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8611B1 - 애완동물용 놀이기구 - Google Patents

애완동물용 놀이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8611B1
KR100538611B1 KR10-2003-0081584A KR20030081584A KR100538611B1 KR 100538611 B1 KR100538611 B1 KR 100538611B1 KR 20030081584 A KR20030081584 A KR 20030081584A KR 100538611 B1 KR100538611 B1 KR 1005386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
pet
food
chute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15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47790A (ko
Inventor
김광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토기장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토기장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토기장이
Priority to KR10-2003-00815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8611B1/ko
Publication of KR200500477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77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86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861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5/00Devices for taming animals, e.g. nose-rings or hobbles; Devices for overturning animals in general; Training or exercising equipment; Covering boxes
    • A01K15/02Training or exercising equipment, e.g. mazes or labyrinths for animals ; Electric shock devices ; Toys specially adapted for animals

Abstract

본 발명은 애완동물용 놀이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본체의 상부에 소프트한 볼을 투입하는 투입구와 측면부를 구비하고, 테두리에 단턱부를 형성하여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뚜껑체와; 상기 뚜껑체가 안착되는 단턱부를 상부에 형성하며 투입된 볼을 배출시키는 배출구를 구비하며, 일측면으로는 상단에 먹이통이 형성되고, 그 하단에는 먹이통으로부터 먹이의 토출이 용이하도록 하는 안내판이 구비되어 이루어진 케이스와; 상기 투입구와 배출구를 연결하는 연결파이프부재와; 상기 연결파이프의 소정부위에는 볼의 투입여부를 검출하는 볼 검출수단과; 상기 볼 검출수단의 검출신호에 의해 작동되는 정역회전 모터에는 개폐도어가 축설되어 이루어진 먹이개폐수단과;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의 회전축에는 제1풀리와 제1로울러가 축설되고,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회전봉에는 제2풀리와 제2로울러가 설치되며 제1 및 제2풀리는 밸트에 의해 연결 구성되어 이루어진 볼 슈트수단과; 상기 볼 검출수단의 검출신호에 의해 먹이개폐수단과 볼 슈트수단을 제어하도록 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서 애완동물이 볼을 물어다 투입구에 투입하면 슈트장치에 의해 볼이 슈트됨에 따라 먹이통의 먹이를 먹을 수 있도록 하여 반복적인 운동학습 효과와 공놀이에 의한 다이어트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 애완동물용 놀이기구이다.

