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7291A - 개선된 사이드 커튼 에어백 - Google Patents

개선된 사이드 커튼 에어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7291A
KR20170007291A KR1020167031639A KR20167031639A KR20170007291A KR 20170007291 A KR20170007291 A KR 20170007291A KR 1020167031639 A KR1020167031639 A KR 1020167031639A KR 20167031639 A KR20167031639 A KR 20167031639A KR 20170007291 A KR20170007291 A KR 201700072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flector
airbag
vehicles
vehicle
pil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316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창 주
성호 최
Original Assignee
키 세이프티 시스템즈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키 세이프티 시스템즈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키 세이프티 시스템즈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700072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72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2Curtain-type airbags deploying mainly in a vertical direction from their top ed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3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vehicle roof frames or pill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5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7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way they are fold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021/161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additional means for controlling deployment trajecto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7Inflation fluid source retainers, e.g. reaction canisters; Connection of bags, covers, diffusers or inflation fluid sources therewith or together
    • B60R2021/2177Reaction canisters characterised by material
    • B60R2021/2178Plast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차량의 루프 레일(22)을 따라 장착되는 커튼 에어백(2)은 팽창가능한 쿠션(2) 및 디플렉터(10)를 갖는다. 팽창가능한 쿠션 또는 에어백(2)은 팽창가능부(4)를 갖는다. 에어백(2)은 장착되었을 때 차량의 루프 레일(22)을 따라 연장되고, 필러(32)의 상측에 장착가능한 중간 부분을 갖는다. 디플렉터(10)는 팽창가능한 쿠션(2) 상에 또는 그 내부에 재봉되거나, 다른 방식으로 일체화되고, 중간 부분에 위치된다. 팽창가능한 쿠션(2)은 절첩되거나 감겨져서 차량에 부착된 경우에 필러(32) 및 트림(32a)의 직상부에 위치되는 디플렉터를 갖는다. 디플렉터(10)는 B, C, D 필러 또는 다른 필러의 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

Description

개선된 사이드 커튼 에어백{IMPROVED SIDE CURTAIN AIRBAG}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사이드 커튼 에어백에 관한 것이고, 더 구체적으로는 차량의 루프 레일을 따라 장착되는 에어백에 관한 것이다.
도 1을 간단히 설명하면, 도 1은 차량(24)의 승객실(23)의 루프 레일(22)을 따라 설치된 종래 기술의 커튼 에어백 모듈(20)을 도시하고 있다. 전형적인 커튼 에어백의 설치에서, 에어백은 차량의 A-필러(A-pillar)(30)로부터 B-필러(32)를 가로질러 C-필러(34)(및 다른 필러)까지 연장된다. 일반적으로, 커튼 에어백 모듈(20)은 원통형 구성으로 절첩되거나 감겨진 사각형 또는 장방형 에어백(40)을 포함한다. 절첩되거나 감겨진 에어백은 흔히 차량에 설치되기 전에 이러한 위치에 고정된다.
에어백은 팽창기(inflator)(44)에 의해 팽창된다. 본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바와 같이, 에어백 및/또는 팽창기는 이러한 상호작용을 제공하기 위해 개조된다. 팽창기는 하나 이상의 체결구 또는 브래킷(46)을 사용하여 적절한 차량의 구조에 적절히 고정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팽창기는 C-필러에 장착되지만, 팽창기(44)는 임의의 다른 필러에 인접하여 장착된다. 더욱이, 본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바와 같이, 흔히, 에어백의 하부 모서리는 종종 테더(tether)라고 지칭되는 스트랩(strap), 와이어, 또는 스프링(48)에 의해 인접하는 대응하는 필러에 고정된다. 하나의 전방 스트랩(48)이 A-필러를 따라 격납된 구성으로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다양한 부품은 정상적인 사용 시에 이것을 감추는 하나 이상의 트림 부재에 의해 차폐되어 있다. 또한 이 모듈은 B-필러에 인접하여 위치되는 디플렉터(deflector) 또는 램프(ramp; 50)를 포함할 수 있고, 이것은 에어백이 B-필러의 노출된 연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팽창함에 따라 에어백을 압박한다.
