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9053B1 - 계류 장치 - Google Patents

계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9053B1
KR102209053B1 KR1020200010492A KR20200010492A KR102209053B1 KR 102209053 B1 KR102209053 B1 KR 102209053B1 KR 1020200010492 A KR1020200010492 A KR 1020200010492A KR 20200010492 A KR20200010492 A KR 20200010492A KR 102209053 B1 KR102209053 B1 KR 1022090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 floor
weight structure
connecting member
anchor
moo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04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영종
김종길
김주영
전철규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기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기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기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104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9053B1/ko
Priority to PCT/KR2020/003279 priority patent/WO2021153845A1/ko
Priority to EP20916575.2A priority patent/EP4098538A4/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90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90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50Anchoring arrangements or methods for special vessels, e.g. for floating drilling platforms or dred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24Anchors
    • B63B21/26Anchors securing to bed
    • B63B21/29Anchors securing to bed by weight, e.g. flukeless weight anch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7Offshore wind turbin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Wind Mo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계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계류 장치는, 중력에 의해 가라앉아 해저면에 안착되는 중량구조물; 해저면에 정착되어 부유체를 앵커링하는 앵커부; 일단부는 상기 부유체에 연결되고, 상기 중량구조물에 마련된 방향전환부를 경유하여 연장 방향이 변경되고, 타단부는 상기 앵커부에 연결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계류 장치{Mooring Apparatus}
본 발명은 계류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부유식 해상 풍력 발전기를 계류시키는데 사용되는 계류 장치에 관한 것으로, 깊은 수심에서도 계류에 소요되는 연결부재의 길이를 최소화하고 설치 면적을 최소화하면서도, 부유체를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계류시킬 수 있도록 한 계류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부유식 해상 풍력 발전기에서 부유체를 고정하는 위해서 크게 2가지 방식이 사용된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하나는 해저면(1)에 다수의 앵커(2)를 여러 방향으로 끌어서 해저면 깊숙히 박아 넣고, 각각을 계류 체인(또는 계류 로프)(3)를 이용하여 사선으로 부유체(4)(소위 Spar type 또는 Semi-submisible type에서의 부유체)와 연결하는 현수선 방식(Catenary Type)이다. 그리고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머지 하나는 해저면(1)에 앵커(2)를 고정하고, 상기 앵커(2)로부터 수직한 방향으로 계류 체인(또는 계류 로프)(3)를 연장시켜서 텐션(tension)을 유지하여 부유체(소위 TLP type(Tension Lag Platform type)를 계류시키는 인장식 방식(Taut Type)이다.
현수식 방식은 수심이 깊은 경우, 계류선의 길이가 크게 증가하여 경제성이 저하되고, 계류선이 사선으로 연장되어 설치되므로 부유식 해상 풍력 발전기를 설치하기 위한 설치면적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한편, 인장식 방식은, 계류선이 수직으로 연결되므로 자재비의 경제성이 우수하나, 앵커의 지지력이 약화되는 경우 상부에 있는 부유체의 안정성에 문제를 야기할 수 있고, 부유식 해상 풍력 발전기가 전복될 가능성이 있다. 또한, 앵커의 지지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별도의 고정장치를 부가하여야 하며, 이는 계류 장치의 설치를 복잡하게 하고 비용을 증가시키는 단점이 있다.