Description

애완동물용 놀이기구{Plaything for a pet}
본 발명은 애완동물용 놀이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소프트한 볼을 애완동물이 물어다 투입구에 투입하면 슈트장치에 의해 볼이 슈트된 이후 먹이통의 먹이를 먹을 수 있도록 하여 반복적인 학습 효과와 공놀이에 의한 운동효과를 얻도록 한 애완동물용 놀이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애완동물용 놀이기구는 애완동물의 종류에 따라 좋아하는 먹이의 모형으로 되어 있고, 그 모형에 특유의 향기를 첨가하여 물고 씹는 즐거움을 갖도록 한 것이 대부분이다.
종래의 애완동물용 놀이기구는 그 형태나 향기, 소리를 이용해서 애완동물의 관심을 끌려고 하였으나 그렇게 하지 못했다. 애완동물은 장난감에 관심이 없었고, 가지고 놀아도 그에 따른 보답이나 즐거움이 없었기 때문이다. 특히 애완동물에게 놀이기구를 가지고 놀게 하기위해서는 사람이 공을 던져 준다든지 인형을 계속해서 움직여준다든지 계속해서 애완동물에게 상대를 해 줘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애완동물용 놀이기구는 쉽게 흥미를 잃는 단점이 있으며, 애완동물에게 육포, 과자 등 실제 먹이를 던져주면서 애완동물이 맛있게 먹는 모습을 즐기는 경우에는 먹이 가루나 조각들이 바닥에 산재되어 주변이 더렵혀지기 때문에 청소하는데 많은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대부분의 애완동물들은 각 가정의 실내에서 사육되기 때문에 운동량이 현저히 부족하여 비대하게 살이 찌게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애완동물이 소프트한 볼을 물어다 투입구에 집어 넣으면 슈트장치에 의해 소프트한 볼이 방출되고 상기 소프트한 볼을 다시 물고와 집어 넣도록 하는 공놀이를 반복적으로 혼자서 할 있도록 하여 반복학습 효과를 유발시킴은 물론 부가적으로 많은 운동량을 발생시켜 다이어트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 애완동물용 놀이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부에 소프트한 볼을 투입하는 투입구와 측면부를 구비하고, 테두리에 닥턱부를 형성하여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뚜껑체와; 상기 뚜껑체가 안착되는 단턱부를 상부에 형성하며, 투입된 볼을 배출시키는 배출구를 구비하며, 일측면으로는 상단에 먹이통이 형성되고, 하단에는 먹이통에서 투입되는 먹이를 외부로 토출이 용이하도록 하는 안내판이 구비되어 이루어진 케이스와; 상기 투입구와 배출구를 연결하는 연결파이프부재와; 상기 연결파이프의 소정부위에는 볼의 투입여부를 검출하는 볼 검출수단과; 상기 볼 검출수단의 검출신호에 의해 작동되는 정역회전 모터에는 개폐도어가 축설되어 이루어진 먹이개폐수단과;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의 회전축에는 제1풀리와 제1로울러가 축설되고,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게 회전봉에는 제2풀리와 제2로울러가 설치되며, 제1 및 제2풀리는 밸트에 의해 연결 구성되어 이루어진 볼 슈트수단과; 상기 볼 검출수단의 검출신호에 의해 먹이개폐수단과 볼 슈트수단을 제어하도록 하는 제어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놀이기구에 의하여 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1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애완동물용 놀이기구기의 외형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애완동물용 놀이기구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로써,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인 놀이기구(1)의 구조는 뚜껑체(10), 먹이를 저장하는 먹이통이 구비된 케이스(20), 각 수단의 기능을 조절 및 제어하는 제어수단(30), 소프트한 볼이 관통하여 안내되는 투입구와 배출구를 연결하는 연결파이프(40), 먹이개폐수단(50)과, 볼 슈트수단(60) 등으로 대별 구성된다.
상기 뚜껑체(10)의 구조는 상부에 볼을 투입하는 투입구(11)와 테두리에 단턱부(12)를 형성하여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구조이며, 바람직하게는 뚜껑체(10)의 상면 중앙부를 향해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케이스(20)의 구조는 뚜껑체(10)가 안착되는 단턱부(22)를 상부에 형성하며 투입된 볼을 배출시키는 배출구(21)를 구비하며, 일측면으로는 상단에 먹이통(23)이 형성되고 하단에는 먹이통(23)에 들어 있는 먹이의 토출이 용이하도록 하는 안내판(24)이 구비되며, 상기 케이스(20)의 하단에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다수의 다리부재(25)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첨부도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판(24)은 상기 먹이통(23)에 들어 있는 먹이가 외부로 토출이 용이하도록 경사진 안내판(24)의 끝단부가 힌지 회동하여 절첩가능하도록 구조를 변경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연결파이프부재(40)의 구조는 L형으로 내부가 중공된 상태이며, 상기 연결파이프(40)의 소정부위에는 소프트한 볼의 투입여부를 검출하는 볼 검출수단(70)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볼 슈트수단(60)의 구조는 첨부도면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20)의 내부에 구비된 브라켓에 의해 고정 설치되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61)의 회전축(64)에는 제1풀리(62)와 제1로울러(63)가 축설되고 소정 간격 이격되게 회전봉(64a)에는 제2풀리(62a)와 제2로울러(63a)가 설치되며 제1 및 제2풀리는 밸트(65)에 의해 연결 구성되어 이루어진 구조이며, 이때 상기 제1 및 제2풀리(62,62a)에 설치된 밸트(65)의 설치형태는 엊걸기 형태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먹이개폐수단(50)의 구조는 첨부도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 검출수단(70)의 검출신호에 의해 작동되도록 제어수단(30)에 연결 구성되어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정역회전 모터(51)의 회전축에 개폐도어(52)가 고정 설치되어 있는 이루어진 구조이다.
한편, 상기 검출수단(70)의 검출신호에 의해 먹이개폐수단(50)과 볼 슈트수단(60)을 제어하도록 하는 제어수단(30)은 첨부도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을 온/오프하는 전원부(31)와 각 수단을 제어하는 마이콤(32), 상기 마이콤에는 먹이의 배출시간을 스위치부(33)로 조절 및 제어하고 수동으로 개폐수단을 작동시키는 수동조절부(36)과 타이머(34), 녹음 및 출력이 가능한 사운드입출력장치부(35), 볼 슈트수단작동감지센서부(36)가 연결되어 구성되어 있다.
