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8147A - 낚시용 릴의 스풀 제동 장치 - Google Patents

낚시용 릴의 스풀 제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8147A
KR20170008147A KR1020160061400A KR20160061400A KR20170008147A KR 20170008147 A KR20170008147 A KR 20170008147A KR 1020160061400 A KR1020160061400 A KR 1020160061400A KR 20160061400 A KR20160061400 A KR 20160061400A KR 20170008147 A KR20170008147 A KR 201700081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eleration
spool
time
brak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14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85188B1 (ko
Inventor
다카시 고메무시
아키라 니이쓰마
유이치로 이시카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ublication of KR201700081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81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51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51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2Brake devices for ree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55Antibacklash devices
    • A01K89/01555Antibacklash devices using magne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2Brake devices for reels
    • A01K89/033Brake devices for reels with a rotary drum, i.e. for reels with a rotating spoo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풀을 적절히 제동 가능한 낚시용 릴의 스풀 제동 기구를 제공한다. 본 스풀 제동 기구(20)는, 속도 검출부(31)와, 스풀 제어 유닛(24)와, 스풀 제동 유닛(22)을 구비한다. 속도 검출부(31)는, 스풀(12)의 회전 속도 ω를 검출한다. 스풀 제어 유닛(24)은, 가속도 생성부(24a)와, 가속도 판단부(24c)와, 제동 시각 예측부(24d)를 가진다. 가속도 생성부(24a)는, 스풀(12)의 회전 속도 ω에 기초하여, 회전 가속도 ωa의 시계열 데이터를 생성한다. 가속도 판단부(24c)는, 회전 가속도 ωa의 시계열 데이터에 기초하여 회전 가속도가 소정 조건을 만족시켰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제동 시각 예측부(24d)는, 회전 가속도가 소정 조건을 만족시킨 시각에 기초하여, 예측 개시 시각 t2를 설정한다. 또한, 제동 시각 예측부(24d)는, 예측 개시 시각 t2를 기준으로 하여, 스풀(12)의 제동 개시 시각 t3를 예측한다. 스풀 제동 유닛(22)은, 이 제동 개시 시각 t3에 스풀(12)의 제동을 개시한다.

Description

낚시용 릴의 스풀 제동 장치{SPOOL BRAKE DEVICE FOR DUAL-BEARING REEL}
본 발명은, 낚시용 릴의 스풀(spool) 제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듀얼 베어링 릴에는, 캐스팅(casting) 시의 백래시(backlash)를 방지하기 위해, 스풀을 제동하는 스풀 제동 장치가, 설치되는 경우가 있다(특허 문헌 1을 참조). 이 타입의 스풀 제동 장치는, 예를 들면, 스풀에 설치된 자석 및 릴 본체에 설치된 코일을 가지는 스풀 제동부와, 스풀의 회전 속도를 검출하는 회전 속도 검출 장치(속도 검출부)를 구비하고 있다. 이 스풀 제동 장치에서는, 회전 속도 검출 장치가, 스풀의 회전 속도를 감시하고, 스풀의 최대값을 검출한다. 여기서, 스풀의 회전 속도의 최대값이 검출되면, 스풀 제동부가 스풀을 서서히 강하게 제동하여, 백래시를 방지하고 있다.
일본 공개특허 평11―332436호 공보
종래의 스풀 제동 장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스풀의 최대 회전 속도를 검출하기 위해, 스풀의 회전 속도를 감시하고 있었다. 그러나, 스풀의 최대 회전 속도의 근방에서는, 스풀의 회전 속도가 불안정하게 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최대 회전 속도와 그 타이밍을 정확하게 검출하는 것이 어렵다. 즉, 스풀을 적절히 제동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스풀을 적절히 제동 가능한 낚시용 릴의 스풀 제동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1) 본 발명의 일측면에 관한 낚시용 릴의 스풀 제동 장치는, 속도 검출부와, 스풀 제어부와, 스풀 제동부를 구비한다. 속도 검출부는, 스풀의 회전 속도를 검출한다. 스풀 제어부는, 가속도 생성부와, 가속도 판단부와, 제동 시각 예측부를 가진다. 가속도 생성부는, 스풀의 회전 속도에 기초하여, 회전 가속도의 시계열 데이터(time-series data)를 생성한다. 가속도 판단부는, 회전 가속도의 시계열 데이터에 기초하여 회전 가속도가 소정 조건을 만족시켰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제동 시각 예측부는, 회전 가속도가 소정 조건을 만족시킨 시각에 기초하여, 예측 개시 시각을 설정한다. 또한, 제동 시각 예측부는, 예측 개시 시각을 기준으로 하여, 스풀의 제동 개시 시각을 예측한다. 스풀 제동부는, 이 제동 개시 시각에 스풀의 제동을 개시한다.
본 스풀 제동 장치에서는, 회전 가속도가 소정 조건을 만족시킨 시각에 기초하여, 예측 개시 시각이 설정된다. 그리고, 이 예측 개시 시각을 기준으로 하여 스풀의 제동 개시 시각이 예측되고, 이 제동 개시 시각에 스풀의 제동이 개시된다.
본 스풀 제동 장치에서는, 스풀의 회전 가속도를 사용한 스풀의 제동이 행해지므로, 종래의 회전 속도를 사용한 스풀의 제동과 비교하여, 스풀을 적절히 제동할 수 있다. 또한, 본 스풀 제동 장치는, 스풀의 제동을 개시하기 전에 예측 개시 시각을 설정하고, 이 예측 개시 시각에 기초하여 스풀의 제동 개시 시각을 예측하므로, 스풀의 제동을 확실하게 개시할 수 있다.
