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1777A - 치아 교정 장치 - Google Patents

치아 교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1777A
KR20170011777A KR1020150105017A KR20150105017A KR20170011777A KR 20170011777 A KR20170011777 A KR 20170011777A KR 1020150105017 A KR1020150105017 A KR 1020150105017A KR 20150105017 A KR20150105017 A KR 20150105017A KR 20170011777 A KR20170011777 A KR 201700117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base
teeth
tooth
orthodon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50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41025B1 (ko
Inventor
김정경
김성하
Original Assignee
김정경
김성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경, 김성하 filed Critical 김정경
Priority to KR10201501050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1025B1/ko
Publication of KR201700117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17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10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10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20Arch wi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28Securing arch wire to bracket
    • A61C7/30Securing arch wire to bracket by resilient means; Dispensers there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아 교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베이스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치열에 접하는 교정부 사이에 탄성수단을 배치하여 교정부가 베이스 방향으로 가압되도록 강제함으로써, 치아의 교정 치료를 쉽게 하며, 치아 교정 장치의 탈착을 쉽게 행할 수 있는 치아 교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치아 교정 장치는 구강 내 설면 또는 구강 내 천장면에 탈착되는 베이스; 및 치열에 접하도록 원호 형상으로 이루어진 교정부, 일단이 상기 베이스에 고정된 양측 고정부, 그리고 상기 교정부의 양 끝단과 상기 양측 고정부의 타단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교정부가 베이스 방향으로 가압되도록 강제하는 탄성수단으로 이루어진 리테이너 와이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치아 교정 장치{ORTHODONTIC APPARATUS}
본 발명은 치아 교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베이스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치열에 접하는 교정부 사이에 탄성수단을 배치하여 교정부가 베이스 방향으로 가압되도록 강제함으로써, 치아의 교정 치료를 쉽게 하며, 치아 교정 장치의 탈착을 쉽게 행할 수 있는 치아 교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에게 있어서 치아는 색깔과 형태에 의해 외관상 형성되는 이미지로 인해 개인적인 호감도 등을 높일 수 있는 중요한 요인이며, 치아의 정렬에 따른 치열은 치아의 자체뿐만 아니라, 안면의 골격 구조까지 영향을 미치므로 외적 이미지의 형성에 중요한 요인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기형적 치열을 가진 사람의 경우에는 외적 이미지에 대한 영향뿐만 아니라 식생활 등에도 불편을 초래하는 경우가 있어서 치열의 교정은 치의학상 중요한 치료대상으로 간주되어 왔다.
따라서 치의학적 치료 중에서 치열 교정 방법은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그 방법 또한 매우 다양하다.
최근까지 널리 시술되어온 치열 교정 방법은 치열을 이루는 각각의 치아의 외측 치표면에 1개씩의 브래킷을 부착하고, 브래킷에 철심을 호선 형태로 연결한 강인한 재질의 리테이너 와이어를 묶어 리테이너 와이어의 외적 물리력에 의해서 각각의 치아의 위치 또는 방향을 장시간에 걸쳐 점차적으로 교정시키도록 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전통적인 교정 방법은 각 치아의 외측 치표면에 소정 크기의 브래킷을 부착하고, 각각의 브래킷을 리테이너 와이어로 연결시켜 놓은 구조로, 브래킷을 치아에 부착하기 위해서는 치아 표면에 에칭(etching)과 접착제(resin)를 이용하므로 치아가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로써, 공개특허 제10-2001-0040314호(공개일자 2001.05.15.) "리테이너 와이어 및 그 리테이너 와이어를 이용한 치열보정 장치"(이하 종래 기술이라 함.)가 있다.
상기 종래기술은 치열에 당접할 수 있도록 원호 상으로 형성된 보전부와, 상기 보전부의 양단에서 연장 설치된 금속재 와이어로 이루어진 리테이너 와이어 및 이를 이용한 치열 보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보전부가 투명성과 소정의 기계적 강도를 구비한 합성수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금속제 와이어가 상기 보전부와 일체로 성형되어, 플라스틱 부분과 금속 와이어와의 접합 부분의 인발강도를 개선하는 기술이다.