상기 타이머(34)는 개폐도어(52)의 작동시간을 조절하여 먹이의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며 볼 슈스수단(60)의 작동 여부는 슈트수단작동감지센서부(36)에서 검출하도록 하여 마이콤(32)에서 모터(51,61)의 구동시간을 조절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 및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첨부도면 도 5 및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30)의 스위치부(33)을 이용하여 전원을 공급 후 애완동물이 소프트한 볼을 투입구(11)에 물어다 떨어드리면 뚜껑체(10)의 상면 중앙부를 향해 소정의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어 볼이 투입구(11)로 굴러 들어가게 된다.
상기와 같이 소프트한 볼이 투입구(11)로 굴러 들어가 연결파이프부재(40)를 통해 배출구(21) 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볼이 연결파이프부재(40)를 통과시 볼의 인입을 검출수단(70)에서 지나가는 볼을 검출하게 되며 상기 검출수단(70)에서 검출된 신호가 제어수단(30)의 마이콤(32)에 전달되게 된다.
상기 마이콤(32)에 전달된 신호에 의거 상기 마이콤(32)에서는 슈트수단(60)의 모터(61)을 구동시키게 된다. 모터(61)이 구동되면 첨부도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풀리(62)와 제1로울러(63)이 회전하게 되며 이와 동시에 상기 제1풀리(62)에 밸트(65)로 연결된 회전봉(64a)의 제2풀리(62a)와 제2로울러(63a)가 연동되어 회전하게 된다.
상기 슈트수단(60)이 제어수단(30)에 의해 구동되면 투입된 볼은 회전하는 제1로울러(63)와 제2로울러(63a) 사이를 통과하게 되면서 각 로울러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력을 부여 받아 배출구(21)의 통과하면서 힘있게 발사된다.
그리하면 애완동물은 회전력에 의해 발사된 볼을 찾아 물어와 다시 투입구(11)에 떨어 뜨리게 한다.
상기와 같이 애완동물이 소프트한 볼을 물어와 투입구(11)에 떨어뜨려 검출수단(70)에서 이의 신호를 검출하게 되면서 제어수단(30)의 마이콤(32)에서는 슈트수단(60)의 작동을 제어함과 동시에 먹이통(23)의 하단에 설치된 개폐수단(50)을 제어하게 된다.
상기 개폐수단(50)의 작동은 검출수단(70)의 신호에 의거 슈트수단(60)을 유희구가 통과하기 전이나 후에 모터(51)을 구동시켜 개폐도어(52)가 열리거나 닫히도록 하여 먹이를 배출시킬 수 있도록 스위치부(33)으로 조절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볼이 슈트수단(60)을 통과하였을 때 모터(61)의 작동이 멈추도록 하는 것이다. 그 이유는 모터(61) 작동에 의한 소음과 전원의 소비를 감소시키기 위해서이다.
한편, 상기 개폐수단(50)의 작동으로 개폐도어(52)가 회전하여 먹이통의 배출구를 개방하게 되면 먹이통에 저장된 먹이는 하방의 떨어져 안내판(24)으로 떨어져 케이스(20)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상기 먹이의 배출 형태는 첨부도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끝단부가 절첩 가능하도록 힌지 회동되므로 끝부분을 수평상태로 하여 별도의 먹이받이통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직접 먹이를 애완동물이 먹을 수 있도록 할 수도 있고 안내판(24)을 절첩하지 않이하면 별도의 먹이받이통을 사용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수단(30)에 검출수단(70)의 신호에 의해 사운드입출력장치부(35)를 구동시켜 소정의 음향을 출력하도록 할 수도 있으며, 애완동물의 주인 음성을 녹음하였다가 출력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녹음 및 재생이 가능한 메모리 칩을 사용한다.
물론 상기 사운드입출력장치부(35)의 구동시키도 볼이 슈트수단(60)을 통과하거나 통과후 또는 볼이 슈트수단(60)을 통과하기 전과 통과 후모두 음향을 출력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검출수단(70)에 의해 검출된 신호에 의해 작동되는 먹이개폐수단(50)과 슈트수단(60) 및 사운드입출력장치부(35)의 작동은 스위치부(33)을 이용하여 작동시간 및 먹이의 양과 음향의 형태를 조절 및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수단(30)에는 검출수단(70)의 신호와는 별도로 수동조작부(36)으로 먹이개폐수단(50)을 작동시켜 유희구의 미사용시에도 애완동물에게 먹이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케이스(20)의 하부에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다수의 다리부재(25)가 구비되어 있어 애완동물의 크기에 따라서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져 작동되는 본 발명은 애완동물이 소프트한 볼을 물어다 투입구에 집어 넣으면 슈트장치에 의해 볼이 슈트되고, 상기 볼을 다시 애완동물이 물고와 투입구에 집어넣으면 먹이가 자동 공급되므로서 공놀이를 하는 동기부여를 주어 혼자서도 놀이를 행할 수 있도록 하고 이로 인하여 반복적인 운동 학습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부가적으로 많은 운동량을 발생시켜 다이어트효과를 얻을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애완동물용 놀이기구의 외형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애완동물용 놀이기구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요부인 안내판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4a는 본 발명의 요부인 슈트수단의 구조를 보여주는 요부발췌 사시도이며, 도 4b는 슈트수단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요부인 제어수단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
도 6은 본 발명인 애완동물용 놀이기구의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뚜껑체 11 : 투입구
12 : 단턱부 20 : 케이스
21 : 배출구 22 : 단턱부
23 : 먹이통 24 : 안내판
25 : 다리부재 30 : 제어수단
31 : 전원부 32 : 마이콤
33 : 스위치부 34 : 타이머
35 : 사운드입출력장치부
36 : 볼 슈트수단작동감지센서부
40 : 연결파이프 50 : 먹이개폐수단
60 : 볼 슈트수단
70 : 검출수단

