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7292A - 연료 분사기의 폐쇄 시점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 - Google Patents

연료 분사기의 폐쇄 시점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7292A
KR20170007292A KR1020167031663A KR20167031663A KR20170007292A KR 20170007292 A KR20170007292 A KR 20170007292A KR 1020167031663 A KR1020167031663 A KR 1020167031663A KR 20167031663 A KR20167031663 A KR 20167031663A KR 20170007292 A KR20170007292 A KR 201700072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ezoelectric actuator
fuel injector
discharge
valve needle
curr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316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홀거 라프
Original Assignee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700072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72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20Output circuits, e.g. for controlling currents in command coils
    • F02D41/2096Output circuits, e.g. for controlling currents in command coils for controlling piezoelectric inj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30Controlling fuel injection
    • F02D41/38Controlling fuel injection of the high pressure type
    • F02D41/3809Common rail control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30Controlling fuel injection
    • F02D41/38Controlling fuel injection of the high pressure type
    • F02D41/40Controlling fuel injection of the high pressure type with means for controlling injection timing or du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20Output circuits, e.g. for controlling currents in command coils
    • F02D2041/202Output circuits, e.g. for controlling currents in command coils characterised by the control of the circuit
    • F02D2041/2055Output circuits, e.g. for controlling currents in command coils characterised by the control of the circuit with means for determining actual opening or closing tim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40Engine management systems
    • Y02T10/44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uel-Injection Apparatus (AREA)
  • Electrical Control Of Air Or Fuel Supplied To Internal-Combustion Engi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압전 액추에이터 및 밸브 니들을 구비한 연료 분사기의 폐쇄 시점(tS)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 방법에서는 연료 분사기의 밸브 니들을 폐쇄하기 위해 압전 액추에이터의 방전이 실행되며, 압전 액추에이터(110)의 신장을 특성화하는 변수(U)가 압전 액추에이터에서 수집되고, 방전 과정이 종료되기 전에 시간 간격(Δt) 동안 방전이 중단되며, 상기 시간 간격(Δt) 동안의 제1 변수(U)의 변화를 토대로 폐쇄 시점(tS)이 결정된다.

Description

연료 분사기의 폐쇄 시점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METHOD FOR DETERMINING A CLOSING TIME OF A FUEL INJECTOR}
본 발명은, 압전 액추에이터 및 밸브 니들을 구비한 연료 분사기의 폐쇄 시점(tS)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연료 분사기는 내연 기관 내부에 연료를 분사할 목적으로 사용된다. 압전 연료 분사기는, 밸브 니들에 의해서 폐쇄되는 밸브 요소로 형성된다. 압전 액추에이터는 밸브 니들을 가동시키기 위해서 이용된다. 압전 액추에이터에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압전 액추에이터가 충전되고, 이로써 밸브 니들의 개방 동작이 야기된다. 압전 액추에이터가 방전되면, 밸브 니들은 다시 폐쇄된다.
압전 액추에이터의 길이 신장은 액추에이터 전압과 액추에이터 전하 간의 관계에 영향을 미친다. 이와 같은 관계를 간단히 기술하면, 주어진 전압에서 길이 신장이 증가함에 따라 압전 액추에이터가 수용하는 전하가 점증한다고 할 수 있다. 이로부터, 압전 액추에이터의 신장 속도는 전압이 일정할 때 액추에이터 전류에 영향을 미치거나, 액추에이터 전류가 일정할 때 전압의 변화도에 영향을 미치는 점을 알 수 있다. 이론적으로는, 압전 액추에이터의 전압 및 전하로부터 매 시점에 압전 액추에이터의 순간 리프트 및 순간 파워가 계산될 수 있다.
