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20046A - 세탁장치 - Google Patents

세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20046A
KR20100120046A KR1020090039045A KR20090039045A KR20100120046A KR 20100120046 A KR20100120046 A KR 20100120046A KR 1020090039045 A KR1020090039045 A KR 1020090039045A KR 20090039045 A KR20090039045 A KR 20090039045A KR 20100120046 A KR20100120046 A KR 201001200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input unit
independent drive
drive input
laund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90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상욱
김지희
이상수
박선영
구본권
장재원
강기영
박창권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390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20046A/ko
Priority to US13/260,182 priority patent/US9051675B2/en
Priority to PCT/KR2009/005176 priority patent/WO2010128725A2/en
Publication of KR201001200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004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28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32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1/00User input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1/20Operation modes, e.g. delicate laundry washing programs, service modes or refreshment cycl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46Drum speed; Actuation of motors, e.g. starting or interrupting
    • D06F2105/48Drum speed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42Safety arrangements, e.g. for stopping rotation of the receptacle upon opening of the casing do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가 세탁물을 인출할 때 드럼을 저속 회전시켜 세탁물을 찾기 쉽도록 하는 기능이 구비된 세탁장치에 관한 것으로, 외관을 형성하며, 다수의 기능버튼이 설치된 컨트롤 패널과, 세탁물의 투입을 위한 도어가 구비된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측에 설치되어 세탁수를 저수하는 터브; 상기 터브의 내측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세탁물을 수용하는 드럼; 사용자가 세탁물을 인출할 때 세탁물의 분산을 위한 드럼 회전 신호를 보내는 독립구동입력부; 및 상기 독립구동입력부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드럼의 회전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를 제공한다.
세탁장치, 독립구동입력부, 램프, 드럼 회전

Description

세탁장치{Washing machine}
본 발명은 세탁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세탁물을 인출할 때 드럼을 저속 회전시켜 세탁물을 찾기 쉽도록 하는 기능이 구비된 세탁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드럼 타입의 세탁장치는크게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과, 캐비닛의 내부에 설치되어 세탁수를 수용하는 터브와,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드럼으로 구성된다. 드럼의 내측에는 드럼의 회전시 세탁물을 끌어 올렸다 낙하시켜 세탁물이 낙차에 의해 세탁되도록 하는 복수의 리프터가 구비된다. 드럼의 내부에 세탁물이 수용되어 세탁과 헹굼 및 탈수, 또는 건조 등의 행정이 진행된다.
세탁과정(세탁-헹굼-탈수-건조 행정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세탁물로부터 오물을 제거하는 세탁 행정과는 구별된다)이 종료되면, 사용자가 드럼으로부터 세탁물을 인출하게 된다.
그런데 이때 세탁물이 한쪽에 쏠려 있거나 서로 뭉쳐있는 경우가 있다. 크기가 큰 세탁물의 경우에는 서로 구분이 용이하기 때문에 인출이 쉽다. 그러나 양말과 같은 작은 크기의 세탁물의 경우에는 다른 세탁물 사이에 끼어 있거나 리프터 위에 걸쳐 있게 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소형의 세탁물을 인출하기 위해서 리프터를 잡고 드럼을 수동으로 회전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세탁물을 인출할 때 드럼을 저속 회전시켜 세탁물을 찾기 쉽도록 하는 기능이 구비된 세탁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측에 설치되어 세탁수를 저수하는 터브; 상기 터브의 내측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세탁물을 수용하는 드럼; 세탁과정과는 별도로 사용자가 상기 드럼을 작동시킬 수 있도록 드럼 회전 신호를 보내는 독립구동입력부; 및 상기 독립구동입력부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드럼의 회전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캐비닛은 다수의 기능버튼이 설치된 컨트롤 패널과, 세탁물의 투입을 위한 도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독립구동입력부는 