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6743B1 - 의류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의류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6743B1
KR102236743B1 KR1020200067048A KR20200067048A KR102236743B1 KR 102236743 B1 KR102236743 B1 KR 102236743B1 KR 1020200067048 A KR1020200067048 A KR 1020200067048A KR 20200067048 A KR20200067048 A KR 20200067048A KR 102236743 B1 KR102236743 B1 KR 1022367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yer
washing machine
control
display
wa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70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36743B9 (ko
Inventor
김미경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00000888A external-priority patent/KR20210087764A/ko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670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6743B1/ko
Priority to US17/087,344 priority patent/US11421367B2/en
Priority to EP20897621.7A priority patent/EP3882389B1/en
Priority to PCT/KR2020/015767 priority patent/WO2021137417A1/ko
Priority to EP23209148.8A priority patent/EP4296419A3/en
Priority to DE212020000499.4U priority patent/DE212020000499U1/de
Publication of KR1022367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67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6743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6743B9/ko
Priority to US17/812,347 priority patent/US11828015B2/en
Priority to US18/189,961 priority patent/US20230235496A1/en
Priority to US18/542,528 priority patent/US20240117551A1/en
Priority to US18/542,534 priority patent/US20240117552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9/00Combinations of a washing machine with other separate apparatus in a common frame or the like, e.g. with rinsing apparatus
    • D06F29/005Combinations of a washing machine with other separate apparatus in a common frame or the like, e.g. with rinsing apparatus the other separate apparatus being a drying applianc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50Control of washer-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20Parameters relating to constructional components, e.g. door senso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28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2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4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1/00User input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1/14Time setting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1/00User input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1/20Operation modes, e.g. delicate laundry washing programs, service modes or refreshment cycl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40Opening or locking status of doo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50Starting machine operation, e.g. delayed start or re-start after power cu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58Indications or alarms to the control system or to the use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04Signal transfer or data transmission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04Signal transfer or data transmission arrangements
    • D06F34/05Signal transfer or data transmission arrangements for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components, e.g. for remote monitoring or contro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2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4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58/36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세탁기는 컨트롤 패널; 드럼; 드럼 모터; 건조기와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는 통신부; 및 상기 컨트롤 패널, 상기 드럼 모터 및 상기 통신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트롤 패널을 통한 제1 사용자 입력에 의존하여, 제1 모드 및 제2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 동작하고,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컨트롤 패널을 통한 제2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건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상기 건조기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컨트롤 패널을 통한 제3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드럼을 회전하도록 상기 드럼 모터를 제어할 수 있다. 그에 의하여, 세탁기 또는 건조기를 제어하기 위한 메뉴(또는 버튼)의 크기가 축소되지 아니하며, 메뉴(또는 버튼)의 소형화로 인한 사용자의 조작 실수가 방지될 수 있다.

Description

의류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LAUNDRY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개시된 발명은 세탁기를 포함하는 의류 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건조기와 통신할 수 있는 세탁기를 포함하는 의류 처리 장치에 관한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세탁기는 터브와 터브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드럼을 포함하고, 터브 내부에서 세탁물이 담긴 드럼을 회전시킴으로써 세탁물을 세탁할 수 있다. 세탁기는 세탁물을 세탁하는 세탁 행정, 세탁된 세탁물을 헹구는 헹굼 행정, 세탁물을 탈수하는 탈수 행정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건조기는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드럼을 포함하고, 드럼이 회전하는 동안 드럼 내에 고온 건조한 공기를 주입함으로써 건조물(세탁물)을 건조할 수 있다. 건조기는 건조물을 건조하는 건조 행정을 수행할 수 있다.
최근, 히트 펌프를 구비하여 오직 전기만으로 동작할 수 있는 건조기가 상용화되고 있다. 그로 인하여, 건조기를 설치하는데 제한 사항이 감소하게 되었으며, 세탁기를 건조기와 함께 구비하는 가정이 증가하고 있다.
예를 들어, 건조기는 세탁기와 함께 나란하게(가로로) 배치되거나, 또는 세탁기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건조기가 세탁기와 함께 나란하게 배치되면, 사용자는 세탁된 세탁물을 즉시 건조기에 투입할 수 있다. 다만, 건조기가 세탁기와 함께 나란하게 배치됨으로 인하여, 건조기와 세탁기가 점유하는 공간이 증가하게 된다.
건조기가 세탁기의 위에 배치되면, 사용자는 세탁된 세탁물을 즉시 건조기에 투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건조기와 세탁기가 점유하는 공간은 세탁기를 단독 사용하는 것과 유사하게 감소할 수 있다.
다만, 건조기가 세탁기의 위에 배치되면, 건조기의 컨트롤 패널이 높은 위치에 위치함으로 인하여, 사용자가 건조기를 조작하는데 불편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고자,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은, 세탁기의 컨트롤 패널을 이용하여 건조기를 제어할 수 있는 세탁기를 포함하는 의류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고 한다.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은, 세탁기를 제어할 수 있는 메뉴(또는 버튼)과 건조기를 제어할 수 있는 메뉴(또는 버튼)을 일체화할 수 있는 세탁기를 포함하는 의류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고 한다.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은, 세탁기의 동작을 개시하거나 또는 동작을 일시 정지시키기 위한 메뉴(또는 버튼)는 건조기의 동작을 개시하거나 또는 동작을 일시 정지시키기 위한 메뉴(또는 버튼)와 별도로 마련되는 세탁기를 포함하는 의류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고 한다.
개시된 발병의 일 측면에 의한 세탁기는 컨트롤 패널; 드럼; 드럼 모터; 건조기와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는 통신부; 및 상기 컨트롤 패널, 상기 드럼 모터 및 상기 통신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트롤 패널을 통한 제1 사용자 입력에 의존하여, 제1 모드 및 제2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 동작하고,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컨트롤 패널을 통한 제2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건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상기 건조기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컨트롤 패널을 통한 제3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드럼을 회전하도록 상기 드럼 모터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세탁기의 전원-온을 위한 사용자 입력 및 상기 건조기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 중 적어도 하나에 응답하여, 상기 건조기와 통신 가능한지를 식별하고 상기 건조기로부터 정보를 수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미리 정해진 시간마다, 상기 건조기와 통신 가능한지를 식별하고 상기 건조기로부터 정보를 수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 패널은 제1 제어 스위치 및 제2 제어 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제1 제어 스위치를 통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제1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제2 제어 스위치를 통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제2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 패널은 적어도 하나의 입력 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력 스위치를 통하여 상기 건조기를 제어하기 위한 상기 제2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고,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력 스위치를 통하여 상기 드럼 모터를 제어하기 위한 상기 제3 사용자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 패널은 제1 동작 스위치 및 제2 동작 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모드와 상기 제2 모드 모두에서, 상기 제1 동작 스위치를 통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건조기에 건조 동작을 개시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1 모드와 상기 제2 모드 모두에서, 상기 제2 동작 스위치를 통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세탁을 위하여 상기 드럼을 회전하도록 상기 드럼 모터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는 유선으로 또는 무선으로 상기 건조기와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가 유선으로 상기 건조기와 데이터를 주고받으면, 상기 컨트롤 패널을 통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건조기의 건조 동작을 개시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통신부가 무선으로 상기 건조기와 데이터를 주고받으면, 상기 건조기의 건조 동작을 개시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전송하지 아니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 패널은 적어도 하나의 입력 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모드와 상기 제2 모드 모두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력 스위치를 통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건조기의 원격 제어를 활성화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세탁기의 원격 제어를 활성화할 수 있다.
상기 세탁기는 상기 드럼을 수용하고 전면에 개구가 형성된 캐비닛과 상기 개구를 폐쇄할 수 있는 도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력 스위치를 통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도어가 폐쇄되었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도어가 폐쇄된 것을 판단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세탁기의 원격 제어를 활성화하고, 상기 도어가 폐쇄되지 아니한 것을 판단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세탁기의 원격 제어를 비활성화할 수 있다.
개시된 발병의 일 측면에 의한, 컨트롤 패널, 드럼 및 드럼 모터를 포함하는 세탁기의 제어 방법은, 상기 컨트롤 패널을 통한 제1 사용자 입력에 의존하여, 제1 모드 및 제2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 동작하고;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컨트롤 패널을 통한 제2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세탁기와 통신 가능한 건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상기 건조기로 전송하고;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컨트롤 패널을 통한 제3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드럼을 회전하도록 상기 드럼 모터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된 발병의 일 측면에 의한, 제1 모드 및 제2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에서 동작하며 건조기와 통신 가능한 세탁기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는 컨트롤 패널은, 상기 제1 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는 제1 제어 스위치와 상기 제2 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는 제2 제어 스위치; 상기 제1 모드에서 건조 설정을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고 상기 제2 모스에서 세탁 설정을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는 설정 스위치; 및 상기 제1 모드 및 상기 제2 모드 모두에서 상기 건조기의 동작을 개시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는 제1 동작 스위치와 상기 제1 모드 및 상기 제2 모드 모두에서 상기 세탁기의 동작을 개시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는 제2 동작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설정 스위치는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건조 설정을 나타내는 제1 이미지를 표시하고,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세탁 설정을 나타내는 제2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세탁기의 컨트롤 패널을 이용하여 건조기를 제어할 수 있는 세탁기를 포함하는 의류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그에 의하여, 건조기를 세탁기 위에 설치하더라도 사용자는 건조기를 불편함 없이 조작할 수 있다.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세탁기를 제어할 수 있는 메뉴(또는 버튼)과 건조기를 제어할 수 있는 메뉴(또는 버튼)을 일체화할 수 있는 세탁기를 포함하는 의류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고 할 수 있다. 그에 의하여, 세탁기 또는 건조기를 제어하기 위한 메뉴(또는 버튼)의 크기가 축소되지 아니하며, 메뉴(또는 버튼)의 소형화로 인한 사용자의 조작 실수가 방지될 수 있다.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은, 세탁기의 동작을 개시하거나 또는 동작을 일시 정지시키기 위한 메뉴(또는 버튼)는 건조기의 동작을 개시하거나 또는 동작을 일시 정지시키기 위한 메뉴(또는 버튼)와 별도로 마련되는 세탁기를 포함하는 의류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고 한다. 그에 의하여, 사용자는 긴급한 상황에서 하나의 버튼만으로 세탁기 또는 건조기를 정지시킬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의한 세탁기를 건조기와 가로로 배치된 것을 도시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의한 세탁기를 건조기와 세로로 배치된 것을 도시한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의한 세탁기의 측단면을 도시한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의한 세탁기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의한 세탁기에 포함된 컨트롤 패널을 도시한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의한 세탁기에 포함된 컨트롤 패널의 터치 패널을 도시한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의한 세탁기에 포함된 컨트롤 패널의 제1 유저 인터페이스를 도시한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의한 세탁기에 포함된 컨트롤 패널의 제2 유저 인터페이스를 도시한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의한 세탁기가 건조기와 유선으로 연결된 일 예를 도시한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의한 세탁기가 건조기와 무선으로 연결된 일 예를 도시한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의한 건조기의 측단면을 도시한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의한 건조기의 공기의 순환과 냉매의 순환을 도시한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의한 건조기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14는 일 실시예에 의한 건조기에 포함된 컨트롤 패널을 도시한다.
도 15는 일 실시예에 의한 세탁기의 모드 전환 방법을 도시한다.
도 16은 일 실시예에 의한 세탁기의 세탁/건조 설정 입력 방법을 도시한다.
도 17은 일 실시예에 의한 세탁기의 세탁 설정 입력을 도시한다.
도 18은 일 실시예에 의한 세탁기의 건조 설정 입력을 도시한다.
도 19는 일 실시예에 의한 세탁기의 세탁/건조 동작 개시 방법을 도시한다.
도 20은 일 실시예에 의한 세탁기의 세탁 개시 입력을 도시한다.
도 21은 일 실시예에 의한 세탁기의 건조 개시 입력을 도시한다.
도 22는 일 실시예에 의한 세탁기 및 건조기의 원격 제어 활성화 방법을 도시한다.
도 23은 일 실시예에 의한 세탁기에 의한 원격 제어 활성화를 도시한다.
도 24는 일 실시예에 의한 세탁기 및 건조기의 전원-오프 방법을 도시한다.
도 25는 일 실시예에 의한 세탁기에 의한 건조기의 전원-오프를 도시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가 실시예들의 모든 요소들을 설명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인 내용 또는 실시예들 간에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 모듈, 부재, 블록'이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으며, 실시예들에 따라 복수의 '부, 모듈, 부재, 블록'이 하나의 구성요소로 구현되거나, 하나의 '부, 모듈, 부재, 블록'이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포함하고, 간접적인 연결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전술된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예외가 있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 부호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 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작용 원리 및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의한 세탁기를 건조기와 세로로 배치된 것을 도시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의한 세탁기를 건조기와 가로로 배치된 것을 도시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며, 세탁기(100)는 건조기(300)와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이처럼, 세탁기(100)가 건조기(300)와 인접하여 배치됨으로 인하여, 사용자는 세탁물을 들고 이동하는 일 없이 세탁기(100)에서 건조기(300)로 세탁물을 이동시킬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탁기(100)는 건조기(300)와 나란하게(가로로) 배치될 수 있다. 세탁기(100)가 건조기(300)와 나란하게 배치됨으로 인하여, 사용자는 세탁물을 세탁기(100)로부터 건조기(300)로 손쉽게 이동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세탁기(100)의 컨트롤 패널과 건조기(300)의 컨트롤 패널을
쉽게 이용할 수 있다. 반면, 세탁기(100)가 건조기(300)와 나란하게 배치됨으로 인하여, 사용자의 생활 공간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탁기(100)의 위에(세로로) 건조기(300)가 배치될 수 있다. 세탁기(100)는 보통 물을 이용하여 세탁물(예를 들어, 의류 또는 신발 등)을 세탁하므로, 세탁 동작 중에 세탁기(100)의 중량(또는 무게)이 크게 증가할 수 있다. 반면, 건조기(300)는 단지 고온 건조한 공기를 이용하여 건조물(예를 들어, 의류 또는 신발 등)을 건조하므로, 건조 동작 중에 건조기(300)의 중량(또는 무게)이 크게 변화하지 아니한다. 따라서, (동작 중에) 비교적 가벼운 건조기(300)가 세탁기(100)의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이처럼, 건조기(300)가 세탁기(100)의 위에 배치됨으로 인하여, 세탁기(100)와 건조기(300)가 점유하는 공간이 세탁기(100)를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와 유사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건조기(300)로 인하여 사용자의 생활 공간이 크게 감소하지 하지 아니할 수 있다. 다만, 건조기(300)가 세탁기(100)의 위에 배치됨으로 인하여, 건조기(300)의 컨트롤 패널이 높은 위치에 배치되고, 그로 인하여 사용자의 일부는 건조기(300)의 컨트롤 패널을 이용하는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건조기(300)가 세탁기(100)의 위에 배치되는 경우 사용자가 건조기(300)의 컨트롤 패널을 이용하는데 어려움을 겪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또한 건조기(300)가 세탁기(100)와 나란하게 배치되는 경우 사용자가 건조기(300)와 세탁기(100)를 일괄적으로 제어하기 위하여, 세탁기(100)는 세탁기(100)의 컨트롤 패널을 이용하여 건조기(300)를 제어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사용자는 세탁기(100)의 컨트롤 패널을 이용하여 건조기(300)를 제어할 수 있다.
세탁기(100)가 건조기(300)를 제어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세탁기(100)는 유선으로 또는 무선으로 건조기(300)와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탁기(100)는 사용자로부터 세탁 동작을 위한 세탁 설정(예를 들어, 세탁 온도, 헹굼 횟수, 탈수 세기 등)을 획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로부터 건조 동작을 위한 건조 설정(예를 들어, 건조 정도, 구김 방지를 위한 추가 시간, 건조 시간 등)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세탁기(100)는 사용자로부터 획득된 건조 설정을 유선으로 또는 무선으로 건조기(300)에 전송할 수 있으며, 건조기(300)는, 세탁기(100)로부터 수신된 건조 설정에 의존하여, 건조물을 건조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의한 세탁기의 측단면을 도시한다.
도 3과 앞서 설명된 도 1 및 도 2을 함께 참조하여 세탁기(100)의 구성이 설명된다.
세탁기(100)는 캐비닛(101)을 포함한다. 또한, 세탁기(100)는, 캐비닛(101) 내에 수용된, 도어(102)와, 컨트롤 패널(110)과, 터브(120)와, 드럼(130)과, 드럼 모터(140)와, 급수부(150)와, 배수부(160)와, 세제 공급부(170)를 더 포함한다.
캐비닛(101)의 전면 중앙에는 세탁물을 투입하거나 인출하기 위한 투입구(101a)가 마련된다.
투입구(101a)에는 도어(102)가 마련된다. 도어(102)는 힌지(hinge)에 의하여 캐비닛(101)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도어(102)는 투입구(101a)를 개폐할 수 있으며, 투입부(101a)가 도어(102)에 의하여 폐쇄된 것은 도어 스위치(103)에 의하여 감지될 수 있다. 투입구(101a)가 폐쇄되고 세탁기(100)가 동작하면, 도어(102)는 도어 락(104)에 의하여 잠겨질 수 있다.
캐비닛(101)의 전면 상측에는 사용자로부터 세탁기(100)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는 사용자 입력부와 세탁기(100)의 동작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컨트롤 패널(110)이 마련된다. 컨트롤 패널(110)은 아래에서 더욱 자세하게 설명된다.
터브(120)는 캐비닛(101)의 내부에 마련되며, 세탁 및/또는 헹굼을 위한 물을 수용할 수 있다.
터브(120)는 전면에 개구(121a)가 형성된 터브 프런트 파트(tub front parts) (121)와 후면이 폐쇄된 원통 형상의 터브 리어 파트(tub rear parts) (122)를 포함한다.
터브 프런트 파트(121)의 전면에는 세탁물을 터브(120) 내에 마련된 드럼(130)에 투입하거나 세탁물을 드럼(130)에서 인출하기 위한 개구(121a)가 마련된다. 터브 리어 파트(122)의 후벽에는 드럼 모터(140)를 회전 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한 베어링(122a)이 마련된다.
