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76649A - 의류처리시스템 및 의류처리시스템의 진단방법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시스템 및 의류처리시스템의 진단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40076649A KR20240076649A KR1020230014485A KR20230014485A KR20240076649A KR 20240076649 A KR20240076649 A KR 20240076649A KR 1020230014485 A KR1020230014485 A KR 1020230014485A KR 20230014485 A KR20230014485 A KR 20230014485A KR 20240076649 A KR20240076649 A KR 2024007664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rol unit
- diagnosis
- diagnostic
- treatment device
- laundry treatment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3745 diagnosis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7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28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2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10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59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8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53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0
- 239000003599 deter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8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8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5
- 238000002405 diagnostic procedure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8000011068 load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3507 refrige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1953 sens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4590 computer pro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9833 condens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5494 condens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18044 dehyd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6297 dehydr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774 diagnostic algorith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981 drying ope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3993 inte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7257 mal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7844 bleach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0267 cellular commun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413 cellula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790 confirm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704 evap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979 fabric soften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236 heating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400 supply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500 data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20 evap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84 recover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268 wool Anatomy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04—Signal transfer or data transmission arrangements
- D06F34/05—Signal transfer or data transmission arrangements for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components, e.g. for remote monitoring or control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9/00—Combinations of a washing machine with other separate apparatus in a common frame or the like, e.g. with rinsing apparatus
- D06F29/005—Combinations of a washing machine with other separate apparatus in a common frame or the like, e.g. with rinsing apparatus the other separate apparatus being a drying appliance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1/00—Washing installations comprising an assembly of several washing machines or washing units, e.g. continuous flow assemblie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68—Operation mode; Program pha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의류처리시스템은, 제1 드럼과 상기 제1 드럼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1 제어부와, 진단포트를 포함하는 제1 의류처리장치; 및 제2 드럼과 상기 제2 드럼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2 제어부를 포함하는 제2 의류처리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제어부는, 제1 송신단과 제1 수신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수신단을 통해 상기 진단포트로부터 제1 진단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진단 요청 신호에 기초하여 진단 대상을 식별하고, 상기 진단 대상이 상기 제1 의류처리장치로 식별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진단 요청 신호에 대응하는 진단 동작을 수행한 후 상기 제1 송신단을 통해 제1 진단 결과 신호를 상기 진단포트로 전달하고, 상기 진단 대상이 상기 제2 의류처리장치로 식별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송신단을 통해 제2 진단 요청 신호를 상기 제2 제어부로 전달한다.
Description
개시된 발명은 복수의 의류처리장치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시스템 및 의류처리시스템의 진단방법에 관한 것이다.
의류처리장치는 의류를 처리 및/또는 관리하기 위한 장치이다. 의류처리장치는 세탁기 및 건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세탁기는 드럼모터의 구동력을 이용해 터브의 내부에 투입된 세탁물, 물, 세제를 함께 교반시킴으로써 상호간의 마찰을 통해 세탁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장치이다. 세탁기가 수행하는 행정은 세탁기의 종류에 무관하게, 세탁물이 수용된 터브에 세제 및 물을 공급하고 드럼을 회전시키면서 세탁물을 세탁하는 세탁행정과, 터브에 물을 공급하고 드럼을 회전시켜 세탁물을 헹구어 내는 헹굼행정과, 터브로부터 물을 배출하고 드럼을 회전시켜 세탁물의 물기를 제거하는 탈수행정을 포함할 수 있다.
건조기는 대상물(object)을 고온 건조한 공기로 건조하는 장치이다. 건조기는 대상물이 수용되는 드럼을 저속으로 회전시키면서 드럼에 열풍이 통과하도록 함으로써 대상물을 건조시키도록 되어 있다. 건조기가 수행하는 행정은 대상물을 건조하는 건조행정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의 편의를 위해, 복수의 의류처리장치가 연결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측면은, 단일 진단포트를 이용하여 복수의 의류처리장치를 진단할 수 있는 의류처리시스템 및 의류처리시스템의 진단방법을 제공한다.
본 개시의 일 측면은, 통신 진단포트의 개수를 최소화하면서 의류처리장치 및 진단 단말기와 통신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시스템 및 의류처리시스템의 진단방법을 제공한다.
본 개시의 일 측면은, 의류처리시스템의 분해, 조립 없이 복수의 의류처리장치를 진단할 수 있는 의류처리시스템 및 의류처리시스템의 진단방법을 제공한다.
본 문서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른 의류처리시스템은, 제1 드럼과 상기 제1 드럼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1 제어부와, 진단포트를 포함하는 제1 의류처리장치; 및 제2 드럼과 상기 제2 드럼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2 제어부를 포함하는 제2 의류처리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제어부는, 제1 송신단과 제1 수신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수신단을 통해 상기 진단포트로부터 제1 진단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진단 요청 신호에 기초하여 진단 대상을 식별하고, 상기 진단 대상이 상기 제1 의류처리장치로 식별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진단 요청 신호에 대응하는 진단 동작을 수행한 후 상기 제1 송신단을 통해 제1 진단 결과 신호를 상기 진단포트로 전달하고, 상기 진단 대상이 상기 제2 의류처리장치로 식별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송신단을 통해 제2 진단 요청 신호를 상기 제2 제어부로 전달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른 의류처리시스템의 진단방법은, 제1 드럼, 상기 제1 드럼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1 제어부 및 진단포트를 포함하는 제1 의류처리장치와, 제2 드럼과 상기 제2 드럼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2 제어부를 포함하는 제2 의류처리장치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시스템의 진단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부가, 제1 수신단을 통해 상기 진단포트로부터 제1 진단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제어부가, 상기 제1 진단 요청 신호에 기초하여 진단 대상을 식별하고; 상기 제1 제어부가, 상기 진단 대상이 상기 제1 의류처리장치로 식별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진단 요청 신호에 대응하는 진단 동작을 수행한 후 제1 송신단을 통해 제1 진단 결과 신호를 상기 진단포트로 전달하고; 상기 제1 제어부가, 상기 진단 대상이 상기 제2 의류처리장치로 식별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송신단을 통해 제2 진단 요청 신호를 상기 제2 제어부로 전달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른 의류처리시스템은, 제1 하우징과, 상기 제1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된 제1 드럼과, 상기 제1 드럼을 개폐하는 제1 도어를 포함하는 제1 의류처리장치; 제2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된 제2 드럼과, 상기 제2 드럼을 개폐하는 제2 도어를 포함하는 제2 의류처리장치; 상기 제1 하우징 또는 상기 제2 하우징 중 어느 하나의 전방측에 마련되는 제1 진단포트; 및 상기 제1 하우징 또는 상기 제2 하우징 중 어느 하나의 전방측에 마련되는 제2 진단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시스템의 제1 의류처리장치를 도시한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시스템의 제1 의류처리장치의 단면을 도시한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시스템의 제2 의류처리장치를 도시한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시스템의 제2 의류처리장치의 단면을 도시한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의류처리장치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의류처리장치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시스템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시스템에 진단 단말기가 연결된 모습을 도시한 외관도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시스템에 진단 단말기가 연결된 모습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시스템에 진단 단말기가 연결된 모습을 도시한 제어 블록도이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진단 단말기를 통해 진단 대상을 선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시스템과 진단 단말기의 통신 진단포트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시스템의 진단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5 및 도 1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시스템과 진단 단말기의 통신 진단포트를 도시한 개념도에 있어서, 진단 요청 신호 및 진단 결과 신호의 흐름을 도시한다.
도 17은 진단 요청 신호 및 진단 결과 신호의 데이터 구조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18은 미리 설정된 통신 시퀀스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19, 도 20 및 도 2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시스템에 진단 단말기가 연결된 모습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시스템의 제1 의류처리장치를 도시한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시스템의 제1 의류처리장치의 단면을 도시한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시스템의 제2 의류처리장치를 도시한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시스템의 제2 의류처리장치의 단면을 도시한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의류처리장치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의류처리장치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시스템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시스템에 진단 단말기가 연결된 모습을 도시한 외관도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시스템에 진단 단말기가 연결된 모습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시스템에 진단 단말기가 연결된 모습을 도시한 제어 블록도이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진단 단말기를 통해 진단 대상을 선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시스템과 진단 단말기의 통신 진단포트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시스템의 진단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5 및 도 1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시스템과 진단 단말기의 통신 진단포트를 도시한 개념도에 있어서, 진단 요청 신호 및 진단 결과 신호의 흐름을 도시한다.
도 17은 진단 요청 신호 및 진단 결과 신호의 데이터 구조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18은 미리 설정된 통신 시퀀스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19, 도 20 및 도 2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시스템에 진단 단말기가 연결된 모습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 "A, B 또는 C",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 및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문구들 각각은 그 문구들 중 해당하는 문구에 함께 나열된 항목들 중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구성요소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구성요소들 중의 어느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제1", "제2", 또는 "첫째" 또는 "둘째"와 같은 용어들은 단순히 해당 구성요소를 다른 해당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들을 다른 측면(예: 중요성 또는 순서)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라는 용어와 함께 또는 이런 용어 없이, "커플드" 또는 "커넥티드"라고 언급된 경우, 그것은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예: 유선으로), 무선으로, 또는 제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등의 용어는 본 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 "결합", "지지" 또는 "접촉"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구성요소들이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지지 또는 접촉되는 경우뿐 아니라, 제3 구성요소를 통하여 간접적으로 연결, 결합, 지지 또는 접촉되는 경우를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구성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부", "~기", "~블록", "~부재",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용어들은 FPGA (field-programmable gate array)/ ASIC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등 적어도 하나의 하드웨어, 메모리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또는 프로세서에 의하여 처리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스를 의미할 수 있다.
처리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스를 의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세탁기는 세탁, 헹굼, 탈수 및 건조행정을 수행할 수 있다. 세탁기는 의류처리장치의 일 예로서, 의류처리장치는 의류(세탁대상물, 건조대상물)를 세탁하는 장치, 의류를 건조하는 장치, 의류의 세탁과 건조를 모두 수행할 수 있는 장치를 포괄하는 개념이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세탁기는 세탁물을 투입하거나 인출하기 위한 세탁물 투입구가 상방을 향하도록 마련되는 탑 로딩(top-loading) 세탁기 또는 세탁물 투입구가 전방을 향하도록 마련되는 프런트 로딩(front-loading) 세탁기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세탁기는 탑 로딩 세탁기와 프런트 로딩 세탁기 이외의 다른 로딩 방식의 세탁기를 포함할 수 있다.
탑 로딩 세탁기의 경우, 펄세이터와 같은 회전체에 의해 발생하는 수류를 이용하여 세탁물을 세탁할 수 있다. 프런트 로딩 세탁기의 경우, 드럼을 회전시켜 세탁물의 상승과 낙하를 반복함으로써 세탁물을 세탁할 수 있다. 프런트 로딩 세탁기는 드럼의 내부에 수용된 세탁물을 건조할 수 있는 건조 겸용 세탁기를 포함할 수 있다. 건조 겸용 세탁기는 고온의 공기를 드럼 내부로 공급하기 위한 열풍 공급 장치 및 드럼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의 습기를 제거하기 위한 응축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건조 겸용 세탁기는 히트 펌프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세탁기는 상술한 세탁 방식 이외의 다른 세탁 방식의 세탁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시스템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시스템의 제1 의류처리장치를 도시한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의류처리장치의 단면을 도시한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시스템의 제2 의류처리장치를 도시한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의류처리장치의 단면을 도시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류처리시스템(1)은 제1 의류처리장치(10)와, 제1 의류처리장치(10)에 장착되는 제2 의류처리장치(6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제2 의류처리장치(60)는 제1 의류처리장치(10)의 상부에 장착될 수 있다.
제1 의류처리장치(10)는 세탁기 또는 건조기일 수 있다. 일 예로, 제1 의류처리장치(10)는 세탁기일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1 의류처리장치(10)는 내부에 각종 구성품을 수용하는 제1 하우징(1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하우징(11)은 일 측에 세탁물 투입구(12)가 형성된 상자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제1 의류처리장치(10)는 세탁물 투입구(12)를 개폐하기 위한 제1 도어(1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도어(13)는 제1 힌지(14)에 의해 제1 하우징(11)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제1 도어(13)의 적어도 일 부분은 제1 하우징(11)의 내부가 보이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하게 마련될 수 있다.