상기 종래기술은 리테이너 와이어가 치아를 둘러싸도록 부착되어 치아가 교정 전의 상태로 돌아가는 것을 방지하고 리테이너 와이어의 반력(反力)에 의해 치아가 베이스에 밀착되어 가압됨으로써, 교정된 치열 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금속제의 리테이너 와이어만으로 치열을 교정하므로, 치열을 교정하기 위해선 리테이너 와이어의 전체 길이를 줄이도록 조절하여 일정 강도 이상으로 압박시켜야 하기 때문에 착용 시 거부감이 발생하기 쉽고, 교정 장치를 24시간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실생활 중에선 교정 장치의 탈착이 불가피한데 상기 종래기술과 같이 한 번의 가공으로 리테이너 와이어의 길이가 고정될 경우 교정 장치를 탈착할 때마다 고정 상태가 틀어져 결국 교정 기간이 장기화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치아 교정 장치의 탈착이 쉬우면서도, 치아 교정 장치를 착용한 상태에서 교정부가 치아를 상시적으로 잡아주어 교정 기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이러한 교정부의 가압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과 동시에 착용 시 발생하는 거부감을 줄일 수 있도록 리테이너 와이어의 교정부와, 고정부 사이에 교정부를 베이스 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치아 교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치아 교정 장치의 제작이 쉽고, 일반 사용자가 치아 교정 장치의 탈착을 쉽게 행할 수 있도록 교정부와 고정부에 각각 고리부를 형성하고, 상기 고리부에 걸림 결합되는 탄성체를 포함하며, 교정부와 고정부를 벌리거나, 탄성수단에 의해 교정부가 가압될 때 교정부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도록 교정부 또는 고정부에 와이어의 끝단이 삽입되는 중공부를 갖는 관체가 마련되어 있는 치아 교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치아 교정 장치를 최초 가공하여 착용할 때 설정된 치열 형태에 맞게 교정부의 길이를 조절하여 상기 탄성수단에 의한 교정부의 가압이 적절한 압력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와이어가 절곡되어 형성된 조절부를 구비한 교정부를 포함하는 치아 교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치아 교정 장치는
구강 내 설면 또는 구강 내 천장면에 탈착되는 베이스; 및
치열에 접하도록 원호 형상으로 이루어진 교정부, 일단이 상기 베이스에 고정된 양측 고정부, 그리고 상기 교정부의 양 끝단과 상기 양측 고정부의 타단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교정부가 베이스 방향으로 가압되도록 강제하는 탄성수단으로 이루어진 리테이너 와이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치아 교정 장치에서 상기 교정부와, 상기 고정부는 각각 고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수단은 상기 고리부에 걸림 결합되는 탄성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치아 교정 장치에서
상기 교정부 또는 상기 고정부는 해당 와이어의 끝단에 다른 와이어의 끝단이 삽입되는 중공부를 갖는 관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치아 교정 장치에서
상기 교정부는 와이어가 절곡되어 형성된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치아 교정 장치는 리테이너 와이어의 교정부와, 고정부 사이에 탄성수단이 마련되어 교정부가 치열 방향을 상시적으로 가압되어 치열의 교정 상태를 적절한 힘으로 유지하여 착용 시 거부감이 들지 않으면서도 적절한 압박을 통해 교정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으며, 일반 사용자라도 치아 교정 장치의 탈착을 매우 쉽게 행할 수 있으며, 치아 교정 장치의 탈착을 반복하더라도 교정부의 가압력이 저하되지 않으므로 교정 기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치아 교정 장치는 제작이 쉬우면서도 탄성수단에 의한 교정부의 이동을 자연스럽게 안내하여 교정부가 치열에 밀착 압박됨으로써 치아의 교정 치료가 정교하게 이루어지면서 치아를 보호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치아 교정 장치는 리테이너 와이어(보다 엄밀하게는 교정부)의 길이를 세밀하게 조절하여 거부감을 최소화한 상태에서 교정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으며, 가공 작업이 쉬운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치아 교정 장치의 샘플 결합 사진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치아 교정 장치의 샘플 분해 사진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치아 교정 장치의 샘플을 치아 모형에 착용한 상태의 사진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치아 교정 장치의 부분 단면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치아 교정 장치를 설명함에 있어 편의를 위하여 엄밀하지 않은 대략의 방향 기준을 도 1을 참고하여 특정하면, 교정부(21)가 위치하는 방향을 정면으로 하여 전후를 정하고, 교정부(21)측에서 바라보는 방향을 기준으로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을 하측으로 하여 보이는 방향 그대로 상하좌우를 정하고, 다른 도면과 관련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에서도 다른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이 기준에 따라 방향을 특정하여 기술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치아 교정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샘플 사진도들인 도 1 및 도 2, 그리고 본 발명의 샘플인 상악용 치아 교정 장치를 상악 치아 모형(T)에 장착한 상태를 촬영한 사진도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치아 교정 장치는 구강 내의 치아(T1)(T2)에 장착되어 치아의 치형을 교정하는 것으로, 크게 구강 내 설면(舌面; 혀 아래면) 또는 구강 내 천장면에 탈착되는 베이스(10)와, 교정이 필요한 상악 치아군의 해당 치아(들) 또는 하악 치아군의 해당 치아(들)를 감싸면서 탈착되는 리테이너 와이어(20)를 포함하며,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악 치아군에 착용되는 상악용 치아 교정 장치를 대표하여 설명한다.