(2)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관한 낚시용 릴의 스풀 제동 장치에 있어서, 가속도 판단부는, 회전 가속도의 시계열 데이터에 기초하여 회전 가속도가 소정의 회전 가속도 이하로 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는, 제동 시각 예측부는, 회전 가속도가 소정의 회전 가속도 이하로 된 시각에 기초하여, 예측 개시 시각을 설정한다.
이 경우, 낚시용 릴의 용도에 따라 소정의 회전 가속도를 설정함으로써, 간단한 구성으로 예측 개시 시각을 설정할 수 있다.
(3)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관한 낚시용 릴의 스풀 제동 장치는, 최대 가속도 검출부를 더 구비한 것이 바람직하다. 최대 가속도 검출부는, 회전 가속도의 시계열 데이터 중에서 회전 가속도의 최대값을 검출한다. 여기서는, 가속도 판단부가, 회전 가속도의 최대값에 기초하여, 회전 가속도가 소정의 회전 가속도 이하로 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이 경우, 회전 가속도의 최대값을 기준으로 하여, 회전 가속도가 소정의 회전 가속도 이하로 되었는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이로써, 회전 가속도의 최대값에 대한 회전 가속도의 저하를 감시할 수 있으므로, 예측 개시 시각을 정확하게 설정할 수 있다.
(4)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관한 낚시용 릴의 스풀 제동 장치에 있어서, 가속도 판단부는, 회전 가속도의 최대값이 검출된 시각으로부터, 회전 가속도가 소정의 회전 가속도 이하로 되었는지의 여부의 판단을 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한 판단이, 회전 가속도의 최대값이 검출된 시각으로부터, 개시된다. 즉, 회전 가속도의 최대값이 검출될 때까지는, 상기한 판단이 실행되지 않으므로, 회전 가속도를 효율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
(5)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관한 낚시용 릴의 스풀 제동 장치에 있어서, 제동 시각 예측부는, 예측 개시 시각과 제동 개시 시각과의 사이의 시간을 소정 시간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낚시용 릴의 용도에 따라, 예측 개시 시각과 제동 개시 시각과의 사이의 시간을 소정 시간으로 설정함으로써, 제동 개시 시각을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
(6)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관한 낚시용 릴의 스풀 제동 장치에 있어서, 제동 시각 예측부는, 예측 개시 시각과 제동 개시 시각과의 사이의 시간을 회전 가속도의 시계열 데이터에 기초하여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낚시용 릴의 용도에 따라, 예측 개시 시각과 제동 개시 시각과의 사이의 시간이, 회전 가속도의 시계열 데이터에 기초하여 설정된다. 구체적으로는, 예측 개시 시각과 제동 개시 시각과의 사이의 시간이, 회전 가속도의 시계열 데이터를 사용한 계산식에 의해 설정된다. 이로써, 제동 개시 시각을 용이하고 또한 정확하게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낚시용 릴의 스풀 제동 장치에서는, 스풀을 적절히 제동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를 채용한 듀얼 베어링 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스풀 제동 기구를 포함하는 듀얼 베어링 릴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회로 기판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스풀 제동 기구의 블록도이다.
도 5는 스풀 제동 유닛의 제동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6은 스풀 제동 유닛의 제어 처리의 일례를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릴의 기본 구성>
도 1 및 도 2에 있어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가 채용된 듀얼 베어링 릴(100)은, 릴 본체(1)와, 핸들(2)과, 스풀(12)과, 스풀(12)을 전기적으로 제동하는 스풀 제동 기구(20)(스풀 제동 장치의 일례; 도 2를 참조)를 구비한다. 그리고, 도 2에 나타낸 부호 X1은, 스풀(12)의 회전축이다.
릴 본체(1)는, 일체로 형성된 프레임(5)과, 프레임(5)의 핸들(2)과는 반대측에 배치되는 제1 측 커버(6)와, 핸들(2) 측에 배치되는 제2 측 커버(7)를 가진다.
프레임(5)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핸들(2)과는 반대측에 배치된 제1 측판(5a)과, 제1 측판(5a)과 대향하여 배치되는 제2 측판(5b)과, 제1 측판(5a)과 제2 측판(5b)을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부(5c)와, 제1 측판(5a) 및 제2 측판(5b)과 일체로 형성되는 썸 레스트(thumb rest)(9)를 가진다.
제1 측판(5a)은, 스풀(12)이 통과할 수 있는 원형의 개구(5d)를 가진다. 복수의 연결부(5c) 중, 제1 측판(5a)과 제2 측판(5b)을 하측에서 연결하는 연결부(5c)에는, 낚싯대에 장착되는 로드 장착 다리(rod attachment leg)(5e)가 설치된다. 개구(5d)에는, 프레임(5)의 제1 측판(5a)에 스풀 제동 기구(20)가 착탈(着脫)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1 측 커버(6)는, 프레임(5)의 제1 측판(5a)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제1 측 커버(6)는, 커버 본체(6a)와, 커버 본체(6a)의 내측면(6b)에 장착되는 축지지부(8)를 가진다.
커버 본체(6a)는, 썸 레스트(9)에 접촉될 수 있도록 배치된다. 커버 본체(6a)의 내측면(6b)에는, 축지지부(8)가 고정된다. 또한, 내측면(6b)에는, 스풀 제동 기구(20)의 제1 선택부(32) 및 제2 선택부(34)(후술함)가, 회동(回動) 가능하게 장착된다.