Claims (8)

  1. 상부에 소프트한 볼을 투입하는 투입구와 측면부를 구비하고 테두리에 단턱부를 형성하여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뚜껑체와;
    상기 뚜껑체가 안착되는 단턱부를 상부에 형성하며 투입된 소프트한 볼을 배출시키는 배출구를 구비하며, 일측면으로는 상단에 먹이통이 형성되고 하단에는 먹이통에서 투입되는 먹이를 외부로 토출이 용이하도록 하는 안내판이 구비되어 이루어진 케이스와;
    상기 투입구와 배출구를 연결하는 내부가 중공된 L형의 연결파이프부재와;
    상기 연결파이프의 소정부위에는 볼의 투입여부를 검출하는 볼 검출수단과;
    상기 볼 검출수단의 검출신호에 의해 작동되는 정역모터에는 개폐도어가 축설되어 이루어진 먹이개폐수단과;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의 회전축에는 제1풀리와 제1로울러가 축설되고 소정 간격 이격되게 회전봉에는 제2풀리와 제2로울러가 설치되며 제1 및 제2풀리는 밸트에 의해 연결 구성되어 이루어진 볼 슈트수단과;
    상기 검출수단의 검출신호에 의해 먹이개폐수단과 유희구 슈트수단을 제어하도록 하는 제어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놀이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체의 상면 중앙부를 향해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놀이기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전원부, 검출수단의 신호를 받아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마이콤과 먹이의 배출시간을 조절하는 공급시간조절스위치부 및 타이머, 녹음 및 출력이 가능한 사운드입출력장치부, 슈트수단작동감지센서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놀이기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하단에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다수의 다리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놀이기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먹이통에서 투입되는 먹이를 외부로 토출이 용이하도록 경사진 안내판의 끝단부가 힌지 회동하여 수평으로 절첩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놀이기구.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운드입출력장치부는 일정한 시간의 경과시나 또는 볼 슈트수단을 통과하였을 때 사운드 출력이 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놀이기구.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프트한 볼이 슈트수단을 통과하였을 때 모터의 작동이 멈추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놀이기구.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에는 수동조작부가 더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놀이기구.
KR10-2003-0081584A 2003-11-18 2003-11-18 애완동물용 놀이기구 KR1005386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1584A KR100538611B1 (ko) 2003-11-18 2003-11-18 애완동물용 놀이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1584A KR100538611B1 (ko) 2003-11-18 2003-11-18 애완동물용 놀이기구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6092U Division KR200340496Y1 (ko) 2003-11-19 2003-11-19 애완동물용 놀이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7790A KR20050047790A (ko) 2005-05-23
KR100538611B1 true KR100538611B1 (ko) 2005-12-22

