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1851A - 킥 스탠드 펌프 - Google Patents

킥 스탠드 펌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1851A
KR20170011851A KR1020150105237A KR20150105237A KR20170011851A KR 20170011851 A KR20170011851 A KR 20170011851A KR 1020150105237 A KR1020150105237 A KR 1020150105237A KR 20150105237 A KR20150105237 A KR 20150105237A KR 20170011851 A KR20170011851 A KR 201700118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ick stand
fixed
pump
cylinder body
bicy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52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필호
Original Assignee
(주)리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리만 filed Critical (주)리만
Priority to KR10201501052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11851A/ko
Publication of KR201700118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18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HCYCLE STANDS;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Z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DEVICES FOR LEARNING TO RIDE CYCLES
    • B62H5/00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 B62H5/20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indicating unauthorised use, e.g. acting on signall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HCYCLE STANDS;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Z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DEVICES FOR LEARNING TO RIDE CYCLES
    • B62H1/00Supports or stands forming part of or attached to cycles
    • B62H1/02Articulated stands, e.g. in the shape of hinged 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HCYCLE STANDS;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Z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DEVICES FOR LEARNING TO RIDE CYCLES
    • B62H5/00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1/00Suppor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fastening specific devices to cycles, e.g. supports for attaching maps
    • B62J11/02Suppor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fastening specific devices to cycles, e.g. supports for attaching maps for pu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9/00Cycle frames
    • B62K19/30Frame parts shaped to receive other cycle parts or accessories
    • B62K19/40Frame parts shaped to receive other cycle parts or accessories for attaching accessories, e.g. article carriers, lamps
    • B62K19/42Frame parts shaped to receive other cycle parts or accessories for attaching accessories, e.g. article carriers, lamps for tyre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3/00Pumps actuated by muscle power, e.g. for inflating
    • F04B33/005Pumps actuated by muscle power, e.g. for inflating specially adapted for inflating tyres of non-motorised vehicles, e.g. cycles, tricycles
    • B62J2099/002
    • B62J2300/002
    • B62K2207/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ressors, Vaccum Pumps And Other Relevant Systems (AREA)

Abstract

킥 스탠드 펌프가 개된다. 본 발명은 킥 스탠드에 펌프를 결합하고 동시에 도난 방지를 구현할 수 있는 구성을 갖는 킥 스탠드 펌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킥 스탠드 펌프는 자전거 리어 휠의 퀵 릴리즈 레버에 장착되는 킥 스탠드 펌프로서, 상기 퀵 릴리즈 레버에 고정되는 후크 고정체; 상기 후크 고정체에 회전 가능하게 조립되고 압축공기가 배기되는 배기구를 구비한 회전 소켓; 상기 회전 소켓에 고정된 실린더 몸체; 상기 실린더 몸체 내부에 고정되고 상부에는 피스톤이 하부에는 마개 겸 손잡이가 결합된 중공의 피스톤 로드; 상기 피스톤 로드 내부에 장착되는 공기호스; 및 상기 후크 고정체에 고정 설치되고, 일단이 자전거의 일부 부품을 경유한 다음 복귀하여 고정되는 와이어를 구비한 자물쇠;을 포함하고, 상기 킥 스탠드 펌프의 위치를 추적할 수 있도록 상기 후크 고정체 또는 상기 실린더 몸체에 고정된 근거리 위치추적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킥 스탠드의 진동을 감지하는 진동감지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자물쇠가 잠긴 상태에서 진동이 감지되면 상기 위치 추적기가 동작한다.

