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39963A - 수중 부유식 방파제 - Google Patents

수중 부유식 방파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39963A
KR20110139963A KR1020100060103A KR20100060103A KR20110139963A KR 20110139963 A KR20110139963 A KR 20110139963A KR 1020100060103 A KR1020100060103 A KR 1020100060103A KR 20100060103 A KR20100060103 A KR 20100060103A KR 20110139963 A KR20110139963 A KR 201101399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fa block
inlet
outlet
sea
sea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01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85716B1 (ko
Inventor
정순용
정승진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601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5716B1/ko
Publication of KR201101399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99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57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57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 E02B3/062Constructions floating in operational condition, e.g. breakwaters or wave dissipating wa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1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at coastal zones; at river basins
    • Y02A10/11Hard structures, e.g. dams, dykes or breakwa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중 부유식 방파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그 상단부가 수면의 아래에 배치되도록 하여 미관을 개선하고 방파제 위에서 작은 선박의 항해나 레저활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수중 부유식 방파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그 상부와 하부로 해수의 자유로운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단부가 해수면 아래에 위치하고, 파랑에 의한 에너지를 저감하며 부력을 가지는 중공형의 소파블록; 해저면 아래에 매립되어 고정되거나 해저면 부근에 설치되어 자중으로 위치고정되는 고정앵커; 및, 상기 소파블록과 상기 앵커체를 서로 연결하며 상기 소파블록의 부력에 의한 수직방향의 이동과 파랑에너지에 의한 수평이동을 제한하는 계류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부유식 방파제를 제공한다.
일정규모 이상의 선박은 그 이동을 위한 일정 수심확보가 반드시 필요하므로 정해진 항로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수심확보의 필요성을 위해 부유식 방파제는 상기 일정규모 이상의 항해에 지장을 주지 않는 위치에 설치되게 되므로 부유식 방파제의 상단면이 수중에 위치하게 되면 규모가 작은 배의 항해 레저활동이 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미관상 좋고 소파블록 위에서 작은 배의 항해하거나 레저활동이 가능한 수중 부유식 방파제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작은 배의 통행이나 레저할동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근해를 보다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게 해주는 수중 부유식 방파제를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이다.

Description

수중 부유식 방파제{Underwater Breakwater}
본 발명은 수중 부유식 방파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그 상단부가 수면의 아래에 배치되도록 하여 미관을 개선하고 방파제 위에서 작은 선박의 항해나 레저활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수중 부유식 방파제에 관한 것이다.
방파제란 외해로부터 끊임없이 밀려들어오는 파랑의 진입을 차단하여 항만 내 해수면의 정온을 유지함으로써 항만 내의 각종 시설물과 항만에 정박하고 있는 선박들의 안전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항만 구조물로서, 방파제를 시공할 때에는 방파제의 시공 위치, 최대 파랑의 크기, 지반조건 및 시공방법 등을 고려하여 어떤 특정한 항만에 적합한 방파제를 선택하게 된다.
방파제의 형태는 크게 중력식(고정식) 방파제와 부유식 방파제로 나눌 수 있는데, 중력식 방파게는 콘크리트 구조체 또는 암석 등을 해양에 투석하여 해저로부터 제방을 쌓아 올리는 형태이고, 부유식 방파제는 부유식 구조물을 해안에 정렬시켜 부유식 구조물이 방파제로서의 역할을 하게 하는 방파제이다.
중력식 방파제의 경우 외해로부터 입사되는 파랑을 효과적으로 막아주는 장점은 있으나 연약지반에 시공할 경우에는 지반을 보강하기 위한 공사가 추가로 진행되어야 하므로 비용 및 공기가 긴 단점이 있고, 그나마 수심이 깊은 곳에는 시공이 매우 어려운 단점 또한 가지고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중력식 방파제는 시공비용이 고가이고 공사기간이 길어 비경제적이며 내항과 외항의 해수 순환이 차단됨으로 인해 내항의 수질이 악화되는 등 환경오염을 유발하는 문제가 있다. 더욱이 방파제 구조물로 인하여 선박의 시계확보가 불안전하고 항구의 조망권을 차단하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부유식 방파제에 대한 연구와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부유식 방파제의 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유식 방파제는 일반적으로 소파블록(1), 계류수단(2) 및 고정앵커(3)로 구성된다.