Family

ID=372466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1584A KR100538611B1 (ko) 2003-11-18 2003-11-18 애완동물용 놀이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3861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0481A (ko) 2020-02-06 2021-08-17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애완견 훈련장치
KR102392123B1 (ko) * 2021-03-10 2022-04-29 류승만 애완 동물용 장난감 자동 배출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17419B2 (en) 2012-03-05 2018-11-06 Ifetch, Llc Pet exercise and entertainment device
USD802856S1 (en) 2014-06-10 2017-11-14 Ifetch, Llc Fetching device for pets
US9345946B2 (en) * 2012-03-05 2016-05-24 Ifetch, Llc Pet exercise and entertainment device
KR101329581B1 (ko) * 2013-07-18 2013-11-15 대한민국 훈련견을 위한 보상장치용 테이블장치
KR101404523B1 (ko) * 2013-11-08 2014-06-18 주식회사 볼레디 반려동물용 스마트 팻 케어 시스템
KR101404524B1 (ko) * 2013-11-08 2014-06-18 주식회사 볼레디 반려동물의 행동에 기초하여 먹이를 자동으로 공급할 수 있는 펫 케어 시스템
KR101710282B1 (ko) * 2015-10-29 2017-03-08 박경순 애완동물을 위한 로봇 및 그 제어방법
CN110150171A (zh) * 2019-04-11 2019-08-23 烟台海蝶玩具有限公司 一种逗狗玩具
CN110637747A (zh) * 2019-10-18 2020-01-03 浙江萌宠日记信息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宠物饲喂机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0481A (ko) 2020-02-06 2021-08-17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애완견 훈련장치
KR102392123B1 (ko) * 2021-03-10 2022-04-29 류승만 애완 동물용 장난감 자동 배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7790A (ko) 2005-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63953B2 (en) Automatic pet trainer
KR100538611B1 (ko) 애완동물용 놀이기구
US20230210086A1 (en) Animal interaction device, system and method
JP6475642B2 (ja) 動物インタラクションデバイス、システム、及び方法
US20060213453A1 (en) Exercise and entertainment apparatus for pet animals
US10582698B2 (en) Pet trainer and exercise apparatus
US11490595B2 (en) Pet exercise and entertainment device
US6058887A (en) Cat amusement device
AU2013230081B2 (en) Pet exercise and entertainment device
US8640653B2 (en) Twitch toy
US7650855B2 (en) Automatic pet feeder
US8869748B2 (en) System and method for training an animal
US20100089327A1 (en) Dispenser for the preferably automatic training of animals, especially while using a treat dispenser fastened on the animal
AU727465B2 (en) Table tennis ball-sorting device and table tennis apparatus
US20060112898A1 (en) Animal entertainment training and food delivery system
US20150079875A1 (en) Toy with rotation mechanism
Spiteri Circadian patterning of feeding, drinking and activity during diurnal food access in rats
US11871726B2 (en) Method of using a dog toy container, and a dog toy container
KR200340496Y1 (ko) 애완동물용 놀이기구
KR20130027393A (ko) 애완동물용 공놀이 기구
US20070095302A1 (en) Automated pet toy
WO2016172815A1 (zh) 一种宠物玩耍球自动发射器
US20040040519A1 (en) Timed food-filled toy dispenser
CN206713751U (zh) 一种宠物狗营养成分自动搭配的智能喂食装置
KR101176411B1 (ko) 배변 위치 확인 기능을 구비한 애완동물용 배변기 청소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