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8060A - 농작업차용 엔진 조합 - Google Patents

농작업차용 엔진 조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8060A
KR20170008060A KR1020150099319A KR20150099319A KR20170008060A KR 20170008060 A KR20170008060 A KR 20170008060A KR 1020150099319 A KR1020150099319 A KR 1020150099319A KR 20150099319 A KR20150099319 A KR 20150099319A KR 20170008060 A KR20170008060 A KR 201700080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ine
air cleaner
intake
air
exhaust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93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13441B1 (ko
Inventor
김정구
권오현
Original Assignee
대동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동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동공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993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3441B1/ko
Publication of KR201700080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80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34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34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3/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mbustion air intake or gas exhaust of propulsion units
    • B60K13/02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mbustion air intake or gas exhaust of propulsion units concerning inta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1/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 B60K11/06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with air coo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 Processes For Solid Components From Exhaust (AREA)

Abstract

농작업차용 엔진 조합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농작업차용 엔진 조합은, 엔진의 플라이휠 하우징 상부의 평면 상의 안착면에 설치되는 에어클리너 취부대와, 에어클리너 취부대를 통해 엔진의 크랭크축 방향에 수직인 엔진의 좌우 폭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플라이휠 하우징 상부에 취부되는 에어클리너와, 에어클리너 일측의 흡기 출구와 엔진 흡기매니폴드 입구를 공기유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흡기라인을 포함하며, 흡기라인은 상기 크랭크축 방향과 일치하는 엔진의 길이방향을 따라 실린더 헤드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직선구간을 포함하고, 직선구간 중간에 에어 플로우 센서 유닛(mass air flow sensor unit)이 배치한 것을 구성의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농작업차용 엔진 조합{Engine assembly of agricultural vehicle}
본 발명은 엔진 조합에 관한 것으로, 특히 '트랙터'라 불리우는 농작업차의 원동부를 구성하는 농작업차용 엔진 조합에 관한 것이다.
트랙터로 대표되는 농작업차용 엔진룸 내에는 엔진을 비롯해 수많은 전기 및 기계부품 등이 취부되어 원동부를 구성하고 있다. 트랙터의 사양이나 크기에 따라 차이는 있으나, 엔진룸 공간은 보닛이 둘러싸는 영역에 국한되며, 따라서 제한된 공간에 수많은 부품들을 취부하기 위해서는 효율적인 부품 배치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특히, 최근의 엄격한 배기가스 배출규제에 대응하기 위해 탑재되는 배기가스 후처리장치와 흡기 중 이물을 걸러내는 에어클리너를 엔진룸 내에 엔진과 조합된 형태로 배치함으로써, 한정된 공간에서 여유공간을 최대한 유효하게 활용하고, 이를 통해 차량을 보다 콤팩트하게 구현하려는 시도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농업용 작업차량의 엔진룸 내부에 탑재되는 엔진 조합의 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엔진룸 내부를 차체의 후방 측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농업용 작업차량인 트랙터의 엔진룸(10)은 상향 개방되는 보닛이 둘러싸는 영역으로 특정되며, 엔진룸(10) 내 차체 프레임(부호 생략)에 엔진(12)이 마운팅되고 상기 보닛에 의해 보호되는 구성을 이루며, 이때 엔진(12)이 발생시킨 동력은 엔진(12) 후방 쪽 플라이휠 하우징(13)에 연결되는 트랜스미션(미도시)에 전달된다.
엔진(12)에서 발생된 배기가스를 정화하는 배기가스 후처리장치(20)가 상기 엔진(12)의 일측 상부에 엔진 길이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되, 배기가스 후처리장치(20) 일측의 배기가스 유입구(21)가 엔진(12)의 터보차저(15) 측에 플랜지관(16)을 통해 연결되고, 타측에는 머플러 파이프(미도시)와 연결되는 정화가스 배출구(22)가 구비되어 있다.