상기 캐비닛 상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독립구동입력부는 도어의 개방시 사용자에게 노출되는 상기 캐비닛의 일측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독립구동입력부는 상기 도어의 폐쇄시 상기 도어에 의해 가압되지 않는 위치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독립구동입력부는 상기 컨트롤 패널 상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드럼은 상기 독립구동입력부를 통한 신호 입력시 설정 회전수로 회전하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드럼은 상기 독립구동입력부를 통한 신호 입력시 1회 정회전하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드럼은 상기 독립구동입력부를 통한 신호 입력시 1회 정회전 후 1회 역회전하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드럼은 상기 독립구동입력부는 소정 시간 이상 지속적으로 신호가 입력된 후에 작동하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드럼은 상기 독립구동입력부를 통해 신호가 입력되는 동안에만 작동하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전원이 오프되더라도 대기전력을 유지하여 상기 독립구동입력부를 통한 신호 입력시 상기 드럼을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전원이 오프되더라도 상기 독립구동입력부를 통한 신호 입력시 전원을 인가하여 상기 드럼을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컨트롤 패널은 어린이의 조작을 방지하는 키즈락 버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독립구동입력부는 상기 키즈락 버튼의 동작으로 잠금 해제된 이후에 작동 신호를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어와 터브 사이에는 수밀을 위한 도어 가스켓이 설치되며, 상기 도어 가스켓 상에는 조사 방향이 상기 드럼의 내측을 향하는 램프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 로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세탁장치는 세탁물 찾기 버튼의 동작시 드럼을 저속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수동으로 드럼을 회전시키지 않아도 세탁물을 손쉽게 인출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세탁장치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세탁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세탁기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따른 세탁기의 컨트롤 패널을 도시한 확대도이고, 도 4는 도 1의 'A'에 따른 독립구동입력부를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드럼 세탁기는 크게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00)과, 캐비닛(100)의 내부에 설치되어 세탁수가 저수되는 터브(120)와, 터브(120)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드럼(130)과, 드럼(130)을 구동하는 모터(160)로 구성되며, 캐비닛(100)의 외측에는 컨트롤 패널(110)이 구비되어 세탁기의 작동 상태를 표시하고 사용자가 각종 기능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 버튼을 제공한다.
캐비닛(100)의 전방에는 세탁물을 투입할 수 있도록 투입구(103a)가 형성되 고, 투입구(103a)는 도어(107)에 의해 개폐된다. 투입구(103a)의 내측, 즉, 캐비닛(100)과 터브(120) 사이에는 도어 가스켓(101)이 설치되어 투입구(103a)를 통해 세탁수가 유출되지 않도록 세탁장치의 내부를 수밀한다.
터브(120)의 상부는 행잉 스프링(121)에 의해 캐비닛(100)의 상부에 지지되고, 터브(120)의 하부는 프릭션 댐퍼(122)에 의해 지지되어 드럼(130)의 고속회전 시에 드럼 세탁기에 발생되는 진동을 저감시킨다.
드럼(130)의 내주면에는 드럼(130)에 투입된 세탁물을 소정의 위치까지 상승시키는 복수의 리프터(131)가 설치되고, 탈수 등과 같은 세탁 행정에서 세탁수가 드럼(130)으로부터 빠져나가도록 복수 개의 통공(132)이 형성된다.
터브(120)의 상측에는 급수호스(140)가 연결되어 외부의 수원으로부터 터브(120) 내부로 물을 공급하며, 급수호스(140) 상에는 세탁수의 출입을 제어하는 급수밸브(141)가 설치된다.
터브(120)의 하측에는 배수호스(150) 및 배수펌프(151)가 설치되어 세탁 및 헹굼 등에 사용된 세탁수를 외부로 배출한다.
터브(120)의 후방에 장착되는 모터(160)는 회전축(165)을 통해 드럼(130)과 결합되어 드럼(130)을 회전시키게 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트롤 패널(110)은 세탁장치의 작동 상태 및 사용자가 선택한 각종 옵션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19)와, 드럼 세탁기의 동작을 설정할 수 있는 기능 버튼들과, 세탁장치의 각 부품과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로 구성된다.
기능 버튼은 세탁장치의 전원을 온/오프하는 전원 버튼(111)과, 세탁장치의 동작을 일시 정지하는 동작/일시정지 버튼(113)과, 세탁과정을 세부적으로 설정할 수 있는 기능선택 버튼(115)과, 자동으로 설정된 세탁과정을 수행하는 코스선택 버튼(117)으로 구성된다.
컨트롤 패널(110)에는 후술할 독립구동입력부(200)와, 아이들의 기능 버튼 조작을 방지할 수 있는 키즈락 버튼(300)이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가 표준 코스나 울코스 등과 같이 기설정된 코스를 선택하거나 기능 버튼(115)을 이용해 세탁과정(세탁-헹굼-탈수-건조 행정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세탁물로부터 오물을 제거하는 세탁 행정과는 구별된다)을 설정하면, 설정된 내용에 따라 세탁과정이 진행된다.