일본 공개실용신안공보 평07-004288호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요구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부유식 해상 풍력 발전기를 계류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는 계류 장치에 관한 것으로, 깊은 수심에서도 계류에 소요되는 연결부재의 길이를 최소화하고 설치 면적을 최소화하면서도, 부유체를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계류시킬 수 있도록 한 계류 장치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계류장치는, 중력에 의해 가라앉아 해저면에 안착되는 중량구조물; 해저면에 정착되어 부유체를 앵커링하는 앵커부; 일단부는 상기 부유체에 연결되고, 상기 중량구조물에 마련된 방향전환부를 경유하여 연장 방향이 변경되고, 타단부는 상기 앵커부에 연결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방향전환부는, 상방향으로 개방된 제1 개방구, 측방향으로 개방된 제2 개방구, 및 상기 제1 개방구와 상기 제2 개방구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연결부재의 연장 방향을 전환하는 휠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중량구조물은 정다각형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방향전환부는 상기 정다각형의 중심에서 각 꼭지점을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연결부재의 연장 방향이 전환되도록 복수 개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방향전환부는, 상기 연결부재가 관통하여 지나갈 수 있도록, 상방향으로 개방된 입구부와 측방향으로 개방된 출구부가 서로 연결된 관형으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해저면에 박혀서 고정되도록, 상기 중량구조물의 저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중량구조물의 저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해저면에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스크류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중량구조물의 가장자리 저면에 복수개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방향전환부는, 상기 중량구조물에 마련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회전부; 상기 회전부의 일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연결부재가 내측으로 걸려서 연장되도록 하는 걸림부; 및 상기 회전부의 타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연결부재의 장력에 의해 상기 회전부가 회전할 때 상기 해저면에 정착되는 정착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중량구조물은, 중심부에 보조중량물이 채워지는 공간부를 형성한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의 외면에 방사상으로 결합되어 상기 해저면에 안착되는 안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방향전환부는 상기 안착부에 각각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계류 장치는, 중량구조물에 마련된 방향전환부에 의해 상기 중량구조물로부터 부유체(예컨대, 부유식 해상 풍력 발전기를 위한 부유체)까지는 연결부재가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연결되고, 상기 중량구조물로부터 앵커부까지는 해저면에 접하는 방향으로 상기 연결부재가 연장되어 앵커링되므로, 기술적 안정성 및 경제성이 현저히 향상된다.
즉, 깊은 수심에서도 계류에 소요되는 연결부재를 최소화하고, 부유체로부터 중량구조물까지는 상기 연결부재가 수직으로 연결되므로 부유식 해상 풍력 발전기의 설치에 소요되는 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량구조물로부터 앵커부까지는 해저면에 접하는 수평 방향으로 상기 연결부재가 연장되어서 앵커부에 의한 접지력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으므로, 부유체를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계류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1 및 도2는 종래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기의 계류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류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4는 도3의 평면도,
도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다른 계류장치의 정면도,
도6은 도5의 평면도,
도7 내지 도9는 중량구조물에 고정부가 결합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10은 다른 형태의 방향전환부가 적용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11은 다른 형태의 중량구조물이 작용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12 내지 도15는 중량구조물의 외형의 변형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류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4는 도3의 평면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다른 계류장치의 정면도이고, 도6은 도5의 평면도이다. 도7 내지 도9는 중량구조물에 고정부가 결합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10은 다른 형태의 방향전환부가 적용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11은 다른 형태의 중량구조물이 작용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12 내지 도15는 중량구조물의 외형의 변형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계류 장치(100)는, 수면에 부유하는 부유체를 계류시키는 장치와 관련된다. 본 발명의 계류 장치(100)는, 해수면에 부유하는 부유식 해상풍력 발전기를 고정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계류 장치(100)는, 중량구조물(10), 앵커부(20), 및 연결부재(30)를 포함한다.
상기 중량구조물(10)은 중력에 의해 가라앉아 해저면에 안착된다. 상기 중량구조물(10)은 부유식 해상 풍력발전기와 같은 부유체를 고정할 수 있을 정도의 중량을 갖는다. 상기 중량구조물(10)은 철근 콘크리트로 또는 철골 콘크리트로 제작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중량구조물(10)의 재질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중량구조물(10)의 상부에는 인양 및 설치를 위한 러그(50)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중량구조물(10)은 연결부재(30)의 연장 방향을 변경하는 방향전환부(11)를 구비한다. 상기 방향전환부(11)는, 상기 방향전환부(11)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는 상기 연결부재(30)의 부분은 상기 부유체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수직하게 배치되도록 하고, 상기 방향전환부(11)에 의해 상기 해저면을 향하여 연장되는 부분은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배치되도록 한다.