상기 소파블록(1)은 내부에 중공부를 가져 부력을 가지게 되며 강구조물이나 철근콘크리트 구조물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고정앵커(3)는 해저면 아래에 매립되어 고정되거나 해저면 부근에 설치되어 자중으로 고정될 수 있는데 도 1에 도시된 고정앵커는 해저면 아래에 매립된 형태이다.
이처럼 종래의 부유식 방파제는 그 상단부가 해수면 위로 노출되어 있어서 미관상 바람직하지 못하고 그 위로 작은 배가 지나다니거나 서핑 등의 레저활동을 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부유식 방파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작은 배의 통행이나 레저할동이 가능한 수중 부유식 방파제를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이다.
전술한 과제의 해결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그 상부와 하부로 해수의 자유로운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단부가 해수면 아래에 위치하고, 파랑에 의한 에너지를 저감하며 부력을 가지는 중공형의 소파블록;
해저면 아래에 매립되어 고정되거나 해저면 부근에 설치되어 자중으로 위치고정되는 고정앵커; 및,
상기 소파블록과 상기 앵커체를 서로 연결하며 상기 소파블록의 부력에 의한 수직방향의 이동과 파랑에너지에 의한 수평이동을 제한하는 계류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부유식 방파제를 제공한다.
상기 소파블록에는,
파도가 밀려오는 주파향에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제1유입구와, 상기 소파블록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1유출구와, 상기 유입구와 유출구를 서로 연결하며 상기 소파블록을 관통하는 제1연결공이 마련되어,
파랑에 의해 밀려온 해수가 상기 제1유입구를 통해 상기 제1관통공으로 유입된 후 상기 제1유출구를 통해 토출됨으로써 상기 소파블록의 상부로 이동하는 해수의 흐름을 교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파도가 밀려오는 주파향에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제2유입구와, 상기 소파블록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2유출구와, 상기 제2유입구와 제2유출구를 서로 연결하며 상기 소파블록을 관통하는 제2연결공이 마련되어,
파랑에 의해 밀려온 해수가 상기 제2유입구를 통해 상기 제2관통공으로 유입된 후 상기 제2유출구를 통해 토출됨으로써 상기 소파블록의 하부로 이동하는 해수의 흐름을 교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유입는 여러 개의 제1유출구와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제1연결공이 분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유입구는 여러 개의 제2유출구와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제2연결공이 분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연결공 또는 제2연결공은 유입구에서 유출구로 갈수록 통수단면적이 점차 줄어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정규모 이상의 선박은 그 이동을 위한 일정 수심확보가 반드시 필요하므로 정해진 항로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수심확보의 필요성을 위해 부유식 방파제는 상기 일정규모 이상의 항해에 지장을 주지 않는 위치에 설치되게 되므로 부유식 방파제의 상단면이 수중에 위치하게 되면 규모가 작은 배의 항해 레저활동이 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미관상 좋고 소파블록 위에서 작은 배가 항해하거나 레저활동이 가능한 수중 부유식 방파제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부유식 방파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수중 부유식 방파제의 소파블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소파블록을 이용한 수중 부유식 방파제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수중 부유식 방파제의 소파블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소파블록을 이용한 수중 부유식 방파제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본 발명의 첫번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수중 부유식 방파제의 소파블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소파블록을 이용한 수중 부유식 방파제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수중 부유식 방파제는 소파블록(10), 고정앵커(30) 및 계류수단(20)으로 구성된다.
상기 소파블록(10)은 그 내부에 중공부 혹은 그 내부 또는 외부에 부력을 발생하기 위한 구성을 가짐으로써 물에 뜨는 구조물이다.