제1 하우징(11)의 전방측에는 제1 도어(13)에 대응하는 개구뿐만 아니라, 하우징 개구(150a) 및 하우징 개구(150a)를 개폐하기 위한 하우징 도어(150b)가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 개구(150a)는 제1 의류처리장치(10)의 세탁수를 필터링하기 위한 필터장치(미도시)에 액세스할 수 있도록 제1 하우징(11)의 전방측에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우징 도어(150b)는 필터 커버로 명칭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하우징 개구(150a) 및 하우징 도어(150b)는 제1 도어(13)의 하측에 마련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하우징 도어(150b)의 내부에는 진단 단말기와 연결 가능한 진단포트가 마련될 수 있다.
사용자는 하우징 도어(150b)를 개방하고, 진단포트에 진단 단말기를 연결시킴으로써 의류처리시스템의 고장을 진단할 수 있다.
진단포트는 진단 단말기의 커넥터가 연결 가능한 커넥터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진단포트는 암커넥터 및/또는 수커넥터일 수 있다.
진단포트에 연결된 진단 단말기는 제1 통신부(19)를 통해 제1 제어부(23)와 통신할 수 있다.
제1 통신부(19)는 통신선을 포함할 수 있으며, 통신선은 제1 제어부(23)와 연결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제1 통신부(19)의 통신선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00; 도 13 참조)의 연결 회로보드(130; 도 13 참조)와 연결될 수 있다.
제1 의류처리장치(10)는 물을 저수하도록 제1 하우징(11)의 내부에 마련되는 터브(20)를 포함할 수 있다. 터브(20)는 일 측에 터브 개구(22)가 형성된 대략 원통 형상으로 마련되고, 터브 개구(22)가 세탁물 투입구(12)와 대응하여 배치되도록 제1 하우징(11)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터브(20)는 댐퍼(29)에 의해 제1 하우징(11)에 연결될 수 있다. 댐퍼(29)는 제1 드럼(30)의 회전 시 발생하는 진동을 흡수하여 제1 하우징(11)으로 전달되는 진동을 감쇄시킬 수 있다.
제1 의류처리장치(10)는 세탁물을 수용하도록 마련되는 제1 드럼(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드럼(30)은 일 측에 마련된 제1 드럼 개구(32)가 세탁물 투입구(12) 및 터브 개구(22)에 대응되도록 터브(2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세탁물은 세탁물 투입구(12), 터브 개구(22) 및 제1 드럼 개구(32)를 차례로 통과하여 제1 드럼(30) 내부에 수용되거나, 제1 드럼(30)으로부터 인출될 수 있다.
제1 드럼(30)은 터브(20) 내부에서 회전하면서 세탁, 헹굼, 및/또는 탈수행정에 따른 각각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드럼(30)의 원통형 벽에는 다수의 통공(34)이 형성되어 터브(20)에 저장된 물이 제1 드럼(30)의 내부로 유입되거나 제1 드럼(30)의 외부로 유출될 수 있다. 제1 드럼(30)의 내주면에는 제1 드럼(30)이 회전할 때 세탁물의 상승 및 낙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제1 리프터(35)가 설치될 수 있다.
제1 의류처리장치(10)는 제1 드럼(30)을 회전시키도록 구성되는 제1 구동장치(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구동장치(40)는 제1 드럼모터(41)와, 제1 드럼모터(41)에서 발생된 구동력을 제1 드럼(30)에 전달하기 위한 제1 회전 샤프트(4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회전 샤프트(42)는 터브(20)를 관통하여 제1 드럼(30)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구동장치(40)는 제1 드럼(30)을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켜 세탁, 헹굼, 및/또는 탈수, 또는 건조행정에 따른 각각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의류처리장치(10)는 터브(20)에 물을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급수장치(50)를 포함할 수 있다. 급수장치(50)는 급수관(51)과, 급수관(51)에 마련되는 급수밸브(52)를 포함할 수 있다. 급수관(51)은 외부 급수원과 연결될 수 있다. 급수관(51)은 외부 급수원으로부터 세제 공급장치(53) 및/또는 터브(20)까지 연장될 수 있다. 물은 세제 공급장치(53)를 거쳐 터브(20)로 공급될 수 있다. 물은 세제 공급장치(53)를 경유하지 않고 터브(20)로 공급될 수 있다.
급수밸브(52)는 제어부(23)의 전기적 신호에 응답하여 급수관(51)을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다. 급수밸브(52)는 외부 급수원으로부터 터브(20)로 물이 공급되는 것을 허용하거나 차단할 수 있다. 급수밸브(52)는, 예를 들면, 전기적 신호에 응답하여 개폐되는 솔레노이드 밸브(solenoid valve)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의류처리장치(10)는 터브(20)로 세제를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세제 공급장치(53)를 포함할 수 있다. 세제 공급장치(53)는 사용자가 세탁시마다 사용될 세제를 투입해야 하는 수동형 세제 공급장치와, 다량의 세제를 저장해 두고 세탁시에 소정량의 세제가 자동으로 투입되게 하는 자동 세제 공급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세제 공급장치(53)는 세제를 저장하기 위한 세제함을 포함할 수 있다. 세제 공급장치(53)는 급수과정에서 터브(20) 내부로 세제를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급수관(51)을 통해 공급되는 물은 세제 공급장치(53)를 경유하여 세제와 혼합될 수 있다. 세제와 혼합된 물은 터브(20)의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세제는 예비 세탁용 세제, 본 세탁용 세제, 섬유 유연제, 표백제 등을 포괄하는 용어로 사용되며, 세제함은 예비 세탁용 세제 저장 영역, 본 세탁용 세제 저장 영역, 섬유 유연제 저장 영역 및 표백제 저장 영역으로 구획될 수 있다.
제1 의류처리장치(10)는 터브(20)에 수용된 물을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성되는 배수장치(54)를 포함할 수 있다. 배수장치(54)는 터브(20)의 하부로부터 제1 하우징(11)의 외부까지 연장되는 배수관(55)과, 배수관(55)을 개폐하도록 배수관(55)에 마련되는 배수밸브(56), 배수관(55) 상에 마련되는 배수펌프(57)를 포함할 수 있다. 배수펌프(57)는 배수관(55)의 물을 제1 하우징(11)의 외부로 펌핑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제1 의류처리장치(10)는 터브(20)에 저수된 물을 가열하기 위한 히터(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제1 의류처리장치(10)는 급수장치(50)를 통해 공급되는 물을 가열하기 위한 히터(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의류처리장치(60)는 세탁기 또는 건조기일 수 있다. 일 예로, 제2 의류처리장치(60)는 건조기일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2 의류처리장치(60)는 내부에 각종 구성품을 수용하는 제2 하우징(61)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하우징(61)은 일 측에 대상물 투입구(62)가 형성된 상자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제2 의류처리장치(60)는 대상물 투입구(62)를 개폐하기 위한 제2 도어(63)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도어(63)는 제2 힌지(64)에 의해 제2 하우징(61)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제2 도어(63)의 적어도 일 부분은 제2 하우징(61)의 내부가 보이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하게 마련될 수 있다.
제2 의류처리장치(60)는 대상물(object)을 수용하도록 마련되는 제2 드럼(7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드럼(70)은 일 측에 마련된 제2 드럼 개구(72)가 대상물 투입구(62)에 대응되도록 제2 하우징(61)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대상물은 대상물 투입구(62) 및 제2 드럼 개구(72)를 차례로 통과하여 제2 드럼(70) 내부에 수용되거나, 제2 드럼(70)으로부터 인출될 수 있다. 제2 드럼(70)은 제2 하우징(61)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제2 의류처리장치(60)는 제2 드럼(70)을 회전시키도록 구성되는 제2 구동장치(73)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구동장치(73)는 제2 드럼모터(73a)와, 제2 드럼모터(73a)에서 발생된 구동력을 제2 드럼(70)에 전달하기 위한 제2 회전 샤프트(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드럼(70)은 제2 드럼(70)의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71)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드럼(70)의 내부의 공기는 제2 드럼 개구(72)를 통해 제2 드럼(7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유입구(71)는 제2 드럼(70)의 제2 드럼 개구(72)가 위치하는 일 측과 반대 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일 예로, 유입구(71)는 제2 드럼(70)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으며, 제2 드럼 개구(72)는 제2 드럼(70)의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고온 건조한 공기는 유입구(71)를 통해 제2 드럼(70)에 유입되어 제2 드럼(70)에 수용된 대상물을 건조시킬 수 있다. 대상물을 건조시킨 후 다량의 수분을 함유하게 된 공기는 제2 드럼 개구(72)를 통해 제2 드럼(70)으로부터 배출될 수 있다.
제2 드럼(70)의 내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리프터(74)가 마련될 수 있다. 제2 리프터(74)는 대상물을 상승 및 낙하시켜 대상물이 제2 드럼(70)의 내부의 공간에 부유된 상태에서 열풍에 접촉하게 할 수 있다.
제2 하우징(61)의 내부에는, 공기를 가열하고 응축시키기 위한 히트펌프(80)가 형성될 수 있다. 히트펌프(80)의 냉매는 압축-응축-팽창-증발로 이루어지는 일련의 과정을 순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히트펌프(80)는 증발기(81), 응축기(82), 압축기(83), 팽창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압축기(83)는 냉매를 고온 고압의 상태로 압축하여 배출하며, 배출된 냉매는 응축기(82)로 유입될 수 있다. 응축기(82)는 압축된 냉매를 응축하고, 응축 과정을 통해 주위로 열을 방출할 수 있다. 또한, 팽창장치는 응축기(82)에서 응축된 고온 고압의 상태의 냉매를 저압 상태로 팽창시킬 수 있다. 증발기(81)는 팽창된 냉매를 증발시키고, 증발 과정을 통해 주위의 열을 빼앗을 수 있다.
압축기(83)의 동작 RPM이 증가할수록, 응축기(82)의 응축 과정을 통해 주위로 방출되는 열의 양이 증가할 수 있다.
제2 의류처리장치(60)에 대상물을 투입하고 건조 모드로 동작시킬 경우에, 제2 드럼(70)에서 유출된 고온 다습한 공기는 증발기(81)를 통과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드럼(70)에서 유출된 고온 다습한 공기는 증발기(81)를 지나면서 냉각되므로 저온 건조한 공기로 변할 수 있다. 이때, 고온 다습한 공기가 증발기(81)에서 냉각되면서 응축수가 발생할 수 있다. 응축수는 회수용 물통으로 이동하거나 제2 하우징(61)의 외부로 배수될 수 있다. 또한, 증발기(81)를 지나 저온 건조해진 공기는 응축기(82)를 통과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증발기(81)에서 배출된 저온 건조한 공기는 응축기(82)를 지나면서 가열되므로 고온 건조한 공기로 변할 수 있다. 고온 건조한 공기는 유입구(71)를 통해 제2 드럼(70)으로 유입되어 대상물을 건조시킬 수 있다. 대상물을 건조시킴에 따라 다량의 수분을 함유한 고온 다습한 공기는 제2 드럼 개구(72)를 통해 유출될 수 있다. 유출된 공기는 다시 증발기(81)를 통과할 수 있다. 정리하면, 공기는 제2 하우징(61) 내부를 순환하면서 제2 드럼(70)에 수용된 대상물을 건조시킬 수 있다.
건조 모드에서 제2 의류처리장치(60)의 제2 하우징(61) 내부에는 폐쇄형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폐쇄형 유로란 제2 하우징(61) 내부의 공기가 히트펌프(80) 및 제2 드럼(70)을 순환하도록 이루어진 공기의 이동 경로(도 5의 화살표 참조)일 수 있다. 폐쇄형 유로는 제2 하우징(61)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거나 유출되지 않도록 제2 하우징(61)의 외부와 연통되지 않을 수 있다. 즉, 공기의 흐름은 폐쇄 루프(closed loop)를 형성할 수 있다.
제2 의류처리장치(60)는 폐쇄형 유로 상에 마련되는 히터(86)를 포함할 수 있다. 히터(86)는 가열코일을 통해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미 공지된 다양한 소자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히터(86)는 응축기(82)를 지나면서 가열된 공기를 더 가열하거나 또는 히트펌프(80)를 통해 가열되지 않은 채 외부로부터 흡입된 공기를 가열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제2 의류처리장치(60)는 히트펌프(80)에 액세스할 수 있도록 제2 하우징(61) 전방측에 마련되는 하우징 개구(69)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장치(96)는 하우징 개구(69)를 통해 제2 하우징(61) 내부에 장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필터장치(96)는 하우징 개구(69)를 통해 제2 하우징(61) 내부에 형성되는 장치 수용부(68)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장치 수용부(68)에 필터장치(96)가 장착된 경우, 제2 의류처리장치(60)는 의류 등의 대상물을 건조하기 위한 건조 모드(건조 운전)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하우징 개구(69)를 개폐하도록 제2 하우징(61) 전방측에는 하우징 커버(67)가 마련될 수 있다.
