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8870A - 차양 및 그 작동 시스템 - Google Patents
차양 및 그 작동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008870A KR20170008870A KR1020167036424A KR20167036424A KR20170008870A KR 20170008870 A KR20170008870 A KR 20170008870A KR 1020167036424 A KR1020167036424 A KR 1020167036424A KR 20167036424 A KR20167036424 A KR 20167036424A KR 20170008870 A KR20170008870 A KR 2017000887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otary drum
- pulley
- transmission shaft
- suspension member
- drum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8—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 E06B9/30—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liftable
- E06B9/32—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therefor
- E06B9/322—Details of operating devices, e.g. pulleys, brakes, spring drums, drive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8—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 E06B9/30—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liftable
- E06B9/303—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liftable with ladder-tape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80—Safety measures against dropping or unauthorised opening; Braking or immobilising devices; Devices for limiting unrolling
- E06B9/82—Safety measures against dropping or unauthorised opening; Braking or immobilising devices; Devices for limiting unrolling automatic
- E06B9/88—Safety measures against dropping or unauthorised opening; Braking or immobilising devices; Devices for limiting unrolling automatic for limiting unrolling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8—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 E06B9/30—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liftable
- E06B9/32—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therefor
- E06B9/322—Details of operating devices, e.g. pulleys, brakes, spring drums, drives
- E06B2009/3222—Cordless, i.e. user interface without co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linds (AREA)
- Curtains And 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AREA)
Abstract
차양용 작동 시스템은 서스펜션 부재, 고정 돌출부를 갖는 케이싱, 케이싱을 관통하여 배치된 전달축, 케이싱 내에 배치되고 전달 축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회전 드럼, 및 회전 드럼과 연결되고 서스펜션 부재의 단부에 부착된 저지부를 포함한다. 회전 드럼은 서스펜션 부재를 권취하기 위한 제 1 방향 및 서스펜션 부재를 해제하기 위한 제 2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다. 저지부는 제 1 및 제 2 위치 사이에서 회전 드럼에 대해 이동 가능하며, 제 1 위치에 있을 때 제 1 및 제 2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돌출부를 지나 회전드럼과 함께 이동 가능하고, 제 2 위치에 있을때, 제 2 방향의 회전 드럼의 회전을 차단하기 위해 돌출부와 연결가능하다.
Description
본 출원은 2014년 11월 17일 출원된 대만 특허 출원 제 103139810 호의 우선권을 주장한다.
본 발명은 차양 및 상기 차양에 사용되는 작동 시스템에 관한 것.
베네 치안 블라인드(Venetian blinds), 롤러 쉐이드(roller shades) 및 벌집 쉐이드(honeycomb shade)와 같은 많은 유형의 차양이 현재 시장에서 입수 가능하다. 낮추었을 때의 그늘은 창 프레임의 영역을 덮을 수 있으므로 차양을 통해 실내로 들어오는 빛의 양이 줄어들고 프라이버시가 강화된다. 통상적으로, 차양에는 차양을 올리거나 내릴 수 있는 작동 코드가 제공된다. 차양은 회전 드럼 주위에 서스펜션 부재를 권취함으로써 상승될 수 있고, 회전 드럼으로부터 서스펜션 부재를 풀어 내림으로써 낮아질 수 있다. 차양이 일관된 방식으로 작동될 수 있음을 보장하기 위해, 회전식 드럼이 최하위 위치에 도달할 때 이를 멈추게 하는 제한기구가 또한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제한 메커니즘은 일반적으로 조립을 위한 추가 공간을 필요로 하는 차별화된 장치로 구성되어 차양의 구조가 보다 복잡해질 수 있다. 따라서, 개선된 작동 시스템을 가지며, 적어도 전술한 문제점에 대해 조작하고 다루기에 편리한 차양(window shade)이 필요하다.
본 출원은 차양 및 차양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작동 시스템을 설명한다. 일 실시예에서, 작동 시스템은 서스펜션 부재, 고정 돌출부를 갖는 케이싱, 케이싱을 통해 배치된 전달축, 케이싱 내에 배치되고 전달축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회전 드럼, 및 회전 부재와 연결된 저지부재를 포함한다. 드럼에 장착되고 서스펜션 부재의 단부에 부착된다. 회전 드럼은 회전 드럼 둘레에 서스펜션 부재를 감기 위한 제 1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고, 회전 드럼으로부터 서스펜션 부재를 풀기 위한 제 2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다. 저지부는 제 1 및 제 2 위치 사이에서 회전 드럼에 대해 이동 가능하며, 제 1 위치에 있을 때 저지부재는 제 1 및 제 2 방향 중 어느한 방향으로 회전 드럼과 함께 돌출부를 지나서 이동 가능하고, 저지부재는 상기 제 2 위치는 상기 돌출부와 결합하여 상기 회전 드럼의 제 2 방향으로의 회전을 차단한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차양의 적어도 하나의 이점은 제한 장치를 차양의 권취 유닛과 통합할 수 있어 작동 시스템에 의해 점유되는 전체 공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것.
도 1은 차양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차양의 평면도.
도 3은 완전 하강된 상태의 도 1의 차양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4는 도 1의 차양에 사용되는 권취 유닛을 도시하는 개략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권취 유닛의 분해도.
도 6은 도 4에 도시된 권취 유닛의 부분 단면도.
도 7은 도 4에 도시된 권취 유닛의 구성에 사용되는 케이싱의 일부를 도시하는 개략도.
도 8은 권추 유닛내의 저지부의 조립을 도시하는 도 6에 도시된 평면(S-S)을 따른 부분 단면도.
도 9는 최하위 위치 위의 중간 위치에서의 차양을 도시한 개략도.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차양의 측면도.
도 11은 차양 바닥부를 들어 올리기 위한 권취 유닛의 예시적인 동작을 도시하는 개략도.
도 12는 차양 바닥부를 들어 올리기 위한 권취 유닛의 예시적인 동작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13은 차양의 바닥부를 하강시키기 위한 권취 유닛의 예시적인 동작을 도시하는 개략도.
도 14는 차양의 바닥부를 낮추기 위한 권취 유닛의 예시적인 동작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15는 바닥부를 최하위 위치로 낮추기 위한 예시적인 차양의 작동을 도시하는 개략도.
도 16은 하부가 하부 위치에 도달할 때 권취 유닛과 조립된 저지부의 변위를 도시하는 개략도.
도 17은 최하부에 도달했을 때의 저지부의 위치 어긋남을 나타내는 도 16의 상태에 상당하는 부분 단면도.
도 18은 아래쪽으로 이동하는 바닥부가 최하 위치에 인접할 때 권 취부의 추가 회전을 정지시키기 위해 고정 돌출부부에 대한 저지부의 접촉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19는 도 18에 도시된 상태에 대응하는 부분 단면도로서, 고정 돌출부에 대한 저지부의 접촉을 도시.
도 20은 최하부 위치로부터 최하부를 들어올리는 차양의 예시적인 동작을 도시하는 개략도.
도 21은 최하부 위치로부터 바닥부를 들어 올리기 위한 권취 유닛의 회전을 도시하는 개략도.
도 22는 최하부 위치로부터 최하부를 들어 올리기 위한 권취 유닛의 회전을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
도 23은 차양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24는 도 23에 도시된 차양에 사용되는 권취 유닛을 도시하는 개략도.
도 25는 도 24에 도시된 권취 유닛의 분해도.
도 26은 종축을 따른 도 24에 도시된 권취 유닛의 단면도.
도 27은 권취 유닛과 일체로된 틸팅기구의 일부를 도시하는 도 26에 도시된 평면 P1-P1에서의 단면도.
도 28 및 도 29는 틸팅기구의 동작 예를 도시하는 도 26의 평면 P2-P2에 다른 부분 단면도.
도 30은 도 24에 도시된 권취 유닛과 일체로된 클러치 유닛의 일부를 도시하는, 도 26에 도시된 평면(P3-P3)에서의 단면도.
도 31은 도 23의 차양을 중간 위치에서 도시한 개략도.
도 32는 도 31에 도시된 차양의 위치에 대응하는 상태의 클러치 유닛의 일부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33은한 방향으로 틸팅 슬랫을 위한 도 23의 차양의 예시적인 작동을 도시하는 개략도.
도 34는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양이 작동될 때 발생하는 틸팅기구의 동작 예를 도시하는 개략도.
도 35는 다른 방향의 틸팅 슬랫을 위한 도 23의 차양의 예시적인 작동을 도시하는 개략도.
도 36은 도 3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양이 작동될 때 발생하는 틸트기구의 동작 예를 나타낸 개략도.
도 37은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틸팅기구가 작동될 때 클러치 유닛에서 발생하는 예시적인 변위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38은 도 3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틸팅기구가 작동될 때 클러치 유닛에서 발생하는 예시적인 변위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39는 바닥부분을 낮추기 위한 도 23에 도시된 차양의 예시적인 작동을 도시하는 개략도.
