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9802A - 용기마개 조립체 - Google Patents

용기마개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9802A
KR20170009802A KR1020160157038A KR20160157038A KR20170009802A KR 20170009802 A KR20170009802 A KR 20170009802A KR 1020160157038 A KR1020160157038 A KR 1020160157038A KR 20160157038 A KR20160157038 A KR 20160157038A KR 20170009802 A KR20170009802 A KR 201700098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outer cap
spout
container
cei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70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99326B1 (ko
Inventor
성보연
Original Assignee
성보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60032869A external-priority patent/KR20170063321A/ko
Application filed by 성보연 filed Critical 성보연
Priority to CN201621296095.7U priority Critical patent/CN206654342U/zh
Priority to CN201611088886.5A priority patent/CN106809500A/zh
Publication of KR201700098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98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93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93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8Arrangements of closures with protective outer cap-like covers or of two or more co-operating clos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0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28Caps combined with sto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62Secondary protective cap-like outer covers for closure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51/00Details relating to container closures
    • B65D2251/0003Two or more clos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313/00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 B65D2313/04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of magnetic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기 주둥이의 내면과 상단에 밀착하여 결합이 이루어지는 내캡과 내캡의 결합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토록 하는 외캡으로 이루어져 용기 내부의 기밀을 유지토록 하는 용기마개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그 특징적인 구성은, 용기의 주둥이 내면에 밀착 대응하는 외벽부와, 상기 외벽부의 상단에서 외측으로 연장 형성하여 주둥이의 상단에 밀착 대응하는 플랜지부를 형성한 내캡과; 상기 내캡의 상부를 덮는 천장과, 상기 주둥이의 외주면을 덮는 측벽부가 일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측벽부의 내주면에 상기 주둥이의 외주면에 형성한 수나사에 대응하는 암나사를 형성한 외캡으로 이루어진 용기마개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내캡은 상기 플랜지부의 외측 가장자리 부위가 상기 외벽부에서 상기 주둥이의 두께와 상기 수나사에 나사산 높이의 합 이상으로 연장 돌출한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외캡은 내주면 상부 중 천장 저면에서 상기 플랜지부가 삽입 가능한 간격을 두고 그 둘레를 따라 상기 주둥이의 외주면에 근접하는 위치까지 돌출한 돌기부를 형성한 것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내캡과 외캡은 상기 플랜지부의 외측 가장자리 부위가 상기 외캡의 천장 저면과 상기 돌기부 사이에 끼워져 상호 결합이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용기마개 조립체{ASSEMBLED CONTAINER CAP}
본 발명은 용기 주둥이의 내면과 상단에 밀착하여 결합이 이루어지는 내캡과 내캡의 결합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토록 하는 외캡으로 이루어져 용기 내부의 기밀을 유지토록 하는 용기마개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생수를 비롯한 식음료나 오일, 도료, 화학약품 등의 액상물질을 수용하는 용기는 액상물질의 출입이 있도록 한 주둥이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용기의 주둥이에는 액상물질의 출입을 제한하기 위해 주둥이의 개구를 개폐하는 마개의 설치가 이루어진다.
특히 휘발성이 강한 내용물을 보관하는 용기는 대체로 내구성이 강한 철재로 이루어진다.
또한, 철재 용기에 형성한 주둥이를 막는 용기마개는, 주둥이의 내면과 상단에 밀착하여 기밀을 확보하기 위한 내화학성 및 연질의 합성수지 재질의 내캡과 용기의 주둥이에 대하여 내캡의 결합 상태를 유지토록 강성 재질의 외캡을 구비한다.
상술한 내캡은 용기 주둥이의 내면에 억지로 외경이 축소되게 끼워짐으로써 형상 복원력으로 주둥이의 내면에 밀착되게 설계된다.