축지지부(8)는, 복수 개(예를 들면, 3개)의 볼트 부재(23)에 의해, 스풀 제동 기구(20)의 일부의 구성과 함께, 제1 측 커버(6)에 고정된다. 축지지부(8)는, 스풀(12)의 스풀축(spool shaft)(16)의 일단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축지지부(8)에는, 통형(筒形)의 베어링 수납부(8a)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베어링 수납부(8a)는, 스풀축(16)의 일단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축지지부(8)의 외주면(外周面)(8b)에는, 착탈 링(21)이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착탈 링(21)에 의해, 축지지부(8)가, 개구(5d)의 주위에서 제1 측판(5a)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된다. 축지지부(8)가 제1 측 커버(6)에 고정된 상태에서는, 착탈 링(21)은, 스풀축 방향의 이동이 규제되어, 축지지부(8)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다.
핸들(2)은, 릴 본체(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스풀(12)은, 제1 측판(5a)과 제2 측판(5b)과의 사이에서, 릴 본체(1)에 회전 가능하게 유지된다. 핸들(2)의 회전은, 도시하지 않은 회전 전달 기구(機構)를 통하여, 스풀(12)에 전달된다.
스풀(12)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낚싯줄을 권취 가능 낚싯줄 권취부(12a)와, 낚싯줄 권취부(12a)와 일체로 형성되고 스풀축(16)에 고정되는 통형부(12b)를 가진다. 통형부(12b)의 내주면(內周面)에 스풀축(16)이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스풀축(16)의 일단은, 축지지부(8)에 베어링(18)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스풀축(16)의 타단은, 제2 측 커버(7)에 도시하지 않은 베어링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스풀 제동 기구의 구성>
스풀 제동 기구(20)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속도 검출부(31)와, 스풀 제동 유닛(22)(스풀 제동부의 일례)과, 스풀 제동 유닛(22)을 제어하기 위한 스풀 제어 유닛(24)(스풀 제어부의 일례)을 가진다.
(속도 검출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속도 검출부(31)는, 스풀(12)의 회전 속도 ω를 검출한다. 구체적으로는, 속도 검출부(31)는, 제동 자석(44)(후술함)의 자속(磁束)의 변화에 의해, 스풀(12)의 회전 속도 ω 및 스풀(12)의 회전 방향을 검출한다. 여기서 검출된, 스풀(12)의 회전 속도 ω 및 스풀(12)의 회전 방향은, 스풀 제어 유닛(24)의 기억부(26)(후술함)에 기록된다.
속도 검출부(31)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홀 소자(hall element)(31a, 31b)를 가진다. 홀 소자(31a, 31b)는, 스풀 제어 유닛(24)의 회로 기판(36)(후술함)의 측면의 내주측에 있어서, 회전축(X1) 주위에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또한, 2개의 홀 소자(31a, 31b)는, 제동 자석(44)의 외측에 있어서, 제동 자석(44)에 대향하여 배치되고, 스풀의 회전 속도 ω 및 회전 방향을 검출한다(도 2를 참조).
(스풀 제동 유닛)
도 2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풀 제동 유닛(22)은, 스풀(12)을 제동한다. 스풀 제동 유닛(22)은, 스풀(12)과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동 자석(44)과, 직렬 접속된 복수의 코일(46)과, 스위치 소자(48)와, 축전 소자(51)와, 제1 선택부(32)와, 제2 선택부(34)를 가진다.
제동 자석(44)은, 스풀축(16)에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제동 자석(44)은, 접착에 의해 스풀축(16)에 고정된다. 제동 자석(44)은, 극이방성(極異方性) 착자(着磁)된 원통형의 자석이다.
복수(예를 들면, 4개)의 코일(46)은, 회로 기판(36)(후술함)에 장착된다. 복수의 코일(46)은, 제동 자석(44)의 외주측에 소정의 간극을 두고 통형으로 배치된다. 복수의 코일(46)은, 권취된 심선(芯線)이 제동 자석(44)의 자장(磁場) 내에 있어서 제동 자석(44)에 대향하도록 대략 직사각형으로 권취되어 있다. 직렬 접속된 복수의 코일(46)의 양단은, 회로 기판(36)에 탑재된 스위치 소자(48)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그리고, 여기서는, 코일(46)은, 코깅(cogging)을 방지하여 스풀(12)의 회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코어레스 타입의 것이 채용되고 있고, 요크는 설치되어 있지 않다.
스위치 소자(48)는, 예를 들면,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에 의해 구성된다. 스위치 소자(48)는, 정류 회로(49)를 통하여 축전 소자(51)에 접속된다. 스위치 소자(48)의 온(on) 또는 오프(off)에 의해 듀티비가 변경되고, 스풀(12)이 제동된다. 예를 들면, 스위치 소자(48)의 온 시간이 길수록(듀티비가 클수록), 스풀(12)의 제동력은 강해진다.
축전 소자(51)에는, 캐스팅 시에 코일(46)로부터 발생한 전력이 축적된다. 축전 소자(51)는, 전자 부품, 예를 들면, 스풀 제어 유닛(24)에 전력을 공급한다. 축전 소자(51)는, 예를 들면, 전해 컨덴서에 의해 구성된다.
제1 선택부(32)는, 낚싯줄의 종류에 따라 장력의 기준을 설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제1 선택부(32)를 회동시킴으로써, 낚싯줄의 종류[예를 들면, 나일론 라인, 플루오로카본 라인(폴리불화 비닐리덴제의 실), PE 라인(폴리에틸렌 섬유를 꼬아합친]에 따라, 복수의 장력 설정 모드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된다.