US 7,401,805는 차량, B-필러 또는 B-필러 트림에 견고하게 고정되지 않는 개선된 디플렉터 또는 램프를 개시하였다. 개선된 램프는 커튼 에어백 모듈의 일부와 관련되어 사용되고, 커튼 에어백 모듈의 일부로서 형성된다. 에어백은 이 에어백의 가장자리 영역의 팽창불가능한 부분으로부터 연장되는 탭과 같은 복수의 장착 특징부(mounting feature)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개선된 커튼 에어백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에어백 쿠션의 일부로서 제작됨으로써 비용의 발생을 방지하고, 추가의 부품의 처리를 방지하는 현저하게 단순화된 디플렉터를 제공한다.
이들 및 다른 목적은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발명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은 팽창가능한 쿠션 및 디플렉터를 가진 커튼 에어백에 관한 것이다. 이 팽창가능한 쿠션은 하나 이상의 팽창가능부를 갖는다. 디플렉터는 에어백 상에, 에어백 내에, 또는 에어백과 일체로 재봉되고, 처음에 A, B, C 및/또는 D 필러와 같은 선택된 필러의 일부의 상측에 위치된다. 그 후에, 디플렉터를 구비한 에어백은 절첩되거나 감겨지고, 차량에 부착된다. 팽창 시에 디플렉터는 관련된 필러의 노출된 연부를 차폐한다.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의 커튼 에어백은 차량에 에어백을 부착하기 위한 가장자리 영역 내에서 개구로서 형성되거나 가장자리 영역으로부터 연장되는 탭(tab)과 같은 복수의 장착 특징부를 갖는다. 이 디플렉터 및 감겨지거나 절첩된 에어백 쿠션, 또는 에어백이 장착되는 필러에 인접하는 절첩된 에어백 쿠션의 부분은 에어백 쿠션의 팽창 시에 해제되도록 구성된 파손가능한 테이프(frangible tape)에 의해 둘러싸여 있고, 여기서 에어백의 전개 시에 가스 유동 채널은 외측으로 팽창 및 팽출되어 관련된 필러의 상단부 상으로 디플렉터를 이동시킨다. 탭은 인접하는 필러의 부근에 디플렉터를 유지시킨다. 탭은 또한 에어백의 상부 시임(top seam)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도시된 커튼 에어백은 쿠션의 상부 부분의 길이를 따라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되는 종방향 가스 유동 채널을 갖고, 디플렉터는 가스 유동 채널에 인접하여 가스 유동 채널에 평행하게 재봉되거나 부착된다. 장착을 위해 절첩되거나 감겨진 에어백 쿠션은 가스 유동 채널에 인접하는 디플렉터를 갖는다. 이 디플렉터는 장착 및 적치(stowage) 중에 수직으로 배향 및 유지되고, 감겨지거나 절첩된 에어백 쿠션에 의해 루프 레일로부터 이격되어 승객실의 내부를 향한다. 이 디플렉터는 에어백 쿠션의 팽창불가능한 부분 상에 또는 그 내부에 재봉되거나 부착되는 직물, 강화 직물, 금속,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다양한 재료로 제작될 수 있다. 이 디플렉터는 차량 또는 이 차량의 루프 레일에 직접적으로 부착되거나 비개별적 부품으로서 장착된 에어백 쿠션의 일부를 형성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디플렉터는 에어백의 전개 시에 B 필러와 같은 선택된 필러의 상단부를 차폐하는 가이드를 형성하여 전개되는 에어백이 필러 상에 또는 이 필러를 차폐하는 트림(trim) 상에 포획되는 것을 방지한다. 바람직하게는, 디플렉터는 B 필러 또는 트림의 노출된 연부의 폭보다 큰 폭을 갖는다. 6 인치(15.24 cm) 이상의 폭을 가진 디플렉터가 유효한 것으로 밝혀졌다. 디플렉터의 수직 치수 또는 높이는 약 1.0 인치(2.54 cm) 이상일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일례로서 본 발명을 설명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커튼 에어백이다.
도 2는 본 발명으로 사용가능한 커튼 에어백의 평면도이다.
도 2a는, 예를 들면, 재봉에 의해 에어백에 고정되는 2 개의 전개 어셈블리를 구비하는 도 2의 에어백을 도시한다.
도 2b는 예시적인 차량 내에 설치된 도 2a의 커튼 에어백을 도시한다.
도 2c는 콤팩트한 감겨지거나 절첩된 구성으로 형성된 커튼 에어백을 도식적으로 도시한다.
도 2d는 전개 어셈블리의 플랩 또는 커버를 형성하는 부분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충분히 이격된 행어 탭을 구비하는 도 2a의 에어백의 변형예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디플렉터 어셈블리 및 커버의 평면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디플렉터 및 변형예의 평면도이다.
도 3c는 개조된 디플렉터 어셈블리를 도시한다.