또한, 내캡의 상단 부위는, 주둥이의 상단면에 대응하도록 외측으로 연장 돌출한 플랜지부를 형성하고 있으며, 이러한 플랜지부는 주둥이에 대한 외캡의 결합으로 눌려져 주둥이에 대한 내캡의 결합상태를 유지토록 할 뿐 아니라 내캡의 측부와 더불어 기밀 유지를 보완하는 기능을 한다.
한편, 외캡은 주둥이의 상부와 상부 주연의 외측면을 감싸는 형상으로 내주면에 용기 주둥이의 수나사에 대응하는 암나사를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용기마개의 구조로부터 용기 주둥이의 개방과정은, 용기의 주둥이에 대하여 외캡을 나사 풀림 관계로 분리하고, 이어서 내캡의 플랜지부를 잡아 당기는 것으로 주둥이의 내측에 끼워진 부위를 뽑는 것으로 분리하는 2단계의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용기마개의 2단계 분리과정은, 번거로울 뿐 아니라, 용기의 주둥이에 대하여 내캡의 분리가 어렵고, 내캡에 묻은 용기 내의 내용물에 대한 취급(유독성 물질 또는 페인트 등이 사용자의 손에 묻거나 다른 부위를 손상시키는 경우 등)의 곤란함이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용기마개는, 내캡과 외캡이 각각 별개로 구분되어 있어, 내캡 또는 외캡의 분실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567206호(이하, '선행기술1'이라 함)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71720호(이하, '선행기술2'라 함)를 개시한 바 있다.
위의 선행기술1, 2는 용기마개를 이루는 각 구성의 수가 많고, 결합구조가 복잡하여 결합에 따른 작업공수가 많아 비경제적인 문제가 있다.
또한, 선행기술1, 2는 외캡과 내캡 사이에 간격을 두고 연결되어 있어, 외캡의 분리 이후 내캡의 분리가 역시 단계적으로 이루어지고, 외캡에 연이어 내캡이 탄력적으로 분리되면서 내캡에 묻은 내용물이 주변으로 튀는 등의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그리고, 외캡과 내캡을 보관함에 있어서, 용기 내부의 내용물과 접촉하는 내캡의 표면에 묻은 내용물이 주변에 묻히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용기마개를 이루는 외캡과 내캡의 결합구조를 단순화하고, 이들 상호 결합한 상태를 유지토록 하여 용기에 대하여 한 동작으로 그 결합 또는 결합해제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이들 용기마개의 보관이 용이하도록 하며, 내캡에 묻은 내용물이 주변에 묻는 등 오염 가능성을 방지하도록 하는 용기마개 조립체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용기마개 조립체의 특징적인 구성은, 용기의 주둥이 내면에 밀착 대응하는 외벽부와 상기 외벽부의 상단에 외측으로 연장 형성하여 주둥이의 상단에 밀착 대응하는 플랜지부를 형성한 내캡과; 상기 내캡의 상부를 포함한 상기 주둥이의 외주면까지 덮는 형상으로 측벽의 내주면에 상기 주둥이의 외주면에 형성한 수나사에 대응하는 암나사를 형성한 외캡으로 이루어진 용기마개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내캡은 상기 플랜지부의 외측 단부가 상기 외벽부에서 상기 주둥이의 두께와 상기 수나사에 나사산 높이의 합 이상으로 연장 형성한 것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외캡은 내주면 상부 중 천장면에서 상기 플랜지부의 두께의 간격을 이룬 하측에 그 둘레를 따라 상기 주둥이의 외주면에 근접하는 위치까지 돌출한 돌기부를 형성한 것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내캡과 외캡은 상기 플랜지부의 외측 가장자리 부위가 상기 외캡의 천장면과 상기 돌기부 사이에 끼워져 상호 결합이 이루어진다.
