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3727Y1 - 캔 용기용 마개의 결합 구조물 - Google Patents

캔 용기용 마개의 결합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3727Y1
KR200473727Y1 KR2020130004993U KR20130004993U KR200473727Y1 KR 200473727 Y1 KR200473727 Y1 KR 200473727Y1 KR 2020130004993 U KR2020130004993 U KR 2020130004993U KR 20130004993 U KR20130004993 U KR 20130004993U KR 200473727 Y1 KR200473727 Y1 KR 2004737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jection port
stopper
groove
deformation
outer e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499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봉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륙제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륙제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륙제관
Priority to KR20201300049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372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37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372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38Devices for discharging contents
    • B65D25/40Nozzles or spo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20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 B65D43/0204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snapping over beads or proj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캔 용기용 마개의 결합 구조물이 개시된다. 본 고안의 캔 용기용 마개의 결합 구조물은, 저면 가장자리 영역에서 캔 용기의 상면 방향으로 개구되어 외측단과 내측단을 형성하는 환형 결합홈을 구비한 내부마개와, 상기 내부마개에 결합되는 외부마개로 이루어진 캔 마개를, 캔 용기의 상면에서 상향으로 돌출 형성된 환형 주입구에 결합하되, 상기 주입구가 상기 결합홈에 기밀을 유지하여 끼움 결합되도록 상기 캔 마개를 상기 주입구에 가압하여 결합하기 위한 캔 용기용 마개의 결합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주입구의 외주면이 접촉되는 상기 외측단의 내주면에는, 상기 주입구가 상기 결합홈에 삽입될 때, 상기 외측단이 탄력적으로 확장 변형되도록 하기 위한 변형 유도홈들이 다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주입구가 끼움 결합되는 결합홈의 외측단에 변형 유도홈이 형성됨으로써, 주입구가 결합홈에 끼워지도록 캔 마개를 주입구 방향으로 가압할 때, 결합홈의 외측단이 외측 방향으로 쉽게 변형되면서 확장되어 주입구의 결합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캔 마개의 결합시 주입구가 변형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캔 용기용 마개의 결합 구조물{COMBINATION STRUCTURE OF CAP FOR LIQUID CAN)}
본 고안은 캔 용기용 마개의 결합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마개를 캔 용기의 주입구에 결합할 때, 캔 마개로 주입구를 과도하게 가압하지 않아도, 캔 마개가 기밀을 유지하여 주입구에 결합될 수 있고, 주입구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캔 용기용 마개의 결합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용유나 액상의 페인트, 오일, 윤활유 등의 다양한 액상 내용물을 담아 보관할 수 있는 캔 용기의 주입구로는 내용물의 위조를 방지하면서도 해당 내용물을 쉽게 따라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위조 방지용 캔 마개가 채용되고 있고, 또한 보다 강력한 위조 방지를 통해 내용물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위조 방지용 캔 마개가 매우 다양하게 개발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기술에 의한 캔 마개의 구조는,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제20-0365726호(공고일 : 2004.10.27)에 개시되어 있다. 즉,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 및 도2를 토대로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캔 마개(10)는, 캔 용기(1)의 주입구(2)에 기밀을 유지하여 결합되는 내부마개(100)와, 이 내부마개(100)에 나사 결합되는 외부마개(200)로 구성된다. 내부마개(100)는 그 중앙으로 주출입구(110)를 구성하기 위한 체결부(120)가 형성되어 있고, 이 체결부(120)의 개구 상단 외주면으로는 체결용의 숫나사(122)가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체결부(120)의 하부로는 내용물 배출시 상부로 펼침되거나 또는 접힘 가능한 굴신부(130)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굴신부(130)는 체결부(120)에 비하여 단면 두께를 박육상태로 형성하여 굴신 조작이 더욱 부드럽고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한편, 체결부(120)에 대하여 굴신부(130)로 연설된 단부로는 결합부(140)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결합부(140)는 굴신부(130)에 비하여 일정한 압박 강도를 갖도록 비교적 두께운 두께로 형성되고, 그 하부로는 캔 용기(1)의 주입구(2)가 밀착 상태로 삽입되는 결합홈(142)이 형성되어 있고, 결합홈(142)으로는 주입구(2)의 걸림단부(2a)에 상호 걸림되는 걸림턱(144)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내부마개(100)의 결합홈(142)에 주입구(2)의 상부 영역을 위치시킨 후, 내부마개(100)를 하향으로 가압하게 되면, 주입구(2)가 결합홈(142) 내부로 강제로 끼워짐으로써, 결합홈(142)의 내주면에 주입구(2)의 외측면이 밀착되면서 캔 마개(10)가 기밀을 유지하여 주입구(2)에 결합될 수 있었던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기술에 의한 캔 마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홈(142)을 형성하는 외측단(142b)과 연결부(142c) 및 내측단(142a)의 두께가 두껍게 형성됨으로써, 캔 마개(10)를 캔 용기(1)의 주입구(2)에 결합할 때, 결합홈(142)이 용이하게 확장되지 않아 캔 마개(10)를 하향으로 누르는 힘이 주입구(2)에 전달되어 주입구(2)가 변형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이와 같이 주입구(2)가 변형됨으로써 내용물의 누설이 발생될 수도 있었던 것이다.