도 3d는 도 2의 에어백의 상부에 부착된 디플렉터 어셈블리를 도시한다.
도 4는 플랩 및 디플렉터가 주변을 감싸고 있는 본 발명의 에어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는 필러의 상측의 위치에서 차량 상에 장착된 상태의 본 발명의 커튼 에어백의 직각도이다.
도 6은 에어백의 팽창 전의 도 5의 디플렉터의 중심을 통과하는 단면도이다.
도 6a는 차량의 필러가 자체의 정상 위치에 대해 내측으로 가압된 후의 에어백 쿠션 및 필러를 도시하는 도 6의 유사도이다.
도 7은 팽창된 후의 도 6의 에어백을 도시한다.
도 7a는 팽창된 후의 도 6a의 에어백을 도시한다.
도 7b는 도 7a의 확대도이다.
도 8은 디플렉터 어셈블리의 변형예를 도시한다.
도 8a는 에어백의 일부에 재봉된 도 8의 디플렉터 어셈블리를 도시한다.
도 9는 루프 레일에 인접하여 장착된 에어백의 다른 도면이다.
도 2는 팽창불가능한 시임, 가장자리 영역 또는 경계(3)에 의해 둘러싸여 있는 팽창가능부(4)를 가진 커튼 에어백(2)을 도시한다. 본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바와 같이, 에어백은 다수의 팽창가능한 영역(4)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에어백은 평면도로 도시되어 있고, 개념적으로 이 도면은 절첩되기 전에 테이블 상에 납작하게 놓여 있는 팽창되지 않은 에어백을 도시한다. 도 2b는 자체의 작동 환경 내에 있는 에어백을 볼 수 있도록 차량의 필러(15A, 15C)의 일부뿐만 아니라 루프 레일(15B)을 도시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차량의 승객실 내에 장착된 경우, 도시된 에어백은, 예를 들면, A 필러(15A)로부터 B 필러(32)를 가로질러 후방의 C 필러(15C)까지 연장된다. 이 에어백은 앵커(15D)를 통해 A 필러에 고정되는 테더(tether; 15)를 통해 A 필러에 연결된다. 도 2b에서 에어백(2)은 탭(14)과 같은 복수의 장착 특징부를 통해 루프 레일(22)에 연결되어 있다. 이들 탭 중 2 개는 14L로 표시되어 있고, 도시된 바와 같이 디플렉터 어셈블리에 인접하여 위치된다. 필요에 따라 이 에어백은 다른 테더 또는 기타 공지된 메커니즘을 사용하여 C 필러(또는 다른 후방 위치)에 연결될 수 있다. 도 2에서 탭(14, 14L)은 에어백 직물 상에서 하방을 향해 납작하게 위치되어 있다. 이것은 에어백 탭의 하나의 구성이다.
차량에 설치되기 전에, 이 커튼 에어백 쿠션(2)은 자체의 장착 특징부, 즉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으로 배향된 탭(14, 14L)으로 기다란 구성으로 감겨지거나 절첩되므로 에어백은 루프 레일(15B) 및 다른 필러에 고정된 탭에 대해 직립으로 설치될 수 있다. 각각의 탭은 차량에 직접적으로 에어백(2)을 고정시키기 위해 공지된 구성의 체결구(46)를 수용하기 위한 구멍 또는 개구(17)를 갖는다. 많은 경우, 에어백과 관련하여 단지 하나의 디플렉터 어셈블리(12)가 사용되고, 도 2d에서 디플렉터가 부착될 때 달성되는 위치에서 에어백에 장착된 2 개의 디플렉터 어셈블리(12)가 도시되어 있다. 제 1 디플렉터 어셈블리는 B-필러(32) 및 B-필러 트림(32a)에 의해 위치되고, 도시된 제 2 디플렉터 어셈블리는 C 필러 및 이것의 트림에 의해 위치되고, 이것은 본 발명의 융통성을 보여준다.
