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4597A - 의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4597A
KR20170004597A KR1020150095170A KR20150095170A KR20170004597A KR 20170004597 A KR20170004597 A KR 20170004597A KR 1020150095170 A KR1020150095170 A KR 1020150095170A KR 20150095170 A KR20150095170 A KR 20150095170A KR 20170004597 A KR20170004597 A KR 201700045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mote control
door
input unit
processing apparatus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51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90029B1 (ko
Inventor
김혜정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951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0029B1/ko
Publication of KR201700045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45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00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00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06F33/02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48Circuits, feeding, monitoring
    • E05B2047/0071Connecting lockparts by electronic communication means only, e.g. bus systems, time multiplexing

Abstract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외부와 통신을 통하여 원격 제어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보다 안전하고 에너지 소모를 줄이면서 원격 제어를 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외부 단말기와 통신하고, 상기 외부 단말기를 통해 원격제어가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컨트롤패널을 갖는 의류장치에 있어서,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에 구비되어 의류가 수용되는 의류 수용부; 상기 캐비닛에 구비되어 상기 의류 수용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를 닫힘 상태로 유지하고,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도어가 개방되도록 하는 도어개폐부; 상기 도어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는 도어개폐감지부; 상기 도어개폐부의 조작에도 불구하고, 상기 도어의 닫힘 상태를 유지하도록 활성화되는 도어잠금장치;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상기 원격제어의 가능 여부를 설정 또는 해제하도록, 상기 컨트롤패널에 구비되는 원격제어활성화 입력부; 그리고 상기 원격제어활성화가 설정된 상태에서, 상기 외부 단말기로부터 원격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도어잠금장치가 활성화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laundry treat apparatus}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외부와 통신을 통하여 원격 제어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보다 안전하고 에너지 소모를 줄이면서 원격 제어를 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의류처리장치로는 의류를 세탁하는 세탁기가 대표적이며, 의류를 건조하는 건조기나 세탁과 건조가 모두 가능한 세탁/건조기 또한 의류처리장치라 할 수 있다. 물론, 마른 의류나 일부 젖은 의류를 리프레시하는 리프레셔 또한 의류처리장치의 일례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의류처리장치는 의류 수용부에 의류를 수용하여 의류를 처리(세탁, 탈수, 건조, 리프레시 등)하게 되며, 상기 의류 수용부의 형태나 의류가 투입되는 투입구의 위치에 따라서 다양하게 분리될 수 있다.
원통형의 드럼 형태로 의류 수용부를 갖는 의류처리장치에서는 드럼이 회전하면서 의류가 처리될 수 있다. 또한, 고정된 형태의 의류 수용부를 갖는 의류처리장치에서는 상기 의류 수용부 내부로 열풍이나 스팀이 공급되면서 의류가 처리될 수 있다. 후자의 의류처리장치로는 리프레셔가 대표적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의류처리장치의 사용 형태를 보면, 사용자가 직접 의류처리장치 조작함이 일반적이다. 즉, 사용자가 의류를 직접 의류처리장치에 투입한다. 그리고 사용자는 원하는 바대로 의류처리가 수행되도록 직접 의류처리장치에 다양한 입력을 하게 된다.
그러나, 라이프 스타일의 다변화와 통신 기술의 발전에 의해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즉, 의류처리장치에서 직접 의류처리 입력을 하지 않고, 원격에서 의류처리 입력을 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즉, 원격 제어가 가능한 의류처리장치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원격 제어는, 사용자가 의류처리장치를 직접 조작하는 것이 아닌, 원격에서 상기 의류처리장치에 다양한 제어 입력을 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상기 의류처리장치와 직접 또는 간접으로 통신 연결되는 외부 단말을 통해서 제어 입력을 하여, 원격에서 의류처리장치가 제어되도록 할 수 있다. 특히, 사용자가 외부에서 스마트 폰을 이용하여 가정 내의 의류처리장치가 의류를 처리하도록 원격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일반적으로 의류처리장치는 특정한 한 사람만 사용하지 않고 여러 사람이 사용할 수 있다. 가정 내의 의류처리장치인 경우 가족 구성원 각각 필요에 따라 의류처리장치를 사용함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특정 사용자가 원치 않는 경우에 원격 제어가 수행되거나, 특정 사용자가 원하는 경우에도 원격 제어가 수행되지 못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라는 사람이 가정 내에서 세탁기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B라는 사람에 의해서 이미 세탁기가 원격 제어될 수 있다. 반대로, A라는 사람이 외부에서 세탁기를 원격 제어하고자 하는 경우, B라는 사람에 의해서 세탁기가 작동될 수 있다. 따라서, 원격제어를 하는데 있어서 특정 사용자 또는 여러 사용자 간에 혼동이 최소화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가 제공될 필요가 있다.
또한, 의류처리장치는 물, 열풍, 드럼의 구동, 스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 의류를 처리하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안전 사고를 예방하기 위하여 기본적으로는 도어가 닫혀있는 상태에서 의류처리가 수행됨이 일반적이다. 즉,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는 의류 수용부와 캐비닛에 구비되는 도어 사이가 서로 밀폐된 상태에서 의류처리가 수행됨이 일반적이다. 원격제어를 하는데 있어서 사용자가 직접 의류처리장치를 눈으로 확인하기 어렵다. 따라서, 원격제어를 하는데 있어서 안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가 제공될 필요가 있다.
출원인은 이러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특허출원번호 10-2012-0098945와 대한민국 특허출원번호 10-2012-0098946을 통하여, 전술한 필요성을 만족시키는 의류처리장치, 특히 세탁장치에 관한 발명을 개시한 바가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상기 출원된 특허를 선행 발명이라 한다.
상기 선행 발명에서, 출원인은 의류처리장치의 원격제어를 위해서, 특정 사용자가 원격제어활성화 입력부를 통하여, 원격제어를 하겠다는 의사를 의류처리장치에 직접 입력할 수 있도록 하여, 특정 사용자에 의사에 반하는 여러 가지의 문제가 발생되는 것을 최소화하도록 하였다.
즉, 상기 특정 사용자가 아닌 다른 사용자에 의해서 원격제어가 불가능한 상황이 발생되는 것을 최소화하거나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발명을 개시한 바 있다.
아울러, 상기 선행 발명에서는 안전을 고려하여, 원격제어활성화가 설정된 경우에는 도어 잠금이 수행되는 특징을 개시한 바 있다. 도어 잠금은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도어가 쉽게 개방되지 않도록 도어의 닫힘 상태를 강제로 유지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원격 제어가 수행되어 안전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기본적으로 세탁기와 같은 의류처리장치에서는,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도어잠금장치를 통한 도어 잠금이 해제된다. 따라서,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안전을 위하여 구동이 시작되지 않는다. 물론, 구동이 시작되더라도 도어가 강제로 개방되면 구동이 정지됨이 일반적이다. 왜냐하면, 구동 시작은 도어 잠금을 전제로 하고, 구동 정지는 도어 잠금 해제를 전제로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도어잠금장치를 통해 의류처리장치의 안전이 확보될 수 있다.
그러나, 선행 발명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먼저, 원격제어활성화가 설정된 시점부터 원격제어를 통해 의류처리장치가 구동되는 시점까지,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원격제어 신호를 받기 위한 대기 상태라 할 수 있다. 따라서, 기본적으로 대기 상태에서도 전력소모가 발생될 수밖에 없다.
