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9431A - 곡물 식초와 굼벵이가 혼합된 캡슐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캡슐 - Google Patents

곡물 식초와 굼벵이가 혼합된 캡슐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캡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9431A
KR20170009431A KR1020150101469A KR20150101469A KR20170009431A KR 20170009431 A KR20170009431 A KR 20170009431A KR 1020150101469 A KR1020150101469 A KR 1020150101469A KR 20150101469 A KR20150101469 A KR 20150101469A KR 20170009431 A KR20170009431 A KR 201700094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negar
slugs
mixed
raw material
pow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14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지혜
Original Assignee
전지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지혜 filed Critical 전지혜
Priority to KR10201501014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9431A/ko
Publication of KR201700094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94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1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s
    • A23P10/30Encapsulation of particles, e.g. foodstuff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JVINEGAR; PREPARATION OR PURIFICATION THEREOF
    • C12J1/00Vinegar; Preparation or purification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04Animal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50Polysaccharides, gums
    • A23V2250/51Polysaccharide
    • A23V2250/5112Cyclodextr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Myc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곡물 식초와 굼벵이가 혼합된 캡슐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캡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곡물 식초를 발효 및 여과하여 제조된 곡물 식초 원료에 부형제를 첨가 후 교반한다. 다음으로 숙성 및 분무 건조하여 제조된 곡물 식초 분말에 굼벵이 원료를 건조 및 분쇄하여 제조된 굼벵이 분말을 혼합하여 캡슐화함으로써, 휴대와 보관이 용이하며 고 영양분을 섭취하는데 수월한 곡물 식초와 굼벵이가 혼합된 캡슐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캡슐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곡물 식초와 굼벵이가 혼합된 캡슐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캡슐{Method for manufacturing capsules mixed grain vinegar and slugs, capsules manufactured by the same}
본 발명은 곡물 식초와 굼벵이가 혼합된 캡슐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캡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곡물 식초를 발효 및 여과하여 제조된 곡물 식초 원료에 부형제를 첨가 후 교반한다. 다음으로 숙성 및 분무 건조하여 제조된 곡물 식초 분말에 굼벵이 원료를 건조 및 분쇄하여 제조된 굼벵이 분말을 혼합하여 캡슐화함으로써, 휴대와 보관이 용이하며 고 영양분을 섭취하는데 수월한 곡물 식초와 굼벵이가 혼합된 캡슐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캡슐에 관한 것이다.
한방에서는 굼벵이(흰 점박이 꽃무지 애벌레)를 간질환 치료, 갱년기 장애, 혈액정화 및 세균성 질환에 유용한 약효가 있는 약재로 오래전부터 인식되고 있으며, 이러한 굼벵이의 약효는 이미 널리 공지된 기술이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부가적으로 이러한 굼벵이는 한국공개특허 제1992-0011351호(굼벵이의 악취제거방법 및 사육방법) 및 공개번호 제1999-0041104호(굼벵이에서 분리한 혈전 용해성 효소 단백질)에 상세히 기술되어 있다.
실제 굼벵이는 강정제, 통증 완화, 악성 부스럼 치료 및 젖을 잘 나오게 하거나 혹은 입술이 굳어졌을 때 풀기 위해 이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굼벵이는 영양적으로도 고단백 식품으로 100g당 단백질 함량이 58g에 이른다.
