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1871A -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1871A
KR20170011871A KR1020150105291A KR20150105291A KR20170011871A KR 20170011871 A KR20170011871 A KR 20170011871A KR 1020150105291 A KR1020150105291 A KR 1020150105291A KR 20150105291 A KR20150105291 A KR 20150105291A KR 20170011871 A KR20170011871 A KR 201700118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light
emitting elements
display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52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34211B1 (ko
Inventor
구기혁
김현수
이신욱
함철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052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4211B1/ko
Priority to CN201680038007.XA priority patent/CN107820630B/zh
Priority to PCT/KR2016/007898 priority patent/WO2017018713A1/en
Priority to US15/215,827 priority patent/US10803827B2/en
Publication of KR201700118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18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42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42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406Control of illumination sourc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10Intensity circui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display of a graphic pattern, e.g. using an all-points-addressable [APA] memory
    • G09G5/39Control of the bit-mapped memory
    • G09G5/391Resolution modifying circuits, e.g. variable screen forma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Structural and physical details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39Pixel structures
    • G09G2300/0452Details of colour pixel setup, e.g. pixel composed of a red, a blue and two green compon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2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for control of overall brightnes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8Arrangements within a display terminal for setting, manually or automatically, display parameters of the display terminal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1Power management, e.g. power saving
    • G09G2330/023Power management, e.g. power saving using energy recovery or conserv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60/00Aspects of the architecture of display systems
    • G09G2360/14Detecting light within display terminals, e.g. using a single or a plurality of photosensors
    • G09G2360/145Detecting light within display terminals, e.g. using a single or a plurality of photosensors the light originating from the display screen

Abstract

실시예들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이 개시된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하나 이상의 발광 소자 그룹을 포함하며, 각 발광 소자 그룹은 미리 결정된 수의 발광 소자들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및 발광 소자들 각각의 누적 발광 시간에 기초하여, 발광 소자 그룹 내에서 발광 소자들의 우선 순위들을 결정하고, 우선 순위들에 기초하여 발광 소자들 각각의 발광 여부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A display apparatus and a display method}
일 실시예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디스플레이의 발광 소자들을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에게 영상을 제공하는 기능을 갖춘 장치이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을 제공하는 기능과 함께 사용자의 편의를 위한 여러 가지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보다 고해상도의 영상이 제공되고 사용자 편의를 위한 기능이 증가함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는 더 큰 전력을 소비하게 되었다. 특히, 스마트 폰, 태블릿 PC, 랩탑 컴퓨터 등과 같은 모바일 디스플레이 장치와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소비되는 전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다양한 기술이 사용되고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는 액정 디스플레이(LCD, 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라스마 디스플레이 패널(PDP, Plasma Display Panel) 및 양자점 발광 다이오드(QLED, Quantum dot LE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유기 발광 다이오드 및 양자점 발광 다이오드 등은 형광성 유기 화합물에 전류가 흐르면 빛을 내는 자체 발광 현상을 이용하여 색을 표시할 수 있다. 특히, 유기 발광 다이오드의 경우를 사용하는 경우, 특정 화면이 고정된 상태로 장시간 구동될 경우 발광 소자 가운데 일부의 열화로 인해 디스플레이 화면의 휘도가 감소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가 각각의 발광 소자들을 개별적으로 발광하거나 발광하지 않도록 제어함으로써 전력 소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가 누적 발광 시간이 긴 일부의 발광 소자를 발광하지 않도록 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에 포함된 발광 소자들의 평균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하나 이상의 발광 소자 그룹을 포함하며, 각 발광 소자 그룹은 미리 결정된 수의 발광 소자들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및
발광 소자들 각각의 누적 발광 시간에 기초하여, 발광 소자 그룹 내에서 발광 소자들의 우선 순위들을 결정하고,
우선 순위들에 기초하여 발광 소자들 각각의 발광 여부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는 우선 순위들에 기초하여 발광되는 발광 소자의 개수 및 발광 소자들 각각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는 발광 소자들 중 누적 발광 시간이 가장 긴 발광 소자를 발광하지 않도록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는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컨텐츠가 변경되는 시점에, 발광 소자들 각각의 발광 여부를 변경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발광 소자들 각각의 누적 발광 시간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고,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는, 발광 소자들 각각의 발광 여부가 변경되면, 발광 소자들 각각의 누적 발광 시간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는 발광 소자 그룹 내에서 발광되는 발광 소자들의 개수 및 각각의 발광 소자들의 밝기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광량을 인식하는 광 센서를 더 포함하고,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는, 광 센서가 인식한 광량에 기초하여, 발광 소자들을 모두 발광하도록 하는 제1 모드 및 발광 소자들 중 일부를 발광하도록 하는 제2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는 광 센서가 정해진 광량 미만의 광량을 인식하는 경우, 제1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는 광 센서가 미리 정해진 광량 이상의 광량을 인식하는 경우, 제2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는 디스플레이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이 텍스트를 포함하는 경우, 발광 소자들 각각의 발광 여부를 모두 동일하게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는 결정된 발광 소자 각각의 발광 여부에 기초하여, 알파 이미지(alpha image)와 프레임 버퍼를 합성(composition)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방법은, 하나 이상의 발광 소자 그룹을 포함하며, 각 발광 소자 그룹은 미리 결정된 수의 발광 소자들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방법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방법은, 미리 결정된 수의 발광 소자들 각각의 누적 발광 시간에 기초하여, 발광 소자 그룹 내에서 발광 소자들의 우선 순위들을 결정하는 단계; 및 우선 순위들에 기초하여 발광 소자들 각각의 발광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방법의 결정하는 단계는 우선 순위들에 기초하여 발광되는 발광 소자의 개수 및 발광 소자들 각각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방법의 결정하는 단계는 발광 소자들 중 누적 발광 시간이 가장 긴 발광 소자를 발광하지 않도록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방법은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컨텐츠가 변경되는 시점에, 발광 소자들 각각의 발광 여부를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방법은
발광 소자들 각각의 발광 여부가 변경되면, 발광 소자들 각각의 누적 발광 시간을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방법은
발광 소자 그룹 내에서 발광되는 발광 소자들의 개수 및 각각의 발광 소자들의 밝기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방법은 광량에 기초하여, 발광 소자들을 모두 발광하도록 하는 제1 모드 및 발광 소자들 중 일부를 발광하도록 하는 제2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방법은 광량이 정해진 광량 미만인 경우, 제1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방법은 광량이 미리 정해진 광량 이상인 경우, 제2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방법은 디스플레이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이 텍스트를 포함하는 경우, 발광 소자들 각각의 발광 여부를 모두 동일하게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방법은 결정된 발광 소자 각각의 발광 여부에 기초하여, 알파 이미지(alpha image)와 프레임 버퍼를 합성(composition)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가 각각의 발광 소자들을 개별적으로 발광하거나 발광하지 않도록 제어함으로써 전력 소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가 누적 발광 시간이 긴 일부의 발광 소자를 발광하지 않도록 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에 포함된 발광 소자들의 평균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블록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와 관련된 휴대 단말(100a)의 블록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와 관련된 디스플레이 장치(100b)의 블록도이다.
도 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500)의 블록도이다.
도 6a는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 그룹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b는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 그룹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의 (a) 내지 (e)는,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디스플레이하는 영상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의 (a) 내지 (c)는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최대 밝기의 50%로 디스플레이하는 영상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의 (a) 내지 (d)는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최대 밝기의 25%로 디스플레이하는 영상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절전 모드의 종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도시한다.
도 11a는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절전 모드의 종류를 자동으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도시한다.