하지만 실제로 상당한 제약이 발생한다. 압전 액추에이터의 정확한 시뮬레이션은 비선형 히스테리시스 모델을 포함하고, 압전 액추에이터는 특히 상기 히스테리시스 특성들과 관련해서도 변동하는 표본 특성을 갖는다. 또한, 기생 효과로 인해 전류 및 전압의 신호들에 항상 간섭 신호가 중첩되며, 이 간섭 신호는 리프트 및 파워의 계산 시 오류를 야기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실제로는, 액추에이터 동작 거동에서 중요 포인트를 검출하는 것, 특히 갑작스러운 속도 변화를 검출하는 것으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압전 액추에이터가 연료 분사기의 노즐 니들의 직접 작동을 위해 사용된다면, 상기와 같이 검출된 시점들은, 예를 들어 분사 종료 혹은 폐쇄 시점, 행정 정지부의 도달 또는 분사 시작이나 개방 시점과 같은, 분사 거동에서의 특징적인 시점들에 대한 추론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신뢰성 있는 검출을 위해 2개의 전기적 변수, 즉, 전류 및/또는 전압 중 적어도 하나를 검출 기간 동안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액추에이터 전류가 일정하게 유지되면, 전압 변화도와 신장 속도 간에는 전반적으로 선형 관계가 형성되며, 이 경우 전송률은 음이고, 전압 변화도에 일정한 액추에이터 전류에 의존적인 오프셋이 중첩된다. 즉, 이 경우, 신장 속도의 갑작스러운 변동이 전압 변화도의 신속한 변동에 반영되는데, 다시 말해 예를 들어 시간에 걸친 전압 곡선이 신속하게 꺾이는 데 반영된다.
상기와 같은 방식은 행정 정지 시점을 검출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밸브 니들의 개방 동작이 압전 액추에이터의 충전에 의해서 개시되고, 행정 정지는 통상 충전 과정에 이어서 수행되며, 충전 과정의 종료 후에는 액추에이터 전류가 여하간에 일정하게 0에 놓이기 때문이다. 밸브 니들이 계속 개방되어 있는 동안에는, 압전 액추에이터도 계속해서 신장되고, 액추에이터 전압은 감소한다. 밸브 니들이 행정 정지부에 도달하는 즉시, 밸브 니들이 행정 정지부에서 튕기는 경우, 전압 강하도 종료되고, 전압이 일정하게 유지되거나 심지어 다시 약간 상승하기도 한다.
액추에이터 전압이 일정하게 유지되면, 압전 액추에이터의 액추에이터 전류와 신장 속도 간에 전반적으로 비례관계가 형성된다. 즉, 이 경우 신장 속도의 갑작스러운 변화는 액추에이터 전류의 신속한 변동에 반영된다. 니들이 직접 제어되는 연료 분사기에서는, 이와 같은 방식이 밸브 니들의 폐쇄 시점을 결정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밸브 니들의 폐쇄 동작이 압전 액추에이터의 능동적인 방전에 의해서 개시되고, 그 결과로써 이와 같은 폐쇄 시점이 방전 과정 뒤에 놓이기 때문이다. 밸브 니들이 폐쇄되어 있는 동안에는, 액추에이터도 음의 속도를 갖고, 음의 액추에이터 전류가 흐른다. 밸브 니들이 시트에 도달하여 그곳에서 제동되면, 액추에이터의 신장 속도도 0으로 감소하고, 음의 액추에이터 전류가 강하한다. 이와 같은 액추에이터 전류에서의 두드러진 특징은 검출될 수 있고, 관련 시점이 폐쇄 시점을 위한 값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하지만, 폐쇄 시점이 아직 방전 과정의 종료 이전에 놓일 정도로 신속하게 밸브 니들이 폐쇄되면, 밸브 니들의 폐쇄 시점의 신뢰성 있는 검출이 제대로 기능을 하지 못한다. 방전 동안에는, 이론적으로는 액추에이터 전류가 일정하도록 사전 설정되지만, 액추에이터 전류는 매우 높은 주파수로 클럭 제어되는 출력단을 사용해서 상기 사전 설정값으로 조절된다. 그럼으로써, 액추에이터 전압 신호뿐만 아니라 전류 신호도 상당한 정도의 매우 높은 주파수 비율, 및 (이론적으로 가능해야만 하는) 액추에이터 전압으로부터의 폐쇄 시점의 타당한 검출을 방해하는, 높은 비율의 기생 간섭 성분을 포함하게 된다.