디플렉터 어셈블리(12)는 도 3에 더 상세히 도시되어 있고, 에어백이 관련된 필러의 상부에 대해 팽창됨에 따라, 3a에 도시된 디플렉터(10)를 바람직한 배향으로 유지한다. 디플렉터 어셈블리(12)는 디플렉터(10)를 유지하는 플랩(11)을 포함한다. 도 3d, 및 도 2d 및 다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플랩(11)은 일반적으로 2 개의 장착용 탭(14L)들 사이에서 에어백의 상부에 인접하는 에어백(2)의 자체의 가장자리 영역(3)에 재봉된다. 참조번호 11b는 재봉된 시임을 나타낸다. 도 3에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플랩(11)은 사각형 디플렉터(10)가 슬라이딩하여 진입되는 슬롯 또는 포켓(11a)을 포함한다. 도 3a의 디플렉터(10)는 사각형이고, 강성 부재, 반강성 부재 또는 심지어 유연성 부재로서 제작될 수 있고, 전개 시에 B-필러의 상부의 노출된 부분을 차폐하기 위한 충분한 폭을 가질 수 있다. 디플렉터(10)가 포켓(11a) 내에 설치된 경우, 이 포켓(11a)은 그 내부에 디플렉터(10)를 고정하도록 재봉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디플렉터는 포켓 내로 삽입된 후에 임의의 공지된 방식으로 플랩 재료에 고정될 수 있다. 다시 도 3a에 대해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사각형 디플렉터(10)는 실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3a는 디플렉터(10)의 형상이 정사각형 형상 또는 심지어 삼각형 형상(양자 모두의 형상은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음)에 접근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다른 형상도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속한다. 커버 포켓(11a)은 용접, 재봉, 리베팅 등과 같은 임의의 적절한 기법을 사용하여 커버(11)에 직접적으로 고정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필요조건이 아니다. 도 3b에서, 2 개의 유연성 디플렉터(10)는 아마도 시트 벨트 또는 유사한 재료를 사용하여 플랩(11)에 재봉된다. 재봉 시임은 참조번호 11b로 표시되어 있다.
감겨지거나 절첩되고, 장착된 후에 도시된 다양한 에어백의 각각의 경우에, 디플렉터(10)는 B 필러 또는 다른 필러와 같은 관련된 필러 및/또는 트림의 상단부에 인접하여 위치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디플렉터(10)는 에어백이 팽창됨에 따라 필러의 상단부 상에 배치될 수 있고, 이것에 의해 에어백의 전개 시에 에어백이 필러 또는 필러 트림의 상부 또는 개방 단부 상에 걸리는 것이 방지된다.
본 발명의 구성의 순서는 단계를 따를 수 있다. 도 2 또는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은 에어백(2)이 구성된다. 디플렉터 어셈블리(12)는 도 3 내지 도 3c에 따라 구성되고, 관련된 필러 및 트림의 상측, 예를 들면 B 필러(및 트림)의 상측일 수 있는 위치에서 에어백에 시임(11b)에서, 예를 들면, 재봉에 의해 고정된다. 도 3d 및 도 2b에서, 디플렉터 어셈블리의 폭은 행어 탭(hanger tab; 14L)의 양극단 측면 사이의 공간에 더욱 근접하고, 한편 도 2d에서 행어 탭(14L) 사이의 공간은 디플렉터 어셈블리(12)의 폭보다 크다.
에어백(2)은 도 2a 및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플렉터 어셈블리 또는 어셈블리(12)가 정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절첩되거나 감겨져 있다. 이러한 감김 또는 절첩은 하부로부터 시작하여 상부로 진행되고, 완성된 경우, 주지된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은, 콤팩트한 소시지 형태의 콤팩트한 구성(60)이 형성된다. 에어백(2)의 상부에 고정된 디플렉터 어셈블리(1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콤팩트하게 구성된 에어백(60)의 후측에 플랩(11)을 배치하는 에어백의 상연부(top edge)의 상측으로 굴곡된다. 다음에 이 플랩(11)은 감겨지거나 절첩된 에어백의 국부 부분을 주위에 부분 루프(loop)를 형성하도록 절첩되거나 감겨지고, 콤팩트하게 구성된 에어백(2)의 하측에서 감겨지거나 절첩됨으로써 이동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루프형의 디플렉터 어셈블리의 단부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느슨한 상태로 유지된다. 도 5, 도 6 및 다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백(60)에 대해 감겨진 배향으로 디플렉터 어셈블리(12)를 유지하기 위해 점착성 테이프(7)가 사용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감겨진 에어백(60)은 에어백의 하부의 감겨진 부분이 승객실의 외부(윈도우 포함)(62)를 향하도록 배치하는 롤링 기법을 사용하여 감겨졌다.