도 11b는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화면 전체의 밝기 및 발광 소자 그룹에서 발광되는 발광 소자의 개수를 수동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나타낸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사용하고 있는 전력을 나타내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도시한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1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방법의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성하고 사용하는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 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하나의 항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디스플레이는 영상 데이터를 시각적으로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구현 예에 따라 디스플레이에 포함된 디스플레이 패널과 터치 패드가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는 액정 디스플레이(LCD, 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기영동 디스플레이(electrophoretic display), 플라스마 디스플레이 패널(PDP, Plasma Display Panel), 양자점 발광 다이오드(QLED, Quantum dot LED)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영상 데이터를 시각적으로 나타낼 수 있는 장치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스마트폰, 태블릿과 같은 휴대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도시된 형태뿐 아니라 다양한 형태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PC 용 모니터 및 TV 모니터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업용 디스플레이(LFD, large format display)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포함된 디스플레이 패널은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emitting diode) 및 양자점 발광 다이오드(QLED, Quantum dot LED)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유기 발광 다이오드 및 양자점 발광 다이오드는 형광성 유기 화합물에 전류가 흐를 때 자체 발광하는 현상을 이용하여 색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유기 발광 다이오드 및 양자점 발광 다이오드는, 액정 디스플레이(LCD, liquid crystal display)와는 달리 백라이트 유닛 없이도 자체적으로 발광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영상 데이터를 나타내기 위한 복수개의 발광 소자들을 포함할 수 있고, 복수개의 발광 소자들은 행렬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발광 소자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 및 양자점 발광 다이오드로 구현될 수 있다. 발광 소자가 유기 발광 다이오드 및 양자점 발광 다이오드로 구현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각각의 발광 소자들의 발광을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포함되는 복수의 발광 소자들을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것이 가능한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하나 이상의 발광 소자 그룹(110)을 포함할 수 있다. 각 발광 소자 그룹은 미리 결정된 수의 발광 소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발광 소자 그룹은 N*N의 행렬로 구성되는 복수개의 발광 소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발광 소자 그룹(110)은 2*2 로 구성될 수 있고, 4 개의 발광 소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것은 예시일 뿐이며, 발광 소자 그룹(110)은 3*3 및 2*4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발광 소자들 각각의 누적 발광 시간에 기초하여, 발광 소자 그룹 내에서 발광 소자들의 우선 순위들을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발광 소자의 누적 발광 시간은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제조된 후부터, 발광 소자가 발광한 시간의 총 합을 의미한다. 각각의 발광 소자들의 누적 발광 시간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내부의 메모리(도시되지 않음)에 저장될 수 있다.
우선 순위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발광 소자 그룹(110) 내에 포함된 발광 소자들 중 일부를 발광시키는 경우에, 발광시킬 일부의 소자를 선택하기 위한 기준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누적 발광 시간이 가장 짧은 발광 소자의 우선 순위를 1순위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누적 발광 시간이 가장 긴 발광 소자의 우선 순위를 가장 낮은 우선 순위로 결정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결정된 우선 순위들에 기초하여 발광 소자들 각각의 발광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발광 소자 그룹 내에서 우선 순위가 가장 높은 발광 소자(101)를 발광시키도록 결정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발광 소자 그룹(110) 내에서 가장 낮은 순위를 갖는 발광 소자(103)를 발광하지 않도록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발광 소자 그룹 내에서 우선 순위가 높은 순서대로 두 개 또는 세 개의 발광 소자들을 발광시키도록 결정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4개의 발광 소자로 이루어진 발광 소자 그룹 내에서 높은 우선 순위를 갖는 순서대로 두 개의 발광 소자들을 발광시키도록 결정할 수 있다.
한편, 도 1을 참조하면, 복수의 발광 소자 그룹들에서 발광되는 발광 소자들의 위치들이 모두 동일한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복수의 발광 소자 그룹 마다 발광되는 발광 소자들의 위치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각각의 발광 소자들을 개별적으로 발광하거나 발광하지 않도록 제어함으로써 전력 소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누적 발광 시간이 긴 일부의 발광 소자를 발광하지 않도록 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포함된 발광 소자들의 평균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0) 및 제어부(20)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10)는 하나 이상의 발광 소자 그룹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 발광 소자 그룹은 미리 결정된 수의 발광 소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10)에 포함된 디스플레이 패널은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emitting diode) 및 양자점 발광 다이오드(QLED, Quantum dot LED)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10)는 발광 소자 그룹 내에서 발광되는 발광 소자들의 개수 및 각각의 발광 소자들의 밝기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발광 소자 그룹 내에서 발광되는 발광 소자의 개수 및 발광되는 발광 소자의 밝기를 직접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절전 모드로 설정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발광 소자 그룹 내에서 발광되는 발광 소자들의 개수 및 각각의 발광 소자들의 밝기가 자동으로 조절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20)는 발광 소자들 각각의 누적 발광 시간에 기초하여, 발광 소자 그룹 내에서 발광 소자들의 우선 순위들을 결정하고, 우선 순위들에 기초하여 발광 소자들 각각의 발광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20)는 발광 소자들 중 누적 발광 시간이 가장 긴 발광 소자를 발광하지 않도록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0)는 발광 소자 그룹 내에서 우선 순위가 높은 순서대로 미리 정해진 수의 발광 소자들을 발광시키도록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20)는 결정된 우선 순위들에 기초하여 발광되는 발광 소자의 개수 및 발광 소자들 각각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20)는 디스플레이(10)에 표시되는 컨텐츠가 변경되는 시점에, 발광 소자들 각각의 발광 여부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이 변경되는 시점에 발광 소자들 각각의 발광 여부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방송되고 있는 채널이 다른 채널로 변경되는 시점에 발광 소자들 각각의 발광 여부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디스플레이(10)가 오프 되었다가 온 되는 시점에 발광 소자들 각각의 발광 여부를 변경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20)가 디스플레이(10)의 발광 소자들 각각의 발광 여부를 일정한 시간 주기로 변경하게 되는 경우, 디스플레이(10)에 동일한 영상이 표시되는 중에 온/오프되는 발광 소자들이 변경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는 디스플레이(10)에 표시되는 영상이 변경됨에 따라 시각적으로 위화감을 느낄 수도 있다. 그러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20)가 디스플레이(10)에 표시되는 컨텐츠가 변경되는 시점에 발광 소자들 각각의 발광 여부를 변경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위화감을 느끼지 않을 수 있고 화면이 자연스럽게 변경되었다고 느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20)는, 발광 소자들 각각의 발광 여부가 변경되면, 발광 소자들 각각의 누적 발광 시간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각각의 발광 소자들의 누적 발광 시간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내부의 메모리(도시되지 않음)에 저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20)는 발광 소자들을 모두 발광하도록 하는 제1 모드 및 발광 소자들 중 일부를 발광하도록 하는 제2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모드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발광 소자 그룹 내의 발광 소자들이 모두 발광되는 상태에서 밝기만을 변경 시킬 수 있는 모드를 의미한다. 제2 모드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발광 소자 그룹 내의 발광 소자들 중의 일부만이 발광되도록 하는 모드를 의미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절전 모드에서, 제1 모드 및 제2 모드 중 하나를 선택하여, 디스플레이(10)에서 소비되는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절전 모드로 설정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1 모드를 선택하여, 디스플레이(10)의 발광 소자 그룹 내의 모든 일부 발광 소자들의 밝기를 최대 밝기보다 낮게 변경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절전 모드로 설정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2 모드를 선택하여 디스플레이(10)의 발광 소자 그룹 내의 일부 발광 소자들의 발광 상태를 오프 상태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20)는 제2 모드에서, 발광되는 일부 발광 소자들의 밝기를 최대 밝기보다 낮게 변경시킬 수도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광량을 인식하는 광 센서(도시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20)는 광 센서가 인식한 광량에 기초하여, 발광 소자들을 모두 발광하도록 하는 제1 모드 및 발광 소자들 중 일부를 발광하도록 하는 제2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20)는 광 센서가 미리 정해진 광량 미만의 광량을 인식하는 경우, 제1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주위의 밝기가 어두운 경우, 제어부(20)는 제1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20)는 광 센서가 미리 정해진 광량 이상의 광량을 인식하는 경우, 제2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주위의 밝기가 밝은 경우, 제어부(20)는 제2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미리 정해진 광량 미만의 광량이 인식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주위의 밝기가 비교적 어둡기 때문에 디스플레이(10)의 발광 소자들의 밝기가 최대 밝기의 50% 로 조절되더라도, 사용자가 화면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디스플레이되는 컬러들을 식별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미리 정해진 광량 미만의 광량이 인식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1 모드에 따라 발광 소자들 전체의 밝기를 50%로 조절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미리 정해진 광량 이상의 광량이 인식될 수 있다. 이 경우, 주위의 밝기가 비교적 밝기 때문에 디스플레이(10)의 발광 소자들의 밝기가 최대 밝기의 50% 이하로 조절되면, 사용자가 화면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디스플레이되는 컬러들을 식별하는 것이 불가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미리 정해진 광량 이상의 광량이 인식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2 모드에 따라 발광 소자 그룹 내의 일부 발광 소자들의 발광 상태를 오프 상태로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20)는 디스플레이(10)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이 텍스트를 포함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20)는 디스플레이(10)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이 텍스트를 포함한다고 판단하는 경우, 발광 소자들 각각의 발광 여부를 모두 동일하게 결정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10)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이 텍스트를 포함하는 경우, 일부 발광 소자들이 발광되지 않는 경우에,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사용자가 텍스트를 정확히 인식하지 못할 수도 있기 때문에, 이 경우, 제어부(20)는 발광 소자 모두를 발광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20)는 결정된 발광 소자 각각의 발광 여부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10)의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있다.