DE 10 2011 075 733 A1호로부터, 수집된 신호에서 간섭 신호가 제거됨으로써 폐쇄 시점의 검출이 개선되는 분사 밸브 작동 방법이 공지되어 있다.
그렇기 때문에, 폐쇄 시점이 압전 액추에이터의 방전 과정의 종료 이전에 놓이는 경우에도 압전 연료 분사기의 밸브 니들의 폐쇄 시점의 신뢰성 있는 결정을 가능케 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라, 특허 청구항 1의 특징들을 갖는, 연료 분사기의 폐쇄 시점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이 제안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종속 청구항들 및 이하의 상세한 설명의 대상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압전 액추에이터 및 밸브 니들을 구비한 연료 분사기의 폐쇄 시점을 결정하기에 적합하다. 이 방법에서는 연료 분사기의 밸브 니들을 폐쇄하기 위해 압전 액추에이터의 방전이 실행되는 동시에 압전 액추에이터의 신장을 특성화하는 변수가 압전 액추에이터에서 수집된다. 방전 과정이 종료되기 전에 소정의 시간 간격 동안 방전이 중단되며, 이때 상기 시간 간격 동안의 압전 액추에이터의 신장을 특성화하는 변수의 변화를 토대로 폐쇄 시점이 결정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폐쇄 시점이 방전 과정의 종료 이전에 놓이는 경우에도 압전 액추에이터를 구비한 연료 분사기에서 밸브 니들의 폐쇄 시점을 신뢰성 있게 검출할 수 있는 가능성이 제공되는데, 그 이유는, 수집된 변수에 미칠 수 있는 간섭 영향이 압전 액추에이터의 방전의 중단에 의해 회피되거나, 적어도 매우 강력하게 감소하기 때문이다.
또한, 이와 같은 연료 분사기를 위한 설계 가능성들도 확장되는데, 그 이유는, 선행 기술에 따라 더욱 확실한 검출이 가능해질 정도까지 폐쇄 시점이 방전 과정의 종료 이후에 놓이도록 주의할 필요가 더 이상 없기 때문이다. 또 다른 장점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하여, 특히 파워 일렉트로닉스 장치에서, 예컨대 제어 장치에서, 연료 분사기를 제어하는 추가의 자원이 불필요하다는 것인데, 그 이유는 변동된 제어 거동만 변환하면 되기 때문이다. 더 나아가서는, 심지어 선행 기술에 따른 방법에서보다 약간 더 많은 에너지가 제어 출력단을 통해 역으로 공급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부품들의 부하가 줄어들 것이다.
바람직하게, 시간 간격 동안 압전 액추에이터의 전류, 특히 방전 전류에 대해 상수값, 특히 0이 미리 결정된다. 액추에이터 전류가 일정하게 유지되면, 전압 변화도와 액추에이터의 신장 속도 간에 전반적으로 선형 관계가 형성된다. 시간 간격 동안 0의 값을 갖는 일정한 액추에이터 전류는 간단한 방식으로 실현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상태는 예를 들어 일 제어 장치 출력단의 모든 파워 전자식 스위치를 차단함으로써 만들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압전 액추에이터에서 수집되는, 압전 액추에이터의 신장을 특성화하는 변수는 전기 변수이다.
바람직하게, 압전 액추에이터에서 수집되는, 압전 액추에이터의 신장을 특성화하는 변수는 전압이고, 특히 폐쇄 시점은 전압 거동에서의 특유의 특징점으로부터 결정된다. 말하자면 신장 속도의 갑작스러운 변화가 전압 변화도의 신속한 변동에 반영되며, 즉, 예를 들어 시간에 걸친 전압 곡선이 신속하게 꺾이는 데 반영된다.