도 2a 내지 도 2d는 차량의 루프 레일에 에어백을 장착하기 위해 사용되는 다양한 공지된 장착 특징부를 도시한다. 에어백(2)은 하방을 향하는 상부의 가장자리 영역(3)에 재봉된 복수의 탭(14)을 사용한다. 도 2c의 상태를 달성하기 위해 모든 탭(14, 14L)은 화살표(64)를 따라 상방으로 절첩되거나 회전되므로, 이제 탭은 수직 상방으로 연장된다. 이렇게 이동된 하나의 이러한 탭(14)이 상방 배향으로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대안적으로, 탭(14)은 탭(14M)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방의 수직으로 연장되는 구성으로 에어백의 상부에 형성되거나 재봉될 수 있다. 에어백의 구성의 당업자는 양 유형의 탭이 일반적으로 동등하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더욱이, 이 에어백 장착 특징부는 탭을 포함할 필요없이, 가장자리 영역(3)에 형성된 구멍(17a)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사용된 탭 또는 장착 특징부에 무관한 장착용 체결구(46)가 탭 및, 일반적으로는, 에어백을 차량의 루프 레일을 따라 고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임의의 수의 상이한 형상 및 기능의 장착용 체결구가 사용될 수 있다. 도 4의 장착용 체결구(46)는 실례로서 제안된 것이다.
체결구 개구(17) 및 행어 탭(14L)은 관련된 필러에 대해 디플렉터(10)를 위치시키기 위해, 그리고 이 위치에서 차량의 루프 레일에 에어백을 장착하는 것을 보조하기 위해 제공된다. 디플렉터(10)는 에어백이 2 개의 탭 위치들 사이에서 편향되거나 굴곡되는 것을 방지하는 충분한 수준의 강성도를 제공함으로써, 에어백이 팽창될 때 이것이 전개됨에 따라 이 에어백은 필러 또는 이것의 트림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는 공간 내에 포획되는 것이 방지되고, 또한 필러 또는 트림의 관련되는 상단부 상의 임의의 거친 연부로부터 팽창하는 에어백을 분리시킴으로써 이 에어백이 이러한 연부에 의해 포획되거나 찢어지는 것이 방지된다. 실제로 디플렉터는 적절한 크기를 가져야 함은 분명하다. 디플렉터(10)는, B 필러와 관련하여 사용되는 경우, B 필러(및 트림)의 폭 이하의 폭을 가지며, 전형적으로는 23.8 내지 25.4 cm의 범위이다. 높이(h)는 모든 작동 상태에서 디플렉터가 필러 및/또는 트림의 상연부 상에 위치되도록 충분한 치수를 가질 필요가 있다.
도 4의 디플렉터(10)와 관련된 점선은 필러의 상부 상에 지지되는 자신의 기능이 수행될 수 있도록 디플렉터의 높이(h)가 변화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예를 들면, 그리고 이하에서 논의되는 바와 같이, 어떤 측면 충돌 사고 시에 사이드 필러는 내측으로 압입되어 필러의 상연부를 승객실 내로 더 이동시킬 수 있다. 이 디플렉터(10)는 이러한 특이한 사건에 대응할 수 있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도 5에서 에어백은 차량의 사이드 레일 또는 루프 레일에 부착되는 B 필러(32) 및 트림(32a) 상에 직접적으로 적치된 위치에 있다. 도 4에 도시된 헤드라이너(80)는 커튼 에어백(2), 팽창기 및 관련된 구조를 보호한다. 또한 B-필러 트림(32a)이 도 5에 도시되어 있고, 도식적으로 도시된 도 4에서는 B-필러를 차폐한다. 에어백의 전개 시에, 에어백(2)을 도 4의 감겨진 상태로 유지하는 해제가능한 테이프(7)는 절단되고, 이 때 커버(11)에 위치하는 디플렉터(10)는 도 4에 도시된 대체로 수직 배향인 자체의 최초 위치로부터 더욱 수평인 위치 또는 수평을 초과한 위치로 이동됨으로써 관련된 필러의 단부(22A)의 상부에 직접적으로 위치될 수 있다. 테이프 또는 커버(11)의 크기 및 이 테이프 및 커버 상의 디플렉터의 위치로 인해 디플렉터는 필러의 상부 상에 작동가능하게 위치될 수 있다.