배기가스 후처리장치(20)는 배기매니폴드(14) 상부에서 엔진(12)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며, 대향부 타측의 흡기매니폴드(17) 상부에는 흡기 중 이물 정화를 위한 에어클리너(18)가 배치된다. 이때 에어 크리너(18)는 도 2를 통해 보이는 바와 같이, 상기 배기가스 후처리장치(20)와 평행하게 흡기매니폴드(17) 상부에 엔진 길이방향으로 길게 배치된다.
도 2에서 미설명 도면 부호 19는 상기 트랜스미션의 메인 클러치에 동력 전달 가능하게 커플링되어 엔진이 발생시킨 동력을 상기 트랜스 미션에 전달하는 플라이휠이다.
이와 같은 구성의 종래 엔진 조합은, 배기가스 후처리장치와 에어클리너가 좌우 대향 배치됨에 따라 중량 밸런스 측면에서 유리한 구조이긴 하나, 에어클리너와 흡기매니폴드를 연결하는 흡기라인을 충분히 길게 확보할 수 없는 구조이어서 흡기라인 중간에 에어 플로우 센서(Mass Airflow Sensor, 미도시)를 배치함에 있어 구조적으로 상당한 제약이 따르는 문제가 있다.
더욱이, 사양에 따라 엔진의 크기나 외형이 바뀔 경우 이에 대응하여 조정되는 상기 에어클리너의 위치에 따라 흡기라인의 형상이나 배치형태가 바뀔 수 밖에 없는 구조이며, 이 경우 상기 에어 플로우 센서(Mass Airflow Sensor)의 캘리브레이션(calibration)과 ECU의 제어 값을 흡기라인 형태에 맞춰 다르게 설정해야만 하는 문제가 있다.
일본공개특허 제2006-027519호(공개일 2006. 2. 2) 일본공개특허 제2009-012609호(공개일 2009. 1. 22)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한정된 공간에서 에어클리너와 엔진 흡기매니폴드(또는 터보차저)를 연결하는 흡기라인을 충분히 길게 확보할 수 있는 구조의 농작업차용 엔진 조합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엔진의 사양에 따라 크기나 외형이 변경되더라도 에어 플로우 센서(Mass Airflow Sensor)의 캘리브레이션(calibration)과 ECU의 제어 값을 재조정하지 않아도 되는 구조의 농작업차용 엔진 조합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농업용 작업차에 적용되는 엔진 조합으로서, 엔진의 플라이휠 하우징 상부의 평면 상의 안착면에 설치되는 에어클리너 취부대; 상기 에어클리너 취부대를 통해 엔진의 크랭크축 방향에 수직인 엔진의 좌우 폭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플라이휠 하우징 상부에 취부되는 에어클리너; 상기 에어클리너 일측의 흡기 출구와 엔진 흡기매니폴드 입구를 공기유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흡기라인;을 포함하며,
상기 흡기라인은 상기 크랭크축 방향과 일치하는 엔진의 길이방향을 따라 실린더 헤드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직선구간을 포함하고, 직선구간 중간에 에어 플로우 센서 유닛(mass air flow sensor unit)을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업차용 엔진 조합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엔진은 상기 크랭크축이 차체 길이방향과 평행한 배치를 이루도록 엔진룸 내 차체 프레임에 횡행 탑재되고, 상기 에어클리너의 흡기 입구가 엔진 배기매니폴드 방향에 위치하고 흡기 출구는 상기 엔진 흡기매니폴드 방향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엔진 흡기매니폴드 상부에서 직선구간이 실린더 헤드와 평행한 배치를 이루도록 흡기라인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엔진 조합은 엔진 배기매니폴드 출구에 장치되며, 상기 흡기라인이 연결되는 터보차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더하여, 엔진 배기매니폴드 출구 또는 터보차저 출구에 관을 통해 접속되며, 상기 엔진 배기매니폴드 상부에서 엔진의 길이방향을 따라 실린더 헤드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배기가스 후처리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배기가스 후처리장치는 처리대상 배기가스 유입되는 유입구가 에어클리너 측에 인접하고, 에어클리너에서 먼 쪽의 엔진 전단 측에 후처리를 마친 배기가스가 빠져 나오는 배기가스 배출구가 위치하도록 배치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농작업차용 엔진 조합에 의하면, 엔진 플라이휠 하우징 상부에 확보되는 엔진룸 내 여유공간에 에어클리너가 취부될 수 있도록 엔진 플라이휠 하우징 상부에 에어클리너를 취부한 구성을 이룸으로써, 에어클리너 취부를 위한 공간확보의 노력을 최소화할 수 있는 구조라는 구조적인 장점이 있다.