하우징 커버(67)가 하우징 개구(69)를 닫은 상태에서, 하우징 커버(67)의 전방측과 제2 하우징(61)의 전방측이 연결되면서 단차 없이 매끄럽게 연결된 면을 형성하게 된다. 제2 하우징(61)의 내부에 필터장치(96)가 장착되지 않은 상태라면, 사용자는 하우징 개구(69)를 통해 히트펌프(80)에 액세스할 수 있다. 장시간 건조기를 사용하다 보면 히트펌프에 린트 등 이물질이 부착될 수 있는데, 사용자는 하우징 개구(69)를 통해 이러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필터장치(96)는 제2 의류처리장치(60)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필터장치(96)는 하우징 개구(69)를 통해 제2 하우징(61) 내부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필터장치(96)는 장치 수용부(68)에 장착되거나 장치 수용부(68)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제2 드럼(70)의 하부에는 팬(90)이 배치될 수 있다. 팬(90)은 제2 하우징(61)의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킬 수 있다. 팬(90)은 제2 하우징(61)의 내부에서 제2 드럼(70)을 통과하는 순환 기류를 형성할 수 있다.
제2 의류처리장치(60)는 팬(90)을 회전시키도록 구성되는 팬 모터(91)를 포함할 수 있다.
팬 모터(91)에서 발생된 구동력은 팬(90)을 회전시킬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팬(90)을 회전시키기 위한 팬 모터(91)와 제2 드럼(70)을 회전시키기 위한 제2 드럼모터(73a)는 동일한 구성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하나의 모터(91, 73a)가 서로 다른 회전축과 연결되어 팬(90) 및 제2 드럼(70)을 동시에 회전시킬 수 있다.
하나의 모터(91, 73a)가 서로 다른 회전축과 연결되어 팬(90) 및 제2 드럼(70)을 동시에 회전하는 경우, 팬(90)의 회전속도와 제2 드럼(70)의 회전속도는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팬(90)의 회전속도가 제2 드럼(70)의 회전속도보다 빠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팬(90)을 회전시키기 위한 팬 모터(91)와 제2 드럼(70)을 회전시키기 위한 제2 드럼모터(73a)는 서로 별개로 마련될 수도 있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의류처리장치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 제1 의류처리장치(10)는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5)와, 제1 구동장치(40)와, 급수장치(50)와, 배수장치(54)와, 제1 센서부(18)와, 제1 통신부(19)와, 제1 제어부(2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5)는 사용자와 제1 의류처리장치(10)가 상호 작용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5)는 적어도 하나의 입력 인터페이스(16)와 적어도 하나의 출력 인터페이스(17)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5)는 제1 하우징(11)의 일 측면에 배치될 수 있으나,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5)의 위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적어도 하나의 입력 인터페이스(16)는 사용자로부터 수신된 감각 정보(sensory information)를 전기적인 신호로 전환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입력 인터페이스(16)는 전원 버튼과, 동작 버튼과, 코스 선택 다이얼(또는 코스 선택 버튼)과, 세탁/헹굼/탈수 설정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입력 인터페이스(16)는, 예를 들어, 택트 스위치(tact switch), 푸시 스위치, 슬라이드 스위치, 토클 스위치, 마이크로 스위치, 터치 스위치, 터치 패드, 터치 스크린, 조그 다이얼, 및/또는 마이크로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출력 인터페이스(17)는 감각 정보를 생성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제1 의류처리장치(10)의 동작에 관련된 다양한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출력 인터페이스(17)는 세탁 코스 및 제1 의류처리장치(10)의 동작 시간, 세탁 설정/헹굼 설정/탈수 설정에 관련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제1 의류처리장치(10) 동작에 관한 정보는 스크린, 인디케이터, 음성 등으로 출력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출력 인터페이스(17)는, 예를 들어,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패널,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 패널, 스피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세탁 코스는 세탁물의 종류(예를 들어, 이불, 속옷 등) 및 재질(예를 들어, 울 등)에 따라 제1 의류처리장치(10)의 설계자에 의하여 사전에 설정된 세탁 설정(예를 들어, 세탁 온도, 헹굼 횟수, 탈수 세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준 세탁은 대부분의 세탁물에 적용될 수 있는 세탁 설정을 포함하며, 이불 세탁은 이불을 세탁하기 위하여 최적화된 세탁 설정을 포함할 수 있다. 세탁 코스는 예를 들어 표준 세탁, 강력 세탁, 섬세의류 세탁, 이불 세탁, 아기옷 세탁, 타월 세탁, 소량 세탁, 삶은 세탁, 절전 세탁, 아웃도어 세탁, 헹굼/탈수, 탈수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메모리(25)는 복수의 세탁 코스에 대응하는 복수의 세탁 코스의 알고리즘을 저장할 수 있다. 복수의 세탁 코스의 알고리즘은 세탁 사이클에서 복수의 전장품(예: 제1 구동장치(40), 급수장치(50), 배수장치(54) 및/또는 히터(미도시))을 제어하기 위한 알고리즘을 의미한다.
프로세서(24)는 메모리(25)에 저장된 복수의 세탁 코스의 알고리즘들 중에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설정된 동작 코스의 알고리즘에 기초하여 세탁 코스를 수행할 수 있다.
제1 구동장치(40)는 제1 드럼(30)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1 드럼모터(4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구동장치(40)는 제1 제어부(23)의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동작할 수 있다.
급수장치(50)는 외부 급수원으로부터 세제 공급장치(53) 및/또는 터브(20)까지 연장되는 급수관(51)을 개폐하는 급수밸브(52)를 포함할 수 있다. 급수밸브(52)는 제1 제어부(23)의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개폐될 수 있다.
배수장치(54)는 터브(20)의 물을 세탁기 하우징(11)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수펌프(57)를 포함할 수 있다. 배수펌프(57)는 제1 제어부(23)의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동작할 수 있다.
제1 센서부(18)는 제1 의류처리장치(10)의 동작 상태와 관련된 정보를 획득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센서부(18)는 터브(20)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센서, 제1 구동장치(40)의 동작 상태를 감지하는 센서, 급수장치(50)를 통해 터브(20)로 유입되는 유량을 감지하는 유량센서 또는 배수장치(54)의 동작 상태를 감지하는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제1 센서부(18)는 제1 드럼(30)에 수용된 세탁물의 무게를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제1 센서부(18)는 터브(20)의 진동값을 감지하는 진동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진동센서는 터브(20)의 진동을 감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진동센서는 세탁 사이클의 진행 중(예: 탈수행정)에 제1 드럼(30)의 회전에 의해 발생하는 터브(20)의 진동을 감지할 수 있다.
제1 구동장치(40)의 동작 상태를 감지하는 센서는, 일 예로, 제1 드럼모터(41)로 인가되는 구동전류를 측정하는 전류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배수장치(54)의 동작 상태를 감지하는 센서는, 일 예로, 배수펌프(57)로 인가되는 구동전류를 측정하는 전류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의류처리장치(10)는 외부장치(예: 진단 단말기, 제2 의류처리장치(60), 서버, 사용자 기기, 및/또는 다른 가전기기)와 유선 및/또는 무선으로 통신하기 위한 제1 통신부(19)를 포함할 수 있다.
진단 단말기는 의류처리시스템의 고장(또는 오류)을 진단하기 위한 기기로, 의류처리시스템과 유선 통신 네트워크(예: UART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의류처리시스템에 마련된 복수의 전장품의 상태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사용자에게 공지할 수 있다.
진단 단말기는 의류처리시스템과의 유선 통신을 수립하기 위한 통신선과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진단 단말기는 관리자용 전문 제품일 수도 있으나, 스마트폰, 노트북, 랩탑, 태블릿 PC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사용자 기기 및/또는 다른 가전기기는, 스마트폰, 노트북, 랩탑, 스마트 워치, IoT 허브장치, 텔레비전 및/또는 제2 의류처리장치(60)와 같은 다른 가전기기, 거치형 태블릿, 스피커와 같은 각종 전자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통신부(19)는 근거리 통신 모듈 및/또는 원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통신부(19)는 외부장치에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외부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통신부(19)는 서버, 사용자 기기 및/또는 다른 가전기기와 통신을 수립하고,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통신부(19)는 외부장치 간의 직접(예: 유선) 통신 채널 또는 무선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통신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통신부(19)는 무선 통신 모듈(예: 셀룰러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예: LAN(local area network) 통신 모듈, 또는 전력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통신 모듈 중 해당하는 통신 모듈은 제 1 네트워크(예: 블루투스,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와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또는 제 2 네트워크(예: 레거시 셀룰러 네트워크, 5G 네트워크, 차세대 통신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와 같은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이런 여러 종류의 통신 모듈들은 하나의 구성요소(예: 단일 칩)로 통합되거나, 또는 서로 별도의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복수 칩들)로 구현될 수 있다.
유선 통신 모듈은 다른 장치(예: 진단 단말기, 제2 의류처리장치(60))와 유선 통신을 수립하기 위한 통신선 및/또는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은 블루투스 통신 모듈,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Near Field Communication module), WLAN(와이파이) 통신 모듈, 지그비(Zigbee) 통신 모듈, 적외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통신 모듈, WFD(Wi-Fi Direct) 통신 모듈, UWB(ultrawideband) 통신 모듈, Ant+ 통신 모듈, 마이크로 웨이브(uWave) 통신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원거리 통신 모듈은, 다양한 종류의 원거리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동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통신부는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통신부(19)는 주변의 접속 중계기(AP: Access point)를 통해 서버, 사용자 기기, 다른 가전 기기 등의 외부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접속 중계기는 제1 의류처리장치(10) 및/또는 사용자 기기 및/또는 다른 가전기기가 연결된 지역 네트워크(LAN)를 서버가 연결된 광역 네트워크(WAN)에 연결시킬 수 있다. 제1 의류처리장치(10) 및/또는 사용자 기기 및/또는 다른 가전기기는 광역 네트워크(WAN)를 통해 서버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제어부(23)는 제1 의류처리장치(10)의 각종 구성 요소(예: 제1 구동장치(40), 급수장치(50), 배수장치(54))를 제어할 수 있다. 제1 제어부(23)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급수, 세탁, 헹굼, 및/또는 탈수 등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행정을 수행하도록 제1 의류처리장치(10)의 각종 구성 요소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제어부(23)는 제1 드럼(30)의 회전 속도(RPM)를 조절하도록 제1 구동장치(40)의 제1 드럼모터(41)를 제어하거나, 터브(20)로 물을 공급하도록 급수장치(50)의 급수밸브(52)를 제어하거나, 터브(20)의 물을 외부로 배출하도록 배수장치(54)의 배수펌프(57)를 제어할 수 있다.
제1 제어부(23)는 CPU나, Micom(예: MCU, MPU)이나, 메모리 등의 하드웨어와, 제어 프로그램 등의 소프트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제어부(23)는 제1 의류처리장치(10) 내 구성요소들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알고리즘, 프로그램 형태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25), 및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25)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전술한 동작 및 후술할 동작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24)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5)와 프로세서(24)는 각각 별개의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24)는 1 또는 2이상의 프로세서 칩을 포함하거나 또는 1 또는 2이상의 프로세싱 코어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5)는 1 또는 2이상의 메모리 칩을 포함하거나 또는 1 또는 2이상의 메모리 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25)와 프로세서(24)는 단일 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의류처리장치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 제2 의류처리장치(60)는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75)와, 제2 구동장치(73)와, 히터(86)와, 팬 모터(91)와, 히트펌프(80)와, 제2 통신부(94)와, 제2 센서부(79)와, 제2 제어부(97)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75)는 사용자와 제2 의류처리장치(60)가 상호 작용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75)는 적어도 하나의 입력 인터페이스(76)와 적어도 하나의 출력 인터페이스(77)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75)는 제2 하우징(61)의 일 측면에 배치될 수 있으나,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75)의 위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적어도 하나의 입력 인터페이스(76)는 사용자로부터 수신된 감각 정보(sensory information)를 전기적인 신호로 전환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입력 인터페이스(76)는 전원 버튼과, 동작 버튼과, 코스 선택 다이얼(또는 코스 선택 버튼)과, 건조 설정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입력 인터페이스(76)는, 예를 들어, 택트 스위치(tact switch), 푸시 스위치, 슬라이드 스위치, 토클 스위치, 마이크로 스위치, 터치 스위치, 터치 패드, 터치 스크린, 조그 다이얼, 및/또는 마이크로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출력 인터페이스(77)는 감각 정보를 생성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제2 의류처리장치(60)의 동작에 관련된 다양한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출력 인터페이스(77)는 건조 코스 및 제2 의류처리장치(60)의 동작 시간, 건조 설정에 관련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제2 의류처리장치(60) 동작에 관한 정보는 스크린, 인디케이터, 음성 등으로 출력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출력 인터페이스(77)는, 예를 들어,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패널,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 패널, 스피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건조 코스는 피건조물의 종류(예를 들어, 이불, 속옷 등) 및 재질(예를 들어, 울 등)에 따라 제2 의류처리장치(60)의 설계자에 의하여 사전에 설정된 건조 설정(예를 들어, 건조 온도, 건조 시간, 건조 세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준 건조는 대부분의 피건조물에 적용될 수 있는 건조 설정을 포함하며, 이불 건조는 이불을 건조하기 위하여 최적화된 건조 설정을 포함할 수 있다. 건조 코스는 예를 들어 표준 건조, 강력 건조, 섬세의류 건조, 이불 건조, 아기옷 건조, 타월 건조, 소량 건조, 절전 건조, 아웃도어 건조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메모리(99)는 복수의 건조 코스에 대응하는 복수의 건조 코스의 알고리즘을 저장할 수 있다. 복수의 건조 코스의 알고리즘은 건조행정에서 복수의 전장품들(예: 제2 구동장치(73), 히터(86), 팬 모터(91) 및/또는 압축기(83))을 제어하기 위한 알고리즘을 의미한다.