이 에어백(2)이 계속적으로 전개되고 풀림(unrolling)에 따라, 이것은 강화된 강직용 부재 또는 디플렉터(10) 상으로 직접적으로 이동되고, 이 디플렉터(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전개 중인 에어백(2)이 필러(32) 및/또는 트림(32a)의 노출면과 부정적인 상호작용하는 것을 차단해 준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이 디플렉터 어셈블리는 B 필러와 사용되는 것에 제한되지 않고, 전술한 바와 같이, 제 2 보강 부재 또는 디플렉터(10)를 구비하는 제 2 전개 어셈블리(12)는 A 필러에 의해 후방 또는 후단부, 혹은 전방과 같이 에어백의 다른 부분에 위치되는 다른 행어 탭(14L)들 사이에 장착될 수 있다. 인정될 수 있는 바와 같이, D, E 및 F 필러 및 관련된 트림을 가지는 매우 긴 차량에서는 추가의 디플렉터(10)가 사용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팽창되어 전개된 에어백(2)을 도시하고 있다. 도 6은 도 5의 디플렉터의 중심을 통과하는 단면도이다. 도 6은 점선으로 디플렉터(10)의 팽창전 위치뿐만 아니라 테이프(7)의 절단과 함께 팽창의 개시 후의 디플렉터(10)의 순간 위치 및 B 필러 및 B-필러 트림(32a)의 상부에 위치되는 디플렉터(10)를 도시한다. 도 7은 에어백이 팽창된 후의 도 6의 에어백을 도시한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떤 심한 측면 충돌 사고의 경우에 디플렉터(10)가 B 필러 트림 및 B 필러의 상부 상에 위치될 수 있도록 디플렉터(10)의 높이(h)는 충분히 높아야 한다. 이러한 상태는 도 6a,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되어 있다. 도 6a는 단면도로서, 이미 차량의 측면, 특히 B 필러 및 트림이 도 6에 도시된 것에 비해 차량의 내측으로 압입된 것을 보여준다. 도 6a는 점선으로 디플렉터(10)의 팽창전 위치뿐만 아니라 테이프(7)의 절단과 함께 팽창의 개시 후의 디플렉터(10)의 순간 위치 및 B 필러 및 B-필러 트림의 상부에 위치되는 디플렉터(10)를 도시한다. 도 7a는 팽창된 후의 도 6의 에어백을 도시하고, 도 7b는 전체 에어백(2)의 단면을 도시한다.
평면도에서, 팽창된 챔버(4)는 착좌하고 있는 탑승자를 이 에어백(2)에 의해 차량의 측면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팽창된 체적을 제공하는 것으로 도시된다. 디플렉터(10)는, 개방되었을 때, 최초에 채워져 있는 에어백(도 4 참조)의 인접 부분(9)에 의해 가압된다. 에어백이 채워짐에 따라, 디플렉터(10)는 자체의 초기의 수직 위치로부터 필러(32) 또는 트림(32a)의 개방 단부의 직상부의 수평 위치 또는 수평 위치를 약간 초과하는 위치로 이동된다. 이것이 발생되는 경우, 에어백(2)의 나머지 부분은 이것이 전개 중에 풀려지거나 펼쳐짐에 따라 전개되어 디플렉터(10)의 직상부로 이동되고, 이것은 필러(32)의 개방 단부 상의 임의의 날카로운 장해물 상에서 에어백이 찢어지거나 포획되는 것을 차단하는 보호 커버의 역할을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 디플렉터 어셈블리(12)는 쿠션 직물 상에 직접 고정시킴으로써 쿠션 재료와 일체로 제작된다. 이 디플렉터(10)와 전체 에어백(2)은 체결구 이외의 다른 추가의 또는 별개의 부품을 필요로 함이 없이 차량 내에 용이하게 장착될 수 있도록 단일의 어셈블리로서 제공될 수 있다. 이것은 에어백 쿠션으로부터 분리되거나 심지어 디플렉터를 느슨하게 속박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에어백 탭이 사용되는 경우에도 별도의 부품 또는 램프가 제공되는 종래 기술에 비해 큰 장점이다. 이러한 느슨한 부품은 조립 중에 문제를 유발하고, 잡음 및 차량의 정상적인 작동에 영향을 주는 다른 불편한 속성을 유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유연성 커버(11)의 내부에 디플렉터(10)를 고정함으로써 추가의 잡음이나 음향의 발생 효과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도 8을 간단히 참조하면, 도 8은 2 개의 탭(14)을 추가한 것 외에는 디플렉터 어셈블리(12)와 동일한 대안적 디플렉터 어셈블리(12a)를 도시하고 있다. 도 8a에는 전개 커버(12)와 같이 시임(70)을 따라 에어백에 재봉된 전개 어셈블리(12a)가 도시되어 있다. 전개 커버로 차량에 에어백을 조립하는 초기 단계는 전술한 것과 동일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디플렉터 어셈블리(12)는 콤팩트하게 감겨진 에어백(60) 하에 감겨져 있고, 플랩(11)의 연부는 미부착 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디플렉터 어셈블리(12a)가 콤팩트한 에어백(60) 하에 감겨진 후, 하나의 탭(14L) 및 하나의 탭(14N)을 포함하는 제 1 세트의 탭은 함께 배치되므로 개구(17)는 체결구(46)가 양자 모두의 개구를 통과하여 위치될 수 있도록 정렬된다. 다음에 이 단계는 다른 탭(14L) 및 다른 탭(14N)을 포함하는 다른 세트의 탭에서 반복된다. 인정될 수 있는 바와 같이, 2 세트의 탭(14L, 14N)을 함께 결합시킴으로써 디플렉터 어셈블리(12a)는 콤팩트한 에어백(60)의 주위에 루프형으로 고정된 구성으로 유지된다. 점착성 테이프(7)는 사용되거나 제거될 수 있다. 이러한 관계는 도 9에, 그리고 도 4에서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 제공된 설명에 비추어 본 발명의 변형예가 가능하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특정의 대표적인 실시형태 및 세부 내용이 설명되었으나,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 다양한 변화 및 개조가 실시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이러한 변화는 이하의 첨부된 청구항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완전히 의도된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속하는 특정의 실시형태에서 설명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한다.