구체적으로,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20)는 결정된 발광 소자 각각의 발광 여부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10)에 포함된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도시되지 않음)를 제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 는 디스플레이(10)를 구동하기 위한 집적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어부(20)는 디스플레이(10)의 디스플레이 드라이버를 통해 디스플레이(10)를 직접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20)는 결정된 발광 소자 각각의 발광 여부에 기초하여, 알파 이미지(alpha image)와 출력 영상 데이터를 합성(composition)할 수 있다. 제어부(20)에 포함된 GPU(graphic processing unit, 도시되지 않음)는 알파 이미지와 출력 영상 데이터를 합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알파 이미지는 어떠한 발광 소자를 표시하고 어떠한 발광 소자를 표시하지 않을지를 나타내는 이미지일 수 있다. 제어부(20)는 결정된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알파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출력 영상 데이터를 프레임 버퍼(도시되지 않음)에 저장할 수 있다. 프레임 버퍼는 디스플레이(10)의 화면에 나타날 영상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포함된 별도의 메모리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0)는 결정된 발광 소자 각각의 발광 여부에 기초하여, 표시될 발광 소자의 부분은 투명하게 나타내고 표시되지 않을 발광 소자의 부분은 흑색으로 나타낸 알파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20)는 생성된 알파 이미지와 프레임 버퍼의 출력 영상 데이터를 합성하고, 합성된 결과를 디스플레이(10)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데스크탑, 노트북, 태블릿 PC, 카메라, 휴대폰, 저장 매체 및 기타 전자 기기에 연결되어 무선 또는 유선으로 영상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구현 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아날로그 방송 신호 또는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평면(flat) 디스플레이 장치뿐만 아니라, 곡률을 가지는 화면인 곡면(curved)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곡률을 조정가능한 가변형(flexible)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를 2개 이상 포함할 수도 있다.
도 3은 일 실시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가 적용될 수 있는 휴대 단말(100a)의 블록도 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100a)는 예를 들어, 스마트폰, 태블릿과 같은 휴대 가능한 전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100a)은, 사용자 입력부(310), 출력부(320), 제어부(330), 센싱부(340), 통신부(350), A/V 입력부(360) 및 메모리(37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310)는, 사용자가 휴대 단말(100a)를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를 입력하는 수단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부(310)에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접촉식 정전 용량 방식, 압력식 저항막 방식, 적외선 감지 방식, 표면 초음파 전도 방식, 적분식 장력 측정 방식, 피에조 효과 방식 등),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사용자 입력부(310)는, 제어부(330)에 의해 제어됨으로써,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출력부(320)는, 제어부(330)에 의해 제어됨으로써,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또는 진동 신호의 출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321)와 음향 출력부(322), 진동 모터(323)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321)는, 제어부(330)에 의해 제어됨으로써, 휴대 단말(100a)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
디스플레이부(321)는 도 2에서 설명한 디스플레이(1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321)는 하나 이상의 발광 소자 그룹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 발광 소자 그룹은 미리 결정된 수의 발광 소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321)에 포함된 디스플레이 패널은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emitting diode) 및 양자점 발광 다이오드(QLED, Quantum dot LED)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도 2에서 설명한 디스플레이(10)에 대한 내용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디스플레이부(321)와 터치패드가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32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32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기영동 디스플레이(electrophoretic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휴대 단말(100a)의 구현 형태에 따라 휴대 단말(100a)은 디스플레이부(321)를 2개 이상 포함할 수도 있다. 이때, 2개 이상의 디스플레이부(321)는 힌지(hinge)를 이용하여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음향 출력부(322)는 통신부(35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37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음향 출력부(322)는 휴대 단말(100a)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알림음)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음향 출력부(322)에는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진동 모터(323)는 진동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동 모터(323)는 오디오 데이터 또는 비디오 데이터(예컨대,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의 출력에 대응하는 진동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진동 모터(323)는 터치스크린에 터치가 입력되는 경우 진동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제어부(330)는, 통상적으로 휴대 단말(100a)의 전반적인 동작 및 휴대 단말(100a)의 내부 구성요소들(310 내지 370)사이의 신호 흐름을 제어하고,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330)는, 메모리(37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사용자 입력부(310), 출력부(320), 센싱부(340), 통신부(350), A/V 입력부(360)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330)는 사용자의 입력이 있거나 기 설정되어 저장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메모리(370)에 저장된 OS(Operation System) 및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제어부(330)는 도 2에서 설명한 제어부(2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330)는 발광 소자들 각각의 누적 발광 시간에 기초하여, 발광 소자 그룹 내에서 발광 소자들의 우선 순위들을 결정하고, 우선 순위들에 기초하여 발광 소자들 각각의 발광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하, 도 2에서 설명한 제어부(20)에 대한 내용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센싱부(340)는, 휴대 단말(100a)의 상태 또는 휴대 단말(100a) 주변의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정보를 제어부(330)로 전달할 수 있다. 센싱부(340)는, 지자기 센서(Magnetic sensor)(341),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342), 온/습도 센서(343), 적외선 센서(344), 자이로스코프 센서(345), 위치 센서(예컨대, GPS)(346), 기압 센서(347), 근접 센서(348), RGB 센서(illuminance sensor)(349) 및 광센서(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센서들의 기능은 그 명칭으로부터 당업자가 직관적으로 추론할 수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센싱부(340)에 포함된 광 센서는 휴대 단말(100a) 주위의 광량을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센싱부(340)는 입력 도구에 의한 터치 입력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 및 사용자에 의한 터치 입력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에 의한 터치 입력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는 터치 스크린 또는 터치 패드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입력 도구에 의한 터치 입력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는 터치 스크린 또는 터치 패드의 하부에 위치하거나, 터치 스크린 또는 터치 패드 내에 포함될 수 있다.
통신부(350)는, 휴대 단말(100a)와 외부 디바이스 또는 휴대 단말(100a)과 서버(미도시) 간의 통신을 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350)는, 근거리 통신부(351), 이동 통신부(352), 방송 수신부(353)를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부(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351)는, 블루투스 통신부,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부, 근거리 무선 통신부(Near Field Communication unit), WLAN(와이파이) 통신부, 지그비(Zigbee) 통신부, 적외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통신부, WFD(Wi-Fi Direct) 통신부, UWB(ultra wideband) 통신부, Ant+ 통신부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동 통신부(352)는,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에서,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부(353)는,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구현 예에 따라서 휴대 단말(100a)이 방송 수신부(353)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A/V(Audio/Video) 입력부(36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361)와 마이크로폰(36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36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를 통해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얻을 수 있다. 이미지 센서를 통해 캡쳐된 이미지는 제어부(330) 또는 별도의 이미지 처리부(미도시)를 통해 처리될 수 있다.
카메라(36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370)에 저장되거나 통신부(35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361)는 휴대 단말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로폰(362)은,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예를 들어, 마이크로폰(362)은 외부 디바이스 또는 화자로부터 음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마이크로폰(362)은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 되는 잡음(noise)를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을 이용할 수 있다.
메모리(370)는, 제어부(33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을 저장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370)는 우선 순위들에 기초하여 발광 소자들 각각의 발광 여부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37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100a)은 인터넷(internet)상에서 메모리(37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 또는 클라우드 서버를 운영할 수도 있다.
메모리(37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은 그 기능에 따라 복수 개의 모듈들로 분류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UI 모듈(371), 터치 스크린 모듈(372), 알림 모듈(373)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UI 모듈(371)은, 애플리케이션 별로 휴대 단말(100a)과 연동되는 특화된 UI, GUI 등을 제공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모듈(372)은 사용자의 터치 스크린 상의 터치 제스처를 감지하고, 터치 제스처에 관한 정보를 제어부(330)로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모듈(372)은 터치 코드를 인식하고 분석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모듈(372)은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별도의 하드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다.
알림 모듈(373)은 휴대 단말(100a)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휴대 단말(100a)에서 발생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일정 알림 등이 있다. 알림 모듈(373)은 디스플레이부(321)를 통해 비디오 신호 형태로 알림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고, 음향 출력부(322)를 통해 오디오 신호 형태로 알림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고, 진동 모터(323)를 통해 진동 신호 형태로 알림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와 관련된 디스플레이 장치(100b)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b)는 예를 들어, 상업용 디스플레이(LFD, large format display), PC 용 모니터 및 TV 모니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b)는 도 2에서 설명한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b)는 비디오 처리부(410), 디스플레이(415), 오디오 처리부(420), 오디오 출력부(425), 전원부(430), 튜너부(440), 통신부(450), 감지부(460), 입/출력부(470), 제어부(480), 저장부(490)를 포함한다.