상기 소파블록(10)은 그 상부와 하부를 통하여 자유로운 해수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그 상단부가 해수면 아래에 위치한다.
도 2에 도시된 소파블록(10)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상기 소파블록(10)은 철근콘크리트 구조물로서 전체적으로 직육면체 형상을 취하고 있다. 도 2는 소파블록(10)의 일부를 제거한 도면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유입구(11), 제1유출구(12), 제1연결공(13), 중공부(14)가 마련되어 있다. 도 2에 그 형태가 도시된 제1유입구(11), 제1유출구(12) 및 제1연결공(13) 및 중공부(14)는 하나의 단면에 마련되어 있는 것을 도시한 것이며 일정간격으로 계속해서 형성되어 있다. 그 형상의 경우 도 2의 단면에 나타난 것과 동일하게 할 수도 있고 조금씩 변형을 줄 수도 있으나 제작상의 편의를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모두 동일한 것으로 본다.
상기 중공부(14)는 부력을 발생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공기로 채워질 수도 있고, 발포스티렌 수지 등 경량의 구성물로 채워질 수도 있다.
상기 제1유입구(11)는 파도가 밀려오는 주파향에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다시 말해 소파블록(10) 중 파도가 밀려오는 방향을 마주하고 있는 면에 마련된다.
상기 제1유출구(12)는 상기 소파블록(10)의 상부 즉, 소파블록(10) 중 해수면쪽에 배치된 면에 마련된다. 도 2에 a로 표시한 화살표가 해수면 방향이다.
상기 제1연결공(13)은 상기 제1유입구(11)와 제1유출구(12)를 서로 연결하며 제1유입구(11)를 통해 유입된 해수가 제1유출구(12)를 통해 토출될 수 있도록 하는 해수의 이동통로이다.
도면상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연결공(13)은 제1유입구(11)에서 제1유출구(12) 쪽으로 갈수록 통수단면적이 적어지도록 구성되어 있어서 제1유입구(11)로 유입된 해수가 제1유출구(12)쪽으로 갈수록 유동속도가 빨라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제1연결공(13)은 하나의 제1유입구(11)와 여러 개의 제1유출구(12)를 서로 연결하도록 분기되어 있다.
상기 고정앵커(20)는 해저면 아래에 매립되어 고정되거나 해저면에 배치되어 자중으로 위치가 고정된다. 도 2 상에 좌측에 있는 고정앵커(20)는 해저면 아래에 매립되어 있는 형태의 고정앵커(20)이고, 우측에 있는 고정앵커(20)는 해저면에 배치되어 자중으로 위치고정되는 고정앵커(20)이다. (해저면 아래에 매립되는 형태를 일반적으로 앵커라고 하고, 해저면에 위치고정되는 형태를 일반적으로 싱커라고 한다.) 고정앵커(20)의 두 가지 형태를 모두 설명하기 위하여 하나의 도면에 두 가지 형태의 고정앵커(20)을 사용한 상태를 도시하였으나, 실제로는 동일한 형태의 고정앵커(20)들이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 계류수단(30)은 상기 소파블록(10)과 상기 고정앵커(20)를 서로 연결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계류수단은 통상 연성인 케이블 혹은 체인을 이용하거나, 강성인 자켓 구조물이나 모노파일 혹은 무리말뚝 등을 이용한다.
이하에서는 구성이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따른 수중 부유식 방파제의 기능,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소파블록(10)은 파랑에 의한 에너지를 저감함으로써 상기 소파블록(10)이 설치된 지점을 기준으로 외해의 높은 파랑 에너지가 내해에 전달되지 않도록 한다. 그러한 의미에서 도 3에는 소파블록(10)을 기준으로 내해쪽인 좌측은 그 파가 작게 도시되어 있고, 외해쪽인 우측은 그 파가 크게 되시되어 있다. 소파블록(10)이라는 명칭도 소파저감하기 위하여 파를 소산한다는 의미에서 붙여졌다.