Description

킥 스탠드 펌프 {kick stand pump}
본 발명은 킥 스탠드 펌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킥 스탠드에 펌프를 결합하고 동시에 도난 방지를 구현할 수 있는 구성을 갖는 킥 스탠드 펌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킥 스탠드(kick stand)는 사륜차가 아닌 이륜차, 대표적으로 자전거의 경우에 바퀴가 두 개 뿐이기 때문에 주차시 자전거를 세운 상태로 지지하기 위하여 통상 뒷바퀴의 프레임에 고정되어 설치되어 있다.
킥 스탠드는 주차시에는 자전거가 세워진 상태에서 일정각도 기울어진 상태로 세워지도록 한쪽은 지면에 다른 한쪽은 자전거에 연결되어 지지하게 되는 구조이다.
킥 스탠드는 운행시에는 바퀴 뒤쪽으로 90도 회전되어 수평으로 되도록 사용자가 발로 밀게 되는 일반적인 사용방법을 따른다.
또한, 킥 스탠드는 다시 주차시에는 수평상태에서 발로 밀어 전술한 주차시의 상태로 회전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킥 스탠드는 킥 스탠드 본연의 목적 외에는 별다른 사용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경우는 별로 없다. 또한 자전거 설계 추세가 자전거의 무게를 최대한 줄이려고 하는 입장이기 때문에 운행에 꼭 필요하지 않은 부품은 생략하고 있다. 그래서 현재 시판되고 있는 자전거 중에는 킥 스탠드가 장착되어 있지 않은 것들도 많다.
종래기술에 의한 자전거의 킥 스탠드는 단순히 자전거를 주차시 세워두기 위한 목적 이외에는 다른 기능이 없기 때문에 자전거의 무게만 증가시키고 기능적인 효과는 적은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자전거는 두 개의 바퀴로 통상 운행하게 되기 때문에 타이어가 펑크 나거나 바람이 빠진 경우에는 타이어에 바람을 넣어야 한다. 이때 타이어에 바람을 공급하기 위한 펌프가 필요한데, 통상 펌프는 자전거의 프레임 일부분에 일정한 형태의 홀더를 사용하여 탈부착하도록 구성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이, 종래기술에 의한 자전거는 펌프를 따로 휴대하거나 아니면 자전거의 프레임에 홀더를 사용하여 탈부착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새로운 홀더 등을 사용하여 탈부착하는 구성으로 무게를 증대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술한 종래기술에 의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중국실용신안공개 2077493이 공개되어 있다. 이 고안에서는 여러 가지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자전거용 펌프가 공지되어 있다. 이 고안의 펌프는 자전거의 페달에 연결하여 펌프를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동시에 킥 스탠드로도 사용이 가능하다고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의한 자전거용 펌프는 구조적으로 복잡하여 많은 부품으로 되어 있어 무게를 줄이고 있는 추세에 완전히 역행하는 동시에, 펌프를 사용하기 위한 방법이 너무 복잡하고 난해하며 펌프의 분리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중국실용신안공개 2077493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킥 스탠드에 펌프를 결합하도록 구성하고 도난 외에 기타 기능을 다수 구비토록 한 킥 스탠드 펌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자전거 리어 휠의 퀵 릴리즈 레버에 장착되는 킥 스탠드 펌프로서, 상기 퀵 릴리즈 레버에 고정되는 후크 고정체; 상기 후크 고정체에 회전 가능하게 조립되고 압축공기가 배기되는 배기구를 구비한 회전 소켓; 상기 회전 소켓에 고정된 실린더 몸체; 상기 실린더 몸체 내부에 고정되고 상부에는 피스톤이 하부에는 마개 겸 손잡이가 결합된 중공의 피스톤 로드; 상기 피스톤 로드 내부에 장착되는 공기호스; 및 상기 후크 고정체에 고정 설치되고, 일단이 자전거의 일부 부품을 경유한 다음 복귀하여 고정되는 와이어를 구비한 자물쇠;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킥 스탠드 펌프의 위치를 추적할 수 있도록 상기 후크 고정체 또는 상기 실린더 몸체에 고정된 근거리 위치추적기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킥 스탠드의 진동을 감지하는 진동감지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자물쇠가 잠긴 상태에서 진동이 감지되면 상기 위치 추적기가 동작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본 발명에 의한 킥 스탠드 펌프는 킥 스탠드 펌프가 고정되는 부위에 자물쇠 장치가 구비되어 도난을 1차적으로 방지하게 된다.
(2) 본 발명에 의함 킥 스탠드 펌프는 근거리 위치 추적기가 탑재되어 2차적으로 도난시 진동을 감지하여 신속하게 도난 정보를 알리는 동시에 도난 자전거의 위치를 추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킥 스탠드 펌프가 주차위치에 있는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킥 스탠드 펌프가 주행위치에 있는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킥 스탠드 펌프의 각각 전후방에 바라 본 사시도들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킥 스탠드 펌프의 동작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킥 스탠드 펌프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킥 스탠드 펌프의 종단면도이다.