비디오 처리부(41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b)가 수신한 비디오 데이터에 대한 처리를 수행한다. 비디오 처리부(410)에서는 비디오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 스케일링, 노이즈 필터링, 프레임 레이트 변환, 해상도 변환 등과 같은 다양한 이미지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415)는 제어부(480)의 제어에 의해 튜너부(440)를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에 포함된 비디오를 화면에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415)는 도 2에서 설명한 디스플레이(1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415)는 하나 이상의 발광 소자 그룹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 발광 소자 그룹은 미리 결정된 수의 발광 소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415)에 포함된 디스플레이 패널은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emitting diode) 및 양자점 발광 다이오드(QLED, Quantum dot LED)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도 2에서 설명한 디스플레이(10)에 대한 내용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디스플레이(415)는 제어부(480)의 제어에 의해 통신부(450) 또는 입/출력부(470)를 통해 입력되는 컨텐츠(예를 들어, 동영상)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415)는 제어부(480)의 제어에 의해 저장부(490)에 저장된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415)는 음성 인식에 대응되는 음성 인식 태스크를 수행하기 위한 음성 UI(User Interface: 예를 들어, 음성 명령어 가이드를 포함하는) 또는 모션 인식에 대응되는 모션 인식 태스크를 수행하기 위한 모션 UI(예를 들어, 음성 명령어 가이드를 포함하는) 또는 모션 인식에 대응되는 모션 인식 태스크를 수행하기 위한 모션 UI(예를 들어, 모션 인식을 위한 사용자 모션 가이드를 포함)를 표시할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420)는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처리를 수행한다. 오디오 처리부(420)에서는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이나 증폭, 노이즈 필터링 등과 같은 다양한 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오디오 처리부(420)는 복수의 컨텐츠에 대응되는 오디오를 처리하기 위해 복수의 오디오 처리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425)는 제어부(480)의 제어에 의해 튜너부(440)를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에 포함된 오디오를 출력한다. 오디오 출력부(425)는 제어부(480)의 제어에 의해 통신부(450) 또는 입/출력부(470)를 통해 입력되는 오디오(예를 들어, 음성, 사운드)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오디오 출력부(425)는 제어부(480)의 제어에 의해 저장부(490)에 저장된 오디오를 출력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425)는 스피커(426), 헤드폰 출력 단자(427) 또는 S/PDIF(Sony/Philips Digital Interface: 출력 단자(428)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425)는 스피커(426), 헤드폰 출력 단자(427) 및 S/PDIF 출력 단자(428)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전원부(430)는 제어부(480)의 제어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100b) 내부의 구성 요소들(410 내지 490)로 외부의 전원 소스에서부터 입력되는 전원을 공급한다. 또한, 전원부(430)는 제어부(480)의 제어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100b) 내부에 위치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배터리(도시되지 아니함)에서부터 출력되는 전원을 내부의 구성 요소들(410 내지 490)에게 공급할 수 있다.
튜너부(44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수신되는 방송 신호를 증폭(amplification), 혼합(mixing), 공진(resonance)등을 통하여 많은 전파 성분 중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b)에서 수신하고자 하는 채널의 주파수만을 튜닝(tuning)시켜 선택할 수 있다. 방송 신호는 오디오(audio), 비디오(video) 및 부가 정보(예를 들어, EPG(Electronic Program Guide))를 포함한다.
통신부(450)는 제어부(480)의 제어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100b)를 외부 장치(예를 들어, 오디오 장치 등)와 연결할 수 있다. 제어부는 통신부(450)를 통해 연결된 외부 장치로 컨텐츠를 송/수신, 외부 장치에서부터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다운로드 하거나 또는 웹 브라우징을 할 수 있다. 통신부(45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b)의 성능 및 구조에 대응하여 무선 랜(451), 블루투스(452), 및 유선 이더넷(Ethernet, 453)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450)는 무선랜(451), 블루투스(452), 및 유선 이더넷(Ethernet, 153)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450)는 제어부(480)의 제어에 의해 제어 장치(200)의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 신호는 블루투스 타입, RF 신호 타입 또는 와이파이 타입으로 구현될 수 있다.
통신부(450)는 블루투스 외에 다른 근거리 통신(예를 들어,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도시되지 아니함), BLE(bluetooth low energy, 도시되지 아니함)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감지부(460)는 사용자의 음성, 사용자의 영상 또는 사용자의 인터랙션을 감지한다.
마이크(461)는 사용자의 발화(utterance)된 음성을 수신한다. 마이크(461)는 수신된 음성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480)로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 음성은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b)의 메뉴 또는 기능에 대응되는 음성을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461)의 인식 범위는 마이크(461)에서부터 사용자 위치까지 4 m 이내를 권장하며, 마이크(461)의 인식 범위는 사용자 목소리의 크기와 주변 환경(예를 들어, 스피커 소리, 주변 소음)에 대응하여 달라질 수 있다.
마이크(461)는 디스플레이 장치(100b)와 일체형 또는 분리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 분리된 마이크(461)는 통신부(450) 또는 입/출력부(470)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00b)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b)의 성능 및 구조에 따라 마이크(461)가 제외될 수 있다는 것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카메라부(462)는 카메라 인식 범위에서 제스처를 포함하는 사용자의 모션에 대응되는 영상(예를 들어, 연속되는 프레임)을 수신한다. 카메라부(462)는 디스플레이 장치(100b)와 일체형 또는 분리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 분리된 카메라부(462)를 포함하는 별도의 장치(도시되지 아니함)는 통신부(450) 또는 입/출력부(470)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00b)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b)의 성능 및 구조에 따라 카메라부(462)가 제외될 수 있다는 것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광 수신부(463)는 외부의 제어 장치(도시되지 않음)에서부터 수신되는 광 신호(제어 신호를 포함)를 디스플레이(415)의 베젤의 광창(도시되지 아니함) 등을 통해 수신한다. 광 수신부(463)는 사용자 입력(예를 들어, 터치, 눌림, 터치 제스처, 음성, 또는 모션)에 대응되는 광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수신된 광 신호로부터 제어부(480)의 제어에 의해 제어 신호가 추출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b)의 성능 및 구조에 따라 광 수신부(463)가 제외될 수 있다는 것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입/출력부(470)는 제어부(480)의 제어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100b)의 외부에서부터 비디오(예를 들어, 동영상 등), 오디오(예를 들어, 음성, 음악 등) 및 부가 정보(예를 들어, EPG 등) 등을 수신한다. 입/출력부(470)는 HDMI 포트(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port, 171), 컴포넌트 잭(component jack, 172), PC 포트(PC port, 173), 및 USB 포트(USB port, 17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입/출력부(470)는 구현 예에 따라 D-sub 포트, DVI(Digital Visual Interface) 포트 및 DP 포트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부(470)의 구성 및 동작은 실시예에 따라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은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제어부(48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b)의 전반적인 동작 및 디스플레이 장치(100b)의 내부 구성요소들(410 내지 490)사이의 신호 흐름을 제어하고,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어부(480)는 도 2에서 설명한 제어부(2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480)는 발광 소자들 중 누적 발광 시간이 가장 긴 발광 소자를 발광하지 않도록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80)는 발광 소자 그룹 내에서 우선 순위가 높은 순서대로 미리 정해진 수의 발광 소자들을 발광시키도록 결정할 수 있다. 이하, 도 2에서 설명한 제어부(20)에 대한 내용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제어부(480)는 사용자의 입력이 있거나 기 설정되어 저장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제어부(480)는 저장부(490)에 저장된 OS(Operation System) 및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제어부(48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b)의 외부에서부터 입력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디스플레이 장치(100b)에서 수행되는 다양한 작업에 대응되는 저장 영역으로 사용되는 램(RAM, 481), 디스플레이 장치(100b)의 제어를 위한 제어 프로그램이 저장된 롬(ROM, 482) 및 프로세서(Processor, 483)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483)는 비디오에 대응되는 그래픽 처리를 위한 그래픽 프로세서(Graphic Processing Unit, 도시되지 아니함)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483)는 코어(core, 도시되지 아니함)와 GPU(도시되지 아니함)를 통합한 SoC(System On Chip)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483)는 싱글 코어, 듀얼 코어, 트리플 코어, 쿼드 코어 및 그 배수의 코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483)는 복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483)는 메인 프로세서(main processor, 도시되지 아니함) 및 슬립 모드(sleep mode)에서 동작하는 서브 프로세서(sub processor, 도시되지 아니함)로 구현될 수 있다.