프로세서(98)는 메모리(99)에 저장된 복수의 건조 코스의 알고리즘들 중에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설정된 동작 코스의 알고리즘에 기초하여 건조행정을 수행할 수 있다.
제2 구동장치(73)는 제2 드럼(70)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2 드럼모터(73a)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구동장치(73)는 제2 제어부(97)의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동작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제2 제어부(97)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동작 코스의 알고리즘에 기초하여 제2 구동장치(73)를 제어할 수 있다.
제2 구동장치(73)의 양태는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제1 구동장치(40)의 양태와 동일할 수 있다.
히터(86)는 응축기(82)를 지나면서 가열된 공기를 더 가열하거나 또는 히트펌프(80)를 통해 가열되지 않은 채 외부로부터 흡입된 공기를 가열할 수 있다.
히터(86)는 제2 제어부(97)의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동작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제2 제어부(97)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동작 코스의 알고리즘에 기초하여 히터(86)를 제어할 수 있다.
팬 모터(91)는 제2 하우징(61)의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기 위한 팬(90)을 회전시킬 수 있다.
팬 모터(91)는 제2 제어부(97)의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동작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제2 제어부(97)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동작 코스의 알고리즘에 기초하여 팬 모터(91)를 제어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팬(90)을 회전시키기 위한 팬 모터(91)와 제2 드럼(70)을 회전시키기 위한 제2 드럼모터(73a)는 동일한 구성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하나의 모터(91, 73a)가 서로 다른 회전축과 연결되어 팬(90) 및 제2 드럼(70)을 동시에 회전시키는 경우, 제2 제어부(97)는 팬(90)의 목표 RPM 또는 제2 드럼(70)의 목표 RPM에 대응하는 목표 RPM으로 하나의 모터(91, 73a)를 구동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팬(90)을 회전시키기 위한 팬 모터(91)와 제2 드럼(70)을 회전시키기 위한 제2 드럼모터(73a)는 서로 별개로 마련되는 경우, 제2 제어부(97)는 팬(90)의 목표 RPM에 기초하여 팬 모터(91)를 구동하고, 제2 드럼(70)의 목표 RPM에 기초하여 제2 드럼모터(73a)를 구동할 수 있다.
히트펌프(80)는 제2 드럼(70)에 공급될 열기를 생성하기 위한 구성으로,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83)를 포함할 수 있다.
압축기(83)는 제2 제어부(97)의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동작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제2 제어부(97)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동작 코스의 알고리즘에 기초하여 압축기(83)를 제어할 수 있다.
제2 센서부(79)는 제2 의류처리장치(60)의 동작 상태와 관련된 정보를 획득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제2 센서부(79)는 제2 드럼(70)에 수용된 피건조물의 무게를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제2 센서부(79)는 제2 하우징(61)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 및/또는 제2 구동장치(73)의 동작 상태를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하우징(61)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는, 제2 하우징(61)의 내부 어디에든 마련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온도센서는 응축기(82)의 출구 측에 마련될 수도 있고, 히터(86)의 하류 측에 마련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제2 센서부(79)는 제2 하우징(61)의 진동값을 감지하는 진동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의류처리장치(60)는 외부장치(예: 진단 단말기, 제1 의류처리장치(10), 서버, 사용자 기기, 및/또는 다른 가전기기)와 유선 및/또는 무선으로 통신하기 위한 제2 통신부(94)를 포함할 수 있다.
진단 단말기는 의류처리시스템의 고장(또는 오류)을 진단하기 위한 기기로, 의류처리시스템과 유선 통신 네트워크(예: UART 통신)를 통해 의류처리시스템에 마련된 복수의 전장품의 상태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사용자에게 공지할 수 있다.
진단 단말기는 의류처리시스템과의 유선 통신을 수립하기 위한 통신선과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기기 및/또는 다른 가전기기는, 스마트폰, 노트북, 랩탑, 스마트 워치, IoT 허브장치, 텔레비전 및/또는 제2 의류처리장치(60)와 같은 다른 가전기기, 거치형 태블릿, 스피커와 같은 각종 전자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통신부(94)는 근거리 통신 모듈 및/또는 원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통신부(94)는 외부장치에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외부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통신부(94)는 서버, 사용자 기기 및/또는 다른 가전기기와 통신을 수립하고,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 통신부(94)는 외부장치 간의 직접(예: 유선) 통신 채널 또는 무선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통신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통신부(94)는 무선 통신 모듈(예: 셀룰러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예: LAN(local area network) 통신 모듈, 또는 전력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통신 모듈 중 해당하는 통신 모듈은 제 1 네트워크(예: 블루투스,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와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또는 제 2 네트워크(예: 레거시 셀룰러 네트워크, 5G 네트워크, 차세대 통신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와 같은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이런 여러 종류의 통신 모듈들은 하나의 구성요소(예: 단일 칩)로 통합되거나, 또는 서로 별도의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복수 칩들)로 구현될 수 있다.
유선 통신 모듈은 다른 장치(예: 진단 단말기, 제1 의류처리장치(10))와 유선 통신을 수립하기 위한 통신선 및/또는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은 블루투스 통신 모듈,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Near Field Communication module), WLAN(와이파이) 통신 모듈, 지그비(Zigbee) 통신 모듈, 적외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통신 모듈, WFD(Wi-Fi Direct) 통신 모듈, UWB(ultrawideband) 통신 모듈, Ant+ 통신 모듈, 마이크로 웨이브(uWave) 통신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원거리 통신 모듈은, 다양한 종류의 원거리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동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통신부는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2 통신부(94)는 주변의 접속 중계기를 통해 서버, 사용자 기기, 다른 가전 기기 등의 외부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접속 중계기는 제2 의류처리장치(60) 및/또는 사용자 기기 및/또는 다른 가전기기가 연결된 지역 네트워크(LAN)를 서버가 연결된 광역 네트워크(WAN)에 연결시킬 수 있다. 제2 의류처리장치(60) 및/또는 사용자 기기 및/또는 다른 가전기기는 광역 네트워크(WAN)를 통해 서버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제어부(97)는 제2 의류처리장치(60)의 각종 구성 요소(예: 제2 구동장치(73), 히터(86), 팬 모터(91) 및/또는 압축기(83))를 제어할 수 있다. 제2 제어부(97)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건조행정을 수행하도록 제2 의류처리장치(60)의 각종 구성 요소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제어부(97)는 제2 드럼(70)의 회전 속도(RPM)를 조절하도록 제2 구동장치(73)의 제2 드럼모터(73a)를 제어하거나, 제2 드럼(70)의 내부 공기를 빠르게 가열하도록 히터(86)의 동작을 제어하거나, 제2 드럼(70)에 공급될 열기를 생성하도록 압축기(83)의 동작을 조절하거나, 히트펌프(80)에 의해 생성된 열기를 제2 드럼(70)의 내부로 순환시키도록 팬 모터(91)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2 제어부(97)는 CPU나, Micom(예: MCU, MPU)이나, 메모리 등의 하드웨어와, 제어 프로그램 등의 소프트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제어부(97)는 제2 의류처리장치(60) 내 구성요소들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알고리즘, 프로그램 형태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99), 및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99)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전술한 동작 및 후술할 동작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98)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99)와 프로세서(98)는 각각 별개의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98)는 1 또는 2이상의 프로세서 칩을 포함하거나 또는 1 또는 2이상의 프로세싱 코어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99)는 1 또는 2이상의 메모리 칩을 포함하거나 또는 1 또는 2이상의 메모리 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99)와 프로세서(98)는 단일 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시스템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시스템(1)은 제1 의류처리장치(10)와 제2 의류처리장치(6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의류처리장치(10)와 제2 의류처리장치(60)는 서로 작동적으로 및/또는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의류처리장치(10)에서 획득된 다양한 정보는 제2 의류처리장치(60)로 전달될 수 있으며, 제2 의류처리장치(60)에서 획득된 다양한 정보는 제1 의류처리장치(10)로 전달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의류처리시스템(1)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0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00)는 제1 의류처리장치(10) 및/또는 제2 의류처리장치(60)에 마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00)는 제1 하우징(11)의 일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의류처리시스템(1)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00)는 제1 의류처리장치(10)와 제2 의류처리장치(60)를 모두 제어하기 위한 구성으로, 통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00)라고 정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의류처리시스템(1)이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00)를 포함함에 따라, 제1 의류처리장치(10)는 제1 의류처리장치(10)만을 제어하기 위한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5)를 구비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의류처리시스템(1)이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00)를 포함함에 따라, 제2 의류처리장치(60)는 제2 의류처리장치(60)만을 제어하기 위한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75)를 구비하지 않을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의류처리시스템(1)이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00)를 포함하더라도 제1 의류처리장치(10)는 제1 의류처리장치(10)만을 제어하기 위한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5)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의류처리시스템(1)이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00)를 포함하더라도 제2 의류처리장치(60)는 제2 의류처리장치(60)만을 제어하기 위한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75)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의류처리시스템(1)이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00)를 포함하더라도 제1 의류처리장치(10)는 제1 의류처리장치(10)만을 제어하기 위한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5)를 포함하고, 제2 의류처리장치(60)는 제2 의류처리장치(60)만을 제어하기 위한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75)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일 실시예에서, 의류처리시스템(1)은 제1 의류처리장치(10)와 제2 의류처리장치(60)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00), 제1 의류처리장치(10)를 제어하기 위한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5) 및/또는 제2 의류처리장치(60)를 제어하기 위한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75)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00)는 사용자와 의류처리시스템(1)이 상호 작용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와 의류처리시스템(1)이 상호 작용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사용자와 제1 의류처리장치(10) 및 제2 의류처리장치(60)가 상호 작용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의미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입력 인터페이스(110)와 적어도 하나의 출력 인터페이스(120)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입력 인터페이스(110)는 사용자로부터 수신된 감각 정보(sensory information)를 전기적인 신호로 전환함으로써 제1 의류처리장치(10) 및/또는 제2 의류처리장치(60)에게 전달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입력 인터페이스(110)는 택트 스위치(tact switch), 푸시 스위치, 슬라이드 스위치, 토클 스위치, 마이크로 스위치, 터치 스위치, 터치 패드, 터치 스크린, 조그 다이얼, 및/또는 마이크로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입력 인터페이스(110)는 제1 제어부(23) 및 제2 제어부(97)에게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제어 명령을 전달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출력 인터페이스(120)는 감각 정보를 생성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제1 의류처리장치(10) 및 제2 의류처리장치(60)의 동작에 관련된 다양한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출력 인터페이스(120)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패널,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 패널, 스피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입력 인터페이스(110)와 적어도 하나의 출력 인터페이스(120)가 형성된 패널은 컨트롤 패널로 정의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입력 인터페이스(110)와 적어도 하나의 출력 인터페이스(120)는 도 14a 및 도 14b를 참조하여 더 자세하게 후술한다.
제1 의류처리장치(10)와 제2 의류처리장치(60)는 제1 의류처리장치(10)의 제1 통신부(19) 및 제2 의류처리장치(60)의 제2 통신부(94)를 통해 서로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통신부(19, 94)는 D2D 무선 통신 모듈(예: 블루투스 모듈)을 이용하여 서로 직접적으로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통신부(19, 94)는 광역 네트워크(WAN)를 이용하여 서버를 통해하여 서로 통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통신부(19, 94)는 유선 통신 모듈(예: 통신 커넥터 및/또는 통신선)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의류처리장치(10)와 제2 의류처리장치(60)는 서로 유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00)는 연결 회로보드(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연결 회로보드(130)는 인쇄회로기판 보드로 구현될 수 있다.