도 40은 도 39에 도시된 차양의 작동시 클러치 유닛에서 발생하는 변위를 도시한 단면도.
도 41은 바닥부분을 들어 올리기 위한 도 23에 도시된 차양의 예시적인 작동을 도시하는 개략도. 및
도 42는 도 41에 도시된 차양의 작동시 클러치 유닛에서 발생하는 변위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차양의 평면도.
도 3은 완전 하강된 상태의 도 1의 차양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4는 도 1의 차양에 사용되는 권취 유닛을 도시하는 개략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권취 유닛의 분해도.
도 6은 도 4에 도시된 권취 유닛의 부분 단면도.
도 7은 도 4에 도시된 권취 유닛의 구성에 사용되는 케이싱의 일부를 도시하는 개략도.
도 8은 권추 유닛내의 저지부의 조립을 도시하는 도 6에 도시된 평면(S-S)을 따른 부분 단면도.
도 9는 최하위 위치 위의 중간 위치에서의 차양을 도시한 개략도.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차양의 측면도.
도 11은 차양 바닥부를 들어 올리기 위한 권취 유닛의 예시적인 동작을 도시하는 개략도.
도 12는 차양 바닥부를 들어 올리기 위한 권취 유닛의 예시적인 동작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13은 차양의 바닥부를 하강시키기 위한 권취 유닛의 예시적인 동작을 도시하는 개략도.
도 14는 차양의 바닥부를 낮추기 위한 권취 유닛의 예시적인 동작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15는 바닥부를 최하위 위치로 낮추기 위한 예시적인 차양의 작동을 도시하는 개략도.
도 16은 하부가 하부 위치에 도달할 때 권취 유닛과 조립된 저지부의 변위를 도시하는 개략도.
도 17은 최하부에 도달했을 때의 저지부의 위치 어긋남을 나타내는 도 16의 상태에 상당하는 부분 단면도.
도 18은 아래쪽으로 이동하는 바닥부가 최하 위치에 인접할 때 권 취부의 추가 회전을 정지시키기 위해 고정 돌출부부에 대한 저지부의 접촉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19는 도 18에 도시된 상태에 대응하는 부분 단면도로서, 고정 돌출부에 대한 저지부의 접촉을 도시.
도 20은 최하부 위치로부터 최하부를 들어올리는 차양의 예시적인 동작을 도시하는 개략도.
도 21은 최하부 위치로부터 바닥부를 들어 올리기 위한 권취 유닛의 회전을 도시하는 개략도.
도 22는 최하부 위치로부터 최하부를 들어 올리기 위한 권취 유닛의 회전을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
도 23은 차양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24는 도 23에 도시된 차양에 사용되는 권취 유닛을 도시하는 개략도.
도 25는 도 24에 도시된 권취 유닛의 분해도.
도 26은 종축을 따른 도 24에 도시된 권취 유닛의 단면도.
도 27은 권취 유닛과 일체로된 틸팅기구의 일부를 도시하는 도 26에 도시된 평면 P1-P1에서의 단면도.
도 28 및 도 29는 틸팅기구의 동작 예를 도시하는 도 26의 평면 P2-P2에 다른 부분 단면도.
도 30은 도 24에 도시된 권취 유닛과 일체로된 클러치 유닛의 일부를 도시하는, 도 26에 도시된 평면(P3-P3)에서의 단면도.
도 31은 도 23의 차양을 중간 위치에서 도시한 개략도.
도 32는 도 31에 도시된 차양의 위치에 대응하는 상태의 클러치 유닛의 일부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33은한 방향으로 틸팅 슬랫을 위한 도 23의 차양의 예시적인 작동을 도시하는 개략도.
도 34는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양이 작동될 때 발생하는 틸팅기구의 동작 예를 도시하는 개략도.
도 35는 다른 방향의 틸팅 슬랫을 위한 도 23의 차양의 예시적인 작동을 도시하는 개략도.
도 36은 도 3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양이 작동될 때 발생하는 틸트기구의 동작 예를 나타낸 개략도.
도 37은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틸팅기구가 작동될 때 클러치 유닛에서 발생하는 예시적인 변위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38은 도 3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틸팅기구가 작동될 때 클러치 유닛에서 발생하는 예시적인 변위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39는 바닥부분을 낮추기 위한 도 23에 도시된 차양의 예시적인 작동을 도시하는 개략도.
도 40은 도 39에 도시된 차양의 작동시 클러치 유닛에서 발생하는 변위를 도시한 단면도.
도 41은 바닥부분을 들어 올리기 위한 도 23에 도시된 차양의 예시적인 작동을 도시하는 개략도. 및
도 42는 도 41에 도시된 차양의 작동시 클러치 유닛에서 발생하는 변위를 도시한 단면도.
도 1은 차양(100)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차양(100)을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3은 차양(100)을 완전히 내린 상태의 개략도이다. 차양(100)은 차광 구조체(104)의 하부에 배치된 헤드 레일(102), 차광 구조체(104) 및 하부 구조체(106)를 포함할 수 있다. 헤드 레일(102)은 임의의 유형 및 형상일 수 있다. 헤드 레일(102)은 윈도우 프레임의 상단에 부착될 수 있고, 차광 구조체(104) 및 바닥부(106)는 헤드 레일(102)에 매달릴 수 있다. 또한, 헤드 레일(102)은 내부 공동(108) 시스템(110)은 차광 구조체(104) 및 바닥부(106)의 상향 및 하향 변위를 구동하기 위해 조립될 수 있다.
차광 구조(104)는 임의의 적절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차광 구조체(104)는(도시된 바와 같은) 천 재료로 제조된 허니 콤 구조, 베네 치안 블라인드 구조, 또는 서로 수직으로 그리고 평행하게 연장되는 복수의 레일 또는 슬랫을 포함할 수 있다.
바닥부(106)는 차양(100)의 바닥부에 배치되고, 차광 구조체(104)를 팽창 및 붕괴시키기 위해 헤드 레일(102)에 대해 수직으로 이동 가능하다. 길쭉한 레일. 그러나 모든 유형의 계량 구조가 적합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바닥부(106)는 차광 구조체(104)의 최하부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다.
헤드 레일(102)에 배치된 작동 시스템(110)은 각각 트랜스미션 축(112), 제어 모듈(114), 하나 이상의 권취 유닛(116) 및 권취 유닛(116)과 각각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서스펜션 부재(118)를 포함할 수 있다. 118)는 헤드 레일(102)과 바닥부(106) 사이에서 수직으로 연장되는 서스펜션 코드 일 수 있다. 각각의 서스펜션 부재(118)는 하나의 대응하는 권취 유닛(116)(도 5에 잘 도시 됨)과 연결된 제 1 단부 권취 유닛(116)은 바닥부(106)를 상승 및 하강시키기 위해 서스펜션 부재(118)를 각각 권취 및 풀 수 있다. 전동 액슬(112)은 헤드 레일(102)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종 방향 축 제어 모듈(114)은 전달축(112)과 동축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어 모듈(114)은 전달축(112)의 회전을 구동하도록 작동될 수 있으며, 차례로 전달축 서스펜션 부재(118)를 감거나 풀어주는 역할을한다.
제어 모듈(114)은 바닥부(106)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기 위해 양방향으로 전달축(112)의 회전을 구동할 수 있는 임의의 적절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 모듈(114), 코드 클러치(120) 및 코드 클러치(120)와 연결된 루프 코드(122)를 포함한다. 코드 클러치(120)는 전형적으로 트랜스미션 축(112)과 부착된 내부 풀리(124)(도 2에서 가상 선으로 도시됨) 수동 작업을 위해 헤드 레일(102) 외부로 연장되는 2 개의 세그먼트(122A, 122B)를 형성하도록 풀리(124) 둘레를 감쌀 수 있다.(122A)는 하방으로 당겨 져서 바닥부(106)를 상승시키는 제 1 방향으로 풀리(124) 및 전달축(112)의 회전을 일으키고, 다른 부분(122B)은 풀리(124) 및 전달축(112)를 제 2 방향으로 이동시켜 바닥부(106)를 내린다.