상기 앵커부(20)는 상기 해저면에 정착되어 상기 부유체를 앵커링하기 위해서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앵커부(20)는 복수 개가 마련되어 상기 해전면에 정착되어 상기 중량구조물(10)과 함께 상기 부유체를 계류시킨다.
상기 연결부재(30)는, 상기 앵커부(20)와 상기 부유체를 연결하는 구성이다. 상기 연결부재(30)는 통상적으로 계류 장치에 채용되는 체인 또는 와이어로프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30)의 일단부는 상기 부유체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앵커부(20)에 연결된다. 이때, 상기 연결부재(30)는 상기 중량구조물(10)에 마련된 방향전환부(11)를 경유하면서 방향이 연장 방향이 변경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중량구조물(10)은 정다각형 구조로 형성된다. 상기 방향전환부(11)는, 상기 정다각형의 중심에서 각 꼭지점을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연결부재(30)의 연장 방향이 전환되도록 한다. 즉, 수직 하방 연장되는 상기 연결부재(30)는, 상기 방향전환부(11)에 의해 그 연장 방향이 상기 중량구조물(10)의 측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전환된다. 상기 해저면이 수평한 경우, 상기 방향전환부(11)는 연장결부재(30)의 연장 방향을 수평 방향으로 전환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량구조물(10)은 정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방향전환부(11)에 의해 연결부재(30)는 화살표 방향으로 나아가게 된다. 물론, 도12 내지 도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량구조물(10)의 형상은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육각형 등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상기 방향전환부(11)는 상기 중량구조물(10)에 복수 개가 마련되고, 상기 연결부재(30)는 각 방향전환부(11)를 경유하도록 복수개 마련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방향전환부(11)는 제1 개방구(111), 제2 개방구(112), 및 휠부(113)를 포함한다.
상기 제1 개방구(111)는 상방향으로 개방된 부분으로, 상기 제1 개방구(111)를 통해 상기 연결부재(30)는 상방으로 수직하게 연장된다.
상기 제2 개방구(112)는 측방향으로 개방된 부분으로, 상기 제2 개방구(112)를 통해 상기 연결부재(30)는 측방향으로 수평하게 연장된다.
상기 휠부(113)는, 상기 제1 개방구(111)와 상기 제2 개방구(112)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연결부재(30)의 연장 방향을 전환한다. 상기 휠부(113)는 상기 연결부재(30)와 접촉된다. 즉, 상기 연결부재(30)는 상기 휠부(113)에서 그 방향이 꺾여서 변경된다.
이하, 상기 구성에 따른 계류 장치(100)의 작용 내지 효과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계류 장치(100)는, 중량구조물(10)의 방향전환부(11)에 의해 연결부재(30)의 연장 방향이 변경된다. 상기 연결부재(30)는 부유체로부터 상기 중량구조물(10)까지는 수직 하방으로 연장된다.
또한, 상기 중량구조물(10)로부터 상기 앵커부(20)까지의 상기 연결부재(30)는 수평으로 연장된다. 이러한 구조는 소위 계류 방식에 있어서, 현수선 방식(Catenary Type)과 인장식 방식(Taut Type)을 동시에 구현하여 각 방식의 장점을 동시에 제공하는 효과를 작용한다.