드럼(130)은 터브(120)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며, 세탁물을 수용할 수 있다.
드럼(130)은 원통 형상의 드럼 바디(131)와, 드럼 바디(131)의 전방에 마련된 드럼 프런트 파트(132)와, 드럼 바디(131)의 후방에 마련되는 드럼 리어 파트(133)를 포함한다.
드럼 바디(131)의 내면에는 드럼(130)의 내부와 터브(120)의 내부를 연결하는 통공(131a)과 드럼(130)의 회전 중에 세탁물을 드럼(130)의 상부로 들어올리기 위한 리프터(131b)가 마련된다. 드럼 프런트 파트(132)에는 세탁물을 드럼(130)으로 투입하거나 세탁물을 드럼(130)에서 인출하기 위한 개구(132a)가 마련된다. 드럼 리어 파트(133)은 드럼(130)을 회전시키는 드럼 모터(140)의 샤프트(141)와 연결될 수 있다.
드럼 모터(140)는 터브(120)의 터브 리어 파트(122)의 외측에 마련되며, 샤프트(141)을 통하여 드럼(130)의 드럼 리어 파트(133)와 연결된다. 샤프트(141)은 터브 리어 파트(122)을 관통하며, 또한 터브 리어 파트(122)에 마련된 베어링(122a)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드럼 모터(140)는 터브 리어 파트(122) 외측에 고정되는 고정자(132)와,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샤프트(141)과 연결되는 회전자(143)를 포함한다. 회전자(143)는 고정자(142)와의 자기적 상호작용을 통하여 회전할 수 있으며, 회전자(143)의 회전은 샤프트(141)을 통하여 드럼(130)에 전달될 수 있다.
드럼 모터(140)는 예를 들어 회전 속도의 제어가 용이한 무정류자 직류 모터(BrushLess Direct Current Motor: BLDC Motor) 또는 영구자석 동기 모터(Permament Synchronous Motor: PMSM)를 포함할 수 있다.
급수부(150)는 터브(120)의 상측에 마련되며, 터브(120)/드럼(130)에 물을 공급할 수 있다.
급수부(150)는 외부 급수 원과 연결되어 터브(120)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 도관(151)과, 급수 도관(151) 상에 마련되는 급수 밸브(152)를 포함한다.
급수 도관(151)은 외부 급수 원으로부터 세제 함(171)까지 연장될 수 있다. 물은 세제 함(171)을 거쳐 터브(120)까지 안내된다.
급수 밸브(152)는 전기적 신호에 응답하여 외부 급수 원으로부터 터브(120)로 물을 공급하는 것을 허용하거나 차단할 수 있다. 급수 밸브(152)는 예를 들어 전기적 신호에 응답하여 개폐되는 솔레노이드 밸브(solenoid valve)를 포함할 수 있다.
배수부(160)는 터브(120)의 하측에 마련되며, 터브(120) 및/또는 드럼(130)에 수용된 물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배수부(160)는 터브(120)로부터 캐비닛(101) 외부까지 연장된 배수 도관(161)과, 배수 도관(161) 상에 마련된 배수 펌프(162)를 포함한다. 배수 펌프(162)는 배수 도관(161)의 물을 캐비닛(101) 외부로 펌핑할 수 있다.
세제 공급부(170)는 터브(120)의 상측에 마련되며, 터브(120)/드럼(130)에 세제를 공급할 수 있다.
세제 공급부(170)는 세제를 보관하는 세제 함(171)과, 세제 함(171)을 터브(120)와 연결하는 혼합 도관(172)을 포함한다.
세제 함(171)은 급수 도관(151)과 연결되며, 급수 도관(151)을 통하여 공급된 물은 세제 함(171)의 세제와 혼합될 수 있다. 세제와 물의 혼합물은 혼합 도관(172)을 통하여 터브(120)에 공급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의한 세탁기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의한 세탁기에 포함된 컨트롤 패널을 도시한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의한 세탁기에 포함된 컨트롤 패널의 터치 패널을 도시한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의한 세탁기에 포함된 컨트롤 패널의 제1 유저 인터페이스를 도시한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의한 세탁기에 포함된 컨트롤 패널의 제2 유저 인터페이스를 도시한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의한 세탁기가 건조기와 유선으로 연결된 일 예를 도시한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의한 세탁기가 건조기와 무선으로 연결된 일 예를 도시한다.
세탁기(100)는 도 3과 함께 설명된 기계적 구성들뿐만 아니라 다음의 전기적 구성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세탁기(100)는 드럼 모터(140)와, 급수 밸브(152)와, 배수 펌프(162)와, 도어 스위치(103)와, 도어 락(door lock) (104)과, 컨트롤 패널(110)과, 통신부(180)와, 제어부(190)를 포함한다.
드럼 모터(140)는, 제어부(190)의 구동 신호에 응답하여, 드럼(130)을 회전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드럼 모터(140)는 제어부(190)로부터 기준 속도를 수신하고, 드럼(130)의 회전 속도가 제어부(190)이 기준 속도를 추종하도록 드럼(130)을 회전시킬 수 있다.
급수 밸브(152)는 통상 폐쇄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제어부(190)의 급수 신호에 응답하여 개방될 수 있다. 급수 밸브(152)의 개방에 의하여, 물은 급수 도관(151)을 통하여 터브(120)에 공급될 수 있다.
배수 펌프(162)는 제어부(190)의 배수 신호에 응답하여 배수 도관(161)의 물을 캐비닛(101) 외부로 펌핑할 수 있다. 배수 펌프(162)의 펌핑에 의하여, 터브(120)에 수용된 물은 배수 도관(162)을 통하여 캐비닛(101)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도어 스위치(103)는 도어(102)가 폐쇄된 상태와 도어(102)가 개방된 상태를 각각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어 스위치(103)는 도어(102)가 개방된 상태에서 개방(오프)되고, 도어(102)가 폐쇄된 상태에서 폐쇄(온)될 수 있다. 도어 스위치(103)는, 도어(102)가 폐쇄된 상태를 나타내는 신호 또는 도어(102)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신호를 제어부(190)에 제공할 수 있다.
도어 락(104)은 제어부(190)의 잠금 신호에 응답하여 도어(102)를 잠글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어(102)가 투입구(101a)를 폐쇄하고 세탁기(100)가 동작하면, 제어부(190)는 도어(102)를 잠그도록 도어 락(104)을 제어할 수 있다.
컨트롤 패널(110)은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는 사용자 입력부와,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는 세탁 설정 및/또는 세탁 동작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컨트롤 패널(110)은 사용자와 세탁기(100)가 상호작용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하에서는 '유저 인터페이스'라 한다)를 제공할 수 있다.
컨트롤 패널(11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탁기(100)를 전원-온시키거기 위한 사용자 입력 또는 세탁기(100)를 전원-오프시키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는 세탁기 전원 버튼(211)을 포함할 수 있다.
전원과 관련하여 세탁기(100)는 "오프 상태", "대기 상태" 및 "온 상태"를 포함하는 3가지 상태에 놓일 수 있으며, 세탁기(100)의 전원 상태에 의존하여 세탁기(100)는 서로 다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세탁기(100)는 그 플러그가 전원 소켓에 삽입되지 아니한 "오프 상태"에 놓일 수 있다. "오프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에는 전력이 전혀 공급되지 아니하며, 세탁기(100)는 아무런 동작도 수행하지 아니할 수 있다.
세탁기(100)는 그 플러그가 전원 소켓에 삽입되고 사용자의 전원 온 명령(예를 들어 전원 버튼을 터치하는 행위)이 입력되지 않은 "대기 상태"에 놓일 수 있다. "대기 상태"에서 세탁기(100)에 포함된 구성들 중 일부에는 전력이 공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기 상태"에서, 컨트롤 패널(110)의 일부, 통신부(180) 및 제어부(190)에는 전력이 공급될 수 있다.
세탁기(100)는 그 플러그가 전원 소켓에 삽입되고 사용자의 전원 온 명령(예를 들어 전원 버튼을 터치하는 행위)이 입력된 "온 상태"에 놓일 수 있다. "온 상태"에서, 세탁기(100)에 포함된 구성들 모두에 전력이 공급될 수 있다.
세탁기(100)의 플러그가 소켓이 삽입된 상태에서 세탁기 전원 버튼(211)이 사용자에 의하여 터치되거나 눌리면, 세탁기(100)는 '대기 상태'에서 '온 상태'로 전환되며 세탁기(100)에 포함된 모든 구성에 전력이 공급되고 세탁기(100)의 모든 기능이 활성화될 수 있다. '온 상태'에서 세탁기 전원 버튼(211)이 사용자에 의하여 터치되거나 눌리면, 세탁기(100)는 '온 상태'에서 '대기 상태'로 전환되며 세탁기(100)의 많은 기능들이 비활성화될 수 있다.
세탁기 전원 버튼(211)은 택트 스위치(tact switch), 푸시 스위치, 슬라이드 스위치, 토클 스위치, 마이크로 스위치, 또는 터치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탁기 전원 버튼(211)은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획득하는 제1 터치 스위치(211a)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터치 스위치(211a)는 제어부(190)와 연결될 수 있다.
세탁기 전원 버튼(211)은 세탁기(100)의 전원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온 상태'에서 세탁기 전원 버튼(211)은 광을 방출할 수 있으며, '대기 상태'에서 세탁기 전원 버튼(211)은 광을 방출하기 아니할 수 있다. 세탁기 전원 버튼(211)은 예를 들어 세탁기(100)의 전원 상태에 의존하여 광을 방출하는 제1 발광 다이오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 패널(11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조기(300)를 제어하기 위한 건조기 제어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는 건조기 제어 버튼(221)과, 세탁기(100)를 제어하기 위한 세탁기 제어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는 세탁기 제어 버튼(22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세탁기(100)는, 하나의 컨트롤 패널(110)을 이용하여, 세탁기(100)를 제어하기 위한 제1 유저 인터페이스와 건조기(300)를 제어하기 위한 제2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세탁기(100)는, 하나의 컨트롤 패널(110)을 이용하여 복수의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건조기(300)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기 위한 건조기 제어 모드로 동작하거나 또는 세탁기(100)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기 위한 세탁기 제어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사용자가 건조기 제어 또는 세탁기 제어를 선택할 수 있도록, 세탁기(100)는 건조기 제어 버튼(221)과 세탁기 제어 버튼(222)을 제공할 수 있다. 건조기 제어 버튼(221)이 터치되거나 눌려지는 것에 응답하여, 세탁기(100)는 건조기(300)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기 위한 건조기 제어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세탁기(100)는, 컨트롤 패널(110)을 이용하여 건조기(300)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기 위한 제1 유저 인터페이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세탁기 제어 버튼(222)이 터치되거나 눌려지는 것에 응답하여, 세탁기(100)는 세탁기(100)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한 세탁기 제어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세탁기(100)는, 컨트롤 패널(110)을 이용하여 세탁기(100)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기 위한 제2 유저 인터페이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조기 제어 버튼(221)은 제2 터치 스위치(221a)를 포함할 수 있으며, 세탁기 제어 버튼(222)은 제3 터치 스위치(222a)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터치 스위치(221a)와 제3 터치 스위치(222a)는 각각 제어부(190)와 연결될 수 있다.
건조기 제어 버튼(221)과 세탁기 제어 버튼(222)은 각각 컨트롤 패널(110)의 제어 모드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트롤 패널(110)이 건조기 제어 모드로 동작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조기 제어 버튼(221)은 광을 방출할 수 있으며 세탁기 제어 버튼(222)은 광을 방출하지 아니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 패널(110)이 세탁기 제어 모드로 동작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탁기 제어 버튼(222)은 광을 방출할 수 있으며, 건조기 제어 버튼(221)은 광을 방출하지 아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건조기 제어 버튼(221)은 컨트롤 패널(110)의 건조기 제어 모드에 의존하여 광을 방출하는 제2 발광 다이오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세탁기 제어 버튼(222)은 컨트롤 패널(110)의 세탁기 제어 모드에 의존하여 광을 방출하는 제3 발광 다이오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 패널(11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조기(300)의 건조 동작을 개시하거나 건조 동작을 일시 정지시키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는 건조 동작 버튼(231)과, 세탁기(100)의 세탁 동작을 개시하거나 세탁 동작을 일시 정지시키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는 세탁 동작 버튼(23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건조기 제어 모드에서 세탁기(100)는 컨트롤 패널(110)에 포함된 버튼을 통하여 건조기(300)의 건조 동작과 관련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할 수 있으며, 세탁기 제어 모드에서 세탁기(100)는 컨트롤 패널(110)에 포함된 버튼들은 세탁기(100)의 세탁 동작과 관련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세탁기(100)는 건조기 제어 모드에서 건조기(300)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고, 세탁기 제어 모드에서 세탁기(100)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이와 비교하여, 건조 동작 버튼(231)은 제어 모드와 관계없이 건조기(300)의 건조 동작을 개시하거나 건조 동작을 일시 정지시키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건조 동작 버튼(231)은 건조기 제어 모드에서 건조기(300)의 건조 동작을 개시하거나 건조 동작을 일시 정지시키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세탁기 제어 모드에서도 건조기(300)의 건조 동작을 개시하거나 건조 동작을 일시 정지시키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그에 의하여, 사용자는 긴급한 상황에서 빠르게 건조기(300)의 동작을 정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작 중인 건조기(300)에 추가 건조물을 투입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세탁기 제어 모드에서 건조기 제어 모드로 전환하기 위하여 건조기 제어 버튼(221)을 터치하는 일 없이, 바로 건조 동작 버튼(231)을 터치함으로써 건조기(300)의 동작을 일시 정지시킬 수 있다.
세탁 동작 버튼(232) 역시 제어 모드와 관계 없이 세탁기(100)의 세탁 동작을 개시하거나 세탁 동작을 일시 정지시키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세탁 동작 버튼(232)은 세탁기 제어 모드에서 세탁기(100)의 세탁 동작을 개시하거나 세탁 동작을 일시 정지시키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건조기 제어 모드에서도 세탁기(100)의 세탁 동작을 개시하거나 세탁 동작을 일시 정지시키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건조 동작 버튼(231)과 세탁 동작 버튼(232)은 각각 푸시 스위치, 슬라이드 스위치, 토클 스위치, 마이크로 스위치, 또는 터치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조 동작 버튼(231)은 제4 터치 스위치(231a)를 포함할 수 있으며, 세탁 동작 버튼(232)은 제5 터치 스위치(232a)를 포함할 수 있다. 제4 터치 스위치(231a)와 제5 터치 스위치(232a)는 각각 제어부(190)와 연결될 수 있다.
건조 동작 버튼(231)과 세탁 동작 버튼(232)은 각각 건조기(300)가 동작 중인지 여부 및 세탁기(100)가 동작 중인지 여부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건조기(300)가 동작 중이면 건조 동작 버튼(231)은 광을 방출할 수 있다. 또한, 세탁기(100)가 동작 중이면 세탁 동작 버튼(232)은 광을 방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건조 동작 버튼(231)은 건조기(300)가 동작 중인지 여부에 의존하여 광을 방출하는 제4 발광 다이오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세탁 동작 버튼(232)은 세탁기(100)가 동작 중인지 여부에 의존하여 광을 방출하는 제5 발광 다이오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 패널(11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스 선택 다이얼(241)과, 코스 디스플레이(25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코스 선택 다이얼(241)은 건조기 제어 모드에서 건조 코스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고 세탁기 제어 모드에서 세탁 코스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코스 디스플레이(251)는 건조기 제어 모드에서 코스 선택 다이얼(241)의 회전에 의하여 선택된 건조 코스를 표시하고, 세탁기 제어 모드에서 코스 선택 다이얼(241)의 회전에 의하여 선택된 세탁 코스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건조 코스는 건조물의 종류(예를 들어, 이불, 속옷 등) 및 재질(예를 들어, 울 등)에 따라 건조기(300)의 설계자에 의하여 사전에 설정된 건조 설정(예를 들어, 건조 정도, 구김 방지를 위한 추가 시간, 건조 시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준 건조는 대부분의 건조물에 적용될 수 있는 건조 설정을 포함하며, 이불 건조는 이불을 건조하기 위하여 최적화된 건조 설정을 포함할 수 있다.
건조 코스는 예를 들어 표준 건조, 합성 섬유 건조, 울 건조, 섬세 건조, 이불 건조, 타월 건조, 소량 건조, 선반 건조, 먼지 털기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코스 선택 다이얼(241)는, 건조기 제어 모드에서, 복수의 건조 코스들 중에 어느 하나의 건조 코스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다이얼 회전)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코스 디스플레이(251)는, 건조기 제어 모드에서 코스 선택 다이얼(241)의 회전에 의존하여, 복수의 건조 코스들을 미리 정해진 순서대로 표시할 수 있다. 코스 선택 다이얼(241)의 회전이 정지된 때에 코스 디스플레이(251)에 표시되는 건조 코스가 건조물을 건조하기 위한 코스로써 선택될 수 있다.
세탁 코스는 세탁물의 종류(예를 들어, 이불, 속옷 등) 및 재질(예를 들어, 울 등)에 따라 세탁기(100)의 설계자에 의하여 사전에 설정된 세탁 설정(예를 들어, 세탁 온도, 헹굼 횟수, 탈수 세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준 세탁은 대부분의 세탁물에 적용될 수 있는 세탁 설정을 포함하며, 이불 세탁은 이불을 세탁하기 위하여 최적화된 세탁 설정을 포함할 수 있다.
세탁 코스는 예를 들어 표준 세탁, 강력 세탁, 울 세탁, 이불 세탁, 아기옷 세탁, 타월 세탁, 소량 세탁, 삶은 세탁, 절전 세탁, 아웃도어 세탁, 헹굼/탈수, 탈수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코스 선택 다이얼(241)는, 세탁기 제어 모드에서, 복수의 세탁 코스들 중에 어느 하나의 세탁 코스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다이얼 회전)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코스 디스플레이(251)는, 세탁기 제어 모드에서 코스 선택 다이얼(241)의 회전에 의존하여, 복수의 세탁 코스들을 미리 정해진 순서로 표시할 수 있다. 코스 선택 다이얼(241)의 회전이 정지된 때에 코스 디스플레이(251)에 표시되는 세탁 코스가 세탁물을 세탁하기 위한 코스로써 선택될 수 있다.