상기 베이스(10)는 교정이 필요한 하악의 설면 또는 상악의 천장면에 탈착되며, 전단부를 따라 치열의 후면이 밀착되는 지지부(11)를 구비하는 것으로, 이러한 베이스(10)는 사용자의 하악의 설면 또는 상악의 천장면의 형을 본 떠, 인체에 무해한 레진 등의 합성수지로 제작되어 각 면에 밀착된다.
이 경우 지지부(11)는 후술하는 교정부(21)를 통해 치열이 후방 베이스(10) 방향으로 가압될 때 치열 후면의 하단부가 접하면서 치아와 잇몸에 밀착하여 고정되는 것으로, 교정된 치열의 형상에 상응하도록 제작된다.
본 발명의 리테이너 와이어(20)는 후단부가 상기 베이스(10)에 매립되는 형태로 고정되어, 베이스(10)의 지지부(11) 전방에 치아의 두께 만큼 이격됨으로써, 치아가 리테이너 와이어(20)와 지지부(11) 사이에 끼워지면서 수용된다.
이러한 리테이너 와이어(20)는 치열의 전면에 배치되어 교정된 치열이 교정 전의 위치(또는 형상)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여 설정된 치형으로 교정되도록 하는 것으로,
치열(T1)의 전면에 접하도록 원호 형상으로 이루어진 교정부(21)와, 일단이 상기 베이스(10)에 고정되는 고정부(22)와, 상기 교정부(21)의 양 끝단과 상기 양측 고정부(22)의 타단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교정부(21)가 상기 베이스(10) 방향으로 가압되도록 강제하는 탄성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교정부(21)는 접촉하는 치열(T1)의 서로 다른 교정 정도에 대응하도록 다른 형상의 안치홈(21a)들이 함몰 형성된 밀착부재(21A)를 포함한다.
상기 밀착부재(21A)의 안치홈(21a)은 치열 교정 대상 치아 개수만큼 함몰 형성될 수도 있고, 발치된 치아를 포함한 개수만큼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밀착부재(21A)는 레진 등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고, 겔(gel) 상태로 사용자의 구강을 본 뜬 치아 모형(T)의 해당 측에 도포된 후 열수축되며 경화되어 상기 안치홈(21a)이 형성되어, 밀착부재(21A)의 안치홈(21a)이 교정된 치열(T1)의 표면에 밀착하여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밀착부재(21A)는 치아들이 안치홈(21a)에 접촉한 상태로 베이스(10)의 지지부(11) 사이에 치아들이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측압이나 뒤틀림력을 받아 치가가 교정되도록 하며, 이 경우 교정부(21) 와이어가 치아에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여 치아의 표면을 보호한다.
본 명세서의 도면에서는 상기 밀착부재(21A)로써, 치열(T1)의 전면에 밀착되는 안치홈(21a)들을 구비한 형태만이 도시되어 있으나, 경우에 따라 치열(치아)의 전후면 및 양측면을 모두 감싸면서 밀착되는 형태(예를 들어 투스 피스(tooth piece)와 유사한 형태)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교정부(21)는 상기 밀착부재(21A)와, 교정부(21) 와이어의 끝단 사이에 와이어가 절곡되어 형성된 조절부(21B)를 포함한다.