세탁과정이 완료되면 사용자가 세탁이 완료된 세탁물을 인출하게 되는데, 이때 세탁물이 한쪽에 쏠려 있거나 서로 뭉쳐있는 경우가 있다. 크기가 큰 세탁물의 경우에는 서로 구분이 용이하기 때문에 인출이 쉽다. 그러나 양말과 같은 작은 크기의 세탁물의 경우에는 다른 세탁물 사이에 끼어 있거나 리프터 위에 걸쳐 있게 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 독립구동입력부(200)를 작동시켜 드럼(130)을 회전시킴으로써 세탁물이 분산되도록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독립구동입력부(20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독립구동입력부(200)는 세탁 과정과는 별도로 드럼(130)을 회전 구동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이러한 별도의 드럼(130) 구동 기능은 전술한 바와 같은 소형의 세탁물을 찾는 용도 등에 적용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독립구동입력부(200)는 캐비닛(100) 상에 버튼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즉, 독립구동입력부(200)는 도어(107)의 개방시 사용자에게 노출되는 캐비닛(100)의 일측에 구비될 수도 있고(도 4 참조), 컨트롤 패널(110) 상에 구비될 수도 있다.
독립구동입력부(200)가 컨트롤 패널(110) 상에 구비되는 경우에는 독립구동입력부(200)를 가압하는 구조가 없으나, 독립구동입력부(200)가 도어(107)에 인접한 캐비닛(100) 상에 구비되는 경우에는 도어(107)의 폐쇄시 도어(107)에 의해 가압되어 오작동을 할 수 있다.
따라서 독립구동입력부(200)는 도어(107)의 폐쇄시 도어(107)에 의해 가압되지 않는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캐비닛(100) 상에 홀을 형성하고, 홀 내측에 독립구동입력부(200)를 버튼 형식으로 구비할 수 있다.
또는, 도어(107)가 폐쇄된 상태에서는 독립구동입력부(200)가 가압되어도 제어부에서 입력 신호를 처리하지 않는 방식으로 오작동을 방지할 수도 있다.
독립구동입력부(200)는 사용자가 세탁물을 드럼(130)으로부터 인출할 때 드럼(130)을 자동으로 작동시켜주는 기능을 한다. 사용자가 독립구동입력부(200)를 누르면 드럼(130)을 회전시키라는 신호가 제어부로 전달되고, 제어부에서는 드럼(130)을 회전시켜 세탁물이 분산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드럼(130)이 고속으로 회전하게 되면 사용자의 안전 사고 우려가 있으며, 세탁물이 관성에 의해 분산되지 않고 뭉쳐있는 상태를 유지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드럼(130)은 세탁과정에 비해 상대적으로 아주 저속으로 회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독립구동입력부(200)로부터 작동 신호가 인가되면 제어부는 드럼(130)을 설정 회전수로 회전하도록 제어한다. 설정 회전수는 세탁장치의 출고시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정 회전수는 1초당 0.5회 내지는 1초당 1회 이하로 드럼(130)이 회전되도록 저속으로 설정될 수 있다.
독립구동입력부(200)를 통한 신호 입력시 드럼(130)은 설정 회전수로 회전함과 동시에, 1회 정회전 후 정지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또는, 드럼(130)이 설정 회전수로 회전함과 동시에 1회전 정회전 후 다시 1회전 역회전을 한 다음 정지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사용자가 독립구동입력부(200)를 복수 회 누를 수 있으므로, 이러한 경우에는 1회전 정회전 후 정지하거나, 1회전 정회전 후 역회전한 후 정지하거나, 독립구동입력부(200)가 눌리는 횟수에 따라 1회전 정회전/1회전 역회전이 교대로 반복 실시되도록 제어될 수도 있다.
또한, 독립구동입력부(200)를 통해 신호가 입력되는 동안에만 드럼(130)이 작동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독립구동입력부(200)를 5초간 누르고 있으면 5초 동안 1회전 정회전/1회전 정회전 후 역회전한 뒤 정지/1회전 정회전/1회 전 역회전 등의 회전 패턴 중 어느 하나가 반복적으로 실시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한편, 독립구동입력부(200)는 어린이의 조작에 의한 동작 및 안전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소정 시간 이상 지속적으로 신호가 입력된 후에만 작동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세탁물을 인출할 때 독립구동입력부(200)를 3초 이상 누르면 드럼(130)이 설정 회전수로 회전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어린이의 기능 버튼 조작을 방지할 수 있는 키즈락 버튼(300)을 구비함으로써 어린이의 조작에 따른 드럼(130)의 회전 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경우, 키즈락 버튼(300)은 컨트롤 패널(110) 상에 구비될 수 있다. 키 잠금 상태에서는 독립구동입력부(200)를 소정 시간 이상 누르거나 복수 회 누르더라도 드럼(130)이 회전하지 않도록 제어된다.