본 발명에서 상기 소파블록(10)의 상단부는 해수면 아래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는데 그러한 배치로 인해 일단 소파블록(10)이 해수면 위로 노출되지 않으므로 우선 미관상 콘크리트 구조물이나 강구조물이 해수면의 위에 떠있는 경우에 비하여 훨씬 바람직한 효과가 발생한다.
또한, 소파블록(10)의 상단부가 해수면 아래에 위치하면서도 충분히 충분히 파랑 에너지를 소산하기에 충분한 소파블록(10)의 수심(소파블록(10)의 상단부로부터 해수면까지의 거리)에 비해 그 운행에 필요한 수심이 작은 배의 경우에는 소파블록(10)의 상부로 이동할 수 있으므로 특정지점으로 이동하기 위해 소파블록(10)들을 우회하지 않고 보다 짧은 경로로 운행할 수 있는 장점이 생기고, 레저활동을 할 수 있는 공간이 보다 넓어져서 근해를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도 발생한다.
상기 제1유입구(11), 제1유출구(12) 및 제1연결공(13)은 소파블록(10)으로 입사하는 해수의 유동로가 됨으로써 파랑 에너지를 보다 효율적으로 소산하게 한다. 해수의 별도로 바이패스 되는 경로 없이 소파블록(10)에 모두 부딪히는 경우 소파블록(10)과 연결된 계류수단(30)이 소파블록(10)의 수평방향 이동을 제한하기 위해 큰 하중을 지탱해야 하는 등의 문제가 생기게 되는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수의 일부가 제1유입구(11), 제1연결공(13) 및 제1유출구(12)를 통해 이동함으로써 파랑 에너지의 일부가 운동에너지 혹은 마찰에너지로 소진되는 효과가 발생하고 제1유출구(12)로 토출된 해수가 소파블록(10)으로 입사한 해수와 만나는 과정에서 교란이 발생함으로써 파랑 에너지가 더욱 효율적으로 소산되는 효과가 발생한다. 도 3에서 중공부(14)는 도시상의 편의를 위하여 생략되었다.
이때, 제1연결공(13)은 제1유출구(12) 쪽으로 갈수록 그 통수단면적이 작아지도록 구성되어 있어서 해수의 이동속도가 점점 커지게 되며 그 운동에너지는 제1유출구(12)를 통해 토출될 때 최고가 된다. 제1유출구(12)를 통해 토출되는 해수의 운동방향과 소파블록(10)을 향해 입사하는 해수의 운동방향은 서로 다르고 이 운동방향이 다른 해수가 만나면서 해수의 교란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파랑 에너지가 저감하게 되는데 보다 효율적인 교란을 만들기 위해서는 제1유출구(12)를 통해 토출되는 해수의 운동에너지를 극대화할 필요가 있으며 이는 제1연결공(13)의 통수단면적을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구성하는 것으로부터 획득할 수 있는 성질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수중 부유식 방파제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수중 부유식 방파제의 소파블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소파블록을 이용한 수중 부유식 방파제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수중 부유식 방파제는 소파블록(110), 고정앵커(120) 및 계류수단(130)으로 구성된다.
상기 소파블록(110)은 그 내부에 중공부 혹은 그 내부 또는 외부에 부력을 발생하기 위한 구성을 가짐으로써 물에 뜨는 구조물이다. 상기 소파블록(110)은 그 상부와 하부를 통하여 자유로운 해수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그 상단부가 해수면 아래에 위치한다.
도 4에 도시된 소파블록(110)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상기 소파블록(110)은 철근콘크리트 구조물로서 전체적으로 직육면체 형상을 취하고 있다. 도 2는 소파블록(110)의 일부를 제거한 도면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유입구(111), 제2유출구(112), 제2연결공(113), 중공부(114)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제2유입구(111), 제2유출구(112), 제2연결공(113), 중공부(114)는 앞선 실시예의 제1유입구(11), 제1유출구(12), 제1연결공(13), 중공부(14)와 대동소이하고 그 배치에 있어서만 상이하므로 다른 점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2유입구(111)는 파도가 밀려오는 주파향에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다시 말해 소파블록(110) 중 파도가 밀려오는 방향을 마주하고 있는 면에 마련된다.