이러한 굼벵이는 동의보감에 나와있듯이 식품의약안전처로부터 한시적 인정을 받았으며, 경기도농업기술원에서는 간기능 개선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또한, 식초는 예로부터 조미료로서 넓게 사용되고 있지만, 조미뿐만 아니라, 항균 등의 다른 기능으로도 이용되었다. 특히, 식초를 섭취하면 건강에 좋다고 알려져 있어 민간약적인 효용을 기대하여 쓰여지기도 하였다. 이 중 곡물 식초는 고유의 향과 맛이 있고, 풍부한 필수 아미노산을 함유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다양한 약효가 있는 굼벵이는 생체로서 그대로 식용해야 하고, 곡물 식초는 강한 신맛으로 인해 소비자들로 하여금 거부감을 느끼게 할 뿐만 아니라 액상이라 휴대 및 보관이 불편한 단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굼벵이를 분말로 섭취시 대부분 섭취하기는 하나 아직 건강기능식품등에 대한 재료 등재 등이 미흡하여 분말보다는 원형의 모형대로 섭취하는 경향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00-0012367호
본 발명의 목적은, 섭취하는데 거부감이 심한 곡물 식초와 굼벵이를 혼합하여 캡슐화함으로써, 보다 수월하게 섭취할 수 있는 곡물 식초와 굼벵이가 혼합된 캡슐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캡슐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휴대하기 어려운 곡물 식초와 굼벵이를 휴대와 보관이 용이하도록 캡슐화할 수 있는 곡물 식초와 굼벵이가 혼합된 캡슐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캡슐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곡물 식초와 굼벵이가 혼합된 캡슐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캡슐은, (a) 곡물 식초를 이용하여 곡물 식초 원료를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곡물 식초 원료를 이용하여 곡물 식초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c) 상기 곡물 식초 분말에 굼벵이 분말을 혼합하는 단계; 및 (d) 혼합된 상기 곡물 식초 분말과 상기 굼벵이 분말을 캡슐화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a) 단계는, (a1) 상기 곡물 식초를 발효시키는 단계; 및 (a2) 발효된 상기 곡물 식초의 비수용성 성분을 제거하기 위해 여과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b) 단계는, (b1) 상기 곡물 식초 원료에 부형제를 첨가 후 교반하는 단계; (b2) 교반된 상기 곡물 식초 원료를 숙성하는 단계; 및 (b3) 숙성된 상기 곡물 식초 원료를 분무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c) 단계는, (c1) 굼벵이 원료를 건조시키는 단계; (c2) 건조된 상기 굼벵이 원료를 분쇄하여 굼벵이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및 (c3) 상기 굼벵이 분말의 입자를 선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b1) 단계는 상기 곡물 식초 원료의 중량 대비 30% 내지 40%의 상기 부형제를 첨가할 수 있다.
상기 (b2) 단계는 10℃ 내지 15℃에서 숙성할 수 있다.
상기 (b2) 단계는 1㎖/min 내지 5㎖/min의 공기를 공급하여 숙성할 수 있다.
상기 (b3) 단계는 상기 분무 건조시 분무 건조기의 입구의 온도가 180℃ 내지 200℃ 및 출구의 온도가 95℃ 내지 115℃일 수 있다.
상기 (c2) 단계는 상기 굼벵이 원료를 분쇄시 핀 밀(Pin mill) 분쇄기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곡물 식초와 굼벵이가 혼합된 캡슐은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곡물 식초와 굼벵이가 혼합된 캡슐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캡슐에 따르면, 곡물 식초와 굼벵이를 혼합하여 캡슐화함으로써 휴대와 보관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섭취하는데 거부감이 심한 곡물 식초와 굼벵이를 혼합하여 캡슐화함으로써, 거부감 없이 보다 수월하게 섭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곡물 식초 캡슐을 섭취함으로써, 보다 수월하게 필수 아미노산을 섭취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곡물 식초와 굼벵이가 혼합된 캡슐을 섭취함으로써, 해독 기능과 간을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산성인 곡물 식초가 포함된 캡슐을 섭취시, 사람의 체내에서는 알칼리성으로 작용함으로써 체내의 pH를 중성화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곡물 식초와 굼벵이가 혼합된 캡슐 제조 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하여 과장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곡물 식초와 굼벵이가 혼합된 캡슐 제조 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곡물 식초와 굼벵이가 혼합된 캡슐 제조 방법은 (a) 곡물 식초를 이용하여 곡물 식초 원료를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곡물 식초 원료를 이용하여 곡물 식초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c) 곡물 식초 분말에 굼벵이 분말을 혼합하는 단계; 및 (d) 혼합된 곡물 식초 분말과 굼벵이 분말을 캡슐화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곡물 식초와 굼벵이가 혼합된 캡슐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된 곡물 식초와 굼벵이가 혼합된 캡슐 제조 방법을 각 단계별로 살펴보도록 한다.
(a) 곡물 식초를 이용하여 곡물 식초 원료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a) 단계는 곡물 식초를 이용하여 곡물 식초 원료를 준비하는 단계이다. 이러한 (a) 단계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곡물 식초를 준비한다.
이러한 곡물 식초는 유기산과 아미노산이 풍부한 쌀, 보리, 조, 밀 및 현미 등이 주요 원료이다.