코스 디스플레이(251)는, 건조기 제어 모드에서, 동작 중인 건조기(300)의 동작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코스 디스플레이(251)는, 건조기 제어 모드에서, 건조기(300)의 건조 동작의 종료까지 남은 시간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코스 디스플레이(251)는, 세탁기 제어 모드에서, 동작 중인 세탁기(100)의 동작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코스 디스플레이(251)는, 세탁기 제어 모드에서, 세탁기(100)의 세탁 동작의 종료까지 남은 시간을 표시할 수 있다.
건조기(300)와 세탁기(100)가 모두 동작 중이면, 코스 디스플레이(251)는 건조기(300)의 건조 동작의 종료까지 남은 시간과 세탁기(100)의 세탁 동작의 종료까지 남은 시간을 모두 표시할 수 있다.
코스 디스플레이(251)는 예를 들어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패널,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 패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 패널(11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설정 버튼들(261, 262, 263)과, 복수의 설정 디스플레이들(271, 272, 273)을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 패널(11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설정 버튼(261)과, 제1 설정 디스플레이(271)와, 제2 설정 버튼(262)과, 제2 설정 디스플레이(272)와, 제3 설정 버튼(263)과, 제3 설정 디스플레이(27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설정 버튼(261)은 건조기 제어 모드에서 건조 정보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고 세탁기 제어 모드에서 세탁 온도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제1 설정 디스플레이(271)는 건조기 제어 모드에서 제1 설정 버튼(261)을 통하여 선택된 건조 정보를 표시하고, 세탁기 제어 모드에서 제1 설정 버튼(261)을 통하여 선택된 세탁 온도를 표시할 수 있다.
제1 설정 버튼(261)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6 터치 스위치(261a)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6 터치 스위치(261a)는 제어부(190)와 연결될 수 있다.
제1 설정 버튼(261)에는 건조기 제어 모드에서 '건조 정도'를 의미하는 문자 또는 기호가 표시되고, 세탁기 제어 모드에서 '세탁 온도'를 의미하는 문자 또는 기호가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건조기 제어 모드에서 제1 설정 버튼(261) 상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설정 버튼(261)의 일부에 '건조 정도'라는 문자가 표시될 수 있으며, 세탁기 제어 모드에서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설정 버튼(261)의 다른 일부에 '세탁 온도'라는 문자가 표시될 수 있다.
제1 설정 버튼(261)은 건조기 제어 모드에서 '건조 정도'라는 문자가 표시되도록 광을 방출하는 제6 상부 발광 다이오드와, 세탁기 제어 모드에서 '세탁 온도'라는 문자가 표시되도록 광을 방출하는 제6 하부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설정 디스플레이(271)는, 건조기 제어 모드에서, 제1 설정 버튼(261)의 터치 횟수에 의존하여 선택된 건조 정도(예를 들어 1, 2 또는 3 등의 건조 정도를 나타내는 문자 또는 숫자)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1 설정 디스플레이(271)는 세탁기 제어 모드에서, 제1 설정 버튼(261)의 터치 횟수에 의존하여 선택된 세탁 온도(예를 들어 30도, 40도 또는 50도 등의 세탁 온도를 나타내는 문자 또는 숫자)를 표시할 수 있다.
제1 설정 디스플레이(271)는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7-세그먼트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설정 버튼(262)은 건조기 제어 모드에서 구김 방지를 위한 추가 시간을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고 세탁기 제어 모드에서 헹굼 횟수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제2 설정 디스플레이(272)는 건조기 제어 모드에서 제2 설정 버튼(262)을 통하여 선택된 구김 방지를 위한 추가 시간을 표시하고, 세탁기 제어 모드에서 제2 설정 버튼(262)을 통하여 선택된 헹굼 횟수를 표시할 수 있다.
제2 설정 버튼(262)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7 터치 스위치(262a)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7 터치 스위치(262a)는 제어부(190)와 연결될 수 있다.
제2 설정 버튼(262)에는 건조기 제어 모드에서 '구김 방지'를 의미하는 문자 또는 기호가 표시되고, 세탁기 제어 모드에서 '헹굼 횟수'를 의미하는 문자 또는 기호가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건조기 제어 모드에서 제2 설정 버튼(262) 상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설정 버튼(262)의 일부에 '구김 방지'라는 문자가 표시될 수 있으며, 세탁기 제어 모드에서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설정 버튼(262)의 다른 일부에 '헹굼 횟수'라는 문자가 표시될 수 있다.
제2 설정 버튼(262)은 건조기 제어 모드에서 '구김 방지'라는 문자가 표시되도록 광을 방출하는 제7 상부 발광 다이오드와, 세탁기 제어 모드에서 '헹굼 횟수'라는 문자가 표시되도록 광을 방출하는 제7 하부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설정 디스플레이(272)는, 건조기 제어 모드에서, 제2 설정 버튼(262)의 터치 횟수에 의존하여 선택된 구김 방지를 위한 추가 시간(예를 들어 1시간, 2시간 또는 3시간 등의 추가 시간을 나타내는 문자 또는 숫자)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2 설정 디스플레이(272)는 세탁기 제어 모드에서, 제2 설정 버튼(262)의 터치 횟수에 의존하여 선택된 헹굼 횟수(또는 1회, 2회 또는 3회 등의 헹굼 횟수를 나타내는 문자 또는 숫자)를 표시할 수 있다.
제2 설정 디스플레이(272)는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7-세그먼트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설정 버튼(263)은 건조기 제어 모드에서 건조 시간을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고 세탁기 제어 모드에서 탈수 세기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제3 설정 디스플레이(273)는 건조기 제어 모드에서 제3 설정 버튼(263)을 통하여 선택된 건조 시간을 표시하고, 세탁기 제어 모드에서 제2 설정 버튼(262)을 통하여 선택된 탈수 세기를 표시할 수 있다.
제3 설정 버튼(263)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8 터치 스위치(263a)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8 터치 스위치(263a)는 제어부(190)와 연결될 수 있다.
제3 설정 버튼(263)에는 건조기 제어 모드에서 '시간 설정'을 의미하는 문자 또는 기호가 표시되고, 세탁기 제어 모드에서 '탈수 세기'를 의미하는 문자 또는 기호가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건조기 제어 모드에서 제3 설정 버튼(263) 상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설정 버튼(263)의 일부에 '시간 설정'라는 문자가 표시될 수 있으며, 세탁기 제어 모드에서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설정 버튼(263)의 다른 일부에 '탈수 세기'라는 문자가 표시될 수 있다.
제3 설정 버튼(263)은 건조기 제어 모드에서 '시간 설정'라는 문자가 표시되도록 광을 방출하는 제8 상부 발광 다이오드와, 세탁기 제어 모드에서 '탈수 세기'라는 문자가 표시되도록 광을 방출하는 제8 하부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설정 디스플레이(273)는, 건조기 제어 모드에서, 제3 설정 버튼(263)의 터치 횟수에 의존하여 선택된 건조 시간(예를 들어 1시간, 2시간 또는 3시간 등의 추가 시간을 나타내는 문자 또는 숫자)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3 설정 디스플레이(273)는 세탁기 제어 모드에서, 제3 설정 버튼(263)의 터치 횟수에 의존하여 선택된 탈수 세기(또는 1, 2 또는 3 등의 탈수 세기를 나타내는 문자 또는 숫자)를 표시할 수 있다.
제3 설정 디스플레이(273)는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7-세그먼트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처럼, 제1, 제2 및 제3 설정 버튼(263) 각각은 하나의 터치 스위치로 구현되며, 서로 다른 제어 모드에서 서로 다른 사용자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제1, 제2 및 제3 설정 버튼(263) 각각 상에는 서로 다른 제어 모드에서 서로 다른 사용자 입력을 나타내는 문자 또는 기호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1, 제2 및 제3 설정 디스플레이(273) 각각은 서로 다른 제어 모드에서 서로 다른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컨트롤 패널(11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격 제어 버튼(281)과 부가 설정 디스플레이(291)를 포함할 수 있다.
원격 제어 버튼(281)은, 건조기 제어 모드 및 세탁기 제어 모드에서, 사용자 장치 등의 외부 장치에 의한 건조기(300) 및/또는 세탁기(100)의 원격 제어를 활성화하거나 또는 비활성화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원격 제어 버튼(281)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9 터치 스위치(281a)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9 터치 스위치(281a)는 제어부(19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원격 제어 버튼(281)은, 건조기 제어 모드 및 세탁기 제어 모드에서, 광을 방출할 수 있다.
부가 설정 디스플레이(291)는 건조기(300)의 원격 제어가 활성화되었는지 여부 및 세탁기(100)의 원격 제어가 활성화되었는지 여부를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부가 설정 디스플레이(291)는 예를 들어 액정 디스플레이(LCD) 패널, 발광 다이오드(LED) 패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처럼, 컨트롤 패널(110)은 복수의 버튼들과 복수의 디스플레이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버튼들은 서로 다른 제어 모드에서 서로 다른 사용자 입력을 획득할 수 있으며, 복수의 디스플레이들은 서로 다른 제어 모드에서 서로 다른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통신부(180)는 건조기(300)에 데이터를 전송하고 건조기(30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180)는 유선으로 건조기(300)와 데이터를 주고받는 유선 통신 모듈(181)과, 무선으로 건조기(300)와 데이터를 주고받는 무선 통신 모듈(182)와, 건조기(300)와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한 통로가 되는 통신 인터페이스(183)를 포함할 수 있다.
유선 통신 모듈(181)은 다양한 유선 통신 표준을 이용하여 건조기(300)와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선 통신 모듈(181)는 범용 비동기화 송수신기(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transmitter, UART)를 통하여 건조기(300)와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다. 유선 통신 모듈(181)는 범용 비동기화 송수신기를 통하여 RS-422 또는 RS-485 등의 통신 표준을 이용하여 건조기(300)와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다. 또한, 유선 통신 모듈(181)은 이더넷(Ethernet, IEEE 802.3 기술 표준)을 이용하여 건조기(300)와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다.
유선 통신 모듈(181)는 유선 통신을 위하여 데이터를 모듈레이션/디모듈레이션하는 프로세서 및/또는 메모리를 포함하는 통신 회로(예를 들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82)은 다양한 무선 통신 표준을 이용하여 건조기(300)와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 모듈(162)은, 와이파이(WiFi™, IEEE 802.11 기술 표준)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무선 중계기에 접속할 수 있으며, 무선 중계기를 거쳐 건조기(300)와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다. 와이파이 무선 통신은 무선 중계기를 거치지 않고 노드들(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와 오디오 장치 등) 사이의 직접 통신(peer to peer communication)을 제공할 수 있다. 이처럼, 와이파이 무선 통신을 이용한 직접 통신은 "와이파이 P2P (WiFi P2P)" 또는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라 한다. 무선 통신 모듈(182)는 와이파이 P2P 통신 표준을 이용하여 건조기(300)와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 모듈(162)은, 블루투스(Bluetooth™, IEEE 802.15.1 기술 표준) 또는 지그비(ZigBee™, IEEE 802.15.4 기술 표준)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건조기(300)와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다. 또는, 무선 통신 모듈(162)는 근거리 무선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을 이용하여 건조기(300)와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82)는 무선 통신을 위하여 데이터를 디코딩/인코딩하는 프로세서 및/또는 메모리를 포함하는 통신 회로(예를 들어, 무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183)는 건조기(300)와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한 유선 채널 또는 무선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 인터페이스(183)는 사용자에게 시인되지 않도록 캐비닛(101)의 후면에 마련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183)는 통신 선(181a) 또는 무선 동글(dongle) (182a)이 삽입될 수 있는 연결 단자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 인터페이스(183)에 통신 선(181a)이 연결되면, 유선 통신 모듈(181)이 활성화되며 유선 통신 모듈(181)은 통신 인터페이스(183)와 통신 선(181a)을 통하여 유선으로 건조기(300)와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다.
다른 예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 인터페이스(183)에 무선 통신을 위한 무선 동글(182a)이 연결되면, 무선 통신 모듈(182)이 활성화되며 무선 통신 모듈(182)은 통신 인터페이스(183)와 무선 동글(182a)을 통하여 무선으로 건조기(300)와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183)는 다양한 형태의 커넥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인터페이스(183)는 범용 직렬 버스(Universal Serial Bus, USB) 단자 또는 RJ-45 단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90)는 예를 들어 컨트롤 패널(110)의 후면에 마련되는 인쇄 회로 기판 상에 실장될 수 있다.
제어부(190)는 드럼 모터(140), 급수 밸브(152), 배수 펌프(162), 도어 스위치(103), 도어 락(104), 컨트롤 패널(110) 및 통신부(18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어부(190)는 세탁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프로세서(191)와, 세탁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기억 또는 저장하는 메모리(192)를 포함한다. 프로세서(191)와 메모리(192)는 별도의 칩으로 구현되거나, 단일의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90)는 복수의 프로세서들 또는 복수의 메모리들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91)는 메모리(192)로부터 제공되는 프로그램에 따라 데이터 및/또는 신호를 처리하고, 처리 결과에 기초하여 세탁기(100)의 각 구성에 제어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프로세서(191)는 컨트롤 패널(110)로부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으며, 사용자 입력을 처리할 수 있다.
프로세서(191)는,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건조기(300)의 건조 동작을 제어하고 건조 설정을 변경하기 위한 건조기 제어 모드 또는 세탁기(100)의 세탁 동작을 제어하고 세탁 설정을 변경하기 위한 세탁기 제어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91)는, 건조기 제어 버튼(221)을 통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건조기 제어 모드로 전환하고 건조기(300)의 건조 설정을 변경하기 위한 통신 데이터를 통신부(180)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91)는, 세탁기 제어 버튼(222)을 통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세탁기 제어 모드로 전환하고 세탁기(100)의 세탁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
프로세서(191)는, 사용자 입력에 응답한 세탁 설정(또는 건조 설정) 및 세탁 동작 정보(또는 건조 동작 정보)를 표시하도록, 컨트롤 패널(110)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91)는, 건조기 제어 버튼(221)을 통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건조기(300)의 건조 동작 정보 또는 건조 설정을 표시하도록, 컨트롤 패널(110)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91)는, 세탁기 제어 버튼(222)을 통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세탁기(100)의 세탁 동작 정보 또는 세탁 설정을 표시하도록 컨트롤 패널(110)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91)는,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드럼 모터(140), 급수 밸브(152), 배수 펌프(162) 및 도어 락(door lock)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91)는, 코스 선택 다이얼(241), 제1 설정 버튼(261), 제2 설정 버튼 및 제3 설정 버튼(263)을 통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세탁 설정을 설정하고, 세탁 설정에 기초하여, 드럼 모터(140), 급수 밸브(152), 배수 펌프(162) 및 도어 락(door lock)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91)는, 세탁 행정, 헹굼 행정 및 탈수 행정을 순차적으로 수행하도록, 드럼 모터(140), 급수 밸브(152), 배수 펌프(162) 및 도어 락(door lock)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91)는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건조기(3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통신 데이터를 통신부(180)에 제공할 수 있다. 프로세서(191)는, 코스 선택 다이얼(241), 제1 설정 버튼(261), 제2 설정 버튼 및 제3 설정 버튼(263)을 통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건조 설정을 설정하고, 건조 설정에 관한 정보를 건조기(300)에 전송하도록 건조 설정을 통신부(180)에 제공할 수 있다.
프로세서(191)는 연산 회로와 기억 회로와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91)는 하나의 칩을 포함하거나 또는 복수의 칩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91)는 하나의 코어를 포함하거나 또는 복수의 코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92)는 세탁 코스에 따라 세탁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과, 세탁 코스에 따른 세탁 설정 및 건조 코스에 따른 건조 설정을 포함하는 데이터를 기억/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92)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현재 선택된 세탁 코스, 세탁 설정, 건조 코스 및 건조 설정을 기억/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92)는 S-램(Static Random Access Memory, S-RAM), D-램(Dynamic Random Access Memory, D-RAM) 등의 휘발성 메모리와, 롬(Read Only Memory: ROM), 이피롬(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EPROM) 등의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92)는 하나의 메모리 소자를 포함하거나 또는 복수의 메모리 소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세탁기(100)는, 하나의 컨트롤 패널(110)을 이용하여, 건조기(3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1 유저 인터페이스와 세탁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1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세탁기(100)는, 제1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건조기(300)의 건조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통신 데이터를 건조기(300)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세탁기(100)는, 제2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세탁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의한 건조기의 측단면을 도시한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의한 건조기의 공기의 순환과 냉매의 순환을 도시한다.
도 11 및 도 12와 앞서 설명된 도 1 및 도 2을 함께 참조하여 건조기(300)의 구성이 설명된다.
건조기(300)는 캐비닛(301)을 포함한다. 또한, 건조기(300)는, 캐비닛(301)에 수용된, 도어(302)와, 컨트롤 패널(310)과, 드럼(330)과, 드럼 모터(335)와, 팬(340)과, 팬 모터(345)와, 덕트(350)와, 히터(355)와, 히트 펌프(360)를 포함한다.
캐비닛(301)의 전면 중앙에는 세탁물을 투입하거나 인출하기 위한 투입구(301a)가 마련된다.
도어(302)는 투입구(301a)를 개폐할 수 있으며, 투입부(301a)가 도어(302)에 의하여 폐쇄된 것은 도어 스위치(303)에 의하여 감지될 수 있다. 투입구(301a)가 폐쇄되고 건조기(300)가 동작하면, 도어(302)는 도어 락(304)에 의하여 잠겨질 수 있다.
캐비닛(301)의 전면 상측에는 사용자로부터 건조기(300)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는 사용자 입력부와 건조기(300)의 동작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컨트롤 패널(310)이 마련된다. 컨트롤 패널(310)은 아래에서 더욱 자세하게 설명된다.