특히, 상기 도어잠금장치는 일반적으로 솔레노이드 타입으로 구동되도록 구비되며, 도어 잠금을 위해서는 솔레노이드에 전류가 인가된다고 할 수 있다. 이는 원격제어활성화가 설정된 시점부터 원격제어를 통해 의류처리장치가 구동되는 시점까지, 항상 상기 도어잠금장치에 의한 전력 소모가 발생됨을 의미하게 된다. 즉, 의류처리장치가 구동되는 시간 구간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대기 상태 동안 상기 도어잠금장치에 의한 전력 소모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도어잠금장치뿐만 아니라 원격 제어를 위한 대기 상태에서 전력 소모를 감소시키기 위한 필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을 것이다. 물론, 전력 소모와 아울러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필요성도 매우 높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전술한 선행기술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서, 안전하게 원격제어를 수행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서, 원격제어를 위한 대기 시간 동안 대기 전력 소모를 현저히 줄일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서, 도어잠금장치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나 도어개폐감지부에 의한 대기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서, 의류처리장치의 사용에 있어서 특정 사용자나 다수 사용자 사이에 발생될 수 있는 오인이나 혼동을 방지하여, 사용이 편리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전술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외부 단말기와 통신하고, 상기 외부 단말기를 통해 원격제어가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컨트롤패널을 갖는 의류장치에 있어서,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에 구비되어 의류가 수용되는 의류 수용부; 상기 캐비닛에 구비되어 상기 의류 수용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를 닫힘 상태로 유지하고,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도어가 개방되도록 하는 도어개폐부; 상기 도어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는 도어개폐감지부; 상기 도어개폐부의 조작에도 불구하고, 상기 도어의 닫힘 상태를 유지하도록 활성화되는 도어잠금장치;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상기 원격제어의 가능 여부를 설정 또는 해제하도록, 상기 컨트롤패널에 구비되는 원격제어활성화 입력부; 그리고 상기 원격제어활성화가 설정된 상태에서, 상기 외부 단말기로부터 원격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도어잠금장치가 활성화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어잠금장치가 활성화되도록 제어한 후, 상기 수신된 원격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작동을 제어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원격제어 신호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작동은 도어잠금이 설정된 후에야 비로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원격제어활성화가 설정되면, 상기 도어개폐감지부를 통해 상기 도어의 개폐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어개폐감지부를 통해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원격제어활성화 입력부를 통해 상기 원격제어활성화를 설정하고, 상기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 상기 원격제어활성화가 불가하도록 제어함이 바람직하다. 즉, 기본적으로 도어의 닫힘을 전제로 원격제어활성화가 수행되도록 제어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원격제어활성화의 설정 후 상기 도어개폐감지부를 통해 상기 도어가 열린 상태로 감지되면, 상기 원격제어활성화를 해제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즉, 기본적으로 도어의 닫힘을 전제로 원격제어활성화가 유지되도록 제어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원격제어활성화가 설정된 후 상기 외부 단말로부터 상기 원격제어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도어개폐감지부를 통해 상기 도어의 개폐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즉, 기본적으로 도어의 닫힘 상태를 전제로 상기 원격제어신호에 따라 의류처리장치가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어가 닫힌 상태이면 상기 도어잠금장치가 활성화되도록 제어한 후, 상기 수신된 원격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며, 상기 도어가 열린 상태이면 상기 원격제어활성화를 해제하도록 제어함이 바람직하다. 즉, 기본적으로 도어의 잠금 상태를 전제로 상기 원격제어신호에 따라 의류처리장치가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도어의 잠금 상태는 항상 도어의 닫힌 상태를 의미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어가 완전히 닫히지 않는 경우에도 도어 잠금이 설정될 수 있다. 물론, 이때의 도어 잠금은 무의미하고 쉽게 도어가 열릴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도어의 잠금 설정은 도어의 닫힘을 전제로 수행됨이 매우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 먼저 도어개폐감지부를 통해 도어의 닫힘을 확인한 후 도어잠금장치를 통해 도어의 잠금을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도어의 잠금이 설정된 후 비로소 의류처리장치가 원격제어에 따라 의류처리를 할 수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의류처리장치가 원격제어 동작을 수행할 때 도어가 개방됨으로써 발생될 수 있는 문제들이 미연에 방지될 수 있다.
상기 도어잠금장치는 상기 도어잠금장치의 활성화를 위해 전력을 소모하는 기전장치임이 바람직하다. 상기 원격제어활성화가 설정된 상태에서, 상기 외부 단말로부터 원격제어 신호를 수신하기 위하여 대기하는 동안, 상기 도어잠금장치의 불활성화 상태가 유지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도어 잠금에 의해 원격제어 대기 상태(원격제어 동작을 시작하기 위해 원격제어 신호의 수신을 기다리는 상태)에서 대기 전력이 소모되는 것을 현저히 줄일 수 있게 된다.
상기 컨트롤패널에는,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상태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LED를 포함하는 전원 입력부 그리고 LED를 포함하는 시작입력부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원 입력부를 선택으로 상기 의류처리장치에 전원이 인가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온(on)되도록 제어되며, 상기 원격제어 대기모드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오프(off)되도록 제어됨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원격제어활성화가 설정된 후 기설정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오프되도록 제어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실질적으로 상기 대기 모드 기간 전체에서 디스플레이부로 인한 대기 전력 소모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원격제어활성화 입력부의 선택과 상기 시작입력부의 선택이 순차적으로 수행되어 상기 원격제어활성화가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시작 입력부의 선택은 의류처리장치의 모드 전환에 대한 사용자의 적극적인 의사의 반영을 위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시작 입력부의 선택에 의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오프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는 갑작스런 디스플레이부의 오프가 발생될 때 의류처리장치의 고장을 의심할 수 있다. 그러나, 시작 입력부의 선택에 의한 디스플레이부의 오프이므로 원격제어 모드로의 전환에 의한 디스플레이부의 오프임을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상기 원격제어활성화가 설정된 상태에서, 상기 외부 단말로부터 원격제어 신호를 수신하기 위하여 대기하는 동안, 상기 전원 입력부와 시작입력부의 LED는 온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전원 입력부와 시작입력부는 서로 개별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원 입력부와 시작입력부는 버튼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원 입력부와 시작입력부는 각각 해당하는 LED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전원 입력부와 시작입력부의 LED가 온되는 것은 이러한 입력부들이 선택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전원 입력부와 시작입력부의 LED가 온되는 상태는 장시간 지속되지 않는다. 즉, 시작입력부가 기설정 시간 동안 선택되지 않는 경우, 의류처리장치의 전원이 오프되도록 제어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대기 모드에서 양자의 LED가 온 상태로 유지됨으로 하여, 의류처리장치에 접근하는 사용자는 대기 모드 상태임을 명확히 파악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의 오프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사용자는 명확히 대기 모드 상태임을 파악할 수 있다.
상기 원격제어활성화 입력부가 선택된 후 소정 시간이 경과될 때까지 상기 시작입력부가 선택되지 않으면,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전원이 해제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물론, 시작입력부가 선택되어 원격제어활성화가 설정된 경우, 양자의 LED는 모두 온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됨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외부 단말기와 통신하고, 상기 외부 단말기를 통해 원격제어가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컨트롤패널을 갖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원격제어활성화 입력부를 통해 원격제어활성화가 설정되는 단계; 상기 원격제어활성화가 설정된 후, 외부 단말로부터 원격제어신호를 수신하기 위하여 대기하는 단계; 도어개폐감지부를 통해 도어의 개폐를 감지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수신된 원격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의류처리장치가 작동하는 원격제어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대기 단계에서, 상기 도어의 닫힌 상태를 강제적으로 유지하는 도어잠금장치를 통한 상기 도어의 잠금을 해제하고, 상기 원격제어 단계에서 상기 도어잠금장치를 통한 상기 도어의 잠금을 설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감지단계는, 상기 대기단계에서 상기 원격제어신호가 수신되기 전에 수행될 수 있다.
상기 감지단계에서 상기 도어가 열린 상태로 감지되면, 상기 원격제어활성화가 해제될 수 있다. 따라서, 도어 닫힘을 전제로 원격제어활성화가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감지단계는 상기 원격제어신호가 수신되면 수행되며, 상기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원격제어 단계가 수행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도어 닫힘을 전제로 원격제어가 수행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감지단계에서 상기 도어가 열린 상태로 감지되면, 상기 원격제어활성화가 해제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감지단계는 상기 설정단계 전에 수행되며, 상기 도어가 열린 상태로 감지되면, 상기 설정단계의 수행이 배제될 수 있다.
상기 설정단계는 상기 컨트롤패널에 구비되는 원격제어활성화 입력부와 시작입력부의 순차적인 선택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원격제어활성화 입력부가 선택된 후 상기 시작입력부가 선택되면,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가 온에서 오프(off)가 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상기 대기단계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오프가 유지되도록 제어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서, 안전하게 원격제어를 수행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서, 원격제어를 위한 대기 시간 동안 대기 전력 소모를 현저히 줄일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서, 도어잠금장치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나 도어개폐감지부에 의한 대기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서, 의류처리장치의 사용에 있어서 특정 사용자나 다수 사용자 사이에 발생될 수 있는 오인이나 혼동을 방지하여, 사용이 편리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서, 의류처리장치의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 원격제어가 수행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디스플레이부의 일례;
도 5는 원격 제어가 불가능한 경우, 외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의 일례;
도 6은 원격 제어가 가능한 경우, 외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의 일례;
도 7은 원격 제어로 의류처리장치가 동작을 시작할 때의 의류처리장치의 디스플레이부의 일례이다.