도 4는 권취 유닛(116)을 도시하는 개략도이고, 도 5는 권취 유닛(116)의 분해도이며, 도 6은 권취 유닛(116)의 부분 단면도이다. 권취 유닛(116)은 케이싱(126), 회전 드럼(128) 및 저지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싱(126)은 헤드 레일(102)에 부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케이싱(126)은 하부 몸체(126A)와 상부 몸체(126B)의 조립에 의해 형성될 수 있고, 회전 드럼(128)이 위치될 수 있는 내부 공정을 형성한다. 또한, 또한, 케이싱(126)은 개구부(126C, 126D)가 전달 축(112)의 통과를 위해 형성될 수 있는 2 개의 대향 측벽을 가질 수 있다. 케이싱(126)은 케이싱(126)의 내측벽(126E)으로부터 내부로 돌출하는 고정 돌출부(1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132)는 케이싱(126)의 상부 몸체(126B)와 함께 예시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회전 드럼(128)은 케이싱(126) 내에 피봇 식으로 조립될 수 있고, 전달축(112)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전 드럼(128)은 케이싱(126)과 피봇식으로 연결된 단부 캡(131)과 고정될 수 있고, 전달축(112)과 회전 드럼(128)이 서로 회전가능하게 로킹되도록 전달 축(112)은 단부 캡(131)과 회전 드럼(128)의 내부 중앙 구멍(133)을 통해 조립될 수 있다. 전달축(112)의 길이 방향 축(X)은 회전 드럼(128)의 회전축을한정할 수 있다. 회전 드럼(128)은 회전 드럼의 두 대향 단부(128B 및 128C) 사이에서 종축(X)을 따라 연장되는 외부 표면(128A)을 가질 수 있다. 외부 표면(128A)은 회전 드럼(128)의 내부 공동(136)과 연통하는 단부(128B) 근처에 개구(134)를 가질 수 있다. 회전 드럼(128)은 고정 돌출부(132)가 배치되는 케이싱(126)의 영역 부근에 단부(128B)가 위치되도록 케이싱(126)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4 내지도 7과 관련하여, 도 8은 권취 유닛(116)에서 저지부(130)의 조립을 도시하기 위해 종축(X)에 수직인 도 6에 도시된 평면(S-S)을 따른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4 내지도 8을 참조하면, 저지부(130)는 단부(128B) 부근에서 회전 드럼(128)과 연결될 수 있고, 서스펜션 부재(118)의 단부(118A)와 부착될 수 있다. 저지부(130)는, 저지부(130)가 회전 드럼(128)의 내부를 향해 수축되는 제 1 위치와 저지부(130)가 회전 드럼(128)의 외부 표면(128A)으로부터 실질적으로 외측으로 실질적으로 돌출하는 제 2 위치 사이에서 회전 드럼(128)에 대해 움직일 수 있도록 조립된다. 일 실시예에서, 저지부(130)는 일체형 부품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내부 공동(136)에 인접하게 배치된 축부(137)를 중심으로 회전 드럼(128)과 피봇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저지부(130)는 축부(137)가 조립되는 결합 부(130A)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고 결합부(130A)로부터 이격된 말단부(130B)에서 종결될 수 있다. 축부(137)는 종축(X)으로부터 오프셋되고, 종축(X)을 따라 및 종축(X)과 평행하게 연장된다. 따라서, 저지부(130)는 말단부(130B)가 회전 드럼(128)의 외부 표면(128A) 아래 또는 실질적으로 평평하게 유지될 수 있는 제 1 위치와 말단부(130B)가 외부 표면(128) 외측 위로 돌출하는 제 2 위치사이에서 회전 드럼(128)에 대해 피벗회전될 수 있다.
서스펜션 부재(118)의 단부(118A)는 샤프트 부(137)로부터 오프셋된 위치에서 저지부(130)와 부착되고 회전 드럼(128)에 대해 저지부(130)와 함께 움직일 수 있다. 서스펜션 부재(118)는 단부(128B)로부터 회전 드럼(128)의 대향 단부(128C)를 향하여 외부 표면(128A)에서 권취될 수 있다.
도 5 및 도 8을 다시 참조하면, 회전 드럼(128)은 또한 보유 부분분(138)에 부착될 수 있다. 보유 부분분(138)은 저지부(130)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고, 회전 드럼(128)의 내부를 향하여 후퇴된 제 1 위치의 저지부(130)와 함게 형성된 플레이트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보유 부분분(138)은 돌출하는 멈춤쇠(138A)와 함께 형성된 플레이트로 형성될 수 있고, 저지부(130)는 멈춤쇠(138A)에 인첩하여위치되고 축부(137)로부터 오프셋된 돌출부(130C)(돌출부(130C)는 저지부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에 부착될 수 있다. 저지부(130)는 멈춤쇠(138A)가 돌출부(130C)와 맞물림으로써 회전 드럼(128)의 내부를 향해 후퇴된 위치에 유지될 수 있다.
도 1 내지도 8과 관련하여, 차양(100)의 작동 시스템(110)의 예시적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도 9 내지 도 17을 참조할 수 있다. 차양(100)은 차광 구조(104)가 완전히 붕괴되고 바닥부(106)가 헤드 레일(102)에 가깝게 위치하는(도 1에 도시된 예시와 같이) 완전히 상승된 위치와, 바닥부(106)가 헤드 레일(102)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이격된(도 3에 도시된 예시와 같이) 최하 위치에 인접한 완전히 팽창된 위치사이에서 작동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바닥부(106)가 최하위 위치보다 위에 위치하는 동안, 제어 모듈(114)의 루프 코드(122)는 바닥부(106)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도록 작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루프 코드(122)의 세그먼트(122A)는 바닥부(106)를 상승시키기 위해(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방향(R1)으로 전달축(112) 및 회전 드럼(128)의 회전을 구동하도록 하부로 당겨질 수 있고, 루프 코드(122)의 다른 세그먼트(122B)는 바닥부(106)를 하강시키기 위해(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방향(R2)으로 전달축(112) 및 회전 드럼(128)의 회전을 구동하도 하부로 당겨질 수 있다. 외부 측면(128A) 주위에 감겨진 서스펜션 부재(118)의 하나 이상의 회전이 있는한, 저지부(130)의 돌출부(130C)는 저지부(130)를 회전 드럼(128)의 내부 공동(136)에 후퇴된 위치의 회전 드럼(128)에 대해 정지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보유 부분분분(138)의 멈춤쇠(138A)와의 연결이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위치에서, 저지부(130)의 말단부(130B)는 외부 표면(128A) 아래로 후퇴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고, 회전 드럼(128)은 서스펜션 부재(118)를 감거나 푸는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저지부(130)는 케이싱(126)의 고정 돌출부(132)를 지나서 회전 드럼(128)과 일체로 움직일 수 있다.
도 15 내지도 19를 참조하면, 하방으로 이동하는 바닥부(106)가 도 15에 도시된 최하 위치(LP)에 도달하면, 서스펜션 부재(118)는 회전 드럼(128)의 외부 표면(128A)과 실질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풀려질 수 있고, 외부 표면(128A)은 더이상 바닥부(106)에 의해 가해지는 하방의 중량 하중을 지지하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바닥부(106)에 의해 가해지는 하방의 중량 하중은 서스펜션 부재(118)를 통해 저지부(130)로 전달될 수 있다. 저지부(130)는 바닥부(106)에 의해 가해지는 하방의 중량 하중이 보유부분(138)의 멈춤쇠(138A)의 방해를 극복하고(예를들어 탄성 변형에 의해), 외부 표면(128A)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되도록 회전 드럼(128)에 대해 피봇하기 위해 저지부(130)를 당길 수 있다. 따라서, 저지부(130)의 말단부(130B)는 도 16 및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드럼(128)의 내부를 향하여 후퇴된 제 1 위치로부터 회전 드럼(128)의 외부 표면(128A)으로부터 외부로 돌출된 제 2 위치로 변위될 수 있다. 회전 드럼(128)이 회전하여 저지부(130)의 변위를 동일한 방향(R2)으로 구동할 때, 외측으로 돌출하는 말단부(130B)는 도 18 및 도 19에 도시된 케이싱(126)의 고정된 돌출부(132)에 대해 인접하여 올 수 있다. 결과적으로, 회전 드럼(128)과 전달축(112)의 R2 방향으로의 더 이상의 회전은 정지될 수 있으며, 이는 루프 코드(122)의 세그먼트(122B)의 추가 하향 작동을 차단한다.