건조기(300)는 건조 대상물을 수용하고 건조 대상물을 건조하는 드럼(330)를 포함한다. 드럼(330)은 캐비닛(101)의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드럼(330)은 그 회전중심이 전후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 드럼 바디(331)를 포함한다. 드럼 바디(331)의 전면에는 건조 대상물이 드럼(330) 내부로 투입될 수 있도록 허용하는 투입구(332a)가 형성된 전면 패널(332)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드럼 바디(331)의 후면은 고온 건조한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333a)가 마련된 후면 패널(333)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
드럼(330)의 전면 패널(332)에는 대상물의 건조에 사용된 공기가 유출되는 유출구(332b)가 마련될 수 있다. 유출구(332b)에는 건조 대상물에서 발생된 이물질을 포집하는 필터(334)가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건조 대상물에서 발생된 이물질은 필터(334)에 의하여 포집될 수 있다.
드럼(330)은 드럼 모터(335)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고, 회전할 수 있다. 드럼(330)은 벨트(336)에 의해 캐비닛(301) 내에 배치된 드럼 모터(335)에 연결된다. 드럼 모터(335)는 벨트(336)를 통하여 드럼(330)에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건조기(300)에는 적어도 하나의 열원이 마련되며, 건조기(300)는 열원을 통해 고온의 공기를 드럼(330)에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건조기(300)는 열원으로써 히터(355) 및 히트 펌프(36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냉매회로를 구성하는 히트 펌프가 마련된 건조기는 순환되는 공기의 흐름에 따라 순환식 건조기와 배기식 건조기로 분류될 수 있다. 순환식 건조기는 공기의 배출이나 흡입이 없이 순환하며 대상물을 건조시킬 수 있는 건조기를 의미한다. 배기식 건조기는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건조에 사용한 후 건조기 외부로 배출하는 건조기를 의미한다.
건조기(300)는 드럼(330)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팬(340)을 포함할 수 있다. 팬(340)은 드럼(330) 내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하고 덕트(350)로 공기를 배출할 수 있다. 팬(340)에 의하여, 드럼(330) 내부의 공기는 드럼(330)과 덕트(350)를 순환할 수 있다. 팬(340)은 팬 모터(345)에 의하여 회전할 수 있다.
드럼(330) 내부의 공기가 순환되는 덕트(350) 상에는 히터(355) 및 히트 펌프(360)가 마련될 수 있다.
히트 펌프(360)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기(361), 응축기(362), 증발기(364), 및 팽창기(363)를 포함한다. 압축기(361), 응축기(362), 팽창기(363) 및 증발기(364)는 캐비닛(301)의 저면에 안착될 수 있다.
압축기(361)는 기체 상태의 냉매를 고온 고압의 상태로 압축하고, 고온 고압의 기체 냉매를 배출할 수 있다. 배출된 냉매는 응축기(162)로 전달될 수 있다.
응축기(362)는 압축된 기체 냉매를 액체로 응축할 수 있다. 응축기(362)는 냉매의 응축 과정을 통해 주위로 열을 방출할 수 있다. 응축기(362)는 덕트(350) 상에 마련될 수 있으며, 냉매의 응축 과정에 발생된 열을 통하여 공기를 가열할 수 있다. 응축기(362)에서 응축된 액체 냉매는 팽창기(363)로 전달될 수 있다.
팽창기(363)는 응축기(362)에서 응축된 고온 고압의 액체 냉매를 저압상태의 액체 냉매로 팽창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팽창기(363)는 냉매의 압력 차이를 조절하는 팽창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증발기(364)는 팽창기(363)에서 팽창된 액체 냉매를 증발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증발기(364)는 저온 저압의 개체 냉매를 압축기(361)로 복귀시킬 수 있다.
증발기(364)는 저압의 액체 냉매를 기체 냉매로 변화시키는 증발 과정을 통해 주위로부터 열을 흡수할 수 있다. 증발기(364)는 덕트(350) 상에 마련될 수 있으며, 증발 과정에서 증발기(364)를 통과하는 공기를 냉각시킬 수 있다.
증발기(364)에 의하여 주변 공기가 냉각되고, 주변 공기의 온도가 이슬점보다 낮아지면 증발기(364) 주변 공기는 응결될 수 있다. 증발기(364) 주변에서 응결이 발생함으로 인하여, 증발기(364)를 통과하는 공기의 절대 습도는 낮아질 수 있다. 다시 말해, 증발기(364)를 통과하는 공기가 포함하는 수증기의 량이 감소할 수 있다.
이러한 증발기(364) 주변에서의 응결을 이용하여 건조기(300)는 드럼(330) 내부의 공기에 포함된 수증기 량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또한 건조물을 건조시킬 수 있다.
증발기(364)는 팬(340)에 의한 공기의 흐름을 기준으로 응축기(362)보다 상류에 위치할 수 있다. 팬(340)에 의하여 순환하는 공기는 증발기(364)를 통과하는 도안 증발기(364)에 의하여 건조(수증기가 응축)되며, 이후 응축기(362)를 통과하는 동안 응축기(362)에 의하여 가열될 수 있다.
히터(355)는 응축기(362)를 보조하여, 공기를 가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히트 펌프(360)의 응축기(362)가 덕트(350)의 공기를 충분히 가열하기 전에 히터(355)는 응축기(362)를 보조하여 덕트(350)의 공기를 가열할 수 있다.
응축기(362)를 보조하는 히터(355)에 의하여 드럼(330) 내부의 온도는 더욱 빠르게 상승할 수 있으며, 건조기(300)가 더욱 빠르게 건조물을 건조시킬 수 있다.
히터(355)는 팬(340)에 의한 공기의 흐름을 기준으로 응축기(362)보다 하류에 위치할 수 있다. 히터(355)는 가열 코일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히터(355)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미 공지된 다양한 소자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의한 건조기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14는 일 실시예에 의한 건조기에 포함된 컨트롤 패널을 도시한다.
건조기(300)는 도 11 및 도 12과 함께 설명된 기계적 구성들뿐만 아니라 다음의 전기적 구성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건조기(300)는 드럼 모터(335)와, 팬 모터(345)와, 히터(355)와, 압축기(361)와, 도어 스위치(303)와, 도어 락(door lock) (304)과, 컨트롤 패널(310)과, 통신부(380)와, 제어부(390)를 포함한다.
드럼 모터(335)는, 제어부(390)의 구동 신호에 응답하여, 드럼(330)을 회전시킬 수 있다. 팬 모터(345)는, 제어부(390)의 구동 신호에 응답하여, 팬(340)을 회전시킬 수 있다. 히터(355)는, 제어부(390)의 가열 신호에 응답하여, 덕트(350)의 공기를 가열할 수 있다. 압축기(361)는, 제어부(390)의 구동 신호에 응답하여, 히트 펌프(360)의 냉매를 순환시킬 수 있다.
도어 스위치(303)는 도어(302)가 폐쇄된 상태와 도어(302)가 개방된 상태를 각각 검출할 수 있다. 도어 락(304)은 제어부(390)의 잠금 신호에 응답하여 도어(302)를 잠글 수 있다. 도어(302)가 투입구(301a)를 폐쇄하고 건조기(300)가 동작하면, 제어부(390)는 도어(302)를 잠그도록 도어 락(304)을 제어할 수 있다.
컨트롤 패널(310)은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는 사용자 입력부와,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는 건조 설정 및/또는 건조 동작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컨트롤 패널(310)은 사용자와 건조기(300)가 상호작용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하에서는 '유저 인터페이스'라 한다)를 제공할 수 있다.
컨트롤 패널(310)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조기(300)를 전원-온시키거기 위한 사용자 입력 또는 건조기(300)를 전원-오프시키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는 건조기 전원 버튼(411)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건조기 전원 버튼(411)은 건조기(300)의 전원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전원과 관련하여 건조기(300)는 세탁기(100)와 동일하게 "오프 상태", "대기 상태" 및 "온 상태"를 포함하는 3가지 상태에 놓일 수 있다. "오프 상태", "대기 상태" 및 "온 상태" 각각에서의 건조기(300)의 동작은 세탁기(100)와 동일할 수 있다.
건조기 전원 버튼(411)은 택트 스위치(tact switch), 푸시 스위치, 슬라이드 스위치, 토클 스위치, 마이크로 스위치, 또는 터치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건조기 전원 버튼(411)은 예를 들어 터치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 패널(310)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조기(300)의 건조 동작을 개시하거나 건조 동작을 일시 정지시키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는 건조 동작 버튼(431)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건조 동작 버튼(431)은 건조기(300)가 동작 중인지 여부를 표시할 수 있다. 건조 동작 버튼(431)은 세탁기(100)의 건조 동작 버튼(231, 도 5 참조)과 동일할 수 있다.
컨트롤 패널(310)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조 코스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는 코스 선택 다이얼(441)과, 코스 선택 다이얼(241)의 회전에 의하여 선택된 건조 코스를 표시하는 코스 디스플레이(45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코스 선택 다이얼(441)과 코스 디스플레이(451)는 건조기 제어 모드에서의 세탁기(100)의 코스 선택 다이얼(241, 도 5 참조)과 코스 디스플레이(251, 도 5 참조)과 동일할 수 있다.
컨트롤 패널(310)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설정 버튼(461)과, 제1 설정 디스플레이(471)와, 제2 설정 버튼(462)과, 제2 설정 디스플레이(472)와, 제3 설정 버튼(463)과, 제3 설정 디스플레이(47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2 및 제3 설정 버튼(461, 462, 463)은 건조기 제어 모드에서의 세탁기(100)의 제1, 제2 및 제3 설정 버튼(261, 262, 263, 도 5 참조)과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제1, 제2 및 제3 설정 디스플레이(471, 472, 473)은 건조기 제어 모드에서의 세탁기(100)의 제1, 제2 및 제3 설정 디스플레이(271, 272, 273, 도 5 참조)와 동일할 수 있다.
컨트롤 패널(310)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장치 등의 외부 장치에 의한 건조기(300)의 원격 제어를 활성화하거나 또는 비활성화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는 원격 제어 버튼(481)과, 건조기(300)의 원격 제어가 활성화되었는지 여부를 표시하는 부가 설정 디스플레이(491)를 포함할 수 있다. 원격 제어 버튼(481)과 부가 설정 디스플레이(491)는 건조기 제어 모드에서의 세탁기(100)의 원격 제어 버튼(281, 도 5 참조)과 부가 설정 디스플레이(291, 도 5 참조)과 동일할 수 있다.
통신부(380)는 세탁기(100)에 데이터를 전송하고 세탁기(10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380)는 유선으로 세탁기(100)와 데이터를 주고받는 유선 통신 모듈(381)과, 무선으로 세탁기(100)와 데이터를 주고받는 무선 통신 모듈(382)와, 세탁기(100)와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한 통로가 되는 통신 인터페이스(383)를 포함할 수 있다. 유선 통신 모듈(381), 무선 통신 모듈(382) 및 통신 인터페이스(382)는 세탁기(100)의 유선 통신 모듈(181, 도 4 참조), 무선 통신 모듈(182, 도 4 참조) 및 통신 인터페이스(183, 도 4 참조)와 동일할 수 있다.
제어부(390)는 예를 들어 컨트롤 패널(310)의 후면에 마련되는 인쇄 회로 기판 상에 실장될 수 있다.
제어부(390)는 드럼 모터(335), 팬 모터(345), 히터(355), 압축기(361), 도어 스위치(303), 도어 락(304), 컨트롤 패널(310) 및 통신부(38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어부(390)는 건조기(3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프로세서(391)와, 건조기(3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기억 또는 저장하는 메모리(392)를 포함한다. 프로세서(391)와 메모리(392)는 별도의 칩으로 구현되거나, 단일의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90)는 복수의 프로세서들 또는 복수의 메모리들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391)는 메모리(392)로부터 제공되는 프로그램에 따라 데이터 및/또는 신호를 처리하고, 처리 결과에 기초하여 건조기(300)의 각 구성에 제어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프로세서(391)는 컨트롤 패널(310)로부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으며, 사용자 입력을 처리할 수 있다.
프로세서(391)는, 사용자 입력에 응답한 건조 설정 및 건조 동작 정보를 표시하도록, 컨트롤 패널(310)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391)는,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건조 동작을 수행하도록, 드럼 모터(335), 팬 모터(345), 히터(355), 압축기(361) 및 도어 락(304)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391)는, 통신부(380)를 통하여 수신된 건조 설정에 의존하여 건조 동작을 수행하도록, 드럼 모터(335), 팬 모터(345), 히터(355), 압축기(361) 및 도어 락(304)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391)는 연산 회로와 기억 회로와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391)는 하나의 칩을 포함하거나 또는 복수의 칩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391)는 하나의 코어를 포함하거나 또는 복수의 코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392)는 건조 코스에 따라 세탁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과, 건조 코스에 따른 건조 설정을 포함하는 데이터를 기억/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392)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현재 선택된 건조 코스 및 건조 설정을 기억/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92)는 S-램, D-램 등의 휘발성 메모리와, 롬, 이피롬 등의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92)는 하나의 메모리 소자를 포함하거나 또는 복수의 메모리 소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건조기(300)는 컨트롤 패널(310)을 통하여 획득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건조물을 건조하기 위한 건조 동작을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통신부(380)를 통하여 수신된 건조 설정에 기초하여 건조물을 건조하기 위한 건조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세탁기(100) 및 건조기(300)의 동작이 설명된다. 세탁기(100)의 동작은 제어부(190) 및/또는 프로세서(191)의 제어 아래에서 수행될 수 있으며, 건조기(300)의 동작 제어부(390) 및/또는 프로세서(391)의 제어 아래에서 수행될 수 있다.
도 15는 일 실시예에 의한 세탁기의 모드 전환 동작을 도시한다.
도 15과 함께, 세탁기(100)의 모도 전환 방법(1000)이 설명된다.
세탁기(100)는 턴온된다(1005).
세탁기(100)는 그 플러그가 전원 소켓에 삽입되고 사용자의 전원 온 명령이 입력되지 않은 "대기 상태"에 놓일 수 있다.
컨트롤 패널(110)의 세탁기 전원 버튼(211)이 사용자에 의하여 터치되거나 눌리면, 세탁기(100)는 '대기 상태'에서 '온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대기 상태"에서, 제어부(190)과 컨트롤 패널(110)에 전력이 공급될 수 있다. 세탁기 전원 버튼(211)의 제1 터치 스위치(211a)에 전력이 공급될 수 있으며, 제1 터치 스위치(211a)는 세탁기(100)의 전원 온을 위한 사용자 터치를 감지할 수 있으며, 사용자 터치의 감지에 따른 전기적 신호를 제어부(190)에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190)는, 전원 온을 위한 사용자 터치에 응답하여, 세탁기(100)에 포함된 모든 구성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세탁기(100)는 "대기 상태"에서 "온 상태"로 전환되며, "온 상태"에서 세탁기(100)에 포함된 구성들 모두에 전력이 공급될 수 있다.
세탁기(100)는 건조기(300)와 연결되었는지를 판단한다(1010).
제어부(190)는 통신부(180)를 통하여 건조기(300)와 통신할 수 있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90)는 통신 인터페이스(183)에 통신 선(181a) 또는 무선 동글(182a)이 삽입되었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183)에 통신 선(181a) 또는 무선 동글(182a)이 삽입되지 아니하였으며, 제어부(190)는 건조기(300)와 연결되지 아니한 것을 식별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183)에 통신 선(181a) 또는 무선 동글(182a)이 삽입되었으면, 제어부(190)는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여 응답 메시지가 수신되었는지를 식별할 수 있다. 응답 메시지가 수신되지 아니하면, 제어부(190)는 건조기(300)와 연결되지 아니한 것을 식별할 수 있다.
응답 메시지가 수신되면, 제어부(190)는 건조기(300)와 연결되었으며 건조기(300)와 통신할 수 있는 것을 식별할 수 있다.
건조기(300)와 통신할 수 있는 것을 식별되면, 제어부(190)는 통신 인터페이스(183)에 통신 선(181a)이 삽입되었는지 또는 무선 동글(182a)이 삽입되었는지를 식별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어부(190)는 건조기(300)와 유선으로 통신할 수 있는지 또는 건조기(300)와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는지를 식별할 수 있다.
세탁기(100)는, 건조기(300)와 연결된 것을 판단하면(1010의 예), 건조기(300)로부터 건조기(300)의 정보를 획득한다(1015).
건조기(300)와 통신이 가능한 것이 식별되면, 제어부(190)는 통신부(180)를 통하여 건조기(300)의 건조 동작 정보 및/또는 건조 설정 정보를 요청할 수 있으며, 통신부(180)를 통하여 건조기(300)의 건조 동작 정보 및/또는 건조 설정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90)는 건조기(300)가 "온 상태"인지, "온 상태"이면 건조기(300)가 건조 동작 중인지, 건조기(300)가 건조 동작 중이면 건조 동작이 완료되기까지 남은 시간을 통신부(180)를 통하여 수신할 수 있다.
건조기(300)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부(190)는, 건조기(300)가 "온 상태"인지, "온 상태"이면 건조기(300)가 건조 동작 중인지, 건조기(300)가 건조 동작 중이면 건조 동작이 완료되기까지 남은 시간을 식별할 수 있다.
이처럼, 세탁기(100)는 전원 온된 이후 건조기(300)와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식별하고, 건조기(300)로부터 건조기(300)의 동작 정보 및/또는 설정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세탁기(100)는, "대기 상태" 중에 미리 정해진 주기로, 통신부(180)에 전력을 공급하고, 통신부(180)를 통하여 건조기(300)와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식별하고 건조기(300)로부터 건조기(300)의 동작 정보 및/또는 설정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세탁기(100)는, "온 상태" 중에도 미리 정해진 주기로, 통신부(180)를 통하여 건조기(300)와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식별하고 건조기(300)로부터 건조기(300)의 동작 정보 및/또는 설정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건조기(300)와 연결되지 아니한 것이 판단되거나(1010의 아니요) 건조기(300)의 정보를 수신한 이후, 세탁기(100)는 세탁기 제어 모드로 동작한다(1020).