즉, 결합홈(142)을 형성하는 외측단(142b)과 연결부(142c) 및 내측단(142a)의 두께는, 주입구(2)와의 결합시에 충분한 압박 강도를 갖도록 굴신부(130)에 비하여 비교적 두께운 두께로 형성되었기 때문에, 주입구(2)가 결합홈(142)에 삽입되도록 캔 마개(10)를 하향으로 가압하는 조립 과정에서, 캔 마개(10)를 하향으로 가압하면 외측단(142b)이 외측으로 변형되면서 결합홈(142)이 확장되어야 했으나, 외측단(142b)이 외측으로 원활하게 변형되지 못함으로써, 캔 마개(10)를 하향 가압하는 하중이 주입구(2)에 전달되어 주입구(2)가 변형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제20-0365726호(공고일 : 2004.10.27)
본 고안의 목적은, 캔 용기의 주입구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캔 마개의 결합홈이 용이하게 탄력적으로 확장 변형되고, 마찰력이 감소되어 주입구의 삽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기밀성은 유지될 수 있으며, 주입구의 변형이 방지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저면 가장자리 영역에서 캔 용기의 상면 방향으로 개구되어 외측단과 내측단을 형성하는 환형의 결합홈을 구비한 내부마개와, 상기 내부마개에 결합되는 외부마개로 이루어진 캔 마개를, 캔 용기의 상면에서 상향으로 돌출 형성된 환형 주입구에 결합하되, 상기 주입구가 상기 결합홈에 기밀을 유지하여 끼움 결합되도록 상기 캔 마개를 상기 주입구에 가압하여 결합하기 위한 캔 용기용 마개의 결합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주입구의 외주면이 접촉되는 상기 외측단의 내주면에는, 상기 주입구가 상기 결합홈에 삽입될 때, 상기 외측단이 탄력적으로 확장 변형되고, 상기 주입구와 상기 내주면의 접촉으로 인한 마찰력이 감소되도록 하기 위한 변형 유도홈들이 다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용기용 마개의 결합 구조물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변형 유도홈들은, 상기 내측단 방향 및 상기 캔 용기의 상면 방향으로 개구되고, 다수개가 등간격으로 연이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변형 유도홈들은, 이웃하는 변형 유도홈들 사이의 간격보다 크거나, 작거나 같은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변형 유도홈들은, 골과 산으로 이루어진 사다리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연이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변형 유도홈들은, 원호형 또는 다각형의 골과 산으로 이루어진 요철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연이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저면 가장자리 영역에서 캔 용기의 상면 방향으로 개구되어 외측단과 내측단을 형성하는 환형 결합홈을 구비한 내부마개와, 상기 내부마개에 결합되는 외부마개로 이루어진 캔 마개를, 캔 용기의 상면에서 상향으로 돌출 형성된 환형 주입구에 결합하되, 상기 주입구가 상기 결합홈에 기밀을 유지하여 끼움 결합되도록 상기 캔 마개를 상기 주입구에 가압하여 결합하기 위한 캔 용기용 마개의 결합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캔 용기의 상면 방향을 향하는 상기 외측단의 저면에는, 상기 결합홈과 동심원을 이루는 환형의 변형 유도홈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과 상기 변형 유도홈 사이에는 변형단이 형성되어, 상기 주입구가 상기 결합홈에 삽입될 때, 상기 변형단이 외측방향으로 탄력적으로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용기용 마개의 결합 구조물에 의해 달성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주입구가 끼움 결합되는 결합홈의 외측단에 변형 유도홈이 형성됨으로써, 주입구가 결합홈에 끼워지도록 캔 마개를 주입구 방향으로 가압할 때, 결합홈의 외측단이 외측 방향으로 쉽게 확장 변형되고, 캔 마개와 주입구의 마찰력이 현저하게 감소되어 주입구의 결합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캔 마개의 결합시 주입구가 변형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캔 용기용 마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캔 용기용 마개를 도시한 결합상태 단면도이다.
