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2991A - 벤조피렌이 제거된 흑삼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벤조피렌이 제거된 흑삼의 제조 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2991A
KR20170012991A KR1020150105752A KR20150105752A KR20170012991A KR 20170012991 A KR20170012991 A KR 20170012991A KR 1020150105752 A KR1020150105752 A KR 1020150105752A KR 20150105752 A KR20150105752 A KR 20150105752A KR 20170012991 A KR20170012991 A KR 201700129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ying
ginseng
benzopyrene
root
black ginse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57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용기
백세희
송지혜
여말희
문병석
Original Assignee
씨제이제일제당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제이제일제당 (주) filed Critical 씨제이제일제당 (주)
Priority to KR10201501057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12991A/ko
Priority to PCT/KR2016/005423 priority patent/WO2017018647A1/ko
Publication of KR201700129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29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20Removal of unwanted matter, e.g. deodorisation or detoxification
    • A23L5/21Removal of unwanted matter, e.g. deodorisation or detoxification by heating without chemical treatment, e.g. steam treatment, cook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20Removal of unwanted matter, e.g. deodorisation or detoxifica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1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of tuberous or like starch containing root crop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Mycology (AREA)
  • Preparation Of Fruits And Veget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증구포 과정에서 벤조피렌이 생성되지 않는 흑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 구체예에 따른 벤조피렌이 제거된 흑삼의 제조 방법에 따르면, 기존의 흑삼의 유효 성분을 보존하면서, 벤조피렌이 생성되지 않는 흑삼을 제조할 수 있어, 흑삼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Description

벤조피렌이 제거된 흑삼의 제조 방법{Method for Preparing Black Ginseng Without Benzopyrene}
본 발명은 구증구포 과정에서 벤조피렌이 생성되지 않는 흑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삼을 아홉 번 찌고 말리는 구증구포 방법으로 만드는 흑삼은 영양이 풍부하여 건강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는 검은색 또는 검붉은색을 띠고 있으며, 맛과 향은 홍삼보다 더욱 진한 것이 특징이다. 또한, 인삼을 아홉 번 찌고 말리는 제조 과정에서 인삼이 가지고 있는 효능은 더욱 증가되어 진세노사이드 Rg3의 함량이 홍삼에 비하여 우수하다. 이는 홍삼을 재차 복수 회에 걸쳐 증숙 및 건조하는 과정에서 진세노사이드들이 가수분해되어 진세노사이드 Rg3로 전환되기 때문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흑삼은 면역력의 증강, 항암 및 성기능 개선 등에서 효과가 있음이 소비자들의 복용 경험을 통해 확인되고 있다.
한편, 이와 같이 구증구포의 방법으로 흑삼을 제조하는 공정 중에는 인체에 유해한 발암 물질의 일종인 벤조피렌이 생성될 수 있다. 과거 일부 흑삼에서 벤조피렌이 검출되어 사회적으로 큰 이슈가 된 사례가 있어 이에 대한 효과적인 제거 방법이 필요하다. 벤조피렌은 다환방향족탄화수소(PAHs,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그룹에 속하는 황색의 결정성 고체로서, 식품에 있어 탄수화물, 단백질, 지질 등이 300∼600℃ 사이 온도에서 분해 시 불완전 연소로 인하여 생성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내분비계 장애 물질이면서 발암 물질로 잔류 기간이 길고 독성이 강하여 국제식품규격위원회(Codex) 등에서 유해성 평가 우선 대상 물질로 지정되어 있다. 또한, 식품 의약품 안전처는 한약재 전 품목에 대해 벤조피렌 허용 기준치(5 ppb)를 신설한 바 있다.