제2 선택부(34)는, 도구(terminal tackle)의 질량 및 낚시터의 상황 등에 따라, 스풀(12)에 대하여 작용하는 제동력을 조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제2 선택부(34)는, 도구의 질량 및 낚시터의 상황 등에 따라, 복수(예를 들면, 5가지)의 제동 모드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된다. 여기서 선택된 제동 모드에 따라서, 스풀(12)에 대한 제동력의 작용 형태가 결정된다.
(스풀 제어 유닛)
도 3 내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풀 제어 유닛(24)은, 회로 기판(36)과, 기억부(26)를 가진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로 기판(36)은, 원환형(圓環形)으로 형성된다. 회로 기판(36)은, 축지지부(8)의 베어링 수납부(8a)의 외주측에서 스풀(12)과 대향하는 면에 장착된다. 회로 기판(36)은, 코일(46)이 장착되는 측면(36a)을 가진다. 회로 기판(36)은, 볼트 부재(23)에 의해, 축지지부(8) 및 자속 차폐(遮蔽) 부재(40)와 함께, 제1 측 커버(6)에 고정된다.
회로 기판(36)은, ROM, RAM, CPU를 포함하는 마이크로 컴퓨터로 구성된다. 회로 기판(36)에서는, CPU가, ROM에 기록된 데이터를 사용하여, 각종 처리를 실행한다. 또한, CPU는, 적절히, RAM에 데이터를 기록하거나, RAM에 기록된 데이터를 사용하거나 함으로써, 각종 처리를 실행한다. 그리고, 각종 처리에는, 데이터의 인식 처리, 연산 처리, 및/또는 판단 처리 등이 포함된다.
기억부(26)는, EEPROM 및 플래시 메모리 등의 불휘발성 메모리로 구성된다. 불휘발성 메모리는, RAM에 기록된 데이터를 보존 가능하다. 또한, 상기한 각종 처리 중인 데이터를 보존 가능하다.
스풀 제어 유닛(24)은, 도 4에 나타낸 기능을 가진다. 스풀 제어 유닛(24)은, 가속도 생성부(24a)와, 최대 가속도 검출부(24b)와, 가속도 판단부(24c)와, 제동 시각 예측부(24d)를 가진다. 이들 기능을 실현하는 처리는, 기판 회로(36)의 CPU, ROM, 및/또는 RAM에 의해 실행된다. 또한, 이들의 처리에 의해 사용되는 파라미터의 시간 변화를 나타낸 모식도가, 도 5에 나타나 있다. 그리고, 각종 처리에 관한 데이터는, 적절히, 기억부(26)에 기록 가능하고, 또한 기억부(26)로부터 판독 가능하다.
가속도 생성부(24a)는, 속도 검출부(31)에 있어서 검출된 스풀(12)의 회전 속도 ω에 기초하여, 회전 가속도 ωa의 시계열 데이터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는, 속도 검출부(31)가, 소정 시간 간격으로(예를 들면, 1프레임마다), 스풀(12)의 회전 속도 ω를 검출한다. 그리고, 스풀(12)의 회전 속도 ω 및 소정 시간 간격을 사용하여, 회전 가속도 ωa의 시계열 데이터가 생성된다.
최대 가속도 검출부(24b)는, 회전 가속도 ωa의 시계열 데이터 중에서, 회전 가속도의 최대값 ωamax를 검출한다. 구체적으로는, 최대 가속도 검출부(24b)가, 소정 시간 간격으로(예를 들면, 1프레임마다), 회전 가속도 ωa의 시계열 데이터를 감시하고, 최대 회전 가속도 ωamax를 검출한다. 그리고, 일반적으로는, 최대 회전 가속도 amax는, 스풀(12)의 초동(初動) 시에 발생한다.
가속도 판단부(24c)는, 회전 가속도 ωa의 시계열 데이터에 기초하여, 회전 가속도 ωa가 소정의 회전 가속도 ωas 이하(소정 조건의 일례)로 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상세하게는, 가속도 판단부(24c)는, 회전 가속도 ωamax가 검출된 시각 t1으로부터, 판단 처리를 개시한다. 그리고, 가속도 판단부(24c)는, 회전 가속도 ωa의 시계열 데이터 및 최대 회전 가속도 ωamax에 기초하여, 회전 가속도 ωa가 소정의 회전 가속도 ωas 이하로 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는, 전술한 바와 같이 회전 가속도 ωa의 시계열 데이터가 검출되면, 회전 가속도 ωa의 시계열 데이터가, 최대 회전 가속도 ωamax에 의해 제산되어 수정된다. 그리고, 수정 후의 회전 가속도 ωa의 시계열 데이터에 기초하여, 최대 회전 가속도 ωamax에 대한 회전 가속도 ωa, 즉 회전 가속도의 비(ωa/ωamax)가, 소정의 회전 가속도의 비(ωas/ωamax) 이하로 되었는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제동 시각 예측부(24d)는, 회전 가속도 ωa가 소정의 회전 가속도 ωas 이하로 된 시각에 기초하여, 예측 개시 시각 t2를 설정한다. 그리고, 제동 시각 예측부(24d)는, 예측 개시 시각 t2를 기준으로 하여, 스풀(12)의 제동 개시 시각 t3를 예측한다.
구체적으로는, 예측 개시 시각 t2가, 회전 가속도의 비(ωa/ωamax)가 소정의 회전 가속도의 비(ωas/ωamax) 이하로 된 시각으로 설정된다. 그리고, 예측 개시 시각 t2로부터 소정 시간 ts가 경과한 시각이, 스풀(12)의 제동 개시 시각 t3로 설정된다. 이 스풀(12)의 제동 개시 시각 t3에 도달하면, 스풀 제동 유닛(22)이, 스풀(12)의 제동을 개시한다.