상기 구성에 의해, 저지부(130) 및 케이싱(126)의 고정 돌출부(132)와의 맞물림에 의해 최하부 위치(LP)에 인접하는 바닥부(106)를 정지시킬 수 있다. 저지부(130), 보유 부분분(138) 및 고정 돌출부(132)는 이에따라 헤드 레일(102)로부터 소정의 최하 위치(LP)까지 바닥부(106)를 하강시키기 위해 회전 드럼(128)의 회전 수를한정하는 제한 메커니즘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작동 시스템(110)은 일관된 방식으로 작동할 수 있다. 즉, 루프 코드(122)의 세그먼트(122A)에 대한 하향 당김은 항상 바닥부(106)의 상승을 구동시키고, 루프 코드(122)의 세그먼트(122B)에 대한 하향 당김은 항상 바닥부(106)의 하강을 구동시킨다. 저지부(130)가 회전 드럼(128)의 외부로 당겨진 후에 고정 돌출부(132)에 접촉할 수 있도록 보장하기 위해, 고정 돌출부(132)는 회전 드럼(128)의 회전축(도시된 바와 같이)과 교차하는 수직축(V)으로부터 오프셋 또는 수직축 V 상에 및 회전 드럼(128) 아래에 배치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도 20 내지도 22를 참조하면, 바닥부(106)를 최저 위치(LP)로부터 상승시키기 위해, 루프 코드(122)의 세그먼트(122A)가 아래쪽으로 당겨 져서 전달축(112) 및 회전 드럼(128)의 회전을 R1 방향으로 구동할 수 있다. 회전 드럼(128)의 회전은 저지부(130)를 구동시켜 고정 돌출부(132)로부터 분리시키고 바닥부(106)에 의해 가해지는 중량 하중의 수직 방향에 대해 저지부(130)의 방향를 변화시킬 수 있다. 결과적으로 바닥부(106)에 의해 가해지는 하방 중량 하중은 내부 공동(136)를 향해 회전 드럼(128)에 대해 바닥부(106)를 회동시킬 수 있도록 저지부(130)를 당길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저지부(130)의 돌출부(130C)는 저지부(130)가 회전 드럼(128)의 내부 공동(136)에 후퇴된 위치에서 회전 드럼(128)에 대해 정지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보유 부분분(138)의 멈춤쇠(138A)를(예를 들어 탄성 변형에 의해) 연결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고정 돌출부(132)는 회전 드럼(128)이 바닥부분(106)을 상승시키기 위한 완전 팽창 위치로부터 1 회전할 때, 저지부재(130)를 내부 공동(136)쪽으로 밀어낼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제한 메커니즘은 허니컴 쉐이드, 롤러 쉐이드, 베네치안 블라인드 등과 같은 서스펜션 부재를 감거나 풀기 위해 회전 드럼을 사용하는 임의의 유형의 차양으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23은 차양(200)에 제공된 작동 시스템(210)의 변형된 실시예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차양(100)은 헤드 레일(102), 복수의 슬랫(204)으로 구성된 쉐이딩 구조(104), 및 쉐이딩 구조(104)의 바닥에 배치된 바닥부분(106)을 포함할 수 있다. 슬랫(204) 및 바닥부(106)는 헤드 레일(102)에 매달리게 되고, 바닥부(106)는 헤드 레일(102)에 대해 수직으로 이동하여 헤드 레일(102)과 바닥부(106) 사이에서 슬랫(204)을 팽창시키고 붕괴시킨다.
작동 시스템(210)은 전달축(112), 제어 모듈(114), 하나 이상의 권취 유닛(116') 및 권취 유닛(116')과 각각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서스펜션 부재(118)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어 모듈(114)은 바닥부(106)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기 위해 어느 한 방향으로 전달축(112)의 회전을 구동하도록 작동될 수 있다. 또한, 권취 유닛(116')은 바닥부(106)를 상승 및 하강시키도록 서스펜션 부재(118)를 감고 풀기 위해 작동 가능하다.
도 24는 하나의 권취 유닛(116')을 도시하는 개략도이고, 도 25 및 도 26은 하나의 권취 유닛(116')의 분해도 및 단면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권취 유닛(116')은 케이싱(126), 회전 드럼(128) 및 저지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 드럼(128)은 전달축(112)과 함께 회전하여 하나의 대응하는 서스펜션 부재(118)를 감아 바닥부(106)를 상승시키고, 서스펜션 부재(118)를 풀어 바닥부(106)를 하강시킬 수 있다. 또한, 회전 드럼(128)은 단부(128B) 부근에 배치된 저지부(130) 및 보유 부분분(138)과 조립될 수 있다. 저지부(130) 및 보유 부분분(138)의 구성 및 작동은 전술한 설명과 유사할 수 있다. 저지부(130)가 케이싱(126)의 고정 돌출부(132)를 지나 서스펜션 부재(118)를 감거나 풀 수 있기 위해 회전 드럼(128)과 함께 이동할 수 있도록 저지부(130)를 후퇴 위치에 유지할 수 있다. 저지부(138)는 바닥부(106)의 중량 하중에 의해 구동되어 후퇴 위치로부터 케이싱(126)의 고정된 돌출부(132)와 연결되어 바닥부(106) 최저 위치에 인접한 바닥부(106)를 정지시키도록 전개 위치로 변위될 수 있다.
도 23 내지도 26을 참조하면, 작동 시스템(210)은 틸팅기구(220) 및 권취 유닛(116')과 각각 일체화된 클러치 유닛(22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틸팅기구(220)는 슬랫(204)의 경사를 조절하도록 작동가능하며, 클러치 유닛(222)은 바닥 부(106)를 원하는 높이로 유지하도록 작동할 수 있다.
도 25 및 도 26과 관련하여, 도 27 및 도 28은 틸팅기구(220)의 조립을 도시하는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축(X)에 수직인 두 평면(P1-P1 및 P2-P2)에 따른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25 내지도 28을 참조하면, 틸팅기구(220)는 케이싱(126)과 함께 조립될 수 있는 연결부(224), 풀리(226), 래더 코드(227) 및 토션 스프링(228)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224)는 칼라부(230) 및 칼라부(230)에 부착된 두 개의 축 방향 슬리브 세그먼트(232, 234)를 포함할 수 있다. 칼라부(230)는 2 개의 슬리브 세그먼트(232, 234)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고, 슬리브 세그먼트(232, 234)는 칼라 부(230)의 2 개의 대향 측면에서 각각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홀(236)은 칼라부(230) 및 슬리브 세그먼트(232, 234)를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224)는 회전 드럼(128)의 내부 중심 구멍(133)을 통해 배치되는 슬리브 세그먼트(232)와 슬리브 세그먼트(232)를 통해 연장되는 구멍(236)을 통해 조립되는 전달축(112) 234) 및 칼라 부(230)를 포함한다. 연결부(224)의 홀(236)은 전달축(112)에 끼워 맞춰지며, 회전 드럼(128)의 내부 중심 홀(133)의 직경은 슬리브 세그먼트(224)의 단면보다 크다. 따라서, 연결부(224)는 전달축(112)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반면, 회전 드럼(128)과 연결부(224) 사이에는 상대 회전이 허용될 수 있다.
풀리(226)는 연결부(224)의 칼라부(230)와 면하는 풀리(226)의 일 측면에서 축 방향으로 돌출하는 슬리브 부분(238)과 부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풀리(226) 및 슬리브 부분(238)은 단일 부품으로 일체형일 수 있다. 풀리(226) 및 슬리브 부분(238)은 회전 드럼(128)의 단부(128A)에 인접한 위치에서 슬리브 세그먼트(234) 및 전달축(112) 둘레에 조립될 수 있으며, 슬리브 세그먼트(234)는 풀리(226)의 중심홀(240)을 통과한다. 풀리(226)를 통한 슬리브 세그먼트(234)의 조립은 종축(X)을 중심으로 풀리(226)에 대한 연결부(224)의 회전을 허용할 수 있고 풀리(226)는 회전 드럼(128)과 독립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풀리(226)는 또한 종축(X)에 대해 서로 각도가 서로 떨어져있는 두 개의 플랜지면(242A, 242B)을 포함할 수 있다.
풀리(226)는 플랜지 표면(242A)이 케이싱(126)에 부착된 정지 리브(244)와 접촉하는 제 1 각도 위치와 플랜지 표면(242B)이 정지 리브(244)와 접촉하는 제 2 각도 위치 사이에서 한정된 범위의 회전 변위를 가질 수 있다.
정지 리브(244)에 대한 플랜지 표면(242A)의 접촉은 제 1 방향으로의(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슬랫(204)의 최대 경사각을 한정할 수 있고, 정지 리브(244)에 대한 플랜지 표면(242B)의 접촉은 제 1 방향과 반대 방향인(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방향에서의 슬랫(204)의 최대 경사각도를 한정할 수 있다.
래더 코드(227)는 풀리(226)와 연결될 수 있고, 슬랫(204)으로 고정될 수 있다. 풀리(226)의 회전은 슬랫(204)을 기울이도록 래더 코드(227)의 수직 변위를 구동할 수 있다.
도 25 내지도 27을 참조하면, 토션 스프링(228)은 두 개의 이격된 프롱(228A, 228B)을 가질 수 있고, 풀리(226)의 슬리브 부분(238)과 마찰 접촉하여 조립될 수 있다. 연결부(224)의 칼라 부(230)는 길이 방향 축(X)으로부터 오프셋되고 토션 스프링(228)의 두 프롱(228A, 228B) 사이에 구획된 갭에 배치되는 돌출 포스트(246)를 가질 수 있다.