연결 회로보드(130)는 제1 통신부(19) 및 제2 통신부(94)와 연결되기 위한 통신선 및/또는 통신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회로보드(130)는 제1 통신부(19)와 제2 통신부(94)를 유선으로 연결할 수 있다.
제1 통신부(19) 및 제2 통신부(94) 각각은 연결 회로보드(130)와 연결될 수 있다.
연결 회로보드(130)는 제1 제어부(23)와 제2 제어부(97)의 데이터 교환을 중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 회로보드(130)는 제1 제어부(23)로부터 제1 통신부(19)를 통해 전달된 신호를 제2 통신부(94)를 통해 제2 제어부(97)로 전달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연결 회로보드(130)는 제2 제어부(97)로부터 제2 통신부(94)를 통해 전달된 신호를 제1 통신부(19)를 통해 제1 제어부(23)로 전달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연결 회로보드(130)는 제1 통신부(19)를 통해 제1 제어부(23)에게 적어도 하나의 입력 인터페이스(110)에 의해 선택된 코스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연결 회로보드(130)는 제2 통신부(94)를 통해 제2 제어부(97)에게 적어도 하나의 입력 인터페이스(110)에 의해 선택된 코스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연결 회로보드(130)는 제1 통신부(19)를 통해 수신된 신호를 제2 제어부(97)에서 해독 가능하도록 전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 회로보드(130)는 제1 통신부(19)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의 포맷을 제2 제어부(97)에서 사용 가능한 데이터의 포맷으로 전환할 수 있다.
연결 회로보드(130)는 제2 통신부(94)를 통해 수신된 신호를 제1 제어부(23)에서 해독 가능하도록 전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 회로보드(130)는 제2 통신부(94)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의 포맷을 제1 제어부(23)에서 사용 가능한 데이터의 포맷으로 전환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연결 회로보드(130)는 제1 통신부(19)를 통해 수신된 신호를 제2 제어부(97)에서 해독 가능하도록 전환하고, 제2 통신부(94)를 통해 수신된 신호를 제1 제어부(23)에서 해독 가능하도록 전환하는 컨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통신부(19)와 제2 통신부(94)는 유선 통신 네트워크(예: UART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신호를 주고 받을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00)가 연결 회로보드(130)를 가지고 있어서 제1 의류처리장치(10)와 제2 의류처리장치(60)의 통신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는 동시에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00)와 제1 의류처리장치(10) 및 제2 의류처리장치(60)의 통신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시스템에 진단 단말기가 연결된 모습을 도시한 외관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시스템(1)은 진단포트(15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진단포트(150)는 제1 하우징(11)에 마련된 하우징 도어(150b)의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진단 단말기(200)는 진단포트(150)와 연결 가능한 통신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210)는 커넥터일 수 있으며, 커넥터는 진단 단말기(200)의 본체와 통신 케이블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진단 단말기(200)의 커넥터는 진단포트(150)와 결합될 수 있으며, 진단 단말기(200)의 커넥터가 진단포트(150)와 결합된 것에 응답하여 통신부(210)는 제1 통신부(19)와 유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시스템에 진단 단말기가 연결된 모습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진단 단말기(200)는 제1 하우징(11)의 내부에 마련된 진단포트(150)와 유선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진단포트(150)와 연결된 진단 단말기(200)는 제1 제어부(23)와 유선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제1 제어부(23)는 연결 회로보드와 유선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제2 제어부(97)는 연결 회로보드와 유선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제1 제어부(23)와 제2 제어부(97)는 유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진단 단말기(200)와 제2 제어부(97)는 결과적으로 제1 제어부(23)를 통해 서로 통신 가능할 수 있다.
즉, 제1 제어부(23)는 진단 단말기(200), 제1 의류처리장치(10) 및 제2 의류처리장치(60) 사이의 유선 통신의 허브 역할을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의류처리시스템(1)은 연결 회로보드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고, 제1 제어부(23)와 제2 제어부(97)가 직접적으로 유선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시스템에 진단 단말기가 연결된 모습을 도시한 제어 블록도이다.
도 8에 도시된 구성들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진단 단말기(200)는 통신부(210)와, 입력 인터페이스(220)와, 출력 인터페이스(230)와, 제어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210)는 제1 의류처리장치(10)에 마련된 진단포트(150)에 연결될 수 있는 유선 케이블 및/또는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210)가 제1 의류처리장치(10)에 마련된 진단포트(150)와 연결되면, 진단 단말기(200)는 유선 통신 네트워크(예: UART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제1 제어부(23)와 통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통신부(210)는 외부 장치(예: 사용자 기기)와 데이터를 주고 받는 원거리 통신 모듈 및/또는 근거리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통신부(210)는 원거리 통신 모듈 및/또는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해 외부 장치(예: 사용자 기기)에게 의류처리시스템(1)의 진단 결과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진단 단말기(200)는 입력 인터페이스(220) 및/또는 출력 인터페이스(230) 없이, 통신부(210)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진단 단말기(200)는 통신부(210)를 통해 사용자 기기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각종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240)는 진단 단말기(2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및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인터페이스(220)는 사용자로부터 진단 단말기(200)를 제어하기 위한 각종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인터페이스(220)는 택트 스위치(tact switch), 푸시 스위치, 슬라이드 스위치, 토클 스위치, 마이크로 스위치, 터치 스위치, 터치 패드, 터치 스크린, 조그 다이얼, 및/또는 마이크로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출력 인터페이스(230)는 의류처리시스템(1)의 상태를 진단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또는 의류처리시스템(1)의 진단 결과를 공지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240)는 진단 단말기(200)의 통신부(210)와 제1 통신부(19)의 유선 통신이 수립된 것에 응답하여 제1 통신부(19)에게 진단 개시 신호를 전송하도록 통신부(210)를 제어할 수 있다.
진단 개시 신호는 진단 단말기(200)의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진단 단말기(200)의 식별 정보는, 예를 들어, 진단 단말기(200)의 모델 번호, 시리얼 넘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어부(23)는 진단 단말기(200)의 통신부(210)로부터 진단 개시 신호를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진단 단말기(200)의 통신부(210)에게 수신 확인 신호를 전송하도록 제1 통신부(19)를 제어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제1 제어부(23) 및/또는 제2 제어부(97)가 진단포트(150)에게 신호를 전송하는 것은, 제1 제어부(23 및/또는 제2 제어부(97))가 진단포트(150)와 연결된 외부 장치(예: 진단 단말기(200))에게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제1 제어부(23) 및/또는 제2 제어부(97)가 진단포트(150)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것은, 제1 제어부(23) 및/또는 제2 제어부(97)가 진단포트(150)와 연결된 외부 장치(예: 진단 단말기(200))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진단포트(150)의 수신단은 진단 단말기(200)의 수신단을 의미할 수 있으며, 진단포트(150)의 송신단은 진단 단말기(20)의 송신단을 의미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제어부(23) 및/또는 제2 제어부(97)가 진단포트(150)에게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제1 제어부(23) 및/또는 제2 제어부(97)가 진단 단말기(200)에게 신호를 전송하는 것으로 표현하고, 제1 제어부(23) 및/또는 제2 제어부(97)가 진단포트(150)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제1 제어부(23) 및/또는 제2 제어부(97)가 진단 단말기(200)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것으로 표현한다.
수신 확인 신호는 의류처리시스템(1)의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의류처리시스템(1)의 식별 정보는, 예를 들어, 제1 의류처리장치(10)의 모델 번호, 시리얼 넘버 및/또는 제2 의류처리장치(60)의 모델 번호, 시리얼 넘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어부(23)는 진단 단말기(200)의 통신부(210)로부터 진단 개시 신호를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미리 설정된 통신 시퀀스에 따라 제2 제어부(97) 또는 진단 단말기(2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제1 의류처리장치(10)가 진단 단말기(200) 및 제2 의류처리장치(60) 사이의 통신 허브 역할을 함으로써, 진단포트(150)의 개수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진단 단말기를 통해 진단 대상을 선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진단 단말기(200)는 의류처리시스템(1)의 진단 대상을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단 단말기(200)는 통신부(210)와 제1 통신부(19)가 통신을 수립한 것에 응답하여 의류처리시스템(1)의 진단 대상을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진단 대상을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제1 의류처리장치(10)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엘리먼트 및 제2 의류처리장치(60)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엘리먼트를 포함할 수 있다.
진단 단말기(200)는 진단 대상을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진단 단말기(200)는 진단 대상을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선택된 의류처리장치의 진단을 시작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진단 단말기(200)는 선택된 의류처리장치의 진단을 시작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의 진단 의사를 확인하면 제1 통신부(19)로 진단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진단 요청 신호는 발신자에 대한 식별 정보와 수신자에 대한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발신자에 대한 식별 정보와 수신자에 대한 식별 정보는, 각각의 장치에 대응하는 미리 정해진 데이터값을 가질 수 있다.
진단 단말기(200)에서 출력되는 진단 요청 신호의 발신자에 대한 식별 정보는 진단 단말기(200)의 식별 정보일 수 있다.
진단 대상이 제1 의류처리장치(10)인 경우, 진단 요청 신호는 수신자에 대한 식별 정보로서 제1 의류처리장치(10)의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진단 대상이 제2 의류처리장치(60)인 경우, 진단 요청 신호는 수신자에 대한 식별 정보로서 제2 의류처리장치(60)의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시스템과 진단 단말기의 통신 진단포트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진단 단말기(200)는 의류처리시스템(1)으로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송신단(DT)과, 의류처리시스템(1)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단(DR)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어부(23)는 복수의 송신단(DT1, CT1)과 복수의 수신단(DR1, CR1)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송신단(DT1, CT1)은 복수의 전장품(예: 제1 구동장치(40), 급수장치(50), 배수장치(54) 및/또는 히터(미도시))에게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제어 송신단(CT1)과, 진단 단말기(200)의 제어부(240) 및 제2 제어부(97)에게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진단 송신단(DT1)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수신단(DR1, CR1)은 복수의 전장품 및/또는 제1 센서부(18)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제어 수신단(CR1)과, 진단 단말기(200)의 제어부(240) 및 제2 제어부(97)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진단 수신단(DR1)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제어부(97)는 복수의 송신단(DT2, CT2)과 복수의 수신단(DR2, CR2)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송신단(DT2, CT2)은 복수의 전장품(예: 제2 구동장치(73), 히터(86), 팬 모터(91) 및/또는 압축기(83))에게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제어 송신단(CT2)과, 제1 제어부(23)에게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진단 송신단(DT2)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수신단(DR2, CR2)은 복수의 전장품 및/또는 제2 센서부(79)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제어 수신단(CR2)과, 제1 제어부(23)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진단 수신단(DR2)을 포함할 수 있다.
진단 단말기(200)의 제어부(240)는 송신단(DT)과 수신단(DR)을 포함할 수 있다.
진단 단말기(200)의 통신부(210)와 제1 통신부(19)의 통신이 수립된 경우, 진단 단말기(200)의 송신단(DT)은 제1 제어부(23)의 진단 수신단(DR1)과 연결될 수 있으며, 진단 단말기(200)의 수신단(DR)은 제2 제어부(97)의 진단 송신단(DT1)과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제어부(23)에게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진단 송신단(DT2)은 연결 회로보드(130)를 통해 제1 제어부(23)의 진단 수신단(DR1)과 연결될 수도 있고, 직접적으로 제1 제어부(23)의 진단 수신단(DR1)과 연결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제어부(97)에게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진단 송신단(DT1)은 연결 회로보드(130)를 통해 제2 제어부(97)의 진단 수신단(DR2)과 연결될 수도 있고, 직접적으로 제2 제어부(97)의 진단 수신단(DR2)과 연결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제1 제어부(23)의 진단 송신단(DT1)은 진단 단말기(200)의 수신단(DR) 및 제2 제어부(97)의 진단 수신단(DR2)과 연결될 수 있다.
즉, 제1 제어부(23)의 하나의 송신단은 복수 개의 장치의 수신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제1 제어부(23)의 진단 수신단(DR1)은 진단 단말기(200)의 송신단(DT) 및 제2 제어부(97)의 진단 송신단(DT2)과 연결될 수 있다.