더욱이, 지지 브래킷 등을 이용하여 엔진 실린더 헤드부에 에어클리너를 고정시킨 종래 기술과는 달리, 에어클리너가 중량물인 엔진 플라이휠 하우징 상면에 취부대를 통해 고정됨으로써, 차체 진동이 에어클리너에 미치는 영향을 크게 줄일 수 있고, 이로 인해 에어클리너의 성능이 보다 안정적으로 발휘될 수 있다.
또한, 에어클리너를 플라이휠 하우징 상부에 배치함에 따라 에어클리너와 엔진 흡기매니폴드(또는 터보차저)를 연결하는 흡기라인을 충분히 길게 확보할 수 있는 구조이며, 이에 따라 흡기라인에 에어 플로우 센서(Mass Airflow Sensor, 미도시)를 배치함에 있어서의 장착성과 유지 보수성을 크게 개선할 수 있다.
또한, 흡기매니폴드 상부에 직선구간을 포함하는 형태로 흡기라인 형성되고 직선구간에 에어 플로우 센서(Mass Airflow Sensor)가 배치됨으로써, 사양에 따라 엔진과 주변부 구조가 변경되더라도 직선형태의 정형화된 흡기라인으로 인하여 에어 플로우 센서의 캘리브레이션(calibration)과 ECU의 제어 값을 동일하게 가져갈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농업용 작업차량의 엔진룸 내부의 구조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2는 도 1의 엔진룸 내부를 차체의 후방 측에서 바라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농작업차용 엔진 조합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엔진 조합을 다른 각도에서 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농작업차용 엔진 조합을 냉각팬 측에서 본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농작업차용 엔진 조합을 플라이휠 측에서 본 배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농작업차용 엔진 조합의 좌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농작업차용 엔진 조합의 우측면도.
도 9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농작업차용 엔진 조합의 평면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된 구성에 대해서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며, 또한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소지가 있는 구성에 대해서도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설명에 앞서 방향에 대한 용어를 정의하면, 엔진 길이방향은 엔진 크랭크축 방향과 일치하는 방향으로서 도 3 내지 도 4의 3축 좌표계에서 X축선을 따르는 방향으로 정의하며, 엔진의 좌우 폭방향은 상기 엔진 크랭크축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서 도 3 내지 도 4의 3축 좌표계에서 Y축선을 따르는 방향으로 정의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과 도 4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농작업차용 엔진 조합을 다른 각도에서 본 사시도이며,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농작업차용 엔진 조합을 냉각팬 측에서 본 정면도와 플라이휠 측에서 본 배면도이다. 그리고 도 7, 도 8은 상기 엔진 조합의 좌측면도와 우측면도이며, 도 9는 엔진 조합의 평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는 트랙터로 대표되는 농업용 작업차의 엔진룸에 탑재되는 엔진 조합(100)으로서, 동력을 발생시키는 엔진(120), 엔진(120)의 실린더에 도입되는 흡기에 포함된 이물 필터링(filtering)용 에어클리너(180), 배기가스에 포함된 유해물질 정화를 위한 배기가스 후처리장치(200)를 하나의 어셈블리 형태로 구현한 구성을 이룬다.