전달축(112)의 회전 변위는 연결부(224)를 구동 회전시키고 포스트(246)를 프롱(228A, 228B) 중 어느 하나에 대해 가압하게 하여 토션 스프링(228)과 풀리(226)를 토션 스프링(228)과 풀리(226)의 슬리브 부분(238) 사이의 마찰 접촉으로 인해 회전 드럼(128)에 대해 함께 회전하도록 한다.
또한, 플랜지면(242A, 242B)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정지 리브(244)의 접촉은 풀리(226)의 회전을 차단하여, 전달축(112)과 연결부(224)의 추가 회전으로 토션 스프링(228)이 슬리브 부분(238)상의 그립을 느슨하게 하도록 하고, 풀리(226)가 정지되어 유지되는 동안 전달축(112), 연결부(224) 및 회전 드럼(128)은 서스펜션 부재(118)를 감거나 풀기 위해 계속 회전할 수 있다.
도 25 및 도 26을 다시 참조하면, 클러치 유닛(222)은 케이싱(126)의 내브 측벽(248)에 마찰 결합되어 서스펜션 부재(118)를 풀리게 하는 회전 드럼(128)의 회전을 방지하는 잠금 상태와, 회전 드럼(128)의 회전이 서스펜션 부재(118)를 감고 풀도록 허용하는 잠금 해제 상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클러치 유닛(222)은 잠금 상태에서 잠금 해제 상태로 전환될 수 있도록 전달축(112)의 어느 한 방향으로의 회전하도록 작동시킬 수 있다.
클러치 유닛(222)은 회전 드럼(128)의 단부(128B)에 인접한 케이싱(126)에 조립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클러치 유닛(220)은 토션 스프링(250) 및 작동부(25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0은 클러치 유닛(222) 내의 토션 스프링(250)의 조립을 도시하는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축(X)에 수직인 평면(P3-P3)에 따른 개략적 단면도이다. 토션 스프링(250)은 두 개의 이격된 프롱(250A, 250B)을 가질 수 있고, 케이싱(126)의 내부 측벽(248)과 마찰 접촉하여 조립될 수 있다. 토션 스프링(250)은 회전 드럼(128)에 부착된 플랜지(256)가 2 개의 프롱(250A, 250B) 사이의 갭(257) 내에 위치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플랜지(256)는 종축(X)으로부터 오프셋되고, 갭(257)은 플랜지(256)의 폭과 동일하거나 더 큰 폭을 갖는다. 일 실시예에서, 플랜지(256)는 단부(128B)에 인접하여 회전 드럼(128)에 부착된 링(259) 에 예시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플랜지(256)는 회전 드럼(128)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플랜지(256)는 서스펜션 부재(118)가 풀리게 하는 회전 드럼(128)의 회전을 방지하도록 케이싱(126)의 내부 측벽(248)과 확대 및 마찰 접촉시킬 수 있는 두 개의 프롱(250A, 250B)중 어느 하나에 대해 가압하기 위해 토션 스프링(250)에 대해 회전 드럼(128)과 함께 이동할 수 있다.
작동부(252)는 토션 스프링(250)을 통해 조립될 수 있다. 상기 작동부(252)는 중앙 공동(258) 및, 상기 작동부(252)의 외부 표면에 부착되어 그 반경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260)를 가질 수 있다. 회전 드럼(128)의 단부(128B) 근처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슬리브 세그먼트(232)의 부분은 작동부(252)의 중앙 공동(258)에 수용될 수 있다. 슬리브 세그먼트(232)는 작동부(252)의 지지를 돕는다. 작동부(252)는 홀(262)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전달축(112)은 회전 드럼(128)의 내부를 통해 연장될 수 있고, 작동부(252)를 전달축(112)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도록 홀(262)을 통해 조립될 수 있다. 작동부(252)는 토션 스프링(250)이 케이싱(126)의 내부 측벽(248)과의 마찰 접촉을 느슨하게 하기 위해 돌출부(260)가 두 개의 프롱(250A, 250B) 중 임의의 하나를 가압할 수 있도록 전달축(112)에 의해 회전구동될 수 있고, 전달축(112)의 회전은 작동부(252) 및 토션 스프링(250)을 통해 회전 드럼(128)으로 전달될 수 있다.
도 23 내지 도 30과 관련하여, 작동 시스템(210)의 예시적인 작동을 설명하기 위해도 도 31 내지 도 42를 더 참조한다. 도 31 및 도 32는 제어 모듈(114)이 정지 상태로 유지되고 루프 코드(122)에 견인 작용이 가해지지 않는 구성을 도시한다. 바닥부(106)에 의해 상기 서스펜션 부재(118)에 가해진 수직 중량은 상기 플랜지(256)가 토션 스프링(250)의 프롱(250A)에 대해 가압하도록 하는 방향으로 상기 회전 드럼(128)을 회전시키는 회전 드럼(128)의 토크(N)을 적용시킬 수 있다. 상기 가압력은 토션 스트링(250)이 케이싱의 내부 측벽(248)과 마찰 접촉 및 확대되도록 가압하는(도 25 및 도 26에 더 잘 도시 됨) 프롱(250B)으로부터 이격되어 프롱(250A)을 가압하는 방향(즉, 갭(257)을 넓히는 방향)으로 작용한다. 토션 스프링(250)과 케이싱(126)의 마찰 접촉은 회전 드럼(128)에 수직 중량에 의해 가해진 토크(N)를 상쇄시킬 수 있고, 바닥부(106)를 하강시키는 방향으로 토션 스프링(250) 및 회전 드럼(128)이 회전하는 것을 차단한다. 따라서, 바닥 부(106)는 원하는 높이로 정지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도 26 및 도 27과 관련하여 도 33 및 도 34를 참조하면, 슬랫(204)의 경사가 한 방향으로 조정될 때, 루프 코드(122)의 세그먼트(122B)는 변위(B1)만큼 아래로 당겨질 수 있고, 방향 R2로 회전하도록 전달축(112)과 연결부(224)를 회전구동하고 두 프롱(228A 및 228B) 중 하나(예를 들어, 프롱(228A))에 대해 포스트(246)를 밀게 하여, 토션 스프링(228) 및 풀리(226)를 토션 스프링(228)과 슬리브 부분(238) 사이의 마찰 접촉으로 인해 회전 드럼(128)에 대해 일제히 회전하도록 한다. 풀리(226)의 이러한 회전은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랫(204)을 제 1 방향으로 기울이도록 래더 코드(227)의 수직 변위를 구동할 수 있다. 풀리(226)는 정지 리브(244)와 상기 방향으로 슬랫(204)의 최대 경사각을 한정하는 플랜지 표면(242B) 사이의 접촉에 의해 정지될 때까지 회전할 수 있다.
도 35 및 도 36을 참조하면, 도 26 및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랫(204)의 경사가 제 1 방향의 반대 방향인 제 2 방향으로 조정될 때, 루프 코드(122)의 세그먼트(122A)는 변속기(A1)만큼 아래로 당겨질 수 있어, R1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전달축(112)과 연결부(2240를 회전구동하고, 두 프롱(228A 및 228B) 중 다른 하나(예컨대, 프롱(228B))에 대해 포스트(246)를 가압하게 하여, 토션 스프링(228) 및 풀리(226)가 토션 스프링(228)과 슬리브 부분(238) 사이의 마찰 접촉으로 인해 회전 드럼(128)에 대해 일제히 회전하도록 한다. 풀리(226)의 이러한 회전은 도 3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랫(204)을 제 2 방향으로 기울이도록 래더 코드(227)의 수직 변위를 구동할 수 있다. 풀리(226)는 정지 리브(244)와 제 2 방향으로의 슬랫(204)의 최대 경사각을 한정하는 플랜지 표면(242A) 사이의 접촉에 의해 정지될 때까지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슬랫(204)의 경사각을 변경하기 위해 풀리(226)가 회전하는 동안, 상기 작동부(252)는 상기 풀리(226)와 동일한 방향으로 상기 전달축(112)에 의해 회전 구동된다는 것을 주목하라. 그러나 상기 정지 리브(244)가 플랜지 표면(242A, 242B) 중 어느 것에도 도달하지 않으면, 작동부(252)의 돌출부(260)는 두 개의 프롱(250A, 250B) 중 어느 하나에도 밀리지 않고 토션 스프링(250)의 수축이 일어나지 않는다. 도 37은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랫(204)이 조정될 때 발생하는 돌출부(260)의 경로를 예시하고, 도 38은 도 3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랫(204)이 조정될 때 발생하는 돌출부(260)의 경로를 예시한다. 결과적으로, 슬랫(204)의 경사 각도가 조정되는 동안, 회전 드럼(128)상의 바닥부(106)에 의해 가해진 수직 중량은 플랜지(256)를 프롱(250A)에 대해 계속적으로 가압할 수 있고, 따라서 토션 스프링(250)은 케이싱(126)과 마찰접촉을 유지한다. 따라서, 회전 드럼(128)과 바닥 부(106)는 슬랫(204)의 경사각을 조정할 때 전술한 바와 같이 토션 스프링(250)의 작용에 의해 정지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도 26 내지도 30과 관련하여 도 39 및 도 40을 참조하면, 바닥부(106)를 하강시키기 위해, 루프 코드(122)의 세그먼트(122B)는 슬랫(204)을 경사지게 하기 위한 변위(B1)보다 큰 변위(B2)만큼 아래로 당겨질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전달축(112)은 방향(R2)으로 회전하고, 연결부(224)와 작동부(252)를 같은 방향으로 동시에 회전시킨다. 따라서, 연결부(224)는 회전하여 포스트(246)를 프롱(228A)에 대해 가압할 수 있으며, 도 34를 참조로 상술한 바와 같이 토션 스프링(228) 및 풀리(226)는 정지 리브(244)가 플랜지 표면(242B)에 접촉할 때까지 회전하도록 구동된다. 정지 리브(244)가 플랜지 표면(242B)에 접촉한 후, 루프 코드(122)의 세그먼트(122B)가 계속 하향 이동함에 따라, 풀리(226)는 정지 상태로 유지될 수 있고, 작동부(252)는 돌출부(260)를 프롱(250A)으로부터 프롱(250B)을 향해 변위시키도록 전달축(112)과 함께 R2 방향으로 계속 회전할 수 있도로 한다. 결과적으로, 돌출부(260)는 토션 스프링(250)의 프롱(250B)을 갭(257)을 좁히는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고, 이는 토션 스프링(250)의 수축을 야기하여 케이싱(126)의 내부 측벽(248)과의 마찰 접촉을 느슨하게 한다. 느슨한 토션 스프링(250)은 작동부(252) 및 전달축(112)과 함께 R2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고, 프롱(250B)은 도 4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방향 R2로 회전시키기 위해 회전 드럼(128)의 플랜지(256)에 대해 가압할 수 있다. 따라서, 전달축(112)에 의해 구동되는 토션 스프링(250)의 회전은 회전 드럼(128)의 플랜지(256)와 프롱(250B) 사이의 접촉을 통해 회전 드럼(128)에 전달될 수 있고 서스펜션 부재(118)를 풀고 바닥부(106)를 하강시키기 위해 회전 드럼(128)이 회전하도록할 수 있다.