그래픽 처리부(484)는 연산부(미도시) 및 렌더링부(미도시)를 이용하여 아이콘, 이미지, 텍스트 등과 같은 다양한 객체를 포함하는 화면을 생성한다. 연산부는 감지부(460)를 통해 감지된 사용자 인터랙션을 이용하여 화면의 레이아웃에 따라 각 객체들이 표시될 좌표값, 형태, 크기, 컬러 등과 같은 속성값을 연산한다. 렌더링부는 연산부에서 연산한 속성값에 기초하여 객체를 포함하는 다양한 레이아웃의 화면을 생성한다. 렌더링부에서 생성된 화면은 디스플레이부(415)의 디스플레이 영역 내에 표시된다.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485-1 내지 485-n)는 상술한 각종 구성요소들과 연결된다. 인터페이스들 중 하나는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장치와 연결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될 수도 있다. 램(481), 롬(482), 프로세서(483), 그래픽 처리부(484),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485-1 내지 485-n)는 내부 버스(bus)(486)를 통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저장부(490)는 제어부(480)의 제어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100b)를 구동하고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데이터,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490)는 비디오 처리부(410), 디스플레이부(415), 오디오 처리부(420), 오디오 출력부(425), 전원부(430), 통신부(450), 감지부(460), 입/출력부(470), 사용자 입력부(475)의 구동에 대응되는 입력/출력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부(490)는 우선 순위들에 기초하여 발광 소자들 각각의 발광 여부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49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b) 및 제어부의 제어를 위한 제어 프로그램, 제조사에서 최초 제공되거나 외부에서부터 다운로드 받은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저장부(490)는 어플리케이션에서 사용되는 JavaScript 파일과 XML파일 등의 리소스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49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b)의 전원이 온 되었을 때 실행되는 운영 체제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490)는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GUI(graphical user interface), GUI를 제공하기 위한 오브젝트(예를 들어, 이미지, 텍스트, 아이콘, 버튼 등), 사용자 정보, 문서, 데이터베이스들 또는 관련 데이터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저장부 라는 용어는 저장부(490), 제어부의 롬(482), 램(481)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b)에 장착되는 메모리 카드(예를 들어, micro SD 카드, USB 메모리, 도시되지 아니함)를 포함한다. 또한, 저장부(490)는 비휘발성 메모리, 휘발성 메모리,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490)는 도시되지 아니한 볼륨 제어 모듈, 통신 제어 모듈, 음성 인식 모듈, 모션 인식 모듈, 광 수신 모듈,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 오디오 제어 모듈, 외부 입력 제어 모듈, 전원 제어 모듈, 무선(예를 들어, 블루투스)으로 연결되는 외부 장치의 전원 제어 모듈, 음성 데이터베이스(DB), 또는 모션 데이터베이스(DB)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490)의 도시되지 아니한 모듈들 및 데이터 베이스는 디스플레이 장치(100b)에서 볼륨 제어 기능, 통신 제어 기능, 음성 인식 기능, 모션 인식 기능, 광 수신 제어 기능, 오디오 제어 기능, 외부 입력 제어 기능, 전원 제어 기능, 커서 또는 스크롤링 아이템 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제어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소프트웨어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480)는 저장부(490)에 저장된 이들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각각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저장부(490)는 프리젠테이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프리젠테이션 모듈은 디스플레이 화면을 구성하기 위한 모듈이다. 프리젠테이션 모듈은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하여 출력하기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 UI 및 그래픽 처리를 수행하는 UI 렌더링 모듈을 포함한다. 멀티미디어 모듈은 플레이어 모듈, 캠코더 모듈, 사운드 처리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종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하여 화면 및 음향을 생성하여 재생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UI 렌더링 모듈은 이미지를 조합하는 이미지 합성기(Image Compositor module),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화면상의 좌표를 조합하여 생성하는 좌표 조합 모듈, 하드웨어로부터 각종 이벤트를 수신하는 X11 모듈, 2D 또는 3D 형태의 UI를 구성하기 위한 툴(tool)을 제공하는 2D/3D UI 툴킷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b)는 튜너부를 가지는 별도의 외부 장치(예를 들어, 셋탑 박스, 도시되지 아니함)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b)는 아날로그 TV, 디지털 TV, 3D-TV, 스마트 TV, LED TV, OLED TV, 플라즈마 TV, 모니터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디스플레이 장치(100b)는 디스플레이 장치(100b)의 내부 또는 외부 상태를 검출하는 센서(예를 들어, 조도 센서, 온도 센서, 광 센서 등, 도시되지 아니함)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광 센서는 디스플레이 장치(100b) 주위의 광량을 센싱할 수 있다.
도 4의 디스플레이 장치(100b)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예를 들어, 410 내지 490)은 디스플레이 장치(100b)의 성능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가 추가되거나 삭제될 수 있다. 또한, 구성 요소들의 위치(예를 들어, 410 내지 49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b)의 성능 또는 구조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500)의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500)는 시스템 제어부(510), 메모리(520), 소자 제어부(530), 그래픽 처리부(540) 및 디스플레이(550)를 포함한다.
시스템 제어부(510)는 전반적인 동작 및 디스플레이 장치(500)의 내부 구성요소들(520 내지 550)사이의 신호 흐름을 제어하고,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제어부(510)는 발광 소자의 발광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제어부(510)는 발광 소자들 각각의 누적 발광 시간에 기초하여, 발광 소자 그룹 내에서 발광 소자들의 우선 순위들을 결정하고, 우선 순위들에 기초하여 발광 소자들 각각의 발광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제어부(510)는 결정된 발광 소자들 각각의 발광 여부를 메모리(520)에 저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메모리(520)에는 복수의 발광 소자 그룹들에 포함된 모든 발광 소자들의 발광 여부를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제어부(510)는 발광 소자들 각각의 발광 여부가 변경되면, 발광 소자들 각각의 누적 발광 시간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각각의 발광 소자들의 누적 발광 시간은 메모리(520)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500) 내부의 별도의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제어부(510)는 메모리(520)에 저장된 발광 소자 각각의 발광 여부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550)에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제어부(510)는 결정된 발광 소자 각각의 발광 여부에 기초하여, 소자 제어부(530) 또는 그래픽 제어부(540)를 제어할 수 있다.
소자 제어부(530)는 메모리(520)에 저장된 발광 소자 각각의 발광 여부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550)의 각각의 발광소자들의 발광 여부를 직접 제어할 수 있다. 소자 제어부(530)는 디스플레이(550)를 구동하기 위한 집적 회로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 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시스템 제어부(510)에서 소자 제어부(530)를 제어할 수 없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시스템 제어부(510)가 디스플레이(550)의 발광 소자들 각각을 직접 제어하기 위한 소자 제어부(530)를 제어하지 못할 수 있다. 이 때, 시스템 제어부(510)는 그래픽 처리부(540)를 통해 알파 이미지(alpha image)와 출력 영상 데이터를 합성(composition)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래픽 처리부(540)는 알파 이미지와 출력 영상 데이터를 합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그래픽 처리부(540)는 메모리(520)에 저장된 발광 소자들 각각의 발광 여부에 기초하여 알파 이미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알파 이미지와 출력 영상 데이터를 합성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500)는 출력 영상 데이터를 프레임 버퍼(도시되지 않음)에 저장할 수 있다. 프레임 버퍼는 디스플레이(550)의 화면에 나타날 영상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500)에 포함된 별도의 메모리이다.
디스플레이(550)는 소자 제어부(530) 또는 그래픽 처리부(540)의 제어에 따라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550)는 하나 이상의 발광 소자 그룹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 발광 소자 그룹은 미리 결정된 수의 발광 소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550)에 포함된 디스플레이 패널은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emitting diode) 및 양자점 발광 다이오드(QLED, Quantum dot LED)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6a는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 그룹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에는, 디스플레이에 포함되는 복수의 발광 소자 그룹들 중 일부(610)가 도시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 그룹(611)은 4개의 발광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발광 소자들은 사각형 형태일 수 있다. 발광 소자들 각각은 R(Red), G(Green) 및 B(Blue)의 세가지 컬러를 나타낼 수 있는 소자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 그룹(611) 내의 발광 소자들 각각은 동일한 R, G, B 소자들의 배치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발광 소자 그룹(611) 내의 (0, 0), (0, 1), (1, 0) 및 (1, 1)에 위치한 발광 소자들은 동일한 R, G, B 소자들의 배치를 포함할 수 있다.
발광 소자 그룹(611) 내의 발광 소자들은 R, G, B 소자들에서 발광되는 빛을 특정 비율로 조합하여 색을 구현할 수 있다.