도 3은 종래기술에 의한 캔 용기용 마개를 도시한 결합상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캔 용기용 마개의 결합 구조물을 도시한 저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캔 용기용 마개의 결합 구조물을 도시한 결합상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캔 용기용 마개의 결합 구조물을 도시한 저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캔 용기용 마개의 결합 구조물을 도시한 일부확대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캔 용기용 마개의 결합 구조물을 도시한 저면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캔 용기용 마개의 결합 구조물을 도시한 저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고안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종래기술과 중복되는 각 구성요소의 명칭과 도면부호는 동일하게 사용한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4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캔 용기용 마개의 결합 구조물을 도시한 저면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캔 용기용 마개의 결합 구조물을 도시한 결합상태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캔 용기용 마개의 결합구조물은, 캔 용기(1)의 상면에서 상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환형의 주입구(2)에 캔 마개(10)를 결합할 때, 캔 마개(10)의 결합홈(142)에 주입구(2)가 용이하게 삽입되고, 주입구(2)의 변형이 최소화되거나 방지될 수 있는 것으로, 저면 가장자리 영역에서 캔 용기(1)의 상면 방향으로 개구되어 외측단(142b)과 내측단(142a)을 형성하는 환형의 결합홈(142)을 구비한 내부마개(100)와, 내부마개(100)에 결합되는 외부마개(200)로 이루어진 캔 마개(10)에 적용된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내부마개(100)와 외부마개(200)는 체결구조에 의해 결합된다. 환형의 결합홈(142)은 내부마개(100)의 저면 가장자리에 하향 개구되는 구조로 형성되며, 결합홈(142)을 기준으로, 내측에는 내측단(142a)이 형성되고, 외측에는 외측단(142b)이 형성된다. 내측단(142a)의 하단 영역에는 결합홈(142)에 끼움 결합된 주입구(2)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턱이 형성된다.
여기서, 내부마개(100)와 외부마개(200)의 기본적인 구조는 종래기술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이미 공지된 것이므로, 본 실시예에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결합홈(142)은 주입구(2)가 삽입되면 주입구(2)의 외주면에 기밀을 유지하여 밀착되도록 형성된다. 이는 캔 용기(1)에 저장되는 내용물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주입구(2)가 결합홈(142)에 끼워지면, 주입구(2)의 외주면이 접촉되는 외측단(142b)의 내주면(142d)에는, 주입구(2)가 결합홈(142)에 삽입될 때, 외측단(142b)이 탄력적으로 확장 변형되도록 하기 위한 변형 유도홈(300)들이 다수개 형성된다.
변형 유도홈(300)들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단(142a) 방향 및 캔 용기(1)의 상면 방향으로 개구되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가 등간격(같은 간격)으로 연이어 형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변형 유도홈(300)은 외측단(142b)의 내주면(142d) 일부분들이 일명, 살빼기 구조로 형성되어, 그 두께가 외측단(142b)의 두께에 비하여 현저하게 얇게 형성된다.