아래쪽으로 이동하는 바닥부(106)가 원하는 높이에 도달하면, 돌출부(260)가 더 이상 토션 스프링(250)의 프롱(250B)을 밀지 않도록 루프 코드(122)가 해제될 수 있다. 그 결과, 하부 부재(106)에 의해 서스펜션 부재(118) 상에 가해지는 수직 중량은 회전 드럼(128)을 회전 가압하여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랜지(256)를 프롱(250A)에 대해 가압하도록 드럼(128)을 회전시킨다. 상기 가압력은 케이싱(126)의 내부 측벽(248)과 확대 및 마찰 접촉하도록 프롱(250A)을 토션 스프링(250)을 가압하는 프롱(250B)으로부터 멀어지게(즉, 갭(257)을 넓히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방향으로 작용한다. 상기 토션 스프링(250)과 케이싱(126)과의 마찰 접촉은 수직 중량에 의해 회전 드럼(128)에 가해지는 토크에 대항할 수 있고, 서스펜션 부재(118)를 풀는 방향 R2로 토션 스프링(250), 회전 드럼(128) 및 전달축(112)이 회전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바닥부(106)는 원하는 높이로 고정될 수 있다.
바닥 부(106)를 상승시키기 위해 도 26 및 도 30과 관련하여 도 41 및 도 42를 참조하면, 루프 코드(122)의 세그먼트(122A)는 슬랫(204)을 경사지게 하기 위해 변위(A1)보다 큰 변위(A2)만큼 아래로 당겨질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전달축(112)은 R1 방향으로 회전하고, 결합부(224)와 작동부(252)를 같은 방향으로 동시에 회전시킨다. 따라서, 연결부(224)는 회전하여 포스트(246)를 프롱(228B)에 대해 가압하게하고, 도 36을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정지 리브(244)가 플랜지 표면(242A)에 접촉할 때까지 토션 스프링(228) 및 풀리(226)를 회전구동시킨다. 정지 리브(244)가 플랜지 표면(242A)에 접촉한 후 루프 코드(122)의 세그먼트(122A)가 계속 하향 이동함에 따라, 풀리(226)는 정지 상태로 유지되고, 작동부(252)는 전달축(112)과 함께 계속 회전할 수 있으며, 돌출부(260)가 프롱(250B)으로부터 토션 스프링(250)의 프롱(250A)을 향해 멀어 지도록 이동시킨다. 그 결과, 돌출부(260)는 토션 스프링(250)의 프롱(250A)을 가압하여 수축을 일으키고 케이싱(126)의 내부 측벽(248)과의 마찰 접촉을 느슨하게할 수 있다. 따라서, 느슨한 토션 스프링(250)은 작동 부(252)와 함께 회전하여 프롱(250A)이 회전 드럼(128)의 플랜지(256)를 R1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한다. 전달축(112)에 의해 구동되는 토션 스프링(250)의 상기 회전은 회전 드럼(128)의 플랜지(256)와 프롱(250A) 사이의 접촉을 통해 회전 드럼(128)으로 전달될 수 있고 서스펜션 부재(118)의 권취 및 바닥부(106)를 상승으 위해 회전 드럼(128)을 회전시킬 수 있다.
상부 이동하는 바닥부(106)가 원하는 높이에 도달하면, 돌출부(260)가 더 이상 토션 스프링(250)의 프롱(250A)을 밀지 않도록 루프 코드(122)가 해제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하부 부재(106)에 의해 서스펜션 부재(118) 상에 가해지는 수직 중량은 회전 드럼(128)에 토크를 가할 수 있고, 플랜지(256)가 프롱(250A)에 대해 가압되도록 하는 방향 R2로 회전 드럼(128)을 회전시킨다. 토션 스프링(250)은 따라서 케이싱(126)의 내부 측벽(248)과 함께 확대되고 마찰 접촉하게된다. 토션 스프링(250)과 케이싱(126)의 마찰 접촉은 회전 드럼(128)에 수직 중량에 의해 가해지는 토크를 상쇄시킬 수 있고, 서스펜션 부재(118)를 해제시키는 방향 R2로 토션 스프링(250), 회전 드럼(128) 및 전달축(112)이 회전하는 것을 차단한다. 따라서, 바닥 부(106)는 원하는 높이로 고정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회전 드럼(128)이 서스펜션 부재(118)의 권취 및 해제를 위해 회전하는 동안, 보유 부분분(138)은 저지부(130)가 케이싱(126)의 고정 돌출부(132)를 지나 회전 드럼(128)과 함께 움직일 수 있도록 후퇴된 위치에서 저지부(132)를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바닥 부(106)가 최하 위치에 근접하면, 저부(106)는, 최하부 위치에 인접한 바닥 부(106)를 정지시키기 위해 후퇴된 위치에서 케이싱(126)의 고정 돌출부(132)와 연결될 수 있는 전개 위치로 변위되도록 바닥부(106)의 중량 하중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구조 및 작동 방법은 하향 이동하는 차광 구조가 최하 위치에 인접할 때 회전 드럼의 회전을 자동적으로 정지시킬 수 있도록 헤드 레일로부터 최하 위치까지 차광 구조물을 하강시키 위해 회전 드럼의 회전수를 정의할 수 있다. 따라서, 작동 시스템은 차양의 쉐이딩 구조를 상승 또는 하강하기 위해 일관된 방식으로 작동될 수 있다.
구조 및 방법의 실현은 특정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다. 이들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으로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니다. 다양한 변형, 수정, 추가 및 개선이 가능하다. 따라서, 복수의 실시예가 단일 실시예로 여기에 설명된 구성 요소에 대해 제공될 수 있다. 예시적인 구성에서 별도의 구성 요소로 제시된 구조 및 기능은 결합된 구조 또는 구성 요소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및 다른 변형, 수정, 추가 및 개선이 다음의 청구 범위 내에 속할 수 있다.