이하에서는, 사용자와 가전제품이 서버에 등록된 후, 외부 단말을 이용하여 가전제품의 온라인 서비스를 구현하는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가전제품의 일례로 안전하게 원격제어를 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에 대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의류처리장치의 일례로 세탁장치와 같은 가전제품의 경우, 원격 제어가 무조건 가능한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왜냐하면 세탁장치의 도어가 열려있는 경우나 세탁장치 내부에 처리를 위한 세탁물이 투입되지 않는 등 세탁장치가 작동 준비가 되어있지 않은 경우에 원격 제어는 무의미하기 때문이다.
아울러, 사용자가 직접 세탁장치를 조작하는 것이 아니므로, 원격 제어 시 세탁장치를 직접 조작하려고 하는 다른 사용자와의 관계에서 혼선이 발생될 우려가 있다. 또한, 원격 제어로 인한 예기치 못한 안전 사고가 발생할 우려도 있다.
일반적으로, 세탁장치와 같은 가전제품은 일반적으로 여러 명이 사람이 공통으로 사용한다. 즉, 한 가정에서 세탁장치를 이용하는 주 주체는 여러 명일 수도 있다. 따라서, 실제 세탁장치를 통한 사용자인터페이스와 원격 제어를 통한 사용자인터페이스와의 혼선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예를 들어, 한 사람은 세탁장치를 원격 제어하려 하고, 다른 사람은 세탁장치의 컨트롤패널을 직접 조작하려 할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세탁장치를 직접 조작하려 할 때, 갑자기 원격 제어를 통해 세탁장치가 작동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안전 사고가 발생할 우려도 있다. 왜냐하면, 원격 제어는 단순히 소프트웨어를 구동시키는 것이 아니라 드럼, 급수 밸브, 히터, 팬, 스팀발생기 등과 같은 하드웨어를 구동시키는 것일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하나의 가전제품을 함께 사용하는 복수 명의 사용자들 사이에 발생될 수 있는 혼선을 방지하고, 안전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선행 특허에서는 원격 제어를 하고자 하는 특정 사용자의 의사를 적극적으로 반영하기 위한 원격제어활성화 입력부, 원격제어활성화 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원격제어가 수행되는 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등의 특징을 제시한 바 있다. 물론, 상기 선행 특허에서는 외부와 통신하는 세탁장치, 세탁장치의 서버와의 통신 연결, 외부 단말기를 통해 원격 제어 등의 특징을 개시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선행 특허에서 더 나아가 원격제어활성화와 도어 개방 사이의 상관 관계를 고려하여, 보다 안전하게 원격 제어를 수행할 수 있는 세탁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특히, 원격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대기 상태, 즉 원격 제어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대기 상태에서, 대기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는 세탁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외부 단말과 통신하고 상기 외부 단말을 통해 원격제어가 가능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컨트롤패널을 갖는 의류처리장치임이 바람직하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외부 단말과 직접 통신할 수 있으며, 서버를 통해서 외부 단말과 통신할 수 있다. 이러한 특징은 선행 특허에서와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구성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드럼 타입 건조기를 일례로 의류처리장치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물론,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설명되는 건조기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기본적으로 본 실시예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므로, 캐비닛(1)과 상기 캐비닛에 구비되어 의류를 수용하는 의류 수용부(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캐비닛은 의류처리장치의 외관을 형성하며, 상기 캐비닛 내부에 의류가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되어 이러한 공간에 의류가 수용될 수 있다. 의류 수용부(3)는 캐비닛에 직접 형성될 수 있으며, 드럼 형태로 캐비닛에 수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드럼 형태로 의류 수용부가 형성된 경우에는,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드럼 구동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의류 수용부가 실질적으로 수평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드럼인 경우, 상기 드럼 내부에는 드럼 회전에 따라 의류를 들어올리고 떨어뜨리기 위해 리프터(4)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캐비닛(1)에 구비되어 상기 의류 수용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2)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도어를 열어 상기 의류 수용부 내로 의류를 투입할 수 있고, 상기 도어를 닫아 의류 처리가 진행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의류 처리가 완료되면 사용자는 상기 도어를 열어 처리된 의류를 꺼낼 수 있다.
상기 도어(2)는 힌지(5)를 통해서 캐비닛(1)에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도어(2)는 상기 힌지(5)를 통해 캐비닛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이러한 회전을 통해서 도어가 상기 의류 수용부(2)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다.
상기 도어와 캐비닛 사이에는 도어개폐부(6, 7)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개폐부는 상기 도어(2)를 닫힘 상태로 유지하고,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도어가 개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개폐부는 후크와 같은 스트라이커(7)와 상기 스트라이커와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래치 어셈블리(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트라이커는 도어에 구비되고 상기 래치 어셈블리는 캐비닛에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가 도어(2)를 닫으면, 상기 스트라이커(7)가 래치 어셈블리(6)와 결합되어 도어가 닫힌 상태로 유지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소정 힘을 가하여 도어를 열면 상기 스트라이커와 래치 어셈블리의 결합이 해제되어 도어가 개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캐비닛(1)의 전면 또는 상면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컨트롤패널(20)이 구비될 수 있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대한 블럭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제어부(10), 컨트롤패널(20), 도어개폐감지부(50) 그리고 도어잠금장치(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도어개폐감지부(50)는 도어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도어가 개방되었는지 또는 닫혀있는지를 파악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도어개폐감지부(50)의 구체적인 실시예는 후술한다. 상기 도어개폐감지부(50)는 도어개폐부(6, 7)와는 별도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도어개폐부의 기계적인 결합 및 결합 해제를 이용하여 전기적인 신호로 전환시키도록 도어개폐감지부(50)가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는, 상기 도어개폐부를 이용하여 도어 개폐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도어개폐감지부(50)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컨트롤패널(20)은 사용자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해 구비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다양한 입력을 의류처리장치에 할 수 있고, 의류처리장치의 다양한 상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패널(20)에는 사용자 입력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입력부(30)를 통해서 사용자는 의류처리장치에 각종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사용자 입력부(30)는 전원 입력부(3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전원 입력부(32)를 사용자가 선택함으로써 의류처리장치에 전원이 인가되거나 차단될 수 있다. 즉, 전원 on/off를 위해 전원 입력부(3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입력부(30)는 코스 선택부(33)를 포함할 수 있다. 코스라 함은 복수 개의 서브 사이클을 가질 수 있고, 이러한 복수 개의 서브 사이클이 자동적 그리고 순차적으로 수행되어 의류 처리가 수행되어 완료되도록 마련된 것이라 할 수 있다.
일례로 세탁 코스는 세탁수와 세제를 통한 세탁행정, 세제를 배제하고 세탁수를 통한 헹굼행정, 원심력을 이용하여 의류에서 수분을 제거하는 탈수행정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행정들이 자동적 그리고 순차적으로 진행되어 세탁 코스가 완료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세탁 코스도 세탁 대상이 되는 의류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코스 선택부(33)를 통해서 사용자는 복수 개의 코스 중에서 특정 코스를 선택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세탁장치는 이후 선택된 특정 코스에 해당하는 의류 처리 프로세서를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사용자 입력부(30)는 옵션 선택부(34)를 포함할 수 있다. 옵션 선택부는 코스 내의 다양한 인자를 변경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코스 내의 행정의 다양한 인자를 변경하도록 구비되거나, 별도의 행정이 부가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옵션 선택부(34)는 세탁 코스 종료 후 추가로 건조 행정을 선택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탈수 행정 후 열풍 공급을 통한 건조 행정이 자동적으로 수행되도록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드럼의 RPM, 작동 시간, 세탁수의 온도 그리고 헹굼 횟수 등의 변경 등 다양한 옵션을 선택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입력부(30)는 시작/정지 입력부(35)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입력부(35)는 의류처리장치의 작동을 시작하는 명령 또는 작동을 정지하도록 하는 명령을 입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사용자가 코스 선택부(33)를 통한 코스 선택이 완료하고 시작/정지 입력부(35)를 선택하면,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선택된 코스에 따라 작동을 시작하게 된다. 작동 중 시작/정지 입력부(35)를 선택하면 작동이 일시 정지될 수 있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다시 시작/정지 입력부(35)를 선택하면 작동이 재개될 수 있다.