도 8과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킥 스탠드 펌프의 사용 순서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도 8은 공기호스를 실린더 몸체로부터 분리하는 사시도이고, 도 9는 분리된 공기호스를 압력공기홀에 조립하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킥 스탠드 펌프에 자물쇠장치가 설치되어 작동되는 사시도들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킥 스탠드 펌프(100)는 도 1을 참고하면, 주차위치에 위치하여 킥 스탠드로서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상태이다. 자전거 프레임(2)에 리어 휠(1)이 퀵 릴리즈 레버(3)에 의해 조립되어 있고, 상기 리어 휠(1)과 함께 상기 킥 스탠드 펌프(100)가 상기 퀵 릴리즈 레버(3)에 의해 상기 자전거 프레임(2)에 조립되어 고정된 상태이다.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의한 킥 스탠드 펌프(100)가 주차위치에서 주행위치로 변화된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즉 상기 킥 스탠드 펌프(100)의 일부분이 회전되어 상기 킥 스탠드 펌프(100)가 지면과 거의 평행한 상태로 된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자전거의 주행이 이루어지게 된다. 마개 겸 손잡이(150)에 후미등이 설치된 경우에는 후방에서 정면으로 후미등이 보이게 된다.
도 3과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의한 킥 스탠드 펌프(100)가 도시되어 있다. 상측부로부터 후크 고정체(110), 회전 소켓(120), 실린더 몸체(130), 마개 겸용 손잡이(150)가 차례로 조립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상기 후크 고정체(110)는 상기 퀵 릴리즈 레버(3)와 함께 고정되고, 상기 후크 고정체(110)와 결합된 회전 소켓(120) 이하의 부품들은 회전축(123)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설계되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차위치와 주행위치로 회전되어 상태를 변경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킥 스탠드 펌프(100)를 구성하는 구성요소별로 설명한다.
상기 후크 고정체(110)는 상기 퀵 릴리즈 레버(3)에 의해 리어 휠(1)과 함께 프레임(2)에 고정된다. 상기 후크 고정체(110)는 두 개의 후크(111)가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지고, 중간에는 홈(111a)이 형성되어 타이어 레버로서의 역할도 수행한다. 상기 후크(111)들 사이로 퀵 릴리즈 레버(3)의 조립축이 들어가 고정되는 것이다. 고정 시 마찰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와셔(4)가 추가로 조립된다. 상기 와셔(4)에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마찰을 증대시킨다.
상기 후크 고정체(110)에는 하부에 삽입부(112)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112)에는 회전축(123)이 관통하기 위한 홀(112a)이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삽입부(112)는 상기 회전 소켓(120)에 삽입된 다음 회전축(123)이 상기 홀(112a)에 끼워져 상기 회전 소켓(120)이 상기 후크 고정체(110)에 대하여 회전될 수 있게 된다.
상기 후크 고정체(110)의 두 개의 후크(111)는 전술한 바와 같이 타이어 레버 역할도 수행하게 된다.
상기 회전 소켓(120)은 상기 회전축(123)이 관통하는 홀(120a)을 역시 구비하고 있고, 상기 회전 소켓(120)의 홀(120a)은 상기 후크 고정체(110)의 홀(112a)과 동일한 위치에 맞추어져 상기 회전축(123)이 관통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회전축(123)은 회전축 너트(124)와 함께 빠지지 않도록 조립되어 회전축으로서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회전 소켓(120) 내부에는 상기 후크 고정체(110)의 하단부를 지지하여 회전을 안내하는 가이드 홀더(122)가 장착되고, 상기 가이드 홀더(122)에는 후크 스프링(121)이 끼워지게 되며, 상기 후크 스프링(121)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후크 고정체(111)는 상기 회전 소켓(120) 바깥 방향으로 힘을 받고 있게 된다. 따라서 후크 고정체(110)에 대하여 상기 회전 소켓(120)이 일정각도, 즉 약간의 각도가 회전되면 상기 후크 스프링(121)의 탄성력에 의해 바로 회전하게 된다. 즉 회전력에 조력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회전 소켓(120)의 하부에는 압축공기가 배기되는 배기구(120c)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배기구(120c)에는 공기호스(160)를 나사 결합하기 위한 너트부재(125)가 고정되고, 그 너트부재(125)의 구멍을 막기 위한 마개(126)가 조립된다.
상기 회전소켓(120)의 하부에는 실린더 몸체(130)가 조립 고정된다.
상기 실린더 몸체(130)는 펌프의 실린더를 구성하는 부품이다. 상기 실린더 몸체(130)는 원통형의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실린더 몸체(130)는 피스톤(142)에 의해 밀착되는 행정부와 그 하부에 밀착되지 않은 직경이 확대된 직경 확대부로 이루어져 직경이 변하도록 구비되어 있다.
상기 실린더 몸체(130) 내부에는 피스톤(142)이 상단에 조립되는 피스톤 로드(14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피스톤 로드(140)는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져 내부에 상기 공기호스(160)가 안착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피스톤 로드(140)는 상단부에 피스톤(142)이 구비되어 상하로 왕복하는 경우, 상기 실린더 몸체(130)와 함께 밀폐된 공간에서 공기를 압축하여 상기 회전소켓(120)의 배기구(120c)로 보내게 된다.