특허 제10-1093899호는 흑삼의 증숙온도와 건조온도의 조절을 통한 벤조피렌 저감화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으나, 건조 조건에 따라 변화될 수 있는 흑삼의 유효 성분인 Rg3의 함량 변화에 대해서는 개시하고 있지 않으며, 실시예의 실험 조건에서 벤조피렌이 일부 검출되는 바, 흑삼 제조 시 인체에 유해한 벤조피렌이 불검출되는 수준까지의 기술 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일 양상은 수삼으로부터 분리한 지근, 세근 및 주근을 증숙, 건조를 반복하여 벤조피렌이 제거된 흑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상은 수삼으로부터 지근 및 세근을 분리하는 단계(S101);
상기 분리된 지근 및 세근을 증숙하는 단계(S102);
상기 증숙된 지근 및 세근을 건조하는 단계(S103); 및
상기 증숙하는 단계 및 건조하는 단계를 반복하는 단계(S104)를 포함하는 벤조피렌이 제거된 흑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은 수삼으로부터 주근을 분리하는 단계(S201);
상기 분리된 주근을 증숙하는 단계(S202);
상기 증숙된 주근을 건조하는 단계(S203); 및
상기 증숙하는 단계 및 건조하는 단계를 반복하는 단계(S204)를 포함하는 벤조피렌이 제거된 흑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은 상기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벤조피렌이 제거된 흑삼을 제공한다.
이하, 도 1 및 도 2의 순서도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벤조피렌이 제거된 흑삼의 제조 방법을 각 단계별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벤조피렌이 제거된 흑삼의 제조 방법은, 먼저, 수삼으로부터 주근을 분리하거나(S201), 지근 및 세근을 분리하는 단계(S101)를 수행한다.
수삼은 밭에서 수확한 상태의 인삼을 지칭하는 것으로, 수삼의 뿌리 부위에 따라 주근, 지근 및 세근으로 분류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주근"은 수삼의 몸채에 해당하는 가장 중심에 있는 부위를 의미하고, "지근"은 상기 주근에서 분지되는 뿌리 부분을 지칭하며, "세근"은 상기 지근으로부터 분지되는 잔뿌리에 해당하는 부분을 의미한다.
수삼의 주근, 지근 및 세근은 두께 및 길이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증숙 과정에서 열전도의 정도가 차이가 있어 벤조피렌의 생성 정도가 달라질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수삼에서 주근, 지근 및 세근을 분리하여 증숙 및 건조 조건을 달리하여 흑삼을 제조하였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수삼은 장기간 보관 등의 어려움이 따를 수 있으므로, 건조물 형태의 인삼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 때, 상기 인삼의 수분 함량은 20%(w/w)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나, 수분 함량이 15%(w/w) 이하의 인삼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다음 단계로, 상기 분리된 주근을 증숙하거나(S202), 또는 지근 및 세근을 증숙하는 단계(S102)를 수행한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분리된 주근, 또는 지근 및 세근을 증숙하는 단계는 90℃ 내지 105℃에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92℃ 내지 100℃, 가장 바람직하게는 95℃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분리된 주근의 증숙은 2시간 내지 4시간 동안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3시간 동안 이루어질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분리된 지근 및 세근의 증숙은 0.5시간 내지 2시간 동안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1시간 동안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 단계로, 상기 증숙된 주근을 건조하거나(S203), 또는 지근 및 세근을 건조하는 단계(S103)를 수행한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건조하는 단계는 주근, 지근 및 세근 모두 10℃ 내지 30℃에서 냉풍 건조할 수 있으며, 20℃에서 냉풍 건조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처럼, 흑삼의 제조 과정에서 수삼의 건조 시 낮은 온도에서 냉풍을 사용함으로써, 벤조피렌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건조하는 단계는 주근, 지근 및 세근 모두 10시간 내지 30시간 동안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20시간 동안 이루어질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증숙하는 단계 및 건조하는 단계를 반복하는 단계(S204)를 수행한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구증구포 흑삼을 제조하기 위해, 상기 증숙하는 단계 및 건조하는 단계를 9회 반복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른 벤조피렌이 제거된 흑삼의 제조 방법에 따르면, 기존의 흑삼의 유효 성분을 보존하면서, 벤조피렌이 생성되지 않는 흑삼을 제조할 수 있어, 흑삼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도 1은 수삼의 지근 및 세근을 이용하여 벤조피렌이 제거된 흑삼을 제조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는 수삼의 주근을 이용하여 벤조피렌이 제거된 흑삼을 제조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 하나 이상의 구체예를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하나 이상의 구체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흑삼의 건조 조건에 따른 벤조피렌 제거 및 Rg3 함량 확인
구증구포 흑삼의 벤조피렌 저감화 공정 조건을 확립하기 위하여, 4년근 이상의 수삼을 세척하여 주근과 지근 및 세근으로 분리하여 원료로 사용하였으며, 주근은 95℃에서 3시간 동안 증숙하였고, 지근 및 세근의 경우 열전도도 등의 차이로 인하여 상기 조건에서는 탄화가 발생하였기 때문에, 1시간 동안 증숙을 실시하였다. 이후, 건조는 60℃의 열풍 건조 및 20℃의 냉풍 건조를 수행하였으며, 상기 증숙 및 건조를 총 9회 반복한 후, 벤조피렌의 생성 차이를 확인하였다. 상기 증숙 및 건조 조건을 표 1에 나타내었다.