상기 외캡은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돌기부는 상기 외캡의 내주면 둘레를 따라 환형의 일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내캡과 외캡의 결합은 상기 외캡의 천장면과 상기 돌기부의 상면 사이로 상기 플랜지부를 구부려 끼워 상기 내캡의 형상 복원의 성질을 이용하여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캡은 금속판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돌기부는 상기 외캡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내측으로 눌려진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돌기부는 상기 외캡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한 복수의 개수로 형성하여 이루어질 수 있고, 이 과정에서 상기 돌기부는 상측이 상기 외캡의 외측과 내측으로 절개로 관통하여 상기 플랜지부 저면에 걸쳐지고, 상기 돌기부의 양측과 하측이 상기 외캡의 측벽 일부가 연장 굽은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내캡은 상기 외벽부의 하단 부위를 연장 연결한 판 형상의 지지판을 형성한 것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외벽부에 의한 상기 지지판의 저면이 상기 외캡의 천장면을 기준으로 상기 외캡의 측벽 하단 이하의 위치에 있으며, 상기 지지판에 자석을 구비토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자석의 설치는 상기 지지판은 상부에 보스를 형성하고, 상기 자석은 상기 보스 내부에 억지끼움으로 삽입하는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플랜지부의 저면에는 상기 플랜지의 둘레를 따라 상기 주둥이의 상단 가장자리 부위와 상기 돌기부의 내측 단부 사이에 대응하여 끼워지는 환형의 끼움돌기를 더 형성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내캡의 플랜지부를 주둥이 외측으로 더 돌출시키고, 이에 대응하는 외캡의 내면에 플랜지부의 저면 가장자리에 대응하여 걸림 작용이 있도록 함으로써 내캡과 외캡의 결합이 유지되어 용기에 대하여 한 동작으로 결합 또는 결합해제가 이루어질 뿐 아니라 각 구성의 설계에 따른 구조의 단순화와 그에 따른 제조비용 및 각 구성의 결합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또한, 내용물의 종류에 따라 철재의 용기 표면에 대하여 외캡 또는 내캡을 자력으로 고정할 수 있어, 주변 오염을 방지하면서 보관이 용이하고, 사용이 편리한 이점이 있다.
도 1a와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외캡이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진 용기마개 조립체 구성과 이들 구성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외캡이 금속판재를 성형하여 이루어진 용기마개 조립체 구성과 이들 구성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나타낸 부분 절취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 중 돌기부의 변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나타낸 부분 절취 사시도이다.
도 4a와 도 4b는 도 2 또는 도 3의 용기마개 조립체로부터 용기 주둥이에 대한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다른 변형 실시예에 따른 용기마개 조립체의 구성과 이들 구성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a와 도 6b는 도 2의 돌기부 형성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a와 도 7b는 도 2의 돌기부에 대한 다른 형성 예를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될 것이 아니라,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한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발명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귀속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그 설치가 이루어지는 용기가 세워진 상태 즉, 용기의 주둥이가 상측에 있도록 한 상태를 기준으로 하고, 내측의 표현은 용기의 주둥이 중심 방향 또는 그 방향에 있는 부위를 지칭하는 것으로 하며, 용기의 주둥이 중심을 기준으로 외측은 내측의 반대 방향 또는 그 방향에 있는 부위를 지칭하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더불어 본 발명의 설명에 있어, 도면 부호 중 일 실시 예의 각 구성으로부터 변형 예의 구성이 있는 도면에 대하여 도면 부호 뒤에 아포스트로피(', ")를 덧붙여 구분하면서 그 차이를 설명하겠으며, 변형이 없는 구성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용기마개 조립체는, 도 1a 내지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기(B) 주둥이(N)의 내면(I/S)에 억지끼움으로 밀착 대응하는 외벽부(12)와, 외벽부(12)의 상단 둘레를 따라 환형 테두리 형상을 이루며 외측으로 연장 돌출하고 돌출한 부위의 저면이 주둥이(N)의 상단에 밀착 대응하게 한 플랜지부(14)를 형성하여 이루어진 내캡(10)을 구비한다.