이는 주입구(2)가 결합홈(142)에 억지 끼움될 때, 외측단(142b)이 쉽게 탄력적으로 확장 변형되고, 주입구(2)의 외측면과 외측단(142b)의 내측면(142d)의 마찰력이 감소되도록 하여 주입구(2)의 억지 끼움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변형 유도홈(300)들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웃하는 변형 유도홈(300)들 사이의 간격(T)보다 크거나, 작거나 같은 크기로 형성된다. 즉, 변형 유도홈(300)들의 크기나 형상은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는 것이고, 이러한 변형 유도홈(300)들이 캔 마개(10)의 중심을 기준으로 등간격을 유지하여 방사상으로 배치되므로, 결합홈(142)으로 주입구(2)가 삽입될 때, 외측단(142b) 전체가 균일하게 변형될 수 있고, 균일한 압력으로 주입구(2)에 밀착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변형 유도홈(300)은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다수개가 연이어 형성될 수도 있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변형 유도홈(300)이 외측단(142b)의 곡률을 따라 긴 원호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긴 원호형으로 형성될 경우에, 변형 유도홈(300)은 그 수가 줄어들 수 있다.
캔 용기(1)의 주입구(2)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형으로 형성되며, 상향으로 돌출되고, 단부가 내측으로 절곡된 구조를 갖는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캔 용기용 마개의 결합 구조물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캔 마개(10)의 외측단(142b) 저면 가장자리에 다수개의 변형 유도홈(300)이 캔 마개(10)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내부마개(200)와 결합된 캔 마개(10)를 주입구(2)에 결합하기 위해서는, 주입구(2)의 상단 영역을 결합홈(142)의 입구에 위치시킨다.
이어서, 캔 마개(10)를 하향으로 가압한다.
이와 같이 주입구(2)의 상단 영역이 결합홈(142)에 위치한 상태에서, 캔 마개(10)를 가압하게 되면, 주입구(2)가 결합홈(142)으로 삽입됨과 동시에, 결합홈(142)의 외측을 이루는 외측단(142b)이 외측 방향으로 변형되면서 벌어지게 된다. 따라서, 결합홈(142)은 확장되는 것이고, 주입구(2)는 강하지 않은 가압력, 즉 변형 유도홈(300)이 형성되지 않은 상태에서 가하는 가압력에 비하여 약한 가압력에도 쉽게 결합홈(12)으로 삽입된다.
이는, 외측단(142b)의 내주면(142d) 영역에 다수개의 변형 유도홈(300)이 형성됨으로써, 내주면(142d)과 주입구(2)의 접촉면적이 변형 유도홈(300)이 형성되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절반으로 줄어들어 내주면(142d)과 주입구(2)의 마찰력이 감소 되고, 주입구(2)의 끼움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외측단(142b)이 외측으로 변형되면서 확장되기 때문에 가능하게 된다.
즉, 내주면(142d)에 다수개의 변형 유도홈(300)이 함몰되어 형성되므로, 주입구(2)의 외주면과의 마찰력이 감소되고, 변형 유도홈(300)이 함몰 형성되어 얇은 살두께를 갖게 되므로, 주입구(2)가 결합홈(142)에 삽입될 때, 변형 유도홈(300)이 형성되지 않을 경우에 비하여, 크지 않은 가압력으로 끼움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캔 마개(10)를 가압하여 주입구(2)를 결합홈(142)에 끼워 결합할 때, 변형 유도홈(300)에 의해 마찰력이 감소되고, 외측단(142b)이 쉽게 확장 변형되므로, 주입구(2)에 가해지는 가압력은 변형 유도홈(300)이 형성되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현저하게 작게 되므로 주입구(2)를 가압하는 가압력이나 마찰력 등에 의해 주입구(2)가 변형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다시 설명하면, 주입구(2)가 결합홈(142)에 삽입될 때, 변형 유도홈(300)에 의해 외측단(142b)의 외경이 쉽게 늘어나기 때문에, 주입구(2)에 걸리는 하중이 현저하게 줄어들게 되므로, 캔 마개(10)를 캔 용기(1)에 조립하는 작업시에 주입구(2)가 변형되는 등의 손상이 방지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하여 주입구(2)의 변형으로 인한 캔 용기(1)에 수용되는 내용물의 누출도 방지될 수 있는 것이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7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캔 용기용 마개의 결합 구조물을 도시한 저면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캔 용기용 마개의 결합 구조물을 도시한 일부확대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캔 용기용 마개의 결합 구조물은, 캔 용기(1)의 상면 방향을 향하는 외측단(142b)의 저면에, 결합홈(142)과 동심원을 이루는 환형의 변형 유도홈(300)이 캔 용기(1)의 상면 방향을 향하여 개구되도록 형성되고, 결합홈(142)과 변형 유도홈(300) 사이에는 변형단(310)이 형성되어, 주입구(2)가 결합홈(142)에 삽입될 때, 변형단(310)이 외측방향으로 탄력적으로 변형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실시예와 같다.