상기 조절부(21B)는 밀착부재(21A)와, 교정부(21) 와이어의 끝단 사이가 이격되도록 함으로써, 의료용 플라이어(펜치) 등을 이용해 조절부(21B)에서 이격되는 너비를 조절함으로써, 교정부(21) 와이어의 전체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악용 치아 교정 장치의 조절부(21B)는 상악 치아군의 잇몸에 밀착되도록 상측으로 절곡 형성되고, 하악용 치아 교정 장치의 조절부(미도시)는 하악 치아군의 잇몸에 밀착되도록 하측으로 절곡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상기 고정부(22)는 해당치아군의 양측 어금니(T2)를 감싸도록 배치되어 베이스(10)와 리테이너 와이어(20)가 해당치아군에 끼워지듯이 고정되어 치아 교정 장치의 장착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일단(후단부)이 전방으로 절곡되는 형태로 베이스(10)에 매립되어 고정되고, 타단(전단부)과 상기 교정부(21)의 양 끝단 사이에 배치된 탄성수단을 통해 교정부(21)와 연결된다.
이러한 고정부(22)는 사용자의 구강을 본뜬 치아 모형(T)을 이용해 베이스(10)를 제작할 때 고정부(22) 와이어의 일단을 베이스(10)에 매립하여 동시에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교정부(21) 또는 상기 고정부(22)는 해당 와이어의 끝단에 다른 와이어의 끝단이 삽입되는 중공부를 갖는 관체를 더 포함한다.
즉 도면과 같이, 고정부(22) 와이어의 끝단에 관체(22A)가 구비되는 경우, 교정부(21) 와이어의 끝단에는 관체가 구비되지 않아, 교정부(21) 와이어의 끝단이 고정부(22) 와이어의 관체(22A)의 중공부(22a)에 삽입되고,
또는 도면과 반대로, 교정부(21) 와이어의 끝단에 관체가 구비되는 경우, 고정부(22) 와이어의 끝단에는 관체가 구비되지 않아, 고정부(22) 와이어의 끝단이 교정부(21) 와이어의 관체의 중공부에 삽입되어,
교정부(21)와 고정부(22) 사이가 벌어지거나 오므려지면서 움직일 때 해당 와이어의 끝단이 관체를 따라 안내되어 움직일 수 있도록 한다.
이 경우, 관체와, 상기 관체에 삽입되는 해당 와이어의 끝단은 소정 너비의 직선부를 갖도록 연장 형성되어 교정부(21)와 고정부(22) 사이의 너비를 확장하고 교정부와 고정부가 벌어질 때 일정 너비 이상 벌리지 않는 한 서로 분리되지 않도록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핵심 중 하나인 상기 탄성수단은 분리된 상태의 교정부(21)의 양 끝단과, 양측 고정부(22)의 타단을 연결하면서 교정부(21)가 베이스(10) 방향으로 가압되도록 강제(즉 교정부(21)를 설정된 치형 위치로 잡아 당겨지도록 강제)하는 것으로, 탄성수단의 양 끝단이 오므려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발휘되는 형태이면 그 종류는 무관하다.
다만 치아 교정 장치의 제작을 쉽게 하고, 사용 시 교정부(21)를 벌려 구강 내에 탈착할 때나, 탄성수단의 교체가 필요할 때 탄성수단의 장착 및 분리를 쉽게 할 수 있도록,
상기 교정부(21)와, 상기 고정부(22)는 각각 고리부(21b)(22b)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수단은 상기 고리부(21b)(22b)에 걸림 결합되는 코일스프링 류의 탄성체(23)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고리부(21b)(22b)는 각 와이어에 대하여 치아 교정 장치의 착용 방향(예를 들어 상악용 치아 교정 장치는 상측 잇몸 방향, 하악용 치아 교정 장치는 하측 잇몸 방향)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이에 걸림 결합되는 탄성체(23) 역시, 각 해당치아군의 잇몸 방향에 배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착용 중 혀가 고리부(21b)(22b)에 걸려서 상처를 입거나, 음식물이 탄성체(23)에 끼는 등의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어 보다 바람직하다.