상기 피스톤 로드(140) 하단부에는 상기 홀더(141)가 고정 조립되고, 상기 홀더(141)에는 상기 마개 겸 손잡이(150)가 조립 및 분해 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공기호스(160)를 빼낼 때에는 분해한 다음, 빼낸 후에는 손잡이로 사용하도록 상기 홀더(141)에 다시 조립한다.
상기 피스톤 로드(140) 상단부에는 피스톤(142)이 장착되어 실린더 몸체(130)와 함께 공기를 압축하게 된다.
상기 피스톤(142)의 상측에는 원형 홈이 형성되어 있고, 그 원형 홈에 댐핑 스프링(143)이 안착된다.
상기 피스톤(142)의 상부에는 링 형상의 댐핑 홀더(144)가 조립된다. 상기 댐핑 홀더(144)는 상기 댐핑 스프링(143)의 상단이 밀착되도록 되어 있고, 중앙으로 압출된 공기가 흐를 수 있도록 중앙 홀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피스톤(142)이 압축되는 과정에서 마지막에 상기 피스톤(142)이 상기 댐핑 홀더(144)에 바로 부딪혀 소리가 나지 않도록 스프링(143)에 의해 탄성력을 제공받게 된다.
상기 댐핑 홀더(144) 상부에는 납작한 동전 형태의 댐퍼(145)가 설치되어 압축 공기의 흐름을 제어하게 된다.
상기 마개 겸 손잡이(15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홀더(141)와 신속하게 조립 및 분해가 가능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즉 상기 홀더(141) 외면에는 가이드 홈(141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마개 겸 손잡이(150)에는 상기 가이드 홈(141a)에 끼워지는 가이드 돌기(150a)가 형성되어 상기 마개 겹 손잡이(150)의 가이드 돌기(150a)가 상기 홀더(141) 외면에 끼워진 다음 회전시키면 상기 가이드 돌기(150a)가 상기 가이드 홈(141a)으로 들어가 조립되는 구조이다.
상기 공기호스(16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너트 부재(125)에 나사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공기호스(160)는 평상시에는 상기 피스톤 로드(140)에 내부에 보관된다.
또한, 상기 실린더(130) 내부에 새로운 스프링을 장착하여 펌핑시 충격을 완화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8과 도 9를 참고하면, 도 8과 같이 상기 홀더(141)로부터 상기 마개 겸 손잡이(150)를 분리하고 상기 공기호스(160)를 상기 피스톤 로드(140) 내부로부터 꺼낸다.
그 다음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기호스(160)를 상기 마개(126)를 개방하여 상기 너트 부재(125)와 결합하고, 동시에 상기 마개 겸 손잡이(150)를 상기 홀더(141)와 결합시킨다. 그 후 상기 마개 겸 손잡이(150)를 당겼다 놓는 방식으로 공기를 압축하면 상기 공기호스(160)를 통하여 압축공기가 공급된다. 물론 상기 공기호스(160)의 반대편은 타이어의 공기구멍에 결합되어 있을 것이다.
더불어 상기 킥 스탠드 펌프(100)는 상기 퀵 릴리즈 레버(3)를 해제하여 분리한 상태에서 펌핑 작업을 하게 되고, 이때 상기 후크 고정체(110)를 90도 회전시킨 상태에서 발로 밟고 펌핑 작업을 진행하게 되면 적은 힘으로 펌핑 작업을 완료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9를 참고하면, 펌핑 작업시 상기 타이어의 압력을 작업자가 알 수 있도록 압력계(10)가 설치된다. 상기 압력계의 위치는 상기 회전소켓(120)의 공기 주입구인 배기구(120c) 부근에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후크 고정체(110)를 여기서는 결합형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나사 결합식으로 펌프 부분만을 따로 분리할 수 있는 분리형으로 제작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후크 고정체(110)에는 자물쇠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도 10을 참고하면, 상기 후크 고정체(110)에 와이어를 이용하여 잠그게 되는 자물쇠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마개 겸 손잡이(150)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후미등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후미등은 환형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따라서 주행위치에서 주행하게 되면 후방에서는 상기 후미등이 정면으로 보이게 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후크 고정체(110) 또는 상기 실린더 몸체(130)에 근거리 위치 추적기를 설치할 수도 있다.
현재에는 고가의 자전거가 많이 출시되는 상황이기 때문에 자물쇠장치 외에도 도난시 근거리 위치 추적을 할 수 있는 근거리 위치 추적기가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근거리 위치 추적기는 부근에 동일한 추적기를 사용하는 사용자에게 모두 그 분실 정보를 제공하도록 함으로써 더욱 빠르고 많은 사람이 도난 자전거를 찾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위치 추적기 부근에는 진동감지 센서를 설치하여 자물쇠장치가 잠긴 상태, 즉 해제되지 않은 상태에서 진동이 감지되면 이를 소유자에게 통보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진동 감지에 의해 상기 위치 추적기가 바로 작동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 : 리어 휠
2 : 프레임 3 : 퀵 릴리즈 레버
100 : 킥 스탠드 펌프 110 : 후크 고정체
120 : 회전 소켓 130 : 실린더 몸체
140 : 피스톤 로드 150 : 마개 겸 손잡이
150 : 공기호스