그러나 키즈락 버튼(300)의 동작으로 키 잠금 해제 상태가 된 이후에는 독립구동입력부(200)의 신호 입력 시 드럼(130)이 작동되도록 작동 신호가 인가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세탁장치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세탁물을 인출하는 시기는 세탁과정이 모두 완료되어 전원이 오프된 이후가 된다.
따라서 독립구동입력부(200)를 조작하기 위한 전력이 모두 차단된 상태이므로 독립구동입력부(200)의 조작 및 드럼(130)의 동작을 위한 전원 공급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제어부는 세탁장치의 전원이 오프되더라도 대기전력을 유지하고 있다가 독립구동입력부(200) 및 드럼(130)이 동작될 수 있도록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또는, 독립구동입력부(200)가 스타트 버튼(Start Button)의 역할을 하여 독립구동입력부(200)가 눌리면 제어부에서 입력 신호를 받아 전원을 인가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세탁장치 전체 전원을 인가하여 사용할 수도 있지만, 에너지 효율을 고려하여 독립구동입력부(200) 및 드럼(130)에만 전력이 인가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세탁장치의 전원 오프시 독립구동입력부(200) 및 드럼(130)으로 전력이 공급될 수 있도록 별도의 전력공급 회로를 구성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세탁장치의 경우, 사용자가 세탁장치를 낮에 사용할 수도 있지만 밤에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그런데 세탁장치의 전원이 오프된 상태에서 세탁물을 인출하기 위해 도어(107)를 개방하면 드럼(130) 내부가 어두워 시야를 확보하기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따라서 드럼(130) 내부를 비추는 램프(400)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램프(400)는 조사 방향이 드럼(130)의 내측을 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세탁장치의 전원이 오프된 상태에서도 드럼(130)의 내부를 비출 수 있도록 전술한 바와 같이 독립구동입력부(200) 및 드럼(130)과 동일하게 전력을 공급받도록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사용자가 세탁물을 인출할 때 수동으로 드럼을 회전시켜 세탁물을 분산시키지 않아고 독립구동입력부의 동작만으로 드럼을 회전시킬 수 있 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어두운 환경에서 세탁물을 인출하더라도 램프에 의해 시야가 확보되므로 편리하게 세탁물을 인출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 예에서는 드럼 타입의 세탁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으로 구분할 수 있다. 세탁 과정에서 드럼이 회전하는 타입의 세탁장치는 물론, 드럼 내부에 구비된 펄세이터(Pulsator)가 회전하는 타입의 세탁 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된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하게 변형 실시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세탁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세탁기의 단면도.
도 3은 도 1에 따른 세탁기의 컨트롤 패널을 도시한 확대도.
도 4는 도 1의 'A'에 따른 독립구동입력부를 도시한 확대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캐비닛 107 : 도어
110 : 컨트롤 패널 120 : 터브
130 : 드럼 200, 200' : 독립구동입력부
300 : 키즈락 버튼 400 : 램프

Claims (16)

  1.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측에 설치되어 세탁수를 저수하는 터브;
    상기 터브의 내측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세탁물을 수용하는 드럼;
    세탁과정과는 별도로 사용자가 상기 드럼을 작동시킬 수 있도록 드럼 회전 신호를 보내는 독립구동입력부; 및
    상기 독립구동입력부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드럼의 회전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은 다수의 기능버튼이 설치된 컨트롤 패널과, 세탁물의 투입을 위한 도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독립구동입력부는 상기 캐비닛 상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독립구동입력부는 도어의 개방시 사용자에게 노출되는 상기 캐비닛의 일측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독립구동입력부는 상기 도어의 폐쇄시 상기 도어에 의해 가압되지 않는 위치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독립구동입력부는 상기 컨트롤 패널 상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은 상기 독립구동입력부를 통한 신호 입력시 설정 회전수로 회전하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은 상기 독립구동입력부를 통한 신호 입력시 1회 정회전하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은 상기 독립구동입력부를 통한 신호 입력시 1회 정회전 후 1회 역 회전하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은 상기 독립구동입력부는 소정 시간 이상 지속적으로 신호가 입력된 후에 작동하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은 상기 독립구동입력부를 통해 신호가 입력되는 동안에만 작동하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전원이 오프되더라도 대기전력을 유지하여 상기 독립구동입력부를 통한 신호 입력시 상기 드럼을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13.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전원이 오프되더라도 상기 독립구동입력부를 통한 신호 입력시 전원을 인가하여 상기 드럼을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1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패널은 어린이의 조작을 방지하는 키즈락 버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독립구동입력부는 상기 키즈락 버튼의 동작으로 잠금 해제된 이후에 작동 신호를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와 터브 사이에는 수밀을 위한 도어 가스켓이 설치되며, 상기 도어 가스켓 상에는 조사 방향이 상기 드럼의 내측을 향하는 램프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KR1020090039045A 2009-05-04 2009-05-04 세탁장치 KR20100120046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9045A KR20100120046A (ko) 2009-05-04 2009-05-04 세탁장치