의류가 의류 수용부에 투입된 후, 상기 코스 선택부(33), 옵션 선택부(34) 그리고 시작/정지 입력부(35)를 선택함으로써 의류처리장치가 작동하고 작동을 완료하는 것은 일반적인 의류처리장치의 사용 형태라 할 수 있다. 즉, 의류처리장치에서 사용자가 직접 의류처리장치를 조작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의류처리장치를 통해 의류를 처리하는 데는 기본적으로 일정 시간이 소요된다. 그리고, 드럼 타입의 세탁기와 같은 의류처리장치에서는 처리가 완료된 의류가 장시간 드럼 내에서 방치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왜냐하면 의류의 자중에 의해 의류에 구김이 많이 발생될 수 있고, 잔류 수분으로 인해 냄새가 발생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원격제어를 통해 의류처리장치를 사용하는 경우, 의류 처리 완료 시간을 원격으로 지정하고 사용자가 완료 시간에 맞춰 의류처리장치에 직접 접근하여 처리 완료된 의류를 꺼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회사에서 의류처리장치를 원격 제어하고, 퇴근 후 의류처리장치에 접근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가정에 도착할 시간에 맞춰 의류 처리가 완료되도록 원격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원격 제어가 가능한 상태로 유지될 필요가 있다. 다시 말하면, 원격으로 제어 명령을 수신할 준비가 되어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태를 원격제어 대기상태라 할 수 있다.
일례로, 원격 제어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전원을 인가하는 것에서부터 원격 제어가 시작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전원 인가를 원격 제어로 수행하는 것은 안전성에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격에서 전원을 인가할 때 의류처리장치 인근에 있는 다른 사용자는 의류처리장치의 고장을 의심할 수 있다. 따라서, 기본적으로 전원이 인가된 상태에서 원격 제어가 수행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컨트롤패널(20)은 LED(3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LED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으며, 전술한 각종 입력부(31, 32, 33, 34) 각각에 대응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 입력부(32)와 시작/정지 입력부(35) 각각은 LED를 포함할 수 있다. LED가 온(on) 상태인 경우 해당하는 입력부를 선택 가능함을 의미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옵션 선택부(34)도 LED를 포함할 수 있는데, 온 상태의 LED에 대응되는 특정 옵션이 선택 가능함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코스 선택부(33)에는 복수 개의 LED가 포함될 수 있다. 복수 개의 LED 중 온 상태에 해당하는 특정 코스가 선택된 것임을 의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컨트롤패널(20)은 디스플레이부(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부는 화면으로 다양한 정보를 표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 설명 문구, 현재 세탁장치의 작동 정보(예를 들어, 어떤 세탁 코스에서 어떤 행정을 진행하고 있는지에 대한 정보) 그리고 선택된 옵션에 대한 정보와 같은 다양한 정보를 표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에는 사용자가 원격 제어를 수행하겠다는 적극적인 의사를 반영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즉, 다른 사용자가 의류처리장치에 접근하는 경우 원격 제어가 수행될 수 있는 상태임을 명확히 파악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하면, 상기 의류처리장치가 원격제어 대기상태임을 명확히 파악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 사용자 입력부(30)는 원격제어활성화 입력부(31)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즉, 사용자가 상기 원격제어활성화 입력부(31)를 선택하는 경우에만 원격제어가 수행 가능한 상태가 됨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하면, 원격 제어를 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의사가 상기 원격제어활성화 입력부(31)의 선택으로 나타남이 바람직하다.
상기 원격제어활성화 입력부(31)가 선택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40)를 통해서 원격제어활성화 상태(원격제어 대기상태)임이 표시됨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LED(36)가 점등된다거나 원격제어 가능 상태임을 디스플레이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여기서의 LED는 상기 원격제어활성화 입력부(31)에 대응되는 LED일 수 있다. 따라서, 다른 사용자가 상기 의류처리장치에 접근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36)나 LED(36)를 통해서 특정 사용자가 원격 제어를 수행하려 하는 것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그러나, 후술하는 바와 같이, 원격제어 대기상태에서 소모되는 대기전력을 줄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LED(36)나 디스플레이부(40)가 대기 상태에서 항상 온되어 있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왜냐하면, 이러한 LED(36)와 디스플레이부(40)에 의한 전력 소모는 실질적으로 의류처리장치가 의류를 처리하는 것과는 무관하기 때문이다. 이에 대한 상세한 사항은 후술한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컨트롤패널(20)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부(40)는 터치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즉, 사용자 입력부(30)가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며,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를 터치함으로써 원하는 입력을 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술한 원격제어 활성화 입력부(31), 코스 선택부(33), 옵션 선택부(34)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아이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이러한 선택부들에 대응되는 LED는 생략될 수 있다. 아울러, 전원 입력부(32)와 시작입력부 또는 시작/정지 입력부(35)는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와는 별도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전원 입력부(32)와 시작입력부(35) 각각에 대응되는 LED가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사용자 입력부(30)와 디스플레이부(40)는 독립적으로 구비되든 일체로 구비되든 제어부(10)와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0)는 하드웨어 구동부(70)와 연결되어 있다.
상기 하드웨어는 드럼 구동부, 각종 밸브, 히터, 스팀발생기, 펌프, 팬 그리고 히트 펌프 등 의류처리장치에서 구동되는 다양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하드웨어의 구동부(70) 및/또는 하드웨어의 구동은 제어부(10)를 통해 제어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디스플레이부(40)의 제어 또한 상기 제어부(10)를 통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0)는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제어부와 상기 하드웨어를 제어하기 위한 메인 제어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0)는 프로그램된 바에 따라 각종 하드웨어의 구동을 제어하여 선택된 코스가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어개폐감지부(50)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즉, 도어가 열린 상태로 있는지 닫힌 상태로 있는지를 감지하는 도어개폐감지부(50)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도어개폐감지부(50)를 통해서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 세탁기의 하드웨어가 구동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 드럼이 구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안전한 상태에서 세탁기가 동작하도록 하여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어잠금장치(60)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어잠금장치(60)는 소정의 힘 이상을 견디면서 도어개폐부를 통해 지속적으로 상기 도어의 닫힘이 유지될 수 있다. 도어잠금장치(60)를 통해 도어가 잠긴 상태에서 사용자가 임의로 도어를 개방하려 하는 경우 매우 큰 힘이 필요하며, 이로 인해 도어잠금장치가 파손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어잠금장치는 매우 큰 힘을 견딜 수 있도록 설계됨이 일반적이다.
세탁기의 경우 세탁수가 차 있는 상태로 세탁이 수행될 수 있다. 아울러, 드럼이 매우 고속으로 회전될 수도 있다. 따라서, 세탁기가 동작하는 도중 도어가 열리는 경우 안전 사고가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도어잠금장치(60)를 통해 도어 잠금을 전제로 세탁기가 동작하도록 함이 일반적이다.
사용자가 원격제어활성화 입력부(31)를 통해 원격제어를 수행하겠다는 의사를 명확히 나타내고, 사용자는 특정 시간에 외부 단말기를 통해 원격 제어를 시작할 수 있다. 그러나, 어떠한 이유로 원격 제어 가능 상태에서 도어가 개방될 수 있다. 반대로,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원격제어활성화 입력부(31)가 선택되어 원격 제어 가능 상태가 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사용자가 도어 개방 상태를 간과하고 원격제어활성화 입력부(31)를 선택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원격에서 원격 제어를 수행할 수 있는데, 도어가 개방된 상태이므로 다양한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어가 개방된 상태이므로 의류처리가 제대로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의류가 의류 수용부 외부로 이탈되어 오염될 수 있다. 또한, 열풍이나 스팀 등이 캐비닛 외부로 누출되어 주변을 오염시키거나 안전 문제를 야기시킬 수 있다.