건조기(300)의 통신이 가능한지 여부와 관계 없이, 세탁기(100)는 턴온된 이후 세탁기 제어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세탁기 제어 모드가 세탁기(100)의 동작 모드의 디폴트 설정이다.
세탁기(100)가 턴온된 이후 동작 모드 전환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기 전까지, 제어부(190)는 세탁기 제어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제어부(190)는, 세탁기 제어 모드에서, 세탁기(100)의 정보를 표시하고 세탁기(100)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세탁기 제어 모드에서, 제어부(190)는 세탁 동작 정보 및/또는 세탁 설정 정보를 표시하고 세탁 동작 및/또는 세탁 설정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제어부(190)는 세탁기 제어 버튼(222)이 광을 방출하도록 컨트롤 패널(110)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90)는 코스 디스플레이(251)에 세탁 코스를 표시하도록 컨트롤 패널(110)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90)는 제1 설정 버튼(261), 제2 설정 버튼(262) 및 제3 설정 버튼(263)에 각각 '세탁 온도', '헹굼 횟수' 및 '탈수 세기'를 표시하도록 컨트롤 패널(110)을 제어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어부(190)는 디스플레이에 세탁기(100)의 동작과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도록 컨트롤 패널(110)를 제어하고, 입력 버튼들을 통하여 세탁기(100)의 동작과 관련된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이후, 세탁기(100)는 세탁 동작 중인지 여부를 판단한다(1025).
제어부(190)는 세탁기(100)가 세탁 동작을 개시하기 전에 메모리(192)에 세탁 미동작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90)는, 세탁 동작 버튼(232)을 통한 세탁 개시 명령에 응답하여, 메모리(192)에 세탁 동작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190)는 메모리(192)에 저장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세탁기(100)가 동작 중인지 또는 세탁기(100)가 동작 중이 아닌지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90)는, 메모리(192)에 저장된 세탁 동작 중을 나타내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세탁기(100)가 동작 중인 것을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90)는, 메모리(192)에 저장된 세탁 미동작을 나타내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세탁기(100)가 동작 중이 아닌 것을 식별할 수 있다.
세탁 동작 중이면(1025의 예) 세탁기(100)는 세탁 동작 정보를 표시하고(1030), 세탁 동작 중이 아니면(1025의 아니요) 세탁기(100)는 세탁 설정 정보를 표시한다(1035).
세탁기(100)가 세탁 동작 중이면, 제어부(190)는 세탁기(100)의 세탁 동작에 관한 정보를 컨트롤 패널(110)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90)는 코스 디스플레이(251)에 세탁 동작의 종료까지 남은 시간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세탁기(100)가 동작 중이 아니면, 제어부(190)는 세탁기(100)의 세탁 설정에 관한 정보를 컨트롤 패널(110)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90)는 코스 디스플레이(251)에 세탁 코스를 표시하고, 제1 설정 디스플레이(271)에 세탁 온도를 표시하고, 제2 설정 디스플레이(272)에 헹굼 횟수를 표시하고, 제3 설정 디스플레이(273)에 탈수 세기를 표시할 수 있다.
이처럼, 세탁기(100)는 세탁기 제어 모드 중에 컨트롤 패널(110)에 세탁기(100)의 세탁 동작에 관한 정보 또는 세탁 설정에 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세탁기(100)는, 세탁기 제어 모드 중에, 건조기 제어 모드로 전환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1040).
컨트롤 패널(110)에는, 건조기(300)를 제어하기 위한 건조기 제어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는 건조기 제어 버튼(221)이 마련될 수 있다. 사용자는, 세탁기(100)의 동작 모드를 세탁기(100)의 컨트롤 패널(110)을 이용하여 건조기(300)를 제어할 수 있는 건조기 제어 모드로 전환하기 위하여, 건조기 제어 버튼(221)을 터치하거나 또는 누를 수 있다.
제어부(190)는, 건조기 제어 버튼(221)이 터치되거나 눌리면, 건조기 제어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한 것을 판단할 수 있다.
건조기 제어 모드로 전환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지 아니하였으면(1040의 아니요), 세탁기(100)는 세탁기 제어 모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세탁기(100)는 세탁 동작 정보 및/또는 세탁 설정 정보를 표시하고 세탁 동작 및/또는 세탁 설정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건조기 제어 모드로 전환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면(1040의 예), 세탁기(100)는 건조기(300)와 연결되었는지를 판단한다(1045).
건조기 제어 버튼(221)이 터치되는 것에 응답하여, 제어부(190)는 건조기(300)와 통신부(180)를 통하여 통신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어부(190)는 건조기 제어 모드로 전환할 수 있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동작 1045은 동작 1010과 동일할 수 있다.
세탁기(100)는, 건조기(300)와 연결되지 아니한 것을 판단하면(1045의 아니요), 세탁기 제어 모드를 유지할 수 있다.
세탁기(100)는, 건조기(300)와 연결된 것을 판단하면(1045의 예), 건조기(300)로부터 건조기(300)의 정보를 획득한다(1055).
동작 1055는 동작 1015과 동일할 수 있다.
이처럼, 세탁기(100)는, 건조기 제어 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면, 건조기(300)와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식별하고, 건조기(300)로부터 건조기(300)의 동작 정보 및/또는 설정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면, 세탁기(100)는, 미리 정해진 주기로, 통신부(180)를 통하여 건조기(300)와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식별하고 건조기(300)로부터 건조기(300)의 동작 정보 및/또는 설정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후, 세탁기(100)는 건조기 제어 모드로 동작한다(1060).
건조기 제어 버튼(221)이 터치되는 것에 응답하여, 제어부(190)는, 건조기(300)의 건조 동작 정보 및/또는 건조 설정 정보를 표시하고 건조기(300)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기 위한, 건조기 제어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제어부(190)는, 건조기 제어 모드에서, 통신부(180)를 통하여 수신된 건조기(300)의 정보를 표시하고 건조기(300)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건조기 제어 모드에서, 제어부(190)는 건조 동작 정보 및/또는 건조 설정 정보를 표시하고 건조 동작 및/또는 건조 설정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제어부(190)는 건조기 제어 버튼(221)이 광을 방출하도록 컨트롤 패널(110)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90)는 코스 디스플레이(251)에 건조 코스를 표시하도록 컨트롤 패널(110)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90)는 제1 설정 버튼(261), 제2 설정 버튼(262) 및 제3 설정 버튼(263)에 각각 '건조 정도', '구김 방지' 및 '시간 설정'을 표시하도록 컨트롤 패널(110)을 제어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어부(190)는 디스플레이에 건조기(300)의 동작과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도록 컨트롤 패널(110)를 제어하고, 입력 버튼들을 통하여 건조기(300)의 동작과 관련된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세탁기(100)는 건조기(300)가 건조 동작 중인지 여부를 판단한다(1065)
제어부(190)는 건조기(300)로부터 수신된 건조기(300)의 동작 정보에 기초하여 건조기(300)가 동작 중인지 또는 건조기(300)가 동작 중이 아닌지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90)는, 통신부(180)를 통하여 수신된 건조 동작 중을 나타내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건조기(300)가 동작 중인 것을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90)는, 통신부(180)를 통하여 수신된 건조 미동작을 나타내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건조기(300)가 동작 중이 아닌 것을 식별할 수 있다.
건조 동작 중이면(1065의 예) 세탁기(100)는 건조 동작 정보를 표시하고(1070), 건조 동작 중이 아니면(1065의 아니요) 세탁기(100)는 건조 설정 정보를 표시한다(1075).
건조기(300)가 건조 동작 중이면, 제어부(190)는 건조기(300)의 건조 동작에 관한 정보를 컨트롤 패널(110)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90)는 코스 디스플레이(251)에 건조 동작의 종료까지 남은 시간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건조기(300)가 동작 중이 아니면, 제어부(190)는 건조기(300)의 건조 설정에 관한 정보를 컨트롤 패널(110)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90)는 코스 디스플레이(251)에 건조 코스를 표시하고, 제1 설정 디스플레이(271)에 건조 정도를 표시하고, 제2 설정 디스플레이(272)에 구김 방지를 위한 추가 시간을 표시하고, 제3 설정 디스플레이(273)에 건조 시간을 표시할 수 있다.
이처럼, 세탁기(100)는 건조기 제어 모드 중에 컨트롤 패널(110)에 건조기(300)의 건조 동작에 관한 정보 또는 건조 설정에 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건조기 제어 모드 중에 세탁기(100)는 세탁기 제어 모드로 전환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1080).
컨트롤 패널(110)에는, 세탁기(100)를 제어하기 위한 세탁기 제어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는 세탁기 제어 버튼(222)이 마련될 수 있다. 사용자는, 세탁기(100)의 동작 모드를 세탁기(100)의 컨트롤 패널(110)을 이용하여 세탁기(100)를 제어할 수 있는 세탁기 제어 모드로 전환하기 위하여, 세탁기 제어 버튼(222)을 터치하거나 또는 누를 수 있다.
제어부(190)는, 세탁기 제어 버튼(222)이 터치되거나 눌리면 세탁기 제어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한 것을 판단할 수 있다.
세탁기 제어 모드로 전환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지 아니하였으면(1080의 아니요), 세탁기(100)는 건조기 제어 모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세탁기(100)는 건조 동작 정보 및/또는 건조 설정 정보를 표시하고 건조 동작 및/또는 건조 설정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세탁기 제어 모드로 전환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면(1080의 예), 세탁기(100)는 세탁기 제어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세탁기(100)는, 사용자 입력에 의존하여, 세탁기(100)의 세탁 동작 및/또는 세탁 설정을 제어하기 위한 세탁기 제어 모드로 동작하거나 또는 건조기(300)의 건조 동작을 제어하고 건조 설정을 입력하기 위한 건조기 제어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그에 의하여, 사용자는, 세탁기(100)의 컨트롤 패널(110)을 이용하여, 건조기(300)의 건조 동작을 제어하고 건조 설정을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건조기(300)가 세탁기(100)의 위에 위치하는 경우, 사용자는 건조기(300)의 컨트롤 패널(310)을 조작하는 일 없이 세탁기(100)의 컨트롤 패널(110)을 이용하여 건조기(30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6은 일 실시예에 의한 세탁기의 세탁/건조 설정 입력 방법을 도시한다. 도 17은 일 실시예에 의한 세탁기의 세탁 설정 입력을 도시한다. 도 18은 일 실시예에 의한 세탁기의 건조 설정 입력을 도시한다.
도 16, 도 17 및 도 18과 함께, 세탁기(100)의 설정 입력 방법(1100)이 설명된다.
세탁기(100)는 턴온된다(1105).
동작 1105은 도 15에 도시된 동작 1005와 동일할 수 있다.
세탁기(100)는 건조기(300)로부터 건조기(300)의 정보를 획득한다(1110).
제어부(190)는 통신부(180)를 통하여 건조기(300)와 통신할 수 있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으며, 건조기(300)와 통신이 가능한 것이 식별되면 통신부(180)를 통하여 건조기(300)의 건조 동작 정보 및/또는 건조 설정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처럼, 세탁기(100)는, 우선 건조기(300)와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건조기(300)와 연결된 것을 판단하면 건조기(300)로부터 건조기(300)의 정보를 획득한다. 다만, 아래에서는 세탁기(100)가 건조기(300)와 연결된 것이 가정된다.
동작 1110은 도 15에 도시된 동작 1010 및 동작 1015와 동일할 수 있다.
세탁기(100)는 세탁기 제어 모드로 동작한다(1115).
턴온된 이후 건조기(300)의 통신이 가능한지 여부와 관계 없이, 세탁기(100)는 세탁기 제어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동작 1115는 도 15에 도시된 동작 1020과 동일할 수 있다.
세탁기(100)는 세탁 설정 정보 또는 세탁 동작 정보를 표시한다(1120).
제어부(190)는 예를 들어 메모리(192)에 저장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세탁기(100)가 세탁 동작 중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90)는 세탁기(100)가 세탁 동작 중이면 세탁기(100)의 세탁 동작에 관한 정보를 컨트롤 패널(110)에 표시하고, 세탁기(100)가 동작 중이 아니면 세탁기(100)의 세탁 설정에 관한 정보를 컨트롤 패널(110)에 표시할 수 있다.
이처럼, 세탁기(100)는 세탁기 제어 모드 중에 컨트롤 패널(110)에 세탁기(100)의 세탁 동작에 관한 정보 또는 세탁 설정에 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동작 1115는 도 15에 도시된 동작 1025, 동작 1030 및 동작 1035와 동일할 수 있다.
세탁기(100)는, 세탁기 제어 모드 중에, 건조기 제어 모드로 전환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1125).
제어부(190)는, 컨트롤 패널(110)에 마련된 건조기 제어 버튼(221)이 터치되거나 눌리면, 건조기 제어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한 것을 판단할 수 있다.
동작 1125는 도 15에 도시된 동작 1040과 동일할 수 있다.
세탁기(100)는, 건조기 제어 모드로 전환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지 아니한 것을 판단하면(1125의 아니요), 세탁기 제어 모드에서 세탁 설정을 변경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한다(1130).
컨트롤 패널(110)에는, 세탁기 제어 모드에서 세탁 코스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는 코스 선택 다이얼(241)과 세탁 설정(예를 들어, 세탁 온도, 헹굼 횟수, 탈수 세기 등)을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는 제1, 제2 및 제3 설정 버튼(261, 262, 263)이 마련될 수 있다. 사용자는 세탁기 제어 모드에서 세탁기(100)의 세탁 코스 및 세탁 설정을 입력하기 위하여 코스 선택 다이얼(241), 제1, 제2 및 제3 설정 버튼(261, 262, 263)을 조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스 선택 다이얼(241)은 사용자에 의하여 회전할 수 있다. 제어부(190)는, 코스 선택 다이얼(241)이 회전에 응답하여 세탁 코스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90)는, 제1, 제2 및 제3 설정 버튼(261, 262, 263) 중 적어도 하나가 터치되거나 눌리는 것에 응답하여 세탁 설정을 변경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식별할 수 있다.
세탁기(100)는, 사용자 입력을 획득한 것에 응답하여, 세탁 설정을 변경 및 저장한다(1135).
제어부(190)는 코스 선택 다이얼(241)이 회전하는 동안 코스 디스플레이(251)에 복수의 세탁 코스들을 순서대로 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90)는 코스 선택 다이얼(241)의 회전이 정지된 때에 코스 디스플레이(251)에 표시되는 세탁 코스를 세탁물을 세탁하기 위한 코스로써 선택할 수 있다.
제어부(190)는 제1 설정 버튼(261)이 터치되거나 눌리는 것에 응답하여 세탁물을 세탁하기 위한 세탁 온도를 변경할 수 있으며, 제2 설정 버튼(262)이 터치되거나 눌리는 것에 응답하여 세탁물을 헹구기 위한 헹굼 횟수를 변경할 수 있으며, 제3 설정 버튼(263)이 터치되거나 눌리는 것에 응답하여 세탁물을 탈수하기 위한 탈수 세기를 변경할 수 있다.
제어부(190)는 선택된 세탁 코스 및 변경된 세탁 설정을 메모리(192)에 저장 또는 기억할 수 있다.
세탁기(100)는,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변경된 세탁 설정을 표시한다(1140).
제어부(190)는 예를 들어 코스 선택 다이얼(241)의 회전이 정지됨에 의하여 선택된 세탁 코스를 코스 디스플레이(251)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90)는 제1, 제2 및 제3 설정 디스플레이(271, 272, 273)에 변경된 세탁 온도와 변경된 헹굼 횟수와 변경된 탈수 세기를 표시할 수 있다.
이처럼, 세탁기(100)는 세탁기 제어 모드 중에 컨트롤 패널(110)을 통하여 세탁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세탁 설정을 획득하고, 세탁 설정의 변경을 컨트롤 패널(110)에 표시할 수 있다.
동작 1125로 돌아가서, 건조기 제어 모드로 전환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면(1125의 예), 세탁기(100)는 건조기(300)로부터 건조기(300)의 정보를 획득한다(1155).
제어부(190)는, 건조기 제어 모드로 전환을 위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통신부(180)를 통하여 건조기(300)와 통신할 수 있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으며, 건조기(300)와 통신이 가능한 것이 식별되면 통신부(180)를 통하여 건조기(300)의 건조 동작 정보 및/또는 건조 설정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동작 1155는 도 15에 도시된 동작 1010 및 동작 1015와 동일할 수 있다.
세탁기(100)는 건조기 제어 모드로 동작한다(1160).
건조기 제어 버튼(221)이 터치되는 것에 응답하여, 세탁기(100)는 건조기 제어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동작 1160은 도 15에 도시된 동작 1060과 동일할 수 있다.
세탁기(100)는 건조 설정 정보 또는 건조 동작 정보를 표시한다(1165).
제어부(190)는 예를 들어 건조기(30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건조기(300)가 세탁 동작 중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90)는 건조기(300)가 건조 동작 중이면 건조기(300)의 건조 동작에 관한 정보를 컨트롤 패널(110)에 표시하고, 건조기(300)가 동작 중이 아니면 건조기(300)의 건조 설정에 관한 정보를 컨트롤 패널(110)에 표시할 수 있다.
이처럼, 세탁기(100)는 건조기 제어 모드 중에 컨트롤 패널(110)에 건조기(300)의 건조 동작에 관한 정보 또는 건조 설정에 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동작 1165는 도 15에 도시된 동작 1065, 동작 1070 및 동작 1075와 동일할 수 있다.
세탁기(100)는, 건조기 제어 모드 중에, 세탁기 제어 모드로 전환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1170).
제어부(190)는, 컨트롤 패널(110)에 마련된 세탁기 제어 버튼(222)이 터치되거나 눌리면, 세탁기 제어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한 것을 판단할 수 있다.
동작 1170는 도 15에 도시된 동작 1080과 동일할 수 있다.
세탁기 제어 모드로 전환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면(1170의 예), 세탁기(100)는 세탁기 제어 모드로 동작한다(1115).