따라서 도 3에서 상악 치아 교정 장치가 상악 치아 모형(T)에 장착된 상태이므로, 와이어(보다 엄밀하게는 고정부(22)의 관체(22A))에 대하여 상측에 각 고리부(21b)(22b)가 배치되어 탄성체(23)가 상측 잇몸 방향에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고리부(21b)(22b)는 탄성체(23)의 걸림부(23a)가 삽입 또는 분리될 수 있는 개구부(미지칭)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탄성체(23)의 탄성력이 너무 강하거나, 너무 약할 경우 탄성체(23)를 교체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고리부(21b)(22b)의 위치를 제한하여, 탄성체(23)가 구강 내 상측 또는 하측으로 쏠리는 방향에 배치함으로써 탄성체(23)가 혀나 음식물 등과 접촉되는 것을 최소화하나, 탄성체(23)가 외부로 노출되기 때문에 혀나 음식물 등과의 접촉을 완전하게 차단할 수 없다.
따라서 교정부(21)의 양측 끝단과, 양측 고정부(22)의 타단에 고리부(21b)(22b)를 각각 마련하여 코일 스프링 류의 탄성체(23)가 관체 내부에 내장되는 구조가 안전 및 위생 관점에서 보다 바람직한데,
베이스(10)에 매립된 양측 고정부(22)의 일단으로 인해 리테이너 와이어(20)와 베이스(10)의 분리가 불가능하고, 이러한 경우 고정부(22)를 베이스(10)에 매립하여 고정한 후에 교정부(21)를 조립하는 방식을 감안하면, 상기 탄성체(23)를 관체에 내장한 상태에서 교정부(21)와 고정부(22)에 걸림 결합하는 작업이 매우 어렵게 된다.
즉 탄성체(23)를 교정부(21)와 고정부(22)에 먼저 결합한 후 그 위에 관체가 끼워져야 조립 작업이 쉽게 이루어지데, 양 끝단이 폐쇄되는 형태의 리테이너 와이어(20)의 링형 구조를 감안하면 이러한 작업 순서는 불가능하기 때문에,
고정부(22)를 베이스(10)에 매립하기 전에 다른 부품들을 조립한 후 고정부(22)를 절곡시켜 매립하는 등의 방식이 고려되어야 하나, 이러한 경우라도, 조립 구조 상 어느 하나의 고리부(21b)(22b)는 관체 내부에 위치해야 하므로, 고리부(21b)(22b)가 관체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탄성체(23)를 연결하는 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어려워질 수 있다.
이에 교정부(21)와 고정부(22)의 일측 결합부위만 발췌하여 도시한 부분 단면도 도 4(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교정부(21)와 고정부(22)의 단면 표시를 생략하였음.)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작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텔레스코픽(telescopic) 타입의 변위부재(22D)를 이용함으로써, 탄성체(23)의 내장 및 길이 조절 범위 확장 효과를 모두 달성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를 위하여, 상기 고정부(22)는 타단(전단부)에 고리부(22b)를 갖고 일단(후단부)에 결합부(22Ba)를 구비한 양측 제1 분체(22B), 타단에 상기 결합부(22Ba)에 결합되는 대응결합부(22Ca)를 갖고 일단이 베이스(10)에 매립된 양측 제2 분체(22C) 및 양단측 개구부에 각각 상기 제1 분체(22B)의 결합부(22Ba)와, 상기 제2 분체(22C)의 대응결합부(22Ca)가 삽입되어 슬라이딩 결합되는 텔레스코픽 타입의 변위부재(22D)로 이루어진 길이 조절형 고정부(22')로 구성되고,
상기 교정부(21)의 양측 끝단에 고리부(21b)가 구비되어, 상기 탄성체(23)가 상기 고리부(21b)(22b)에 걸림 결합되되,
상기 교정부(21)의 끝단은 그 직경이 상기 제2 분체(22C)의 직경과 동일하여 상기 변위부재(22D)에서 직경이 제일 큰 최외측관(22d)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결합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탄성체(23)의 걸림 결합 전에 상기 제1 분체(22B)와, 상기 제2 분체(22C)가 상기 변위부재(22D) 내부에서 서로 분리된 상태에서(도 4의 [A] 참고.),
상기 탄성체(23)의 걸림 결합 후, 상기 변위부재(22D)를 상기 교정부(21)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켜, 변위부재(22D)의 텔레스코픽 구조가 역전되면서 변위부재(22D)의 양단측 개구부에 각각 상기 교정부(21)의 고리부(21b)와, 상기 제1 분체(22B)의 고리부(22b)가 삽입되어 슬라이딩 결합됨으로써, 상기 탄성체(23)가 상기 변위부재(22D)에 내장(도 4의 [B] 참고.)된다.