이러한 내캡(10)은, 도 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벽부(12)의 하단 둘레를 따라 내측으로 연장하여 하나의 판 형상을 이루는 지지판(16)을 형성한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지지판(16)은 외벽부(12)가 이루는 둘레 형상을 유지토록 지지하고, 지지판(16)의 저면은 외벽부(12)의 외면에서부터 용기(B) 내의 내용물이 고이는 부위가 없도록 밋밋한 평판 형상을 갖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지지판(16)의 상면 즉, 용기(B) 내의 내용물과 직접적인 접촉으로부터 보호되는 지지판(16)의 상부에는 단관 형상의 보스(18)(boss)를 상측으로 개구를 갖도록 연장 돌출한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고, 이렇게 형성한 보스(18)의 내부에는 자석(M)을 설치토록 할 수 있다.
더불어, 상술한 보스(18)의 외측면과 외벽부(12)의 내측면 사이에는 보스(18)를 중심으로 외벽부(12)가 내측으로 휘는 등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리브(r)를 더 형성할 수도 있다.
이에 더하여 지지판(16)의 저면 위치는, 후술하는 외캡(20)과 비교할 때에, 외캡(20)의 천장(24) 저면에서 측벽부(22)의 하단까지 높이보다 플랜지부(14)를 포함한 내캡(10)의 상면에서 지지판(16)의 저면까지 더 돌출간격(d)을 갖도록 설계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돌출간격(d)은, 지지판(16)과 보스(18) 및 자석(M)의 설치와 관련하여 용기(B)가 철재를 포함한 자성체로 제작된 경우 또는 주변에 자성체 구조물이 있는 경우 등에 대응하여 후술하는 외캡(20)과 함께 내캡(10)의 지지판(16)이 용기(B)의 측면 또는 구조물의 자성체 측면에 자석(M)의 자력으로 밀착하여 고정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그 내캡(10)과 외캡(20)이 결합한 상태로 보관(취급)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도 1b에 도시한 내캡(10')은, 도 1a의 내캡(10)에 대한 변형 예로서, 지지판(16')의 저면 위치가 후술하는 외캡(20')과 비교할 때에, 외캡(20')의 천장(24') 저면에서 측벽부(22')의 하단까지 높이보다 플랜지부(14')를 포함한 내캡(10')의 상면에서 지지판(16')의 저면까지 덜 돌출하는 오목간격(d')을 갖도록 설계할 수 있다.
또한, 도 1b와 도 5에 도시한 내캡(10')은, 지지판(16')의 상면 중심 부위가 후술하는 외캡(20')의 천장면 중앙 부위에 맞닿는 정도로 단관 형상의 보스(18)(boss)를 상측과 하측으로 각각 개구를 갖도록 연장 돌출한 형상으로 형성토록 하고, 이렇게 형성한 보스(18')의 상측과 하측의 내부 중 적어도 상측에는 자석(M')을 설치토록 할 수 있다.
이때 보스(18')의 상하측 각 개구에 각각의 자석(M')들을 설치할 경우, 이들 자석(M')들은 상호 인력이 작용하도록 배치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술한 오목간격(d')은, 지지판(16')과 보스(18') 및 자석(M)의 설치와 관련하여 용기(B)가 철재를 포함한 자성체로 제작된 경우 또는 주변에 자성체 구조물이 있는 경우, 후술하는 내캡(10')과 함께 외캡(20')의 천장(24') 부위가 용기(B)의 측면 또는 구조물의 자성체 측면에 자석(M')의 자력으로 밀착하여 고정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그 내캡(10')과 외캡(20')이 결합한 상태로 보관(취급)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외캡(20')의 천장 부위가 주변의 자성체에 밀착 고정될 수 있도록 한 것고 오목간격(d')을 형성토록 한 것은, 용기(B') 내의 페이트 등의 내용물이 내캡(10')의 표면에 묻는 경우, 주변에 내용물이 묻지 않도록 방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도 1a와 도 1b의 각 실시구성 중 내캡(10)의 플랜지부(14)는, 용기(B)의 주둥이(N)에 대하여 대응 설치가 이루어진 상태에서, 플랜지부(14)의 외측 가장자리 부위는, 용기(B) 주둥이(N)의 중심을 기준으로 용기(B) 주둥이(N)의 외주면(E/S)으로부터 외측으로 더 돌출한 형상을 이룬다.