방전 과정은 미리 결정된 기간 이후에 그리고/또는 압전 액추에이터의 신장을 특성화하는 변수가 임계값에 도달하면 중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방전 과정이 너무 이르게, 다시 말해 밸브 니들이 아직 너무 많이 개방되어 있는 상태에서 불필요하게 중단되지 않는 점이 보장될 수 있다. 이 경우, 적합한 기간 및/또는 임계값은 예를 들어 계산, 시뮬레이션 및/또는 시운전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임계값은 연료 분사기 내에 인가되는 연료 압력에 따라 미리 결정되거나 변경된다. 이는, 연료 분사기 내에 인가되는 압력에 따라 방전 과정을 특히 시간에 걸쳐 더욱 원하는 바대로 중단시킬 수 있는데, 그 이유는 폐쇄 과정, 특히 폐쇄 과정의 속도가 압력에 좌우되기 때문이다.
바람직하게는, 방전 과정이 종료되기 전에 하나 이상의 추가 시간 간격 동안 방전이 중단된다. 이로써, 방전 과정은 전체적으로 여러 번 중단되며, 그로 인해 각각의 중단 동안의 각각의 시간 간격이 더 짧게 나타날 수 있다.
고압 어큐뮬레이터로부터 내연 기관 내부로 연료를 분사하기 위한 연료 분사기가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입부에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특히 고압 어큐뮬레이터를 구비한 내연 기관, 다시 말해 소위 커먼 레일 시스템(Common Rail System)에서는, 폐쇄 시점 및 이와 더불어 분사 종료 시점의 가급적 정확한 검출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예를 들어 내연 기관의 출력이 최적화될 수 있고, 유해 물질 배출이 줄어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계산 유닛, 예컨대 자동차의 제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특히 프로그램 기술적으로 실행하도록 설계된다.
상기 방법을 소프트웨어의 형태로 구현하는 것도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특히 실행 측 제어 장치가 또 다른 작업들을 위해서도 이용됨에 따라 어차피 존재하는 경우에는, 상기 방식이 특히 적은 비용을 야기하기 때문이다.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하기에 적합한 데이터 캐리어는 특히 디스켓, 하드 디스크, 플래시 메모리, EEPROM, CD-ROM, DVD 등이다. 컴퓨터 네트워크(인터넷, 인트라넷)를 통해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장점들 및 실시예들은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전술한 특징들 및 하기에 추가로 설명될 특징들은 여기에 제시된 조합뿐만 아니라 다른 방식으로 조합된 형태로 또는 단독으로도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실시예를 참조하여 도면에 개략적으로 도시되고,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기술될 것이다.
도 1은, 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해 동작할 수 있는 압전 연료 분사기의 개략도이다.
도 2는, 선행 기술에 따른 압전 연료 분사기의 방전 과정을 도시한 도이다.
도 3은, 선행 기술에 따른 압전 연료 분사기의 충전 과정을 도시한 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따른 압전 연료 분사기의 방전 과정의 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이다.
도 1에는, 압전 연료 분사기로서 형성되어 있고, 선행 기술에 공지되어 있으며, 도입부에서도 언급된 연료 분사기(100)의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다. 압전 연료 분사기(100)는, 제어 장치로서 형성된 계산 유닛(200)에 의해 제어되는 압전 액추에이터(110)를 포함한다. 이를 위해, 제어 장치(200)는 예를 들어 출력단과 같은 상응하는 수단을 구비한다.
압전 액추에이터(110)는 밸브 니들(130)을 구비한 밸브 요소(120)를 제어한다. 압전 액추에이터(110)와 밸브 요소(120) 간의 결합부는 도면 부호 (115)로 표시되어 있다. 이때, 결합부(15)는 직접, 다시 말하자면 소위 서보 밸브(servo valve) 없이 구현되었다. 이때, 밸브 니들(130)을 구비한 밸브 요소(120) 및 압전 액추에이터(110)는 압전 연료 분사기(100)의 구성 부품이다. 제어 장치(200)에 의해서 전류(I)가 압전 액추에이터(110) 내부에 공급되면, 전압(U)이 형성되고, 압전 액추에이터(110)의 길이가 변경되는데, 다시 말하자면 압전 액추에이터(110)가 신장된다. 압전 액추에이터(110)의 운동에 의해 밸브 니들(130)도 가동되어 개방된다. 제어 장치(200)가 다시 비활성화되면, 다시 말해 상기 제어 장치가 전류 I = 0A를 압전 액추에이터(110)에 인가하면, 압전 액추에이터(110)는 일정한 전하를 유지하게 된다. 음의 전류, 다시 말해 방전 전류가 공급이 활성화되어야 비로소 압전 액추에이터(110)가 방전되고, 밸브 니들(130)이 폐쇄된다.
