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7392A - 창문 가리개, 이의 구동 시스템 및 이의 작동 방법 - Google Patents

창문 가리개, 이의 구동 시스템 및 이의 작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7392A
KR20170007392A KR1020167034717A KR20167034717A KR20170007392A KR 20170007392 A KR20170007392 A KR 20170007392A KR 1020167034717 A KR1020167034717 A KR 1020167034717A KR 20167034717 A KR20167034717 A KR 20167034717A KR 20170007392 A KR20170007392 A KR 201700073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e
transmission
drive system
switch member
transmission ax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347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63014B1 (ko
Inventor
친-티엔 후앙
푸-라이 유
Original Assignee
데 요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데 요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데 요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700073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73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30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30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8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 E06B9/30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liftable
    • E06B9/32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therefor
    • E06B9/322Details of operating devices, e.g. pulleys, brakes, spring drums, driv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62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flexibly-interconnected horizontal or vertical strips; Concertina blinds, i.e. upwardly folding flexible scree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8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 E06B9/30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liftable
    • E06B9/32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therefor
    • E06B9/323Structure or support of upper box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9/00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 F16H19/02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 F16H19/06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comprising flexible members, e.g. an endless flexible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3/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 F16H3/44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using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3/46Gearings having only two central gears, connected by orbital gears
    • F16H3/48Gearings having only two central gears, connected by orbital gears with single orbital gears or pairs of rigidly-connected orbital gears
    • F16H3/52Gearings having only two central gears, connected by orbital gears with single orbital gears or pairs of rigidly-connected orbital gears comprising orbital spur gears
    • F16H3/54Gearings having only two central gears, connected by orbital gears with single orbital gears or pairs of rigidly-connected orbital gears comprising orbital spur gears one of the central gears being internally toothed and the other externally toothed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62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flexibly-interconnected horizontal or vertical strips; Concertina blinds, i.e. upwardly folding flexible screens
    • E06B2009/2627Cellular screens, e.g. box or honeycomb-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linds (AREA)
  • Curtains And 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AREA)
  • Storing, Repeated Paying-Out, And Re-Storing Of Elongated Articles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명세서에 기재된 구조물은 변환 상태에 따라 창문 가리개를 하강 또는 상승시키기 위하여 당김 부재의 하향 이동에 의한 로드 조립체를 회전시킴으로써 상향 작동 모드와 하향 작동 모드 간에 선택적으로 변환될 수 있다. 구동 시스템은 작동이 간단하고 창문 가리개의 편리한 조절을 허용하며 당김 부재가 제한된 연장 길이를 가짐에 따라 안전하다.

Description

창문 가리개, 이의 구동 시스템 및 이의 작동 방법{WINDOW SHADE, ACTUATING SYSTEM THEREOF,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본 출원은, 본 출원에서 참고하고 2014년 10월 13일에 출원된 미국 가특허 출원 제62/063,019호 및 2014년 6월 9일자에 출원된 미국 가특허 출원 제62/009,361호를 우선권으로 주장한다.
본 발명은 창문 가리개(window shades) 및 창문 가리개에서 사용되는 구동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재, 베네치안 블라인드(Venetian blind), 롤러 쉐이드(roller shade) 및 허니콤 쉐이드(honeycomb shade)와 같은 다수 형태의 창문 가리개들이 시장에서 구할 수 있다. 상기 가리개는 하강할 때 창문 프레임의 영역을 덮어서, 창문을 통해 실내로 들어오는 광선량을 감소시키고 사생활(privacy)을 더욱 보호할 수 있다. 종래기술에 의하면, 창문 가리개는 상기 창문 가리개를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키도록 작동할 수 있는 작동 코드가 제공된다. 특히 상기 작동 코드는 아래로 당겨져서 상기 창문 가리개를 상승시키고 구속해제되어 창문 가리개를 하강시킬 수 있다.
종래 기술을 따르는 창문 가리개의 구조에서, 상기 작동 코드는 구동 액슬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작동 코드가 아래로 당겨질 때, 상기 구동 액슬은 회전하여 서스펜션 코드를 감고 창문 가리개를 상승시킨다. 상기 작동 코드가 구속해제될 때 상기 구동 액슬은 구동되어 반대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창문 가리개를 하강시킨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의 구조는, 상대적으로 긴 수직 길이를 갖는 창문 가리개를 위해 길이가 증가된 작동코드를 이용해야 한다. 상대적으로 긴 작동 코드의 길이는 창문 가리개의 외관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또한, 상대적으로 긴 작동 코드에 아동의 목이 졸리는 위험이 존재한다. 사고에 의한 상처를 입는 위험을 줄이기 위해, 어린 아이가 상기 작동 코드에 쉽게 도달할 수 없도록 상기 작동코드는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유지될 수 있다. 불행하게도, 상기 작동 코드가 아래로 끌어 당겨져 상기 창문 가리개를 상승시킬 때, 상기 작동 코드는 낮은 위치로 이동하고 아동들이 접근할 수 있게 된다. 정상적인 사용자에게, 상대적으로 긴 작동 코드를 조종하는 것은 덜 편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대적으로 긴 작동 코드는 꼬여서 코드의 작동을 어렵게 만들 수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특정 현존 해결 방법은 창문 가리개를 상승시키기 위하여 코드 상에 가해진 반복적인 당김 작용에 의해 구동될 수 있는 메커니즘을 제안한다. 그러나, 이들 해결 방법은 창문 가리개를 하강시키기 위한 당김 동작과 상이한 수동 동작을 통상적으로 필요로 한다.
따라서, 작용이 용이하고 적어도 전술된 문제점을 해결 또는 개선시키는 창문 가리개의 필요성이 있다.
본 출원은 창문 가리개, 창문 가리개와 사용하기 위한 구동 시스템 및 이를 작동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 실시 형태에서, 창문 가리개용 구동 시스템은 창문 가리개를 접고 펼치기 위하여 회전가능한 트랜스미션 액슬, 당김 부재를 포함하는 구동 유닛 - 상기 당김 부재는 구동 유닛이 제1 방향으로 회전 출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됨 - , 스위치 부재를 포함하고 트랜스미션 액슬과 연결된 구동 트랜스미션 조립체 - 스위치 부재는 구동 유닛으로부터 트랜스미션 액슬로 회전 출력을 전달하기 위하여 구동 트랜스미션 조립체의 제1 트랜스미션 모드와 제2 트랜스미션 모드를 선택적으로 허용하기 위하여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고, 제1 방향으로 구동 유닛의 회전 출력은 제1 트랜스미션 모드에서 제1 방향에 상반된 제2 방향으로 트랜스미션 액슬의 회전을 구동하며, 제1 방향으로 구동 유닛의 회전 출력은 제2 트랜스미션 모드에서 동일한 제1 방향으로 트랜스미션 액슬의 회전을 구동함 - , 및 스위치 구동 메커니즘을 통해 스위치 부재와 연결된 로드 조립체 - 로드 조립체는 스위치 부재를 제1 위치로 변위시키기 위하여 제1 스위치 방향 및 스위치 부재를 제2 위치로 변위시키기 위하여 제1 스위치 방향과 상반된 제2 스위치 방향으로 각각 회전가능함 - 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 형태에서, 창문 가리개가 기재된다. 창문 가리개는 헤드 레일, 하부 부분, 및 헤드 레일과 하부 부분 사이에 수직방향으로 배열된 차폐 구조물, 하부 부분과 연결된 서스펜션 부재를 갖는 와인딩 유닛을 포함하고, 전항에 따른 구동 시스템은 헤드 레일 내에 배열된다. 와인딩 유닛은 트랜스미션 액슬과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트랜스미션 액슬은 하부 부분을 상승시키기 위하여 와인딩 유닛 내로 서스펜션 부재를 감기 위해 제1 방향으로 회전하고, 하부 부분을 하강시키기 위하여 와인딩 유닛으로부터 서스펜션 부재를 풀기 위하여 제2 방향으로 회전한다.
추가로, 본 발명은 창문 가리개를 작동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창문 가리개는 차폐 구조물, 차폐 구조물을 하강 또는 상승시키기 위하여 제1 및 제2 변속 모드로 선택적으로 작동가능한 구동 트랜스미션 조립체, 및 수직방향으로 연장되고 구동 트랜스미션 조립체와 작동가능하게 연결된 로드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차폐 구조물을 하강시키기 위하여 제1 트랜스미션 모드를 선택하기 위하여 제1 스위칭 방향으로 로드 조립체를 회전시키는 단계, 및 차폐 구조물을 상승시키기 위하여 제2 트랜스미션 모드를 선택하기 위하여 제1 스위칭 방향에 상반된 제2 스위칭 방향으로 로드 조립체를 회전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1은 창문 가리개의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창문 가리개의 상면도.
도 3은 완전히 내려진 상태의 도 1의 창문 가리개를 도시하는 도식적 도면.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창문 가리개의 구동 시스템 내에서 사용된 제어 모듈을 도시하는 도식적인 도면.
도 5는 도 4의 제어 모듈 내에서 사용되는 구동 메커니즘을 도시하는 분해도.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제어 모듈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7은 잠금 상태의 구동 시스템의 어레스터를 도시하는 도식적인 도면.