즉, 제1 제어부(23)의 하나의 수신단은 복수 개의 장치의 송신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하나의 송신단 및 하나의 수신단만을 이용하여 복수 개의 장치와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 따르면, 의류처리시스템(1)이 하나의 진단포트(150)만을 가지고 있더라도, 복수의 의류처리장치와 진단 단말기(200)가 통신할 수 있다.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시스템의 진단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제1 의류처리장치(10)의 관점에서 의류처리시스템(1)의 진단방법을 확인할 수 있다.
진단 단말기(200)는 제1 의류처리장치(10)의 진단포트(150)와 결합된 것에 응답하여 제1 의류처리장치(10)에게 진단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제1 의류처리장치(10)는 진단 단말기(200)로부터 진단 요청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1000).
일 실시예에서, 제1 제어부(23)는 제1 통신부(19)를 통해 진단 단말기(200)로부터 진단 요청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1 의류처리장치(10)는 진단 요청 신호에 기초하여 진단 대상을 식별할 수 있다(1100).
일 실시예에서, 제1 제어부(23)는 진단 요청 신호에 기초하여 진단 대상을 식별할 수 있다.
진단 요청 신호는 수신자에 대한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어부(23)는 진단 요청 신호에 포함된 수신자에 대한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진단 대상이 제1 의류처리장치(10)인지 또는 제2 의류처리장치(60)인지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제어부(23)는 수신자에 대한 식별 정보가 제1 의류처리장치(10)에 대한 식별 정보이면 진단 대상을 제1 의류처리장치(10)로 식별할 수 있으며, 수신자에 대한 식별 정보가 제2 의류처리장치(60)에 대한 식별 정보이면 진단 대상을 제2 의류처리장치(60)로 식별할 수 있다.
제1 의류처리장치(10)는 진단 대상이 제1 의류처리장치(10)로 식별된 것에 응답하여 진단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1200).
진단 동작이란, 제1 의류처리장치(10)가 사전에 정의된 진단 알고리즘에 기초하여 복수의 전장품(예: 제1 구동장치(40), 급수장치(50), 배수장치(54) 및/또는 히터(미도시))을 구동하고, 복수의 전장품 및/또는 제1 센서부(18)로부터 진단 결과와 관련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동작을 의미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제어부(23)는 진단 수신단(DR1)을 통해 진단 요청 신호를 수신할 수 있으며, 제어 송신단(CT1)을 통해 사전에 정의된 진단 알고리즘에 따른 제어 명령을 송출할 수 있고, 제어 수신단(CR1)을 통해 진단 결과와 관련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제1 제어부(23)는 사전에 정의된 진단 알고리즘에 기초하여 복수의 전장품을 구동함으로써 진단 결과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제1 의류처리장치(10)는 제1 의류처리장치(10)의 진단 결과 신호를 진단 단말기(200)에게 전송할 수 있다(1300).
일 실시예에서, 제1 제어부(23)는 진단 결과 데이터를 포함하는 진단 결과 신호를 진단 단말기(200)로 전송할 수 있다.
제1 제어부(23)는 제1 의류처리장치(10)의 진단 결과 신호를 진단 송신단(DT1)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제1 의류처리장치(10)는 진단 대상이 제2 의류처리장치(60)로 식별된 것에 응답하여 제2 의류처리장치(60)에게 진단 요청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1150).
일 실시예에서, 제1 제어부(23)는 진단 대상이 제2 의류처리장치(60)로 식별된 것에 응답하여 진단 요청 신호를 진단 송신단(DT1)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의류처리장치(10)로부터 제2 의류처리장치(60)에게 전달되는 진단 요청 신호에 포함된 발신자의 식별 정보는 진단 단말기(200)로부터 제1 의류처리장치(10)에게 전달되는 진당 요청 신호에 포함된 발신자의 식별 정보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제2 의류처리장치(60)는 제1 의류처리장치(10)로부터 진단 요청 신호를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진단 동작을 수행하고, 진단 결과 신호를 제1 의류처리장치(10)에게 전달할 수 있다.
진단 동작이란, 제2 의류처리장치(60)가 사전에 정의된 진단 알고리즘에 기초하여 복수의 전장품(예: 제2 구동장치(73), 히터(86), 팬 모터(91) 및/또는 압축기(83))을 구동하고, 복수의 전장품 및/또는 제2 센서부(79)로부터 진단 결과와 관련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동작을 의미한다.
제1 의류처리장치(10)는 제2 의류처리장치(60)로부터 진단 결과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1160).
일 실시예에서, 제2 제어부(97)는 진단 결과 신호를 진단 송신단(DT2)을 통해 출력할 수 있고, 제1 제어부(23)는 진단 수신단(DR1)을 통해 진단 결과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1 의류처리장치(10)는 제2 의류처리장치(60)로부터 수신된 진단 결과 신호를 진단 단말기(200)로 전송할 수 있다(1300
일 실시예에서, 제1 제어부(23)는 제2 의류처리장치(60)의 결과 신호를 진단 송신단(DT1)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진단 송신단(DT1)을 통해 출력되는 신호(예: 진단 요청 신호 및 진단 결과 신호)는 진단 단말기(200)의 수신단(DR)과 제2 제어부(97)의 진단 수신단(DR2)(또는 연결 회로보드(130))에 전달될 수 있다.
그러나, 진단 송신단(DT1)을 통해 출력된 신호가 수신자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진단 단말기(200)의 제어부3 및 제2 제어부(97)는 진단 송신단(DT1)을 통해 출력된 신호가 어떤 대상에게 전달되어야 하는 것인지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진단 단말기(200)의 제어부3는 진단 송신단(DT1)을 통해 출력된 신호에 포함된 수신자 식별 정보가 제2 의류처리장치(60)에 대응하면 진단 송신단(DT1)을 통해 출력된 신호를 무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단 단말기(200)의 제어부3는 수신단(DR)을 통해 수신된 신호에 포함된 수신자의 식별 정보가 진단 단말기(200)의 식별 정보와 일치하는 경우에만 수신단(DR)을 통해 수신된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제어부(97)는 진단 송신단(DT1)을 통해 출력된 신호에 포함된 수신자 식별 정보가 진단 단말기(200)에 대응하면 진단 송신단(DT1)을 통해 출력된 신호를 무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제어부(97)는 진단 수신단(DR2)을 통해 수신된 신호에 포함된 수신자의 식별 정보가 제2 의류처리장치(60)의 식별 정보와 일치하는 경우에만 진단 수신단(DR2)을 통해 수신된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연결 회로보드(130)는 진단 송신단(DT1)을 통해 출력된 신호에 포함된 수신자 식별 정보가 진단 단말기(200)에 대응하면 진단 송신단(DT1)을 통해 출력된 신호를 무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 회로보드(130)는 진단 송신단(DT1)을 통해 출력된 신호에 포함된 수신자의 식별 정보가 제2 의류처리장치(60)의 식별 정보와 일치하는 경우에만 진단 수신단(DR2)에게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진단 수신단(DR1)을 통해 수신되는 신호(예: 진단 요청 신호 및 진단 결과 신호)는 진단 단말기(200)의 송신단(DT)과 제2 제어부(97)의 진단 송신단(DT2)(또는 연결 회로보드(130))로부터 출력될 수 있다.
그러나, 진단 수신단(DR1)을 통해 수신되는 신호가 발신자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제1 제어부(23)는 진단 수신단(DR1)을 통해 수신되는 신호를 어떻게 처리해야하는 지 식별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제1 제어부(23)가 하나의 통신 포트쌍(진단 송신단(DT1) 및 진단 수신단(DR1))만을 포함하더라도, 진단 단말기(200) 및 복수 개의 의류처리장치와의 통신을 중개할 수 있다.
도 15 및 도 1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시스템과 진단 단말기의 통신 진단포트를 도시한 개념도에 있어서, 진단 요청 신호 및 진단 결과 신호의 흐름을 도시한다.
도 15를 참조하면, 진단 단말기(200)의 송신단(DT)에서 출력된 진단 요청 신호는 제1 제어부(23)의 진단 수신단(DR1)으로 전송될 수 있다.
진단 요청 신호가 제1 의류처리장치(10)의 진단 동작을 요청하는 신호인 경우, 제1 제어부(23)는 진단 요청 신호에 대응하는 진단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제어부(23)는 진단 동작을 수행한 것에 응답하여 획득된 진단 결과 신호를 진단 송신단(DT1)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진단 송신단(DT1)을 통해 출력된 진단 결과 신호는 진단 단말기(200)의 수신단(DR)으로 전달될 수 있다.
진단 송신단(DT1)을 통해 출력된 진단 결과 신호는 제2 제어부(97)로 전달될 수도 있으나, 제2 제어부(97)는 수신자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진단 송신단(DT1)을 통해 출력된 진단 결과 신호를 무시할 수 있다.
진단 송신단(DT1)을 통해 출력된 진단 결과 신호는 연결 회로보드(130)로 전달될 수도 있으나, 연결 회로보드(130)는 수신자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진단 송신단(DT1)을 통해 출력된 진단 결과 신호를 무시할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진단 단말기(200)의 송신단(DT)에서 출력된 진단 요청 신호는 제1 제어부(23)의 진단 수신단(DR1)으로 전송될 수 있다.
진단 요청 신호가 제2 의류처리장치(60)의 진단 동작을 요청하는 신호인 경우, 제1 제어부(23)는 진단 송신단(DT1)을 통해 제2 제어부(97)에게 진단 요청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제2 제어부(97)는 진단 수신단(DR2)을 통해 제2 제어부(97)로부터 진단 요청 신호를 수신할 수 있으며, 진단 요청 신호를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진단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제2 제어부(97)는 진단 동작을 수행한 것에 응답하여 획득된 진단 결과 신호를 진단 송신단(DT2)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진단 송신단(DT2)을 통해 출력된 진단 결과 신호는 제1 제어부(23)의 진단 수신단(DR2)으로 전달될 수 있다.
제1 제어부(23)는 진단 수신단(DR2)을 제2 의류처리장치(60)의 진단 결과 신호를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진단 송신단(DT1)을 통해 진단 단말기(200)에게 진단 결과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진단 송신단(DT1)을 통해 출력된 진단 결과 신호는 제2 제어부(97)로 전달될 수도 있으나, 제2 제어부(97)는 수신자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진단 송신단(DT1)을 통해 출력된 진단 결과 신호를 무시할 수 있다.
진단 송신단(DT1)을 통해 출력된 진단 결과 신호는 연결 회로보드(130)로 전달될 수도 있으나, 연결 회로보드(130)는 수신자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진단 송신단(DT1)을 통해 출력된 진단 결과 신호를 무시할 수 있다.
도 17은 진단 요청 신호 및 진단 결과 신호의 데이터 구조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17을 참조하면, 진단 요청 신호 및 진단 결과 신호는 수신자 식별 정보와 발신자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Address1 항목에 포함된 정보는 발신자의 식별 정보에 해당하고, Address2 항목에 포함된 정보는 수신자의 식별 정보에 해당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진단 단말기(200)와, 제1 의류처리장치(10)와, 제2 의류처리장치(60)는 서로 상이한 식별 정보(예: 데이터 값)를 가질 수 있다.
제1 의류처리장치(10)에 대응하는 데이터 값과, 제2 의류처리장치(60)에 대응하는 데이터 값과, 진단 단말기(200)에 대응하는 데이터 값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진단 단말기(200)의 제어부3, 제1 제어부(23) 및 제2 제어부(97)는 수신자와 발신자를 식별할 수 있다.
진단 요청 신호 및 진단 결과 신호뿐만 아니라, 진단 단말기(200), 제1 제어부(23) 및 제2 제어부(97) 사이에서 송수신되는 신호들은 수신자 식별 정보와 발신자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8은 미리 설정된 통신 시퀀스의 일 예를 도시한다.