여기서, 플랜지부(14)의 외측 가장자리 부위가 주둥이(N)의 외주면(E/S)으로부터 외측으로 더 돌출한 정도는 용기(B) 주둥이(N)의 외주면(E/S)에 형성한 수나사(M/S)의 나사산 높이 이상으로 간격(D)으로 돌출하고, 이며, 후술하는 외캡(20)의 내주면(I/S)에 밀착 또는 근접하는 위치에 있도록 설계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플랜지부(14)의 설계는 플랜지부(14)의 저면 외측 가장자리 부위가 후술하는 외캡(20)의 돌기부(26)에 걸쳐지는 것으로 외캡(20)과 내캡(10)이 일체로 결합한 상태에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술한 플랜지부(14)는, 도 4a와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랜지부(14)의 돌출길이 중간 부위 저면 즉, 용기(B) 주둥이(N)의 상단과 돌기부(26)의 내측 단부 사이 또는 용기(B) 주둥이(N)의 상단에 대응하는 저면 부위에 직경을 달리하는 하나 이상의 환형돌기(19)를 더 형성한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들 환형돌기(19)는 용기(B)에 대한 용기마개의 결합시에 용기(B) 내부에 대한 기밀을 더욱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용기마개 조립체는, 내캡(10)의 상부를 덮는 천장(24)과 주둥이(N)의 외주면에 대응하여 감싸는 측벽부(22)가 일체로 이루어지며, 측벽부(22)의 내주면에 주둥이(N)의 외주면에 형성한 수나사(M/S)에 대응하는 암나사(F/S)를 형성한 외캡(20)을 포함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특징은, 상술한 외캡(20)의 내주면 상측 부위에 상술한 내캡(10)의 플랜지부(14)가 끼워지게 내측 방향으로 돌출한 형상의 돌기부(26)를 형성한 것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본 발명의 구성에 있어서, 상술한 외캡(20)의 재질이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진 것과 금속판재를 성형하여 이루어진 것을 각 실시예로 구분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마개 조립체는, 도 1a와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캡(20)이 합성수지 재질로 사출 성형에 의해 형성한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외캡(20)은, 측벽부(22)의 내주면 상부 중 천장에서부터 플랜지부(14) 두께에 공차(플랜지부(14)의 삽입 가능하도록 하는 공차)를 포함한 간격을 둔 측벽부(22)의 내주면(I/S)에 용기(B) 주둥이(N)의 외주면(E/S)에 근접 대응하는 위치까지 돌출한 돌기부(26)를 연장 형성한 것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돌기부(26)는, 외캡(20)의 측벽부(22) 둘레를 따라 환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외캡(20)의 측벽부(22) 둘레를 따라 간격을 두고 돌출 형성한 복수 개수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후술하는 바와 같이, 외캡(20)에 대한 내캡(10)의 결합 상태가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환형으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돌기부(26)는, 천장(24)에 근접하는 측벽부(22)의 내면 둘레를 따라 형성한 것으로, 이는 외캡(20)을 제조하는 사출성형과정에서, 금형으로부터 분리가 어려운 소위 언더컷으로 작용함에 따라 그 제조가 어려운 위치와 형상을 이루는 것이다.
이와 같이 돌기부(26)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외캡(20)의 천장(24)과 돌기부(26) 및 이들 사이의 측벽부(22) 내면 공간에 대응하는 금형 부위에 무기재질 등으로 이루어진 인서트물(도시 안됨)을 장착하고, 이로부터 사출성형한 이후 위의 공간을 차지하는 인서트물을 분리 제거하는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돌기부(26)는 외캡(20)의 천장(24)과 돌기부(26) 및 이들 사이의 측벽부(22) 내면 공간에 대응하여 내캡(10)의 플랜지부(14)를 구부리는 등의 형상 변형을 통해 억지끼움으로 끼워 결합하고, 그 결합상태는 용기(B)의 주둥이(N)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작동에서 서로 분리됨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용기마개 조립체는, 도 2 내지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캡(30, 30')이 금속판재를 성형한 것으로 이루어진다.