구체적으로, 현수선 방식은 계류용 체인(또는 계류용 로프)을 부유체로부터 해저면까지 사선으로 설치하여 부유체를 계류시키는 방식이다. 체인이 사선으로 연장되는 방식이기 때문에 수심이 깊은 경우에 필요한 체인 내지 로프의 길이가 길어져 비용이 증가하고, 부유식 해상 풍력발전기의 점유 및 사용 면적을 증가시켜서 사용료를 증가시키며, 어선들의 어업 활동에도 직접적인 방해가 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한편, 인장식 방식은 계류용 체인(또는 계류용 로프)을 부유체로부터 해저면까지 수직으로 설치하여 부유체를 계류시키는 방식이다. 체인이 수직으로 연장되는 방식이므로, 부유식 풍력발전기의 배치 면적을 축소시킬 수 있고, 어업 활동에 방해가 적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해저면에 체인을 수직으로 단단히 고정하고, 인장력을 강하게 유지하도록 설치해야 하는 기술적 문제점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연결부재(30)는 상기 부유체로부터 상기 방향전환부(11)까지 해저면에 중력에 의해 가라앉는 중량구조물(10)에 의해 수직으로 배치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인장식 계류 방식의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수직으로 연결부재(30)를 배치하므로, 고가의 연결부재(30)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부유식 해상 풍력발전기에 소요되는 공유수면의 점유 내지 사용 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어선들의 어업 활동을 지나치게 방해하지 않는 장점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연결부재(30)는 상기 방향전환부(11)로부터 상기 앵커부(20)까지는 해저면에 접하여 연장된다. 상기 연결부재(30)가 해저면에 접하여 연장고, 상기 연장부재(30)의 단부에 앵커부(20)가 결합되므로, 앵커지점(Anchor Point)에서 인장력은 수직 또는 사선으로 작용하지 않고 수평으로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고정력을 높여 계류 장치(100)의 안정성을 향상시킨다.
이와 같이 해저면에 접하여 연결부재(30)를 연장시키고 그 단부에 앵커부(20)가 마련되므로, 깊은 수심에서도 충분한 고정력을 갖도록 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인장식 방식과 같이 고정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별도의 복잡한 고정장치를 부가할 필요없이 간편하게 시공 설치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계류 장치(100)는, 수직 인장력을 요구하는 TLP 타입(Tension Leg Platform Type)의 부유식 해상 풍력 발전기에 적용하는 경우 계류 장치를 해저면에 고정해야 하는 고정장치에 대한 기술적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도5 내지 도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계류 장치(100)를 도시한 것이다. 도5 내지 도11의 실시예에 있어서, 도3과 동일한 작용 내지 기능을 하는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며,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5 및 도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계류 장치(100)는 도3의 실시예와 비교하여 방환전환부가 상이하다. 그외 구성은 도3의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방향전환부(11)는, 상기 연결부재(30)가 관통하여 지나갈 수 있도록, 상방향으로 개방된 입구부(114)와 측방향으로 개방된 출구부(115)가 서로 연결된 관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관형의 내부는 완만한 곡면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연결부재(30)가 빠져나올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중량구조물(10)의 상부에는 인양 및 설치를 위한 러그(50)가 형성된다.
상기 연결부재(30)는 상기 관형의 방향 전환부(11)를 통과하면서 연장 방향이 변경된다. 상기 입구부(114)로부터 부유체까지는 수직으로 연장되고, 상기 출구부(115)로부터 앵커부(20)까지는 해저면에 접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은 동일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작용 내지 효과는, 도3에 따른 실시예의 작용 내지 효과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도7 내지 도9에 따른 실시예는, 상기 중량구조물(10)을 해저면에 고정시키기 위해서 고정부(40)를 더 포함한다. 상기 고정부(40)는 상기 해저면에 박혀서 고정되도록 상기 중량구조물(10)의 저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된다.
도7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고정부(40)는 삽입부(41)와 스크류부(42)를 포함한다.
상기 삽입부(41)는 상기 해저면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중량구조물(10)의 저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된다. 상기 스크류부(42)는, 상기 삽입부(41)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나선형의 날개로써, 상기 고정부(40)를 상기 해저면에 쉽게 삽입할 수 있도록 하고, 삽입된 상기 고정부(40)가 상기 해저면으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스크류 형태의 고정부(40)는, 부유체에 의한 부력에 의한 강한 인장력을 버티면서 접지력을 충분히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40)는 파일(Pile) 타입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파일 역시 상기 스크류 타입과 마찬가지로, 부유체의 부력에 의해 형성되는 강한 인장력을 버티고 중량구조물(10)의 접지력을 향상시킨다.