제1 제어부(23)가 통신 시퀀스 없이 복수 개의 장치와 단일 송신단(DT1) 및 수신단(DR1)을 이용하여 유선 통신을 한다면, 통신 충돌이 일어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단 단말기(200)와 제2 의류처리장치(60)가 동시에 신호를 출력하는 경우, 단일 수신단(DR1)에서의 통신 충돌에 의해 제1 제어부(23)가 어떠한 데이터도 수신하지 못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1 제어부(23)가 진단 단말기(200)와 제2 의류처리장치(60)에게 동시에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 단일 송신단(DT1)에서의 통신 충돌에 의해, 제1 제어부(23)가 어떠한 데이터도 전송하지 못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제어부(23)는, 진단 단말기(200)가 진단포트(150)와 연결된 것에 응답하여 미리 설정된 통신 시퀀스에 따라 제2 제어부(97) 또는 진단 단말기(2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제어부(23)는 진단 단말기(200)로부터 진단 개시 신호를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미리 설정된 통신 시퀀스에 따라 제2 제어부(97) 또는 진단 단말기(2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8을 참조하면, 미리 설정된 통신 시퀀스는 적어도 네 개의 통신 시퀀스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어부(23)는 적어도 네 개의 통신 시퀀스의 순서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제1 시퀀스(K1)는, 제1 제어부(23)의 진단 송신단(DT1)이 진단 단말기(200)에게 신호를 전송하는 시퀀스일 수 있다. 제1 제어부(23)는 제1 시퀀스(K1)에서 발신자 식별 정보가 진단 단말기(200)에 해당하는 신호만을 진단 송신단(DT1)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제2 시퀀스(K2)는, 제1 제어부(23)의 진단 수신단(DR1)이 진단 단말기(200)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시퀀스일 수 있다. 제1 제어부(23)는 제2 시퀀스(K2)에서 수신자 식별 정보가 진단 단말기(200)에 해당하는 신호만을 진단 수신단(DR1)을 통해 수신하고 처리할 수 있다.
제3 시퀀스(K3)는, 제1 제어부(23)의 진단 송신단(DT1)이 제2 의류처리장치(60)에게 신호를 전송하는 시퀀스일 수 있다. 제1 제어부(23)는 제3 시퀀스(K3)에서 발신자 식별 정보가 제2 의류처리장치(60)에 해당하는 신호만을 진단 송신단(DT1)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제4 시퀀스(K4)는, 제1 제어부(23)의 진단 수신단(DR1)이 제2 의류처리장치(60)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시퀀스일 수 있다. 제1 제어부(23)는 제4 시퀀스(K4)에서 수신자 식별 정보가 제2 의류처리장치(60)에 해당하는 신호만을 진단 수신단(DR1)을 통해 수신하고 처리할 수 있다.
미리 설정된 통신 시퀀스는 제1, 2, 3, 4 시퀀스(K1, K2, K3, K4)의 임의의 순서 조합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리 설정된 통신 시퀀스는 제1 시퀀스(K1), 제3 시퀀스(K3), 제2 시퀀스(K2) 및 제4 시퀀스(K4)의 순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에 따르면, 진단 개시 신호를 수신한 이후 유선 통신 포트에서 발생하는 통신 충돌을 회피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제1 제어부(23)는 진단 단말기(200)와 진단포트(150)의 결합이 해제된 것에 응답하여 제3 시퀀스(K3) 및 제4 시퀀스(K4)로 이루어진 통신 시퀀스에 따라 제2 제어부(97)와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진단 단말기(200)는 입력 인터페이스(220)를 통해 진단을 종료하고자 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제1 제어부(23)에게 진단 종료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제어부(23)는 진단 단말기(200)로부터 진단 종료 신호를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제3 시퀀스(K3) 및 제4 시퀀스(K4)로 이루어진 통신 시퀀스에 따라 제2 제어부(97)와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9, 도 20 및 도 2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시스템에 진단 단말기가 연결된 모습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9, 도 20 및 도 2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시스템(1a)은 제1 의류처리장치(10a)와 제2 의류처리장치(60a)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의류처리시스템(1)과는 상이하게,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시스템(1a)은 복수 개의 진단포트(151a, 152a)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0에 도시된 의류처리시스템(1)과 상이한 구성들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도록 한다.
제1 의류처리장치(10a)는 제1 하우징(11a)을 포함할 수 있고, 제2 의류처리장치(60a)는 제2 하우징(61a)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하우징(11a)의 전면에는 제1 도어(13a)가 마련될 수 있고, 제1 도어(13a)에 대응하는 개구가 마련될 수 있다.
제2 하우징(61a)의 전면에는 제2 도어(63a)가 마련될 수 있고, 제2 도어(63a)에 대응하는 개구가 마련될 수 있다.
도 19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제1 진단포트(151a)는 제1 하우징(11a)의 전방측에 마련될 수 있다. 제2 진단포트(152a)는 제2 하우징(61a)의 전방측에 마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진단포트(151a)는 제1 도어(13a)의 하측에 마련될 수 있다. 제1 도어(13a)의 하측에는 하우징 개구에 대응하는 하우징 커버가 마련될 수 있으며, 제1 진단포트(151a)는 하우징 개구에 마련되어, 하우징 커버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제1 진단포트(151a)는 제1 제어부(23)와 유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진단포트(152a)는 제2 도어(63a)의 하측에 마련될 수 있다. 제2 도어(63a)의 하측에는 하우징 개구에 대응하는 하우징 커버가 마련될 수 있으며, 제2 진단포트(152a)는 하우징 개구에 마련되어, 하우징 커버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제2 진단포트(152a)는 제2 제어부(97) 및 연결 회로보드(130)와 유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제1 진단포트(151a)와 제2 진단포트(152a)가 모두 의류처리시스템의 전방측에 마련됨으로써, 사용자가 의류처리시스템의 분해 및 조립 없이 용이하게 제1 진단포트(151a)와 제2 진단포트(152a)에 진단 단말기를 결합할 수 있다.
도 20을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제1 진단포트(151a) 및 제2 진단포트(152a)는 제1 하우징(11a)의 전방측에 마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진단포트(151a)와 제2 진단포트(152a)는 제1 도어(13a)의 하측에 마련될 수 있다. 제1 도어(13a)의 하측에는 하나의 하우징 개구에 대응하는 하나의 하우징 커버가 마련될 수 있으며, 제1 진단포트(151a) 및 제2 진단포트(152a)는 하우징 개구에 마련되어, 하우징 커버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제1 도어(13a)의 하측에는 두 개의 하우징 개구에 대응하는 두 개의 하우징 커버가 마련될 수 있으며, 제1 진단포트(151a) 및 제2 진단포트(152a)는 서로 다른 하우징 개구에 마련되어, 서로 다른 하우징 커버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제1 진단포트(151a)는 제2 진단포트(152a)보다 하측에 마련될 수 있다.
제1 진단포트(151a)는 제1 제어부(23)와 유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진단포트(152a)는 제2 제어부(97)와 유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진단포트(152a)는 연결 회로보드(130)를 통해 제2 제어부(97)와 연결되거나, 제2 제어부(97)와 직접 연결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제1 진단포트(151a)와 제2 진단포트(152a)가 모두 의류처리시스템의 전방측에 마련됨으로써, 사용자가 의류처리시스템의 분해 및 조립 없이 용이하게 제1 진단포트(151a)와 제2 진단포트(152a)에 진단 단말기를 결합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 따르면 제1 의류처리장치(10a)만을 이용하여 제1 의류처리장치(10a) 및 제2 의류처리장치(60a) 모두에 대한 진단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1을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제1 진단포트(151a) 및 제2 진단포트(152a)는 제2 하우징(11a)의 전방측에 마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진단포트(151a)와 제2 진단포트(152a)는 제2 도어(63a)의 하측에 마련될 수 있다. 제2 도어(63a)의 하측에는 하나의 하우징 개구에 대응하는 하나의 하우징 커버가 마련될 수 있으며, 제1 진단포트(151a) 및 제2 진단포트(152a)는 하우징 개구에 마련되어, 하우징 커버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제2 도어(63a)의 하측에는 두 개의 하우징 개구에 대응하는 두 개의 하우징 커버가 마련될 수 있으며, 제1 진단포트(151a) 및 제2 진단포트(152a)는 서로 다른 하우징 개구에 마련되어, 서로 다른 하우징 커버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제1 진단포트(151a)는 제2 진단포트(152a)보다 하측에 마련될 수 있다.
제1 진단포트(151a)는 제1 제어부(23)와 유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진단포트(152a)는 제2 제어부(97)와 유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진단포트(151a)는 연결 회로보드(130)를 통해 제1 제어부(23)와 연결되거나, 제1 제어부(23)와 직접 연결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제1 진단포트(151a)와 제2 진단포트(152a)가 모두 의류처리시스템(1a)의 전방측에 마련됨으로써, 사용자가 의류처리시스템(1a)의 분해 및 조립 없이 용이하게 제1 진단포트(151a)와 제2 진단포트(152a)에 진단 단말기를 결합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 따르면 제2 의류처리장치(60a)만을 이용하여 제1 의류처리장치(10a) 및 제2 의류처리장치(60a) 모두에 대한 진단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시스템은, 제1 드럼과 상기 제1 드럼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1 제어부와, 진단포트를 포함하는 제1 의류처리장치; 및 제2 드럼과 상기 제2 드럼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2 제어부를 포함하는 제2 의류처리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제어부는, 제1 송신단과 제1 수신단을 포함할수 있다.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제1 수신단을 통해 상기 진단포트로부터 제1 진단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진단 요청 신호에 기초하여 진단 대상을 식별할 수 있다.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진단 대상이 상기 제1 의류처리장치로 식별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진단 요청 신호에 대응하는 진단 동작을 수행한 후 상기 제1 송신단을 통해 제1 진단 결과 신호를 상기 진단포트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진단 대상이 상기 제2 의류처리장치로 식별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송신단을 통해 제2 진단 요청 신호를 상기 제2 제어부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제2 제어부는, 제2 송신단과 제2 수신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송신단은 상기 진단포트의 수신단 및 상기 제2 수신단과 연결되고, 상기 제1 수신단은 상기 진단포트의 송신단 및 상기 제2 송신단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송신단을 통해 출력되는 신호는 상기 진단포트 및 상기 제2 수신단에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시스템은, 상기 제1 제어부와 상기 제2 제어부를 유선으로 연결하기 위한 연결 회로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송신단은 상기 연결 회로보드를 통해 상기 제2 수신단과 연결되고, 상기 제1 수신단은 상기 연결 회로보드를 통해 상기 제2 송신단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연결 회로보드는, 상기 제1 송신단으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상기 제2 제어부에서 해독 가능하도록 전환하고, 상기 제2 송신단으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상기 제1 제어부에서 해독할 수 있는 형태로 전환할 수 있다.
상기 제1 진단 결과 신호와 상기 제2 진단 요청 신호 각각은 발신자와 수신자에 대한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제어부는, 상기 제1 제어부로부터 상기 제2 진단 요청 신호를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2 진단 요청 신호에 대응하는 진단 동작을 수행한 후 제2 진단 결과 신호를 상기 제1 수신단으로 전달하고,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제2 제어부로부터 상기 제1 수신단을 통해 상기 제2 진단 결과 신호를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2 진단 결과 신호를 상기 진단포트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제1 제어부는, 진단 단말기가 상기 진단포트와 연결된 것에 응답하여 미리 설정된 통신 시퀀스에 따라 상기 제2 제어부 또는 상기 진단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미리 설정된 통신 시퀀스는, 상기 제1 송신단이 상기 진단 단말기에게 신호를 전송하는 제1 시퀀스; 상기 제1 수신단이 상기 진단 단말기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제2 시퀀스; 상기 제1 송신단이 상기 제2 제어부에게 신호를 전송하는 제3 시퀀스; 및 상기 제1 수신단이 상기 제2 제어부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제4 시퀀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제어부는, 상기 제1 송신단을 통해 출력된 신호에 포함된 수신자 식별 정보가 상기 진단 단말기에 대응하면 상기 제1 송신단을 통해 출력된 신호를 무시할 수 있다.
상기 연결 회로보드는, 상기 제1 송신단을 통해 출력된 신호에 포함된 수신자 식별 정보가 상기 진단 단말기에 대응하면 상기 제1 송신단을 통해 출력된 신호를 무시할 수 있다.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제1 진단 요청 신호에 포함된 수신자 식별 정보가 상기 제1 의류처리장치에 대응하면 상기 진단 대상을 상기 제1 의류처리장치로 식별하고, 상기 제1 진단 요청 신호에 포함된 수신자 식별 정보가 상기 제2 의류처리장치에 대응하면 상기 진단 대상을 상기 제2 의류처리장치로 식별할 수 있다.