상기 제2유출구(112)는 상기 소파블록(110)의 하부 즉, 소파블록(110) 중 해저면쪽에 배치된 면에 마련된다. 도 4에 b로 표시된 화살표가 가르키는 방향이 상면 방향 즉, 소파블록(110)이 배치되었을때, 해수면 방향이다.
상기 제2연결공(113)은 상기 제2유입구(111)와 제2유출구(112)를 서로 연결하며 제2유입구(111)를 통해 유입된 해수가 제2유출구(112)를 통해 토출될 수 있도록 하는 해수의 이동통로이다.
도면상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연결공(113)은 제2유입구(111)에서 제2유출구(112) 쪽으로 갈수록 통수단면적이 적어지도록 구성되어 있어서 제2유입구(111)로 유입된 해수가 제2유출구(112)쪽으로 갈수록 유동속도가 빨라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제2연결공(113)은 하나의 제2유입구(111)와 여러 개의 제2유출구(112)를 서로 연결하도록 분기되어 있다.
상기 고정앵커(120)는 해저면 아래에 매립되어 고정되거나 해저면에 배치되어 자중으로 위치고정된다. 도 4에 좌측에 있는 고정앵커(20)는 해저면 아래에 매립되어 있는 형태의 고정앵커(120)이고, 우측에 있는 고정앵커(120)는 해저면에 배치되어 자중으로 위치고정되는 고정앵커(120)이다.(시공 방법에 의하여 구분된 명칭으로는 해저면 아래에 매립되는 형태를 일반적으로 앵커라고 하고, 해저면에 위치고정되는 형태를 일반적으로 싱커라고한다)
상기 계류수단(130)은 상기 소파블록(110)과 상기 고정앵커(120)을 서로 연결하는 구성이다.
이하에서는 구성이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따른 수중 부유식 방파제의 기능,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소파블록(110)은 파랑에 의한 에너지를 저감함으로써 상기 소파블록(110)이 설치된 지점을 기준으로 외해의 높은 파랑 에너지가 내해에 전달되지 않도록 한다. 그러한 의미에서 도 3에는 소파블록(110)을 기준으로 내해쪽인 좌측은 그 파가 작게 도시되어 있고, 외해쪽인 우측은 그 파가 크게 되시되어 있다. 소파블록(110)이라는 명칭도 소파저감하기 위하여 파를 소산한다는 의미에서 붙여졌다.
본 발명에서 상기 소파블록(110)의 상단부는 해수면 아래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는데 그러한 배치로 인해 일단 소파블록(110)이 해수면 위로 노출되지 않으므로 우선 미관상 콘크리트 구조물이나 강구조물이 해수면의 위에 떠있는 경우에 비하여 훨씬 바람직한 효과가 발생한다.
또한, 소파블록(110)의 상단부가 해수면 아래에 위치하면서도 충분히 충분히 파랑 에너지를 소산하기에 충분한 소파블록(110)의 수심(소파블록(110)의 상단부로부터 해수면까지의 거리)에 비해 그 운행에 필요한 수심이 작은 작은 배의 경우에는 소파블록(110)의 상부로 이동할 수 있으므로 특정지점으로 이동하기 위해 소파블록(110)들을 우회하지 않고 보다 짧은 경로로 운행할 수 있는 장점이 생기고, 레저활동을 할 수 있는 공간이 보다 넓어져서 근해를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도 발생한다.