세탁기(100)는, 세탁기 제어 모드로 전환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지 아니한 것을 판단하면(1170의 아니요), 건조기 제어 모드에서 세탁 설정을 변경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한다(1175).
컨트롤 패널(110)에는, 건조기 제어 모드에서 건조 코스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는 코스 선택 다이얼(241)과 건조 설정(예를 들어, 건조 정도, 구김 방지를 추가 시간, 건조 시간 등)을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는 제1, 제2 및 제3 설정 버튼(261, 262, 263)이 마련될 수 있다. 사용자는 건조기 제어 모드에서 건조기(300)의 건조 코스 및 건조 설정을 입력하기 위하여 코스 선택 다이얼(241), 제1, 제2 및 제3 설정 버튼(261, 262, 263)을 조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스 선택 다이얼(241)은 사용자에 의하여 회전할 수 있다. 제어부(190)는, 코스 선택 다이얼(241)이 회전에 응답하여 건조 코스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90)는, 제1, 제2 및 제3 설정 버튼(261, 262, 263) 중 적어도 하나가 터치되거나 눌리는 것에 응답하여 건조 설정을 변경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식별할 수 있다.
세탁기(100)는, 사용자 입력을 획득한 것에 응답하여, 건조 설정을 변경 및 저장한다(1135).
제어부(190)는 코스 선택 다이얼(241)이 회전하는 동안 코스 디스플레이(251)에 복수의 건조 코스들을 순서대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90)는 코스 선택 다이얼(241)의 회전이 정지된 때에 코스 디스플레이(251)에 표시되는 건조 코스를 건조기(300)가 건조물을 건조하기 위한 코스로써 선택할 수 있다.
제어부(190)는 제1 설정 버튼(261)이 터치되거나 눌리는 것에 응답하여 건조물을 건조하기 위한 건조 정도를 변경할 수 있으며, 제2 설정 버튼(262)이 터치되거나 눌리는 것에 응답하여 건조물의 구김 방지를 위한 추가 시간을 변경할 수 있으며, 제3 설정 버튼(263)이 터치되거나 눌리는 것에 응답하여 건조기(300)가 건조를 위하여 동작하는 건조 시간을 변경할 수 있다.
제어부(190)는 선택된 건조 코스 및 변경된 건조 설정을 메모리(192)에 저장 또는 기억할 수 있다.
세탁기(100)는,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변경된 건조 설정을 표시한다(1185).
제어부(190)는 예를 들어 코스 선택 다이얼(241)의 회전이 정지됨에 의하여 선택된 건조 코스를 코스 디스플레이(251)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90)는 제1, 제2 및 제3 설정 디스플레이(271, 272, 273)에에 변경된 건조 정도와 변경된 구김 방지를 위한 추가 시간과 변경된 건조 시간을 표시할 수 있다.
세탁기(100)는, 건조 설정을 건조기(300)에 전송한다(1190).
제어부(190)는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변경된 건조 코스 및 건조 설정에 관한 정보를 건조기(300)로 전송하도록 통신부(18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90)는 건조 코스 및/또는 건조 설정을 변경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할 때마다 건조 코스 및/또는 건조 설정에 관한 정보를 건조기(300)로 전송하도록 통신부(180)를 제어하거나, 또는 미리 정해진 시간마다 메모리(192)에 저장된 건조 코스 및/또는 건조 설정에 관한 정보를 건조기(300)로 전송하도록 통신부(180)를 제어할 수 있다.
건조기(300)의 제어부(390)는 통신부(380)를 통하여 건조 코스 및 건조 설정을 수신할 수 있다. 건조기(300)의 제어부(390)는 세탁기(100)로부터 수신된 건조 코스 및 건조 설정을 메모리(392)에 저장하고, 세탁기(100)로부터 수신된 건조 코스 및 건조 설정을 컨트롤 패널(310)에 표시할 수 있다.
이처럼, 세탁기(100)는 건조기 제어 모드 중에 컨트롤 패널(110)을 통하여 건조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건조 설정을 획득하고, 건조 설정의 변경을 컨트롤 패널(110)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세탁기(100)는 건조 설정에 관한 정보를 건조기(3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세탁기(100)는 세탁기 제어 모드에서 세탁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고, 건조기 제어 모드에서 건조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그에 의하여, 사용자는 건조기(300)의 건조 동작을 제어하고 건조 설정을 변경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세탁기(100)의 컨트롤 패널(110)을 이용하여 입력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사용자는 하나의 컨트롤 패널(110)을 통하여 세탁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1 유저 인터페이스와 건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2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도 19는 일 실시예에 의한 세탁기의 세탁/건조 동작 개시 방법을 도시한다. 도 20은 일 실시예에 의한 세탁기의 세탁 개시 입력을 도시한다. 도 21은 일 실시예에 의한 세탁기의 건조 개시 입력을 도시한다.
도 19, 도 20 및 도 21과 함께, 세탁기(100)의 동작 개시 방법(1200)이 설명된다.
세탁기(100)는 턴온되고(1205), 건조기(300)로부터 건조기(300)의 정보를 획득하고(1210), 세탁기 제어 모드로 동작하고(1215), 세탁 설정 정보 또는 세탁 동작 정보를 표시하고(1220), 건조기 제어 모드로 전환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1225).
동작 1205, 동작 1210, 동작 1215, 동작 1220 및 동작 1225는 도 16에 도시된 동작 1105, 동작 1110, 동작 1115, 동작 1120 및 동작 1125와 동일할 수 있다.
세탁기(100)는, 건조기 제어 모드로 전환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지 아니한 것을 판단하면(1225의 아니요), 세탁기 제어 모드에서 건조 동작 개시 또는 일시 정지를 위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1230).
컨트롤 패널(110)에는, 건조기(300)의 건조 동작을 개시하거나 건조 동작을 일시 정지시키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는 건조 동작 버튼(231)이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탁기 제어 모드 중에 사용자는, 건조 동작 버튼(232)을 통하여, 건조기(300)가 건조 코스와 건조 설정에 따라 건조물을 건조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건조기(300)가 건조 동작 중에 건조 동작 버튼(231)을 통하여, 건조 동작의 일시 정지를 위한 사용자 입력을 입력할 수 있다.
제어부(190)는, 세탁기(100)의 제어 모드와 무관하게, 건조 동작 버튼(231)을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건조 동작의 개시를 위한 사용자 입력 또는 건조 동작의 일시 정지를 위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어부(190)는 건조기 제어 모드에서 건조 동작 버튼(231)를 통하여 건조 동작의 개시를 위한 사용자 입력 또는 건조 동작의 일시 정지를 위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세탁기 제어 모드에서도 건조 동작 버튼(231)를 통하여 건조 동작의 개시를 위한 사용자 입력 또는 건조 동작의 일시 정지를 위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세탁기(100)는, 건조 개시 또는 일시 정지를 위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한 것을 판단하면(1230의 예), 건조 동작을 개시하거나 건조 동작을 일시 정지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건조기(300)에 전송한다(1235).
제어기(190)는, 건조 동작 버튼(231)이 터치되거나 또는 눌려지는 것에 응답하여, 건조기(300)가 건조 동작을 개시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건조기(300)로 전송하도록 통신부(180)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기(190)는, 건조 코스 및/또는 건조 설정에 관한 정보와 함께, 건조 동작을 개시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건조기(300)로 전송하도록 통신부(180)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기(190)는, 건조기(300)와 유선으로 통신하는 또는 무선으로 통신하는지에 의존하여, 건조 동작을 개시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건조기(300)로 전송할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건조기(300)와 유선으로 통신하면, 제어부(190)는 건조 동작을 개시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건조기(300)로 전송할 수 있다.
반면, 건조기(300)와 무선으로 통신하면, 제어부(190)는 건조 동작을 개시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건조기(300)로 전송하지 아니할 수 있다. 세탁기(100)가 건조기(300)와 무선으로 통신하는 경우, 세탁기(100)는 건조기(300)로부터 멀리 위치할 수 있다. 그로 인하여, 세탁기(100)의 사용자는 건조기(300)를 확인하지 못한 채 건조기(300)를 동작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건조기(300) 내부에 애완 동물 등이 들어가 있더라도, 사용자는 이를 확인하지 못한 채로 건조기(300)를 동작시킬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건조기(300)와 무선으로 통신하면, 세탁기(100)의 제어부(190)가 건조기(300)의 드럼(330)을 회전시키는 건조 동작 명령을 건조기(300)로 전송하는 것이 방지(또는 금지)될 수 있다.
이처럼, 제어기(190)는 건조기(300)가 건조 동작을 개시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건조기(300)로 전송하도록 바람직하게는 유선 통신 모듈(181)을 제어할 수 있다.
건조기(300)의 제어부(390)는 통신부(380)를 통하여 건조 동작을 개시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건조 동작을 개시하기 위한 제어 명령에 응답하여, 제어부(390)는 건조 동작을 수행하도록 건조기(300)에 포함된 구성들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390)는 도어 스위치(303)의 출력 신호에 의존하여 도어(302)가 폐쇄되었는지를 식별할 수 있다. 도어(302)가 폐쇄된 것이 식별되면, 제어부(390)는 도어(302)를 잠그도록 도어 락(304)을 제어할 수 있다. 도어(302)가 잠긴 것이 식별되면, 제어부(390)는 드럼(330)을 회전시키도록 드럼 모터(335)를 제어하고 팬(340)을 회전시키도록 팬 모터(345)를 제어하고 덕트(350) 내부를 가열하도록 히터(355)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세탁기(100)의 제어부(190)는, 건조기(300)의 건조 동작 중에 건조 동작 버튼(231)이 터치되거나 또는 눌려지는 것에 응답하여, 건조기(300)가 건조 동작을 일시 정지시키기 위한 제어 명령을 건조기(300)로 전송하도록 통신부(180)을 제어할 수 있다.
건조기(300)의 제어부(390)는 통신부(380)를 통하여 건조 동작을 일시 정지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건조 동작을 일시 정지하기 위한 제어 명령에 응답하여, 제어부(390)는 건조 동작을 정지하도록 건조기(300)에 포함된 구성들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390)는 드럼(330)을 정지시키도록 드럼 모터(335)를 제어하고 팬(340)을 정지시키도록 팬 모터(345)를 제어하고 덕트(350)의 가열을 정지하도록 히터(355)를 제어할 수 있다.
세탁기(100)는, 건조 개시 또는 일시 정지를 위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지 아니한 것을 판단하면(1230의 아니요), 세탁 동작 개시 또는 일시 정지를 위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1240).
컨트롤 패널(110)에는, 세탁기(100)의 세탁 동작을 개시하거나 세탁 동작을 일시 정지시키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는 세탁 동작 버튼(232)이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탁기 제어 모드 중에 사용자는, 세탁 동작 버튼(232)을 통하여, 세탁기(100)가 세탁 코스와 세탁 설정에 따라 세탁물을 세탁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세탁기(100)가 세탁 동작 중에, 세탁 동작 버튼(232)을 통하여 세탁 동작의 일시 정지를 위한 사용자 입력을 입력할 수 있다.
세탁기(100)의 제어 모드와 무관하게 제어부(190)는 세탁 동작 버튼(232)을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세탁 동작의 개시를 위한 사용자 입력 또는 세탁 동작의 일시 정지를 위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어부(190)는 세탁기 제어 모드에서 세탁 동작 버튼(232)를 통하여 세탁 동작의 개시를 위한 사용자 입력 또는 세탁 동작의 일시 정지를 위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건조기 제어 모드에서도 세탁 동작 버튼(232)를 통하여 세탁 동작의 개시를 위한 사용자 입력 또는 세탁 동작의 일시 정지를 위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세탁기(100)는, 건조 개시 또는 일시 정지를 위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한 것을 판단하면(1240의 예), 세탁 동작을 개시하거나 세탁 동작을 일시 정지한다(1245).
제어부(190)는, 세탁 동작 버튼(232)이 터치되거나 또는 눌려지는 것에 응답하여, 세탁 동작을 수행하도록 세탁기(100)에 포함된 구성들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90)는 도어 스위치(103)의 출력 신호에 의존하여 도어(102)가 폐쇄되었는지를 식별할 수 있다. 도어(102)가 폐쇄된 것이 식별되면, 제어부(190)는 도어(102)를 잠그도록 도어 락(104)을 제어할 수 있다. 도어(302)가 잠긴 것이 식별되면, 제어부(190)는 터브(120)에 물을 공급하도록 급수 밸브(152)를 제어하고, 세탁/헹굼을 위하여 드럼(130)을 저속으로 회전시키도록 드럼 모터(14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90)는 터브(120)에 수용된 물을 배출하도록 배수 펌프(162)를 제어하고, 탈수를 위하여 드럼(130)을 고속으로 회전시키도록 드럼 모터(14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90)는, 세탁기(100)의 세탁 동작 중에 세탁 동작 버튼(232)이 터치되거나 또는 눌려지는 것에 응답하여, 세탁 동작을 일시 정지하도록 세탁기(100)에 포함된 구성들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90)는 급수 중에 급수를 중지하도록 급수 밸브(152)를 제어하고, 세탁/헹굼 중에 드럼(130)의 회전을 중지하도록 드럼 모터(14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90)는 배수 중에 배수를 중지하도록 배수 펌프(162)를 제어하고, 탈수 중에 드럼(130)의 회전을 중지하도록 드럼 모터(140)를 제어할 수 있다.
동작 1225로 돌어가서, 건조기 제어 모드로 전환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면(1225의 예), 세탁기(100)는 건조기(300)로부터 건조기(300)의 정보를 획득한다(1255). 세탁기(100)는 건조기 제어 모드로 동작하고(1260), 건조 설정 정보 또는 건조 동작 정보를 표시하고(1265), 세탁기 제어 모드로 전환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1270).
동작 1255, 동작 1260, 동작 1265 및 동작 1270은 도 16에 도시된 동작 1155, 동작 1160, 동작 1165 및 동작 1170과 동일할 수 있다.
세탁기 제어 모드로 전환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면(1270의 예), 세탁기(100)는 세탁기 제어 모드로 동작한다(1215).
세탁기(100)는, 세탁기 제어 모드로 전환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지 아니한 것을 판단하면(1270의 아니요), 건조기 제어 모드에서 세탁 동작 개시 또는 일시 정지를 위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1275).
제어부(190)는, 세탁기(100)의 제어 모드와 무관하게, 세탁 동작 버튼(232)을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세탁 동작의 개시를 위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동작 1275는 동작 1240과 동일할 수 있다.
세탁기(100)는, 세탁 개시 또는 일시 정지를 위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한 것을 판단하면(1275의 예), 세탁 동작을 개시하거나 세탁 동작을 일시 정지한다(1280).
동작 1280은 동작 1245와 동일할 수 있다.
세탁기(100)는, 세탁 개시 또는 일시 정지를 위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지 아니한 것을 판단하면(1280의 아니요), 건조 동작 개시 또는 일시 정지를 위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1285).
제어부(190)는, 세탁기(100)의 제어 모드와 무관하게, 건조 동작 버튼(231)을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세탁 동작의 개시를 위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동작 1285는 동작 1230과 동일할 수 있다.
세탁기(100)는, 건조 개시 또는 일시 정지를 위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한 것을 판단하면(1285의 예), 건조 동작을 개시하거나 건조 동작을 일시 정지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건조기(300)에 전송한다(1290).
동작 1290은 동작 1235과 동일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세탁기(100)는, 제어 모드와 무관하게, 세탁 동작을 개시/일시 정지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 및 건조 동작을 개시/일시 정지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그에 의하여, 사용자는 긴급한 상황에서 빠르게 건조기(300)의 동작을 정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건조 동작 중인 건조기(300)를 정지시키기 위하여, 사용자는, 제어 모드를 전환하기 위한 건조기 제어 버튼(221)을 터치하는 일 없이, 바로 건조 동작 버튼(231)을 터치함으로써 건조기(300)의 동작을 일시 정지시킬 수 있다.
도 22는 일 실시예에 의한 세탁기 및 건조기의 원격 제어 활성화 방법을 도시한다. 도 23은 일 실시예에 의한 세탁기에 의한 원격 제어 활성화를 도시한다.
도 22 및 도 23과 함께, 세탁기(100)의 원격 제어 활성화 방법(1300)이 설명된다.
세탁기(100)는 턴온되고(1305), 건조기(300)로부터 건조기(300)의 정보를 획득하고(1310), 세탁기 제어 모드로 동작하고(1315), 세탁 설정 정보 또는 세탁 동작 정보를 표시하고(1320), 건조기 제어 모드로 전환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1325).
동작 1305, 동작 1310, 동작 1315, 동작 1320 및 동작 1325는 도 16에 도시된 동작 1105, 동작 1110, 동작 1115, 동작 1120 및 동작 1125와 동일할 수 있다.
세탁기(100)는, 건조기 제어 모드로 전환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지 아니한 것을 판단하면(1325의 아니요), 세탁기 제어 모드에서 원격 제어를 위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1330).
컨트롤 패널(110)에는, 외부 장치(예를 들어, 사용자 장치 등)를 이용한 세탁기(100) 및/또는 건조기(300)의 원격 제어를 활성화하기 위한 원격 제어 버튼(281)이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원격 제어 버튼(281)을 통하여, 세탁기(100) 및/또는 건조기(300)의 원격 제어를 활성화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세탁기(100) 및/또는 건조기(300)의 원격 제어가 활성화된 중에 원격 제어 버튼(281)을 통하여, 세탁기(100) 및/또는 건조기(300)의 원격 제어를 비활성화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입력할 수 있다.
제어부(190)는 원격 제어 버튼(281)을 통하여 세탁기(100) 및/또는 건조기(300)의 원격 제어를 활성화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 또는 원격 제어를 비활성화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원격 제어를 활성화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한 것이 판단되지 아니하면(1330의 아니요), 세탁기(100)는 세탁기 제어 모드에서 사용자 입력을 대기할 수 있다.
세탁기(100)는, 원격 제어를 활성화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한 것을 판단하면(1330의 예), 세탁기(100)의 도어(102)가 잠겼는지 여부를 판단한다(1335).