다음으로 곡물 식초를 발효시킨다(S100).
이때, 곡물 식초를 발효시키기 위해 정치배양법을 이용한다.
여기서, 정치배양법이란 항아리에 식초를 담글 때 사용했던 방식으로 오랜 시간 재료를 항아리에 두고 발효를 진행시키는 방법임을 유의한다.
다음으로 발효된 곡물 식초의 비수용성 성분을 제거하기 위해 여과하여 곡물 식초 원료를 제조한다(S101).
이러한 공정을 통해 곡물 식초를 이용하여 곡물 식초 원료가 제조되게 된다.
(b) 곡물 식초 원료를 이용하여 곡물 식초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b) 단계는 상기 (a) 단계에서 제조된 곡물 식초 원료를 이용하여 곡물 식초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이러한 (b) 단계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곡물 식초 원료에 부형제를 첨가 후 교반한다(S200).
여기서 부형제란 정제나 환약 등의 제제 과정에서 주약의 양이 적은 경우에 약을 먹기 쉽게 하거나 어떤 빛깔과 형태를 갖추게 하려고 더 넣는 물질임을 유의한다.
이때, 사용되는 부형제는 덱스트린 DE 8-9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곡물 식초 원료의 중량 대비 30% 내지 40%의 부형제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곡물 식초 원료에 부형제를 첨가 후 교반시 교반시키는 장비는 곡물 식초 원료와 부형제가 효과적으로 교반될 수 있는 한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다음으로 교반된 곡물 식초 원료를 숙성한다(S201).
여기서, 곡물 식초 원료를 숙성 용기에 넣고 숙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숙성 온도는 10℃ 내지 15℃에서 숙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1㎖/min 내지 5㎖/min의 공기를 간헐적으로 공급하여 숙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숙성된 곡물 식초 원료를 분무 건조하여 곡물 식초 분말을 제조한다(S202).
여기서, 숙성된 곡물 식초 원료를 분무 건조시 분무 건조기(Spray dryer)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분무 건조기의 입구의 온도가 180℃ 내지 200℃ 및 출구의 온도가 95℃ 내지 115℃에서 분무 건조를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아토마이저(Atomizer)는 로터리 디스크(Rotary disc) 방식으로 원액 분무기 회전수는 12,000rpm 및 원심 분무기 모터는 10,000rpm 일 때 분무 건조를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이유는 숙성된 곡물 식초 원료에 함유된 필수 아미노산 및 유기산 등 영양소의 파괴를 최소화하여 분말화하기 위함임을 유의한다.
(c) 곡물 식초 분말에 굼벵이 분말을 혼합하는 단계
상기 (c) 단계는 상기 (b) 단계에서 제조된 곡물 식초 분말에 굼벵이 분말을 혼합하는 단계이다. 이러한 (c) 단계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굼벵이 원료를 건조시킨다(S300).
이때, 굼벵이 원료를 건조시키는 건조기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지만, 열풍 건조기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건조된 상기 굼벵이 원료를 분쇄하여 굼벵이 분말을 제조한다(S301).
여기서, 굼벵이 원료를 분쇄시 분쇄기 장비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지만 핀 밀(Pin mill) 분쇄기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굼벵이 분말의 입자를 선별한다(S302).
이때, 굼벵이 분말의 입자를 선별시 진동체선별기를 이용하여 입자를 선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곡물 식초 분말에 굼벵이 분말을 혼합한다(S303).
여기서 곡물 식초 분말에 굼벵이 분말을 혼합시 효과적으로 혼합하기 위해 컨테이너 블렌더(Container blender)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d) 혼합된 곡물 식초 분말과 굼벵이 분말을 캡슐화하는 단계
혼합된 곡물 식초 분말과 굼벵이 분말을 캡슐화한다(S400).
이때, 제조된 캡슐의 형태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사람이 수월하게 섭취할 수 있도록 원형, 타원형, 삼각형, 사각형 및 다각형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러한 캡슐은 유연성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분말을 캡슐화하는 기술은 공지된 기술임으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곡물 식초와 굼벵이가 혼합된 캡슐 제조 방법에 따르면, 곡물 식초를 발효 및 여과하여 곡물 식초 원료를 제조하고, 제조된 곡물 식초 원료에 부형제를 첨가 후 교반한다. 다음으로 숙성 및 분무 건조하여 곡물 식초 분말을 제조한다. 다음으로 굼벵이 원료를 건조 및 분쇄하여 굼벵이 분말을 제조한 후 입자를 선별한 굼벵이 분말을 곡물 식초 분말과 혼합한다. 다음으로 혼합된 곡물 식초 분말과 굼벵이 분말을 캡슐화함으로써 곡물 식초와 굼벵이가 혼합된 캡슐이 제조되게 된다.