먼저, 도 2에 도시한 외캡(30)은, 일 실시예의 돌기부(26)에 대응하는 부위의 외캡(30) 측벽부(32)가 상하 인접하는 상하 측벽부(32)보다 외측에서 내측 방향으로 깊이를 갖는 환형의 홈을 이루는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돌기부(34)의 형성은, 도 7a와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캡(30)에 대하여 내캡(10)을 정렬시킨 상태에서, 외캡(30)을 다이(D)(형틀 지그)에 고정하고, 이 상태에서 다이(D)를 포함한 외캡(30)을 회전시키면서 돌기부(34) 형성을 위한 부위에 가압롤러(R/P)를 가압하는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소위 드로잉 공정 중 스피닝(spinning) 방법 등이 있다).
즉, 외캡(30)에서 돌기부(34)의 형성은 내캡(10)을 장착한 상태에서 형성하는 것으로 이들 사이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돌기부(34)의 형성은 외캡(30)에 대하여 내캡(10)을 장착하지 않은 상태에서 그에 상응하는 다이(도시 안됨)를 이용하여 형성한 후 외캡(30)의 천장(36)과 돌기부(34) 사이로 내캡(10)의 플랜지부(14)를 구부리는 등의 형상 변형시켜 억지로 끼워 결합시키는 것으로도 이루어질 수 있음은 당연한 것이다.
이에 따라 돌기부(34)는 외캡(30)의 측벽부(32) 둘레를 따라 내측으로 오목하며 연속하게 눌려진 홈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이에 따라 외캡(30)의 측벽부(32) 내측에서는 돌기부(34)가 환형으로 돌출한 형상을 이룬다.
도 3은 상술한 돌기부의 형상이 외캡(30)의 측벽부(32) 둘레를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를 이룬 복수 개수로 형성한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을 나타낸 변형 실시예이다.
이때, 상술한 돌기부(34')의 형성은 상술한 가압롤러(R/P)를 대신하여 펀치(도시 안됨)로 가압 드로잉하는 공정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도 2의 확대 도면이나 도 6a 또는 도 6b에 도시한 돌기부(34, 34', 34")는, 그 형상이 외캡(30)의 측벽부(32) 둘레를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를 이룬 복수 개수로 형성하면서 돌기부(34, 34', 34")의 상측 경계 부위가 외캡(30")의 외측과 내측으로 관통하게 절개되고, 나머지 그 길이 방향(측벽부(32")의 둘레 방향)의 양측 또는 하측 부위 중 적어도 하측이 외캡(30)의 측벽부(32)로부터 눌려져 연장하여 굽은 형상을 이루도록 한 것이다.