도 2에서는, 선행 기술에 공지되어 있고 도입부에서 이미 언급된 바와 같이, 시간(t)에 걸쳐서 ㎲로 나타낸 압전 액추에이터의 전압(U) 변화가 V로, 그리고 전류(I)의 변화가 A로 도시되어 있는 그래프를 볼 수 있다. 전류 조절은 제어 장치 출력단의 클럭 제어에 의해서 이루어지며, 이로 인해 톱니 형상의 전류 곡선이 나타난다.
도시된 예에서, 방전 과정[음의 전류(I)]은 대략 t = 180㎲의 시간에서 시작되고, 본 실시예에서 설명되지 않는 충전 과정[양의 전류(I)]에서 종료된다. 충전 과정과 관련해서는 도 3을 참조한다.
전류(I), 여기서는 방전 전류는 평균적으로 -9A의 값을 갖는다. 전압(U)은 140V의 값에서 출발해서 강하하는 한편, 압전 액추에이터는 단축되며, 다시 말하자면 음의 신장 속도를 갖는다. 시점 t = 260㎲에서는, 압전 액추에이터가 제어 장치 내에 있는 출력단에 의해서 단락되고, 그 이후에 전류(I)는 대략 -8.5A의 상수값을 갖는다. 시점(tS)에서는 압전 액추에이터의 신장 속도가 갑자기 감소하며, 이는 전류(I)의 곡선에서 특유의 특징점(MS)에서, 다시 말해 전류 곡선이 꺾이는 부분에서 또는 전류 곡선의 기울기가 갑자기 변하는 부분에서 검출될 수 있다.
니들이 직접 제어되는 압전 연료 분사기(100)에서는,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밸브 니들(130)의 폐쇄 시점(tS)이 결정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밸브 니들(130)의 폐쇄 동작이 압전 액추에이터(110)의 능동 방전에 의해 개시되고, 그 결과 폐쇄 시점(tS)이 방전 과정 이후에 놓이기 때문이다. 밸브 니들(130)이 폐쇄되는 동안에는, 압전 액추에이터(110)도 음의 신장 속도를 갖고, 음의 전류(I)가 흐른다. 밸브 니들(130)이 시트에 도달하여 그곳에서 제동되면, 압전 액추에이터(110)의 신장 속도도 0으로 감소하고, 음의 전류(I)가 강하한다. 이와 같은 전류(I) 곡선에서의 두드러진 특징이 검출될 수 있고, 관련 시점이 폐쇄 시점(tS)을 위한 값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하지만, 주지할 점은, 도입부에서도 이미 언급된 바와 같이, 이 방법은 다만 폐쇄 시점(tS)이 방전 과정의 종료 이후에 놓이는 경우에만 충분히 제대로 기능을 한다는 것이다.
도 3에서는, 선행 기술에 공지되어 있고 도입부에서 이미 언급된 바와 같이, 충전 과정에서 시간(t)에 걸쳐 ㎲로 나타낸 압전 액추에이터의 전압(U)의 곡선이 V로 그리고 전류(I)의 곡선이 A로 도시된 그래프를 볼 수 있다.