그리고,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40)는 상기 중량구조물(10)의 가장자리 저면에 복수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40)는 콘(Corn) 타입으로 상기 중량구조물(10)의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상기 중량구조물(10)의 수직 방향으로의 접지력을 향상시키고, 상기 연장부재(30)가 상기 중량구조물(10)의 측면으로부터 상기 해저면에 접하는 방향으로 연장될 때의 인장력을 버텨내는 작용을 한다.
도10은, 도3과 비교하여 방향전환부(11)의 구성이 상이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적용된 방향전환부(11)는, 회전부(61), 걸림부(62), 및 정착부(63)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부(61)는 상기 중량구조물(10)에 마련된 회전축(60)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다. 상기 회전부(61)는 상기 회전축(60)이 삽입되는 축공(611)과, 상기 축공(611)에 대하여 서로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회전바(612) 및 제2 회전바(613)를 포함한다.
상기 걸림부(62)는, 상기 회전부(61)의 일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연결부재(30)가 내측으로 걸려서 연장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회전바(612)의 단부에 상기 걸림부(62)가 마련된다. 상기 걸림부(62)로부터 상기 부유체를 향하여 연장되는 상기 연결부재(30)는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걸림부(62)로부터 상기 해저면으로 연장되는 연결부재(30)는 상기 수직한 방향에서 그 방향이 해저면을 향하도록 변경되어 연장된다.
상기 정착부(63)는, 상기 회전부(61)의 타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연결부재(30)의 장력에 의해 상기 회전부(61)가 회전할 때 상기 해저면에 정착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정착부(63)는 상기 제2 회전바(613)에 단부에 결합되고, 갈고리 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2 회전바(613)가 상기 해저면을 파고 들면서 상기 중량구조물(10)을 해저면에 정착시킨다. 상기 회전형의 고정부(40)는, 상기 중량구조물(10)이 수직 방향으로 정착되도록 하면서도, 앵커부(20)에 의해 연결부재(30)가 측면으로 당겨지는 인장력을 충분히 견뎌낼 수 있도록 한다.
도11은, 도3과 비교하여 중량구조물(10)의 구성이 상이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적용된 상기 중량구조물(10)은, 바디부(71) 및 안착부(72)를 포함한다.
상기 바디부(71)는 중심부에 보조중량이 채워지는 공간부(73)가 형성된다.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디부(71)는 내부에 공간이 있는 실린더 형태로 형성된다. 물론, 상기 바디부(71)의 형상은 상기 공간부(73)가 존재하면 족하며, 그 형상은 실린더의 형태로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공간부(73)에는 암석 또는 콘크리트 중량물(74)이 채워질 수 있다. 상기 바디부(71)는 상기 해저면과의 접지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상기한 고정부(40)가 저면에 부가될 수 있다. 상기 바디부(71)의 상면에는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 및 인양을 위한 러그(50)가 배치된다.
상기 안착부(72)는, 상기 바디부(71)의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결합되어 상기 해저면에 안착된다. 상기 안착부(72)에 의해 상기 바디부(71)가 상기 해저면에 접촉하는 면적을 증대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중량구조물(10)는 상기 안착부(72)에 형성된다. 상기 중량구조물(10)의 구성은 상기한 실시예들에 적용된 형태 중 어느 하나가 적용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많은 변형이 제공될 수 있다.