엔진(120)은 디젤을 연료로 하는 디젤 엔진으로서, 통상의 농작업차용 디젤엔진과 마찬가지로, 오일팬(122), 실린더 블록(124), 실린더 헤드(126), 흡기매니폴드(170)와 배기매니폴드(140), 냉각팬(127), 오일필터(128), 알터네이터(129), 플라이휠(190) 등을 포함하며, 에어클리너(180)는 상기 플라이휠(190)을 둘러싸는 플라이휠 하우징(130) 상부에 에어클리너 취부대(185)를 통해 견고히 고정된다.
플라이휠 하우징(130) 상부에 평면 상의 안착면(132)이 형성되며, 안착면(132)에 상기 에어클리너(180) 취부를 위한 에어클리너 취부대(185)의 하단이 볼팅 또는 용접 등으로 견고히 부착 고정된다. 이때 에어클리너(180)는 상기 에어클리너 취부대(185)를 통해 엔진(120)의 크랭크축 방향에 수직인 엔진(120)의 좌우 폭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플라이휠 하우징(130) 상부에 취부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엔진 조합(100)은, 상기 엔진(120)의 크랭크축이 차체 길이방향과 평행한 배치를 이루도록 농작업차의 엔진룸 내 차체 프레임에 횡행 탑재되며, 이때 상기 에어클리너(180)의 흡기 입구는 엔진(120)의 배기매니폴드(140) 측에 위치되고 에어클리너(180)의 흡기 출구(184)는 상기 엔진(120)의 흡기매니폴드(170) 측에 위치되도록 설치된다.
에어클리너(180)는 외형을 구성하는 원통형의 하우징 내에 미세한 크기의 무수히 많은 구멍을 형성한 건식 필터(filter)가 착탈 가능하게 배치된 구성일 수 있고, 흡기매니폴드(170) 측에 배치된 에어클리너(180) 일측(도 3을 기준으로 엔진의 우측)의 흡기 출구(184)가 흡기라인(300)을 통해 상기 엔진(120)의 흡기매니폴드(170) 입구에 공기유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도면의 예시와 같이, 엔진(120) 출력 및 토크 증대를 위한 엔진보조장치로서 배기매니폴드(140) 측에 터보차저(turbo charger, 150)를 갖춘 실시 예의 경우에는, 상기 에어클리너(180) 흡기 출구(184)에서 연장된 상기 흡기라인(300)이 상기 터보차저(150)에 연결되고, 터보차저(150)의 흡기 출구(184)가 상기 흡기매니폴드(170)에 관(부호 생략)으로 연결될 수 있다.
흡기라인(300)은 상기 크랭크축 방향과 일치하는 엔진(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실린더 헤드(126)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직선구간(310)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직선구간(310) 중간에는 상기 흡기라인(300)을 통해 흡기매니폴드(170)에 공급되는 흡기량을 측정하여 ECU에 전달하는 에어 플로우 센서 유닛(mass air flow sensor unit, 15)이 배치된다.
흡기라인(300)의 상기 직선구간(310)은 구체적으로, 실린더 헤드(126) 우측 상방, 즉 상기 흡기매니폴드(170) 측 상부에 엔진(120)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로 형성되며, 직선구간(310) 전단과 후단에는 각각, 상기 에어클리너(180) 흡기 출구(184)에 플렉시블 관(302)으로 연결되는 제1 곡관부(320)와, 상기 터보차저(150)(터보차저 미장착 조합인 경우 흡기매니폴드)와 관으로 연결되는 제2 곡관부(330)가 배치된다.