도 8은 창문 가리개의 하부 부분을 상승시키기 위하여 구속해제 상태로 변환된 구동 시스템의 어레스터를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창문 가리개의 하부 부분을 하강시키기 위하여 구속해제 상태로 변환된 구동 시스템의 어레스터를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도 4에 도시된 제어 모듈 내에 통합된 구동 유닛의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구동 유닛의 구조를 도시하는 분해도.
도 12 및 도 13은 도 10에 도시된 구동 유닛 내의 드럼, 볼 및 슬리브 사이의 상호작용을 도시하는 도식적인 도면.
도 14는 도 4에 도시된 제어 모듈 내의 하우징 부분과 정지 부재의 조립을 도시하는 도식적인 도면.
도 15는 도 4에 도시된 제어 모듈 내의 캐리어와 스위치 부재의 연결을 도시하는 도식적인 도면.
도 16은 도 4에 도시된 제어 모듈 내의 링 및 중심 기어와 유성 기어의 연결을 도시하는 도식적인 도면.
도 17은 정지 부재와 결합된 정지 부재와 결합된 스위치 부재를 가짐으로써 제1 작동 모드에 있는 제어 모듈을 도시하는 도식적인 도면.
도 18은 스위치 부재가 정지 부재와 결합되는 동안 제어 모듈 내에서 발생될 수 있는 예시적인 회전 변위를 도시하는 도식적인 도면.
도 19는 링과 결합된 스위치 부재를 가짐으로써 제2 작동 모드에 있는 제어 모듈을 도시하는 도식적인 도면.
도 20은 스위치 부재가 링과 결합되는 동안 제어 모듈 내에서 발생될 수 있는 예시적인 회전 변위를 도시하는 도식적인 도면.
도 21은 창문 가리개의 로드 조립체 상에 제공된 인디케이터 메커니즘을 도시하는 확대도.
도 22는 도 21에 도시된 섹션(22-22)을 따라 취한 확대도.
도 23은 도 21에 도시된 섹션(23-23)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24는 도 21에 도시된 인디케이터 메커니즘의 분해도.
도 25 내지 도 28은 로드 조립체가 창문 가리개를 상승시키기 위한 제1 상태로부터 창문 가리개를 하강시키기 위한 제2 상태로 변환될 때 인디케이터 메커니즘의 예시적인 작동을 도시하는 도식적인 도면.
도 29 내지 도 32는 로드 조립체가 창문 가리개를 하강시키기 위한 제2 상태로부터 창문 가리개를 상승시키기 위한 제1 상태로 변환될 때 인디케이터 메커니즘의 예시적인 작동을 도시하는 도식적인 도면.
도 1은 창문 가리개(100)의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창문 가리개(100)를 도시하는 상면도이며, 도 3은 창문 가리개(100)가 완전히 내려진 상태를 도시하는 도식적인 도면이다. 창문 가리개(100)는 헤드 레일(102), 차폐 구조물(104), 및 차폐 구조물(104)의 하부에 배열된 하부 부분(106)을 포함할 수 있다. 헤드 레일(102)은 임의의 타입 및 형상일 수 있다. 헤드 레일(102)은 창문 프레임의 상부에 부착될 수 있고, 차폐 구조물(104) 및 하부 부분(106)은 헤드 레일(102)로부터 매달릴 수 있다.
차폐 구조물(104)은 임의의 적합한 구조물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차폐 구조물(104)은 직물 재료로부터 제조된 허니콤 구조물(도시된 바와 같이), 베네치안 블라인드(Venetian blind) 구조물, 또는 서로 평행하고 수직으로 배열된 복수의 레일 또는 슬랫(slat)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 부분(106)은 차폐 구조물(104)을 확장 및 접기 위하여 헤드 레일(102)에 대해 수직으로 이동가능하고 창문 가리개(100)의 하부에 배열된다. 일 실시 형태에서, 하부 부분(106)은 연장된 레일과 같이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임의의 타입의 계량 구조물(weighing structure)이 적합할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하부 부분(106)은 또한 차폐 구조물(104)의 최하부 부분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하부 부분(106)과 차폐 구조물(104)의 상하 변위를 위해, 창문 가리개(100)는 복수의 와인딩 유닛(winding unit, 110), 와인딩 유닛(110)과 각각 결합된 복수의 서스펜션 부재(112)(도 1에서 선으로 도시됨), 트랜스미션 액슬(transmission axle, 114), 제어 모듈(116), 로드 조립체(118), 당김 부재(120)(도 1에서 선으로 도시됨)로 구성된 구동 시스템(108)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서스펜션 부재(112)는 하부 부분(106)과 헤드 레일(102) 사이에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서스펜션 코드일 수 있다. 각각의 서스펜션 부재(112)는 하나의 대응 와인딩 유닛(110)과 연결된 제1 단부 부분 및 하부 부분(106)과 연결된 제2 단부 부분을 가질 수 있다. 와인딩 유닛(110)은 하부 부분(106)을 상승 및 하강시키기 위해 서스펜션 부재(112)를 감고 풀도록 회전가능한 드럼을 각각 가질 수 있다.
트랜스미션 액슬(114)은 종방향 축(X)을 형성하기 위하여 헤드 레일(102)을 따라 세로로 연장될 수 있고, 와인딩 유닛(110)과 제어 모듈(116)은 트랜스미션 액슬(114)과 동축 방향으로 연결될 수 있다. 트랜스미션 액슬(114)은 일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제어 모듈(116)을 통하여 구동될 수 있고, 차례로 서스펜션 부재(112)를 감거나 또는 풀기 위하여 와인딩 유닛(110)의 동시 회전을 구동한다.
도시된 실시 형태에서, 당김 부재(120)는 코드(cord)일 수 있다. 당김 부재(120)는 제어 모듈(116)과 연결되고 로드 조립체(116)의 내부를 통하여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될 수 있다. 당김 부재(120)는 일 방향으로 트랜스미션 액슬(114)의 회전을 위해 아래로 아래로 당겨질 수 있다. 핸들(122)은 이의 작동을 돕기 위하여 당김 부재(120)의 하부 단부와 연결될 수 있고, 핸들(122)은 로드 조립체(118)의 하부 단부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당김 부재(120)는 완전히 확장된 차폐 구조물(104)의 높이보다 작은 길이를 가지며, 제어 모듈(116)은 사용자가 하부 부분(106)을 점진적으로 하강 또는 상승시키기 위하여 당김 부재(120)에 대한 당김 및 구속해제 동작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당김 부재(120)의 전체 길이는 완전히 확장된 차폐 구조물(104)의 높이의 1/3일 수 있고, 당김 부재(120)는 차폐 구조물(104)을 전체적으로 하강시키기 위해 대략 3회 반복적으로 당겨질 수 있다. 이 공정은 사용자가 특정 크기로 하부 부분(106)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기 위하여 당김 부재(120)를 당기고, 이를 접도록 허용하며, 그 뒤에 하부 부분(106)을 연속적으로 하강 또는 상승시키기 위하여 재차 당김 부재(120)를 구동하는 래칭 기술과 유사하다. 이 공정은 차폐 구조물(104)이 목표 높이에 도달될 때까지 반복될 수 있다.
제어 모듈(116)은 두 트랜스미션 모드로 작동가능한 구동 트랜스미션 조립체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제어 모듈(116)의 구동 트랜스미션 조립체가 제1 트랜스미션 모드에 있을 때, 당김 부재(120)는 하부 부분(106)의 하향 변위를 구동하기 위하여 아래로 당겨질 수 있다. 제어 모듈(116)의 구동 트랜스미션 조립체가 제2 트랜스미션 모드에 있을 때, 당김 부재(120)는 하부 부분(106)의 상향 변위를 구동하기 위하여 아래로 당겨질 수 있다. 제어 모듈(116)의 구동 트랜스미션 조립체는 전술된 두 트랜스미션 모드들 중 임의의 하나의 모드를 선택하기 위하여 임의의 두 변환 방향으로(도 1 및 도 3에서 화살표(D1, D2)로 도식적으로 도시됨) 로드 조립체(118)를 회전시킴으로써 변환될 수 있다. 당김 부재(120)가 작동하지 않을 때, 하부 부분(106)과 차폐 구조물(104)의 매달린 중량은 또한 제어 모듈(116) 내에 통합될 수 있는 어레스터(arrester)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전술된 구동 트랜스미션 조립체 및 어레스터의 예시적인 구조가 대응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될 것이다.
도 4는 제어 모듈(116)의 도식적인 도면이고, 도 5는 제어 모듈(116)의 구조물을 도시하는 분해도이고, 도 6은 제어 모듈(116)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제어 모듈(116)은 어레스터(124), 구동 유닛(126), 정지 부재(128), 중심 기어(130), 캐리어(132), 복수의 유성 기어(134), 및 스위치 부재(136)로 구성된 구동 트랜스미션 조립체, 및 구동 트랜스미션 조립체와 작동가능하게 연결된 스위치 구동 메커니즘(138)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 모듈(116)의 이들 구성요소는 서로 부착된 단부 캡(140F) 및 다수의 하우징 부분(140A, 140B, 140C, 140D, 140E)의 조립체에 의해 형성된 케이싱(140) 내에 배열될 수 있다. 게다가, 케이싱(140)은 우수한 외관을 제공하기 위하여 외부 커버(141)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일 수 있다.