Claims (24)
- 차양용 작동 시스템에 있어서,
서스펜션 부재;
고정된 돌출부를 갖는 케이싱;
케이싱을 통해 배치된 전달축;
상기 케이싱에 배치되고 상기 전달축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 드럼, 상기 회전 드럼은 상기 서스펜션 부재를 상기 회전 드럼 둘레에 권취하기 위한 제 1 방향 및 상기 서스펜션 부재를 상기 회전 드럼으로부터 풀기 위한 제 2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고; 및
상기 회전 드럼에 연결되고 상기 서스펜션 부재의 단부에 부착되는 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저지부는 상기 회전 드럼에 대해 제 1 및 제 2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고, 상기 제 1 위치에 있을 때, 제 1 방향 및 제 2 방향 중 한 방향에서 돌출부를 지나 회전 드럼과 함게 이동가능하고, 제 2 위치에 있을 때, 제 2 방향의 회전 드럼의 회전을 차단하기 위해 상기 돌출부와 연결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용 작동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지부는 상기 서스펜션 부재가 상기 회전 드럼으로부터 실질적으로 또는 완전히 풀려질 때 상기 제 2 위치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용 작동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드럼은 제 1 및 제 2 단부를 가지며, 상기 저지부는 상기 제 1 단부 근처에서 상기 회전 드럼과 연결되고, 상기 서스펜션 부재는 제 1 단부로부터 제 2 단부를 향하여 상기 회전 드럼 둘레에 권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용 작동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드럼은 상기 서스펜션 부재가 주위에 감기는 외부 표면과, 상기 외부 표면에 형성된 개구부를 가지며, 상기 저지부는 제 2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외부 표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하고, 상기 저지부는 제 1 위치에 있을 때 개구의 내부를 향해 후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용 작동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지부는 상기 회전 드럼의 회전축에 평행한 축부에 대해 상기 회전 드럼에 피봇 식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용 작동 시스템.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서스펜션 부재는 상기 축부로부터 오프셋된 위치에서 상기 저지부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용 작동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지부에 인접하여 회전 드럼에 부착된 보유 부분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보유 부분은 상기 제 1 위치에 상기 저지부를 유지하도록 작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용 작동 시스템.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보유 부분은 멈춤쇠를 포함하고, 상기 저지부는 멈춤쇠와 결합함으로써 제 1 위치에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용 작동 시스템.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드럼은 내부 공동, 및 상기 서스펜션 부재가 감기는 외부 표면을 가지며, 상기 저지부는 상기 제 2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외부 표면으로부터 외부로 돌출하고, 제 1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보유 부분에 의해 내부 공동에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용 작동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드럼은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회전축과 교차하는 수직축으로부터 오프셋된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용 작동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 유닛이 상기 회전 드럼의 제 2 방향으로의 회전을 방지하는 잠금 상태와, 상기 회전 드럼의 회전이 허용되는 잠금 해제 상태를 포함하고, 잠금상태로부터 잠금 해제 상태로 클리치 유닛의 전환이 전달축의 회전에 의해 유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용 작동 시스템.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 유닛은 상기 회전 드럼에 인접한 케이싱 내에 조립되고, 상기 클러치 유닛은 잠금상태일때, 상기 케이싱의 측벽과 마찰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용용 작동 시스템.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축 주위에 조립된 풀리 및 상기 풀리와 연결된 래더 코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회전 드럼은 서로 대향하는 제 1 및 제 2 단부를 가지며, 상기 클러치 유닛은 상기 회전 드럼의 제 1 단부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상기 풀리는 상기 회전 드럼의 제 2 단부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용용 작동 시스템.
- 제 1 항에 따른 작동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회전 드럼은 플랜지(flange)로 고정되고,
상기 작동 시스템은:
두 개의 이격된 프롱을 가지며 케이싱 내에 조립된 토션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플랜지는 두 개의 프롱 사이의 갭에 배치되며, 두 개의 프롱 중 어느 하나에 플랜지에 의해 가해진 압력은 토션 스프링을 가압하여 케이싱의 측벽과 마찰 접촉하게 하여, 상기 회전 드럼이 상기 제 2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고; 및
전달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작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작동부는 상기 전달축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구동되어 상기 토션 스프링과 상기 케이싱의 측벽과의 마찰 접촉을 느슨하게하도록 상기 두 개의 프롱 중 어느 하나에 대해 가압되고, 전달축의 회전이 작동부 및 토션 스프링을 통해 회전 드럼으로 전달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 시스템. -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축에 의해 구동되는 상기 토션 스프링의 회전은 상기 두 개의 프롱 중 하나와 상기 플랜지 사이의 접촉을 통해 상기 회전 드럼으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 시스템.
-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달축 및 상기 작동부는 상기 회전 드럼에 대해 일체로 회전 가능하여 상기 돌출부의 변위를 상기 두 개의 프롱중 제 1 프롱으로부터 제 2 프롱을 향하여 돌출부를 이격변위하도록 구동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토션 스프링과 상기 케이싱의 측벽과의 마찰 접촉을 느슨하게하기 위해 상기 제 2 프롱에 대해 가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 시스템.
-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는 상기 토션 스프링을 통해 조립되고, 상기 전달축은 상기 회전 드럼과 상기 작동 를 통해 각각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 시스템.
-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 부분에 부착되는 풀리, 상기 풀리는 상기 전달축 주위에 조립되고;
풀리와 연결된 래더 코드;
두 개의 이격된 제 2 프롱을 가지며 풀리의 슬리브 부분과 마찰 접촉하도록 조립된 제 2 토션 스프링; 및
상기 전달축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전달축에 의해 회전 구동되어 상기 두 개의 제 2 프롱 중 어느 하나에 대항하여 회전하고, 회전 드럼에 대해 상기 제 2 토션 스프링과 상기 풀리의 회전 변위를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 시스템. -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회전 드럼을 통해 연장되고 상기 작동부의 내부에 부분적으로 수용되는 슬리브 세그먼트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 부분에 고정된 풀리, 상기 풀리는 상기 전달축 주위에 조립되고;
풀리와 연결된 래더 코드;
두 개의 이격된 제 2 프롱을 가지며 풀리의 슬리브 부분과 마찰 접촉하도록 조립된 제 2 토션 스프링; 및
상기 전달축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전달축에 의해 회전 구동되어 상기 두 개의 제 2 프롱 중 어느 하나에 대항하여 회전하고, 회전 드럼에 대한 상기 제 2 토션 스프링과 상기 풀리의 회전 변위를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 시스템. -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회전 드럼의 내부를 통해 연장되는 슬리브 세그먼트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 시스템.
-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풀리는 제 1 및 제 2 플랜지 표면을 가지며, 상기 케이싱은 정지 리브가 부착되고, 상기 풀리는, 제 1 플랜지면이 스톱 리브와 접촉하는 제 1 각도 위치와, 제 2 플랜지면이 스톱 리브와 접촉하는 제 2 각도 위치 사이에 한정되는 회전 변위 범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 시스템.
