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6615B1 - 수질측정용 부이장치 - Google Patents

수질측정용 부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6615B1
KR100976615B1 KR1020100032644A KR20100032644A KR100976615B1 KR 100976615 B1 KR100976615 B1 KR 100976615B1 KR 1020100032644 A KR1020100032644 A KR 1020100032644A KR 20100032644 A KR20100032644 A KR 20100032644A KR 100976615 B1 KR100976615 B1 KR 1009766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oy
buoyancy
water quality
fixed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26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종회
Original Assignee
부경엔지니어링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경엔지니어링주식회사 filed Critical 부경엔지니어링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326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66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66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66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0Buoy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10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18Wa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0Buoys
    • B63B2022/006Buoys specially adapted for measuring or watch purpos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Pathology (AREA)
  • Immu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 Testing Or Calibration Of Command Recor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질측정용 부이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바람직하게는 저수지나 댐 등의 물은 생활용수, 농업용수 및 공업용수 등을 공급하는 수자원으로서 환경부의 환경기준에 따라 주기적으로 수질(수온, 탁도, SS, BOD 등)을 측정하기 위해 호수, 댐, 저수지 등의 수면 위에 수질 자동 측정기가 설치된 부이를 위치 변동 없이 일정한 위치에 고정시켜서 수질을 자동으로 측정하기 위한 것이다.