상기 제1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제1 드럼을 수용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고, 상기 제1 드럼과 대응하는 개구를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진단포트는 상기 도어의 하측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 의류처리장치는 세탁기이고, 상기 제2 의류처리장치는 건조기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시스템의 진단방법은, 상기 제1 제어부가, 제1 수신단을 통해 상기 진단포트로부터 제1 진단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제어부가, 상기 제1 진단 요청 신호에 기초하여 진단 대상을 식별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의류처리시스템의 진단방법은, 상기 제1 제어부가, 상기 진단 대상이 상기 제1 의류처리장치로 식별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진단 요청 신호에 대응하는 진단 동작을 수행한 후 제1 송신단을 통해 제1 진단 결과 신호를 상기 진단포트로 전달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의류처리시스템의 진단방법은, 상기 제1 제어부가, 상기 진단 대상이 상기 제2 의류처리장치로 식별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송신단을 통해 제2 진단 요청 신호를 상기 제2 제어부로 전달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의류처리시스템의 진단방법은, 상기 제2 제어부가, 상기 제1 제어부로부터 상기 제2 진단 요청 신호를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2 진단 요청 신호에 대응하는 진단 동작을 수행한 후 제2 진단 결과 신호를 상기 제1 수신단으로 전달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의류처리시스템의 진단방법은, 상기 제1 제어부가, 상기 제2 제어부로부터 상기 제1 수신단을 통해 상기 제2 진단 결과 신호를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2 진단 결과 신호를 상기 진단포트로 전달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제어부가, 상기 제1 진단 요청 신호에 기초하여 진단 대상을 식별하는 것은, 상기 제1 진단 요청 신호에 포함된 수신자 식별 정보가 상기 제1 의류처리장치에 대응하면 상기 진단 대상을 상기 제1 의류처리장치로 식별하고; 상기 제1 진단 요청 신호에 포함된 수신자 식별 정보가 상기 제2 의류처리장치에 대응하면 상기 진단 대상을 상기 제2 의류처리장치로 식별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시스템은, 제1 하우징과, 상기 제1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된 제1 드럼과, 상기 제1 드럼을 개폐하는 제1 도어를 포함하는 제1 의류처리장치; 제2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된 제2 드럼과, 상기 제2 드럼을 개폐하는 제2 도어를 포함하는 제2 의류처리장치; 상기 제1 하우징 또는 상기 제2 하우징 중 어느 하나의 전방측에 마련되는 제1 진단포트; 및 상기 제1 하우징 또는 상기 제2 하우징 중 어느 하나의 전방측에 마련되는 제2 진단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진단포트와 상기 제2 진단포트는 모두 상기 제1 하우징의 전방측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 진단포트는 상기 제1 하우징의 전방측에 마련되고, 상기 제2 진단포트는 상기 제2 하우징의 전방측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 진단포트와 상기 제2 진단포트는 모두 상기 제2 하우징의 전방측에 마련될 수 있다.
한편, 개시된 실시예들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명령어는 프로그램 코드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프로그램 모듈을 생성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기록매체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는 컴퓨터에 의하여 해독될 수 있는 명령어가 저장된 모든 종류의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 저장매체'는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예로, '비일시적 저장매체'는 데이터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버퍼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또는 두 개의 사용자 장치들(예: 스마트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예: 다운로더블 앱(downloadable app))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도, 개시된 실시예들과 다른 형태로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개시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1; 의류처리시스템
10; 제1 의류처리장치
18; 제1 센서부
19; 제1 통신부
23; 제1 제어부
40; 제1 구동장치
41; 제1 드럼모터
50; 급수장치
54; 배수장치
60; 제2 의류처리장치
73; 제2 구동장치
73a; 제2 드럼모터
79; 제2 센서부
80; 히트펌프
83; 압축기
86; 히터
91; 팬 모터
97; 제2 제어부
100;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10; 제1 의류처리장치
18; 제1 센서부
19; 제1 통신부
23; 제1 제어부
40; 제1 구동장치
41; 제1 드럼모터
50; 급수장치
54; 배수장치
60; 제2 의류처리장치
73; 제2 구동장치
73a; 제2 드럼모터
79; 제2 센서부
80; 히트펌프
83; 압축기
86; 히터
91; 팬 모터
97; 제2 제어부
100;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Claims (20)
- 제1 드럼과 상기 제1 드럼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1 제어부와, 진단포트를 포함하는 제1 의류처리장치; 및
제2 드럼과 상기 제2 드럼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2 제어부를 포함하는 제2 의류처리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제어부는,
제1 송신단과 제1 수신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수신단을 통해 상기 진단포트로부터 제1 진단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진단 요청 신호에 기초하여 진단 대상을 식별하고, 상기 진단 대상이 상기 제1 의류처리장치로 식별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진단 요청 신호에 대응하는 진단 동작을 수행한 후 상기 제1 송신단을 통해 제1 진단 결과 신호를 상기 진단포트로 전달하고, 상기 진단 대상이 상기 제2 의류처리장치로 식별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송신단을 통해 제2 진단 요청 신호를 상기 제2 제어부로 전달하는 의류처리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부는,
제2 송신단과 제2 수신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송신단은 상기 진단포트의 수신단 및 상기 제2 수신단과 연결되고,
상기 제1 수신단은 상기 진단포트의 송신단 및 상기 제2 송신단과 연결되는 의류처리시스템.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송신단을 통해 출력되는 신호는 상기 진단포트 및 상기 제2 수신단에 전송되는 의류처리시스템.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부와 상기 제2 제어부를 유선으로 연결하기 위한 연결 회로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송신단은 상기 연결 회로보드를 통해 상기 제2 수신단과 연결되고,
상기 제1 수신단은 상기 연결 회로보드를 통해 상기 제2 송신단과 연결되는 의류처리시스템.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회로보드는,
상기 제1 송신단으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상기 제2 제어부에서 해독 가능하도록 전환하고, 상기 제2 송신단으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상기 제1 제어부에서 해독할 수 있는 형태로 전환하는 의류처리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진단 결과 신호와 상기 제2 진단 요청 신호 각각은 발신자와 수신자에 대한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부는,
상기 제1 제어부로부터 상기 제2 진단 요청 신호를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2 진단 요청 신호에 대응하는 진단 동작을 수행한 후 제2 진단 결과 신호를 상기 제1 수신단으로 전달하고,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제2 제어부로부터 상기 제1 수신단을 통해 상기 제2 진단 결과 신호를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2 진단 결과 신호를 상기 진단포트로 전달하는 의류처리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부는,
진단 단말기가 상기 진단포트와 연결된 것에 응답하여 미리 설정된 통신 시퀀스에 따라 상기 제2 제어부 또는 상기 진단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의류처리시스템.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통신 시퀀스는,
상기 제1 송신단이 상기 진단 단말기에게 신호를 전송하는 제1 시퀀스;
상기 제1 수신단이 상기 진단 단말기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제2 시퀀스;
상기 제1 송신단이 상기 제2 제어부에게 신호를 전송하는 제3 시퀀스; 및
상기 제1 수신단이 상기 제2 제어부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제4 시퀀스;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부는,
상기 제1 송신단을 통해 출력된 신호에 포함된 수신자 식별 정보가 상기 진단포트에 연결된 진단 단말기에 대응하면 상기 제1 송신단을 통해 출력된 신호를 무시하는 의류처리시스템.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회로보드는,
상기 제1 송신단을 통해 출력된 신호에 포함된 수신자 식별 정보가 상기 진단포트에 연결된 진단 단말기에 대응하면 상기 제1 송신단을 통해 출력된 신호를 무시하는 의류처리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제1 진단 요청 신호에 포함된 수신자 식별 정보가 상기 제1 의류처리장치에 대응하면 상기 진단 대상을 상기 제1 의류처리장치로 식별하고, 상기 제1 진단 요청 신호에 포함된 수신자 식별 정보가 상기 제2 의류처리장치에 대응하면 상기 진단 대상을 상기 제2 의류처리장치로 식별하는 의류처리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제1 드럼을 수용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고, 상기 제1 드럼과 대응하는 개구를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진단포트는 상기 도어의 하측에 마련되는 의류처리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의류처리장치는 세탁기이고, 상기 제2 의류처리장치는 건조기인 의류처리시스템. - 제1 드럼, 상기 제1 드럼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1 제어부 및 진단포트를 포함하는 제1 의류처리장치와, 제2 드럼과 상기 제2 드럼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2 제어부를 포함하는 제2 의류처리장치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시스템의 진단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부가, 제1 수신단을 통해 상기 진단포트로부터 제1 진단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제어부가, 상기 제1 진단 요청 신호에 기초하여 진단 대상을 식별하고;
상기 제1 제어부가, 상기 진단 대상이 상기 제1 의류처리장치로 식별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진단 요청 신호에 대응하는 진단 동작을 수행한 후 제1 송신단을 통해 제1 진단 결과 신호를 상기 진단포트로 전달하고;
상기 제1 제어부가, 상기 진단 대상이 상기 제2 의류처리장치로 식별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송신단을 통해 제2 진단 요청 신호를 상기 제2 제어부로 전달하는 것;을 포함하는 의류처리시스템의 진단방법.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부가, 상기 제1 제어부로부터 상기 제2 진단 요청 신호를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2 진단 요청 신호에 대응하는 진단 동작을 수행한 후 제2 진단 결과 신호를 상기 제1 수신단으로 전달하고;
상기 제1 제어부가, 상기 제2 제어부로부터 상기 제1 수신단을 통해 상기 제2 진단 결과 신호를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2 진단 결과 신호를 상기 진단포트로 전달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의류처리시스템의 진단방법.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부가, 상기 제1 진단 요청 신호에 기초하여 진단 대상을 식별하는 것은,
상기 제1 진단 요청 신호에 포함된 수신자 식별 정보가 상기 제1 의류처리장치에 대응하면 상기 진단 대상을 상기 제1 의류처리장치로 식별하고;
상기 제1 진단 요청 신호에 포함된 수신자 식별 정보가 상기 제2 의류처리장치에 대응하면 상기 진단 대상을 상기 제2 의류처리장치로 식별하는 것;을 포함하는 의류처리시스템의 진단방법. - 제1 하우징과, 상기 제1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된 제1 드럼과, 상기 제1 드럼을 개폐하는 제1 도어를 포함하는 제1 의류처리장치;
제2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된 제2 드럼과, 상기 제2 드럼을 개폐하는 제2 도어를 포함하는 제2 의류처리장치;
상기 제1 하우징 또는 상기 제2 하우징 중 어느 하나의 전방측에 마련되는 제1 진단포트; 및
상기 제1 하우징 또는 상기 제2 하우징 중 어느 하나의 전방측에 마련되는 제2 진단포트;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시스템. -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진단포트와 상기 제2 진단포트는 모두 상기 제1 하우징의 전방측에 마련되는 의류처리시스템. -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진단포트는 상기 제1 하우징의 전방측에 마련되고, 상기 제2 진단포트는 상기 제2 하우징의 전방측에 마련되는 의류처리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PCT/KR2023/017376 WO2024111937A1 (ko) | 2022-11-22 | 2023-11-02 | 의류처리시스템 및 의류처리시스템의 진단방법 |
US18/537,227 US20240167211A1 (en) | 2022-11-22 | 2023-12-12 | Clothes treating system and method of diagnos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57699 | 2022-11-22 | ||
KR20220157699 | 2022-11-22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076649A true KR20240076649A (ko) | 2024-05-30 |
Family
ID=912759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0014485A KR20240076649A (ko) | 2022-11-22 | 2023-02-02 | 의류처리시스템 및 의류처리시스템의 진단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40076649A (ko) |
-
2023
- 2023-02-02 KR KR1020230014485A patent/KR20240076649A/ko unknow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453299B2 (en) | Home appliance, home appliance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 |
KR102236743B1 (ko) | 의류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
KR102512221B1 (ko) | 의류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
KR102209509B1 (ko) | 건조기 및 그의 제어 방법 | |
US10753028B2 (en) | Laundry treating apparatus | |
KR20210109992A (ko) | 세탁기, 그 제어 방법 및 그의 컨트롤 패널 | |
KR20110126437A (ko) | 가전기기 및 그 동작방법 | |
US20240167210A1 (en) | Clothes treating system | |
US20240167209A1 (en) | Clothes treat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EP4112799A1 (en) | Wash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KR20240076649A (ko) | 의류처리시스템 및 의류처리시스템의 진단방법 | |
US20240167211A1 (en) | Clothes treating system and method of diagnosing the same | |
KR101154980B1 (ko) | 세탁기와 건조기 간 통신 제어방법 | |
US20240167213A1 (en) | Clothes treating apparatus and clothes treating system | |
KR20240076648A (ko) | 의류처리시스템 | |
US20240167212A1 (en) | Clothes treating system | |
KR20240076647A (ko) |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시스템 | |
US20240165544A1 (en) | Filter apparatus and method of managing the same | |
KR20240075644A (ko) | 의류처리시스템 | |
KR20240075636A (ko) | 의류처리시스템 | |
US20240052547A1 (en) | Filter apparatus | |
KR20240076650A (ko) | 의류처리시스템 및 의류처리시스템의 제어방법 | |
KR20240075633A (ko) | 필터장치 및 필터장치의 관리방법 | |
EP4098787A1 (en) | Clothing treatment apparatus | |
KR20240076643A (ko) | 의류처리시스템 및 의류처리시스템의 제어방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