이러한 원격 제어와 도어와의 관계에서 안전성 확보 및 사용자 만족도 증진을 위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도어개폐감지부(50)와 도어잠금장치(60)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도어개폐감지부(50)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도어개폐감지부(50)는 도어의 개폐 여부에 따라 서로 다른 신호를 상기 제어부(10)로 전달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제어부(10)는 상기 도어개폐감지부(50)에서 전달받는 신호를 통해 도어의 닫힘과 열림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0)는 주기적으로 상기 도어개폐감지부(50)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를 확인할 수 있다. 일례를 1ms 주기로 전기적 신호가 반복되는 것을 수신할 수 있다. 수신된 신호의 패턴을 통해서 도어의 닫힘과 열림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도어개폐감지부(50)는 일정 주기로 하이 신호와 로우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개폐감지부(50)는 하이 신호 또는 로우 신호만 지속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즉, 하이 신호와 로우 신호의 주기적인 반복과 하이 신호와 로우 신호 중 특정 신호만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제어부는 이러한 신호의 패턴 차이를 통해 도어의 열림과 닫힘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도어개폐감지부는 도어가 닫혀있는 경우 1ms 주기로 하이 신호와 로우 신호를 반복하여 제어부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개폐감지부는 도어가 열려있는 경우 하이 또는 로우 신호만 제어부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소정 시간, 일례를 500ms 동안 하이 또는 로우 신호만 수신하는 경우, 도어가 열려있음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도어개폐감지부는 전술한 스트라이커와 래치 어셈블리의 결합인 경우 하이 신호와 로우 신호를 주기적으로 발생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스트라이커와 래치 어셈블리의 기계적 접촉 및/또는 전기적 접촉으로 인해, 하이 신호와 로우 신호를 발생시키고, 이러한 신호를 제어부(10)로 전송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반면, 스트라이커와 래치 어셈블리의 기계적 접촉 및/또는 전기적 접촉의 해제로 인해, 하이 또는 로우 신호만 발생시키고, 이러한 신호를 제어부(10)로 전송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0)는 소정 시간 동안 수신된 신호의 패턴이 일정한 경우 도어의 열림으로 판단할 수 있다. 물론, 소정 시간 동안 수신된 신호의 패턴이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경우를 도어의 열림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는 전기적 접촉과 해제에 따른 신호 발생을 달리하는 간단한 회로를 통해서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도어개폐감지부(50) 상기 스트라이커와 래치 어셈블리와 달리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어 측의 돌기(미도시)와 캐비닛 측의 택트 스위치(tact switch)를 통해 구성될 수 있다.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돌기에 의해서 상기 택트 스위치를 누르게 된다. 즉, 택트 스위치가 오프에서 온으로 전환될 수 있다. 따라서, 택트 스위치가 온으로 유지되는 동안 도어가 닫혀있는 것으로 파악될 수 있다. 물론, 그 반대의 경우도 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택트 스위치의 온과 오프 상태에서 서로 다른 신호를 제어부로 전달하여, 상기 제어부는 이러한 신호들을 통해 도어의 닫힘 여부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또 다른 예로, 마그네트와 리드 스위치(reed switch)를 통해 도어개폐감지부(50)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마그네트는 도어 측에 구비되고 리드 스위치는 캐비닛 측에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도어가 닫힘에 따라 상기 마그네트가 상기 리드 스위치를 작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리드 스위치의 작동 여부에 따라 도어의 닫힘 여부가 파악될 수 있다.
어느 경우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개폐감지부(50)를 통해 제어부(10)는 현재 도어(2)가 열린 상태인지 닫힌 상태인지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도어개폐감지부(50)를 통해서 도어(2)가 열린 상태에서 세탁기가 동작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물론, 도어(20)가 열린 상태에서 원격 제어에 의해 세탁기가 동작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어잠금장치(60)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어잠금장치(60)는 의류처리장치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장치이다. 도어잠금장치(60)는 도어개폐부(6, 7)의 조작에도 불구하고 도어(2)의 닫힘 상태를 강제로 유지하기 위한 장치라 할 수 있다.
일례로, 도어개폐부가 전술한 바와 같이 스트라이커와 래치 어셈블리로 이루어진 경우, 도어잠금장치(60)는 스트라이커와 래치 어셈블리의 결합을 강제로 유지하기 위한 장치일 수 있다. 즉, 도어잠금장치(60)는 도어를 열려는 힘이 가해지더라도 강제적으로 상기 스트라이커가 상기 래치 어셈블리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스트라이커의 움직임을 제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어잠금장치(60)는 전기를 이용하는 기계장치일 수 있다. 즉도어잠금장치(60)는 기전장치로서 상황에 따라 제어부(10)의 제어에 의해 도어 잠금을 설정 또는 해제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도어잠금장치(60)는 미도시된 솔레노이드를 포함할 수 있으며, 활성화(전류 인가)에 의해서 미도시된 코어가 이동하여 상기 스트라이커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따라서, 활성화 상태에서는 도어 잠금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반대로, 비활성화 상태에서는 상기 스트라이커의 이동이 제한되지 않기 때문은 도어의 개폐가 용이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이러한 도어잠금장치(6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의류처리장치에서는 구조, 메커니즘 그리고 도어 잠금 시점에 대한 사항은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이러한 이유로, 본 명세서에서는 도어잠금장치(60)에 대한 구조나 메커니즘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일반적으로 도어잠금장치(60)에 의한 도어 잠금 시점은 세탁기가 세탁 동작을 수행하기 전이다. 그리고, 세탁 동작을 완료할 때까지 도어 잠금이 유지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세탁코스를 선택하고 시작 버튼을 누르면 도어 잠금이 수행된다. 그리고, 도어 잠금이 완료되면 비로소 세탁코스의 수행이 시작된다. 물론, 세탁코스 도중에 도어 잠금이 해제되는 경우도 있다. 일례로, 사용자가 시작버튼(이때는 일시정지 기능의 버튼임)을 다시 누르면 세탁기는 세탁코스의 수행을 멈춘다. 즉, 기본적인 하드웨어의 구동을 멈추게 된다. 그리고 나서 도어 잠금이 해제될 수 있고, 사용자는 도어를 열어서 세탁하고자 하는 세탁물을 추가할 수 있다.
문제는, 이러한 일반적인 사용 형태, 즉 사용자가 직접 세탁기를 조작하는 형태가 아닌 원격 제어를 하는 형태에서 상기 도어잠금장치(60)로 인한 전력 낭비가 초래된다는 것이다.
세탁코스의 수행 중 도어 잠금에 사용되는 전력 소모는 안전을 위해서 필수적인 사항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전술한 선행기술에 따르면 원격제어를 수행하는 도중이 아닌 원격제어를 위한 대기 상태에서도 이러한 전력 소모가 발생될 수 있다. 즉, 세탁기가 동작하지 않는 상태에서도 도어잠금장치(60)의 활성화가 유지되어 지속적인 에너지 소모가 발생되게 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가정에서 세탁기에 대한 원격제어 활성화를 설정하고 4시간 후 회사에서 세탁기를 원격 제어할 수 있다. 즉, 4시간 후 사용자는 회사에서 세탁기가 세탁을 수행하도록 원격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4시간 동안 세탁기에서는 도어잠금장치(60)가 활성화되어 그만큼의 전력 소모가 발생하게 된다. 즉, 안전이나 세탁 효율 증진과 무관하게 불필요한 전력 소모가 발생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불필요한 전력 소모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원격제어 대기상태에서 대기 전력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대한 제어 플로우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사용자에 의해서 의류처리장치에 전원이 인가(S10)되면,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작동을 위한 사용자의 입력을 기다리는 대기 상태가 된다. 일반적으로는 코스 선택부(33)를 통해 코스를 입력받고 시작/정지 입력부(35)의 입력을 받으면, 선택된 코스에 따라 의류처리장치가 작동을 시작하여 종료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원 인가(S10)와 함께 원격제어활성화 입력부(31)를 통한 입력이 가해질 수 있다. 즉, 원격제어를 수행할 수 있는 상태로 만들기 위한 단계들이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원격제어활성화 입력부(31)의 입력 자체가 원격제어활성화 설정을 의미하지 않음이 바람직하다. 즉, 설정은 전제 조건이 충족된 후에야 수행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원격제어활성화는 '스마트 레디(smart ready)'이나 '리모트 이너블(remote enable)' 등 다양하게 이름 붙여질 수 있다.
먼저, 제어부(10)는 원격제어활성화 입력부(31)의 입력이 수행되었는지 판단한다. 즉, 원격제어활성화 입력부(31)의 입력을 받고 원격제어 활성화를 설정하는 단계(S20)가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0)는 원격제어활성화 설정을 위한 전제 조건이 충족되는지를 판단하게 되며, 전제 조건이 충족되면 원격제어활성화를 설정하게 된다. 만약, 원격제어활성화가 설정되지 않고 일반적인 제어 입력(사용자의 직접적인 코스 입력과 시작 입력)이 있는 경우에는 이에 따라 의류처리장치가 작동(S30)하게 된다.