<스풀 제동 기구의 동작>
다음에, 스풀 제어 동작에 대하여, 도 6에 나타낸 플로우차트 기초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도 6에 나타낸 제어 플로우차트는 제어 동작의 일례이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먼저, 캐스팅에 의해 스풀(12)이 회전하면, 축전 소자(51)에 전력이 축적된다. 그러면, 스풀 제어 유닛(24)에 전원이 투입되어 초기 설정이 행해진다(S1). 초기 설정에서는, 각종 플래그(flag), 타이머, 및 데이터 등이 리셋된다. 초기 설정에는, 장력 설정 모드 및 제동 모드의 인식이 포함되어 있다.
다음에, 스풀(12)이 회전했는지의 여부가 판단된다(S2). 여기서는, 속도 검출부(31)가 스풀(12)의 회전 속도 ω를 검출한 경우(S2에서 Yes)에, 스풀(12)이 회전한 것으로 판단된다. 속도 검출부(31)가 스풀(12)의 회전 속도 ω를 미검출한 경우(S2에서 No)에는, 스풀(12)이 미회전인 것으로 판단되고, 스풀(12)의 회전이 계속 감시된다.
이어서, 스풀(12)이 회전한 경우(S2에서 Yes), 스풀(12)의 회전 개시로부터의 회전 시간 tk를 계측하는 타이머가 스타트한다(S3). 그리고, 속도 검출부(31)가, 1프레임 예를 들면 1/60(sec)마다, 스풀(12)의 회전 속도 ω를 검출한다. 그러면, 여기서 검출된 스풀(12)의 회전 속도 ω가 기억부(26)에 기록된다. 이로써, 스풀(12)의 회전 속도 ω의 시계열 데이터가 생성된다(S4).
또한, 이 때는, 시간축 상에서 인접한 스풀(12)의 회전 속도 ω의 차이를, 상기한 시간 간격으로 제산함으로써, 스풀(12)의 회전 가속도 ωa가 산출된다. 그러면, 여기서 산출된 스풀(12)의 회전 가속도 ωa가, 기억부(26)에 기록된다. 이로써, 스풀(12)의 회전 가속도 ωa의 시계열 데이터가 생성된다(S5).
이어서, 스풀(12)의 회전 가속도 ωa를 1프레임마다 감시하고, 최대 회전 가속도 ωamax가 검출된다(S6). 여기서는, 캐스팅에 의해 스풀(12)이 회전을 개시하면, 회전 가속도 ωa가 1프레임마다 증가한다. 그 후, 회전 가속도 ωa가 저하되었을 때, 저하된 회전 가속도 ωa의 1프레임 전의 회전 가속도 ωa가, 최대 회전 가속도 ωamax로서 검출된다. 그러면, 다음의 스텝 7(S7)의 처리가 개시된다.
이어서, 회전 가속도 ωa의 시계열 데이터가, 최대 회전 가속도 ωamax를 사용하여, 수정된다(S7). 여기서는, 각 프레임의 회전 가속도 ωa가, 1프레임마다 최대 회전 가속도 ωamax에 의해 제산된다. 이로써, 회전 가속도 ωa의 시계열 데이터가 수정되어 수정 후의 회전 가속도 ωa의 시계열 데이터가 기억부(26)에 기록된다. 그리고, 수정 후의 회전 가속도 ωa의 시계열 데이터는, 회전 가속도의 비(=ωa/ωamax; 최대 회전 가속도 ωamax에 대한 회전 가속도 ωa의 비)의 시계열 데이터이다.
이어서, 회전 가속도 ωamax가 검출된 시각 t1으로부터, 수정 후의 회전 가속도 ωa의 시계열 데이터(회전 가속도의 비의 시계열 데이터)에 기초하여, 회전 가속도의 비(ωa/ωamax)가 소정의 회전 가속도의 비(ωas/ωamax) 이하로 되었는지의 여부가 판단된다(S8). 이 판단은, 1프레임마다 실행된다.
여기서는, 소정의 회전 가속도의 비(ωas/ωamax)는, 예를 들면, 회로 기판(36)의 ROM에 기록되어 있고, 예를 들면, 0.08로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도 5는,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모식도이므로, 소정의 가속도 ωas는, 소정의 회전 가속도의 비(ωas/ωamax)가 「0.08」을 만족시키도록 도시되어 있지는 않다.
여기서, 회전 가속도의 비(ωa/ωamax)가 소정의 회전 가속도의 비(ωas/ωamax) 이하로 되었을 경우(S8에서 Yes), 이 프레임의 회전 시간 tk가, 스풀(12)의 예측 개시 시각 t2로서 설정된다(S9). 그러면, 이 예측 개시 시각 t2로부터 소정 시간 ts가 경과한 시각이, 스풀(12)의 제동 개시 시각 t3으로서 설정된다(S10). 그리고, 회전 가속도의 비(ωa/ωamax)가 소정의 회전 가속도의 비(ωas/ωamax)보다 클 경우(S8에서 No), 스텝 4(S4)의 처리가 실행된다.
이어서, 회전 시간 tk가 제동 개시 시각 t3에 도달했는지의 여부가 판단된다(S11). 여기서, 회전 시간 tk가 제동 개시 시각 t3에 도달한 경우(S11에서 Yes), 스풀 제동 유닛(22)이, 스풀(12)의 제동을 개시한다(S12). 한편, 회전 시간 tk가 제동 개시 시각 t3에 미도달인 경우(S11에서 No), 회전 시간 tk가 제동 개시 시각 t3에 도달할 때까지, 회전 시간 tk가 감시된다.
