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1893A - 앵커 - Google Patents

앵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1893A
KR20170011893A KR1020150105339A KR20150105339A KR20170011893A KR 20170011893 A KR20170011893 A KR 20170011893A KR 1020150105339 A KR1020150105339 A KR 1020150105339A KR 20150105339 A KR20150105339 A KR 20150105339A KR 20170011893 A KR20170011893 A KR 201700118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y portion
anchor
body part
flow path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53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22212B1 (ko
Inventor
임인규
김현수
서종무
안광현
여정환
전상배
최정인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053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2212B1/ko
Publication of KR201700118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18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22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22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24Anch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24Anchors
    • B63B21/26Anchors securing to b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24Anchors
    • B63B21/26Anchors securing to bed
    • B63B21/29Anchors securing to bed by weight, e.g. flukeless weight anchors

Abstract

앵커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앵커는 일방향으로 연장된 몸체부, 및 유체가 몸체부의 내부를 통과하면서 몸체부를 회전시키도록 몸체부의 내부에 형성되는 유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앵커{ANCHOR}
본 발명은 앵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에는 정박을 목적으로 하는 앵커(anchor)가 필수적으로 구비되어 있다.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을 계류시키기 위해서 앵커를 바다 속에 하강시켜 바다의 바닥에 고정시킨다.
앵커는 그 사용목적상 풍랑이나 조류에 대처하도록 충분한 무게를 갖추면서 해저에 원활히 박힐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즉, 해상에 계류되는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은 앵커 체인을 통해 해저면에 정착된 앵커에 지지됨으로써 풍랑이나 조류에 따라 유동하지 않고 일정 장소에 정박된다.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이 정박되도록 요구되는 해상의 위치에 계류하기 위해서는 앵커가 요구되는 해저면의 위치로 정확하게 도달되어야 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1-0139481호 (2011. 12. 29)
본 발명의 실시예는 비교적 높은 정확도로 목표하는 해저면의 위치에 도달할 수 있는 앵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일방향으로 연장된 몸체부, 유체가 몸체부의 내부를 통과하면서 몸체부를 회전시키도록 몸체부의 내부에 형성되는 유로부를 포함하는 앵커가 제공된다.
여기서, 유로부의 적어도 일부는 몸체부의 연장된 방향을 축으로 하는 나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몸체부는, 일단의 종단면이 테이퍼 형상일 수 있다.
유로부는 복수로 형성되고, 복수의 유로부 중 인접하는 두 개의 유로부 사이의 거리는 일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앵커는, 몸체부의 회전을 보조하도록 몸체부의 외면에 형성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유로부를 따라 몸체부의 내부를 통과하는 유체의 방향과 몸체부의 외면을 따라 흐르는 유체의 방향은 대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앵커가 비교적 높은 정확도로 목표하는 해저면의 위치에 도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앵커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의 A-A'선을 따른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앵커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본 발명에 따른 앵커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결합이라 함은, 각 구성 요소 간의 접촉 관계에 있어, 각 구성 요소 간에 물리적으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만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이 각 구성 요소 사이에 개재되어, 그 다른 구성에 구성 요소가 각각 접촉되어 있는 경우까지 포괄하는 개념으로 사용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앵커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A-A'선을 따른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앵커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앵커(1000)는 몸체부(100)와 유로부(200)을 포함하고, 가이드부(3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100)는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을 가지는 부재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앵커(1000)의 전체적인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일방향이라고 함은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몸체부(100)는 자중에 의해 해저면으로 낙하되도록 해수보다 밀도가 높은 재질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예로써, 몸체부(100)는 해수보다 밀도가 높은 철 합금을 포함하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 및 도 3에는 몸체부(100)가 전체적으로 원통형인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다. 