10... 중량구조물 11... 방향전환부
111... 제1 개방구 112... 제2 개방구
113... 휠부 20... 앵커부
30... 연결부재 114... 입구부
115... 출구부 40... 고정부
41... 삽입부 42... 스크류부
50... 러그 60... 회전축
61... 회전부 611... 축공
612... 제1 회전바 613... 제2 회전바
62... 걸림부 63... 정착부
71... 바디부 72... 안착부
73... 공간부 74... 중량물
100... 계류 장치

Claims (9)

  1. 중력에 의해 가라앉아 해저면에 안착되는 중량구조물(10);
    해저면에 정착되어 부유체를 앵커링하는 앵커부(20);
    일단부는 상기 부유체에 연결되고, 상기 중량구조물(10)에 마련된 방향전환부(11)를 경유하여 연장 방향이 변경되고, 타단부는 상기 앵커부(20)에 연결되는 연결부재(30)를 포함하고,
    상기 방향전환부(11)는,
    상기 중량구조물(10)에 마련된 회전축(60)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회전부(61);
    상기 회전부(61)의 일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연결부재(30)가 내측으로 걸려서 연장되도록 하는 걸림부(62); 및
    상기 회전부(61)의 타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연결부재(30)의 장력에 의해 상기 회전부(61)가 회전할 때 상기 해저면에 정착되는 정착부(6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류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량구조물(10)은 정다각형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방향전환부(11)는 상기 정다각형의 중심에서 각 꼭지점을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연결부재(30)의 연장 방향이 전환되도록 복수 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류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해저면에 박혀서 고정되도록, 상기 중량구조물(10)의 저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고정부(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류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40)는,
    상기 중량구조물(10)의 저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해저면에 삽입되는 삽입부(41)와 상기 삽입부(41)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스크류부(4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류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40)는, 상기 중량구조물(10)의 가장자리 저면에 복수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류장치.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량구조물(10)은,
    중심부에 보조중량물이 채워지는 공간부(73)를 형성한 바디부(71); 및
    상기 바디부(71)의 외면에 방사상으로 결합되어 상기 해저면에 안착되는 안착부(72)를 포함하며,
    상기 방향전환부(11)는 상기 안착부(72)에 각각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류장치.
KR1020200010492A 2020-01-29 2020-01-29 계류 장치 KR1022090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0492A KR102209053B1 (ko) 2020-01-29 2020-01-29 계류 장치
PCT/KR2020/003279 WO2021153845A1 (ko) 2020-01-29 2020-03-09 계류 장치
EP20916575.2A EP4098538A4 (en) 2020-01-29 2020-03-09 MOOR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0492A KR102209053B1 (ko) 2020-01-29 2020-01-29 계류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9053B1 true KR102209053B1 (ko) 2021-01-28

Family

ID=742392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0492A KR102209053B1 (ko) 2020-01-29 2020-01-29 계류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4098538A4 (ko)
KR (1) KR102209053B1 (ko)
WO (1) WO2021153845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3710B1 (ko) * 2021-08-09 2022-06-28 주식회사 포어시스 개량형 버킷 앵커의 제조방법 및 설치방법
FR3121654A1 (fr) * 2021-04-09 2022-10-14 Pinarello Yacht Services Dispositif de corps-mort pour l’amarrage de navire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2032466B1 (en) * 2022-07-12 2024-01-25 Itrec Bv Installation follower for installing plate anchors for floating wind turbines of a wind farm
JP7432975B1 (ja) 2023-09-19 2024-02-19 株式会社テラサン 浮体式プラットフォーム、アンカー容器体、浮体、浮体式プラットフォームを水上に設置するための設置方法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288A (ja) 1993-04-02 1995-01-10 Robert Bosch Gmbh 調節装置を位置決めする方法と装置
JPH074288U (ja) * 1993-06-11 1995-01-20 祥永 桜井 横置き係留用アンカー
KR100976615B1 (ko) * 2010-04-09 2010-08-17 부경엔지니어링주식회사 수질측정용 부이장치
KR20120073100A (ko) * 2010-12-24 2012-07-04 윤삼걸 부력체와 도르레를 이용한 해양생물 관측 장치 및 그 고정방법
KR20140136511A (ko) * 2012-04-05 2014-11-28 그린스틱 에너지 엘티디 계류 장치
KR20170006806A (ko) * 2015-07-09 2017-01-1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앵커 장치
KR20170011893A (ko) * 2015-07-24 2017-02-0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앵커
WO2017142169A1 (ko) * 2016-02-18 2017-08-24 주식회사 인진 블럭형 파력 발전 장치 및 그 설치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669295B1 (fr) * 1990-11-21 1993-03-12 Deshais Sophie Ancre additionnelle pour ligne de mouillage comportant une ancre principale.