Claims (20)

  1. 차량용 커튼 에어백으로서,
    하나 이상의 팽창가능부를 가진 팽창가능한 쿠션으로서, 상기 쿠션은 차량의 루프 레일을 따라 장착가능하고, 상기 차량의 필러까지 연장되는 중간 부분을 가지는, 상기 팽창가능한 쿠션, 및
    상기 팽창가능한 쿠션에 재봉되거나 다른 방식으로 부착되고, 상기 필러의 상측에서 중간 부분에 위치된 디플렉터(deflector)를 포함하고,
    절첩되거나 감겨지고 상기 차량에 부착된 경우의 상기 팽창가능한 쿠션은 상기 필러의 상측에 상기 디플렉터를 갖는
    차량용 커튼 에어백.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에 상기 에어백을 부착하기 위한 복수의 장착용 탭(tab)을 더 포함하는
    차량용 커튼 에어백.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튼 에어백은 직접적으로 차량에 고정되거나 장착용 탭을 통해 고정되는 상부 시임 또는 가장자리 부분을 가지는
    차량용 커튼 에어백.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디플렉터는 상기 상부 시임 또는 가장자리 부분에서 또는 상부 시임 또는 가장자리 부분의 부근에서 차량의 부착 위치의 하측의 한 쌍의 장착용 탭들 사이에 이격되어 있는
    차량용 커튼 에어백.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튼 에어백은 상기 쿠션의 상부 부분의 길이를 따라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되는 종방향 가스 유동 채널을 갖고, 상기 디플렉터는 상기 가스 유동 채널에 평행하게 상기 가스 유동 채널에 인접하여 재봉되거나 부착되는
    차량용 커튼 에어백.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 쿠션은, 장착을 위해 절첩되거나 감겨진 경우에, 상기 가스 유동 채널에 인접하고 B-필러의 상측에서 차량의 내부를 향하는 디플렉터를 갖는
    차량용 커튼 에어백.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디플렉터는 장착 및 적치(stowage) 중에 수직으로 배향되어 유지되고, 감겨지거나 절첩된 에어백 쿠션에 의해 상기 루프 레일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차량용 커튼 에어백.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디플렉터 및 감겨지거나 절첩된 에어백 쿠션은 상기 에어백 쿠션의 팽창 시에 해제되도록 구성된 인열 시임(tear seam) 또는 절단 특징부(breakaway feature)를 구비한 탭 또는 탭들, 또는 파손가능한 테이프에 의해 둘러싸여 있는
    차량용 커튼 에어백.