Claims (3)

  1. 자전거 리어 휠의 퀵 릴리즈 레버에 장착되는 킥 스탠드 펌프로서,
    상기 퀵 릴리즈 레버에 고정되는 후크 고정체;
    상기 후크 고정체에 회전 가능하게 조립되고 압축공기가 배기되는 배기구를 구비한 회전 소켓;
    상기 회전 소켓에 고정된 실린더 몸체;
    상기 실린더 몸체 내부에 고정되고 상부에는 피스톤이 하부에는 마개 겸 손잡이가 결합된 중공의 피스톤 로드;
    상기 피스톤 로드 내부에 장착되는 공기호스; 및
    상기 후크 고정체에 고정 설치되고, 일단이 자전거의 일부 부품을 경유한 다음 복귀하여 고정되는 와이어를 구비한 자물쇠;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킥 스탠드 펌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킥 스탠드 펌프의 위치를 추적할 수 있도록 상기 후크 고정체 또는 상기 실린더 몸체에 고정된 근거리 위치추적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킥 스탠드 펌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킥 스탠드의 진동을 감지하는 진동감지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자물쇠가 잠긴 상태에서 진동이 감지되면 상기 위치 추적기가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킥 스탠드 펌프.
KR1020150105237A 2015-07-24 2015-07-24 킥 스탠드 펌프 KR2017001185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5237A KR20170011851A (ko) 2015-07-24 2015-07-24 킥 스탠드 펌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5237A KR20170011851A (ko) 2015-07-24 2015-07-24 킥 스탠드 펌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1851A true KR20170011851A (ko) 2017-02-02

Family

ID=581541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5237A KR20170011851A (ko) 2015-07-24 2015-07-24 킥 스탠드 펌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1185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2100026276A1 (it) * 2021-10-13 2023-04-13 Ip Capital Fund S C A Cavalletto per biciclett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77493U (zh) 1990-05-12 1991-05-22 汪朴澄 多用打气筒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77493U (zh) 1990-05-12 1991-05-22 汪朴澄 多用打气筒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2100026276A1 (it) * 2021-10-13 2023-04-13 Ip Capital Fund S C A Cavalletto per biciclette
WO2023062458A1 (en) * 2021-10-13 2023-04-20 Ip Capital Fund S.C.A. Kickstand for bicycl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10991B2 (en) Stationary bike
US7878521B2 (en) Bicycle frame with device cavity
CN103600795B (zh) 基于圆盘光栅的自平衡两轮车
KR20150024545A (ko) 자전거 스탠드
TW201738541A (zh) 自行車踏面角度的量測裝置與其量測方法
KR20170011851A (ko) 킥 스탠드 펌프
US10821939B2 (en) GPS lock
US921678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n improved bicycle stand
US8888113B2 (en) Air bladder suspension
WO2016141780A1 (zh) 一种便携式两轮车的前轮轮毂内转向结构
US20160221623A1 (en) Bicycle kick stand-combined pump and kick stand having detachable pump
TWI564207B (zh) Can be accommodated in the bike seat of the pump
ATE374144T1 (de) Gefedertes vorderlenksystem für mehrfachumdrehungs-zweiräder
JP2018076054A (ja) 兼用自転車
KR101588091B1 (ko) 착탈식 펌프를 갖는 킥 스탠드
TWI535612B (zh) The top of the stand is equipped with a bicycle with a lock
US20080163812A1 (en) Bell Device Mounted on a Vehicle Handle
CN108791620B (zh) 可侧倾的智能平衡转向折叠电动三轮车及其控制方法
TWI632081B (zh) 多功能自行車輔助裝置
GB2445376A (en) Bell device removably mounted on a vehicle handle
KR20160002651A (ko) 착탈식 펌프를 갖는 킥 스탠드
KR101471606B1 (ko) 자전거의 킥 스탠드 겸용 펌프
US11939018B2 (en) Power pegs stand
US20120211964A1 (en) Foldable bicycle with a large wheel and a small wheel
CN110027657B (zh) 电动平衡车