어레스터(124)는 칼라(142), 하나 이상의 스프링(144)(2개의 스프링(144)이 예시적으로 도시됨), 및 구동 부분(146)을 포함할 수 있다. 칼라(142)는 단일의 회전을 위해 트랜스미션 액슬(114)과 부착될 수 있다. 일 실시 형태에서, 칼라(142)는 환형 부분(145), 및 상기 환형 부분(145)으로부터 각각 돌출되는 2개의 이격 플랜지(147)를 가질 수 있다. 2개의 플랜지(147)는 간격(143)의 2개의 마주보는 측면을 구획하고 트랜스미션 액슬(114)의 축으로부터 오프셋 배열된 2개의 플랜지 표면(147A, 147B)을 각각 형성할 수 있다.
각각의 스프링(144)은 2개의 이격 프롱(spaced-apart prong, 144A, 144B)을 갖는 코일 스프링일 수 있다. 스프링(144)은 트랜스미션 액슬(114)의 축에 대해 동축을 이루는 케이싱(140)의 캐비티(148) 내에 조립되고 캐비티(148)의 내부 측벽(148A)과 접촉하는 각각의 외부 주변을 갖는다. 캐비티(148)는 예를 들어 하우징 부분(140A) 내에 제공될 수 있다. 게다가, 스프링(144)은 칼라(142)의 플랜지(147)를 둘러싸도록 배열되고, 프롱(144A, 144B)은 2개의 플랜지 표면(147A, 147B)들 사이의 간격(143) 내에 각각 수용될 수 있다. 즉, 2개의 플랜지 표면(147A, 147B)은 2개의 프롱(144A, 144B)들 사이에서 구획된 공간(149)(도 7 내지 도 9에 가장 잘 도시됨) 외측에 배열된다.
구동 부분(146)은 샤프트 부분(146A) 및 샤프트 부분(146A)의 축으로부터 편심을 이루는 립(146B)을 포함할 수 있다. 구동 부분(146)은 트랜스미션 액슬(114)의 축에 대해 동축을 이루어 피벗회전가능하게 조립될 수 있고, 샤프트 부분(146A)은 트랜스미션 액슬(114)과 정렬되며, 립(146B)은 각각의 스프링(144)의 2개의 프롱(144A, 144B) 사이의 공간(149) 내에 수용된다.
샤프트 부분(146A)의 측면에 마주보는 구동 부분(146)의 단부 부분은 트랜스미션 액슬(114)과 구동 부분(146)을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연결을 통하여 트랜스미션 액슬(114)과 부착될 수 있다(예를 들어, 구동 부분(146)은 칼라(142)과 부착될 수 있음). 이에 따라서, 구동 부분(146)과 트랜스미션 액슬(114)은 이에 따라 어레스터(124)를 열고 하부 부분(106)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기 위하여 두 방향으로 일체로 회전할 수 있다.
도 4 내지 6을 참조하면, 도 7 내지 도 9는 어레스터(124)의 예시적인 작동을 도시하는 도식적인 도면이다. 도 7에서, 어레스터(124)는 잠금 상태로 도시되며, 어떠한 수동 당김 동작이 당김 부재(120) 상에 적용되지 않는다. 이 상태에서, 서스펜션 부재(112) 상에서 하부 부분(106)에 의해 가해진 수직 중량은 2개의 프롱(144A, 144B)들 중 하나의 프롱에 대해(예를 들어 프롱(144B))2개의 플랜지 표면(147A, 147B)들 중 하나의 표면(예를 들어, 플랜지 표면(147B)을 가압하기 위한 방향으로 칼라(142)를 회전가능하게 편향하는 토크의 인가를 야기할 수 있다. 이 가압력은 캐비티(148)의 내부 측벽(148A)을 확장시키고 이와 마찰 접촉하도록 스프링(144)을 가압하는, 서로를 향하여 프롱(144A, 144B)을 편향하는 방향으로 지향된다. 내부 측벽(148A)과 각각의 스프링(144)의 외부 주변 사이의 마찰 접촉은 매달린 중량에 의해 유발된 토크를 상쇄시킬 수 있고, 하부 부분(106)을 하강시키는 방향으로 칼라(142)에 부착된 트랜스미션 액슬(114), 칼라(142) 및 스프링(144)의 회전을 방지한다. 하부 부분(106)은 원하는 높이에서 고정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잠금 상태로부터 구속해제 상태로 어레스터(124)를 변환시키기 위하여 구동 부분(146)은 스프링(144)이 캐비티(148)의 내부 측벽(148A)과의 마찰 접촉을 감소 및 약화시키도록 2개의 프롱(144A, 144B)들 중 하나의 프롱에 대해 립(146B)이 가압되는 방식으로(즉, 공간(149)을 확장시키는 방향으로) 회전 구동할 수 있다. 수축된 스프링(144)은 그 뒤에 구동 부분(146)의 립(146B)에 의해 회전이 강제될 수 있고, 2개의 프롱(144A, 144B)들 중 하나의 프롱은 하부 부분(106)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기 위하여 트랜스미션 액슬(114)과 칼라(142)의 회전을 수행하도록 칼라(142)의 플랜지 표면(147A, 147B)들 중 하나의 표면에 대해 가압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구동 부분(146)이 하부 부분(106)을 상승시키기 위하여 방향(r1)으로 회전할 때, 립(146B)은 동일한 방향을 스프링(144)의 회전을 강제하고 각각의 스프링(144)을 수축시키기 위하여 프롱(144B)에 대해 가압될 수 있다. 수축된 스프링(144)이 구동 부분(146)과 함께 동시에 회전함에 따라, 스프링(144)의 프롱(144B)은 칼라(142)의 플랜지 표면(147B)에 대해 가압될 수 있어서 하부 부분(106)을 상승시키기 위해 동일한 방향(r1)으로 트랜스미션 액슬(114)과 칼라(142)의 회전이 야기된다.
도 9를 참조하면, 구동 부분(146)이 하부 부분(106)을 하강시키기 위하여 방향(r1)에 상반된 방향(r2)으로 회전할 때, 립(146B)은 각각의 스프링(144)을 수축시키기 위하여 프롱(144A)에 대해 가압될 수 있고 동일한 방향(r2)으로 스프링(144)의 회전을 강제할 수 있다. 수축된 스프링(144)이 구동 부분(146)과 함께 동시에 회전함에 따라, 스프링(144)의 프롱(144A)은 칼라(142)의 플랜지 표면(147A)에 대해 가압될 수 있어서 하부 부분(106)을 상승시키기 위해 동일한 방향(r2)으로 트랜스미션 액슬(114)과 칼라(142)의 회전이 야기된다.
도 4 내지 도 6과 함께, 도 10 및 도 11은 구동 유닛(126)의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 및 분해도이다. 도 4 내지 도 6 및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구동 유닛(126)은 전술된 당김 부재(120), 당김 부재(120)가 연결되는 스풀(150), 스프링(152), 단방향성 결합 장치(154) 및 링(156)을 포함할 수 있다. 스풀(150)은 단부 캡(140F)과 고정되게 연결되는 고정 샤프트(158)와 피벗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고정 샤프트(158)는 트랜스미션 액슬(114)에 대해 동축을 이룰 수 있고, 스풀(150)의 피벗 축을 형성할 수 있다. 탭(150A)은 이의 피벗 축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오프셋 배열된 위치에 스풀(150) 상에 제공될 수 있다. 스풀(150)은 제어 모듈(116)의 케이싱(140)의 외측에서 연장될 수 있는 당김 부재(120)의 단부와 부착될 수 있다.
스프링(152)은 스풀(150)의 내부 캐비티 내에 배열된 나선형 비틀림 스프링일 수 있고, 스풀(150)과 연결된 외부 단부 및 고정된 샤프트(158)과 연결된 내부 단부를 가질 수 있다. 와셔(159)(도 5에 잘 도시됨)는 스풀(150)의 내부에 스풀(150)을 보유하기 위하여 고정 샤프트(158) 주위에 조립될 수 있다. 스프링(152)은 당김 부재(120)를 감기 위하여 스풀(150)이 회전하도록 이를 편향시킬 수 있다.
단방향성 결합 장치(154)는 슬리브(160), 드럼(162) 및 볼(164)을 포함할 수 있다. 슬리브(160)는 스풀(150)에 인접하게 고정 샤프트(158)에 피벗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슬리브(160)는 내부 캐비티(166)를 형성하는 내부 원통형 측벽(165)을 가질 수 있고, 고정 샤프트(158)의 축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되는 슬롯(167)과 함께 형성된다. 슬리브(160)의 주연부는 스풀(150)의 탭(150A)이 내부에서 결합되는 노치(168)를 가질 수 있고, 이에 따라 슬리브(160)와 스풀(150)은 두 회전 방향으로 서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드럼(162)은 드럼(162) 주위에서 주변 방향으로 형성되는 밀폐된 가이드 트랙(169)이 제공된 외부 표면을 가질 수 있다. 드럼(162)은 고정 샤프트(158)에 대해 동축 방향의 축 주위에서 슬리브(160)의 내부 캐비티(166)를 통하여 피벗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드럼(162)이 슬리브(160)와 조립될 때 슬롯(167)은 가이드 트랙(169)과 부분적으로 중첩되고 볼(164)은 가이드 트랙(169) 및 슬롯(167) 내에 이동가능하게 배열될 수 있다.