예로써, 몸체부(100)는 전체적으로 원뿔 또는 원뿔대의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몸체부(100)의 일단의 종단면은 테이퍼 형상일 수 있다. 즉,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100)의 하단부는 몸체부(100)의 하부로 갈수록 횡단면적이 작아질 수 있다. 이 경우, 몸체부(100)의 형상은 전체적으로 유선형을 띄게 되어 해수와의 마찰력이 줄어들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실시예에 따른 앵커(1000)는 해수와의 저항이 최소화되고, 본 실시예에 따른 앵커(1000)는 사용자가 의도한 해저면의 위치에 높은 정확성으로 도달될 수 있다.
유로부(200)는, 유체가 몸체부(100)의 내부를 통과하면서 몸체부(100)를 회전시키도록 몸체부(100)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유로부(200)는 해수가 몸체부(100)의 내부를 회전하면서 통과하도록 몸체부(100)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유로부(200)의 적어도 일부는 몸체부(100)의 연장된 방향을 축으로 하는 나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유로부(200)는 해수가 몸체부(100)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몸체부(100)의 일단측에 형성되는 유입구와 몸체부(100) 내부의 해수가 몸체부(100)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몸체부(100)의 타단측에 형성되는 토출구를 포함할 수 있는데, 유입구로부터 토출구로 연장되는 유로의 적어도 일부가 나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를 투영하였을 때 유입구의 중심과 토출구의 중심이 서로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이로 인해, 몸체부(100)를 통과하는 해수는 나선 경로를 따르게 되고, 이러한 몸체부(100) 내부의 해수 흐름으로 인해 몸체부(100)에는 몸체부(100) 내부의 해수 흐름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의 회전력이 가해질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앵커(1000)는 낙하 시 유로부(200)를 통과하는 해수로 인해 일방향을 축으로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앵커(100)는 몸체부(100)에 외력을 작용하는 해류에도 불구하고, 사용자가 의도한 해저면의 위치에 높은 정확성으로 도달될 수 있다.
여기서, 유로부(200)는 복수로 형성되고, 복수의 유로부(200) 중 인접하는 두 개의 유로부(200) 사이의 거리는 일정할 수 있다. 즉, 복수의 유입구 중 인접하는 두 개의 유입구 간의 거리는 모두 동일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토출구 중 인접하는 두 개의 토출구 간의 거리는 모두 동일할 수 있다. 이 경우, 몸체부(100)에 해수가 유입됨으로써 일방향과 수직하는 방향으로 몸체부(100)에 가해지는 외력은 모두 상쇄될 수 있다. 즉, 몸체부(100)의 내부로 해수가 유입될 때 발생하는 몸체부(100)의 흔들림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몸체부(100)로부터 해수가 토출됨으로써 일방향과 수직하는 방향으로 몸체부(100)에 가해지는 외력은 모두 상쇄될 수 있다. 즉, 몸체부(100)로부터 해수가 토출될 때 발생하는 몸체부(100)의 흔들림이 방지될 수 있다.
이로 인해, 해수가 몸체부(100)로 유입될 때 또는 해수가 몸체부(100)로부터 토출될 때 몸체부(100)의 흔들림이 최소화될 수 있어, 몸체부(100)의 일방향과 수직하는 방향으로의 변위 발생이 최소화될 수 있다.
가이드부(300)는 몸체부(100)의 회전을 보조하도록 몸체부(100)의 외면에 형성될 수 있다. 즉, 가이드부(300)는 몸체부(100)의 낙하 시 발생하는 몸체부(100) 외부의 해수와 몸체부(100) 사이의 상대적 운동을 이용해 몸체부(100)에 회전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가이드부(300)는 몸체부(100)의 일단측으로부터 몸체부(100)의 타단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는데, 가이드부(300)의 적어도 일부는 유로부(200)의 토출구보다 몸체부(100)의 타단에 가깝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유로부(200)의 토출구로부터 배출되는 해수가 가이드부(300)에 회전력을 가할 수 있게 되어 몸체부(100)에 가해지는 전체 회전력의 크기는 증가될 수 있다.
여기서, 가이드부(300)는 유로부(200)를 따라 몸체부(100)의 내부를 통과하는 유체의 방향과 몸체부(100)의 외면을 따라 흐르는 유체의 방향이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유로부(200)를 통과하는 해수에 의한 몸체부(100)의 회전 방향과 가이드부(300)를 따라 흐르는 몸체부(100) 외부의 해수에 의한 몸체부(100)의 회전 방향이 일치될 수 있다. 예로써, 유로부(200)의 적어도 일부가 시계 방향의 나선 경로와 중첩되도록 형성된 경우에는 가이드부(300)도 적어도 일부가 시계 방향의 나선 경로와 중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 반시계 방향으로 몸체부(100)를 회전시키는 전체 회전력은 증가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본 실시예에 따른 앵커(1000)에 가해지는 회전력의 크기는 증가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실시예에 따른 앵커(1000)는 보다 큰 각속도로 회전할 수 있어 낙하 시 해류의 영향이 최소화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몸체부 200: 유로부
300: 가이드부 1000: 앵커

Claims (6)