<정리>
상기 실시형태는, 하기와 같이 표현 가능하다.
(1) 본 스풀 제동 기구(20)는, 속도 검출부(31)와, 스풀 제어 유닛(24)와, 스풀 제동 유닛(22)을 구비한다. 속도 검출부(31)는, 스풀(12)의 회전 속도 ω를 검출한다. 스풀 제어 유닛(24)은, 가속도 생성부(24a)와, 가속도 판단부(24c)와, 제동 시각 예측부(24d)를 가진다. 가속도 생성부(24a)는, 스풀(12)의 회전 속도 ω에 기초하여, 회전 가속도 ωa의 시계열 데이터를 생성한다. 가속도 판단부(24c)는, 회전 가속도 ωa의 시계열 데이터에 기초하여 회전 가속도 ωa가 소정 조건을 만족시켰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제동 시각 예측부(24d)는, 회전 가속도 ωa가 소정 조건을 만족시킨 시각에 기초하여, 예측 개시 시각 t2를 설정한다. 또한, 제동 시각 예측부(24d)는, 예측 개시 시각 t2를 기준으로 하여, 스풀(12)의 제동 개시 시각 t3를 예측한다. 스풀 제동 유닛(22)은, 이 제동 개시 시각 t3에 스풀(12)의 제동을 개시한다.
본 스풀 제동 기구(20)에서는, 회전 가속도 ωa가 소정 조건을 만족시킨 시각에 기초하여, 예측 개시 시각 t2가 설정된다. 그리고, 이 예측 개시 시각 t2를 기준으로 하여 스풀의 제동 개시 시각 t3가 예측되고, 이 제동 개시 시각 t3에 스풀(12)의 제동이 개시된다.
본 스풀 제동 기구(20)에서는, 스풀(12)의 회전 가속도 ωa를 사용한 스풀(12)의 제동이 행해지므로, 종래의 회전 속도를 사용한 스풀의 제동과 비교하여, 스풀(12)을 적절히 제동할 수 있다. 또한, 본 스풀 제동 기구(20)는, 스풀(12)의 제동을 개시하기 전에 예측 개시 시각 t2를 설정하고, 이 예측 개시 시각 t2에 기초하여 스풀의 제동 개시 시각 t3를 예측하므로, 스풀(12)의 제동을 확실하게 개시할 수 있다.
(2) 본 스풀 제동 기구(20)에 있어서, 가속도 판단부(24c)는, 회전 가속도 ωa의 시계열 데이터에 기초하여 회전 가속도 ωa가 소정의 회전 가속도 ωas 이하로 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는, 제동 시각 예측부(24d)는, 회전 가속도 ωa가 소정의 회전 가속도 ωas 이하로 된 시각에 기초하여, 예측 개시 시각 t2를 설정한다.
이 경우, 낚시용 릴의 용도에 따라 소정의 회전 가속도 ωas를 설정함으로써, 간단한 구성으로 예측 개시 시각 t2를 설정할 수 있다.
(3) 본 스풀 제동 기구(20)는, 최대 가속도 검출부(24b)를 더 구비한 것이 바람직하다. 최대 가속도 검출부(24b)는, 회전 가속도 ωa의 시계열 데이터 중에서 최대 회전 가속도 ωamax를 검출한다. 여기서는, 가속도 판단부(24c)가, 최대 회전 가속도 ωamax에 기초하여, 회전 가속도 ωa가 소정의 회전 가속도 ωas 이하로 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이 경우, 최대 회전 가속도 ωamax를 기준으로 하여, 회전 가속도 ωa가 소정의 회전 가속도 ωas 이하로 되었는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이로써, 최대 회전 가속도 ωamax에 대한 회전 가속도의 저하를 감시할 수 있으므로, 예측 개시 시각 t2를 정확하게 설정할 수 있다.
(4) 본 스풀 제동 기구(20)에 있어서, 가속도 판단부(24c)는, 최대 회전 가속도가 검출된 시각 t1으로부터, 회전 가속도 ωa가 소정의 회전 가속도 ωas 이하로 되었는지의 여부의 판단을 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한 판단이, 최대 회전 가속도 ωamax가 검출된 시각 t1으로부터, 개시된다. 즉, 최대 회전 가속도 ωamax가 검출될 때까지는, 상기한 판단이 실행되지 않으므로, 회전 가속도 ωa를 효율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
(5) 본 스풀 제동 기구(20)에 있어서, 제동 시각 예측부(24d)는, 예측 개시 시각 t2와 제동 개시 시각 t3와의 사이의 시간을 소정 시간 ts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낚시용 릴의 용도에 따라, 예측 개시 시각 t2와 제동 개시 시각 t3와의 사이의 시간을 소정 시간 ts로 설정함으로써, 제동 개시 시각 t3를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각종 변경이 가능하다. 특히, 본 명세서에 기재된 복수의 실시형태 및 변형예는 필요에 따라 임의로 조합 가능하다.
(a)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발전에 의해 스풀을 제동하는 스풀 제동 유닛을 개시했지만, 스풀 제동 유닛은, 전기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것이면 어떠한 구성이라도 된다. 예를 들면, 전기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액추에이터에 의해 브레이크 슈(brake shoe)나 브레이크 패드를 드럼이나 디스크에 접촉시키도록 한 것이라도 된다.