한편, 배기가스 후처리장치(200)는 흡기라인(300)의 상기 직선구간(310) 반대편의 배기매니폴드(140) 상부에 배치된다. 배기가스 후처리장치(200)에 의해 배기가스 중 유해물질이 저감된 상태로 테일파이프(미도시)를 통해 외부에 배출되며, 이때 배기가스 후처리장치(200)는 디젤산화촉매(DOC; Diesel Oxidation Catalyst)와 디젤입자필터(DPF; Diesel Particulate Filter)를 결합시킨 형태일 수 있다.
처리대상 배기가스 유입되는 배기가스 후처리장치(200)의 유입구(210)는 상기 터보차저(150) 출구(터보차저 미장착 조합인 경우 배기매니폴드 출구)에 관을 통해 접속되는 한편, 배기가스 후처리장치(200)의 배치에 있어서는 도면과 같이, 그 길이방향 축선이 배기매니폴드(140) 상부에서 엔진(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실린더 헤드(126)와 평행한 배치를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배기가스 후처리장치(200)의 처리대상 배기가스 유입되는 상기 유입구(210)가 상기 에어클리너(180) 측에 인접하며, 에어클리너(180)에서 먼 쪽의 엔진(120) 전단 측에 일련의 정화처리를 마친 배기가스가 빠져 나오는 배기가스 배출구(220)가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배기가스 배출구(220)에는 엔진룸 바깥으로 연장되는 상기 테일파이프가 연결된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농작업차용 엔진 조합의 작용, 효과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앞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 엔진(120) 구동과 함께 에어클리너(180) 흡기 입구에 흡입력이 작용하여 공기가 흡입된다. 흡입된 공기는 에어클리너(180) 내부의 에어필터를 통과하면서 이물질이 필터링되며, 흡기 출구(184)에 연결된 흡기라인(300)을 통해 터보차저(150)로 유입되고, 터보차저(150)에 의해 사전에 설정된 압력으로 압축되어 흡기매니폴드(170)를 지나 실린더에 공급된다.
이때 흡기라인(300)의 직선구간(310) 중간의 에어플로우 센서 유닛(315)은 상기 흡기라인(300)을 유동하는 흡입공기의 질량 유량을 검출하고, 그 검출된 값을 ECU에 송신하며, ECU는 상기 에어플로우 센서 유닛이 보내온 검출 값에 기초하여 부하 상황에 맞는 최적의 출력을 낼 수 있도록 엔진을 피드백 제어한다.
한편, 엔진(120) 구동으로 상기 엔진(120)이 발생시킨 동력은 크랭크축 선단에 커플링된 플라이휠(190)을 통해 출력되고, 플라이휠(190)에 직결되는 도시하지 않은 트랜스미션의 메인 클러치를 통해 트랜스미션에 단속적으로 전달된다. 그리고 엔진(120) 구동으로 발생된 배기가스는 배압에 의해 배기매니폴드(140)와 터보차저(150)를 거쳐 배기가스 후처리장치(200)로 유동된다.
배기가스 후처리장치(200)로 유입된 배기가스는 상기 배기가스 후처리장치(200)를 통한 일련의 정화처리를 거쳐 소음과 유해물질이 극히 저감된 상태로 배기가스 배출구(220)를 통해 테일파이프로 이동되고, 상기 테일파이프(미도시)가 형성하는 배기가스 유동경로를 통해 대기중에 방출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농작업차용 엔진 조합에 의하면, 엔진 플라이휠 하우징 상부에 확보되는 엔진룸 내 여유공간에 에어클리너가 취부될 수 있도록 엔진 플라이휠 하우징 상부에 에어클리너를 취부한 구성을 이룸으로써, 에어클리너 취부를 위한 공간확보의 노력을 최소화할 수 있는 구조라는 구조적인 장점이 있다.
더욱이, 지지 브래킷 등을 이용하여 엔진 실린더 헤드부에 에어클리너를 고정시킨 종래 기술과는 달리, 에어클리너가 중량물인 엔진 플라이휠 하우징 상면에 취부대를 통해 고정됨으로써, 차체 진동이 에어클리너에 미치는 영향을 크게 줄일 수 있고, 이로 인해 에어클리너의 성능이 보다 안정적으로 발휘될 수 있다.