  9. 제 7 항에 있어서,
    에어백의 전개 시에 상기 가스 유동 채널은 외측으로 팽창 및 팽출되어 상기 디플렉터를 상기 B-필러의 상단부 상에서 수평으로 외측으로 이동시키는
    차량용 커튼 에어백.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플렉터는 상기 에어백 쿠션의 팽창불가능한 부분 상에 또는 그 내부에 재봉되거나 상기 에어백 쿠션의 팽창불가능한 부분에 부착되는 직물, 강화 직물 또는 플라스틱 재료로 제작된 재료인
    차량용 커튼 에어백.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디플렉터는 상기 에어백 쿠션의 팽창불가능한 부분 상의 포켓 또는 직물 커버에 재봉된 강직성 재료인
    차량용 커튼 에어백.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플렉터는 상기 차량 또는 상기 차량의 루프 레일에 직접적으로 부착되거나 상기 차량 또는 상기 차량의 루프 레일의 비개별적 부품으로서 장착된 에어백 쿠션의 일부를 형성하는
    차량용 커튼 에어백.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디플렉터는 상기 B-필러 상에 에어백이 포획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B-필러의 상단부 상에 가이드를 형성하는
    차량용 커튼 에어백.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 쿠션은 유연성 직물 재료로 제조되고, 상기 디플렉터는 상기 쿠션 직물 상에 재봉된 상기 포켓 내에 유지되는
    차량용 커튼 에어백.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플렉터는 상기 B-필러의 상부보다 긴 길이를 갖는
    차량용 커튼 에어백.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는 6 인치(15.24 cm) 이상인
    차량용 커튼 에어백.
  17.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디플렉터는 약 1.0 인치(2.54 cm) 이상의 폭을 갖는
    차량용 커튼 에어백.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플렉터는 상기 쿠션 직물의 외부 상에 직접적으로 부착되거나 재봉되는 강직성 재료인
    차량용 커튼 에어백.
  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강직성 재료는 직조된 재료인
    차량용 커튼 에어백.
  20. 제 1 항에 있어서,
    C 필러 또는 D 필러 상에 위치되는 하나 이상의 디플렉터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커튼 에어백.
KR1020167031639A 2014-05-13 2015-05-13 개선된 사이드 커튼 에어백 KR2017000729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461992435P 2014-05-13 2014-05-13
US61/992,435 2014-05-13
PCT/US2015/030453 WO2015175587A1 (en) 2014-05-13 2015-05-13 Improved side curtain airba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7291A true KR20170007291A (ko) 2017-01-18

Family

ID=532648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31639A KR20170007291A (ko) 2014-05-13 2015-05-13 개선된 사이드 커튼 에어백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70007291A (ko)
WO (1) WO201517558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89812B1 (en) 2016-11-01 2018-02-1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ide-curtain airbag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82366B2 (en) * 2004-08-27 2007-02-27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Inflatable curtain deployment ramp
US7401805B2 (en) 2004-12-06 2008-07-22 Key Safety Systems, Inc Curtain air bag module
JP5133042B2 (ja) * 2007-12-19 2013-01-30 芦森工業株式会社 カーテンエアバッグの展開規制部材及びカーテンエアバッグの配設部構造
US7992892B2 (en) * 2009-02-27 2011-08-09 Nissan North America, Inc. Inflatable ramp for inflatable curtain side impact restraint
US8500162B2 (en) * 2011-12-22 2013-08-06 Autoliv Asp, Inc. Inflatable curtain airbag with an integrated pillar guide
KR20130103159A (ko) * 2012-03-09 2013-09-23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커튼 에어백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175587A1 (en) 2015-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17110B1 (en) Dynamically deployed device shield
US6237943B1 (en) Vehicle rollover curtain with improved deployment
US7556286B2 (en) Extended inflatable coverage of inflatable curtains
US9027954B2 (en) Airbag device
EP2390144B1 (en) Vehicle with a curtain airbag
US9505371B2 (en) Head-protecting airbag device
JP4343062B2 (ja) カーテンエアバッグ装置
US8500162B2 (en) Inflatable curtain airbag with an integrated pillar guide
US8770619B2 (en) Head protecting airbag device
MX2011008189A (es) Dispositivo de bolsa de aire proteccion de cabeza para vehiculos.
US8740247B1 (en) Airbag assembly
US7357413B2 (en) Curtain airbag device
JP2009292441A (ja) カーテンエアバッグ用ブラケット及びカーテンエアバッグ装置
JP4770777B2 (ja) カーテンエアバッグ装置
JP6895345B2 (ja) エアバッグ
JP5988611B2 (ja) エアバッグ装置
JP3353722B2 (ja) 頭部保護エアバッグ袋体
JP2004098783A (ja) 乗員拘束装置
KR20170007291A (ko) 개선된 사이드 커튼 에어백
JP2010083240A (ja) エアバッグ及びエアバッグ装置
JP6425339B2 (ja) エアバッグ
JP6703233B2 (ja) カーテンエアバッグ
US7581754B2 (en) Airbag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irbag
JP5627398B2 (ja) カーテンエアバッグ
JP6864643B2 (ja) 車両用カーテンエアバッグ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