KR200249015Y1 (ko) * 2001-07-11 2001-11-17 홍광선 정박용 닻
KR101292236B1 (ko) * 2012-09-28 2013-07-31 신웅종합개발 주식회사 해상 구조물의 앵커 블록
KR102027577B1 (ko) * 2017-12-27 2019-10-0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계류 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288A (ja) 1993-04-02 1995-01-10 Robert Bosch Gmbh 調節装置を位置決めする方法と装置
JPH074288U (ja) * 1993-06-11 1995-01-20 祥永 桜井 横置き係留用アンカー
KR100976615B1 (ko) * 2010-04-09 2010-08-17 부경엔지니어링주식회사 수질측정용 부이장치
KR20120073100A (ko) * 2010-12-24 2012-07-04 윤삼걸 부력체와 도르레를 이용한 해양생물 관측 장치 및 그 고정방법
KR20140136511A (ko) * 2012-04-05 2014-11-28 그린스틱 에너지 엘티디 계류 장치
KR20170006806A (ko) * 2015-07-09 2017-01-1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앵커 장치
KR20170011893A (ko) * 2015-07-24 2017-02-0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앵커
WO2017142169A1 (ko) * 2016-02-18 2017-08-24 주식회사 인진 블럭형 파력 발전 장치 및 그 설치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121654A1 (fr) * 2021-04-09 2022-10-14 Pinarello Yacht Services Dispositif de corps-mort pour l’amarrage de navires.
KR102413710B1 (ko) * 2021-08-09 2022-06-28 주식회사 포어시스 개량형 버킷 앵커의 제조방법 및 설치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098538A1 (en) 2022-12-07
EP4098538A4 (en) 2024-03-27
WO2021153845A1 (ko) 2021-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9053B1 (ko) 계류 장치
RU2185994C2 (ru) Система для постановки судов на якорь
CA2723410C (en) Floating platform and method for operation thereof
CN101400568B (zh) 系泊系统
WO2010029766A1 (ja) 緊張係留浮体と緊張係留浮体の曳航及び設置方法
US9738351B2 (en) Floating wind turbine
US9803328B2 (en) Floatable support structure for an offshore wind turbine or other device
JP2011525877A (ja) 水流からエネルギーを生成する浮遊型プラントを係留するためのシステム
WO2014163501A1 (en) Floating wind turbine
CN104627331A (zh) 一种风力发电浮式基础
CN106719218B (zh) 一种单点锚泊式圆形深水网箱
CN218594531U (zh) 漂浮式海上风机浮体与钢承台安装施工结构
EP1666722A1 (en) Fixing system for floating wind generators
KR102563565B1 (ko) 수중 부력체에 의한 2점식 계류장치
EP1042162B1 (en) Anchor
US6408781B1 (en) Mooring system and method for deep and ultra deep water
WO2022231511A1 (en) A buoyant structure for receiving a tower of a wind turbine in offshore deployment
KR101302382B1 (ko) 풍력발전기의 계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해상풍력발전단지
KR102624682B1 (ko) 세굴방지장치
KR200251484Y1 (ko) 선박 정박용 닻
KR20180003014A (ko) 선박의 정박장치
NL2010709C2 (en) Floating wind turbine.
JP2012201192A (ja) 浮体式洋上風力発電装置
EP4330544A1 (en) A buoyant structure for receiving a tower of a wind turbine in offshore deployment
JPS5835909B2 (j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