또한, 에어클리너를 플라이휠 하우징 상부에 배치함에 따라 에어클리너와 엔진 흡기매니폴드(또는 터보차저)를 연결하는 흡기라인을 충분히 길게 확보할 수 있는 구조이며, 이에 따라 흡기라인에 에어 플로우 센서(Mass Airflow Sensor, 미도시)를 배치함에 있어서의 장착성과 유지 보수성을 크게 개선할 수 있다.
또한, 흡기매니폴드 상부에 직선구간을 포함하는 형태로 흡기라인 형성되고 직선구간에 에어 플로우 센서(Mass Airflow Sensor)가 배치됨으로써, 사양에 따라 엔진과 주변부 구조가 변경되더라도 직선형태의 정형화된 흡기라인으로 인하여 에어 플로우 센서의 캘리브레이션(calibration)과 ECU의 제어 값은 동일하게 가져갈 수 있다.
이상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 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 엔진 조합 120 : 엔진
130 : 플라이휠 하우징 132 : 안착면
104 : 배기매니폴드 150 : 터보차저
170 : 흡기매니폴드 180 : 에어클리너
182 : 에어클리너의 흡기 입구 184 : 에어클리너의 흡기 출구
185 : 에어클리너 취부대 190 : 플라이휠
200 : 배기가스 후처리장치 300 : 흡기라인
310 : 직선구간 315 : 에어 플로우 센서 유닛

Claims (6)

  1. 농업용 작업차에 적용되는 엔진 조합으로서,
    엔진의 플라이휠 하우징 상부의 평면 상의 안착면에 설치되는 에어클리너 취부대;
    상기 에어클리너 취부대를 통해 엔진의 크랭크축 방향에 수직인 엔진의 좌우 폭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플라이휠 하우징 상부에 취부되는 에어클리너;
    상기 에어클리너 일측의 흡기 출구와 엔진 흡기매니폴드 입구를 공기유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흡기라인;을 포함하며,
    상기 흡기라인은 상기 크랭크축 방향과 일치하는 엔진의 길이방향을 따라 실린더 헤드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직선구간을 포함하고, 직선구간 중간에 에어 플로우 센서 유닛(mass air flow sensor unit)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업차용 엔진 조합.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은 상기 크랭크축이 차체 길이방향과 평행한 배치를 이루도록 엔진룸 내 차체 프레임에 횡행 탑재되고,
    상기 에어클리너의 흡기 입구가 엔진의 배기매니폴드 측에 위치하고 흡기 출구는 상기 엔진의 흡기매니폴드 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업차용 엔진 조합.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매니폴드 상부에서 직선구간이 실린더 헤드와 평행한 배치를 이루도록 흡기라인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업차용 엔진 조합.
  4. 제 1 항에 있어서,
    엔진 배기매니폴드 출구에 장치되며, 상기 흡기라인이 연결되는 터보차저;를 더 포함하는 농작업차용 엔진 조합.
  5.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엔진 배기매니폴드 출구 또는 터보차저 출구에 관을 통해 접속되며, 상기 엔진 배기매니폴드 상부에서 엔진의 길이방향을 따라 실린더 헤드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배기가스 후처리장치;를 더 포함하는 농작업차용 엔진 조합.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가스 후처리장치는 처리대상 배기가스 유입되는 유입구가 에어클리너 측에 인접하고, 에어클리너에서 먼 쪽의 엔진 전단 측에 후처리를 마친 배기가스가 빠져 나오는 배기가스 배출구가 위치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업차용 엔진 조합.