도 6b는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 그룹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b에는, 디스플레이에 포함되는 복수의 발광 소자 그룹들 중 일부(620)가 도시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 그룹(621)은 4개의 발광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발광 소자들 각각은 R(Red), G(Green) 및 B(Blue)의 세가지 컬러를 나타낼 수 있는 소자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 그룹(621) 내의 발광 소자들 각각은 상이한 R, G, B 소자들의 배치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발광 소자 그룹(621) 내의 (0, 0) 및 (0, 1)에 위치한 발광 소자들과 (1, 0) 및 (1, 1)에 위치한 발광 소자들은 R, G, B 소자들의 배치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발광 소자 그룹(621) 내의 발광 소자들은 R, G, B 소자들에서 발광되는 빛을 특정 비율로 조합하여 색을 구현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에 도시한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 그룹들의 배치는 예시적인 것이며, 발광 소자 그룹들의 배치는 다양한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의 (a) 내지 (e)는,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디스플레이하는 영상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7의 (a) 내지 (e)는,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발광되는 발광 소자들의 개수를 상이하게 함에 따라, 디스플레이되는 영상들을 발광 소자 그룹 내의 발광되는 발광 소자의 위치와 함께 도시한 것이다.
도 7의 (a) 내지 (e)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발광 소자들 각각은 동일한 밝기로 발광하는 것을 가정한다.
도 7의 (a)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발광 소자 그룹 내의 발광 소자들 모두를 발광시키는 경우를 도시한다. 도 7의 (b)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발광 소자 그룹 내의 3개의 발광 소자들을 발광시키는 경우를 도시한다. 도 7의 (c)와 (d)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발광 소자 그룹 내의 2개의 발광 소자들을 발광시키는 경우를 도시한다. 도 7의 (e)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발광 소자 그룹 내의 1개의 발광 소자를 발광시키는 경우를 도시한다.
도 7의 (a)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영상(700a)을 최대의 밝기로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도 7의 (b)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영상(700b)을 75%의 밝기로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도 7의 (c)와 (d)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영상(700c) 및 영상(700d)을 50%의 밝기로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도 7의 (e)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영상(700e)을 25%의 밝기로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도 7 의 (a) 내지 (e)에서 전체 영상(700a, 700b, 700c, 700d, 700e)의 밝기를 비교하면, 발광 소자 그룹들 내에서 발광되는 발광 소자의 개수에 비례하여 전체 영상의 밝기가 변화된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발광 소자들은 도 7 의 (a)의 경우에서 최대의 전력을 소모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발광 소자들은 도 7 의 (e)의 경우에서 가장 작은 전력을 소모할 수 있다.
또한, 도 7 의 (a) 내지 (e)의 각각의 경우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디스플레이하는 영상들의 일부 영역(710)을 확대하여 해상도를 비교하면, 발광 소자의 개수가 작아짐에 따라 해상도가 떨어진다. 구체적으로, 도 7 의 (a)의 영상(700a)은 도 7의 (a) 내지 (e)의 영상들 중에서 최대 해상도를 가질 수 있다. 도 7 의 (e)의 영상(700e)은 도 7의 (a) 내지 (e)의 영상들 중에서 해상도 및 선명도가 가장 떨어진다.
한편, 도 7의 (c)와 (d)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발광 소자 그룹 내의 2개의 발광되는 발광 소자들의 위치가 상이하다. 도 7의 (c)와 (d)에서, 영상(700c)과 영상(700d)의 일부 영역을 확대한 것을 비교하여 보면, 영상(700c)과는 달리 영상(700d)에는 가로로 발광되지 않는 발광 소자들의 부분이 나타날 수 있다.
도 7의 (a) 내지 (e)에 도시된 전체 영상들은, 편의상 복수의 발광 소자 그룹들에서 발광되는 발광 소자들의 위치들이 모두 동일하게 도시되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복수의 발광 소자 그룹 마다 발광되는 발광 소자들의 위치를 각각 상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큰 해상도 및 선명도가 필요하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발광되는 발광 소자의 개수를 작은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동영상을 재생하는 경우 및 광량이 미리 정해진 값 미만인 경우, 발광 소자 그룹 내에서 발광되는 발광 소자의 개수를 한 개 또는 두 개로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결정된 우선 순위들에 기초하여 발광 소자의 개수 및 발광 소자들 각각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다.
도 8의 (a) 내지 (c)는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최대 밝기의 50%로 디스플레이하는 영상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의 (a) 내지 (c)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발광되는 발광 소자들의 개수 및 발광 소자들 각각의 밝기를 조절함에 따라, 상이한 영상들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도 8의 (a) 내지 (c)의 각각의 영상 내에서, 발광 소자 그룹들의 발광되는 발광 소자의 위치는 모두 동일한 것을 가정하였다.
도 8의 (a)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발광 소자 그룹 내의 발광 소자들 모두를 50%의 밝기로 발광 시키는 경우를 도시한다. 도 8의 (b)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발광 소자 그룹 내의 3개의 발광 소자들을 63%의 밝기로 발광시키는 경우를 도시한다. 도 8의 (c)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발광 소자 그룹 내의 2개의 발광 소자들을 100%의 밝기로 발광시키는 경우를 도시한다.
도 8의 (a), (b) 및 (c)의 세가지 경우를 비교하여 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발광 소자들 각각의 밝기는 상이하고,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디스플레이하는 영상의 전체 밝기는 50%로 동일하다. 즉, 도 8의 (a), (b) 및 (c)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발광 소자들이 소모하는 전력은 동일하다.
도 8의 (a) 내지 (c)에 도시된 전체 영상들은, 편의상 복수의 발광 소자 그룹들에서 발광되는 발광 소자들의 위치들이 모두 동일하게 도시되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복수의 발광 소자 그룹 마다 발광되는 발광 소자들의 위치를 각각 상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
도 9의 (a) 내지 (d)는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최대 밝기의 25%로 디스플레이하는 영상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의 (a) 내지 (d)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참조하면, 발광되는 발광 소자들의 개수 및 발광 소자들 각각의 밝기를 조절함에 따라, 상이한 영상들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도 9의 (a) 내지 (d)의 각각의 영상 내에서, 발광 소자 그룹들의 발광되는 발광 소자의 위치는 모두 동일한 것을 가정하였다.
도 9의 (a)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발광 소자 그룹 내의 발광 소자들 모두를 25%의 밝기로 발광 시키는 경우를 도시한다. 도 9의 (b)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발광 소자 그룹 내의 3개의 발광 소자들을 33%의 밝기로 발광시키는 경우를 도시한다. 도 9의 (c)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발광 소자 그룹 내의 2개의 발광 소자들을 50%의 밝기로 발광시키는 경우를 도시한다. 도 9의 (d)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발광 소자 그룹 내의 1개의 발광 소자를 100%의 밝기로 발광시키는 경우를 도시한다.
도 9의 (a) 내지 (d)의 네가지 경우를 비교하여 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발광 소자들 각각의 밝기는 상이하고,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디스플레이하는 영상의 전체 밝기는 25%로 동일하다. 즉, 도 9의 (a), (b) 및 (c)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발광 소자들이 소모하는 전력은 동일하다.
도 9의 (a) 내지 (d)에 도시된 전체 영상들은, 편의상 복수의 발광 소자 그룹들에서 발광되는 발광 소자들의 위치들이 모두 동일하게 도시되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복수의 발광 소자 그룹 마다 발광되는 발광 소자들의 위치를 각각 상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
도 8 및 9에 도시된 실시예들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요구되는 해상도 및 디스플레이 장치(100) 주위의 광량 등에 기초하여, 발광되는 발광 소자의 개수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 주위의 광량이 미리 정해진 값 보다 작은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도 8의 (a) 및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든 발광 소자들을 발광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전체 발광 소자들의 밝기를 동일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 때,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높은 해상도를 갖는 영상을 재생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높은 해상도가 요구되지 않는 영상을 재생하고자 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도 8의 (c) 및 도 9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 발광 소자들 만을 발광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발광 소자 각각의 밝기를 최대로 조절할 수 있다. 이 때,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원래 영상의 색감과 동일한 색감을 갖는 영상을 재생할 수 있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절전 모드의 종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잔여 배터리의 양이 20% 이하인 경우, 베터리의 잔여량이 얼마 남지 않았음을 알리는 알림 메시지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01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010)에 절전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아이템(1011)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절전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아이템(1011)을 선택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아이템(1011)을 선택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절전 모드 종류를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1020)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화면의 전체 밝기를 조절하는 전체 밝기 낮춤 모드 및 해상도를 낮추는 해상도 낮춤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1020)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전체 밝기 낮춤 모드는, 발광 소자 그룹 내의 발광 소자들 모두를 발광시키는 제1 모드에 대응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전체 밝기 낮춤 모드에서 발광 소자 그룹 내의 발광 소자들이 모두 발광되도록 하면서, 발광 소자들 각각의 밝기를 변경시킬 수 있다. 또한, 해상도 낮춤 모드는 발광 소자 그룹 내의 발광 소자들 중 일부를 발광시키는 제2 모드에 대응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해상도 낮춤 모드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발광 소자 그룹 내의 발광 소자들 중의 일부를 온 상태로 할 수 있다.