제어부(190)는, 도어 락(104)의 동작 정보에 기초하여, 세탁기(100)의 도어가 잠겼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90)는, 도어(102)가 폐쇄되고 세탁을 개시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이 획득되면, 도어(102)를 잠그도록 도어 락(104)을 제어하고 도어(102)의 잠금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메모리(192)에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190)는, 메모리(192)에 저장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세탁기(100)의 도어(102)가 잠겼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세탁기(100)는, 세탁기(100)의 도어(102)가 잠긴 것을 판단하면(1335의 예), 세탁기(100)의 원격 제어를 활성화한다(1340).
제어부(190)는 외부 장치(예를 들어, 사용자 장치 등)에 의한 무선 원격 제어를 허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90)는 통신부(180)를 통하여 외부 장치로부터 원격 제어를 위한 제어 명령을 무선으로 획득할 수 있으며, 획득된 제어 명령에 응답하여 세탁기(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세탁기(100)는, 세탁기(100)의 도어(102)가 잠기지 아니한 것을 판단하면(1335의 아니요), 건조기(300)의 도어(302)가 잠겼는지 여부를 판단한다(1345).
제어부(190)는, 건조기(300)의 도어 락(304)의 동작 정보에 기초하여, 건조기(300)의 도어(302)가 잠겼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건조기(300)는, 도어(302)가 폐쇄되고 건조를 개시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이 획득되면, 도어(302)를 잠그도록 도어 락(304)을 제어하고 도어(302)의 잠금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통신부(380)를 통하여 세탁기(100)에 전송할 수 있다.
세탁기(100)의 제어부(190)는, 건조기(30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건조기(300)의 도어(302)가 잠겼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세탁기(100)는, 건조기(300)의 도어(302)가 잠긴 것을 판단하면(1345의 예), 건조기(300)의 원격 제어를 활성화한다(1350).
제어부(190)는 외부 장치(예를 들어, 사용자 장치 등)에 의한 건조기(300)의 무선 원격 제어를 허용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건조기(300)로 전송하도록 통신부(180)를 제어할 수 있다. 무선 원격 제어를 허용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건조기(300)의 제어부(390)는 통신부(380)를 통하여 외부 장치로부터 원격 제어를 위한 제어 명령을 무선으로 획득하고 획득된 제어 명령에 응답하여 건조기(3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세탁기(100)는, 건조기(300)의 도어(302)가 잠기지 아니한 것을 판단하면(1345의 아니요), 세탁기 제어 모드에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는 것을 계속할 수 있다.
동작 1325로 돌아가서, 건조기 제어 모드로 전환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면(1325의 예), 세탁기(100)는 건조기(300)로부터 건조기(300)의 정보를 획득한다(1355). 세탁기(100)는 건조기 제어 모드로 동작하고(1360), 건조 설정 정보 또는 건조 동작 정보를 표시하고(1365), 세탁기 제어 모드로 전환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1370).
동작 1355, 동작 1360, 동작 1365 및 동작 1370은 도 16에 도시된 동작 1155, 동작 1160, 동작 1165 및 동작 1170과 동일할 수 있다.
세탁기 제어 모드로 전환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면(1370의 예), 세탁기(100)는 세탁기 제어 모드로 동작한다(1315).
세탁기(100)는, 세탁기 제어 모드로 전환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지 아니한 것을 판단하면(1370의 아니요), 건조기 제어 모드에서 원격 제어를 위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1375).
동작 1375는 동작 1330과 동일할 수 있다.
세탁기(100)는, 원격 제어를 활성화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한 것을 판단하면(1375의 예), 건조기(100)의 도어(302)가 잠겼는지 여부를 판단한다(1380). 세탁기(100)는, 건조기(300)의 도어(302)가 잠긴 것을 판단하면(1380의 예), 건조기(300)의 원격 제어를 활성화한다(1385).
동작 1380 및 동작 1385는 동작 1345 및 동작 1350과 동일할 수 있다.
세탁기(100)는, 건조기(300)의 도어(302)가 잠기지 아니한 것을 판단하면(1380의 아니요), 세탁기(100)의 도어(102)가 잠겼는지 여부를 판단한다(1390). 세탁기(100)는, 세탁기(100)의 도어(102)가 잠긴 것을 판단하면(1390의 예), 세탁기(100)의 원격 제어를 활성화한다(1395).
동작 1390 및 동작 1395는 동작 1335 및 동작 1340과 동일할 수 있다.
세탁기(100)는, 세탁기(100)의 도어(102)가 잠기지 아니한 것을 판단하면(1390의 아니요), 건조기 제어 모드에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는 것을 계속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세탁기(100)는, 원격 제어를 활성화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세탁기(100)의 무선 원격 제어를 허용할 수 있으며 건조기(300)의 무선 원격 제어를 허용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건조기(300)로 전송할 수 있다. 다만, 세탁기(100)는, 세탁기(100)의 도어(102)가 잠기지 않은 것을 판단하면 원격 제어를 허용하지 아니할 수 있으며, 건조기(300)의 도어(302)가 잠기지 않은 것을 판단하면 건조기(300)의 무선 원격 제어를 허용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건조기(300)로 전송하지 아니할 수 있다.
원격 제어가 허용되면, 세탁기(100) (또는 건조기)는 무선으로 외부 장치와 통신하며, 외부 장치로부터 제어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세탁기(100) (또는 건조기)가 무선으로 통신하는 경우, 세탁기(100) (또는 건조기)는 외부 장치로부터 멀리 위치할 수 있다. 그로 인하여, 외부 장치의 사용자는 세탁기(100) (또는 건조기)의 상태를 확인하지 못한 채 세탁기(100) (또는 건조기)를 동작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세탁기(100) (또는 건조기) 내부에 애완 동물 등이 들어가 있더라도, 사용자는 이를 확인하지 못한 채로 세탁기(100) (또는 건조기)를 동작시킬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세탁기(100) (또는 건조기)는, 오직 도어(102)가 잠긴 경우에만(다시 말해, 세탁기의 동작이 개시된 이후에만), 원격 제어를 허용할 수 있다. 건조기(300)의 원격 제어는 세탁기(100)와 동일하게 활성화될 수 있다.
도 24는 일 실시예에 의한 세탁기 및 건조기의 전원-오프 방법을 도시한다. 도 25는 일 실시예에 의한 세탁기에 의한 건조기의 전원-오프를 도시한다.
도 24 및 도 25와 함께, 세탁기(100)의 전원-오프 방법(1400)이 설명된다.
세탁기(100)는 턴온되고(1405), 건조기(300)로부터 건조기(300)의 정보를 획득하고(1410), 세탁기 제어 모드로 동작하고(1415), 세탁 설정 정보 또는 세탁 동작 정보를 표시하고(1420), 건조기 제어 모드로 전환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1425).
동작 1405, 동작 1410, 동작 1415, 동작 1420 및 동작 1425는 도 16에 도시된 동작 1105, 동작 1110, 동작 1115, 동작 1120 및 동작 1125와 동일할 수 있다.
세탁기(100)는, 건조기 제어 모드로 전환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지 아니한 것을 판단하면(1425의 아니요), 세탁기 제어 모드에서 전원-오프를 위한 사용자 입력(대기 상태로 전환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1430).
컨트롤 패널(110)에는, 세탁기(100)를 전원-온시키거나 또는 세탁기(100)를 전원-오프시키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기 위한 세탁기 전원 버튼(211)이,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세탁기 제어 모드에서 세탁기 전원 버튼(211)을 통하여, "온 상태"의 세탁기(100)를 "대기 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입력할 수 있다. 세탁기 전원 버튼(211)이 터치되거나 또는 눌려지는 것에 응답하여, 제어부(190)는 세탁기(100)를 "대기 상태"에서 "온 상태"로 전환하거나 또는 "온 상태"에서 "대기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전원-오프를 위한 사용자 입력(대기 상태로 전환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한 것이 판단되지 아니하면(1430의 아니요), 세탁기(100)는 세탁기 제어 모드에서 사용자 입력을 대기할 수 있다.
세탁기(100)는, 전원-오프를 위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한 것을 판단하면(1430의 예), 전원-오프한다(세탁기를 대기 상태로 전환한다) (1435).
제어부(190)는 "온 상태"의 세탁기(100)를 "대기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대기 상태"에서 세탁기(100)의 구성들에 제한적으로 전력이 공급될 수 있다. 예를 들어,"온 상태"에서 세탁기(100)의 모든 구성들에 전력이 공급되나, "대기 상태"에서는 컨트롤 패널(110), 통신부(180) 및 제어부(190)에 제한적으로 전력이 공급될 수 있다.
이처럼, 제어부(190)는, 세탁기 제어 모드에서 전원-오프를 위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한 것에 응답하여, "온 상태"의 세탁기(100)를 "대기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동작 1425로 돌아가서, 건조기 제어 모드로 전환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면(1425의 예), 세탁기(100)는 건조기(300)로부터 건조기(300)의 정보를 획득한다(1455). 세탁기(100)는 건조기 제어 모드로 동작하고(1460), 건조 설정 정보 또는 건조 동작 정보를 표시하고(1465), 세탁기 제어 모드로 전환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1470).
동작 1455, 동작 1460, 동작 1465 및 동작 1470은 도 16에 도시된 동작 1155, 동작 1160, 동작 1165 및 동작 1170과 동일할 수 있다.
세탁기 제어 모드로 전환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면(1470의 예), 세탁기(100)는 세탁기 제어 모드로 동작한다(1415).
세탁기(100)는, 세탁기 제어 모드로 전환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지 아니한 것을 판단하면(1470의 아니요), 건조기 제어 모드에서 전원-오프를 위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1475). 세탁기(100)는, 전원-오프를 위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한 것을 판단하면(1475의 예), 건조기(100)를 전원-오프한다(세탁기를 대기 상태로 전환한다) (1480).
제어부(190)는, 건조기 제어 모드에서 세탁기 전원 버튼(211)이 터치되거나 또는 눌려지는 것에 응답하여, 건조기(300)의 전원 상태를 전환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통신부(180)를 통하여 건조기(300)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90)는, 건조기(300)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건조기(300)의 전원 상태(예를 들어, 대기 상태인지 또는 온 상태인지)를 식별할 수 있다. 제어부(190)는, 건조기(300)가 "대기 상태"인 것을 식별하면 "대기 상태"인 건조기(300)를 "온 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건조기(300)에 전송할 수 있으며, 건조기(300)가 "온 상태"인 것을 식별하면 "온 상태"인 건조기(300)를 "대기 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건조기(300)에 전송할 수 있다.
건조기(300)의 제어부(390)는, 세탁기(100)로부터 전원 상태를 전환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수신하고, 수신된 제어 명령에 응답하여 건조기(300)의 전원 상태를 전환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세탁기(100)가, 건조기 제어 모드에서 세탁기 전원 버튼(211)이 터치되거나 또는 눌려지는 것에 응답하여, 건조기(300)의 전원 상태를 변경하는 것이 설명되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세탁기(100)는, 건조기 제어 모드에서 세탁기 전원 버튼(211)이 터치되거나 또는 눌려지는 것에 응답하여, 세탁기(100) 자신의 전원 상태를 변경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세탁기(100)는, 건조기 제어 모드에서 세탁기 전원 버튼(211)이 터치되거나 또는 눌려지는 것에 응답하여, "온 상태"에서 "대기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세탁기(100)는, 세탁기 제어 모드에서 전원-오프를 위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그 전원 상태를 "온 상태"에서 "대기 상태"로 전환할 수 있으며, 건조기 제어 모드에서 전원-오프를 위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건조기(300)의 전원 상태를 전환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건조기(300)에 전송할 수 있다. 그에 의하여, 사용자는, 세탁기(100)의 컨트롤 패널(110)을 이용하여, 건조기(300)를 전원-온하거나 또는 전원-오프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세탁기는 컨트롤 패널; 드럼; 드럼 모터; 건조기와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는 통신부; 및 상기 컨트롤 패널, 상기 드럼 모터 및 상기 통신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트롤 패널을 통한 제1 사용자 입력에 의존하여, 제1 모드 및 제2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 동작하고,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컨트롤 패널을 통한 제2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건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상기 건조기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컨트롤 패널을 통한 제3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드럼을 회전하도록 상기 드럼 모터를 제어할 수 있다.
그에 의하여, 사용자는 세탁기의 컨트롤 패널을 이용하여 세탁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세탁기와 통신 가능한 건조기의 동작 역시 함께 제어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사용자는 하나의 컨트롤 패널을 통하여 세탁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1 유저 인터페이스와 건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2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상기 컨트롤 패널은 제1 제어 스위치 및 제2 제어 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제1 제어 스위치를 통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제1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제2 제어 스위치를 통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제2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 패널은 적어도 하나의 입력 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력 스위치를 통하여 상기 건조기를 제어하기 위한 상기 제2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고,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력 스위치를 통하여 상기 드럼 모터를 제어하기 위한 상기 제3 사용자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그에 의하여, 세탁기 또는 건조기를 제어하기 위한 메뉴(또는 버튼)의 크기가 축소되지 아니하며, 메뉴(또는 버튼)의 소형화로 인한 사용자의 조작 실수가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 패널은 제1 동작 스위치 및 제2 동작 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모드와 상기 제2 모드 모두에서, 상기 제1 동작 스위치를 통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건조기에 건조 동작을 개시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1 모드와 상기 제2 모드 모두에서, 상기 제2 동작 스위치를 통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세탁을 위하여 상기 드럼을 회전하도록 상기 드럼 모터를 제어할 수 있다.
그에 의하여, 사용자는 사용자는 긴급한 상황에서 하나의 버튼만으로 세탁기 또는 건조기를 정지시킬 수 있으며, 나아가 긴급한 상황에서 빠르게 건조기 또는 세탁기의 동작을 정지시킬 수 있다.
상기 통신부는 유선으로 또는 무선으로 상기 건조기와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가 유선으로 상기 건조기와 데이터를 주고받으면, 상기 컨트롤 패널을 통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건조기의 건조 동작을 개시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통신부가 무선으로 상기 건조기와 데이터를 주고받으면, 상기 건조기의 건조 동작을 개시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전송하지 아니할 수 있다.
그에 의하여, 세탁기의 사용자가 건조기를 확인하지 못한 채 건조기를 동작시키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다시 말해, 건조기에 의한 안전 사고가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 패널은 적어도 하나의 입력 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모드와 상기 제2 모드 모두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력 스위치를 통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건조기의 원격 제어를 활성화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세탁기의 원격 제어를 활성화할 수 있다. 상기 세탁기는 상기 드럼을 수용하고 전면에 개구가 형성된 캐비닛과 상기 개구를 폐쇄할 수 있는 도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력 스위치를 통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도어가 폐쇄되었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도어가 폐쇄된 것을 판단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세탁기의 원격 제어를 활성화하고, 상기 도어가 폐쇄되지 아니한 것을 판단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세탁기의 원격 제어를 비활성화할 수 있다.
그에 의하여, 외부 장치의 사용자가 세탁기(또는 건조기)의 상태를 확인하지 못한 채 세탁기(또는 건조기)를 동작시키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원격 제어에 위한 세탁기(또는 건조기)의 안전 사고가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세탁기의 전원-온을 위한 사용자 입력 및 상기 건조기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 중 적어도 하나에 응답하여, 상기 건조기와 통신 가능한지를 식별하고 상기 건조기로부터 정보를 수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미리 정해진 시간마다, 상기 건조기와 통신 가능한지를 식별하고 상기 건조기로부터 정보를 수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그에 의하여, 세탁기는 건조기의 동작을 감시할 수 있으며, 건조기의 동작에 관한 정보를 컨트롤 패널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한편, 개시된 실시예들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명령어는 프로그램 코드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프로그램 모듈을 생성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기록매체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는 컴퓨터에 의하여 해독될 수 있는 명령어가 저장된 모든 종류의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을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매체'는가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예로 , '비일시적 저장매체'는 데이터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버퍼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또는 두개의 사용자 장치들(예: 스마트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예: 다운로더블 앱(downloadable app))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다. 게시된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게시된 실시예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도, 개시된 실시예들과 다른 형태로 실시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개시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100: 세탁기 101: 캐비닛
101a: 투입구 102: 도어
103: 도어 스위치 104: 도어 락
110: 컨트롤 패널 120: 터브
121: 터브 프런트 파트 122: 터브 리어 파트
130: 드럼 131: 드럼 바디
131a: 통공 131b: 리프터
132: 드럼 프런트 파트 133: 드럼 리어 파트
140: 드럼 모터 141: 샤프트
142: 고정자 143: 회전자
150: 급수부 151: 급수 도관
152: 급수 밸브 160: 배수부
161: 배수 도관 162: 배수 펌프
170: 세제 공급부 171: 세제 함
172: 혼합 도관 180: 통신부
181: 유선 통신 모듈 182: 무선 통신 모듈
183: 통신 인터페이스 190: 제어부
191: 프로세서 192: 메모리
211: 세탁기 전원 버튼 221: 건조기 제어 버튼
222: 세탁기 제어 버튼 231: 건조기 동작 버튼
232: 세탁 동작 버튼 241: 코스 선택 다이얼
251: 코스 디스플레이 261: 제1 설정 버튼
262: 제2 설정 버튼 263: 제3 설정 버튼
271: 제1 설정 디스플레이 272: 제2 설정 디스플레이
273: 제3 설정 디스플레이제 281: 원격 제어 버튼
291: 부가 설정 디스플레이
300: 건조기 301: 캐비닛
301a: 투입구 302: 도어
303: 도어 스위치 304: 도어 락
310: 컨트롤 패널 330: 드럼
331: 드럼 바디 332: 전면 패널
332a: 투입구 332b: 유출구
333: 후면 패널 333a: 유입구
334: 필터 335: 드럼 모터
340: 팬 345: 팬 모터
350: 덕트 355: 히터
360: 히트 펌프 361: 압축기
362: 응축기 363: 팽창기
364: 증발기 411: 건조기 전원 버튼
431: 건조 동작 버튼 441: 코스 선택 다이얼
451: 코스 디스플레이 461: 제1 설정 버튼
462: 제2 설정 버튼 463: 제3 설정 버튼
471: 제1 설정 디스플레이 472: 제2 설정 디스플레이
473: 제3 설정 디스플레이제 481: 원격 제어 버튼
491: 부가 설정 디스플레이

Claims (22)

  1. 전면에 제1 투입구가 마련된 제1 캐비닛을 포함하는 건조기;
    상기 건조기의 아래에 배치되고, 전면에 제2 투입구가 마련된 제2 캐비닛을 포함하는 세탁기;
    상기 세탁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1 유저 인터페이스와 상기 건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2 유저 인터페이스와 상기 세탁기의 동작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투입구와 상기 제2 투입구의 사이에 배치되는 컨트롤 패널; 및
    상기 디스플레이에 상기 세탁기의 동작 정보가 표시되는 중에 상기 컨트롤 패널을 통해 입력된 상기 건조기에 대한 제어 명령을 처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 패널은,
    상기 제1 유저 인터페이스를 활성화하기 위한 세탁기 선택 버튼;
    상기 제1 유저 인터페이스가 활성화된 상태를 표시하기 위해 상기 세탁기 선택 버튼의 후방에 배치되는 제1 발광 소자;
    상기 제2 유저 인터페이스를 활성화하기 위한 건조기 선택 버튼;
    상기 제2 유저 인터페이스가 활성화된 상태를 표시하기 위해 상기 건조기 선택 버튼의 후방에 배치되는 제2 발광 소자; 및
    상기 디스플레이와 구분되는 영역에 마련되고, 상기 건조기의 동작을 일시 정지시키기 위한 건조 동작 중지 버튼;을 더 포함하고,
    상기 건조기에 대한 제어 명령은 상기 건조기의 동작을 일시 정지시키기는 명령을 포함하는 의류 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패널은, 상기 건조 동작 중지 버튼의 아래에 마련되어 상기 세탁기의 동작을 일시 정지시키기 위한 세탁 동작 중지 버튼을 더 포함하는 의류 처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기 선택 버튼 및 상기 건조기 선택 버튼은 상기 디스플레이와 구분되는 영역에 마련되고,
    상기 건조기 선택 버튼이 상기 세탁기 선택 버튼의 위에 마련되는 의류 처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기의 동작 정보는 세탁 동작의 종료까지 남은 시간을 포함하는 의류 처리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패널은 상기 건조기의 원격 제어를 활성화하기 위한 원격 제어 활성화 버튼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에 상기 세탁기의 동작 정보가 표시되는 중에, 상기 원격 제어 활성화 버튼의 조작에 응답하여 상기 건조기의 원격 제어를 활성화하는 의류 처리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건조기의 도어가 잠긴 것에 기초하여, 상기 건조기의 원격 제어를 활성화하는 의류 처리 장치.