KR1020150099319A 2015-07-13 2015-07-13 농작업차용 엔진 조합 KR1023134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9319A KR102313441B1 (ko) 2015-07-13 2015-07-13 농작업차용 엔진 조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9319A KR102313441B1 (ko) 2015-07-13 2015-07-13 농작업차용 엔진 조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8060A true KR20170008060A (ko) 2017-01-23
KR102313441B1 KR102313441B1 (ko) 2021-10-15

Family

ID=579899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9319A KR102313441B1 (ko) 2015-07-13 2015-07-13 농작업차용 엔진 조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3441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27519A (ja) 2004-07-20 2006-02-02 Kubota Corp キャビン付きトラクタの原動部構造
JP2009012609A (ja) 2007-07-04 2009-01-22 Kubota Corp トラクタの原動部構造
KR20110074740A (ko) * 2008-10-20 2011-07-01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주행 차량 탑재용 엔진 장치
KR20110074845A (ko) * 2008-10-28 2011-07-04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작업 차량 탑재용 엔진 장치
CN102159817A (zh) * 2008-09-18 2011-08-17 洋马株式会社 发动机装置
KR20140026828A (ko) * 2012-08-23 2014-03-06 대동공업주식회사 농업용 작업차량의 배기가스 후처리장치 취부구조
KR101451182B1 (ko) * 2012-08-23 2014-10-15 대동공업주식회사 농업용 작업차량의 배기가스 후처리장치 취부구조
JP2014221638A (ja) * 2014-07-09 2014-11-27 ヤンマー株式会社 排気ガス浄化装置
US20150167523A1 (en) * 2012-07-05 2015-06-18 Komatsu Ltd. Construction machine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27519A (ja) 2004-07-20 2006-02-02 Kubota Corp キャビン付きトラクタの原動部構造
JP2009012609A (ja) 2007-07-04 2009-01-22 Kubota Corp トラクタの原動部構造
CN102159817A (zh) * 2008-09-18 2011-08-17 洋马株式会社 发动机装置
KR20110074740A (ko) * 2008-10-20 2011-07-01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주행 차량 탑재용 엔진 장치
KR20110074845A (ko) * 2008-10-28 2011-07-04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작업 차량 탑재용 엔진 장치
US20150167523A1 (en) * 2012-07-05 2015-06-18 Komatsu Ltd. Construction machine
KR20140026828A (ko) * 2012-08-23 2014-03-06 대동공업주식회사 농업용 작업차량의 배기가스 후처리장치 취부구조
KR101451182B1 (ko) * 2012-08-23 2014-10-15 대동공업주식회사 농업용 작업차량의 배기가스 후처리장치 취부구조
JP2014221638A (ja) * 2014-07-09 2014-11-27 ヤンマー株式会社 排気ガス浄化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3441B1 (ko) 2021-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3981B1 (ko) 작업 차량
JP5624692B1 (ja) ブルドーザ
US9453326B2 (en) Work machine
US20200256234A1 (en) Engine apparatus
KR20110074740A (ko) 주행 차량 탑재용 엔진 장치
JP5409971B1 (ja) ブルドーザ
US9188089B2 (en) Engine apparatus
JP2010063417A (ja) コンバイン
KR20160096586A (ko) 작업 차량
WO2014155704A1 (ja) 排気処理ユニット
JP5399145B2 (ja) エンジン
KR20160070060A (ko) 작업 차량의 엔진 장치
US9752479B2 (en) Engine apparatus
JP2015014292A (ja) エンジン
EP2902599B1 (en) Engine device
KR20170008060A (ko) 농작업차용 엔진 조합
JP2013189982A (ja) エンジン
JP5898714B2 (ja) エンジン装置
JP5872301B2 (ja) 排気ガス浄化装置
JP5364149B2 (ja) 排気ガス浄化装置
JP2017031875A (ja) 作業車両
JP5698420B1 (ja) ブルドーザ
JP5820901B2 (ja) Egr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作業車両搭載用のエンジン装置
JP6120796B2 (ja) 作業車両
CN113439155A (zh) 发动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