도 10의 1000a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가 전체 밝기 낮춤 모드를 선택한 경우, 기존의 절전 모드에 따라 전체 화면의 밝기를 낮출 수 있다. 전체 밝기 낮춤 모드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가 전체 화면 밝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03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전체 밝기 낮춤 모드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잔여 배터리량 등에 기초하여 자동으로 전체 화면의 밝기를 변경할 수 있다.
도 10의 1000b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가 해상도 낮춤 모드를 선택한 경우, 발광 소자 그룹 내의 발광 소자들의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발광 소자들 중의 일부만이 발광되도록 할 수 있다. 해상도 낮춤 모드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가 발광되는 발광 소자의 개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04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해상도 낮춤 모드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잔여 배터리량 등에 기초하여 자동으로 발광되는 발광 소자의 개수를 선택할 수도 있다.
도 11a는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절전 모드의 종류를 자동으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예를 들어, 잔여 배터리의 양이 20% 이하인 경우, 알림 메시지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01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1010)에 포함된 아이템을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절전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아이템을 선택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절전 모드를 자동으로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1020)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절전 모드 설정을 제1 모드 및 제2 모드 중 어느 하나로 자동으로 설정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포함된 광 센서(도시되지 않음)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주위의 광량을 센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미리 정해진 광량의 값 미만의 광량을 인식하는 경우, 절전 모드로 제1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주위의 밝기가 어두운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절전 모드로 제1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미리 정해진 광량 이상의 광량을 인식하는 경우, 절전 모드로 제2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주위의 밝기가 밝은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절전 모드로 제2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제1 모드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가 전체 화면 밝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03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제2 모드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가 발광 소자 그룹 내에서 발광되는 발광 소자의 개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04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미리 정해진 광량의 값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화면 밝기의 최대 밝기의 30% 미만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제1 값 미만의 광량이 인식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10)의 발광 소자들의 밝기가 최대 밝기의 50% 로 조절되더라도,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디스플레이되는 컬러들을 식별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제1 값의 광량이 인식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1 모드에 따라 발광 소자들 전체의 밝기를 50%로 조절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미리 정해진 광량 이상의 광량이 인식될 수 있다. 이 경우, 주위의 밝기가 비교적 밝기 때문에 디스플레이(10)의 발광 소자들의 밝기가 최대 밝기의 50% 이하로 조절되면, 사용자가 화면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디스플레이되는 컬러들을 식별하는 것이 불가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미리 정해진 광량 이상의 광량이 인식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2 모드에 따라 발광 소자 그룹 내의 일부 발광 소자들의 발광 상태를 오프 상태로 제어할 수 있다.
도 11b는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화면 전체의 밝기 및 발광 소자 그룹에서 발광되는 발광 소자의 개수를 수동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나타낸다.
도 11b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발광되는 발광 소자들 각각의 밝기를 조절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1110) 및 발광 소자 그룹 내에서 발광 소자의 개수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1120)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발광 소자들의 밝기를 조절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1110)는 발광 소자들의 밝기를 조절하기 위한 아이템(1111)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화면 상의 아이템을 터치앤 드래그하는 것에 의해 발광 소자들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발광 소자 그룹 내에서 발광되는 발광 소자의 개수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1120)는 발광 소자 그룹 내에서 발광되는 발광 소자의 개수를 조절하기 위한 아이템들(1121, 1123, 1125, 1127)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화면 상의 아이템들(1121, 1123, 1125, 1127) 중 하나를 터치하는 것에 의해 발광 소자 그룹 내에서 발광되는 발광 소자의 개수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1120)에서 현재 선택되어 있는 아이템(1125)에 대응되는 위치를 터치한 후, 화면 상의 아이템들(1121, 1123, 1125, 1127) 중 어느 하나의 위치까지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화면 상의 아이템들(1121, 1123, 1125, 1127) 중 어느 하나에 대응되는 발광 소자의 개수를 선택할 수 있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사용하고 있는 전력을 나타내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도시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발광 소자들의 밝기 및 발광 소자 그룹 내에서 발광되는 발광 소자의 개수(1201)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발광 소자들에서 최대 소비가능한 전력 대비 현재 소비되고 있는 전력량을 나타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203)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디스플레이하는 유저인터페이스(1203) 내부에 표시된 사각형(1205)의 면적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발광 소자들에서 현재 소비되고 있는 전력량에 대응될 수 있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위한 디스플레이 방법의 순서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하나 이상의 발광 소자 그룹을 포함하며, 각 발광 소자 그룹은 미리 결정된 수의 발광 소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110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미리 결정된 수의 발광 소자들 각각의 누적 발광 시간에 기초하여, 발광 소자 그룹 내에서 발광 소자들의 우선 순위들을 결정할 수 있다(S110).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누적 발광 시간이 가장 짧은 발광 소자의 우선 순위를 가장 높은 순위로 결정할 수 있다.
단계 S120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우선 순위들에 기초하여 발광 소자들 각각의 발광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S120).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발광 소자 그룹 내에서 우선 순위가 가장 높은 발광 소자를 발광시키도록 결정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발광 소자 그룹 내에서 가장 낮은 순위를 갖는 발광 소자를 발광하지 않도록 결정할 수 있다.
도 1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위한 디스플레이 방법의 순서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하나 이상의 발광 소자 그룹을 포함하며, 각 발광 소자 그룹은 미리 결정된 수의 발광 소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210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미리 결정된 수의 발광 소자들 각각의 누적 발광 시간에 기초하여, 발광 소자 그룹 내에서 발광 소자들의 우선 순위들을 결정할 수 있다(S210).
단계 S220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우선 순위들에 기초하여 발광 소자들 각각의 발광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S220).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결정된 발광 소자들 각각의 발광 여부를 디스플레이 장치 내부의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단계 S230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포함된 시스템 제어부가 소자 제어부를 직접 제어할 수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S230). 구체적으로, 시스템 제어부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전반적인 동작 및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내부 구성요소들 사이의 신호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소자 제어부는 디스플레이를 구동하기 위한 집적 회로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 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230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시스템 제어부가 소자 제어부를 직접 제어할 수 있다고 판단하면 단계 S240로 진행될 수 있다. 단계 S240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시스템 제어부는 디스플레이의 각각의 발광 소자들의 발광 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S240).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시스템 제어부가 소자 제어부를 제어하고, 소자 제어부는 메모리에 저장된 발광 소자 각각의 발광 여부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의 각각의 발광 소자들의 발광 여부를 직접 제어할 수 있다.
단계 S230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시스템 제어부가 소자 제어부를 직접 제어할 수 없다고 판단하면 단계 S250로 진행될 수 있다. 단계 S240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결정된 발광 소자들의 발광 여부에 기초하여 알파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S250).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메모리에 저장된 발광 소자들 각각의 발광 여부에 기초하여 알파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단계 S260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알파 이미지와 출력 영상 데이터를 합성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출력 영상 데이터를 프레임 버퍼(도시되지 않음)에 저장할 수 있다. 프레임 버퍼는 디스플레이의 화면에 나타날 영상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포함된 별도의 메모리이다.
단계 S270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저장된 발광 소자 각각의 발광 여부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에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S270).
단계 S280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발광 소자들 각각의 발광 여부가 변경되면, 발광 소자들 각각의 누적 발광 시간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S280).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각각의 발광 소자들의 누적 발광 시간을 디스플레이 장치 내부의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전술한 명세서에서, 본 개시 및 장점들은 특정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되었다. 하지만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은 다양한 변경과 변화를, 아래 청구항에 개시된 바와 같은 본 개시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용이하게 달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상세한 설명과 도면은 제한적 의미가 아니라, 본 개시의 설명적 예시들로 간주되어야 한다. 이러한 가능한 모든 수정은 본 개시의 범위 내에 포함되도록 의도된다.