상기 제2유입구(111), 제2유출구(112) 및 제2연결공(113)은 소파블록(110)으로 입사하는 해수의 유동로가 됨으로써 파랑 에너지를 보다 효율적으로 소산하게 한다. 해수의 별도로 바이패스 되는 경로 없이 소파블록(110)에 모두 부딪히는 경우 소파블록(110)과 연결된 계류수단(130)이 소파블록(110)의 수평방향 이동을 제한하기 위해 큰 하중을 지탱해야 하는 등의 문제가 생기게 되는데 해수의 일부가 제2유입구(111), 제2연결공(113) 및 제2유출구(112)를 통해 이동함으로써 파랑 에너지의 일부가 운동에너지 혹은 마찰에너지로 소진되는 효과가 발생하고 제2유출구(112)로 토출된 해수가 소파블록(110)으로 입사한 해수와 만나는 과정에서 교란이 발생함으로써 파랑 에너지가 더욱 효율적으로 소산되는 효과가 발생한다.
이때, 제2연결공(113)은 제2유출구(112) 쪽으로 갈수록 그 통수단면적이 작아지도록 구성되어 있어서 해수의 이동속도가 점점 커지게 되며 그 운동에너지는 제2유출구(112)를 통해 토출될 때 최고가 된다. 제2유출구(112)를 통해 토출되는 해수의 운동방향과 소파블록(110)을 향해 입사하는 해수의 운동방향은 서로 다르고 이 운동방향이 다른 해수가 만나면서 해수의 교란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파랑 에너지가 저감하게 되는데 보다 효율적인 교란을 만들기 위해서는 제2유출구(112)를 통해 토출되는 해수의 운동에너지를 극대화할 필요가 있으며 이는 제2연결공(113)의 통수단면적을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구성하는 것으로부터 획득할 수 있는 성질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두 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제공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어긋나지 아니하는 범위 안에서 다양한 형태의 수중 부유식 방파제로 구체화될 수 있다.
10 : 소파블록 20 : 고정앵커
30 : 계류수단

Claims (6)

  1. 그 상부와 하부로 해수의 자유로운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단부가 해수면 아래에 위치하고, 파랑에 의한 에너지를 저감하며 부력을 가지는 중공형의 소파블록;
    해저면 아래에 매립되어 고정되거나 해저면 부근에 설치되어 자중으로 위치고정되는 고정앵커; 및,
    상기 소파블록과 상기 앵커체를 서로 연결하며 상기 소파블록의 부력에 의한 수직방향의 이동과 파랑에너지에 의한 수평이동을 제한하는 계류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부유식 방파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파블록에는,
    파도가 밀려오는 주파향에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제1유입구와, 상기 소파블록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1유출구와, 상기 유입구와 유출구를 서로 연결하며 상기 소파블록을 관통하는 제1연결공이 마련되어,
    파랑에 의해 밀려온 해수가 상기 제1유입구를 통해 상기 제1관통공으로 유입된 후 상기 제1유출구를 통해 토출됨으로써 상기 소파블록의 상부로 이동하는 해수의 흐름을 교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부유식 방파제.
  3. 상기 소파블록에는,
    파도가 밀려오는 주파향에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제2유입구와, 상기 소파블록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2유출구와, 상기 제2유입구와 제2유출구를 서로 연결하며 상기 소파블록을 관통하는 제2연결공이 마련되어,
    파랑에 의해 밀려온 해수가 상기 제2유입구를 통해 상기 제2관통공으로 유입된 후 상기 제2유출구를 통해 토출됨으로써 상기 소파블록의 하부로 이동하는 해수의 흐름을 교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부유식 방파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입는 여러 개의 제1유출구와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제1연결공이 분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부유식 방파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유입구는 여러 개의 제2유출구와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제2연결공이 분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부유식 방파제.
  6.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공 또는 제2연결공은 유입구에서 유출구로 갈수록 통수단면적이 점차 줄어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부유식 방파제.