이를 통해 섭취하는데 거부감이 심한 곡물 식초와 굼벵이를 혼합하여 캡슐화함으로써, 수월하게 필수 아미노산을 섭취할 수 있게 되고 또한, 휴대와 보관이 용이하게 된다.
여기서, 필수 아미노산이라 함은 체내에서 합성되지 않거나 합성되더라도 그 양이 매우 적어 생리 기능을 달성하기에 불충분하여 반드시 음식으로부터 공급해야만 하는 아미노산을 필수 아미노산이라 한다. 필수 아미노산의 종류는 동물의 종류나 성장 시기에 따라 다르지만, 성인의 경우에는 다음의 8종으로 발린(valine), 루신(leucine), 아이소루이신(isoleucine), 메티오닌(methionine), 트레오닌(threonine), 라이신(lysine), 페닐알라닌(phenylalanine), 트립토판(tryptophan)을 필수아미노산이라고 한다.
<실험예 1>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곡물 식초를 발효 및 여과하여 제조된 곡물 식초 원료에 부형제를 첨가 후 교반한다. 다음으로 숙성 및 분무 건조하여 곡물 식초 분말을 제조하였다.
<결과 논의>
상기의 공정에 의해 제조된 곡물 식초 분말의 아미노산 성분의 종류 및 함유량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이때, 제조된 곡물 식초 분말의 아미노산과 비교 분석하기 위해 액상 상태의 곡물 식초 아미노산도 동시에 분석 하였다.
상기의 분석은 제주대학교 생명과학기술혁신센터에서 진행하였다.
곡물 식초 분말 및 액상 상태의 곡물 식초 아미노산 성분의 종류 및 함유량을 분석한 결과
아미노산 액상 상태 곡물 식초 곡물 식초 분말
Aspartic acid 0.012 0.441
Serine 0.060 1.332
Glutamic acid 0.137 3.104
Glycine 0.100 0.300
Histidine 0.162 3.187
Arginine 0.194 2.684
Threonine 0.060 1.325
Alanine 0.212 4.058
Proline 0.845 20.572
Cystine 0.052 0.971
Tyrosine 0.001 0.108
Valine 0.101 2.093
Methionine 0.014 0.628
Lysine 0.009 0.302
Isoleucine 0.0074 1.637
Leucine 0.107 2.330
Phenylalanine 0.020 0.669
Total 2.160 45.743
(g/100g,%)
표 1을 참고하면, 곡물 식초 분말의 아미노산의 함유량은 45.743%로 나타났으며, 액체 상태의 곡물 식초의 아미노산의 함유량은 2.160%로 나타났다.
따라서, 동일한 무게로 비교 분석시 곡물 식초 분말은 액체 상태의 곡물 식초에 비해 아미노산 함유량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1)

  1. (a) 곡물 식초를 이용하여 곡물 식초 원료를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곡물 식초 원료를 이용하여 곡물 식초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c) 상기 곡물 식초 분말에 굼벵이 분말을 혼합하는 단계; 및
    (d) 혼합된 상기 곡물 식초 분말과 상기 굼벵이 분말을 캡슐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식초와 굼벵이가 혼합된 캡슐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a1) 상기 곡물 식초를 발효시키는 단계; 및
    (a2) 발효된 상기 곡물 식초의 비수용성 성분을 제거하기 위해 여과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식초와 굼벵이가 혼합된 캡슐 제조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b1) 상기 곡물 식초 원료에 부형제를 첨가 후 교반하는 단계;
    (b2) 교반된 상기 곡물 식초 원료를 숙성하는 단계; 및
    (b3) 숙성된 상기 곡물 식초 원료를 분무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식초와 굼벵이가 혼합된 캡슐 제조 방법.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c1) 굼벵이 원료를 건조시키는 단계;
    (c2) 건조된 상기 굼벵이 원료를 분쇄하여 굼벵이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및
    (c3) 상기 굼벵이 분말의 입자를 선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식초와 굼벵이가 혼합된 캡슐 제조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b1) 단계는 상기 곡물 식초 원료의 중량 대비 30% 내지 40%의 상기 부형제를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식초와 굼벵이가 혼합된 캡슐 제조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부형제는 덱스트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식초와 굼벵이가 혼합된 캡슐 제조 방법.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b2) 단계는 10℃ 내지 15℃에서 숙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식초와 굼벵이가 혼합된 캡슐 제조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b2) 단계는 1㎖/min 내지 5㎖/min의 공기를 공급하여 숙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식초와 굼벵이가 혼합된 캡슐 제조 방법.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b3) 단계는 상기 분무 건조시 분무 건조기의 입구의 온도가 180℃ 내지 200℃ 및 출구의 온도가 95℃ 내지 11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식초와 굼벵이가 혼합된 캡슐 제조 방법.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c2) 단계는 상기 굼벵이 원료를 분쇄시 핀 밀(Pin mill) 분쇄기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식초와 굼벵이가 혼합된 캡슐 제조 방법.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식초와 굼벵이가 혼합된 캡슐.