벤조피렌의 분석은 식품공전의 벤조피렌 시험법에 따라 분석하였다.
항 목 주근 지근 및 세근
증숙 온도 95℃ 95℃
증숙 시간 3시간 1시간
건조 온도 20℃, 60℃ 20℃, 60℃
건조 시간 20시간 20시간
증숙/건조 횟수 9회 9회
실험 결과, 표 2와 같이 60℃의 열풍 건조 조건에서는 주근, 지근 및 세근에서 각각 0.36 ppb, 0.62 ppb의 벤조피렌이 검출되었으나, 20℃의 냉풍 건조 조건에서는 주근, 지근 및 세근에서 모두 벤조피렌이 검출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통상적인 흑삼의 건조 조건인 60℃의 열풍 건조에 비해 30℃ 이하의 냉풍 건조시 벤조피렌의 생성이 나타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Rg3의 함량에 있어서도, 통상적인 열풍 건조 조건과 비교하여 냉풍 건조 시 함량의 변화가 거의 없어 냉풍 건조를 하는 경우 Rg3 성분을 유지하면서 벤조피렌이 전혀 검출되지 않는 안전한 흑삼을 제조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항목 벤조피렌 함량(ppb) Rg3 함량(mg/g)
구증구포 흑삼 주근 (60℃ 건조) 0.36 1.01
구증구포 흑삼 주근 (20℃ 건조) 불검출 1.08
구증구포 흑삼 지근 및 세근 (60℃ 건조) 0.62 5.3
구증구포 흑삼 지근 및 세근 (20℃ 건조) 불검출 5.2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수삼으로부터 지근 및 세근을 분리하는 단계;
    상기 분리된 지근 및 세근을 증숙하는 단계;
    상기 증숙된 지근 및 세근을 건조하는 단계; 및
    상기 증숙하는 단계 및 건조하는 단계를 반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벤조피렌이 제거된 흑삼의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증숙하는 단계는 90℃ 내지 105℃에서 0.5시간 내지 2시간 동안 증숙하는 것인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하는 단계는 10℃ 내지 30℃에서 냉풍 건조하는 것인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하는 단계는 10시간 내지 30시간 동안 이루어지는 것인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복하는 단계는 증숙하는 단계 및 건조하는 단계를 9회 반복하는 것인 방법.
  6. 수삼으로부터 주근을 분리하는 단계;
    상기 분리된 주근을 증숙하는 단계;
    상기 증숙된 주근을 건조하는 단계; 및
    상기 증숙하는 단계 및 건조하는 단계를 반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벤조피렌이 제거된 흑삼의 제조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증숙하는 단계는 90℃ 내지 105℃에서 2시간 내지 4시간 동안 증숙하는 것인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하는 단계는 10℃ 내지 30℃에서 냉풍 건조하는 것인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하는 단계는 10시간 내지 30시간 동안 이루어지는 것인 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반복하는 단계는 증숙하는 단계 및 건조하는 단계를 9회 반복하는 것인 방법.