KR1020100060103A 2010-06-24 2010-06-24 수중 부유식 방파제 KR1011857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0103A KR101185716B1 (ko) 2010-06-24 2010-06-24 수중 부유식 방파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0103A KR101185716B1 (ko) 2010-06-24 2010-06-24 수중 부유식 방파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9963A true KR20110139963A (ko) 2011-12-30
KR101185716B1 KR101185716B1 (ko) 2012-09-24

Family

ID=455052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0103A KR101185716B1 (ko) 2010-06-24 2010-06-24 수중 부유식 방파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5716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1893A (ko) * 2015-07-24 2017-02-0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앵커
CN110172950A (zh) * 2019-06-21 2019-08-27 江苏科技大学 月池式阻流消波防护装置和系统
CN111455930A (zh) * 2020-04-26 2020-07-28 重庆交通大学 涌浪消波装置及防波设备
JP2021008806A (ja) * 2019-07-02 2021-01-28 江蘇科技大学Jiangsu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サージ式高効率の新規浮遊式防波堤
CN113226916A (zh) * 2019-01-04 2021-08-06 东元钢铁株式会社 海上结构物用浮体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2154B1 (ko) * 2020-07-10 2021-05-14 에스오씨기술지주 주식회사 부유식 선박 계류장
KR102650017B1 (ko) 2022-03-18 2024-03-22 홍창배 서핑 환경을 조성하는 인공서핑리프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7236B1 (ko) 2001-12-22 2007-11-19 주식회사 포스코 부유식 방파제
JP2004204609A (ja) * 2002-12-26 2004-07-22 Taiyo Kogyo Corp 膜構造潜堤
KR100542331B1 (ko) 2005-09-07 2006-01-11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수중 수평판을 구비한 부방파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1893A (ko) * 2015-07-24 2017-02-0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앵커
CN113226916A (zh) * 2019-01-04 2021-08-06 东元钢铁株式会社 海上结构物用浮体
CN110172950A (zh) * 2019-06-21 2019-08-27 江苏科技大学 月池式阻流消波防护装置和系统
CN110172950B (zh) * 2019-06-21 2023-10-03 江苏科技大学 月池式阻流消波防护装置和系统
JP2021008806A (ja) * 2019-07-02 2021-01-28 江蘇科技大学Jiangsu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サージ式高効率の新規浮遊式防波堤
CN111455930A (zh) * 2020-04-26 2020-07-28 重庆交通大学 涌浪消波装置及防波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85716B1 (ko) 2012-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5716B1 (ko) 수중 부유식 방파제
KR101207609B1 (ko) 부유식 방파제
JP5563103B2 (ja) ムーンプールにおける流動抵抗を軽減するための装置
KR20140066666A (ko) 모듈식 반-잠수식 구조체 및 이러한 구조체를 만드는 방법
KR101291326B1 (ko) 쇄파능력이 향상된 콘크리트 부유식 방파제
CN105696517A (zh) 新型漂浮式防波堤
KR101104030B1 (ko) 부유식 방파제
CN104727279A (zh) 一种复合材料漂浮式网状拦截系统及施工方法
CN205501929U (zh) 新型漂浮式防波堤
CN114207218A (zh) 浮动式防波堤结构
CN113152363B (zh) 一种应用于大涌浪状态的超大型浮式防浪堤
JP5067703B1 (ja) 海上浮揚式消波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海波減衰システム
CN106218830A (zh) 一种可设置宽浮箱的张力腿平台
KR101094520B1 (ko) 부유식 방파제
CN203878535U (zh) 一种桥梁防撞装置
JP3221119U (ja) 消波機能付き魚礁
KR101613216B1 (ko) 반잠수식 해양 구조물의 앵커링 시스템
CN204510153U (zh) 一种复合材料漂浮式网状拦截系统
KR20130070174A (ko) 계류시설
KR101522923B1 (ko) 다목적 해양 인공구조물
KR100544571B1 (ko) 부유식 해상 마리나 구조물
KR101974243B1 (ko) 수직제어가 가능한 부유식 방파제 및 그 제어방법
KR101131879B1 (ko) 인공 수초를 이용한 부유식 방파제
KR101131423B1 (ko) 가변형 해류투과식 부유방파제
WO2023073625A1 (en) Novel waterborne structure for supporting offshore activit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