링(156)은 링(156)과 드럼(162)이 고정 샤프트(158)에 의해 형성된 동일한 축 주위에서 일체로 회전할 수 있도록 드럼(162)과 동축 방향으로 부착될 수 있다. 일 실시 형태에서, 링(156)은 드럼(162)에 부착될 수 있다. 드럼(162)의 측면에 마주보는 측면에서 링(156)의 원형 립이 축방향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톱니(156A)와 함께 형성될 수 있다. 게다가, 링(156)은 내측을 향하여 돌출되는 복수의 내부 톱니(156B)가 제공된 내부 표면을 가질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은 슬리브(160), 드럼(162) 및 볼(164)들 간의 상호작용을 도시하는 도식적인 도면이다. 가이드 트랙(169)은 도 12 및 도 13에서 평면형 돌출부로 도시된다. 가이드 트랙(169)은 드럼(162) 주위에 분포된 복수의 오목형 스톱 영역(169A)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슬리브(160) 및 스풀(150)은 당김 부재(120)를 풀기 위하여 제1 방향(R1)으로 동시에 회전할 때, 볼(164)은 스톱 영역(169A)들 중 하나의 영역과 결합될 때까지 가이드 트랙(169) 및 슬롯(167)을 따라 이동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스풀(150)의 회전 이동은 슬리브(160), 볼(164) 및 드럼(162)을 통하여 링(156)에 전달될 수 있다. 즉, 당김 부재(120)에 가해진 하향 당김 동작에 따라 스풀(150)과 링(156)이 동일한 방향(R1)으로 회전한다.
도 13을 참조하면, 당김 부재(120)가 아래로 연장된 후에 구속해제될 때, 스풀(150)은 스풀(150)이 당김 부재(120)를 감기 위하여 R1에 상반된 제1 방향(r2)으로 회전하도록 강제할 수 있다. 스풀(150)과 슬리브(160)가 제2 방향으로 일체로 회전함에 따라, 볼(164)은 스톱 영역(169A)에서 멀어지도록 이동할 수 있고 차단 없이 드럼(162)의 가이드 트랙(169)을 따라 연속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스풀(150)과 슬리브(160)가 당김 부재(120)를 감기 위해 일체로 회전하는 동안에, 드럼(162)과 링(156)은 고정 상태로 유지된다.
도 4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정지 부재(128), 중심 기어(130), 캐리어(132), 유성 기어(134) 및 스위치 부재(136)는 구동 유닛(126)으로부터 트랜스미션 액슬(114)로 회전 출력을 전송하기 위한 두 트랜스미션 모드로 선택적으로 작동가능한 구동 트랜스미션 조립체를 형성하도록 배열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제1 트랜스미션 모드가 선택될 때, 제1 방향(R1)으로 구동 유닛(126)의 스풀(150) 및 링(156)의 회전 변위(즉, 당김 부재(120)가 아래로 당겨질 때 발생됨)는 하부 부분(106)을 하강시키기 위하여 제2 방향(r2)(즉, 제1 방향(R1)과 상반됨)으로 트랜스미션 액슬(114) 및 구동 부분(146)의 회전 변위를 구동할 수 있다. 제2 트랜스미션 모드가 선택될 때, 제1 방향(R1)으로 구동 유닛(126)의 스풀(150) 및 링(156)의 회전 변위는 하부 부분(106)을 상승시키기 위하여 제1 방향(r1)(즉, 방향(R1, r1)이 동일함)으로 트랜스미션 액슬(114) 및 구동 부분(146)의 회전 변위를 구동할 수 있다. 스위치 부재(136)는 전술된 제1 및 제2 트랜스미션 모드가 선택적으로 가능하도록 제1 위치(제1 트랜스미션 모드에 대응)와 제2 위치(제2 트랜스미션 모드에 대응)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도 14는 케이싱(140)의 하우징 부분(140B)과 정지 부재(128)의 조립체를 도시하는 도식적인 도면이고, 도 15는 스위치 부재(136), 캐리어(132), 유성 기어(134) 및 구동 트랜스미션 조립체의 중심 기어(130)의 배열을 도시하는 도식적인 도면이고, 도 16은 링(156) 및 중심 기어(130)와 유성 기어(134)의 연결을 도시하는 도식적인 도면이다. 정지 부재(128), 중심 기어(130), 캐리어(132), 스위치 부재(136) 및 링(156) 모두는 트랜스미션 액슬(114)의 종방향 축(X)에 대해 실질적으로 동축 방향으로 배열된다.
도 14를 참조하면, 정지 부재(128)는 고정 샤프트(158)와 정렬된 축을 갖는 디스크와 같이 형성될 수 있다. 정지 부재(128)는 스위치 부재(136)를 향하여 돌출되고 중심 홀(128A) 주위에 배열되는 복수의 톱니(128B) 및 중심 홀(128A)을 가질 수 있다. 정지 부재(128)의 외부 주변 표면은 하나 이상의 슬롯(128C)을 추가로 가질 수 있다. 정지 부재(128)가 하우징 부분(140B) 내에 배열될 때, 하우징 부분(140B)의 내부 표면으로부터 내측을 향하여 돌출되는 하나 이상의 스터드(160)는 케이싱(140)에 대해 정지 부재(128)의 회전을 차단하기 위하여 슬롯(128C) 내로 각각 끼워맞춤될 수 있다. 정지 부재(128)는 이에 따라 링(156)으로부터 축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고정된다. 게다가, 구동 부분(146)의 샤프트 부분(146A)은 구동 부분(146)이 정지 부재(128)에 대해 회전가능하도록 중심 홀(128A)을 통하여 루즈하게 연장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 및 도 15를 참조하면, 중심 기어(130)가 샤프트 부분(171)에 부착될 수 있다. 일 실시 형태에서, 중심 기어(130)와 샤프트 부분(171)은 일체 부분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중심 기어(130)는 샤프트 부분(171) 내로 구동 부분(146)의 샤프트 부분(171A)을 끼워맞춤함으로써 구동 부분(146)에 연결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중심 기어(130)와 구동 부분(146)은 서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구동 부분(146)과 트랜스미션 액슬(114)이 서로 부착되기 때문에, 중심 기어(130)가 또한 구동 부분(146)과의 연결을 통하여 트랜스미션 액슬(114)과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캐리어(132)는 고정 샤프트(158)의 축 주위에서 중심에 배열된 환형 부분(172), 환형 부분(172)의 제1 측면으로부터 돌출된 복수의 샤프트 부분(173) 및 복수의 샤프트 부분(173)의 측면에 마주보는 환형 부분(172)의 제2 측면으로부터 돌출된 슬리브 부분(174)을 포함하는 일체 부분으로 형성될 수 있다. 슬리브 부분(174)의 외부 표면은 슬리브 부분(174) 주위에서 주변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돌출 립(174A)이 제공될 수 있다. 캐리어(132)는 샤프트 부분(171) 주위에 피벗회전가능하게 조립될 수 있고, 샤프트 부분(171)은 구동 부분(146)의 샤프트 부분(146A)과의 부착을 위해 캐리어(132)의 슬리브 부분(174)과 환형 부분(172)을 통하여 축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고, 중심 기어(130)는 환형 부분(172)의 제1 측면에 배열된다. 이에 따라, 구동 부분(146)과 중심 기어(130)의 조립체 및 캐리어(132) 사이에 상대 회전이 허용된다.
스위치 부재(136)는 정지 부재(128)와 링(156) 사이의 영역에서 피벗회전가능하게 조립될 수 있다. 스위치 부재(136)는 두 가지의 상반된 방향으로 각각 돌출되는 복수의 톱니(175, 176)를 가질 수 있고, 톱니(175)는 링(156)을 향하여 돌출되고 톱니(176)는 정지 부재(128)를 향하여 돌출된다. 톱니(175, 176)는 종방향 축(X) 상에서 중심에 위치되는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한 직경의 2개이 원을 따라 각각 분포될 수 있다. 게다가, 스위치 부재(136)는 원통형 내부 측벽(178)에 의해 구획된 중심 홀(177)을 가질 수 있다. 내부 측벽(178)은 종방향 축(X)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되고 서로 각을 이루어 이격된 복수의 슬릿(178A)을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치 부재(136)는 중심 홀(177)을 통하여 배열된 캐리어(132)의 슬리브 부분(174)으로 캐리어(132)와 연결될 수 있고, 슬리브 부분(174)의 립(174A)은 스위치 부재(136)의 슬릿(178A) 내에 각각 수용된다. 스위치 부재(136)는 캐리어(132)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지만 캐리어(132)에 대해 슬리브 부분(174) 상에서 슬라이딩할 수 있다. 특히, 스위치 부재(136)는 정지 부재(128)의 톱니(128B)와 톱니(176) 또는 링(156)의 톱니(156A)와 톱니(175)를 선택적으로 결합하기 위하여 캐리어(132)에 대해 종방향 축(X)을 따라 슬라이딩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 및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 유성 기어(134)는 링(156)의 내측에 배열되고 중심 기어(130) 주위에서 캐리어(132)의 복수의 샤프트 부분(173)과 피벗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유성 기어(134)는 링(156)의 내부 톱니(156B) 및 중심 기어(130)와 각각 맞물리고 링(156)은 유성 기어(134)를 둘러싼다.