즉, 조립 전에는 변위부재(22D)에서 직경이 제일 작은 최내측관(22c)의 타단측 개구부(도면 상 좌측)에 제1 분체(22B)가 슬라이딩 결합되고, 변위부재(22D)에서 직경이 제일 큰 최외측관(22d)의 일단측 개구부(도면 상 우측)에 제2 분체(22C)가 슬라이딩 결합된 상태에서, 변위부재(22D) 외부로 노출되는 양 고리부(21b)(22b)에 탄성체(23)의 양 걸림부를 결합한 후, 변위부재(22D)의 텔레스코픽 타입의 관들을 교정부(21)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켜 변위부재(22D)의 텔레스코픽 구조를 역전시키면서 제1 분체(22B)를 제2 분체(22C) 방향으로 가압하여 서로 결합시키면, 변위부재(22D)의 타단측 개구부(도 4의 [B]에서 최외측관(22d)의 좌측 개구부)에 교정부(21)가 연결되고, 변위부재(22D)의 일단측 개구부(도 4의 [B]에서 최내측관(22c)의 우측 개구부)에 제1 분체(22B)가 연결되어, 양 고리부(21b)(22b)가 변위부재(22D)에 내부에 위치하여 탄성체(23)가 변위부재(22D)에 내장되도록 한다.
이 경우 상기 교정부(21), 제1 분체(22B), 제2 분체(22C)의 각 외주면과, 상기 변위부재(22D)의 각 관들의 접면에는 암수 결합 구조의 레일부(미도시)와 돌기부가 마련되며, 다만 각 레일부의 끝단부에 걸림단(미도시)이 마련되어 변위부재(22D)를 교정부(21)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켜 텔레스코픽 구조가 역전될 때 각 구성들이 서로 분리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변위부재(22D)의 텔레스코픽 구조가 역전될 때는 돌기부가 다른 레일부에 억지 끼움 방식으로 타고 넘어가 결합된다.
상기 제1 분체(22B)와 제2 분체(22C)의 결합은 도면과 같이 암수 결합 구조를 통한 억지 끼움 방식 또는 나사 결합 방식 등이 고려 될 수 있고, 경우에 따라 마무리 용접을 통한 강도 보강 작업이 추가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2단 길이 조절형의 텔레스코픽 구조의 변위부재(22D)를 도시하였으나, 텔레스코픽 타입의 관 결합 구조를 3단 이상으로 늘리거나, 관 자체의 길이를 연장하게 되면, 고정부(22)가 교정부(21)에서 충분히 벌어질 정도의 너비를 확보할 수 있다.
아울러, 도면과 반대로 상기 분체(22B)(22C) 및 텔레스코픽 타입의 변위부재(22D)의 구성을 교정부(21)에 도입하고, 고정부(22)는 도 2와 같은 일반 와이어 구조로 적용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치아 교정 장치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T : 치아 모형 T1, T2 : 치아
10 : 베이스 11 : 지지부
20 : 리테이너 와이어 21 : 교정부
21A : 밀착부재 21a : 안치홈
21B : 조절부 22 : 고정부
22A : 관체 22a : 중공부
21b, 22b : 고리부 22B, 22C : 분체
22D : 텔레스코픽 타입 변위부재 22c, 22d : 관
23 : 탄성체 23a : 걸림부

Claims (4)

  1. 구강 내 설면 또는 구강 내 천장면에 탈착되는 베이스; 및
    치열에 접하도록 원호 형상으로 이루어진 교정부, 일단이 상기 베이스에 고정된 양측 고정부, 그리고 상기 교정부의 양 끝단과 상기 양측 고정부의 타단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교정부가 상기 베이스 방향으로 가압되도록 강제하는 탄성수단으로 이루어진 리테이너 와이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보정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교정부와, 상기 고정부는 각각 고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수단은 상기 고리부에 걸림 결합되는 탄성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보정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교정부 또는 상기 고정부는 해당 와이어의 끝단에 다른 와이어의 끝단이 삽입되는 중공부를 갖는 관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보정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교정부는 와이어가 절곡되어 형성된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보정 장치.