이때, 돌기부(34, 34', 34")의 절개된 상측 부위는 외캡(30")의 천장(36")과의 사이로 끼워지는 내캡(10)의 플랜지부(14) 저면 중 가장자리 부위에 걸쳐지게 하는 것으로 외캡(30')과 내캡(10)의 결합상태를 유지토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술한 돌기부(34, 34', 34") 중 도 3의 확대 도시한 돌기부(34")는, 외캡(30')의 내측에 펀칭을 위한 다이 또는 지그(도시 안됨)를 배치한 상태에서 상측만 절개되게 하면서(포밍 공정) 그 아래 부위는 펀치의 형상으로 눌려지게 하는(드로우잉 공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B: 용기 N: 주둥이
M: 자석 I/S: 내주면
E/S: 외주면 F/S: 암나사
M/S: 수나사 M, M': 자석
d: 돌출간격 d': 오목간격
10: 내캡 12: 외벽부
14: 플랜지부 16: 지지판
18: 보스 19: 환형돌기
20, 30, 30', 30": 외캡 22, 32, 32', 32": 측벽부
24, 36, 36', 36": 천장 26, 34, 34', 34": 돌기부

Claims (8)

  1. 용기의 주둥이 내면에 밀착 대응하는 외벽부와, 상기 외벽부의 상단에서 외측으로 연장 형성하여 주둥이의 상단에 밀착 대응하는 플랜지부를 형성한 내캡과; 상기 내캡의 상부를 덮는 천장과, 상기 주둥이의 외주면을 덮는 측벽부가 일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측벽부의 내주면에 상기 주둥이의 외주면에 형성한 수나사에 대응하는 암나사를 형성한 외캡으로 이루어진 용기마개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내캡은 상기 플랜지부의 외측 가장자리 부위가 상기 외벽부에서 상기 주둥이의 두께와 상기 수나사에 나사산 높이의 합 이상으로 연장 돌출한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외캡은 내주면 상부 중 천장 저면에서 상기 플랜지부가 삽입 가능한 간격을 두고 그 둘레를 따라 상기 주둥이의 외주면에 근접하는 위치까지 돌출한 돌기부를 형성한 것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내캡과 외캡은 상기 플랜지부의 외측 가장자리 부위가 상기 외캡의 천장 저면과 상기 돌기부 사이에 끼워져 상호 결합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마개 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캡은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돌기부는 상기 외캡의 내주면 둘레를 따라 환형의 일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내캡과 외캡의 결합은 상기 외캡의 천장 저면과 상기 돌기부의 상면 사이로 상기 플랜지부를 구부려 끼워 상기 내캡의 형상 복원의 성질을 이용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마개 조립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캡은 금속판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돌기부는 상기 외캡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내측으로 눌려진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마개 조립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상기 외캡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한 복수의 개수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마개 조립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상측이 상기 외캡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절개되게 눌려 상기 상기 플랜지부 저면 가장자리 부위에 걸쳐지고, 상기 돌기부의 양측 또는 하측 중 적어도 하측이 상기 외캡의 측벽 일부가 눌려짐에 따른 굽은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마개 조립체.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캡은 상기 외벽부의 하단 부위를 연장 연결한 판 형상의 지지판을 형성한 것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외벽부에 의한 상기 지지판의 저면이 상기 외캡의 천장면을 기준으로 상기 외캡의 측벽부 하단 위치보다 더 돌출한 위치에 있으며, 상기 지지판에 상면에 보스와, 상기 보스 내에 자석을 구비한 것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마개 조립체.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보스는 상측 부위가 상기 외캡의 천장 저면에 닿는 위치에 있도록 하고, 높이 방향 중간 부위 내측에 간벽을 형성한 것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자석은 상기 보스의 상측과 하측 중 적어도 상측 내부에 억지끼움으로 삽입하여 설치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마개 조립체.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의 저면에는 상기 플랜지의 둘레를 따라 상기 주둥이의 상면 또는 상단 가장자리 부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위에 상기 주둥이의 상면에 눌려지거나 상기 돌기부의 내측 단부와 상기 주둥이 상면의 외측 가장자리 사이에 대응하여 끼워지는 환형의 끼움돌기를 더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마개 조립체.