도 4 내지 도 16과 함께, 도 17 내지 도 20은 제어 모듈(116)의 예시적인 작동을 도시하는 도식적인 도면이다. 도 17에서, 스위치 부재(136)는 링(156)으로부터 결합해제되고 정지 부재(128)와 결합되는 제1 위치에 있는 것으로 도시된다(즉, 톱니(176, 128B)가 서로 결합됨). 제어 모듈(116)이 이 형상인 동안에, 당김 부재(120)는 아래로 당겨져서 스풀(150)과 링(156)이 방향(R1)으로 회전한다. 스위치 부재(136)가 정지 부재(128)와 결합되기 때문에, 방향(R1)으로 캐리어(132)와 스위치 부재(136)의 회전이 차단된다. 따라서, 스위치 부재(136)와 캐리어(132)는 고정 상태로 유지되고, 링(156)의 회전은 각각의 샤프트 부분(173) 주위에서 유성 기어(134)의 회전을 구동할 수 있고 차례로 중심 기어(130)와 유성 기어(134) 사이의 맞물림 결합을 통하여 R1에 상반된 방향(r2)으로 종방향 축(X) 주위에서 회전하도록 중심 기어(130)를 이동시킬 수 있다(또한 구동 부분(146)과 트랜스미션 액슬(114)이 이와 함께 회전가능하게 결합됨). 이는 도 18에 도식적으로 도시된다.
정지 부재(128)와 스위치 부재(136)의 결합은 창문 가리개(100)를 하강시키기 제1 트랜스미션 모드로 설정될 수 있고, 즉, 하부 부분(106)을 하강시키기 위하여 와인딩 유닛(110)으로부터 서스펜션 부재(112)가 풀리도록 상기 방향(R2)으로 트랜스미션 액슬(114), 구동 부분(146) 및 중심 기어(130)의 회전을 구동하기 위하여 당김 부재(120)가 아래로 당겨진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부분(146)의 립(146B)은 동일한 방향으로 스프링(144)의 회전을 강제하고 각각의 스프링(144)을 수축시키기 위해 프롱(144A)에 대해 가압될 수 있다. 수축된 스프링(144)이 구동 부분(146)과 함께 회전함에 따라, 스프링(144)의 프롱(144A)은 하부 부분(106)을 하강시키기 위하여 트랜스미션 액슬(114)과 칼라(142)의 회전을 야기하는, 칼라(142)의 플랜지 표면(147A)에 대해 가압될 수 있다.
도 19에서, 스위치 부재(136)는 정지 부재(128)와 구속해제되고 링(156)과 결합된 제2 위치에 있는 것으로 도시된다(즉, 톱니(175, 156A)가 서로 결합됨). 제어 모듈(116)이 이 형상인 동안에, 당김 부재(120)는 아래로 당겨져서 동일한 방향(R1)으로 링(156)과 스풀(150)의 회전이 야기된다. 링(156)과 스위치 부재(136) 간의 결합으로 인해, 링(156)의 이 회전은 스위치 부재(136), 캐리어(132) 및 캐리어(132)에 의해 지지된 유성 기어(134)를 구동하여 동일한 방향(R1)으로 종방향 축(X) 주위에서 일체로 회전할 수 있다. 이들이 종방향 축(X) 주위에서 회전함에 따라, 유성 기어(134)는 실질적으로 캐리어(132)에 대해 고정 상태로 유지된다. 중심 기어(130)와 유성 기어(134) 사이의 맞물림 결합으로 인해, 중심 기어(130), 구동 부분(146) 및 트랜스미션 액슬(114)은 도 19 및 도 20에 도식적으로 도시된 동일한 방향(R1)으로 종방향 축(X) 주위에서 일체로 회전한다.
링(156)과 스위치 부재(136)의 결합은 창문 가리개(100)를 상승시키기 위하여 제2 트랜스미션 모드로 설정될 수 있고, 즉, 당김 부재(120)는 하부 부분(106)을 상승시키기 위하여 와인딩 유닛(110) 내에 서스펜션 부재(112)가 감기도록 상기 방향(R1)으로 트랜스미션 액슬(114), 구동 부분(146) 및 중심 기어(130)의 회전을 구동하기 위하여 아래로 당겨진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부분(146)의 립(146B)은 동일한 방향으로 스프링(144)의 회전을 강제하고 각각의 스프링(144)을 수축시키기 위해 프롱(144B)에 대해 가압될 수 있다. 수축된 스프링(144)이 구동 부분(146)과 함께 회전함에 따라, 스프링(144)의 프롱(144B)은 하부 부분(106)을 상승시키기 위하여 트랜스미션 액슬(114)과 칼라(142)의 회전을 야기하는, 칼라(142)의 플랜지 표면(147B)에 대해 가압될 수 있다.
링(156), 유성 기어(134) 및 중심 기어(130)의 결합 형상으로 인해, 당김 부재(120)의 주어진 연장의 경우, 각각의 와인딩 유닛(110)에 의해 수행된 회전의 횟수는 창문 가리개(100)를 하강시키기 위한 제1 트랜스미션 모드에서 스풀(150)에 의해 수행된 회전의 횟수보다 많다. 역으로, 구동 시스템(108)이 창문 가리개(100)를 상승시키기 위한 제2 트랜스미션 모드에 있을 때, 각각의 와인딩 유닛(110)에 의해 수행된 회전의 횟수는 스풀(150)에 의해 수행된 회전의 횟수와 동일하다. 즉, 당김 부재(120)의 동일한 연장을 위해, 하부 부분(106)의 결과적인 수직 코스가 창문 가리개(100)를 상승시키기 위한 제2 트랜스미션 모드에서보다 더 크다.
도 7 내지 도 9 및 도 13을 언급하면, 당김 부재(120)가 아래로 연장된 후에 구속해제될 때(예를 들어, 상향 또는 하향 이동 모드에서), 스프링(152)은 당김 부재(120)를 감기 위해 스풀(150)이 회전하도록 가압할 수 있고, 반면, 드럼(162), 링(156), 스위치 부재(136)가 고정 상태로 유지된다. 스풀(150)이 당김 부재(120)를 감고 링(156)이 고정 상태로 유지되는 동안에, 하부 부분(106)의 매달린 중량은 스프링(144)을 확장시키기 위하여 대응 프롱(144A, 144B)에 대해 칼라(142)의 2개의 플랜지 표면(147A, 147B)들 중 하나가 가압되도록 하는 방향으로 트랜스미션 액슬(114)을 편향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확장된 스프링(144)은 하부 부분(106)을 하강시키기 위한 방향으로 트랜스미션 액슬(114)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하여 캐리어(148)의 내부 측벽(148A)과 마찰 접촉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스위치 부재(136)는 스위치 구동 메커니즘(138)을 통하여 로드 조립체(118)와 작동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로드 조립체(118)의 수동 회전 시에, 스위치 구동 메커니즘(138)은 도 17 및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156) 및 정지 부재(128)와 각각 연계된 2개의 기능 위치들 사이에서 스위치 부재(136)를 변위시키도록 작동할 수 있다.
로드 조립체(118)는 완드(180) 및 조인트 부분(181)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 도 3 및 도 5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완드(180)는 창문 가리개(100)의 전방에서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되는 신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조인트 부분(181)은 헤드 레일(102)의 단부 근처에서 케이싱(140)과 피벗회전가능하게 조립될 수 있고, 기어(182)를 가질 수 있다. 완드(180)는 세로 축(W)을 따라 연장되는 신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완드(180)의 상부 단부는 완드(180)가 파지 및 수동 조작을 돕기 위하여 수직 방향에 대해 기울어질 수 있도록 조인트 부분(181)과 피벗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완드(180)와 조인트 부분(181)은 당김 부재(120)의 이동을 위한 중공 내부를 가질 수 있다.
도 5, 6, 17 및 도 19를 참조하면, 스위치 구동 메커니즘(138)은 트랜스미션 액슬(114)의 종방향 축(X)으로부터 오프셋 배열되는 암(184)을 포함할 수 있다. 암(184)은 트랜스미션 액슬(114)의 종방향 축(X)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한 변위 축(Y)을 따라 슬라이딩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암(184)은 톱니형 부분(188)에 부착된 제1 단부에 마주보는 제2 단부 및 브래킷(186)이 제공된 제1 단부를 가질 수 있다. 브래킷(186)은 C-형상을 가질 수 있고 스위치 부재(136)를 피벗회전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톱니형 부분(188)은 로드 조립체(118)의 상부에서 기어(182)과 맞물리고, 로드 조립체(118)의 회전은 변위 축(Y)을 따라 일체로 슬라이딩하도록 암(184) 및 스위치 부재(136)를 구동할 수 있다. 따라서, 로드 조립체(118)는 전술된 2개의 기능 위치, 즉 정지 부재(128)와 결합된 제1 위치와 링(156)과 결합된 제2 위치 사이에서 스위치 부재(136)를 선택적으로 이동시키도록 회전가능하게 작동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1 변환 방향(D1)으로 로드 조립체(118)의 회전은 정지 부재(128)와 결합된 제1 위치로 스위치 부재(136)를 이동시키는 암(184)의 슬라이딩 운동을 야기할 수 있고, 제1 변환 방향(D1)에 상반된 제2 변환 방향(D2)으로 로드 조립체(118)의 회전은 링(156)과 결합된 제2 위치로 스위치 부재(136)를 이동시키는 상반된 방향으로 암(184)의 슬라이딩 운동을 야기할 수 있다.