KR1020150105017A 2015-07-24 2015-07-24 치아 교정 장치 KR1017410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5017A KR101741025B1 (ko) 2015-07-24 2015-07-24 치아 교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5017A KR101741025B1 (ko) 2015-07-24 2015-07-24 치아 교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1777A true KR20170011777A (ko) 2017-02-02
KR101741025B1 KR101741025B1 (ko) 2017-05-29

Family

ID=581541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5017A KR101741025B1 (ko) 2015-07-24 2015-07-24 치아 교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102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43823A (ko) * 2018-06-21 2019-12-31 청 시앙 훙 제거 가능한 치아교정 장치
KR102102473B1 (ko) * 2019-05-03 2020-04-20 류제건 크롬 코발트 합금 치아 유지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486621B1 (ko) 2022-07-26 2023-01-10 주식회사 올소비트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한 치아 교정유지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540116C (en) 2003-10-03 2012-06-19 Joseph Da Cruz Dental appliance
JP2005270618A (ja) 2004-02-26 2005-10-06 Mitsuru Yamaguchi リテーナワイヤ及び歯列保定装置
US20090047614A1 (en) * 2007-08-15 2009-02-19 Biomers Products Llc Dental Retainer
KR200465679Y1 (ko) * 2012-10-31 2013-03-05 윤성원 치열 교정기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43823A (ko) * 2018-06-21 2019-12-31 청 시앙 훙 제거 가능한 치아교정 장치
KR102102473B1 (ko) * 2019-05-03 2020-04-20 류제건 크롬 코발트 합금 치아 유지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486621B1 (ko) 2022-07-26 2023-01-10 주식회사 올소비트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한 치아 교정유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1025B1 (ko) 2017-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68718B2 (en) Force module for orthodontic correction
KR200465679Y1 (ko) 치열 교정기구
KR102128655B1 (ko) 치아 교정기
US8257080B2 (en) Low profile orthodontic bite corrector
US7134873B2 (en) Orthodontic wire ligating member
KR101638329B1 (ko) 가철식 곡선 이동형 치열교정기구
KR101741025B1 (ko) 치아 교정 장치
JP6643234B2 (ja) 歯科矯正補助装置及び舌側器具システムと共に使用するための唇側取付けデバイス
JP2011505170A (ja) 歯科用リテーナー
CN106456354B (zh) 用于治疗睡眠呼吸暂停症的口腔矫治器
JP7393051B2 (ja) 透明矯正装置遠隔モニタリングシステム
CA2741557C (en) Dental retainer having improved joint
US20130122444A1 (en) Dental Retainer Having Improved Joint With Labial Bow
WO2012018648A1 (en) Orthodontic force module including elastomeric member for class ii and class iii correction
JP7182792B2 (ja) 睡眠時無呼吸、いびき、ならびに舌および口腔の再構築のための歯科用器具
KR100952423B1 (ko) 자석을 이용한 치아 교정 장치 및 방법
US20140302451A1 (en) Removable orthodontic retainer
KR20110089676A (ko) 귓바퀴 교정구
KR101152709B1 (ko) 압력측정용 감지센서를 이용한 치아압력 측정장치
CN114376747A (zh) 一种适于颌间牵引的矫治器及其设计方法
CN214712868U (zh) 一种正畸用移牙附件
JP3212235U (ja) 矯正装置
CN219742932U (zh) 一种扩弓前牵器及矫正器
KR20180090480A (ko) 치아교정기 및 치아교정 어셈블리
CN116831757A (zh) 可调整咬合的透明压模保持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