertainment device
US10582698B2 (en) Pet trainer and exercise apparatus
WO2011115442A2 (ko) 애완동물용 공놀이 기구
US20110018994A1 (en) Wirless controlled pet toy dispenser with camera
JP2016512422A (ja) 動物インタラクションデバイス、システム、及び方法
JP2007289390A (ja) 遊技機
US20200260687A1 (en) Animal feeding robot which discharges feed by gravity
KR20170107477A (ko) 반려동물용 공놀이 기구
KR20210092662A (ko) 소 목걸이틀을 이용한 소 먹이량 관리 방법 및 관리 시스템
KR102188121B1 (ko) 반려동물 놀이장치
KR102164602B1 (ko) 스마트 급식기
CN101327372B (zh) 娱乐健身机
CN201079678Y (zh) 娱乐健身机
KR102466496B1 (ko) 먹이보상이 가능한 반려동물용 운동장치
JP2006006412A5 (ko)
KR20230073524A (ko) 스마트 케이지
KR20210156967A (ko) 먹이보상이 가능한 반려동물용 운동장치
JP2017079853A (ja) 遊技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