전술된 제1 및 제2 위치 중 어느 하나의 위치에서 스위치 부재(136)를 보유하기 위하여 도 5, 도 17 및 도 19를 참조하면, 스위치 구동 메커니즘(138)은 제어 모듈(116)의 하우징 부분, 예를 들어 하우징 부분(140B)과 부착되는 디텐트(19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형태에서, 디텐트(190)는 돌출부(190A)를 갖는 탄성 부분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 부분(140B)을 통하여 배열되는 암(184)은 임의의 제1 및 제2 위치에서 스위치 부재(136)와 암(184)을 보유하기 위하여 디텐트(190)의 돌출부(190A)에 대해 접할 수 있는 돌출부(192)와 부착된다. 예를 들어, 도 17 및 도 19를 참조하면, 암(184) 상의 돌출부(192)는 링(156)과 결합된 제2 위치에 스위치 부재(136)를 보유하기 위하여 디텐트(190)의 돌출부(190A)의 우 측부(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및 정지 부재(128)와 결합된 제1 위치에서 스위치 부재(136)를 보유하기 위하여 디텐트(190)의 돌출부(190A)의 좌 측부(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에 대해 접할 수 있다. 로드 조립체(118)가 2개의 변환 방향(D1, D2)들 중 하나의 방향으로 회전할 때, 슬라이딩 암(184)은 탄성 변형을 야기하기 위하여 디텐트(190)의 돌출부(190A)에 대해 가압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스위치 부재(136)의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변환을 위해 돌출부(192)의 이동이 허용된다.
일 실시 형태에서, 일부 시각적 인디케이터가 차폐 구조물(104)의 대응 수직 변위에 따라 로드 조립체(118)의 각각의 변환 방향과 시각적으로 연계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도 21 내지 도 32는 이 목적으로 로드 조립체(118)의 하부 단부에 제공된 인디케이터 메커니즘(202)을 도시하는 도식적인 도면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인디케이터 메커니즘(202)은 완드(180)와 피벗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식 부분(204)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완드(180)의 하부 단부는 단부 커넥터(206)와 부착될 수 있고, 회전식 부분(204)은 단부 커넥터(206)와 피벗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 연결에 따라 회전식 부분(204)은 이의 세로 축(W) 주위에서 완드(180)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 단부 커넥터(206)와 회전식 부분(204) 및 완드(180)를 조립하기 위한 예시적인 구조물이 도 22 내지 도 24에 더욱 상세히 도시된다.
도 22는 도 21에 도시된 섹션(22-22)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도 23은 도 21에 도시된 섹션(23-23)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며, 도 24는 인디케이터 메커니즘(202)의 분해도이다. 명확함을 위해, 단부 커넥터(206) 및 회전식 부분(204)의 내부를 통과하는 당김 부재(120)의 일부는 도 22 및 도 23의 도면에서 환상 선으로 도시된다. 도 22 내지 도 24를 참조하면, 단부 커넥터(206)는 중공 내부를 갖는 둥근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단부 커넥터(206)의 구조적 특징부는 개구(208), 샤프트 부분(210) 및 복수의 탄성 프롱(212)을 포함한다. 개구(208)는 완드(180)와 단부 커넥터(206)을 확고히 고정하기 위하여 완드(180)의 하부 단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탄성 프롱(212)은 샤프트 부분(210)의 하부 측면에서 연장되고 각각의 탄성 프롱(212)은 외측을 향하여 돌출된 립(214)을 갖는다. 일 실시 형태에서, 탄성 프롱(212) 및 샤프트 부분(210)을 포함하는 단부 커넥터(206)는 일체 부분으로 형성될 수 있다.
회전식 부분(204)은 내부에 복수의 돌출부(220)가 제공되는 중공 내부를 가질 수 있다. 단부 커넥터(206)의 샤프트 부분(210)은 단부 커넥터(206)와 회전식 부분(204)을 피벗회전가능하게 조립하기 위하여 회전식 부분(204)의 내부를 통하여 배열될 수 있고, 탄성 프롱(212)은 단부 커넥터(206)와 회전식 부분(204)을 고정하기 위하여 돌출부(220)의 하측과 각각 결합하도록 외측을 향하여 편향될 수 있다. 당김 부재(120)의 일부는 완드(180), 회전식 부분(204) 및 단부 커넥터(206)의 각각의 중공 내부를 통하여 배열될 수 있고, 당김 부재(120)와 부착된 핸들(122)은 회전식 부분(204)에 인접하게 배열될 수 있다.
도 23을 참조하면, 회전식 부분(204)의 내부는 하나 이상의 탄성 프롱(212)과 각각 연계된 하나 이상의 슬롯(222)을 포함할 수 있고, 탄성 프롱(212)은 회전식 부분(204)이 완드(180)에 대해 세로 축(W) 주위에서 회전할 때 대응 슬롯(222)을 따라 이동한다. 슬롯(222)은 슬롯(222) 내에서 탄성 프롱(212)의 변위 범위를 제한하는 2개의 마주보는 단부 에지(222A, 222B)를 가질 수 있다. 회전식 부분(204)은 이에 따라 단부 에지(222A, 222B)에 의해 각각 형성된 제1 및 제2 각 위치들 사이에 형성된 각 범위 내에서 회전하도록 구속된다. 일부 구조적 특징부가 상기 제1 각 위치와 제2 각 위치 사이에서 회전식 부분(204)의 부주의한 회전을 방지하도록 추가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찰 접촉 캠이 탄성 프롱(212)과 슬롯(222)의 내부 측벽 사이에 형성될 수 있고 이에 따라 회전식 부분(204)은 사용자에 의한 자발적 동작 없이 제1 각 위치와 제2 각 위치 사이에서 쉽사리 회전하지 않을 수 있다.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드(180)에 대해 회전식 부분(204)의 전술된 2개의 각 위치를 시각적으로 나타내기 위하여 로드 조립체(118) 상에 마킹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전식 부분(204) 상에 포인터(226)가 제공될 수 있고, 서로 이격된 하향 마크(230) 및 상향 마크(232)가 완드(180)의 단부 커넥터(206) 상에 제공될 수 있다. 슬롯(222)의 단부 에지(222A)와 탄성 프롱(212)의 접합부에 대응하는 회전식 부분(204)의 제1 각 위치는 포인터(226)가 창문 가리개를 하강시키기 위하여 본 명세서에 기재된 제1 트랜스미션 모드를 나타낼 수 있는 하향 마크(230)와 실질적으로 정렬될 때 도달될 수 있다. 슬롯(222)의 단부 에지(222B)와 탄성 프롱(212)의 접합부에 대응하는 회전식 부분(204)의 제2 각 위치는 포인터(226)가 창문 가리개를 상승시키기 위하여 본 명세서에 기재된 제2 트랜스미션 모드를 나타낼 수 있는 상향 마크(232)와 실질적으로 정렬될 때 도달될 수 있다. 하향 및 상향 마크(230, 232)에 대한 포인터(226)의 상대 위치는 사용자가 현 트랜스미션 모드를 쉽사리 결정하고 창문 가리개를 하강 또는 상승시키기 위하여 원하는 트랜스미션 모드를 선택하기 위해 로드 조립체(118)를 회전시키는 것을 도울 수 있다.
로드 조립체(118)의 예시적인 작동이 도 21 내지 도 32에 관해 후술된다. 도 21 및 도 23에서, 포인터 마크(226)는 탄성 프롱(212)이 슬롯(222)의 단부 에지(222B)에 대해 접합하는 회전식 부분(204)의 제2 각 위치에 대응하는 상향 마크(232)와 실질적으로 정렬된다. 회전식 부분(204)의 이 위치는 스위치 부재(136)가 창문 가리개(100)를 상승시키기 위하여 제2 트랜스미션 모드에 대응하는 링(156)과 결합하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도 25 내지 도 28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창문 가리개(100)를 하강시키기를 원하는 경우, 회전식 부분(204)은 포인터(226)가 하향 마크(230)와 정렬되고 회전식 부분(204)이 도 25 및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롯(222)의 단부 에지(222A)와 탄성 프롱(212) 사이의 접촉으로 인해 제1 각 위치에서 중단될 때까지 제1 변환 방향(D1)으로 완드(180)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 회전식 부분(204)이 단부 에지(222A)에 대해 접촉한 상태로 중단되면, 제1 변환 방향(D1)으로 회전식 부분(204)의 추가 회전에 따라 그 뒤에 완드(180)와 조인트 부분(181)이 슬롯(222)의 단부 에지(222A)와 탄성 프롱(212) 사이의 접합으로 인하여 동일한 방향(D1)으로 일체로 회전할 수 있고(도 27 및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례로 전술된 바와 같이 스위치 부재(136)가 정지 부재(128)와 결합되도록 암(184)을 이동시킬 수 있다(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당김 부재(120)는 그 뒤에 창문 가리개(100)를 하강시키기 위하여 아래로 당겨질 수 있다.
도 29 내지 도 32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창문 가리개(100)를 상승시키기를 원하는 경우, 포인터(226)가 상향 마크(232)와 정렬되고 회전식 부분(204)이 도 29 및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롯(222)의 단부 에지(222B)와 탄성 프롱(212) 사이의 접촉으로 인해 제2 각 위치에서 정지될 때까지 제1 변환 방향(D1)에 상반된 제2 변환 방향(D2)으로 완드(180)에 대해 회전식 부분(204)이 회전할 수 있다.