이러한 원격제어 활성화가 설정되는 단계(S20)에서 제어부는 도어의 열림 감지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0)는 도어가 닫힘 상태임을 전제로 원격제어 활성화를 설정하게 된다. 물론, 이러한 도어의 열림 감지는 도어개폐감지부(50)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원격제어 활성화가 설정(S20)되면 의류처리장치는 원격제어 대기상태(S40)가 된다. 즉, 원격제어 대기모드로 전환된다. 원격제어 대기모드는 외부 단말기로부터 원격제어 신호를 수신하기 위하여 대기하는 상태를 의미한다. 이러한 대기 모드의 수행시간은 가변된다. 왜냐하면, 언제 사용자가 원격제어 신호를 단말기를 통해 상기 의류처리장치로 송신할지 미정이기 때문이다. 물론, 매우 긴 시간, 예를 들어 12시간 내에 대기 모드가 수행되고 이 시간 내에 원격제어 신호가 미수신되면 자동적으로 대기모드 해제 및 원격제어가 해제(S80)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즉, 대기 모드에서 기설정된 시간 내에 원격제어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제어부(10)는 원격제어 활성화를 강제적으로 해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왜냐하면, 사용자가 원격제어 활성화를 설정한 사실을 잊고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 를 통해서, 무의미한 전력 소모(대기 전력 소모)가 증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원격제어 활성화가 설정(S20)되더라도 도어잠금장치(60)의 비활성화가 유지됨이 바람직하다. 즉, 대기 모드(S50)에서 도어잠금장치(60)의 비활성화가 유지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대기 모드에서 도어잠금장치(60)의 활성화로 인한 전력 소모를 방지하기 위함이라 할 수 있다.
일례로, 대기 모드에서 도어잠금장치(60)가 활성화되는 경우 약 7-8 W(와트)의 대기전력 소모가 발생될 수 있다. 즉, 의류처리장치가 의류처리를 위한 동작을 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대기전력 소모가 상대적으로 크게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대기 모드(S40) 도중 원격제어 신호가 수신(S50)될 수 있다. 그리고, 원격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해당 원격제어 신호에 따라 의류처리장치는 원격 제어 동작을 수행(S70)하게 된다. 예를 들어, 외부 단말에서 표준 코스의 세탁을 수행하라는 신호를 의류처리장치에 송신하고, 상기 의류처리장치가 이러한 원격 제어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표준 코스를 수행하게 된다.
이때,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원격제어 동작을 수행할 때 먼저 도어잠금장치(60)를 활성화하게 된다. 즉, 상기 원격제어 동작(S70)은 도어 잠금 수행 및 해당 작동 수행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어 잠금 수행 후 수신된 제어 신호에 따른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10)는 원격제어활성화가 설정(S20)되어 원격제어 대기 모드인 상태(S50)에서, 외부 단말기로부터 원격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도어잠금장치(60)가 활성화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이러한 도어잠금장치(60)의 활성화 수행 후, 상기 제어부(10)는 수신된 원격제어 신호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작동을 제어하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대기 모드(S40)에서 도어잠금장치(60)의 활성화로 인한 대기 전력 소모를 현저히 줄일 수 있으며, 아울러 의류처리장치의 의류처리 작동 직전 도어잠금장치(60)의 활성화로 인해 안전한 작동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도어잠금장치(60)의 활성화는 도어 개폐 여부와 무관하게 수행될 수 있다. 즉, 도어가 열려있는 상태에서 도어잠금장치(60)의 활성화가 수행될 수 있다. 왜냐하면, 도어가 열려있는 상태에서도 전술한 바와 같이 솔레노이드에 전류가 인가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도어잠금장치(60)의 활성화의 전제 조건은 상기 도어의 닫힘 상태임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원격제어 대기 모드(S40)에서 도어개폐감지부(50)를 통해 도어 열림 감지(S60)가 수행될 수 있다. 즉, 원격제어 대기 모드(S40) 도중 지속적으로 도어개폐감지부(50)를 통해 도어 열림 감지(S60)가 수행될 수 있다. 이때, 도어 닫힘이 감지되면 원격제어 대기 모드(S40)가 유지되고 도어 열림이 감지되면 원격제어 대기 모드, 즉 원격 제어 활성화가 해제(S80)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도어개폐감지부(50)의 지속적인 도어 열림 감지로 인해 상기 도어개폐감지부(50)를 통한 대기 전력 소모가 발생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도어개폐감지부(50)는, 일례로, 원격제어 대기 모드(S40)에서 도어 닫힘 상태이면 0 V의 제어 신호 그리고 도어 열림 상태이면 5 V의 제어 신호를 상기 제어부(10)로 전송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정상 상태인 도어 닫힘 상태에서는 대기 전력 소모가 발생되지 않고(실질적으로 제어 신호 미발생) 비정상 상태인 도어 열림 상태에서만 비로소 전력이 소모(실질적인 제어 신호 발생)되어 도어 열림을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원격 제어 대기 모드에서 도어개폐감지부(50)로 인한 대기 전력 소모를 현저히 줄일 수 있다.
그러나, 도어개폐감지부(50)의 제어 신호의 발생과 미발생은 반대로 설정될 수도 있다. 즉, 정상 상태인 도어 닫힘 상태에서 제어 신호가 발생되고 반대로 비정상 상태인 도어 열림 상태에서 제어 신호가 발생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대기 모드에서 도어개폐감지부(50)를 통한 대기 전력 소모가 증가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 도어개폐감지부(50)에 의한 대기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하여, 도어 열림 감지 시점을 달리할 수 있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달리 원격제어 신호가 수신(S50)되면, 비로소 도어 개폐 감지가 수행될 수 있다. 이때, 도어 열림 상태가 감지되면 원격제어 해제(S80)가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도어 닫힘 상태가 감지되면, 도어 잠금 활성화와 원격제어 동작이 순차적으로 수행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마그네트와 리드 스위치에 의한 도어개폐감지부(50)는 전력 소모가 아닌 마그네트 자체의 자력에 의해서 리드 스위치가 작동하게 된다. 사용자가 도어를 닫으면 마그네트가 리드 스위치를 작동시킨다. 이는 리드 스위치의 작동에 제어부에 의한 전류 인가가 배제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마그네트가 전자석이 아닌 영구자석인 경우, 대기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면서 도어 개폐 감지가 수행될 수 있다.
전술한 제어 로직에 의해서, 원격 제어 대기 모드 상태에서 도어잠금장치(60)에 의한 대기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 아울러, 도어개폐감지부(50)에 의한 대기 전력 소모도 줄일 수 있게 된다. 왜냐하면, 대기 모드 상태에서는 도어잠금장치의 비활성화가 유지(대기 전력 소모 최소화)되고 원격 제어 신호가 수신되어야 비로서 도어잠금장치가 활성화되기 때문이다.
도 4에는 컨트롤패널(20)에 구비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40)의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40)는 터치 디스플레이가 아닌 일반 LCD 또는 LED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물론, 액정 디스플레이도 가능하다.
사용자가 원격제어활성화 입력부(31)를 입력하면 원격제어 활성화가 설정된다. 일례로 이러한 원격제어 활성화를 스마트 기능 설정으로 표시할 수 있다.
원격제어활성화 입력부(31)는 전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원격제어활성화를 위한 별도의 버튼 형태, 터치 디스플레이 내의 아이콘, 특정 버튼(각각 고유의 기능이 부여된 버튼)을 두 개 동시에 누르는 형태 등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다.
원격제어는 의류처리장치가 와이파이 통신 연결을 전제로 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부(40)에서는 와이파이 통신 연결이 유지되고 있음을 아이콘(141)을 통해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원격제어 활성화가 설정되었음을 아이콘(142)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부(40)는 전원 입력부(32)를 통해 의류처리장치에 전원이 인가되면 온된다. 그리고, 의류처리가 진행되고 완료될 때까지 온 상태가 유지된다. 물론, 시점에 따라서 적절한 정보를 표시하게 된다.
일례로, 원격제어 대기 모드에서 도 4에 예시된 디스플레이부(40)의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즉, 원격제어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대기하는 동안 디스플레이부(40)는 온 상태에서 이러한 상황을 표시할 수 있다.