KR1020160157038A 2015-11-30 2016-11-24 용기마개 조립체 KR1018993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621296095.7U CN206654342U (zh) 2015-11-30 2016-11-30 容器盖组件
CN201611088886.5A CN106809500A (zh) 2015-11-30 2016-11-30 容器盖组件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50169483 2015-11-30
KR1020150169483 2015-11-30
KR1020160032869A KR20170063321A (ko) 2015-11-30 2016-03-18 용기마개 조립체
KR1020160032869 2016-03-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9802A true KR20170009802A (ko) 2017-01-25
KR101899326B1 KR101899326B1 (ko) 2018-09-17

Family

ID=579916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7038A KR101899326B1 (ko) 2015-11-30 2016-11-24 용기마개 조립체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899326B1 (ko)
CN (1) CN106809500A (ko)
WO (1) WO201709507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1170A (ko) * 2018-01-26 2019-08-05 주식회사중앙플라텍 용이하게 제작되고 체결시 터짐되지 않으면서 개봉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스파우트 캡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226940A (zh) * 2019-12-06 2021-08-06 胖猩猩有限公司 安全盖瓶组件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7921330V0 (it) * 1979-04-11 1979-04-11 Reina Erminia Tappo di tenuta per capsule di chiusura di bottiglie.
JPS62115372U (ko) * 1986-01-14 1987-07-22
JPH07237651A (ja) * 1994-02-24 1995-09-12 Mashita Oukan Kogyo Kk 瓶封蓋
JPH10129698A (ja) * 1996-10-25 1998-05-19 Mitsubishi Gas Chem Co Inc 容器用栓構造物
JP2002337897A (ja) * 2001-05-11 2002-11-27 Amtec Co Ltd 液体ボトル
CN2534114Y (zh) * 2001-12-25 2003-02-05 舒建平 热灌装封口用瓶盖
KR100567206B1 (ko) * 2005-10-14 2006-04-03 백영자 용기의 마개 구조
KR200422347Y1 (ko) * 2006-05-11 2006-07-25 정선자 용기의 마개구조
KR100671720B1 (ko) * 2006-06-30 2007-01-22 백영자 내·외부캡이 한 뭉치로 취급되는 용기의 마개
CN200957927Y (zh) * 2006-09-18 2007-10-10 李君乔 一种瓶子
JP5241204B2 (ja) * 2007-02-05 2013-07-17 ユニバーサル製缶株式会社 ライナー付きキャップ及びこの製造方法並びにキャップ付きボトル
KR20100101025A (ko) * 2009-03-03 2010-09-16 임효빈 용기 마개
KR101619552B1 (ko) * 2010-12-24 2016-05-10 제이씨텍(주) 첨가재 수용관이 분리된 용기마개
KR20170063321A (ko) * 2015-11-30 2017-06-08 성보연 용기마개 조립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1170A (ko) * 2018-01-26 2019-08-05 주식회사중앙플라텍 용이하게 제작되고 체결시 터짐되지 않으면서 개봉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스파우트 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095073A1 (ko) 2017-06-08
KR101899326B1 (ko) 2018-09-17
CN106809500A (zh) 2017-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33582B2 (en) Drinking assembly with integral straw
US8863983B2 (en) Gasketless pail lid
KR101299470B1 (ko) 네크부를 갖는 용기용 록킹 커버
US10501308B2 (en) Beverage feeder and beverage feeder assembly
KR101899326B1 (ko) 용기마개 조립체
US11712124B2 (en) Lid assembly for a beverage container
US10604306B2 (en) Assembled container cap
KR20200000714U (ko) 도시락 용기
TWI422515B (zh) Covered container
JP6471216B2 (ja) 二重容器
CN114174185A (zh) 容器盖及与其结合的容器
JP3165422U (ja) 携帯用飲料容器
JP2010517883A (ja) 蓋及び容器
JP2016155569A (ja) ボトルキャップ
JP6321753B2 (ja) 二重容器
US20080149641A1 (en) Plastic water tight container
TW202017817A (zh) 可卡扣罐蓋的金屬容器
JP2007045495A (ja) 薄肉合成樹脂製の包装容器
JP6487594B1 (ja) 飲料用容器の栓体
US20140166678A1 (en) Device for assembly by elastic interlocking
JP6571347B2 (ja) ボトルキャップ
JP5216514B2 (ja) 蓋付き容器
KR200473727Y1 (ko) 캔 용기용 마개의 결합 구조물
JP2006069594A (ja) 柔軟容器
JP2020104916A (ja) 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