회전식 부분(204)이 단부 에지(222B)에 대해 접촉한 상태로 중단되면, 제2 변환 방향(D2)으로 회전식 부분(204)의 추가 회전에 따라 그 뒤에 완드(180)와 조인트 부분(181)이 슬롯(222)의 단부 에지(222B)와 탄성 프롱(212) 사이의 접합으로 인하여 동일한 방향(D2)으로 일체로 회전할 수 있고(도 31 및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례로 전술된 바와 같이 스위치 부재(136)가 링(156)과 결합되도록 암(184)을 이동시킬 수 있다(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당김 부재(120)는 그 뒤에 창문 가리개(100)를 상승시키기 위하여 아래로 당겨질 수 있다. 전술된 스위치 구동 메커니즘(138)에 따라, 로드 조립체(118)는 이에 따라 창문 가리개(100)를 하강 또는 상승시키기 위하여 두 모드들 간에 구동 시스템(108)을 변환시키기 위하여 링(156)과 정지 부재(128)와 스위치 부재(136)를 선택적으로 결합시키기 위하여 2가지의 다양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게다가, 로드 조립체(118) 상에서 인디케이터 메커니즘(202)의 배열은 사용자가 구동 시스템(108)의 현 상태를 식별하고 창문 가리개(100)를 하강 또는 상승시키기 위하여 원하는 트랜스미션 모드를 선택하는데 도움이 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바와 같이 인디케이터 메커니즘(202) 및 로드 조립체(118)의 구성 및 작동 방법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형태와 상이한 구동 트랜스미션 조립체의 다른 타입과 함께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로드 조립체(118) 및 인디케이터 메커니즘(202)은 당업계에 공지된 바와 같이 에피사이클로이드 기어 장치를 사용하여 조인트 부분(181)과 연계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구조물은 창문 가리개를 하강 및 상승시키기 위하여 당김 부재의 하향 변위를 이용하고 로드 조립체를 회전시킴으로써 창문 가리개를 하강 또는 상승시키는 두 트랜스미션 모드들 간에 선택적으로 변환될 수 있는 구동 시스템을 이용한다. 구동 시스템은 작동하기에 단순하고 창문 가리개의 편리한 조절을 허용하며, 당김 부재가 제한된 연장 길이를 갖기 때문에 안전하다.
상기 구성 및 방법의 실시는 단지 특정 실시 형태들을 참고하여 설명되었다. 상기 실시 형태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지 않는다. 다수의 변형예들, 수정예들, 부가 및 개선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단일 예로서 서명된 부품들에 대해 복수의 예들이 제공될 수 있다. 예시적인 구성에서 개별 부품들로서 제공된 구조 및 기능들이 조합된 구성 또는 부품으로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및 다른 변형예들, 수정예들, 부가 및 개선들은 하기 청구범위에 속한다.

Claims (23)

  1. 창문 가리개용 구동 시스템으로서,
    창문 가리개를 접고 펼치기 위하여 회전가능한 트랜스미션 액슬,
    당김 부재를 포함하는 구동 유닛 - 상기 당김 부재는 구동 유닛이 제1 방향으로 회전 출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됨 - ,
    스위치 부재를 포함하고 트랜스미션 액슬과 연결된 구동 트랜스미션 조립체 - 스위치 부재는 구동 유닛으로부터 트랜스미션 액슬로 회전 출력을 전달하기 위하여 구동 트랜스미션 조립체의 제1 트랜스미션 모드와 제2 트랜스미션 모드를 선택적으로 허용하기 위하여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고, 제1 방향으로 구동 유닛의 회전 출력은 제1 트랜스미션 모드에서 제1 방향에 상반된 제2 방향으로 트랜스미션 액슬의 회전을 구동하며, 제1 방향으로 구동 유닛의 회전 출력은 제2 트랜스미션 모드에서 동일한 제1 방향으로 트랜스미션 액슬의 회전을 구동함 - , 및
    스위치 구동 메커니즘을 통해 스위치 부재와 연결된 로드 조립체 - 로드 조립체는 스위치 부재를 제1 위치로 변위시키기 위하여 제1 스위치 방향 및 스위치 부재를 제2 위치로 변위시키기 위하여 제1 스위치 방향과 상반된 제2 스위치 방향으로 각각 회전가능함 - 를 포함하는 구동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로드 조립체는 기어가 제공된 단부를 가지며, 스위치 구동 메커니즘은 기어와 맞물린 톱니형 부분을 가지며 스위치 부재와 연결되는 암을 포함하고, 로드 조립체가 회전함에 따라 스위치 부재와 암이 슬라이딩하는 구동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암은 트랜스미션 액슬에 대해 평행한 변위 축을 따라 슬라이딩하는 구동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암은 디텐트와 부착되는 하우징 부분을 통하여 배열되고 디텐트는 임의의 제1 및 제2 위치에 스위치 부재를 보유하는 구동 시스템.
  5. 제2항에 있어서, 암은 스위치 부재를 피벗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브래킷에 부착되는 구동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로드 조립체는 세로 축을 따라 연장되는 완드 및 완드와 피벗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식 부분을 포함하고, 회전식 부분은 완드의 세로 축 주위에서 회전가능한 구동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회전식 부분은 제1 각 위치와 제2 각 위치 사이에 형성되는 각 범위 내에서 완드에 대해 회전하도록 제한되고, 회전식 부분은 스위치 부재를 제1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제1 각 위치로 회전하고, 회전식 부분은 스위치 부재를 제2 위치로 변위시키기 위하여 제2 각 위치로 회전하는 구동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완드는 회전식 부분의 제1 및 제2 각 위치를 시각적으로 나타내는 마킹을 갖는 구동 시스템.
  9. 제6항에 있어서, 당김 부재의 부분은 회전식 부분의 중공 내부 및 완드의 중공 내부를 통하여 배열되는 구동 시스템.
  10. 제6항에 있어서, 당김 부재는 회전식 부분에 인접하게 배열될 수 있는 핸들과 연결된 단부를 갖는 구동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제1 트랜스미션 모드는 창문 가리개를 하강시키도록 선택되고, 제2 트랜스미션 모드는 창문 가리개를 상승시키기 위해 선택되는 구동 시스템.
  12. 제1항에 있어서, 구동 트랜스미션 조립체는
    트랜스미션 액슬과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트랜스미션 액슬에 대해 동축 방향으로 배열된 중심 기어, 및
    중심 기어 주위에 배열되고 캐리어에 의해 피벗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복수의 유성 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유성 기어는 중심 기어와 각각 맞물리며, 제1 트랜스미션 모드로 전달되는 제1 방향으로의 구동 유닛의 회전에 따라 캐리어에 대해 유성 기어의 각각의 회전이 구현되고, 제1 방향과 상반된 제2 방향으로 트랜스미션 액슬과 기어의 회전을 구현하는 구동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스위치 부재는 트랜스미션 액슬의 축을 따라 캐리어에 대해 슬라이딩하도록 조립되는 구동 시스템.
  14. 제12항에 있어서, 구동 유닛은 유성 기어와 내부에서 맞물리고 유성 기어 주위에 배열된 링을 추가로 포함하고, 당김 부재는 제1 방향으로 링의 회전을 구동하도록 작동되는 구동 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스위치 부재는 구동 트랜스미션 조립체가 제2 트랜스미션 모드에 있을 때 캐리어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스위치 부재가 링과 결합된 제2 위치에 배열되어 스위치 부재와 캐리어가 링과 함께 회전가능한 구동 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구동 트랜스미션 조립체가 제1 트랜스미션 모드에 있는 동안에 스위치 부재는 고정된 정지 부재와 결합되고 링으로부터 구속해제된 제1 위치에 배열되어 스위치 부재와 캐리어가 고정된 상태로 유지되는 구동 시스템.
  17. 제16항에 있어서, 스위치 부재는 정지 부재를 향하여 돌출되는 복수의 제1 톱니 및 제1 톱니의 측면에 마주보는 측면에서 링을 향하여 돌출된 복수의 제2 톱니를 갖는 구동 시스템.
  18. 제1항에 있어서, 캐비티를 갖는 케이싱 및 2개의 이격된 프롱을 가지며 캐비티 내에 배열된 스프링을 추가로 포함하고, 트랜스미션 액슬은 제1 및 제2 플랜지 표면을 가지며, 제1 플랜지 표면은 링이 고정된 상태로 유지되는 동안에 스프링을 팽창시키기 위하여 2개의 프롱들 중 제1 프롱에 대해 가압될 수 있고, 팽창된 스프링은 트랜스미션 액슬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하여 캐비티의 내측 측벽과 마찰 결합되는 구동 시스템.
  19. 제18항에 있어서, 트랜스미션 액슬은 구동 부분과 연결되고, 구동 부분은 트랜스미션 액슬이 제1 또는 제2 방향으로 회전할 때 스프링을 수축시키기 위하여 2개의 프롱들 중 하나의 프롱에 대해 가압되어 수축된 스프링은 내부 측벽과 마찰 결합을 완화시키는 구동 시스템.