(b)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예측 개시 시각 t2 및 제동 개시 시각 t3의 사이의 시간이, 소정 시간으로 설정되는 경우의 예를 나타낸다. 이 대신에, 예측 개시 시각 t2와 제동 개시 시각 t3와의 사이의 시간을 회전 가속도 ωa의 시계열 데이터에 기초하여 설정해도 된다. 이 경우, 예를 들면, 예측 개시 시각 t2와 제동 개시 시각 t3와의 사이의 시간 ts는, 회전 가속도 ωa의 시계열 데이터에 포함되는 회전 가속도를 파라미터로서 사용한 n차 다항식(n; 자연수)에 의해 산출된다. 이로써, 제동 개시 시각 t3를 용이하고 또한 정확하게 설정할 수 있다.
(c)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회전 가속도의 비(ωa/ωamax)가 시계열 데이터로서 사용되는 경우의 예를 나타냈으나, 회전 가속도 ωa를 시계열 데이터로서 사용해도 된다.
20: 스풀 제동 기구
31: 속도 검출부
24: 스풀 제어 유닛
22: 스풀 제동 유닛
24a: 가속도 생성부
24b: 최대 가속도 검출부
24c: 가속도 판단부
24d: 제동 시각 예측부

Claims (6)

  1. 스풀(spool)의 회전 속도를 검출하는 속도 검출부;
    상기 회전 속도에 기초하여 회전 가속도의 시계열 데이터(time-series data)를 생성하는 가속도 생성부와, 상기 회전 가속도의 시계열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회전 가속도가 소정 조건을 만족시켰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가속도 판단부와, 상기 회전 가속도가 소정 조건을 만족시킨 시각에 기초하여 예측 개시 시각을 설정하고, 또한 상기 예측 개시 시각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스풀의 제동 개시 시각을 예측하는 제동 시각 예측부를 구비하는 스풀 제어부; 및
    상기 제동 개시 시각에 상기 스풀의 제동을 개시하는 스풀 제동부;
    를 포함하는 낚시용 릴의 스풀 제동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속도 판단부는, 상기 회전 가속도의 시계열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회전 가속도가 소정의 회전 가속도 이하로 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제동 시각 예측부는, 상기 회전 가속도가 소정의 회전 가속도 이하로 된 시각에 기초하여 상기 예측 개시 시각을 설정하는, 낚시용 릴의 스풀 제동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가속도의 시계열 데이터 중에서 상기 회전 가속도의 최대값을 검출하는 최대 가속도 검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속도 판단부는, 상기 회전 가속도의 최대값에 기초하여 상기 회전 가속도가 소정의 회전 가속도 이하로 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낚시용 릴의 스풀 제동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속도 판단부는, 상기 회전 가속도의 최대값이 검출된 시각으로부터, 상기 회전 가속도가 소정의 회전 가속도 이하로 되었는지의 여부의 판단을 개시하는, 낚시용 릴의 스풀 제동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 시각 예측부는, 상기 예측 개시 시각과 상기 제동 개시 시각 사이의 시간을 소정 시간으로 설정하는, 낚시용 릴의 스풀 제동 장치.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 시각 예측부는, 상기 예측 개시 시각과 상기 제동 개시 시각 사이의 시간을 상기 회전 가속도의 시계열 데이터에 기초하여 설정하는, 낚시용 릴의 스풀 제동 장치.
KR1020160061400A 2015-07-13 2016-05-19 낚시용 릴의 스풀 제동 장치 KR1025851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139861 2015-07-13
JP2015139861A JP6527043B2 (ja) 2015-07-13 2015-07-13 釣用リールのスプール制動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8147A true KR20170008147A (ko) 2017-01-23
KR102585188B1 KR102585188B1 (ko) 2023-10-04

Family

ID=577747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1400A KR102585188B1 (ko) 2015-07-13 2016-05-19 낚시용 릴의 스풀 제동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039272B2 (ko)
JP (1) JP6527043B2 (ko)
KR (1) KR102585188B1 (ko)
CN (1) CN106342770B (ko)
TW (1) TWI68440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655380B2 (ja) * 2015-12-18 2020-02-26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のスプール制動装置
JP7039841B2 (ja) * 2017-02-03 2022-03-23 株式会社三洋物産 遊技機
JP7069546B2 (ja) * 2017-02-03 2022-05-18 株式会社三洋物産 遊技機
JP6965522B2 (ja) * 2017-02-03 2021-11-10 株式会社三洋物産 遊技機
JP7039837B2 (ja) * 2017-02-03 2022-03-23 株式会社三洋物産 遊技機
JP7039836B2 (ja) * 2017-02-03 2022-03-23 株式会社三洋物産 遊技機
JP7039838B2 (ja) * 2017-02-03 2022-03-23 株式会社三洋物産 遊技機
JP6938931B2 (ja) * 2017-02-03 2021-09-22 株式会社三洋物産 遊技機
JP7308502B2 (ja) * 2017-02-03 2023-07-14 株式会社三洋物産 遊技機
JP7098876B2 (ja) * 2017-02-03 2022-07-12 株式会社三洋物産 遊技機
JP6988098B2 (ja) * 2017-02-03 2022-01-05 株式会社三洋物産 遊技機
JP6938930B2 (ja) * 2017-02-03 2021-09-22 株式会社三洋物産 遊技機
JP6953732B2 (ja) * 2017-02-03 2021-10-27 株式会社三洋物産 遊技機
JP6938932B2 (ja) * 2017-02-03 2021-09-22 株式会社三洋物産 遊技機
JP6988097B2 (ja) * 2017-02-03 2022-01-05 株式会社三洋物産 遊技機
JP7069545B2 (ja) * 2017-02-03 2022-05-18 株式会社三洋物産 遊技機
JP6953731B2 (ja) * 2017-02-03 2021-10-27 株式会社三洋物産 遊技機
JP7039840B2 (ja) * 2017-02-03 2022-03-23 株式会社三洋物産 遊技機
JP7151058B2 (ja) * 2017-02-03 2022-10-12 株式会社三洋物産 遊技機
JP7069544B2 (ja) * 2017-02-03 2022-05-18 株式会社三洋物産 遊技機