KR1020150101469A 2015-07-17 2015-07-17 곡물 식초와 굼벵이가 혼합된 캡슐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캡슐 KR2017000943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1469A KR20170009431A (ko) 2015-07-17 2015-07-17 곡물 식초와 굼벵이가 혼합된 캡슐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캡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1469A KR20170009431A (ko) 2015-07-17 2015-07-17 곡물 식초와 굼벵이가 혼합된 캡슐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캡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9431A true KR20170009431A (ko) 2017-01-25

Family

ID=579916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1469A KR20170009431A (ko) 2015-07-17 2015-07-17 곡물 식초와 굼벵이가 혼합된 캡슐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캡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0943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40342A1 (ko) * 2018-06-12 2019-12-19 한채원 해독 및 다이어트용 식초 발포정의 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2367A (ko) 1999-11-26 2000-03-06 백상인 굼벵이 분말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2367A (ko) 1999-11-26 2000-03-06 백상인 굼벵이 분말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40342A1 (ko) * 2018-06-12 2019-12-19 한채원 해독 및 다이어트용 식초 발포정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arson et al. Spent brewer’s yeast as a source of high added value molecules: A systematic review on its characteristics, processing and potential applications
KR101374424B1 (ko) 미강과 쌀눈과 아마씨를 이용한 건강기능식품의 제조방법
CN104509631B (zh) 全咖啡肽营养品及其制备方法
KR101467539B1 (ko) 삼채분말이 함유된 가금류용 사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172369B1 (ko) 보리 새싹 급여를 통한 기능성 계란 생산 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하여 생산된 기능성 계란
IL95535A (en) Manufacture of fatty foods containing chlorella
CN106819528A (zh) 一种鸡饲料及其制备方法
KR20170009431A (ko) 곡물 식초와 굼벵이가 혼합된 캡슐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캡슐
KR101561268B1 (ko) 발아 곡물의 발효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건강보조식품의 제조방법
KR20080110129A (ko) 영양성분과 성장촉진성분의 균형을 취한 성장촉진용식품조성물
CN105558255B (zh) 蓝莓叶肽营养品及其制备方法
CN103238849A (zh) 丝胶微胶囊生产方法和应用
CN109452544A (zh) 一种复合薏米超微粉的制备工艺
CN105010680A (zh) 一种虫草黄精茶及其制备方法
JP2647774B2 (ja) 植物抗酸化組成物
CN101536648B (zh) 一种茶芝及其胶囊
CN107712285A (zh) 提高产蛋性能的蛋鸡饲料
CN104804969A (zh) 一种以黑绿豆和玉米为主料的酿酒方法
IL95534A (en) Manufacture of fatty foods containing chlorella
KR19990084364A (ko) 발모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4804965A (zh) 一种黑绿豆四粮液制作方法
CN104830621A (zh) 一种黑绿豆七粮液及其制作方法
CN108517004A (zh) 墨鱼高f值寡肽以及其制备方法
JP4339533B2 (ja) 健康食品の製造方法及び該方法によって得られた健康食品
KR940010742B1 (ko) 화분(花紛)엑기스의 제조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