  20. 제1항에 있어서, 구동 유닛은 스풀을 추가로 포함하고, 스풀은 트랜스미션 액슬이 고정된 상태로 유지되는 동안 당김 부재를 감기 위해 제2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편향되는 구동 시스템.
  21. 창문 가리개로서,
    헤드 레일, 하부 부분, 및 헤드 레일과 하부 부분 사이에 수직방향으로 배열된 차폐 구조물,
    하부 부분과 연결된 서스펜션 부재를 갖는 와인딩 유닛을 포함하고,
    전항에 따른 구동 시스템은 헤드 레일 내에 배열되고, 와인딩 유닛은 트랜스미션 액슬과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트랜스미션 액슬은 하부 부분을 상승시키기 위하여 와인딩 유닛 내로 서스펜션 부재를 감기 위해 제1 방향으로 회전하고, 하부 부분을 하강시키기 위하여 와인딩 유닛으로부터 서스펜션 부재를 풀기 위하여 제2 방향으로 회전하는 창문 가리개.
  22. 창문 가리개를 작동시키는 방법으로서, 창문 가리개는 차폐 구조물, 차폐 구조물을 하강 또는 상승시키기 위하여 제1 및 제2 변속 모드로 선택적으로 작동가능한 구동 트랜스미션 조립체, 및 수직방향으로 연장되고 구동 트랜스미션 조립체와 작동가능하게 연결된 로드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차폐 구조물을 하강시키기 위하여 제1 트랜스미션 모드를 선택하기 위하여 제1 스위칭 방향으로 로드 조립체를 회전시키는 단계, 및
    차폐 구조물을 상승시키기 위하여 제2 트랜스미션 모드를 선택하기 위하여 제1 스위칭 방향에 상반된 제2 스위칭 방향으로 로드 조립체를 회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창문 가리개는 당김 부재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제1 트랜스미션 모드가 선택되는 경우 차폐 구조물의 하향 변위를 구동하기 위하여 당김 부재를 아래로 이동시키는 단계, 및
    제2 트랜스미션 모드가 선택되는 경우 차폐 구조물의 상향 변위를 구동하기 위하여 당김 부재를 아래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KR1020167034717A 2014-06-09 2015-06-08 창문 가리개, 이의 구동 시스템 및 이의 작동 방법 KR1019630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462009361P 2014-06-09 2014-06-09
US62/009,361 2014-06-09
US201462063019P 2014-10-13 2014-10-13
US62/063,019 2014-10-13
PCT/US2015/034638 WO2015191427A2 (en) 2014-06-09 2015-06-08 Window shade, actuating system thereof,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6227A Division KR101916646B1 (ko) 2014-06-09 2015-06-08 창문 가리개, 이의 구동 시스템 및 이의 작동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7392A true KR20170007392A (ko) 2017-01-18
KR101963014B1 KR101963014B1 (ko) 2019-07-31

Family

ID=5454540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6227A KR101916646B1 (ko) 2014-06-09 2015-06-08 창문 가리개, 이의 구동 시스템 및 이의 작동 방법
KR1020167034717A KR101963014B1 (ko) 2014-06-09 2015-06-08 창문 가리개, 이의 구동 시스템 및 이의 작동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6227A KR101916646B1 (ko) 2014-06-09 2015-06-08 창문 가리개, 이의 구동 시스템 및 이의 작동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20170191310A1 (ko)
EP (1) EP3152380B1 (ko)
KR (2) KR101916646B1 (ko)
CN (1) CN105286467B (ko)
TW (1) TWI583860B (ko)
WO (1) WO2015191427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9513B1 (ko) * 2013-08-27 2014-02-07 곽재석 이중원단 블라인드의 원단 각도 조절장치
KR101916646B1 (ko) * 2014-06-09 2018-11-07 데 요 컴퍼니 리미티드 창문 가리개, 이의 구동 시스템 및 이의 작동 방법
CN205532187U (zh) * 2016-01-29 2016-08-31 亿丰综合工业股份有限公司 窗帘升降控制结构
US10538963B2 (en) * 2016-02-19 2020-01-21 Hunter Douglas Inc Wand for architectural covering
US10655385B2 (en) 2016-02-19 2020-05-19 Hunter Douglas Inc. Dual cord operating system for an architectural covering
IL244921A0 (en) * 2016-04-05 2016-07-31 Holis Industries Ltd Venetian blind control mechanism
US9957750B2 (en) * 2016-06-09 2018-05-01 Whole Space Industries Ltd Window covering positional adjustment apparatus
SE540336C2 (en) * 2016-07-01 2018-07-10 Ikea Supply Ag Locking device for a roller blind
US11713620B2 (en) * 2017-10-24 2023-08-01 Maxxmar Inc. Blind control having a narrow profile drive
CN109199057B (zh) * 2018-10-12 2021-07-13 嘉兴诺丁汉工业设计有限公司 一种可变式窗帘结构
TWI709685B (zh) * 2019-08-22 2020-11-11 程田有限公司 窗簾控制器
CN113431479B (zh) * 2021-08-03 2022-06-10 东莞市诚冠家饰有限公司 一种防回转的wrs百叶窗帘及其制作方法
US20230086941A1 (en) * 2021-09-22 2023-03-23 Teh Yor Co., Ltd. Window shade and actuating system thereof
CN115929855B (zh) * 2023-03-14 2023-05-09 河北师范大学 一种卷辊遮光帘的控制装置以及遮光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14282A (ja) * 1999-04-28 2000-11-14 Tachikawa Blind Mfg Co Ltd 横型ブラインドの操作装置
EP1431507A2 (de) * 2002-12-21 2004-06-23 MHZ HACHTEL GmbH & Co. KG Horizontal-Jalousie
US7360574B2 (en) * 2003-09-05 2008-04-22 Mariton S.A. Device for controlling a venetian blind
CN102808572A (zh) * 2012-07-30 2012-12-05 杭州欧卡索拉科技有限公司 百叶窗升降绳的卷绕排序机构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426652C (en) * 2003-04-24 2006-10-24 Frederik G. Nijs Shade operator
US20090120592A1 (en) * 2007-11-14 2009-05-14 Hunter Douglas Inc. Control unit for lift system for coverings for architectural openings
US8746320B2 (en) * 2010-02-26 2014-06-10 Teh Yor Co., Ltd. Window covering with improved controls
US8356653B2 (en) * 2010-08-25 2013-01-22 Teh Yor Co., Ltd. Control module having a clutch for raising and lowering a window shade
TWI604124B (zh) * 2012-02-23 2017-11-01 德侑股份有限公司 窗簾及其控制模組
CN103284572B (zh) * 2012-02-23 2016-01-20 德侑股份有限公司 窗帘及其控制模组
TWI531717B (zh) * 2012-06-25 2016-05-01 德侑股份有限公司 窗簾、其控制模組及操作方法
CN103505011B (zh) * 2012-06-25 2016-03-09 德侑股份有限公司 窗帘及其控制模组
CN104274053B (zh) * 2013-07-05 2016-12-07 德侑股份有限公司 窗帘、其操控系统及操作方法
KR101916646B1 (ko) * 2014-06-09 2018-11-07 데 요 컴퍼니 리미티드 창문 가리개, 이의 구동 시스템 및 이의 작동 방법
TWI570318B (zh) * 2014-06-09 2017-02-11 德侑股份有限公司 窗簾及其致動系統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14282A (ja) * 1999-04-28 2000-11-14 Tachikawa Blind Mfg Co Ltd 横型ブラインドの操作装置
EP1431507A2 (de) * 2002-12-21 2004-06-23 MHZ HACHTEL GmbH & Co. KG Horizontal-Jalousie
US7360574B2 (en) * 2003-09-05 2008-04-22 Mariton S.A. Device for controlling a venetian blind
CN102808572A (zh) * 2012-07-30 2012-12-05 杭州欧卡索拉科技有限公司 百叶窗升降绳的卷绕排序机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938764B2 (en) 2018-04-10
KR101916646B1 (ko) 2018-11-07
WO2015191427A3 (en) 2016-04-07
US20170191310A1 (en) 2017-07-06
EP3152380A2 (en) 2017-04-12
KR101963014B1 (ko) 2019-07-31
EP3152380B1 (en) 2018-08-15
CN105286467B (zh) 2018-06-05
US20170114592A1 (en) 2017-04-27
WO2015191427A2 (en) 2015-12-17
CN105286467A (zh) 2016-02-03
TWI583860B (zh) 2017-05-21
TW201546358A (zh) 2015-12-16
KR20180067716A (ko) 2018-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3014B1 (ko) 창문 가리개, 이의 구동 시스템 및 이의 작동 방법
KR101940388B1 (ko) 창문 가리개 및 이의 구동 시스템
KR101906028B1 (ko) 창문 가리개 및 이의 구동 시스템
JP6002317B2 (ja) 窓用シェード、その制御モジュール、および窓用シェードを操作する方法
EP3247859B1 (en) Window shade and control system thereof
JP5918393B2 (ja) 窓用シェードおよびその制御モジュール
KR101935124B1 (ko) 차양 및 차양용 작동 시스템
WO2011129181A1 (ja) ブラインド
US11767712B2 (en) Window shade and actuating system thereof
US11598145B2 (en) Window shade and actuating system thereof
EP2593627B1 (en) Control system for architectural coverings with reversible drive and single operating element
KR101549059B1 (ko) 블라인드 줄의 안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