Description

수질측정용 부이장치{Water quality measurement buoy device}
본 발명은 수질측정용 부이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바람직하게는 호수, 댐, 저수지 등의 물은 생활용수, 농업용수 및 공업용수 등을 공급하는 수자원으로서 환경부의 환경기준에 따라 주기적으로 수질(수온, 탁도, SS, BOD 등)을 측정하기 위해 호수, 댐, 저수지 등의 수면 위에 수질 자동측정기가 설치된 부이를 위치 변동 없이 일정한 위치에 고정시켜서 수질을 자동으로 측정하기 위한 것이다.
통상, 부이(buoy)는 부력을 갖고 수표면에 떠서 여러 가지 목적으로 사용된다. 선박의 안전한 항해를 돕기 위하여 항로를 지시하거나 암초, 침몰선 등 항해상의 위험물의 존재를 경고하기 위하여 설치되며, 일반적으로 부이의 계류(고정)는 부이 몸체를 해저와 체인 또는 로프 등으로 연결하여 한 장소에서 이탈하지 못하도록 한다.
또한, 부이는 항해 안전용뿐 아니라 과학적인 자료를 검출하기 위한 특수한 경우에도 이용된다. 특히, 바다, 호수, 저수지, 댐 등의 수질을 측정할 수 있는 수질 자동측정기를 장착하여 자료를 획득하여 각 분야에서 응용한다.
상기와 같이 저수지 등의 수질현황을 수질 자동측정기로 측정하여 분석하기 위해서는 수면 위의 일정한 위치에서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측정하여 측정된 데이터를 지상의 관리사무소로 송부하게 되면 측정된 데이터를 가지고 수질을 분석하게 된다.
그러나 저수지 등은 저류량에 따라 표면수위가 높낮이로 변동되고 바람이나 파랑 및 폭풍 등에 의해 저수지 수면에서 파고가 형성되면서 부이가 이동하기 때문에 위치가 수시로 변동된다. 따라서 수면 위의 일정한 위치에서 수질 자동측정기로 수질을 측정하기가 매우 어려워 정확한 수질데이터를 측정하여 분석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한 것으로, 호수, 댐, 저수지 등의 수질을 측정하기 위해 수질 자동측정기를 장착한 부이가 바람이나 파랑 및 폭풍 등에 의해 파고가 일면서 유동 되어도 수위의 급속한 변화에 대처하여 위치 변동 없이 자동적으로 적응하여 항상 일정한 위치를 유지한 상태에서 수질 자동측정기로 수질을 측정하여 지상의 관리사무소로 송신하면 측정된 데이터를 가지고 정확하게 수질을 분석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질 자동측정기(10)를 장착하여 수질을 측정할 수 있도록 수면(W) 위에 설치된 부이(20)와, 상기 부이(20)의 일측면에 연결하여 고정된 와이어(30)와, 상기 와이어(30)에 연결되어 부력부이를 고정하기 위해 저수면에 고정되는 부력부이고정추와, 상기 부력부이고정추를 연결한 와이어의 단부에 연결되어 저수면(FW)에 고정되는 고정추(40)와, 상기 부력부이고정추(50)와 고정추(40) 사이에서 안내되는 와이어(30)에 장착되어 부이(20)를 수면(W)위에 고정시키는 부력부이(60)로 구성된 수질측정용 부이장치에 있어서,
상기 부력부이고정추(50)에는 와이어(30)를 안내하기 위하여 형성된 V형 가이드(51)와, 상기 고정추(40)와 부력부이고정추(50)에는 각각 앵카(70)(71)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질측정용 부이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부이(10)의 일측에 연결된 와이어(30)에 결합한 고정추(40), V형 가이드(51)가 장착된 부력부이고정추(50), 부력부이(60)를 부이(10)에 서로 대칭되게 연결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질측정용 부이장치를 제공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은 호수, 댐, 저수지 등의 수질을 측정하기 위해 수질 자동측정기를 설치한 부이를 수면 위에 고정되게 앵카와 고정추를 이용하여 저수면에 고정시킴과 동시에 부력부이를 안내하는 부력부이고정추를 저수면에 고정시켰기 때문에, 바람이나 파랑, 폭풍이 불때 수면이 유동 되어도 부력부이가 부력부이고정추에 형성된 V형 가이드를 따라 수면의 유동에 대응하여 상하로 이동하면서 부이를 일정한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측정하고자 하는 위치의 수질을 정확히 측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부위를 수면 위에 고정되게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부이의 양측에 고정추와 부력부이고정추 및 부력부이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호수, 댐, 저수지 등의 물을 농업용수, 공업용수, 생활용수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주기적으로 수질 자동측정기(10)를 이용하여 수질을 측정한다.
이때 수질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호수, 댐, 저수지 등의 수면 위로 부이(20)를 설치하고, 부이(20)에는 수질 자동측정기(10)를 설치하여 수질을 자동으로 측정한 후, 측정된 데이터를 지상의 관리사무소(서버)로 송신하여 분석한다.
이와 같이 수질 자동측정기(10)를 이용하여 수질현황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측정하고자 하는 수면의 일정한 위치에서 수질의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측정하여야만 정확히 수질을 분석할 수 있다.
따라서 바람이나 파랑 및 폭풍이 불어 파고가 일더라도 수면(W)에 설치된 부이(20)는 일정한 위치에 고정되도록 설치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부이(20)의 일측에 와이어(30)를 설치하고, 상기 와이어(30)의 단부에는 부이(20)를 수면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저수면(FW)에 고정되는 앵카(71)가 설치된 고정추(40)를 연결하여 구성한다.
상기 바람 등에 의해 유동되는 수면(W)의 높낮이 및 이동에 대응하여 부이(20)를 일정한 위치에 고정할 수 있도록 저수면(FW)에 고정되는 앵카(70)와 연결된 부력부이고정추(50)에 형성된 V형 가이드(51)에 와이어(30)를 안내하여 부력부이(60)를 설치한다.
이때 상기 고정추와 부력부이고정추에 연결된 앵카는 설치주변 여건에 따라 분리 및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 상기 V형 가이드(51)는 파고에 의해 부이(20)가 좌우로 이동하는 것을 부가하여 제어하는 구성으로 V형 가이드(51)가 더 효율적인 역할을 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저수지나 댐의 수질을 측정하기 위해 수질 자동측정기(10)를 설치한 부이(20)가 수면(W)의 일정한 위치에 고정된 상태에서 수질을 측정하는 방법에 대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살펴보고자 한다.
본 발명을 이용하여 생활용수, 공업용수, 농업용수로 사용되는 저수지나 댐 등의 수질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먼저 수면(W) 위에 부이(20)를 설치한다. 즉, 부이(20)의 일측에 연결된 와이어(30)를 저수면(FW)에 설치하면, 와이어(30)의 단부에 연결된 고정추(40)의 앵카(71)가 저수면(FW)에 고정되고, 또한, 부력부이(60)를 연결하고 있는 와이어(30)를 안내하는 V형 가이드(51)가 형성된 부력부이고정추(50)도 앵카(70)에 의해 저수면(W)에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부이(20)를 저수면에 고정시킨 후, 수질 자동측정기(10)를 이용하여 수질을 측정할 때, 바람이나 파랑에 의해 파고가 일면서 수면(FW)이 유동 되면, 수면의 유동에 대응하여 부력부이(60)가 부력부이고정추(50)의 V형 가이드(51)에 안내되어 상하 이동하면서 부이(20)를 수면(W)에 고정시킨다. 이때 상기 와이어(30)를 안내하는 V형 가이드(51)는 부이(20)가 수평이동하는 것을 부가적으로 제어해주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수면(W)의 일정한 위치에서 부이(20)에 설치된 수질 자동측정기(10)를 이용하여 수질을 주기적으로 데이터를 측정할 수 있으므로 정확한 수지를 분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 2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부이(20)를 보다 안정적으로 일정한 위치에 고정시키기 위해서는 부이(20)의 일측에 연결된 와이어(30)에 고정추(40)와 V형 가이드(51)가 형성된 부력부이고정추(50) 및 부력부이(60)를 결합하여 서로 대칭하여 설치하면 좋다.
10. 수질자동측정기 20. 부이
30. 와이어 40. 고정추
50. 부력부이고정추 51. V형 가이드
60. 부력부이 70, 71. 앵카

Claims (3)