이와 같은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주입구(2)가 결합홈(142)에 삽입될 때, 변형 유도홈(300)에 의해 형성된 변형단(310)이 변형 유도홈(300)의 폭 만큼 외측단(142b) 방향으로 변형되므로, 주입구(2)의 삽입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주입구(2)에 가해지는 가압력에 의해 주입구(2)가 변형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주입구(2)의 삽입이 완료된 후에는 변형단(310)이 자체 탄성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하면서 주입구(2)에 밀착되므로 기밀성도 향상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9는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캔 용기용 마개의 결합 구조물을 도시한 저면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실시예에 따른 캔 용기용 마개의 결합 구조물은 변형 유도홈(300)이 골과 산으로 이루어진 사다리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일정하게 연이어 형성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실시예와 같다.
즉, 변형 유도홈(300)이 "
Figure 112013055200099-utm00001
"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는 것으로, 변형 유도홈(300)이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주입구(2)와의 결합시 주입구(2) 외주면과의 마찰력이 감소되고, 주입구(2)가 결합홈(142)에 삽입될 때, 변형 유도홈(300)이 형성되지 않을 경우에 비하여, 크지 않은 가압력으로 끼움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0은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캔 용기용 마개의 결합 구조물을 도시한 저면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 실시예에 다른 캔 용기용 마개의 결합 구조물은, 변형 유도홈(300)들이 원호형 또는 다각형의 골과 산으로 이루어진 요철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연이어 형성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실시예들과 같다.
즉, 변형 유도홈(300)이 "
Figure 112013055200099-utm00002
" 형상으로 형성될 수 도 있는 것으로, 변형 유도홈(300)이 나사산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주입구(2)와의 결합시 주입구(2) 외주면과의 마찰력이 감소되고, 주입구(2)가 결합홈(142)에 삽입될 때, 변형 유도홈(300)이 형성되지 않을 경우에 비하여, 크지 않은 가압력으로 끼움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주입구(2)가 억지 끼움되어 결합되는 결합홈(142)의 외측단(142b)에 다양한 형태의 변형 유도홈(300)이 형성됨으로써, 주입구(2)의 억지 끼움시 외측단(142b)이 외측으로 확장되는 변형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주입구(2)에 가해지는 마찰력과 가압력이 현저하게 감소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주입구(2)에 캔 마개(10)를 결합하는 작업시에 주입구(2)가 변형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는 것이다.
앞에서, 본 고안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 : 캔 용기 2 : 주입구
10 : 캔 마개 100 : 내부마개
200 : 외부마개 142 : 결합홈
142a : 내측단 142b : 외측단
142d : 내주면 300 : 변형 유도홈 310 : 변형단

Claims (6)

  1. 저면 가장자리 영역에서 캔 용기의 상면 방향으로 개구되어 외측단과 내측단을 형성하는 환형 결합홈을 구비한 내부마개와, 상기 내부마개에 결합되는 외부마개로 이루어진 캔 마개를, 캔 용기의 상면에서 상향으로 돌출 형성된 환형 주입구에 결합하되, 상기 주입구가 상기 결합홈에 기밀을 유지하여 끼움 결합되도록 상기 캔 마개를 상기 주입구에 가압하여 결합하기 위한 캔 용기용 마개의 결합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주입구의 외주면이 접촉되는 상기 외측단의 내주면에는,
    상기 주입구가 상기 결합홈에 삽입될 때, 상기 외측단이 탄력적으로 확장 변형되고, 상기 주입구와 상기 내주면의 접촉으로 인한 마찰력이 감소되도록 하기 위한 변형 유도홈들이 다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용기용 마개의 결합 구조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 유도홈들은,
    상기 내측단 방향 및 상기 캔 용기의 상면 방향으로 개구되고, 다수개가 등간격으로 연이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용기용 마개의 결합 구조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 유도홈들은,
    이웃하는 변형 유도홈들 사이의 간격보다 크거나, 작거나 같은 크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용기용 마개의 결합 구조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 유도홈들은,
    골과 산으로 이루어진 사다리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연이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용기용 마개의 결합 구조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 유도홈들은,
    원호형 또는 다각형의 골과 산으로 이루어진 요철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연이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용기용 마개의 결합 구조물.