JP7039839B2 (ja) * 2017-02-03 2022-03-23 株式会社三洋物産 遊技機
JP6988099B2 (ja) * 2017-02-03 2022-01-05 株式会社三洋物産 遊技機
JP7308501B2 (ja) * 2017-02-03 2023-07-14 株式会社三洋物産 遊技機
JP7151059B2 (ja) * 2017-02-03 2022-10-12 株式会社三洋物産 遊技機
JP2018122005A (ja) * 2017-02-03 2018-08-09 株式会社三洋物産 遊技機
JP7098877B2 (ja) * 2017-02-03 2022-07-12 株式会社三洋物産 遊技機
JP7151057B2 (ja) * 2017-02-03 2022-10-12 株式会社三洋物産 遊技機
JP7098408B2 (ja) * 2018-05-02 2022-07-11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の制動装置
JP2021145656A (ja) * 2020-03-24 2021-09-27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魚釣用リール及びこれを備えた履歴データ管理システム
JP7374056B2 (ja) * 2020-08-27 2023-11-06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魚釣用リール
JP7320479B2 (ja) * 2020-08-27 2023-08-03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魚釣用リール及びバックラッシュ修正作業状態判定装置
JP2023090373A (ja) * 2021-12-17 2023-06-29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制動部を備えた魚釣用リール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78070U (ja) * 1983-05-18 1984-11-28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リ−ルのバツクラツシユ防止装置
JPS621575U (ko) * 1985-06-21 1987-01-07
JPS6323975U (ko) * 1986-07-31 1988-02-17
US5833156A (en) * 1997-04-22 1998-11-10 Aquametrics Inc. Fishing reel with automatic backlash control
JPH11103736A (ja) * 1997-10-08 1999-04-20 Daiwa Seiko Inc 魚釣用リールのスプール制動装置
JPH11332436A (ja) 1998-05-13 1999-12-07 Johnson Worldwide Assoc Inc ベイトキャスティング制御魚釣りリ―ル
JP2000069888A (ja) * 1998-08-31 2000-03-07 Daiwa Seiko Inc 魚釣用リール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49533A (en) * 1995-08-03 1998-05-12 Daniels; John J. Fishing reel with electronically variable brake for preventing backlash
US6045076A (en) * 1995-08-03 2000-04-04 Daniels; John J. Fishing reel with electronic antibacklashing features dependent on a sensed line condition
JP4381885B2 (ja) * 2004-05-20 2009-12-09 株式会社シマノ 釣り用リールのスプールの制動操作構造
WO2006081509A2 (en) * 2005-01-26 2006-08-03 Beckham James P Zero-backlash baitcast fishing reel
US7784724B2 (en) * 2005-01-26 2010-08-31 Beckham James P Zero-backlash baitcast fishing reel with non-contact backlash sensing
JP5122273B2 (ja) * 2007-12-28 2013-01-16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のスプール制動装置
CA2962404C (en) * 2014-08-29 2022-05-31 Teledyne Instruments, Inc. Shipboard winch with computer-controlled motor
JP6655380B2 (ja) * 2015-12-18 2020-02-26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のスプール制動装置
JP6571548B2 (ja) * 2016-01-22 2019-09-04 株式会社シマノ 釣り用リール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78070U (ja) * 1983-05-18 1984-11-28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リ−ルのバツクラツシユ防止装置
JPS621575U (ko) * 1985-06-21 1987-01-07
JPS6323975U (ko) * 1986-07-31 1988-02-17
US5833156A (en) * 1997-04-22 1998-11-10 Aquametrics Inc. Fishing reel with automatic backlash control
JPH11103736A (ja) * 1997-10-08 1999-04-20 Daiwa Seiko Inc 魚釣用リールのスプール制動装置
JPH11332436A (ja) 1998-05-13 1999-12-07 Johnson Worldwide Assoc Inc ベイトキャスティング制御魚釣りリ―ル
JP2000069888A (ja) * 1998-08-31 2000-03-07 Daiwa Seiko Inc 魚釣用リー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342770B (zh) 2021-04-09
JP2017018052A (ja) 2017-01-26
US20170013819A1 (en) 2017-01-19
TW201705859A (zh) 2017-02-16
US10039272B2 (en) 2018-08-07
KR102585188B1 (ko) 2023-10-04
TWI684407B (zh) 2020-02-11
JP6527043B2 (ja) 2019-06-05
CN106342770A (zh) 2017-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08147A (ko) 낚시용 릴의 스풀 제동 장치
JP2017018052A5 (ko)
KR102621598B1 (ko)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 제동 장치
JP6572139B2 (ja) 釣り用リール
KR101449584B1 (ko)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 제동 장치
TWI674064B (zh) 雙軸承捲線器的捲筒制動裝置
JP2017108704A5 (ko)
JP6655402B2 (ja) 両軸受リールのスプール制動装置
TWI744381B (zh) 捲軸制動裝置
JP2017127286A5 (ko)
JP6571548B2 (ja) 釣り用リール
JP2017127284A5 (ko)
JP2017127285A5 (ko)
KR102449059B1 (ko) 스풀 제동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