  1. 일방향으로 연장된 몸체부; 및
    유체가 상기 몸체부의 내부를 통과하면서 상기 몸체부를 회전시키도록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형성되는 유로부를 포함하는 앵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몸체부의 연장된 방향을 축으로 하여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일단의 종단면이 테이퍼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부는 복수로 형성되고,
    복수의 상기 유로부 중 인접하는 두 개의 상기 유로부 사이의 거리는 일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회전을 보조하도록 상기 몸체부의 외면에 형성되는 가이드부; 를 더 포함하는 앵커.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부를 따라 상기 몸체부의 내부를 통과하는 유체의 방향과 상기 몸체부의 외면을 따라 흐르는 유체의 방향은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
KR1020150105339A 2015-07-24 2015-07-24 앵커 KR1017222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5339A KR101722212B1 (ko) 2015-07-24 2015-07-24 앵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5339A KR101722212B1 (ko) 2015-07-24 2015-07-24 앵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1893A true KR20170011893A (ko) 2017-02-02
KR101722212B1 KR101722212B1 (ko) 2017-03-31

Family

ID=581540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5339A KR101722212B1 (ko) 2015-07-24 2015-07-24 앵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221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141268A (zh) * 2020-09-14 2020-12-29 大连理工大学 一种基于仿生学的新型动力式鱼雷锚及其安装方法
KR102209053B1 (ko) * 2020-01-29 2021-01-28 한국전력기술 주식회사 계류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8008733A1 (en) * 1996-08-30 1998-03-05 Petróleo Brasileiro S.A. - Petrobrás A pile for anchoring floating structures and process for installing it
JPH10175589A (ja) * 1996-12-20 1998-06-30 Hitachi Zosen Corp シンカー及び切離しバルブ
KR20110139481A (ko) 2010-06-23 2011-12-29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낙하추진장치를 구비한 석션 앵커 말뚝 및 낙하추진장치를 이용한 석션 앵커 말뚝의 시공방법
KR20110139963A (ko) * 2010-06-24 2011-12-3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수중 부유식 방파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8008733A1 (en) * 1996-08-30 1998-03-05 Petróleo Brasileiro S.A. - Petrobrás A pile for anchoring floating structures and process for installing it
JPH10175589A (ja) * 1996-12-20 1998-06-30 Hitachi Zosen Corp シンカー及び切離しバルブ
KR20110139481A (ko) 2010-06-23 2011-12-29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낙하추진장치를 구비한 석션 앵커 말뚝 및 낙하추진장치를 이용한 석션 앵커 말뚝의 시공방법
KR20110139963A (ko) * 2010-06-24 2011-12-3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수중 부유식 방파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9053B1 (ko) * 2020-01-29 2021-01-28 한국전력기술 주식회사 계류 장치
CN112141268A (zh) * 2020-09-14 2020-12-29 大连理工大学 一种基于仿生学的新型动力式鱼雷锚及其安装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2212B1 (ko) 2017-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442979B (zh) 具有可压舱旋转对称外壳和船井的开采单元
KR101722212B1 (ko) 앵커
RU2011141271A (ru) Судно или плавучая конструкция, работающая в покрытых льдом водах, и способ его использования
JP2013519568A (ja) ムーンプールにおける流動抵抗を軽減するための装置
KR101982927B1 (ko) 수권 모니터링 시스템 및 수권 모니터링 장치
US20210114693A1 (en) Lagoon
JP2008074297A (ja) 浮体構造物
CN105764790A (zh) 摇动减少装置及具备该摇动减少装置的浮体
JP5357466B2 (ja) 液化ガス運搬船
JP4302668B2 (ja) 高波浪用ブイ
JP6002474B2 (ja) レーダアンテナ装置
KR20160019167A (ko) 선박용 씨 체스트 커버
CN107531316A (zh) 漂浮单元和稳定该漂浮单元的方法
KR101722179B1 (ko) 앵커
KR101722186B1 (ko) 자유 낙하형 드랍 앵커
CN108071096A (zh) 能调节浮力的护舷
KR101636044B1 (ko) 회전 가능한 그리드를 구비한 선박
PL417798A1 (pl) Napęd strumieniowy jednostki pływającej
KR20160001006A (ko) 선박
KR101616414B1 (ko) 스러스터를 구비하는 선박
JP4894243B2 (ja) 加圧浮上装置
JP6143709B2 (ja) 潮流発電装置
KR101606926B1 (ko) 수상 구조물 결속체
KR101722075B1 (ko) 반잠수 구조물의 프로텍션 장치
KR101626344B1 (ko) 워터제트를 이용한 부유물의 위치 제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