  7. 전면에 제1 투입구를 가지는 제1 캐비닛을 포함하는 건조기;
    상기 건조기의 아래에 배치되고 전면에 제2 투입구를 가지는 제2 캐비닛을 포함하는 세탁기;
    상기 세탁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1 유저 인터페이스와 상기 건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2 유저 인터페이스와 상기 건조기의 동작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투입구와 상기 제2 투입구의 사이에 배치되는 컨트롤 패널; 및
    상기 디스플레이에 상기 건조기의 동작 정보가 표시되는 중에 상기 컨트롤 패널을 통해 입력된 상기 세탁기에 대한 제어 명령을 처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 패널은,
    상기 제1 유저 인터페이스를 활성화하기 위한 세탁기 선택 버튼;
    상기 제1 유저 인터페이스가 활성화된 상태를 표시하기 위해 상기 세탁기 선택 버튼의 후방에 배치되는 제1 발광 소자;
    상기 제2 유저 인터페이스를 활성화하기 위한 건조기 선택 버튼;
    상기 제2 유저 인터페이스가 활성화된 상태를 표시하기 위해 상기 건조기 선택 버튼의 후방에 배치되는 제2 발광 소자; 및
    상기 디스플레이와 구분되는 영역에 마련되고, 상기 세탁기의 동작을 일시 정지시키기 위한 세탁 동작 중지 버튼;을 더 포함하고,
    상기 세탁기에 대한 제어 명령은 상기 세탁기의 동작을 일시 정지시키는 명령을 포함하는 의류 처리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패널은, 상기 세탁 동작 중지 버튼의 위에 마련되며, 상기 건조기의 동작을 일시 정지시키기 위한 건조 동작 중지 버튼을 더 포함하는 의류 처리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기의 동작 정보는 건조 동작의 종료까지 남은 시간을 포함하는 의류 처리 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패널은 상기 세탁기의 원격 제어를 활성화하기 위한 원격 제어 활성화 버튼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에 상기 건조기의 동작 정보가 표시되는 중에, 상기 원격 제어 활성화 버튼의 조작에 응답하여 상기 세탁기의 원격 제어를 활성화하는 의류 처리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세탁기의 도어가 잠긴 것에 기초하여 상기 세탁기의 원격 제어를 활성화하는 의류 처리 장치.
  12. 건조기, 건조기의 아래에 배치되는 세탁기, 및 컨트롤 패널을 포함하는 의류 처리 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패널에 구비된 제1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세탁기를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수신하고;
    상기 컨트롤 패널에 구비된 제2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건조기를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수신하고;
    상기 컨트롤 패널에 구비된 세탁기 선택 버튼을 통하여, 상기 제1 유저 인터페이스를 활성화하고;
    상기 세탁기 선택 버튼의 조작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유저 인터페이스의 활성화를 표시하기 위한 발광 소자를 턴온하고;
    상기 컨트롤 패널에 구비된 디스플레이에 상기 세탁기의 동작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세탁기의 동작 정보를 표시하는 중에, 상기 컨트롤 패널을 통해 상기 건조기의 원격 제어를 활성화하기 위한 명령을 수신하고;
    상기 건조기의 도어가 잠긴 것에 기초하여 상기 건조기의 원격 제어를 활성화하는 것을 포함하는, 의류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기의 동작 정보는 세탁 동작의 종료까지 남은 시간을 포함하는, 의류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패널을 통해 상기 세탁기의 원격 제어를 활성화하기 위한 명령을 수신하고;
    상기 세탁기의 도어가 잠긴 것에 기초하여 상기 세탁기의 원격 제어를 활성화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의류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기의 원격 제어를 활성화한 후에 상기 세탁기의 원격 제어를 활성화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의류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16. 건조기, 상기 건조기의 아래에 배치되는 세탁기, 및 컨트롤 패널을 포함하는 의류 처리 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패널에 구비된 제1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세탁기를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수신하고;
    상기 컨트롤 패널에 구비된 제2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건조기를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수신하고;
    상기 컨트롤 패널에 구비된 건조기 선택 버튼을 통하여, 상기 제2 유저 인터페이스를 활성화하고;
    상기 건조기 선택 버튼의 조작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유저 인터페이스의 활성화를 표시하기 위한 발광 소자를 턴온하고;
    상기 컨트롤 패널에 구비된 디스플레이에 상기 건조기의 동작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건조기의 동작 정보를 표시하는 중에, 상기 컨트롤 패널을 통해 상기 세탁기의 원격 제어를 활성화하기 위한 명령을 수신하고,
    상기 세탁기의 도어가 잠긴 것에 기초하여 상기 세탁기의 원격 제어를 활성화하는 것을 포함하는, 의류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기의 동작 정보는 건조 동작의 종료까지 남은 시간을 포함하는, 의류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패널을 통해 상기 건조기의 원격 제어를 활성화하기 위한 명령을 수신하고;
    상기 건조기의 도어가 잠긴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건조기의 원격 제어를 활성화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의류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기의 원격 제어를 활성화한 후에 상기 건조기의 원격 제어를 활성화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의류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20. 전면에 제1 투입구를 가지는 건조기;
    전면에 제2 투입구를 가지는 세탁기;
    상기 제1 투입구와 상기 제2 투입구 사이에 배치되는 컨트롤 패널;
    상기 컨트롤 패널을 통해 입력되는 제1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제1 제어부를 포함하는 세탁기; 및
    상기 컨트롤 패널을 통해 입력되는 제2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제2 제어부를 포함하는 건조기;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 패널은,
    상기 세탁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1 유저 인터페이스;
    상기 건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2 유저 인터페이스;
    상기 제1 유저 인터페이스를 활성화하기 위한 세탁기 선택 버튼;
    상기 제1 유저 인터페이스가 활성화된 상태를 표시하기 위해 상기 세탁기 선택 버튼의 후방에 배치되는 제1 발광 소자;
    상기 제2 유저 인터페이스를 활성화하기 위한 건조기 선택 버튼;
    상기 제2 유저 인터페이스가 활성화된 상태를 표시하기 위해 상기 건조기 선택 버튼의 후방에 배치되는 제2 발광 소자;
    상기 세탁기의 동작 정보 및 상기 건조기의 동작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상기 디스플레이와 구분되는 영역에 마련되고, 상기 건조기의 동작을 일시 정지시키기 위한 건조 동작 중지 버튼; 및
    상기 디스플레이와 구분되는 영역에 마련되고, 상기 세탁기의 동작을 일시 정지시키기 위한 세탁 동작 중지 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에 상기 세탁기의 세탁 동작의 종료까지 남은 시간이 표시되는 중에, 상기 건조 동작 중지 버튼을 통해 상기 건조기의 동작을 일시 정지시키기 위한 제2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의류 처리 장치.
  21. 전면에 제1 투입구를 가지는 건조기;
    전면에 제2 투입구를 가지는 세탁기;
    상기 제1 투입구와 상기 제2 투입구 사이에 배치되는 컨트롤 패널;
    상기 컨트롤 패널을 통해 입력되는 제1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제1 제어부를 포함하는 세탁기; 및
    상기 컨트롤 패널을 통해 입력되는 제2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제2 제어부를 포함하는 건조기;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 패널은,
    상기 세탁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1 유저 인터페이스;
    상기 건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2 유저 인터페이스;
    상기 제1 유저 인터페이스를 활성화하기 위한 세탁기 선택 버튼;
    상기 제1 유저 인터페이스가 활성화된 상태를 표시하기 위해 상기 세탁기 선택 버튼의 후방에 배치되는 제1 발광 소자;
    상기 제2 유저 인터페이스를 활성화하기 위한 건조기 선택 버튼;
    상기 제2 유저 인터페이스가 활성화된 상태를 표시하기 위해 상기 세탁기 선택 버튼의 후방에 배치되는 제2 발광 소자;
    상기 세탁기의 동작 정보 및 상기 건조기의 동작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상기 디스플레이와 구분되는 영역에 마련되고, 상기 건조기의 동작을 일시 정지시키기 위한 건조 동작 중지 버튼; 및
    상기 디스플레이와 구분되는 영역에 마련되고, 상기 세탁기의 동작을 일시 정지시키기 위한 세탁 동작 중지 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에 상기 건조기의 건조 동작의 종료까지 남은 시간이 표시되는 중에, 상기 세탁 동작 중지 버튼을 통해 상기 세탁기의 동작을 일시 정지시키기 위한 제1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의류 처리 장치.
  22. 삭제
KR1020200067048A 2020-01-03 2020-06-03 의류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2367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7048A KR102236743B1 (ko) 2020-01-03 2020-06-03 의류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7/087,344 US11421367B2 (en) 2020-01-03 2020-11-02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EP23209148.8A EP4296419A3 (en) 2020-01-03 2020-11-11 Clothes process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PCT/KR2020/015767 WO2021137417A1 (ko) 2020-01-03 2020-11-11 의류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EP20897621.7A EP3882389B1 (en) 2020-01-03 2020-11-11 Clothes process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DE212020000499.4U DE212020000499U1 (de) 2020-01-03 2020-11-11 Wäschebehandlungsvorrichtung
US17/812,347 US11828015B2 (en) 2020-01-03 2022-07-13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18/189,961 US20230235496A1 (en) 2020-01-03 2023-03-24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18/542,528 US20240117551A1 (en) 2020-01-03 2023-12-15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18/542,534 US20240117552A1 (en) 2020-01-03 2023-12-15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0888A KR20210087764A (ko) 2020-01-03 2020-01-03 세탁기, 그 제어 방법 및 그의 컨트롤 패널
KR1020200067048A KR102236743B1 (ko) 2020-01-03 2020-06-03 의류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0888A Division KR20210087764A (ko) 2020-01-03 2020-01-03 세탁기, 그 제어 방법 및 그의 컨트롤 패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6743B1 true KR102236743B1 (ko) 2021-04-06
KR102236743B9 KR102236743B9 (ko) 2021-10-15

Family

ID=766550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7048A KR102236743B1 (ko) 2020-01-03 2020-06-03 의류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5) US11421367B2 (ko)
EP (2) EP3882389B1 (ko)
KR (1) KR102236743B1 (ko)
DE (1) DE212020000499U1 (ko)
WO (1) WO2021137417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77529A1 (en) * 2021-06-28 2023-01-05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apparatus and system having the same
WO2023277523A1 (en) * 2021-06-28 2023-01-05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apparatus and system having the same
WO2023132644A1 (ko) * 2022-01-05 2023-07-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WO2023132645A1 (ko) * 2022-01-05 2023-07-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937516S1 (en) * 2019-03-11 2021-11-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Washing machine
USD937515S1 (en) * 2019-03-11 2021-11-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Washing machin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32262A (ko) * 2012-09-06 2014-03-14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제품 및 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온라인 시스템
KR20180086168A (ko) * 2018-07-18 2018-07-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51867U (ko) 1996-02-07 1997-09-08 세탁기 및 의류건조기의 복합제어장치
KR100607273B1 (ko) 2003-12-26 2006-07-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와 건조기 스텍구조의 조작장치
KR100607279B1 (ko) 2003-12-26 2006-07-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건조기 스텍구조의 조작장치
KR100607280B1 (ko) 2003-12-26 2006-07-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건조기 스텍구조의 조작장치 및 조작방법
KR100717458B1 (ko) 2003-12-26 2007-05-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건조기 스텍구조의 조작장치 및 조작방법
KR20070067977A (ko) 2005-12-26 2007-06-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 또는 세탁물 건조를 위한 기계장치 및 이를 포함한복합세탁장치
CN101168901A (zh) 2006-10-23 2008-04-30 南京乐金熊猫电器有限公司 具有无线通信控制器的洗衣机或洗涤物干燥装置
KR20110110660A (ko) * 2010-04-01 2011-10-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택 구조를 갖는 의류처리장치
CN106032625B (zh) 2015-03-11 2019-12-13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一种洗衣机和洗衣机的控制方法
CN106480659B (zh) * 2015-08-26 2020-05-08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一种洗衣机及其控制方法
AU2017204095B2 (en) 2017-01-13 2019-08-08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apparatus and method of the same
CN108729111B (zh) * 2017-04-24 2020-08-04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一种洗衣机控制方法及洗衣机
US11473230B2 (en) * 2017-07-17 2022-10-18 Whirlpool Corporation Selectable method of control for double basket laundry treating appliance
CN109518411B (zh) * 2017-09-18 2021-10-26 青岛海尔洗涤电器有限公司 一种衣物处理设备及其控制方法
US10745841B2 (en) * 2018-07-17 2020-08-18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an appliance using another appliance communicatively coupled thereto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32262A (ko) * 2012-09-06 2014-03-14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제품 및 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온라인 시스템
KR20180086168A (ko) * 2018-07-18 2018-07-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77529A1 (en) * 2021-06-28 2023-01-05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apparatus and system having the same
WO2023277523A1 (en) * 2021-06-28 2023-01-05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apparatus and system having the same
WO2023132644A1 (ko) * 2022-01-05 2023-07-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WO2023132645A1 (ko) * 2022-01-05 2023-07-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828015B2 (en) 2023-11-28
WO2021137417A1 (ko) 2021-07-08
US20210207309A1 (en) 2021-07-08
KR102236743B9 (ko) 2021-10-15
EP4296419A3 (en) 2024-04-03
EP3882389B1 (en) 2023-12-27
US20240117552A1 (en) 2024-04-11
US20240117551A1 (en) 2024-04-11
US20230235496A1 (en) 2023-07-27
DE212020000499U1 (de) 2021-08-26
EP3882389C0 (en) 2023-12-27
EP3882389A1 (en) 2021-09-22
US20220349107A1 (en) 2022-11-03
US11421367B2 (en) 2022-08-23
EP4296419A2 (en) 2023-12-27
EP3882389A4 (en) 2022-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36743B1 (ko) 의류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512221B1 (ko) 의류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20210269959A1 (en) Washing machin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control panel of the same
KR102209509B1 (ko) 건조기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2114860B1 (ko) 가전기기, 가전기기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2390029B1 (ko) 의류처리장치
JP6250980B2 (ja) 家電機器の遠隔操作システム
KR20110126437A (ko) 가전기기 및 그 동작방법
EP2824230B1 (en) Washing machine and communication system for washing machine
EP3406787A1 (en) Laundry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US11377780B2 (en) Method to control operation of a laundry dryer
KR20200051514A (ko) 인터넷 가전기기 시스템의 제어방법
KR20140103763A (ko)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US20220275556A1 (en) Washing machin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20070015685A (ko) 세탁기와 건조기 간 통신 제어장치
JP2014171562A (ja) 洗濯機制御システム
JP2012070956A (ja) 衣類乾燥機
KR20240076649A (ko) 의류처리시스템 및 의류처리시스템의 진단방법
KR101476178B1 (ko) 스팀을 이용하는 세탁장치
US20240167211A1 (en) Clothes treating system and method of diagnosing the same
US20240167213A1 (en) Clothes treating apparatus and clothes treating system
EP4098787A1 (en) Clothing treatment apparatus
US20240165544A1 (en) Filter apparatus and method of managing the same
KR20220077045A (ko) 건조기 및 그 제어 방법
JP2003275493A (ja) ランドリー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2 Request for trial for correction [limitat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1105000070; TRIAL DECISION FOR CORRECTION REQUESTED 20210706

Effective date: 202109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