Claims (22)

  1. 하나 이상의 발광 소자 그룹을 포함하며, 각 발광 소자 그룹은 미리 결정된 수의 발광 소자들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및
    상기 발광 소자들 각각의 누적 발광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발광 소자 그룹 내에서 상기 발광 소자들의 우선 순위들을 결정하고,
    상기 우선 순위들에 기초하여 상기 발광 소자들 각각의 발광 여부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우선 순위들에 기초하여 발광되는 발광 소자의 개수 및 상기 발광 소자들 각각의 밝기를 결정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발광 소자들 중 상기 누적 발광 시간이 가장 긴 발광 소자를 발광하지 않도록 결정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컨텐츠가 변경되는 시점에, 상기 발광 소자들 각각의 발광 여부를 변경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소자들 각각의 상기 누적 발광 시간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발광 소자들 각각의 발광 여부가 변경되면, 상기 발광 소자들 각각의 상기 누적 발광 시간을 업데이트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발광 소자 그룹 내에서 발광되는 상기 발광 소자들의 개수 및 각각의 발광 소자들의 밝기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광량을 인식하는 광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광 센서가 인식한 광량에 기초하여, 상기 발광 소자들을 모두 발광하도록 하는 제1 모드 및 상기 발광 소자들 중 일부를 발광하도록 하는 제2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광 센서가 정해진 광량 미만의 광량을 인식하는 경우, 상기 제1 모드를 선택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광 센서가 미리 정해진 광량 이상의 광량을 인식하는 경우, 상기 제2 모드를 선택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이 텍스트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발광 소자들 각각의 발광 여부를 모두 동일하게 결정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결정된 상기 발광 소자 각각의 발광 여부에 기초하여, 알파 이미지(alpha image)와 출력 영상 데이터를 합성(composition)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2. 하나 이상의 발광 소자 그룹을 포함하며, 각 발광 소자 그룹은 미리 결정된 수의 발광 소자들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방법에 있어서,
    미리 결정된 수의 발광 소자들 각각의 누적 발광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발광 소자 그룹 내에서 상기 발광 소자들의 우선 순위들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우선 순위들에 기초하여 상기 발광 소자들 각각의 발광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우선 순위들에 기초하여 발광되는 발광 소자의 개수 및 상기 발광 소자들 각각의 밝기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14.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발광 소자들 중 상기 누적 발광 시간이 가장 긴 발광 소자를 발광하지 않도록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15.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컨텐츠가 변경되는 시점에, 상기 발광 소자들 각각의 발광 여부를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16.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소자들 각각의 발광 여부가 변경되면, 상기 발광 소자들 각각의 상기 누적 발광 시간을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17.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소자 그룹 내에서 발광되는 상기 발광 소자들의 개수 및 각각의 발광 소자들의 밝기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18. 제12 항에 있어서,
    광량에 기초하여, 상기 발광 소자들을 모두 발광하도록 하는 제1 모드 및 상기 발광 소자들 중 일부를 발광하도록 하는 제2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19.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광량이 정해진 광량 미만인 경우, 상기 제1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20.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광량이 미리 정해진 광량 이상인 경우, 상기 제2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21.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이 텍스트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발광 소자들 각각의 발광 여부를 모두 동일하게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22.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된 상기 발광 소자 각각의 발광 여부에 기초하여, 알파 이미지(alpha image)와 출력 영상 데이터를 합성(composition)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KR1020150105291A 2015-07-24 2015-07-24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KR1023342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5291A KR102334211B1 (ko) 2015-07-24 2015-07-24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CN201680038007.XA CN107820630B (zh) 2015-07-24 2016-07-20 显示装置和显示方法
PCT/KR2016/007898 WO2017018713A1 (en) 2015-07-24 2016-07-20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US15/215,827 US10803827B2 (en) 2015-07-24 2016-07-21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5291A KR102334211B1 (ko) 2015-07-24 2015-07-24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1871A true KR20170011871A (ko) 2017-02-02
KR102334211B1 KR102334211B1 (ko) 2021-12-02

Family

ID=578373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5291A KR102334211B1 (ko) 2015-07-24 2015-07-24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803827B2 (ko)
KR (1) KR102334211B1 (ko)
CN (1) CN107820630B (ko)
WO (1) WO201701871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13451A (zh) * 2019-04-19 2019-08-09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指示灯控制方法及移动终端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64957B (zh) * 2017-09-30 2022-04-22 云谷(固安)科技有限公司 显示屏及显示装置
CN110992900A (zh) * 2019-12-17 2020-04-10 深圳市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液晶显示屏、背光电路及其背光驱动方法
CN111554239A (zh) * 2020-05-22 2020-08-18 Tcl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背光控制方法、装置以及存储介质
KR20230061647A (ko) 2021-10-28 2023-05-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78914A (ko) * 2012-12-18 2014-06-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디스플레이 구동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99798B2 (ja) * 2000-03-13 2004-02-23 シャープ株式会社 液晶情報表示装置
JP2003029709A (ja) * 2001-07-13 2003-01-3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表示装置
CN1399458A (zh) * 2001-07-23 2003-02-26 英华达股份有限公司 手机可自动调整背光亮度的方法
KR20030065028A (ko) 2002-01-29 2003-08-06 주식회사 어필텔레콤 휴대폰의 칼라 유기전계발광표시소자의 구동방법
KR20060132222A (ko) * 2005-06-17 2006-12-2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유기발광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US7460933B2 (en) * 2005-08-31 2008-12-02 Ranco Incorporated Of Delaware Thermostat display system providing adjustable backlight and indicators
JP2007206464A (ja) 2006-02-02 2007-08-16 Sony Corp 自発光表示装置、見積もり劣化情報修正装置、入力表示データ補正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20080258637A1 (en) * 2007-04-20 2008-10-23 Shun Kei Leung Light emitting element driver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101487548B1 (ko) * 2007-05-18 2015-01-29 소니 주식회사 표시 장치, 표시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KR20090013985A (ko) 2007-08-03 2009-02-0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전계발광 표시장치
JP2009075563A (ja) * 2007-08-24 2009-04-09 Canon Inc 発光表示装置の表示方法
KR100902219B1 (ko) * 2007-12-05 2009-06-11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JP2010134435A (ja) * 2008-10-28 2010-06-17 Panasonic Corp バックライト装置および表示装置
KR101986708B1 (ko) 2011-01-05 2019-06-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JP2013057912A (ja) * 2011-09-09 2013-03-28 Canon Inc 表示装置及び表示方法
CN103514832B (zh) * 2012-06-18 2016-08-17 联想(北京)有限公司 Oled显示像素及其显示方法、oled显示器
JP6175810B2 (ja) * 2013-03-06 2017-08-0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プロジェクター及び画像処理方法
CN103198790A (zh) * 2013-03-15 2013-07-10 向运明 一种自发光显示设备和修正显示单元亮度不一致的方法
US8929679B1 (en) * 2013-06-12 2015-01-06 Googl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changing contrast based on brightness of an output for presentation on a display
US9740046B2 (en) * 2013-11-12 2017-08-22 Nvid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to provide a lower power user interface on an LCD panel through localized backlight control
RU2602340C2 (ru) * 2013-11-13 2016-11-20 Кэнон Кабусики Кайся Устройство отображения и способ его управления, светоизлуча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его управления, а также невременный машиночитаемый носитель хранения данных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78914A (ko) * 2012-12-18 2014-06-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디스플레이 구동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13451A (zh) * 2019-04-19 2019-08-09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指示灯控制方法及移动终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018713A1 (en) 2017-02-02
CN107820630A (zh) 2018-03-20
US20170025094A1 (en) 2017-01-26
US10803827B2 (en) 2020-10-13
KR102334211B1 (ko) 2021-12-02
CN107820630B (zh) 2021-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48704B2 (en) Remote controll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screen thereof
CN107820630B (zh) 显示装置和显示方法
US10635373B2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10768681B2 (en) Electronic device and content display method thereof
US2015011634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screen brightness in electronic device
US11183148B2 (en)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US9686749B2 (en) Portable terminal and display control method
CN112925596B (zh) 移动终端及其显示对象的显示方法
KR102511363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US20180301121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contents thereof
EP3038374A1 (en) Display device and display method
KR102550042B1 (ko) 디스플레이를 통해 어플리케이션의 콘텐트를 표시하는 방법 및 이를 구현한 전자 장치
KR102563638B1 (ko) 전자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번인 방지 방법 및 전자 장치
KR101960507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US9613159B2 (en) Systems, methods, and computer-readable media for integrating a fit-to-size scale factor in a sequence of scale factors
US11928252B2 (en)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20140078914A (ko) 전자 장치 및 디스플레이 구동 방법
WO2021128555A1 (zh) 一种消息通知方法、装置及移动终端
US20130176289A1 (en) Display switch method and portable device thereof
US20240143130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ui providing method thereof
TWI493443B (zh) 電子裝置及其顯示應用程式的方法
KR101545292B1 (ko) Osd 생성 장치 및 osd 구현 방법
KR20180119022A (ko) 원격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