그러나, 원격제어 대기 모드에서 디스플레이부(40)가 항상 온되어 있다는 것은 대기 전력 소모가 발생된다는 것을 의미하게 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부(40)에 의한 대기 전력 소모도 줄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으로는, 의류처리장치에서 직접 사용자에게 원격제어대기 모드 상태임을 표시하여 혼동을 방지하는 것도 중요하다. 왜냐하면, 원격제어 활성화는 사용자가 직접 의류처리장치의 조작을 통해서 설정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원격제어 활성화 입력부(31)를 선택하여 원격제어 활성화가 설정된 경우, 도 4에 도시된 일례의 화면으로 디스플레이부(40)가 원격제어 활성화 설정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설정 시간, 일례로 5초 경과한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40)가 오프되도록 제어됨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원격제어 대기 모드에서 디스플레이부(40)가 온 상태로 유지됨은 불필요한 대기 전력 소모를 발생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일반적으로 의류처리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사용자가 각종 선택(예를 들어, 코스와 옵션들)하고 실행 명령을 내리도록 구비된다. 실행 명령은 시작 입력부(35)의 선택으로 수행됨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일반적인 사용 형태와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시작 버튼 입력 단계(S35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즉, 의류처리장치에서 원격제어 활성화 입력부(31)의 선택을 받으면(S20) 시작 입력을 받는 단계(S35)가 순차적으로 수행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원격제어 활성화의 입력이 없고 다른 입력이 이 있는 경우에는 해당 입력에 관련된 의류처리장치의 동작이 수행(S30)될 수 있다.
그리고, 시작 버튼과 같은 시작 입력부(35)를 통해 설정 시간 동안(일례로 10초) 시작 입력이 없는 경우, 의류처리장치의 전원이 오프(S36)될 수 있다.
따라서, 원격제어 활성화 입력부(31)와 시작 입력부(35)의 순차적인 선택을 전제로 원격제어가 활성화되어 원격제어 대기모드로 전환(S40)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의 일례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별도의 시작 입력부(35)를 통한 원격제어 대기모드 전환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야기할 수 있다.
먼저,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조작하는 도중 디스플레이부(40)가 오프되면 사용자는 혼동할 수 있다. 즉, 의류처리장치가 고장났다는 혼동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원격제어 활성화 입력부를 선택하고 시작 입력부를 선택하면 비로소 사용자는 정상적인 입력이 완료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도 4에 도시된 화면이 꺼지더라도 사용자는 혼동하지 않고 정상적인 원격제어 대기모드 상태임을 판단할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디스플레이부에 의한 원격제어 대기 모드에서의 대기 전력 소모를 줄이는 한편, 시작 입력부를 통한 사용자 혼동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원격 제어 대기 모드에서, 도어잠금장치, 도어개폐감지부 그리고 디스플레이부에 의한 대기 전력 소모를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게 된다.
한편, 원격 제어 대기 모드에서 원격제어를 하고자 하는 사용자뿐만 아니라 의류처리장치를 직접 사용하고자 하는 다른 사용자가 의류처리장치에 접근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들 사이에 발생될 수 있는 혼동을 줄일 수 있음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원격제어 대기모드에서, 전원 입력부와 시작 입력부에 대응되는 LED(36)는 온 상태로 유지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태에서, 비록 디스플레이부(40)가 오프되어 있더라도, 상기 다른 사용자는 원격제어 대기모드임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왜냐하면, 기본적으로 기설정 시간 내에 시작 입력부(35)의 미입력은 의류처리장치의 전원 오프를 발생시키기 때문이다. 즉, 전원 입력부와 시각 입력부에 대응되는 LED의 온 상태는 매우 이례적인 상태이며, 이러한 상태가 원격제어 대기모드에 대응됨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다른 사용자는 비록 디스플레이부(40)가 오프되어 있더라도 원격 제어 대기 모드 상태임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물론, 이를 통해서 대기 전력 소모를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게 된다.
도 5와 도 6은 외부 단말기에 표시되는 화면의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의류처리장치에 전원이 오프되어 있거나 원격제어 활성화가 미설정된 상태에서, 외부 단말기에는 일례로 도 5에 도시된 화면이 나타날 수 있다. 그리고, 의류처리장치가 원격제어 활성화 상태, 즉 원격제어 대기 모드인 경우에, 외부 단말기에는 일례로 도 6에 도시된 화면이 나타날 수 있다. 이러한 화면에서, 사용자는 코스 선택이나 각종 옵션 선택을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선택된 사항에 따라 의류처리장치가 의류처리를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원격제어 활성화를 설정한 후에 필요한 경우 원격에서 이를 해제할 경우가 있다. 즉, 원격제어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대기 모드가 지속될 수 있어서, 전술한 바와 같이 LED 온으로 인한 대기 전력이 소모될 수밖에 없다. 따라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의류처리장치의 전원 오프를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원격제어 활성화의 해제를 의미할 수 있다.
사용자가 도 6에 도시된 화면을 통해 원격제어 명령을 입력하면, 의류처리장치의 디스플레이부(40)는 도 7에 일례로 도시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이는 대기 모드에서 의류처리 실행 모드로 전환됨을 의미하며, 이를 표시함을 의미한다.
따라서, 의류처리 실행 모드에서는 의류처리 진행 정보를 지속적으로 디스플레이부(40)에 표시함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다른 사용자가 의류처리장치에 접근할 가능성을 염두에 둔 것이라 할 수 있다.
1 : 캐비닛 2 : 도어
3 : 의류수용부(드럼) 6, 7 : 도어개폐부
10 : 제어부 20 : 컨트롤패널
30 : 사용자 입력부 31 : 원격제어활성화 입력부
32 : 전원 입력부 33 : 코스 선택부
34 : 옵션 선택부 35 : 시작/정지 입력부
36 : LED 40 : 디스플레이부
50 : 도어개폐감지부 60 : 도어잠금장치
70 : 하드웨어 구동부

Claims (20)

  1. 외부 단말기와 통신하고, 상기 외부 단말기를 통해 원격제어가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컨트롤패널을 갖는 의류장치에 있어서,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에 구비되어 의류가 수용되는 의류 수용부;
    상기 캐비닛에 구비되어 상기 의류 수용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를 닫힘 상태로 유지하고,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도어가 개방되도록 하는 도어개폐부;
    상기 도어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는 도어개폐감지부;
    상기 도어개폐부의 조작에도 불구하고, 상기 도어의 닫힘 상태를 유지하도록 활성화되는 도어잠금장치;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상기 원격제어의 가능 여부를 설정 또는 해제하도록, 상기 컨트롤패널에 구비되는 원격제어활성화 입력부; 그리고
    상기 원격제어활성화가 설정된 상태에서, 상기 외부 단말기로부터 원격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도어잠금장치가 활성화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어잠금장치가 활성화되도록 제어한 후, 상기 수신된 원격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작동을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원격제어활성화가 설정되면, 상기 도어개폐감지부를 통해 상기 도어의 개폐 여부를 감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어개폐감지부를 통해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원격제어활성화 입력부를 통해 상기 원격제어활성화를 설정하고, 상기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 상기 원격제어활성화가 불가하도록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원격제어활성화의 설정 후 상기 도어개폐감지부를 통해 상기 도어가 열린 상태로 감지되면, 상기 원격제어활성화를 해제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원격제어활성화가 설정된 후 상기 외부 단말로부터 상기 원격제어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도어개폐감지부를 통해 상기 도어의 개폐 여부를 감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어가 닫힌 상태이면 상기 도어잠금장치가 활성화되도록 제어한 후, 상기 수신된 원격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며,
    상기 도어가 열린 상태이면 상기 원격제어활성화를 해제하도록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잠금장치는 상기 도어잠금장치의 활성화를 위해 전력을 소모하는 기전장치임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9.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제어활성화가 설정된 상태에서, 상기 외부 단말로부터 원격제어 신호를 수신하기 위하여 대기하는 동안, 상기 도어잠금장치의 불활성화 상태가 유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0.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패널에는,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상태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LED를 포함하는 전원 입력부 그리고 LED를 포함하는 시작입력부가 구비되며,
    상기 원격제어활성화 입력부의 선택과 상기 시작입력부의 선택이 순차적으로 수행되어 상기 원격제어활성화가 설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입력부를 선택으로 상기 의류처리장치에 전원이 인가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온(on)되도록 제어되며, 상기 원격제어활성화 입력부가 선택된 후 상기 시작입력부가 선택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오프(off)되도록 제어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제어활성화가 설정된 상태에서, 상기 외부 단말로부터 원격제어 신호를 수신하기 위하여 대기하는 동안,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오프(off)가 유지되도록 제어되며, 상기 전원 입력부와 시작입력부의 LED는 온되도록 제어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제어활성화 입력부가 선택된 후 소정 시간이 경과될 때까지 상기 시작입력부가 선택되지 않으면,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전원이 해제되도록 제어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4. 외부 단말기와 통신하고, 상기 외부 단말기를 통해 원격제어가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컨트롤패널을 갖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원격제어활성화 입력부를 통해 원격제어활성화가 설정되는 단계;
    상기 원격제어활성화가 설정된 후, 외부 단말로부터 원격제어신호를 수신하기 위하여 대기하는 단계;