US13/260,182 US9051675B2 (en) 2009-05-04 2009-09-11 Washing machine
PCT/KR2009/005176 WO2010128725A2 (en) 2009-05-04 2009-09-11 Washing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9045A KR20100120046A (ko) 2009-05-04 2009-05-04 세탁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0046A true KR20100120046A (ko) 2010-11-12

Family

ID=430505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9045A KR20100120046A (ko) 2009-05-04 2009-05-04 세탁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051675B2 (ko)
KR (1) KR20100120046A (ko)
WO (1) WO2010128725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53154A1 (ko) * 2015-03-20 2016-09-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929075B1 (en) * 2012-12-10 2017-03-22 Arçelik Anonim Sirketi A household appliance having key lock function
CN104372575B (zh) * 2013-08-16 2018-05-01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一种滚筒洗衣机的开门指示装置及其开门控制方法
WO2015096917A1 (en) * 2013-12-24 2015-07-02 Arcelik Anonim Sirketi A household appliance with child lock function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35836B2 (ja) * 1991-02-28 1997-07-30 株式会社東芝 全自動洗濯機
WO2006001586A2 (en) * 2004-03-25 2006-01-05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controlling opening and closing of a door in a drum-type washing machine
KR101158060B1 (ko) * 2005-07-01 2012-06-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대기전력 제어장치 및 그 방법
EP1915479B1 (en) * 2005-08-18 2018-10-10 LG Electronics Inc. Washing machine having lamp device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EP2236660B1 (en) * 2005-11-18 2016-08-03 LG Electronics Inc. Sterilizable washing machine using ultraviolet radiation and sterilizable washing method in the same
WO2009004021A1 (en) 2007-07-02 2009-01-08 Arcelik Anonim Sirketi A washing machin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53154A1 (ko) * 2015-03-20 2016-09-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장치
US9951458B2 (en) 2015-03-20 2018-04-24 Lg Electronics Inc. Washing machine
US9957656B2 (en) 2015-03-20 2018-05-01 Lg Electronics Inc. Washing ma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128725A3 (en) 2011-08-04
US20120137739A1 (en) 2012-06-07
WO2010128725A2 (en) 2010-11-11
US9051675B2 (en) 2015-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036900A1 (en) Washing machine
KR101210999B1 (ko) 세탁기 및 그 급속 세탁방법
KR100903145B1 (ko) 드럼세탁기
KR20130085276A (ko) 세탁기의 도어 개폐 검출 장치
KR20100120046A (ko) 세탁장치
US9771676B2 (en) Front-loading washing machine
JP4591287B2 (ja) ドラム式洗濯機
JP2000157781A (ja) ドラム式洗濯機
KR102398759B1 (ko) 세탁기
US20090223255A1 (en) Drum type washing machine
JP5509040B2 (ja) ランドリー機器
JP4844590B2 (ja) 洗濯機
JP2007117141A (ja) ドラム式洗濯機
KR20100046352A (ko) 세탁장치
KR20100094063A (ko) 세탁장치
JP2017148090A (ja) ドラム式洗濯機
KR101715769B1 (ko) 세탁기의 제어방법
KR20070066604A (ko) 세탁기의 엘이디 서포터 방수 구조
JP2007082652A (ja) ドラム式洗濯機
RU2446238C2 (ru) Комбинированная стиральная машина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ею
KR102281310B1 (ko) 세탁기
JP3823518B2 (ja) 全自動洗濯機
KR20050086200A (ko) 세탁기의 컨트롤 장치
KR102271435B1 (ko) 세탁장치
JP6667251B2 (ja) 衣類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