  1. 수질 자동측정기(10)를 장착하여 수질을 측정할 수 있도록 수면(W) 위에 설치된 부이(20)와,
    상기 부이(20)의 일측면에 연결하여 고정된 와이어(30)와,
    상기 와이어(30)에 연결되어 부력부이를 고정하기 위해 저수면에 고정되는 부력부이고정추와,
    상기 부력부이고정추를 연결한 와이어의 단부에 연결되어 저수면(FW)에 고정되는 고정추(40)와,
    상기 부력부이고정추(50)와 고정추(40) 사이에서 안내되는 와이어(30)에 장착되어 부이(20)를 수면(W)위에 고정시키는 부력부이(60)로 구성된 수질측정용 부이장치에 있어서,
    상기 부력부이고정추(50)에는 와이어(30)를 안내하기 위하여 형성된 V형 가이드(51)와,
    상기 고정추(40)와 부력부이고정추(50)에는 각각 앵카(70)(71)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질측정용 부이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이(10)의 일측에 연결된 와이어(30)에 결합한 고정추(40), V형 가이드(51)가 장착된 부력부이고정추(50), 부력부이(60)를 부이(10)에 서로 대칭되게 연결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질측정용 부이장치.
KR1020100032644A 2010-04-09 2010-04-09 수질측정용 부이장치 KR1009766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2644A KR100976615B1 (ko) 2010-04-09 2010-04-09 수질측정용 부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2644A KR100976615B1 (ko) 2010-04-09 2010-04-09 수질측정용 부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76615B1 true KR100976615B1 (ko) 2010-08-17

Family

ID=427597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2644A KR100976615B1 (ko) 2010-04-09 2010-04-09 수질측정용 부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661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13211A (zh) * 2018-03-21 2018-07-24 中国电建集团中南勘测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浮动禁航装置
KR102209053B1 (ko) * 2020-01-29 2021-01-28 한국전력기술 주식회사 계류 장치
KR102649081B1 (ko) * 2024-01-26 2024-03-19 (주)유주 계류 시스템
KR102649078B1 (ko) * 2024-01-25 2024-03-19 (주)유주 계류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32586A (ja) * 1982-08-17 1984-02-22 Hitachi Zosen Corp 浮体の係留装置
KR200249015Y1 (ko) * 2001-07-11 2001-11-17 홍광선 정박용 닻
KR20020096770A (ko) * 2001-06-21 2002-12-31 최원일 수위조절용 계류장치와 수위조절체를 이용한 인공부도
KR100832679B1 (ko) * 2006-04-25 2008-05-27 전호경 수심 자동적응기능성 수질측정부이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32586A (ja) * 1982-08-17 1984-02-22 Hitachi Zosen Corp 浮体の係留装置
KR20020096770A (ko) * 2001-06-21 2002-12-31 최원일 수위조절용 계류장치와 수위조절체를 이용한 인공부도
KR200249015Y1 (ko) * 2001-07-11 2001-11-17 홍광선 정박용 닻
KR100832679B1 (ko) * 2006-04-25 2008-05-27 전호경 수심 자동적응기능성 수질측정부이시스템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13211A (zh) * 2018-03-21 2018-07-24 中国电建集团中南勘测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浮动禁航装置
CN108313211B (zh) * 2018-03-21 2024-01-30 中国电建集团中南勘测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浮动禁航装置
KR102209053B1 (ko) * 2020-01-29 2021-01-28 한국전력기술 주식회사 계류 장치
WO2021153845A1 (ko) * 2020-01-29 2021-08-05 한국전력기술 주식회사 계류 장치
EP4098538A4 (en) * 2020-01-29 2024-03-27 Kepco Eng & Constr Co Inc MOORING DEVICE
KR102649078B1 (ko) * 2024-01-25 2024-03-19 (주)유주 계류 시스템
KR102649081B1 (ko) * 2024-01-26 2024-03-19 (주)유주 계류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51977B2 (en) Real time environmental measurement and reporting system for navigable waterways and method of use
KR100976615B1 (ko) 수질측정용 부이장치
CN102841216A (zh) 一种便携式船用测速装置
JP4716841B2 (ja) 水域の海水又は水の性状測定装置
Moat et al. An overview of the airflow distortion at anemometer sites on ships
CN109436193A (zh) 一种实验港池内船舶水流力快速测量装置
CN101879936A (zh) 船舶纵倾仪
CN113267642B (zh) 一种全海深海流分布的监测方法及系统
KR20030000980A (ko) 하천 유속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
CN202574571U (zh) 一种测流平台
KR100832679B1 (ko) 수심 자동적응기능성 수질측정부이시스템
TW201307811A (zh) 多功能河川水文自動量測系統
CN204881783U (zh) 一种桥梁水位监测系统
KR20100094131A (ko) 음파 유속계의 계류 장치
KR101301743B1 (ko) 해수의 파고 및 파향측정을 위한 해양관측장비
CN202815002U (zh) 一种便携式船用测速装置
CN109470883A (zh) 一种gps漂流式流速测量仪
KR101536575B1 (ko) 해저면상 계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해양 관측 시스템
KR100989514B1 (ko) 태양전지판이 장착된 수질측정용 부이장치
CN208765796U (zh) 一种桥梁通航信息显示装置
CN207248169U (zh) 坐底式海洋水文测流系统操作装置
CN101738456B (zh) 一种ysi环境监测系统
JP2005055376A (ja) 流速測定システム
KR101148346B1 (ko) 유체흐름 측정장치
CN218349483U (zh) 水深测量仪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2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