KR1020150105752A 2015-07-27 2015-07-27 벤조피렌이 제거된 흑삼의 제조 방법 KR20170012991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5752A KR20170012991A (ko) 2015-07-27 2015-07-27 벤조피렌이 제거된 흑삼의 제조 방법
PCT/KR2016/005423 WO2017018647A1 (ko) 2015-07-27 2016-05-23 벤조피렌이 제거된 흑삼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5752A KR20170012991A (ko) 2015-07-27 2015-07-27 벤조피렌이 제거된 흑삼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2991A true KR20170012991A (ko) 2017-02-06

Family

ID=578856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5752A KR20170012991A (ko) 2015-07-27 2015-07-27 벤조피렌이 제거된 흑삼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70012991A (ko)
WO (1) WO201701864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4439A (ko) 2017-02-15 2018-08-23 양기수 흑마늘 엑기스를 이용한 흑삼의 제조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67163A (zh) * 2018-12-18 2019-04-05 朴男秀 一种提高人参皂甙含量的黑参加工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3899B1 (ko) * 2008-02-29 2011-12-13 강신정 벤조피렌이 저감된 홍삼 및 흑삼의 제조방법
KR101230438B1 (ko) * 2010-05-27 2013-02-06 재단법인 금산국제인삼약초연구소 구증구포홍삼의 제조방법
KR101441002B1 (ko) * 2012-04-03 2014-09-18 재단법인 금산국제인삼약초연구소 효율적 증숙과 건조를 통한 편리한 흑삼의 제조방법
KR101507652B1 (ko) * 2013-04-30 2015-03-31 광동제약 주식회사 고함량의 진세노사이드를 함유하는 흑삼 제조방법
KR101583050B1 (ko) * 2013-08-27 2016-01-21 중부대학교 산학협력단 진세노사이드 알지쓰리 함량이 증대되고 벤조피렌이 저감된 흑삼의 제조방법 및 그 산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4439A (ko) 2017-02-15 2018-08-23 양기수 흑마늘 엑기스를 이용한 흑삼의 제조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018647A1 (ko) 2017-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5777B1 (ko) 기능성 소금의 제조방법
KR101507652B1 (ko) 고함량의 진세노사이드를 함유하는 흑삼 제조방법
CN104621485B (zh) 一种与大米共煮同熟的黑豆预处理方法
JP2007236319A (ja) 紅茶葉の製造方法
KR20150010058A (ko) 인삼 재료로부터 부터 진세노사이드 성분이 강화된 식품 원료 제조방법 및 그 식품 원료를 이용한 식품 제조방법
CN104382117A (zh) 一种低温炒坚果方法
CN104719522A (zh) 一种咖啡叶茶的制备方法
KR101064550B1 (ko) 간장게장의 제조방법 및 이의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된 간장게장
KR101191367B1 (ko) 구운 홍삼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구운 홍삼
KR20170012991A (ko) 벤조피렌이 제거된 흑삼의 제조 방법
KR102053700B1 (ko) 구절초 추출물의 제조 방법
KR101593436B1 (ko) 고온/고압을 이용한 홍삼제조방법
KR20120066725A (ko) 와송분말과 추출물을 이용한 기능성 와송떡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925861B1 (ko) 한방수육 조리용 한방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한방수육 조리용 한방조성물 티백 및 그 제조방법
CN105533528A (zh) 竹笋笋干的加工方法
KR101969202B1 (ko) 옥수수 빵의 제조방법
CN103564409A (zh) 一种复合番茄酱冻干粉及其制备方法
KR101866713B1 (ko) 해마식초 제조방법
KR20170061961A (ko) 무병장수 리큐르 제조방법
KR102295116B1 (ko) 인지기능 개선 향상을 위한 흑삼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흑삼
KR101413111B1 (ko) 홍삼순액의 제조방법
CN104194932A (zh) 一种板栗香精、其制备方法以及在卷烟中的应用
CN104187751A (zh) 一种苹果果脯牛肉粒
CN103535475A (zh) 一种烘焙葛根茶及其制备方法
KR101776288B1 (ko) 우려먹는 흑삼을 이용한 흑삼주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