압전 액추에이터는 전류(I)에 의해서, 본 실시예에서는 t = 0㎲에서 대략 9A의 값으로부터 출발하는 충전 전류에 의해서 충전된다. 충전 동안에는 전류(I)가 평균적으로 연속으로 감소한다. 이와 같은 곡선은, 일정한 설정값 규정에서 클럭 제어하는 출력단의 일정한 스위치 오프 지연 시간으로 인해 나타난다. 스위치 오프 때의 전류 기울기가 가파를수록, 설정값 위로의 오버슈트(overshoot)는 그만큼 더 높다. 그러나 원칙적으로, 전류 설정값은 연속으로 증가하거나 연속으로 강하하도록 미리 결정될 수도 있다. 전압(U)은 0V부터 증가하기 시작하는 한편, 압전 액추에이터는 연장된다. 시점 t = 300㎲에서는, 제어 장치 내에 있는 출력단이 비활성화되며, 이로써 전류(I)는 0A의 상수값에 도달하고, 전압(U)은 처음에는 감소하는데, 그 이유는 압전 액추에이터(110)가 계속해서 연장되기 때문이다. 시점 t0에서는 압전 액추에이터의 신장 속도가 갑자기 감소하며, 이와 같은 상황은 전압(U)의 곡선에 있는 특유의 특징점(M0)에서, 다시 말하자면 최소값에서 검출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니들이 직접 제어되는 압전 연료 분사기(100) 내에서 행정 정지 시점(t0)이 검출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밸브 니들(130)의 개방 동작이 압전 액추에이터(110)의 충전에 의해서 개시되고, 충전 과정에 연이어서 행정이 정지되며, 전류(I)가 충전 과정의 종료 후에는 일정하게 0A에 놓이기 때문이다. 밸브 니들(130)이 계속해서 개방되어 있는 동안에는, 압전 액추에이터(110)도 계속해서 연장되고, 전압(U)은 감소한다. 밸브 니들(130)이 행정 정지부에 도달하자마자, 도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밸브 니들(130)이 행정 정지부에서 튕기는 경우에는, 전압 강하도 종료되고, 전압(U)은 일정하게 유지되거나 심지어 다시 약간 상승한다.
도 4에는,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따른 방전 과정에서 시간(t)에 걸쳐 ㎲로 나타낸 압전 액추에이터의 전압(U)의 곡선이 V로 그리고 전류(I)의 곡선이 A로 나타나 있는 다이어그램이 도시되어 있다.
방전 과정은 선행 기술에도 공지된 바와 같이 시작된다. 그에 따르면, t = 20㎲에서부터 방전 과정이 시작될 때 전류(I) 및 전압(U)의 곡선들은 도 2의 곡선들에 상응하는데, 도 2에서는 방전 과정이 t = 170㎲에서부터 시작된다. 하지만, 전압(U)이 임계값(Um)에 도달하자마자, 전류(I)는 0A의 값으로 설정된다. 0A의 값은 시간 간격(Δt) 동안 유지된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는, 방전 과정이 시작된 이후로 경과한 미리 결정된 기간도 고려될 수 있는데, 이 기간 이후에는 방전이 중단된다.
이 경우, 임계값(Um) 또는 미리 결정된 기간은, 방전 과정이 거의 완전하게 종료되거나 밸브 니들이 거의 완전히 폐쇄되도록 선택될 수 있다. 상응하는 값들은 예를 들어 시운전에 의해서 결정될 수 있거나, 수학적인 모델로부터 또는 시뮬레이션으로부터 계산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시간 간격(Δt) 동안에는, 전하가 동일한 경우 압전 액추에이터(110)의 이동은 다만 전압(U)에만 작용을 미친다. 먼저, 압전 액추에이터(110)가 더 단축되는데, 이는 상승하는 전압(U)에서 알 수 있다. 하지만, 밸브 니들(130)이 압전 연료 분사기를 폐쇄하자마자, 압전 액추에이터(110)의 신장 속도는 실제로 갑자기 감소한다. 이로써, 전압(U)의 자체 거동도 변동되고, 또한 감소하거나 적어도 더 이상 상승하지 않는다. 더 상세하게 말하자면, 전압 곡선에서 상기와 같은 특유의 특징점(MS), 즉, 최대값이 압전 연료 분사기(100)의 밸브 니들(130)의 폐쇄 시점(tS)을 지시한다.