  6. 저면 가장자리 영역에서 캔 용기의 상면 방향으로 개구되어 외측단과 내측단을 형성하는 환형 결합홈을 구비한 내부마개와, 상기 내부마개에 결합되는 외부마개로 이루어진 캔 마개를, 캔 용기의 상면에서 상향으로 돌출 형성된 환형 주입구에 결합하되, 상기 주입구가 상기 결합홈에 기밀을 유지하여 끼움 결합되도록 상기 캔 마개를 상기 주입구에 가압하여 결합하기 위한 캔 용기용 마개의 결합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캔 용기의 상면 방향을 향하는 상기 외측단의 저면에는,
    상기 결합홈과 동심원을 이루는 환형의 변형 유도홈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과 상기 변형 유도홈 사이에는 변형단이 형성되어, 상기 주입구가 상기 결합홈에 삽입될 때, 상기 변형단이 외측방향으로 탄력적으로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용기용 마개의 결합 구조물.
KR2020130004993U 2013-06-20 2013-06-20 캔 용기용 마개의 결합 구조물 KR2004737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4993U KR200473727Y1 (ko) 2013-06-20 2013-06-20 캔 용기용 마개의 결합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4993U KR200473727Y1 (ko) 2013-06-20 2013-06-20 캔 용기용 마개의 결합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3727Y1 true KR200473727Y1 (ko) 2014-07-24

Family

ID=519895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4993U KR200473727Y1 (ko) 2013-06-20 2013-06-20 캔 용기용 마개의 결합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3727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2266Y1 (ko) * 1995-05-02 1998-08-01 한동근 용기 뚜껑
JP2002179106A (ja) 2000-12-12 2002-06-26 Toppan Printing Co Ltd プラスチック製キャップを有する容器
JP2005313906A (ja) 2004-04-27 2005-11-10 Toyo Kogei Kogyo Co Ltd 樹脂製キャップ
KR100644353B1 (ko) 2005-11-01 2006-11-10 엔프라니 주식회사 밀폐형 용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2266Y1 (ko) * 1995-05-02 1998-08-01 한동근 용기 뚜껑
JP2002179106A (ja) 2000-12-12 2002-06-26 Toppan Printing Co Ltd プラスチック製キャップを有する容器
JP2005313906A (ja) 2004-04-27 2005-11-10 Toyo Kogei Kogyo Co Ltd 樹脂製キャップ
KR100644353B1 (ko) 2005-11-01 2006-11-10 엔프라니 주식회사 밀폐형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163937B (zh) 防擅启盖
US20130220967A1 (en) Safety Bottle Cap
US9694955B2 (en) Unitary child-resistant containers configured for attachment to identifier cap, and identifier cap
EP2530027B1 (en) Container with lid
US20150102035A1 (en) Sealing ring
JP6073100B2 (ja) 容器用のキャップ
JP2019060358A (ja) ホールプラグ
JP5049823B2 (ja) キャップ
JP6463836B2 (ja) 容器キャップ組立体
KR200473727Y1 (ko) 캔 용기용 마개의 결합 구조물
US10167117B2 (en) Lid
JP3216121U (ja) 飲料用容器の栓体
WO2018105709A1 (ja) 容器用のキャップ
JP6487594B1 (ja) 飲料用容器の栓体
JP6964457B2 (ja) キャップおよびキャップ付きボトル
JP5593135B2 (ja) 中栓付き容器
JP4833020B2 (ja) エアゾール容器用オーバーキャップおよびオーバーキャップ付きエアゾール容器
JP2024085187A (ja) 容器密封アセンブリ
JP2012030821A (ja) ヒンジキャップ
JP4174717B2 (ja) キャップユニット
JP4890236B2 (ja) エアゾール容器用オーバーキャップおよびオーバーキャップ付きエアゾール容器
JP7102095B2 (ja) 封緘付きねじキャップ
KR200459519Y1 (ko) 휴대용 부탄가스용기용 캡
US20120279977A1 (en) Lid
KR200295504Y1 (ko) 위조방지 테의 절취가 용이한 위조방지용 캔 마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