    도어개폐감지부를 통해 도어의 개폐를 감지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수신된 원격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의류처리장치가 작동하는 원격제어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대기 단계에서, 상기 도어의 닫힌 상태를 강제적으로 유지하는 도어잠금장치를 통한 상기 도어의 잠금을 해제하고, 상기 원격제어 단계에서 상기 도어잠금장치를 통한 상기 도어의 잠금을 설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단계는, 상기 대기단계에서 상기 원격제어신호가 수신되기 전에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단계에서 상기 도어가 열린 상태로 감지되면, 상기 원격제어활성화가 해제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단계는 상기 원격제어신호가 수신되면 수행되며, 상기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원격제어 단계가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단계에서 상기 도어가 열린 상태로 감지되면, 상기 원격제어활성화가 해제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9.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단계는 상기 설정단계 전에 수행되며, 상기 도어가 열린 상태로 감지되면, 상기 설정단계의 수행이 배제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20. 제 14 항 내지 제 1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단계는 상기 컨트롤패널에 구비되는 원격제어활성화 입력부와 시작입력부의 순차적인 선택에 의해 수행되며,
    상기 원격제어활성화 입력부가 선택된 후 상기 시작입력부가 선택되면,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가 온에서 오프(off)가 되도록 제어되며,
    상기 대기단계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오프가 유지되도록 제어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20150095170A 2015-07-03 2015-07-03 의류처리장치 KR1023900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5170A KR102390029B1 (ko) 2015-07-03 2015-07-03 의류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5170A KR102390029B1 (ko) 2015-07-03 2015-07-03 의류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4597A true KR20170004597A (ko) 2017-01-11
KR102390029B1 KR102390029B1 (ko) 2022-04-25

Family

ID=578327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5170A KR102390029B1 (ko) 2015-07-03 2015-07-03 의류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0029B1 (ko)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61784A1 (zh) * 2017-03-07 2018-09-13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一种洗衣机的远程控制方法
WO2018161785A1 (zh) * 2017-03-07 2018-09-13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一种洗衣机的远程控制方法
WO2018171349A1 (zh) * 2017-03-23 2018-09-27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一种洗衣机控制系统
CN108729111A (zh) * 2017-04-24 2018-11-02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一种洗衣机控制方法及洗衣机
CN108729113A (zh) * 2017-04-24 2018-11-02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一种洗衣机控制方法及洗衣机
CN108729112A (zh) * 2017-04-24 2018-11-02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一种洗衣机控制方法及洗衣机
CN108729109A (zh) * 2017-04-24 2018-11-02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一种洗衣机提示方法
KR20190023446A (ko) * 2017-08-29 2019-03-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와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원격제어시스템
JP2020058898A (ja) * 2020-01-22 2020-04-16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ランドリー機器
CN112301632A (zh) * 2019-07-29 2021-02-02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衣物处理设备控制方法
CN113463328A (zh) * 2020-03-31 2021-10-01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衣物处理装置的控制方法及衣物处理装置
KR20220034692A (ko) * 2020-09-10 2022-03-18 이엠젯-하나우어 게엠베하 운트 체오. 카게아아 가전 제품용 공기 처리 장치
WO2022148386A1 (zh) * 2021-01-08 2022-07-14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洗衣机机门控制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71178A (ja) * 2001-09-04 2003-03-11 Sanyo Electric Co Ltd 洗濯機
KR20140032262A (ko) * 2012-09-06 2014-03-14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제품 및 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온라인 시스템
JP2014161486A (ja) * 2013-02-25 2014-09-08 Toshiba Corp ランドリー機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71178A (ja) * 2001-09-04 2003-03-11 Sanyo Electric Co Ltd 洗濯機
KR20140032262A (ko) * 2012-09-06 2014-03-14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제품 및 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온라인 시스템
JP2014161486A (ja) * 2013-02-25 2014-09-08 Toshiba Corp ランドリー機器

Cited B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61784A1 (zh) * 2017-03-07 2018-09-13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一种洗衣机的远程控制方法
WO2018161785A1 (zh) * 2017-03-07 2018-09-13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一种洗衣机的远程控制方法
US11149373B2 (en) 2017-03-07 2021-10-19 Qingdao Haier Drum Washing Machine Co., Ltd. Remote control method for washing machine
WO2018171349A1 (zh) * 2017-03-23 2018-09-27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一种洗衣机控制系统
CN108729113B (zh) * 2017-04-24 2021-07-06 重庆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一种洗衣机控制方法及洗衣机
JP2020517411A (ja) * 2017-04-24 2020-06-18 青島海爾滾筒洗衣机有限公司 洗濯機の制御方法及び洗濯機
CN108729109A (zh) * 2017-04-24 2018-11-02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一种洗衣机提示方法
CN108729111A (zh) * 2017-04-24 2018-11-02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一种洗衣机控制方法及洗衣机
EP3617366A4 (en) * 2017-04-24 2020-03-04 Qingdao Haier Drum Washing Machine Co., Ltd. WASHING MACHINE CONTROL METHOD AND WASHING MACHINE
EP3617362A4 (en) * 2017-04-24 2020-03-11 Qingdao Haier Drum Washing Machine Co., Ltd. WASHING MACHINE CONTROL METHOD, AND WASHING MACHINE
CN108729113A (zh) * 2017-04-24 2018-11-02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一种洗衣机控制方法及洗衣机
CN108729112A (zh) * 2017-04-24 2018-11-02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一种洗衣机控制方法及洗衣机
CN108729111B (zh) * 2017-04-24 2020-08-04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一种洗衣机控制方法及洗衣机
CN108729109B (zh) * 2017-04-24 2021-03-19 青岛海尔洗涤电器有限公司 一种洗衣机提示方法
KR20190023446A (ko) * 2017-08-29 2019-03-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와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원격제어시스템
CN112301632A (zh) * 2019-07-29 2021-02-02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衣物处理设备控制方法
JP2020058898A (ja) * 2020-01-22 2020-04-16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ランドリー機器
CN113463328A (zh) * 2020-03-31 2021-10-01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衣物处理装置的控制方法及衣物处理装置
KR20220034692A (ko) * 2020-09-10 2022-03-18 이엠젯-하나우어 게엠베하 운트 체오. 카게아아 가전 제품용 공기 처리 장치
WO2022148386A1 (zh) * 2021-01-08 2022-07-14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洗衣机机门控制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0029B1 (ko) 2022-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04597A (ko) 의류처리장치
KR102235174B1 (ko) 의류처리장치
JP6253237B2 (ja) ランドリー機器
ES2539929T3 (es) Electrodoméstico y sistema en línea que incluye el mismo
KR102114860B1 (ko) 가전기기, 가전기기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US20140067131A1 (en) Home appliance and online system including the same
CN117535952A (zh) 洗衣机
KR102236743B1 (ko) 의류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1608581B2 (en) Washing machine
CN103874796A (zh) 洗衣机和用于控制洗衣机的方法
EP2067429B1 (en) Washing machine with user interface cooperating with remotely accessible data media
US20230020963A1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CN109957923A (zh) 一种洗衣机门体安全控制装置及方法
JP2017086481A (ja) 電気機器
US10934653B2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CN109097948A (zh) 一种童锁控制方法及家用电器
KR20150025082A (ko)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JP2005034179A (ja) 機器の制御システム
KR20100120046A (ko) 세탁장치
KR100857783B1 (ko) 인터넷 세탁기 및 그 원격 제어시의 제어 방법
CN108958045A (zh) 家用器具和操作家用器具的方法
US11368572B2 (en) Electrical household applianc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electrical household appliance
JP2018027445A (ja) ランドリー機器
JP2020058898A (ja) ランドリー機器
KR102281310B1 (ko) 세탁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