시간 간격(Δt)이 경과하면, 압전 액추에이터(110)의 방전 과정이 속행되다가 종료된다. 이제, 이러한 방식으로, 밸브 니들(130)의 폐쇄 시점(tS)은 시간상 방전 과정의 종료 이전에 놓이는 경우에도 검출될 수 있다.

Claims (13)

  1. 압전 액추에이터(110) 및 밸브 니들(130)을 구비한 연료 분사기(100)의 폐쇄 시점(tS)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 연료 분사기(100)의 밸브 니들(130)을 폐쇄하기 위해 압전 액추에이터(110)의 방전이 실행되고,
    - 상기 압전 액추에이터(110)에서 압전 액추에이터(110)의 신장을 특성화하는 변수(U)가 수집되며,
    - 방전 과정이 종료되기 전에 시간 간격(Δt) 동안 방전이 중단되고,
    - 상기 시간 간격(Δt) 동안 압전 액추에이터(110)의 신장을 특성화하는 변수(U)의 변화를 토대로 폐쇄 시점(tS)이 결정되는, 연료 분사기의 폐쇄 시점 결정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시간 간격(Δt) 동안의 압전 액추에이터(110)의 방전 전류(I)에 대한 상수값이 미리 결정되는, 연료 분사기의 폐쇄 시점 결정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시간 간격(Δt) 동안의 방전 전류(I)의 상수값은 0인, 연료 분사기의 폐쇄 시점 결정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압전 액추에이터(110)의 신장을 특성화하는 변수(U)가 전압(U)을 포함하는, 연료 분사기의 폐쇄 시점 결정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압전 액추에이터(110)의 신장을 특성화하는 변수(U)의 변화 거동에서의 특유의 특징점(MS)을 토대로 폐쇄 시점(tS)이 결정되는, 연료 분사기의 폐쇄 시점 결정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특유의 특징점(MS)은 최대값을 포함하는, 연료 분사기의 폐쇄 시점 결정 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은, 미리 결정된 기간 이후에, 그리고/또는 압전 액추에이터(110)의 신장을 특성화하는 변수(U)가 임계값(Um)에 도달하면 중단되는, 연료 분사기의 폐쇄 시점 결정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임계값은 연료 분사기(100) 내에 인가되는 연료 압력에 따라 미리 결정되거나 변경되는, 연료 분사기의 폐쇄 시점 결정 방법.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방전 과정이 종료되기 전에 하나 이상의 추가 시간 간격 동안 방전이 중단되는, 연료 분사기의 폐쇄 시점 결정 방법.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고압 어큐뮬레이터로부터 내연 기관 내부로 연료를 분사하기 위한 연료 분사기(100)가 제공되는, 연료 분사기의 폐쇄 시점 결정 방법.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계산 유닛(200).
  12. 계산 유닛(200)에서 실행될 경우 상기 계산 유닛(200)이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게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13. 제12항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기계 판독 가능 저장 매체.