- 차양에 있어서,
헤드 레일, 바닥 레일 및 상기 헤드 레일과 상기 바닥 레일 사이에 수직으로 배치된 차양 구조; 및
상기 헤드 레일에 배치된 제 1항에 따른 작동 시스템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작동 시스템의 상기 서스펜션 부재는 상기 바닥 레일과 연결된 제 2 단부를 가지며, 회전축은 상기 바닥 레일을 상승 및 하강 시키기 위해 회전 드럼을 회전구동하도록 작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 -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서스펜션 부재가 상기 회전 드럼으로부터 실질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해제될 때, 상기 서스펜션 부재에 대해 상기 바닥 레일에 의해 가해지는 중량 하중은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이동하도록 저지부를 당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TW103139810A TWI564468B (zh) | 2014-11-17 | 2014-11-17 | 窗簾及其致動系統 |
TW103139810 | 2014-11-17 | ||
PCT/US2014/072337 WO2016081016A1 (en) | 2014-11-17 | 2014-12-24 | Window shade and actuating system thereof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08870A true KR20170008870A (ko) | 2017-01-24 |
KR101935124B1 KR101935124B1 (ko) | 2019-01-03 |
Family
ID=524631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7036424A KR101935124B1 (ko) | 2014-11-17 | 2014-12-24 | 차양 및 차양용 작동 시스템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9605477B2 (ko) |
EP (1) | EP3221543B1 (ko) |
KR (1) | KR101935124B1 (ko) |
CN (1) | CN105781384B (ko) |
TW (1) | TWI564468B (ko) |
WO (1) | WO2016081016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TWI564468B (zh) * | 2014-11-17 | 2017-01-01 | 德侑股份有限公司 | 窗簾及其致動系統 |
MX2016001494A (es) * | 2015-02-02 | 2016-11-16 | Springs Window Fashions Llc | Dispositivo de freno para persianas de elevación sin cordón. |
CN205532187U (zh) * | 2016-01-29 | 2016-08-31 | 亿丰综合工业股份有限公司 | 窗帘升降控制结构 |
CN107842303B (zh) * | 2016-09-19 | 2020-03-13 | 德侑股份有限公司 | 窗帘及其致动系统 |
CN107345471B (zh) * | 2017-07-06 | 2024-05-17 | 王芳明 | 一种弹簧式窗帘平衡器及其无拉绳卷式窗帘 |
CN109959517B (zh) * | 2017-12-26 | 2022-02-01 | 华晨宝马汽车有限公司 | 检测设备 |
CN109441326A (zh) * | 2018-12-14 | 2019-03-08 | 郑州名扬窗饰材料有限公司 | 一种弹簧收卷器及使用该弹簧收卷器的窗帘 |
US11879294B2 (en) | 2021-02-11 | 2024-01-23 | Teh Yor Co., Ltd. | Window shade and actuating system thereof |
WO2023049567A1 (en) * | 2021-09-22 | 2023-03-30 | Teh Yor Co., Ltd. | Window shade and actuating system thereof |
Family Cites Families (4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2726452A1 (de) * | 1977-06-11 | 1979-05-23 | Hunter Douglas Ind Bv | Antrieb fuer eine lamellenjalousie |
CH644669A5 (de) * | 1980-01-24 | 1984-08-15 | Griesser Ag | Rafflamellenstore. |
DE3037759A1 (de) * | 1980-10-06 | 1982-11-04 | Emil Schenker AG, 5012 Schönenwerd | Rafflamellenstore |
US4372432A (en) * | 1981-03-18 | 1983-02-08 | General Clutch Corp. | Bi-directional clutch |
SE8203812L (sv) * | 1982-06-18 | 1983-12-19 | Perma System Ab | Lagerbock for fasadpersienner |
DE3625365A1 (de) * | 1986-07-26 | 1988-02-04 | Warema Renkhoff Gmbh & Co Kg | Wendevorrichtung fuer eine raffbare lamellenjalousie mit drei lamellenstellungen |
CH676869A5 (en) * | 1987-07-09 | 1991-03-15 | Rau Metall Gmbh & Co | Blind-salt-turning mechanism |
US5031681A (en) * | 1989-12-15 | 1991-07-16 | Levolor Corporation | Tilt control for window blinds, and method of manufacture |
JP2656147B2 (ja) * | 1990-10-13 | 1997-09-24 | 立川ブラインド工業株式会社 | ロールブラインドのスクリーン昇降装置 |
US5103888A (en) * | 1990-12-28 | 1992-04-14 | Tachikawa Corporation | Blind slats lifting device |
CA2213807C (en) * | 1995-03-06 | 2003-08-12 | Norbert Marocco | Combined tilt and raise control for window coverings |
US5638882A (en) * | 1996-07-23 | 1997-06-17 | Springs Window Fashions Division, Inc. | Venetian blind ladder carrier mechanism |
US5791393A (en) * | 1997-03-31 | 1998-08-11 | Judkins; Ren | Shade operator |
US6116325A (en) * | 1997-04-02 | 2000-09-12 | Hunter Douglas Inc. | Break away operating cord system for retractable coverings for architectural openings |
JP3524738B2 (ja) * | 1997-11-27 | 2004-05-10 | 株式会社ニチベイ | ロールスクリーン |
US5934350A (en) * | 1998-03-20 | 1999-08-10 | Newell Operating Company | Adjustable tilt restriction for miniblinds |
US6435252B2 (en) * | 1998-06-22 | 2002-08-20 | Hunter Douglas Inc. | Control and suspension system for a covering for architectural openings |
EP1102910B1 (de) * | 1998-07-27 | 2002-04-10 | Hörmann KG Brockhagen | Federüberwachungsgerät |
CH693423A5 (de) | 1999-09-09 | 2003-07-31 | Silent Gliss Int Ag | Lamellenstore. |
US20030085003A1 (en) * | 2001-10-23 | 2003-05-08 | Keng Mu Cheng | Rolled-up blind driving mechanism |
US6786268B2 (en) * | 2002-01-07 | 2004-09-07 | Comfortex Corporation | Actuator device for view through window covering |
US7128126B2 (en) * | 2003-03-04 | 2006-10-31 | Hunter Douglas Inc. | Control system for architectural coverings with reversible drive and single operating element |
JP4195033B2 (ja) * | 2003-09-05 | 2008-12-10 | 竜三 塚本 | ブラインド |
WO2005028801A1 (en) | 2003-09-19 | 2005-03-31 | Faber A/S | A winding mechanism |
TWI260363B (en) * | 2003-12-09 | 2006-08-21 | Nien Made Entpr Co Ltd | Window shades control mechanism and control method thereof |
US7178577B2 (en) * | 2004-06-30 | 2007-02-20 | Tai-Ping Liu | Reeling unit for a blind |
TWM259558U (en) * | 2004-07-23 | 2005-03-21 | Ching Feng Home Fashions Co | Cord guiding structure of curtain |
US7287569B2 (en) * | 2005-05-03 | 2007-10-30 | Gwo-Tsair Lin | Tilt and lift device for adjusting tilt angle and height of slats of a Venetian blind |
US7913738B2 (en) * | 2005-09-02 | 2011-03-29 | Hunter Douglas Inc. | Selective tilting for blinds—variable radius wrap double pitch |
EP1920129B1 (en) * | 2005-09-02 | 2019-04-24 | Hunter Douglas Inc. | Selective tilting arrangement for a blind system for coverings for architectural openings |
TWM290727U (en) * | 2005-11-10 | 2006-05-21 | Guo-Hua Chen | Improved structure of winding reel for window curtains |
CN200982151Y (zh) * | 2006-09-15 | 2007-11-28 | 亿丰综合工业股份有限公司 | 弹簧动力组件与上梁的组合结构 |
US8186413B2 (en) * | 2007-01-29 | 2012-05-29 | Hunter Douglas Inc. | Control system for architectural coverings with reversible drive and single operating element |
JP4909769B2 (ja) * | 2007-03-02 | 2012-04-04 | 株式会社ニチベイ | ブラインド用昇降回転装置 |
US20080251624A1 (en) * | 2007-04-10 | 2008-10-16 | Fraczek Richard R | Shade lifting mechanism |
FR2915231B1 (fr) * | 2007-04-20 | 2009-07-10 | Somfy Sas | Dispositif d'enroulement d'un cordon de suspension comprenant un moyen de guidage du cordon. |
CN102162330B (zh) * | 2010-02-24 | 2014-10-08 | 巧妙开启者有限公司 | 卷门驱动组件 |
US8281843B2 (en) * | 2010-04-16 | 2012-10-09 | Teh Yor Co., Ltd. | Actuator mechanism for venetian blinds |
US8356653B2 (en) * | 2010-08-25 | 2013-01-22 | Teh Yor Co., Ltd. | Control module having a clutch for raising and lowering a window shade |
JP5666965B2 (ja) * | 2011-04-08 | 2015-02-12 | トーソー株式会社 | 日射遮蔽装置 |
US9765864B2 (en) * | 2012-02-23 | 2017-09-19 | Teh Yor Co., Ltd. | Window shade and its control module |
TWI604124B (zh) * | 2012-02-23 | 2017-11-01 | 德侑股份有限公司 | 窗簾及其控制模組 |
IL220779A (en) | 2012-07-05 | 2016-08-31 | Holis Metal Ind Ltd | Two-stage curtain |
CN102767329B (zh) * | 2012-07-23 | 2014-07-16 | 李七妹 | 一种窗帘用单拉绳驱动装置 |
US9078537B2 (en) * | 2013-06-05 | 2015-07-14 | Han-Sen Lee | Single cordless control for window covering |
TWI564468B (zh) * | 2014-11-17 | 2017-01-01 | 德侑股份有限公司 | 窗簾及其致動系統 |
-
2014
- 2014-11-17 TW TW103139810A patent/TWI564468B/zh active
- 2014-12-24 KR KR1020167036424A patent/KR101935124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4-12-24 WO PCT/US2014/072337 patent/WO2016081016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4-12-24 CN CN201410814030.6A patent/CN105781384B/zh active Active
- 2014-12-24 US US14/582,296 patent/US9605477B2/en active Active
- 2014-12-24 EP EP14835608.2A patent/EP3221543B1/en not_active Not-in-for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3221543A1 (en) | 2017-09-27 |
CN105781384B (zh) | 2018-06-05 |
TW201619489A (zh) | 2016-06-01 |
CN105781384A (zh) | 2016-07-20 |
TWI564468B (zh) | 2017-01-01 |
KR101935124B1 (ko) | 2019-01-03 |
US9605477B2 (en) | 2017-03-28 |
US20160138331A1 (en) | 2016-05-19 |
EP3221543B1 (en) | 2018-10-31 |
WO2016081016A1 (en) | 2016-05-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35124B1 (ko) | 차양 및 차양용 작동 시스템 | |
US9284774B2 (en) | Window shade and actuating system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
US9062492B2 (en) | Window shade, its control modul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 |
RU2585718C2 (ru) | Оконная штора и ее блок управления | |
US11125009B2 (en) | Window shade and actuating system thereof | |
US9657517B2 (en) | Window shade and actuating system thereof | |
US9765864B2 (en) | Window shade and its control module | |
US9528318B2 (en) | Window shade and actuating system thereof | |
KR20170105568A (ko) | 윈도우 쉐이드 및 그 제어 시스템 | |
KR20220145403A (ko) | 차양 및 차양용 작동 시스템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