KR1020167031663A 2014-05-16 2015-05-04 연료 분사기의 폐쇄 시점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 KR2017000729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4209326.0 2014-05-16
DE102014209326.0A DE102014209326A1 (de) 2014-05-16 2014-05-16 Verfahren zur Bestimmung eines Schließzeitpunktes eines Kraftstoffinjektors
PCT/EP2015/059650 WO2015173039A1 (de) 2014-05-16 2015-05-04 VERFAHREN ZUR BESTIMMUNG EINES SCHLIEßZEITPUNKTES EINES KRAFTSTOFFINJEKTOR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7292A true KR20170007292A (ko) 2017-01-18

Family

ID=531754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31663A KR20170007292A (ko) 2014-05-16 2015-05-04 연료 분사기의 폐쇄 시점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3143268A1 (ko)
KR (1) KR20170007292A (ko)
CN (1) CN106460700A (ko)
DE (1) DE102014209326A1 (ko)
WO (1) WO201517303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51956B1 (fr) 2016-05-31 2018-05-25 Continental Automotive France Procede de detection de la defaillance d'une solution logicielle d'estimation de l'instant d'interruption d'une injection de carburant d'un moteur a combustion interne
DE102016112541A1 (de) * 2016-07-08 2018-01-11 Man Diesel & Turbo Se Verfahren und Steuergerät zur Funktionsprüfung eines Gasdosierventils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472454B1 (de) * 2002-02-07 2009-08-12 Continental Automotive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detektion von betriebszuständen einer pumpe-düse-einheit
EP1488088B1 (de) * 2002-03-27 2007-05-23 Volkswagen Mechatronic GmbH & Co. K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detektion des einschlagzeitpunktes der ventilnadel eines piezo-steuerventils
EP1692383B1 (de) * 2003-12-09 2010-11-10 Continental Automotive GmbH Betriebsverfahren für einen aktor eines einspritzventils
DE102006013166A1 (de) * 2006-03-22 2007-09-27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r Bestimmung einer Öffnungsspannung eines piezoelektrischen Injektors
DE102006059070A1 (de) * 2006-12-14 2008-06-19 Robert Bosch Gmbh Kraftstoffeinspritzsystem und Verfahren zum Ermitteln eines Nadelhubanschlags in einem Kraftstoffeinspritzventil
DE102008027516B3 (de) * 2008-06-10 2010-04-01 Continental Automotive Gmbh Verfahren zur Einspritzmengenabweichungsdetektion und zur Korrektur einer Einspritzmenge sowie Einspritzsystem
DE102009000741A1 (de) * 2009-02-10 2010-08-12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m Bestimmen eines Nadelschließens
DE102011004613A1 (de) * 2011-02-23 2012-08-23 Continental Automotive Gmbh Verfahren zur Überwachung des Zustandes eines Piezoinjektors eines Kraftstoffeinspritzsystems
DE102011075733A1 (de) 2011-05-12 2012-11-15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Einspritzventils einer Brennkraftmas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143268A1 (de) 2017-03-22
WO2015173039A1 (de) 2015-11-19
CN106460700A (zh) 2017-02-22
DE102014209326A1 (de) 2015-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7345B1 (ko) 전기자가 멈춤부에 닿는 시간을 결정하기 위한 액추에이터의 변형된 전기적 작동
US8483933B2 (en) Method for operating a fuel injector
US11060475B2 (en) Valve body operation estimation device
KR20110031913A (ko) 분사 밸브, 연료 분사 시스템 및 내연기관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JP4911197B2 (ja) 直動式燃料噴射弁の制御装置
US846179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of a servo-drive
JP2008051106A (ja) 圧電燃料インジェクタ
WO2019225076A1 (ja) 燃料噴射制御装置
US20190010889A1 (en) Optimization of current injection profile for solenoid injectors
KR20170073645A (ko) 하나 이상의 전환 가능한 밸브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
JP2010523071A (ja) 容量性部材の充電方法および充電装置
JP6488015B2 (ja) インジェクタ駆動用昇圧装置
JP5924238B2 (ja) 噴射遅れ検出装置
KR20170007292A (ko) 연료 분사기의 폐쇄 시점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
JP2017089417A (ja) 燃料噴射装置の制御装置
US9453473B2 (en) Method for actuating a piezo injector of a fuel injection system
JP6497973B2 (ja) 切替可能な弁の制御方法、該方法を実施可能な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該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が格納された記憶媒体、該記憶媒体を含む電子制御装置
JP4437088B2 (ja) ピエゾアクチュエータの制御のための方法及び装置
US9976505B2 (en) Method for operating an injector of an injection system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101836030B1 (ko) 압전 서보 인젝터의 제어 밸브의 폐쇄 특성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
KR20190017792A (ko) 솔레노이드 작동형 연료 인젝터를 제어하는 방법
KR101784580B1 (ko) 연료 인젝터의 개방 에너지를 결정하는 방법
JP2019039323A (ja) 燃料噴射制御装置
JP2019094842A (ja) 燃料噴射制御装置、及び燃料噴射制御システム
JP7459834B2 (ja) 内燃機関の燃料噴射制御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